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대석류 거문고 산조에 관한 연구 : 진양조를 중심으로

        鄭善伊 淸州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1988년에 정대석에 의하여 새롭게 구성된 정대석류 거문고 산조를 이해하기 위하여 그의 음악적 경험 세계와 예술성을 바탕으로 진양조에 나타나 있는 선율을 분석하여 성립배경 및 구성원리를 살펴 봄으로서 새로운 산조의 구성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정대석류 거문고 산조의 선율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전체의 선율을 살피고, 각 부분별의 구성음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대석류 거문고산조 진양조는 모두 36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36행을 선율 형태로 구분하여 보면, 제1행부터 제8행까지 총 8행은 우조, 제9행부터 제12행까지 총 4행은 평조, 제13행부터 제36행까지 총 24행은 계면조로 구성되어 있어 산조의 기본 악조인 우조·평조·계면조 등 단지 세 가지 악조가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진양조의 완전한 한 장단이 <기·승·전·결>로 구분되는 점에 준거하여 그 선율 진행상의 성격으로 구분하여 보면, 그 장단의 구성은 24박자 1장단을 완전히 구비하고 있는 것은 4장단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기·결>:3회, <기·승·결>:2회, <기·전·결>:2회로 나타나며, 그밖에 1장단으로 이루어진 연결가락이 2회 출현한다. 이와 같이 진양조의 반드시 1장단이 완전하게 24박자를 갖추지 않는 것은 다른 산조에서도 흔히 발견되는데, 유난히 그 횟수가 과도하게 두드러지는 것은 그것이 짧은 산조이기 때문이다. 셋째, 정대석류 거문고산조의 선율을 김윤덕류 가야금 및 거문고산조·한갑득류 거문고산조·신쾌동류 거문고산조 등의 선율들과 비교해본 결과, (一) 비록 선율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내드름 부분의 선율이 동일한 경우, (二) 맺어주는 종지부분의 선율이 동일한 경우, (三) 음고의 차이는 있지만 선율의 전체적인 흐름이 유사한 경우 등 세 가지 양상으로 드러난다. 먼저 내드름 부분의 선율이 동일한 경우는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에서 1행, 김윤덕류 거문고산조에서 1행, 한갑득류 거문고산조에서 3행, 신쾌동류 거문고산조에서 3행 등이 각각 발견된다. 둘째, 종지부분이 동일한 선율은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에서 8행, 김윤덕류 거문고산조에서 4행, 한갑득류 거문고산조에서 5행, 신쾌동류 거문고산조에서 7행 등이 각각 발견된다. 셋째, 전체적인 선율이 유사한 부분은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에서 11행, 김윤덕류 거문고산조에서 8행, 한갑득류 거문고산조에서 15행, 신쾌동류 거문고산조에서 13행 등이 각각 발견된다. 그밖에 정대석류 거문고산조 진양조의 총36행 가운데 다음 악보로 명시된 제29행·제30행·제32행 등 3행은 김윤덕류 가야금 및 거문고산조·한갑득류 거문고산조·신쾌동류 거문고산조 등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이 3행은 본 고에서 활용된 여러 산조에서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정대석의 독창적인 가락으로 추정되지만, 본 고에서 취급하지 않은 다른 산조에서 혹 발견될 수 있을지 의문이므로 단정하기 어렵다. 요컨대, 정대석류 거문고산조는 비록 진양조에 한하였기는 하지만, 총 36행 가운데 3행을 제외한 나머지 33행이 그가 일찍이 습득한 바 있는 다른 산조에서 유사 선율이나 동일 선율 양태로 발견된다는 사실로 미루어 그 구성은 그의 선험적인 음악세계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정대석이 구성한 거문고 산조가 다른 거문고 산조에 비하여 난이도가 비교적 높은 인상을 주는 것은 괘의 이동이 잦고, 다른 산조에서 연주되지 않는 높은 음역의 가락이 연주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내용을 보면 결국 우조·평조·계면조 등 3개의 기본 악조만이 활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혹 괘의 이동이 잦거나 그 높은 음역에서 연주되는 선율의 경우라도 결국 구성음이 <G, (B^b), c, d, e>인 계면조에 소속되어 있어 사실은 비교적 간략하게 엮어진 악곡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도로 숙달된 기술을 요구하는 듯한 외형의 이면에 감추어진 간결성이 바로 정대석류 거문고산조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정대석류 거문고 산조는 지금까지 각 악기의 산조에 많은 류파가 생겨난 것과 같이 향후 산조가 새롭게 형성될 수 있는 방법, 혹은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다른 한편, 애초의 기본 가락을 확대해 감으로써 긴 산조로 발전한 여타의 산조 형성 사례에 비추어 정대석류 거문고 산조에 기초한 그 자체의 긴 산조가 형성·발전되기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한 것이다. In this treatise, melody structure, principle of composition and background of formation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comprehend Jeong Dae-Seok Ryu Geomungo Sanjo re-composed by Jeong Dae-Seok in 1988 and bring a possibility to compose a new-Sanjo. First of all, all melodies, notes and characters of each parts were examined, so as to consider melody structure of Jeong Dae-Seok Ryu Geomungo Sanjo.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Jeong Dae-Seok Ryu Geomungo Sanjo Jinyangjo consists of 36 lines. The 36 lines of total can be sorted out three parts, 8 lines consist of Ujo (1st∼8th), 4 lines consist of Pyeongjo (9th∼12nd), 24 lines consist of Gyemyeonjo (13rd∼36th). Therefore, we can know that this Sanjo consists of just Sanjo's basic three modes, which are Ujo, Pyeongjo, Gyemyeonjo. Second, one perfect rhythm of Jinyangjo is composed of the four steps. (i.e.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They are called by Ki, Seung, Jeon, Gyeol in Korean.) Just 4 rhythms have perfect condition that 1 rhythm consists of 24 measures, the others are <Ki·Gyeol> : 3 times, <Ki·Seung·Gyeol> : 2 times, <Ki·Jeon·Gyeol> : 2 times, and connecting rhythm, called by Yeon-gyeol-garak in Korean, has just one line, appears two times. Third, Many same or similar melodies with Jeong Dae-Seok Ryu Geomungo Sanjo's were found in Kim Yun-Deok Ryu Gayageum and Geomungo Sanjo, Han Gap-Deuk Ryu Geomungo Sanjo and Shin Kwe-Dong Ryu Geomungo Sanjo, as a result of comparison. Concretely speaking, 20 lines in Kim Yun-Deok Ryu Gayageum Sanjo, 13 lines in Kim Yun-Deok Ryu Geomungo Sanjo, 23 lines in Han Gap-Deuk Ryu Geomungo Sanjo, 23 lines in Shin Kwe-Dong Ryu Geomungo Sanjo were found. But any same or similar melodies with 29th, 30th and 32nd line in Jeong Dae-Seok Ryu Geomungo Sanjo's 36 lines, all told, are not found in above other Sanjos. Thus, these three lines is presumed Jeong Dae-Seok's creative Garak, but we cannot be sure, because it's possible that same or similar tunes can be found in another Sanjos. It's very important thing that Jeong Dae-Seok Ryu Geomungo Sanjo serves the way or possibility of new-Sanjo's composition hereafter, as many schools of each instruments have come out. In addition, we can hope that its own long-Sanjo on the basis of Jeong Dae-Seok Ryu Geomungo Sanjo is formed and developed, as another long-Sanjos have been composed by extension of the original basic Garak.

      • 정대석 거문고산조 연구

        주윤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거문고산조는 1914~1918년경 백낙준에 의해 완성된 이후, 그의 제자들에 의해 오늘날까지 전승되는 가운데 새로운 가락들이 형성되었으며, 현재 <신쾌동류 거문고산조>와 <한갑득류 거문고산조>가 가장 대표적인 거문고산조로 계승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1988년 정대석에 의하여 새로운 거문고산조가 창작되었으며, 이후 보완하여 2013년에 <정대석 거문고산조>가 완성되었다. 초기의 <정대석 거문고산조>는 진양조 36장단, 중모리 27장단, 중중모리 37장단, 자진모리 96장단의 총 196장단으로 구성되었고, 완성된 산조는 진양조 106장단, 중모리 79장단, 중중모리 80장단, 자진모리 305장단으로 가락이 대폭 증가하였다. 특히 엇모리 77장단이 새롭게 추가되면서 총 647장단으로 완성되었다. 이 산조는 독창적이고 화려한 선율과 고음역대의 난이도 높은 산조로 평가되며, 여러 연주가들에게 산조의 새로운 레퍼토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정대석은 연주자이자 교육자이면서 작곡자로도 명성을 떨치고 있으며, 특히 거문고 창작음악의 새 지평을 열어주었다. 이러한 작곡자에 의해 확대된 <정대석 거문고산조>의 선율 안에는 여러 대의 스승들을 거쳐 계승되어온 가락뿐만 아니라, 독창적인 선율 또한 증가되었다. 이 연구는 2013년에 완성된 긴 산조를 대상으로 각 악장의 단락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악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정대석 거문고산조>를 <한갑득류 거문고산조>․<신쾌동류 거문고산조>와 음역, 악조, 음군, 종지형 4가지 측면에서 비교해 보았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남을 구명하였다. 첫째, 음역의 경우 <정대석 거문고산조>는 2괘법을 통하여 ‘대현 0괘’의 연주법을 발전시켰으며, 이 연주법을 사용함으로써 음역이 5도 아래로 확대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10괘법을 통하여 유현 16괘에 손을 짚어 음역이 2도 위로 확대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와 같은 음역의 확장으로 저음역대와 고음역대에 단락을 형성하여 선율이 보강되는 특징이 나타난다. 둘째, 악조의 경우 <정대석 거문고산조>는 <한갑득류 거문고산조>․<신쾌동류 거문고산조>와 ‘공통된 조’가 7가지 나타나며(C계면조, G계면조, F계면조, C우조, G우조, E♭평조, B♭평조) ‘새로운 조’가 3가지 나타난다.(D계면조, B♭계면조, E♭우조) 새로운 조의 사용으로 기존에 사용하지 않던 음에 농현을 하거나 꺾는 등 음색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풍부한 표현력의 요소로 활용하였다. 전조의 방식을 비교해보면, 기존의 산조는 전조 이후 본청으로 돌아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정대석 거문고산조>는 기존 방식과 더불어 본청이 아닌 다른 조로 연속 변청하는 새로운 전조 방식이 나타난다. 새로운 전조 방식때문에 변청 후 본청으로 돌아갈 것이란 고정관념에서 벗어난다는 점에서 이색적인 효과가 더욱 크다. 또한 동일음일지라도 음의 기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시김새의 차이로 인한 음색의 변화가 나타난다. 셋째, 선율의 전개 방식을 음군으로 만들어 비교해 보았다. 음군의 경우 단락의 시작부분은 <한갑득류 거문고산조>․<신쾌동류 거문고산조>와 유사하지만 점차적으로 변화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음군 내 구성음 차이와 더불어 축소, 축약, 음군의 순서 교차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음의 진행 양상이 달라진다. 이러한 과정 안에서 독자적인 음군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정대석 거문고산조>가 단지 이색적인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익숙함이 내재된 산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종지형의 경우 ‘동일한 종지형’은 변형 없이 사용하는 경우보다 구성음을 리듬 면에서 축소나 분할하여 빠른 전개감과 급변하는 전환감을 동시에 준다. ‘독자적인 종지형’은 구성음, 리듬, 선법 3가지 요소로 독자성이 나타나며, 이러한 요소가 유형마다 한 가지씩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독자적인 종지형의 출현 빈도는 악곡 전체의 종지 횟수에 비하여 낮게 나타난다. 그리하여 전반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기존의 종지 형식을 따르되, 예상치 못한 위치에 몇 차례의 출현으로 이색적인 효과를 배가시켰다. 그동안 산조는 전승되는 음악이란 관념 속에서 선율의 변화만 주는 것으로 유파가 나뉘었다면, <정대석 거문고산조>는 음역, 악조, 전조 방식, 종지형 등 고정이 되어버린 음악적 요소에 변화를 준다. 이러한 특징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오늘날의 음악적 감성에 맞게 빠른 전개감, 급변하는 전환감과 동시에 예측할 수 없는 곳에서 예상치 못한 변화를 주고 있다. 이로 인해 반전이 있는 진보된 형태의 음악이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정대석 거문고산조>는 전통을 토대로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추구하고 이채로운 요소를 가미하여 창작된 이 시대를 반영한 음악으로 사료된다. 또한 많은 거문고 주자에 의하여 연주되어 다음 세대에 계승될 때에 그 의미와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 생각한다. 기존 산조연구는 거문고의 원형에서 계승되어온 산조에 치중되었다면 본 연구는 오늘날에 생성된 산조를 연구한 점에 그 의의를 두며 더 나아가 <정대석 거문고산조>를 거문고산조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다른 기악 산조나 판소리와 전조 양상 및 종지형 등 음악적 특징을 비교하는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주요어 : 정대석 거문고산조, 대현 0괘, 10괘법, D계면조, 연속 전조, 음군, 종지형. 학 번 : 2011-30526

      • 백낙준과 정대석 거문고 산조 비교연구

        이대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6

        백낙준과 정대석 거문고 산조 비교연구 이 대 하 영남대학교 대학원 국악과 국악전공 지도교수 박 소 현 요약 본 연구는 거문고 산조의 원형인 <백낙준 산조>와 오늘날 정대석에 의해 새 롭게 제작된 <정대석 산조>를 비교분석하여 두 산조의 상호 연계성을 밝히고 <정대석 산조>의 독창성 유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백낙준 산조>와 <정대석 산조>를 각각 분석하고 두 산조의 구성 악장 중 <진양조>, <중모리>, <자진모리>의 음조직, 괘법, 선율등을 비교·분석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낙준 산조>에 사용된 악조는 우조(G우조, C우조), 평조(Bb평조, Eb 평조), 계면조(C계면조, F계면조, G계면조)이고, <정대석 산조>에 사용된 악조 는 우조(C우조, G우조), 평조(Bb평조), 계면조(C계면조,G계면조)로 백낙준과 정 대석 모두 우조, 평조, 계면조등 기존 거문고 산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악조를 중심으로 구성되나, <백낙준 산조>에 비하여 <정대석 산조>는 보다 단 조로운 음조직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괘법은 두 산조 모두 2괘, 4괘, 5괘, 7괘, 8괘법을 고루 사용하였는데, 여기에 <정대석 산조>는 9괘법, 10괘법을 첨가하여 거문고 산조의 음역을 확 대하였다. 셋째, 선율을 비교한 결과 <백낙준 산조>와 <정대석 산조>선율의 유사성은 약 8.6% (동일선율: 14각, 유사선율: 3각)로 기존 거문고 산조 유파의 답습, 변형, 확대 등의 전승 구도와는 다른 창작선율이 <정대석 산조>에서 확인된다. 이는 기존 거문고 산조의 유파와는 차별성 있는 정대석의 작곡가로서 면모라 하겠다. 결국 <정대석 산조>는 거문고 산조의 시조인 백낙준에 의해 성립된 음악 구 조, 형식 등은 차용 하였으나, 주요 선율 및 괘법 등은 창작 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정대석은 거문고 연주자이자 작곡가로서 전승되고 있는 <거문고 산조>의 음악적 형식과 구조를 차용하여 새로운 <거문고 산조>를 탄생 시켰 다. 본 연구는 거문고 산조의 원형과 80여년이 지나서 새롭게 창작된 거문고 산 조의 비교를 통해, 새로운 <거문고 산조> 창작의 모색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 를 둘 수 있다. 주요어 : 거문고 산조, 백낙준 거문고 산조, 산조, 정대석 거문고 산조

      • 백낙준·한갑득·정대석 거문고산조의 엇모리 리듬형 비교 분석

        이주찬 한국예술종합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5

        백낙준(白樂俊, 1884~1933)에 의해 1914-1918년경 등장한 ‘거문고산조’는, 그의 제자인 안기옥(安基玉)·박석기(朴錫基)·김종기(金宗基)·신쾌동(申快童) 등에 의해 전승되었다. 박석기는 한갑득에게 전수하였고, 오늘날 신쾌동과 한갑득의 거문고산조가 대표적으로 자리하고 있다. 뒤이어 정대석은 한갑득에게 사사한 거문고산조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거문고산조를 만들어냈다. 이는 1988년 발표된 ‘정대석류 거문고산조’이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거문고산조 전승의 시대적 흐름을 상기하여, 거문고산조의 시초라고 불리는 ‘백낙준’의 거문고산조와, 그의 가락을 전수받은 ‘한갑득’이 만들어낸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한갑득에게 한갑득류 거문고산조를 사사한 이후 그것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유파를 창작해낸 ‘정대석’의 거문고산조를 비교하였다. 세 유파의 엇모리 리듬형이, 이전의 산조와 유사하게 이어졌는지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본고에서는 정대석의 거문고산조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각 엇모리마다 5박 단위의 리듬형(5박형), 10박 한 장단의 리듬형 결합, 박의 결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대석의 산조는 리듬형에 있어 독자적인 특성이 드러났다. 정대석 엇모리가 백낙준·한갑득의 엇모리에 비해 ‘독자적’이고 ‘독창적’으로 발전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낙준·한갑득 엇모리에 비해, 출현하는 5박형의 가짓수가 늘어나고, 기본형보다는 변화형의 출현 비율이 늘어났다. 백낙준·한갑득의 엇모리에 출현하지 않은 5박형 b2·b3·c1·c2·c3이 나타난다. 이는 리듬형 구조의 확장으로 음악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려는 정대석의 의도로 판단된다. 둘째, 백낙준·한갑득 엇모리에 비해 ‘리듬형 결합 형태’의 가짓수와, 유형별 출현 비율이 크게 변화되었다. 기본형간의 결합보다는 변화형을 사용한 결합 형태가 늘어났다. 제1유형 출현비율은 백낙준·한갑득 엇모리에 비하여 크게 줄어들었고, 제2유형·제3유형의 출현횟수는 정대석 엇모리에서 특히 높게 나타난다. 또한 백낙준·한갑득·정대석 엇모리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5박형 간의 결합 형태, 즉 a+a, a1+a, a2+a2, ab1+a의 출현 비율이 정대석의 엇모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난다. 셋째, 박의 결합 형태를 리듬형의 결합 형태에 따라 (가)·(나)·(다)·(라) 유형으로 구분한 결과, (가) 유형은 백낙준에서 정대석으로 갈수록 출현 비율이 낮아지며, 특히 정대석은 백낙준·한갑득에 비해 (가) 유형의 출현 비율이 대폭 줄어들었다. 백낙준 엇모리에는 (나), 한갑득 엇모리에는 (나)·(라), 정대석 엇모리에는 (나)·(다)·(라) 유형이 추가적으로 등장한다. 따라서 정대석 엇모리는 박의 결합 유형에 있어서도, 이전의 산조에 비해 변화형의 사용이 늘어나고 그 범위가 확장된 모습을 보인다. 이상의 백낙준·한갑득·정대석 엇모리 리듬형에 대한 특징이, 시대적 흐름에 따른 거문고산조의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정대석의 산조는 악조 및 선율에서도 독창성이 나타남과 동시에, 본 연구에서 다룬 리듬형에 있어서도 독자적이라 말할 수 있는 특성을 보여준다. 오늘날 거문고 연주가들에게는 연주가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작곡자로서의 창작 또한 함께 요구된다. 이 논문을 통해 백낙준·한갑득·정대석 거문고산조의 특징을 이해하고, 거문고 연주가인 정대석이 작곡자로서 가진 독자적인 창작의 특성을 파악하여, 앞으로 수없이 많은 산조를 창작해나갈 거문고 연주가 또는 작곡가들에게 창작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Geomungo Sanjo', which appeared around 1914-1918 by Baek Nak-jun(白樂俊, 1884-1933), was handed down by his disciples Ahn Gi-ok, Park Seok-gi, Kim Jong-gi, and Shin Kwae-dong. And, Park Seok-ki was passed on to Han Gap-deuk. Today, Shin Kwae-dong and Han Gap-deuk’s Geomungo Sanjo are representative. Following that, Dae-seok Jeong created his own Geomungo Sanjo based on the Geomungo Sanjo he studied with Han Gap-deuk. This is the “Jeong Dae-seok style Geomungo Sanjo” announced in 1988. This manuscript, recalling the historical flow of the transmission of Geomungo Sanjo, The Geomungo Sanjo of Baek Nak-jun, which is called the beginning of the Geomungo Sanjo, and the Han Gap-deuk Style Geomungo Sanjo, created by Han Gap-deuk, who inherited Baek Nak-jun’s melodies. And after studying the Han Gap-deuk Style Geomungo Sanjo with Han Gap-deuk, I compared the Geomungo Sanjo of “Jeong Dae-seok,” who created his own school based on this.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whether the three schools' Eonmori rhythm pattern was similar to the previous Sanjo, or whether it was modified or added.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er analyzed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Jeong Dae-seok's Geomungo Sanjo. The rhythmic patterns of 5 beats(pattern of 5beats), the rhythmic combination of 10 beats, and how 10 beats were divided were analyzed for each Eonmori. As a result, Jeong Dae-seok's Sanjo was revealed in its own rhythmic form. The basis for judging that Jeong Dae-seok's Eonmori has developed to be ‘original’ and ‘independent’ compared to that of Baek Nak-jun and Han Gap-deuk is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Baek Nak-jun and Han Gap-deuk’s Eonmori, the number of pattern of 5beats that appeared increased. In addition, the rate of appearance of the change type increased rather than the basic type. A pattern of 5beats that did not appear in Baek Nak-jun and Han Gap-deuk’s Eonmori, b2·b3·c1·c2·c3 appears. This is judged as Jeong Dae-seok's intention to enrich the music by expanding the rhythmic structure. Second, compared to Baek Nak-jun and Han Gap-deuk’s Eonmori, the number of ‘rhythmic combination of 10 beats’, and the rate of appearance of each type have changed significantly. Rather than the combination between the basic types, the type of combination using the modified type increased. The rate of appearance of the 1st type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at of Baek Nak-jun and Han Gap-deuk’s Eonmori, and the number of appearances of the 2nd and 3rd types was particularly high in Jeong Dae-seok’s. In addition, the appearance ratio of ‘a+a’, ‘a1+a’, ‘a2+a2’, and ‘ab1+a’ appears to be the lowest in Jeong Dae-seok's Eonmori. Third, as a result of dividing the combination of Park into (가), (나), (다), (라) types according to the rhythmic combination of 10 beats, the appearance rate of (가) type decreases from Baek Nak-jun to Jeong Dae-seok. In particular, compared to Baek Nak-jun and Han Gap-deuk, Jeong Dae-seok's appearance rate of type (가) decreased significantly. Except for (가) type, (나) type additionally appears in Baek Nak-jun Eonmori. Types (나) and (라) additionally appear in Han Gap-deuk’s Eonmori, and types (나), (다) and (라) additionally appear in Jeong Dae-seok’s. Therefore, in the form of division of 10 beats, Jeong Dae-Seok's use of the variation type has increased and its range has been expanded compared to the previous Sanjo. These characteristics of Baek Nak-jun, Han Gap-deuk, and Jeong Dae-Seok’s Eonmori shows the changes in Geomungo Sanjo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In addition, Jeong Dae-seok's sanjo shows originality in the musical tone and melody,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said to be unique in the rhythmic form(rhythmic pattern) covered in this study. Today, Geomungo players are required to have a role as a performer and a creative activity as a composer. Through this study, we will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aek Nak-jun, Han Gap-deuk, and Jeong Dae-Seok’s Geomungo Sanjo,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 creation of Geomungo Sanjo as a composer, I hope that it will help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reation to the Geomungo musicians and composers who will create numerous Sanjos in the future.

      • 거문고산조의 선율분석 : 정대석류 거문고산조를 중심으로

        한정순 全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5

        This thesis is a study in which the present writer has analyzed the scales and melody changes of Geomungo Sanjo around Jeong Dae-seok's style, compared melodies of his Sanjo with the meldoies of other's Sanjos and clarified the identity and similarity among them and its originality. When we analyze all movements of Geomungo Sanjo of Jeong Dae-seok's style, we can find that there are two modes in total, and three scales are appeared, and the change of mode and the shift of keys happen only in Jinyangio and Jajinmori movements. In his Sanjo, the scale which appears the most frequently is the melody of B Boncheong(la) Gyeomyeonjo-80.1%. And the rest is A Boncheong(do) Ujo-18.9% and F Boncheong(la) Gyeomyeonjo-1%. Jinyanjo movement-35 Gaks in total-consists of B Boncheong(la) Gyemyeonlo (28 Gaks-80%), F Bonchong(la) Byeoncheong Gyemeonjo(2 Gaks-5.7%), and A Bonchong(do) Ujo(5 Gaks-14.3%). Jinyangjo movement is divided into five parts by the modulation, in which Jeonjo(the shift of keys) of 2 times and Byeonjo(the change of modes) of 2 times appear. Jungmori movement-in total 27 Gaks-consists of B Boncheong(la) Gyemyeonjo, and Jungjungmori movement-38 Gaks in total-also consists of B Boncheong(la) Gyemyeonjo. Jajinmori movement-96 Gaks in total-consists of B Boncheong(la) Gyemyeonjo (64 Gaks-66.7%) and A Boncheong (do) Ujo(32 Gaks-33.3%). When the melodies of Geomungo Sanjo of Jeong Dae-seok's style is compared Sin Koe-dong's style, Han Gap-duk's style, Kim Yun-deok's style and Kim Yun-deok's Gayagum Sanjo. In Jungmori of Jeong Dae-seok's Geomungo Sanjo-27 Gaks in total, the same tunes are 9 Gaks and the similar tunes are 22 Gaks, and his own tunes are 5 Gak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 reason that even if any new sanjo is made, it will be similar to the general melody form.

      • 거문고 독주곡 <열락>의 분석 연구

        박진이 용인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14

        이 논문은 1975년 작곡된 정대석의 최초의 거문고 독주곡인 「열락」의 분석을 통하여 음악적 구조를 고찰하고 거문고 창작곡의 특징과 전통적인 주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형식, 음계, 박자, 조옮김, 템포, 선율형태 및 구조와 리듬을 각 악장별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제1악장은 주제부+A(a+b+c)+B+연결구+coda의 구성이 5/4박자 ♩=63 Larghetto로 시작하여 6/4박자 ♩=132 Allegro로 ♩=58 Adagio로 바뀌고 coda부분이 ♩=50 Lento로 제1악장의 마무리 짓는다. 음계는 정악의 평조선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추성과 퇴성의 주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묻고 답하는 형식이 다른 악장에 비하여 확연히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악장의 형식을 쉽게 나눌수가 있다. 동형진행의 관계보다 반복된 리듬형으로 구성되었다. 제2악장은 주제부+A(a+b)+B(c+d+e+연결구+f+연결구+g+연결구+h)+coda로 구성되어 있으며, ♩=50 Largo로 시작하여 ♩=120 Allegro로 바뀌어 3/4박자, ♩=160 Vivace로 다시 4/4박자로 변박되고 coda에서 3/4박자로 변박되어 제2악장이 마무리된다. 음계는 평조선법으로 구성되다가 산조의 계면조선법의 7음 음계로 구성되어 있다. 선율이 두마디씩 박복되면서 상행과 반음계적 하행이 특징적이다. 두마디씩 반복되는 리듬꼴과 도형진행으로 나타나며, 「열락」에서 발전된 선율이 「일출」에 나타나는 구성을 가졌으며, 산조의 가락과 유사한 선율도 찾아 볼 수 있었다. 거문고에서만 나타날 수 있는 다이나믹한 주법들도 사용되었고 전성과 스타카토의 액센트로 긴장감을 고조시킨 부분으로 나타난다. 제2악장은 a+a'+연결구+b+b'+coda로 구성 6/8박자 ♩=54 Adagro로 시작하여 3/4박자로 변박되고 ♩=63 Andante로 변화된다. 음계는 산조의 계면조선법 7음 음계에서 정악의 평조선법 5음 음계로 바뀌면서 제1악장과 같이 추성과 퇴성의 주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거문고 산조의 종지형 형태와 같아서 곡의 끝맺음을 암시하며 서정적인 가락의 흐름으로 이 곡이 마무리 된다. 이상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정대석 작품의 「열락」은 한악장에 박자와 템포와 조옮김이 자주 바뀌는 형태로 다양한 리듬의 변화를 추구하며 전통적인 주법의 구성으로 새로움과 전통을 적절히 가미시켜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musical structure of the first Komungo solo r-Yeolrakj by Jeong Dae-Seok in 1975 through its analysis and aims at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Komungo creative music and a traditional way of playing it. This research divides it into each movement according to form, scale, time, transpose, tempo, melody pattern, structure and rhythm and obtains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first movement has the composition of Subject Part + A(a + b + c) + g + Connection Part + coda, begins 5/4 time J = 63 Larghetto, is changed into 6/4 time J =132 Allegro and J =58 Adagio and coda finishes the first movement with J =50 Lento. Scale is made of Pyeongjo mode of court music and shows a remarkable way of playing with Chuseong and Twaeseong. It shows a remarkable type of asking and answering compared to other movements. So the forms of the movement can be easily divided. It is composed of repeated rhythm pattern rather than the progress of the same pattern. The second movement is composed of Subject Part + A(a + b) + B(c + d + e + Connection Part + f + Connection Part + g + Connection Part + h) + coda, begins with J = 50 Largo, is changed into J =120 Allegro, J =160 Vivace and 4/4 time, and is changed into 3/4 time in coda and then it is finished Its scale is made of Pyeongjo mode and seven note scale of Gyemyonjo node. It has the characteristics such as repeated melody of two measures, up line and chromatic scale down line. It shows rhythm type repeated by two measures and the progress of the same type, the melody developed from 'Yeoli aki has the composition shown in 'Ilchuli and shows the similar melody to Sanjo's. It also used the dynamic playing techniques unique to Komungo and has the tense and highlight parts with accents of transformation and staccato. The third movement is composed of a + a' + Connection Part + b + b' + coda, begins with 6/8 time J = 54 Adagro, is changed into 3/4 tim and J = 63 Andante. Scale is changed into five note scale of Pyeongjo mode from seven note scale of Gyemyeonjo mode, shows a remarkable playing technique of Chuseong and Twaeseong like the first movement and it suggests the final of the song like the termination of Komungo Sanjo and is finished with a lyrical melody. As examined above, 'Yeolraki by jeong Dae-Seok has frequently changing pattern of time and tempo in a movement, pursues the change of the various rhythms and has a mixture of novelty and tradition with the traditional playing techniques

      • 거문고 합주곡 <미리내>의 분석

        박영실 용인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389

        본 고는 1999년 6월 25일 국립국악원에서 주최한 ‘거문고 역사축제’의 국립국악원 위촉곡인 정대석 작곡의 거문고 합주곡 <미리내>의 전체적인 음악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정대석 작품중에서 독주곡과 중주곡에서 보여지지 않았던 합주곡의 특징을 살펴보고, 또한 작곡자의 독특한 작곡기법이 거문고 창작음악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미리내>에서 사용된 조현법과 음계를 분석하고, 각 악장별로 나누어 형식, 선율, 리듬, 연주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현법은 기존의 전통음악과 정대석 작품의 거문고 독주곡과 중주곡에서 사용된 조현법과는 다른 독특한 조현법 즉, 기존안족의 1/3크기로 축소 제작된 보조안족을 현침과 기존 안족사이에 얹어 현 하나에 2-3개의 음을 얻음으로써 새롭고 다양한 음색 및 연주법의 개발을 가져왔다. 둘째, 음계는 제1악장과 제2악장 모두 F(□)음을 중심음으로 하는 F(□□) - G(□□) - A^b(□□) - B^b(□□) - C(□□) - e^b(黃)의 6음음계이다. 셋째, 형식을 보면 제1악장「개밥바라기」는 도입부 + A(a+b+a') + B(연결구① + c + 연결구② + d + 연결구③ + e) + A'(a) + Coda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악장「미리내」는 도입부 + A(a+a'+b) + B(연결구 + c + d + e) + A'(a+a'+b) + Coda로 구성되어 있는 A - B - A'의 3부분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넷째, 선율은 대부분 4마디를 기본으로 하는 여러개의 규칙적인 phrase(악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phrase안에서 거문고I-II가 주선율로 진행하고 있으며, III-IV가 주선율의 보조적인 선율로 진행하며, V-VI이 특수 효과적인 선율로 각기 짝을 이루어 다른 역할로 진행하고 있지만, 거문고 6파트 모두가 상호 유기적인 관계에 의해서 진행하고 있다. 또한, 모방기법이 주를 이루며 반복진행·동형진행·순차진행·옥타브 진행등을 볼 수 있다. 다섯째, 리듬형태는 제1악장은 11개의 동기(a, b, c, d, e, f, g, h, i, e', d')가, 제2악장은 5개의 동기(a, b, c, d, e)가, phrase 안에서 확대 및 변형으로 다양한 리듬형을 제시하고 있다. 여섯째, 연주법은 기존의 전통음악과 창작음악에 사용되어왔던 연주법이 사용되었으며, 또한 작곡자의 독특한 작곡 기법을 통하여 다양하고 현대적인 연주법(현에 술대를 붙여서 내는주법, 술대로 현을 두드려서내는 주법,양손 트레몰로 주법, 술대로 현을 문지르거나 비비는 주법)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정대석 작곡의 거문고 합주곡<미리내>는 거문고I-II(주선율), III-IV(보조선율), V-VI(특수 효과)이 짝을 이루어 서로 상호 유기적인 관계에 의해서 각기 다른 진행을 하며, 독특한 조현법과 현대적인 연주법을 통하여 풍부한 음량과 다양한 음악적인 표현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Jeong Dae-suk's ensemble, which are not found in his solo or duo pieces, and the influence of the composer's unque technique on creative music of Keomungo by generally analysing the musical structure of Jeong Dae-suk's Keomungo ensemble Mirinae, which was invited to 'Keomun History Festival' hosted by the National Classical Musical Institute on June 25, 1999. As a study method, this paper analyzes the way of composing strings and the scale by dividing each movement with a form, melody, rhythm and performance, an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unlike the existing traditional music and other methods of composing strings used in his Keomungo solo and duo pieces, Jeong Dae-Suk's unigue way of composing strings has brought various new musical tones and performance technique by obtaining 2-3 motes per string from 1/3 size extra set laid between the existing two sets. Second, the scale is composed of 6 notes based on F(伏)-G(고)-A^b(중)-B^b(임)-C(남)-e^b(黃) in the first and the second movement. Third, the structure consists of A-B-A', that is, the first movement(Kebapbaragi)of the intro+A(a+b+a')+B(link ①+c+link ②+d+link③+e)+A'(a)+Coda and the second movement(Mirinae)of the intro A(a+a'+b)+B(link+c+d+e)+A'(a+a'+b)+Coda. Fourth, melody is composed of several regular phrases based on four phrases, and Keomungo I-II appears as main in these phrases. III-IV support these main phrases, and all six parts of Keomungo proceeds in interacting relationship while V-VI play different roles in paris. Also, imitating technique while V-VI play different roles in paris. Also, imitating technique mainly shows up and repetition, the same forms, proceeding in order and octave proceeding are also found. Fifth, rhythm suggest various forms by extension and transformation with the first movement of five motives(a, b, c, d, e). Sixth, for performing technique, those that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music and creative music, and various modern techniques through the composer's unique composing skills(technique by attaching a plectrum to strings. beating strings with a plectrum, tremolo for both hands, rubbing strings with a plectrum). As written above, Jeong Dae-suk's Keomungo ensemble<Mirinae>plays in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 in Keomungo I-II(main), III-IV(back up melody), V-VI(special effect), and it shows rich tones and various musical expressions through original ways of stringing and modern performance.

      • 정대석 거문고 창작음악의 연주기법에 관한 연구 : 독주곡을 중심으로

        강나애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3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Ko˘mungo performers with a better direction of musical interpretation as well as to contribute to developing creative music and its value through bases for the development of Ko˘mungo rendition.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and analyzed ways of the string coordination and performance of Cheong, Dae-seog's creative Ko˘mungo musics, <Yeolack>, <Ilchul>, <Surijae>, <Dalmuri> and <Muyoungtap> Coordinating the strings of the five songs, Cheong, Dae-seog made it possible to induce several sounds from each of Kwaesangcheong, Kwaehacheong and Moohyun, each generating only one sound originally, by using a small Anjok. He converted a traditional function of Chung to that of Yoohyun for melodic expression or that of Moonhyun for informing the start of melody or clapper use. Out of new renditions based on Jachul or started from one sound, six renditions of a simultaneous generation of two sounds, one of such generation of three sounds and three performance techniques based on 'Srerung', extended the lingering notes and sound of Ko˘mungo Some renditions which prevent such notes rapidly were excluded. Attempts to recover the limits of the techniques of Ko˘mungo performance included four renditions of one-sound Jachul, four of three-sound arppegio, one of Kwaesangcheong Jachul using the index finger of the left hand while playing Moonhyun, Yoohyun or Daehyun, six Tremolo-based renditions, and three new techniques of performance mainly based renditions and the other eight styles changed and developed the timbre of the instrument dramatically. So far five solos from Cheong, Dae-seog have been analyzed in terms of string coordination and a new rendition. The performer extended and improved traditional ways of coordinating the strings of Ko˘mungo and continued to change and develop the rendition of the instrument. By expanding such musical elements as compass, volume, timbre and rendition, he allowed musical expression to be more rich and abundant. This helped establish fundamentals for creating Ko˘mungo music and open the possibility of further advancement. Cheong, Dae-seog could build up his own world of music as he is the excellent Ko˘mungo performer himself. In conclusion, the creative development of a musical genre in various styles is the outcome from a composer's creative will.

      • 정대석 작곡 거문고 독주곡 <달무리>의 연주법에 관한 연구

        유승희 檀國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359

        1960년대의 거문고 창작음악은 김용진이 작곡한 <현악 3중주(1962)>를 그 시초로 볼 수 있다. 그 이래 거문고를 위한 창작활동은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작품들 중 본고에서는 기존의 전통음악에 비하여 거문고의 연주주법이 비교적 다르다고 생각되는 <달무리>를 중심으로 거문고 주법에 관하여 연구를 하였다. 본고에서 연군대상으로 선택한 <달무리>는 이전에 작곡한 곡들과는 달리 거문고의 조현법 변화, 개방현의 확대사용, 표현기법의 다양성을 작곡자가 작품 속에서 새롭게 부각시켜 연주 주법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독주곡 발전을 위하여 <달무리>와 같이 연주빈도가 높은 곡을 대상으로 이 시점에서심도 깊은 연구가 요청된다 하겠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 주법의 기본이 되는 정악과 산조에 나타난 주법외에 창작곡에 새롭게 시도되는 거문고 주법을 일별하고, 이 모든 것을 염두(念頭)이 두고서 <달무리>를 분석하여 악장별로 선율분석, 음계, 장단, 리듬, 박자 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달무리>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주법은 살갱, 슬기둥, 싸랭, 뜰, 개방현, 스르렁, 요성, 추성, 퇴성, 전성, 자출 등 20 여 개의 전통적인 주법 중, 자출, 꺾는 주법, 전성, 스르렁, 뜰, 요성, 살갱, 싸랭, 휘는 주법의 9가지의 전통적인 주법이 사용되었다. 변형준법은 여음을 막는 주법과 두음을 동시에 발현하는 주법의 2가지가 사용되었으며, 새로운 주법으로는 ① 양손으로 연주하는 주법, ② 세음을 동시에 발현하는 주법, ③ 왼손 식지 사용으로 분산화음을 표출하는 주법, ④ 개방현을 문현처럼 사용하는 주법, ⑤ 모지자출 주법, ⑥ 문현과 유현의 연타법, ⑦ 손가락으로 연주하는 주법의 7가지 주법이 새롭게 사용되었다. 둘째, <달무리>에서는 특히 개방현 사용의 확대가 강조되었다. 즉, 문현-태(f), 유현-仲(a♭), 괘상청-남(c´), 괘하청-중(a♭), 무현-남(c˝)로 조현하며, 이러한 개방현을 빠른 속도로 옮겨 다니며 연주하는 주법 등 다양한 주법을 사용하고 있다. 셋째, 제 1악장 [달빛]에서는 무정형의 즉흥성이 강조되는 악장으로 4분 음표의 음가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제 2악장 [달맞이]는 ♩♪♪♩과 ♬♩♩의 리듬을 빈번히 사용함으로 자진모리의 흥을 더욱 돋우고 있다. 제3악장 [달무리]는 개방현의 확대로 풍부한 음량과 16분음표 4개 (□)의 연속사용으로 자진모리 템포를 몰아가는 형식을 새롭게 시도하였다. 음계는 한국의 전통적인 5음 음계에 한음을 더 사용한 6음 음계를 사용하여 표현력의 폭을 넓혔다. 결론적으로, 창작 거문고 독주곡 <달무리>는 전통적인 주법, 전통을 응용한 변형주법, 독창적인 새로운 주법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연주상의 조화를 이룬 곡이며, 창작 거문고 극의 연주법상의 표현력을 극대화 한 곡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의 창작 거문고 독주곡들은 <달무리>의 음악적 표현 기법에 유의할 점이 있다고 본다. Since the year of 1960, the starts of contemporary creative Komungo music is <String Trio(1962)> by Kim, Young Jin. Since then, there were other compositions of creative Komungo music. In this thesis, it is focusing on <Dalmuri>, which is the most advanced music of traditional Komungo music. <Dalmuri> has its own style ; changes in tuning, largely used Gaebang-hyun(개방현) and diversities in expression : which are the styles that gives <Dalmuri>'s own special feature. That's why this study carried o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based on two executions one is Chmgak(정악) & Sanjo(산조) execution and the other is creative execution of Komungo. These are carrying out by studies of melody analysis, scale, rhythm, tempo, ect. There are three categories of researching this study. Firstly, traditional execution of Komungo playing is about 20 Salgeangfg(살갱), Seulgidung(슬기둥), Ssareang(싸랭), T(뜰), Gaebanghyun(개방현), Seu- reurug(스르렁), Yosung(요성), Chusung(추성), Toisung(퇴성), Junsung(전성), Jachul(자출). In <Dalmuri>, there were 9 traditional executions were used, such as Jachul(자출), Ggukneunbub(꺾는법), Junsung(전성), Seureung(스르렁), Ttel(뜰), Yosung(요성), Salgeang(살갱), Ssareang(싸랭), Huinenjubub(휘주는법)). Traditional variation execution ; Stopping sound and Harmony of two notes. Also, in a new execution ; ① Playing with both hands, ② 3 notes harmony, ③ Using left-hand four finger to make harmony, ④ Using Gaebanghyun(개방현) as Mumhyun(Z%), ⑤ In playing Jachul(자출)'s two finger, ⑥ Continuous of Munhyun(문현) & Yuhyun(유현), ⑦ Making melody by fingers-are 7 executions which newly introduced. Secondly, in <Dalmuri> there are emphasis on Gaebanghyun(개방현) playing ; tuned as a Munhyun(문현)-f, Yuhyun(유현)-a♭, Kwaesangchung(괘상청)-c´, Kwaehachung(괘하청)-a♭, Muhyun(무현)-c˝. Here, it has special executions, which gives players to more quickly. Lastly, in first movement without rhythm, there is no instruction about speed, which is irregular tempo. In second movement, with the appearance rhythm of ♩ ♪ ♪♩, ♬♩♩, there more excitement of Jajinmori(자진모리). In third movement, largely used Gaebanghyun(개방현) and used four □ continually or with fast tempo. players need to use Suldae(술대). Scale used to 6 note scale melody. As a result, in <Dalmuri> has a harmony traditional executions, variation executions, and new executions. There were diversities of playing creative Komungo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