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의식 실태 조사 및 분석

        류화수 공주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의식의 실태를 알아보고 분석과 정을 통하여 학부모와 교사가 할 수 있는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의식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을 위한 정보통신윤리교육의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의 방법은 학생들이 많이 사용하는 인터넷의 여러 사용 영역별로 영역을 구분하고 각 영역마다 몇 개의 문항을 설정하여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 초등학생들이 컴퓨터를 이용하는 목적과 어떻게 활용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모르고 무작정 컴퓨터, 인터넷에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컴퓨터를 가지고 이 것 저 것 아무거나 한다는 학생들이 많고, 인터넷을 통해 게임이나 E-mail 등의 활동을 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을 놀이공간으로서만 생각하는 의식을 전환시킬 수 있는 교육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채팅을 통한 실제 만남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많고, 용어 사용에서도 대다수의 어린이들이 잘못 되어진 통신 용어나 이모티콘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른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인터넷 게임을 통해 현실 세계와의 혼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으며 글을 쓰거나 올릴 때 자신의 이름의 밝히지 않고 상대방에 대한 비방이나 사실 무근의 이야기를 올리는 것에 대한 죄책감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정보통신윤리의식의 실태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학부모와 교사의 입장에서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교사나 학부모 모두 학생들이 많이 접하고 활동하는 사이버 세상에 대해 학생들과 같은 눈으로 먼저 다가서고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이 바른 정보통신윤리의식을 가지고 웹을 서핑할 수 있도록 교사와 학부모가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도와주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앞으로 이 교육 방법을 객관적으로 적용시키는 기회와 검증을 거쳐 학생들의 올바른 정보통신윤리의식의 함양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과제를 남긴다.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at grope metho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that elementary students search actual condition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consciousness and students' parents and teacher can do thereinto. Established following subject of study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how about actual conditions of elementary studen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consciousness? Second, must you practic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for correct sense of values formation of elementary studen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Method of this research divides and establishes some Munhang in each area and executed question investigation about actual conditions by several use areas of Internet that students appropriate much. Do not know direction how with purpose that analysis result elementary students of question investigation use computer must utilize and can know that is approaching to computer, Internet anyway. Students who do this thing that thing any person with computer are being many and do mainly activity of game or E-mail etc. through internet. That is, education activity that can do to change consciousness that think internet as play space must consist. Also, is using communication code word or Emoticon etc. that students who hope actuality meeting through chatting if examine by each area are many and large majority of children are mistaken in terminology use. Need education about right directions by this. Through internet game, case that feel confusion with the actuality world is much. And did not have guilt complex about that raise secret process about other person or episode of truth groundlessness without clearing own name when write or raise. Did theoretical backing and virtue research through consultation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 about actual conditions of the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consciousness. Presented as following about method that can execu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n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situation through the thing. Bring near first and need conversion of sharable consciousness together on eye such as students about the cyber world that students touch much and are active both teacher or students' parents. Also .Students have righ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ceremony and is thought that must help web developing artfulness and students' parents is various program so that can surf. But, leave an opportunity that apply this education method objectively forward and subject that must help in fostering of righ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living of students via verification.

      •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

        박지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정보사회의 역기능을 해소하기 위해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효용성이 미비하다. 그 원인을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보통신윤리교육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즉, 본 논문은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 실태 파악을 통한 개선방안 모색에 목적을 두고 있다.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첫째, 관련 교과인 정보, 도덕, 사회과의 일반계 고등학교 7차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전국에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 25곳을 임의 추출한 후, 각 학교의 정보, 도덕, 사회과 교사 각 1명씩 총 7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교육과정과 설문지 분석을 통한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현황을 기반으로 한 개선방안으로 교육과정의 체계화, 교사 전문성 확립, 교육내용의 내실화, 가정, 학교, 사회가 연계한 윤리의식의 개선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효용성 증대가 이루어질 것이라 사료된다. 효과적인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우리가 건전한 정보사회를 영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has become a necessity and is actually undertaking in current classrooms in Korea. The school program, however, is not yet getting effective results. This study is to seek the reason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of the school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first, the curriculums related to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such as Information, Ethics, Social Studies in the 7th academic high school curriculum, have been analyzed. Second, survey questionnaires have been gathered from 75 teachers taking charge of each of the three subjects, such as Information, Ethics, Social Studies in 25 academic high schools randomly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urrent school curriculums and the survey questionnaires, som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are made like the systematization of school curriculums, establishment of the teachers' expertise, improvement of the perception concerning with the morality among schools, home, and the society. Through these, the efficiency of the information-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will be improved. Effective information-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will be the base of the sound information society we should achieve.

      • 초등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에 관한 타당성 연구

        양소연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의식 실태를 학년별로 성별, 자격증취득유무, 인터넷사용에 따라 조사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을 받은 후 학년별로 성별에 따른 정보통신윤리의식 증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의식은 학년별로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자격증취득 유무에 따른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인터넷사용과 관련해서는 인터넷 이용기간이 길고, 하루 평균 이용시간이 짧을수록 정보통신윤리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검사에서 정보통신윤리의식이 낮게 나타난 학생을 대상으로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실시한 후 사후 확인결과, 3~6학년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의식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학년일수록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교육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교 ‘정보통신윤리’ 교육과정의 현황과 전망

        조정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정보통신윤리’ 교육과정의 현황을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생 ICT 활용능력 기준(ISSS)(2001)과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개정안(2005), 그리고 ICT 리터러시 검사도구(2007)의 연구 결과 중 정보통신윤리 관련 영역을 토대로 설정한 분석 준거를 이용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 된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바른생활’, ‘국어’, ‘도덕’, ‘실과’ 교과서 중 정보통신윤리 영역의 해당하는 내용은 ‘도덕’, ‘실과’ 교과서에 집중적으로 편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보통신윤리 영역의 세부 사항이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게 제시되지 않고 있다. 전체 교과서에서 나타난 정보통신윤리 내용 중 51.4%만이 적용 단계에 맞게 제시 되었다. 셋째, 교과서에 제시된 정보통신윤리 영역의 세부 항목에 대한 빈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초등교육과정의 교과들은 각각의 고유한 교과 목표를 가지고 있다. 교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과서의 내용은 한정적일 수 밖에 없고, 이 교과내용에 정보통신윤리 영역을 통합하여 나타내기란 쉽지 않다. 설령 각 교과내용에 정보통신윤리 영역의 내용이 포함되더라도, 각 교과서에 포함될 정보통신윤리 내용은 그 시대에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일 경우가 높다. 그리고 전 교과의 통합적인 협의 없이 각 교과별로 협의되기 때문에 정보통신윤리 내용의 중복을 피하기 어렵다. 따라서 정보화 사회에서 꼭 필요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보통신윤리 영역을 통합하는 새로운 교과가 필요하다.

      •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미경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세계 최고의 초고속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여 인터넷은 더 이상 가상이 아닌 현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 2의 생활공간이 되었다. 인터넷을 통해 많은 정보들을 신속하고 쉽게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는 등 많은 도움을 얻지만 그에 못지 않은 부작용들로 피해를 입기도 한다. 음란·폭력 사이트, 해킹, 바이러스, 개인정보 유출, 사이버 성폭력, 언어폭력 및 언어훼손, 불법복제와 스팸 메일 등 인터넷 역기능들은 사회 문제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상과 같은 현실에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 의식 실태와 정보통신윤리 교육 실태를 설문조사와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인터넷을 이용해서 가장 많이 하는 것은 온라인 게임 및 오락으로서 인터넷 중독 및 게임중독에 대한 예방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불건전한 정보에 대한 노출 정도는 극히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학교와 가정에서 지속적인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필요하며, 그리고 학교에서의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바람직한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이루기 위해서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정보통신윤리 교육은 정보화의 속성상 학교 구성원의 노력만으로 해결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학생, 교사, 학부모, 민간단체, 정부 등 관련 주체들의 노력과 상호간의 긴밀한 협력이 요구되며 다각적이고 총체적인 접근을 통해 효과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As Korea has built up the super-high speed Internet environment as a world leader in this regard, Internet is no more imaginary but the second life space closely linked to the reality. While not only we can get a lot of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in a swift and easy manner, but also many benefits such as association with various people; however, we suffer from the adverse effects on the other hand. Such side effects as pornographic/violent websites, hacking, virus, personal information leaks, cyber sexual assault, verbal abuse, language degradation, illegal copy, and spam mail even lead to social problems. Considering the reality as stated above,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recognition and education of IT ethics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show that the problems of current IT ethic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e their frequency in on-line games and other entertainment methods provided through Internet, which may lead to Internet or game addiction, and the prevention education is needed accordingly. Besides, although the extent that they are exposed to unsound information is not very serious, consistent effort for IT ethics education in school and family is still necessary; and evidences show education regarding IT ethics is not carried out properly. For the way of IT ethics education to be desirable, several measures are presented as follow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heachers, parents, private organizations, government and other related operateing bodies to cooperate each othe to activate the elementary school information communication moral education and to prepare effective plan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grow up as upright members of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by diversifed and general approaches.

      •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토론중심 웹사이트의 설계 및 구현

        장양금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In our current age which sees an advance in information technology, computers are being used in all areas including politics, economy, life and culture. This study designed and materialized a website centered on debates for an effective way of guidance on ethics education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coping with many serious reverse functions of informatization occurring in an age of informatization. With such unclearness of the border between the reality and the cyber, those who are experiencing more confusion are the youths who are immature emotionally; that is, whose values are not completely established. Failure of youths to adapt to informatization actually leads to crimes, becoming a serious social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materialize the educational environmentrequired in an age of informatization, especially, the environment for education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ethics that enables learners to take self-initiative by themselves. In this thesis, the website is built by combining the use of Internet with debate lessons, both of which appeared to be most preferred through prior questionnaire in pursuit of the way of lesson actually needed by learners, thus arousing interest and motive for learning among learners andcoping with the fundamental reverse function of informatization. Here, an educational meaning can be found.

      • ARCS 전략을 적용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 수업이 학습자의 정보통신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경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ARCS 전략을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정보통신윤리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도덕’, ‘국어’, ‘사회’, ‘실과’ 교과 정보통신윤리 관련 내용과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을 기초로 하여 내용 선정을 하고 정보통신윤리 상위 지표인 절제, 존중, 책임, 참여로 구분한 뒤 ARCS 전략을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정보통신윤리 수업 모형을 구안하고 수업 설계를 하였다. 설계된 정보통신윤리 수업을 실시한 뒤 정보통신윤리 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ARCS 전략을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정보통신윤리 수업은 정보통신윤리 의식 및 실천 의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분석 결과 정보통신윤리 의식의 네 가지 하위 영역 각각과 정보통신윤리 의식 전체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RCS 전략이 수업에서 주의력을 집중시키고, 학습자들의 요구 및 흥미와 정보통신윤리 수업내용과 관련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보통신윤리 의식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고취시켜 주고, 학습과제를 수행한 결과에 만족감을 갖도록 하여 정보통신윤리 의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블렌디드 러닝 기법은 특히 절제나 책임 영역의 정보통신윤리 의식 및 실천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정보통신윤리의식 향상을 위한 TPB기반 토의학습 설계 및 적용

        박영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정보화 사회가 발달되어 감에 따라 정보 역기능 현상이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면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강화되고 있으나 현행 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수업 방식에 대한 연구가 부진하여, 이론적이거나 수동적인 교육에 그치고 있는 경우가 많아 학습자 중심의 자발적, 적극적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TPB)에 기반하여 정보통신윤리 의식은 물론 행동실천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정보통신윤리 토의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정보통신윤리의 상위지표인 절제, 존중, 책임, 참여를 기준으로 개정 7차 교육과정과 ICT 교육 운영지침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정보통신 윤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선정하였다. 둘째,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도출한 기본 교수‧학습전략을 습관화와 내면화 과정으로 정립하고 정보통신윤리 수업 모형의 구체적인 교수‧학습전략과 활동을 정하여 토의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셋째, 설계된 수업 모형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여 토의수업 모형의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 모형에 따라 수업을 설계하고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생태학적 교수학습 기법을 적용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인터넷 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경희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정보사회가 긍정적으로 전개되어 나가기 위해서는 청소년도 이에 맞는 의식과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의 질을 평가할 수 있 는 능력과 불건전한 정보를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데 정보통신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의 문제는 그 사람의 윤리 의식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학생들 각자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 면서 본인과 외부의 실제적인 상황을 연관 지어 자신만의 쓰기 활동을 통하여 스스로 계획하고 평가 및 반성에 의해 자기 주도적으로 지속해 나가는 것이 생태학적 관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세계의 맥락과 관련이 있는 실제적인 쓰기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중요한 요인으로 설정하는 생태학적 국어과 교수학습 기법의 이론을 토대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인터넷 윤 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워크숍 쓰기 수업모형으로 설계하고 그것을 적 용하여 인터넷 윤리 의식의 향상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생태학적 국어과 교수학습 기법을 정보통신윤리 교육에 통합적으로 적 용한 수업 모형의 프로그램은 2차시를 묶어 진행하고 4차시에 걸쳐 투입 되었다. 연구 대상인 특성화고등학교 뷰티경영과 2학년 학생들은 컴퓨터 및 그래픽, 동영상 등의 관련 과목을 학습하여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을 다룰 줄 아는 학생들로서 학습자들에게 친숙한 컴퓨터와 인터넷 기반의 쓰기 환경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출판물을 완성해 가는 과정을 자유롭게 진행하도록 하였다. 우선 사전활동에서 인터넷 윤리 의식을 사전 검사한 후, 쓰기 활동을 통해 다양한 출판물을 자기주도적으로 완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수업 진행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1, 2차시에는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주제를 스스로 선정하여 마인드맵이나 스토리보드를 활용해 아이디어를 수집하는 초고 쓰기를 하였다. 3, 4차시에는 동료들과 공유하며 피드백을 제공받아 내용적인 면을 고쳐 쓰고 결과물에 오류가 생기지 않도록 편집 하기를 하였다. 사후활동에서는 작성한 결과물에 대해 출판에 대한 지도 와 자기평가지를 통해 스스로 평가해 보고 인터넷 윤리 의식의 변화를 사후검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면서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위하여 생태학적 국어과 쓰기 교수 학습 기법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인터넷 윤리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음을 사후검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국어과의 생태학적 교수 학습과 통합 적으로 적용하여 실제적으로 구현한 점과 이러한 생태학적 국어과 교수 학습 기법이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통해 인터넷 윤리 의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한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이 프로그램에서 착안하여 생태학적 교수학습 기법 을 학생들의 특성과 상황에 맞게 더욱 세부적으로 구안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For the positiv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young people should have their attitude and consciousness accordingly. To do this, It requires the ability to evaluate the quality of information, insalutary information, and also critical evaluation ability. The problem of appli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a deep relationship with their ethics.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is self-directed learning with their own plan, evaluation and reflection through the writing activities concatenated their actual situation on consideration of their own situation In this study, it is conducted to verify the improvement of Internet ethics by designing as writing workshop teaching model with the effec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to the Internet ethics consciousness, based on theory of ecological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that set-up the important factors as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by setting-up an actual writing conditions relevant to the context of the external world. Program of model that ecological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applied integratively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tied the 2 periods and carried out over 4 periods. It was going to be free to proceed with the process that completing a publication in various ways under the internet-based writing conditions, because the research subjects are for sophomore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 majoring in Beauty management, basically know how to handle the program familiar with computer and graphics. At first, we had time to describe the progress that complete the various publications with writing activities, after pre-testing the internet ethics consciousness. 1,2 periods has chosen to themselves the subje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and they made a draft letter to gather ideas by using the mind-map or storyboard. 3,4 periods have been edited to avoid causing an error in writing, and fixed the contents aspect, sharing the results, and receiving feedbacks with colleagues. In the post-activity, we looked for changes in the Internet ethics through the self-evaluation, and written guidance on the publish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for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attracting the student’s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it is proved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Internet ethics consciousness through the post-examine. This study represent to a practical implementation between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to ecological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imited positive effect of internet ethics consciousness based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applying ecological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Finally, we will need to create a more detail ecological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according to many different situations and characters of student.

      •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터넷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 부모가 자녀의 인터넷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전경희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전 세계가 하나의 망으로 묶인 인터넷이란 가상공간이 또 다른 삶의 공간이 되어버린 정보화 사회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는 삶의 질적인 향상과 더불어 생활의 풍요로움과 여유를 가져다주는 순기능을 제공하는 반면, 현실세계보다 더욱 심각한 사회혼란을 야기하는 역기능을 초래하기도 한다. 특히 판단력이 미숙하고 사이버 공간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게 세워져 있지 않은 초등학생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역기능으로 인한 피해는 더욱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에서 역기능의 현상에 대처할 수 있는 윤리적 가치관을 인식시켜 주어야 하며, 정보화 사회 속에서 책임 있는 도덕적 행위자로서 행동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 윤리교육을 더욱 강화시켜야만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새로운 문화형성의 주체이자 컴퓨터와 친구가 되어버린 초등학생과 그 교육지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학부모의 정보통신 윤리의식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부모의 윤리의식이 자녀의 인터넷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초등학생의 정보통신 윤리의식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