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류혜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오늘날 우리는 급변하는 정보 사회 속에서 살고 있다. 정보 사회의 진전에 따른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은 많은 사람들에게 삶의 풍요로움과 여가를 가져다주었다. 그러나 정보 사회의 빠른 발달 속도는 그에 따라 많은 윤리적인 문제들을 출현시켰다. 따라서 21세기 정보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과 21세기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이 정보 사회에서 발생하는 비윤리적 문제를 현명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윤리의식의 확립이 요청되는 바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도덕․윤리 교육 또한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방안을 개발하고 연구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도덕과에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의 방안을 다음과 같이 연구해 보았다. 제 Ⅱ장에서는 사이버 공간으로부터 파생되는 윤리적 문제들의 등장 배경을 살펴본 후, 정보 사회의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로 개인 정보 및 사생활 침해, 지적 재산권 침해, 해킹과 바이러스의 유포, 불건전 정보의 유통, 정보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간 소외와 자아정체성 혼돈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정보 사회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요구됨을 설명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에 대한 두 가지 접근법을 살펴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현행 도덕과에서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원칙과 그에 따른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네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의 수업지도안을 연구하였다. 제 Ⅴ장의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살펴 본 논의들을 정리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생각해 보면서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정보 사회에서 필요한 인간은 정보 사회에 적합한, 즉 정보 사회를 바람직한 사회로 만들어갈 수 있는 완성된 인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에 있어서 학생들이 정보 사회에 대해 알고 느끼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부정적인 측면의 시정을 위한 교육과 더불어 바람직한 정보 사회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모습을 지니도록 하기 위한 주제를 선정을 하였다. 그리고 실제 적용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정보통신윤리교육을 통한 유의미한 학습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제 청소년들이 급변하는 정보 사회 속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바람직한 판단력을 길러주는 일과, 건전한 정보 사회의 구성원이 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도덕․윤리과에서도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중요한 주제로 생각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박미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현대의 정보 통신의 발달은 사회 전반적인 분야에 이용되기에 필수적인 생활 요소가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그 역기능으로 인한 사회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 사회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학교 현장에서부터 체계적인 지도를 통해 정보 윤리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함양하고 건전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행동양식을 심어주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교에서 이뤄지고 있는 정보통신윤리 교육내용이 여러 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로 인해 교육의 체계성이 떨어지고 타 교과의 일부이기에 형식적인 지도에 그치게 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교과별 정보윤리교육내용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사결과 교과별로 정보윤리 관련 단원이 상이했고 교육 내용 또한 일관성이 없었으며 정보 교과는 학교급별 교육 내용이 명확히 구분되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타교과에서 정보 윤리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뤄지게 하기 위해 교과별 정보윤리 교육 지침서 및 교사용 지도서 보급이 필요하며 정보 윤리 교육의 체계성 확립을 위해 정보 교과의 필수교과로의 전환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향후 교과별 정보 윤리 교육 운영 지침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여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became in life element essential because used at sphere overall. However,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dvances at high speed, as social problems was generated by adverse effect. To solve problems of information society is necessary to systematic guide in school scene, From this, cultivate values about information ethics and able to take advantage of wholesome information need to teach for behavior patter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running in various subjects, but as a result, organization is lacks and cease doing cursory tutelage. Therefore, In this study to tackle this problem have look into related contents with the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in each textbook. And made analysis of it. The results of look into the study, covers units different to the contents of related wit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from each textbook. And Educational content lack inconsistent. contents of computer education a clear was differentiated from between different grades. For the other textbook should provid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guidebook and guidelines for effective achievement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nd computer subject have to be converted the essential subject from for the systematic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continu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guidebook and guidelines develop and study on planning.
피드백 기능을 강화한 정보통신윤리교육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권현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정보통신윤리교육을 하기 위한 웹기반 코스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는 것이다. 또한,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학습과 자가진단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활용 문제점을 개선하고, 피드백 기능을 강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은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을 고찰하여 초등학생들이 자기주도적인 학습 및 진단이 가능하도록 웹 코스웨어의 개발 절차를 바탕으로 한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웹 코스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웹 코스웨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정보통신윤리교육에 대한 학습내용 및 진단내용을 애니메이션형 플래시로 구성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시켜 학습의욕을 높였다. 그리고 자기주도적인 학습방법 및 자가진단 개선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추출하여 초등학생의 연령과 수준에 맞는 학습내용 및 진단내용으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자가진단 결과에 따른 학부모 SMS 문자메세지 전송 및 상담선생님과의 상담, 또래친구들과의 토론방 이용 등 다양한 피드백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단순히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학습에만 미치는 것이 아니라, 추후 학교나 가정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지도와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정보통신윤리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 의식을 높이며, 건전하고 올바른 인터넷 사용 능력을 길러주는 측면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sign and implement a web-based course ware to effectively teac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ral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other purpose is to improve the problem of Internet util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inforce the feedback function. In this thesis, concepts and necessit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ral education are investigated and a web coursewar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ral education is designed and implemented, based on development procedures of a web courseware in order to ensure self-initiated learning and diagnosis. Learning and diagnosis conten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ral education are included in the learning process of a web coursewa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imation-type flash in order to stimulate learners' interest and curiosity and heighten learning intention. Items necessary for improvement of self-initiated learning method and self-diagnosis are drawn and re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ge and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rious feedback functions are reinforced, such as sending SMS text message to parents, counselling with the counsellor teacher and using discussion room with the peer group. This system can be helpful to learner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ral education through various types of guidance and interactions at school or at home, as well as learning of simp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ral edu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ral spiri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be heightened and the system can be widely utilized by cultivating the sound and proper use of the Internet.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경험 및 인식
본 연구는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경험 및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육기관 및 가정에서 유아에게 발달적으로 적합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계획되고 실현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경험은 어떠한가? 2.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184명과 그 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 236명이다. 연구도구는 교사용 지도서「유아를 위한 바른 인터넷 첫걸음」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교사용, 어머니용 질문지였다. 자료분석은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부수적으로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카이(χ2)검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경험 첫째, 인터넷 사용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 교사집단과 어머니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게임중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 건강상의 문제’로는 ‘안과 관련 질환’과 ‘구부정한 자세 및 척추측만’이, ‘사회․정서발달상의 문제’로는 ‘공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문제점이 발견되었을 때 교사집단의 40.4%, 어머니 집단의 0.4%가 상담을 했었던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문제점 발견 시 지도방법에 대해 교사의 경우 ‘가정과 연계를 통해 지도 한다’, 어머니의 경우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 대상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실시 후 긍정적인 변화를 준 요인에 대해 교사는 ‘자료 및 교육매체’, 어머니는 ‘전문지식’ 때문이라는 응답을 가장 많이 했다. 교사와 어머니 집단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주지 못한 요인으로는 ‘자료 및 교육매체의 부족’을, 또한 교육을 실시하지 못한 요인으로는 ‘지도내용 및 방법의 부족’이라는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보통신윤리 교육 이수 경험은 교사와 어머니 집단 모두에서 ‘교육을 이수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2)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인식 첫째, 정보통신윤리의 교육자로서, 정보통신윤리 관련 지식의 수준은 교사와 어머니가 유사하게 적어도 중간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부모 대상의 교육방법에 대해 ‘학부모 교육 및 간담회’가 교사와 어머니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이수 의지 역시 두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교사 대상의 연수방법으로는 ‘교육청 혹은 연수원 원격연수’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에 관한 인식으로서, 유아 대상의 정보통신윤리 교육내용으로 교사는 ‘컴퓨터 이용의 바른 자세’를, 어머니는 ‘인터넷 게임 중독예방’이 가장 적절하며, 유아 대상의 인터넷 기능으로는 두 집단 모두 ‘멀티미디어’가 가장 적절하다고 보았다.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과제로서, 교사는 ‘부모 대상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실시’를, 어머니는 ‘유아 대상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실시’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의 경우 ‘만 4세’, 어머니의 경우는 ‘만 5세 이후’가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시작 연령으로 적절하다고 보았다. 교육과정 운영 시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적절한 시기로는 교사가 ‘각반 담임 재량’이라고 한 반면, 어머니는 ‘특정한 주제를 교육할 때’라고 인식하였다. 두 집단 모두 교수방법으로는 ‘대집단 활동’이, 교육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유치원과 가정과의 연계교육’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ARCS 전략을 적용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 수업이 학습자의 정보통신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경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본 연구는 ARCS 전략을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정보통신윤리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도덕’, ‘국어’, ‘사회’, ‘실과’ 교과 정보통신윤리 관련 내용과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을 기초로 하여 내용 선정을 하고 정보통신윤리 상위 지표인 절제, 존중, 책임, 참여로 구분한 뒤 ARCS 전략을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정보통신윤리 수업 모형을 구안하고 수업 설계를 하였다. 설계된 정보통신윤리 수업을 실시한 뒤 정보통신윤리 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ARCS 전략을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정보통신윤리 수업은 정보통신윤리 의식 및 실천 의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분석 결과 정보통신윤리 의식의 네 가지 하위 영역 각각과 정보통신윤리 의식 전체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RCS 전략이 수업에서 주의력을 집중시키고, 학습자들의 요구 및 흥미와 정보통신윤리 수업내용과 관련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보통신윤리 의식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고취시켜 주고, 학습과제를 수행한 결과에 만족감을 갖도록 하여 정보통신윤리 의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블렌디드 러닝 기법은 특히 절제나 책임 영역의 정보통신윤리 의식 및 실천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
박지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정보사회의 역기능을 해소하기 위해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효용성이 미비하다. 그 원인을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보통신윤리교육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즉, 본 논문은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 실태 파악을 통한 개선방안 모색에 목적을 두고 있다.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첫째, 관련 교과인 정보, 도덕, 사회과의 일반계 고등학교 7차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전국에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 25곳을 임의 추출한 후, 각 학교의 정보, 도덕, 사회과 교사 각 1명씩 총 7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교육과정과 설문지 분석을 통한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현황을 기반으로 한 개선방안으로 교육과정의 체계화, 교사 전문성 확립, 교육내용의 내실화, 가정, 학교, 사회가 연계한 윤리의식의 개선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효용성 증대가 이루어질 것이라 사료된다. 효과적인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우리가 건전한 정보사회를 영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has become a necessity and is actually undertaking in current classrooms in Korea. The school program, however, is not yet getting effective results. This study is to seek the reason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of the school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first, the curriculums related to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such as Information, Ethics, Social Studies in the 7th academic high school curriculum, have been analyzed. Second, survey questionnaires have been gathered from 75 teachers taking charge of each of the three subjects, such as Information, Ethics, Social Studies in 25 academic high schools randomly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urrent school curriculums and the survey questionnaires, som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are made like the systematization of school curriculums, establishment of the teachers' expertise, improvement of the perception concerning with the morality among schools, home, and the society. Through these, the efficiency of the information-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will be improved. Effective information-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will be the base of the sound information society we should achieve.
웹기반 신문활용교육(NIE)이 고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희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급변하는 사회에서 우리가 누리고 있는 많은 편리함과 안락함 이면의 심각한 사회 문제로 정보사회의 역기능이 대두되고 있다. 그 동안의 학교 컴퓨터 교육은 실용성을 강조한 정보통신기술 교육이 대부분이고, 정보통신윤리 교육은 수업 시수의 부족과 평가의 어려움을 들어 형식적인 개념 설명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 의식을 고취시키고 실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방법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신장과 함께 사고력과 판단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신문활용교육의 장점과 학생들의 접근이 용이하고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웹 활용 학습의 장점을 결합하여 학생들이 직접 수업의 주제와 관련된 신문 기사를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정보통신윤리를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웹기반 신문활용교육이 고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 의식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의 정보통신윤리 교육은 개념 이해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시기에 적절한 다양한 방법의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통해 올바른 정보통신윤리 의식의 고취와 아울러 올바른 인터넷 습관의 형성을 기대해 본다.
청소년의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웹 코스웨어 설계 : 역기능 사례중심
김수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2008년 6월 발표한 ‘인터넷결제 미래’ 현황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가정 내 인터넷 이용률 94.1%를 기록, 압도적인 비율로 1위에 랭크되었다. 네티즌 참여율도 36.8%로 세계 정상임을 확인했다. 인터넷의 이용률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의한 명예훼손, 사이버 성폭력, 저작권 침해, 통신사기 등 정보화 역기능 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10대의 청소년들은 범죄행위에 대해 죄의식을 느끼지 못한 채 무감각한 상태에서 다양한 범죄에 노출되어 있다. 많은 시간을 컴퓨터와 인터넷을 주도적으로 사용하는 반면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제대로 실시되지 않고 있다. 올바른 가치관과 정보통신윤리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학교에서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역기능에 노출되어 있는 청소년들을 위해 정보통신윤리교육 웹코스웨어를 구현하여 적용한다.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조사를 기초로 정보화 역기능을 재조정하여 명예훼손, 사이버 성폭력, 저작권침해, 통신사기의 사례중심으로 쉽고 실제적으로 접근하고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여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하며, 본 논문의 웹 코스웨어는 학생 스스로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고, 정보통신윤리 의식의 존중감, 책임감, 정의감, 해악금지원칙 변화에 효과를 검증한다.
초등학교 교사의 정보통신 윤리와 교육 실태에 대한 개선 방안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윤경숙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정보통신기술이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정보화의 역기능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었다. 정보화 역기능을 예방하기 위해 사이버 공간에서의 법 제도와 관련 시스템 기술을 구축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인터넷 사용자의 윤리 의식이 개선되기 전에는 효율적인 예방책이 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역기능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인 정보통신 윤리교육을 실천해야 할 초등학교 교사들의 정보통신 윤리와 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 지역 초등학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서 개발한 정보통신 윤리지표 예시안과 선행 연구를 통해 제작한 설문지다. 자료 분석은 연구 문제에 따라 교차분석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는 정보통신 윤리 의식을 높이기 위해 저작파일을 불법으로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지적 재산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타인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에서 정보통신 윤리 교육은 저학년에서부터 실시되어야 하며, 불건전 정보의 유해성을 알리고 불건전 정보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정보통신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전통적 교수법인 설명 위주의 훈화 및 예화 자료를 탈피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통신 윤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체계적인 정보통신 윤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의 정보통신 윤리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홍보 및 연수를 확대하여야 한다. 사이버 원격 연수의 형태로 이루어진다면 연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제한이 없어 많은 교사들이 정보통신 윤리교육 연수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청소년의 정보통신윤리의식 실태 및 정보통신윤리교육의 방안 연구
김진숙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컴퓨터 보급의 확대와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우리나라는 초고속인터넷 이용 인구가 1,142만명(2004.3)을 넘어서 세계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를 구축하게 되었으나 인터넷 이용자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에 의한 사이버 범죄 등 정보화의 역기능이 급증하여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가장 많은 인터넷 사용 연령층이 6~19세의 초등학교 이전부터 고등학생들로 이들의 인터넷 이용률은 9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난해 발생한 사이버 범죄 가운데 33.78%가 10대가 저지른 범죄로 이들은 이러한 행위에 대하여 별다른 죄의식이나 후회의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들이 정보화의 주역으로 정보사용에 적극적이고 주된 사용자임에 반하여 올바른 가치관이 확립되지 못하여 인터넷상의 무분별한 정보들로부터 가치관의 혼란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부정적인 사례들로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을 무작정 규제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므로 청소년 스스로가 어떠한 정보를 접하더라도 적절하게 여과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올바른 윤리적 가치관을 심어주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보사회의 주된 정보 이용자이면서 가치관이 미성숙한 청소년들이 밝고 건전한 정보통신윤리의식을 갖추어 올바른 정보사회를 살아 갈 수 있도록 정보통신윤리교육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부산시내 소재 중학교, 인문계고등학교, 실업계고등학교 학생 812명과 이들 학교 교사 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교교육의 주체라 할 수 있는 학생과 교사의 정보통신윤리의식의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어느 특정 기관이 아닌 가정, 학교, 사회 3자 모두에 의한 꾸준한 노력과 관심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청소년의 정보통신윤리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the spread of computers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Korea's high-speed Internet population passed over 11,420 thousand (2004.3). Korea also made up the highest level of IT infrastructure in the world. Yet as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is growing, negative side effects such as cyber crime are also increasing rapidly and are becoming serious social problems. Especially, the most Internet users in Korea are adolescents between pre-school children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ate of Internet use of them is occupying 94.8 %. A research revealed that 33.78 percent of cyber crime which happened last year was done by teenagers, while they did not feel peculiar guiltiness with such a deed. Adolescents are active as well as main users at the information utility, while their straight sense of values could not be established. It was because they made a disturbance of the sense of values from indiscreet informations on the Internet. Yet we can not keep recklessly adolescents from using the Internet because of such negative cases. Therefore, we should help them to filter off and choose any information suitably and plant straight moral sense of values to adolescents. In this paper, I tried to draw up a pla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so that adolescents, whose sense of values is immature, may have bright and wholesom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consciousness and live in the straight information society. For this, I made up questions for students of 812 and teachers of 62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Pusan and then I understoo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al consciousness with the students and teachers, the subject of school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way to inspire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consciousness into adolescents--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can be done by the concern and steady efforts of all the family, schools and society, not by any specific org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