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분자복합재료의 유기적 형태변형에 따른 조형 장신구 연구

        최이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In plastic arts, the exploration of new materials and changes in the traditional viewpoints on materials have expanded the scope of creative activities and allowed the delivery of various experiences to audiences through a medium that expresses the artist’s intended meaning. In this study, a method is developed for effectively expressing the concept of ‘organic shape'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various shapes in plastic arts based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transformation of these materials.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metals and fabrics to exploit the flexibility of the fabrics in an effort to develop a new accessory material. Further, this study deals with the notion of metamorphosis, which is applied to the creation of various kinds of shapes and the complex use of materials in many different fields in accordance with the latest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e. This organic artistic expression gives meaning to the shape of the object, and the meaning is redefined by the audience or wearer; the accessory thus serve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rela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accessory and humans. This study examines artistic accessories that combine carbon fibers and resins with metals, with empirical study of the detailed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spective of these materials as a form of plastic art; an appropriate method of expression is also studied. Herein, a plastic art accessory in which the physical shape is influenced by the organic components is developed, wher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lead to transformation and material change, and the innat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give rise to the physical shape.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material based on, which was the objective of this artwork, is indicative of creation, growth, and evolution from the viewpoint of generation. This artwork process involving organic shaping expands the scope of expression and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 fluid structure, which in turn enables various expressions in plastic arts. Throughout the document, the term ‘organic transformation' generally means physical transformation, which refers to the physical aspect of transformation, such as the growth of plants or organisms in nature. The plastic art method used herein, which focuses on the creation, growth, and evolution interpre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generation, goes beyond expressing the shape already recognized by the audience and makes innate and physical changes possible, thereby capturing the moments of transformation of the organic shape and expanding the scope of expression. Based on the analysis of materials that could immobilize and express this transformable shap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cope of the accessory’s expression and to explore its feasibility as plastic art through transformation of the shape and the materials by combining carbon fibers and resin. The shape of this artwork comprised that produced by the coincidental effect, where the artwork molded its final shape on its own through creation, growth, and evolution via the use of woven carbon fibers, and the other produced by the planned effect, which directly expressed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er. The shaped artwork was then firmly immobilized by manually applying resin. In general, fibers absorb liquids, which inevitably results in transformation of their original shape, whereas the resin impregnated with carbon fibers results in transformation of the material with consequent changes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llows the fibers to be immobilized semi-permanently without unintended physical transformation. Not only did combination of these two materials—carbon fibers and resin—immobilize the organic transformation process, but this combination also enabled the realization of various designs via planned shaping techniques and visual detection of the fibers’ fluid and flexible nature. As such, it may be of great significance that the combination of carbon fibers, resin, and metals produces synesthesia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senses of sight and touch, which can provide a new experience and vehicle of expression to the audience. This study identified a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achieved via organic transformation and material transformation and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This relationship could be applied to art accessories based on the material and shape and a description of the relationship was provided. Over the course of this study, to deliver this researcher’s unique expression to an audience by manipulating the shape of materials and to convey the meaning to the wearer and the audience, the visual effect was maximized via the combination of colors and emphasizing the physical shape of the materials, with the intent to bring about cogn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artwork and the audience. Art accessories that concentrate on maximization of the shape-effect facilitate effective and intentional communication of the meaning of thoughts to the audience and could serve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ubjects by caus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sponses from the wearer and the audience. Apart from the primary function of being an accessory, this artwork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multiple functions of an object by assigning meaning and showing unique expression. Further, this art accessory, as a medium of direct and indirect expression of an intended meaning, can communicate the unique expression of the artist and more easily express the message that the object intends to deliver. In other words, it is a tool of expression for direct and indirect communication of the artist’s intention, and may also serve as a connection linking the artist, the audie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artist. Nowadays, when research on the combination of art materials and technolog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being actively studied and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composite materials, art accessories cre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polymer composites and technology that undergo free shape transition, can be easily modified, and can express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er directly and indirectly, can expand the scope of expression.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er can be expressed directly through combination of the material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echnology, and these materials, which allow coincidental shaping that researchers and wearers cannot expect, may perform multiple functions. As such, the combination of materials and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new shapes, and the potential for further development can be anticipated with expansion of the scope to artwork creat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and techniques. In the future, this researcher anticipates the development of this art-form as an independent wearable medium of communication, as it was found that the art-form could function independently via communication with other entities, where the object with an assigned meaning elicits a mutual relationship among the wearer, the audience, and the artist through the combination of new materials and technology. 조형예술에서 새로운 소재에 대한 탐색과 전통적 관점의 재료적 가치변화는 창조적 활동의 범위를 확장하고 작가가 의도하는 의미를 표출하는 매개체로써 관객에게 다양한 경험을 전달한다. 장신구의 새로운 소재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섬유가 가지는 유연성을 바탕으로 금속과의 결합을 통해 물리적 특성과 변이에 의한 조형 가능성을 연구하던 중 유기적인 형태의 구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안을 발전시키게 되었다. 아울러 최근 디지털 문화의 발전으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형상의 창조적 시도와 재료의 복합적 사용에 응용되는 메타모포시스(Metamorphosis)개념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러한 유기적인 예술적 표현방식은 개체의 형상에 의미를 부여하고 관람자나 착용자에 의해 의미가 재정의 되면서 장신구와 인간의 상호관계적인 교류를 통해 소통수단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변적인 존재의 유기적 표현을 위해서 금속에 탄소섬유와 레진과의 결합을 접목시킨 조형장신구를 연구하여 구체적인 질료적 특성과 조형 가능성을 실험하고 이에 적합한 표현방식을 고찰하였다. 이로써 형태적 변형과 재료적 변이에 의한 물리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외형적인 형식과 외형적 형식을 존재하게 하는 내재적인 질료적 특징인 고유성을 바탕으로 유기적 성질을 구현한 조형장신구를 발전시켰다. 연구 작품에서 표현하고자 한, 가변적 합리성을 내재하고 있는 형상의 변형은 생성학적 관점의 생성, 성장, 진화를 의미하며 표현방식을 통한 지속적인 변화는 상호간의 관계성을 이루는 동시에 형상의 움직임을 합리화 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유기적 형상화과정을 통한 작업과정은 표현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유동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조형작업의 다양한 표현방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유기적 형태의 변형은 일반적으로 외적인 형상의 변화를 의미하는데 주로 식물의 형태나 자연에서 생물의 외형적인 모습에 주목하여 변형하는 것을 의미하며, 생성학적관점에서 해석한 생성, 성장, 진화에 맞추어 조형한 방식은 이미 인지자에게 인식된 형태의 표현방법에서 벗어나 내, 외적인 변화를 가능하게 하여 가변적인 유기적 형태를 순간적으로 포착하여 표현 가능함에 따라 표현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이러한 가변적 성질의 형상을 고정하여 표현할 수 있는 재료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탄소섬유와 레진과의 결합을 통한 형태적 변형과 재료적 변이를 통해 장신구의 표현범위의 확장과 조형적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작품의 조형과정은 직조(Woven) 구조를 가진 탄소섬유를 이용하여 생성, 성장, 진화에 따라 조형물 자체가 최종적 형태를 조형하는 우연적 효과와 연구자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계획적 효과로 나누어 형태를 제작한 후, 레진을 수작업으로 도포하여 조형된 형상을 고정하여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물이나 액상형태의 액체를 흡수하여 원형의 변형이 필연적이나 탄소섬유의 경우 레진이 섬유에 함침되어 재료적 변이과정을 통하여 물리적 특성이 변화함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외형의 변형 없이 반영구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두 재료의 결합은 유기적인 가변과정의 고정과 더불어 계획적인 성형기법을 통한 다양한 디자인과 섬유가 가지는 유동적이고 유연한 촉감의 시각적인 연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탄소섬유와 레진 그리고 금속과의 혼합은 시각과 촉각과 같은 감각기관간의 교류현상을 통해 공감각을 불러일으켜 관람자에게 새로운 경험과 표현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유기적형태의 변형과 질료적 특성에 의한 재료적 변이를 통해 표출함에 따라 재료와 형태에 의한 조형장신구와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관계성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연구과정에 있어 형상을 극대화하여 연구자의 개성적 표현과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착용자와 관람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색채와의 결합을 통해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외적 형태를 강조하고 관람자에게 작품에 대한 인지적 연상을 유도하였다. 형상의 집중과 극대화를 통해 부각되는 조형장신구는 연구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사고의 의미를 관람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나아가 착용자와 관람자에게 정신적, 감정적 감응을 불러일으켜 주체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매개체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1차적 기능인 장식품에서 탈피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객체에 의한 다중적 역할 수행과 더불어 개성적 표현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직, 간접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수단의 조형장신구는 작가의 개성적 표현과 객체가 전달하고자하는 메시지를(Message)를 보다 쉽게 표현 가능하다. 즉, 작가의 의도를 직, 간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표현의 도구이자 작가, 관람자, 작가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역할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최근 소재와 기술의 접목에 대한 관계성과 더불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복합적 소재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형태의 움직임이 자유롭고 성형이 용이하며 연구자의 의도를 직, 간접적으로 표출이 가능한 고분자복합재료와 기술의 결합을 통한 조형장신구는 표현범위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물리적 특성과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연구자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연구자, 착용자도 예상할 수 없는 형태의 우연적 조형이 가능한 소재의 특성은 조형장신구의 조형가치를 높이고, 나아가 다(多)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재와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고 다양한 실험과 기법을 통하여 창조된 조형물의 활용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잠재된 발전가능성을 볼 수 있다. 향후 새로운 재료와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착용자, 관람자, 제작자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의미를 부여하는 객체에 의해 개체들과의 공유를 통한 독자적인 역할 수행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기에 본 연구자는 착용 가능한 독립적인 소통의 매개체로써의 발전 가능성을 기대한다.

      • 엘랑비탈에 내재한 바이오모픽적 도자 조형 표현에 대한 연구

        이나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0

        과학의 놀라운 진보로 현대의 생명관은 근대의 유물론적인 측면의 이해를 넘어서, 유물론과 생기론이 모두 강조되는 생기론적 유물론의 입장을 취한다. 생명과 생물의 진화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며 생명이 가지는 생명 에너지에 대한 존엄성과 특수성이 다시 주목 받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생기론적 관점에서, 생명력에서 관찰되는 특수한 속성을 조형화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을 탐구하여 생명체가 가지는 역동적 에너지의 조형적 표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국내외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조형 칼럼, 작가 인터뷰 등을 참고하여 엘랑비탈과 바이오모픽, 그리고 카오스와 코스모스의 공존에 대한 개념 및 조형성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로 첫째, 엘랑비탈의 지속성, 창조성, 다발성으로부터 연속성, 추상성, 확산성의 바이오모픽적 조형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엘랑비탈에서의 지속성은 생명의 자기반복으로 인한 대칭, 무한한 복제, 자기유사복제 등의 키워드를 가지며 바이오모픽에서 연속성으로 해석된다. 엘랑비탈에서의 창조성은 불예측적, 자동기술적, 그리고 동시에 진화를 통한 종의 균형, 안정 등의 키워드를 가지며 바이오모픽에서 추상성으로 해석된다. 엘랑비탈에서의 다발성은 중심성, 비선형적 확산성, 모호성, 비방향성의 특징을 가지며 이는 바이오모픽에서 확산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코스모스와 카오스가 공존하는 생명력을 도자 조형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바이오모픽이 가지는 코스모스적 조형요소로는 균형성, 대칭성, 반복성, 자동기술성, 자기복제성이 있으며, 카오스적 요소로는 비대칭성, 무한성, 비선형성, 불예측성, 자동기술성, 자기유사성이 있다. 이 요소들의 공존을 표현하기 위해, 생명력을 담고 있는 기(器)의 형상이자 동시에 물방울과 같은 형태인, 코스모스적 형태의 항아리를 활용한 조형표현을 하였으며 앞서 분석한 생명력을 표현하는 바이오모픽 조형성 세 가지를 기반으로 곡선적, 불규칙적, 비정형적, 경계가 모호한 조형과 흙을 늘리며 생기는 우연한 자동기술적 조형 등으로 카오스적 조형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도자 조형작업에 있어서 바이오모픽을 통해 생명력이 가지는 코스모스와 카오스적 속성의 공존을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자는 생명만이 갖는 역동적 에너지인 생명력을 조형화함에 있어 바이오모픽을 도구로 활용하고자, 엘랑비탈의 개념을 통해 바이오모픽으로 표현할 수 있는 조형성을 파악하고 이를 도자 조형작업으로 표현하여 구체적인 조형표현 방법에 대해 탐구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도자 조형작업으로 생명력을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엘랑비탈이라는 철학적 개념에 기초하여 생명력이 가지는 이미지를 조형적으로 해석하였으며 유물론적 사고에 반대하여 생명이 가지는 가치를 재고하고 본 연구자의 향후 작업에 있어 생기론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는 조형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Advancements in science have propelled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life beyond the materialistic understanding of the modern era, embracing a position that emphasizes both vitalism and materialism—a stance known as vitalistic materialism. As our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 of life and biology deepens, the significance and uniqueness of life energy have once again come under scrutiny.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for shaping the dynamic energy inherent in living organisms from a vitalistic perspective.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theoretical considerations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holarly literature, previous studies, sculptural columns, and interviews with artists. The conceptual exploration focused on the notions of Élan Vital, biomorphism, and the coexistence of chaos and cosmos. The study results revealed, firstly, the biomorphic shaping of continuity, abstraction, and diffusivity derived from the persistence, creativity, and multiplicity of Élan Vital. Persistence in Élan Vital interprets as symmetry, infinite replication, and self-similar reproduction in biomorphism. Creativity in Élan Vital manifests as unpredictability, automatic technological processes, and evolutionary balance in biomorphism, interpreted as abstraction. Multiplicity in Élan Vital embodies centrality, nonlinear diffusivity, ambiguity, and non-directionality, corresponding to diffusivity in biomorphism. Secondly, the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the vitality of life through ceramic sculptural forms, incorporating both cosmic and chaotic elements. Biomorphism contributes cosmic shaping factors such as balance, symmetry, repetition, automatic technological processes, and self-replication. Chaos is introduced through biomorphism with asymmetry, infinity, nonlinearity, unpredictability, automatic technological processes, and self-similarity. To depict the coexistence of these elements, the sculptural representation utilizes a vessel form reminiscent of both cosmic and chaotic attributes, combining biomorphic forms and chaotic elements like curved, irregular, non-geometric shapes with blurred boundaries, accentuating the essence of chaos. This research, using biomorphism as a tool to visualize the dynamic energy unique to life, explores the potential for shaping vitality in ceramic sculpture based on the concept of Élan Vital. Grounded in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Élan Vital, Based on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élan vital, this study interpretively explores the imagery of vitality in a sculptural context. In contrast to essentialist thinking, it reassesses the value inherent in life and lays the groundwork for the researcher's future artistic direction by embracing a vitalistic perspective.

      • 비창작 구비서사를 바탕으로 한 내러티브 디자인 조형 연구 : 객관적 사실과 주입된 정보의 이질성 적용을 통하여

        김민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99

        대다수의 인간은 유아기 성장과정 속에서 상상을 통해 사물에 역할을 부여하고 감정을 이입시키는 경험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대부분 성인이 되면서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에 대하여 사회적 맥락과 환경으로 인한 변화의 관점으로 이해해 볼 수 있겠으나, 연구자는 디자인적 관점에서 이러한 현상을 조명하고, 인간이 사물을 통해 상상적 경험을 다시금 가능케 하는 조형 탐구를 진행하였다. 사물을 통한 몰입, 상상의 경험을 유도하는 디자인을 도출하기 위해 내러티브의 특징과 효용성을 디자인에 이식하고자하였다. 연구간 내러티브와 몰입, 감각, 감성 간의 관계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진행, 디자인 자원으로써 활용될 가능성이 있는 요소들을 선별해 조형을 모색하는데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은 내러티브의 장점을 디자인에 이식함과 동시에, 내러티브를 통한 연구자만의 조형적 차별성을 구축하는 것에 목적을 가진다. 작품탐구의 과정에서, 내러티브는 사물의 관습적 사용에서 벗어난 창의적 사고를 가능케 하였으며 이야기를 만들고 표현하며 기억과 상상력이 융합된 인지과정이 발생한다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내러티브의 여러 가능성을 디자인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자의 창작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1차 작품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창작 내러티브는 디자이너의 세계관을 확립하고 조형적 차별성을 도출해내는 것에 유리하였으나, 내러티브와 디자인된 조형 모두 완성도가 높아야 한다는 점과 수용자의 입장에서 디자인된 사물에 내재된 내러티브를 먼저 이해해야 공감을 시작할 수 있다는 한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고자 2차 작품연구 이후부터는 창작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닌, 기성에 대다수가 이미 알고 있으며 공감에 유리한 비창작 내러티브를 활용해 작품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활용한 내러티브는 과거 미디어를 통해 많이 알려져 있던 음모론이라는 범주의 내러티브를 선택하였는데, 이는 사실이 아닌 정보를 사실로 받아들여 현실의 인식과 행동에 변화를 만드는 지점이 내러티브의 특성을 매우 잘 표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음모론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를 '객관적 사실과 주입된 정보의 이질성'으로 정리하고 이를 조형으로 표현하기 위해 '선풍기를 틀고 잠에 들면 질식사한다'와 '정부가 시민을 감시하기 위해 로봇 비둘기를 풀어놓았다'라는 실제 존재하였던 음모론을 바탕으로 2차 작품연구를 진행하였다. 2차 작품연구에서는 내러티브를 설명적으로 표현하여 오브제와 일러스트를 통해 내러티브를 이해하도록 의도하였으나, 서사를 설명적으로 재현하는 과정 속에서 캐릭터성이 강하게 형식화되는 결과로 인해 조형적 독창성을 도출하기 어려웠으며, 또한 사물의 기능적 목적을 가지지 못한 오브제의 형식에 그쳤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3차 작품에서는 음모론 내러티브를 설명적 표현방식이 아닌 음모론을 통해 도출했던 포괄적 주제에 집중하였으며, '객관적 사실과 주입된 정보의 이질감'이라는 개념을 조형으로 표현하고자 의자와 조명을 디자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목적에 더욱 근접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조형의 표현방식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주제를 표현하는 조형의 추상화와 함께 주제를 암시하는 상징화를 활용하는 방식'이 내러티브의 주제와 효용성을 포함함과 동시에 연구자의 조형적 독창성을 구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간과 오랜 시간 함께한 내러티브의 여러 효용성을 디자인의 조형에 이식하는 실험으로써, 디자이너들이 내러티브의 효과들을 디자인시 이식하여 조형적 독창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데에 유의미한 실마리를 제공하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유리구슬을 이용한 조형연구 : 서부아프리카 아산테부족의 조형물을 중심으로

        김은경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71

        아프리카 조형물들은 대부분 그들의 생존과 직결된 복잡한 의식과 의례를 위해 제작되었다. 삶에 대한 진지한 자세에서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수많은 요소들을 사용한 형상과 모티브를 통해 관념과 의미를 형상화 했다. 그런 조형작품들은 자연환경과 생활양식에 의해서 종교적 또는 문화적 특성에 의하여 그 지역의 예술성과 독창성을 갖고 있어 그들만의 독특한 특징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아프리카 사회에서의 유리구슬은 여러 계층의 구조적 의사소통의 체계를 완성하는 필수적인 요소로 사용되었다. 아프리카의 예술이 쇠퇴하는 상황에서도 비교적 다른 나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순수한 형태로 현재까치 남아서 사용되고 있는 서부아프리카 아산테(Asante)부족의 조형물을 응용한 작품을 제작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인은 고대 유리구슬의 기원과 서부아프리카 아산테부족의 조형물과 아딘크라문양의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고 그 내용과 의미를 이해하여 아산테부족의 조형물에서 보이는 미적 요소와 함께 아산테부족의 아딘크라 문양을 재구성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흥미로운 아산테부족의 조형물이 단지 아산테부족의 전통적인 역사유물이 아닌 새로운 조형적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다시금 현대 조형미에 응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Most African sculptures were manufactured aiming at the complex ritual and ceremony that are connected directly with their survival. It embodied an idea and a meaning through shape and motive that used numerous elements, which received inspiration from nature in a serious attitude toward life. Those molding works have artistry and creativity of that region thanks to religious or cultural characteristics, by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lifestyle, thus making it possible to feel a characteristic peculiar only to them. Also, the glass bead in African society was used as a necessary element for completing the structurally communication system of various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nufacture a work that applied the sculpture of Asante tribe in the western Africa, which is being used with having remained so far in a pure form without having comparatively been affected from other countries even in a situation that the African art is being declined. Accordingly, the person in question re-composed Adinkra patterns of the Asante tribe, together with the aesthetic element that is shown in sculpture of the Asante tribe, by analyzing the origin of anciently glass bead, the sculpture and Adinkra patterns of the Asante tribe in the western Africa and by understanding its contents and meaning. Consequently, in this study is desired that the interesting sculpture of the Asante tribe may be applied again to the modernly formative aesthetic, by expressing in the newly molding language, other than being simply the traditionally historical relics of Asante tribe.

      • 스프링의 물성을 이용한 금속조형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장선영 同德女子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69

        현대공예는 쓰임이 있는 기능적 요소와 더불어 예술적 가치로서 표현되어진다. 표현양식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화되고 있으며, 많은 작가들에 의해 시도되고 있다. 본인은 이러한 표현양식의 새로운 시도로, 스프링을 사용하여 스프링이 갖는 물성의 특성에 의한 움직임, 잠재적 형태변화를 표현하려 한다. 즉, 변화하기전의 실제의 형태에서 사람이나 물체의 힘이 가해지면 움직임을 보이거나 공간 안에서의 형태변화를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움직임, 변화'라는 조형요소는 서양 현대 미술의 '키네틱 아트(Kinetic Art)'와 금관, 화관, 족두리, 떨잠과 같은 한국의 전통 장신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키네틱 아트(Kinetic Art)'는 모든 물체가 스스로 움직이기를 갈망했던 인류의 관심으로부터 발생한 미술장르로서, 움직이는 듯한 시각적 착시현상을 주는 예술과 작품에 실제 움직임이 있는 예술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키네틱 아트라고 부르는 것들은 주로 실제의 움직임을 갖고 있는 작품을 일컫고 있다. 즉, 키네틱 아트는 움직임이 개입된 미술을 의미하며, 그것은 전체적인 작품의 구성요소로서의 움직임과 관련된다. 이러한 운동성은 전기와 모터 등 기계적 동력수단을 이용한 움직임과 기계적 수단 없이 사람의 손이나 공기의 유동에 의한 움직임으로 대별될 수 있는데, 후자의 대표적인 작품은 알렉산더 칼더의 '모빌'이다. 우리 나라 장식품 중 일부분에서 나타나는 영락이나 떨새와 같은 움직임은 키네틱 아트에서 보여지는 움직임과는 다른 것으로, 움직임이 작품의 주체가 되는 것이 아니며, 전체에서 일부분의 장식적인 요소로서 움직임이 나타난다. 이와같이 키네틱 아트와 장식적인 흔들림을 보여주는 한국의 장식품는 움직임이라는 공통된 조형요소를 갖는 반면, 운동의 크기와 방법의 차이와 키네틱 아트의 기계적이며 기하학적인 형태, 한국 장신구의 자연적이고 사실적인 형태에서 보여지는 형태적 차이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동, 서양의 움직임에 의한 조형적, 형태적 특징을 중심으로 작품을 표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적인 힘에 의한 움직임을 갖는 키네틱 아트와 스프링에 의한 떨림을 보여주는 우리나라 조선시대의 여인용 머리장식을 중심으로 작품의 표현방법을 모색한다. 즉, 모터와 같은 기계적인 힘에 의한 움직임이 아닌, 사람이나 물체의 힘, 흑은 기류나 진동에 의한 자연적 힘으로서 움직임과 변화를 갖는 작품을, 금속재 코일 스프링의 다양한 연결방식을 중심으로 작품을 표현하고 연구한다. '운동성'이라는 가변적인 요소는 고정된 작품에 비하여 더 다양한 조형적 표현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많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기능성과 예술성은 물론 가변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재미로 스쳐 지나는 예술이 아닌 관람자가 직접 그 변화를 경험할 수 있게 하는 작품을 제작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며, 금속공예 작품에 있어 1차적인 형태적 아름다움과 함께 2차적인 가변성이라는 변화에서 오는 흥미를 함께 찾고자 한다. Mankinds have expected all things that they made can move for themselves. Perhaps A water mill is the first work from this hope, and then the movement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through the invention such as clock, steam engine, and car. This mankinds' dream can make people think of possibility of movement even for work of art like painting, engraving or sculpture considered not to move without doubt. "Kinetic art", which comes from mankind's interest about movement, includes not only the art that moves in reality but also the art that looks moving because of optical illusion. Op Art, the former, isn't move in reality but is a kind of the illusion art made by tension and movement of optic angle that comes from the relation of form, shade, color, and line. But today's kinetic art means mainly the work of art that can move in reality. In other words, kinetic art means the art related with movement and it is also related with movement as components for the whole work. This movement can be divided into the movement by mechanical power like electricity or motor and the movement by natural power like person's hand or the flow of air. Dduljam, which is hair accessory for women in late Chosun dynasty, shows both kinetic art and movement in common. But kinetic art searches for mechanical form and uses movement as the whole component part. On the other hand, Dduljam expresses natural form realistically and quivering of an ornament in shape of birds on it shows movement as decorative purpose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press formative feature of kinetic art and Dduljam together as work showing movement and variableness getting out of metal work that can't move. I have studied chiefly work that is moved and varied by natural power, such as person's or object's energy, flow of air, or vibration, not by mechanical power, such as motor. To express variable formative component, I chose spring as a material and applied it to work through various sampling and experiment. Spring can be moved by natural power and I applied spring, which can make a space by a regular twist with only a line in one dimension, to work as a very interesting part. There are many kinds of spring. But in this study, I tried to show coordinating form as appling to work restricting within coil spring. On the other hand, I have studied the way to connect springs and composition in various way. The variable component, that is, movement, makes it possible much more various formative expression than fixed work. It also attracts people's interest pretty more.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I search for both the formative beauty as a first step and interest from variableness as a second step in metal craftwork.

      • 비상(飛翔)이미지의 조형연구 : 염색 작품을 중심으로

        최은경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69

        인간의 삶은 자연과 상호 떨어질 수 없는 관계이며, 자연은 인간의 끊임없는 관찰과 표현의 대상으로 존재하여 왔다. 이러한 자연을 표현하기 위한 노력은 우리가 갖고 있는 예술문화를 통해 심미적, 미적 효과에 대한 조형탐구로 시대적 배경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변화하였으며, 이제는 그 영역이 확대되어 자기 표현의 실험성을 관념이나 작가의 조형의지에 따른 새로운 조형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자의 삶의 내면에 존재한 자유의지는 '난다(flying)' 는 행위에 대한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꿈으로부터 시작하고 행위가 주는 자유의 의미가 주어진 공간 속에서 이상향을 향한 순수함과 동경을 느끼게 해주는 날개의 이미지로 형상화해 가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날개는 조형의 소재로 인간에게는 한번쯤 날고자 하는 동심의 세계를 가지고 있으며,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도전과 자유로움을 갈구하는 인간에게 내면세계에서 이루고자 하는 자유의지로 허공에서의 관조(觀照)와 자적(自適)의 여유로움이 내포(內包)되어 있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의 순환 속에서 인간의 상승하고자 하는 욕구와 수많은 규범과 규제들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의식적, 무의식적인 자유의지를 '날개'이미지에서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작업에서는 '날개'의 조형화에 있어 날개의 구체적 형태의 탐구가 아닌 날개에 내재된 이미지를 통해서 본인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날개'의 이미지를 조형화하기 위하여 나비의 '날개'로부터 받은 인상 및 인식되어진 이미지 즉, 순환(順換)과 일탈(逸脫), 소통(疏通)과 단절, 섬세 와 화려함을 실체화하려고 시도하였고 기법에 있어서도 '날개'가 갖는 형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 온화함을 바틱(Batik), 마블링(Marbling), 실크스크린(Silk-Screen)기법으로 표현하여 '날개'의 이미지를 새로운 형태로 재구성해보았다. 공간에서 느껴지는 '날개'의 무한한 자연스러움, 동경, 그리고 비상의 이미지를 나 자신과 동일시하여 현실 제약으로부터의 초월과 극복, 자유를 연결시켜주는 매개체로 전개시켰다. As nature is inseparable from the life of human being, it has been a ceaseless subject for our observation and expression. Such effort to represent nature has developed various forms in art, through the pursuit of the aesthetic and style, in parallel with the relevant historic context and environment. The range of forms are extended to show new art forms in which experimental self-expression is lead by the subjectivity and styles of the artist. The free will that exists inside my life starts from a romantic and fantastic dream of 'flying'. I explored the process of shaping the connotation of freedom in 'flying', employing the image of wings which bring the sense of pure nostalgia for utopia in the space. Wings, as a subject, involve the world of childlike mind in which most human being dreams to soar. They are the free will to establish in inner world of a person who longs for freedom and the challenge for unknown world, connoting placidity of contemplation and complacency in the space. In this research, out of the image of wings, I suggest to discover human desire for rising high in the cycle of ecosystem and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free will to free oneself from countless regulations and restrictions. In my works, I tried to express my inner world through the immanent connotation of wings, rather than studying structural form of them. In order to visualize this notion of 'wings', I tried to substantialize the impressions from the wings of butterfly, which are circulation, deviation, communication, isolation, delicateness and splendor. In attempt to express the beauty, mysteriousness and gentleness of 'wings', I employed Batik, Marbling and Silk-screen technique to reconstruct them into new forms. The notions of soaring, nostalgia, infinite naturalness of wings in space are identified with myself. And they developed into a medium which connects freedom, transcendence, and surmounting the limitation of the reality.

      • 묵죽화의 조형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이선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사시사철 푸르러 변함없고, 속이 비었으나 단정하고, 부러질망정 굽히지 않으며, 밑으로 숙인 댓잎처럼 겸손함마저 겸비한 대나무(竹)의 속성을 닮고 싶은 염원을 본인 작품에 담아 현대적으로 재현 하고자 하였다. 문동(文同)의 묵죽화법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대나무 숲을 화폭에 담아 그 뜻을 전하였고, 죽의 표현은 기와 운을 담아 생동감을 표현 하였다. 문인화로서의 대나무 그림은 주로 먹을 이용해 그려져 묵죽화라는 용어로 굳어져 있지만, 본인의 그림에서는 채색과 질감을 살려 바탕을 처리하는 시도를 하였다. 동시에 화면 전체의 색감은 모노톤을 유지하여 전통 묵죽화에서 갖는 품격과 절개의 기상을 담고자 노력하였다. 본인 작품에서 사용된 질감표현을 위한 바탕재의 재료와 문지르거나 닦아내는 등의 기법활용은 본인의 감정을 표현한 하나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즉 기후에 따른 기운과 보이지 않는 공간 세계의 표현까지 싣는 도구가 되어 주었다. 이는 본인의 작품이 전통 묵죽화와의 소재의 공통성에만 머무르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가 묵죽화의 정신 계승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고, 현대적 접근을 위한 본인만의 기법을 모색하여 대나무를 표현하였음을 밝히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가 문학적으로 어떻게 인식되어 왔으며 그 상징성은 무엇인지 선행 작품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개관한다. 그리고 대나무의 의의와 성격, 묵죽화의 시작, 그리고 시대적 배경에 따른 묵죽화의 변화 양상을 검토한다. 또한 중국에서의 묵죽의 의미 및 표현 양상을 우리의 것과 비교해 보고, 시대적으로는 특히 작품 활동이 두드러졌던 조선시대 초기, 중기, 후기, 말기를 구분지어 그 당시 묵죽화를 그렸던 인물들과 그들의 작품, 그리고 시대적 배경을 함께 알아본다. 작품 분석에서는 위의 내용을 근거로 묵죽의 정신이 전이된 묵죽화의 새로운 시도를 본인의 작품을 통해 제시하고 본인의 작품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 '물'의 이미지를 활용한 조형성 연구 : 칠공에 중심으로

        채지윤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In formative art, image is created through changes in physical shapes. New image is formed through harmony between physical reality and ideological hegemony and the image is involving specific natural elements to express abstract concepts through physical forms of objects. Exemplary natural elements are water and wind, which keep appearing in ancient occult art and are discovered in such numerous images that it is challenging to interpret them. Also the elements themselves become one of major objects in formative art. The major works in this thesis chose water as primal material and tried to define its meanings and represent its image. ‘Water’ is basic existence of all living being and source of energy. So it is reasonable to state that water exists before all living being and life. On this ground water has been considered as independent living being from ancient times. The focus of this thesis is on theoretical reasoning behind the representative images of water, and physical and symbolic representations in art works. Studying images of natural elements als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human nature. Also I tried to overview the symbolic liaison between water and human life. Art works reformed the three dimensional space to express subjective and internal stance rather than universal and objective stance. The art works in this thesis use lacquer art for this purpose. The art works in this thesis use both flat and plastic art works expressing water, as major material reflecting artists’ imagination, and through the analogy of material I can witness various ways of expressions and as a result I can reach profound interpretation. The four dimensional concept, flow including time and space, which also can be construed as both mobility and immobility, is formed in three dimensional figures like waves, and former artists use many materials to embody the waves as such. And I traced these materials as major factor in methodology. Studying the materials for forging, I found that various artists expressed ripples, rhythmic movement, repetition, and steady increasing through rhythmic lines. Recognizing the primal intension of art works and new dimensions of expressions I investigate into expression sector in lacquer art to search out new ways of expression. 조형예술의 표현에 있어 이미지는 대상의 물리적 실제 형상을 변모시켜 새로운 형태로 생성된다. 새로운 이미지는 물질의 물리적 · 정신적 이념이 융화될 때 생성되며 이러한 형상은 대상의 사실적 형태에서 추상적인 개념들을 표현함에 있어서 자연 현상의 구체적인 이미지를 도입하였다. 대표적으로 자연 현상의 이미지는 물과 바람 등을 이용하였다. 그것은 고대로부터 주술적인 형상으로 나타나 있으며, 오늘날에 와서는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이미지가 형상화 되었다. 또한 오늘날에는 여러 가지의 자연적인 현상의 이미지가 작가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하나의 소재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에 제시된 작품은 물이라는 원초적인 소재를 가지고 그 의미와 이미지를 소재로 택한 것들이다. ‘물’은 모든 생명체의 원초적인 존재이며 모든 에너지의 근원이다. 그 이유로 물은 생명력의 존재 우위이며, 고대로부터 많은 사상가와 예술가에게 생명력을 갖고 있는 하나의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되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물의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함에 있어 이론적 배경과 물의 물리적 특성 · 상징적 이미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자연의 원리들을 탐구함으로써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물의 이미지에 나타나는 인간 삶의 상징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작품은 이미지를 통한 3차원적 공간을 구성함으로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표현입장과는 달리 주관적이고 내면적인 입장에서 조형화하며, 그 조형적 특성을 칠공예를 통하여 작품화하였다. 물에 상상력이 투사되어 표현된 평면과 입체의 작품들을 선별하여 동일한 소재의 다양한 조형적 해석을 통해 다시 분석해 봄으로써 종합적인 표현영역을 심화시키고자 하였다. 시 · 공간을 내포한 흐름이라는 4차원의 개념을 3차원적으로 조형화함으로써 유동성과 정체성으로 보여지는 점을 물결의 현상으로 대입하여 유동적 흐름으로 표현하는데 사용되어지는 재료적 방법론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작품의 백골로 사용된 소재에 대해 연구하여, 물의 변화를 표면적으로 지켜볼 수 있는 물의 파문, 다양한 물결의 모습을 조형의 원리인 율동, 반복, 점증을 통하여 유동적인 선으로 표현하였다. 제작의도와 기법상의 표현 가능성을 새로이 인식하며 칠공예 작업에 대한 표현 영역을 심화시켜 작품제작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