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언론인의 감염병 보도 인식의 유형에 관한 연구 : Q방법론을 적용한 감염병 보도 개선을 중심으로

        김영수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신종 감염병이라는 새로운 재난 상황에서 언론인들의 상황적 해석과 감염병 보도에 대한 인식, 또한 감염병 보도의 개선 방향은 어디에서 찾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언론인이 형성하고 있는 감염병 보도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는 일은 기존의 아젠다 구축(agenda-building)에서 제기하는 언론인 역할의 중요성과 연결된다. 즉 감염병 보도와 관련한 언론인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재난·감염병 보도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개인의 경험이나 지각에 따른 주관적인 개념을 객관적으로 유형화시키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45명의 현직 기자들을 대상으로 감염병 보도에 대한 인식을 주관성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은 언론인의 감염병 보도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살펴보고 그 인식을 유형화하여 유형에 따른 차이점과 특성을 밝혀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신종 감염병에 대한 언론인들이 갖는 인식은 크게 4가지로 유형화 되었다. 제1유형은 언론인 역할 중시형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유형은 신종 감염병 보도에 있어 기자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었다. 즉 기자 개인의 역량이 중요하며 기자들이 재난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상황에 맞는 보도와 적절한 표현을 찾는 노력을 스스로 기울어야 함을 강조했다. 제2유형은 언론사 신뢰 중시형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유형은 언론사나 정부와 같은 관련 기관의 협력을 통한 감염병 보도의 개선을 중요하는 그룹이었다. 2유형에서는 현재 감염병 재난보도와 관련하여 언론은 제대로 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언론의 신뢰관계 회복을 중요한 가치로 생각하고 있었다. 제 3유형은 보도 준칙 중시형이라 명명하였다. 이 유형의 기자들은 보도준칙 개선을 통해서 감염병 보도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감염병 보도에 있어서 메뉴얼이나 준칙, 방역 지침 등의 시스템을 개선하여 감염병 보도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개선해야 된다고 생각하는 그룹이다. 4유형은 저널리즘 원칙 중시형이라 명명하였다. 이들은 신종 감염병 보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철저한 내용 검증을 강조하는 그룹이다. 이 유형의 기자들은 저널리즘의 중요한 원칙인 내용 검증에 무게를 두고 해외 외신 인용기사나 허위정보를 통한 가짜뉴스의 생산을 신종 감염병 보도에 있어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문제 2는 유형화로 구분된 언론인의 감염병 보도의 문제의식, 책임귀인은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논의를 종합해보면 몇 가지 의미 있는 내용들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기자들은 저널리즘 원칙에 입각한 신종 감염병 재난 보도의 중요성을 모두 인식하고 있었지만 이 원칙을 지켜나가는 책임의 소재를 개인적으로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기자 개개인의 역량을 중시하는 형과 언론사나 정부, 혹은 보도준칙과 같은 시스템의 개선과 같은 외부적 역량을 중시하는 형으로 나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의 감염병 보도준칙의 현장에서의 실효성에 대해 기자들이 공통적으로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는 점이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국내 언론의 고질적인 재난 보도의 문제가 여전히 이어져오고 있음을 의미하며, 여전히 현장에서 통용되지 않는 문서로서의 준칙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신종 감염병 보도에 있어서 내용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공감하는 편이었다. 감염병 보도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표현을 찾는데 노력을 기울이는 것에 적극 공감하면서도, 기자들은 감염병 보도를 다룸에 있어 어려운 내용이 많다는 점도 모든 유형에서 공감했다. 넷째, 기자들이 재난 보도와 보도 과정을 보편적 서비스의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감염병 재난 보도 과정에서 정부와 언론이 감염병 보도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위기상황인 만큼 감염병 보도는 국민들에게 적정 수준의 위기 인식까지 포함하여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연구문제 3은 유형화된 문제의식, 책임귀인, 개선 방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감염병 보도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인식 유형의 기준 중에서 개선방안을 내부‧외부적 요인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첫째, 내부적인 요인에는 기자 개인 역량 개선의 요인과 기자의 안전에 대한 문제, 취재관행의 개선에 대한 3가지 문제로 구분지었다. 기자 개인 역량 개선의 요인은 신종 감염병 보도상황에서 언론인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여러 가지 오류를 제거하고 보다 효율적인 감염병 보도가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기자 안전에 관한 문제는 모든 유형의 응답자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신종 감염병의 확산 상황에 기존의 취재방식은 맞지 않다는 점을 강조한다. 세 번째 개선방안은 취재 관행 개선의 문제다. 기존의 재난 보도에서도 가장 오랫동안 지적되어 온 문제로, 언론사 내부의 취재방식 변화의 문제라고 볼 수 있겠다. 특히 저널리즘의 원칙에 입각한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의 금지와 같은 부분에서는 모든 유형의 응답자가 깊이 공감하고 있었다. 현재의 감염병 보도준칙에서는 취재원의 검증, 허위‧추측보도의 금지에 대한 원칙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이런 원칙이 잘 지켜지지 않는 이유로 한국 언론의 취재관행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응답자가 밝혔다. 외부적인 해결방안은 언론사 내부가 아닌 법적, 제도적 개선 혹은 외부적인 시스템 마련과 같은 보다 강력한 준칙 준수의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먼저 법과 제도적 장치의 마련은 취재 환경에 대한 개선안으로 정부나 관련 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에 대한 요구이다. 보통 언론은 정부에 대해 비판과 감시의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신종 감염병이라는 특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언론이 정부나 유관 기관과 협력적인 관계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외부적인 해결방안의 두 번째 개선 방안은 재난보도 준칙의 개선이다. 이는 모든 유형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각각 개선 방향은 다르지만 현재의 재난보도 준칙에 관한 사항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에는 모두 동의하고 있다. 언론인들은 현장에서 저널리즘의 원칙을 잘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런 원칙을 잘 지키기 위해서는 각 언론사가 구체적인 보도준칙을 제정하고 지킬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몇 차례의 재난 상황의 보도는 언론의 위상을 축소시키고 지속적인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리고 여러 연구는 재난 보도 과정의 문제점들을 짚어냈고, 쇄신을 요구했다. 본 연구는 현상적이고 결과론적인 측면이 아닌 언론인의 입장에서 현재 감염병 재난 상황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타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재난 상황에서 언론은 국민에게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전달로 감염병의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런 재난 보도의 생산자인 언론인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미래를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같은 신종 감염병 상황을 또다시 맞았을 때 언론인들이 빠르고 정확하게 뉴스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론인들의 인식을 통한 감염병 보도에서의 실질적인 개선점을 찾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xtual interpretation of journalists’ awareness of infectious disease report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infectious disease reports in a new disaster situation. Examining the perception of the reporting of infectious diseases formed by journalists is linked to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journalists raised in the existing agenda building. In other words, I tried to find the fundamental cause of reporting disasters and infectious diseases by examining journalists' perceptions related to reporting infectious diseases. Accordingly, the perception of infectious disease reports of 45 incumbent reporters was analyzed by applying a subjectivity research method using the Q methodology that objectively categorizes subjective concepts according to individual experience or perception.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on research issues is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attempted to examine journalists' subjective perceptions of infectious disease reports and categorize their perceptions to reveal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s. As a result of the study, journalists' perceptions of new infectious diseases were largely categorized into four categories. The first type was named journalist role-oriented. This type paid attention to the role of reporters in reporting new infectious diseases. In other words, it stressed that individual reporters' capabilities are important and that reporters should calmly make efforts to find appropriate reports and appropriate expressions even in disaster situations. The second type was named the media trust-oriented type. This type was an important group to improve reporting of infectious diseases through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media and the government. In Type 2, the media thought that the current infectious disease disaster report was playing a proper role, and the restoration of the media's trust relationship was an important value. The third type was named the sidewalk rule-oriented type. Reporters of this type thought that the problem of reporting infectious diseases could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reporting rules. They are a group that believes that the problems caused by reporting infectious diseases should be improved by improving systems such as manuals, rules, and quarantine guidelines in reporting infectious diseases. Type 4 was named journalism principle-oriented. They are a group that emphasizes thorough content verification a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reporting new infectious diseases. This type of reporter weighed on verifying the contents, an important principle of journalism, and recognized the production of fake news through foreign media citation articles or false information as a big problem in reporting new infectious diseases. Research Question 2 attemp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journalists' awareness of infectious disease reports divided into typologies and the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Taken together, some meaningful contents could be found. First, reporters were a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reporting disasters for new infectious diseases based on the journalism principle, but personally perceived the subject of responsibility to abide by this principle differentl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o be divided into those who value the capabilities of individual reporters and those who value external capabilities such as improving systems such as media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or reporting rules. Second, reporters shared negative view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infectious disease reporting rules in the field. This means that the chronic disaster reporting problem of the domestic media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is still continuing, and it can be seen that it still serves as a rule as a document that is not commonly used in the field. Third, I generally sympathized with the difficulties of content in reporting new infectious diseases. While actively sympathizing with the efforts to find appropriate expressions for the situation, reporters also agreed that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infectious disease reports. Fourth, reporters recognize the disaster reporting and reporting process as the concept of universal service. In the process of reporting an infectious disease disaster,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thought efforts were needed to minimize blind spots in reporting infectious diseases, and as it was a crisis situation, it was important to deliver infectious disease reports to the public, including an appropriate level of crisis awareness. Research Question 3 attempt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reporting infectious diseases whe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categorized problem consciousness,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In this study, among the criteria for various types of recognition,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by dividing them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First, internal factors were divided into three issues: factors for improving reporter personal competency, problems with reporter safety, and improvement of reporting practices. The factor in improving reporters' personal capabilities is that in the situation of reporting new infectious diseases, various errors due to lack of expertise of journalists need to be removed and more efficient reporting of infectious diseases is needed. The issue of reporter safety is considered important in common among all types of respondents, stressing that the existing method of reporting is not appropriate for the spread of new infectious diseases. The third improvement plan is a matter of improving reporting practices. This is the longest problem pointed out in existing disaster reports, and it can be seen as a problem of changing the way media coverage is conducted. In particular, all types of respondents deeply sympathized with the prohibition of sensational and provocative reporting based on the principle of journalism. The current infectious disease reporting rules include principles for the verification of reporters and the prohibition of false or speculative reports. However, respondents said that the reason why this principle is not well followed is from the Korean media's reporting practices. External solutions can be approached in terms of stronger compliance with rules, such as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or external system preparation, not inside the media. First, the preparation of laws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is a dem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with the government or related organizations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reporting environment. Usually, the media plays a role of criticism and surveillance against the government. However, considering the special situation of a new infectious disease, the media emphasized the need for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the government or related organizations. The second improvement plan for external solutions is the improvement of the disaster reporting rules. This is a feature that appears in all types, and each has a different direction of improvement, but everyone agrees with the need for improvement in matters related to the current disaster reporting rules. Journalists understood the principles of journalism well in the field, and in order to follow these principles well, the foundation for each media company to enact and abide by specific reporting rules must be laid. So far, several reports of disaster situations have reduced the status of the media and have been subject to continuous criticism. In addition, many researchers have pointed out problems in the disaster reporting process and demanded reform. This study differs from other studies by examining how journalists deal with the current infectious disease disaster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journalists, not from a phenomenal and consequential aspect. In a disaster situation, the media is obligated to protect the people from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s by delivering accurate and prompt information to the people.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futu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journalists who are producers of such disaster reports. This is because journalists should have a system to produce news quickly and accurately when facing a new infectious disease situation such as the COVID-19 virus agai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practical improvements in reporting infectious diseases through the perception of journalists.

      • 재난보도의 정치화 연구 : 프레임 분석과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이단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월호 대참사는 476명의 탑승객 중, 생존자는 단 172명이며 실종자를 포함한 사망자는 301명이다. 9명의 실종자를 찾지 못한 채, 2014년 11월 11일 수색이 종료되었다. 세월호의 침몰 원인은 무리한 증축과 화물적재로 복원력을 잃은 것으로 밝혀지면서 청해진 해운, 규제완화 정책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또한, 세월호 침몰 초기, 중앙안전대책본부는 탑승객의 수를 헤아리지 못하고 몇 차례 수정하였으며, 현장에 출동한 해경 또한 소극적인 구조활동으로 초기대응에 실패하였다. 또한, 세월호가 기울어 침몰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가만히 있으라’는 안내방송을 내보낸 뒤 자신들만 빠져나온 선장과 선원 또한 지휘자로서 비윤리적인 행동을 보였다. 즉, 이러한 초기대응의 실패와 잘못된 안내방송이 인명피해를 더욱 키운 셈이다. 세월호 대참사는 이처럼 여객선의 좌초로 인한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정부의 초기대응, 선장과 선원의 비윤리적 행태, 정경유착 등의 문제들이 결합된 복합적 재난이다. 즉, 이러한 복합적 재난이 발생했을 때, 언론의 보도 프레임을 살펴봄으로써 언론이 재난을 재현하고 재구성하는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재난의 상황에서 언론은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 언론은 세월호 대참사에서 ‘전원 구조되었다’는 오보는 최초의 오보이자 최대의 오보를 시작으로 속보경쟁에 휘말려 받아쓰기식 보도,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기사들로 윤리가 실종된 모습까지 보였다. 또한, 세월호 특별법을 정치적 투쟁으로 몰아가거나, 유병언이라는 인물에 치우쳐 본질적인 문제를 논의하거나 대안을 모색하기 보다 본질을 흐리는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언론의 행태는 대중들의 비판을 받으며 ‘기레기(기자+쓰레기)’라는 신조어가 탄생하였다. 재난은 언론을 통하여 대중에게 전달되며 기자는 재난을 관찰하여 대중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재난 상황에서 대중은 언론에 의존하여 정보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즉, 언론은 재난의 발생 또는 재난의 상황에서 재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언론의 역할이 막중함에도 불구하고 지난 20년 동안 언론은 재난보도에 대한 비난과 반성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 않았다(윤태진, 2014). 따라서 본 연구는 2014년 4월 16일 탑승객 476명을 태우고 인천에서 제주도로 향하던 중 맹골수도 지점에서 좌초되어 발생한 세월호 대참사를 중심으로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 언론이 제공하는 재난 보도행태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에서 드러난 기사의 프레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즉, 언론이 강조하는 프레임을 살펴봄으로서 재난보도가 ‘세월호 대참사’를 어떻게 재현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드러난 재난보도의 명암을 논하고자 한다. 둘째,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를 대상으로 국면별 프레임의 변화와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세월호 대참사는 예외적으로 정치화된 재난으로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은 각각의 담론을 생산하였다. 따라서 특정한 이슈에 따라서 프레임들의 결합과 프레임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국면별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이 충돌하는 대립상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셋째, ‘세월호 대참사’ 보도에서 언론은 수많은 문제점들을 드러냈다. 언론은 대중들의 신뢰를 잃었으며 스스로 자신들의 책임을 자각하여 반성문을 내놓았다. 이러한 반성문을 언론이 어떻게 평가하며 진단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개선점을 논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단순한 프레임 분석에서 벗어나,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는 텍스트 속에서 구현된 의미와 가치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텍스트 내에 생성된 가치와 의미들이 구성하는 논리구조를 알아봄으로서 단순한 프레임 분석을 넘어서 프레임과 텍스트가 결합되어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조를 알아보고자 한다. 즉, 미디어 프레임 속에서 생산되는 가치와 의미를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해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은 같은 프레임 내에서도 강조하는 점이 달랐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들이 따로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프레임들이 다른 프레임들과 결합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책임 프레임은 다른 프레임들과 결합되어 어떠한 주장의 근거나 배경으로 작용하였으며, 책임 프레임이 강조되면 될수록 정쟁 프레임으로 번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정치적인 상황에 따라서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은 정치적 이념에 따라서 필요한 프레임을 적절하게 결합하여 사용하며 대립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기레기론은 세월호 대참사에서 보여준 언론의 행태를 비판하는 양상을 보였다. KBS외압논란과 맞물리며 권력과 언론의 유착을 비판하고 이에 따라서 보수언론을 비판하는 형태로 흘러갔다. 대체로 진보언론에서 기레기론과 관련된 보도량이 많았으며, 하지만 스스로 반성하는 태도보다는 다른 언론사 특히 보수 언론을 비판하는 형태로 흘러갔다. 세월호 대참사에서 보여준 언론의 보도행태는 과거의 연구에서 지적했던 점을 반복하였다. 특히 세월호 대참사가 정치화 되면서, 다른 무엇보다 이념에 기대어 보도하는 행태를 보였다. 언론사의 이념적 성향이 문제시 되는 이유는 사건의 본질을 흐릴 우려가 있으며 또한, 수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월호 대참사에서 언론은 바닥을 보였지만, 각각의 언론에서 반성문이 터져 나온 것에 의의를 두어 앞으로는 더 나은 언론을 기대한다. Among passengers 476, the survivors of the disaster of the Sewol ferry are only 172 people, deaths toll including missing persons are 301 people. Nine missing persons is not found and the search was terminated on November 11, 2014. The cause of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has lost force of restitution as excessive expansion and cargo. Hereby the issue of shipping company and deregulation policy has emerged. In addition the Sewol ferry sank early, the government has not counting the number of passengers, has modified sever time and the marine police gone to the scene failed to deal with a passive structure activity early. In addition, the liner sinking and tilting even in a situation that after announcement ' Let there still ', escaping their own captain and crew seemed unethical behavior as the conductor. In other words, the failure of this initial response and invalid announce raised further damage of human. The disaster of the Sewol ferry is not a mere accident sinking ferry, but the complex disaster combined with Government's initial response, unethical behavior of captain and crew, a back-scratching alliance of government Etc. In other words, when these complex disaster has occurred, as looking at media frames of reports, recognize Characteristics that reproduce and reconstruct disaster. In the situation, what role did the media? In a disaster, Stating "All the structure was' to e false report, media seemed to look ethics is missing through report dictation style, with provocative and sensational articles. In addition, the media were obscuring the true nature rather than seeking an alternative to the intrinsic or discuss the issue as driven by Sewol ferry special laws into the political struggle or leaned in Yoo Byung-Eun. The behavior of such media is public criticism and was born now word called Gilegi(reporter + waste). Disaster is delivered to the public through the media and journalists observed the disaster serves to inform the public. In a disaster situation, the public must to accept the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media. In other words, the media should be carried out as a disaster communications role in emergency situation. However despite important the role of the media, over the past 20 years the media has not improved despite the criticism and reflection. (taejin yoon, 2014). Thus, Focusing on disaster of Sewol ferry carrying passengers 476 people occurred during the en route from Incheon to Jeju Island, this study has the purpose looking at disaster report provided by the media behavior. First,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article frame, <Chosun Ilbo> and <Hankyoreh newspaper>. In other words, media as looking at the frame to emphasize, look at how to reproduce the disaster that disaster report and Through this discus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isasters report. Second in the subject <Chosun Ilbo> and <Hankyoreh newspaper>, investigat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junctural frame. Disaster Exceptionally politicization produce the respective discourses of conservative media and advanced media. Therefore, depending on the specific issue investigate combine and evolution of the frames and analyze opposition of <Chosun Ilbo> and <Hankyoreh newspaper>. Third, the media has revealed a number of problems in sewol ferry disaster. The media has lost the confidence of the public, themselves recognize their responsibilities and wrote a letter of apology. How evaluate and diagnosis investigate the media and through this discuss the improvement. This study turn aside simply frame analysis, it investigat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text, which form a frame. As investigate a logical structure organizing the values and meanings within the text,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forming a frame combined with the text and frame. Through text analysis, analyze created value and meaning in the media frame. Results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newspaper> were different points of emphasis within the same frame. In addition, each of the frames are not present separately but each of the frames were to be combined with other aspects frame. In particular, responsible frame is combined with other frames used to act as a background or evidence of argument, the more responsibility frame was strongly emphasized the more fight frame was emphasized. In addition, according to political ideology, the <Chosun Ilbo> and <Hankyoreh newspaper> was us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necessary frame and showed on confrontation. Finally, in Sewol ferry disaster the Gilegi showed a tendency to criticized the behavior of the media. criticized Coalescence of power and the media with KBS external pressure and it flowed in the form of criticizing the conservative media. The amount of report related to Gilegi .were large in advanced media. but it especially flowed into a conservative media critics rather than reflect on attitudes to themselves. In disaster the behavior of the media has repeated that was pointed out repeatedly in past studies. Especially as politicizing the disaster, the media report showed form leaning ideology. The reason that the problem of ideology of the media have risk obscure the nature of the ev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In disaster the media showed the floor, have the significance wrote letter of apology in each of the media, in the future expect to be better media.

      • 지상파 뉴스조직의 재난보도 프레임 결정과정 연구 :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붕괴사고를 중심으로 : In case of reports on the roof collapse at Gyeongju Mauna Ocean Resort

        이수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붕괴사고’를 중심으로 방송사 뉴스조직 내에서의 재난보도 프레임 결정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프레임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이 주로 텍스트 분석을 통해 뉴스 프레임을 발췌하고 비교, 분석하는 양적 분석에만 치중되어 있어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양적․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총 600여건의 지상파 3사 뉴스의 내용분석을 통해 프레임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붕괴사고’를 직접 취재․보도 또는 데스킹한 기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게이트키핑, 조직문화의 통제적 특성, 지역방송의 내부 식민지화 요인들이 보도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재관행: 재난보도에 대한 서사적 접근, 뉴스 제작과정의 사회화, 미디어 간의 경쟁 요인들이 다른 요인을 거쳐 중개적으로 보도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원과 출입처 조직 요인은 뉴스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프레임이 형성 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슈의 배경과 맥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뉴스제작과정에서 개인차원, 뉴스 조직차원, 조직 외부차원의 하위요인들이 명시적, 우회적, 잠재적 관계를 통해 재난보도 프레임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타나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frame making processes by public broadcasting operators in their coverage of the roof collapse accident at Gyeongju Mauna Ocean Resort. While the previous researches mainly relied on quantitative analysis on news frame extracted from news texts, this study is based 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n previous researches. With the frame analysis on more than 600 news stories from 3 major broadcasting operators featured the roof collapse accident an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news reporters who covered themselves the accident, it is found that the news frame i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by many different factors such as; First, the gatekeeping, the contro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internal colonialization of local broadcasters, which are directly influential on framing of the reports, Second, the reporting practice, the socialization of news making process and the competition between news media, which also work as factors to indirectly affect the framing of the reports, Third, the sources used for reports which are also important elements to be taken into account in framing of the reports. In conclusion, the news frame in disaster reports is influenced through explicit, indirect and potential relation between factors created individually, organizationally or from outsider the organization in news making process.

      • 재난보도의 피해자 인격권 침해 : 세월호 참사 방송뉴스를 중심으로

        송유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2014년 세월호 참사 보도에서 발생한 비윤리적이고 선정적인 보도는 피해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는 윤리적 문제뿐만 아니라, 피해자의 인격권 침해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에 그 심각성이 강조된다. 특히 영상을 활용해 시각적으로 피해자의 모습을 보여주는 방송보도 과정에서 초상권과 사생활권이 침해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KBS와 JTBC의 세월호 방송보도를 샷(shot) 단위로 분석함으로써 방송사별로 피해자의 초상권과 사생활권이 어떻게 얼마나 침해됐는지, 또한 보호되었다면 어떻게 보호됐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세월호 보도 중간에 발표된 세월호 참사 가이드라인 전후 보도 비교를 통해 피해자 인격권 침해 개선 정도를 비교해보았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는 공영방송인 KBS가 JTBC보다 초상권과 사생활권 침해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주목 할만한 점은 KBS의 경우 보도 초반에 문제가 됐던 장면들이 보도 후반부로 갈수록 개선됐으며, 가이드라인 발표 이후 인격권 침해의 문제 소지가 있는 장면이 확연히 줄어들었다. 그러나 JTBC의 경우 20일 발표된 가이드라인에 개의치 않고 계속해서 피해자의 초상권과 사생활에 대해 배려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JTBC는 보도 당시 피해자의 입장을 가장 많이 대변해준 방송사로 세월호 참사 피해자와 국민의 신뢰를 얻었으나, 피해자에 관한 내용을 많이 다룬 만큼 그들의 초상권, 사생활권 등 인격권 침해에 있어 형식적으로 많은 부분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인터뷰 장면에서 발생한 초상권과 사생활권의 침해는, 전반적인 초상권과 사생활권 침해 비율과 별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는 더욱 신경 써야 할 인터뷰 화면에서도 여전히 인격권 침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문제로 지적된다. 또한, KBS가 JTBC보다 같은 인터뷰의 반복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 외에도 사연 위주의 리포트에서 인격권 침해가 많이 발생했으며, 인격권 보호처리가 방송사 내에서도 일관되지 못하고 허술했다는 점 등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Media coverages of 2014 Sewol ferry incident have received criticisms for their unethical and sensational coverage of victims. Not only do such media coverages contain ethical issues but more importantly, they could lead to the problem of invasion of victims’ personal rights. In particular, victims’ privacy and portrait rights are more likely to be violated during the process of TV news coverage that includes visual images of victim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KBS and JTBC’s media coverage of Sewol ferry incident in order to examine the degree of victims’ personal rights invasion and how the victims’ personal rights were protected if they were protected. Also, this study looks at the level of improvement in terms of victim’s personal rights invasion by comparing media coverages before and after the ‘Coverage guideline for Sewol ferry’ was released. According to the results, KBS was found to be violating victim’s personal rights more often than JTBC in general. However, KBS media coverages containing personal rights invasion issues showed improvement throughout the coverage period. Also, the number of shots containing controversial images in terms of victim’s personal rights invasion decreased visibly after the release of the ‘Coverage guideline for Sewol ferry.’ On the other hand, JTBC was found to be covering victims without consideration for their personal rights regardless of the guideline that was released after the incident. JTBC has gained the public’s trust as a media that spoke for victims during the incident, but during the process of covering victims on television news, issues related to victims’ privacy and portrait rights seemed to have emerged. The ratio of invasion of victim's privacy and portrait rights in interview scen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overall ratio. This indicates that interview scenes, which are supposed to be more concerned with victim’s personal rights than other scenes, contained issues related to personal rights invasion. In addition, KBS was found to be covering the same interviews of victims more repetitively than JTBC.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oblem of personal rights invasion emerged more often in news reports that were focused around victims’ personal stories, and that the protection of victim’s personal rights within each broadcasting company was very inconsistent and poorly done.

      • TV 재난 보도 영상의 기호학적 연구 : 대구지하철참사 보도영상의 약호 분석을 중심으로

        이승열 공주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를 통하여 재난보도영상에서의 기호적 구성방식(영상제작기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텔레비전 영상으로서 보도영상은 사실을 있는 그대로 전해주는 리얼리티 영상의 가장 대표적인 영상으로 구분 할 수 있었다. 특히 재난보도영상에서는 잘 짜여진 행위나 잘 정돈된 화면에서보다 어지럽고 다듬어지지 않거나 정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리얼리티의 강력한 힘을 발휘하였다. 대구지하철 참사 재난보도영상에서의 기호적 구성방식 분석 결과를 토대로 텔레비전 재난보도영상의 보도방식에 관한 문제와 대안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보도영상은 절제된 리얼리티가 필요하다. 생생한 현장감이야말로 보도영상에 최고의 리얼리티를 살릴 수 있는 요소이다. 재난사고는 예기치 않은 순간에 발생하기 때문에 사고순간의 현장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빠른 현장접근과 2차적 구성이 가미되지 않은 사실을 전달할 때 시청자들은 진정한 리얼리티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감정적이고 과장된 리얼리티는 시청자들에게 사고의 본질에 대한 왜곡과 피상성을 불러 올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들이 감정적으로 동요하지 않는 차분하고 냉정한 보도영상이 필요하다. 둘째, 재난보도영상은 정확성과 객관성을 요구한다. 사고초기에는 피해 상황과 진행상황에 대한 추측성이 아닌 정확한 보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사소 수습기에는 재난의 일차적, 직접적인 원인 파악에 대한 객관적인 보도를 하는 동시에 추가 피해자가 없도록 예방보도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마무리 기간에는 재난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동시 유사 재난에 대비한 사회적 안전체계의 점검과 문제점에 대한 객관적인 개선방안 있을 때 또 다른 재난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셋째, 재난보도영상에는 선정성을 기반으로 하는 일종의 흥미성이 있다. 재난이라는 희소성과 특수성으로 인한 시청자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요소가 많이 있다. 보도영상이 시각중심이라는 인식론과 함께 이미지를 생산해내는 기술의 발달로 존재하지 않는 현실까지도 재생산이 가능하므로 시청자들이 원하는 호기심과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다. 그러나 흥미를 위한 이미지 재생산이 자극적이고 선정적일 때 시청자들에게 이성보다는 감정이 앞선 편향된 시각을 갖게 한다. 재난보도영상은 사실과 의견을 혼동하지 않고 비상업적이며, 보도의 객관성, 일관성, 정확성, 현장성을 유지하여 재난사고에 대해 국민을 냉정한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때 그 영상이 지니는 사회적 가치실현이 유의미하게 나타날 것이다. 텔레비전 뉴스 보도영상은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인간의 무의식과 감정에 호소하기 때문에 사회적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던 형식적 고찰에 비해 내용적 연구라는 측면에서는 소홀했던 경향이 있다. 특히 재난 발생시 보도과정에서 파생되는 국민의 알권리와 개인의 권익에 관한 대한 연구의 부족과 연구분야의 특수성과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As a TV image, news image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most representative image of reality images which deliver the scene as it is to people. Especially, in disaster news images they showed people its strong reality power better in the disordered and disorganized situation than in the organized plots. Under the analysis result in a symbolically-organized way, I'll summarize the problem and the alternative about the way of reporting disaster images on TV. First, a disaster news image needs some moderate reality. Only the vivid actual feeling to be in the scene can tell people the reality of the news image the most. Due to the reason that a disaster happens unexpectedly, it's not easy to record the moment. So when the TV audience have some real story which doesn't have any efforts to access the scene and artificial plots, they feel the right reality. But an emotional and exaggerative reality can cause distortion and superficiality about the accident's intrinsic nature. So, a composed and cool reporting image which doesn't make the audience waver is needed. Second, a disaster reporting image requires its accuracy and objectivity. In the early of the accident an accurate report, not guessing one, dealing with the damages and the progress of the event should be made. And in the period of coping with the accident, a preventive report as well as an object report about the understanding of the disaster's primary and direct cause should be made not to have extra victims. Lastly in the concluding period, not only the understanding of the disaster's fundamental factor but also inspection in social security system to prepare for similar disasters and programs for improvement of the problems should be made. Only when there are objective plans for its betterment, the news image can play its role to prevent another disaster. Third, in reporting image of disaster, there are a sort of interesting things based on certain factors to attract people. There are many parts to attract the audience by scarcity and particularity in terms of "DISASTER". Because news images along with people's vision-oriented recognition can reproduce anything including nonexistent realit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current technology to produce any images, they can satisfy the TV audience by solving the curiosity and desire they might have. But if image reproduction is too stimulative and too much, the TV audience would have partial opinions by their emotions, not by their reasons. Disaster reporting image won't have its sincere meaning to make social value come true until it plays a role to strengthen people's calm cooperation awareness by keeping both not for business without confusing between the fact and the opinion and its objectivity, consistency, accuracy and actual feeling to be in the scene.

      • 중국 언론의 재난 보도 특성 연구: : <인민일보>와 <쓰촨일보>의 쓰촨성 대지진 보도를 중심으로

        후란양 청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국 수도에서 발행되는 <인민일보>의 보도와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서 발행되는 <쓰촨일보>의 보도 행태를 대해 보도패턴(기사수, 기사유형), 정부에 대한 책임추궁과 구제노력 프레임, 일화적보도 vs. 주제적보도, 정보원 유형 관점에서 분석했다. 기사유형과 관련, 두 신문 모두 사실보도에 치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를 비판하거나 책임을 추궁하는 기사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정부의 구조노력을 보도하는 내용의 기사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기존 연구와 매우 유사한 결과였다. 또한 기사는 대부분 일화적 보도 형태를 띠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보원은 정부 관련 정보원이 대부분이었다. 재난 보도 시 중국의 언론보도는 한국이나 서방진영의 보도 행태와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대지진과 같은 자연재해 등 국가위기 보도 시 정부에 의한 지나친 보도통제는 사건의 진실규명과 구조노력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자연재난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연간 80만 명 정도가 사망하고 6천 290억 달러(약 730조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재난은 양적으로 현저하게 큰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야기하고, 그 피해로 인해 사회체계 전체가 마비될 수 있는 위급한 상황을 말하기 때문에 언제 어떤 형태로 위협할지 모른다. 그렇다면 중국국내언론사들의 보도태도는 어떠했을까? 1976년 7월 28일, 중국 당산(唐山)에서 강도 7.8의 대지진이 발생하였다. 중국국내언론사들은 대대적으로 보도하였지만 당시 보도에서는 지진의 구체적인 피해규모를 밝히지 않아 외부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 같은 모습으로 중국국내언론사들이 추측 및 과잉보도의 태도를 보였다는 평가들이 제기되었다. 당산 대지진이 발생한 30년이 지난 2006년, 인명피해가 24만 명이라는 사실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는데 이 후 중국당국이 자연피해 상황을 국가기밀로 분류해 보도를 통제해왔다는 문제점들이 대대적으로 거론되었으며 정치에 이용되는 ‘친정부적 이데올로기’라는 중국국내언론기능문제도 거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표적인 정부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报)>와 쓰촨지역의 신문지 <쓰촨일보(四川日报)>의 재난보도를 대상으로 내용분석 방법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이 두 개 신문사를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주제이다. 인민일보는 정치성 신문지이고 주로 정치성 기사들과 정부당국의 당지도자들의 연설, 정치적 해설 등을 싣는다. 쓰촨일보는 쓰촨지역 시민들이 관심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문예, 스포츠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두 신문사의 재난보도 내용을 통해서 보도주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둘째, 신문사의 성격이다. <인민일보(人民日报)>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기관지로 지정되었으며 중국 언론을 대표하는 친정부 신문사이다. <인민일보(人民日报)>는 1948년 6월 15일에 중국을 대표하는 일간신문으로 베이징에서 발행되었다. 하루 발행부수는 252만 부(2010년 기준)이다. <쓰촨일보(四川日报)>는 중국서쪽지역 쓰촨에서 성립된 일간신문지이다. 이 신문지는 쓰촨지역에서 사람들이 많이 읽는 신문이고 영향력이 크며 보도내용의 종류가 풍부하다. 따라서 중앙지와 사회생활지가 재난 보도 할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신문사가 재난보도를 잘 진행하려면 보도준칙이 꼭 있어야 한다. 이유는 수용자가 신문을 잘 파악할 뿐만 아니라 기자들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방송국은 지금까지 구체적인 준칙이 없다. 그런데 지금까지 국가방송국이 정한 구체적인 재난보도준칙이 없다. 또한 중국의 재난보도와 연관된 규칙은 중국홍보부가 정한 돌발적인 공중 위생사건 관련 보도준칙뿐이다. 즉 사건에 대한 정보는 대중에게 즉시 보도해야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전면적으로 보도해야한다. 본 연구는 중국 수도에서 발행되는 인민일보의 보도와 재난이 발생한 지역 쓰촨일보의 보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했다.

      • 재난보도에 대한 한·일간 비교 연구 :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관한 조선일보와 요미우리 보도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손명선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 내재된 다양한 위험사안 중 하나인 ‘재난’에 관하여 언론이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그 속에서 어떠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일본 동북부에서 발생한 대지진과 쓰나미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이어지면서 대규모의 재난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무수한 인명피해와 동시에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2차적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한일 양국에서는 방사능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한일 양국 언론이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해 어떠한 보도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어떤 정보원과 프레임을 사용하여 민감한 위험사안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는지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탐색과정을 통해 향후 언론이 취해야 할 바람직한 재난보도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도 경향에서는 조선일보와 요미우리 모두 심층 보도보다는 단순 사실 위주 보도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조에서는 조선일보의 경우 부정적 논조가 요미우리는 중립적 논조가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된 내용은 두 매체 모두 사건 자체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요미우리는 사후 대책을 주된 내용으로 언급하고 있는 비율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제시되었다. 두 번째로, 형식적 프레임은 두 매체 모두 각 시기에 걸쳐 주제적 프레임 보다 일화적 프레임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용적 프레임의 경우, 각 시기에 걸쳐 조선일보는 대부분 오염 프레임이 요미우리는 책임 귀인 프레임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정보원 분석 결과 두 매체 모두 일본 정부 측 정보원에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요미우리의 경우에는 이것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리고 시기별로는 조선일보가 요미우리에 비해 비교적 다양한 정보원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로, 내용적 프레임과 정보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매체 모두 내용적 프레임에 사용된 정보원이 특히 일본 정부에 편향되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은 요미우리의 경우에 가장 두드러지게 제시되었다. 조선일보는 요미우리에 비해 비교적 높은 비중으로 한국 연구소/대학 정보원을 내용적 프레임에 사용하여 원인 중심에서 보도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8개의 프레임 중 일부 프레임에만 다양한 정보원이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프레임조차도 나머지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일본 정부 측 정보원에 치중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조선일보와 요미우리 모두 보도 프레임에 있어 일본 정부의 시각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한․일간 재난보도를 보도경향, 그리고 정보원과 프레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재난, 원전 관련 사고를 보도하는데 있어 언론 보도의 지향점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여러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수용자 효과를 고찰하는 연구로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 텔레비전 뉴스의 재난보도에 관한 연구 : 2000년대 주요 태풍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최현주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재난․재해는 전 세계 국가들의 난제(難題)가 되었다. 인류는 탄생 이후 끊임없이 자연재해에 노출되어 있으며, 과학의 발전이 이를 해결하는 듯 했으나 더욱 강력한 수준의 재난을 몰고 왔다. 현재 지구는 과거 어느 때보다도 급변하는 과정에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이러한 변화에 궤를 같이 한다. 그러나 재난은 그 발생 가능성과 피해의 크기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데 있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 사회는 과학의 발전으로 예측 가능한 재난에 대해서는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그 대비책을 철저히 마련해야 한다. 또한 예기치 못한 재난에 발생했을 때에는 동원가능한 모든 정보전달 채널을 이용하여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렇듯 언론의 역할은 강조되어 왔지만 그동안의 언론은 제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매해 여름 우리나라에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키는 자연재해의 하나인 ‘태풍’과 관련한 재난보도를 살펴보고, 보도 기간(태풍 이전, 당일, 이후)과 지상파 방송사 3사에 따라서 재난보도의 행태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뉴스기사 제목의 분석을 통해서 뉴스의 선정성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도기간별 태풍 보도행태를 분석할 결과 사전대책 마련에 대한 보도의 비율의 높아져, 예방단계와 준비단계의 재난보도가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단순사실정보 전달 위주의 소나기식 보도행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재난보도의 문제점으로 나타났으며, 재난 이후 사회안전시스템 등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여 방재기관으로서 언론의 역할에 대해 제고해야할 필요성이 드러났다. 셋째, 각 방송사별 재난보도행태를 비교 분석한 결과, 재난보도에 있어 방송사간의 보도량, 보도내용, 정보원유형, 기사 유형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각 방송사들의 재난보도 매뉴얼과 취재 체계를 확립하고 전문성을 획득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넷째, 뉴스기사의 제목을 분석한 결과 ‘과장․확대’되거나 ‘감정적․주관적’인 어휘 사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보도태도를 지양하기 위하여 범 언론계적인 재난보도 준칙 마련이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앞선 연구문제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재난보도는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과도기 상태에 놓여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간 반복적으로 발생한 같은 유형의 재난의 보도행태를 점검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재난보도의 특징 및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었으며, 재난보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발견했다는 점 그리고 국내 언론의 재난방송 시스템과 보도준칙 마련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isaster’ is the difficult problem to all countries of the world. After birth of human being, we have been constantly exposed by disasters. The advance of science seems to solve that problems, but it is getting more serious. These days The earth is in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than ever before and South Korea also has the same way of changing.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predict the probability and the extent of risk, it is very hard to be prepared for disasters. In other words, disasters have various faces and those occur irregularly, thereby no one can be free from such dangers. In oder to minimize the damage, our society has to build a risk communication system with available communication channels in. Despite such enormous significant, however, the Korean press has not performed well its role or function so far in terms of disaster broadcasting.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disaster broadcasting related to Typhoon Rusa, MEGI, NARI, and BOLAVEN/TEMBIM that caused heavy damage each summer for about 10 years. Moreover, the study aims to contemplate the disaster reporting behavior according to coverage period(before, the day, and after of typhoons) and each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KBS, SBS, and MBC) and to examine how suggestive news headlines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 on coverage period is that prevention phase had been improved. Second, media coverage was dominated by straight news stories dealing with basic information. The discussion about the framework of society like a social security system is not enough. So a role and function of the press as a disaster prevention establishment need to be enhanced.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n broadcasting behaviors of three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s,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em. So, all broadcasters have to build a methodical reporting system.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news headlines, ‘the exaggerated’ and ‘emotional and subjective’ words were persistingly used. So, reporting regulations that every press has to observe should be builded up. On balance, disaster broadcasting is now going through a period of transition. In conclusion,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is study examined the same type of the disasters for the last 10 years and found positive changes of disaster broadcasting and discussed about the need of building a disaster broadcasting system and a reporting regulations.

      • 재난보도 관련 국-민영 인터넷 미디어 비교연구 : 인민망과 봉황망의 코로나 19 보도

        리위엔칭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제목은 ‘재난보도 관련 국-민영 인터넷 미디어 비교연구-인민망과 봉황망의 코로나 19보도-’이다. 본 연구는 6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 서론에서 본 연구의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과 의의를 설명하였다. 2019년 말부터 2020년 초반 중국 우한(武漢)에서 강력한 전염병이 발생한 후, 중국 최대 명절 춘절(春節) 대이동과 함께 전염병의 심각성이 빠르게 대두하였다. 초기 ‘미확인 폐렴 바이러스’에서 후기 백신 개발까지, 초기 전염병에 대한 사람들의 공포에서 후기 사회적 질서 회복까지, 초기 중국 전역에서 발생하여 전 세계적 사태로 확산된 코로나19 사건으로 인해 의료 시스템 뿐만 아니라 전염병과 인류공동체에 대한 인류의 인식까지 위협을 받고 있다. 국영 미디어와 민영 미디어라는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뉴스 사이트 <인민망>, <봉황망>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두 뉴스 사이트는 각기 다른 정체성과 보도 스타일을 갖고 있지만 인터넷 뉴스 미디어의 선두에서 각기 다른 보도 프레임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인터넷 미디어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에 따라 <인민망>, <봉황망> 두 개의 대표적인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 재난보도에 대한 인터넷 미디어의 보도 프레임을 고찰하였다. 제2장에서 사회주의 미디어, 재난보도에 관련 선행연구, 인민망과 봉황망, 미디어 프레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소련과 중국에서 사회주의 미디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인민망, 봉황망의 발전 현황 및 중국에서의 정체성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재난보도와 관련 선행연구 뿐만 아니라. 미디어 프레임 이론의 개요와 프레임 이론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장명신의 개념 시스템 단계, 의제선정 단계, 텍스트 구조 단계를 본 연구의 프레임으로 삼았다. 제3장에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와 방법을 설명하였다. 3가지 연구문제를 구성하였는데 <인민망>과 <봉황망>의 프레임은 개념 시스템 단계, 의제 선정 단계, 텍스트 구조 단계에서 각각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연구하였다. 세 가지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장명신의 미디어 프레임을 기반으로 내용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1월 19일부터 2021년 5월 19일까지 약 4개월 기간 동안 <인민망>과 <봉황망>에서 진행된 뉴스 미디어의 보도 내용을 선정했다. 본 연구는 장명신의 분석 구조를 바탕으로 세 가지 단계를 가치 프레임, 사건 프레임, 세부 프레임, 의학 프레임, 예방 프레임, 사회 프레임, 정치 프레임, 기타 프레임, 주제 프레임, 파편 프레임 등 9가지를 구분했다. 내용 분석 측면에서 보도논조, 보도유형, 보도분야, 정보원, 보도소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제4장과 제5장에서 장명신의 연구 방법과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국영 미디어 <인민망>과 민영 미디어 <봉황망>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제4장 장명신의 미디어 프레임 부분에서 가치 프레임, 사건 프레임, 세부 프레임, 의학 프레임, 예방 프레임, 사회 프레임, 정치 프레임, 기타 프레임, 주제 프레임, 파편 프레임 등 9가지 측면에서 비교 분석을 했다. 세부 프레임과 주제 프레임에서 장명신의 말 분석법을 사용하여 국영 미디어 <인민망>과 민영 미디어 <봉황망>이 개념 시스템 단계, 의제선정 단계, 텍스트 구조 단계에서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제 5장은 내용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종합하였다. 중국 국영 미디어를 대표하는 <인민망>은 국가 이미지 구축 및 이데올로기 선전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중국의 정치 메커니즘은 중국 공산당을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인정하는 정치 제도 속에서 중국 공산당은 이데올로기의 주요 주체로서 자리를 잡고 있다. 이와 같이 특수한 상황에서 이데올로기 선전은 국영 미디어의 근본적 목표로서, 국영 미디어는 중국 공산당으로부터 직접 관리와 검열을 받는다. 국영 미디어는 이데올로기의 선전을 목표로 <인민망>은 각 미디어의 보도 내용을 종합한 후, 이 중에서 중요한 정보만을 선정하여 전달하였다. <인민망>은 창립 이후, 줄곧 중국 최고의 국영 미디어로서 중국 공산당의 방침, 정책, 지도 강령, 가치 등을 적극적으로 선전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인터넷 시대에서도 뉴스 미디어의 방향이자, 중국 최고 뉴스 미디어로 주목을 받고 있다.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인민망>은 국영 미디어의 대표주자로서 공산당 중앙, 고위 지도부의 방역 작업 통제, 자원 배치, 사회 및 경제 회복 등 측면에서 정책 정보 등을 전달하는 중요한 임무를 담당하였다. 특히, 중국인들의 일상생활 회복과 사회 및 경제발전 재개를 위해 코로나19, 방역 작업 등에 대해 정보를 전달했다. 중국 주요 민영 미디어 중 하나인 <봉황망>은 창립 이래 정확한 뉴스를 전달한다는 원칙을 고수해오면서 민영 미디어 중에서도 대중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민영 미디어로서 사실적인 보도를 그대로 대중에게 전달하면서 동시에 주류 가치관을 이끌어내야 할 책임이 있다. <봉황망>은 이번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정부, 국가 등 대중적인 시각에서 보도를 진행한 <인민망>과는 달리 직접 기자를 파견하여 현장의 중소기업과 일반 시민 등을 인터뷰하고 다양하고 심도 있는 기사를 써내 큰 호평을 받았다. <봉황망>의 보도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대중들의 불안감과 긴장을 풀어주는 효과를 이루었다. 코로나19에 관한 재난보도 과정에서 국영 미디어는 중국 정부의 정치적 성과와 권위성에 부합한 소재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중국 정부와 부합한 소재를 선정하지 못할 경우, 자칫 사회 혼란 및 민심 동요라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민영 미디어는 국영 미디어에 보조적인 시각을 갖고 보다 대중 친화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결과적으로 국영 미디어와 민영 미디어는 상호협력의 관계를 구성하며 코로나19라는 재난보도를 수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The topic of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f State and Private Internet Media related to disaster reporting: People's Daily Online and Phoenix Network's COVID-19 report.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of introduction, it introduced the opportunity,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From the end of 2019 to the beginning of 2020, a fierce epidemic invaded Wuhan, China, and with the personnel flow of the 'transport during the Spring Festival period', the severity of the epidemic was accelerated and expand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neumonia with "unknown virus” to the gradual launch of vaccine development in the later stage, from the panic of people initially facing the epidemic to the gradual returning to normal of social order in the later stage, and from an epidemic that only raged in mainland China to a global epidemic in the later stage, the “COVID-19” epidemic has challenged the medical system, and also tested the understanding of all mankind on infectious diseases and the human community. This paper takes the representative news websites of state-owned media and private media as the research objects, which have different positioning and different reporting styles, but are both in the forefront of the development of network news media. The construction and production of their reporting frames have reference significance for other network media platforms. Therefore, starting with these two representative network media platforms, this paper tries to find some suggestions on the frame of disaster reporting for the network media of state-owned media and private media.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study, it theoretically discussed the socialist media, People’s Daily Online, Phoenix Network and the media frame.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it introduced the advanced research on socialist media in the Soviet Union and China in the study, the development of People’s Daily Online and Phoenix Network and their positioning in China. In addition, it also introduced the definition and origin of the theory of media frame in the study, as well as the prior research on it. Finally, the study has determined the frame of the whole paper with reference to the conceptual system level, topic positioning level, and text structure level of Zhang Mingxin’s media frame. The third chapter is about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Is there any frame difference between People’s Daily Online and Phoenix Network at the conceptual system level? Is there any frame difference between People’s Daily Online and Phoenix Network at the topic positioning level? Is there any frame difference between People’s Daily Online and Phoenix Network at the text structure level? In order to analyze these three question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based on Zhang Mingxin’s media frame,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is the final analysis method of this paper. In this study, the four months from January 19th, 2020 to May 19th, 2021, when news reports were released by the two media platforms, were selected as the inspection time. Based on Zhang Mingxin’s analysis structure, this study subdivided the three levels into 9 aspects, that is, value frame, event frame, detail frame, medical frame, social frame, political frame, other frame, theme frame and fragment frame. In terms of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it was analyzed from the aspects of report keynote, report layout, report field, report source and report theme. In the fourth and fifth chapters of this study, it respectively adopted Zhang Mingxin’s research method and content analysis method to carry out specific analysis on the state-owned media People’s Daily Online and the private media Phoenix Network. In the fourth chapter, Zhang Mingxin’s media frame is compared and analyzed from 9 aspects, that is, value frame, event frame, detail frame, medical frame, social frame, political frame, other frame, theme frame and fragment frame. In the detail frame and theme frame, it used Zhang Mingxin’s discourse analysis to assist in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ate-owned media People’s Daily Online and the private media Phoenix Network in concept system level, topic framework level and text structure level. In the fifth chapter, it is supplemented by content analysis,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People’s Daily Online is the representative of China’s state-owned media, which needs to fulfill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image and the publicity of political ideology. China’s political system is a political system in which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s the only legitimate ruling party a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s the only ruling party is in line with the objective needs of China’s historical development and future development. Under this special national condition, the state-owned media which takes political ideology propaganda as its fundamental goal mainly refers to Party newspapers, Party journals and all Party media directly managed and controlled by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the fundamental goal of state-owned media is to propagate political ideology and national ideology. Since its establishment, People’s Daily Online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state-owned media platforms in China, which plays an important positive role in actively propagandizing the Party’s guidelines and policies, guiding principles and lines, and value pro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one of the most important “entry point” for public opinion guidance in China in the era of Internet.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serious state-owned media, in the reports on COVID-19 epidemic, People’s Daily Online undertakes the important task of the CPC Central Committee and superior leaders to upload and issue information policies on epidemic prevention, resource allocation and social economic recovery, etc.,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assurance for the people to resume normal life, the society to return to the track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o carry out the epidemic prevention work correctly. Phoenix Network is one of the important private media platforms in China, which has been adhering to the principle of objective and accurate news production since its establishment, and enjoys a high reputation in the field of private media news. As the representative of private media, it not only needs to truthfully report and disseminate facts to the audience, but also shoulders the obligation to guide mainstream values. Therefore, when dealing with marginal and sensitive topics and events, more importantly, it should actively advocate the values of fairness, justice and inclusiveness. As the representative of private media, Phoenix Network has been widely praised for its coverage of COVID-19. When the state-owned media focuses more on the reporting angles of the government and the state, Phoenix Network has assigned reporters to follow up, interview and report on small people and small businesses, and has written a number of in-depth reports for explanation,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lieving people’s tension about the epidemic. In the face of the very special disaster coverage of COVID-19, the nature of the state-owned media determines that its selection of news reports must conform to the political correctness of the Chinese government and represent its authority, and its slightest mistake may lead to turbulence and instability of the society and the people. However, in the face of such disasters, private media can only provide more comprehensive reports and contents close to people themselves from the auxiliary perspective, and assist the state-owned media in moving closer to the government’s orientation from the 'emotional' aspect, so as to form a joint force with the state-owned media and help China and its people to go through the difficult period together. 本研究的題目是關於國營-民營網絡媒體災難報道的比較研究-以人民網和鳳凰网的新冠疫情報道爲例。本研究爲六章。 在第一章緒論中介紹了本研究的契機以及本研究的目的和意義。2019年末至2020年初,一場來勢洶洶的傳染病侵襲中國武漢,隨著“春運大軍”的人員流動,加速並擴大了此次疫情的嚴重性。由開始的“不明病毒”肺炎到後期疫苗研制逐步開展,由初期人們面對傳染病的驚慌到後來社會秩序逐漸恢複正常,由僅在中國大陸境內肆虐到後期演變爲一場全球性的疫情,此次“新冠肺炎”事件給醫療體系提出挑戰,也給全人類對傳染病、對人類共同體的認識拿出了考卷。 本文以具有代表性的國營媒體和民營媒體的新聞網站作爲研究對象,網站定位不同,報道風格迥異,但都處於網絡新聞媒體發展的前列,其報道框架的構建和生成,對於其他網絡媒體來說具有借鑒意義。因此,從這兩個極具代表性網絡媒體入手,找到對於國營媒體和民營媒體網絡媒體關於災難報道框架的建議。 第二章中本研究對社會主義媒體人民網和民營媒體鳳凰網以及媒體框架都進行了理論性討論。通過理論性討論,本研究介紹了蘇聯和中國關於社會主義媒體的先行研究。以及人民網和鳳凰網的發展情況及在中國的定位。而且本研究還介紹了媒介框架理論的定義和起源,以及媒介框架理論的先行研究。最後本研究就確定了參考張明新的媒介框架概念系統層次、議題定位層次、文本結構層次爲整個論文的框架。 第三章是本研究的研究問題和研究方法。研究問題有三個。人民網和鳳凰網是否在概念系統層面存在什麼樣的框架差異?人民網和鳳凰網是議題定位層面存在什麼樣的框架差異人民網對於鳳凰網在文本結構層次存在什麼樣的框架差異?爲了分析這三個問題,本研究的研究方法以張明新的媒介框架,結合內容分析法爲論文的最後的分析方法。 本研究選取自2020年1月19日起至2021年5月19日這4個月內兩家媒體平台發布的新聞報道爲考察時間。本研究根據張明新的分析結構將三個層次細分爲價值框架、事件框架、細節框架、醫療框架、社會框架、政治框架、其他框架、主題框架、片段框架這9個方面。內容分析方面根據先行研究從報道基調、報道版面、報道領域、報道來源、報道題材來進行分析。 本研究的第四章和第五章分別用張明新的研究方法和內容分析法對國營媒體人民網和民營媒體鳳凰網就行具體分析。第四章張明新的媒介框架部分從價值框架、事件框架、細節框架、醫療框架、社會框架、政治框架、其他框架、主題框架、片段框架這9個方面進行比較分析。其中在細節框架和主題框架當中,運用張明新的話語分析進行輔助,比較出國營媒體人民網和民營媒體鳳凰網在概念系統層次、議題框架層次和文本結構層次當中的不同。第五章通過內容分析進行補充,分析結果如下。 人民網是中國國營媒體的代表,國營媒體需要履行國家形象構建和政治意識形態宣傳,中國的政治體系是實行中國共產黨作爲憲法規定的唯一合法的執政黨政治制度,共產黨作爲唯一的執政黨是符合中國曆史發展和將來發展的客觀需要的結果。由於中國共產黨是唯一的執政黨,政治意識形態的主要主體就是中國共產黨。在這種特殊的國情下,以政治意識形態宣傳作爲自身的根本目標構建的國營媒體,主要就是指由中國共產黨直接管理和控制的黨報、黨刊以及所有的黨媒,國營媒體的根本目標是政治意識形態和國家意識形態宣傳。人民網自創立以來,一直作爲我國最重要的國營媒體之一,其在積極宣傳黨的方針政策、綱領路線和價值主張上發揮著重要的積極作用,同時也是我國在互聯網時代下最重要的輿論引導“抓手”之一。作爲嚴肅的國營媒體的代表,人民網在本次新冠肺炎疫情報道中承擔著黨中央、上級領導對於此次疫情防治、資源調配、社會經濟複蘇等方面信息政策上傳下達的重要任務,爲人民恢複正常生活、社會重回經濟發展軌道、正確做好本次防疫工作提供了充分的信息保障。 鳳凰網是我國重要的民營媒體之一,成立以來一直秉持著客觀、准確的新聞生產原則,在民營媒體新聞領域享有較高美譽度。而作爲民營媒體當中的代表,不光要把事實如實報道傳播給受眾,更肩負著引導主流價值觀的義務。因此在處理邊緣、敏感的話題和事件的時候,更要積極倡導公平公正、兼容並包的價值觀。作爲民營媒體媒體的代表,鳳凰網在本次新冠肺炎疫情報道中頗受好評,在國營媒體將視角更多的集中在政府、國家等高度的報道角度的時候,鳳凰網便已委派記者進行對小人物、小企業的跟蹤采訪報道,並撰寫了多篇深度報道進行闡釋,在緩解人民對於疫情的緊張程度上起到了重要的作用。在面對新冠疫情這一極爲特殊的災難報道當中,國營媒體其本身的性質決定了其在新聞報道的選擇方面必須符合中國政府的政治爭取和代表其權威性,稍有不慎就可能造成社會的動蕩,和民心不穩。而在這樣的災難面前,民營媒體只能更多的以輔助的視角,更全面化的報道以及貼近人本身的內容,幫助國營媒體從“情感”方面向政府的導向靠攏,從而和國營媒體形成合力,幫助中國國家和人民合力度過這場難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