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 보안위협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방송‧통신분야 중심으로

        정철기 한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과 함께 유비쿼터스 환경이 도래하고 있는 지금에, 정보화의 역기능으로 인하여 컴퓨터 웜?바이러스가 갈수록 심각한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어가고 있으며, 사이버공격 방법도 점차 지능화?첨단화 되고 있다. 특히 사이버공격은 단순 해킹이나 금전적인 목적을 갖는 형태에서 벗어나 점차 국가 간의 사이버전쟁 형태로 확대되어 나타나고 있다. 최근의 보안 위협을 보면 상당수가 금전적인 이득을 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공격 형태 또한 단순하지 않고 여러 기법을 혼재하여 공격에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악성코드가 사이버 암시장을 통해 조직적으로 제작?유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국가의 주요 인프라 및 서비스가 정보통신시설로 연계되어 있어 이러한 시설에 대한 사이버 침해행위, 시스템 장애 등이 행정, 방송통신, 에너지, 물류, 금융 등 다른 분야에 연쇄적으로 파급되는 등, 개별 시스템의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커지고 있다. 특히, 국가 기반시설을 연결하고 각 정보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정보통신기반시설의 침해사고는 국가 전반의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를 사회·경제의 안정과 발전을 위한 핵심요소로 인식하여, 정부는 2001년 정보통신기반보호법을 제정하는 등 대응체계를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국가적으로 중요한 정보시스템 및 정보통신망은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되어 취약점 분석·평가, 보호대책·계획 수립 등의 조치로 각종 전자적 침해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유사 시 적절한 대응 및 복구를 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된 시설은 1차 2001년 4개 부처 23개 시설, 2차 2002년 5개 부처 66개 시설, 3차 2004년 (구)정보통신부 소관 7개 시설, 4차 2005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소관 1개 시설, 5차 2006년 (구)정보통신부 소관 5개 시설이 지정되었다. 2009년 1월 현재 10개 관계중앙행정기관 78개 관리기관 109개 기반시설이 지정·관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각 분야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에서 발생 할 수 있는 보안위협에 대한 분석을 통해 침해사고의 발생가능성을 파악하고, 향후 기반시설 지정으로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신규 서비스들에 대한 예상 보안위협을 살펴봄으로써 기반시설 지정 신규지정 및 확대하는데 안정성과 신뢰성 제공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도출 해 내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advent of the now ubiquitous i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echnology computer worms due to the dysfunction. The virus is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threat to national security, and cyber attacks has gradually expanded. Cyber attacks, especially with the simple purpose of the money in the form of hacking, or growing out of the cyber war between nations are expanded. Many of the recent security threats for the purpose of financial gain and to take the form of attack is not simple addition, and mix multiple techniques are used in the attack. This malicious code, as well as the cyber black market, and production organizations. Is spreading. This paper is the country's major infrastructure and services are link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for these facilities, cyber infringement, the administrative and system failures, broadcast communications, energy, logistics, finance and other areas, such as a ripple in the chain, the failure of individual systems affect the entire system is a very growing. In particular, country-based information system for each facility and affect the connec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cross the country of infringement of an accident can cause disability. This backgrou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social protection,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the economy as a key element, the government in 2001, inclu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based response system to establish a law was built. Accordingly, critical information systems and information networks of nati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has been designated as a major vulnerability analysis assessment, planning measures such as measures to protect electronic infringement and to prevent similar accidents in advance and make the appropriate response and recovery the foundation was laid. This research from each field to ke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for the security threat analysi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violations and accidents, To specify the future to consider the infrastructure for a variety of new services-based facility to identify security threats, specify the designation and to increas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fer new ways to reach out to them, is the ultimate goal.

      • 디지털 經濟가 韓國의 勞動市場에 미치는 影響 分析

        장재완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한국에서 디지털 경제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리는 디지털 경제의 기술편향적 기술변화 및 디지털 격차가 노동시장을 분단화시킬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ICT 산업과 비ICT 산업에서 ICT 노동자의 임금함수를 추정하는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서 본 논문은 디지털 경제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괄적 이해와 함께 숙련 및 고용구조 변화 및 노동시장의 분단화에 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보통신기술의 숙련편향적 기술효과는 장기적인 속련향상에 기여한다. 둘째, 한국에서 정보통신기술에 의한 고용창출 효과는 고용소멸 효과보다 크기 때문에 순고용 효과가 증대한다. 셋째, 한국에서 디지털 경제는 정보통신기술의 숙련편향적 기술효과를 유발하며, 노동시장의 다층 분단화와 임금격차라는 부정적 효과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연구주제의 분석을 위해 우리는 노동부의 1993년과 1998년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의 직종 세분류별 임금 원자료를 이용하여 ICT 노동자와 비ICT 노동자의 임금수준 결정 및 임금격차 원인을 규명하여 노동시장의 분단화 경향을 실증 분석하고자 했던 것이다. 본 논문은 디지털 경제 및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노동시장의 다층 분단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통계청의 『한국표준직업분류』에 기초하여 ICT 노동자 집단을 추출하고,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의 세분류별 직종과 재결합시켰다. 본 논문은 디지털 경제가 한국의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이론적·실증적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디지털 경제에서 ICT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ICT 산업의 출현과 전통산업의 디지털화를 촉진시켜, 생산 및 고용의 확대, 소득증가, 물가하락과 효율성 향상이라는 효과를 발생시키면서 '고성장·저물가 경제'라는 호순환 구조를 낳는다는 것이다. 둘째, 디지털 경제의 정보통신기술의 숙련편향적 기술 변화는 고기능 ICT 노동자에 노동수요 증대와 저기능 단순 육체노동자에 대한 노동수요 감소라는 차별적 형태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ICT 기술의 숙련편향적 기술변화는 전통산업과 ICT 산업의 노동수요 창출에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민경제의 가격효과 및 소득효과를 통해 고용창출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디지털 경제가 한국의 노동시장 분단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것은 동일한 인적자본을 가지고 있는 ICT 노동자가 ICT 산업과 비ICT 산업에서 임금격차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로써 ICT 산업과 비ICT 산업 사이에 ICT 노동자의 노동시장이 분단화되어 있다는 것 실증되었다. 그리고 ICT 기술의 숙련편향적 기술변화가 ICT 산업과 비ICT 산업간 노동이동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처럼 디지털 경제에서 ICT 기술의 발전은 분단노동시장을 더욱 다층화시켜, 노동자 특성별, 기업규모별 및 사업체규모별 임금격차와 소득격차를 낳았다. 특히 ICT 노동자의 임금총액은 비ICT 산업보다는 ICT 산업에서, 대규모 사업장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식기반 제조업과 지식기반 서비스업, 지식기반제조업의 하이테크제조업과 하이테크서비스업, 지식기반 서비스업의 하이테크제조업과 하이테크서비스업 등에서 노동자의 임금격차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노동시장의 분단화 현상은 노동자, 기업, 국가 모두에게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기 때문에 그 분단구조를 완화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ICT 산업과 비ICT산업에서 ICT 노동자의 임금격차는 생산직 노동자의 기업규모별 임금격차에서 보여졌던 현상이 재현되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정부는 산업별 및 사업체 규모별 ICT 노동자의 임금격차 및 분단구조의 해소를 위한 새로운 정책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ICT 기술은 평생직장, 장기근속, 안정적인 고용관계를 대신하여 새로운 직업개념을 창출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고용제도 대신에 시장 중심의 고용제도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이렇게 된다면 노동시장에서 기업 및 국가의 역할이 점차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가와 기업의 사회적 역할 및 책임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및 평가가 전개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른 법적, 제도적 개선이 동반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is thesis is an empirical examination into the segmentation of labor market in Korea, which allegedly was caused or deepened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Economy. For the purpose of this inquiry, we estimate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worker's wage premium and try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ICT and non- ICT industries. The digital economy driven by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hould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upon the structure of employment relation in the Korean labor market. The demand for high-skilled ICT workers, we believe, should be increased by the digitalization of the "old" economy as well as the advent of the new ICT industries, The old economy needs ICT workers primarily in order to assimilate and utilize the new technological opportunities in the digital economy. We will try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do the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s due to the ICT contribute to permanent upgrading of the skill level across the board? Second, how does the ICT affect the Korean labor market and does the ICT increase or decrease the demand of labor? Third, how do the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s affect the segmentation of labor market and wage differentials in the Korean labor market?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utilized the raw data in 1993 and 1998 from The Basic Statistic Research of Wage Structure surveyed by the Ministry of Labor.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ICT in Korea promoted the digitalization of traditional industries as well as the creation of new ICT industries, and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production and demand of labor, income growth, price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industrial efficiency. In this sense, it provides a good model for economic growth, which is 'high-growth and low-price' mechanism. Second, the digital technology brought about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It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high-skilled ICT workers, while it has decreased the demand for low-skilled workers. The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s, however, have increased, rather than decreased, the overall employment level. Hence,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view that new technology should decrease the demand for labor, the progress of ICT is appeared to promote the net increase in employment. Third, the digital economy has caused or aggravated the segmentation of the Korean labor market. And we could observe the wage differences between ICT workers and other workers and between ICT industries and non-ICT industries. And we also found noticeable evidence of deepening segmentation of labor market between ICT and non-ICT industries. From the above examination, we could suggest some policy implications. It is crucial for the government to mitigate the structural segmentation in the labor market between ICT and non-ICT industries, since the segmentation is undesirable for workers, firms, and for the whole economy. The obvious gap in compensations between industries, in particular, might be probably brought about by the biase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oward the intelligence-based service industries. If there would be no change in the industrial policies, we expect, it will be difficult to improve the labor market segmentation and wage differentials between ICT and non-ICT industries.

      •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정보통신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허새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 사이버 공간에서의 건전한 행동 양식과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기 위한 정보통신 윤리교육은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지식적인 측면만을 강조해왔던 기존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을 탈피하고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방안으로 정보통신 윤리의식의 인지, 정의, 행동적 측면에서 학습이 가능도록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의 정보통신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습자 스스로 정보통신 윤리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들어 디지털 스토리텔링으로 구현해 봄으로서 정보통신 윤리의식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정보통신 윤리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정보통신 윤리의식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정보통신 윤리의 4가지 하위 요소인 참여, 책임, 존중, 절제를 내용 선정 기준으로 삼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통신 윤리내용과 관련 내용과 ICT 교육 운영 지침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정보통신 윤리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을 선정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접할 수 있는 상황에서의 문제를 제시하고 디지털 스토리텔링 모형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교수 학습 전략과 활동을 도출하여 정보통신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셋째, 디지털 스토리텔링 수업 모형에 따라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통신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넷째,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정보통신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의 정보통신 윤리교육 프로그램이 정보통신 윤리의식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특히 정보통신 윤리의식 하위 요소 중 참여, 존중, 절제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도 본 연구에서 구현한 정보통신 윤리교육 프로그램과 같이 다방면에서의 교육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학생들의 정보통신 윤리의식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더욱 개발·적용되길 기대하며 더 나아가 초등학교에서의 효과적인 정보통신 윤리교육활동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s the Internet and smart phones become more common, the number of people using the internet has been increasing daily. Internet use has become a global social issu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have become dependent on the internet and it has become a part of their daily lives. But the adverse effects of the Internet are reaching a serious level. At the same time,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internet ethic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ICE) has global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thics education. But there is currently no suitable I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With the lack of research on ethics teaching methods in Korea, ICE education is not currently part of the standard curriculum. In this study, I suggest new ways of teaching can be used in the elementary education field. I designed I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digital storytelling of user driven learning to experience the making of digital stories. Through the I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digital storytelling proposed in this study, I expected the expansion of awareness and consciousness of ICE and to strengthen the will of ICE protection. The processes of this study for the purpose are given below. First, I have selected aims and contents of instruction in the Revision 2009 Curriculum and the operation guideline of ICE education on the basis of Participation, Responsibility, Respect and Temperance as key elements of ICE. I developed a digital storytelling program that can be used to elementary school and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that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and consciousness of ICE. In addition, I have designed the lesson plans according to the digital storytell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nd it has been applied to G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of this study showed increased awareness and consciousness of ICE more than the control group with significance that the digital storytelling ICE program turned out to be more affective. Secondly, the digital storytelling ICE program had effects on increasing students’ Participation, Respect and Temperance among key elements of ICE. In other words the program is more effective to students on improvement of awareness of ICE. Consequently, the ICE program based on digital storytelling as an instruction technology is confirmed as a way to raise ethical awareness in elementary school. I hope to develop and apply a variety of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further improvement of ICE. Furthermore, I expect to study and achieve more effective ICE education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 정보통신기술 이용도에 따른 산업의 생산성 분석

        김남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통신기술(IT) 이용도에 따라 산업의 생산성 분석을 시행하고, 전국 7대도시 제조업을 토대로 지역 산업의 생산성 분석을 시행하여 결과의 비교 분석과 정책점 시사점 도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the increased usag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ffects industrial productivity. For this purpose, an analysis of industrial productivity was implemented in several ways. First, the definition of ICT and its classification standards were examin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institutions and the statu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in Korea was consider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actual usage of ICT within the industry. To examine the economic effect of ICT, it was considered how the use of ICT affected productivity and the structure of businesses and industries, along with the existing researches in ICT and productivity. And productivity paradox was considered, along with an empirical analysis by industries according to the usage of ICT and tha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 local seven largest cities for the local analysis in the same way with national one. This study obtained principal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rat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was higher in ICT high-intensive industries than in ICT low-intensive ones among all areas including general, manufacturing, and service. This indicates that the increased usage of ICT in the national industry has a positive effect on industrial productivity and that the hypothesis of productivity paradox was thus solved to some degree. Second,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 local seven largest cities showed that the average increase rate of TFP was higher in ICT high-intensive industries than in ICT low-intensive ones. Results from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analysis also show that the increased usage of ICT has a positive effect on productivity of local industries. Third, both ICT high- and low-intensive industries had higher increase rate of TFP during the analysis period from 2001 to 2003 than during the previous analysis period; particularly, ICT high-intensive industries were highest in the rate. This implies that contributions of the increased usage of ICT to the improvement in industrial productivity have become visualized since 2000. Fourth, the service area had lower increase rate of TFP in ICT high- and low-intensive industries than manufacturing one, probably because the service area holds relatively lower percentage of all industries than in ma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has an old structural foundation including infrastructure and regulatory environment. To improve productivity of the service industry,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increase the usage of ICT through appropriate investment, followed by complementary investment to remove regulations from within the industry and reinforce support policies to construct infrastructure. This study confirmed the contributions of the increased national and local usage of ICT to the improvement in productivity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hich will then be used as reference data to set the direction for industry-rearing policies or to determine industry-supporting ones in order to facilitate growth and increase competitiveness of national and local industry.

      •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을 통한 국어과의 효율적 교수·학습 방안 :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순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간에게 필수적인 교육은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변화 모습에 따라 나날이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농경사회로부터 산업사회로 발전한 후, 지금은 지식정보사회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미래의 인재를 양성하는 학교는 지식정보사회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과 창조적 인재 양성 체제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런 배경 아래 정보통신기술의 능력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지식 창출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을 국어과 교수·학습의 교수 매개체로 활용하여 이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안과 모형 개발을 통해 효율적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 대상 교과는 7차 교육과정 국민공통 기본교과인 1학년 국어 교과이다.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다양한 자료 및 학습 유형을 제공한다.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은 문제 해결 학습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탐구 학습 모형의 요소를 반영하여 정보통신기술 활용에 적합한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개발하였다.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한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은 인터넷 자료를 교사가 탐색하고 편집하여 학습 시간에 제시함으로써 학습의 동기 유발과 심화 과정에서의 폭넓은 창의성과 탐구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과정안은 인터넷에서 찾은 자료를 수업에 활용하고, 인터넷 사이트에 직접 연결하여 찾아감으로써 정보 탐색에 대한 적극성을 부여해 주고, 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이다.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 적용은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을 바탕으로 하여 CD-ROM 타이틀, 웹 사이트 탐색 등을 중심으로 하는 수업을 모형으로 삼아 적용하였다. 1학년 국어과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학습의 여러 상황에 따라 정보 탐색, 정보 분석, 정보 안내등 수업 활동 유형을 적용한 결론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의 내용 체계에 따라 웹 사이트 탐색, 정보 안내하기, 자료 분석 등의 학습을 반복하면서 학생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달하려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신장되리라 여겨진다. 둘째,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 활용을 통하여 컴퓨터 활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결국 학습 동기 유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활동적인 수업 시간을 만들수 있다. 이런 것을 바탕으로 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은 교과 학습 목표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전에 정보통신기술의 소양 교육을 학생과 교사들에게 지도한 다음에 정보통신기술활용 교육을 실시한다면 바람직한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이 될 것이다. 학교에서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이 강조되면서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수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은 정보통신기술을 ‘도구적’으로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의 신장보다는 교사가 제시하는 웹 사이트의 활용, 제한된 응용 프로그램 활용에만 그쳐 다양한 정보 자원을 얻지못하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을 실현시켜야 한다. Essential education to human has been changing by the new state day after day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 that we belong to. After development from the agricultural society into the industrial society, the current society has been rapidly reorganized into the new community which is based on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refore lately the schools which are taking charge of roles that must train future competent persons need the new education paradigm and the new training system for the creative competent persons who possess ability that can correspond properly to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Under this background, the practical use ability of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below ICT ) is regarded as the essential constituent of everyday life that is no longer problem of selection.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f knowledge creation ability that can take advantage of ICT is also emphasized. This thesis groped to develop the new teaching-learning process model taking advantage of ICT as the intermediate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learning course. The practical use of ICT supplies various data and many types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Conclusion is as following as the result that applied ICT to the actual class activities in the first school year of Korean language course. First, the students can be repeatedly guided to search the web sites and analyze the information and data through the system of the process based on ICT that allow the students to reach the learning targets by refurbishing own their leading teachabilities. Second, the process based on ICT may derive to improve the computer practical use ability. Finally through this, it may naturally form the learning motive induction and the active class atmosphere. With this conclusion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taking advantage of ICT should be embodied to effectively achieve the learning targets of the subject at the highest degree. As the education taking advantage of ICT is emphasized, it is informed already well that the classes utilizing the computer and the internet is gone abuzz recently. But, the students do not come in level leading the learning process by themselves yet and so the students are in the real condition that force to be satisfied with the simple and boring searching of web sites and the limited use of applying the programs which the teachers present. Therefore,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ICT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new model must be developed and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education about the practical use of ICT must be also performed.

      • 한국 정보통신산업의 경제적 효과

        이재헌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의 국내 정보통신산업은 국민의 복지향상과 경제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바, 본 연구는 전체 경제구조 속에서 정보통신산업의 성장과 확산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를 산업연관분석방법의 적용을 통하여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정보통신산업을 생산성, 수익성, 활동성, 안정성의 측면에서 제조업과 비교한 결과, 첫째, 생산성 관련지표에 있어 총자본투자효율, 부가가치율, 노동소득분배율은 유의수준 0.1%에서 정보통신산업이 제조업보다 더 높으며,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생산액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둘째, 수익성 관련지표에 있어 매출액총이익률은 유의수준 0.1%에서 정보통신산업이 제조업보다 더 높으며, 총자본경상이익률, 기업경상이익률, 자기자본경상이익률, 배당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셋째, 활동성 관련지표에 있어 총자본회전율, 자기자본회전율, 고정자산회전율은 유의수준 0.1%에서 정보통신산업이 제조업보다 더 높다. 넷째, 안전성 관련지표에 있어 자기자본비율, 부채비율, 유동비율, 고정비율은 정보통신산업과 제조업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또한, 정보통신산업의 성장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첫째, 부가가치 기여도에 있어 정보통신산업의 부가가치 증가율이 국내총생산 증가율보다 매우 높으며, 정보통신산업의 부가가치가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국민경제의 부가가치창출 증대에 매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둘째, 물가안정기여도에 있어 정보통신산업의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는 꾸준한 하락추세를 보이는 반면, 전체산업의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는 상승추세를 보이거나 그 추세의 변동이 심하게 나타남으로써, 물가지수에서 꾸준한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는 정보통신산업이 전체산업에 비하여 물가안정에도 기여하는 바가 크다. 셋째, 고용기여도에 있어 정보통신산업의 고용증가율이 전체산업의 고용증가율보다 높고, 정보통신산업의 고용이 전체산업의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점차로 증가함으로써, 정보통신산업이 다른 전체산업에 비하여 고용창출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The Korean IT industry has had a considerate effect on the welfare of the people as well as the economy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examine the economic effect s of the Korean IT industry through the comparisons and analyses of relationships among the industries and to suggest any desirable alternatives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IT indust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ith regard to the productivity-related index, the efficiency of total capital investment, the value-added rate, and the ratio of compensation of employees to national income (NI) are higher in the field of IT industry than the manufacturing industry. On the other hands, there i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aspect of the gross value-added output per employee. Second, with regard to the profitability-related index, the gross profit on sales is higher in the field of IT industry than the manufacturing industry. But there ar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aspects of the ordinary profit rate to total capital, the ordinary profit rate to company, the ordinary profit rate to the equity capital, and the dividend income. Third, with regard to the activity-related index, the turnover ratio of total capital, the turnover ratio of net worth, and the turnover ratio of fixed assets are higher in the field of IT industry than the manufacturing industry. Fourth, with regard to the stability-related index, there ar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aspects of the ratio of net worth to total capital, the debt ratio, the current ratio, and the fixed ratio. Moreover, the study has analyzed the economic effects of the Korean IT industry on economic growth.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as concerns the contribution to economic value-added, the value-added growth rate of IT industry is higher than the growth rate of Gross Domestic Product (GDP), and also IT industry shows an increase of percentage on the occupation rate of the value-added in Gross Domestic Product. Therefore, IT industry has many effects on creating the value-added in the domestic economy. Second, with regard to the contribution to the price stabilization, both the consumer price index and the producer price index show a downward tendency in the field of IT industry, but the price indices of other industries show a upward tendency or a fluctuating tendency.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IT industry has made great contribution to maintaining the price stabilization in the domestic economy. Third, with regard to the contribution to the employment, the employment growth rate of IT industry is higher than the growth rate of the whole industries, and also IT industry shows an increase of percentage of the employment rate in the whole industries. With this, we can say that IT industry has obviously influenced the employment as well as job security in the domestic economy.

      • 정보통신산업의 전략적 제휴에 관한 연구 : 韓國通信을 中心으로

        박성춘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계는 지금 산업사회의 패러다임을 접고 정보와 지식의 효과적인 축적 및 활용이 경제발전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지식기반경제로 이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산업의 전략적 제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정보통신산업의 발전동향을 정책·서비스·시장규모 측면에서 정리 하였으며, 국내 정보통신 동향을 기반으로 국내 최대 공기업인 한국통신을 중심으로 전략적 제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목표를 갖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는 통신사업자의 신규 또는 해외시장진출을 위환 전략적 제휴 모형을 개념적으로 개발하고, 통신시장 개방이후 환경변화 속에 진화해 나가는 동태적 발전모형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둘째는 국내,외 주도적인 통신사업자를 중심으로 심층사례분석을 하여 이론적 모형의 타당성과 실제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여 한국통신의 진출시장별, 사업영역별 바람직한 제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통신사업자는 사업다각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에서 미국의 AT&T나 영국의 BT는 인수/합병, 합작법인형, 지분투자, 계약형 제휴전략을 구사하는데 비해 한국통신은 주로 내부개발이나 합작투자, 지분투자, 계약형 제휴전략을 쓰고 있다. 또한 제휴의 패턴 대부분은 새로운 분야로 진출하기 위한 자원획득형 제휴이다. 이에 비해 국내사업자는 개도국 기술자문형 제휴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수 있다. 따라서 시급한 외자유치와 고용창출을 위해서는 외국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도 불가피 하다. 국내기업은 상호지급보증 축소와 재부구조 개선이 시급하여 인수. 합병의 여력이 고갈 상태임으로 국내기업의 자산. 지분을 해외 기업에 일부 매각하여 생존을 위한 체력을 유지하여야 하며 거대기업간 규모의 경쟁과 세계시장의 과점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제휴가 요구됨을 알수 있다. 세계적인 경쟁력이 있는 기업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략적 제휴에 대한 부정적 시각부터 고쳐야 하고, 기업은 배타주의를 벗어나 경쟁기업은 동반자이며 선의의 경쟁자라는 인식을 가져야 하겠으며, 정책당국은 우월주의를 타파하고 제휴에 대한 보다 관대한 시각이 바람직해 보이며, 외국기업에 대한 국민의 적대주의를 제거하므로서 전략적 제휴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한국통신은 시내,시외 국제전화와 무선시장까지도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이에 대비한 국내시장 방어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국영기업이라는 폐쇄성에서 탈피하여 세계시장을 무대로 활동하는 종합통신사업자가 되기 위해서는 선후진국 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가 불가피하다. 제휴의 모형으로는 자원획득형 및 자원활용형 제휴관계를 활발히 추구해 나가야 할것으로 관측 되었다. 제휴형태 측면에서도 전통적으로 강점을 갖고 있는 기본통신 분야에서는 보다 깊이 개입하는 형태를 취하고 비교열위 분야인 고수익, 고성장 사업분야인 무선 및 고도통신분야에서는 계약형 제휴형태로 첨단기술력과 경험을 획득하는 전략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었다. 첫째는 정보통신 사업자들의 제휴사례를 분석하고 있지만 자료수집이 대부분 2차 자료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상황 판단과 형태, 구조, 동기 등을 끌어 내는데 제약이 많았으며 전략적 제휴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제휴결과에 대한 엄밀한 평가가 연계되어야 하는데도 제휴성과 측면을 고려하지 못했다. 제휴를 수행하는 기업차원에서 환경변화와 내부역량 변화에 따라 동태적으로 변하는 제휴패턴을 검토해 보았지만 개별 제휴사례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은 하지 못했다 따라서 앞으로는 제휴사례를 중심으로 보다 정확한 분석과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After the world saw the industry society a few decades ago, the world is advancing intelligence-based economy which performs key role in the economic development, as it were, the efficient store and use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this thesis I deal with the intelligence-communication industry, strategic cooperation, the trend of that industry in terms of policy, services and the scale of market, coming up with the strategic cooperation in the eyes of Korea Telecom which is the largest public enterprise with the current trend in domestic Intelligence-communication. According to this point of view I worked out the research having concrete aim in my mind. First, I thought out the model of strategic cooperation aimed at a new enterprise of communication enterpriser, the penetration into foreign market in hopes of understanding the dynamic development model developing gradually in the stream of open communication market. Second, analyzing the concret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telecommunication enterpriser, I have hopes that I can propose wishful cooperation about the future market and the realm of business bearing availability of theoretical model and realitic advice. After my study of the aim of strategic cooperation, telecommunication company for instance AT&T in America and BT in British perform an absorption, the type of a joint-venture tieup, branch investment, the strategy of contract-typed tieup, whereas Korea Telecom using the strategy of tieup, the development of the inside, joint venture, branch venture, the strategy of contract-typed tieup. Futhermore Korea Telecom's tieup type is resource-acquiring tieup of technique asking-type mainly. Therefore we can't help having a strategic tieup with foreign business to attract foreign capital and create employment because domestic companies in the need of decreasing the guarantee of mutual payment and innovation of financial structure have no reserve energy to undertake and merge other companies. So domestic companies should sell off the part of assets to foreign business to survive and know demand of strategic tieup in response to the competition in scale between large companies and monopoly of world market. So as to make a company having sufficient competitive power we should correct the wrong viewpoint on strategic tieup, regard rival company as a companion and good willed competitor without the antagonism whereas the authority of policy should tear down the superiotism and the friendly view on cooperation, removing antagonism against foreign companies. By doing so the strategic tieup will payoff. Korea Telecom should adopt defensive strategy with open mind, as in and out of city and in international and wireless market competition is getting harder and harder and have no choice but to cooperate stragically among developing, devdeloped contries. The tieup of resourse-aquiring and resourse-using model are viewed as one of the models which are pursued drastically. The field of basic communication in the shape of tieup which has strong point traditionally has the pattern of intervening deeply meanwhile the inferior field of high profit, high development, say, the field of wireless and super-communication should go toward the type of contract-tieup to attract sophisticated technology and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there is a problem not to be solved. First, even though I analyzed the tieup cases of Information-communication enterpriser, there are much difficulties for me to map out the decision of exact situation, structure, motive, partly because of defendence on secondary material in collecting referrence material. In order to propose positive direction of strategies we should relate the result of tieup to close exact evaluation, nevertheless I can't conder effects of tieup all toghther. Second despited that I consider the pattern of tieup changing dynamically in the course of environment and inner workability change, I couldn't consider the cases of individual tieup profoundly. Therefore in not distant future we should create exact analysis and measures with tieup cases as the central factor.

      • 국방정보통신망 성능개선을 위한 통신망 진화 연구

        정용호 中央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컴퓨터 기술 및 정보 통신 기술의 획기적인 발달로 미래전 양상이 화력과 기동력 중심에서 지식/정보의 유통에 기반을 둔 정보전 양상으로 변화함에 따라, 지식/정보 유통에 핵심이 되는 정보 통신망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이에, 미래 정보전은 또한 정보 통신망 중심전(network-centric warfare)이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정보 통신망에 기반을 둔 미래 정보전은 전장에 배치되어 있는 전 제대가 상호 연동 및 통합된 개념의 국방 정보 통신망을 통하여 수평?수직적으로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의 종단간 실시간 유통을 통하여 정보의 우위를 보장하는 능력을 요구한다. 군에서도 미래 정보전에 대비하기 위하여 많은 예산과 노력을 투자하여 국방 정보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국방 정보화의 일환으로 다양한 용도별 통신망을 건설하고 있다. 하지만 각군/기관별로 계획?추진하고 있는 통신망 사업들이 국방부/합참 차원의 일관된 정책이나 추진 방향과 같은 구심점이 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국방 차원의 통신망 발전 계획 수립이 어렵고, 통신망 사업간에 중복 투자 요소를 식별하기조차 어렵다. 또한 용도에 따라 각군/기관의 개별적인 사업을 통하여 계획?구축된 통신망들은 타 통신망과의 연동을 고려하지 않고 추진되므로 통신망간에 정보를 공유할 수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군의 정보 통신 현황을 분석하여 미래 정보전에서 요구하는 정보 통신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대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주요 외국군의 정보 통신망 구축 동향과 국가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계획 및 상용 정보 통신 기술 발전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미래전 수행 개념의 변화 요인과 미래전에서 요구되는 정보 통신 능력을 식별하여 국방 정보 통신망의 개념 및 목표를 정립하였으며, 우리 군에서 구축?운영하고 있는 주요 통신망들의 구조, 용도, 전송 능력을 분석하고 민간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 추세를 분석하여, 현재의 군 정보통신망 운용(고정 통신망, 이동 통신망, 상용 통신망) 현황을 분석하여 미래 정보전에서 요구하는 각군/기관의 전 제대가 수평 및 수직적으로 연동/통합된 개념의 국방 정보 통신망 구조로 개선?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향과 방향 수립 영향 요소 파악 및 추진/획득 전략을 제시하였다.

      • 정보통신재난관리를 위한 위기경보수준에 관한 연구

        김인선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 세계 컴퓨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정보통신 관련 수요와 역할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재난으로 인한 정보통신재난 사례를 분석하고 재난발생 시 상황판단회의에서 결정에 필요한 위기경보수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정보통신재난 발생 시 발령되는 위기경보수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정보통신재난 위기경보수준에 보완이 필요하다. 정보통신재난 발생 시 발령되는 위기경보수준은 현재 기존 재난 유형을 일부 반영하고 있으나, 정보통신시설(통신장비) 증가와 중요통신시설에 대한 등급지정 내용을 참고하여 보완·반영하였다. 둘째, 위기경보수준 발령체계가 개선되어야 한다. 재난유형에 따른 정보통신재난 관련 위기관리표준매뉴얼, 위기대응실무매뉴얼, 현장조치행동매뉴얼에서 제시되는 위기경보발령체계는 상황판단회의를 거쳐 관심-주의-경계-심각을 판단한다. 이때 상황판단회의(위기평가)에 따른 위기경보수준 발령 후 재난 발생 및 위기의 변화에 따라서 위기경보수준 평가를 위한 상황판단회의가 수행되어야 함이 확인되어 수정·제안하였다. 정보통신재난은 정보통신재난 유형에 정보통신시설과 에너지·정보통신·교통수송·금융·보건의료·원자력·환경·정부중요시설·식용수·공동구 등 국가핵심기반에 재난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 형태의 파급효과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어떤 환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중요통신시설에 대한 주기적인 실태점검과 리질리언스 확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