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傳統音樂 敎育을 爲한 敎育課程 模索 : 第6次 中學校 音樂敎科書를 中心으로

        이윤정 全南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에서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은 1955년 제l차 교육과정이 공포된 이래, 금번 제6차 교육과정의 개정이 1992년에 제정·공포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음악교육과정은 약 6년에서 10년 정도 주기를 기간으로 개정되어 왔으며, 개정때마다 그 당시의 음악교육 이론과 방법이 반영된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 음악교육에 있어서 서양음악 문화의 무조건적인 수용으로 인하여 서양음악만을 고수해 온 나머지 우리의 전통음악은 서양 음악과는 별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교육되고 있는 것이 우리 음악교육의 현실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6차 중학교 8종의 음악교과서를 분석하여 문제점등을 살펴보고 전통음악교육에 알맞은 전통음악을 내용별로 정리하여 제6차 음악교육의 교육목표에 적합한 각 학년별 모형도를 제시하였다. 그에 따른 결론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55년 제1차 교육과정이 공포된 이래 지금까지 음악교육의 목적과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 등이 개정되었으나 일관성 없는 음악과 학교 수업이 이루어져 왔다. 둘째, 제6차 음악과 교과서에 게재된 성악곡을 보면, 각 출판사마다 게재 곡수가 다른 것은 물론, 전통음악의 지역별·장단별 특정 등을 고려하지 않고 편중하여 게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셋째, 제6차 음악과 교과서에 게재된 기악곡 역시 각 학년별에 따른 교육기준이 없이 배정하고 있어 학교 수업에 있어서 전통음악을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넷째, 전통음악을 주제로한 표현-창작 영역은 교학사편을 제외하고는 게재되어 있지 않아 전통음악의 창의적 표현력이 부족하다. 다섯째, 전통음악의 각 학년별 교육 목적에 따른 내용별 선정기준이 없다는 점이다. 즉 서양음악의 발성·듣고 부르기·보고 부르기 등만을 감안한 나머지 전통음악의 성악곡 및 기악곡에 있어서 각 학년별 음악목표를 고려하지 않고 게재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전통음악 교육 목표의 기본개념을 바탕으로 한 각 학년별 교육설 계도를 제시하였다. 1학년의 전통음악 학교 수업에 있어서는 전통음악을 보다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바른 이해로써 전통음악의 기본개념을 파악하도록 하며 학생들에게 있어서 적극적인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한다. 2학년의 전통음악 학교 수업은 고조된 전통음악에 대한 흥미를 동작과 함께 몸소 체득하도록 한다. 3학년 때에는 전통음악을 통하여 음악의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고, 전통음악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갖도록 한다. 앞에서도 전통음악 교육과정에 관하여 살펴보았듯이 우리의 전통음악의 가치를 재조명하여 바른 인식과 더불어 이를 계승·발전시키려는 기본 개념을 갖고서 각 학년별에 따른 전통음악 교육과정을 신장·발전시켜 나가야 겠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교육과정에 따른 제반 여러 문제점들은 앞으로도 우리의 음악교육에 적합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1st curriculum of music in middle school was proclaimed in 1955, And the latest curriculum is the 6th one revised and announced in 1992. The music curriculum in Korea has been revised 6 times at the frequency of 6-10 years. In each revision the contemporary theories and practices in music had been reflected in the curriculum. Nevertheless, these curricula used to lean toward the general fashion which over-emphasized the western music. The preference of western music had been undiscriminatingly accepted in the music education in Korea. With the general atmosphere of idealizing western music exclusively, Korean traditional music used to be taught as a separate field in the education of music. This thesis is a survey on the curricula of Korea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analyses 8 kinds of music textbooks which had been issued under the 6th revision of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gure out an adequate curriculum to guarantee an effectiv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in Korea. This study tries to suggest a possible model for middle school students, 1st. 2nd. and 3rd year students respectively that they can reach the educational goal set in the 6th-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thesis pays a special attention to reviewing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purpose and its real contents of Korean music textbook. With this intention, mentioned above, the study, resultingly, has mad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ince the 1st curriculum was proclaimed in 1955. the music education Korea has scarcely overcome the varieties and inconsistences in the music education in middle school despite several times of revision. This phenomenon can be found in several areas such as the educational goal, context, even the curriculum itself. Second, the music textbooks published under the curriculum of 6th revision have been varied in the education of vocal music area. The 8 textbooks differ in their allocation-ratio of vocal music. And they used not to consider the features of traditional music, varied by regional and rhythmical conditions. Third, we can find a similar fact in the part of instrumental music. In allotting it in the textbook, the editors used to forget about the 3 different levels for the education of the middle-school students. That was why the students fall behind in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music in middle school education. Fourth, for the field of expression and creativity, all the texts except the one published by Kyohaksa do not deal with the theme of traditional music. This is the reason why the middle school students lack in the expressive and creative talents. Fifth, all the texts analysed scarecely have adequate criteria in their content to attain the annual educational goal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Putting emphasis on the vocalization, singing after listening, singing with musical notes, and so on, they usually forget about the educational goal set for the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Based upon the principal concepts in educational goal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thesis suggests a model curriculum which advises a step-by-step procedure which presupposes 3 levels. The first-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should be taught under further varied teaching methods. To attain a prope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ers should lead the students toward the basic concepts in Korean music. To keep the students interest in the traditional music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a successful education. For the second-year students, the teacher should help them with maintaining their real experience, including the physical gestures in the class. In their 3rd school year, the students are to be taught the historical and cultur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music. With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se values, the students could establish a real respective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oncludingly. it is needed to review the values of our traditional musci. With a true understanding of the music, we have to confirm our will to derive and develop our traditional music. From this renewed perspective, the curriculum of traditonal music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so that it could realize the annual educational goal in middle school. And all the problems raised by the curriculum must be solved for the sound education of music.

      • 한국 천주교 연도에 관한 연구 : 한국 전통음악과 그레고리오 성가와의 연관성

        강대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is thesis I have studied about Yeondo (the Mourning Song), the most typical korean and at the same time catholic prayer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s a prayer for the dead, Yeondo is prayed on the base of catholic dogma of the Communion of Saints, that the prayer of living people can help the salvation of the dead. Yeondo was begun by Korean Christians who wanted to follow faithfully the catholic hierarchy after the prohibition of ancestrial rites has been derived from China. The custom of singing Yeondo and the form of Yeondo has been handed down and prayed until today in the korean catholic unique culture form. It is not only a prayer of delivering prayerbook, but also was formed as a unique form from the traditional korean song of ordinary life and the gregorian chant. The melody form of Yeondo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beginning, the medium and the ending part. Under the influence of Menaritori of Gyemeonjo mode and Yukjabaegi of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the tone hight, leading from the beginning part to the medium part, and the tone hight of the ending part, that is composed from low downing to high gliding up and ending form, are typically korean traditional music form. Yoendo has also the form of psalmody of gregorian chant, the beginning part (Initium), the front part (first half or tenor), the medium part (Meditatio), the latter part (second half), the preparatory part and the ending part (Terminatio or punkt). Through these facts we can see Yeondo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both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the gregorian chant. Yeondo can be sung alone, but when it is sung together by the congregation, we can taste Yeondo's value more deeply, and it can be elevated as a congregational prayer. This typical characteristic of Yeondo is emphasized by the exchanging song form again. We can see also the exchanging song form of Yeondo came from the work-song and Sangduga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from the congregational prayer, when the gregorian chant, especially psalmody is sung and prayed. Finally one of the characteristic of Yeondo, Ueojeoljangdan (word-rhythm connection) is a rule for singing faithfully to the prayer words. This is a natural rhythm which is accustomed to our traditional music. For example when we count "hana(one), dul(two), set(three), net(four)... yeolhana(eleven), yeoldul(twelve)", each count has different syllables, but when we count in a same tact, we can expect Ueojeoljangdan adapted from the emotion deeply penetrated in us and not a sudden thing. Similarly, in the traditional music, when we sing Gasa or a music that has regular tacts, we can see the words or the music differently changed following the meaning of the words or the importance of the words in sentences. The most important value of gregorian chant does not locate in remaining merely in musical form, but deliver the words of God and praying to God. Because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 word, melodies are changed after the accents of words. Yeondo is like as these. Exist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influenced from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gregorian chant, Yeondo is remaining in us as the most unique and beautiful tradition of the world. It must be our duty, to know well, to sing well and to pray well this Yeondo, in order to inherit the faith of our ancestors, who were keeping it with their blood and sweat. 한국 가톨릭교회 안에서 가장 한국적이며 가장 가톨릭적인 기도는 연도이다. 죽은 이를 위해 하는 기도인 연도는 가톨릭 신앙 안에서 성인들의 통공이라는 교리에 근거하여 살아있는 이들의 기도가 죽은 이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믿음 안에서 행해진 것이다. 단순히 기도문을 읽으며 기도를 했던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 안에서 불렸던 전통음악의 부분들과 그레고리오 성가의 특성들을 잘 반영하여 독특한 형태로 형성되었던 것이다. 연도의 선율 형태는 시작 부분과 중간 부분, 종지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전통음악인 계면조의 메나리토리와 육자백이에서 영향을 받아 시작음에서 중간 부분으로 이어지는 음 높이, 그리고 종지 형태에서 하행 후 다시 상행 한 후 끝나는 음의 높이가 전형적인 전통음악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리고 그레고리오 성가의 도입부, 전반부, 중반부, 후반부, 준비부, 종결부에 이르는 시편창법의 구조 형태를 거의 그대로 가지고 있음을 보았다. 이러한 부분을 통해 연도가 전통음악과 그레고리오 성가의 영향을 고루 받아 형성되었음을 볼 수 있는 한 부분이었다. 연도는 혼자 할 수도 있지만 공동체가 함께 할 때 그 맛을 더 낼 수 있으며, 공동체의 기도로써 승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도의 특징은 교환창이라는 형태를 통해 다시 한 번 강조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또한 전통음악 안에서 힘든 노동을 할 때, 상여를 매고 나갈 때 행해졌던 음악들 안에서 주고받는 교환창의 형태를 그대로 찾아 볼 수 있으며, 그레고리오 성가를 부를 때, 특히 시편을 노래하며 기도할 때 수도 공동체가 서로 응답하는 형태 역시 연도 안에 그대로 배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도의 특성 중 하나인 어절장단(가사와 리듬과의 관계)은 기도문에 충실하며 노래하기 위한 하나의 법칙이었다. 이것은 우리들 안에 자연스럽게 배어있는 모습 중 하나인데, 예를 들어 “하나, 둘, 셋, 넷, 다섯...열, 열하나, 열둘”이라고 숫자를 셀 때 각기 가지고 있는 음절의 수는 다르지만 모두 같은 박자 안에서 숫자를 세어 보면 연도의 어절장단이라는 것은 갑작스럽게 생긴 것이 아닌 우리들의 정서에 스며있는 것이 적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레고리오 성가 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음악적 형태에서 성가가 머무는 것이 아니라 말씀을 선포하고 기도하는데 가장 중요한 초점이 맞춰져 있기에 일자일음식의 형태, 그리고 단어가 가지고 있는 악센트에 따라서 선율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음악적 기교를 위한 것이 아니라 단어의 중요성을 악센트를 통해서 더욱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써, 이 역시 그레고리오 성가 안에서 음악적인 부분보다는 가사가 가지고 있는 중요성을 더 잘 드러내기 위함인 것이다. 한국 가톨릭교회의 시초에서부터 함께 있어온 연도는 우리나라의 전통음악과 그레고리오 성가의 영향을 골고루 받아 세계에서도 유일무이한 아름다운 전통으로 우리 안에 남아있다. 이러한 연도를 잘 알고, 잘 노래하고, 궁극적으로 잘 기도하는 것은 선조들이 피와 땀으로 지켜온 신앙을 우리가 이어받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소중한 것을 소중히 다룰 때, 진정으로 소중한 것으로 남아있을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연도에 대한 배움과 가창을 통해 우리 몸 안에 체득해야 함은 물론이고 기도서도 없이 상이 날 때마다 밤을 새워 기도했던 신앙의 선조들처럼 일상생활 안에서도 연도를 통해 기도하는 습관을 신자들은 가져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전통음악 평가의 실태조사 연구

        이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음악 평가의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알아보고 보다 나은 평가의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전통음악 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먼저 교육평가의 개념과 유형을 알아보고 현행 학교 평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내용을 정리하는 한편, 평가의 새로운 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으로는 음악교육에서의 평가의 개념과 문제점, 그리고 음악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을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어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전통음악 교육을 살펴보았다. 이 부분에서는 전통음악 교육의 의의와 초등학교에서의 전통음악 교육의 중요성을 아동발달의 특징과 관련하여 서술하였으며, 교육과정에 나타난 전통음악 교육내용을 정리하였고, 새롭게 시행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전통음악 평가요소를 선별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전통음악 평가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서 현장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설문대상자의 인적사항, 전통음악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질문, 전통음악 평가의 각 영역에 대한 질문, 전통음악 평가에 대한 의견 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음악평가시 전통음악 비율을 서양음악 비율보다 적게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평가시 교사평가의 방법으로 하며 교사가 직접 작성한 기준표를 사용한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평가 결과는 주로 학생들의 기록 및 보관자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교사가 전통음악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기능부족으로 전통음악 평가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전통음악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사연수 확대와 다양한 평가기준 및 자료 마련, 학습도구 및 악기의 충분한 공급이 함께 병행되어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음악 평가에 있어 가장 비중을 두는 영역은 '가창'이였고 실제로 가장 많이 평가하고 있는 영역은 '기악'이였으며, '창작'의 평가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평가방법으로는 이해 영역의 경우 '지필평가'를, 창작 영역의 경우 '가사개작'을, 감상 영역의 경우 '감상문 쓰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가창과 기악 영역의 경우 '연주에 대한 종합적인 느낌'을, 창작 영역의 경우 '창의력'을 감상영역의 경우 '느낌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을 채점기준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음악 평가에 대한 의견을 요약해 보면 전통음악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의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는 의견을 비롯, 전통음악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기능 부족에 기인한 전통음악 평가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교사에게 전통음악에 대한 연수를 확대해 평가자질을 높여 주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그리고 전통음악에 대한 교육자료 및 다양한 평가도구와 자료를 개발, 보급해 주고 전통음악에 대한 학습도구 및 국악기들이 갖추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current assessment condi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the elementary music class, investigates its outspoken problems and to pose a positive direction that could be useful in development of Korean mus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begins in a content of theoretical background that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general term and then associates the educational impact on elementary students with an aspect of child development. Furthermore, the unique aspect of evaluating music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music assessment are derived from the previous study followed by enlightening definition of education assessment, its proper methods, and the difficulties that existing teachers experience by implementing the current appraisal approach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ssessment, elementary teachers who are currently in the job line completed the survey. The survey questionnaire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on the people who surveyed, broad questions on the subject matter, queries on kinds of assessment that the teachers use in their schools, and final opinion or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e following content is derived from the survey. Majority of teachers in the poll responded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is less chosen as a music assessment tool than Western music is.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tandard method for evaluation, most of the teachers prepare their own test charts. Afterward, the assessment results are stored in the reference file for each student. Most educators that responded the survey express their hardship toward evalu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because of the lack of expertise on their part about the subject. Expansion of training on those teachers effort to develop various criteria to measure the implemented assessment and finally to supply with the sufficient learning tools and musical instruments are mandatory steps to improve in evaluation quality of Korean traditioanl music education. In conducting the estim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inging Assessment takes up the most point. However, Playing an Instrument is most likely used, and Composition Assessment is less adapted by the teachers. Comprehension Assessment is mostly done by written test. For Creativity Assessment, recomposition of music is broadly used. In Appreciation Assessment, students often write their points of view after listening to a certain music. The main basis of grading Singing and Instrument playing Assessment is the wholesomeness of each performance. In case of Creativity Assessment, creative talent is most important criteria, and for Appreciation Assessment, an ability to express feeling or opinion is the major grade standpoint. In summary of suggestions made out of the survey, some express that promoting an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general public is necessary. In considering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eachers' part on the subject matter, some think that, by expanding the boundary of training, quality of assessment will be well improved. Some suggests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tools, and traditional instruments to meet the goal of enhancing the assessment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 전통음악에서의 댄스스코어(무보) 적용방안 : 2학년 즐거운 생활을 중심으로

        김경혜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즐거운 생활」교과는 「음악」과 연계하여, 다양하고 즐거운 활동을 통하여 건강한 심신을 기르며 창의적인 표현능력과 심미적인 태도를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통합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음악 수업은 가창활동과 기악활동에 치중되어 있으며, 특히 ICT 수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학생이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기회가 적다. 그리고 신체표현활동은 걷기, 뛰기, 놀이하기 등 체육활동 중심의 활동이 많고 음악성을 기르는 신체표현활동은 ‘창의성’을 강조하여 교과서나 지도서에서는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 학습방법이나 참고자료 등의 내용이 명확하지 않고 그 수도 적어서 평소 전통음악을 접하기 어렵고 서양음악 중심의 교육을 받은 일반교사들이 가르치기에는 어려움이 많아 음악활동 지도가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즐거운 생활」지도를 학생중심·활동중심으로 이끌어 나가고 전통음악에 대한 교육도 서양음악 중심, 가창 중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전통음악과 관련된 신체표현활동을 통하여 우리 음악의 모습을 살려내면서도 어린이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지도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초등학교 2학년의「즐거운 생활」 교과서에 나오는 국악곡을 분석하여 관련지도 요소를 추출하여 지도 내용을 단계별로 체계화하였으며 둘째, 2학년의 발달단계에 맞는 신체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내용을 선정하고 음악활동방안을 구안하였으며 셋째, 신체표현 활동을 무보화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2학년 「즐거운 생활」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자진모리와 중중모리 장단에 대한 지도가 강조되고 리듬악기 중에서도 소고를 중심으로 장단을 익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신체표현 관련 전통음악곡을 분석해본 결과, 신체표현활동이 없는 제재곡의 수가 많았으며 장단에 맞추어 몸을 가볍게 움직이게 하더라도 구체적이지 않은 편이었다. 부분적으로 꼭두각시춤, 소고춤을 다루고 있고 월워리 청청, 대문놀이, 덕석몰기 등 전래놀이를 통하여 장단을 익히도록 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학년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고 전통음악요소를 충분히 다루면서 아동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활동 중에서 소고춤 추기, 꼭두각시춤, 덕석몰기 활동을 가지고 4박을 중심으로 춤사위를 사진으로 제시하고 춤사위 설명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무보를 제작하여 자료로 제시하였다. 자료를 제시할 때에는 초등학교 저학년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장단을 흥미롭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진과 설명을 통하여 자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음악 교육적 시사점을 정리하면 첫째, 여러 학자들이 공언한 바와 같이 아동의 음악성의 습득은 다양한 학습방법을 토대로 이루어졌을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되며 특히 신체표현을 통한 방법은 전통음악의 멋을 살리고 그 장단을 몸으로 익히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무용의 기교적인 기술보다는 장단을 흥미롭게 익힐 수 있도록 단순한 장단을 익히도록 하였다. 셋째, 평소에 전통음악을 잘 접하지 못하여 일선에서 어려움이 많은 교사들을 고려하여 전통춤사위를 단순화하여 가르치기 쉽고 배우기 쉽도록 하였으며 현장에서 활용하기 쉽도록 제작하였다. 앞으로 좀 더 명확한 목표와 연구가 선행되어 다양하고 교육적인 교재, 아동의 음악성 신장과 다양한 활동을 추구하는 여러 자료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One of the subject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a, which is titled 'Merry Life' and takes advantage of the benefits of music class, aims at providing diverse types of joyful, integrative academic activities for students to make a sound mental and physical growth, improve their creative expressiveness and take an aesthetic attitude toward life. Currently, however, music lessons just focus on sing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frequent ICT-powered instructions result in narrowing chances for learner activities. Furthermore, walking, running and playing, which actually belong to physical education, make up the large portion of physical expression area. Another sort of musicality-centered physical expression puts emphasis on creativity, but the textbook and teacher's guide included little accurate information 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reference materials available about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 small amount of instructional methods and materials presented by the textbook and teacher's guide isn't sufficient enough to let teachers, who aren't often exposed to traditional music and had just received education about Western music, provide successful education. All the situations fail to put music instruction on the right track. The subject titled 'Merry Life' should be taught in a student-centered, activity-centered way, and how to unfold physical activities in a manner to highlight the unique features of traditional music and be appealing to children should be studied, instead of just sticking to singing-centered Western mus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sequential selection of what to teach by analyzing Korean classical music in the second-year 'Merry Life'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and to choose physical and music activitie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al stage of second graders. And it's also attempted to represent the selected physical activities in the form of dancing scores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hose activities. When the second-year 'Merry Life' textbook was analyzed, it's found that Jajinmori and Jungjungmori durations were emphasized, and duration was taught mostly by using Sogo, one of rhythmic instruments. As for traditional music related to physical expression, a great number of songs weren't accompanied by any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Some songs called for physical motion, but even those songs made no further attempts just than having learners move their bodies lightly. Ggokdo- gaksichum and Sogochum were presented in large part, and traditional plays, such as Weolweori-cheongcheong, Daemunnoli, and Deokseokmolgi, were utilized to let learners acquire duration. In this study, Sogochum, Ggokdogaksichum and Deokseokmolgi were selected, which were handled in the second-year textbook. Those activities included traditional music components and seemed to draw attention from children. Four-time Chumsawui about those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photo, and dancing scores were prepared to give a detailed explanation on the Chumsawui. All the materials were planned in light of the developmental stage of lower graders to let them find it interesting to learn about duration, and accurate explanation was given by using photographs. The efforts by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music education: First, as many researchers argue, the musicality of children could be developed the best when they are exposed to a wide variety of learning methods. Specifically, physical expression is one of the efficient methods to highlight the unique features of traditional music and let them learn about duration through their bodies. Second, instead of sophisticated dancing skills, simple sorts of durations wer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stage of lower graders to motivate them to acquire duration. Third, as a lot of teachers had many difficulties teaching traditional music due to their lack of experience in it, simplified traditional Chumsawui was provided to make it easier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to teach and study, and that was designed to be easily applicable to school instruction. In the future, more precise learning objectives should be selected, and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put into developing a broad range of teaching materials, enhancing the musicality of children and offering various sorts of activities to achieve the selected objectives.

      • 초등학교 전통음악학습에서 18현 가야금의 활용 방안

        신선혜 부산교육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음악교육에서 국악교육의 비중이 날로 증가됨에 따라 국악기를 교수 자료로 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의 개발이 절실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음악학습에서 서양악기로 반주하는 방법을 지양하고, 피아노나 오르간을 대신할 국악 선율반주악기로 18현가야금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내용을 제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 음악 교과서와 5·6학년 실험용 교과서에 게재된 국악 제재곡을 중심으로 하고 적용할 가야금을 개량가야금의 일종인 18현가야금으로 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한국전통음악의 음고 및 가야금의 역사와 개량 그리고 일반적인 조율법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또 제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3·4 학년의 음악교과서와 5·6학년 실험용 음악교과서의 전통 음악 제재곡 연구를 통하여 토리를 분석하고, 교과서 내용 중 가야금과 관련된 내용도 추출하여 보았다. 18현가야금의 활용방안으로 경토리, 수심가토리, 육자배기토리, 메나리토리의 민요를 각 각 한 곡씩 선정하여, 여러 문헌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토리의 특징을 파악하고, 교재의 민요곡을 지도할 때 일반적으로 강조되어야 할 토리에 따른 음계형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토리별 음계의 특성에 맞는 18현가야금의 조현법을 연구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경토리의 구성음은 Sol·La·Do·Re·Mi으로 5음이 고르게 쓰이고, 중심음은 Do·퇴성음은 Mi이다. 가야금의 조율 요령을 한 옥타브만 나타내면 Sol-La-Do-Re-Mi로 조율하되, La는 평균을 보다 조금 낮게 조율하여 평으로 내고 Mi는 Mi와 Fa의 중감음 정도로 높게 조율한다. 수심가토리의 구성음은 Re·(Mi)·(Sol)·La·Do인데, Re는 기음·La는 요성음·Do는 퇴성음이고 Sol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가야금은 Re-Mi-Sol-La-Si로 조율하되 Sol을 평균율 보다 약간 높게 하고 Re와 Mi는 평으로, La는 격렬하게 떨어주며 Si줄은 눌러서 Do음을 내고 들어서 퇴성한다. 육자배기토리의 구성음은 Mi·La·Si·(Do)·(Re)인데, Mi는 요성음·La는 평으로 내는 음·Si는 Do나 Re에서 급격히 꺾어내는 음이다. 가야금은 Mi-Fa^#-La-Si-Do^#(Sol-La-Do-Re-Mi)로 조율하여 Mi음은 굵게 농현하고, La음은 평으로 내며 Do→Si의 꺾는 음은 Si줄을 눌러서 Do또는 Do^#음을 낸 후에 재빨리 들고 여음으로 Si음을 낸다. 메나리토리의 구성음은 Mi·(Sol)·La·Do·(Re)인데, Mi가 요성음·Slo은 경과음·Re는 퇴성하려는 경향이 있는 음이다. 가야금은 Re-Mi-Sol-La-Do로 조율하되, Mi는 평균율 보다 약간 높게 Re는 약간 낮게 하여 Mi는 육자배기토리와는 달리 잘게 농현하고 Re가 Do의 장식음이거나 퇴성음인 경우 Re는 Do줄을 눌러서 뜯은 후 들어서 퇴성 시킨다. 다음으로 토리별로 선정된 제재곡과 최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국악 창작곡 한 곡의 18현가야금과 장구 반주악보를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18현가야금을 수업에 활용하는 수업안을 예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18현가야금은 초등학교 전통음악학습에서 교실용 반주악기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교육적 가치가 있는 악기임을 알게되었다. 전통음악학습에서 18현가야금의 활용으로 기대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아노나 오르간 또는 장구 반주에 의한 학습보다 전통음악의 음체계에 맞는 학습이 이루어진다. 둘째, 학습자가 토리별 시김새의 특징을 더 쉽게 감지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전통음악적인 표현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전통음악에 어울리는 음색의 선율 악기 반주에 의한 학습지도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넷째, 음높이와 조율음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고학년의 가창활동에 무리가 없고, 서양악기와도 합주가 가능하기 때문에 18현가야금의 도입으로 음악과 학습지도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국악교육 내실화를 위하여 정부의 재정적·행정적 지원과, 국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열성과, 국악 대중화를 위한 국악계의 노력이 하나가 되어 결실을 맺기 바란다. With Korean classical music increasingly taking on significance in school music education, there has risen a need to develop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utilizes Korean classical instruments. Thereupon, this thesis studies ways to refrain from using Western musical instruments for accompaniment i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18-string improved kayagum for Koran classical melody accompaniment instead of the piano or organ. This thesis focuses on Korean classical songs prin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3rd & 4th grade elementary level music textbooks and 5th & 6th grade experimental textbooks; the 18-sting improved kayagum is the applied kayagum here. A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thesis explores the pitch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history, improvement and general tuning method of kayagum. It also analyzes the tori through research of traditional music songs prin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3rd & 4th grade elementary level music textbooks and 5th & 6th grade experimental textbooks; kayagum-related excerpts from textbooks are also presented in this thesis. In the chapter on the application of the improved kayagum, this thesis selects one folk song from Gyeong-tori, Susimga-tori, Yugjabaegi-tori and Menari-tori each, identifi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ori common in various records, and presents the musical scale of each tori, which must be highlighted when teaching folk songs. Research results of the 18-string kayagum tuning method that is fit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ori scale are as follows: · Gyeong-tori: The composing notes of Gyeong-tori are Sol·La·Do·Re·Mi, all five notes being used evenly. The central note is Do and dropping note Mi. One octave of the kayagum should be tuned as Sol-La-Do-Re-Mi. Here, La should be tuned a little lower than La average and its sound should be sustained. Mi should be turned in between Mi and Fa. · Susimga-tori: Re·Mi·(Sol)·La·Do are its composing notes. Re is an aspirate, La a vibrating note, and Do a dropping note. Sol is often omitted. The kayagum should be turned as Re-Mi-Sol-La-Si. Sol should be a little higher than average, Re and Mi should be sustained, La intensely vibrated. The Si string should be pressed to make the Do note then released and dropped. · Yugjabaegi-tori: The composing notes are Mi·La·Si·(Do)·(Re). Mi is a vibrating note, La a sustained note and Si should be sharply dropped at Do or Re. One octave should be tuned as Mi-Fa^#-La-Si-Do^#(Sol-La-Do-Re-Mi). Mi should be intensely vibrated and La sustained. To drop the sound from Do to Si, press the Si string and sound Do or Do^#, then release the string quickly to make the Si sound as a trailing note. · Menari-tori: Mi·(Sol)·La·Do·(Re) are its composing notes. Mi is a vibrating note and Sol a passing note. Re tends to drop. The kayagum should be turned as Re-Mi-Sol-La-Do, Mi a little higher than average, Re a bit lower. Unlike the Yugjabaegi-tori, Mi should be lightly vibrated, and when Re is a ornament grace of Do or a dropping note, press the Do string to sound Re. Next, this thesis presents accompaniment music for the 18-sting kayagum and jangu for each tori song and for one original Korean classical song, the likes of which are increasingly gaining weight these days. Lastly, this thesis illustrates ways to utilize the 18-string kayagum in class. From the above research, it has been proven that the 18-string kayagum does have the possibility of being used as an accompaniment instrument when teaching traditional music at elementary schools and that it is an instrument that has educational value. The educational effect expected from using the 18-sting kayagum i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using the 18-sting improved kayagum for accompaniment instead of the organ or jangu will mak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more suitable for the sound system of traditional music. Secon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using the 18-sting improved kayagum for accompaniment will enable an easier percep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thereby enhancing the power of expression of traditional music. Third, educational effect will be enhanced by teaching with a melody accompaniment instrument whose tone color matches traditional music. Fourth, free tuning of the pitch and octave of the kayagum will make it easier for students of higher grades to sing. Because the kayagum can be played in concert with a Western instrument, the introduction of the 18-sting improved kayagum will further the development of music and trigger a search for new improved teaching methods. A substantial development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ill require financial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passion of teachers, and the effort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circle to popularize Korean classical music.

      • 초등학교 전통음악교육 운영 실태연구

        박소은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전통음악을 중심으로 초등학교에서의 특기·적성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두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전통음악교육과 특기·적성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하기 위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전통음악 특기·적성교육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30개교를 임의 선정하여 질적 연구 방법인 면담을 통하여 전통음악 특기·적성교육의 실시현황,방법,유형,효과성 및 문제점을 조사하였다.또한,전통음악 특기·적성교육을 국악강사풀제와 연계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한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전통음악을 토대로 특기·적성의 교육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의 학생 참여도가 저조한 실정이다.전통음악 특기·적성교육을 맡고 있는 담당교사는 종전 보다 더욱 알차고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을 개발·보급하는데 힘을 기울여야 하며,정기적으로 전통음악 전공자들의 공연을 학교에서 보여 줌으로서 전통음악을 좀 더 친숙하게 받아 들여서 전통음악 수업에 참여도를 높일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전통음악을 연주할 방음된 특별교실 부족으로 수준 높은 교육에 한계가 있다.사물놀이 수업의 경우에 장구,징,꽹과리 등의 악기를 연주 할 시에 악기 소리가 너무 커서 다른 수업에 지장이 있기 때문에 방음이 철저한 특별교실이 필요하다.학교에 다목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특별교실을 시설설비 기준에 포함하고 이를 확보할 수 있는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셋째,전통음악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전통음악에 대한 특기·적성교육 전담교사가 매우 부족하다.전문적으로 전통음악 교육을 받은 강사들을 많이 선발해야 한다.전통음악 전담교사가 있는 학교에서는 외부강사를 초빙하여 체계적인 전통음악교육을 하고 있는 사례를 보 아 전통음악전담교사 확대가 필요하다.전통음악 특기·적성교육을 맡은 전문 강사를 학교간의 수업 일정이 겹치지 않도록 배정 계획을 세워 추진해야 한다. 넷째,전통음악 특기·적성교육의 프로그램을 다양화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방안이다.전통음악 특기·적성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학교가 많이 생겨나고 있는 시점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전통 음악인들이 보다 재미있고,다양하고,흥미 있는 전통음악 특기·적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학생들에게 특기·적성수업에 관한 책임을 지고 개개인에게 악기가 배정할 수 있도록 악기 구입에 따른 예산을 시·도 교육청에서도 공립학교,사립학교 구별 없이 지원해야 한다.학생들이 전통음악 교육을 받은 후에 여기에 그치지 않고 정기 연주회의 기회를 갖도록 학교별 협력체를 구성하거나 그룹 강사풀제를 운영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여섯째,전통음악을 전공했다 하더라도 단순한 전공 지식만으로 수업을 진행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국악강사풀제 강사선발을 단순한접수준으로 몇 분 만에 결정하는 것이 강사의 자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됨으로 선발방법이 개선과 학교에서 국악강사풀제로 선발된 강사를 평가하여 다음 연도 선발기준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It is recommended that diversified teaching and learn ing methods or programs shou ld be developed for and applied to practical education sites in order to realize realistic tradition al Korean mu sic education along with a keen in terest in it. It seems to be true that it is not sufficient to receive educa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merely in regu lar school class in status quo. This study takes as its altern ative the method of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utilizing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 . This study focuses in its pr in cipal objective on grasping the realities of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 especially of tradition al Korean music education in primary school, analyzes mooted points, suggests improvements, proposing methods of activating tradition al Korean music via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 . Study results were revealed, as follows : First, schools and the education al au thor ities ne ed to build up such an educational system as can form a good education al environmen t in which tradition al Korean mu sic education is capable of being feasible in an efficien t way. Second, such conditions under which traditional Korean music can be efficiently taught are required to be established by securing sufficient educational materials. Third, special classes in which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 for tradition al Korean mu sic can be carried out have to be prepared in collaboration with schools,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then a sense of development and cognition of traditiona lKorean music education should be in stilled by making every endeavor together with the community residents. Fourth, the number of practical technique teacher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should be expanded until the ratio of it with that of Western music teachers has reached an approximation. Fifth, traditional Korean music needs to be designated as a recommended project in the guidelines of formulation of the budget both in urban and provincial educational expenditure so that budgets can sustainedly support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Furthermore, Supporting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altogether should be also groped for so that special classes and musical instruments can be fully secured to vitalize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Sixth,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performance experience that has been gone through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or in special or aptitude classes, on a regular basis, or other similar chances should be provided for school children to take part in regional festivals by selecting candidates out of competitions of on-or off-campus performance among schools in collaboration with community cultural and arts organizations. Seventh,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and municipal traditional music symphony orchestras have to grope for such methods as can operate varied programs by main taining close relations with primary schools. Finally, every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required to in troduce a school supervisor system in charge of tradition al Korean music, and to organize a general in stitute to make efforts by taking charge of solidifying traditional Korean music on practical education sites so that a high level of and systematic traditional Korean music can be fostered . Political Suggestions for vitalizing and activating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 were given , as follows: First, to build up an obligatory and responsible operation system seems of much significance to the measure that traditional Korean music can be activated in school education by establishing a new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system. Second, the par ticipatory system through which school children can take part in senior citizens centers 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ith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performances they experienced in their speciality and aptitude class, is desired to be politically operated along with con structing a vital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system. Third, a collaboration system be built among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combined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reinforce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al activitie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their keen interest in and propagation for it must be preceded as a prerequisite. Finally, obligatorily compelling primary school teachers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or folk songs would be conducive to creating such a system in which they obligatorily take part in speciality and aptitude programs by getting familiarized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folk songs and so forth.

      • 전통음악 장단 학습지도 방안 연구 : 2007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초등 3~6학년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정문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nstructional methods of Jangdan for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Jangdan is key to understanding the flow of it. I have felt the necessity that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for Jangdan, including common ways like reading signs aloud and slapping one's laps, are required at the educational arena at which I work as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ructor. Accordingly, I studied an instructional methods that are effective and systematic at teaching Jangda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esigning teaching plans and doing surveys. This study covered the contents of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s for 3rd~4th grades and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for 5th~6th grades. I surveyed a total of 46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where is designated to manag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ructors'' pool in chung-buk, selecting one class per each grade. I analyzed the courses of teaching from 2010/9 to 2011/4. The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for Jangdan that I studied are ways to make students read signs by different pitch and learn Jangdan through play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 taught students Jangdan, using various pitch and conducted a survey of them. As a result, 26 of them were well adapted and reacted positively to the class. The affirmative response rate is 56.5 percent. Secondly, I made students learn Jangdan through the game passing Jangdan to friends. The result of survey showed that 43 of them had concentrated on and adjusted to the lesson. The affirmative response rate is 93.4 percent. Finally, I utilized Jangdan DDR game for students to learn Jangdan. I found that 40 of them showed high attention to and interest in the class through a survey. The affirmative response rate is 86.9 percent. The previous ways to teach Jangdan have led just to the temporary, simple, external learning. They should be improved to give students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Jangdan and participate actively in the class, which has to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Jangdan and activities. The various, effective approaches to Jangdan will help students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 Ultimately, we can expect that students will establish their ethnic identities and right values, appreciating the styles and deligh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본고에서는 초등교육을 위한 전통음악 장단 지도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한국 전통음악에서 장단은 전통음악의 흐름을 이해하는 중심요소다. 논자는 강사풀제 국악강사로 근무하는 초등 교육현장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구음 장단 지도 방법과 무릎 치기 장단 지도 방법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단 지도 방법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리하여 전통음악 장단 교육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는 학습지도 방안을 연구하였고, 초등 교육현장에서 전통음악 장단학습을 체계적으로 지도 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지도안 연구와 설문으로 진행하였고 연구범위는 초등학교 3~6학년의 교과 내용 중, 3~4학년은 국정교과서, 5~6학년은 검인정교과서에 한하여 연구하였으며 중중모리장단과 굿거리장단, 세마치장단, 자진모리장단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실습 및 설문조사 대상은 충북 강사풀제 지정학교 학생들로 하였고, 학급은 3~6학년 한 학급씩을 선정하였으며, 2010년 9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지도한 내용을 분석 연구하였다. 논자가 연구한 장단 학습지도 방법은 음 높이를 다르게 하여 구음하는 방법과 놀이를 활용한 장단 지도 방법이었는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학년~6학년 선정 학급의 학생 총 46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음높이를 활용한 장단학습과 설문을 실시한 결과, 26명의 학생들이 우수한 적응력과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긍정 응답률은 56.5 %이다. 둘째, 장단 전달게임을 통한 장단 학습을 실시하였는데, 장단 전달놀이를 적용하고 설문을 실시한 결과 43명의 학생들이 우수한 수업집중도와 적응력을 보였다. 긍정 응답률은 93.4%이다. 셋째, 장단 DDR게임을 통한 장단 학습을 실시하였는데, 장단 DDR 학습 방법을 적용하고 설문을 실시한 결과 40명의 학생들이 장단 DDR 장단 학습방법에 긍정적인 태도와 높은 집중력을 보였다. '장단 DDR' 학습 방법의 긍정 응답률은 86.9%이다. 그동안 전통음악 장단의 지도가 일회성을 띄거나 단순하고 일시적으로 외형적인 학습에만 그쳤다면 앞으로는 장단의 이해와 활동이 중심이 되어 학생들의 체험과 참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양하고 효과적인 장단의 지도방안을 교육현장에서 적용한다면 전통음악의 이해는 물론이고 전통음악이 갖는 멋과 신명을 느껴 민족문화에 대한 정체성과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 효율적인 전통음악 교육을 위한 분석연구 : 교육과정과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서담 全南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 민족의 전통음악을 그 민족이 바르게 이해하고 아끼며 후세대에 계승하는 일은 중요한 교육 과제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먼저 1955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6차에 걸쳐 이루어진 교육과정의 변천을 통해 전통음악 내용의 변화를 고찰하고, 두번째 단계로 제5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1989학년도 부터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음악교과서 5종에 나타난 전통음악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통음악 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과정 편성과 음악교과 내용의 편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먼저 교육과정 변천을 고찰하고 중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5종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전통음악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방법은 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음악의 내용과 전통음악이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 보았고, 전통음악의 영역을 표현과 감상으로 나누어 비교해 볼 때의 영역간의 비율과 각 영역별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을 토대로 다음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1. 교육과정 변천을 통해 볼 때 음악교육의 구성영역은 표현영역과 감상영역을 근간으로 해서 시대적 요청에 따라 다른 영역의 수정과 보완이 이루어져 왔다. 2. 제1차부터 제6차까지의 교육과정 중에서 전통음악과 관련된 내용은 제6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비로서 전통음악의 성격을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3. 질 높은 전통음악 교육을 위해서는 가창, 기악, 창작 및 감상영역 모두 비중의 심화와 함께 수록 내용의 다양화가 요구되며,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의 균형있는 음악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It is important that we should inherit and develop Korean traditional music (here after K.T.M). However, in reality, the education of K.T.M has not yet been normalized and devoted to a full extent at middle school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and study the music curriculum and five kinds of music textbooks have used at middle school since 1989, in order to contributed more desirable music education. This study attempted the following ways; First, It is concretely analyzed and discussed on the goals and the contents of K.T.M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6th curriculum. Second, It is concretely analyzed and discussed issues on the proportion and the content ccmpile of K.T.M in music textbook.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alysis, it is mainly consist of two component elements-expression and appreciation-in music education. 2. It is more importantly emphasized on the content of K.T.M at the 6th curriculum. 3. It is suggested that the proportion and quality of K.T.M should be increased in the music textbooks in the future for the sake of balanced music education. 4. It is necessary that the diversity of textbook contents in all domain-Voice production,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nd, Appreciation.

      •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전통 음악 내용 고찰

        송지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 고유의 전통 음악이 시대의 변천과 함께 점차적으로 현대를 사는 우리의 정서에 깊은 영향을 주는 보편적인 음악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음에 따라,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우리의 전통 음악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7차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전통 음악 내용을 분석하고, 제7차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3·4·5·6학년 음악 교과서의 반영 정도 및 내용상의 문제점들을 알아보며,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제7차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전통 음악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제7차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은 전통 음악 교육의 중요성이 이전의 제6차 교육과정보다 더욱 강조됨에 따라 전통 음악 내용 체계에 있어서 내용의 선정 및 조직을 비교적 체계적으로 구성·제시하였다. 음악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도 전통 음악의 다양한 악곡과 음악 활동을 제시하는 등 전반적으로 전통 음악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경우 불분명하고 포괄적인 내용이 있어서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내용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다수 있었다. 음악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전통 음악 내용이 교과서에 올바로 적용되지 않은 부분도 있었고, 전통 음악이 서양 음악 어법과는 다른 음악 어법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양 음악 어법에 맞추어 일부 제재곡들을 수록함으로써 전통 음악 본래의 멋을 찾기 어렵게 한 것도 있었다. 내용면에서는 비교적 다양한 악곡과 활동을 수록하였으나 전통 음악에 대한 '바른 이해와 개념을 형성하기에는 여전히 미비한 점이 있었다. 음악과 교사용 지도서는 내용상에 오류가 있는 부분이 일부 있었으며, 잘못 기재된 글자도 있었다. 통일성이 결여된 부분도 있었는데, 특히 장단에 있어서 동일한 장단을 서로 다르게 제시하기도 하였고, 장단의 강세는 모든 제재곡에 일정하게 표기되지 않았다. 그리고 '지도의 실제'에서 제재 개관이나 제재 목표, 수업 자료 등에 제시된 내용이 지도 내용에 제시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고, 제시된 내용이 다른 경우도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살펴볼 때 제7차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은 전반적으로 전통 음악의 양적 비중은 높아졌으나 내용 수록에 있어서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전통 음악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올바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이 보완, 해결될 수 있도록 더욱 신중을 기해 교육과정 및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가 집필되어야 할 것이다. Keeping pace with the flow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gradually settled down as general music deeply influencing our emotion of modem times, the seventh curriculum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contents of traditional music in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investigate the reflection of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on the music curriculum of th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roblems of the contents, and suggest the improvement plan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raditional music in the music curriculum, textbook and teacher's guide of elementary school are as follows;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systematically is composed and suggested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of traditional music as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more accentuated than that of the sixth curriculum. Accordingly, in general, music textbook and teacher's guide were composed in order to easily understand traditional music, such that various musical pieces and activities of traditional music were suggested. However, as the curriculum included unclear and comprehensive contents, some of traditional music could not be easily understood just with the curriculum and the explanation of the curriculum. In the music textbook, some of the contents of traditional music suggested in the curriculum were not properly applied, and although our traditional music has different musical idiom from western one, some music repertoire complying with the western musical idiom were contained, so that the original taste of traditional music could not be found. In the aspect of contents, the music textbook contained relatively various musical compositions and activities but they are imperfect in forming the right understanding and concept of traditional music. The teacher's guide of music course included some errors in the contents and typographical errors. Also, it was somewhat lack of unity - specially, for example, in case of Changdan(Korean rhythm), it suggested the same Changdan as different Changdans and accent of Changdan was marked in some songs, while it was not marked in others songs. And, for 'the practice of guidance', the contents indicated in the overview or objective of the theme and class material were suggested in the contents of guidance in some cases, and the suggested contents were different from the facts in other cases. In conclusion, as described in the above, it was clearly found that in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eight of traditional music increased in quantity but it involved many problems in quality of the contents. The curriculum, textbook and teacher's guide shall be written with more deliberation to complement and solve the problems, so that traditional music education can be settled down properly in the educational field.

      • 전통음악교육이 관객 개발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백신애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음악문화의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고 계승· 발전시켜 새로운 음악문화 창달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전통음악 교육이 강조 되고 있다. 그런데 일선학교에서 실시되는 음악 수업은 여전히 서양음악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전통음악 교육은 소홀히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음악에 바른 음악적 가치관과 교육적 가치관을 위하여 직접적인 예술 활동 체험으로 창의력, 상상력, 사회성을 키우고 문화감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나아가서는 미래의 적극적인 관객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우리의 문화유산인 전통음악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전통음악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하여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전통음악 교육의 필요성 에 대해 교사들은 100%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육현장에서의 교육 수행정도에 대해서는 과반수이상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전통음악교육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응답도 4.08%있다. 그 이유는 교사들의 지도능력이 부족하고, 학생들의 전통음악에 대한 흥미도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의 전통음악을 아이들에게 쉽게 접하고 느낄 수 있게 하기위해 학교에서의 예술교육과 더불어 국내 공공 공연장에서의 다양한 초등학교연계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잠재되어 있는 관객층을 개발하여 공연예술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음악 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전문교사가 필요하겠다. 둘째, 교사들에게 전통음악 교육의 다양한 연수와 학습자료 및 수업방법의 모색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한다. 셋째, 전통음악공연의 관객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넷째, 학생들이 공연장에서 직접 참여 하고 체험 하여 관련된 일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성이 강조된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다섯째, 학생들의 전용 전통음악 공연장을 설립한다. 아이들에게 전통음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지게 하기위하여 교사들의 전통음악에 대한 지도 능력을 갖추고 다양한 학습 지도 방법을 연구하는 노력과 열정이 필요할 것이며 공연장에서의 다양한 학교연계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관객의 참여도를 높이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currently being emphasiz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ppropriate value system about our music culture and also nurturing the ability to promote our new music culture by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existing music. However, music lessons of the schools in the front line are still being implemented with their focus on the western music education, which means that the education of our traditional music is being neglected or disregarded at the front- line schools. In order to establish right value systems about our music from the educational viewpoint, we have to nurture creativity, imagination and sociality of our students by letting them have direct experiences of artistic activities and increase their cultural sensitivity and necessarily develop them into positive audience or spectators in the future. In this treatise,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wa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for the purpose of inheriting and developing our cultural heritage of traditional music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how our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being done 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s.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is found that hundred percent(100%) of the teachers have responded that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necessary. Regarding the degree of music education implement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s, more than half of them responded that it is being implemented to a certain extent. However, 4.08% of the respondents have responded that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is not properly implemented at their schools. The reasons for that are known to be that teachers are first lacking in their instructional capacity in terms of proper guidance and direction and then the students are not that much interested in our traditional music. In order to let our school students easily access and feel our traditional music,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methods to develop and revitalize arts educational programs to be implemented at domestic public performance sites in liaison with elementary schools in addition to the arts education at the school. Firstly, we need professional teachers who are to be solely in charge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econdly, there should be a Government- level political consideration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music teachers with a lot of opportunities for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raining aimed to seek for diverse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ologies. Thirdly, we should introduce a variety of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to enhance the audience's participation i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Fourthly, we have to arrange professional course programs which will help students to directly participate, experience and make their own career choice in the public performance sites. Fifthly, we should construct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sites or stages exclusively for the use of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in order that the students can show concern and interest in the traditional music it is necessary that music teachers should be qualified to have a required instructional capability for traditional music together with efforts and enthusiasm to develop various teaching and guidance methods. Additionally, it is required that we may develop public performance programs in liaison with the schools at the performance sites in order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or spectators in the arts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