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합병원 사인시스템의 정보전달 효과 연구 : 안내·유도사인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홍주희 인제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하루에도 수많은 이용자가 출입하는 종합병원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의 특성상 내부 환경의 정보량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고, 그로인해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사인시스템 역할의 중요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때문에 이용자가 병원 내부 사인을 통해 인지하는 정보인식에 대한 오류를 최대한으로 줄이고 혼잡한 정보를 좀 더 쉽게 전달할 수 있는, 길찾기에 효과적인 사인시스템 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종합병원 내부 공간 사인시스템의 시각요소를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통한 설치위치, 크기, 색채, 레이아웃, 문자 등 세부화한 분석을 통해 선행연구논문인 「공공건물 사인시스템 문자정보에 대한 이용자 지각 효과 분석(백진경, 2004)」,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따른 종합병원 안내․유도사인시스템의 시각요소에 관한 연구(권숙영, 2007)」에서 조사된 종합병원 사인시스템과 비교하고, 신규 사인시스템에 대해 이용자의 전반적인 인식조사를 위해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의 외래진료부의 사인을 대상으로 이용자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현황조사와 이용자만족도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논문의 실험을 참고하여 서체에 따른 자간․행간실험, 안내사인 정보의 양에 따른 실험을 실시하여 사인의 적절한 시각요소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규 사인시스템 현황조사대상은 서울․부산 지역에 위치하고, 2008년 이후에 개원을 하거나 다시 디자인을 한 3차 의료기관인 종합병원 8곳(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신관, 삼성암센터,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을 지정하여 현장조사를 통하여 안내․유도사인, 기명사인의 시각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를 초래할 수 있는 스탠드형 사인은 많이 줄고 행거형 사인이 증가하였다. 또한 굵기가 두꺼운 제목용 서체에서 윤고딕140 정도 굵기의 서체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고 청록계열 색상의 사용률이 높았던 것에 비해 회색과 난색계열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었다. 크게 2003년도, 2006년도, 2008년도를 기점으로 나누어, 2008년도 이전과 이후의 사인시스템을 비교하고 재정리하여 종합병원 사인시스템의 변화를 알아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신규 사인시스템 현황분석과 이용자만족도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사인을 대상으로 서체에 따른 자간․행간실험(실험Ⅰ)과 제공하는 정보의 양에 따른 실험(실험Ⅱ)을 실시하여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Ⅰ에서는 간격의 차이, 유목성, 가독성, 안정감, 편안함의 요인에 따라 윤고딕160-보통자간, 윤고딕140-넓은 행간 샘플이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실험Ⅱ에서는 각 샘플(정보의 양 7개, 12개, 17개)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정보의 양이 최대 22개인 샘플을 제시하였을 때 피험자의 지각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졌다. 향후 이러한 현황조사 분석과 실험결과를 통해서 종합병원의 사인을 디자인 할 때, 고려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종합병원 대기 공간의 효과적인 디지털 정보안내사인에 관한 연구

        김화실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미디어의 발달은 종합병원의 환경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안내사인이나 순번대기 시스템이 점차 지능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최근의 종합병원들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반적인 서비스에 디지털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합병원은 하루에도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공공 공간이기 때문에 디지털을 이용한 안내사인시스템에는 새로운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외국인과 같은 디지털 소외계층들은 오히려 변화된 시스템에 적응하기 어렵고 종합병원을 이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안내사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인식과 이해에 대한 오류를 줄이고 정보를 누구에게나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안내사인 시스템의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재 종합병원 대기공간에서 사용 중인 안내사인의 시각요소(레이아웃, 서체, 컬러)와 디지털 안내사인의 요소(시간, 영상타임라인)에 대해 최근 5년 내에 디지털 안내사인을 설치한 병원을 선정하여 현황조사 및 사용자 선호도 조사, 현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색채의 경우 서로 상반되는 배경과 서체의 색을 이용하여 명시성을 높여 내용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서체는 상대적으로 가독성이 뛰어난 고딕서체를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디지털 안내사인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시간과 영상 타임라인에서는 진료안내 혹은 병원 광고화면과 진료안내를 일정한 간격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하지만 디지털에서 반복되는 이러한 화면들은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고 임의로 시간을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어, 현장 조사 당시 계속 디지털 안내사인 앞에 서 있어도 원하는 정보를 찾지 못하는 사용자도 볼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디지털 안내사인을 경험한 적이 많았으나, 안내사인의 회전 속도가 빠르거나 글자의 크기가 작아 안내사인에서 제공하는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과반수를 넘었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디지털 안내사인에서 가장 많이 찾는 정보로는 진료과를 들었으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보 또한 진료과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진행한 실험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안내사인의 디자인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내용을 재구성한 새로운 샘플을 만들어 2~50대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연령대에서 조건이 같고 서체크기가 클 경우, 찾고자 하는 정보를 약 3.5초정도 빨리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 연령에 따른 샘플 별 차이를 봤을 때 2-30대와 4-50대는 별로 서체크기가 작은 샘플에서 4.7초, 큰 서체 샘플에서는 6초의 시간차를 보여, 서체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경우에 연령대별 화면 회전에 대한 실험 시간에 따른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사용자가 디지털 안내사인을 통해 가장 먼저 확인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보는 진료과로 나타났고, 서체의 크기가 실험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 시간에 대한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종합병원에서 시행중인 디지털 안내사인은 초기 단계로, 본 연구결과를 시작으로 디지털 안내사인에 대한 지속적인 체계적립이 요구되며, 특히 40대 이상의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development of media has brought the change to the environment of general hospitals. The information signs and waiting queue system are becoming intelligent. General hospitals recently started to use the digital media actively for their services available to hospital users. General hospitals represent public space utilized by diverse users every day; therefore, unexpected problems may often occur even in digital sign systems applying digital technology. Particularly, some of the users such as children, elders, foreigners, etc. who do not have easy access to digital technology find it difficult to adapt themselves to digital sign systems. In addition, they often encounter inconvenience in utilizing hospital services. Thus, effective sign systems are needed to reduce errors relate to user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provided by digital sign systems. For this study, I conducted a survey investigating current situation, user preference, and field experiment. Hospitals utilizing digital sign systems at least five years were selected, which are connected with visual elements (layout, typo, color) used in waiting areas and elements of the systems (time, video time lin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field survey showed that digital sign systems used the color of typo and background contrasted to one another to increase explicitness and to ensure easy understanding of contents. In addition, the Gothic typo with relatively high legibility was adopted. Time and video timeline, which characterize digital sign systems, showed the advertising screens of the hospitals and the guidance of medical treatment at regular intervals. However, time-setting for those screens repeated digitally was made arbitrarily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 users. Therefore, some of the users did not easily find their desired information even if they spent time finding information in front of digital sign systems. Moreover, survey results on user satisfaction showed that a majority of respondents indicated they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digital information conveyed from digital sign systems due to time setting for rotational speed or the small size of typo although most of the users had previous experience with digital sign systems.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pondents (n=86, 86%) answered that information related to medical departments was what they sought most frequently and that this kind of information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in digital sign systems. For the experiment, new samples with restructured contents of current digital sign systems were created and tested while keeping its design unchanged as well as applying these new samples. Study participants were in their 20s through 50s. When the size of typo was larger under the same conditions for all age groups, study participants found the desired information approximately 3.5 seconds faster. In addition, those in their 20-30s and 40-50s showed the time difference of 4.7 seconds for small typo and 6 seconds for large typo, which sugges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y age in the amount of time taken in the experiment to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from the rotating digital sign system regardless of age and the size of typo. To sum up, respondents indicated that information related to medical department was what hospital users checked first and importantly considered. It also was found that the size of typo affected the length of time taken to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in the experiment. Digital sign systems currently used in general hospitals are at inchoate stage; therefore,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an initial data for future study.

      • 고령자를 위한 종합병원 외래진료부 사인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김철규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better sign system of general hospitals focusing on sign design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elderly people based on the medical situation that the aging society and the elderly patients increase. And this study proposes a general hospital sign system consider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eople, such as a directional sign, identification sign, orientational sign, coloring, and installation location. If you do not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general hospital, you will be strayed because of difficulties in getting directions. Especially, outpatients are more stressed due to the unfamiliar hospital environment than hospitalized patients. For this reason, the sign system, which provides the route information so that the patient can easily find the diagnostic room where they want to visit, is a key design execution method of visual information expression provided to the outpatient. In large public facilities such as general hospitals, a differentiated sign system plan is needed to help elderly people whose vision is getting weaker by the color vision errors caused by presbyopia, yellowed-eye-sight . In the analysis of the visual change according to the aging of elderly people, the color change was large in the case of the blue-yellow, but the contrast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readability.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factors affecting color change such as yellowed-eye-sight i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do not affect the readability of sign system.

      • 공공건물 사인시스템 문자정보에 대한 사용자 지각효과 분석 : 종합병원 안내·유도 사인을 대상으로

        백진경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9694

        대형공공건물이 늘어나면서 건물의 실내에서 필요한 정보를 얻고, 공간의 위치를 탐색하고, 목적 공간의 방향을 확인하는데 필요한 사인시스템(sign system)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공공건물 중에서도 종합병원은 가장 다양하고 많은 수의 사인이 필요한 곳이며, 지각효과가 뛰어나고 쾌적한 환경 조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인의 필요성이 높은 곳이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 사인시스템 중 대표적 종류인 안내·유도사인을 중심으로 '정보전달'이라는 사인의 기능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시각 디자인적 관점에서 진행하였다. 이제까지 사인의 시각요소에 대한 디자인관련 연구들이 문헌조사와 현황파악, 전반적 사인디자인에 대한 설문 등에 그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인데 비해, 본 연구는 사인시스템 문자정보에 관해서 사용자의 지각효과에 관련된 실험과 분석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향후 사인시스템 디자인에 참고할 수 있는 객관성 있는 자료들을 제안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사용자 지각효과실험의 항목은 수도권 500베드이상의 10개 종합병원 사인의 현황분석결과를 참고하여 선정하였고, 사인의 문자정보의 레이아웃, 포맷, 색채, 서체, 정보의 양 등 5가지 항목에 대하여 9가지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정리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2열 정렬과 3열 정렬의 지각효과가 왼쪽 정렬에 비해 높았다. ·이중언어(한글-영어)의 경우, 언어별로 그룹을 지어 제공하는 방식이 의미별로 그룹을 제공하는 방식보다 기능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유도사인의 경우 플레이트사이즈를 통일시킨 샘플이 통일시키지 않은 샘플보다 유목성에서 높은 평가를 보였다. ·초록과 파랑이 공공장소 사인에 적합한 색상으로 평가되었다. ·하양 플레이트에 색상 있는 문자를 사용한 경우보다 색상 있는 플레이트에 하양 문자를 사용한 샘플이 지각효과가 높았다. ·견고딕이 정보 양이 많은 안내·유도사인에 적합한 서체로 평가되었다. ·안내사인에서는 정보의 양이 많아져도 지각효과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이동하면서 목적지를 찾아야하는 유도사인에서는 정보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지면(16개) 지각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고 평가되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정리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사인샘플을 제작하여 현장에 시공하고, 실제 병원 사용자를 대상으로 지각효과·선호도실험을 실시하여 앞서 실시한 실험의 결과들이 현장에서도 유효한지 검증하였다. 현황분석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된 기존의 사인과 기존의 사인을 개선한 제안샘플을 현장에 시공하고, 실제 병원 사용자를 대상으로 이들에 대한 지각효과와 선호도실험을 실시하여 실험 Ⅰ~Ⅸ의 결과들이 현장에서도 유효한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제안샘플에 대한 지각효과가 유목성과 가독성 그리고 디자인 선호도 측면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써 본 연구에서 얻어진 실험결과에 의한 제안이 사인의 기능성과 선호도 측면에서 유효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As the number of big public building is increased, the sign system that can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detect the space position, and confirm space direction in inside of the building is getting more important. Among the public building, general hospital requires most varied and number of signs, especially, it needs sign system that can provide an effective visual perception and comfortable atmosphere. In this study, orientational and directional sign system among the general hospital sign system was analyzed in terms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focusing 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p to now, majority of design related studies regarding visual factor of sign were mainly focus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 survey and current situation and overall sign system questionnaire, however, I tried to suggest an objective data based on the experiment and analysis from the user's cognition on the typographic design factors of sign system that can be utiliz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the future sign system design. Questionnaire for the user's perceptual effect experiment were selected based on the situation analysis results of 10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500 bed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Total of 9 experiments regarding the layout, format, color, typography, and amount of information the typographic design factors of sign, and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ognition effect of 2 and 3 rows alignment is higher than left alignment. ·In the case of bilingual (Korean-English), method of grouping in terms of same language were more highly evaluated functionally than the method of grouping in terms of meaning. ·In the case of directional sign, samples with unified plate size were more highly evaluated than the non-unified plate size samples in attracting attention. ·Green and blue colors was evaluated as a more appropriate colors in public sign system. ·Perceptual effect was more evident in the case where the white letters was used on the colored plate background than the colored letters on the white plate . ·Gothic Bold was evaluated as a more appropriate letter for orientational and directional sign that requires heavy information. ·In the orientation sign, there was little change in perceptual effect even though the amount of information increased, however, in the directional sign where a subject try to find information as they move, if the amount of information becomes too large (around 16), then the achievement for the task was evaluated to decrease significantly. Based on the data analyzed from the above experiments, new sign sample was prepared, and installed in the general hospital, and experiments on the cognition and preference were conducted to the actual hospital users. And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were verified through the actual applications. The current sign system that was analyzed to have a problem from the situation analysis and the new improved sign samples were installed in the spot, and perceptual effect and preference were investigated to the actual hospital users, and the results of experiment Ⅰ through Ⅸ were verified in the field. From these experiments, proposed sign sample showed a higher cognitive effect in terms of attracting attention, legibility and design preference, thus it can be safely suggested that the proposal based on our experiments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functionality and preferences of sign system.

      •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따른 종합병원 안내·유도 사인시스템의 시각요소에 관한 연구

        권숙영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8

        불특정한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종합병원의 경우, 다양한 연령층과 신체적 특징, 성별, 지식 정도에 구애 없이 원하는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는 사인시스템 필요한 곳이며, 이러한 다양한 사람들의 환경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보편적인 디자인 개념인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가 환경시설물과 제품 사용에 대한 행동적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시각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개념에 따라 사인시스템의 시각요소에 관하여 실험과 분석을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향후 유니버설디자인개념을 적용한 사인시스템 디자인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존 문헌분석을 통하여 유니버설디자인 개념과 원리, 사인시스템의 시각요소에 대해 특징들을 알아보았고, 둘째, 이를 바탕으로 최근에 지어진 종합병원 안내·유도사인시스템을 현장조사를 통한 실측조사를 하여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따라 시각요소를 중심으로 ①레이아웃, ②문자, ③픽토그램, ④색채 항목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사례분석의 시사점들을 바탕으로 가독성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소인 문자와 색채를 실험요소를 추출하였다. 셋째, 사인시스템에 주로 사용되는 문자의 가독성에 대한 체계적인 실험을 실시, 사용자의 연령층에 따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인시스템의 시각요소 변화 따라 연령층간의 가독성에 차이가 밝혀졌으나, 실험참가자의 모든 연령층에서 자간에 대해서는 보통 자간 보다 넓은 자간이 가독성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행간에 대해서는 보통 행간 보다 넓은 행간이 가독성이 높게 평가되어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따른 사인시스템 디자인 시 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각 색상의 명도변화에 있어서는 실험참가자의 모든 연령층에서 기준이 되는 색의 명도보다 낮은 명도에서 가독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었다. 그러나 주황배경(하양문자)의 경우 명도가 높을수록 가독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어 높은 콘트라스트가 모든 색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색의 특성에 맞게 명도의 조건을 충족시키것에 유의하여야 하겠다. 자간, 행간, 명도에 실험에 사용된 문자의 굵기에 대해서는 연령층 간의 가독성의 차이가 나타나, 사인시스템 디자인 시 이를 고려하여야 하겠다. 향후 이러한 연구가 다양한 연령층을 고려한 종합병원의 사인시스템 디자인 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general hospitals where uncertain many people come in and out the sign system which helps visitors to find easily destinations is very important. The sign system of general hospitals calls for 'universal design' which means a design to satisfy the demand for environments of various people visiting hospitals. But most researches on universal design in progress are just in respect of action against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products use, and researches focussing on visual aspect are comparatively rare. Thus this study purports to analize visual elements of sign system based on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to present data which are useful to design sign system applying universal design. First, I examined the concept and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and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elements of sign system. Second, I performed filed study on informational and directional sign systems in general hospitals, analyzed ⅰ) layout, ⅱ) letters, ⅲ) pictograms, and ⅳ) colors, and extracted as experimental factors letters and colors which most influence on legibility. Third, I performed systematic experiments on the legibility of letters used on sign system and examined it respectively by age groups of users.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among age groups differences of legibility according as visual elements of sign system vary. But in all age groups of testee I found that broader space between letters and lines is more legible than usual space. I think that this should be taken account when designing sign system based on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s for the brightness variable of colors, lower brightness than the brightness of standard color is more legible. But in case of orange color (white letter) background the brighter the color is, the more legible it is. That means high contrast does not necessarily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olors. So we should bear in mind to arrange the condition of brightness being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colors. As for the thickness variable of letters, there are among age groups differences of legibility, which we should take account when designing sign system. I think that the product of my study can be applied as fundamental data to design sign system of general hospitals with various age group in consideration.

      • 종합병원 방문환자의 동선구조에 따른 사인 시스템 디자인에 관한 연구

        오가기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점차 하드웨어적인 시설에서 인간 중심적인 시설로 눈길을 돌린다. 문명 발전을 나타내는 사인 시스템 디자인은 이전의 ‘표지판’에서 오늘날의 ‘시스템’이 되었다. 공공공간에서 시각적인 부호일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길 찾기(Wayfinding)에 도움을 주는 시설이다. 이와 동시에, 공간의 기능이 복잡해짐에 따라 종합병원 내부 환경의 정보량은 증가하면서 이 공간의 의미는 단순히 치료를 위한 공간이 아닌 환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 공간에서 정확하지 않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사인 시스템은 환자의 길찾기가 반복되고 정체되거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하여 목적지에 도착하기도 전에 지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과 의의는 병원의 질서를 유지하고 방문환자가 신속하게 진료를 받도록 하여 편안한 진료과정을 제공하기 위해 방문환자의 정보 인지 오류를 최대한 줄이는 좀 더 쉽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사인 시스템 디자인이 연구한다. 본 논문은 종합병원의 방문환자 동선구조에 따른  사인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연구 범위 설정에서 사인(Sign)의 시각요소와 방문환자와 사인이 위치하는 장소 사이의 관계성에 중점을 둡다. 즉, 방문환자 동선구조에 따라 종합병원 사인 시스템의 설치위치와 시각요소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와 관련 서적을 통해 종합병원 공간의 구조와 기능별 시설을 조사하였다. 둘째, 종합병원 사인 시스템의 기능별 종류과 특성을 정리하여 개념 정리를 통해 사인 시스템의 시각요소를 조사하여 각 요소의 시각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실증연구로는 서울에 위치한 2021년 기준 상위 12개의 종합병원 중에서 순위가 가장 많이 바뀐 병원을 선정하고 블루투스 기기를 활용하여 방문환자가 진료를 받기 위한 동선을 기록하고 대상 병원 사인 시스템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선구조 및 유형에 따라 대응 분석을 실시하여 대상 병원에 설치된 사인 시스템의 위치, 시각조형과 방문환자의 동선 사이의 상관성과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대상 병원 형황을 결합하여 모델링과 렌더링의 방식을 통해 종합병원 사인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에 활용할 만한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인의 설치위치는ᅠ방문환자의ᅠ동선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연속성을 가져야하며 동선 유형에 따라 사인의 영향과 역할이 달라진다. 대상 병원에서 방문환자의 동선구조는 중심 공간에서 비교적 복잡하여 방문환자가 중심공간을 벗어나 주동선에 진입할 때 사인의 활용도가 가장 높다. 사인은 방문환자가 공간 전환점, 또는 여러 개의 주동선이 교차하는 곳으로 이동할 때 방향을 바꾸어 목적지에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고려해야 할 것은 방문환자의 동선이 어떤 부분에서 사인이 필요한지 방문환자에게 목적 방향의 정보를 정확히 전달해야 한다. 또한 시각요소 중에서 문자는 가독성과 사람의 열독 습관을 고려해야 한다. 공간의 일치성을 보장하면서 방문환자의 시각적 피로를 완화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종합병원을 방문하는 환자의 동선구조를 기초로 하는 사인 시스템에 국한되며 앞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더 많은 공공공간 사인 시스템 디자인에 적용 시 도움이 되고자 한다. People living in modern society are gradually turning their concerns from hardware-oriented facilities to human-centered ones. The design of the sign system representing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has changed from the previous 'sign boards' to today's 'systems'. It is a visual sign in a public space and a facility that helps users' wayfinding. Concurrently, as the function of space becomes complicated, the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internal environment of general hospitals increases, and the meaning of this space is changing from a space for simple treatment to a space that provides various services to patients. In this space, an inaccurate and ineffective sign system would cause patients' wayfinding to be repeated, congested, or time-consuming, exhausting them before reaching their destination. Therefore,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are to maintain order in the hospital and to provide a comfortable treatment process by allowing outpatients to receive treatment quickly. Furthermore, the research shows that the design of an effective signage system can deliver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by reducing the information recognition errors of visiting patients as much as possible. This research studies the sign system according to the moving route structure of visiting patients in general hospitals and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elements of the signs, visiting patients, and where the signs are located. In other words, the research focuses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visual elements of the general hospital sign system according to the patient flow structure.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literature research and related books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general hospital space and facilities by function. Second,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function of the general hospital sign system were summarized, the visual elements of the sign system were investigated through concept arrangement, and the visual effects of each ele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rd, as an empirical study, among the top 12 general hospitals in Seoul by 2021, the hospital with the most change in ranking was selected, and a Bluetooth device was used. The movement of visiting patients to receive treatment was recorded,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ign system of the target hospital was investigated. Finally, a respons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traffic structure and type, the location of the sign system installed in the target hospital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molding and the traffic flow of visiting patients, and problems were presented. By combining the conditions of the target hospitals, a design -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general hospital sign system - was completed through modeling and rendering. According to the research's results, since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igns affects the movement of visiting patients, it must achieve continuity. Furthermore, the influence and role of the sign should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oving route. In the target hospitals, the moving route structures of visiting patients were relatively complex in the central space.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signs is highest when visiting patients leave the central space and enter the main moving routes. The sign induces visitors to approach their destination by changing their direction when moving to a spatial turning point or where several main traffic lines intersect. What needs to be considered is that the information on the destination direction must be accurately delivered to the visiting patient and which part requires a sign for the patient's movement. Also, text readability and people's avid reading habits should be considered among the visual elements. It relieves the visual fatigue of visiting patients while ensuring space consistency.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to the sign system based on the movement structure of patients visiting general hospitals. It can be expanded to be helpful when applied to more public space sign system designs.

      • 종합병원 Sign System에 관한 연구 : 외래진료부와 중앙로비를 중심으로

        배정현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3327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사인의 중요성은 점점 높아가고 있다. 특히 종합병원의 경우 그 환경적인 요인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화 되어감에 따라 병원 이용자들은 복잡한 공간속에서 목적한 곳으로의 이동에 혼란과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병원의 환경은 교통의 편리와 전 국민 의료보험 등으로 종합병원의 이용자가 증가하여 보다 많은 이용자가 드나들게 되고 또한 건강하지 못하여 주위의 요소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오고가는 곳이므로 안내원의 역활을 하는 사인은 그 역활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가고 있다. 특히 병원의 이러한 공간 중에 외래진료부와 중앙로비는 병원을 처음 이용하는 사람이 제일 처음 접하는 병원의 얼굴이며 병원의 이미지를 전달 받는 곳이다. 그러므로 중앙로비와 외래진료부의 사인 시스템은 병원의 이미지를 잘 전달하여 줌과 동시에 환자나 그 밖의 이용객들에게도 그 사인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특수 환경인 종합병원에서 디자인되어지고 또 배치되어진 사인이 얼마나 그 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 연구하여 앞으로 종합병원의 사인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조건인 사인의 색채, 문자, 형태 및 시각 노출도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연구되어진 자료들이 앞으로 디자인 되어질 종합병원의 사인에 작은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It's getting a complicated society we have bet, the importance of its problems are more higher than before. In case of the general hospital It'll be an Intricated and variety caused by for environment so the user of the hospital is having a difficult of confusion of moving to pace of wanting such a busy space. The environment so hospital is increased of users in the general hospital by reason of a convenience of traffic and the whole people's medical insurance, also the action of guidance is very higher because the unhealthy patients are come in and out whose couldn't recognize at key places in the nearby easily. Especially, such places as an out treatment dept. and a central lobby is a face of hospital, who drop in this places by patients at the First time and received its images as well. Therefore, both places are giving well the images of hospital and tried to the best of using its function not only a relative patients but the other visitors. This thesis's examined, researched whether its function is did well, and designed, arranged by a special environment like this general hospitalㄴ sign system such as its color, figure, shape and the visual angle's exposure. I understand that this will be a great reference of the general hospital sign which is to be designed among the materials for studied in the future time.

      • 국내 종합병원 Sign system 디자인에 관하여

        박경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33327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종합병원은 내·외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병원이용자가 증가하고 이용자들의 의료지식이나 병원에 대한 인식 및 전달능력이 향상되면서 높은 질의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병원은 보다 능률적으로 이용자의 요구에 대처해야만 한다. 단순히 치료, 간호를 받기 위해 찾아가는 곳으로만 간주하던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에는 건강예방차원의 목적으로 병원을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병원은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점점 더 복잡해지고 혼돈을 야기시키고 심리적 안정이 필요한 환자에게 불쾌감만 가중시키고 있다. 시각적 전달매체인 사인을 병원에 체계적으로 도입하여 목적에 맞게 사용함으로써 환자나 병원이용자들이 편리하고 빠르게 가고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활동을 최대한으로 줄여 원활하고 효율적인 병원 업무가 이루어지고, 좀더 나은 병원 사인 발전에 토대가 되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병원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병원의 분류, 부문별 기능, 병원의 내·외적 환경변화를 이해하고 국내 종합병원이 직면해 있는 문제점을 알아 보았다. 제2장에서는 사인의 개념과 분류, 유래와 역사를 살펴보고 Visual Sign에서 기능과 그 조형적 요소를 파악하여 병원의 사인 시스템의 시각적 적용범위에 대해 접근해 보았다. 제3장에서는 국내종합병원의 사인 시스템을 사용 목적별로 분류하고, 그 현황을 자료로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사인 시스템의 인지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진주 지역의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사인 인지도를 조사하였다. 환자나 보호자측의 인지도와 병원 내 근무하는 의료 종사자나 행정 직원의 인지도를 설문하였다. 이 설문을 병원의 사인 시스템의 기능적 측면과 조형적 측면(색채, 픽토그램, 문자, 가독성)에 있어서의 전달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위와 같이 연구되어진 자료를 토대로 하여 사인의 계획에 있어서 병원의 기능과 특성에 맞게 사인 체계를 창출하여 병원의 사인 시스템이 유기적 통합체로 연결되어 진정한 '인술의 장'으로 재정립 되었으면 한다. These days, Hospitals have changed in many respects as a result of an increase in patients, more informations about hospitals and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techniques. Therefore, hospitals have to react to the ever changing requests of the patient and hospital user. In days gone by, people regard hospitals as a place to go for a simple cure and nursing and quick recovery. However, in our day, The role of the hospital has changed. Today, people take advantage of the hospital for preventative measures as well. Though the hospital is supplied with sufficient medical services, The loud hectic atmosphere has caused discomfort and chaos for those who seeking psychological rest and relaxation. The purpose of signs and sign systems in a hospital is to help the patients and hospital user to arrive at a destination without some difficulty as soon as possible and help the patients and hospital user to reduce a space activity and give them pleasant environment. I attempted to analyze the sign system of domestic hospital and the recognition of sign system through this rearch. The purpose of this rearch is to help hospitals to develop effectively in regards to signs and sign systems. In chapter 1 through theoretical study, I investigated the classfication of hospitals and partial functions and investigated some problems which hospitals are facing these days, including environmental changes. In chapter 2, I investigated the concept, classfication, and origin of the sign. I also looked at the concept of sign and the function of formative elements in the visual sign. And tried to know about the visual application limit of sign system in the hospital. In chapter 3, I classified the sign system of domestic hospitals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presented the condition of sign system to you as a material and analyzede them. In chapter 4, I created some questions to find out the recognition of sign system in hospitals. I also analyzed some problems and gave you some ideas for improvement. To be more objective estimation, I also selected two region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s. And gave some questions to the patients and supporters. I also gave some question to the person who are engaged in the hospital and executive clerks. According to the above rearch, we can arrive at the following conclusion. we can discuss the inducement of action through the sign of hospital. Moreover, we can discuss the sign of hospital from the viewpoint of indication and environment. When we plan to make the signs of the hospital, we must consider all the dynamic space lines and the possibility and characteristic of formative elements, indoors and outdoors, in order that they fit well. We must effectively design the signs to fit the needs of patients and hospital user. We must investigate communicative problems about the sign recognition of hospital user. We must design the sign system of hospita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hospitals. I hope that all hospitals can be reubited to creat a clear system that will contibute to the progress of hospital as a place of healing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