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선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은 인생의 여정을 시작하는 순간부터 종착역인 죽음을 향하여 나아가는 존재이고 죽음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해 진정한 자신의 실체를 발견하여 보다 의미 있고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갖게 된다. 특히 인생의 마지막 단계를 살아가고 있는 노인이 죽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현재 삶에 대한 태도 및 대처방식이 달라지므로 가까이 다가온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적응은 노년기의 삶의 질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이 죽음을 어떠한 의미로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죽음태도’를 살펴보고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사회적활동 요인 등을 설정하여 제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재가노인으로서 노인종합복지관, 경로당, 교회, 문화센터를 이용하는 인지능력 및 언어장애가 없으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협조하는 자로 제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표집방법은 편의표집방법으로 선택하였으며 면접조사를 통해 총 250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죽음태도 수준은 4점 만점에서 평균 2.32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부정적 죽음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명력은 35.4%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죽음태도에 대하여 자아 통합감, 종교 활동, 성별, 교육 수준, 월 소득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연령, 배우자 유무, 가족 유형, 건강 상태, 한 달 용돈, 사회적 지지, 우울 정도, 여가 활동 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측면에서의 실천적 제언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 통합을 성취한 노인은 절망에 맞서서 긍정적 죽음태도를 갖고 자신이 살아온 인생을 받아들이며 현재 삶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두려움 없이 죽음을 직면할 수 있게 되므로 자아 통합감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천이 요구된다. 둘째, 각 종교기관에서는 노인의 종교적 신앙심을 고취시키고 인간관계를 돈독히 할 수 있는 작은 모임들을 조직해서 노인이 정기적 및 적극적으로 종교 활동에 참여하도록 권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종교기관 내 노인을 위한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사회복지를 전공한 전담사역자를 배치하여 전문적인 노인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기관으로 한정된 죽음준비교육을 종교기관으로 확대하여 전국적으로 죽음준비교육을 확산시키고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전문사회복지사를 육성하고 충원하며 노인의 욕구가 반영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죽음에 대한 교육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넷째,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긍정적 죽음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특히 사별 여성노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일부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죽음준비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제한점이 많으므로 다음의 실천전략이 요구된다. 첫째, 정부는 죽음에 대한 제도나 정책을 마련하여 사회전반에 죽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며 노인교육으로부터 시작해서 향후 초등교과과정에 이르기까지 죽음준비교육을 순차적으로 확대하도록 한다. 둘째, 죽음준비교육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서 일관성 있는 전달체계를 구축하고 사회복지기관들의 상호연계 및 정보전달 등에 노력하도록 한다. 셋째, 사회복지사는 죽음 관련 인식의 제고와 전문성을 강화하여서 효율적 및 효과적인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다섯째, 경제수준 및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이 긍정적 죽음태도를 형성하도록 돕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조사를 토대로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함의를 도출해내어 보다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서 체계적으로 실천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노인이 죽음에 대해서 가족, 친지, 친구들로부터 도움을 받지 못하고 개인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적 지지에 관련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어 실제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일곱째, 우리나라 노인에게 적합한 죽음태도의 측정도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므로 노인의 죽음태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척도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죽음과 관련하여 개선되어야 할 노인의 환경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지역사회 거주 재가노인이 노년기의 중요한 적응 과제 중의 하나인 죽음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자신의 삶을 재평가 및 재정립함으로써 의미 있는 노후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며 죽음과 관련해서 발생할 From the very moment of our birth, all humans take on a journey that is headed to the final stage of our lives faced with death. It is argued that people would have meaningful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life when they discover who they truly are by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Particularly, how the elderly, who are living in the last stage of their lives, interpret their own death come to determine their attitudes toward the life and the way they prepare death.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m to have appropriate interpretations of death and to adapt proper attitudes toward i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current liv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ttitudes that the elderly have toward the death and showed how the elderly view the meaning of death. This study examined demographic factors, psychosocial factors, and social activity factors as variables that might influence the attitudes toward the death. This research also examined to identify any interactions these variables might hav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people who are 60 years of age or older. They live in and around the capital city of Seoul and are regular users of facilities, 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churches, and cultural centers. They have no known difficulties with their cognitive and language abilities. Their participation was voluntary. The sample was col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fter an interview, 250 copies of the survey were included in the data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2.0. This study performed the following analys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OVA(t-test &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average point from a 4-point-scale for the attitudes toward the death was 2.32 reaching the middle level. Seco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variances that influence the attitudes toward the death. The results yielded 35.4% of explanatory power.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such factors as participants’ ego integrity, religious activities, sex,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s toward the death. However, the following facto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age, the existence of a spouse, family type, health condition, monthly allowance, social support, severity of depression, and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I propose that the following suggestions should be developed and practiced for social welfare. First, there is a need for a promotion program for ego integrity among the elderly. The need for an ego integrity promotion program is rooted in the belief that people who have achieved ego integrity have positive attitudes against despair. They are also accepting of the lives they have lived and can face death without fear. Second,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religious groups accommodate the elderly in small groups through which they can reinforce their faith and buil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is, religious groups are encouraged to have a specialized department for the elderly and to assign professional social workers who can provide services. Third, death education, which has been provided only b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us far, should be extended to religious organizations throughout the country. It is also necessary to educate professional social workers who are specialized in death education and to provide regular and organized education on death through the various of programs that reflect the needs of the elderly. Fourth, research that helps elderly women to develop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death is encouraged. Special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widowed women. Though some welfare organizations provide education on death preparation,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many respects. Therefore, I propose the following strategies that would help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First, the government should create and institutionalize policies to enhance death awareness. These policies could be implemented in elderly education initially, and can be extended to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eventually. Second, consistent education systems should be created in order to effectively provid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urthermor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re encouraged to communicate and share information with one another. Third, social workers need to provide effectiv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at focuses on improving death-related awareness and professionalism. Fifth, literature reviews and fact-driven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ttitudes toward the death. This line of research is particularly for promot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death among the elderly with high economic and educational backgrounds. This kind of research should also encourage systematic administration of practical support programs. Sixth, practical supports need to be provided to the elderly, who face death alone without help from their families, relatives, or friends. The supports need to concur with dedicated field research on social supports for the well-being of the elderly persons. Finally, appropriate measuring instruments that examine the attitudes the elderly have toward the death is in great demand. Developing suitable test instruments is highly recommended. In this study, I provided the areas that call for improvement in the education of the elderly on death education. My suggestions a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s toward the death. Death is something that the elderly have to cope with. Based on this general line, this study aimed to help the elderly to live meaningful lives, which can be achieved by developing positive attitude

      • 죽음과 장묘에 대한 노인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복지관 이용 대상자를 중심으로

        장하영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에서 노인문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늘고, 해를 거듭할수록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대부분의 노력들은 평균수명이 높아지면서 노인에게 주어진 연장된 삶을 편안하고 안정되게 하려는 등의 삶 에 관한 것이고, 반면에 죽음에 관해서는 최근까지도 드러내어 논의되지 않고 있었다. 이처럼 죽음에 대한 언급을 꺼려하던 사회분위기가 최근 들어 죽음을 하나의 학문으로 인정하고자 죽음학 을 연구하는 학계의 움직임이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죽음 역시 노인문제에 있어서도 하나의 이슈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죽음에 관한 문제에 그치지 않고 사후(死後)에 치르게 되는 장례절차와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사후(死後)관리 등 장묘문화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들에게 이에 관련된 서비스 마련이 요구된다고 설명하고자 하였다. 자칫 죽음과 장묘를 분리하여 생각하면 각각 별개의 주제를 떠올릴 수 있을지도 모르겠으나, 장묘란 어차피 죽음을 얘기하지 않고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을 한 선상에서 보고, 사회복지 분야의 개입 역시 동시에 요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노인의 죽음에 대한 전반 내용을 통하여 죽음을 준비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한다. 둘째, 죽음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장묘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을 알아본다. 셋째, 마지막으로, 위의 문제점에 관한 개선방안으로써 제시되고 있는 화장(火葬)의 권장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장묘문화의 개선과 보완을 위해서 사회복지 가 개입되어야 할 부분과 역할의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한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영국, 일본 등의 장묘문화를 알아보고, 이러한 선진국들의 장묘문화와 비교했을 시에 우리나라 장묘문화에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였다. 또한, 현재 서울의 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장묘관련 서비스 현황을 인터넷과 전화문의, 기관방문을 통해 조사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서울시에 위치한 노인복지관및 종합사회복지관 6곳을 선정하여, 노인들이 생각하는 죽음과 장묘에 관한 인식 및 현 장묘문화의 문제점 등을 노인들의 시각에서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복지관 이용자를 조사대상으로 함으로써 죽음과 장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복지관의 연계성과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으며, 복지관의 장묘서비스 사항에 관한 질문을 포함시키기도 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를 분석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이 죽음에 대하여 가깝게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는 건강악화를 들 수 있으며, 그 외에 경제적 어려움과 심리적 외로움도 죽음을 생각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죽음에 대한 준비를 미리하고 있는 노인들과 그렇지 않은 노인들의 비중은 거의 같았으며, 이는 종교, 연령대 등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둘째, 노인들은 장묘형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매장보다 화장을 더 많이 선호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전통적인 사상 때문에 화장을 꺼리고 매장을 원하는 노인들도 상당수 있었다. 더불어 화장시설을 설치하는데 있어서의 의견은 본인이 화장을 선호하더라도 자신의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 설치하는 데에는 강하게 부정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화장시설의 확충과 이를 장려하는 데에는 적극적으로 찬성함으로써 화장에 대한 큰 관심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사회복지의 개입에 관해서는 장묘관련 교육을 실시하기에 가장 적절한 기관으로 사회복지기관을 꼽았으며, 노인들 스스로 이러한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복지기관에서 장묘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이용하고자 하는 욕구도 상당히 높게 조사되었다. 이처럼 연구의 바탕이 되는 이론적 사항과 설문조사 결과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노인들에게 장묘문화를 중심으로, 죽음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국가와 개인을 함께 고려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장묘문화를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 셋째, 장묘문화 개선과 발전을 위하여 사회복지분야의 개입이 요구된다. In the current society, the aged man problem is getting more serious and the efforts to resolve it are being actively progressed as the time goes on. These efforts are mostly about "life" like making the prolonged life of the aged men peaceful and st able, there are however few public discussions about death until now. T he social atmosphere avoiding mentioning on death has changed into a movement of the academic world studying a "thanatology" which acknowledges death as a science. Therefore, the death of the aged men has also become an is sue about the aged men problem. This research studied the recognition of the aged men about the funeral culture like the funeral procedure after death, the management after death which is traditionally inherited, and so forth, as well as the problems of the aged men's death, and the research tried to explain to them that the preparation for the service related to this is required. Though you may hit upon a separate theme when you think separat ely of the death and the funeral, the funeral culture cannot be explained without death. Therefore, the two should be regarded in the same aspect,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into the social welfare field should be required at the same time. Thu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thesis explains the necessity about preparing death through the whole content of the aged men's death. Secondly, grasps the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funeral culture which holds the highest position in preparing for a death, and look around the recognition of the aged men. Thirdly, finally, emphasizes the part in which "the social welfare" should intervene and the importance of its role to improve and compensate the funeral culture of our country as well as the recommendation of cremation suggested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above problem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e thesis investigated the funeral culture of America, England, Japanese and so forth as well as our country, and pointed out the problems of our funeral culture in comparison with the funeral culture of the developed countries. In addition, the thesis analyzed the services related to the funeral culture which are being performed in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through internet, telephoning and visiting. And, finally, selecting 6 of the aged men welfare facilities and general social welfare facilities, it studied with a questionnaire about the their own recognition of the death and the funeral, the problems of the current funeral culture and so forth so as to see in view of the aged men/women. Especially, the thesis tried to emphasize the connection and necessity of the welfare facilitie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death and funeral by selecting the interviewee as the welfare facilities users, and cont ained the question about the funeral service of the welfare facilities. The main analysis result of the gathered data is as follows. Firstly, the most important reason that the aged men think they are near the death is the health aggravation, and the economic difficulty and the psychological isolation react as the cause that they think of a death.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the aged men who are preparing for the death and the percentage of the aged men who are not are almost same, and this was affected by a religion, age and so forth. Secondly, they prefer cremation to burial in selecting the form of the funeral rite. however there are still lots of aged men who avoid cremation and prefer burial due to the traditional idea. They showed a strong denial about establishing a cremation facilities near the place of their residence though the prefer a cremation . But they also showed a high int erest about cremation by actively assenting to the expansion and encouragement of cremation facilities. Finally, they selected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as the most proper facilities to perform the education related to the funeral and the burial in relation to the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to which this research intended to approach, and they are willing to join these education by themselves. and it was investigat ed that the desire to user the funeral service is very high when it is provided by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matters an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is research suggests as follows. Firstly, the education to prepare for a death should be done to the aged men, focused on the funeral and burial culture. Secondly, considering both the nation and the individual, we should construct a new funeral and burial culture suit ed to our realities. Thirdly, the intervention of the social welfare field is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and develop the funeral and burial culture.

      • 죽음을 통해 본 황순원 단편소설의 현실인식

        김윤화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MA Thesis Visioning Reality thru Death in Short Story by Hwang Soon Won Kim, Yoon Hwa Department of Kore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Park, Jong Hong) Abstract Hwang Soon Won had gone thru from Japanese colonial era to Korea's Liberation, Korean War and Industralization. And what he had seen was Korean's phychological wound driven from the problems they face in real world. Critics have agreed that his core interpretation to the essence of life had focal point to the phychology of each characters. However Hwang listened to the wound and carefully portrayed in his works. These wounds emerge in various ways throughout his works. These various aspects of death are not only limited to the matter of death itself, but also shows the problems we may face in our lives relating to death. Depending on the era, death shows each different characters. His earlier works were written during the time of liberation of Korea which quite didn't allow him to express freely under social restrictions and pressure. Under Japanese collonial time Hwang was not able to express real life but the restriction from the Japanese collonial time and the Enlightenment era mixed together creating chaos led to the suicide scene and gloomy plot to portray the time. After the liberation, Hwang started to write his view towards matierlism related to losing and returning to homeland new ownership of land that were liberated from colonial time in his works. Hwang wanted to show that these extreme materialism can deteriorate people's mentality. After the Korean War and Industralization, death in Hwang's works showed different aspect. Destructive violation from the Korean War made people flat to the death of others. On the other hand, Death became the struggle portray for livging in the bloody time of war. After the 1960's industralization, death started to change aspects in the modern life. Individualism surged and rapid modification in society starte to change the value system. Death is not suicide nor homicide anymore nor that it shows willingness for living. Not only to negatively focus on the problems of society, Hwang allows us to look at the problems objectively so that we can apply these aspects to our lives. The real life if the era is closely portrayed in Hwang Soon Won's short stories. This might not appear apparently but the story itself shouts its word itself to the world thru many scenes of death and by analysis of death in his stories and how they reflect reality directly into the story.

      • 노인요양시설 근무 요양보호사의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보람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 중인 요양보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정신건강 및 임종간호태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요양보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를 개선할 수 있는 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자는 인천광역시와 부천시에 위치한 7개 요양원에서 근무하는 근무경력이 3개월 이상인 요양보호사 105명이었고 2013년 4월 11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대상자들의 죽음인식 측정을 위해 김분한, 김흥규와 탁영란(1997)이 개발하고 김미애(2006)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정신건강을 측정하기 위해 고성희(1989)가 개발하고 이화인과 최화숙(200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임종간호태도 측정을 위해 Frommelt (1991)가 개발하고 조혜진(2004)이 수정·보완한 임종간호태도 측정 도구를 본 연구자가 요양보호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의 사후검정, Pearson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요양보호사의 죽음인식에 대한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7(±12.86)점으로 죽음을 앞둔 노인을 돌보는 요양보호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다소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정신건강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6(±8.16)점으로 정신건강이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태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75(±5.26)점으로 임종간호에 대해 다소 긍정적인 태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2)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죽음인식은 종교의 유무(t=4.86, p=.03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신건강의 경우에는 사고사, 노화, 질병사 등의 가족과 친구의 죽음을 경험한 군(F=3.17, p=.028)과 가족과 친구의 죽음을 경험하지 않은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태도는 배우자가 있는 사람(t=5.24, p=.024)과 배우자가 없는 사람(미혼, 이혼, 별거, 사별) 사이에, 본인의 건강에 대한 인식을 ‘좋다’고 인식한 사람(t=4.80, p=.031)과 ‘보통이나 나쁘다’고 인식한 사람 사이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죽음인식, 정신건강, 임종간호태도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에서 죽음인식과 정신건강(r=0.22, p=.028),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r=0.48, p<0.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요양보호사의 임종간호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죽음인식으로 임종간호태도 변량의 21.8%의 설명력이 있었다. 요양보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원 거주 노인들에 대한 요양보호사들의 더욱 긍정적인 임종간호태도를 위해 죽음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의 주요 제한점은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임종간호태도 측정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61로 낮았다. 따라서 임종간호태도를 측정하는 신뢰도 높은 도구를 개발하여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자료수집 지역은 인천광역시와 부천시로 한정되어 있어 본 연구의 결과를 모집단으로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으므로 자료수집 지역을 확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요양보호사, 죽음인식, 정신건강, 임종간호태도

      • A Study on the Pastaral counseting for the Dying

        정효심 Covenant Univ. 1999 해외박사

        RANK : 247807

        필연적으로 인간에게 죽음이라는 불운이 닥쳐올 때, 죽음을 신앙적 자세로 수용하고 성장의 기회가 되게 하는 목적이 필요하다. 목회상담을 통해, 가족이 임종하는 이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공포와 불안을 함께 겪으므로, 비탄을 당해도 죽음을 삶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고, 죽음의 체험을 통해 성장하고 성숙하게 만드는 것이 절대 필요하다. 목회상담을 통해 죽음을 관습과 공포로부터 벗어나, 생과 죽음을 하나님의 은총으로 받아들이고, 죽음에 처한 자를 신앙으로 적응시켜 그리스도의 부활이 영생을 가져옴을 깨닫게 하여, 초연히 죽음을 받아들이게 하는 지혜가 필요하며, 또한 끝까지 그를 위로하며 이해하고 돌보는 상담의 자세가 필요함을 논해보았다. 본 논문은 죽음을 단지 두려운 것, 피안 적인 것으로 회피하기보다는 성서적, 철학적, 신학적인 관점에서의 연구하고, 임종 환자의 복잡한 심리상태를 임상적인 측면에서 연구하여, 인간이라는 존재에 필연적으로 닥치는 죽음을 새로운 차원의 삶으로 받아들이는 길을 신학적인 측면에서 모색하고 다루어 보았다. 죽음에 대하여 세 부분으로 나누어 한국인의 죽음에 대한 사상 관, 성경에서의 죽음 관, 기독교인의 죽음 관에 대해 논하고, 죽어가는 자의 심리적 상태를 다섯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필자의 임상교육 경험을 통해 얻은 사례를 예시하였다. 임종 자를 위한 상담방법을, 위에서 얻은 연구를 중심으로 제시하였고, 현대 문화 속에서 우리에게 다가오는 죽음을 삶의 일부로써 받아들여 신앙적인 측면에서 임종에 처한 자와 함께 상대적으로 남는 이의 자세에 대해 목회 상담학적으로 논해 보았다.

      • Verstehbarkeit und Kommunikabilitat des Todes in der Modernen Kultur und Gesellschaft : Ein sinnloser Kampf um einen Sinn des Todes in all seiner Sinnlosigkeit?

        천선영 Ludwig-Maximilians-Universitat Munchen 2000 해외박사

        RANK : 247807

        죽음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는 사회학의 한 근본적이고도 핵심적인 과제이다. 인간이 사회적 존재인 한 인간의 죽음은 항상 "사회적 사건"이었다. 모든 사회적 집합체들에 있어 인간의 유한성을 이해하고, 해석하고 그리고 정당화하는 일은 그 사회의 지속성(Dauer)과 안정성을 확보하기위해 필수불가결한 일이었다. 모든 시대 그리고 모든 형태의 사회들은 인간죽음의 확실성과 그 시기의 불확실성(mors certa, hora incerta)의 문제를 어떤 방법으로든지 해결해야 했다. 개인과 사회가 피할 수 없이 맞부딪히는 한 접점(Schnittstelle)으로서의 죽음은 따라서 사회학적으로 대단히 의미있는, 그리고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본 논문은 위의 논의를 그 전제로 하고 특정한 구조와 특성 그리고 논리를 지닐 뿐 아니라 이를 계속적으로 재생산해내는 현대사회라고하는 '구조적 조건'하에서 죽음의 이해가능성과 의사소통성, 그 '가능성의 조건들'(Bedingungen der Moeglichkeit)에 대해 묻는다. 이 때 이해가능성과 의사소통성은 죽음의 의미(Sinn)에 대한 질문에 대한 사회학적, 이론적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적 개념으로 채택된 것이다. 본 논문의 제1장에서는 글의 문제의식과 연구방법이 서술되고 있으며, 제2장에서는 연구대상인 인간의 유한성 문제에 대한 서술적 이해를 위해 자연과학적, 심리학적, 사회사적, 사회학적 그리고 철학적, 종교적 입장들이 개괄적으로 설명되고 있다. 1장과 2장을 관통하는 기본적인 전제는 역사적으로 보아 죽음(에 대한 인식)이 (개인적으로도, 집단적으로도) 삶의 유의미성을 보장해주는, 삶을 어떤 '전체'(als Ganze)로 인식하게 해주는 근원지(Quelle)로서 역할해왔다는 것이며, 이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오늘에 있어 우리는 죽음의 문제를 통해 현대사회에서의 '의미문제'(Sinnproblem)에 대한 (사회과학적) 성찰을 할 수 있으리라는 것이다. 제3장에서는 급격한 의학(기술)의 발전의 사회적 결과들, 임종과정과 죽음처리의 전문화와 산업화 그리고 그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결과라고 할 수 있는) 전통적인 죽음의 의미이해구조의 기능상실등을 우리 시대 죽음관의 사회구조적, 문화적 조건으로 논하고 있다. 사회구조적 변동과 의식구조의 변화는 밀접한 관련성안에서 고찰되어질 수 있으므로 본 글은 3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4장에서 죽음에 대한 우리 생각들의 형상들(Todesbilder)을 유형화(Typologisierung)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우리 시대 죽음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시도한다. 본 논문에서 관심을 가지는 것은 오늘에 관찰되는 죽음에 대한 이미지, 생각들이 현대사회구조적 상황안에서 가지는 현재적 함의 그리고 새로운 역동성을 읽어내는 일이다. 3장과 4장의 사회구조분석과 죽음의 의식에 대한 유형화 분석을 근거로 본 논문은 전반부의 마지막 부분에서 현대사회안에서 죽음인식의 본질을 규정하는 구성적인(konstitutive), 그리고 근본적으로 깔려있는 '담론의 구조'를 추론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의미'와 '초월성'의 사회학적 이해가 시도되고 있다. 담론구조분석의 결과 현대사회에서 '초월성에 대한 내재적 의사소통성의 결여'가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적어도 잠정적으로 오늘날 죽음의 이해 가능성을 축소시키는 한 중요한 요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장은 토마스 룩크만을 중심으로 한 현상학적 사회학과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안에서 이론적으로 검증받아야 할 것이었다. 본 글에서는 서로 다른 사회이론틀거리안에서 초월성의 내재적 의사소통성의 문제가 어떻게 위치지워지고, 다루어질 수 있는가 그리고 그 안에서 죽음이라는 현상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죽음의 문제는 사회 변동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인간 전영역의 사회적 경험과 관련되어 있으며 한 사회의 가치, 의미구조를 성찰하게 한다는 점에서 필자는 본 논문이 오늘의 현대사회를 조금은 보다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 죽음위기에 처한 이와 목회적 돌봄

        강원규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죽음은 누구에게나 찾아온다. 이것은 인간의 나이나 신분, 인종을 불문하고 찾아오는 가장 보편적인 문제이다. 목회자는 죽음을 외면하고는 목회를 할 수가 없다. 죽어가는 이들과 죽음에 대한 목회자의 인식과 죽음의 위기에 처한 자와 그 유족들에 대한 목회적 돌봄을 이론적으로 전계해 보고자 했던 본 논문에서 죽음에 대한 이론적인 면, 즉 죽음의 대한 성서적 의미와 철학적, 그리고 심리학적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성서에서는 죽음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새로운 희망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해 성도들도 죽음을 넘어선 부활에 새로운 희망을 준다. 성도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성도들에게 죽음은 더 이상 쏘는 것이 아니며 이미 죽음을 정복했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의학적인 죽음의 개념은 아직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심장사냐 뇌사냐의 논란의 근거는 있지만 최근 법 개정을 통해서 뇌사를 정부에서 인정함에 따라서 심장사와 더불어 뇌사가 공통적으로 인정되었다는 것을 보았다. 죽음의 위기란 삶에 있어 마지막에 다가오는 위기이다.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마지막에 겪는 위기이므로 죽음을 담대히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이 위기에 있어 목회자들은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고 있으며 훈련이 되어 있다면 죽음의 위기에 처한 자들을 위한 가장 좋은 상담자가 될 것이다. 죽음의 위기에 처한 자들과 유족들의 단계적 감정을 통해 살펴보았듯이 공포, 허탈한 상태에 빠지게 되며 아무 것도 느끼지 못하는 마비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것을 목회자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면 좋은 돌봄이 일어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죽어가는 자들을 위한 돌봄은 심방을 통해 유족들과 함께 평온한 죽음을 맞이하도록 그리고 남아 있는 유족들에게 위로와 평안이 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죽음은 더 이상 최후의 고비가 아니라 영원한 새 하늘과 새땅을 향한 힘찬 출발임을 살펴보았듯이 목회자는 죽음의 위기에 처한 자들과 유족들에게 죽음은 새로운 출발이며 죽음의 위기가 결코 감당치 못할 위기는 아님을 강조해야 한다. 고인에 대한 죄책감은 유족들이 갖는 당연한 심정이고 고인이 죽음을 담대히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도 당연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결코 이것 때문에 오랫동안 죄책감을 가질 필요가 없음을 유족들이나 죽음 위기에 처한 자들에게 알려야 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죽음의 위기에 처한 자들에게 좋은 목회적 돌봄이 나오리라 생각했지만 실제로 장례를 치르면서 유족이나 환자에게 목회자가 같이 있어주는 것만으로 큰 위로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목회자는 거창한 말과 유창한 설교를 통해 성도들을 돌보는 것이 아님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그저 옆에만 있어줌으로, 손을 잡아주고 어깨를 두드림으로써, 간절한 기도를 통해서도 위로를 줄 수 있다. 그러나 목회자가 죽음에 대해서 아무것도 준비가 되지 않는다면 죽음 위기를 당한자나 유족들에게 제대로 돌봄을 베풀지 못할 것이다. 목회자는 훈련과 교육을 통해 죽음의 위기에 처한 자들과 유족들을 돌볼 수 있어야 한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감리교에서 죽음의 위기에 처한 자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 과정이 없다는 것이 아쉽다. 죽음 위기에 처한 자들을 위한 예문이나 설교도 개발되어야 한다. 교인일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교인이 아닐 경우에는 장례예문이나 설교는 문제가 된다. 장례는 교인일 경우에는 유족들과 교감이 이루어지기 쉽다. 목회자의 설교와 권면은 유족들에게 좋은 위로였다. 그러나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의 장례일 경우에는 유족들과의 교감도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예문의 예식이나 설교는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할 뿐이다. 몇 번 외지 사람의 하관식을 거향한 적이 있다. 유족들과 전혀 안면식이 없는 상태였다. 단지 예식서에 나와 있는 예식과 설교로는 전혀 유족들을 위로할 수가 없었다 예식서의 내용이나 설교가 각각의 상황에 맞게 개발되어야 한다. 또 예식서에는 감리교와 기독교식의 표본이 있어야 한다. 각각의 예식이 엄숙하게 진행되어야 하며 예식을 통해서도 유족을 위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목회자의 즉흥적인 기도도 지양해야 한다. 즉흥적인 기도는 장례예식을 전혀 준비하지 않았다는 인상을 받게 되며 유족들에게 위로가 되지 않는다. 대체로 장례식이 거행되면 기도문이며 예식, 설교, 찬송까지도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 특별히 기도문도 개발되어야 한다. 다양한 상황에서 죽음을 맞이한 사람들을 현재 예문에 나와 있는 기도만으로는 대처할 수가 없다. 장례예문도 다양화해야 한다. 현재 예식서에 나와 있는 예문으로는 장례예식의 다양화에 대처할 수가 없다. 죽음의 위기에 처한 자들의 상황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여기에 맞는 예문이며 장례예문이 새로 개발되어야 한다. 화장에 대한연구도 지속되어야 한다. 또한 장례식을 거행하면서 부르는 노래도 더 개발해야 한다. 몇 곡만을 선정해서 주로 그 곡만을 부르기 때문에 하관을 할 때까지 부르는 노래는 3~4곡이 되지 않는다. 기도문도 다양하게 만들어져야 한다. 죽음 위기에 처한 자들의 상황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는 기도문도 개발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