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팀 자본이 팀 동적 역량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예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팀 제도가 만연해 있는 현재, ‘팀이 고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조건이 과연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자 시작되었다. 일단 조직의 고 성과는 성과 달성을 위한 핵심 자본을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가의 여부와 함께(Carmeli and Tischler, 2004; Ketchen, Snow, and Street, 2004; Prahalad and Hamel, 1990) 보유 자본을 해당 조직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느냐의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선행 연구를 팀에 적용해 보면 팀의 고 성과는 팀이 보유한 자본과 팀의 자본 활용 역량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조직 레벨에서 주로 진행되어온 조직 자본 연구들을 토대로 팀 자본(team capital)의 개념을 도출한다. 현대 조직의 대부분은 팀 제도(team) 혹은 그룹 제도(group), 사업부 제도(business unit), 셀 제도(cell) 등 팀 제도의 유사 형태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조직의 성과는 팀 성과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 1997년의 외환위기 직후 세계 경제의 흐름을 따라야 한다는 정부의 요구 및 변화에 발 빠르고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조직의 자발적 노력에 의해 감시와 통제 위주의 관료제 계층 조직을 과감히 팀 제도로 바꾸고 있다(정예지,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조직 자본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팀 자본을 이해하고 이 팀 자본을 중심으로 팀 성과가 어떻게 창출되는가의 메커니즘을 규명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팀 자본을 팀의 역량 증진과 가치 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팀 보유 자본으로 정의하고 구조적 자본, 사회적 자본, 문화적 자본, 인적 자본의 네 요소로 구성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팀이 보유한 자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팀과 조직의 목적에 맞도록 확장, 수정 및 재창조하는 능력을 팀 동적 역량(dynamic capability)이라 규정한다. 21세기,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기 위한 조직들의 초미의 관심사는 경쟁 우위(competitive advantage)를 확보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조직은 물론, 그 조직 내에 귀속된 하부 조직들(nested organizations)도 독창적인 구조적, 사회적, 문화적, 인적 자본을 가지고 있어야 함과 동시에 이 자본을 조직의 가치창출에 적절하게 활용하는 역량을 보유해야 한다. 이처럼 특정 자본을 보유하는 것을 넘어서서 그 자본을 활용(exploitation)하고 목적에 맞도록 확장, 수정, 혹은 탐색(exploration)하는 능력 모두를 보유하는 것을 동적 역량(dynamic capability)이라 칭한다. 기존 자본을 활용하는 것과 새로운 자본을 탐색하는 것, 혹은 효율성과 혁신이라는 두 가치를 동시에 달성하거나 한 체계 내에 공존시키는 것은 실로 어려운 일이다(March, 1991; Levinthal and March, 1993). 상호 모순적인 두 요소가 한 체제 내에 동시적으로 공존한다는 것은 이러한 모순의 존재를 인정하는 역설(paradox)을 탐구함으로써 기존의 조직에 대한 연구가 가졌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윤세준, 1997; 이대연, 2008; Cameron and Quinn, 1988), 이처럼 상반된 두 가지 목표 및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역설적 사고가 가능할 때 조직들은 장기적으로 번영할 수 있을 것이다(이대연, 2008; Collins and Porras, 1994). 실제로 동적 역량 관련 선행 연구들은 동적 역량이 조직 보유 자원 및 자본을 성과로 바꾸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결과를 일관되게 보여주고 있다(Fang and Zou, 2009; Gibson and Birkinshaw, 2004; Luo, 2002; Teece, 2007; Teece, Pisano, and Shuen, 1997; Winter, 2003; Zhan and Luo, 2008). 이러한 연구의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팀 수준에서의 자본, 동적 역량, 성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고성과 창출에 핵심적인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는 동적 역량을 결정하는 선행 요소들은 무엇인지, 즉 본 연구에서의 팀 자본이 동적 역량의 구축에 유의한 선행 요소인가를 밝혀보고자 한다. 또한 팀 자본과 팀 동적 역량이 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팀 자본, 동적 역량관련 연구 결과들을 통합함으로써 팀의 고성과 창출을 위한 보다 거시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이 보유한 핵심 자본 네 가지, 즉 팀의 구조적 자본, 사회적 자본과 인적 자본 및 구성원들이 공유한 팀 문화적 자본은 모두 팀의 동적 역량 구축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고성과 달성의 핵심적 요소로 다루어져 온 동적 역량의 선행 요인으로서 팀 자본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둘째, 팀 동적 역량은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팀 자본과 팀 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팀이 보유한 동적 역량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선행 연구들은 동적 역량을 가진 조직이 타 조직보다 성과가 우월함을 보여주고 있으며(Gibson and Birkinshaw, 2004; He and Wong, 2004; O'Reilly and Tushman, 2004) 팀 동적 역량의 매개 역할이 지지된 것을 통해 동적 역량은 팀 자본이 팀 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의 주요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보여준다. 팀들이 좋은 자본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이 자본을 바탕으로 성과 달성에 적합하게 사용, 활용하는 능력으로서의 팀 동적 역량을 보유해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Fang and Zou, 2009; Ghoshal and Bartlett, 1994; Gibson and Birkinshaw, 2004). Team Performance is determined by two key factors: whether the team has the competitive capital and uses that capital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and draw the critical factors of team capital from the research of organizational capital. Even though prior studies have emphasized that organizational capital is crucial for organizational success, due to the difficulty of testing organizational-level capital, they are still in the abstract stages. In this paper, team capital is inferred from the precedent studies of organizational capital and composed of structural, cultural, social, and human capital. Structural capital is defined as psychologically empowering structure. In other words, through empowering team design or structure, team members can have a sense of empowerment, freedom and ownership over team activities, and generate structural flexibility by themselves. Cultural capital is members' shared mental model of team which is cascaded from organizational vision, purpose, and value. In the precedent researches, cultural capital or culture is considered as one sub-concept of structural capital, however, in this research, cultural capital is dealt as a major and independent concept of team capital. Social capital is the ability of team members to mobilize the necessary resources from inside and outside the team and to improve team performance. Finally, human capital belongs to individuals and improves the value of the team, and is defined as the sum of the knowledge, skills, abilities and experience of individuals. In this study, the effective use of the capital is apart from the capital preservation. The using ability of team to modify and recreate the resources is defined as team dynamic capital. In 21st, due to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concerns of the organizations' ultra competitive advantage, dynamic capability of organization and team is to acquire. To maintain dynamic capabilities, the organization, as well as every teams nested within the organization must have unique capital and explore or exploit that capital, at the same time. Beyond just having specific capital, expanding, modifying, or managing skills for improving team performance is referred to as team dynamic capabilit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ynamic capabilities have shown that dynamic capabilities are very important abilities of firms to upgrade performance and to innovate and so on(Birkinshaw and Gibson, 2004; Gibson and Birkinshaw, 2004; Teece, 2007; Winter, 2003). Based on existing studies, in this paper, the following research objectives are to be achieved and research model is as follow. First,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 of team capital on the team level. Empirical studies on the organizational capital or equity are limited to conceptual work,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t up organizational-level research. Therefore, this research is done in a team level and is to prove the existence and effect of team capital empirically. Like organization does, the team also mobilizes team capital, and structural capital, social capital, cultural capital and human capital will be drawn as four concepts of team capital from the previous organizational capital studies. Second,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act of four team capital components on the dynamic capabilities. Until now, many studies in the field of strategy great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ynamic capabilities, while the research explaining antecedent variables of the dynamic capabilities is rare. Therefore, relative influence of each element of team capital on the dynamic capital will be examined in this study. Third, this research will examine not only the impact of team capital on team dynamism, also the role of team dynamic capabilities as the mediator between the relations of team capital and team performance. To date, researches on dynamic capability have looked at the positive effect of dynamic capability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le many overlooked the process and black box through which the performance is achieved. In order to analyze the hypothese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focused on the team as a unit, with data collected by surveying 693 members and leaders from a total of 121 teams - including the car manufacturing industry, banking industry, oil industry, and construction industry.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m capital, ie, team's structural capital, social capital, human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has been found to affect team dynamic capability positively(support of hypothesis 1). Second, the team capital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mpact on team performance, also. Last, dynamic capability composed of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is verified as the important parameter tha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team capitals and team performance(support of hypothesis 2 and 3). By leveraging the capital expansion, modification and recreating the team capital, team can achieve higher performance. How to use the team capital is emphasizing the process approach and dynamic capabilities is playing the key role in the black box between team capital and team performance. These findings show that simply teams equipped with sufficient capital cannot achieve high performance, therefore, team should have dynamic capabilities(Fang and Zou, 2009; Ghoshal and Bartlett, 1994; Gibson and Birkinshaw, 2004). These results also support the "contexual ambidexterity" claim, which insists that team members can retain a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at the same time, investing the time and the amount of capital. Thus, team members can autonomously routinize or internalize their own ambidexterity by themselves if a team has supportive team context for ambidexterity(Gibson and Birkinshaw, 2004). Especially, in this research, structural capital supports the decision of the team members by building psychologically empowering structure. Cultural capital leads the members to achieve the grand goals by providing a clear mission and vision, and social capital inside and outside the team promotes exchanges between members by establishing a supportive structure in the two kinds of team-level learning, namely exploitation and exploration(Gibson and Birkinshaw, 2004).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eam capital and team dynamic capability which has not yet been sufficiently studied. Also this research find out the process, namely 'black box' between team capital and team performance, and dynamic capability's key role as a mediator in this process. This study prove that team dynamic capability affects team performance positively, and to build dynamic capability, organizations and teams would try to make a excellent team capital. In Conclusion, this research could provide useful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theories and measurements of team capital and team dynamic capability as well as for capital and dynamic capability building practice on the team level.

      •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분석

        정예지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분석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정예지 COVID-19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강타하기 전까지 중학교 영어 수업에서의 온라인 수업은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대면 수업의 보조적인 역할을 주로 담당해왔다. 그러나 팬데믹 이후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정규 영어 수업이 온라인 수업으로 전면 시행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수업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COVID-19 바이러스가 완전히 종식되기 전까지는 등교를 하지 않고 집에서 온라인으로 수업을 듣는 비대면 수업과 학년 또는 반별로 번갈아 등교하며 비대면, 대면 수업을 혼합하여 진행하는 순환식 수업이 고착화 되는 듯 보인다.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진행된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 및 만족도를 대면 수업과 비교 분석하여 현 중학교 영어 수업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교 1-3학년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생들의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인식을 동기부여와 흥미도, 순환식 수업에 따른 혼란도, 편의성, 활동수업의 빈도, 그리고 온라인 수업에서 가장 적게 다룬 영어 기능과 가장 많이 다룬 영어 기능이 각각 무엇인지 파악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태도 및 만족도를 중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집중도, 그리고 성적 상승 도움 여부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진행된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인식들을 나눠서 살펴보겠다. 먼저 동기부여와 흥미도는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 영어 수업 보다는 대면 수업을 병행하는 순환식 수업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면 수업과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병행하면서 수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있었는지 조사 했으나 학생들은 순환식 수업에 큰 혼란함을 느끼지 않았다. 편의성 측면에서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보다는 대면 수업을 듣는 것이 교사에게 질문하기 더 편하고 수행평가 역시 대면 수업에서 더 용이하다고 답했으며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면 좋겠다고 했다. 활동적인 수업의 빈도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영어 수업에서 활동적인 수업이 많이 줄어들었으며, 앞으로는 온라인 영어 수업에서도 활동적인 수업이 늘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과 순환식 수업 모두 공통적으로 ‘말하기’ 수업을 가장 적게 다루고 있으며, ‘읽기’ 수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답했고, 온라인 영어 수업에서 ‘듣기’와 ‘쓰기’ 기능은 대면 영어 수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다뤄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온라인 영어 수업보다는 순환식 수업에서 학생들의 만족도와 수업 집중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생들은 온라인 영어 수업이 영어 성적 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답했으며, 그 비율은 남학생 보다 여학생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교육에서의 온라인 영어 수업 경험 여부도 성적 상승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해당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대면 영어 수업 만족도에 비해 낮으며, 성적 향상에 대한 기여도 역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영어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제도적 지원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온라인 영어 수업 뿐 아니라 대면 영어 수업에서도 영어의 4가지 기능이 고르게 교육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교사는 학생들의 각 영어 기능 능력 발달을 위한 수업을 설계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면 영어 수업과 비교하여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현재뿐 아니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미래 중등영어교육의 개선 및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Analyzi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Online English Classes Jeong, Ye-Ji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Rha, Kyeong-Hee Abstract Before the COVID-19, online classes had been used as a tool to compensate for the regular classes, in which teachers and students would meet in the in-person classroom. However, during the pandemic, offline classes were replaced by online classes and it seems that a mix of those classes is the best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ttitudes and satisfaction toward online English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also provide directions for English education by comparing them with face-to-face classes. To this end, a survey of 42 middle school students from 1st to 3rd grade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perceptions toward online English classes by motivation and interest, the degree of confusion to circular classes, convenience, frequency of active classes, and also by what English skills were the least and most cover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ir attitudes and satisfaction of online English classes, class satisfaction, concentration, and grade improv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let us see the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line English classes under the COVID-19 pandemic.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were higher in circular classes than online English classes. Students did not feel much confusion in the circular classes while alternating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terms of convenience, students answered that it was easier to ask questions and do performance evaluations in face-to-face classes than online classes, and that they do not want to wear masks. When students were asked about the frequency of active classes, they said it was reduced a lot under the pandemic, and they would like to have more active classes even in online English classes. Students also answered that both online classes and circular classes deal with ‘speaking’ class the least and ‘reading’ class the most, and said ‘listening’ and ‘writing’ skills are relatively less covered in non-face-to-face classes than face-to-face English classes. Second, students’ satisfaction and class concentration were higher in the circular classes than in the online English classes. Furthermore, they said online English classes did not help much in improving their grades, and the percentage was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They responded that whether or not they experienced online English classes in private education did not help much in improving their grad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atisfaction toward online English classes was lower than that of face-to-face English classes, and their contribution to grade improvement was also low.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and institutional support not only for online teaching but also for learning methods should be made more actively. Second, since four skills of English are not taught evenly both in online and in face-to-face English classes, teachers should design and study classes to develop students’ ability of each English skill.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online English classes by comparing them with face-to-face English classes, and presented directions to English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as well as the present.

      • 「생활국어」에 나타난 국어지식 영역의 분석과 개선 방향 : 제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정예지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맞추어 개정한 중학교 1 ㆍ 2 ㆍ 3 학년 「생활국어」에 실려 있는 ‘국어지식’ 영역 단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의 내용이 충실히 반영되어 있는가, 학습 활동이 학습목표 달성에 적합한가, 교과서 내용을 학습자의 입장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추가할 내용이 무엇인가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국어지식 영역의 교육 내용은 ‘국어의 본질’, ‘국어의 이해와 탐구’, ‘국어에 대한 태도’, ‘국어의 규범과 적용’의 네 가지로 범주화한 뒤 ‘내용 체계’를 구조화하였다. 먼저, ‘국어의 본질’과 ‘국어의 이해와 탐구’ 범주의 교육 내용이 국어에 대한 지식이고, 이에 일차적인 교육 목적이 지식의 이해와 지식의 활용에 있다고 보고 탐구 중심의 학습 활동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을 의도하여 ‘국어의 이해와 탐구’라는 범주명을 사용하였다. ‘국어 규범’ 범주의 교육 내용은 맞춤법 및 표준 발음 등과 관련된 각종 규범에 대한 지식 습득과 그 지식을 실제의 국어 생활에 활용하여 보다 향상된 국어 생활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점을 중시하여 ‘국어의 규범과 적용’이라는 범주명을 사용하였다. ‘태도’ 범주의 교육 내용은 ‘국어에 대한 태도’라는 범주명을 사용하였다. 이들 교육 내용이 ‘내용 체계’에는 병렬적으로 나열되어 있으나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는 범주 간, 교육 내용 간 상호 교섭성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국어과 교육에서 국어지식 영역은 그동안 그 내용이나 수업 방식에 있어서 많은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그리고 그러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 과정 중심, 학생 활동 중심의 탐구 학습이 적용되었다. 이는 7차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정신에도 부합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탐구 학습이 과정 중심이고, 학생 위주의 활동임에는 틀림없지만 국어지식 영역의 전(全) 부분에 해당하여 적용하기는 다소 무리가 있다. 이에 본고는 탐구학습 활동의 분석을 위주로 하여 개선 방향까지 살펴보았다. 국어지식 영역의 교육은 올바르게 우리말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실생활적인 면에서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만의 독특한 사고와 가치가 내재되어 있는 문화를 전승하는 차원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교육 내용이 실제 언어 생활과 유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교사 위주의 강독식, 강의식, 암기식 수업이 이루어지는 것은 상당히 안타까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가장 큰 위력을 발휘하는 것 중 하나가 교과서라는 것에는 누구도 부인하기 힘들 것이다. 게다가 중학교 과정에서의 국어 교과는 1종 교과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당히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 앞으로의 교과서의 개발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들은 보완하여 학습자가 국어지식 영역에 대한 인식 개선에 도움을 주고,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또한 범교과적이고 도구 교과적인 국어교과의 효율성을 기대해 본다.

      • Carl Reinecke Flute Sonata Op.167 ‘Undine’에 관한 분석 연구

        정예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칼 라이네케(Carl Reinecke,1824-1910)는 후기 낭만주의 음악 작곡가로서 독일, 덴마크, 스웨덴 등에서 활동한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이다. 특히 라이프치히 음악원에서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그리그, 무켐 등 유명한 작곡가들을 배출하였다. 본 논문은 칼 라이네케의 많은 작품 중 Flute Sonata Op.167 「Undine」를 분석 연구하였다. 이 곡은 당시 유행하던 소설인 푸케의 ‘Undine’를 문학적 배경으로 작곡된 표제음악으로 볼 수 있다. 주인공인 ‘Undine’는 ‘물의 요정’이며 인간 남자와 사랑에 빠져 결혼하며 인간이 되지만 우여곡절을 겪으며 남자는 죽음에 이르게 되고 주인공 ‘Undine’ 또한 다시 물로 돌아가게 된다는 비극적인 결말을 가진다.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하여 각 악장 별로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분석하였으며 형식과 조성, 리듬, 선율 등을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곡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기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곡의 구성은 총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악장은 소나타 형식, 2악장은 론도 형식, 3악장과 4악장은 3부분 형식으로 형식적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작품이다. 이 곡에서는 빠르기의 변화, 화성 변화, 선율의 응답, 동형진행 등 다양한 기법이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 곡에 나타난 주제와 곡의 흐름 분석을 통해 작곡가의 곡에 대한 의도를 파악하여 연주자들이 연주 시 곡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연주할 수 있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A) study of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on the mouse brain : molecular and behavioral approach

        정예지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세계적으로 휴대전화는 모든 연령층에서 사용하고 있고, 개인별 누적 사용기간은 수십년에 이른다. 다양한 무선통신기기 중에서 특히 휴대전화는 머리에 근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전화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에 대한 사람들의 건강 우려도 크다. 이에 세계보건기구 (WHO)는 2010년 휴대전화 전자파를 포함한 무선주파수 전자파 노출이 퇴행성 뇌질환이나 생애초기 뇌신경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중요한 동물실험 연구주제로 제안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휴대전화 주파수대역의 전자파는 방출하는 에너지가 매우 작기 때문에 아직까지 인체에 미치는 건강 영향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전화 전자파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때 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험동물에 전자파를 장기간 노출한 뒤 행동의 변화와 뇌의 조직학적/분자생물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정상동물과 노화동물에 대한 전자파의 노출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2개월령과 10개월령의 C57BL/6 마우스에 각각 8개월간 전자파를 노출한 후, 장기간 휴대전화 전자파 노출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각 노출군과 대조군의 뇌 해마조직 내 유전자 발현 패턴 변화, 산화 스트레스 마커 및 DNA 손상 마커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휴대전화 전자파에 노출된 정상동물의 행동과 기억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노화 마우스에서는 노화에 의한 탐색과 불안 행동의 변화가 정상동물 수준으로 완화되고, 저하된 기억력이 전자파 노출에 의해 개선되었다. 행동실험결과와 유사하게 노화동물의 뇌조직에서는 정상동물에 비해 산화 스트레스, DNA 손상 및 신경염증 지표가 증가하였지만, 전자파 장기 노출에 대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정상동물과 노화동물의 해마조직의 유전자 발현 분석을 통해 전자파 노출과 관련된 뇌 영향 유전자군을 선별하였다. 다음으로, 휴대전화 전자파가 알츠하이머성 치매(AD)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가장 흔한 퇴행성뇌질환인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의 침착, 타우 신경섬유엉킴 및 신경염증 등이 특징적 병리소견이다. 알츠하이머 질환 동물모델인 5xFAD 마우스를 1.5개월령부터 각각 3개월, 6개월 및 8개월 동안 휴대전화 전자파에 노출시킨 뒤, 알츠하이머 질환과 관련된 행동변화와 조직학적/분자생물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6개월 이상의 전자파 장기 노출은 5xFAD 마우스에서 나타나는 과잉활동성과 같은 비정상적인 행동을 완화시키고, 일부 기억관련 행동실험에서 유의적인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뇌 염증과 관련된 유전자군에도 유의적인 억제 효과를 보였다. 특히, 8개월의 전자파 장기 노출은 5xFAD 마우스의 대뇌피질 및 해마 부위에서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 침착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항상성이 유지되는 정상동물에는 전자파가 뇌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지만, 노화나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뇌병변에 있어 휴대전화 전자파가 일부 유익한 영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에서의 휴대전화 주파수 전자파의 장기 노출은 뇌조직과 신경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러한 결과는 휴대전화 전자파가 인체 뇌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the use of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rises in daily life, concerns regarding the health effect of the mobile phone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RF-EMFs) have become a public concern. A high-priority agenda for animal experiments propos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 2010 includes the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RF-EMFs exposure on aging and neurodevelopment. However, the neurological effects or molecular mechanisms of RF-EMFs on the brain are poorly understood. Due to the prolonged exposure of the general population to mobile phone RF-EMFs, in this study, I hav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ng-term RF-EMF exposure on the brain in vivo through behavioral changes and the histological/molecular analysis related to behavior. First, I examined the effect of chronic RF-EMF exposure on behavior, the gene expression profile changes, and aging-related oxidative stress and DNA damage in C57BL/6 mic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posure to RF-EMF on normal and aged animals, 2-month-old and 10-month-old C57BL/6 mice were exposed to RF-EMF for 8 months, respectively. After RF-EMF exposure, I examined the effect of chronic RF-EMF exposure on mouse behavior using open field test, Y-maze test, and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s, and on gene expression profile changes occurring in the mouse hippocampus using whole gene microarray approach, and aging-related oxidative stress and DNA damage in the mouse. RF-EMF affected the learning and memory abilities differently in normal mice and aged mice; There was no change in the behavior and memory in mice exposed to RF-EMF from normal mice which at a young age; however, in RF-EMF-exposed aged mice, decreases in abnormal anxiolytic behavior and improvements in memory were observed. Also, no adverse effects of RF-EMF exposure in aging-induced oxidative stress, DNA damage, and neuroinflammation in aged mice were observed. Moreover, the candidate genes affected by RF-EMF were selected through a gene expression pattern analysis of the mouse hippocampus. Next, I investigated the effect of RF-EMF exposure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exposure on the behavior and pathophysiology in the brain of an Alzheimer’s disease (AD) mouse model. AD, the most common neurodegenerative diseases, has a key pathologic feature with the deposition of amyloid beta (Aβ) plaque, tau neurofibrillary tangle, and neuroinflammation. RF-EMF exposed to 5xFAD transgenic (Tg) mice at 1.5 months old with age matched wild type (WT), and I conducted behavioral tests and histological/molecular analyses related to AD-pathology after 3, 6, and 8 months of RF-EMF exposure, respectively. RF-EMF exposure for more than 6 months ameliorated abnormal behavior, such as excessive locomotor activity and memory impairment in 5xFAD mice compared to those of sham-exposed Tg group. And the expressional changes in several genes related to microglial activation and neuroinflammation by RF-EMF. Additionally, RF-EMF exposure for 8 months reduced the deposition of Aβ plaques significantly. Collectively, the results of my study indicate that chronic RF-EMF had effects on the brain and behavior in animals according to the normal or pathological status; although the effect of RF-EMF exposure on the brain and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in normal animals that effectively maintained homeostasis, chronic RF-EMF exposure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brain function in aged mice or AD mice. Als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bile phone RF-EMF could affect the brain function.

      • 수량 한정 희소성 메시지와 색상이 소비자의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예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품의 판매 및 홍보 상황에서 수량 한정 희소성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사용하여 광고문구를 제시했을 경우 소비자의 제품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예상을 바탕으로 가설을 수립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요 희소성 메시지의 경우 광고 문구를 파란색 보다 빨간색으로 제시하였을 경우, 소비자들이 위험을 회피하고 안전함을 추구하려는 회피 동기를 느껴 제품 태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는 수요 희소성 메시지와 빨간색 모두 회피 동기를 자극하여 상호 작용 효과를 일으킬 수 있어 제품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수요 희소성 메시지는 다른 소비자가 많이 구매한 사실로부터 제품의 품질이 보장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고, 빨간색도 안전함을 추구하려는 회피 동기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반면에, 공급 희소성 메시지일 경우에는 광고 문구를 빨간색 보다 파란색으로 표현했을 때, 소비자들이 특별함을 느껴서 제품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는 공급 희소성 메시지와 파란색 모두 독특성 동기를 발현시켜 둘의 상호 작용으로 종속변수인 제품 태도에 호의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공급 희소성 메시지는 제한된 수량으로 다른 사람들이 이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상황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공급이 희소한 이 제품을 구매함으로써 자신이 이상적으로 여기거나 선망하는 사회적 이미지 및 자아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 남들과 차별화를 추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고, 파란색 역시 사람들의 독특성을 추구하려는 동기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수요 희소성 메시지의 경우 빨간색으로 광고 문구가 표현 되었을 경우 제품 태도가 긍정적이었고, 공급 희소성 메시지의 경우 파란색으로 문구가 제시되었을 때 제품 태도가 긍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수량 한정 희소성 메시지와 빨강 및 파랑 색상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회피 동기와 특별함 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그 방향성은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마케팅 상황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수량 한정 희소성 메시지와 색상 간의 상호작용이 소비자의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 혈액투석환자의 극복력(Resilience) 예측모형

        정예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nd test a hypothetical model of resilience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based on the Resilience Illness Model(RIM) of Haase(2014)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and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is intended to 1) identify the level of 2) describe the relationship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household income), disease-related factors (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Karnofsky Performance Scale; KPS), social support, uncertainty of illness, self-efficacy, depression, hope, coping, resilience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and 3) examine influencing factors on resilience. It is also intended to identify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resilience on relevant variables aiming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s that could improve resilience of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02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two university hospitals and one convalescent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and 1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 to November 1. As for the tools of this study, Conne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instruments of measuring social support developed by Kim (1993) and revised by Kim(1996),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 instruments of measuring self-efficacy developed by Kim(1995), Beck Depression Inventory-second edition(BDI-II), Herth Hope Index (HHI),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developed by Lazarus & Folkman(1984) and revised by Oh & Shin(2006), Charlson Comorbidity Index(CCI; 1987), Karnofsky Performance Scale(KPS; 1984) were administered. The data were examined by analyz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variables of the study, reliability, an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using an SPSS 24.0 program, and the fit of a hypothetical model was tested using a LISREL 8.8 progra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ults from testing the fit of the modified hypothetical model show that all of the considered goodness-of-fit indices (χ2=233.78(p<.001), df=130, GFI=0.891, AGFI=0.841, CFI=0.967, NFI=0.931, IFI=0.967, SRMR=0.053, RMSEA=0.063) did not meet criteria for acceptance but were close to general criteria for acceptance, indicating that the correction between the model and the data is acceptable. Among 45 paths, 18 paths were suppor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excluding 27 paths. In the modified hypothetical model, the factors for predicting the resilience of patients with hemodialysis were found to be depression, hope and coping, accounting or 71.2% of resilience. Uncertainty of illness was directly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household income, and age, accounting for 48.5% of uncertainty of illness. Self-efficacy was directly influenced by uncertainty of illness, social support and age, accounting for 31.6% of self-efficacy. Depression was directly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uncertainty of illness, and self-efficacy, accounting for 54.5% of depression. Hope was directly influenced by depression, social support, age and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accounting for 66.4% of hope. Coping was directly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ccounting for 16.3% of coping. The resili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epression, hope and coping in terms of a direct effect and a total effect,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uncertainty of illness, self-efficacy in terms of an indirect effect and a total effect. Among them, depression was found to be the biggest direct impact.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which can improve hope and alleviate depression in order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patient with hemodialysis. Especially in this study, depression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order to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 conducting experimental research which develops a variety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strengthening the resilience of patient with hemodialysis and tests the efficacy of them. 의료기술의 발전에 따라 만성 신질환자들의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있으며, 이들의 생존율이 높아짐에 따라 신 대체요법을 받는 환자의 수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혈액투석환자는 질병과 지속적인 치료 요구사항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 삶의 질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위기 상황에 처한 혈액투석환자에게 내재된 극복력을 증진시킴으로써 부적응적 요인은 감소하고 대상자가 가진 강점이 강화되어 역경을 이겨내고 적응의 수준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혈액투석환자가 지속적인 치료와 성공적인 관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극복력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인과적 관계를 확인하여 혈액투석환자의 극복력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Haase(2014)의 극복력 질병 모델(Resilience Illness Model ; 이하 RIM)과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혈액투석환자의 극복력 예측모형을 구축하고 변수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질병관련 요인, 사회적 지지를 외생변수로 하고, 질병의 불확실성, 자기효능감, 우울, 희망, 대처, 극복력을 내생변수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7년 4월 1일부터 2017년 11월 1일까지 D대학교 의료원 산하 경기도 G시와 경상북도 G시에 소재한 2개의 종합병원과 경기도 G시에 소재한 1개 종합병원, 1개의 요양병원 등 4곳의 인공신장실에서 혈액투석치료를 받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202명이었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와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과 LISREL 8.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 45개의 경로 중 수정모형에서 총 18개의 경로가 유의하였다. 질병의 불확실성은 연령과 월수입, 사회적 지지와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설명력은 48.5%로 확인되었다.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와 질병의 불확실성, 연령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설명력은 31.6%로 확인되었다. 우울은 사회적 지지와 질병의 불확실성, 자기효능감과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설명력은 54.5%로 확인되었다. 희망은 연령, 동반상병지수(CCI), 사회적지지, 우울과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설명력은 66.4%로 확인되었다. 대처는 사회적 지지, 우울과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설명력은 16.3%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변수인 극복력은 우울과 희망, 대처와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이 변수에 의해 71.2% 설명되었고, 가장 강력한 요인은 우울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와 질병의 불확실성, 자기효능감은 극복력에 간접효과와 총효과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우울과 희망, 대처, 사회적 지지, 질병의 불확실성, 자기효능감이 극복력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를 총체적으로 이해하여 대상자가 가진 강점과 긍정적 잠재능력을 파악하고 향상시키며 우울 등의 부정적 요인을 감소시키는 전략을 포함하여 혈액투석환자의 극복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 몽골 반건조 지역에서 토양 개량이 백양나무와 비술나무의 활착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정예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몽골의 사막화 방지를 위하여 조림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매년 그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한편, 열악한 건조지에서 조림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는 시비, 유기성 폐기물 처리, 미생물 접종, 멀칭, 보습제, 잡초제거 등의 토양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몽골의 기후와 환경에 적합한 토양 개량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몽골 현지의 토양 개량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알칼리성 사질 토양인 실연지에 백양나무(Populus sibirica) 와 비술나무(Ulmus pumila) 묘목을 심고 질소(시비량에 따라 2수준), 황, 인공보습제, 황토가공물질 등을 처리하였다. 4개월 뒤, 두 수종의 묘목 활착률과 생장은 질소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일반적으로 질소의 시비는 양분을 공급하여 묘목의 활착률 및 생장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의 질소시비 후 감소한 활착률은 과다시비로 인한 토양 삼투압의 증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두 수종 모두 황토가공물질 처리구에서 근원경 생장에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그리고 백양나무의 경우 인공보습제 처리구에서도 근원경 생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백양나무가 건조에 내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분 요구도가 높은 포플러의 속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황 처리는 활착률과 근원경 생장 모두에서 효과가 없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낮은 황 산화율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후에는 건조/반건조 지역에서 토양 개량의 장기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묘목 생장 및 토양 특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며, 본 연구 수종에 적합한 시비량 산출을 위한 현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庚申慘變期 조선인 ‘歸順’문제 연구 : 북간도를 중심으로

        정예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경신참변(庚申慘變) 시기에 북간도 조선인사회에서 발생한 ‘귀순’문제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3.1운동 이후 북간도에서의 독립열이 고조되고 따라서 독립군의 역량이 강화되자 일본은 훈춘사건을 기획하고 장작림의 묵인을 얻어 북간도로 출병하였다. 일본군의 목표는 두 가지로, 독립군을 ‘궤멸’하는 것과 독립군을 존재 가능하게 했던 ‘자원’을 훼멸하는 것이었다. 2만 여 병력을 이끌고 북간도로 들어 간 일본군은 독립군의 주력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한군정서와 홍범도 부대와 약 1주일간에 걸쳐 대대적인 전투를 벌였다. 이것이 바로 청산리 전투이다. 그러나 결국 그들을 놓침으로써 첫 번째 목표 달성에 실패하였다. 일본군은 두 번째 목표 달성을 위하여 조선인들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하였다. 생명과 재산을 모두 잃을 위기에 놓인 조선인들 중에 ‘귀순’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귀순’을 선택한 사람들 중에서 독립군의 수는 적었다. ‘귀순자’ 대다수는 독립군이 아니라는 점에서 민간인이었다. 그러나 독립운동에 가담하여 활동했다는 점에서 ‘불령선인’이라 규정되어 일본군의 처단 대상이었다. ‘귀순’을 하면 기존의 ‘불령행위’에 대하여 반성하고 앞으로 일본의 ‘신민’이 될 것을 약속함으로써 생명을 보호받을 수 있었다. 일본군은 이들을 이용하여 군사적, 정치적 이익을 얻기 위하여 구체적인 귀순규정을 만들고 귀순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귀순’을 선택한 2만 명 이상의 조선인들은 대부분 북간도의 독립운동조직에 가담하였던 사람들이면서 하위 활동가들이었다. 이들의 ‘귀순’은 일본군의 군사작전에 의하여 북간도에서 독립운동의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조선인들의 ‘귀순’이 일본의 세력 확대와 직결된다고 판단한 중국 지방 당국은 중국에 귀화할 것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조선인 인구가 절대 다수였던 북간도 지역에서 조선인들의 정치적 입지의 변화는 독립운동세력, 중국, 일본 모두에게 민감한 문제였던 것이다.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matter of defection occurred to the Korean community in North Kando. After the March movement in 1919, it had raised the air of the independent movement outside Korea and simultaneously had reinforced the Korean partisan troops in Kando province. Because of the situation, the Japanese army made an invasion upon the Kando province with ZhangZuolin(張作霖)'s connivance. They had two goals of invasion, one of which was to annihilate the Korean armed troops and then another was to eradicate the resources supporting the forces. The Japanese army, composed of about 20,000 soldiers, gave a battle with the Korean troops in Chungsanli for around a week, but they could not reach their first aim, because the Korean troops could run away from the North Kando with some military achievements. For the second goal the Japanese army cruelly attacked and killed the unarmed Korean, and sat fire to houses in the Korean community. The Koreans faced to the massacre cannot but take defection into consideration. Soldiers had only been in a minority among defectors as compared with civilians. Civilians were regarded as the object to be executed by the reason that they had involved in anti-Japanese action. For their lives and property, therefore, they had no choice but to promise to become a Japanese subject. The Japanese army made principles and details on defection and was so intend on the matter for military and political advantages. Most of defectors over 20,000 had took part in independent organizations, who had been a participant in low rank. Their defection have shown that the basis of the independent movement in Kando was disquieted by the military action of Japan. In the matter of this situation, the Chinese local authorities feared that the defection to Japan might lead to the expansion of Japan in Kando province, and therefore they demanded the Koreans to be naturalized as Chinese. As the Koreans had got an absolute majority in population in North Kando, changing the state of politics in the Korean community was an important problem for all powers, Korean independent organizations, the Chinese authorities, and Japanese army and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