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의 자기수용과 타인공감이 주관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단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자가 앞으로 학교에서 근무하면서 만나게 될 아동들의 행동양식과 형성되는 가치관들을 깊이 들여다봄으로써 그들이 보다 행복하고 긍정적인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는 요인들을 찾아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공감, 무조건적 자기수용, 주관적 안녕감, 우울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둘째, 공감과 무조건적 자기수용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셋째, 공감과 무조건적 자기수용 및 우울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넷째, 공감, 무조건적 자기수용, 주관적 안녕감, 우울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경기도 고양시와 파주시 초등학교 4,5,6학년 476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지도교수의 조언을 받아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공감과 주관적 안녕감,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감과 우울,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우울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공감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주관적 안녕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각각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아동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공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공감을 제외한 무조건 자기수용 변인만이 우울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즉, 공감은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이 되지만 우울과는 아무런 관계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타인의 감정, 의견, 주장 등을 이해하고 타인 속에 들어가 그들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아동일수록 안녕감을 더 많이 느낄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동의 우울감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반면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주관적 안녕감과 우울을 모두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신이 독립된 하나의 존재임을 인정하는 아동일수록 안녕감을 더 많이 느끼며 우울감 또한 적게 느낀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초등교육에 있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는 것과 동시에 아동의 우울 정도를 줄여주는 것도 아동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 하나의 큰 목표라는 점이다. 또한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교육현장에서 아동들의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함을 본 연구에서 시사하고 있다.

      •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박한창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실제 상담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관적 안녕감은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 부정 정서로 구성되었다.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대처방식에 따라 조망 확대, 수용,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로 구분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인가? 둘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유의미한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인가?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설문지 형태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23.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이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를 명확히 인식 하는 사람일수록 자신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긍정적인 정서를 빈번하게 경험하며, 부정적인 정서는 상대적으로 덜 느껴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선행이론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가정한 것과는 달리,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서인식 명확성은 본 연구에서 가정한 것처럼 존재로서의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이중으로 부분매개하여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으로 관계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이를 통해 정서를 명확히 하는 사람은 자신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이 크고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채택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고 볼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정서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둘째, 본 연구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연속적인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관계에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의 완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상담장면에서 내담자들에게 상담적 개입이 용이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은주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social networks on the teenagers' subjective well-being in order to offer the basic data to provide broad and integrated service, and to therefore increase the subjective well-being perceived by adolescents. To fulfil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the effects of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social networks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were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trying to complement the previous studie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present study include the size of the teenagers' social networks, contact frequency,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nd the level of social conflict.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three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82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and three high schools located in Busan, an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consisting of 67 items of open-ended questions: 4 items on the interviewee's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38 items on their social networks, and 25 item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they perceive. The survey data of the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respectively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SPSS program. Also,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social network. The overall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regards to the general effect of the social network on subjective well-being, social support, one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e of social network, influenced all of the three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namely,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However, social conflict was shown to affect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 emotions, and the only factor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positive emotions was the size of the social network. Second, concerning the effect of the social network's subordinate factors on subjective well-being, peer and expert support which are two factors of the social network's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respectively, whereas family and peer conflict affected only negative emotions. Besides, the size of the family and peer-to-peer networks was found to influence each of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from a structural perspective on the social network. Lastly, social support and conflict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From a structural perspective, the size of the social network was the single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was life satisfaction. From a functional perspective, expert support and peer conflict significantly gave influence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respectively, while peer and family support, and family conflict influenced the high school students' life satisfacti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From the result above, it can be inferred that adolescents' social network is a powerful factor that can predict their subjective well-being, and some of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ir social network contribute to stimulate the subjective well-being. Therefore, more in-depth following researches are recommended in order to provoke teenagers' subjective welling-be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more integrative scales on adolescents' social networks, and the use of a variety of survey measures such as interview, assessment tools, and observation.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을 특성을 중심으로 밝히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이 가지는 구조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 청소년에게 보다 다양한 수준에서의 통합적인 서비스를 실천할 수 있는 개입 기초자료를 제시함과 동시에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독립변수를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 접촉빈도, 사회적 지지, 사회적 갈등으로 설정하였고, 주관적 안녕감의 세요인인 삶의 만족도,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사회적 관계망의 하위요인에 대한 분석과 청소년을 학교급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는 분석까지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3개의 중학교, 3개의 고등학교 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이 부실한 설문을 제외하고 총 28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 조사 시 사용한 설문문항은 선행연구 (김인숙, 1994; 유조안, 2000; 이은경, 2004; 이주성, 1991)를 인용하여 작성하였으며, 설문 내용으로는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4 문항, 사회적 관계망 38 문항,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25문항으로 모두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관계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특성 중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안녕감의 세 요인인 삶의 만족도,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갈등은 긍정적 정서를 제외한 삶의 만족도, 부정적 정서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특성 중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만이 주관적 안녕감의 세요인 중 긍정적 정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관계망 하위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특성 중 친구·선후배 지지, 전문가 지지가 주관적 안녕감의 세요인 중 삶의 만족도, 긍정적 정서 각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 갈등, 친구·선후배 갈등은 부정적 정서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특성 중 가족의 크기, 친구·선후배의 크기는 주관적 안녕감의 세요인 중 삶의 만족도, 긍정적 정서 각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중학생과 고등학생 청소년 두 집단 모두 기능적 특성인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갈등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특성에서는 고등학생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 크기만이 주관적 안녕감의 세요인중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급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 하위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중학생 청소년의 경우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특성 중 전문가 지지, 친구·선후배 갈등이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각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고등학생의 경우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특성 중 친구·선후배지지, 가족 지지, 가족 갈등이 삶의 만족도,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각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특성은 고등학생 청소년의 친구·선후배 크기만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관계망의 특성들이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향후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에 관한 통합적인 척도개발과 설문조사방법을 보완한 다양한 면담, 검사, 관찰 등의 방법을 통하여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보다 심도 있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바람직할 것이라 여겨진다.

      • 하느님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종교적 대처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안석배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천주교 신자들의 하느님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종교적 대처가 매개역할과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천주교에서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신자들과 수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전체 응답자들 중에서 총 887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느님애착 불안과 하느님애착 회피는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느님애착 불안은 부정적 종교적 대처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느님애착 회피는 긍정적 종교적 대처에 유의미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적 종교적 대처는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부정적 종교적 대처는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종교적 대처는 하느님애착 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종교적 대처는 하느님애착 회피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적 종교적 대처는 하느님애착 회피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영적인 관계적 차원과 대처 차원의 종교적 변인에 관한 유용한 심리학적 자료를 제공하며, 사목활동에서뿐만 아니라 사목상담장면에서 그리스도교인들의 주관적 안녕감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religious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God and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n Catholics.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applied for the study, based on 887 responses from lay and religious in Korean Catholic community. All the respondents were above 18 years ol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to God, religious coping, and subjective well-being, firstly, the anxious and avoidant attachment to God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anxious attachment to God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negative religious coping, and the avoidant attachment to God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positive religious coping. Lastly, the positive religious coping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while the negative religious coping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In the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the negative religious coping was shown to partially medi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xious attachment to God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the positive religious coping partially medi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oidant attachment to God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Lastly, as for examin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the result showed that the positive religious cop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oidant attachment to God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provide a useful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 role of religious factors in improving subjective well-being. And hopefully it may help the spiritual or religious pastors to make sure that a better religious coping is not only for religious edification but also for people’s subjective well-being as a whole.

      • 실버계층의 신체활동참여가 정신건강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제훈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29

        본 연구에서는 실버계층의 신체활동 참여가 정신건강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노인은 가족과의 관계에서, 또는 노년기라는 새로운 발달단계에서 겪게되는 모든 상실현상 등으로 신체활동의 참여가 절박해지고 있는 현실생활에 처해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2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활동이 자유롭고 듣고 말하는데 무리가 없는 만60세 이상의 노인 300명이다.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노인의 일반적 특성, 스포츠 참가여부, 정신건강, 주관적 안녕감 척도 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표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주로 사용한 통계방식은 SPSS 13.0, AMOS 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변량분석(ANOVA), T-test,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신체활동 참가 여부에 따라 참가집단이 비참가집단에 비하여 정신건강이 높다. 즉, 신체활동 참여가 노인들의 강박증과 신체화, 우울증, 정신증, 불안 등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신체활동 참가 여부에 따라 참가집단이 비참가집단에 비하여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 즉, 신체활동 참여가 노인들의 주관적 안녕감 수준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신체활동에 참여한 노인들의 참여 기간에 따른 정신건강 수준에 차이가 있으며, 신체활동 참여기간이 오래될수록 공포불안과 불안감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신체활동 참여빈도에 따라서는 참여빈도가 많은 수록 강박증,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 불안감 영역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정신건강 수준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신체활동에 참여한 노인들의 참여기간이 오래될수록 주관적 안녕감 수준이 높다. 신체활동 참여빈도가 높을 수록 과거차원과 현재차원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참여강도와 참여시간이 높은 수록 과거차원, 현재차원, 미래차원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정신건강이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 수준이 높다. 전체적인 노인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특히 정신증, 우울증이 유의한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신체활동을 통해 정신증과 우울증을 낮추는 것이 노인들이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 대학생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경험회피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문제를 조절변수로 하여

        이영식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2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대인관계 속에서 느끼는 정서표현양가성과 경험회피가 대학생들의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러한 영향 사이에 대인관계 문제가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에 있는 2개 대학 200명, 경기도에 있는 대학 1곳 100명 총 300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문제 척도, 정서표현양가성 척도, 경험회피 척도, 주관적안녕감 척도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statistics 2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표현양가성, 경험회피, 대인관계문제, 주관적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는 정서표현양가성은 하위변인인 자기방어양가성만 주관적안녕감에 부적상관을 보였고 관계관여양가성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인관계문제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자기방어양가성, 관계관여양가성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정적상관을 보였다. 경험회피는 주관적안녕감에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대인관계문제와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대인관계문제와 주관적안녕감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표현양가성은 주관적안녕감에 영향을 주지만 그중 정서표현양가성의 하위 요인인 자기방어 양가성만 주관적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관계관여 양가성은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정서표현양가성은 갈등을 갖게 하는 그 동기의 속성인 하위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되어야 당위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경험회피는 주관적 안녕감에 강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순간의 불편한 정서를 피하려고 경험회피를 하지만 오히려 이것은 통제되지 못하고 부메랑이 되어 주관적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험회피의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문제의 조절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정서표현양가성이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문제의 조절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으로는 연구 대상자를 일부 지역의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다소 제한이 따를 수 있고 조사에 사용한 측정도구들은 모두 자기보고식 질문지이어서 개인의 오류와 왜곡을 통제할 수 없었다. 그리고 남녀 간의 차이를 비교하지 않았지만, 성별에 따른 정서표현양가성, 경험회피, 주관적안녕감의 차이 및 상호 관계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influence on the subjective well-being(SWB) of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experience avoidance felt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 of college students and to testify whet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f them affect the relationship of the above variabl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llected the data by the questionnaires from 300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Province, and was performed to analys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pectively.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experience avoidance, interpersonal problem, and subjective well-being is that self-defense ambivalence, which is a sub-variable of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o SWB, and relation-involvement ambivalence to SWB didn't have an effective correla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self-defence and relation-involvement ambivalence, which are sub-variables of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SWB, having more or less difference. Experience avoidance showed nagative correlation with SWB, but interpersonal problem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WB. The correlation of interpersonal problem and SWB is negative. Seco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ffects SWB. Self-defence ambivalence, which is a sub-factor of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ffects negatively to SWB, but relation-involvement ambivalence, which is a sub-factor of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doesn't affec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experience avoidance affects SWB with strong negative efficient. The reason of this result is, I think, that students tend to choose an experience avoidance in order to avoid a temporary unpleasant emotion. Fourth,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experience avoidance to SWB, the effect as control variable of interpersonal problem control show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to SWB, the effect as control variable of interpersonal problem didn't show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e suggest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in the area of this study. In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re are the generalization problems by subject students from the limited area and the control problems of individual error and distortion by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we also didn't analyse the difference of respective variables and relations among them by demography such as gender.

      • 노인의 레져 스포츠 활동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최성애 경기대학교 1998 국내박사

        RANK : 248829

        최근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인 행복감과 생활만족에 대한 관심이 복지차원에서 집중되는 추세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노인의 레져 스포츠 활동 참여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노인의 행복추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노인의 레져 스포츠 활동 참여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변인을 설정하고 가설적 모형을 구성한 다음, 이들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을 모집단으로 하고 표집방식은 유층집락무선 표집법(stratified clus-terrandom sampling)으로 대상을 추출하였다. 레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남여노인 824명의 응답내용을 최종 원자료로 분석하였는데 참여대상의 연령은 60대 517명, 70대 297명, 80대 10명이었다. 본 연구의 설정된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인은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관련요인의 차원에서 건강, 성별, 교육수준, 결혼상태, 소득수준의 5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독립변인은 스포츠 활동 참여여부와 참여정도이며 매개변인은 자긍심이고,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은 행복감의 정적정서와 부적정서 그리고 생활만족을 종속변인으로 구성하였다. 설정된 가설의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자긍심, 정적, 부적정서, 생활 만족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긍심의 차이는 성별, 용돈만족, 교육수준, 건강만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나 배우자 유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적정서의 차이는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정적정서의 체험이 높고 용돈사용 및 건강 만족도가 클수록 정적정서의 느낌을 더 많이 갖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교육수준과 배우자 유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적정서는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에 비해 높고, 용돈사용 만족과 배우자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으나 교육수준과 건강만족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만족의 차이는 여성노인이 남성노인 보다 높고, 건강만족과 용돈만족이 클수록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참여 유무에 따른 자긍심, 주관적 안녕감(정적정서, 부적 정서, 생활만족)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스포츠 참여 노인이 비참여 노인보다 자긍심이 더 높고 주관적 안녕감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참여정도가 자긍심, 주관적 안녕감(정적정서, 부적정서,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스포츠 참여정도 즉, 참여빈도, 참여지속시간, 참여기간의 자긍심 및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참여빈도만이 자긍심에 영향을 미칠 뿐 지속시간과 참여기간은 영향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의 정서에 대한 영향력은 정적정서의 경우 참여빈도, 참여기간, 운동지속시간 순으로 영향력을 보인 반면, 부적정서에는 스포츠 참여 정도의 모든 변인이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참여빈도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긍심은 주관적 안녕감(정적정서, 부적정서, 생활만족)에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자긍심(self-esteem)이 높을수록 정적정서를 많이 느끼고, 부적정서를 적게 느끼며 생활만족은 높게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 참여정도와 자긍심, 주관적 안녕감(정적정서, 부적정서, 생활만족)간에는 부분적인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스포츠 참여정도는 자긍심과의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포츠 참여정도 중에서 참여빈도만이 주관적 안녕감의 생활만족과 정적정서에 인과관계가 있음을 보여준 반면, 참여기간과 참여지속시간은 정적정서에만 영향을 미칠 뿐, 부적정서와 생활만족에는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자긍심과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크게 나타남으로서 자긍심이 매개변인으로서 적절하게 작용하여 레져 스포츠 활동 참여정도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형성하며 또한, 스포츠 활동 참여정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직·간접적인 인과관계 측면에서 다소 다르지만 참여빈도가 참여지속시간과 참여기간에 비해 노인의 정적정서의 체험을 많이 갖게 하는 반면 부적 정서의 느낌을 적게하여 행복감을 높게 느끼게 하는데 영향력이 크며, 아울러 생환만족을 크게 갖도록 함으로서 주관적 안녕감을 높게 갖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간주된다. The subjective well-being is a person's own emotional and cognitive evaluation of how his/her life is go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sports activi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 old. In particular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data which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based on exploring self-esteem, happiness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as a function of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participation style of leisure sports activity among the elderly. The subjects were 824 elder males and females who participate and not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activity. they was selected by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among the elderly aged 65 or above who dwell in Kyonggi Do and Seoul. Th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in this study consisted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s happiness which emphasize the emotional component of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which emphasize cognitive judgments of life. The survey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self-esteem Scale(SES) developed by Rosenberg(1965) and standardized in Korean language by Yeong Suk-Youk(1994),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s(PANAS) developed by Watson, Clark & Tellgen(1988)and standardized in Korean language by Ju Sung-Lee(1991), and the scal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ade by Choe-Sung Je(1986).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this study were ANCOVA,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d study were as the follows : First, the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 males and females who participate and not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activity were partial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educational experience, satisfaction of spending money, satisfaction of health, spouse existence. Second, the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 males and females wh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activity were higher than that of non-participant in leisure sports activity. Third, the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 males and females wh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activity were partial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participation style of leisure sports activity such as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duration, participation time. Fourth, The higher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The higher presence of frequent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the lower relative absence of negative affect. Fifth, There existed partially significant casual relationship the participation style of leisure sports activity, the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 males and females. In sum, participation of leisure sports activity for the old is a strong predictor of the subjective well-being, but based on weaker casual connection between participation style of leisure sports activity and the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The future research is a much needed complement to the antecedent study of leisure sports activity to improv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 생활체육참가자들의 인지된 자유감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김영록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28

        본 연구는 생활체육참가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주관적 안녕감과 인지된 자유감의 차이를 밝히고, 인지된 자유감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7년 K도 O, S시 사설형 체육시설에 참여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여를 모집단으로 한정 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표본추출방법인 2단 추출법(two-stage sampling)을 활용하여 총 271명을 설문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검색과정을 거쳐 The SAS system for windows(release9.1)이용하였으며, 사용한 자료분석 기법은 확증적 인자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α 추정,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r regression) 등 이였다. 이상의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참가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에서, 성별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은 정적정서 행복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력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은 생활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입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건강상태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는 생활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생활체육참가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의 차이에서, 성별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은 욕구·몰입, 조절력, 자신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력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은 욕구·몰입, 조절력, 자신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입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건강상태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은 욕구·몰입, 조절력, 자신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생활체육참가자들의 인지된 자유감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규명에서, 생활체육참가자들의 인지된 자유감과 주관적 안녕감은 크고 작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인지된 자유감은 주관적 안녕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differences between sports participants’ subjective sense of peace and their perceived sense of freedom classified by demography, as well as get to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between a perceived sense of freedom and a subjective sense of peace.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 population was defined as over 20 year old grown-up males and females whom were taking part in private fitness facilities in O and S Cities of K Province in 2007. The total 271 people among them were chosen for a survey by utilizing two-stage sampling, sampling from a population. Data collected from this survey went through research process using the SAS System for Windows (release9.1). Moreover, adopted material analysis techniques for this survey were ranged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to Multiple liner Regression. Through the mentioned methods and process, the conclusion is reach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the sports participants’ subjective sense of peace, the sense of peace by gender statical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c emotion euphoria. By age, on the other hand, it did not repres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 And according to education background, the immanent sense of peace statically illustrated a noteworthy gap and by income the subjective sense of peace failed to show the difference. Lastly, the difference of the immanent sense of peace was significant in health condition. Second, when it comes to sports participants’ perceived sense of freedom, the perceived sense of freedom by gender showed a significant gap in desire, immersion, ability of control and confidence however, by age it did not represent any significant sign. Furthermore, by education background the perceived sense of freedom illu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sire, immersion, ability of control and confidence. Finally by health condition, the gap in desire, immersion, ability of control and confidence were statically noteworthy in the same category. In conclusion, searching for the connection between sports participants’ perceived sense of freedom and their subjective sense of peace. The two categories have high and low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and it appeared that the perceived sense of freedo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bjective sense of peace partly.

      • 고등학생의 내·외현적 자기애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이혜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28

        본 연구의 목적은 내·외현적 자기애, 자기개념 명확성,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와 경로를 살펴보고, 내·외현적 자기애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다. 서울 및 경기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404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 자기애성 성격 질문지,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 단축형 행복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외현적 자기애, 자기개념 명확성,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내·외현적 자기애와 자기개념 명확성, 주관적 안녕감 간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내·외현적 자기애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주관적 안녕감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반면, 외현적 자기애, 자기개념 명확성은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는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쳤고, 나아가 자기개념 명확성을 거쳐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적 자기애는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고, 나아가 자기개념 명확성을 거쳐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개념 명확성도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개념 명확성은 내·외현적 자기애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외현적 자기애 특성을 보이는 청소년을 상담하거나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자기개념 명확성 향상을 위한 개입이 그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효과적일 것임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path between Covert·Overt Narcissists, Self-Concept Clarity Subjective Well-Being, together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Overt Narcissists and Subjective Well-Being. 404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were surveyed using the Covert Narcissism Scal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Self-Concept Clarity Scale and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and SPSS 18.0 and AMOS 18.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Overt Narcissists, Self-Concept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examined. Second, the path between Covert·Overt Narcissists, Self-Concept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examined. Lastl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Overt Narcissist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Overt Narcissist and Self-Concept Clari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Second, Covert Narcissist effects directly and negatively on Subjective Well-Being. Furthermore, the Covert Narcissist effects negatively on the Subjective Well-Being via the Self-Concept Clarity. Overt Narcissists effects directly and positively on Subjective Well-Being. Furthermore, the Overt Narcissist effects positively on the Subjective Well-Being via the Self-Concept Clarity. Self-Concept Clarity effects directly and positively on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intervention to improve self-concept clarity will be effective for narcissistical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when counseling or treatment programs developing for them.

      • 1인 가구 반려인과 반려동물간의 상호작용이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성, 자아존중감 및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엄선이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828

        최근 현대사회의 흐름과 맞물려 1인 가구의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 으며, 이러한 현상은 비혼, 이혼, 고령화 등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1인 가구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대한 우려로 이어지 고, 인간관계를 대신해 줄 반려동물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게 되면서 반 려동물을 양육하는 인구 또한 늘어나고 있다. 반려동물에 대한 사회적 인 식의 변화는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1인 가구로 하여금 정서적 안정감, 심 리적 문제점이나 외로움을 해소해 주는 것으로 나타나 높은 관심을 보이 고 있다. 인간을 대신하는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1인 가구 반려인의 사회적 관계를 통한 풍요 로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은 불안과 우 울증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고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감을 감소시키는 것에 도움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1인 가구 반려인이 반려동물과 상호작 1인 가구 반려인과 반려동물간의 상호작용이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엄 선 이 프로젝트경영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용을 통하여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성,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그 효과성을 검증하여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모형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반려동물을 양육하고 있는 1인 가구 반려인을 대상으로 상호작용, 사회성, 자아존중감, 회복탄 력성, 주관적안녕감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 사 대상은 독립생활을 하는 1인 가구 반려인으로 제한하였으며, 반려동물 과의 상호작용이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질문 을 포함시키고, 조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분석기법을 활용하 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1인 가구 반려인의 양육 기간에 따라 상호작용, 사회성,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및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은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이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호작용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성 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 아존중감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으로 1인 가구 반려인의 상호작용이 사회성, 자 아존중감,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연구는 제한적으 로 1인 가구 반려인이 인식한 상호작용의 정서성과 사회성,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 변인이라는 것 을 규명한 것은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1인 가구 반려인의 성공적인 주관적안녕감을 위한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식 하고, 이러한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사회성, 자아존중감 및 회복탄력성을 증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겪는 1인 가구 반려인의 애로사항을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회복하고 주관 적안녕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했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Recently, in mesh with the flow of modern society,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rapidly increasing, and this phenomenon is being magnified with social problem such as non-marriage, divorce, and aging. Problems as such lead to concerns about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as a high level of interest in companion animals that will replace human relationships is shown, the number of people raising companion animals is also increasing. A high level of interest in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of companion animals is shown because such changes were shown to provide emotional stability and relieve psychological problems and lonelines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at are raising companion animals. Interaction with companion animals, which replace humans, can help form and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and can affect the affluence of pet owners in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rough social relationships. Therefore, interaction with pets can alleviate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and help reduce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practical alternative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action of pet owners in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companion animals with its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mediated by sociability, self-esteem, and resilience. In order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mode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interaction, sociability, self-esteem,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ith pet owners in single-person households to collect data.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limited to pet owners in single-person households who live independently, and related questions were includ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interaction with companion animals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study hypotheses were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echniques based on the survey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with interaction, sociability, self-esteem,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depending on the period of raising companion animals by pet owners in single-person households. Second,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ity. Third,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Fourth, interaction was found to be mediated by self-esteem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Fifth, socia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Sixth,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s for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since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 of pet owners in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companion animals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ociality, self-esteem, and resilience are limited,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determined that the emotionality, sociality,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interaction perceived by pet owners in single-person households are important decision variables that affect their subjective well-being. As for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for the successful subjective well-being of pet owners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uggested that efforts are necessary to promote sociality, self-esteem, and resilience based the interaction as such.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basic information that can help pet owners in single-person households recover from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daily life and form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interaction with their companion anim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