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서지능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 공공부분 정서노동자 중심으로

        박춘남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정서노동자가 근무 중 겪게 되는 악성소비자와 직무소진 등에 관한 이야기가 미디어를 통해 자주 보도되고 있다. 정서노동자들의 다양한 피해사례가 보도되면서 정서노동자 보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고 사회적 안정망 정비는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정서노동 및 직무소진에 대한 연구는 조직성과 중심의 연구가 대부분이고 최근 들어 스트레스 영향, 정서지능 등 개인차 변인까지 확대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 사례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정서노동의 범위가 초기 서비스직 업무에서 최근에는 공공서비스 분야에도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 분야 중 국가기반시설과 관련된 공공부문 정서노동자를 대상으로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지능과 정서노동전략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정서지능이 정서노동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둘째 정서지능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한국도로공사 전체 7개 지역본부 근무자로 하였다. 지역별 편의 표본 추출법에 따라 744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22명이 응답하였다(응답률 43.28%). 실증분석은 결측치를 제외한 291명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 AMO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상관분석)과 연구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 간 영향관계 구명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가설모형 26개중 15개의 경로가 지지되었다. 최종모형의 적합도는 X2(958, N=291)1906.929, p<.001, RMSEA=.058, GFI=.785, CFI=.843, AGFI=.757, X2/df=1.991로 나타나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최종모형 검토 결과에서 공공서비스 분야인 한국도로공사 직원은 정서지능 중 정서활용과 정서조절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노동전략에서는 내면행위보다 표면행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은 내면행위에는 정적인, 표면행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서지능이 정서노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 1), 정서지능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 2), 정서노동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 3)은 부분 수용되었다. 셋째, 정서노동 전략인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는 정서지능에서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4”는 부분 수용되었다. 본 연구의 의미는 공공부분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정서노동과 직무소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과 매개경로를 확인함에 있다. 즉 정서지능의 정서활용, 정서조절, 타인정서이해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며, 정서지능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정서노동 전략이 주요 매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부분 종사자의 정서조절과 정서활용을 향상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다양한 업무상황에서 직무소진에 대한 하위요인별 차이가 발생하고 있어 프로그램 개발은 상황요인별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분 종사자는 업무수행 시 주로 표면행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업무에 대해 거리감을 느끼고, 부정적 태도를 갖게 하는 비인격화를 완화 시키고 긍정적 결과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내면행위를 증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Recently, stories about malignant consumers and job burnout that emotional workers are working on are reported frequently through the media. As a result of the reports of various cases of emotional workers, the social interest in the protection of emotional workers is getting higher and the maintenance of the social safety net is expected to accelerate even more. The research o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has been mostly focused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Recently, individual variation factors such as stress influ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ve been expanded. Also, the scope of emotional labor has expanded from the early service work to the public service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r strategies affecting job burnout among public sector emotional workers related to national infrastructure. Specifically, first,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were examin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labor were examin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in relation to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burnout.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all 7 regional headquarters employees of Korea Highway Corpora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convenience sampling method, 324 respondents (responding rate: 43.28%)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of 744 people.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91 people except for missing values. SPSS & AMOS 21.0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correlation) and the fit and variance of the research model using statistical programs. First, 15 of the 26 hypotheses were supported. The conformance of the final model is X2(958, N=291)1906.929, p<.001, RMSEA=.058, GFI=.785, CFI=.843, AGFI=.757, X2/df=1.991, indicating that the structure model was suitable. Second, as a result of the final model, the employees of Korea Highway Corporation, the public service sector, showed that they use the use of emotion and regulation of emotion more in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strategies showed more influence on surface acting than deep acting. Emotional intelligence has been found to have static effects on deep acting and negative effects on surface acting. Therefore, the following three hypotheses were partially accepted. Emotional intelligence will affect emotional labor (Hypothesis 1), Emotional intelligence will affect job burnout (Hypothesis 2), Emotional labor will affect job burnout (Hypothesis 3). Third, emotional labor strategies,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mediate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burnout. Therefore, Hypothesis 4 was partially accepted. The meaning of the study is to identify major variables and mediation pathways affecting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for public service workers. In other words, use of emo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regulation of emotion, and other's emotion appraisal ar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job burnout. Emotional labor strategy is the main mediator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burnout.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regulation of emotion and use of emotion of public sector employees. In particular, there are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job burnout in various work situations. Therefore, program development requires a contextual approach. Second,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public sector workers do a lot of surface acting in the course of their work. Strategies are needed to mitigate the un-personality that alienates them from their work, and to increase deep acting that affects more positive outcomes.

      • 정서지능이 학생들의 전인격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파워순환적 접근을 중심으로

        박세호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정서지능이 학생들의 전인격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파워순환적 접근을 중심으로- 2014년2월 박세호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생산관리 전공(지도교수 이경환) 정서지능은 인간의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능력 및 관계관리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정서지능은 개인의 지능 개발과 함께 완전한 인격체로 성장하는데 필수적 요소이다. 따라서 초·중·고등 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사회의 교육에서도 정서지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개인의 정서지능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과 원리가 충분히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어 정서지능 개발을 위한 실천적 방안의 제시가 미흡하다. 파워순환적접근에 의하면 개인이 자아실현으로 나아갈 경우 정서지능이 함께 개발 된다고 한다. 자아실현에 대한 파워순환적접근에서는 개인행동의 가치화를 도모하고 성취요소 네 요소를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경우 자아실현으로 나아가며 완전히 기능하는 정서능력이 개발 되고 정서지능은 향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파워순환적접근에 의해서 개인의 정서지능개발의 원리와 이론을 규명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하여 정서지능개발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행동의 가치화는 파워프로세스에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파워프로세스는 파워요소, 욕구, 가치, 관계 및 환경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정서의 가치화를 도모한다(이경환, 2011). 이러한 파워프로세스에서 파워요소를 정서적요소로 할 경우 이는 정서형성 프로세스이다. 파워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된 정서는 긍정적이다. 정서의 가치화는 정서가 지향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한다. 인간의 내면에는 파워의 다섯 속성 (창조, 보존, 지배, 귀속, 결합) 이 있다(이경환, 2011). 파워의 다섯 속성은 감정을 만들어 내고 이것을 바탕으로 정서를 형성한다. 파워의 다섯 속성이 능률적이거나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 경우 완전기능 정서가 형성된다. 완전기능정서와 정서의 가치화가 결합할 경우 정서지능이 향상된다. 정서는 사람으로 하여금 새로운 도약을 위한 목적을 설정하게 하고 자신의 나약한 점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을 모색하여 목적 지향적 행동을 낸다 (이경환, 2011). 가치화는 환경이 선택하는 기준을 만들어내고, 이 기준을 적용하는 상황을 만드는 것에 관계한다. 이러한 가치화는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을 만들어낸다. 또한 이러한 가치화는 파워프로세스에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다.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이 파워의 비합리적 조건에 지배되지 않기 위해서 개인은 의도적으로 성취행동 4요소 즉, 행동의 합리성, 행동의 일관성, 행동의 긍정성, 행동의 자율성을 추구해야하며, 이 경우 인간은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간다(이경환, 2011). 본 연구에서는 정서지능에 대한 파워순환적 접근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우고 실증 분석 하고 검증한다. 가설① : “파워속성이 완전히 기능하면 정서지능이 높을 것이다.” 가설② : “파워프로세스가 완전히 기능하면 정서지능이 높을 것이다” 가설③ : “정서능력진단 포지션에 따라 정서지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④ :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들이 학업성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가설⑤ : “파워프로세스가 활성화된 학생들은 학업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본 연구는 강화도에 있는 특성화 고등학교 남녀전체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45부의 설문이 배포되었으며 191부의 사용가능한 설문을 통계적 분석을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을 한 결과 본 논문이 제시한 5가지 가설이 모두 실증적으로 채택이 되었다. 이러한 실증 연구로부터 학생의 정서능력진단포지션을 통한 전인격적 발달을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것을 제안한다. 첫째, 파워속성이 활성화된 학생들은 자아실현정서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은 파워속성과 파워프로세스를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정서지능이 높게 나타난 학생들이 학업성취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렇기 위해서는 파워의 비합리적 조건에 지배되지 않도록 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정서지능 향상에 도모해야한다. 셋째, 완전히 기능하는 정서와 정서의 가치화의 정도에 따라 정서지능이 차이가 있다. 넷째,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들이 학업성취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즉, 학생의 정서지능의 정도가 학생의 학업성취를 높이는 만큼, 학생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 가정이나 학교에서 파워순환적 접근에 의한 정서지능형성을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파워프로세스가 활성화된 학생들은 학업성취가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정서지능이 높으면 학업성취가 높아지므로 파워프로세스를 통한 교육에 관심을 가져야겠다.

      •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동시 활동 프로그램 연구

        이부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동시 활동 프로그램을 구안 및 적용해 보고 그들의 정서지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랜 시간 동안 사회는 감정이나 정서보다는 지능이나 지식을 더 중요시 여겨왔다. 이러한 비판 속에서 새로운 해결법의 하나로 등장한 것이 정서 지능이다. 정서 지능은 이성과 정서의 관계에 대해 재 개념화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그러므로 아이들의 잠재력과 인성을 계발하는 데 정서지능 이론은 많은 시사점을 준다. 동시는 운율과 리듬이 있어 정서를 순화시키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정서지능을 기르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동시를 활용한 활동과 정서지능에 대한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동시를 활용한 정서지능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그 중에서도 불안정한 시기의 고학년에게 무엇보다도 정서교육은 중요하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거의 볼 수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동시 활동 프로그램은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적인가? 구체적인 가설은 아래와 같다. 가설1. 동시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정서의 인식과 표현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일 것이다. 가설2. 동시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정서에 의한 사고촉진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일 것이다. 가설3. 동시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정서적 지식의 활용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일 것이다. 가설4. 동시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정서의 반영적 조절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일 것이다. 이상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북 포항시 읍면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으로 실험 집단 20명, 비교 집단 20명으로 하여 동시 활동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에만 재량활동 시간에 주 1회 40분씩 16차시로 진행 되었다. 정서지능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서의 인식과 표현,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 정서적 지식의 활용, 정서의 반영적 조절로 구성된 정서지능의 4개 영역에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에 동일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반응 일지와 설문은 실험집단에만 실시하였다. 적용 결과는 SPSS 프로그램의 t검증을 유의 수준 p<.05에서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실험 집단의 정서지능을 측정한 결과 동시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정서지능의 총점이 상승하였다. 비교 집단에 비해 실험 집단의 사후 검사 점수가 사전 점수보다 4.45점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동시 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정서지능의 구성요소별로 살펴보았을 때 실험 집단이 Ⅰ수준인 정서의 인식과 표현 영역과 Ⅱ수준인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동시 활동 프로그램이 낮은 수준의 정서지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 이유는 정서지능에도 수준의 위계성이 존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Ⅲ수준인 정서적 지식의 활용이라든지, Ⅳ수준인 정서의 반영적 조절의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는데 발달 단계적인 부분이나 프로그램 적용의 시간적인 제한 등에서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실험 집단의 설문 조사와 반응 일지 및 활동 결과물 등을 분석해 보았을 때 질적으로 아동의 정서지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정서에 대한 이해도나 일상생활에서 나와 다른 사람의 정서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아동들의 반응일지와 활동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동시를 통해 정서의 소통이나 감정의 이입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위 결과를 통해 동시 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달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시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한국무용학습 참여경험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정예림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Affects of the Participation in Korean Dance Education on Emotional Intelligence in Children Jung, yhe lim Major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education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and on the development of their physical, lingual, intellectual and social skills. This study was done by surveying 359 elementary students from Jeonla-bukdo 207 students were given Korean dance education and 152 werenot. The measuring method used to collect data and to te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children was developed by Yong-rin Moon (1997). This method was based on the model of Mayer & Salovey (1990) and wasgeneralized by Daekyo Education and Science Research Institute. The SPSS/Won 17.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derived to support the reliability of the data. Also, a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analyzed by this method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showed that neither a difference in gender nor in grade level had any distinc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a child. Secondly, the frequency of a student’s participation in Korean dance educ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However, the length of the period that children participated in Korean dance education showed definite effects on emotional recognition and emotionalexpression. Lastly, this study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participation in a Korean dance program has a direct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in all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eachers should not insist on having students concentrate but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draw consistent motivation and interests in theiractivities so there can be positive consequences that benefit the student. According to the results, participation in Korean dance education has had positive impact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refore, further study should be done aimed at a wider group of students. The benefits that Korean dance education can bring to students are reason enough to have various activities based around this that are meant to aid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의 기초가 형성되며 신체, 지능, 언어 및 사회정서 등 모든 측면의 발달이 급속하게 진행되는 시기의 아동이 우리나라 전통음악에 맞추어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춤사위를 표현함으로써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결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저학년 359명 대상으로 한국무용학습이 있는 집단 207명과 학습경험이 없는 집단 152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자료수집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Mayer & Salovey(1990)의 초기 모형에 근거하여 문용린(1997)이 개발하고, (주)대교교육과학연구소에서 제작하여 표준화를 거친 초등학교 저학년용 정서지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WIN 12.0 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Alpha 계수값을 구하였다. 그리고 t-test를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과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정서지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한국무용학습 참여빈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참여기간에 따른 정서인식능력과 참여시간에 따른 정서표현능력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한국무용학습의 참여경험이 정서지능 모든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무용지도를 할 때는 교사가 시간에 집중하기 보다는 그 활동의 흥미를 느끼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지속적인 동기 유발을 이끌어 내어 실천함으로서 정서지능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한국무용학습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차후 더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 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무용교육 안에서 정서지능 함양을 위한 다양한 영역의 활동을 접목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문학 감상을 활용한 정서지능 신장 방안 연구

        이정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concept of emotion that can improv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design educational methods to enhan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learners through literature appreci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rocess of Korean learners appreciating literature is a process of reading emotions or feelings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In other words, if literature is a tool for expressing emotions or feelings, appreciation of literature should not only understand the plot but also read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With reading literary works and being a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emotions of the learner as well as the emotions felt in them, learners will experience their emotions through writers, characters, events, and conflicts. The leaners can deeply understand that thoses experiences will let know how to understood and be expressed in the learner's life. Through constant communication with characters, one can understand oneself, leading to self-reflection and understanding of emotions in the process. The ability to properly express other people's feelings and their own emotions through literary education is very important for Korean learners. In this way, the emotional intelligence is the ability of learners to understand and adapt to various problems they actually experience while learning Korean and it's aimed at enhancing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appreciation of literature using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utilization ability. First of all,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sentiments, this study selects literary works suitable for utiliz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rets the sentiments revealed in the text. And the self emotion recognition throuth the emotional expressions from texts, in other words, it is an understanding processing to recognize their own emotion through characters and contextual contexts. The following are expressions for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others, which can be seen through reflective comparisons with others. Finally, it seems that the emotions are as a mechanism of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that could be used in a reflective manner through anger toward others. All of these categories were classified into patterns of practice through the appreciation of learners as complementary characters to promote emotional intelligence. This way, through the experience of understanding the learner's emotional aspects and emotions, the learners will be aware of their emotions, and furthermore, the learner has the ability to utilize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educational methods and activities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literary works. Like this,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emotional aspect of education has a deep connection with literary education, and that improving the emotional aspec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However, there may be many practical problems to implement in the actual class. In response, to investigate the ways to increase the emotional intelligence, I wanted to actually examine learners' emotions through text, find Korean learners' own emotions, and create ways to increase emotional intelligence so that they can be treated in a meaningful way. This study focused on enhanc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learners by utilizing the appreciation ability of learners to enhan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learners by using literary appreciation. Therefore, the language can be learned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one's feelings and understanding one's mind. Finally, it is meaningful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that can actively utilize the ability of to express the emotional express of oneself and others in the process of language communication. 본 연구는 문학 감상 교육을 통해서 한국어 학습자의 정서지능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학습자의 정서지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정서의 개념을 설명하고 ‘정서지능’의 중요성을 이해시키고 신장 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설계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한국어교육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문학을 감상하는 과정은 자신의 경험을 통해 감정이나 정서를 읽어내는 과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문학이 감정이나 정서를 나타내기 위한 도구라면, 문학 감상은 단순히 줄거리를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등장 인물의 정서까지 읽어내야한다. 문학 작품을 읽고 그 안에서 느껴지는 정서 뿐만 아니라 학습자 자신의 정서를 정확하게 인식 할 수 있는 것으로 학습자는 문학 작품의 작가나 등장 인물, 사건 및 갈등을 통해서 자신의 정서를 체험하게 된다. 그렇게 된 체험이 학습자의 삶에서 어떻게 이해 되어지고 표현되는지 깊이 이해 할 수 있다. 인물과의 끊임 없는 소통과정을 통하여 자기를 이해하게 되며 결국 자기 자신의 성찰로 이어지고 그 과정속에서 정서를 이해하게 된다. 문학 교육을 통해서 다른 사람의 감정 및 자기 자신의 감정 정서를 적절하게 표현 하는 능력은 한국어 학습자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처럼 정서지능은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면서 실제 겪게 되는 여러 문제들을 이해하고 잘 적응할 수 있는 능력으로 학습자 자신의 정서 인식, 정서 표현, 정서 활용 능력으로 문학 감상을 통한 정서지능 신장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학습자의 정서를 향상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서지능을 활용하기에 적합한 문학작품을 선정하고 텍스트에 드러난 정서를 해석한다. 그리고 텍스트의 정서 표현을 통한 학습자의 자기 정서 인식, 다시 말하면 등장인물, 상황적인 맥락을 통해 학습자가 자기 정서를 인식할 수 있는 이해 과정이다. 다음은 타자와의 정서 소통을 위한 표현으로 타자와의 반성적 비교를 통해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타자에 대한 분노를 통해 자신의 정서가 성찰적인 정서 활용으로 한국어 학습자에게 공감할 수 있는 경험과 소통의 기제로 보았다. 이러한 모든 범주를 정서지능을 신장하기 위한 상호보완적인 성격으로 학습자의 감상을 통하여 실행의 양상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이 학습자의 정서 양상과 정서를 이해하는 상황에 대한 경험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게 되고 더 나아가 문학작품을 통해 정서지능을 신장하기 위한 교육방안 및 활동단계를 거치면서 학습자는 정서지능을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을 갖게 된다. 이처럼 문학교육과 정서적인 측면은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고, 정서적인 측면을 향상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실제 수업 부분에서 이행하기에 현실적인 문제가 많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정서지능 신장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실제로 텍스트를 통해 학습자의 정서를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 정서를 찾아 학습자에게 유의미하게 다뤄질 수 있도록 정서지능 신장 수업 방안을 만들어보고자 했다. 이번 연구는 문학 감상을 활용한 정서지능 신장으로 학습자의 감상능력을 활용하여 학습자 자신의 정서지능을 높이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에, 한국어 학습자에게 좀 더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자신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는 과정들을 통하여 언어를 배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언어 소통과정에서 능동적으로 자신과 타인의 정서 이해 및 정서 표현 능력을 활용할 줄 아는 정서지능 신장을 향상시키는데 의의를 갖는다.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류은영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지각과 또래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생 432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태도 지각, 정서지능, 또래관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의 일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의 기본 가정을 만족시키는지 정상성을 확인하고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이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 및 수정모형을 설정하고 각 모형의 적합도를 구하고 모형 중 가장 적합한 모형을 선택하기 위해 χ2 차이 검증을 실시하고 그에 대한 구조경로계수를 구하였으며 매개변인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요인들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또래관계와도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정서지능 역시 또래관계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중학생의 정서지능이 부모양육태도 지각과 또래관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살펴본 결과 부의 양육태도 지각이 정서지능을 매개로 하여 또래관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부의 양육태도 지각은 또래관계에 정서지능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relation between father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ediating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s. The subjects were middle school 432 students in Busan who were 191boys and 241girls entering middle school. The survey of parenting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lated to peer relationships was done by three different questionnaires, as perceived by adolescents themselves have been made to answer. The data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what parenting behavi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s were closely correlated. Second,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s both were related positively. Third, parenting behavior, especially their father's parenting behavior was found what emotional intelligence influences in peer relationships as mediator.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look for an aggressive training methods that it is able to help adolescents' mental stability and good growth in the peer relationship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impact studie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offered.

      • 아동의 인성과 정서지능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이은선 韓南大學校 地域開發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의 인성과 정서지능 및 자아존중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 이들이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그 차이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등을 살펴봄과 아울러 인성특성이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을 얼마나 설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명 양상은 성과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등을 분석해 봄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인성특성과 정서지능 및 자아존중감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으며, 각각 성별, 학년별로 세 분화하여 분석을 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아동의 인성, 정서지능, 자아존중감은 어떠한 일반적 경 향을 보이는가? 둘째, 초등학교 아동의 인성은 정서지능 및 자아존중감과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가?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중류층 가정의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에 재학중인 아동 434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인성 검사와 더불어 정서지능 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고학년용 인성·정서 진단 검사(이종승, 2000)와 박영애·최영희·박인전(2000)의 정서지능 척도 및 박영애(1995)의 자아존중감 척도였다. 연구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인성특성을 전반적으로 볼 때 활동성, 자율성, 성취성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려성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요즈음 아동들이 활달하고 자주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는 반면, 신중하게 생각하고 판단하는 경향이 부족함을 잘 반영해 주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남아와 여아를 비교해 볼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사회성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학년에 따라서는 활동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비록 유의수준에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사회성과 사려성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안정성과 지배성, 그리고 자율성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비교적 높게 보이는 정서관련 능력은 자신과 타인의 정서에 대한 인식능력과 타인의 정서에 대한 관심과 배려 및 그에 맞게 자기정서를 조절하고 활용하는 능력이며 그 다음으로 감정이입 능력이다. 성별에 따라서는 정서인식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비록 유의수준에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타인조절 및 표현과 감정이입에서 여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여아가 남아보다 타인정서에 더 관심을 보이고 도움이 되고자 노력하며 자기정서를 더 적절하게 잘 표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조절 및 활용 능력에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현재의 정서에서 효율적으로 벗어날 수 있는 능력, 즉 창의적으로 자기정서를 다른 목적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남아에게 더 있음을 말해준다. 두 학년 모두에 있어서 정서지능 요인별 점수는 정서인식, 타인조절 및 표현, 자기조절 및 활용, 감정이입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인식은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정서인식 처럼 인지적 역량과 보다 밀접한 연관이 있는 정서지능이 발달해 가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은 전반적 자아가치감을 비롯하여 사회적 수용도, 행동·품행, 신체·용모, 운동능력, 학업능력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남녀 아동들 공통으로 가장 높은 자아존중감 요인은 전반적 자아가치감이었으며, 나머지 다섯 영역에서는 두번째로 높은 것이 사회적 수용도였다. 그 다음으로는 남아는 운동능력 자아존중감이, 여아는 행동·품행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와 남아와 여아의 차이를 보였다. 학년에 따라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 학업능력과 신체·용모 자아존중감은 4학년 아동들이 6학년 아동들에 비해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볼 때 학년이 올라갈수록 별다른 증가가 없거나 오히려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아동들이 사춘기로 접어들면서 아동들의 자의식이 높아지고 자신에 대해 비판적이며 약점에 민감해지기 시작하면서 자아존중감의 약화 현상을 반영해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아동의 인성과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아동의 정서지능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인성의 요인은 성취성과 사회성, 그리고 사려성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아의 경우는 성취성과 사려성, 그리고 사회성이 여아의 경우는 사려성과 사회성이 정서지능을 가장 잘 예측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차이를 보면 4학년 아동들은 성취성과 사회성이, 6학년 아동들은 사려성이 정서지능을 보다 잘 예측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인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에 의하면,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인성의 요인은 성취성과 사회성, 그리고 안정성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면 남아의 경우는 성취성과 안정성, 그리고 사회성이 공통적으로 자아존중감을 보다 잘 예측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여아의 경우에는 성취성과 활동성이 자아존중감을 보다 잘 예측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4학년 아동들은 성취성과 사회성이, 6학년 아동들은 사려성이 자아존중감을 보다 잘 예측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인성 요인들의 설명력으로 미루어 볼 때, 남아의 경우는 인성 요인이 자아존중감 보다는 정서지능을 더 많이 설명해 주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여아의 경우는 인성 요인이 정서지능 보다는 자아존중감을 더 많이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인성이 남아의 경우는 자아존중감 보다는 정서지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여아의 경우는 정서지능 보다는 자아존중감에 인성이 더 많이 영향을 주고 있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current state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EI) and self-esteem(S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EI & SE according to sex and grade, to observe the patterns in the difference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and EI, and between these traits and SE, and to estimate how much can the personality traits explain their EI and SE. The basic data and information are to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EI and SE enhancement program for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 1. What 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sonal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2.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The subjects were 434 4th-and 6th-graders (228 boys and 206 girls) from middle-class families, attending to 6 elementry schools located at Daejeon, Korea. The research tools included standardized "Personality·Emotion Assessment Test" for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rs(Lee, 2000), Emotional Intelligences Scale(Pare, Choi, & Park, 2000), and Self-Esteem measurement Scale(Park, 199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ile,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in terms of the personality traits in general, children's activity level, autonomy, achievement orientedness were among the highest, and reflectiveness was the lowest. This result may be reflecting the children's tendency of activeness, independence, and also of lack of self-control and emotion-regulation. Girls showed more sociability than boys did. older children(6th graders) revealed higher activity level than younger ones. Along with the activeness, sociability and reflectiveness tended to increase with age, while stability, dominance, and autonomy tended to decrease with age. Second, among the EI factors, children showed the highest abilities in perceiving the emotions of self and others, regulating other's emotions and expressing his/her own emotions the next, regulating and utilizing self emotions the next, and empathy the lowest. Boys and girls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 ability of emotion perception, girls being higher than boys. In other-regulation and self-expression, and in empathy, girls tended to show higher scores than boys, although not enough to reach the level of significance. This means that girls show more attention and interest to other's feelings and try to be helpful and express their own feelings in more appropriate ways. Boys tended to be more capable in regulating and utilizing their own emotions, than girls. In other words, boys were more able to get themselves out of negative emotions and transfer them creatively to other areas to achieve other more productive goals. The older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more capacity than younger ones in emotion-perception, which might mean that the ability of emotion-perception is more closely related than any other EI factors to cognitive capacity, and generally develop along with the cognitive abilities that usually grow with age. Third, among children's SE factors, general self-worth showed the highest scores, social acceptance the next, followed by behavior, physical appearance, athletic ability, and academic ability. Among boys, social acceptance was followed by athletic ability, where as among girls it was followed by behavior. Age difference appeared significant in academic ability and physical appearance, 4th graders being higher than the 6th. As a whole, children's SE tended to decrease with age, or at least show little increase from 4th to 6th grade. Fourth, the most powerful personality traits predicting children's EI turned out to be achievement-orientedness, sociability, and reflectivenes. Among boys, achievement-orientedness and reflectiveness best explained EI, where as among girls, reflectiveness and sociability did so. Age-differences revealed that 4th graders' achievement-orientedness and sociability explained their EI best, while 6th graders' reflectiveness predicted their EI better. Fifth, personality traits that explained children's SE best were achievement orientedness, sociability and then stability. Both boys' and girls' SE were best explained by their achievement orientedness. But the next powerful predictors were stability & sociability for boys where as activity level was for the girls. Examining the sizes of variance explained by personality factors, one could speculate that among boys, personality factors might explain EI better than SE, and among girls, personality factors might explain SE better than EI. This could mean that some aspects of boys' personality put greater influence on their EI, while some of the girls' personality traits put greater influence on their SE.

      •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한정선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W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이상 16명의 유아이며, 부모 동의를 얻어 8명의 실험집단과 8명의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여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2016년 4월 8일부터 7월 22일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2회기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사전․사후 검사는 Salovey와 Mayer(1990, 1996)가 제시한 정서지능 이론을 근거로 김경희(1998)가 제작한 교사평정용 유아 정서지능 척도와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유아용으로 제작한 교사평정용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투사검사로는 양적 측정을 보완하기 위해 동적학교생활화(KSD)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사전․사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모수 검정의 Mann-Whitney U 검정과 Wilcoxon 부호 순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과정 중에 나타난 유아의 행동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z=-2.1, p<.05).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z=-2.24, p<.05). 셋째, 동적학교생활화(KSD) 투사검사의 사전․사후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나타난 개인별, 집단별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 수준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 과정 중에 나타난 유아의 행동변화를 살펴보면 유아들은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함으로써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행동이 증가하여 정서지능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또래관계에서는 또래와 친밀감을 형성하였고, 갈등 상황에서 친사회적 행동을 보이며, 집단 내에서 주도적인 모습이 향상되어 상호작용을 통해 또래유능성의 긍정적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유아들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이 향상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집단미술치료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 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성장과정에서 필요한 요인인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 발달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 total of 16 children aged five or older, who were attending a daycare center in W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First, consent for participation in the study was obtained from their parents, after which the young childre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eight children and a control group of the remaining eight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weekly hour-long group art therapy sessions for 12 weeks, from April 8 to July 22 of 2016.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did not participate in any such program. The tools that were utilized for the study’s ex-ante ex-post analysis were Kim, K. H.’s (1998)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that was based on Salovey and Mayer’s(1990, 1996) emotional intelligence theory, and the peer competence rating scale for teachers, which Park, J. H. and Lee. E. H.(2001) developed to study young children. To complement qualitative measures in projective test, the Kinetic School Drawing(KSD) test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before an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s, non-parametric tests, namely, the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by utilizing SPSS 18.0;in addition, behavioral changes exhibited by the young children during the group art therapy were also examined.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resulting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z=-2.1, p<.05) in emotional intelligence after the program.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er competence of the young children, in who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z=-2.24, p<.05) in peer competence after the program. Next, individual and group changes demonstrated by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KSD projective test as well as during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ere analyzed and compared,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changed in a positive manner as a result of the program. Also, an examination of the behavioral changes exhibited by the children during the program revealed that the children came to understand and consider others’ emotions more by recognizing and expressing their own emotions, thereby confirming tha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In terms of peer relations, the children formed a bond with their peers, displayed prosocial behavior when faced with a conflict, and took a more leading role within the group, suggesting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peer competence through their interactions. The study foun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elped enhance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develop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s such, this study suggests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s could effectively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which are essential components in the developmental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