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역할 재정립을 위한 연구 : 정책영역 문화재를 중심으로

        남서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업무참조모델로서 정부기능분류체계의 본래 역할을 재인식하고. 역할을 회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정부기능분류체계의 현황과 개선안 도출을 위해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헌연구는 정부기능분류체계와 단위과제카드, 관계법령을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현재 정부기능분류체계가 중앙부처와 지방정부간의 업무기능을 이원적으로 구성한 조직분류 형태를 띄고 있고, 업무기능이 아닌 수행업무를 중심으로 업무를 분류함에 따라 조직 간에 업무가 분절되어 있음을 도출하였다.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역할을 회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문화재관리’의 대표적인 협업업무인 ‘문화재 지정’, ‘현상변경신고 업무’를 대상으로 정부의 업무참조모델과 조직 간 업무아키텍처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업무참조모형과 업무아키텍처를 통하여, 본래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역할을 재인식하고, 역할 회복을 통해서 기대할 수 있는 효과와 기록관리의 편익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역할 회복을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점은 크게 세가지이다. 첫째로, 업무참조모델이 본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업무기능이 업무재현성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업무참조모델의 역할회복을 위한 재정립과 함께, 실제 이용자의 변화관리를 위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셋째, 시스템의 구축에서 끝이 아닌,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업무참조모델은 본래의 역할을 인식시키기 위한 개념모델(conceptual model)이며, 문화재영역이라는 제한적인 범위에 한정하기 때문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후속연구를 통해 실제 제원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과, 다른 업무영역에서의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o recover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government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this study is meant to redefine it. Instead of organizing by the task, they should organize by the type of work.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erive the pres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the government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Literature study was centered on government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unit task cards, and related laws. Through literature review, it i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is an organization centered classification system consisting of separate functions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t means that government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is not organized by business function. It creates a division between organizations. In this study, to suggest the recommendation to restore the role of the government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it has design the government's business reference model and the business architecture of each organization in the management domain of cultural assets. Through the desig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t propose the role of the government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benefits of record management expected when the role is restored. In order to restore the role of the government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three suggestions are proposed in this study. First, the business function must faithfully reproduce the business so that the business reference model can play its role. Second, In addition to reestablishing the role of the business reference model for recovery, it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change management of actual users.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through continuous maintenance and improvement. The business referenc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a conceptual model for reorganizing the original role. And since it is limited to a limited range of cultural properties, there are limitations. Further research will need to be applied to actual specifications and further discussion in other areas of work.

      • 美國에 있어서의 民營化와 그 公法的 限界 : 책임적합성(Accountability) 이론을 중심으로

        김기홍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박사

        RANK : 248697

        Privatization and its limits by public law in the U.S.: with a focus on the accountability theory Unlimited development of privatization has made the traditional state jurisdiction such as of national defense, police, administration of correction to be put in trust which is the worldwide trend. The neo-liberalism of the U.S. seem to be behind of the background of globalization of external expansion of privatization. The U.S. has maintained its generous position toward privatization due to their liberal tradition in governmental operation; moreover, as a superpower the U.S. privatization tendency has promoted worldwide syntonization phenomenon. Korea, also, has participated in the global trend of this privatization since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1997, which was due to the attempt to overcome national crisis situation caused by foreign exchange crisis with U.S. style neo-liberalism, which was represented with open, competition, and privatization. After that the privatization has increased so fast; for example the civilian prison began to be managed and the private security companies were allowed to use guns,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discussion in terms of public law which can legally control and regulate them. Unlimited external expansion of privatization already has raised questions also in the U.S., such as ‘What is the limit of privatization’ and ‘What is the control method by public law on privatization in the area where the limit of privatization is unclear’, etc. As the solution of these matters, the U.S. public legal academic societies have suggested ‘accountability’ theory, which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existing precedent principle, e.g. ‘state action doctrine’, ‘private delegation doctrine’, as the control means of privatization. The ‘accountability’ theory, suggested by the U.S. public legal academic societies, implies that the government has the responsibility to reliably perform government function for the people, since ‘the government’ has the relationship of ‘owner-agent’ in the general agent relationship, i.e. ‘government’, as the agent, with ‘the people’, the sovereign, who are in authority of constitution enactment. And this is told to bind all government institutions with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derived by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which proclaims 'Sovereignly rests with people' in the U.S. Constitution. ‘Accountability’ is composed of ‘political accountability’, ‘public accountability’, and ‘market accountability’. First, ‘political accountability’ means that the responsibility to perform govern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people, the sovereignty. The level of the accountability is evaluated through the degree of possibility which enables the people to correct wrong government function through political institution. Second, ‘public accountability’ means that the government function should be managed based on the public interests, because the people as the sovereignty means the people in authority of constitution enactment, i.e. the people as the whole. Third, ‘market accountability’ means self-regulating responsibility in the market structure with efficiency. Efficiency and innovation of government is the natural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towards the people; therefore, the fundamental spirit of privatization is to replace this ‘market accountability’ with the existing legal and bureaucratic accountability.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concerns that political or public accountability could be lowered due to privatization. As the plan for the recovery of accountability devised by the U.S. public legal academic societies, which might be lowered due to privatization, discussions are proceeded on ‘invalidation of privatization which deviated from the public legal limit’, and plan for ‘extended application of public legal regulation for the private subject’ for those who act public service, in case when decrease in public accountability is expected, which did not deviated from the public legal limit, though. In respect of the theory regarding the public legal limit of privatization, there are ‘private delegation doctrine’ and ‘inherent government function’ theory, etc., and there is so-called ‘publicization theory’, as the extended application of public legal regulation for the private subject. Accountability theory in the above is not supported by the U.S. Supreme Court, though, in the privatization affair, however it contributed to the change of political view towards privatization. This can be confirmed in Obama's announcement of non-privatization of the ‘inherent government function’. Public legal discussion related to domestic privatization began from the public protection theory related to the sale of traditional public enterprises, which recently is mainly composed of the discussions on German ‘Gewaehrleistungsstaat(ensuring state)’ related to ‘privatization of national function’ and its core element, ‘Gewaehrleistungsverantwortung(ensuring responsibility)’. This ‘Gewaehrleistungsverantwortung’ presumes ‘Staatsaufgaben(national duty)’ as the limit of privatization, which has considerable similarity with the U.S. style accountability theory in the aspect of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regulation’ after the privatiz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decrease of public value followed by privatization. However, accountability theory has different scope of the discussion from german ‘Gewaehrleistungsverantwortung’, which focuses only on the intensification of regulation for the guarantee of public interests, in the aspect of being the analysis tool where various values are discussed, e.g. pluralism, pursuit of participatory democracy, pursuit of market accountability (efficiency), etc., besides intensification of regulation for the guarantee of public interests followed by privatization. Also, there's a difference in the aspect that accountability theory has ‘democratic basis’, while the ‘Gewaehrleistungsverantwortung’ theory has nationalistic tone, e.g. emphasizing ‘state full authority’, etc. Therefore, the necessity of review on accountability also exists in Korea. However, Korean own special situation should be considered very carefully, e.g. insufficient private capability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tyle accountability theory, irresponsibility, etc. of the public office culture, represented with non-conviction and self-preservation. □ Keywords : Privatization, Accountability, Contract-out, PFI(Private Finance Initiative), Deregulation, ROA( responsible operation agency), Neoliberalism, NPM(New Public Management), Gewaehrleistungsverantwortung, Staatsaufgaben, Gewaehrleistungsstaat 미국에 있어서의 민영화와 그 공법적 한계: 책임적합성이론을 중심으로 민영화의 무제한적 전개는 전통적인 국가영역인 국방, 경찰, 교정행정의 영역까지 만간의 운영에 위탁하는 현상을 야기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전 세계적인 추세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렇듯 민영화의 외연 확대가 세계화된 배경에는 미국의 신자유주의 사조가 자리잡고 있다. 미국은 정부운영에 있어서의 자유주의적 전통 때문에 민영화에 대해 관대한 입장을 유지해 왔고 이러한 초강대국인 미국의 민영화 경향은 세계적인 동조화 현상을 촉진하게 되었다. 한국도 1997년 외환위기의 여파로 이러한 민영화의 세계적 조류에 동참하게 되었는데, 이는 한국이 외환위기로 인한 국가적 위기상황을 개방, 경쟁, 민영화로 대표되는 미국식 신자유주의 사조로 극복하려고 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국에 있어서도 민간교도소가 운영되기 시작했고, 사설 경비업체가 총기사용을 허가받기에 이르는 등 민영화 현상이 무제한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를 법적 측면에서 통제하고 규율하여야 할 공법적 논의는 그동안 다소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 민영의 무제한적 외연확대는 미국에 있어서도 ‘민영화의 한계는 무엇인가’. ‘민영화의 한계여부가 불분명한 영역에 있어서의 민영화에 대한 공법적 통제방법은 무엇인가’ 등의 의문점을 제기시킨바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미국공법학계는 ‘책임적합성(accountability)' 이론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판례원칙인 ’국가행위원칙(state action doctrine)', '민간위임금지원칙(private delegation doctrine)'의 민영화 통제수단으로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이기도 하다. 미국 공법학계가 제시하고 있는 ‘책임적합성’이란, 주권자 또는 헌법제정권자로서의 ‘국민’과 그 대리인으로서의 ‘정부’는 일반적인 대리관계에 있어서의 ‘주인-대리인’ 관계를 가지게 되므로, 정부는 국민에 대해 정부운영을 책임 있게 행할 의무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미국헌법상 주권재민을 선언하고 있는 헌법전문에 의해 도출되는 헌법상의 원리로 모든 국가기관을 구속한다고 한다. ‘책임적합성’은 ‘정치적 책임적합성(political accountability)', '공익적 책임적합성(public accountability)', '시장에 의한 책임적합성(market accountability)'을 그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첫째, ’정치적 책임적합성‘이란 정부운영을 주권자인 국민의 뜻에 따라 행할 책임을 의미한다. 그 책임적합성의 수준은 잘못된 정부운영을 국민이 정치적 제도를 통해 수정할 수 있는 가능성 정도로 평가되어진다. 둘째 ’공익적 책임적합성‘이란 정부운영이 공익에 기초해서 운영되어질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주권자로서의 국민이 헌법제정권자로서의 국민 즉 전체로서의 국민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셋째, ’시장에 의한 책임적합성‘이란 효율성으로 대표되는 시장의 자율적인 책임구조를 의미한다. 정부운영의 효율성, 혁신성은 정부의 국민에 대한 당연한 책임으로 민영화의 근본 정신은 기존의 법적이고 관료적인 책임적합성을 이러한 ’시장에 의한 책임적합성‘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문제는 민영화에 의해 정치적 또는 공익적 책임적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미국 공법학계에 있어 이러한 민영화시 저하될 책임적합성을 회복시킬 방안으로는 ‘공법적 한계를 일탈한 민영화의 무효화’, 공법적 한계를 일탈하지는 않았으나 공익적 책임적합성 저하가 우려되는 경우에 공공서비스를 행하는 ‘민간주체에 대한 공법규범의 확대적용’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민영화의 공법적 한계에 대한 이론으로는 ‘민간위임금지원칙’ 및 ‘고유의 정부기능(inherent government function)'이론 등이 있으며, 민간 주체에 대한 공법규범의 확대적용 방안으로는 이른바 ’공영화(publicization)' 이론이 있다. 이상의 책임적합성이론은 민영화 사안에 있어 비록 미 대법원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은 아니나, 민영화에 대한 정치적 시각을 변화시키는데 일조하였다. 이는 오바마대통령의 ‘고유의 정부기능’에 대한 민영화 불추진 선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내의 민영화와 관련된 공법적 논의는 전통적인 공기업의 매각과 관련된 공익 보장론으로 출발하여 최근에는 ‘국가 기능의 민영화’와 관련된 독일의 ‘보장국가이념’ 및 그 핵심요소인 ‘보장책임’에 관한 논의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보장책임론’은 민영화의 한계로 ‘국가임무’를 상정하고 있으며 민영화에 따른 공적가치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민영화 이후의 ‘규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측면에서 미국식 책임적합성이론과 상당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책임적합성이론은 민영화에 따른 책임으로 공익의 보장을 위한 규제강화 이외에도 다원주의 및 참여민주주의의 추구, 시장에 의한 책임적합성(효율성)의 추구 등 다양한 가치가 논의되는 분석도구란 측면에서 공익보장을 위한 규제강화에만 중점을 두는 보장책임론과는 그 논의의 범위가 다르다. 또한, 보장책임론이 ‘국가의 전권한성’을 강조하는 등 ‘국가주의적 색채’를 지니는 반면 책임적합성이론은 ‘민주주의적 기반’을 가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한국에 있어서도 책임적합성의 검토 필요성은 존재한다. 다만 한국적 책임적합성이론을 전개함에 있어 민간의 역량이 미흡한 점, 무소신 · 보신주의로 대표되는 공직 문화의 무책임성 등 한국적 특수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핵심어 : 민영화, 민간화, 사화(私化), 책임성, 책임적합성, 민간위탁, 민자유치, 규제완화, 책임운영기관, 신자유주의, 신공공관리론, 공무수탁사인, 보장책임, 보장국가, 협력국가, 고유의 정부기능, 공영화

      • 미국 부시행정부 내 관료간의 갈등 : 방코델타아시아(BDA)사건과 북한핵실험을 중심으로

        김 프란시스 성균관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6

        The main objective for this study is viewing US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the narrow spectrum focused on the inner political discord among bureaucrats within the George W. Bush Administration in conducting the political behavior and process of these actors dealing with a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 Nuclear Affairs. By this extent, through the current ongoing issue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on the North Korea nuclear development, this study aims at the substantial inner texture of government to grasp an understanding of US policy toward North Korea. This induces us to make an estimate of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hereafter US and North Korea relations examined by being concretized the political process among the inner actors. American national foreign policy tends to be outwardly conceptualized as describing as a whole packet which comes down to the final and total outcomes for representing a country. However, when we get into the government itself to take apart an inner structural system in a micro aspect, it's comprised of many diversified segments and entities working separately. Yet correspondently, and it interacts tightly with one another. In fact, it's a persistently repeated interaction among many actors to attain their political goals and interests in the realm of the competitive nature that inevitably brings up the internal discordance within the bureaucratic government sector. It appears to be in the continuity of compromise which commonly arises to affect the national foreign policy in doing this dynamic mechanism. When gaining control of interests between the government departments reciprocally, there are some variable factors which could affect the national foreign policy that are in the basis of personal elements such as leader's characteristics, an extent of his perception on problems and matters, and his personal background, and so on. For these attributes toward decision-makers respectively, they make a mutual engagement and reaction upon other actors. Thus, this natural phenomenon shows that individual actors make them lead a group competition among departments. They sometimes face a confrontation or antagonism in a political discordance among bureaucrats, and proceed their political goals and interests while implementing a strategy and taking an action with 'bargaining', 'negotiating', or 'compromising'. The US foreign policy of the Bush Administration contains a few distinctive features which it brings about US policy toward North Korea being suffocated and making scant progress, which is caused by those independent variables that consist of the 'Government Functional Structure' and the 'Fiercely Aggressive Political Tendency of Bureaucrats'. First, implementing a subsequent countermeasure after the 9·11 terrorist attack, the Bush Administration has undergone drastic rectification of its internal government structure to be more adequately correspondent to terrorism. Thus, US Departments have had a newly launched mission, called namely 'Counterterrorism'. By this schema, while each department operates its own carried missions independently having with the expanded jurisdiction and authority, there internal conflict may has occurred for enforcing power among departments which have become overlapped when practicing its own discrete function. Thereafter, although it has modified the roles and functions in each Department, subtle unsolved problems remain as the Administration's functional problem which becomes a discordant factor. Second, where the Bush Administration has comparatively shown a great deviation from other previous administrations is the strong political tendency among bureaucrats and solidarity of political group which stresses distinctively inter-bureaucrats in an organization. It's a distinct feature that the intense coherence within Neo-conservatives themselves cannot become merged with other political groups. These people take important roles in the entire gamut of US Foreign Policy and influence to it by projecting their political thoughts and leanings. There are two specific applied cases that show the causal factors for uprising conflict among bureaucrats mentioned above. One of them is the case of the 'Banco Delta Asia(BDA)' in September 20th, 2005. Through this, between the Department of State and Treasury, they are mutually engaged in discordance by implementing U. S. policy toward North Korea on this issue. By the 'Government Functional Structure', placed on the US policy toward North Korea, two parties are interactively quarreling in a serial process of harmonizing policy with the compromise and negotiation. The other one is the case of the 'North Korea Nuclear Test' which took place on October 9th, 2006, placing on this issue with a different angle toward North Korea, the two incompatible gaggle, Neo-conservatives and Realists, namely, the hard-liners or hawks and the moderates are in conflict. These two factions are caused by the Political Tendency of Bureaucrats in government. With holding these two cases, in the process of US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have penetrated the political actions and procedure through the cases of BDA and North Korea nuclear test. Although US Administration and each of its Departments are mechanically correlative to function as a gear wheel, according to the policy decision makers' political goals and interests, the national foreign policy comes into existence that is not always in accordance with the subordinates', but discretely separated as the distinct function and properties. On this account, individual actors pursues his political goals and interests in concordance with his own criterion of behavior and try to play a major role influencing greatly during policy making process. For this reason, there comes into a different point of view between US and North Korea on a current contentious issue of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The fact that both countries haven't been able to establish and place complete reliance on establishing friendly relations because complicated political connection and ongoing dissention among actors in Departments is more amplified under Bush Administration. It's persuasively apparent evidence which North Korea has been persistently demanding the US to provide public pledge of security by a document form not to commit aggression. Therefore, US should primarily keep a security public pledge and guarantee a preservation of North Korea regime by stipulating in a statutory form, so that North Korea can stand up for conceiving necessity of opening the door for world. By attempting bilateral talks on the issue of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between US and North Korea is still in progress, and even further in a negative prospect, a slackening and stagnation of nuclear negoti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anticipated hereafter until the end of period of Bush Administration. From the basis of this seeming consequential situation, implementing U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 is not efficiently operating and functioning well at this point. Also, it's not a substantial and fundamental solution, rather a continuation of phenomenal process with errors and corrections in political measures. Thus, for the US, it is indispensable to sustain interaction among bureaucrats in internal organizations and domestic compound, in the meantime, US should establish a comprehensive and holistic process to be interdependent.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부시(George Walker Bush)행정부 내 관료간의 갈등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의 핵개발관련문제를 풀어나가는 행위자들 간의 정치행위와 과정 속에서 미국의 대북정책을 바라보고자 하는데 있다. 현재 북·미 양자 간에 진행되는 북핵문제를 통하여 미국의 대북정책 운용을 보다 실질적인 이면(裏面)에서 파악하여 내부행위자간 정치과정을 유형화하여 살펴봄으로써 북·미관계의 향후 변화 가능성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가능성을 진단해 봄으로써 북핵문제 해결에 있어 대북포용정책이 지지되지 못하는 원인을 밝히고 검토해 봄으로 좀 더 일관되어진 해결책 제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외정책은 국가라는 큰 틀 차원의 총체적인 결과로서 드러나지만 행정부 단위의 내부 조직으로 들어가면 부서 안에서 관료들의 이해관계가 서로 엇갈려 그들 자신들의 목적과 이득을 성취하고자 하는 정치적 경쟁상태 속에서 갈등과 타협의 연속으로 나타난다. 획일적이며 조직적 성향의 국가기관인 행정부의 특성을 토대로 각 부처 간의 정치과정으로 대외정책결정과정에서 지배와 이권(interest; 利權)을 점하고자하려는 부처 간의 경쟁의 이면에는 개별행위자들의 강한 상호작용이 있다. 대외정책결정과정은 부처 간의 이권을 쟁취하려 할 때, 행정부의 지도자 성격, 주변여건에 대한 인식, 또한 지도자가 겪어온 삶의 경험 등에 따라서 타 부처와 타협과 수렴으로 소기의 부처 간 갈등과 대립 때로는 흥정과 타협으로 절충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주요의제는 언제나 미국의 궁극적인 국가전략이나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즉, 미국의 국가이익이 걸린 큰 합목적적인 맥락에서 - 가령, 미국 패권유지를 위한 거시적이고 구조적인 조건,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확산 등 - 각기 다른 기능의 행정부처와 기관에서 행위자들은 맥을 같이한다. 이는 정치행위자들이 실리적 추구에 있어서 절대적 국가관에 좌우됨을 말하는 것이다. 부시 행정부의 대외정책 변동요소는 정부의 기능적 구조와 인사조직의 강한 정치적 성향에서 기인되어 대북정책의 실효성면에서 부진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부시행정부 내 부처 간 갈등의 원인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라고 본다. 첫째, '정부의 기능적 구조'와 둘째, '관료들의 강한 정치적 성향' 이 그것이다. 첫째, 9·11테러로 인하여 미국의 국가 행정조직이 대대적으로 개편되었으며 또한 이에 상응하는 사법적 권한과 집행권을 부여받았다. 이로써 각 부서간의 역할과 기능이 새롭게 조성되었지만 여전히 미묘한 행정부의 기능적 문제가 남아 각 부서간의 갈등의 요인이 되고 있다. 둘째, 부시 집권 후 이전 행정부와의 가장 큰 차이점을 보이는 것은 행정부 조직 인사들의 강한 정치성향이며, 또한 정치집단의 단결이다. 신보수주의자들의 강한 결집력 때문에 여타 다른 정치적 성향의 그룹과 융합될 수 없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들 인사들은 미국의 대외정책 전반에서 주요 요직들을 차지하고 거시적인 틀 속에서 이들의 정치사상과 성향을 반영하였다. 위의 갈등적 원인을 보여주는 두 가지 사례는 첫째, 2005년 9월 20일 발생된 소위 ·BDA사건·을 통한 미 국무부와 재무부 부서 정책결정자들 간의 정책갈등이다. 이 사례는 정부의 기능적 구조로 인하여 대북정책을 놓고 대립하는 두 부처 속에서 정책조율과 수렴, 절충의 과정을 통하여 대북정책결정과정을 보여준다. 두 번째 사례는 2006년 10월 9일 북한의 핵실험사태 속에서 대북제재를 놓고 갈등하는 신보수주의 부류의 대북강경파들과 현실주의 부류의 대북온건파들 사이의 갈등이다. 갈등의 원인은 인사조직들 간의 정치성향으로서 대북정책을 바라보는 인식에 있다. 이 두 가지 사건을 가지고 미국의 외교정책결정과정 중에 관료인사들 간의 정치행위와 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 유형에 대해 살펴본다. 그러나 실상 관료간의 갈등의 원인으로 꼽은 '강한 정치적 성향'은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구조현실적인 측면에서 집단성향과 개개의 성향을 구분하여 내는 과정에서의 단순화 작업이 불러 올 오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유사성향의 행위자들을 분류하여 그룹화(grouping)하고 표본작업화(sampling)하여 통계유형화 시키더라도 측정의 폭이 일반화하고 구체화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변수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책결정과정에서 이를 증명하기가 쉽지 않으며 도식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한계점을 인지하고 이 논문에서는 부시행정부의 관료 간 갈등의 경험적 사례를 바탕으로 각각의 상황에 따른 현상분석에 치중하였다. 미 행정부와 정부 내 부서들은 상호톱니바퀴처럼 기계적으로 맞물려 돌아가지만 정책결정자들의 정치적 이익과 목적에 따라서 국가의 대외정책이 언제나 하부 조직들의 그것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별개의 작동원리로 구분되어져 있다. 때문에 개별 행위자들은 자신의 행동표준에 따라서 정치적 목적과 이익을 추구하며 정책결정과정에 주도적 역할을 하고자 한다. 행위자들의 전체 내부의견이 행위자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방향과 부합할 때 국가의 대외정책은 하나의 종합적 결과물로 나오는 것이다. 그렇지 못할 때에는 갈등과 대립 속에서 타협과 흥정의 정치적 과정을 통하여 소기의 정치적 합의를 얻어내며 만들어 가는 과정의 연속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까닭에 북·미 양자가 바라보는 시각적 차이가 존재한다. 양국 간의 신뢰관계가 조성되지 못하는 것도 부시행정부내에서 진행되는 부서간의 공방과 갈등 관계가 더욱 증폭되었음에 기인하며, 이는 북한이 지속적으로 미국에게 안보 공약을 문서화해 줄 것을 요구하는 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므로 미국은 북한의 이러한 안보상의 위협을 감소해 주는 신뢰를 먼저 제공하고 나서 북한으로 하여금 개방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북핵문제를 놓고 현재 진행되는 북·미간 접촉과 회담은 미국의 대외정책의 실질적인 근본적해결책이라기 보다는 미국의 정치적 행위와 과정에서 나오는 현상적 정책오류와 시정의 연속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미국은 이러한 국내적 혹은 조직 자체에서의 상호작용을 유지하면서 보다 포괄적이며 총체적인 하나의 대의를 같이 접목하고 지탱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 업무와 기록의 속성 조화를 위한 기록분류표 개발

        이윤정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4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는 과거와 달리 조직이 수평화․가변화되었으며, '내용-구조-맥락'이 분리된 전자기록의 활용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따라서 조직을 근간으로 하는 출처주의는 추상적 개념으로 변화되었고, 기능 및 업무와의 친연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기록관리가 강조되었다. 기록의 분류 역시, 기능 및 업무분석에 기반한 사전적인 분류체계의 수립으로 기록의 생산 이전부터 기록을 통제하는 강력한 수단으로 그 역할이 확장되었다. 2001년 ISO 15489가 업무분류표에 기반한 기록의 분류를 명시하였고 이후, 기능분류는 국제적으로 지지를 받게 되었다. 이러한 기록관리의 국제적인 조류는 업무에 기반한 기록분류를 강조하되, 기록관리의 요건을 반영한 하이브리드적 접근을 취하는 기록분류표의 개발로 나아가고 있다. 이를 구현하는 도구로 업무 및 기록분류표가 수반되는데, 업무분류표가 조직의 업무 활동을 표현한 지적 구조체라면, 기록분류표는 기록관리를 위한 요소들을 반영한 기록분류도구라 할 수 있다. 이는 업무에 기반한 분류라 하더라도 철저한 기능적 접근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의 접근이나 사안파일과 같은 기록관리를 위한 요소들을 반영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4년 정부혁신의 일환으로 업무와 기록분류체계의 통합을 목적으로 기록관리에 채택된 정부기능분류체계가 업무분류표이자, 기록분류표로 동시에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정부기능분류체계는 정부 업무관리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하는 체계로, 철저한 기능적 접근을 취하는 업무분류표이다. 업무에 기반한 기록의 분류가 기록관리에서 가지는 본연의 의미는 업무분류표를 기반으로 기록이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기록의 맥락을 보장하는 업무에 기반하되, 기록관리를 위한 요건들을 반영한 기록분류표에 기반해야 한다. 따라서 정부기능분류체계가 이러한 본원적인 의미를 구현할 수 있는 도구로써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우선, 정부기능분류체계가 업무분류표로써, 합당한가에 대한 검토부터 시작하였다. 정부기능분류체계가 조직의 업무를 나타내는 객관적 지표로서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수정․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정부기능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하이브리드적 접근을 통한 기록분류표의 개발을 위해서, 하이브리드적 접근을 취할 대상 계층을 단위과제로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해외사례에서 주로 제3계층인 처리행위를 이 접근의 대상 계층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처리행위와 단위과제가 업무활동의 최하위 계층이며, 이 단위를 중심으로 기록관리의 핵심단위인 기록철이 생산되기 때문이다. 셋째, 기록관리를 위한 요소들을 반영한 기록분류표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앞서 논의된 단위과제에 기록의 유형, 주제, 처리행위 등의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단위과제 계층에서 기록관리를 위한 요소들을 반영한 기록분류표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이때, 단위과제와 과제관리카드가 일대 일의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조정하는 작업이 수행되어, 현행과 같이 하나의 단위과제 아래에 여러 개의 과제관리카드가 생산되어, 철이 다시 철로 분해되는 모순된 구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기록분류표의 계층 구조 속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들의 통합관리를 가능케 하고, 기록의 공개 및 접근권한 관리 등의 기록관리 과정을 지원하는 파일플랜을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기존 기록물분류기준표를 대체하고, 기록관리에 도입된 정부기능분류체계가 업무에 기반한 기록분류의 근본적인 의미에 보다 다가설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 政府機能의 民間移管에 관한 硏究

        김경항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function of Government changes according to the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which the Government faces to, but the Administration of 20C which intends to be the welfare state participates in the social and economical life of the nation's as well as the order of the Country and the Society positively. Especially the Administr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which face to sudden social changes charges the important duty of competing social development. From 1960 to 1970, the Government of Korea had established, increased the new administrative organs and done the nation the administrative services. But, the view of welfare state has converted into the view of the small Government for changes of the administrative environment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sector and the private sector has been discussed. These Actions called privatization have been realized to several types and the one of those is the private trust and the private mandate. The private trust is that production depends on the private sector but responsibility on the public sector, and the private mandate is that both depend on the private sector. For propriety of administrative defense range, enlargement of participation, equity, efficiency, and speciality, the private transfer of Government function is needed but for difficulty of rulesetting, lack of responsibility, monopoly, corruption, and protection of privacy, it needs strict standard for it's practice and typesetting and has to be discuss with precontrol and postcontrol. In spite of many problems because of it's utility the private transfer prevails in the world quickly. And Korea exerts itself to practice, too. But In trust, the nation is dissatisfied for the public property, and in mandate, for interference yet. So to speak, the private transfer is controled by formalism extremely. The degree of the privatization that each nation conducts differs according to time or place, but is predicted that the mor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more opening of the Administration the higher of the privatization in prevalent countries, and the range that can not divide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will be increased. To correspond to this, Korea must have new recognition and new view about participa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New recognition is that the public does not differ from the private perfectly. So to say, the think about the border of both must be changed. we must have that both the public and the private can coexist in various types and the 3rd sector, not the private and not the public, the middle sect must be executed positively. And then, new view is that it has to consider other factor as well as economical factor and it has to possess function practice system to reflect efficiency and customer's response in decision of yes or no privatization and service type. And so on, we must attach importance to equity, responsibility and justice, esc. as well as economy and efficiency and must develop participation system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into function division system for customer and demander. Therefore, it's limit and control are more important. But, it is the most important fact that is the Government's Will to release the package of the Government function has seized tightly, now.

      • 한ㆍ중 정치변천과정 중 정부기능과 농촌토지제도간의 상호작용메커니즘에 관한 비교연구

        정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70

        This thesis i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sociology; it conducts careful analysis and research about government functions, social environments and the interactive mechanism of the rural land system in the process of political change in South Korea and China since the founding of these two countries. South Korea and China have put a great effort into relative laws and policies, as the rural land problem is a core task of national construction. It is significant for both countries to regard each other as references in the legal system of rural land. This study attempts to put forward constructive advice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rural land system in China after its reform and open-door policy, based on analysis and studies of South Korean experiences. The study combines the method of searching documents, theoretical analysis and historical comparative analysis. The innovative and proper research framework is constructed in this study through the consolidation of government function theory, social conflict theory, relative theory of comparative historical research and general political system analysis theory in the western sociology theory system, which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 objective basis for the study. The relative study of South Korea in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period from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Phase to the Kim Young-sam Phase. The policy approach of rural community environment and related contents and the achievements of the legal system of rural land in South Korea during the various political periods includes the reform of rural land to the Agricultural Land Act. All of these pha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influe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on the government function has gradually increased but geopolitics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has gradually reduced. Secondly, the social influence of rural social conflicts has declined while urban social conflicts have increased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the national modernization process. Thirdly, the economic development under political authority is the basis of success, and political democratization is the ultimate thrust towards the perfecting and maturing of the rural land system in South Korea. The relative study of China in the third chapter focuses on a period from the Mao Zedong phase to the Xi Jinping phase. It clarifies the relative study of political views and choices of political leaders and the rural land problem solving methods in the various periods. It is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function and the system from land reform towards the people's commune, and from the household contract responsibility system to recent times. The rural land system in China needs to be improved. It mainly displays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on its development path. First, the development path of the rural land system still passes down on one continuous track, though china's social environment was different before and after the reform and open-door policies. Second, China's rural social conflicts still exists 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ification and complexity. Third, the structure of social strata after reform and open-door policy is multivariate, the political appeal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farmers group is gradually increasing and it is urgent to solve the social conflicts in rural areas. Upon the analysis of the above two chapters and on the related theories of comparative historical study and the theoretical model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four aspects are studied in the fourth chapter of the thesis. There is the development path of the rural land legal system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rural land system and agricultural production, rural land system and rural social changes and the development law of rural land system. It’s possible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and comprehension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a rural land legal system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ple directions, for the different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of South Korea and China. Especially, some specific suggestions and ideas are given in this chapter about the development of China's future rural land system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dentity of cultivator and land rights. Finall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 through induction to this study. First, the related contents in the legal process of rural land system can be comparatively studied through the theoretical analysis of South Korea and China, in a backdrop of different political systems. Second, the development path of the rural land legal system in South Korea is more mature and advanced compared to China. Third, the rule of law is a necessary process to replace the ruling of men in the course of a rural land system. Fourth, an authoritarian government is the preliminary condition of the comprehensive opening of the democratic consultation mechanism, but the rule of the law establishment is the basic premise to improve the social conflict adjustment ability. 本论文从政治社会学的视角出发,就中韩两国建国以来,各自政治变迁过程中的政府职能、社会环境及农村土地制度间所形成的互动机制进行了深入细致的分析和研究。农村土地问题作为国家建设的核心任务,中韩两国在相关法律及政策层面倾注了巨大的努力。因此,尽管两国间的意识形态和政治体制存在差异,但是农村土地法制化的历程方面,相互间存在“他山之石,可以攻玉”的借鉴意义,而本研究的起始也正是基于以上判断。特别是在韩国经验分析研究的基础之上,试图为改革开放之后的中国农村土地制度发展提出一些建设性建议。 此项研究的进行过程中,本人采取了文献查阅、理论阐述和历史比较分析相结合的研究方法。其中,通过对西方社会学理论体系中的政府职能理论、社会冲突理论、比较历史研究相关理论和一般政治系统分析理论的整理统合,构建出新颖合适的研究框架,并为本研究提供了理论背景和客观依据。 论文第二章中的韩国方面相关研究起始于美军政时期,结束于金泳三时期。即从农地改革到《农地法》颁布,韩国各个政治时期内,政府针对农村社会环境的施政方针和农村土地法制化的相关内容及其成果。分析结果可以归纳为以下三点。第一,国内社会环境对政府职能的影响力逐渐增大,地缘政治和国际局势对政府职能的影响力逐渐减小。第二,随着国家现代化进程的推进,农村社会冲突的社会影响力递减,城市社会冲突的社会影响力递增。第三,关于韩国农村土地制度的完善与成熟,权威政治下的经济发展是取得成功的基础,政治民主化是取得成功的最终推力。 论文第三章的中国方面相关研究起始于毛泽东时期,延续至习近平时期,是关于各个时期政治领袖的政治路线及农村土地问题解决方式的相关研究。即从土地改革到人民公社,再由家庭联产责任制发展至今,关于政府职能与制度化间相互关系的分析研究。中国的农村土地制度尚且有待完善,关于其发展路径主要呈现出以下三种特征。第一,改革开放前后的中国社会环境虽然判若云泥,但农村土地制度的发展路径依然一脉相承。第二,中国农村社会冲突持续存在,并具有多样化、复杂化的发展特征。第三,改革开放后的社会结构趋向多元,农民群体的政治诉求和社会参与逐步增加,农村社会冲突迫切需要解决。 论文第四章基于之前两个章节的分析,结合比较历史研究的相关理论和本研究的理论模型,从中韩两国的农村土地法律体系发展路径、农村土地制度与农业生产、农村土地制度与农村社会变化以及农村土地制度的发展规律四个方面入手研究。通过多方位的对比分析,针对不同政治、社会条件下的中韩两国,关于其促进农村土地法制化过程中的相似之处和不同之处产生了认识和理解。其中,通过对耕者身份和土地权利方面的对比分析,为中国未来农村土地制度的发展相关提出具体的建议和思路。 最后,通过对本研究的归纳总结,相关结论如下所示。第一,政治制度存在差异的中韩两国,其农村土地制度法制化过程的相关内容可以通过理论分析的方式进行对比研究。第二,相比于中国,韩国农村土地法律体系的发展路径较为成熟和先进。第三,农村土地制度化的历程中,法治取代人治是必然过程。第四,权威主义政府是民主协商机制全面开启的启动条件,而法治主义的确立是提高社会冲突调节能力的基本前提。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이 정부수립이후 정치적 변천과정에서 이루어진 정부기능과 사회 환경 및 농촌토지제도 간의 상호작용 메커니즘에 관하여, 정치사회학적 시각에서 심도 있는 연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농촌토지문제는 국가건설의 핵심과제로써 한국과 중국 두 나라 모두 관련법과 제도 마련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다. 따라서 양국의 이데올로기와 정치체제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농촌토지법제화 경험은 상호간에 타산지석으로 삼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한국의 경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혁개방이후 중국 농촌에서 추진하고 있는 토지제도 건설에 의미 있는 제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문헌조사ㆍ이론분석 및 비교분석 접근 방법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서구 사회학의 주요 관련이론인 정부기능이론ㆍ사회갈등이론ㆍ비교역사연구이론 그리고 정치체계이론 등을 조합하여 본 연구 분석에 적합한 새로운 분석틀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사실논거를 제시하였다. 제 2장은 한국에 대한 연구로 미군정시기부터 김영삼정부까지, 즉 농지개혁부터 농지법제정 공포까지, 각 정치시기별로 농촌사회 환경에 대한 정부의 대응방식과 농촌토지관련 법제화 내용 및 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귀납할 수 있다. 첫째, 국내 사회환경의 정부기능에 대한 영향력은 점차 증대한 반면 국제정세와 지연정치의 영향력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가 현대화 발전과정에서, 농촌 지역의 사회갈등이 사회에 미친 영향력은 점차 줄어든 반면 도시 지역의 사회갈등이 사회에 미친 영향력은 점차 늘어났다. 셋째, 한국농촌토지제도의 정비와 완성은 권위정치가 이룩한 경제발전의 초석위에 정치 민주화가 발전하면서 가능하였던 것이다. 제 3장에서는 마오쩌둥시기부터 시진핑시기까지 중국의 각 정치지도자들의 정치노선이 농촌토지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방식, 즉 토지개혁ㆍ인민공사설립 그리고 가정청부영농제 등을 분석하여 정부기능과 제도화 간의 상호관계를 살펴보았다. 중국의 농촌토지문제는 오늘날까지도 온전한 법제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그 정치변천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개혁개방 전과 후의 중국 정치사회적 환경은 상당히 상이하지만, 농촌토지관련 제도추진경로는 일맥상통하다. 둘째, 중국농촌사회에 사회 갈등은 지속적으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점차 다양화ㆍ복잡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셋째, 개혁개방 이후 사회 계층구조가 다원화되면서 중국 농민계층의 정치적 요구와 사회참여 기회가 점차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농촌사회갈등도 증폭되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문제로 대두하였다. 논문의 제 4장은 앞의 두 개 장에서 진행한 분석 결과에 대하여 본 연구의 이론모델에 비교역사이론을 접목시켜 비교 분석하였다. 한․중 양국 농촌 토지 법제화과정, 농촌토지제도와 농업생산, 농촌토지제도와 농촌사회변화, 그리고 농촌토지제도의 발전규율 등 네 가지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다각적 비교분석을 통해, 양국이 상이한 정치적ㆍ사회적 조건하에서 추진한 농촌토지관련 법제도화로부터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특히 경작자의 신분과 토지권리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는 중국농촌토지제도의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구체적인 건의를 제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치체제가 다른 한․중 양국의 농촌토지제도 법제화과정 비교가 이론적으로 분석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둘째, 중국에 비하여, 한국의 농촌 토지 법률시스템 발전이 더 완전하고 진보적이다. 셋째, 농촌토지 제도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법치가 인치를 대체하는 필연적 과정을 거쳐야한다. 넷째, 권위주의 정부는 민주협상시스템을 전면적으로 가동하여 법치주의를 확립하여야 사회갈등 조정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