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光州出土 朝鮮前期 積城李氏(女, 1458~1538) 저고리 硏究

        김미정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Jeoksung-Lee(female, 1458 ~ 1538) was a wife of Han, Sook who was the 15th descendent of the Chungju-Han family. Her excavation was dug out from Gwangju.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process of repair, preservation and reproduction of Jeogori among the finds. Jangheung-Im ( 1590's, presemption)'s excavation was known to be the only woman's garment at Gwangju provence. However, there is a debate because the finds were consisted of man's garments such as remex shaped Jeogori, four-pieced pants and Cheolik, and misnomer problem. There were only 2 woman's garments excavated from Chollanamdo provence. One is Gyeongju-Lee (presumptive fe -male, ·-1684)'s from Yongam, and the other is Seonsan-Kim (1753 ~ 1827)'s from Haenam. Jeokseong-Lee's excavations are the only woman garments excavated from Chollanamdo provence, which are certain for the date, representative of early Joseon Dynasty. Jeogori is a name of upper garment. It is shorter than coats and adjusts to right side. It consists of collar, gusset, long sleeves, and sometimes neckband, and breast-tie. The oldest name of Jeogori was Wehae(위해:尉解, in Chinese character). It was called Yoo(유:·) · Sam(삼:衫) · Euisapo(의사포:衣似袍) before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A term of 'Jeogori' was initially noted on the literature as 「...紅段子赤古理..」in september 13th 1420, the second year of king Sejong's reign. There were also pictures of long Jeogori in 『Akhakguebeom(樂學軌範)』, and documents in several royal records and anthology. With literature review, I tried to find the name of Jeogori types. In the authentic record of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the name of upper garments were Kwadu(과두:··) · Jeogori(저고리:赤古里) · Sama(삼아:衫兒) · Dangeui(당의:唐衣) · Dangsam(당삼:唐衫) · Gyubgyukeum(겹격음:·隔音) · Kwaneui(관의:串衣) · Hosu(호수:好袖) · Jeoksam(적삼:赤衫) · Hansam(한삼:汗衫) · Heohung(허흉:虛胸). Kwadu(과두:··) · Gyubgyukeum(겹격음:·隔音) · Heohung(허흉:虛胸) were shown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year of Imjin (1592). On the other side, Dangeui(당의:唐衣) · Dangsam(당삼:唐衫) · Kwaneui(관의:串衣) were noted after the invasion. Kwadu(과두:··) and Heohung(허흉:虛胸) were used to only man's upper garment. 『Garedogamuigwe(嘉禮都監儀軌)』 mentioned single-layered, double layered and cotton-layered Jeogori according to the sewing method and composition. Queen Euin, Queen Inmok's 『Binjeondogamuigwe(懿仁王后 · 仁穆王后 殯殿都監儀軌)』 showed most diverse names of Jeogori as follows; Jangdangeui(장당의:長唐衣), Sokwaneui(소관의:小串衣), Dangkwaneui(당관의:唐串衣), Gyunmaji(견마지:肩·只), Aekmaji(액마지:腋·只), Jeokgori(저고리:赤古里), Hwaijang-Jeogori(회장저고리:回粧赤古里), So-Jeogori(소저고리:小赤古里), Jang-Jeogori(장저고리:長赤古里), Jeoksam(적삼:赤衫), So-Jeoksam(소적삼:小赤衫), Dan-Jeoksam(단적삼:單赤衫), Hansam(한삼:汗衫), Jang-Hansam(장한삼:長汗衫), So-Han sam(소한삼:小汗衫), Dang-Hansam(당한삼:唐汗衫), Janggoeui(장고의:長古衣). Jeoksung-Lee's finds were excavated from Songha-dong, Nam-gu, Gwangju. There were 28 clothes among 36 finds. The garments were either single-layered or lined clothes. A Dandanryeong made of cloud pattern fabric (雲紋絲 單團領) was present and was a characteristic of female jeogori in early Joseon Dynasty. It had round shaped inner and outer coat collars and knot button, but no embroidered insignia on the breast and the back of an official robe and no breast-tie. The sleeve band and hem of the long Jeogori was handled by eyebrow-shaped end. The lower part was torn. There were 10 skirts, 5 lined one and 5 single-layed. Three of 5 lined skirts showed folding and 2 of 5 single-layed skirts had folding. The widest fold were measured 4 cm in height. A single-layed coat-like cloth with opposite-neckband showed long length as a usual coat and half-length sleeve like a single-layered Danryeong (團領). It had a narrow, opposite-faced neckband, and gusset was folded similar to Jeju-Go (1560-1600 conclusions)'s unlined summer jacket. There were 7 long Jeogori and the length were about 80cm. They had wooden-board-neckband, and made of cotton or silk which gave the feeling of simplicity. A long-length Jeogori decorated with lotus-flower pattern, which was the only one having pattern, and the 3rd jeogori among 6 lined, long Jeogori showed folding. It was not clear that the role of folding was whether decorative or functional. Thus, it is necessary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folding. Two medium-length Jeogori were 70cm or so in length. They had a wooden-board-neckband and side opening. Their outer and inner neckband were parallel with a gusset. One of the medium-length Jeogori had no side opening and the outer neckband was set in and the inner neckband was set out. There was single unlined summer jacket and its neckband was set in. Various sewing technique of early Joseon Dynasty such as double hemming and folded stitch (Yetssamsol), double stitch with in-side-out (Tongsol), basic stitch, hemming and folded stitch were noted in this summer jacket. A short Jeogori (No.12) was a gravecloth confirmed by photographs. Solid black spot was remained after washing. it has a ring of thread and breast-tie. The rest 4 subjects might be underwear considering with the location of neckband and no decoration on them. Floss (雪綿子) was present within the inside of the lined clothes (lined Jeogori, long hood formerly worn by women, lined skirt), which was similar to thin korean paper. The breast-ties of Jeoksung-Lee's Jeogori were removed artifically in all except No.10 Jeogori, and only two outside breast-ties were remained. It is traditionally said that breast-tie of graveclothes were not be removed and those of coffin stuffing were removed. In addition, vestiges of a inside breast-tie were not found, which meant that women's jeogori of 16th century didn't have a inside breast-tie. In conclusion, Jeoksung-Lee's Jeogoris were certain for the date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woman's Jeogori in early Joseon Dynasty, and consistent with other woman's Jeogori in same era. 본 연구는 朝鮮前期 光州出土 淸州韓氏 參議公波 15世孫 韓淑의 부인인 積城李氏(女, 1458~1538년)의 유물을 보존처리하고 그 중 저고리를 보수·복제하는 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出土服飾은 분묘를 이장할 때 관내에서 시신과 함께 발견되는 복식류를 의미하는데, 1970년대 정부의 토지개발 정리사업으로 많은 분묘가 이장되면서 출토복식의 시대가 비로소 열렸다고 할 수 있다. 수도권으로 집중된 토지개발로 출토복식의 출토지 또한 경기도 지역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가운데 전라남도 지역에서 출토 · 발표된 여자복식은 장흥임씨(광주출토, 1590년대 추정), 영암 출토 경주이씨(여성추정, ?~1684年)와 해남출토 선산김씨(1753~1827年) 뿐이다. 본 연구에서 다룰 積城李氏 출토복식은 전라남도 지역에서 발굴된 분묘 중 최초의 생몰년이 분명한 朝鮮前期 여성 복식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주제인 저고리는 漢字로는 ‘赤古里’라하며, 下衣 즉 袴나 裳에 대응하는 上衣로 깃과 섶, 긴소매, 동정, 고름 등이 달려있고 袍에 비하여 길이가 짧은 옷을 말한다. 三國時代 이전에 저고리類 명칭으로 추정되는 것에는 유· 衫 · 衣似袍 등이 있는데, 저고리類에 대한 가장 오래된 表音은 尉解라고 하였다. ‘赤古理’라는 의복명칭이 문헌상에 처음으로 보이는 시기는 世宗2年(1420) 9月 13日의 「...紅段子赤古理..」라는 기록에서이며 以前에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樂學軌範』女妓 복식 중에도 긴저고리 모양의 金線緞 藍赤古里와 汗衫이 그림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밖에도 國婚과 國葬 관련 儀軌類와 正禮 등 왕실기록과 문집 등에는 여자 저고리에 대한 기록을 볼 수 있다. 본 유물에 대한 명칭은 그 정확성을 밝히기는 어렵다. 이는 시기가 朝鮮前期이고, 또한 壬辰倭亂이전 기록 중 『朝鮮王朝實錄』이나 조선전기 士大夫의 기록인『眉巖日記』등에서도 赤古里 명칭이 적혀있긴 하지만 여자 저고리類에 대한 것을 확인하기에는 매우 어렵다. 반면『嘉禮都監儀軌』와 懿仁王后와 仁穆王后 『殯殿圖鑑儀軌』의 내용이 그동안의 연구자료로 보아 여성 上衣류의 가장 많은 내용을 담고 있어 이를 참조로 하면서 명칭을 알아보았다. 조선 전기의 『朝鮮王朝實錄』에 기록된 上衣류의 명칭에는 과두 · 赤古里 · 衫兒 · 唐衣 · 唐衫 · 견마기(겹隔音) · 고의(串衣) · 好袖 · 赤衫 · 汗衫 · 虛胸등이 보인다. 이 중 唐衣 · 唐衫 · 고의(串衣)라는 명칭은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이후에 보이며, ·· · 견마기(·隔音) · 虛胸은 임진왜란 이전에만 보인다. 이 중 ··와 虛胸은 남자에게만 사용된 저고리며 虛胸은 다른 문헌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嘉禮都監儀軌』에 기록된 赤古里는 單赤古里 ·赤古里 ·유赤古里로 홑 · 겹 · 솜 등의 구성방법을 알 수 있는 명칭과 仁祖莊烈后(1683) 가례 시 短赤古里는 靑金線 · 藍金線 등의 화려한 피륙을 사용하였고 串衣 · ·· · 胡袖 등은 尙宮 · 妓女 · 乳母 · 騎行內人 · 步行內人 · 本宅內人의 의복에는 포함되지 않아 신분이 있는 여성의 옷임을 알 수 있다. 衫兒 · 闊衫兒 · 闊汗衫은 흰색으로 모두 저고리 속에 입은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蓋· · ·胡袖 등의 명칭도 보인다. 그러나 기록에는 같은 내용으로 반복되고 있어 형식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光州에서 출토된 積城李氏(女, 1458~1538년)의 유물은 총 36점으로 이 중 복식류는 28점이며, 대부분 홑옷이거나 雪綿子가 들어있는 겹옷이다. 그 중 본 연구에서 다룰 저고리류는 11점이다. 積城李氏의 저고리류에서 긴저고리는 깃이 목판깃으로 길이는 80㎝ 내외로 대부분 綿紬나 吐紬로 되어있다. 무늬가 있는 것은 1점으로 蓮花紋緞 긴저고리이며, 나머지 겹으로 된 긴저고리 6점 가운데 1점은 저고리의 앞길에 접음이 있는데 장식적인 역할인지 기능적인 면 때문인지 더 연구해야할 과제이다. 중간저고리는 2점 중 1점은 70㎝ 내외로 목판깃이며 옆이 트여있고 겉깃과 안깃이 모두 섶과 나란히 들여 달려있고, 1점은 옆이 막힌 곁막음으로 겉깃은 들여달리고 안깃은 내어달린 모양이다. 홑적삼 1점은 깃이 모두 들여달려 있으며 조선 전기 바느질 특성으로 나타난 옛쌈솔, 통솔, 온박음, 말아감침 등 다양한 기법이 보인다. 짧은저고리가 1점 있는데 실고리 하나와 옷고름이 남아있다. 보수처리의 1차 작업으로 세탁하였는데도 검은 固形異物質이 남아있어 수의로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 긴저고리 외의 나머지 4점은 깃의 위치나 장식이 없는 것으로 보아 긴저고리 안에 입는 옷으로 생각된다. 겹저고리, 장옷, 겹치마 등 겹옷의 안에는 雪綿子가 들어있다. 저고리의 고름은 수의로 보이는 한 점을 제외하고 모두 뜯겨서 없다. 남아 있는 것도 겉고름만 2점뿐이다. 이는 수의에 사용된 고름은 떼지 않고 보공으로 넣은 옷의 고름은 뗀다는 속설을 따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속고름은 흔적도 찾을 수 없어 16세기 여자 저고리에서는 속고름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積城李氏 저고리 유물은 지방이지만 비슷한 시기의 다른 여자 저고리와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그 외 복식들은 앞으로 나머지 출토복식에 대한 연구의 과제로 남겨둔다.

      • 조선전기 불전 내부 공간의 변화와 그 의의

        윤선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조선전기 불전의 내부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로 고려후기 불전 내부와의 비교를 통해 그 변화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가지는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전기의 불전 내부에 대한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현재 남아있는 몇 동의 건물들을 중심으로 고려후기 불전들과의 비교를 통한 건축양식사에만 집중되어 왔으며, 그 결과 불전 내부의 변화배경과 그 의의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히고 있지 않다. 현존하는 고려후기의 불전에는 鳳停寺 極樂澱, 浮石寺 無量壽殿, 銀海寺 居祖唵 靈山殿, 修德寺 大雄殿이 있고, 조선전기의 불전으로는 鳳停寺 大雄殿, 開心寺 大雄殿, 無爲寺 極樂殿이 있는데, 이 두 시기의 불전 내부는 불단의 위치, 바닥마감, 천장, 창호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조선전기에 보이는 불전 내부의 변화의 양상을 밝히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1484년이라는 확실한 건립연대를 가진 조선전기의 불전인 개심사 대웅전의 불전 내부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 고려후기와는 다른 구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구성은 동시대의 강진 무위사 극락전이나 안동 봉정사 대웅전과(지우기), 이후의 조선시대 불전들에도 전반적으로 보이고 있다. 고려후기와 조선전기의 불전 내부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고려후기의 불전은 불단 뒤쪽의 내진주와 양측의 외진주가 동일선상을 이루는 正置法을 채용한 반면, 조선전기 불전인 개심사 대웅전이나 무위사 극락전의 경우는 내진주가 없으며, 봉정사 대웅전은 불단의 뒤쪽 내진주가 양측 외진주의 열보다 뒤에 위치하는 移柱法을 채용하였다. 둘째, 바닥 마감재가 전돌에서 마루로 바뀐다. 셋째, 고려후기 불전들의 창호는 正面의 어칸이 판장문, 양협칸이 살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반해, 조선전기에는 정면이 모두 문으로 되어 있고, 문의 종류도 살창 형식의 분합문으로 변화한다. 마지막으로 천장의 경우 고려후기 불전에서는 연등천장만 보이다가 무위사 극락전과 개심사 대웅전에 와서는 연등천장과 우물천장이 함께 나타난다. 고려후기에서 조선전기에 이르는 불전 내부공간의 이러한 변화는 당시 억불정책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사찰의 입지 역시 산지 입지가 주류를 이루게 되고, 규모에 있어서도 소규모화되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가람의 구성에 있어서도 기존에는 佛․法․僧의 三寶공간이 일직선상으로 질서정연히 배치되었던 것에 비하여 조선전기에는 中庭을 중심으로 건물들이 세워지고, 主佛殿과 僧坊을 중심으로 건립되는 등 간소화된 구성이 주류를 이룬다. 따라서 여러 가지 기능을 했던 그 외 여러 건물들은 생략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고, 생략된 이 여러 건물들의 기능은 결국 불전이라는 공간이 대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이는 불전 내부의 변화와도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불전 내부 구조의 변화와 이에 따른 기능적인 측면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불단의 변화를 살펴보면, 형태에 있어서는 이전 시기에 불상만을 안치하는 목적이었던 것과는 달리 조선전기에 이르면 공양물을 진설하기 위한 공간인 보조단을 두는 불단이 나타난다. 또한 고려후기 불전 내부의 불단 뒤쪽의 내진주는 양측면의 외진주와 동일선상을 이루는 반면, 조선전기에 와서는 불단이 뒤쪽으로 이동하는 이주법이 나타나는데, 이는 좀 더 넓은 예불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 두 번째는 바닥 마감의 변화로, 고려후기의 불전에는 전돌이 깔려 있었으나 조선전기의 불전에는 마루가 설치되었다. 물론 마루 설치는 조선전기에 와서 처음 시도된 것은 아니다. 백제의 익산 미륵사지 금당지에서 마루구조로 추정되는 유구를 찾아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마루구조는 조선전기에 보편화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마루구조는 한국 건축의 양식을 도입한 것으로써, 거주성을 높이고 집합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세 번째로 고려후기 불전의 정면은 어칸의 門과 협칸의 窓으로 구성되었던 것에 반해 조선전기의 불전은 正面을 門으로 제작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는 점에서 이전의 폐쇄적인 공간이 개방적인 공간으로 변화되었을 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조선전기 불전의 내부 변화는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먼저 이전 시기에 국가 주도 하에 대규모로 행해졌던 의례들이 조선전기에 이르러서는 일반 신도들을 위한 소규모 의례로 변화하였을 것이다. 즉, 야외에서 대규모의 의례들이 행해지던 때의 불전이 불상을 봉안하는 목적의 공간이었다면, 조선전기의 불전은 실내에서 의례를 행하는 공간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당시 불전 내부에서 수륙재나 영산재와 같은 추천재가 많이 행해졌다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또한 조선전기의 불전은 고려후기의 불전에 비해 여러 가지 기능을 할 수 있는 복합적인 공간으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기능들 중에서 조선전기의 사찰에는 佛․法․僧의 삼보공간 가운데 강학 공간인 법공간, 즉 강당이 생략되는 경우가 나타나는데, 불전이 그 기능을 대신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건축에 관련된 미술사 논고들은 양식사에 치중한 나머지 건축의 기능적인 면에 대해서는 소홀히 해 왔다. 그런 의미에서 본 논고는 현존하는 고려후기와 조선전기의 불전들의 내부공간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시기적인 배경에 따른 입지의 변화 등 종합적인 고찰함으로써 불전의 기능적인 면 또한 밝혀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In this study, the interior of Buddhist temple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dynasty is compared with the interior of Buddhist temples in the latter part of Goryo dynasty to find phases of changes during the period and the significance of such changes. Studies on the interior of Buddhist temple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dynasty have concentrated to date on the history of architectural style through the comparison with Buddhist temples in the latter part of Goryo dynasty with focus on a few extant buildings. As a result of it, detail reasons for changes of the interior of Buddhist temples have remained uncertain. Extant Buddhist temples of the latter part of Goryo are Geuknakjeon, or the hall of Paradise, of Bongjeongsa, Muryangsujeon, or the hall of Eternal Life, of Buseoksa, Daeungjeon, or the main hall, of Eunhaesa Geojoam and Daeungjeon of Sudeoksa, and those of the early part of Joseon are Daeungjeon of Bongjeongsa, Daeungjeon of Gaesimsa and Geuknakjeon of Muwisa. The interior of Buddhist temples in these two periods shows difference in the location of Buddhist altars, floor finishing, ceiling, widows and doors. To find new phases of changes in the interior of Buddhist temples that appeared in the early part of Joseon, this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aspects: The examination on the interior of Daeunjeon of Gaesimsa, which was built in 1484, the early part of Joseon dynasty, showed that it has a forma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latter part of Goryo dynasty, and such difference was also found from other Buddhist temples of Joseon, such as Geuknakjeon of Muwisa in Gangjin and Daeungjeon of Bongjeongsa in Andong. The comparison of the interior of Buddhist temple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with that of the latter part of Goryo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In the first place, the finishing material of floor changed from bricks to wood. In the second place, with reference to doors and windows, eokan of the facade of temples was panjangmun and both hyeopkan's were salchang in the latter part of Goryo dynasty, while the facade of temple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dynasty consisted of doors only, and type of doors changed from salchang to bunhapmun. In the third place, Buddhist temples in the latter part of Goryo period had the ceiling of yeondeung, while those in the early part of Joseon period had the ceiling of umul together with the ceiling of yeondeung, as the case of Daeungjeon of Gaesimsa and Geuknakjeon of Muwisa show. In the last, the pillar at the back of the Buddhist altar and two pillars on both sides we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latter part of Goryo period, while Daeungjeon of Gaesimsa and Geuknakjeon of Muwisa, temple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period, had no pillar at the back of the Buddhist altar and in Daeungjeon of Bongjeongsa, another temple in the early part of Joseon period, the pillar at the back of the Buddhist altar stood behind the row of pillars on both sides. These changes were caused by the repression policy of Joseon government toward Buddhism, which also caused retirement of Buddhist temples into deep mountains and reduction of size of temple buildings. There was also change in the layout of temple buildings. The systematic, linear arrangement of temple buildings, with the space for the three treasures of Buddha, the law of Buddha and Buddhist monk in the center in the period of Goryo was changed to simplified layout of building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with the main hall and Buddhist nunnery at the center and without many attached buildings. As a result, the functions of disappeared annexes are deemed to have transferred to Buddhist temple, which in turn, should have caused changes to the interior of Buddhist temples. Further inquiries into changes of interior arrangement of Buddhist temples and their consequential changes of functions produced some findings: With reference to changes of Buddhist altar, first of all, in contrast to former times when altars were only purposed to install the statue of Buddha, in the early part of Joseon dynasty appeared altars with subsidiary stand to set out food offered to Buddha on. In the latter part of Goryo period, the pillar at the back of the altar was erected on a line with two pillars on both sides, but in the early part of Joseon, it moved to the back of the altar, seemingly with the purpose to make more space for paying homage to Buddha. In the next, the brick floor of Buddhist temples in the latter part of Goryo was replaced with wooden floor in the early part of Joseon. Wooden floor had attempted in former times, as we assume from relics found at the former site of Mireuksa in Iksan of Baekje period that look like part of wooden floor, but it is believed that wooden floor had not come into wide use until the early part of Joseon. It is considered that the employment of wooden floor by Buddhist temples was their adoption of architectural style of residential housing in a way to secure a space for both of residence and gathering. The replacement of the facade in the latter part of Goryo that was arranged with a door of eokan and windows of hyeopkan with a facade arranged with only door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implies that the closed space in Goryo period was changed into open space in Joseon period. We can infer two things from the changes of the interior of Buddhist temple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as we have seen above. The first implication is that large-scale rites that had been held under the auspices of the state in former times were changed into small-scale rites for general believer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In other words, while the main purpose of Buddhist temples in former times when large rites were observed outdoors was to enshrine the statue of Buddha, Buddhist temple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when small-scale rites were held at courtyard or inside the temple were a space to held rites. The fact that chucheonjae's, such as suryukjae and yeongsanjae, were frequently held inside temple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supports this assumption. Buddhist temple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suggest that they performed much more functions than those in the latter part of Goryo, as we can infer from the fact that Buddhist temples in the early part of Joseon had no lecture hall, one of three treasures of Buddha, the law of Buddha and Buddhist monk, so the Buddhist temple is believed to have also performed the function of a lecture hall in the early Joseon. Studies on Korean architecture have concentrated on the history of architectural style and as a result, no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functional aspect of architecture to dat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sidered functional aspects of Buddhist temples through the study on interiors of Buddhist temples in the late Goryo and the early Joseon, and comprehensive aspects of periodic changes of Buddhist temples, including changes of location, were considered.

      • 朝鮮前期 樂務政策에 따른 舞童과 女妓의 變化樣相 考察

        김지은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part of cultural research of dance through the changing aspects of dancing children (or mudong) and female entertainers (or yeogi)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ased on main activities and facts found in the Joseon Dynasty Chronicles. The following can be summed up in relation with dancing children: 1. In the palace, the place of male musicians or dancing children was as important as that of female musicians. The term of dancing kids, opposite to female entertainers, implied the dancing children aged 11 to 15. 2. As mudong tended to replace yeogi in the early Joseon dynasty, mudong came to be abolished and revived according to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currents. Based on the custom of sexual distinction, female musicians were mostly replaced by male counterparts in the palace parties and receptions. 3. Dancing children were active in the royal court for the receptions after the subjects' bowing to the king and for the ceremonies to oust evil spirits. They were mostly selected from the lowest class and sometimes volunteered from the middle class. Female entertaine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Yeogi were public slaves to do musical performances in government organizations in the capital and local areas. The entertainers residing in Seoul were especially talented and received salaries for their living, 2. In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stage for yeogi in any events including shooting, following the tradition of the former Goryeo dynasty. Loud sexual misbehavior became a social issue, so the matter of abolishing female musicians was controversial. 3. In the early Joseon period, women entertainers were in charge of playing instruments as well as singing and dancing for female-only palace performances. In other events, female entertainers danced and sang while musicians played instruments. From 1433, 15th year of King Sejong, dancing kids were responsible for songs and dances in out-of-palace-guest receptions. Later, King Sejo modified the related Confucian system to let female entertainers do everything. 4. In the late Joseon years, dancing children sang to the music in guest-invited parties, while female entertainers sang and danced in palace-women receptions. The use of no female musicians for the parties for the outer guests implies sticking to the rule of sexual distinction and achieving good manners and customs. In sum, the activities of dancing children and female entertainers in the early-Joseon palace music played a great role in the formation of singing-dancing-music-playing culture and the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anks to them, the palace dance culture of early Joseon could be developed, and we can guess the cultural, historical, and political flows of those days. This study was the examination of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mudong (dancing children) and yeogi (female entertainers)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palace music in the Joseon dynasty. But there was a logical jump in linking Chinese music a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court music. This will be a future task to make up for through more thorough research. 본 연구는 무용의 문화적 연구방법론으로 조선전기 무동과 여기의 변화양상을 통해 중요 활동상황과 제도사적 사실을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사료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우선 무동(舞童)과 관련하여 종합적으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궁중에서 남악이나 무동의 역할이 여악 못지않게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조선전기에 여기의 대칭어로 사용되었던 무동이란 용어는 춤을 추는 11세에서 I5세까지의 나이 어린 동자를 일컫는 말로 사용되었다. 둘째, 조선전기 무동은 여기를 대신하는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여기의 제도와 함께 시대적 흐름과 역사적 정치사조에 따라 폐지되었다가 다시 부활하는 경향이 있었다. 남녀유별과 같은 풍속에 의해 궁중에서의 외연의 여러 잔치나 의식에서 여악을 혁파하고 남악으로 대체하는 경향이 일어났다. 셋째, 무동의 활동무대는 회례연에서는 궁중 정전에서 활동하였고, 궁궐 내에 나쁜 잡귀를 몰아내는 나례의식(儺禮儀式)같은 내정에서 활동하였다. 또한 무동 취재는 주로 천민계층에서 뽑아 충당하였으나, 자진한 양인계층의 총명한 동자도 아울러 뽑았다. 또한 여기(女妓)에 대해 종합적으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기는 중앙과 외방의 국가기관에서 신역(身役)으로 가무악을 하는 여자를 가리키며, 신분은 공천이었다. 중앙에 상주하며 활동하는 장악원 여기는 대개 외방여기 중 재예가 뛰어나 뽑힌 자들이며, 나라에서는 봉족을 주어 생활을 도왔다. 둘째, 건국 초는 고려의 전통을 이어 어느 연향에서나 여기를 쓰고, 그 밖에 강무(講武)할 때나, 수레 앞에도 여악에서 여기는 활동하였다. 그런데 여기들로 인해 남녀 행실이 어지러워지는 폐단이 야기되어 여악폐지론이 논의되기도 하였다. 셋째, 조선전기에 남자악공이 들어갈 수 없는 내연에서는 여기가 악기연주와 춤과 노래를 모두 담당했지만, 그 외의 연향에서는 대개 악공이 악기연주를 하고 여기가 춤과 노래를 공연했으나 세종 15년(1433)부터 외연에서는 무동이 춤과 노래로 이루어진 정재를 공연하도록 했다. 그러나 세조는 성리학 이념에 입각한 제도를 편의적으로 수정하여, 외연의 정재에서도 여기가 가무악을 담당하게 하였다. 넷째, 조선전기에 있었던 훈구파와 사림파의 여악에 대한 견해는 정반합을 거쳐, 조선 후기에 외연에서는 악공 반주에 맞춰 가무동이 노래와 춤을 하고, 내연에서는 여기 또는 관현맹인 반주에 맞춰 여기가 춤과 노래를 하는 제도가 정착됐다. 이렇게 궁중 외연에 여악을 쓰지 않는 것은 남녀 분별을 엄격히 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좋은 풍속을 이루고자 함이었다. 이상 종합적으로 요약한 내용에서 보듯이 조선전기 왕립음악기관에서의 무동과 여기의 활동상황은 가무악 문화 형성과 우리의 전통을 전승시키는데 중요한 구실을 담당하였던 것이다. 그들이 조선전기 궁중의 무용문화를 전승시키고 발전시킨 것에 대하여 역사적으로 중요시되어 마땅한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통해서 그 당시 우리의 전통 예술 문화를 펼쳐 보는 것뿐만 아니라 당시 역사적 정치사조(政治思潮)를 추측해 보는데도 중요한 사실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와 같은 관점에서 조선시대 정재를 담당했던 무동과 여기의 문화사적 의의 내지 그 존재론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러나 중국 고대 예악 관념의 조선적 수용, 특히 정재의 사상적, 이념적 배경과 접목되는 지점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논리의 비약이 있을 수 있음을 절감한다. 이러한 점은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보완될 수 있으리라 믿어지며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둔다.

      • 朝鮮前期 石塔 硏究

        송지현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조선전기는 ‘억불숭유’의 이념이 저변에 깔려 전대에 비하여 불교계가 위축되고, 佛事가 감소하게 되었다. 그러나 왕실의 주도로 이루어진 불사가 다수 이루어졌으며 적지 않은 수의 석탑이 건립되었다. 이는 朝鮮王朝實錄을 비롯한 현전하는 여러 문헌기록을 토대로 조선전기 탑 건립 현황과 조성상황에 대해 살펴 볼 수 있었다. 조선전기 석탑의 현황에 대해서 조선 건국 1392년을 기준으로 임진왜란이 있던 1592년 내외까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남한과 북한 통틀어 총 21여기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에 동시기 다른 불교미술품에 비해 수량적으로 적었던 이유에 대해 억불숭유 정책으로 인한 시대적 상황, 조선전기에 佛殿, 불상, 범종 조성 등이 주류를 이루게 되어 석탑 건립이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진 점, 실용적인 면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라고 파악하였다. 조선전기 석탑의 지역적 분포를 살펴보면 15세기 석탑은 조선시대에 있어 대부분의 석탑이 건립되었다. 수도 한양을 중심으로 현재 경기도권과 강원도권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왕실 불사와 관련이 있다고 파악했다. 16세기에는 15세기에 비해 적은 수의 석탑이 건립되었고, 수도권을 벗어나 지리산과 묘향산 산간지역에 위치해 있는데, 이는 불교의 탄압이 본격화되면서 일부 승려를 중심으로 그들의 문도들을 통해 산중불교시대로 이행되어가는 과정이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했다. 조선전기 석탑의 유형 분류로는 일반형의 평면방형기단, 특수형의 불사리탑, 다각다층탑 유형의 亞자형 기단 다층탑, 팔각다층탑의 4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조선전기 석탑의 양식 변천으로는 15세기의 석탑은 고려시대 석탑 양식을 계승하였으며 전대에 비해 규모가 작고 세장하나 다층인 경우가 많으며, 단층기단으로 기단부가 간략화 되었다. 그리고 장엄 조식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 탑이 공예화, 장식화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6세기는 불교의 탄압이 본격화되어 점차 산중불교시대로 이행되어갔다. 따라서 16세기의 석탑은 15세기의 석탑의 지역적 분포와는 차이를 보이는데 모두 한양 도성 내에서 벗어나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진 지리산과 묘향산 등 산간지역에 있는 사찰에 건립되었다. 그리고 15세기에 건립된 석탑의 수와 비교해 보았을 때 절대적으로 건립 수가 적고, 양식 또한 이전 양식을 계승하거나 인근 지역 석탑을 모방하는 특징을 보였다. 조선전기 석탑의 특징과 의의에 대해 정리해보면 먼저 특징에서는 구조적 특징으로 기단부와 탑신부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석탑의 규모가 작아지면서 상대적으로 기단부의 표면 조식이 강조되어 다양한 장엄 조식이 나타났던 것 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일반형 석탑과 특수형 석탑의 양식적 공유현상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조선전기 석탑과 동시대 석조물과의 양식적 공유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양식적 공유의 배경으로 김사행과 박자청에 비롯한 여러 감역관과 공장으로 참여한 승려 등에 의해 불교 석조물의 양식과 조선 왕실 석조물을 비롯한 건축물 등에서 서로 양식적 공유가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조선전기 석탑의 사리신앙과 탑 내 봉안유물에 대해 살펴보았다. 15세기에는 탑 내에 불상을 봉안하는 현상이 유행하였으며 다수의 탑에 봉안된 佛龕과 水晶製 사리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조선후기 석탑으로 이행되면서 양식에 있어 간략화, 단순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선시대 석탑의 계보가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전기 석탑은 조선의 억불숭유 정책 아래 건립 기수가 많지 않고, 편년을 파악할 수 있는 석탑이 한정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불탑의 지속적인 건립과 사리신앙이 계속됨을 알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In early Joseon Dynasty, the Buddhism withdrew and the Buddhist temple declined compared to previous period due to prevalent idea of oppressing Buddhism and revering Confucianism. However, many Buddhist temples were built by the royal family and numerous stone pagodas were constructed. The construction of pagoda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can be observed in various literature record including『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observed the status of stone pagoda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from 1392 when Joseon Dynasty was founded to 1592 when Japanese Invasion occurred. Also, this study researched on 21 records from North and South Korea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 number of stone pagodas were less than other Buddhist art works during the same period because Buddhist temple, Buddha statue, and Buddhist temple bell were mainly made due to oppression of Buddhism and due to emphasis on practical aspects. In regional distribution of stone pagoda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most stone pagodas of the Joseon Dynasty were built in 15th century. The stone pagodas were largely distributed around Gyeonggi-do region and Gangwon-do regions focusing on the capital, Hanyang and such distribution is related to Buddhist temples built by the royal family. In the 16th century, fewer stone pagodas were built compared to 15th century. The stone pagodas built in 16th century were located in Jirisan Mountain and Myohyangsan Mountain which are distant from the capital. Such distribution reflects the time when the oppression of Buddhism got active and some of the Buddhist monks moved to mountain regions. In types of stone pagoda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study divided the stone pagodas into general flat square-shaped stylobate, special stupa pagoda, multi-storied 亞-shaped pagoda, and octagonal multi-storied pagoda. In change of styles for stone pagoda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tone pagodas made during the 15th century inherited the stone pagoda style of Goryeo Dynasty. Although the pagoda became small and slender than the previous period, the stone pagoda had multiple stories and the stylobate part was simplified into a single story. Also, the stone pagodas became crafts and decorations with various styles of magnificent ornaments. In 16th century, the mountain Buddhism gradually appeared due to active oppression toward the Buddhism. Therefore, the stone pagodas built during the 16th century show different regional distribution compared to stone pagodas of the 15th century. All stone pagodas of the 16th century were built in mountain regions such as Jirisan Mountain and Myohyangsan Mountain far away from the capital. In addition, when comparing the number of stone pagodas built in 15th century and 16th century, significantly fewer number of stone pagodas were built during the 16th century. In terms of style, the stone pagodas of the 16th century inherited the previous styles or imitated the stone pagodas in the nearby regions. To organiz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stone pagodas made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study observed composition of stylobate and pagoda body for structural characteristic. Also, as the size of stone pagodas got smaller, the surface ornament of the stylobate got emphasized relatively and various magnificent ornaments appeared. Such facts show how general stone pagoda and special stone pagoda shared styles. In addition, the stone pagodas and stone works made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shared styles. The stone pagodas and stone works shared styles as Buddhist monks and inspectors including Sahaeng Kim and Jacheong Park shared styles in Buddhist stone works and royal stone works. In addition, this study observed Sarira Belief and artifacts enshrined in stone pagoda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15th century, there was a trend of enshrining Buddha statue inside the stone pagoda and this study examined the Buddhist shrine and sarira reliquary enshrined inside the stone pagoda. Lastly, during transition to late Joseon Dynasty, the style stone pagoda got simplified. In early Joseon Dynasty, fewer number of stone pagodas were built due to oppression of Buddhism and reverence of Confucianism and the chronology can be identified for limited number of stone pagodas. However, the stone pagodas were continuously built and Sarira Belief continued even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 朝鮮前期 士禍와 政治 엘리트의 性格 : 『居昌愼氏世譜』에 나타난 사화 연루자의 사례연구

        정병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조선전기 대표적인 훈구가문이라 할 수 있는 거창 신씨의 사례를 통하여 조선전기 정치 엘리트의 성격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조선전기 사화와 그 관련자들을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거창신씨세보』속에서 조선전기 사화와 관련된 가해자 · 피해자의 인물들을 찾아낸 후, 피해자를 중심으로 본관 · 거주지 ·出仕 · 혼인관계를 알아보고 가해자와 피해자의 친족관계를 살펴보았다. 그것은 사화의 피해자가 통상 사림들의 범주에 해당하는 부류라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당시 정치 지배 집단에 있어서 본관은 상호 인식이 가능한 제한된 혈연집단이라는 점에서 피해자의 본관은 특정 정치 집단을 지칭하는데 적절하다. 그리하여 이를 파악한 결과 83%가 조선전기 거족 가문 출신이었다. 더불어 거주지를 알 수 있는 피해자 중 75%가 한양 그리고 한양과 가까운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었다. 피해자 14명 중 8명 즉, 57%가 문과급제자 내지현량과 최종 합격자로서 그 당시 최고의 정치 엘리트였으며, 나머지 4명은 무과 · 천거 · 소과에 합격한 사람들이었다. 피해자의 혼인관계를 살펴보면, 혼인관계를 알 수 있는 妻의 본관들은 대부분 조선전기 거족가문이었다. 가해자와 피해자 친족관계를 살펴보면, 조선전기 사화 당시 가해자와 피해자가 같은 친족원이었다. 신거관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서 가해자가 되기도 했으며, 피해자가 된 것은 대표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사화의 피해자는 한국사 통설에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사림의 이미지와는 거리가 있다. 사화에서 가해자로서의 훈구파, 피해자로서의 사림파라는 조선전기 상이한 정치세력으로서 훈구파와 사림파에 대한 이분법적 이해를 재고하여야 한다는 와그너 교수의 견해를 뒷받침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조선전기 정치세력은 와그너 교수가 제기했듯이 양자가 이질적인 집단이라기 보다는 동질적인 집단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elites of the early Chosun by looking into the Keochang Shin family, a remarkable conventional clan in that period.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observed he four main massacres of Confucian scholars occurred in the early Chosun and those who were related to the tragedies. In detail, the researcher looked up 'The Genealogy of the Keochang Kim Family」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ssaulters and victims related to the four main massacres of Confucian scholars occurred in the early Chosun. Concerning the assaulters, the researcher examined their places of origin and residence, governmental positions, marital relations and kinships with the victims, under the presupposition that those victims often belonged to the group of newly emerging, young Confucian scholars. The place of origin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blood relationships among people, so it can be used to point out particular political groups,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victims as mentioned above. 83% of the assaulters originated from distinguished large families of the early Chosun. 75% of those victims whose residential places were clearly determined lived in Hanyang and neighboring Kyunggi Province. Out of the 14 victims, 8 or 56% were then top political elites who had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or the test of Hyunrayng, while 4 were advanced into governmental positions through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recommendations or low-level tests. In regard to marital relations, most of the wives of the victims originated from distinguished large families of that period. In terms of kinships between assaulters and victims when the four main massacres above mentioned occurred, the two groups were relatives in many cases. Especially, Sin Keo Kwan became an assaulter and victim according to political interests at the time of the massacres. The Victims were somewhat different with young Confucian scholars often suggested by general theories regarding Korean history. According to professor Wagner, it is necessary to review a dichotomy distinguishing the faction of young Confucian scholars as the victims from that of conventional Confucian scholars as the assaulters. As suggested by the professor, the two political powers of the early Chosun were not completely heterogeneous, but rather homogeneous.

      • 조선전기 한글 보급과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강유주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87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spread and utilization of Hangeu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unminjeongeum (訓民正音), the name of Korean unique alphabet, shows the purpose of its creation was educational from the origin, as the name literally means ‘Proper sound to Instruct the People’. Contrary to the perception of general public that only lower classes and women used Hangeul until modern times, Hangeul was a character used by every class of the society through the Joseon Dynasty. And Hangeul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the educational cognition, by being used for different purposes in various fields and greatly contributed to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through the period. In Chapter II, the researcher examined the dissemination of Hangeul, focusing on textbooks of Hangeu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review lead us to a conclusion that 「Yeui」(例義) and 「Haerye」(解例)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should be considered as the first textbooks of the new character, for which describes the principle of letter design and explains how people can combine each phonemic symbols to syllable unit(letter). 『Yongbieocheonga』 showed the practical usage of the new created character and took an important roll for Hangle distribution as a high quality literature written in Hangeul for the first time, even considering its experimental trait. 「Hunminjeongeum Eonhae」, which is included at the beginning of 『Wolinseokbo』(月印釋譜), is a Korean translation of 「Yeui」 of 『Hunminjeongeum』'. This was a good model presenting the educational procedure and order how to teach Hangeul first and then reading books based on the knowledge of Hangeul.. 「Eonmunjamo」(諺文字母), which is recorded after the legends of 「Hunmongjahoe」(訓蒙字會), is evaluated as a textbook with unique value that standardized the contents and format of Hangeul learning. In Chapter III the researcher examines the aspects of Hangeul usage through various work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classified into Chinese character study books, unseo(Chinese character rhyme reference book), literary books, Buddhist scriptures, enlightenment books, Confucian scriptures, and practical books, and for each books and work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were inventoried under the index of main target reader(learner), purpose of writing,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each works. Through this analysis, the fact was confirmed that Hangeul was used, corresponding to the learner's social status, for various purposes and fields such as learning Chinese characters, studying poetry and classics, studying scriptures, and acquiring practical knowledge. Moreover, in most of Hangeul documents of this period, more exactly Chinese and Korean bilingual texts except unseo, 『Dusieonhae』, and some Confucian scriptures, Hangeul gradually replaced Chinese character, so the proportion of the use of the two characters was reversed and Hangeul became more dominant. In Chapter IV, the researcher demonstrated how the spread and dissemination of Hangeu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fluenced the change of education, and so how i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in 4 perspectives; diversification of literacy education by class, expansion of learner group, changes in education format, and differentiation of the types of teaching materials. Firstly, the literacy education had been diversified by social classes. 15th and 16th centuries' literacy education can be classifed for its learning object as Chinese character monolingual literacy, Chinese character-oriented bilingual literacy, Hangeul-oriented bilingual literacy, and Hangeul monolinugal literacy, and this led to the explosive rise of literacy rate. Secondly, education target group was expanded. By the 16th century, the dissemination of Hangeul was expanded to all classes of the society, so even the lower classes and women who were previously excluded from educational opportunities became eligible for education. Thirdly, there was a change in the educational formats. While apprentice system was dominant in education in the previous period, the new generations were able to study by themselves with Hangeul documents and books, for Korean translations let anyone overcome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o be a subject and obeject of teaching and learning fields. Fourthly,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s were differentiated. Canons inherited only in Chinese Classic types were edited and revised into Hangle(Korean) translations, commentary editions, Hangle-original creations, anthologies, and conveniently used for various purposes of education. In short, Hunminjeongeum [Hangeul] was a character that was spread to all classes, from the royal family, the nobles, the commoners, to the ordinary people, and was actively used in various fields from learning Chinese characters to acquiring practical knowledge.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widespread dissemination of Hangeul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such as the differentiation of literacy education by class, expansion of learner group, changes in education format, and diversification of the types of teaching materials. 이 연구는 조선전기 한글 보급과 활용이 갖고 있는 교육적 의의에 대해 검토하였다. 우리 고유의 문자인 훈민정음, 즉 한글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말뜻 그대로 창제 목적 자체가 교육적이었다. 근대 이전까지 한글이 하층민과 부녀자들의 문자였다는 세간의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한글은 조선시대에 모든 계층이 사용하던 문자였다. 그리고 한글은 여러 방면에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어 당시 교육의 변화와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조선전기의 한글 학습용 교재를 중심으로 한글의 보급 상황을 검토하였다. 논문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훈민정음이라는 새로운 문자의 제자 원리와 실제 표기 용례를 제시한『훈민정음』의 「예의」와 「해례」는 최초의 한글교재라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글의 실제 사용례를 보여준『용비어천가』는 실험적인 성격을 띄고 있었지만 완성도 높은 최초의 한글 문학작품으로서 한글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월인석보』의 권두에 수록된「훈민정음 언해」는 『훈민정음』의 예의편을 한글로 번역한 것으로, 한글을 익힌 다음에 한글을 활용하여 편찬한 책을 읽어 나가게 하는 교육 순서와 절차의 모범을 보여주었다. 『훈몽자회』의 범례 뒤에 수록된「언문자모」는 한글 학습의 내용과 형식을 규범화한 독보적인 가치를 가진 한글교재로 평가된다. 제Ⅲ장에서는 조선전기 다양한 방면의 한글 문헌을 통해 한글 활용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전기 한글 문헌을 한자 학습서, 운서, 문학서, 불교서, 교화서, 유교 경서, 실용서 등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주대상 계층과 목적, 특징, 의의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글이 계층에 따라 한자 학습, 시문 공부, 경서 학습, 실용 지식 습득 등의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자와 한글 이중 언어 텍스트라 할 수 있는 이 시기의 한글 문헌들 가운데 운서류, 『두시언해』, 일부 유교 경서류를 제외한 거의 모든 문헌들에서 점차 한글의 비중이 한자보다 높아지는 문자의 치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조선전기 한글 보급과 활용이 당시의 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계층별 문해교육의 분화, 교육대상의 확대, 교육방식[형태]의 변화, 교재 종류의 다양화라는 네 가지 주제로 논하였다. 첫째, 계층별 문해교육의 분화이다. 15-16세기 문해교육은 한자 단일문해, 한자의 비중이 높은 한자·한글 이중문해, 한글의 비중이 높은 한자·한글 이중문해, 한글 단일문해 등 계층별로 다양화하여 이전 시기에 비해 식자층이 크게 늘어났다. 둘째, 교육 대상의 확대이다. 16세기에 이르러 한글 보급이 확대되면서 이전까지 교육의 기회에서 소외되었던 하층민과 부녀자들까지 교육의 수혜자가 되었다. 셋째, 학습 방식[형태]의 변화이다. 이전에는 사제 관계에 의한 도제식 교육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이제는 한글 문헌을 통해 자학 또는 자습이 가능해지고, 한글 문헌만 있으면 시공간의 제약없이 누구나 가르치고 배우는 주체가 될 수 있었다. 넷째, 교재 종류의 다양화이다. 이전 시대에는 한문원전류 단일교재에서 한자와 한글 조합방식에 따라 언해서류, 주해서류, 한글창작서류, 발췌편집서류 등으로 교재 유형이 다양화하여 여러 목적으로 교육에 활용되었다. 요컨대 훈민정음[한글]은 양반 사대부는 물론 여성, 하층민에 이르기까지 전 계층에 보급된 문자였고, 한자 학습에서부터 실용 지식의 습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면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즉, 한글은 계층별 문해 교육의 분화, 교육대상의 확대, 학습방식의 변화, 교재 종류의 다양화 등 조선전기 교육의 변화와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 조선전기 포의 형태적 특징을 응용한 여성복 연구

        정주란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87

        포는 가장 겉으로 드러나는 복식이며, 의례에서는 필수적인 복식이었을 뿐만 아니라 계절과 관계없이 평상시에도 늘 착용되었던 의복이다. 포는 시대별로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며, 단순하고 직선적인 형태이지만 다른 아이템과 함께 착용함으로써 단순한 실루엣에 여러 가지 변화를 주어 다양하고 뛰어난 미적 감각을 느낄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선전기 포의 형태적 특징을 응용한 여성복 개발에 관한 연구로 한복을 응용한 여성복의 다양화와 대중화에 기여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인터넷 자료 및 SNS 등을 통해 한복을 응용한 여성복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포를 응용한 여성복 디자인의 비중을 분석하였다. 이에 포를 응용한 디자인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조선전기 생활문화를 살펴보았으며, 조선전기 포의 형태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는 젊은 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편안하고 쉽게 착용할 수 있는 여성복 디자인을 개발하여 자켓 3점과 코트 4점 총 7점의 여성복을 제작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복을 응용한 여성복 현황을 통해서 2014년부터 한복의 소비가 증가함으로 한복 시장이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복을 응용한 여성복 현황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셔츠와 블라우스, 치마의 아이템에 비해서 포를 응용하여 자켓과 코트를 디자인한 아이템이 부족함으로 포의 형태적인 특징을 응용한 디자인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한복을 응용한 여성복의 특징은 대부분 실루엣을 그대로 사용하여 비슷한 디자인이 나타났으며, 한국적 이미지가 강한 깃, 고름, 동정 등을 많이 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켓과 코트는 도포와 두루마기의 실루엣을 많이 응용하였으며, 목판깃, 고름, 동정을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조선전기 출토된 다양한 포류에서 깃, 섶, 무, 주름, 소매 등의 형태적인 특징을 보였다. 철릭과 직령, 답호의 깃은 시대별로 이중 예각깃, 이중 칼깃, 칼깃 순으로 형태적인 변화를 보였다. 단령의 깃은 둥글며, 좁고 깊이 파이지 않았다. 액주름의 깃은 대부분 칼깃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중깃도 공존하였다. 방령은 네모난 깃이 달렸으며, 아래로 이중의 하령이 달린 형태와 달리지 않은 두 가지의 형태를 볼 수 있었다. 장삼의 깃은 겉섶 쪽에는 깃을 달지 않고 겉섶 상부를 젖힌 번령이 특징적이었다. 장삼은 단섶이었으며, 다른 포들의 섶은 대부분 이중섶이었으나 단섶도 있었다. 무의 주름과 트임은 활동성에 편리함을 주며, 장식적인 효과도 준다. 주름은 철릭의 하상과 액주름의 무, 방령의 섶에서 볼 수 있었다. 철릭, 직령, 단령은 착수, 통수, 두리소매 순으로 변화되었으며, 철릭의 소매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답호와 방령의 소매는 짧은 형태이며, 장삼은 소매 끝에 한삼이 달린 것이 특징적이었다. 셋째. 조선전기 포의 형태적 특징을 고찰한 결과를 응용하여 20~30대의 젊은 여성들을 위한 디자인을 개발하였으며, 작품 제작에 앞서 각각의 디자인은 철릭, 직령, 단령, 답호, 액주름, 방령, 장삼의 형태적인 특징을 응용하여 편안하고 친숙하게 입을 수 있도록 현대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조선전기 포의 형태적 특징을 응용하여 작품을 제작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품 1은 철릭의 이중깃을 응용하여 목에 두르는 목도리를 제작하였다. 하상의 주름을 응용하여 코트의 뒷부분에만 주름을 잡아주었다. A라인 실루엣으로 앞에서 본 이미지는 심플하면서 세련된 이미지를 주며, 뒤에서 본 이미지는 캐주얼한 느낌을 주어 두 가지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작품 2는 직령의 칼깃과 목판깃의 형태를 응용하여 크기와 형태가 다르게 표현하였다. 코트의 앞부분에는 이중 섶의 형태를 응용하여 대각선으로 절개한 후 하얀색으로 반대색 배색하여 포인트를 주었다. 작품 3은 단령의 둥근깃 형태를 응용하여 자켓의 네크라인을 둥글게 디자인하였다. 단령의 겉섶을 응용하여 자켓의 앞부분에 절개라인을 주었고 바깥쪽 라인을 사선으로 떨어지도록 표현하였다. 긴 직선 소매로 제작하여 원하는 길이만큼 접어 입을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작품 4는 예각깃의 형태를 만들어 코트의 앞여밈 부분에 달아주었으며, 이중의 칼라로 보이도록 디자인하였다. 답호의 반소매를 응용하여 코트의 넓은 반소매로 제작하였다. 레이어드룩을 연출할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옆이 트인 무의 형태를 응용하여 활동하기 편리하도록 코트의 옆 부분에 트임을 주어 제작하였다. 작품 5는 액주름의 칼깃을 응용하여 자켓의 칼라부분을 숄칼라 형태로 제작하였다. 자켓의 앞부분은 이중 섶을 응용하여 절개 라인을 주었다. 액주름을 응용하여 옆 부분에 주름을 잡아주었으며, 자켓의 여밈은 입고 벗기 편리하도록 스냅단추를 달아 주었다. 작품 6은 방령의 네모난 깃을 응용하여 탈부착 가능한 목도리를 제작하였으며, 착용 유무에 따라 두 가지의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자켓의 여밈은 지퍼를 달아 주어 캐쥬얼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쉽게 입을 수 있는 디자인이다. 소매는 방령의 직선배래를 모티브로 팔의 움직임이 편리하도록 팔꿈치 부분에 다트를 주었다. 작품 7은 장삼의 번령 형태를 응용하여 젖혀진 부분이 강조될 수 있도록 겉감은 검은 남색과 안감은 탁한 주황색이 합포된 소재를 사용하여 무늬가 있는 실크원단으로 트리밍을 둘러주었다. 무의 옆트임을 응용하여 코트의 옆 부분에도 트임을 주어 활동하기 편하도록 제작하였다. 소매는 장삼의 직배래와 한삼이 달린 형태를 모티브로 직선 소매와 소매 끝부분에 다른 색상의 실로 스티치를 주어 구분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조선전기 포는 다양한 형태적 특징들이 있었으며, 이러한 특징들을 응용하여 현대 여성들이 선호하는 색상과 소재를 접목한 현대적인 여성용 자켓과 코트의 디자인을 개발 및 제작할 수 있었다. 젊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대를 위한 현대적 감각의 여성복들이 개발되어 한복의 대중화와 세계의 패션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는 분야로 성장하길 기대해 본다. Po, the outermost layer of clothing, were essential in ceremonial settings, and were also a staple of everyday costume in all seasons. Each period had distinct styles of Po, and mostly featured simple, straight lines, but were paired with different items to alter the silhouette, showing a diverse and exquisite sense of aesthetics. This research aims to diversify and popularize Hanbok-influenced women’s costume, by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 to developing women’s clothing. The current state of Hanbok-influenced women’s costume was evaluated based on precedent studies and Internet and social media research, as was the usage of design elements applied from Po. The need to incorporate characteristics from Po was identified, and the culture of early Jose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Joseon Po were analyzed from precedent research. Based on findings from this research, three jackets and four coats were designed and produced, which can be easily incorporated into modern women’s costume. The conclusion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Hanbok market is growing, as evidenced by the increase in overall consumption of Hanbok-influenced women’s clothing since 2014. While evaluating the market, a shortage of jacket and coat designs incorporating characteristics of Po, compared to designs for shirts, blouses, and dresses was discovered, and the need to research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 was identified. Most women’s clothing designs with elements of Hanbok maintained a traditional silhouette, and incorporated distinctively Korean Git, Goreum and Dongjeong. Jackets and coats followed the silhouettes of Dopo and Durumagi, and favored squared-off Mokpan-git, Goreum and Dongjeong. Seco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Git, Sup, gussets, pleats, and sleeves from several fabric items discovered from early Joseon were observed. The Git found in various Chullik, Jikryeong and Dapho jackets exhibited morphological changes from double Yegakgit, to double Kalgit, to single Kalgit over different eras. The Git of Danryeong were round and narrow with shallow notches. The Git of Aekjureum were mostly Kalgit, with double Git versions as well. Bangryeong featured squared Git, with versions with and without double Haryeong below. Jangsam had distinctive Bunryeong, with the outer skirt forgoing a separate Git and instead folding back the top of the lapel. Jangsam were single-breasted, and other styles of Po were mostly double-breasted. The pleats and openings in the gussets enabled ease of movement, and also had decorative properties. Pleats were observed in the skirt of Chullik, the gussets of Aekjureum, and in the Sup of Bangryeong. The sleeves of various Chullik, Jikryeong and Danryeong evolved from Chaksu to Tongsu, and then to Durisomae, and in particular, the sleeves of Jikryeong were removable. Dapho and Bangryeong had short sleeves, and Jangsam featured distinctive Hansam at the ends, extending the sleeves. Third, seven items for modern young women were designed apply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 from early Joseon, with a focus on modernizing these elements from Chullik, Jikryeong, Danryeong, Dapho, Aekjureum, Bangryeung and Jangsam prior to production, to make them comfortable and familiar for consumers. For Item 1, a scarf was designed based on the Chullik’s double Git. The back of the coat was pleated similar to the pleats of skirt. It incorporates an A-line silhouette, giving it a simple yet sophisticated image, while also giving the back a more casual look. For Item 2, lapels of different sizes and styles were used, from the Kalgit and Mokpangit of Jikryeong. The front of the coat incorporates a double Sup design, with a white accent placed in a diagonal cut. Item 3 incorporates a round neckline design, influenced by the Danryeong. The jacket features a cut line in the front and a diagonal outline, applied from the outer Sup of Danryeong. The sleeves are long and straight, and designed to be folded to desired length. For Item 4, a double Yegakgit was used for the coat’s front closure, and designed to show the double lapels. The short sleeves of Dapho were modified into wide short sleeves for the coat. The coat was designed to achieve a layered look. A slide slit to enhance movement was added, based on gussets side openings. Item 5 took the Kalgit from Aekjureum and modified it into a shawl collar. The front of the jacket incorporates a double Sup design with cut lines. The sides are pleated similar to Aekjureum, and a snap button was used for the jacket closure for convenience. Item 6 features a detachable scarf based on the squared neckline of Bangryeong, enabling two distinct looks. A zipper was used for jacket’s front closure, giving it a casual look, and the sleeves have elbow darts for ease of movement, and are inspired by the straight Baerae of Bangryeong. Item 7 features an indigo outer layer with a heather orange lining with silk trim, accentuating the lapel when draped open. The side openings from gussets were incorporated for enhanced mobility. The sleeves took the style of the straight line and Hansam from Jangsam, with stitching to distinguish the two parts. In summary, Po from early Joseon had variou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hen these characteristics were applied to modern women’s costume design, it was possible to develop and produce women’s jackets and coats using contemporary colors and materials. I look forward to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Hanbok-influenced designs for women of all ages, leading to the popularization and increased global competitiveness of Hanbok. Keywords: Early Joseon, Po, Modernized Po desig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omen’s costume

      • 조선전기 왕실의 불교 신행과 사원

        고종호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7

        논문에서 하고자 하는 논지는 조선 불교 정책의 일관되지 않은 모습을 살펴봄으로서 조선 전기의 불교의 이중적 성격과 불교정책과 대비되는 현실적 모순을 통해 조선전기의 불교의 위치와 위상을 파악하고자 하며, 특히 조선전기 왕실과 불교와의 관계를 왕실사원의 운용과 불사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서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체제로서의 조선전기의 불교성격에 논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숭유억불시책과 왕실불교 신행의 전개에서는 조선 전기 불교정책의 배경이 되었던 조선전기 불교가 처한 사회적 상황을 검토하고자 당시 시대적 배경과 불교교단의 정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며, 또한 왕실의 불교의례의 설행과 왕실의 발원 유물을 통해 왕실과 불교의 관계에 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다음장의 왕실 사원의 운용과 분포에서는 왕실운용의 형태에 대해 논해 보고자 한다. 조선전기 왕실사원의 형태는 크게 궁궐내 사원과 태실사원, 능침사원, 진전부속사원 등으로 나뉘는데 본고에서는 궁궐내에 존재하였던 정업원과 내원당 그리고 도성밖에 운영되었던 태실사원과 능침사원에 대해 지역별 시기별 분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In the study on the Buddhist history, the Buddhism of the Joseon Dynasty was generally regulated as 'Sung-Yu-Eok-Bul(respecting Confucianism while suppressing Buddhism) and the study disregards the public Buddhism that can be a characteristic of the Joseon's Buddhism but understand that Buddhism retrogressed and was suppressed during the period. However, Buddhism had enjoyed a state religion position from its introduction in the mid of the 4th century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o the Joseon Dynasty and had been believed for around 1,000 years. Accordingly, Buddhism is believed that it did not decline or fell behind in a day due to the policy of Sung-Yu-Eok-Bul. In addition, in the early stage of the Joseon period various Buddhist masses not compliant to the discussions on Sung-Yu-Eok-Bul of the early Joseon period were active and royal temples of Buddhist services were built. This study found out two reasons for the occurrence of these phenomena. First, it is the correlation between Buddhism and the royal family in the early Joseon period. In spite of execution of Buddhism suppression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Joseon's royal family devoted itself to Buddhism and established royal temples. The establishment of Nungchim Temples (temple guarding the royal tombs) and Taesil Temples (placenta burial temple) is exemplary and this was attributed to the customs of Goryeo and the Chujon ceremony for ancestors. This is linked to the result to raise the authority and divinity of the royal family and the aspect of reinforcing royal power. In the end, Joseon performed the policy of Sung-Yu-Eok-Bul as the nation's fundamental idea but on the other hand, a policy of worship of Buddhism based on the royal family can be seen and due to this factor, Buddhism of the early Joseon period shows dual characters. Accordingly, through this, this study is going to discuss the practicability of the policy of Sung-Yu-Eok-Bul of the early Joseon period. Second, it pay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times belonging to the early Joseon period. The Joseon Dynasty was founded but the culture that the common people enjoyed was actually the product of Goryeo. Therefore, the early Joseon period in this situation renovated the custom and tradition of the Goryeo Dynasty and should be understood as a transition to create a new custom of Joseon and in the course, perfect renovation of the Goryeo's customs and difficulties that complete renovation was impossible conflicted each other. This transitional type regulated and defined the society of the early Joseon period only with Sung Confucianism and in practice, it was after the 16th century that the social order of sung Confucianism expanded to the common people. Accordingly, this study understands the early Joseon period as a transitional system under the policy of Sung-Yu-Eok-Bul and in order to discuss the dual character that shows coexistence of the policy of Buddhism suppression and worship of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is study will discuss the suggestions of the flow of the Buddhism from the latter half of the Goryeo period to the early Joseon period and religious society arrangement of King Taejong and the change from the Seungroksa system to Yangjongdohoeso by King Sejong. In addition, this study will explore the temple operation by the royal family and religious works of Buddhism through Suryunkjae and Buddhistic funeral rites, Neungchim temple and Taesil temple and examine the royal roles and the practicability of Buddhism suppression and their relationship.

      • 조선총독부의 전력통제와 일본질소비료회사의 전력사업

        정예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n extensive analysis on the activities of the Nippon Chisso Hiryo Kaisha(The Japan Nitrogenous Fertilizer Company 日本窒素肥料株式會社 hereafter Nichitsu 日窒) and its overall influence on the electric power industry in colonial Korea, particularly in the 1930s and 1940s. The 'development' of electricity in Korea had met a rapid growth during the colonial era. It was mainly influenced by the policy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ut the activities of Nichitsu also played the significant role in the process. The overall instability of Korea's socio-economic position as a colony in Japanese Empire led to several changes in the Government-General's decisions on economic policy; particularly it was becoming increasingly essential to the matters of industrialization in the 1930s and the war footing efforts in the 1940s. With the heavy shortage of their own finance and the lack of fiscal support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needed to seek investments from big civilian companies to 'develop' the electric power system. Due to the fact that Nichitsu was the largest civilian investor of the Korean electric power system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is possible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lectric power system and to deduce the peculiarities surrounding Korea's socio-economic position in the Japanese empire by extensively analysing the activities of Nichitsu. The power industry of Korea was concentr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materialized in the form of Nichitsu's hydroelectric power stations and power supply systems. Nichitsu's power industry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 reflecte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lectricity in Korea most directly. The demand for electricity had already grown considerably in Japan and Korea by the late 1910s. In Japan, free competition was encouraged between several electric companies. However, in Korea, only one electric company was allowed to operate in a specific zone to prevent overlapping investment. The electric companies in Korea took advantage of a monopoly in small-scale distributorship in local areas and managed to make large profits by charging high amount of fees to the local users. Therefore the electricity providers were largely indifferent to additional developments of power sources. As a result, the overall power supply in Korea became very unstable by the mid to late 1920s which led to several socio-economic problems. However,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still focusing greatly on agricultural development in Korea, believing that there was little potential in other forms of industries. As a result, there was little progress in solving the problem of Korean electricity shortage and no sufficient policies b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effectively regulate electricity. The successful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new hydroelectric power station by the Kongosan Dentetsu(The Geumgangsan Electric Railway Company 金剛山電氣鐵道株式會社) in the late 1920s, gave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new suggestions for the electric power development. Also, the Government-General's survey on the feasibility of hydroelectric power resources was deemed positive. Nichitsu, a rising Zaibatsu(財閥), began to invest in the Korean electric power system, mostly because of their prospect on relative predominance of Korean electric power industry compared to Japan where big electric companies monopolized the market. After successfully building the Bujeon River Hydroelectric Power Station in 1929 and the Chosun Nitrogen Fertilizer Company(朝鮮窒素肥料會社) in Heungnam, Nichitsu began to aggressively invest in their Korean properties, making a huge profit in return. In short, it is suffice to say that the cause of the power development in Korea was coming from Nichitsu's investment and capital. As time passed, the Great Depression of the 1930s brought heavy recession in the Japanese economy. With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suggestion of establishing the economic bloc of Japan-Manchuria(日滿)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the Japanese economy also needed to be reorganized to overcome this economic crisis. Reorganization during this time also affected Japanese electricity power suppliers and they began a series of self-regulation in accordance to the Japanese government's economic policy. In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ushed ahead with the onrush of industrialization by creating an influx of new capital from Japanese investors, there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economy in the Japanese economic bloc. It was, therefore, essential for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create a new set of control policies for the electric power development on a national level. This eventually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hosun Electric Business Act(Chosun Jeongi Saeopryeong 朝鮮電氣事業令)’ a special law for the new nationwide power provider in Korea, and the new construction plans for power station and power grid system. There were noticeable developments on electricity in Korea by the mid-1930s due to the amalgamation of several electricity providers into four big companies and Nichitsu's heavy involvement in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By this time, Nichitsu had been operating the two electricity-related companies, the Jangjin River Hydroelectric Power Company(長津江江水力發電會社) and the Chosun Power Transmission Company(朝鮮送電株式會社). Not only the Nichitsu's operation on these two companies satisfied the civilian demands, the company also had a capability of supplying large amount of electricity which was crucial for the Government-General's plan of Korean industrialization. Nichitsu had a stable business structure and it was capable of providing large sum of investments that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needed to replenish its deficient finance. With the Government-General's connivance, Nichitsu managed to earn a large sum of profit from the involvement of its dominant power industry. As a result of the Government-General’s tight financial situation, the control policy for the development was achieved by private monopoly capital. As Japan stepped more into aggressive foreign policy, particularly with the outbreak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of 1937, the socio-economic importance of Manchuria was heavily emphas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s a result,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gradually adopted the Japan-Manchuria(日滿) economic bloc policy which was the dominant socio-economic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since the early 1930s. This meant the discardment of the Government-General's own economic bloc policy, commonly referred to as the "Japan-Chosen-Manchuria"(日鮮滿) policy. Reorganization on a war footing also claimed much of the liberties in Japan and Korea. The electric power system and its maintenance policy in Japan and Korea was also heavily affected by this series of events, both gradually converting from the civilian, market-oriented system to the state-controlled system. In other words, national electric power management system was established in Japan and Korea for proliferating amount of electricity demand caused by the wartime industries. Throughout much of the late 1930s and into the early 1940s, Nichitsu was adopting itself to the Government-General's policy, especially with its massive power source development plan in the Amrok(Yalu, 鴨綠) river, which satisfied the interests of both Manchukuo and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Amrok River Hydroelectric Power Company(鴨綠江水力發電會社) was also led by Nichitsu, but most of the electricity supplied by this particular concern was in accordance to the "government-first" policy. After enforcement of the national electric power management policy, Korea Electric Power Company(朝鮮電業株式會社) was also established centered on Nichitsu which had the most superior electric companies. Nichitsu managed to keep their existing profit as much as possible even under the inherent wartime limitation until the very end of the colonial period, however it had lost most of its authority to the Japanese wartime policy. 식민지시기 전력산업은 총독부 정책과 일본질소비료주식회사(이하 일질)라는 민간회사 활동에 의해 급속히 성장하였다. 일본제국 내 조선의 위상은 공고하지 않았고 총독부는 시기에 따라 공업화 정책 및 전시체제로의 개편을 추진하며 제국 내 질서 변화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재정이 부족했던 총독부는 이 과정에서 민간 대자본의 협력이 필수적이었다. 일질은 전력산업 성장에 주도적 역할을 한 대표적인 민간 대자본이었다. 따라서 일질을 중심으로 조선 전력산업의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일본제국 내 조선의 지위와 조선경제의 성격을 구명할 수 있다. 조선의 發電力이 집중되어있던 북선 내 일질의 수력발전과 송전산업은 조선 전체 전력산업의 양적 ‘개발’ 양상을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한다. 1910년대 후반 일본과 조선에서는 전력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일본에서는 민간회사의 자유경쟁을 통한 전력산업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지역독점권을 가진 조선의 전력회사들은 이미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고 있었기 때문에 전원개발 등 근본 해결책에 소극적으로 대응하였다. 그 결과 전력산업의 발달 정도가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여러 사회 문제를 불러 일으켰다. 당시의 전력부족 문제는 전력회사가 단독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으로, 정책적 조정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식민지 초기 총독부는 조선의 농업에 집중 투자하며 그 외 산업의 발전 가능성은 낮게 판단하고 있었다. 따라서 정책상의 전력산업 개발과 업계의 조정에 소홀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력발전소를 건설한 금강산전기철도주식회사의 사례는 총독부에게 조선 전원개발의 가능성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총독부가 실시한 수력자원조사의 결과도 긍정적이었다. 이에 신흥재벌 일질이 조선으로의 사업 진출을 계획하였다. 전기화학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하던 일질은 거대 독점회사들에게 장악되어 있던 일본의 전력업계에 비추어 볼 때 조선 진출이 사업상의 비교우위를 갖는다고 판단하였다. 일질은 조선수력전기주식회사를 설립하여 거대 규모의 수력발전소를 건설하고, 흥남에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를 설립하며 조선 사업을 개시하였다. 대규모 전력개발의 본격화는 일질이라는 회사의 자본과 사적 투자 동기로부터 비롯되었다. 1930년대 세계공황으로 인해 일본 경제도 불황을 맞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日滿블록을 제창하였으며, 경제계도 재편을 맞이하였다. 민간회사의 자유경쟁으로 발전한 전력업계에도 자율적 통제의 움직임이 나타났다. 이러한 가운데 조선에서는 일본 대자본 유치를 통한 조선 공업화를 적극 추진하여 조선의 경제적 지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일질을 통해 조선의 대규모 전력개발 가능성을 확인한 총독부는 보다 본격적으로 전력통제를 통한 전력개발정책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조선전기사업령」과 발전 및 송전망 개발 계획이 수립되었다. 배전부문에서는 난립하던 배전회사들이 4개의 회사로 통합되었고, 발전과 송전 부문에서는 개발이 이루어졌다. 일질은 장진강수력전기주식회사와 조선송전주식회사를 중심으로 활발히 활동하였다. 민간의 요구도 있었지만, 공업화 추진을 위해서라도 총독부에게 전력개발은 시급하였다. 일질은 대규모 전력소비가 가능한 수익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막대한 자본을 충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총독부에게 필요한 대상이었다. 유착 하에서 일질의 전력독점은 용인되었고 따라서 큰 사업이익을 누릴 수 있었다. 1930년대 전력통제를 통한 개발정책은 독점 민간 자본을 통해 성취되고 있었으며 이는 식민지 조선 재정의 한계에서 비롯된 결과였다. 공황으로 촉발된 세계 각국의 경제 대립은 더욱 격화되었고, 일본은 대륙 침략체제를 본격화하였다. 조선 역시 일만블록의 질서에 순응할 필요가 있었다. 조선 특수성을 내세운 日鮮滿블록 추진 정책에서 제국 질서로의 전환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중일전쟁의 발발로 인해 일제가 전시체제로 개편해 가면서 자유주의 경제는 크게 억압되었고, 조선을 향한 일원적 통제 압박도 강화되었다. 결국 민간회사 중심이던 조선과 일본의 전력산업 모두 국가관리 체제 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전시 하 급증하는 전력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국가통제의 실시였다. 변화하는 정세에 일질은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만주국은 만주산업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전력을 필요로 하였고 조선은 만주와 협력해야 했다. 일질의 압록강 전원개발 계획은 두 가지 필요를 만족시켰다. 조선의 압록강수력발전주식회사는 여전히 민간회사 주도 하에 설립되었으나 생산된 전력의 소비계획에는 국가 우선 지향이 영향을 미쳤다. 전력국가관리가 실시되면서 발송전 통합을 위한 조선전업주식회사 또한 가장 우수한 전력회사를 소유한 일질 중심으로 통합이 이루어졌다. 일질은 이처럼 식민지 말기까지 전력산업계에서 주도적 지위를 점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가관리 체제 하에서 민간회사로서 추구할 수 있는 영리성의 범위는 점차 축소되었다.

      • 朝鮮前期 譯官硏究

        백옥경 梨花女子大學校 2000 국내박사

        RANK : 248687

        朝鮮時代 譯官은 대외 관계에서 通譯을 비롯하여 각종 外交 實務를 담당했던 技術官員이다. 역관은 외국 사신 및 수행원 영접·使行 隨行 등을 통해 외국인과의 실제 접촉은 물론 정보활동까지 수행하였고, 經濟·文化的으로는 公貿易을 담당하고 先進 文物 導入의 통로 역할을 하였다. 역관에 대한 기존 연구는 주로 朝鮮時代 中人과 관련된 身分 硏究의 일환으로 진행되어 왔다. 역관이 上級 技術官員으로서 양반에 못지 않은 知識과 經濟的 實力을 축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사회적 差別待遇를 받으며 技術職 中人으로 고정되었다고 여겨졌던 것이다. 그리고 역관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움직임으로서의 정치·경제·문화 활동에 대해 주목해 왔다. 그러나 이제까지는 역관을 연구하는 목적이 사회 신분제도 규명에 모아진 결과, 정작 역관 자체에는 별다른 관심이 기울여지지 않았다. 그리고 시기적으로도 朝鮮 後期에 연구가 집중되어 있어서, 역관에 대한 전체적인 歷史像을 그려낼 수 없었다. 특히 譯科榜目이나 完薦記, 譯官 家門 연구를 통해 職役의 세습 경향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身分의 固着化 혹은 신분의 閉鎖性을 주장하는 것은, 통계 해석에 恣意性이 있으며 세습의 기준 설정이 모호하여 문제를 안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朝鮮 前期 譯官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은 역관 이해를 위한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조선 전기의 역관에 대해 客觀的이고 綜合的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역관에 관련된 제도의 변화는 물론, 조선 전기 약 100여년간 활동한 역관의 官職과 활동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역관직의 구조, 역관의 선발·임기·관직 진출, 활동 내용 등을 상세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두 번째로는 위의 결과를 토대로 조선 전기 사회에서 譯官의 性格과 位相은 어떠하였는가 하는 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國家 統治 體制 하에서의 譯官 업무의 특성과 그 世傳性 여부, 역관에 대한 差別 여부를 고찰하는 작업으로 구체화되었다. 본 연구는 譯官이 中人身分으로 존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관 더 나아가 중인 이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조선 전기 역관은 高麗末 朝鮮初를 거치면서 기술관으로서의 位相을 확보하였다. 고려말 조선초 對外關係의 多元化와 明의 留學生 파견 금지 조치는 譯官 養成의 필요성을 증대시켰다. 뿐만 아니라 국내적으로도 富國强兵을 추진하는 가운데, 明의 선진 기술을 도입해오기 위해서는 역관의 활동이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조선 건국 직후부터 역대 국왕은 역관 양성에 깊은 관심을 표명하였다. 그 결과 역관을 문무 관료체계 속에 編制하는 한편, 역관의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 관서의 설립이 시행되었다. 역관의 敎育과 選拔 제도가 성립되었고, 역관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실시되기도 하였다. 조선 시대 역관은 司譯院 官職과 軍職에 진출할 수 있었던 中央 譯官, 지방에서 직접적인 對外 交涉을 수행했던 外任 譯官이 있었고, 그 외 鄕通事라는 이름의 지방 通譯人도 있었다. 이들은 上下의 연결 구조 속에서 국가의 대외관계 업무를 수행해 나갔던 것으로 여겨진다. 역관의 충원대상은 良家子弟 혹은 鄕校生徒, 鄕吏 三丁一子, 鄕吏, 庶孼, 歸化人이었다. 일부 文武 官僚 및 그 子弟들이 국가의 역학 장려정책에 따라 習讀官이나 講隸官으로 진출한 예는 있으나, 실제 역관으로 활동하지는 않았다. 역관은 일반적으로 生徒로 入屬한 뒤 譯科 혹은 取才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였다. 역과나 취재는 능력 위주의 선발 방식으로서, 역관의 자질 함양에 기여하였다. 역관은 司譯院 官職과 軍職에 진출할 수 있었다. 사역원 관직은 세종대 遞兒職으로 정비되면서 6개월마다 교체 제수되어야 하고, 最高位가 정3품으로 한정되어 그 이상의 진출이 사실상 제한되어 있었다. 뿐만이 아니라 역관에게는 일반 문신과는 다른 人事規定이 적용되고 있었다. 역관은 仍任制로 인해 역관으로서의 職任을 벗어날 수 없었고, 取才 성적에 의해 관직의 陞黜이 좌우되었다. 이러한 인사규정은 업무의 지속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이기는 하였다. 그러나, 만약 취재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하면 勤務年限이 아무리 오래되어도 승진하지 못하고 祿俸도 받지 못한 채 역관의 업에 종사하도록 강제되었다. 역관의 활동은 매우 다양하였는데, 특히 外交 부문에서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사신 영접과 使行 隨行 등을 통해 직접적인 外交 實務를 담당하면서, 일부 역관은 외교관으로서의 뛰어난 업적을 이루기도 하였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상대국에 국가의 기밀을 누설하는 등 逆機能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반면, 조선 초기 역관의 정치·경제·문화 활동은 크게 부각되지 않는다. 개인적으로는 지위 상승 욕구를 표출하거나, 문화적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고 할지라도, 이것이 集團的 수준에서 표현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경제적으로도 권세가나 富商大賈의 대리 무역 수준이었고, 獨自的인 무역은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점차 집단적인 상언의 형태로 처우 개선을 요구하거나, 선진 기술 수용에도 적극적이고 유교적인 소양을 갖춘 역관들이 文人과 교류하는 등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조선전기 사회에서 이러한 역관의 性格과 位相은 역관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의 특성, 역관에 대한 差別의 實在 與否, 역관 職役의 世傳 與否를 기준으로 고찰될 수 있다. 역관의 주업무인 통역은 쌍방의 의사 소통에 도움을 주는 수단이었다. 따라서 사실상 외교 정책의 수립이나 결정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었고, 기능적인 역할에 국한되는 면이 있다. 즉, 역관의 업무는 외교관계에서 보조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역관에 대해서는 사회적·제도적 차별이 가해지고 있었다. 사회적으로는 역관을 일반 문무 관료와는 구별하고 천시하는 의식이 존재하였고, 제도적으로는 人事規定의 차별적 적용, 堂上官으로의 진출 제한 등이 가해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고려시대에도 역시 차별이 존재하였다는 사실에 의거해 볼 때, 이러한 차별의 연원은 조선 시대 이전으로 소급될 수 있었다. 그리고 譯官 職役은 일반 민이 대행할 수 없는 전문 지식과 기능의 숙달을 요하기 때문에 世傳의 경향이 강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父의 직역을 그 자손이 자동적으로 계승하도록 강제하는 조항을 명시하거나 시사해주는 사례는 찾아볼 수가 없었다. 오히려 시험을 통해 능력을 검증받은 자들을 임용하려 함으로써, 능력이 역관 진출에 결정적 척도가 됨을 볼 수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역관의 후손이 아무런 장애 없이 문관으로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는 것도, 세전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증거로 들 수 있다. 결국, 조선 전기의 역관은 전문적인 기술관원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해가면서도, 상대적으로 특권에서 배제되거나 규제받으면서 하급 지배층으로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하급 관료로서 상급 지배층을 보조하면서 지배층의 일원으로서 체제유지에 기여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職役의 專門性 때문에 世傳의 경향이 강하였지만, 또한 능력 위주의 충원 방법과 다른 직역으로의 이동 가능성에 의해 고정된 신분으로 존재한 것은 아니었다. 적어도 조선 전기의 경우, 職役을 곧 신분으로 置換해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Translator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ere techno-officers who had worked for translating and diplomacy. They had contacts with foreigners and collected the information during their meeting,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pipeline of public trading and introducing the advanced foreign culture. The exiting studies of translators were mainly focused on the class which was relating to the middle class of Chosun Dynasty. It was studied that Translators were always discriminated by a techno-officers with the ruling class who were called as Yangban socially, though they had knowledge and fortune no more than the ruling group did. The studies had been paid attention to the politic, economic and cultural activities which they had tried to overcome this discrimination. But until now the studies have been made of the system of social class, hadnt paid an attention to the role and activities of translators. And there is no big picture on the translator because they have been studied mainly about the later of Chosun Dynasty. Specially studies which have been worked on transferring translator class with the items of test and the translator family, which have problems about the arbitrary meaning statistically and the vague criteria of transferring. Therefore I have studied translator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ith that limits. First of all, I tried to analyze the translators of that time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profession objectively and on the whole. The analysis was done with 224 techno-officers and activities during about 100 years of early Chosun Dynasty as well as the change of system relating to translators. Then I tried to define their jobs, selecting method, their tenure, their process of nominating as a techno-officer, and their activities in details. Second, I tri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 and status of translator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on the base of their results. It was developed to consider their jobs, whether or not to transfer their profession, discriminating their status under the control of Chosun Dynasty which was a monarchy. This study tried to contribute to decide what kinds of class translators was and to understand the middle class as a translator. Translators of the earlier Chosun Dynasty had earned their status as a techno-officer from the later Koryeo Dynasty to the early Chosun Dynasty. During those times, the Dynasty had had the multi-relationship with nearby countries and banned students from going aboard for study to China which was called Myeong Dynasty . that policy made Chosun Dynasty train the translators. Moreover they needed translators in order to introduce the advanced technology of Myeong, because Chosun Dynasty had driven to become a wealthy country and to make a powerful army at those times. So the Chosun kings had tried to train translators immediately after founding his country. It was resulted that translators had been organized into the system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In addition to, an administrative which took charge of jobs for translators was established. Then the system of education and selection was made, the various policies which the specialty of translators had been made an emphasis were enforced. There were different kinds of translators who had been a central officer to be able to get a civil jobs(Sayeokueon) and a military jobs, who had been a diplomat taking charge of foreign relationships, who had been a local officer taking charge of simple translation. They had been controlled under the government. The qualifications for recruiting as a translator was given to a son of Yangban class, student of Hyangkeo, Hyangri who was a local lower officer, a child born of concubine and a naturalized person. Some son of the ruling group who had been called Yangban also became a academic researcher who had been called Sbdokkdan or Kangyeokoan. But they didnt worked for translators. Generally translators entered to the institute as a student and became a officer through test which was called Yaokka or Chuijai. That kinds of testing method, which selected person with his ability was contribu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nslator. Translator had been able to become an officer of Sayeokueon and to get a military jobs. The position in his job should be changed in every 6 months with setting job as a Hoagik in Seoisongs and he would have a limit of promotion to the Jeong Sam Pum even if he had been promoted into the highest positions. Besides there were the other regulation which was governed to translators different from general officers. They should take charge of translation. They didnt have the freedom of changing their job under the control of Naimje, positions were influenced by their results of test which were called Chuijai. It was the reason that rules of personnel management were means to get the professional specialty and consistence. But if anyone hadnt gotten a good credit, even though he had worked for a long time, he couldnt have been promoted and forced to work for job without his salary. Their activities were very various, among them diplomatic activities were outstanding. Some of them greeted with foreign representatives directly and performed an excellent contribution as a diplomat. on the other side, they had also done bad activities revealing the top secret of country. But in the early Chosun Dynasty, there were a few activities which translators had made on the politic, economic and cultural field. Even if they had waned to raise their status or to express their thought, there were no freedom to express their needs within the group of class. In the economic side, they had little economic importance with their trading activities because people with power or the rich and large merchant mainly played the important role in the agent trade. But gradually meaningful changes happened which they wanted to improve their status with the same group of them, received the advanced technology aggressively, came in contact with Yangban class.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ranslators in the earlier Chosun Dynasty could be considered as criteria whether or not to be the discrimination of them, whether or not to transfer the status of them. Translating had been the key role of them and means to communicate with foreigners. Their role was limited to only the functional thing different from decision-making in diplomacy. That is, their job was an assistant in diplomatic relationship. Those days there were atmosphere to discriminate against translators and despise them socially, unfair treatment not to go into Dangsangkoan and the discrimination in personnel management. When we find also discrimination in the Koryeo Dynasty , so I can believe that this custom could be before Chosun Dynasty. The job of translators should have been transferred to require specific knowledge and master of their function. But there were no evidence to be able to find out regulations which their jobs was transferred from father to son automatically. On the contrary we can find that ability was measures to go into the officer of translators when competent people being appointed with test. Moreover when descendent of translators could enter into Mungoan without obstacle, it is evidence not to transfer their jobs Finally I can find translators of those days were the lower ruling class, gaining their status as professional techno-officer and receiving unfair treatment. They played the role of supporting the higher ruling class and contributed to maintain the system of Chosun Dynasty. Though they were likely to transfer their jobs with their professional specialty, their status wasnt fixed after we found evidences to recruit people with competence and to be able to move into the other jobs and status. At least, in earlier Chosun Dynasty, I conclude that translator couldnt be replaced by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