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Prevalence of Gender Essentialism in Korean Policies for Gender Equality : Limited Gender Sensitivity of KOICA’s Projects

        이성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Gender essentialism is a notion that women are the vulnerable or mothers or untapped resources for economic development on the belief that women’s essence is given and universal. Women have been discriminated by gender and transnational organizations for women and feminists demand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fight the gender-base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greed to do it. For example, the Beijing Platform for Action declared in 1995 address how to fight the gender-based discrimination with transformation of the prescribed gender roles. The gender-based discrimination can result from gender essentialism that favors masculinism, so feminists insisted that gender equality with transforming the prescribed gender roles to construct new gender roles is necessary for gender equality. Accordingly, many countries which agreed to the Beijing Platform for Action adopted policies and strategies for gender equality and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usiness also started to provide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istance for gender equality. The development assistance is, however, dependent on domestic politics and policies that could be not coherent with the global norms. Besides, the meaning of gender equality can be conveniently fixed, shrunk, stretched, and bent for national interests. Therefore, the discourse of gender equality is important for setting up an orientation of policies related to gender equality. In the case of South Korea, domestic policies have been disadvantageous to women and gender essentialism was conceived in policies. Besides, Korean ODA governance is based on a government-initiated network at which the government’s agendas are set prioritized. Therefore, the government’s discourse and policies of gender issues are highly connected to Korean ODA for gender equality.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from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at was affected by the previous administrations to Moon Jae-in’s administration, Korean policies conceived gender essentialism. Thus, KOICA’s ODA projects for gender equality have not gender-sensitive. Therefore, the discourse of gender equality needs to be discussed to challenge gender essentialism. 젠더 본질주의란, 여성의 본질은 이미 정해져 있고 보편적이라는 믿음 하에 여성을 취약층 또는 어머니 또는 경제 성장에 이용되지 못 한 자원으로 만 보는 관념을 의미한다. 여성은 젠더 그리고 여성을 위한다는 전통적인 기관들에 의해 차별을 받아왔고 여성주의자들은 국제사회가 젠더에 기반한 여성에 대한 차별에 대응하기를 요구했다. 국제사회는 이에 동의하였다. 예를 들어, 1995년에 선언된 베이징 행동강령은 미리 정해진 젠더 역할로 인한 젠더 기반한 차별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젠더에 기반한 차별은 남성주의에 유리한 젠더 본질주의 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주의자들은 미리 정해진 젠더 역할을 변화시키는 성평등으로 새로운 젠더 역할을 형성하는 것이 성평등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베이징 행동강령에 동의한 많은 국가들은 성평등을 위한 정책과 전략을 받아들였고 국제개발협력 분야는 성평등을 위한 국제개발협력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개발협력은 국내의 정책과 정치에 영향을 받으므로 국제 규범과 일치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성평등의 의미는 국내의 이익에 부합한 방식으로, 편리하게 고정되고, 축소되고, 늘어나고, 구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에 대한 담론은 성평등에 대한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의 경우에, 국내 정치는 여성에게 불리했으며 젠더 본질주의는 정책에 녹아 있었다. 게다가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거버넌스는 정부중심의 네트워크로, 정부의 의제들이 우선시되었다. 그리하여 정부의 젠더에 대한 정책 및 담론은 한국의 성평등에 대한 공적개발원조에도 연결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발견에 따르면, 이전 정부들의 영향을 받은 이명박 정부부터 문재인 정권까지의 정부들은 한국의 적책들은 젠더 본질주의를 품고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의 성평등에 대한 담론은 젠더 본질주의를 타파하기 위해 논의될 필요가 있다.

      • 젠더 차원에서 본 복지국가 재편 시기의 양육정책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 : 이탈리아와 스웨덴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해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807

        (1) 복지국가 재편 이전 시기 즉 1930년대부터 1970, 80년대까지 이탈리아와 스웨덴의 양육정책은 남성 부양자 모델과 개인주의적 모델이라는 상이한 양육정책 모델로 전개되었다. 이 기간동안 이탈리아는 남성 부양자 모델이 지속적으로 유지된 반면, 스웨덴의 경우는 젠더 분리 모델에 이어 1960년대 이후 개인주의적 모델로 발전하였다. 우선 이탈리아의 경우는 어머니인 여성과 부양자인 남성에 기반한 1인 남성 생계부양자 가족을 전제함으로써 가족에게 양육 책임을 전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양육정책의 주요한 목표는 단지 아동발달로 한정되었다. 그러므로 1960년대 이후 공 보육화는 그 대상을 3세 이상으로 한정짓고, 3세 미만 아동들에 대한 공 보육은 철저히 간과하는 이중적 구조로 전개됨으로써 여성노동의 지원과는 무관하였다. 그 결과 이탈리아의 여성노동참가율은 유럽 국가들 중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 스웨덴의 경우는 노동자로서의 여성과 양육자로서의 남성에 기반한 2인 부양자 가족을 전제함으로써 국가가 적극적으로 양육을 책임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양육정책의 주요한 목표는 아동발달 이외에도 남성과 여성 모두 가정과 일의 병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1970년대 이후 본격화된 보육정책의 확대와 부모휴가 정책은 젠더 평등적 권리의 실현을 위해 여성노동과 남성의 양육 책임 공유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대표적인 정책이었다. 그를 통해 스웨덴에서는 1세 미만 아동들의 대부분은 부모휴가를 받은 부모가 직접 양육하고, 1세 이상 아동들의 경우는 공 보육의 지원을 통해 양육하는 방식이 보편화되었다. 그 결과 스웨덴의 여성노동참가율은 유럽 국가들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2) 1980, 90년대 이후 양육정책의 변화는 상이한 재편의 내용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정책 모델간 차이가 축소되는 수렴적 경향을 나타내었다. 우선 이탈리아의 경우는 아동발달만을 목표로 하던 보육정책이 양육 지원의 목표를 추가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육정책의 재편은 다른 한편으로 수요 중심적 성격을 분명히 표방하고 양육비에 대한 부모의 부담을 늘리고 이를 세금 감면의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양육 지원의 비용을 전권으로 지방정부에게 이양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고, 새로운 양육서비스는 민영화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3세 이상 보육이 교육부로 이관되어 보편화의 정당성을 마련한 반면, 3세 미만 보육의 지역적 격차는 더욱 심화되었다. 그 결과 이탈리아의 여성노동 참가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으며, 증가한 1980년대 이후 증가한 여성노동의 대부분은 파트타임 형태였다. 한편 스웨덴의 경우는 1990년대 이후 사민당을 비롯한 페미니스트들의 성 평등을 위한 양육정책의 지속적으로 추구하려는 노력들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정책들은 위협받고 있었다. 지속적으로 증가해오던 양육정책의 비중이 감소되었고, 가장 주력했던 공 보육의 확대는 민간보육의 지원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였으며, 양육서비스에서 중앙정부의 주도적 역할은 지방정부의 권한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재편되었다. 그 결과 특히 시장 능력을 갖지 못한 하층 여성들의 경우는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보장받기가 어려워졌으며, 높은 여성노동참가율에도 불구하고 그들 대부분이 남성들과는 다른 파트타임 노동자라는 사실은 여전히 극복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양육정책의 전환은 부모들간의 양육에 대한 욕구의 다양성 또는 차이를 강조하는 새로운 정책 이데올로기와 부모들의 자유로운 선택을 보장하는 선택적 권리, 그리고 시장 부문의 양육서비스에 대한 정당화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양육정책의 재편 과정은 양육 비중 및 비용의 축소, 지방정부로의 탈중앙화, 유연하고 다양화된 정책과 양육서비스에 대한 개별 선택의 증가라는 공통된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양육정책 재편의 결과는 여성들이 남성과 동등한 노동자가 되는 것이나 남성과 여성이 동시에 양육책임을 공유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이 시기의 여성들은 여전히 대부분 비정규직 노동자들이며, 특히 하층 여성들의 경우는 다시금 양육을 전담하게 되는 상황들이 초래되었기 때문이다. (3) 양육정책의 출현과 전개 그리고 재편에 이르는 양육정책 전반에 대한 검토는 젠더 차원에서 양육정책의 시기별 다양성과 그들의 경향성을 파악하게 해주었다. 시기별로 양육정책의 젠더 차원들은 가족 책임의 유지와 모성적 권리의 출현(1930-50년대), 국가 책임의 강화와 성 평등적 권리에 대한 인식(1960-70,80년대), 시장 책임의 확대와 선택적 권리의 강조(1980,90년대)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양육정책의 변화 과정들은 양육정책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복지국가의 재편 시기를 기점으로 두 가지의 수렴적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1930년대부터 1970, 80년대까지의 양육정책은 모성적 권리에서 성 평등적 권리로, 가족의 양육 책임에서 국가의 양육 책임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으며, 1980년대 이후 양육정책 변화는 선택적 권리가 성 평등적 권리를 대체하고, 시장 책임이 국가 책임을 대체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젠더 차원에서 복지국가 재편 시기의 양육정책 변화는 여성들의 권리 확대와는 무관하였다. (4) 이탈리아와 스웨덴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대표적인 정치적 행위자인 정당, 노동조합 그리고 여성운동 조직들은 서로 다른 영향력에 기반하여 상이한 방식으로 행위하였다. 대부분의 정책들이 정당간의 타협에 의해 결정되는 이탈리아 정책 과정의 특수성으로 인해 특히 정당간의 정책 경합 과정은 대조를 이루었다. 젠더 문제에 진보적인 시각을 지닌 좌파 정당이 이데올로기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각 국에서 서로 다르게 행위했다는 것이다. 이탈리아의 경우 좌파 정당은 일하는 여성들의 권리에만 주목하였으며, 근본적인 젠더 불평등 문제에 무관심함으로써 대조적인 이념을 지닌 우파 정당들과 쉽게 타협하였다. 그러므로 관대한 모성휴가와 3세 이상의 공 보육화는 여성들의 권리와는 무관한 정치적 타협의 결과물이었다. 특히 보육정책이 3세 이상의 아동만을 대상으로 한 것은 기존에 보육 부문을 주관해왔던 카톨릭 세력과 아동발달을 위한 교육개혁을 도모하려는 국가 간의 권력 균형의 결과물이었다. 따라서 이탈리아에서는 그와 같은 양육정책들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다른 유럽국가들에 비해 남성 부양자 모델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었다. 반면 스웨덴의 사민당은 젠더 불평등 문제에 지속적으로 주목하였으며, 그를 위한 정책의 실현에 주력하였다. 여기에는 여성들의 권리를 주장하는 여성운동 조직과 여성을 포함한 노동자들의 권리를 주장하는 노동조합과의 복합적인 정책 조정 과정이 자리잡고 있었다. 정파를 초월한 여성운동 연합 세력들에 의해 제기된 성 평등 논쟁은 ‘노동자로서의 어머니’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보육정책의 확대를 낳았으며, 아버지의 양육책임을 강조함으로써 이전 시기의 모성휴가를 ‘부모'휴가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한편 양육정책에서 노동조합의 입장은 매우 복합적이었다. 노동자로서의 권리와 관련된 양육 지원의 문제들에는 긍정적인 입장을 취한 반면,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노동자가 되는 문제에서는 여성운동 조직들과 달리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내었다. 대표적인 예로, 젠더 평등의 궁극적인 방안으로 페미니스트들이 강력하게 주장해온 남녀가 모두 6시간 노동자가 되는 새로운 모델에 대해 노동조합은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내었다. (5) 양육정책의 재편은 양육의 공적 지원에 대한 요구가 보편화된 가족의 변화보다는 유연화된 노동에 대한 요구가 증가한 노동시장의 변화와 재정적 위기에 처한 국가의 제도적 변화가 우선적으로 고려된 것이었다. 선택적 권리에 기반한 다양화된 양육서비스에 대한 강조는 유연한 노동력에 대한 노동시장의 요구와 그를 지원하려는 국가의 새로운 노동정책에 부합하며, 양육서비스에서의 시장 부문 확대는 공적 서비스 부문을 사적 서비스화 함으로써 새로운 고용 창출을 통해 실업에 대응하려는 노동정책과 관련되어 있었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 선택적 권리와 다양화된 양육서비스 그리고 그를 위한 시장 부문의 확대는 다른 한편으로 국가가 재정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방정부의 책임을 강화시키는 탈중앙화를 통해 중앙정부의 책임을 축소하려는 정당화의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양육정책의 재편이 여성의 요구나 젠더 불평등의 문제를 간과하고 있다는 결정적인 근거가 된다.

      • 북한이탈주민의 젠더차별도가 가정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젠더관점의 매개효과

        최연우 신한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젠더차별도와 젠더관점, 가정폭력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여 북한이탈주민의 가정폭력 문제를 해소하는 데 기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젠더차별도가 가정폭력태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둘째, 젠더차별도는 젠더관점에 영향을 줄 것인가? 셋째, 젠더차별도와 가정폭력태도의 관계에 젠더관점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인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북한이탈주민 327명으로 남성 137명, 여성 190명이었다. 연구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확인을 위한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였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연구변인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른 차이검정을 위한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사후검정, 변수 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젠더차별도는 가정폭력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젠더차별도의 하위요인 중 가정영역을 제외한 조직, 교육, 언어영역이 북한이탈주민 남성과 여성 모두의 가정폭력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북한이탈주민의 조직, 교육, 언어영역에서의 젠더차별도가 높아질수록 가정폭력에 대해 허용적 태도를 보인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젠더차별도가 젠더관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젠더차별도의 하위 요인인 교육영역은 남성의 젠더자의식에, 언어영역은 남성과 여성의 젠더감수성과 젠더자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북한이탈주민의 교육영역과 언어영역에서의 젠더차별도가 높아질수록 젠더관점은 낮아진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젠더차별도와 가정폭력태도의 관계에서 젠더관점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젠더차별도의 하위요인인 교육영역과 언어영역이 남성의 가정폭력태도에 영향을 미칠 때 젠더자의식이 유의한 영향을 미쳐 매개 역할을 하였다. 즉, 북한이탈주민의 교육, 언어영역의 젠더차별도가 높을수록 가정폭력태도가 높아지는데 그 과정에 남성의 젠더자의식이 가정폭력태도를 낮추는 데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북한이탈주민의 젠더차별도를 낮추고, 젠더관점 역량을 키워 가정폭력태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북한이탈주민의 가정폭력 감소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젠더차별도 중 언어영역은 직접적으로도 가정폭력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젠더관점을 통한 부분 매개의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북한이탈주민의 젠더차별도를 낮추는 데 있어 언어영역에서의 젠더차별도를 낮추는 것이 가정폭력태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젠더관점 중 젠더자의식이 북한이탈주민의 가정폭력태도를 낮출 수 있는 주요 매개 요인이므로 젠더자의식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서비스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주제어: 북한이탈주민, 젠더차별도, 가정폭력태도, 가정폭력, 젠더관점, 젠더자의식, 젠더감수성.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resolving the domestic violence problem of North Korean defectors by ve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discrimination, gender perspective, and domestic violence attitude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research question is first, will the gender discrimin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ffect their attitudes toward domestic violence? Second, will gender discrimination affect gender perspective? Third, will the gender perspective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discrimination and domestic violence attitudes? was set to.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7 North Korean defectors, 137 male and 190 female.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SPSS 22.0 program to calculate the degree of internal fit to check the reliability,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understand the level of research variable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 For the test, t-test, one-way ANOVA, post hoc te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for the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discrimination level of North Korean defecto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domestic violence attitudes.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gender discrimination, organization, education, and language, excluding the family domai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s of both men and women of North Korean refugee domestic violence,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gender discrimination level, the more permissive attitude toward domestic viol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discrimin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gender perspective. Specifically, the education domain, a sub-factor of gender discrimin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en's gender self-awareness, and the language domain significantly affected men's and women's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self-awareness. In other words,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educational and language area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lower the gender perspectiv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perspectiv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discrimination and domestic violence attitudes of North Korean defectors. Specifically, when the education domain and language domain, which are sub-factors of gender discrimination, affected men's attitudes toward domestic violence, gender self-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played a mediating rol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education and language area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higher the domestic violence attitude. Combining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gender discrimin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increase their gender-perspective capabilities to reduce domestic violence attitudes. In particular, among gender discrimination, the language domain directly affects domestic violence attitudes and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gender perspective. This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domestic violence attitudes. Also, from a gender perspective, since gender self-awareness is a major mediating factor that can lower North Korean defectors' attitudes toward domestic violence, it is suggested that a program development and service system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gender self-awareness. Key words: North Korean defectors, gender discrimination, domestic violence attitude, domestic violence, gender perspective, gender self-consciousness, gender sensitivity.

      • 젠더 이미지 재구성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 : 중국 현대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리칭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ast 20 years have witnessed a sharp increase in the consumption and economic strength of women in China. Correspondingly, in the consumer culture of China, the “gender power” of the female gaze has been gradually enhanced. Media content is the text made up of a variety of symbols reflecting social life. From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in Chinese society, the male gaz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construction of our real life into advertisements, dramas, films, and other media content. It is the symbolic expression that men “have the right to watch”, which demonstrates that men have always enjoyed gender power above women.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ale gender images in Chinese modern films and movies from a semiotic perspective. Along with the enhancement of female gender power in Chinese society, the male gender image is now reconstructed from the female perspective. Reconstructed male characters in films, aside from traditional stereotypes, appear to be diverse and heterogeneous. Therefore, systematic academic analyses of male characters in the feminist film help supplement, expand, and enrich the dimensions of research on the cultural connotation of Chinese films and TV and also promote research on the male image. Secondly, in-depth interpretation of male characters popular among female audiences contributes to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audience demand and female psychology, especially to the understanding of the film-female-consumption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the age of consumption, thus enlightening the making of feminist film. In the end, “film is both a cultural text and a social practice; it creates the cultural environment in a positive response to the social status and needs, where many gender issues lie”. Male characters in feminist film show such new features that reflect not only the redefined male beauty and male identity but also (and more so) social and cultural change. The arrival of the era of consumption of male beauty is the result of female financial independence and greater emphasis on female aesthetic orientation. Male characters on-screen reflect female status. Therefore, through the semiotic research herein on male characters in Chinese feminism film,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jointly created by mass media today are analyzed, on which basis the modern development of two gender groups in China is pondered for the reference of social practice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emale audience-facing film series Tiny Times (2013~2015) to study the superficial structure, narrative, gender cultural code, and gender ideology of the diverse male characters reconstructed therein from the semiotic perspective. The mai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symbols are the superficial structure of the male image made up of in modern Chinese film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narrative structure to shape the male image in modern Chinese films?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hidden gender and cultural codes behind the male characters in modern Chinese films?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corresponding myth/ ideology of the male symbols in modern Chinese films? To begin with, in the semiotic analysis of the superficial structure of male characters reconstructed in the films in question (appearance: hairstyle, costume, facial expression, etc./ character: behavior, eye contact, etc.),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rhetoric, the “rhetorical triangle” is introduced to summarize the male visual symbols in the Tiny Times series. After stripping off the rhetoric of field-of-view and camera motion, color and light, and montage layer by layer, the extension, and intention of the character symbols are dissected based on Roland Barthes’ “double frames of signification”. In this way, we are able to look into the structure of signification by moving images and the generation of the “soft” image of male visual symbols. Secondly, in the semantic dimension, the significance of explicit images/ symbols in the narrative, their meaning through communication, and the targeted connotation are studied. Throughout the film series, based on such studies of specific behavioral patterns of the characters, we can easily find the motif meaning and ideological implication of the text: boys and girls in the film series, regardless of their gender and family background, are disciplined by traditional morals and the inherent ideology in the adult world, therefore feeling lonely, helpless and confused. The series is focused on the growth of young individuals and their youth memories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new era. There is no lack of “humble” love or friendship in the narrative to enrich the plot and describe their respective struggle out of the inherent ideology to realize the dream of their life. The in-depth narrative of the series focuses on their individualized rebellion against the inherent ideology, or mainstream culture, and the attempts to digest power and authority through the “revelry” exuded from the text. In addition, different from the binary logic in most gender relations represented in previous films and TV series, the Tiny Times series on the one hand contends with traditional gender logic with its particular male narrative symbols to reject the established gender framework and highlight the diversity and heterogeneity within gender relations; on the other hand, the series, on the whole, embodies the innovative strategy of subculture’s moderate irony to mainstream culture. Therefore, in terms of the function of male characters in films, the male image representing masculinity and rationality is declining; softened male narrative symbols that meet the demand of consumption for satisfaction are gaining greater popularity. Such narrative symbols are built on four dimensions: the emergence of diverse male qualities, the “unmarked beauty” of men, the plot of heroes being saved, and the gaze over the male body. Thirdly, number three on the research issue list is the gender and cultural codes of male images in contemporary Chinese films. As symbolic practices that leverage visualization to generate “persuasive discourse”, films produce rhetorical visual symbols to persuade and even control the audience’s values and practical behaviors, so that they can be persuaded into accepting the contents these films are trying to disseminate. As mentioned above, Tiny Times as a film series has refined the “image” of the male characters as “gloomy and gentle” through the diversified rhetoric of male visual symbols, while the primary function of this image, as the “ideal signifier”, is to forge an identity relatable to the perspectives of the audience and the creator (in terms of image utilized, lifestyle, spirituality, and consciousness), so that the audience (especially women) can obtain sensory and mental satisfaction, and that the soft male image in the film will be accepted, recognized and consumed by the audience.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key to the “persuasiveness” of visual images that possess a “profound discourse of persuasive significance” in the film lies in the unspoken “appropriate premises” implied between the creator and the audience based on cultural habits. As the “yardstick frame” for creating meaning, it often regulates the internal structure and meaning of cultural texts from its deepest roots. This study found that in Tiny Times, the “persuasive premise”, which is based on the “reconstruction of norms reflecting gender temperament” of the soft male image, includes the following propositions: 1. men should be gentle, thin, inoffensive, need protection, and yearn for women’s protection; 2. men should be emotionally sensitive, empathetic, and good at expressing their emotions; 3. men should be androgynous, showing that femininity is embedded in their personalities and behaviors; 4. men should take the initiative to do the housework and bear family responsibilities to meet the needs of modern women in the workplace. Secondly, in Tiny Times, the “persuasive premise” based on the “expression of emotions and desires” of the soft male image contains the following aspects: 1. men should be willing and able to take care of and accompany their partners; 2. men should be ancillary, obedient, clingy, and dependent; 3. men should know how to appreciate women including admiring and adoring them; 4. men should tolerate and listen to women, so that women can release their pent-up emotions, express appeals, take refuge in, and take comfort from; 5. men should be passive, conservative, and loyal to love and marriage in relationships; 6. men should be sexy and charming. Finally, in the film series Tiny Times, the persuasive premise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structing self-values and displaying individuality” based on the soft male image have the following points: 1. men should have the ideal appearance and physical perfection; 2. men should pay attention to cultivate their tastes in life, have dress sense, beauty treatments, go to gyms, and follow fashion; 3. men should have wealth, power and high social rank. To sum up, the emergence of more “feminine” men in movies is essentially blurring gender distinctions, with emphasis on gender equality, while opposing the so-called standardization of masculinity. It manifests women’s reflections on the traditional gender temperament standards, whereby “gender temperament is divided into binary oppositions” and “either-or gender temperament”, and the appeal to reconstruct the new gender role norms on this basis. The soft male image formed in the film satisfies women’s gender imagination of male images and meets the demands of modern women in many aspects such as emotion, family, and self-field. This explains why this kind of feminine-highlighted image is well received among women and widely popular in contemporary Chinese movies and mass media. In modern Chinese films, especially those facing the female audience, male characters are shaped to be beautiful, gentle, kind, and wealthy elites. Male characters reconstructed from the female perspective to cater to female audiences are also a type of cultural products. Starting from this idea, the author further discusses the reasons behind the aesthetic turn towards the softened male image, especially the emphasis on their beautiful “faces” in films like Tiny Time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ale image. Referring to different theories, the nature of “soft” male symbols in Tiny Times is analyzed in an all-around manner. In the modern cultural context with blended visual culture and consumer culture, the mirror image of the body is of a strong flavor of commercial ideology. Aesthetic standards are checked by economic benefits. “The visual aesthetic state of our body, as a commodity, is inevitably subject to the consumption mechanism”. Therefore, as the “she-economy” era arrived, the soft male image in TV and films can better meet the emotional appeals of female visual consumption. Secondly, the significance of the male body is expanded from purely aesthetic to consumptive, which gives birth to the physical capital effect. The introduction of the “soft” implication further expands the characterization of consumption and gives higher consumption value to representations of a male body. Thirdly, male models (real-life idols) in the visual cultural context and the public admiration, imitation, and pursuit of “softer” body image have promoted and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soft” male image structure. Through the consumption of the visual symbolic value of men, women show their difference from others and find their own value pursuit, which in turn promotes the formation of diversified aesthetic standards. “Soft” male image is the rebellion against traditional culture, which reflects the guidance effect of consumption culture on the public, and its reconstruction of the gender implications of the male image in Chinese society: the rejection of the traditional autocratic gender ideology and pursuit of egalitarian ideology. These become the mythical factors of gender models that men pursue. In the end, it is also notic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that, in 2012-2015 when the Tiny Times series was planned, the media environment experienced drastic changes; media development-driven cultural symbiosis and the turn in visual aesthetics had a substantial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softness aesthetics for male characters in the film series. We could call the birth of soft male characters in Tiny Times a conspiracy of new media technology and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that is highly valued in visual representation, by which we may also get a glimpse of the crux of such soft image in the current network TV and film market. In the meantime, the male image in TV and film text is more than just a cultural phenomenon, but also a window for our understanding of male qualities and gender relations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Chinese society. Though soft male characters shaped in TV and films significantly enrich traditional gender implications, excessive force in this direction would cause a certain negative impact. Therefore, it is proposed here that we should call for the return of male beauty in personality and temperament while respecting the diversified aesthetic forms of male image. Also, the visual aesthetic quality of both genders should be improved for better development of male image shaping and cognition. 지난 20 여년간 중국에서 여권과 여성의 소비와 경제력을 획기적으로 증가해 왔다. 그에 따라 중국사회의 소비문화 속에서 여성의 시선(gaze)이 갖는 젠더 권력은 점차 강화되기 시작하였다. 미디어 콘텐츠는 한 사회의 시대적 삶은 반영하는 텍스트이며, 다양한 기호들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 사회에서 전통적 관점에서 보면, 현실의 삶을 광고, 드라마, 영화 등과 같은 미디어 콘텐츠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남성의 시선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것은 전통적으로 남성의 젠더 권력이 여성의 젠더 권력보다 더 강했음을 반증해준다. 이 연구는 현대 중국사회에서 여성의 젠더 권력이 강화되면서, 여성의 시선에서 재구성되고 있는 남성의 젠더 이미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영화에서 재구성되는 남성 이미지는 전통적인 고정 관념의 이미지에 더하여 최근 다원화된 이질적인 모습으로 등장한다. 중국의 현대 영화 속에서 나타나는 남성의 이미지 속에는 여성의 젠더 권력과 시선이 작용하면서 새로운 차원의 남성 이미지가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이 주장하는 ‘여성 영화’는 새로운 남성 이미지와 성별 의식이 구축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고 관찰할 만한 미디어 텍스트다. ‘여성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에 대한 체계적인 학술적 분석은 중국 영화 문화 의미 연구의 차원을 보완하고 확장하며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남성 이미지 연구의 학술적 의미를 심화한다. 둘째, 중국은 이미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영화 관람객을 보유하고 있어 초기에 타깃 관객층을 포지셔닝해야 하고 더 세분화되게 분류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은 소비문화 가운데 간과할 수 없는 시장으로 ‘여성 영화’와 환상의 짝꿍이라고 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여성 영화’는 여성만의 영화작품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성 관객들이 좋아하는 남성 캐릭터 이미지를 심도 있게 해석한다면 관객들의 수요와 여성의 심리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소비 시대라는 배경은 영화와 여성, 소비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여성 영화’의 창작 및 실천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 밖에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여성 영화’의 경우 상대적으로 부족한 점들이 있다. 예를 들면 남성 캐릭터에 대한 묘사가 깊지 않고 단순히 여성 관객의 환심을 사고 맹목적으로 기쁘게 하는 것이 때문에 남성 캐릭터 이미지의 설정을 기호화하고 평면화하며 심미적으로 협소화해야 한다.여성의 욕망에 대한 관찰, 성별 주제에 대한 인지, 영화 관람 시 여성의 심리적 동화 기제 등 모두 체계적이고 이론화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여성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와 기호학 이론 하에서 이루어진 ‘여성 영화’에 대한 색다른 첫 해석은 엄청난 현실적인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영화는 문화적 텍스트이면서 사회적 실천이기도 하다. 영화가 만들어 낸 문화적 환경은 사회 현황 및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많은 성별 관련 어젠다가 그중에 포함되어 있다”. ‘여성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가 보여주는 새로운 특징들은 남성의 아름다움과 남성의 신분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반영하였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사회 문화의 변화를 반영했다. 남성 소비 시대가 도래했다. 여성이 경제적으로 독립하면서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를 더욱 중요시하게 되었다. 스크린 상의 남성 이미지는 여성의 현황을 반영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 ‘여성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에 관한 기호학 연구를 통해 현재 대중 매체가 구축한 사회 문화 현상을 분석하고 당대 중국 양성(两性) 집단의 발전 상태를 깊이 생각하고 사회적 현실을 관찰한다. 이 연구는 중국의 여성 관람객으로 타겟으로 제작한 <소시대> 영화 시리즈(2013~2015)에서 재구성된 다원적 남성 이미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표층구조, 네러티브 분석, 젠더 문화적 코드, 그리고 젠더 이데올로기를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글의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중국 현대 영화속에서 남성 젠더 이미지는 어떠한 기호들로 그 표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가? [연구문제2] 중국 현대 영화속에서 남성의 젠더 이미지를 구축 하고 있는 서사구조는 무엇인가? [연구문제3] 중국 현대 영화속의 남성이미지에 내포된 젠더 문화적 코드는 무엇인가? [연구문제4] 중국 현대 영화속에서 남성 이미지 기호들이 지향하고 있는 신화/이데올로기는 무엇인가? 첫째는 표층적 차원에서는 <소시대> 영화 시리즈에서의 남성 이미지(외모: 헤어스타일, 옷차림, 표정 등 / 성격: 행동, 눈빛 등 포함)를 분석하고, 영화 제작 차원의 표현 방식, 즉 장면 구성, 카메라 움직임, 색체, 빛, 화면 편집 등을 살펴보았다. 본절은 시각 수사의 각도에서 출발하여 “수사 삼각형”을 분석 구조로 삼아 <소시대> 시리즈 영화 중의 남성 시각 기호를 정리하고 인물 기호의 장면과 카메라 무빙 수사, 색채와 빛 수사, 동태 화면 편집 수사를 층층이 벗겨내고 롤랑 바르트의 “2차 의미 체계”와 결합시킨다. 그 외연과 의미를 분석하면 우리는 동태 영상의 표의 과정에 대한 구조 분석을 하고 남성 시각 기호인 “유연성” 이미지의 생성을 통찰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의미적 차원에서는 네러티브 전개 방식 및 의미전달 과정의 외연적 이미지/기호들의 의미와 이들이 지향하는 내연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전체 영화를 보면, 이런 캐릭터의 구체적인 행위 모델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 안의 텍스트의 주적 의미와 사상적 의미를 발견하기 어렵지 않다. 영화속의 소년과 소녀는 성별, 생김새, 가정 배경이 어떻든 성인 세계에서 온 전통적인 규범과 고유 이데올로기의 교훈에 의해 무기력 방황과 혼란을 초래한다. 영화는 신 시대의 사회 문화 맥락에서 청춘 개인의 성장과 청춘 기억에 초점을 맞추고, 전체적인 내러티브는“비련”한 사랑이나 우정으로 전체 영화를 충실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고유한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인생의 꿈을 실현하는 성장 과정을 서술한다. 영화의 심층 내러티브 시각은 모두 그들의 고유한 이데올로기나 주류 문화에 대한 개인화에 대한 반항과 저항에 중점을 둔다. 또한 “영화의 텍스트에 의해 드러난 '카니발'을 통해 권력과 권위를 해소하고, 우아함과 천박함, 정신과 육체의 위치를 반전시켜 전통적인 전체성의 전복”을 시도한다.더 나아가 영화는 청년 하위문화의 어휘를 사용하여, 즉 텍스트에 나타난 특정한 “카니발”로 주류 문화에 대한 적절한 반어법은 실현한다. 이 밖에도 기존의 다른 영화와 TV작품이 재현한 젠더 관계는 대부분 이분법적 논리를 가지고 있는 것과는 달리 <소시대> 영화 시리즈는 특정한 남성 내러티브 기호를 통해 전통적인 젠더 논리와 계속해서 대립하며 이를 통해 정해진 젠더 구조를 거부함과 동시에 젠더 관계의 내재적인 다원화된 이질성을 강조한다. 다른 한편으로 전체적인 전개에 있어 새로운 의미를 가진 청년 하위문화가 주류 문화에 대한 적당한 반어적 전략을 나타냈다. 따라서 우리는 영화가 남성 캐릭터의 기능 설정에 있어서 용감하고 이성적인 남성 이미지의 기호가 점점 쇠퇴하는 대신 쾌락 소비를 제공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남성 내러티브 기호로 대체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런 내러티브 기호의 설정은 다원화된 남성의 기질의 배출, 남성의 “이상 항목 미감”(즉 표시성 미감)표현, 남성이 구조되는 줄거리, 남성의 신체 응시의 네가지 차원에서 구축된다. 세 번째는 본 연구의 세 번째 과제는 중국 현대 영화의 남성 이미지 젠더 문화 코드를 탐구하는 것이다. 영화는 주로 이미지를 수단으로 “설득적 언어” 생산을 하는 기호 실천으로서, 영화는 수사적인 시각적 기호의 생산을 통해 설득하며, 관객들의 가치관과 실천행위를 설득하고 통제함으로써 설득과 인식의 전달을 완성한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소시대> 시리즈는 남성 시각 기호에 대한 다원화된 수사적 방식으로 캐릭터의 그늘지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만들어 냈다. 이러한 이미지는 “가장 이상적 시니피앙(significant)”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은 바로 관객과 창작자의 시각에서 인정(이미지, 생활 방식, 정신과 의식 등 여러 측면에서 호소)을 구축하는 것이다. 관객(특히 여성)으로 하여금 감각부터 내면의 요구까지 만족시키고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의 유연성 있는 남성 이미지를 받아들이고 인정하며 소비하게 한다. 하지만 영화해서 “설득적 의미의 심층적 언어”를 지닌 시각적 이미지의 “설득력”의 핵심은 창작자와 관객 사이에 문화적 습관을 기초하여 창작자와 관객 사이의 암묵적인 "적절한 전제(premises)"를 내포하는 것이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의미를 창조하는 “표준 프레임”으로, 흔히 문화 텍스트의 내재적 구조와 의미를 근본적으로 규정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를 통해, 영화 <소시대> 시리즈에서 부드러운 남성 이미지의 ‘성별 기질 구현 규범 재건’을 준칙으로 하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는 다음을 포함한다. 첫째, ‘남성은 성격이 부드럽고, 몸매가 날씬하고, 공격적이지 않으며, 보호를 필요로 하고, 여성의 보호를 갈망해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둘째,‘남성은 감정이 섬세하고, 감정을 중시하며, 감정 표현에 능숙해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셋째, ‘남성도 양성구유(双性同体)로 여성적 특질을 성격과 행동에 내포하고 있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넷째, ‘남성은 가정 일을 주동적으로 처리하고, 가정의 책임을 부담해 현대 여성의 직장 수요에 부합해야 한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다음 으로, 영화 <소시대> 시리즈에서 유연한 남성 이미지의 “감정과 욕망 표현”을 원칙으로 하는 “젠더 문화적 코드 ”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 “남성은 사랑하는 사람을 세심하게 돌보고 항상 동반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둘째, “남성은 여성에게 의지, 순종, 집착의 의존성을 나타낸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셋째, “남성은 여성을 흠모하고 숭배하는 대상으로 감상할 줄 알아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넷째, “남성은 경청하고 포용하기를 원하며 여성이 정서를 발산하고 표현하고 호소할 때 감정을 위로하는 대상으로 감정적 치유 기능을 가진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다섯째, “남성은 양성 상호 작용에서 수동적이고 보수적이며 감정과 결혼에 충실해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여섯째, “남성은 섹시하고 매력적이어야 한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마지막으로, <소시대> 영화 시리즈에서 유연한 남성 이미지의 “자기 가치관 구축, 개성 과시”를 원칙으로 하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는 아래의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남성은 이상적인 외모와 신체적 아름다움을 가져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둘째, “남성은 생활 품위, 옷차림, 미용, 헬스, 패션을 추구해야 한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셋째, “남성은 부와 권력, 탁월한 사회적 지위를 가져야 한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종합해 보자면, 영화 속 남성이 더 “여성화”되어 있는 건 본질적으로 성별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드는 것이고, 양성평등을 강조하는 것이며, 소위 남성 기질의 규범화를 반대하는 것이라는 점을 발견했다. 이는 “이분법적인 표준으로 성별의 기질을 나누는 것”과 “양성의 기질을 상대적으로 배제하는 방식으로 정의하는 것” 등의 전통적인 성별 기질 표준에 대해 돌이켜 생각해 보고,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성별 역할 규범을 구성하자는 요구 사항이기도 하다. 영화 속에서 만들어진 부드러운 남성의 이미지는 남성 이미지에 대한 여성들의 성별 상상을 충족시켜 감정, 가정, 본인의 상황 등 여러 방면에서의 여성의 요구 사항에 일치한다. 이것이 여성적 특징을 가진 부드러운 남성 이미자가 여성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당대 중국 영화 및 대중 미디어에서 광범위하게 유행하는 원인이다. 중국의 현대 영화 중에서 특히 여성 관람객을 타겟으로 제작되는 영화들 속에서 나타나는 남성의 이미지들은 아름답고, 부드러우며, 친절하고, 엘리트이자 경제적으로 부유한 이미지들을 지향하고 있다. 여성 관람객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여성의 젠더 시선에서 재구성하는 영화 속의 남성들의 이미지는 하나의 문화 상품으로서 캐릭터이자 젠더 상품이기도 하다.그리고 <소시대>에 나타나는 여성의 시선에서 재구성된 남성 젠더의 이미지들 속에 내재된 현대 남성의 젠더 이데올로기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영화 속의 젠더 이미지는 그 시대의 젠더간 권력과 권력의 시선을 반영한다. 누구의 시선에서 젠더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가는 미디어 콘텐츠에 나타나는 남성성과 여성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필자는 <소시대> 시리즈 영화에서 남성 이미지가 보여주는 유연성 트랜드를 바탕으로, 특히 전통적인 남성 이미지에 비해 “얼굴”의 미를 강조하는 심미적 전환에 대해 더욱 깊이 있게 분석하고 다양한 이론과 결합하여 <소시대> 영화 시리즈에서 ”유연한” 남성 캐릭터 기호의 본질을 전면적으로 분석한다. 즉, 현재 시각 문화와 소비 문화가 융합된 문화적 맥락에서 신체 미러링이 가지고 있는 상업 이데올로기는 상당히 강하고 심미적 기준은 경제적 이익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상품으로서의 신체가 어떠한 시각적 심미 상태를 나타내는지는 필연적으로 소비 메커니즘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여성의 사회 활동이 많아짐에 따라 여성과 관련된 경제 현상이 증가하는 시대를 뜻하는 타징지(她经济)에서, 첫째, 영화와 드라마 미디어에 나타난 유연성 있는 남성 이미지는 여성 시각 소비의 감정적 요구에 더욱 잘 부합될 수 있다. 둘째, 남성 신체는 단순한 미학에서 소비로 의미의 확장을 실현하고 신체 자본 효과를 탄생시켰다. “유연성” 함축의 개입으로 소비 표상이 계속 확대되어 남성 신체 표상으로 하여금 더욱 높은 소비가치를 가지게 했다. 셋째, 시각 문화 배경에서 남성 모델(현실 아이돌)과 일반 대중들이 “유연성” 신체 이미지에 대한 추앙, 모방과 추대는 “유연한” 남성 이미지 구조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강화시켰다. 유연한 남성 이미지는 전통에 대한 반항으로, 대중은 남성 이미지 기호의 가치에 대한 심미를 통해 남들과의 차별성을 나타내고, 가치관을 추구한다. 이는 나아가 다양한 심미 기준을 만들어내며, 이 현상의 이면에는 소비 문화가 이끄는 대중 심미가 숨겨져 있다.더나가 중국사회에서 새로운 남성의 이미지를 재구성하고, 그 의미를 부여하며, 궁극적으로 전통적인 권위주의적 젠더 이데올로기를 거부하며 평등주의적 이데올로기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이 현대 중국 영화 속에서 재구성되고 있는 중국 남성의 젠더 이미지이며, 현대 사회의 남성들이 젠더 모델로 지향하는 신화적 요인으로 정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연구 과정에서 2012~2015년 <소시대>영화 시리즈 촬영 기간 중의 급변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발전은 다중 문화의 공생과 시각적 미학이 <소시대> 영화 시리즈의 남성 유연성 시각적 심미 기준 형성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일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소시대> 영화 시리즈의 유연성 있는 남성 이미지의 생성은 시각적 표징이 크게 중시되는 경관 사회에서 뉴 미디어 기술 특성과 공모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재 인터넷 영화와 드라마 시장에서 남성 이미지가 지나치게 유연해지는 문제점도 엿볼 수 있다. 동시에 영화와 드라마 텍스트 중의 남성 이미지는 문화적 현상일 뿐만 아니라 사회의 남성성에 대한 인식과 젠더 관계에 대한 통찰의 창이기도 하며, 동시에 중국의 사회, 역사, 문화의 표징이기도 하다. 비록 영화와 드라마 미디어가 재현한 유연성 있는 남성 이미지가 매우 풍부해지며 전통적인 젠더의 의미를 확장시켰지만 남성 이미지가 지나치게 유연해지면서 어느 정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남성 이미지의 다양한 심미 형태를 긍정하고 존중하는 동시에 남성 남성성의 아름다움의 복귀 요구를 제안한다. 또한 쌍방의 시각적 심미 소양을 향상시켜 남성 이미지의 조성과 인지가 더욱 발전적인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한다.

      • 패션에 표현된 젠더 플루이드

        박해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a developed information society, multiculturalism, such as race, culture, and gender, is mixed and all boundaries are blurred. At the same time, the hot term "gender fluid" has emerged in fashion, affecting mainstream fashion and showcasing fashion beyond traditional concepts. In response to this rapidly emerging phenomenon, the literature related to this is still insufficient in Korea. Therefore, in this study, materials related to gender fluids are collect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books, dissertations, academic journals and electronic materials, an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such as gender-related terminology, fashion and gender history. We also study the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gender fluids in fashion collections by considering and analyzing reviews or interviews of Gucci, Tom Brown, and J.W. Anderson's fashion collections as representative three fashion collections related to gender fluids. Research has shown that, first, gender fluids have emerged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fluid gender choice as a changeable gender identity. Second, the Gucci Collection showcased a free-sentimental fashion style by blurring gender with children's images such as straight silhouette's children's clothing, accessories, colorful colors, and cartoon characters. Third, the Tom Brown collection has blurred gender boundaries with uniforms and occasionally presented a performance style of cross-dressing. Fourth, the J.W. Anderson collection introduced a style that emphasizes gender similarity and pursues arbitrary challenges, realizing a shared wardrobe with gender-individual forms of design. Fifth, what the three designers have in common in their design characteristics was gender ambiguity in the form of differentiation before the completion of secondary characterization, which is undergoing the formation of gender identity. The bright colors represent a neutral image with a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s, and the face is covered with paired productions or masks, making it impossible to gauge its identity. Sixth, the differences i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designers include Anderson's soft-positive image of femininity, while Gucci and Tom Brown's image of an immature boy with the leg exposure of shorts. The phenomenon of gender fluids in fashion not only recognizes, respects, and embraces the diversity of gender identities, bu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for anyone to express the self. The fashion collection features a wardrobe that can fit everything in numerous styles and expand indefinitely. This, along with changing and fluid gender perception, provides an endless possibility for individuals to explore their identity and realize self-expression. By providing understanding and basic data on gender fluid fashion, which is emerging as a trend phenomenon, we will help future fashion design ideas and direction suggestions. 발달된 정보화 사회에 들어서면서 현재는 인종, 문화, 성별 등 다문화가 섞여지고 모든 경계선이 흐릿해지고 있다. 이와 동시에 패션에서는 “젠더 플루이드”라는 핫한 용어가 출현하면서 주류 패션에 영향을 미치고 전통 관념을 초월한 패션을 선보이고 있다. 급부상되고 있는 이런 현상에 대하여 국내에서 이와 관련된 문헌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젠더 플루이드와 관련된 자료는 국내외 단행본, 학위논문, 학술지와 전자자료를 통하여 수집하고 젠더와 관련된 용어 정리, 패션과 젠더의 역사 등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젠더 플루이드 개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젠더 플루이드와 관련이 많은 대표적인 세 패션 컬렉션으로서 구찌, 톰 브라운, J.W. 앤더슨의 패션 컬렉션에 관한 리뷰나 인터뷰를 고찰하고 비교분석하여 패션 컬렉션에서 젠더 플루이드의 표현방식과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젠더 플루이드는 그때그때 변화 가능한 젠더 정체성으로서 유동적인 젠더 선택의 가능성에 초점을 두어 등장한 개념이다. 둘째, 구찌 컬렉션은 스트레이트 실루엣의 어린이옷과 액세서리, 알록달록한 색상, 만화 캐릭터 등 아동의 이미지로 성별을 흐리게 표현하고 다문화적인 요소를 혼합하여 자유로운 감성의 패션스타일을 선보였다. 셋째, 톰 브라운 컬렉션은 유니폼으로 젠더 경계를 흐리게 표현하고 때로는 크로스드레싱의 퍼포먼스적인 스타일을 선보였다. 넷째, J.W. 앤더슨 컬렉션은 성이 구분되지 않는 형태의 디자인으로 공유옷장을 실현하며 젠더의 유사성을 강조하여 표현하고 제멋대로의 도전을 추구하는 스타일을 선보였다. 다섯째, 세 디자이너의 디자인 특성에서의 공통점은 모두 젠더 정체성의 형성과정을 겪고 있는 이차성징이 완성되기 전의 미분화의 모습으로 젠더 모호함을 나타냈다. 밝은 컬러로 양성적인 이미지와 무채색의 컬러로 중성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고 페어링 되는 연출이나 가면으로 얼굴을 가려 정체성을 가늠할 수 없게 하였다. 여섯째, 세 디자이너의 디자인 특성에서의 차이점은 앤더슨은 여성성을 표현하는 신체노출로 부드러운 양성성의 이미지로 나타났고 구찌와 톰 브라운은 반바지의 다리노출로 미성숙한 소년의 이미지로 나타나 신체부위의 노출과 은폐의 차이점이 있다. 패션에서의 젠더 플루이드 현상은 젠더 정체성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포용하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누구나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의 기회를 제공해준다. 패션 컬렉션에서는 수많은 스타일로 모든 것을 어우르고 무한히 확장되는 옷장을 선보이고 있다. 이것은 변화되고 유동되는 젠더 인식과 함께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고 자아표현을 실현할 수 있는 끝없는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이상으로 하나의 트랜드 현상으로 부각되고 있는 젠더 플루이드 패션에 관한 이해와 기초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패션 디자인 발상과 방향제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트랜스젠더, 젠더비순응 및 젠더확장자를 위한 자기조절 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변증법행동치료 기술훈련과 소매틱경험 집단의 비교

        정지인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트랜스젠더, 젠더비순응 및 젠더확장자를 대상으로 하여 자기조절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었다. 이에 트랜스젠더, 젠더비순응 및 젠더확장자에게 변증법행동치료와 소매틱경험을 적용하여, 8회기에 걸쳐 22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처치하였다. 혐오폭력경험, 미세공격경험을 사전에 측정하였으며 외상후스트레스증상, 우울증상, 정서조절곤란, 자아존중감, 사회적 낙인감을 사전, 사후, 추후 4주에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미세공격경험은 사회적 낙인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증법행동치료 집단의 경우 정서조절곤란, 자아존중감, 사회적 낙인감에 대하여 처치 직후와 추후 4주 측정에서 효과가 있었고, 우울증상에 대하여 처치 직후 효과가 있었으나 추후 4주에서 효과가 유지되지 않았으며, 외상후스트레스증상에서는 직후 혹은 추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소매틱경험 집단의 경우, 정서조절곤란과 자아존중감에 대하여 처치 직후 효과가 있었으나 추후 4주에서 효과가 유지되지 않았으며, 외상후스트레스증상, 우울증상, 사회적 낙인감에서는 직후 혹은 추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데 있어 습득한 기술을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일반화가 관건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미세공격경험이 국내 트랜스젠더, 젠더비순응 및 젠더확장자의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내고, 변증법행동치료와 소매틱경험의 효과 차이를 나타낸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improving for transgender, gender nonconforming, and gender expansive identity(TGNCE) people. Eight week group interventions each for Dialectical Behavior Therapy(DBT) skills training and Somatic Experiencing(SE) training was adjusted to a total of 22 TGNCE people. The experiences of hate violence and micro-aggression were measured in adva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depressive symptoms, emotion dysregulation, self-esteem, and social stigma were measured before treatment, after treatment, and 4 weeks follow up.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micro-aggression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tigma. In DBT skills group, participants reported improvements in emotion dysregulation, self-esteem, and social stigma after treatment and 4 weeks follow up. There were improvements in depression after treatment, but it did not maintain 4 weeks follow up. There were no improvements in post-traumatic stress. In SE group, the participants reported improvements in emotion dysregulation and self-esteem after treatment, but it did not maintain 4 weeks follow up and there were no improvements in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on, or social stigma. In conducting a treatment program, generalization of skills that can be used in real life seems to be the ke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how micro-aggression affect the mental health of TGNCE people in Korea, and it showed the different effectiveness of DBT and SE.

      • 성정체성과 교사정체성을 통한 초등교사들의 젠더교육 수행 연구

        서세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Currently, differences in gender consciousness centered on the younger generation have emerged clearly in Korean society, and gender consciousness has emerged as a hot topic of analysis in controversial issues of politics and social culture. As a solution to this, social interest in gender education has recently increased, but despite this social interest, there are many shortcomings at the institutional level of gender education. For this reason, gender education, which is actually conducted in the educational field, relies on the autonomy of each teacher who is interested in some, and the perception and role of teachers who are the subjects of education are absolut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adolescence and children whose stereotypes about gender are relatively not fixed, this importance is further emphasized due to their high instructional autonomy. In this regard, this study judged that the teacher's identity will affect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gender education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gender education through two conceptual axes: teacher gender identity and teacher ident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isten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teachers conducting gender education and to find out how the internalized identities of teachers revealed through this affect their gender education awareness and educational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e suggested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8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onducted gender education, identified each case, and used it as data for 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feminism and the teacher identity they ideally pursue? Second,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gender education and what is the reason for starting gender education? Third, what are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carrying out gender education and what are the behavioral strategies to overcome th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irst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began to recognize gender equality and feminism through horizontal or patriarchal experiences at home, and later encountered feminism through various social interactions in the process of living. Participants in the study showed various perspectives in interpreting feminism, which was mainly due to differences in positions on radical feminism. They are largely divided into groups that sympathize with online radical feminism, groups that support feminism but raise problems in the radical way, and groups that refer to radical feminism as "Korean" feminism, reject it, and argue for gender equality that defines itself. The group that sympathized with radical feminism strongly had an identity as a feminist and woman, and refused to judge the right and wrong of feminism by the existing moral standards. In the case of the group who thinks positively of feminism but is reluctant to the radical method, gender and age vary, accounting for the major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did not show that a specific gender identity was strongly revealed. On the other hand, the group against feminism supported values such as gender equality, gender conflict resolution, and social integration, but understood feminism as contrary to these values. These groups are generally composed of male participants, strongly internalizing their gender identity as men, and expressing their rejection of "potential perpetrators." First, an inclusive teacher who cares about all students without creating an equal and happy classroom environment, second, a teacher as a midwife who allows them to think and learn on their own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activities, and daily experiences. In the third type, there is a subjective evaluation and orientation of one's gender consciousness, but it is characterized by taking this attitude of an "objective teacher" because one feels that gender consciousness itself is a political issue or is not confident in one's gender perception. Participants in the study understood gender education in three dimensions: feminism education, human rights respect education, and empathy practice education. Groups that understand gender education as feminist education were conscious of the negative image of feminism understood in society and focused on it, showing concern about stigma as a "redical feminist." This concern can be understood as the expression of teacher identity, conscious of the gaze within the teacher group and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teacher, rather than due to their perspective on feminism. Meanwhile, the position of seeing gender education as part of human rights education tried to embrace gender education within the official and mandatory scop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part of various conflicts occurring in society, they showed an attitude to understand gender conflicts,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on them, and at the same time present answers within the curriculum level. Some of them used the name of human rights education as a conceptual tool to mediate the internal confusion between teacher identity and gender identity that society feels responsible for educating gender equality pursued by society and gender identity that rejects radical feminism. Third, participants who understood gender education in terms of empathy were aiming for holistic education that emphasized practice rather than knowledge. The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natural gender sensitivity and showed their identity as educational experts to effectively achieve it, showing their appearance as educational experts who constantly agonized over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Participants in the study started gender education due to gender stereotypes, students' use of hate expressions, gender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lack of internal stability in school sex education. In addition, they shared a firm belief that gender equality can be achieved through education in common. Participants in the study recognized their gender identity and teacher identity in the process of facing the need for gender education and incorporated them into practice. Research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identity as teachers in improving students' stereotypes and hate expressions and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On the other hand, when teachers felt discrimination due to their gender at school or sympathized with students of the same gender, they decided to conduct gender education through gender identity that they were internalizing themselve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experiencing various difficulties in conducting gender education. Regarding gender identity, male participants felt uncomfortable with the existence of men as potential perpetrators in terms of gender education content. It was also difficult to presuppose empathy for other sexes that they had never experienced. In addition to the contents of the class, it can be seen that they were having a hard time forming rapport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tudents. In the case of female participants, their sexual identity stood out when it comes to pranks that cause male students' sexual shame in relation to class rejection, and their consciousness of stigma as a radical feminist could also be understood as having an effect. They were also struggling with their identity as gender education teachers, including a lack of self-confidence as teachers, qualitative limitations of guidelines and teacher training, a conservative educational atmosphere, a lack of understanding and support from fellow teachers, and antipathy from parents. As strategies to overcome these various difficulties, they used strategies such as creating "safety devices" in the content of the class to use objective materials, teach indirectly, and melt them into part of their lives. In addition, strategies such as solidarity with teachers who share their will outside of class, creating an educational community, going to graduate school, and using the teacher community were used. As for how they overcome difficulties, their gender identity was not particularly established. According to this study, both the gender identity and teacher ident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an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gender education. Teachers' gender identity influenced their attitude toward gender education, the opportunity to practice gender education, and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but when it comes to overcoming the specific contents, methods, and difficulties of gender education practice, teacher identity appeared.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der identity and teacher identity of teachers are not discontinuous in performing gender education, and are developing gender education through the concerns and reflections of individual teachers in the social context. <국문 초록> 현재 한국사회에는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한 젠더의식의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났으며 정치, 사회 문화의 논쟁적 사안에서 젠더의식이 분석의 화두로 떠올랐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최근 젠더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이러한 사회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젠더교육에 관한 제도적 차원에서는 많은 미비점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수행되는 젠더교육은 일부 관심이 있는 교사들 개개인의 자율성에 의존하고 있으며 교육의 수행 주체인 교사의 인식과 역할이 절대적이다. 특히 젠더에 관한 고정관념이 상대적으로 고착화되지 않는 아동, 청소년 시기를 담당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우 그들이 지니는 높은 수업자율성으로 인해 이러한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교사의 정체성이 젠더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하고 이를 규명하고자 교사의 성정체성과 교사정체성이라는 두 가지 개념 축을 통해 현행 젠더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젠더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교사들의 교육 경험을 듣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교사들의 내면화된 정체성이 그들이 가지는 젠더교육 인식과 교육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규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제시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젠더교육을 수행한 18명의 남·여 초등학교 교사들과의 심층면접을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각각의 사례를 파악하여 분석을 위한 자료로써 활용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들의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과 그들이 이상적으로 추구하는 교사 정체성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 교사들이 젠더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젠더교육을 시작한 계기는 무엇인가. 셋째, 젠더교육 수행에서 마주하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를 극복하는 행위 전략은 무엇인가. 첫 번째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들은 가정 내의 수평적 또는 가부장적 경험을 통해서 성평등과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페미니즘을 마주하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페미니즘에 대한 해석에 있어 다양한 관점을 보였는데 이는 주로 레디컬 페미니즘에 대한 입장 차이에 기인하고 있었다. 이들은 크게 온라인상의 레디컬 페미니즘에 대해 공감하는 집단, 페미니즘을 지지하지만 레디컬한 방식에는 문제를 제기하는 집단, 레디컬 페미니즘을 ‘한국식’ 페미니즘으로 지칭하고 이를 거부하며 스스로 규정하는 성 평등을 주장하는 집단으로 나뉜다. 레디컬 페미니즘에 대해 공감하는 집단은 페미니스트이자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으며, 기존의 도덕적 잣대로 페미니즘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을 거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페미니즘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레디컬한 방식에는 거부감을 느끼는 집단의 경우 성별과 연령이 다양하며 연구 참여자의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특정한 성정체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점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페미니즘에 대해 반감을 가지는 집단은 성 평등, 젠더 갈등 해소, 사회적 통합 등의 가치를 지지하지만 페미니즘은 이러한 가치에 반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이들 집단은 대체로 남성 참여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성으로서의 성정체성을 강하게 내면화하며, ‘잠재적 가해자’에 대한 거부감을 피력했다. 연구 참여자들이 이상적으로 추구하는 교사상의 모습으로는 첫째, 평등하고 행복한 교실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소외되는 아이를 만들지 않고 학생 모두에게 관심을 갖는 포용력 있는 교사, 둘째, 학생을 교육함에 있어 일방향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닌 구체적인 체험과 활동, 일상의 경험 등을 통해 스스로 생각하고 체득할 수 있게 만드는 산파로서의 교사, 셋째, 자신의 정치적 신념이나 주관적 가치판단을 배제하고 객관적 사실만을 제공함으로서 아이들의 인지적 성장을 돕는 전달자로서의 교사이다. 세 번째 유형의 경우 자신의 젠더의식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지향성이 존재하지만 젠더의식 자체를 정치적인 문제라고 느끼기 때문에, 혹은 본인의 젠더인식에 확신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객관적 교사’의 태도를 취하는 특징을 보이기도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젠더교육을 페미니즘 교육, 인권존중 교육, 공감실천 교육의 세 가지 차원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젠더교육을 페미니즘 교육으로 이해하는 집단은 사회에서 이해되는 페미니즘의 부정적 이미지를 의식하고 이에 초점을 맞추어 ‘레디컬 페미니스트’로의 낙인을 걱정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러한 걱정은 이들이 지니는 페미니즘에 대한 관점에 기인하기보다는 교사 집단 내의 시선과 교사가 지니는 정치적 중립성을 의식한 교사정체성의 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젠더교육을 인권교육의 일환으로 보는 입장은 젠더교육을 ‘민주시민교육’이라는 공식적이고 의무적인 범위 안으로 포섭하고자 했다. 이들은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갈등의 일부로서 젠더 갈등을 이해하고 이에 대해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동시에 교과 수준 내에서 이에 대한 답안을 제시하고자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들 중 일부는 사회가 추구하는 성평등을 교육해야하는 책임이 있다고 느끼는 교사정체성과 레디컬 페미니즘을 거부하는 젠더정체성 사이의 내적 혼란을 중재하는 개념적 도구로서 인권교육의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세 번째로 공감의 실천 측면에서 이해하는 참여자들은 젠더교육을 탈정치적으로 바라보고 지식보다 실천을 강조하는 전인적 교육을 지향하고 있었다. 이들은 학생들의 자연스러운 젠더감수성 발달에 초점을 두고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교육전문가로서의 정체성 발휘하여 교육 컨텐츠 개발과 교수 방법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교육전문가로서의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 현장에서 마주하는 성별 고정관념, 학생들의 혐오표현 사용, 성차별경험, 학교 성교육의 내실 부족 등을 이유로 젠더교육을 시작하게 되었다. 또한 이들은 공통적으로 교육을 통해 성 평등을 이룩할 수 있다는 확고한 믿음을 공유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젠더교육의 필요성을 마주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젠더정체성과 교사정체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에 녹여내었다. 학생들의 고정관념 및 혐오표현을 개선하고 교육 프로그램 계발함에 있어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발현하였다. 한편 교사가 학교에서 본인의 성별로 인해 차별을 경험했다고 느끼거나, 동일한 성별을 지닌 학생들에게 공감과 동정심을 느낄 때 그들은 스스로 내면화하고 있는 젠더정체성을 통해 젠더교육을 수행하고자 마음먹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젠더교육을 수행함에 있어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성정체성과 관련하여 남성참여자들은 젠더교육의 내용상의 측면에서 남성이 잠재적 가해자로 존재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을 느꼈다. 또한 경험해보지 않은 다른 성에 대한 공감을 전제하는 것에도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수업 내용 외적으로도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라포를 형성하는 것에 애를 먹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성 참여자들의 경우 학생들의 수업 거부와 관련하여 남학생들의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장난과 관련하여서는 그들의 성정체성이 두드러지는 모습을 보였으며 또한 레디컬 페미니스트로의 낙인에 대한 의식 역시 그들의 성정체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들은 젠더교육 수행교사로서의 정체성에 관해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교사로서의 자기확신의 부족, 가이드라인과 교사 연수의 질적 한계, 보수적인 교육계의 분위기, 동료 교사들의 이해와 지지의 부족, 사회적 분위기와 학부모의 반감이 그것이다. 이들은 이러한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수업 내용상에 있어 ‘안전장치’를 만들어 객관적인 자료 사용하기, 간접적으로 가르치기, 생활의 일부로 녹아들게 하는 방식 취하기 등의 전략을 사용했다. 또한 수업 외적으로 학교 내에 자신과 뜻을 함께하는 교사들과 연대하기, 교육 공동체 만들기, 대학원 진학, 교사 커뮤니티 이용하기 등의 전략을 사용했다. 이들이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그들의 성정체성이 들어나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들의 성정체성과 교사정체성은 모두 젠더교육 수행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교사들의 성정체성은 젠더교육을 바라보는 태도와 젠더교육 실천 계기, 그들이 경험하는 어려움 등에 영향을 미쳤으나 젠더교육 실천의 구체적 내용과 방법, 어려움에 대한 극복과 관련해서는 젠더교육 교사로서의 교사정체성이 발현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가 지니는 성정체성과 교사정체성은 젠더교육 수행에 있어 불연속적인 것이 아니며 사회적 맥락 속에서 교사 개개인이 가지는 고민과 성찰을 통해 젠더교육을 발전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사랑손님과 어머니>를 통한 젠더 감수성 교육

        정다운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Since the 1970s, it has been argued that masculinity and femininity do not depend on biological gender but socially and culturally factors which means that gender is constructed socially and culturally. Along with the discussion of gender, the perception on the gender roles has been changed and some of people rejected gender roles that have been granted in traditional societies. It caused many kinds of conflicts in Korean society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these social problems, it is essential to break fixed idea on gender role. However, it is true that awareness on the gender problems is low compared due to lack of education. This study suggest about educational preparation for gender role.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education method to learn about gender correctly and develop the gender sensitivity to have a critical mind on gender discrimination. We referred to the literary text ‘A Guest in the Outer Room and Mother.’ written by Joo Yo-seop to use as the educational method. The reasons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at it has been constantly introduced in textbooks and the second is that the new educational contents suggest that male centrism should be examined critically. In Chapter Ⅱ, we first focused on the term of gender sensitivity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 of gender sensitivity. We also examined the meaning of gender sensitivity and the reasons why gender sensitivity is required. It is a necessary part to learn abou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gender sensitivity. This study suggests a role play as a way to educate gender sensitivity. Therefore, we explored how to use role play to educate gender sensitivity and the meaning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gender sensitivity mentioned above. In Chapter Ⅲ, we analyzed the texts of ‘A Guest in the Outer Room and Mother.’ to prepare a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plan. We analyzed the characters, events, and backgrounds and examined the gender patterns in the texts,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educating gender sensitivity. In chapter Ⅳ, we proposed a concrete method to educate gender sensitivity with role play. Also we proposed objectives-teaching-learning model, and teaching-learning procedures and added individual workbooks and group workbooks in the appendix which can be used in actual classe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suggest a more concret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However, it is not connected to the experiment, therefore there is a limit of the education method to be practically used. In addition,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long term planning of semester or year, but it is also unsatisfactory that this education is consisted of single units. Howe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way to educate gender sensitivity an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in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through the literature novel ‘A Guest in the Outer Room and Mother.’ which is constantly introduced in textbooks.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in a longer term, and more various ways. As the media environment expands, it is easy for young people to have fixed idea on gender. This not only limits the potential of the individual, but establish a distorted gender consciousness. Therefore,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is required to fully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the individual and prevent a distorted gender consciousness. Through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learners can recognize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caused by gender and this can eventually lead to an attitude of respect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Various gender conflicts in Korean society recent years are made by the lack of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Therefore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is required to reduce such conflicts. In this study, we propose a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method through the literature material. It is considered that the follow-up study should include various education methods for gender sensitivity depending on the need for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1970년대 이후, 남성과 여성에게 각각 부여된 남성다움 혹은 여성다움이 생물학적인 성별에서 기인하는 게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는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 성별인 젠더(gender)를 의미한다. 젠더에 대한 논의와 함께 기존의 성 역할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전통적인 사회에서 부여되었던 성 역할을 거부하는 경우도 생겨났다. 또한 이로 인해 야기된 갈등은 최근 한국사회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사회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성 역할을 발생시키는 성 고정관념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젠더와 젠더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한 사회의 인식은 물론 교육적 대비 역시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 논문은 그러한 교육적 대비를 위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본고에서는 젠더에 대해 인식하고, 젠더로 인해 발생하는 성차별적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질 수 있는 태도인 젠더 감수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하는 교육 방안의 교육 제재로 활용되는 문학 텍스트는 주요섭의 <사랑손님과 어머니>로 선정하였는데, 이 이유는 다음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교과서에 꾸준히 실리고 있는 텍스트라는 점이며, 두 번째는 텍스트의 새로운 교육 텍스트 내에 포함된 남성중심주의를 비판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Ⅱ장에서는 본고에서 다루는 젠더 감수성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우선 젠더라는 용어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젠더 감수성의 의미와 젠더 감수성이 요구되는 이유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는 젠더 감수성이 가지는 교육적 의의를 다루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젠더 감수성을 교육하기 위한 방법으로 역할놀이를 제안한다. 그래서 앞서 언급한 젠더와 젠더 감수성의 의미와 교육적 의의와 함께 역할놀이가 젠더 감수성을 교육하는 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 탐구하였다. Ⅲ장에서는 젠더 감수성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해 <사랑손님과 어머니>에 대한 텍스트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소설의 구성요소인 인물과 사건, 그리고 배경을 분석하여 텍스트 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젠더 양상을 살피고, 젠더 감수성을 교육하기 위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Ⅳ장에서는 역할놀이를 활용해 젠더 감수성을 교육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표와 교수-학습 모형, 그리고 교수-학습 절차와 과정안을 제시하고 부록 부분에 실제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 개인별 학습지와 모둠별 학습지를 첨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젠더 감수성 교육을 위해 보다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 방안이 실험으로 연결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확인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젠더 감수성 교육은 학기 단위나 연 단위의 장기적인 계획 수립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 교육임에도, 단일 차시로 구현되었다는 점에서도 역시 아쉬움이 남는다. 그러나 교과서에 꾸준히 실리고 있는 문학 제재인 <사랑손님과 어머니>를 통해 젠더 감수성 교육 방안을 탐구한 점과, 젠더 감수성을 교육하는 데 있어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젠더 감수성 교육은 보다 장기적으로, 그리고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매체 환경이 확대됨에 따라 청소년들은 매체에서 만들어내는 성 고정관념에 길들여지기 쉬운 상황이다. 이는 개인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왜곡된 성의식이 자리 잡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젠더 감수성은 개인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 그리고 왜곡된 성 의식이 자리 잡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교육할 필요가 있다. 젠더 감수성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성별로 인해 일어나는 차별에 대해 인지하고 이에 대한 문제인식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개개인의 특성을 존중하고 다양성을 수용하는 태도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젠더 갈등의 원인은 결국 타인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부족하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갈등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젠더 감수성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젠더 감수성 교육을 위해 문학을 활용한 젠더 감수성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앞서 제시한 젠더 감수성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다양한 방면으로 젠더 감수성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오누이 설화의 젠더 경관

        최정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신문화지리의 시각으로 한국의 오누이 설화의 젠더 경관을 탐구한 결과물이다. ‘남매탑’ 설화와 ‘오누이 힘내기’ 설화를 오누이 설화로 칭하였다. 두 설화의 공통된 특징인 젠더 경관에서 이데올로기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젠더 경관은 제3자가 응시하는 화면으로 젠더 담론을 은폐하고 있다. 젠더 경관은 핵심주제로서 서사가 입혀진 경관에는 젠더의 위계적 이분법이 나타난다. 경관은 기억을 재현하려는 자들의 경합에 의해 변동하지만 본 논문의 주요 관심사는 호명 주체에 관한 것이다. 경관과 맥락을 기표와 기의에 연동하여 기술하였다. 기억을 복구하는 순서인 시간의 역순으로 구성하였고 ‘기억의 영토화’ 개념을 적용하였다. ‘남매탑’ 경관은 기본적으로 불교 경관이지만 설화를 통해 젠더 경관을 은폐한다. 설화에서 호랑이는 스님의 도움을 받아 선물로 여성을 납치해왔다. 여성은 스님에게 청혼하지만 거절당하고 의남매가 된다. 이를 기려 쌍탑을 세웠다고 한다. 여성은 스님의 공력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일 뿐이다. 그녀는 원시적 교환가치로서 호랑이의 보은으로 등가 교환되었다. 최근 까지 설화에 대해 젠더 감수성은 부족했던 것으로 보여 진다. 왜냐하면 불편한 감정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없었기 때문이다. ‘남매탑’은 설화가 주장하는 통일신라시대가 아닌 고려시대 조성된 청량사지 쌍탑이다. 백제 서사의 환유인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하여 백제 기억으로 재영토화하였다. 젠더 경관이 백제 경관을 잠식했다. ‘오누이 힘내기’ 설화는 목숨을 담보로 오누이가 시합하는 잔인한 서사이다.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경관이 남아있다. 경관의 물질적 속성에는 젠더적 특성 자체가 없으나 남아 선호 사상의 희생자로서 그리고 재생산의 도구로서 여성들은 주체적 종속화의 과정에 있었다. 서사와 결합한 경관 텍스트화에 주목하였다. 그런데 탑, 성(城), 다리, 무덤 경관은 위증 도구로 사용되었다. 왜냐하면 신빙성이 부족한 서사이기 때문이다. 당시의 사회 상황을 투영하는 젠더 경관은 고정불변이 아닌 창조적으로 만들어지고 경합하며 소멸되었다. 비록 소수의 사례이지만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그대로 반영되지 않고 저항적 서사가 등장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설화는 어머니가 아들을 도와 딸을 죽게 만드는 서사이지만 아주 소수의 사례에서 딸이 어려운 조건에서도 굳게 승리하고 우아한 탑을 완성시킨다. 이것이 죽장사지 오층석탑이다. 모든 설화들은 사실의 기록들이 아니라 일련의 재해석일 뿐이다. 성, 탑, 사찰의 역사를 검토하여 설화가 만들어진 시기를 조선 중기 이후의 특정한 시기로 추정하였다. 이 시대는 성리학의 가부장제가 강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설화는 사회적 맥락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로, 국가와 남성 지배계급은 봉건제도의 위기를 관리하려는 전략을 수행하였다. 여성을 사회·경제적으로 배제하였고, 소수자로 전락시켰다. 지금까지 젠더 경관에 관한 연구 결과는 거의 없었다. 본 논문은 설화를 연구 대상으로 채택함으로써 과거의 내밀한 일상을 주목할 수 있었다. 정말 중요한 것은 우리가 위치하고 있는 지금 현재의 현실을 분석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는 현대 자본주의에 관한 다양한 젠더 경관 연구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경관과 맥락 사이의 상호관계가 지리철학의 관점에서 풍부하게 논의되기를 바란다.

      • 경찰이 된 청년들 : 젠더화된 조직의 지속과 균열

        오윤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젠더를 둘러싼 청년들의 갈등이 격발하는 경찰 조직에 주목하고, 청년들의 유입 이후 조직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탐구했다. 여성 경찰관의 직무 역량을 평가절하하는 담론이 청년들을 중심으로 대두한 가운데 오늘날의 경찰 조직에서 청년 여성 경찰관은 어떻게 직무를 이해하고 대응하고 있는지, 남성중심적인 경찰 조직은 과연 변화하였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청년 여성들의 성평등에 대한 이해와 상이한 현실 대응 전략들에 주목했다. 조직 내부의 젠더 역동을 살핌으로써 경찰은 새로운 전환점이자 변형의 가능성을 담지한 조직으로서 검토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신자유주의 시대 경찰 직무 수행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치안의 서비스화와 예방 치안이라는 두 가지 틀 위에서 직무 모델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역할을 감당할 인력 충원의 과정에서 많은 청년들이 경찰 조직으로 진입했고 특히 젠더 폭력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피해자보호에 대한 요구는 여성 경찰관의 확대 채용을 견인했다. 더하여 페미니즘이 확산되고 성평등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오랜 기간 유지되어 왔던 성별분리 채용 제도가 폐지되는 등 경찰 조직은 지금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젠더를 둘러싸고 격화된 청년들의 갈등은 경찰 조직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몰성적(gender-blind)인 능력주의와 경찰 직무에 있어 성별화된 역량 평가에 따라 청년 여성 경찰관들은 남성중심적 기준에 부합할 것을 요구받았고, 조직의 성별직무분리는 지속되고 있었다. 여성들은 이 같은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 성평등에 대한 각자의 이해에 따라 이질적인 전략들을 취하고 있었다. 공무원으로서의 기대를 안고 경찰이 된 여성들은 문제의식을 축소하고 조직의 남성중심성에 순응하여 문제제기보다는 안전하게 조직에 남기를 선택했고, 성별화된 평가를 거부하는 여성들은 성차를 제거함으로써 같음으로서의 평등을 획득하고자 했다. 다만 이들의 전략은 결과적으로 지배적인 직무 가치와 조응하고 있었다. 한편 젠더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고 목소리를 내는 청년 여성들의 경우 남성중심적 직무 관행에 질문을 던지고 차이가 차별이 되지 않는 조직으로의 변형을 구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여성 경찰관의 경찰되기로부터 젠더화된 조직의 균열이 감지되었다. 경찰 조직에서 젠더 질서의 지속과 균열이 교차하고 있음을 드러낸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조직의 작동원리는 단순한 남성성의 편재를 넘어 사회 맥락에 따라 변모하는 역동적인 과정으로서 읽혀져야 한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 누적된 적극적 조치가 성평등 증진에 있어 변형의 전략으로까지 나아가지 못하는 모습은, 결국 제도 도입에 앞서 직무 가치가 어떻게 설정되어있는지에 대한 재검토가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나아가 공정성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은 경찰관으로서의 법 집행 현장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도 변형의 전략을 필요로 한다. 가부장적 질서를 거부하고 남성성을 협상하고 있는 청년 남성들의 에너지를 젠더화된 조직의 균열과 그 재구조화의 동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고민이 요청된다.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olice organization where conflicts among young people surrounding gender are raging and explored how the gendered organization appears after the influx of young generation. While the discourse devaluing female police officers’ job competency has emerged around the young, this study focused on different understandings about police organization and different strategies for dealing with inequality of young female police officers to find answers to the question of how they understand themselves as a police officer and perform their duties, and to whether this gender-unequal organization can chan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s the shape of the police organization that looks at the new turning point and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by looking at gender dynamic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In the age of neo-liberalism, the police shifted the security paradigm from the classic crime-fighter model through two frameworks: the provision of security services and the prevention of security. The increased hiring of female police officers was driven by growing social needs against gender based violence and calls for criminal victims protection. In addition, with the spread of feminism and gender equality policies in the police force in earnest, police organization is changing dramatically with the expansion of the ratio of female recruitment and promotion and the abolition of the gender-separated recruitment system which lasted 74 years. Gender conflict escalated among young generation, men who became police officers gave up the orientation to hegemonic masculinity but still practiced gender with masculinity as a resource and demanded women to meet male-centered job competency standards. Job segregation by gender is being continued through gender-blind meritocracy and gendered assessment of job competency. Among them, young female police officers responding to reality were taking different strategies based on their different understanding of gender equality. Some attempts to avoid the awareness of the gender problem and adapt to the male-centeredness of the organization, or attempts to achieve equality as equals by eliminating gender differences resulted in accordance with the male-centered job value of the organization. Gender-conscious women, on the other hand, questioned male-centered work practices and drew up the transformation for organization where differences were not discriminated against. From this young women’s becoming a female police officer, a crack in the gendered organization was observed. This study revealed that in police organization, the continuance of gender order and the rift are intersecting. The operating principles of an organization should be read as a process that changes according to social context rather than simply a ubiquity of masculinity.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affirmative actions accumulated in Korean police organization did not lead to transformation in promoting gender equality suggests that it is strategically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ow job values ​​were set from the viewpoint of gender, before those system was introduced. Furthermore young people's perception of fairness requires a strategy of transformation in that it presents limitations in law enforcement as a police offic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urning the energy of young men who reject patriarchal order and negotiated masculinity into an engine to restructure police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