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國建設産業 현황 분석 및 국내 建設 엔지니어링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손석헌 서울産業大學校 住宅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21세기에 들어 우리 경제의 구조조정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맞물리며 우리나라의 외국인 투자 증가율은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또한, 중국이 WTO 정식회원국이 되면서 우리나라에 진출하고 있는 외자의 유출 가능성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어느 때 보다 외자유치 확대를 위한 노력과 새로운 투자원 발굴이 시급한 상황이라 볼 수 있다. 세계 건설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외건설 사업의 중장기적인 활성화 방안 마련과 최근 대규모 투자 사업과 대외 개방을 추진하고 있는 중국 건설시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무한한 성장 잠재력을 지닌 중국 경제는 2000년부터 본격적인 경기 회복세를 보여 2001년에 7.3%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였다. SOC 투자 확대를 위한 재정 지출 증가로 인해 고정자산투자는 13.0%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이러한 높은 경제성장률과 고정자산 투자 증가율은 중장기적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국내 건설엔지니어링업체의 해외수주실적은 매년 약 1/2이상씩 감소하고 있고, 우리나라 보다 기술력이 낮을 것이라 인식되는 중국마저 오래 전에 한국의 해외수주실적을 추월하여 이에 대한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건설산업의 현황과 해외투자 및 영향을 조사하여, 국내 건설업체의 대응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투자규모의 현황 및 중국정책발표내용을 기반으로 중국경제 및 건설산업에 대한 성장과정을 분석하여 우리의 건설 산업이 당면해 있는 문제를 도출하였다. 또한, 각 국가 및 기업별로 중국진출의 전략방향을 통하여 국내 건설의 경쟁책 향상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로 국내건설엔지니어링의 대응방향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주요연구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중국의 성장 기조는 투자 확대, 수출 증가, 물가 안정 등의 외적인 요소에 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생산성 향상에 의한 자체적인 경제 원동력은 의문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세계적인 불황 속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인 중국의 경제는 당분간 상승세를 지속할 것이 확실하다. 또한, 중국의 건설기업은 생산과 효율 측면에서 모두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03년 상반기,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통하여, 국민경제는 안정적인 증가추세를 보였고, 고정자산 투자는 지속적으로 고속 성장하였다. 이러한 중국의 건설 산업 경쟁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는 노동생산성의 저하, 기술수준의 저하, 산업고도화에 따른 실업문제와 위험관리의 수준 문제 등이 있다. 중국의 건설시장은 제 8차 5개년계획(1991~1995) 기간에 덩샤오핑의 남순강화와 제 14대 전당대회 이후 전면적인 개혁·개방을 실시하면서 건설 및 부동산 개발 사업도 최고속도의 발전을 기록하였다. 한편, 맹목적인 난개발, 이미지 형성을 위한 낭비적 건설공정, 자원낭비 등의 문제제기가 갈수록 빈번하게 제기되고 있으나 중국정부의 고정자산투자 정책은 향후 수개월 또는 더욱 장기간 동안 건설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건설시장의 발전추세를 보면, 새로운 발전시기가 도래하고 있음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십오계획', WTO 가입, 베이징 올림픽, 상하이 세계박람회 개최 등은 베이징과 상하이 등 국제대도시 및 적구의 도시건설에 박차를 가하게 될 것이며 시공기업에 좋은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국제경쟁력면에서 중국은 우수한 시공 능력과 저렴한 가격적 이점으로 그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토목엔지니어링부문과 건설산업에서 있어서 더욱 앞서는데 노동시장에서의 낮은 비용과 해외건설에서의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경쟁력을 갖춰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의 세계건설시장 점유율은 과거 94년 3.1%에서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2001년 5.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중국산업에 대한 국내전략은 단기적으로는 제휴 파트너로, 중장기적으로는 중국시장에 컨소시엄으로 진출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정부는 미래에 시장성이 큰 상품 발굴, 지역별 시장의 규모 등에 따라 해외협력기금을 지원하는 정책을 펴야 할 것이다. 개별기업과 정부는 해외시장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야 하며, 단위 사업이 아닌 지역별, 상품별 시장의 규모, 해당 국가의 발주제도 및 건설산업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기관과 인사에 대한 정보공유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기업의 진출전략은 국내의 경제여건변동을 통해 건설투자방향과 수요변동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건설정책변동을 예측하여 기업의 진출계획을 세워야한다. 이러한 계획은 단기, 중장기, 장기적으로 계획하되 각 부문기술을 평가하여 성과별로 측정한다. 이러한 계획에서 정부 및 기업의 대응방안으로는 기업의 현지화전략과 제휴화방안을 수립하고, 정부의 금융지원과 외교정책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건설산업의 다양한 분야에 대해 조사하여 국내건설엔지니어링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적용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중국 건설산업 성장요인은 최근 국민총생산액이 2000년 대비 9.5%성장과 외국인 투자가 1995년 대비 2배로 증가하면서 적합한 건설업 환경의 조성으로 주택건설 투자가 매년 20% 증가하였다. 중국의 비국유 사영경제 및 시장경제 도입에 따른 저렴한 가격과 노동력의 양적 성장에 대해 국내 건설시장의 선진화된 고품질과 기술력의 질적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중국의 철강, 시멘트 산업의 투자 및 생산력 확대에 따라 국내건설산업체의 SOC투자 확대 및 중국 현지 생산 시설 추진에 따른 생산 기술과 고부가가치의 제품에 대한 기술을 확대가 필요하다. 중국 건설기계산업내 생산력 대부분을 외자기업이 주도함에 따라 국내 건설기계산업의 신제품 개발 및 관리 시스템의 전문화 도입으로 중국의 외자기업시장점유율에 대해 경쟁력을 높인다. 또한, 국내 건설산업의 경쟁력 강화로 입찰 및 발주제도의 합리적 개선을 통해 건설환경을 개선한다. 국내 건설 시공기술 및 건설 산업 고부가가치 육성을 위해 전문 인력양성과 기술개발로 건설 산업의 해외 경쟁력을 강화한다. 그리고 중국 건설업체의 성장에 대해 한국정부는 금융지원책과 건설외교를 바탕으로 국내기업의 현지화 조사를 강화하고, 금융여건 급변에 따른 신경영 체제를 확립하는 전략적 대응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중국건설산업에 대한 국내 건설엔지니어링의 대응방향은 중국건설기업의 투자 및 개발의 특징과 기술발전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건설업체의 해외경쟁력 강화를 위한 좀 더 체계적인 해결방안을 제안하였고, 중국진출방향과 건설투자에 필요한 실질적인 운영전략을 제공하는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has developed on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sufficient devices for growth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by investigating present conditions of domestic construction enterprises and the foreign investments and factors in China. Based on research documents, this study revealed several issues such as the participation of foreign investments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and a new policy that deals with the economic environment and the construction business analysis. Furtherm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growth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by analyzing strategic advance to China from several countries and even further from construction companies. Consequently, this research intended to emphasize on the importance of the next step of the internal construction engineering in Korea. Since reaching more than the 8 percent average in GNP in 2000, the growth rate in China has increased even more to 9.1 percent in 2003 and to 9.5 percent in 2004. The main factors of the growth are estimated as such, the spread of investments, the increase in export, the price stabilization, therefore, it raises a question about the driving force of the Chinese economy. Keeping up with the driving force of the Chinese economy is substantial despite the current world-wide depressio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China is rapidly growing in terms of the production and its efficiency. The first half of 2003, GNP in China increased continuously because of a positive financial policy by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e fixed-assets investment. However, lower labor productivity and the technology standard, the unemployment rate by higher level industries, and the level of risk management worked as limitations of the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in China.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construction and the real estate market in China is that its government maintains a landholding system concurrence with civilian. The government interferes in land development strictly.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s strong influence is quite significant. The main enterprises that are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face significant items in the construction market of China as well. They attract even public attention as the best enterprises in the world. During the eighth 5-year plan from 1991 to 1995, the Chinese construction market recorded a rapid growth due to the Deng Xiaoping's peace and open-up policies and the fourteenth national convention. In the meantime, a blind developing and wasteful construction progress has caused some problems frequently. However, the building industry remains robust after months or over due to the fixed-assets investment policy. Seen from the development trend in the construction market in China, it appears that it is performed at a full fledged scale development. For instance, owing to the plan of October 5th, in WTO, the Beijing-Olympics and the open Shanghai-international exhibition, China can establish a city of the international metropolis such as Beijing and Shanghai as well as take a good opportunity. After 1997 We building industry of China preceded over Korea except for the chemical and nuclear facilities that require the advanced technology. In the aspect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China expands its area abroad having a construction capability and low cost advantage. Low wages and having a long experience of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in parts of the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industry, especially are worthy of notice. As shown in the table 4-35 below, China recorded substantial market share of construction part in the world, increased 5.6 percent in 2001 since 3.1 percent in 1994 gradually. In the part of transportation, water resource and plant facilities, Korean construction capability is estimated higher than that of China. In the dam-construction particularly, due to the high using rate of heavy equipment, the low Chinese labor cost is not applicable. Our counterplot toward Chinese industry have focused on the short-run working in alliance with our partners and then on the long-run, formulating a plan to organize a consortium to the Chinese market. Moreover, our government should practice policy of finding higher value-added businesses, and assist on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Fund at the regional scale of market. Both individual enterprises and the government should share information on the worldwide market, and the goods's scale and the accommodation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bidding system of each country or the building industry. The Korean strategy for the foreign markets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investment and changing demand through the domestic condition of economic fluctuation. After estimating political change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should make an advanced plan of enterprise. In this plan, it is unnecessary to measure the result after estimating a department of technology, simultaneously with planning on the short-run and on the long-run. In that plan, mapping the actual place out, as a strategy, and formulating a cooperation policy, supporting finance from the government and using diplomacy technically should be set down. In conclusion, by finding some applicable possibilities in Chinese construction industry for the improvement of economic power from the domestic construction engineering. Firstly, the factors of Chinese construction industry are recently increased GNP rate of economic growth of 9.5 percent compared in 2000 and foreign investments that increased twice from 1995. Because of the suitable construction environment, housing build investments increased 20 percent per year. Secondly, due to individual economy and induction of economy market, it gains a low cost and growth of labor power quantitatively, and necessary to develop advanced high quality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technology. Thirdly, according to the Chinese investment of steel, cement industry and productive capaci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ductive and higher value-add skills because of the spread of SOC investment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y and the driving force of facilities for production. Fourthly, the most part of the Chinese construction equipment industry is led by foreign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market share over foreign companies in China by new product development of a construction machine industry and specialized management system. Fifthly, in order to increas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competitiveness, it needs to improve a construction bidding system rationally based on reasonable change for the better tender and order system.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specialist and study a technology development to foster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Finally, considering the growth of Chinese construction companies, Koren government need, to plan strategically, based on financial supporting policy and trade abroad of building, while reinforcing survey of localized internal enterprises and establishing a new econom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of financial condition.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China is to analyze the investment Chinese construction company and to explore, characteristic development and technical strategy. As the result, it provides systematic solution plans for the Korean over China, a giving practical management strategy. Future studies is necessary to analyze economical logicality efficiently, invest and consider a strategic plan for improvement of internal engineering about Chinese construction industry.

      • 한국건설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 방안 : 투자 감소 원인 분석을 중심으로

        김홍련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43

        한국기업들은 국내 경제성장의 둔화와 치열한 경쟁 등의 경제 환경 변화에 직면하면서 이에 대처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해외에 대한 투자와 진출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건설업 또한 대내적으로 발주량 감소, 그리고 이에 따른 수주경쟁 과열 및 수익성 감소 등의 어려운 환경을 맞이하여 해외시장 개척을 강화하였다. 그 중 지정학적으로 조건이 제일 유리한 나라인 중국에 대한 투자와 진출을 시작하여 미국을 능가하는 한국의 제1위 투자대상국으로 부상하고 투자 초기에 비해 15배정도 증가하여 63억 달러의 최고의 수준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중국 건설시장에서의 호황기를 누렸던 한국은 최근 들어 중국 건설시장에 대한 투자와 진출의 추세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심지어 기존 진출했던 기업들마저 철수 하거나 현지 사무실만 남겨 놓은 상태이다. 중국은 매년 7%~8%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면서 건설시장에 대한 투자도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며 2020년 이전에 세계1위 건설시장으로 될 것이라는 업계의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건설기업의 중국 건설 시장 투자 감소 현상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고 체계적인 분석과 적절한 대응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건설기업의 對 중국 투자 감소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한국 건설기업의 중국 진출에 있어서의 방향성과 대응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투자 관련 이론과 투자결정요인에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과 해외건설업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토대로 투자 감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한 다음 가설을 세웠다. 그리고 수집된 설문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형회귀분석과 AHP기법을 실시하여 중국시장 진출에 있어서 영향을 주는 요인별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특유요인에 속한 경영. 관리능력, 기술경쟁력, 가격경쟁력과 재무능력은 모두 중국시장 투자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이론적 기반이 없이 설정된 가설5는 연구모형에 유의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 기각이 되었지만 해외투자에 영향은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장 환경요인에 대한 즉 시장성장 가능성, 원가, 정치. 정책의 규제 그리고 프로젝트 변수는 모두 투자 감소의 원인이 되고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채택된 가설 요인들의 중요도를 분석함으로써 중국 건설시장 투자 감소에 있어서 가격 경쟁력, 원가, 정치. 정책의 규제 변수가 비교적 높은 중요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마지막에는 연구결과에 의한 한국 기업의 對 중국건설시장 진출에 있어서의 방향성과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중국 건설산업의 현황과 한국 건설기업의 전략적 진출방안

        최현욱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43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민주화시위와 미국, 유럽국가 디폴트 사태에 따른 세계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국내 건설경기는 장기적인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내 건설기업은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해외 건설시장 진출에 기업역량을 모으고 있으며, 지난 4년간 2,275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국한된 진출지역과 편중된 공종은 우리에게 신시장 발굴과 수주지역 다변화의 또 다른 문제점을 각인시켜 주었다. 중국 건설시장은 연평균 8% 고속성장을 바탕으로 천문학적인 건설비용을 인프라건설과 부동산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여 세계 최대의 건설시장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제12차 5개년(2011년~2015년) 시기 동안 내수시장 확대와 지역 균형발전의 정책기조에 따라 이러한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국내 건설기업도 중국 건설시장의 잠재력과 수요증대를 예상하고, 1992년 한·중 수교이후 활발히 진출하였으나, 그 성과는 중동지역의 2010년 한해 수주액에도 미치지 못할 만큼 매우 부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 건설시장 진출과 수주지역 다변화의 일환으로 국내 건설기업이 중국 건설시장에서 부진한 원인을 살펴보고, 전략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고찰과 중국 건설시장 진출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가중치 분석기법을 이용한 요인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과 세부 활성화 방안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점은 현지에 대한 사전준비 미흡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정부와의 유대관계 강화(꽌시문화), 진출 지역의 문화관습 이해, 인사·조직의 현지화로 조사되었다. 둘째 문제점은 중국정부의 잦은 정책변경으로 이를 위해 중국 법규의 명확한 이해, 철저한 시장조사, 정보관리 체계화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문제점은 현지 업체관리가 어렵다는 의견을 보였는데 이를 위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교류를 통한 파트너쉽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문제점은 우리정부의 정책적 지원부족을 원인으로 꼽았는데 통합 D/B구축과 중국파견 인력의 교육이나 세금감면 등의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문제점은 국내경제·기업경영 여건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충분한 사업기획 및 개발역량을 강화해야 하며, 적정 진출·투자시기를 재조정하여 극복해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 문제점은 정부·금융기관 자금지원 부족으로 이를 위해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프로젝트는 파이낸싱이나 BOT사업 등 시공자 금융요구 공사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인 금융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건설 및 부동산시장의 현황과 법·제도적 환경을 살펴보고, 진출 활성화 방안을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하지만 앞으로는 보다 더 많은 전문가 표본과 진출사례를 수집하여, 계량적으로 실증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Chinese Construction Market for Foreign Construction Enterprises Using SWOT

        왕은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27

        중국은 수 년 동안 경제의 급속한 성장을 통해 놀라운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 이 급속한 경제 성장에서 건설 산업은 주된 역할을 하였다. 중국의 방대한 건설 시장은 전 세계에 걸쳐 큰 경제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래서 많은 기업들에 투자하려는 매력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많은 건설 회사들이 좋은 실적을 내지 못하였다. 특히 외국 건설 회사는 중국 건설 시장에서 우리가 생각한 만큼 실적이 좋지 않다. 비록 중국의 건설 시장이 크게 발전되고 계속 열리면서, 외국 투자자들과 계약자들은 전보다 중국 건설 시장에 더욱 뛰어 들고 있는 중일 지라도 그들의 중국에서의 투자는 잠재적인 위험 요소인 광범위한 실재적인 문제들을 가진다. 중국 건설 시장의 복잡성을 고려하면, 중국 건설 시장은 여전히 개혁되고 있는 중이고 변화가 필요한 것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것이 되었다. 그러므로 나는 이 논문의 연구를 통하여 외국 건설 회사를 돕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 논문은 중국의 지역적인 시장 환경을 이해하므로 외국 건설 회사의 위치를 정하는 데 도달되게 한다. SWOT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외국 건설 기업이 전진하도록 중국 건설 시장에 있는 적절한 강점-기회(SO), 약점-기회(WO), 강점-위협(ST), 약점-위협(WT)의 전략에서 외국 건설 회사의 강점(S)과 약점(W)과 기회(O), 위협(T)을 나타내 준다.

      • 한국·중국의 건설 VE 비교 연구

        Qiao, Le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295

        최근 건설업은 국가 경제의 침체와 함께 공사물량의 부족, 최저가낙찰제의 확대, 업체 간 과당경쟁 등으로 인하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뼈를 깎는 원가절감 노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경쟁력을 제고 하여야 한다.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이하 VE)이란 최저의 비용으로 필요한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의 기능분석과 기능설계 중심으로 한 조직적인 노력을 의미한다. 또한 그 의미에서 VE는 일정한 품질을 확보하면서, 최소의 비용으로 필요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체계적인 노력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VE의 핵심인 효율성의 추구는 합리적인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서 사회발전 과정에서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한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되어 왔다. VE의 처음은 1947년 미국 General Electric 사의 Lawrence D. Miles에 의해 VE가 제안된 이후 미국에서는 민간부문과 개별 정부기관 차원에서 자체 VE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해오고 있다.(김종윤, 2007) 1947된 이후미국에서는 민간부문과 개별 정부기관 차원에서 자체 VE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해오고 있다. 1990년대에는 미국의 만성적인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한 정부개혁이 이루어지면서, VE의 도입을 VE법(Systematic Application of Value Engineering Act)의 제정으로 결실을 맺어 공공 분야의 전 분야로 VE 수행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미국 연방도로국(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A)의 경우 대규모 도로 사업에 설계VE 수행을 의무화하여 2003년 약 $10억 1,600만의 예산절감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미 국방성의 경우 1954년 VE로 명명 이후부터 ’65년 미육군공병단(US Army Corps of Engineering: COE)에서 VE Program을 시작하여 수십 년간 이어온 군 시설을 설계단계에서 VE를 검토하고 발주 후에는 제안자에게 주는 VE제도를 운영하여 시공자까지도 VE참여를 유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의 건설업 주기는 한국의 주기보다는 이전 단계인 성장기와 성숙기의 중간단계로 판단되고 있는 중국의 건설업도 한국이나 일본의 건설 산업주기에서 처럼 성숙기 이후의 단계를 미리 대비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중국 건설업에서도 적용 가능한지 제도를 살펴보고 VE기법이 적용되려면 어떤 절차 등이 필요한지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국건설 프로젝트의 예산절감과 원가절감이 이루어지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China the theory of value engineering was introduced in 1978. However, present the application of value engineering in the construction sector which is considered to provide a great potential for improvement in China is loose and slow. In practice, the enterprises which have instituted value engineering methodology into the project management are only theory base. In recent years, the construction market is increasingly standardized. The land resources become increasingly scarce. The cost of land acquisition is more and more getting higher. The development cost of the enterprise is increasing year by year while the profit space is reduced. Value engineering enjoys superiority and unique innovation in analyzing and solving this existing problem. Based on the above background, the construction sector should apply the principles of value engineering to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o that long term, stead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achieved. Firstly, this research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applying value engineering into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based on the research status at home and abroad. The study expounds the connotation, the characteristic and working principle of value engineering. It also expounds the content and value analysis principles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 중국 CM의 제도적 현황에 따른 문제점의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엄설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295

        중국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건설시장이 상당한 변화와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건설프로젝트가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되어 있는 배경에서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이하 CM)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중국 CM제도가 아직 초기 단계에서 머물고 있고 선진국과 커다란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그 동안에 중국 CM의 이론적 고찰과 도입 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제도적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중국과 한국의 기존 CM에 관한 연구문헌을 통해서 연구사례를 분석하고 CM에 대한 연구 자료를 통해서 CM에 관한 이론적 정의 및 개념적인 분류, 업무내용, 다섯 단계 및 여섯 기능 등 기본적 이론을 분석하며 한국과 중국 CM에 대한 제도적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중국 CM의 제도적 측면인 CM에 대한 정의, CM의 시행대상 건설공사 및 수행자, 건설사업관리자(Construction Manager, 이하 CMr)의 손해배상 및 하자보증, CM의 대가, CM능력의 평가 및 공시, CM에 대한 관계 업종별 직무 등에 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중국 건설시장에 합리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CM에 대한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향후 중국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는 CM제도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져야 하며, CM은 건설시장에서 많은 적용을 위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high speed development of China, great changes and development took place in the construction market. Construction projects become large-scale, complicated and detail. In this background, demand for Construction Management(CM) has increased. However, China's system of CM is still in the early stage, and there is a great gap compared with the developed countries. An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ina’s CM theory and the system status quo from it’s introduction to now,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ystem, and to put forward improvement plan. In this study, through the Chinese and Korean research literature on the management of engineering projects, the examples of CM, as well as material, analysis the theoretical definition,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ceptual, the business contents of CM, five phase and six functions and so on. Compare analysis of Korea and China CM system present situation, and then in terms of system in China by this research analysis problems include: legal definition of CM, the implementation of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 practitioners of the CM, compensate for the losses and maintenance guarantee of a construction manager, the consideration of CM, legal and contractual liability of a construction manager, the CM about deriv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industry classification. In order to the reasonable application of CM in Chinese construction market, put forward the improvement plan of CM system. So,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hould modify and improve the system of CM. In order to CM is more widely used in construction market, more research is needed.

      • 한국의 이민정책이 제도화한 이주노동자의 ‘강요된 위법성’ : 건설업에서의 중국동포 취업을 중심으로

        박미화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02271

        본 연구는 재외동포정책의 프레임 안에서 노동시장 내 중국동포가 처해진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정부의 재외동포정책이 노동시장 내 중국동포에게 ‘강요된 위법성’을 구조적으로 생산하였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동포가 합법적 체류자이지만 취업의 위법성이 나타나는 ‘준(準)-법준수(法遵守)’의 개념을 통해 건설노동시장의 중국동포 취업 현상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취업의 위법성을 살펴보았다. 한국 정부의 재외동포정책은 재외국민과 외국국적동포를 보호하고 지원한다는 보편성을 바탕으로 동포의 역사적 이주배경과 거주국 내에서 처해진 환경에 따라 한국적 특수성을 반영하여 시행해 왔다. 그 결과 재외동포정책은 취업관리제, 방문취업제, 재외동포법 제·개정 등 끊임없이 변화되어 왔고, 이러한 제도는 중국동포가 건설업과 같은 단순노무직에 집중하게 만들었다. 한국 건설 노동시장에 중국동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서 노동시장 형성에 영향을 주는 정책, 수요, 공급의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정책적 측면으로는 한국 정부가 재외동포정책을 통해서 중국동포가 한국에 거주하며 건설업에 종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고, 수요적 측면으로는 중국동포의 임금경쟁력, 동일한 언어와 문화적 배경, 탄력적 고용 등이 요인으로 작용했고, 공급적 측면으로는 타 업종에 비해 고소득, 네트워크에 의한 취업, 다양한 연령대 동포 진입 등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중국동포의 건설업 집중화는 한국 정부의 동포정책, 한국 건설 노동시장의 특징 및 수요, 공급자로서의 동포의 개인적 요인이 서로 맞물린 결과로 나타났다. 중국동포의 집중화로 재편된 한국 건설노동시장은 합법과 불법의 혼재, 단순노무직부터 전문화된 노동력까지 계층화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결국 중국동포의 건설업에서의 문제는 취업의 ‘위법성’이 그 주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건설노동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중국동포의 위법성을 재외동포정책의 틀 안에서 살펴보았을 때, 재외동포정책은 중국동포에게 국내 체류 및 취업의 기회를 확대해 왔지만, 일관성 없는 제도적 변화로 동포 건설노동자의 위법성을 조장했다. 또한 현행 제도 하에서 중국동포가 체류자격 전환을 함에 따라 동일한 노동력임에도 불구하고, 체류자격별로 각기 다른 취업 규정에 의해 강요된 위법성이 나타났다. 한국정부의 재외동포정책은 동포정책과 외국인력 정책 사이의 모호한 성격을 띠면서 중국동포를 단순노무시장으로 고착화 시켜왔다. 그리고 동포에게 적용되는 비자체계와 복잡한 비자 전환 과정은 중국동포를 숙련/미숙련으로 구분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내부적 경계에 위치하게 했다. 이러한 정책적 한계는 노동시장 내 중국동포에게 ‘강요된 위법성’을 저지르게 했다. 또한 중국동포에게 ‘강요된 위법성’을 저지르게 한 정책적 문제점은 동포정책의 일관성 부재, 동포 정책 구조의 분산, 내국인 고용시장 보호를 위한 과도한 규제 등이 있다. 중국동포에 대한 이해, 노동시장에 대한 이해, 노동시장 내 중국동포의 역할 등에 대한 이해 없이 순간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임시적 방편으로 쌓아온 정부의 일관성 없는 재외동포정책은 노동시장 내 중국동포에게 취업의 위법성을 강요해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