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과정의 실태와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정지윤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국내외 이주와 교육 분야에 관련 전문가 부재 현상에 대한 바른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1998년 IMF로 많은 해외이주자와 유학생이 증가했지만 2010년 현재는 해외이주자와 유학생이 오히려 한국으로 역 이주와 귀국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한국 내에서도 국제결혼과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로 단일민족이 아닌 다문화사회로의 준비를 해야 한다. 학교들 측면에서도 한국 내에 대안학교들의 학력인정과 국제학교와 외국 유명대학과 연계한 한국 내에 정착은 2007년 이래 외국인 100만 시대에 접한 우리 학교들이 다문화가족 자녀와 외국인 학생 유치에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판단한다. 학교와 정부기관과 복지센터 등이 교육을 통해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여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다양한 고급 전문 인력들을 배출해서 중앙공무원(출입국관리국, 외무부, 각 부처 국제 업무직 등), 지방자치단체 국제 업무 공무원, 주한 외국 대사관, 국제기구, NGO, 경찰청, 해외이주공사, 유학원, 법무법인, 언어학원, 여행사, 인터넷 컨설팅, 외국 지사근무, 외국기업, 재외동포 기업, 무역회사, 호텔, 항공사, 공항, 면세점, 은행, 해운업체, 부동산업체, 외국인학교, 대학교 국제부, 방송 언론사, 영화 제작사, 국제회의 전문회사 등에 전문 인력으로 진출을 모색할 수 있게 정확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앞으로의 교육이 해야 할 역할이라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or lack or absence of experts in the field of migration from country to country and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Since the IMF entry of 1998, there has been a rise in the number of emigrants and study abroad students but now in 2010, they are returning home to Korea steadily increasing in number. Korea is also rapidly becoming a multi-racial country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and immigration of foreign workers. Currently facing the era of over one million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since the year of 2007, it is necessary for our schools to meet the demand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foreign students such as acknowledging courses completed at alternative schools, establishing international schools, developing exchangepartnerships with universities abroad, etc. It is deemed that it is thefuture role of further education to provide the accurate way for government agencies, schools, welfare centers and other related institutionsto cultivate various high skilled professionals perfect both in theory and practiceand help them enter the workforce in immigration offic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ternational affairs sections of government ministries and provincial governments, foreign embassies to Korea,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ational police agency, overseas migration and study abroad services, law firms, language schools, travel agencies, internet consulting firms, overseas branches of Korean companies, foreign companies, overseas Koreans-run companies, trading firms, hotels, airlines, airports, duty-free shops, banks, shipping industry, real estate agencies, foreign schools, international divisions of universities, broadcasts and presses, film making industry, international conference services, etc.

      • 융합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과정 개선방안

        신은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연구는 교원양성대학인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교육전공생들을 대상으로 융합교육 수업적용 사례를 분석하고 융합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일반대학원 융합교육전공자 3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3차례에 걸쳐 90분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위해 사전조사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문항은 단답형이 아닌 개방형 문항으로 만들었다. 면담내용은 현장노트와 참여자와 나눈 문자, 전화, 면담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교육전공자들은 기존교육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융합교육전공에 입학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진로코칭 및 교육회사를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융합교육 적용방법에서는 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자유학년제, 진로특강 등을 통해 이루어졌고 교육방법은 자신이 기존교육에 느꼈던 한계점을 보안하는 자신과의 소통, 1:1맞춤형 교육, 사고확장 등이 이루어졌다. 셋째, 융합교육 수업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에서는 단발적 수업으로 인한 수업시간 부족,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시스템 부족, 수준별 교육을 위한 수업방식의 어려움 등 자신의 수업에 대한 효과나 평가를 확인하기를 원했다. 넷째, 융합교육전문가 핵심역량에서는 유튜브, 책, 연구물, 외부활동 등을 통해 스스로 개인적 역량을 기르고 있었으며, 교사 이외의 교육전문가들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에서는 융합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 효과성 분석 가능한 교육과정을 원하였고 이에 자문을 얻을 수 있는 외부 융합교육 강사 초청, 네트워킹 장 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해 4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효과적인 융합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과정 제안 둘째, 융합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기준 마련 셋째, 다양한 지원 및 외부활동 기회 제공 넷째, 협업·소통의 장 마련이다.

      • 한국 공예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중등 공예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이현양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secondary craft education by analyzing the status and status of craft culture industry and craft education. To this end, the state of craft culture industry and craft education were analyzed first, and then a survey of craft experts focused on educational institutions, curriculum and specialized education areas from various perspective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looked at the improvement measures from three perspectiv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 on the present state of craft culture industry and secondary education is carried out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analysi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craft curriculum ranging from the first one in 1954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changes in department names, academic goals, and curriculum contents are analyzed,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of secondary craft education, focusing on teaching course documents and manuals. Next, we analyzed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curricula, and specialized education, which were the start of fostering craft professionals, through a survey of probability selection and convenience selection, among a group of experts and non-professional experts from Busan Craft School.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you look at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secondary arts education institutions, the following is true: The image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practice, going to school, facilities, and employment were found to have not yet performed their roles, and many voices for improvement were found. Second, if you look at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econdary craft education course, it is as follows. I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the vocational ability curriculum, and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the curriculum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and there were many things to be partially supplemented. In particular, fundamental measures to enhance students' craft skills are urgently needed. Third, if you look at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pecial education courses for secondary crafts, the following is true. In the areas of professional education oper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job competency level, industrial education, transfer education, and government policies, it was found that the specialized education courses still had a lot to improve, and most of all,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needed to foster experts in the craft industry. The improvement measur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arts education institutions can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of students by improving the imag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opening hands-on courses and strengthening employment links. Second,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in secondary craft education courses, such as diversification of curriculum, site-oriented curriculum, and supplement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ability to improve their craft. Finally,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specialised secondary craft education courses were found to be necessary for the expansion of the curriculum requiring specialized expertise, supplementing the national vocational ability training system, and industrial education linked to the craft industry, among other things, an educational system to train expert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 policy was found to be in place. 본 연구의 목적은 공예 문화산업과 공예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여 중등공예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예 문화산업과 공예교육의 실태를 먼저 분석한 후 공예전문가를 대상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교육기관, 교육과정, 그리고 전문교육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세 가지 관점에서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공예문화산업의 현황과 중등교육에 관한 조사를 실시한다. 1954년 제1차부터 2015년 개정 교육 과정에 이르는 중등 공예 교육과정의 특성과 학과 명칭, 학과 목표, 교과내용의 변천 과정을 교육 과정 문서와 해설서를 중심으로 중등 공예 교육의 현황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부산 공예학교 졸업생 전문가 집단과 비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확률 표집과 편의 표집의 설문조사를 통해 공예 전문 인력 양성의 출발인 중등 교육기관, 교육과정, 전문교육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공예 교육기관에 대한 현황과 실태분석 결과, 교육기관의 이미지, 실습, 진학, 시설, 그리고 취업부분에서 교육기관이 아직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선의 목소리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중등 공예 교육과정에 대한 현황과 실태분석 결과, 교과과정의 구성, 직무능력 교육과정, 교육만족도 부분에서 교육과정이 많이 미흡한 것을 나타났고 부분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사항이 많았다. 특히, 학생들의 공예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 공예 전문교육과정에 대한 현황과 실태분석 결과, 전문교육 운영, 전문성 발전, 직무능력 수준, 산업교육, 전승 교육, 그리고 정부 정책부분에서 각각 전문교육과정이 아직은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무엇보다 공예산업 전문가 양성을 위하여 다각도로 개선방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황과 실태분석 결과에 따른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공예교육기관에서는 교육기관의 이미지 개선과 실습과정 개설, 그리고 취업연계 강화를 통해 학생들의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중등공예교육과정에서의 개선방안으로는 교과과정의 다양화, 현장중심 교육과정, 그리고 학생들의 공예역량 향상을 위한 교과과정 보완 등의 개선방안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중등공예 전문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특화된 전문성이 요구되는 교육과정 확대, 국가직무능력훈련 제도의 보완, 그리고 공예산업과 연계된 산업교육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무엇보다 정부정책 개선을 통해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체계가 마련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현 예술계 고등학교에서 한국무용의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김현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20

        본 연구는 예고교육의 교과과정의 편성과 실기교육의 실태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이상적인 한국무용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위의 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조사자료를 통한 선행연구사례, 무용교사 등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서울지역을 표본으로 부산, 경남지역의 7군데를 대표적으로 선정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무용교육의 개요와 한국무용 교육의 역사적 전개를 살피고, 내용분석으로는 현행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과 교육과정과 한국무용 실기교육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교육은 무용이 체육의 한 영역으로서 교육의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국한 해석하는데 그 모순점이 있다. 따라서 예고교육은 국한된 교육이념과 제도, 교육과정을 취할 수밖에 없으며, 무용을 전문으로 하는 예고의 교육실정에는 맞지않는 교과과정이 편성될 수밖에 없다. 특히, 보통교과와 전문교과과정 중 전문교과의 비중이 우선시 되어야할 예술고등학교가 일반고등학교와 차별성 없는 교과과정 편성기준으로 말미암아 노력과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때문에 예고교육이 전문교육기관으로서 그 특성화를 살리기 위해서는 전문교과의 폭넓은 교재개설과 시수확충은 물론 그에 따른 실기수업의 비중을 대폭 강화하는 단계적이고도 전문적인 교육내용으로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편을 이루어야한다. 둘째, 한국무용이 국가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단계적 교육방법에 의거한 조기교육과정이 필요한데, 현 교육체제는 전문무용 교육기관을 고등학교에 집중적으로 편중시키고 있어 전문가양성을 위한 초등학교의 전문무용 교육기관은 전무한 상태이다. 또한 전국 예술고등학교의 무용과 현황은 15개 교로서 4개교 정도가 서울지역에 분포하고 있고, 그 밖에 각 도별로 1개교가 설립되에 있으나, 유일하게 강원지역에서만 전무한 상태여서 학생들이 강원지역에서 전문무용 교육을 받을 기회가 전혀 없다. 때문에 서울지역에만 편중되어있는 예술고등학교를 각 지역별로 골고루 분산시키고, 예술초등학교의 설립을 시발점으로 하여 중, 고등학교에서 대학교로 이어지는 연계성 있는 전문가양성으로 단계적 전문교육을 이루어야한다. 셋째, 한국무용 실기교육은 춤의 기능전수에만 급급한 '따라하기식'의 비능률적 교육방법으로서 교사의 몸짓에만 의존하여 지도해왔다. 특히, 무용은 속성상 추상적이고 비구체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시범, 모방위주의 무용수업 형태는 그 성과면에서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란 쉽지 않다. 때문에 학생들의 실기지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통일된 한국무용의 용어정립과 함께 한국무용 실기교재 개발이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예고의 무용교육이 창의력에 바탕을 둔 정서교육이란 점에 비추어볼 때, 창작관련 과목의 개설은 예고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 요소이다. 따라서 창작관련 교과서가 학습자의 주된 도구로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지도에 용이한 지침서로서의 창작무용 모형개발 프로그램도 함께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한국무용 실기수업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전문실기 교육을 심화해야 한다. 때문에 교사들은 무용연수나 기능 보유자들을 통해 자신의 기량과 자질을 함양시킴은 물론 무용교사 상호간의 정보교류와 친밀한 유대관계를 통해 끊임없는 자기개발을 이루어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more efficient and ideal directions of Korean dance education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curriculum and technical education in artistic high schools. Among the research methods were the investigation of the concerned literature and some previous studies as well as the interviews with dance teachers. With a sample in the Seoul area, seven places in the Pusan and Kyongnam regions were arbitrarily chosen.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thesis, the general outlines of dance education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Korean dance education were reviewed. In addition,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Dance Dept. and the technical education practices of Korean dance in domestic artistic high schools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shown below sum up the results: 1. The key problem with dance education is the fact that dance, as part of physical education, is interpreted not as an educational objective but as a means. So the education in artistic high schools has an improper curriculum owing to the limited educational ideology and system. The significance of special courses is neglected, and lots of time and efforts are wasted due to the curriculum similar to that of general high schools. Therefore, in order that artistic high schools regain their place as a special institution, a new curriculum with specific courses and weighted technical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step by step and professionally. 2. Early educ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for Korean dance to be globally competitive. The present dance education system is heavily focused on high schools, while no special institutions 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s are available. There are 15 artistic high schools in Korea, 4 in Seoul and one each in provinces except the Kangwon do area. Then, Seoul-centered artistic high schools need to be evenly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artistic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for hierarchical specialist rearing education from early age to adulthood. 3. The technical education of Korean dance has so far been ineffectively dependent on the method of imitating and following the techer's movements. Since dance belongs to a rather abstract filed, the classes centered on demonstrations and mimicry can hardly achieve good results. That's why we need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education textbooks and a unified book of dance glossaries. In addition, as dance education is both emotional and creative, the opening of creativity-concerned courses is a must. Also, model development programs of creative dance are desirably required. 4. Special practical skill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for a fruitful and qualitative technical education of Korean dance. The techers, therefore, should incessantly strive to be over qualified through frequent dance training sessions and information exchanges.

      • 융합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오은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02

        2012년 교육부의 16대 과제 중 하나로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융합인재교육이 추진되고 있으며, 교육부에서는 창의‧인성 교육을 통한 글로벌 인재 양성을 교육철학으로 하여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또한 전국에 시범학교를 설치하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융합교육 실시에 대한 교육 및 연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교사가 아닌 일반인 전문가(방과 후 활동 강사 등)의 교육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 뿐 아니라 일반인 전문가의 육성을 위해 융합교육 전문가의 역량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융합교육(STEAM)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한 결과 융합교육 전문가의 직무 역량을 분석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에 적합한 방법인 데이컴(DACUM) 기법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역량을 분석하여 융합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RSp(Reverse Science from Products), 스토리텔링, 디자인과 교수법에 대해 데이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16개의 역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역량을 토대로 총 8회기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2개월 동안 총 27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제 교육이 진행되었다. 융합교육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은 향후 전문가로써 진행하게 될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이 실제 프로그램의 체험과 함께 관련 이론들에 대해 학습하고 이해할 수 있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교수법에 대한 수업을 추가하여, 교육 참가자들이 교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 참가자들은 본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의 진행방법과 운영 전략에 익숙해질 수 있는 기회를 가졌으며, 최종적으로 다른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교육을 진행하였다. 융합교육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교육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직무 역량에 대한 사전‧사후 자가 진단 및 교육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교육 결과 참가자들의 RSp, 스토리텔링, 디자인에 해당하는 역량들은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수법의 경우 역량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교육 참가자들이 실제로 교육(업)에 종사하고 있거나, 예비교사(사범대학생)로 구성되어 교수법 역량의 향상정도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 교육 후반부에 진행된 마이크로 티칭의 결과에서는 모든 항목의 평균 점수가 4점(5점 만점) 이상이며, 최종 평균점수는 4.5점으로 학습자들의 교수법 역량이 우수한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의 만족도 또한 평균 4.30(5점 만점)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면접 결과 교육 참가자들은 융합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된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교육은 교육 정책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점차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융합교육이 개발되고 이루어진다면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융합교육 전문가의 배출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와 함께 다양한 융합교육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다양한 융합교육의 전문가 배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apability of integreated-education professionals and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In this study, the DACUM method was adapted to design the Convergence Educational Expert Training program. For making the Convergence Educational Expert Training program, DACUM method was implemented on Reverse Science from Products (RSp), storytelling, design, and teaching methods. Eight sessions of Convergence Educational Expert Training program was designed with sixteen analysis of convergence Educational Expert abilities which followed from DACUM metho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ce Educational Expert Training program, 27 participants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and 5 of them were interviewed for the supplement material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abilities related to RSp, storytelling, and design showed high level. However, teaching abilities did not show any noticeable improvements as the participants were the educational experts and preliminary teachers. 2. The result of the micro-teaching which conducted the end of the program showed averaged over 4.00 score. It proved that their teaching abilities were increased remarkably. 3. The satisfaction degree of education showed 4.30 score.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proved that the participants acquired positive recognition for integrated-education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research showed that the importance of integrated-education is getting higher to foster creative talents and global human resources.

      • 선교지원전문가 양성 체계 구축 방안

        한경성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271

        2006년 세계선교전략회의(NCOWE)에서 제시된 연구 과제 중 선교행정 분야에 대한 관심은 필드 중심의 행정으로 바꾸고자 하는 취지로 ‘선교행정 전문가 양성과 개발’이라는 주제가 요지였다. 이를 위해서는 선교단체의 행정시스템을 개선 및 강화, 선교시스템 개발과 적용, 선교행정간사의 전문성 개발과 지원하는 방안 모색이 필수 과제였다. 본 연구는 선교행정간사를 선교지원전문가로 양성할 뿐만 아니라 선교행정선교사로서의 지위 보장을 실현하기 위한 지원체계 마련의 시급성을 피력하였다. 이를 위해 선교행정간사의 선교사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멤버케어 및 디브리핑 등의 지원이 필요하고, 선교지원 전문 사역자로서의 업무 수행 능력 증진을 위한 정규 교육 체계 마련 및 직무연장교육 그리고 행정업무 관련 전문화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선교행정간사의 지위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선교단체와 선교기관 및 교단 선교부에 근무하는 본부 사역 선교사와 선교행정간사를 대상으로, 담당업무 파악, 업무 만족도, 이직률, 자기 개발 필요성 인식도, 선교관련 정보 습득 경로 등의 문항을 설문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선교행정간사들은 선교지원전문가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근무연한이 짧은 경우와 저연령인 경우 조기 퇴사 내지는 이직하는 빈도가 높았다. 선교행정간사들은 선교계의 변화와 이슈 등을 선교사들의 방문 선교 보고와 개인적인 교제, 사무실 회의 및 선교사 기도편지 등의 간접경로를 통해 접하고 있어 선교단체 리더들의 생생한 의견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적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선교행정간사들은 자기개발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행정실무에 적용하기 원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선교행정간사들의 전문성 제고 문제 해결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 선교단체 본부의 직무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조직관리 및 업무 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선교행정간사의 선교행정선교사로서의 지위 보장과 호칭 변경, 그리고 선교단체와 교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자는 선교행정간사의 전문성 증대를 위한 선교지원전문가 양성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4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선교행정간사의 성경에 대한 지식과 적용 및 선교 훈련, 선교의 기본 소양과 직무 활용 능력, 선교단체 시스템 단일화 및 공유, 선교단체와 한국 교회의 연합교육 및 행정선교사로서의 지위 보장이다. The interest shown in the topic of mission administration during the 2006 National Consultation of World Evangelization(NCOWE) was demonstrative of the movement towards a fled-centered administration with a crucial emphasis on the “Training and cultivating experts in the mission administration.” The necessary steps of this approach were improving and reinforcing administrative systems in missionary organization. These steps are to reinforce developing and applying mission systems and researching avenues to support the training. This would aide in the fostering of professionalism in the mission administrative staff. This study explores the urgency of not only fostering the training of mission administration staff into mission support specialists, but also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to recognize and realize their status as administrative missionaries. Furthermore, the research investigates if various needs exists. These needs can consist of the establishment of missionary identities in mission administrative staff, provision of appropriate support systems of guidance and debriefing opportunities, development of a formal educational program, of in-service training courses and of specialized job training programs in administration to enhance work performance as professional ministers. In order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mission administrative staff, administrative staff members and missionaries in home offices of missionary organizations were surveyed on questions regarding their work responsibilities. They were also questioned on criteria such as the level of satisfaction at work, turnover rate, awareness of the need for personal development, and the route of ob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missionary work. The results revealed low levers of awareness of mission support specialists, and that most employment periods were short-lived with a higher rate of turnover shown among younger employees. The study also found that mission administrative workers had few opportunities to listen to the vivid opinions of leaders of the organizations as information regarding the changes and issues in the missionary community largely came from passive sources such as visiting missionary reports, personal and office meetings, and prayer request letters. Missionary administrative staff members confirmed that they were keenly aware of the need for personal development and wanted to apply it to administrative practices. The study has demonstrated an urgent need to resolve the issues of enhancing professionalism in mission administrative workers, and to that end to establish their identities as missionaries. Additionally, the study confirms a need systematic guidance and debriefing opportuniti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urvey this study has proposed four measures to establish an infra-structure to develop mission support professionals. These include the education and application of biblical knowledge with missionary training of mission administrative staff, reinforcement of knowledgeability on the basics of missionary work and related work ability, the integration and sharing across systems of missionary organizations, and a cooperated educational curriculum by missionary organizations and Korean churches, and status guarantee of the staff as an administrative missionary.

      • 해외철도사업 진출을 대비한 국제철도전문가 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이응호 우송대학교 철도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270

        한국철도산업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향후에 늘어나고 있는 해외 철도시장으로의 진출이 절실한 현실이다. 이에 따라 경쟁이 치열한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현재의 국내 경험과 실적을 바탕으로 치밀하고 체계적인 철도 인재양성시스템을 구축하여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 극대화 및 안정된 사업수행을 위한 국제철도전문가 양성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한국의 기록관리전문가 양성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호주의 사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구자신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2270

        In order to establish and operate well records management systems of a nation , first, legal systematic device has to be readied, second, method of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modernized, third, a person who operates this systems must equip sense of mission and professionalism. The professional personnel system for records management of the Act on Records Management effective is introduce to solve this person's problem justly. The Act on Records Management effective made mandatory arrangement of professional personnel which possess special qualification Based on this, in order to produce professional personnel for records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of graduate university and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were established and is producing manpower. But, Computerization concept is introduced in office work area by grea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 lot of electronic records is produced by e-government's propulsion and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is emphasized forward In this situation, it is judged that vulnerability for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is specialis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hat do not prepare the future. Therefore, to solve problem on curren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of professional personnel for record management that become core of development of Korea records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wished to present improvement dire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suitable to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Korea by examine Australia's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of archivist and records manager educating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area in priority and analyze problem of current one in Korea. First, I examined justice about archivist in the Act on Records Management effective and Defined about suitable role and knowledge area. Especially,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role and meaning that is required to archivist in e-government area. Second, I examined about Australia's system which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have advanced to widen comprehension for specialis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I examined first about role of Australian Society of Archivists(ASA) and Records Management Association of Australasia(RMAA) and recognition system for university course, and I investigated and analyzed course of study of three universities that is approved by RMAA. Third, I examined each course of study of postgraduate that located on important posi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archivist in Korea and its operation situation generally. So I investigated personality of each postgraduate and special quality on course of study that is established Thereafter, I investigate course of study been opening in each university and analyzed problem that happen between established course of study focusing on professionalism and standardization Finally, to present improvement direction of archivis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hat is enforced in Korea, I compared Korean`s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with Australia`s, through investigated data of chapter 3 and 4. and I premised improvement point for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archivist in Korea.

      • 교육대학원 중국어 교육전공 교과과정 연구

        이은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234

        중국어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가장 중요한 것은 중국어 교육을 주체적으로 이끌어 나갈 양질의 교사를 확보하는데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이들의 재교육 기관이자 양성기관인 교육대학원 중국어 교육학과의 교과과정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중국어 교육학과의 교과과정으로서 지향해야 할 기본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교육과정 분석에 있어서는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9개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하였다. 중국어 교육학과의 교육목표를 살펴보았는데 각 교육대학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긴 하지만, 9개 대학원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교육목표는 중국어 분야에 대한 연구 능력과 교과 교육능력을 가진 창조적인 교육전문가의 양성이었으며 이는 현직교사의 재교육과 신규 교사 양성의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전제로 하고 학교별 중국어 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중국어 교육학과 중국어 내용학으로 분류하고,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교과교육학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내용의 타당성을 위하여 설문조사의 방법을 체택하여 연구한 결과,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인 자질과 능력을 갖춘 중국어 교육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대학원 수업의 질이 달라져야 한다. 둘째, 중국어 교육학과 중국어 내용학이 균형있게 다루어져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중등학교 중국어 교육내용과 보다 더 밀접하게 연계되어진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넷째, 중국어 교육학을 전문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수(강사)진이 필요하다. 다섯째, 전공과목의 추가 개설 및 융통성 있는 행정운영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육과정에 있어서 한두 과목은 임용고사를 위한 과목이 개설되었으면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중국어교육전공을 설치한 9개 교육대학원에 한하여 실시되었다. 그러나 후속 연구에서는 중국어교육전공을 설치한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전체를 대상으로 보다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차원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在提高汉语教育质量的关键便在于能否确保优秀老师的前提下,通过研究汉语老师再教育及培养机关的教育硏究所汉语教育系教学课程,不但提出了课程上的问题,而且摸索了汉语教育系的教程应该志向的远大方向。 主要以首尔所在的9所教育硏究所为主进行教育课程分析研究。虽然各所硏究所的教育目标有所不同,但9个硏究所共同提出的教育目标为培养拥有汉语研究能力和课程研究能力的创造性教育专家。在此可见,这里隐含着现任老师继续教育和新老师培养的两大意义。 以上述内容做为前提,将学校别汉语教育专业教程分类成汉语教育学与汉语内容学,且分析教育硏究所教程的核心的科目教育学,还为了内容的妥当性,采取问卷调查的方法进行研究。通过这些研究,得到的主要结论如下。 第一,教育硏究所教程必须转换为能培养备齐天资和能力的汉语教 育专家的方向。 第二,汉语教育学与汉语内容学应该要有均衡运作。 第三,需要与中高等学校汉语教育内容更密切连接的教程。 第四,需要能专门教汉语教育学的教授团。 第五,需要专业科目的追加开设及灵活的行政运营。 第六,希望在教育课程上,开设一或两个有关任用考试科目。 本研究只局限在首尔市内开设汉语教育专业的9个教育硏究所进行的。所以,希望在后续研究里可以以设置汉语教育系的我国教育硏究所全体为对象实现更包括而多方面的研究。 因本研究前所未有,未免不正之处,只望能起到抛砖引玉的作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