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70년대와 2000년대 주거단지계획의 비교 연구

        우상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2

        보다 나은 주거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 도시공공공간을 생활공간으로 인식하고, 도시계획의 영역이 아닌 주거지계획의 영역을 다루게 되는 계획경향의 변화는 우리나라 공동주택계획의 성격과 흐름을 전환시키는 중요한 시점이 되었다. 과거의 대규모 단지들이 도시 수준의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단지와 같은 개념으로 계획됨에 따라 도시로서의 체계성과 도시의 활력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했던 것에 반해 도시계획에 해당하는 지구단위계획이 설정이 되고, 그러한 계획에 따라서 단지의 연계성과 도시성을 통한 도시차원의 공간구조에 대한 새로운 고려들이 시도되었다. 이런 점에서 1970년대 강남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탄생한 잠실아파트는 우리나라 공동주택에 있어 새로운 계기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서울의 동남부에 위치한 대단지아파트인 잠실 아파트는 처음으로 근린주구론을 적용하여 종래의 단지개념에서 벗어나 자족적인 단위생활권 측면에서 여러 가지 디자인 컨셉을 보였다. 잠실은 각주구마다 공공시설 및 부대복지시설, 근린생활시설 등을 단지 중앙에 집중 배치하고, 가구단위의 생활권을 계획하는 등의 여러 가지 시도는 높이 평가 할 수 있으나 아쉬운 점도 있었다. 도시와의 관계에 있어 단지와 도시와의 연계성 부족으로 가로의 활성화 저하와 도시공공 공간의 황폐화를 초래하는 결과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이런 잠실단지가 30년이 지난 지금 재건축을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이 단지가 당대를 대표하는 사례는 아니지만 우리나라 집값의 최고를 자랑하는 강남권에 위치한 대단지로써 이 논문을 통해 잠실아파트의 70년대 사회문화적 상황과 오늘을 비교하고 그 안에 담겨 있는 계획적 개념을 상호 비교하는 논문으로써 30년 동안의 간격을 통한 단지설계 다지인 페러다임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74년 잠실종합개발기본계획안을 통해 개발 당시의 단지계획과 주거이념을 알아보고 2000년대에는 잠실아파트지구개발기본계획과 각 단지 설계사와 건설회사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잠실단지계획의 주거 이념 통해 도시성의 해석, 단지와 외부공간의 구성방법, 주거의 평면구성을 통해 우리의 잠실의 주거문화가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알아본다. 주요어 : 공동주택, 단지계획, 잠실지구, 잠실단지, 잠실계획

      • 1960~70년대 서울 잠실 지역 도시계획의 전개와 도시 형성의 특징

        김현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논문은 1960~70년대 잠실 지역의 도시개발계획 전개를 통해 미개발 상태에 있던 잠실 지역이 신도시가 건설될 ‘평면’으로 정비되는 과정과 이 ‘평면’을 구성하는 도시계획적인 요소들이 입체적으로 조성되는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 결과로 형성된 잠실 지역의 도시적 특징이 가지는 의미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 서울시가 직면했던 도심부 과밀인구 문제의 해소 방안은 1963년 행정구역 개편 이후 서울의 범위에 포함된 한강 이남 지역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서울 동남부의 잠실 지역은 도심부 외곽의 소규모 촌락지이자 미개발지역으로, 상습적인 침수 문제를 비롯한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도시계획의 실행이 요구되는 지역이었다. 또한 잠실 지역의 개발은 새로운 생활권의 형성을 넘어, 스포츠 메가 이벤트 개최가 가능한 제반 시설들을 함께 갖추는 목적까지 포함하였다. 1960년대 박정희 정부의 아시안게임 유치 대비를 위한 경기장 시설 건설 의제는 서울시의 도시계획안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도시계획적인 요구는 인구난 해소를 위해 한강 이남 지역으로 도시기능을 분산하려는 1960~70년대 서울시의 당면과제와 시기적으로 맞물리면서 잠실이라는 도시 공간으로 흡수되었다. 1970년대 초반부터 착수된 잠실 지역의 개발은 하중도의 잠실 일대를 공유수면 매립공사를 통해 거대한 공공용지를 확보하는 작업으로 본격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개발 주체로 참여한 서울시와 정부, 민간 건설업체 간의 이권 확보 경쟁 또한 전개되었다. 그러나 개발과정에서 기존의 잠실도 주민들의 보상 및 이주 문제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며, 원주민들의 존재가 새롭게 형성된 생활권에서 배제되기도 했다. 한편 잠실 지역의 도시계획은 근린주구론을 바탕에 두고 개발 대상지를 향한 구체적인 계획이 선행되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도시개발 방식을 전환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1974년에 발간된 <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은 종전의 도시계획 구상안들이 집약된 ‘마스터플랜’의 성격을 가지며, 서울의 부도심으로서 기존 구도심의 과밀화 문제를 해결할 실질적인 도시확장 방안으로 활용되었다. 도시개발사업에 종합적인 계획이 반영된 결과, 잠실 지역은 대규모 아파트단지를 포함하는 주거지의 기능과 ‘스포츠 타운’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갖추게 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도시적 특성들은 88서울올림픽 개최와 결부되어 잠실 지역이 1980년대 올림픽 거점개발 대상지로서 기능하게 했다. 요컨대 잠실 지역은 1960년대부터 논의되어 온 인구 분산 문제와 스포츠 메가 이벤트 개최를 위한 도시공간의 마련이라는 의제가 1970년대 도시개발계획사업의 전개를 통해 실현된 공간이었다. 이로써 잠실 지역은 서울의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도시적 특성을 가진 장소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게 되었다. 그러나 잠실 지역 또한 앞서 전개되었던 한강 이남 지역 개발 사례와 같이 관료 중심적인 개발 전개와 양적 공급에만 치중했다는 한계를 해소하지는 못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개발 전후의 공간을 실질적으로 향유하는 민간 주체의 존재를 간과했음을 의미함과 동시에, 새로운 ‘강남’의 탄생 이면에서 도시 서울을 구성하는 공간들 사이의 위계화가 시작되고 있었음을 의미하기도 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urban development plan in the Jamsil area in the 1960-70s. The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undeveloped Jamsil area into a ‘plain’ for building a new city and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urban planning elements constituting this ‘plain’ were created three-dimensionall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the Jamsil area. The solution to the overcrowding problem in the city center of Seoul in the 1960s was to develop the area south of the Han River, which was included in the scope of Seoul after the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in 1963. The Jamsil area in southeastern Seoul was a small village and undeveloped area outside the city center at that time; This required the implementation of urban planning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including flooding prevention.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the Jamsil area aimed not only to create a new residential area, but also to provide infrastructure for sports mega-events. In the 1960s,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wanted to build stadium facilities to host the Asian Games, which was specified in Seoul's urban plan. These urban planning needs coincided with the immediate problems faced by Seoul in the 1960-70s to distribute urban functions to areas south of the Han River in order to address the overcrowding problem, which targeted the urban space called Jamsil. The development of the Jamsil area, which started in the early 1970s, began in earnest by reclaiming the shared water surface in the Jamsil area to secure a large amount of public land. In this process, competition for interests also arose between the Seoul Government, the central government, and construction companies which participated as the main agents of development. However,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the issue of compensation and relocation of Jamsildo-do residents was relatively neglected, and Jamsil-do residents were excluded from the newly formed residential area. On the other hand, the urban planning of the Jamsil area changed the existing urban development method in that it was preceded by a specific plan for the development target based on the neighborhood unit theory. As a result, the Master Plan for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Jamsil District published in 1974 was characterized by a ‘master plan’ that combined previous urban planning plans and was utilized as a suburban expansion plan to solve the overcrowding problem in the existing old city center using a sub-urban center of Seoul.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planning reflected in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the Jamsil area had both the function of a residential area including large apartment complexes and the function as a ‘sports town’. These urban characteristics, combined with the hosting of the 88 Seoul Olympics, allowed the Jamsil area to function as a target area for Olympic development in the 1980s. In summary, The Jamsil area was a space where the agenda of population dispersion and the creation of urban space for hosting sports mega-events, which had been discussed since the 1960s, was realized through the urban development planning projects in the 1970s. As a result, the Jamsil area has established itself as a place with unique urban features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parts of Seoul. Nevertheless, the Jamsil area also has the limitation of focusing only on bureaucrat-centered development and quantitative supply, as in the case of the development south of the Han River that developed earlier. It also overlooked the private entities that actually enjoyed the space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and suggested the beginning of a hierarchy between the spaces that construct the city of Seoul behind the birth of the new ‘Gangnam’.

      • 서울 1960-70년대 도시계획에서 「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의 의미

        김진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2

        국문초록 서울 1960~70년대 도시계획에서「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의 의미 1974년, 서울시는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시행하기 전에 마스터플랜 성격의 「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이하,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물리적 환경 조성에 있어서 토지구획정리사업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사업 후의 개발 모습까지 입체적으로 구상하였는데 10만명 이상을 수용하는 도시규모에서 도시설계적 차원의 도시계획을 종합적으로 다룬 것은 이 계획이 처음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잠실지구 종합계획을 해방 후 근대화 과정에서 일어난 중요한 도시계획의 하나로 보고 계획을 수립한 배경, 계획이 물리적 환경에 가져온 결과, 그리고 도시계획에 가져온 의미, 후에 미친 영향에 대해 탐구하여 당면했던 도시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가고 도시계획에 의해 물리적 환경을 어떻게 만들어갔는지 실증적으로 분석, 1960~70년대 도시계획의 질적 발전을 알아보는 것이다. 1960~70년대에 주목하는 이유는 경제성장으로 인한 급속한 도시화로 물리적 환경이 많은 변화를 겪게 되면서 도시를 인식하는 태도와 방법에 큰 변동이 일어난 시기이기 때문이다. 또한, 해방 이후, 우리가 스스로 도시문제를 인식․접근하면서 1962년 도시계획법 제정을 시작으로 현재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의 근간을 만들어가는 시기였다. 연구의 내용은 크게 두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1960~70년대 서울의 도시문제와 과제에 대응하는 도시계획적 시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도시문제를 인식하는 태도와 방법이 달라지면서 서울의 물리적 환경을 실질적으로 어떻게 만들어갔는지 알아보고 잠실지구 종합계획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서울의 주요 도시개발계획 사례를 선정하여 계획적 측면에서 잠실지구 종합계획과 비교를 통해 계획 내용의 질적 발전이 이루어졌는지 도시계획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물리적 환경의 계획 방식이 단순히 택지공급 중심의 평면적인 계획에서 종합적․입체적인 계획으로 바뀌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사례로는 역촌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67), 동부이촌동 공유수면매립사업(68), 영동2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71), 여의도종합개발계획(71)을 선정하였다. 1960~70년대 서울 도시문제 인식 및 도시계획 대응 과정을 분석한 결과, 잠실지구 종합계획을 수립하게 된 시대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1970년대 들어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국내에서는 조경을 도시계획에 적용하기 시작하면서 시가지의 양적인 확장보다는 주거환경의 질에 대한 관심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시민들도 경제성장에 의해 생활수준이 점차 향상되면서 주거환경의 질 향상을 위한 계획의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한 한편, 1960년대 학술적 기반을 바탕으로 1970년대에는 정식으로 교육받은 도시계획 전문가가 직접 도시계획에 참여하여 도시설계 논리 및 기법을 실제로 적용, 발전시키는 시기였다. 더욱이, 제6회 아시아경기대회(68년 개최권 반납)로 인해 국가적으로 그 전과는 다른 이상적인 현대도시를 만들어 국제적으로 국가의 위상을 향상시키려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물리적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토지구획정리사업 방식의 한계를 인식하였고 그 대안으로 잠실지구에서는 질 높은 도시환경 조성을 목표로 종합계획을 수립한 후, 이에 따라 사업을 시행하게 된 것이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잠실지구 계획과 주요 도시개발계획 사례의 계획 내용을 비교․분석한 결과, 1960~70년대 서울 도시계획에서 잠실지구 종합계획이 갖는 도시계획적 의미는 크게 6가지로 도출되었다. 1) 잠실지구는 도시계획 차원에서 질 높은 도시환경의 조성을 목표로 종합계획을 먼저 수립하고 토지구획정리사업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사업수단으로 적용하였다. 도로 개설 및 대지 조성 등의 토목 위주 사업에 의존한 도시조성의 흐름을 계획 중심의 도시조성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사례로 이후, 도시계획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종합계획 이후, 영동아파트지구종합개발계획(76), 가락지구개발기본계획(81), 개포지구도시개발기본계획(81) 등의 계획 행위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토지구획정리사업은 환지로 인한 계획의 제약이 많았기 때문에 1980년대는 토지매수에 의한 택지개발사업이 시가지 개발의 주요 수단이 되나 이 과정 속에서 잠실지구의 종합계획 수립은 하나의 계기적 성격을 지닌다. 2) 잠실지구는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여 고밀도․중밀도․저밀도 주거용지, 중심업무지구, 호수공원, 종합운동장, 강변녹지 등으로 토지이용을 구분하고 이에 따른 물리적 환경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자유로운 토지이용 배분은 공유수면매립에 의해 형성된 대규모 택지를 집단체비지로 확보하고 비(飛)환지를 적용했기에 가능했지만 결과적으로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충분한 공공용지를 확보하는 등 토지구획정리사업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 도시계획 과정에서 토지이용계획의 중요성을 고려해볼 때, 토지이용계획이 없는 채 용도지역에 의해 토지이용을 관리하는 당시의 상황 속에서 잠실지구는 토지이용계획을 바탕으로 물리적 환경을 형성하고 용도지역을 지정하면서 계획적인 토지이용의 관리가 가능하였다. 3) 잠실지구는 집단체비지를 적용하여 고․중밀도 주거용지에는 주공아파트 단지 건설에 의해 대규모 단지형 공동주거지를 형성하였고 중심업무지구에는 계획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통합 계획 및 개발에 의해 면형 중심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였다. 즉, 수퍼블록형 개발이 집단체비지에 의해 가능했던 것이다. 집단체비지는 자유로운 토지배분 및 토지의 고도이용이 불가능한 구획정리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계획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잠실지구는 집단체비지 개념이 보편화되기 전, 실제적으로 적용되어 개발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집단체비지 제도화, 아파트지구 도입에 영향을 주었으며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면적인 중심상업지 개념이 들어오는데 영향을 미쳤다. 4) 잠실지구 계획에서는 부도심 조성을 목표로 중심업무지구 계획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이를 향한 방사상과 환상으로 도로를 배치하여 중심성을 확보하였다. 도시형태를 통해 도시기능을 강화하려는 의도였다. 중심업무지구에 대규모 업무기능을 중점적으로 확보하고 주변 세력권을 포함한 직주근접을 실현하여 일종의 자족기능을 갖는 신시가지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격자형 도로망 형성과 주거지 중심의 시가지 확장에만 치우친 기존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던 도시기능 및 형태적 측면의 새로운 계획적 시도였다. 잠실지구는 결국, 1978년에 부도심으로 선정되었고 1990년 도시기본계획까지 이어졌으며 도시계획을 통해 부도심 조성을 실현했다는 점에서 종합계획 자체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5) 잠실지구는 토지이용계획 단계에서 인구밀도를 기준으로 공공시설의 면적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 공공용지는 전체 면적의 41%로 대부분 20~30%대를 유지하던 이전 사업지구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종전, 빨리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인구밀도를 고려하지 않고 확보하기 쉬운 위치에 공공용지를 배분하고 학교, 공원, 시장에 국한하여 최소한의 공공시설을 배치하는 방식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1960년대에 비해 1970년대 사업지구의 공공용지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바, 이는 도시화에 따른 주택지 수급을 위해 양적인 개발에 치우쳐 있는 1960년대 도시개발의 흐름과 비교할 때, 주거환경의 수준 향상을 도모하는 질적인 개발로 전환하는 시기였다. 이러한 것이 잘 드러난 선도적 사례가 잠실지구이기에 그 계획적 의미는 더 크다. 6) 잠실지구는 도시계획 단계에서부터 주거용지, 상업용지, 공원녹지용지로 토지이용을 구분하고 건물의 배치, 형태, 규모 등에 대한 설계 개념을 제시하여 개발 후의 모습까지 미리 구상하는 입체적인 계획이 이루어졌다. 종전, 기반시설 계획과 대지 조성 중심의 평면적인 계획에서 물리적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입체적 공간 질서를 찾아가는 행위였다. 잠실지구 종합계획은 그전까지 도시설계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사례가 없었다는 점, 설계 수준 및 내용이 현재와 같은 발전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점, 1970년대 물리적 환경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도시계획으로 구현되었다는 점, 1980년 도시설계가 제도화되기 전에 도시설계적 접근이 이미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도시계획적 의미가 있다.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stablished Jamsil Comprehensive Master Plan in 1974 and it was planned prior to land readjustment project. It was the first time that the image of the city designed multi-dimensionally after the development despite the limitations of land readjustment project. It dealt with urban planning comprehensively in terms of urban design in the scale over 100,000 peopl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urban planning in the 1960~70s regarding Jamsil plan as a significant urban planning since liberation(1945) focusing on how they dealt with urban problems and made built-environment based on urban planning. The reason why I focus on the 1960s~70s urban planning is that there were big changes in the manner cognizing the city and there was rapid urbanization by economic growth. Furthermore, it was the time to make the basis of urban planning and urban design through approaching the urban problems by ourselves beginning with legislating Urban Planning Law in 1962 since liberation(1945). The research methods are divided into two ways. Firstly, I analyze attempts of urban planning responding urban problems in the 1960~70s. I look into how they make built-environment of Seoul with changing the way cognizing urban problems and find out the process rising the necessity of planning in Jamsil district. Secondly, I figure out the meaning of urban planning whether there were qualitative developments of Jamsil plan through comparing it with other plans. I selected Yeokchon land readjustment project(67), Dongbuichon-dong tidal reclamation project(68), Yeong-dong2 land readjustment project(71) and Yeouido masterplan(71) as major cases. I analyze the process empirically transforming the two-dimensional planning into the multi-dimensional planning.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gnition of urban problems and response of urban planning in the 1960~70s, the background of Jamsil plan is as follows.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city has been changed in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built-environment as the concept of landscape was applied to urban planning and environmental concerns grew worldwide. People started feeling the necessity of planning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as the standards of living became better by economic growth. Meanwhile, it was the time that educated professionals were involved in urban planning directly and they applied and developed the planning methods in the 1970s based on an academical foundation in the 1960s. Due to the 6th Asian games, social atmosphere for enhancing the nation’s position was created and the government wanted to make the modernized city. The planners realized the limitations of land readjustment project in making built-environment. Therefore, master plan for Jamsil district was planned for constructing a qualitative environment prior to land readjustment project. As the result of comparing Jam-sil plan with other major plans, implications of Jamsil plan in the 1960~70s are as follows. 1) Jamsil plan was devised in advance for making high-quality built-environment in terms of urban planning and land readjustment project was applied as the means of realizing the plan. It was the turning point that the flow of urban planning depending on civil engineering has been changed into the urban planning focusing on plans. It became an important milestone in the development of urban planning since then, because a lot of plans were devised in other district. Land readjustment project by replotting had a lot of limitations in planning. So, it changed into land development project by land purchase in the 1980s. In this process of change, Jamsil plan had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2) Through land use planning, Jamsil district was devided into the high density․medium density․low density residential area, central business area, lake, sports complex, openspace along the river and was tried to construct built-environment according to land use. It was possible to overcome limitations in planning by applying collective land parcel and replotting moved to other place, so that it could use land effectively and secure enough public spac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land use planning in the process of urban planning, it was possible to manage land use intentionally applying zoning system after forming phys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land use planning. 3) The concept of collective land parcel was applied to Jamsil plan, which enabled to create a large-scale apartment in the high-density residential area and an areal center by an integrative plan in the central business area. That was the super-block development. The collective land parcel was the means for overcoming limitations of land readjustment project and gaining flexibility of planning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distribute land use freely and efficiently. It affect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collective land parcel, enforcement of apartment district and the introduction of an areal center concept. 4) There are new attempts in order to make Jamsil as a sub-center by planning a large business district with the street pattern of radial-concentricity. That intended to reinforce functions through a street pattern. It was different from existing schemes concentrating on planning the grid street pattern and residential area. It especially placed emphasis on securing a large business function in central business area constructing a self-sufficient new town based on approaching jobs-to-work. Thanks to the Jamsil plan, Jamsil had been a sub-center from 1978 to 1990. 5) The percentage of public spaces in Jamsil was accounted for 41% of total area. That was very high in comparison with 20% to 30% accounted in existing districts because the area of public spaces was calculated by population density in the process of land use planning.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from existing schemes distributing a minimum of public spaces(i.e. school, park, market) not considering population density where they could secure easily. The ratio of public spaces in the 1970s was higher than that of public spaces in the 1960s. It was the time to change in qualitative development for an improvement of built-environment in the 1970s compared to quantitative development for the supply of housing land in the 1960s. Jamsil plan was meaningful as a leading case in the context of this change. 6) The image of the city was designed multi-dimensionally after the development by applying the design concept about building arrangement, form and scale. It was the planning to transform two-dimensional planning focusing on infrastructure and housing-site into multi-dimensional planning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built-environment. Master plan for Jamsil district was meaningful in that there weren't any cases approaching in terms of urban design before. The design standards was very progressive and urban planning gave body to the interest in qualitative built-environment in the 1970s. Urban design was already applied before being institutionalized.

      • 서울 송파구 주거지역내 시장 가로변의 중규모 복합용도 건축물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연록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6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rban structure around Bang-e market in Songpa-gu where consumption in the neighborhood is amicable due to surrounding residences despite of shrinking commercial function, and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complex buildings that form the market street. First, urban contextual elements that affected the formation and background of the neighboring streets in the residential area are 1) Construction of low-level residences, 2) urban status of the site, and 3) construction and status of the market street. 1) Jamsil district development plan for low-level residences is based on creating an independent living area with the main gu. 2) Blocks, households, roads, and lots constructed from Jamsil district development previously mentioned became important elements to form the neighboring streets related to the site’s urban status. Therefore, the 10m wide street constructed performed as a neighboring street and became a market due to increasing number of surrounding residences. 3) 10m street penetrating the block naturally satisfies the surrounding residences and the number of multi-functional buildings spontaneously increased. In addition, commercial facilities and residences have contrasting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ity. Especially in the relationships with streets, commercial facilities have open forms to pedestrians, while residences pursue adequate privacy. Therefore, commercial complex building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with different spaces coexisting in one building. 1) In the relationships with lots and streets, commercial complex building were arranged based on commercial facilities located on lower floors than houses. 2) According to forms of multiplex houses and households under the regulations, number of floors and number of facilities per floor, entrance to each building, and use of empty lot of multi-functional buildings changed. 3) Because the forms of windows change based on uses of each floor – whether for commercial facility or house, they are very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forms of façade. Therefore, façade can be classified as perforation, horizontal, film, and mixed types. 4) Structure of individual shops on the first floors on the street can be classified as indoor, in and outdoor, temporary, and outdoor types which were determined from if the building is located on the market street or side street, or business types. 5) Parking was complexly influenc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lots and street, forms of multiplex house and households, acceptable ratios of commercial buildings and houses, and selling styles. It was classified as mechanical parking, vacant space parking from building arrangement, piloti parking, and underground parking. This study is to solve lack of understanding streets around assembled building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order of urban system, and offer alternative elements that cam bring vitalization of streets. However, there are cases of few areas with residential functions violated due to indiscreet access of commercial facilities in the general residential areas. Therefore, a research for institutional supports that sets a limit for the inflow of commercial facilities in physical and institutional levels, and classify living neighborhood in detail to prevent violation of residential functions. 본 연구는 근린생활권 내 상업가로의 기능이 위축되는 현상 속에서도 여전히 근린지역 내의 소비가 배후 주거지의 수요에 따라 원활이 이루어지는 송파구 방이시장 일대의 도시구조를 이해하고, 시장가로를 구성하는 복합용도 건축물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주거지내 근린가로의 형성 배경과 근린가로 형성에 영향을 미친 도시 맥락적 요소를 분석하였는데, 이는 크게 1) 저층주거지의 조성, 2) 대상지의 도시적 현황, 3) 시장 거리의 조성 및 현황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1) 저층주거지 조성을 위한 잠실지구 개발계획은 주구를 중심으로 독립적인 생활권을 형성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2) 대상지의 도시적 현황과 관련하여 앞서 밝힌 잠실지구 개발계획에 따라 형성된 블록, 가구, 도로, 필지는 근린가로를 형성하는데 주요한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근린가로로 형성된 폭 10m의 가로는 근린가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고, 배후 주거지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시장으로 발전하였다. 3) 블록을 관통하는 10m의 도로는 자연히 배후 주거지의 수요를 만족시키면서 자생적으로 형성된 복합용도 건축물이 다수 분포하게 되었다. 또한 논문이 주로 다루고 있는 상업시설과 주택은 도시와 맺는 관계가 상반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가로와의 관계에 있어서 상업시설은 가로의 보행자에 대해 개방적인 형태를 갖는 반면에 주택은 마당, 담, 층별 구분 등을 통해 안정적 주거영역을 설정함으로서 적절한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는 것을 추구한다. 그러나 이처럼 다른 성격의 공간이 한 건물 내에서 공존하면서 복합용도 건축물만의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는 다음과 같다. 1) 필지와 가로와의 관계에 있어서 복합용도 건축은 주택보다 저층부에 주로 위치한 상업시설에 의하여 배치가 결정되었다. 2) 법규적 제도에 의한 다세대·다가구주택의 형태에 따라 복합용도 건축물의 층수 및 층별 시설분포, 각 시설로의 진입과정과 공지의 사용용도가 변하였다. 3) 입면은 주로 각 층이 상업시설로 이용되는지, 주택으로 이용되는지에 따라 창의 형태를 달리하므로 입면의 형태를 결정하는데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창의 형태에 따라 입면을 천공형, 수평형, 피막형, 혼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4) 가로변 1층 개별상가의 판매형태는 내부형, 내외 겸용형, 간이형, 외부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이는 주로 건축물이 시장가로 또는 이면도로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수용 업종이 무엇이냐에 따라 유형이 결정되었다. 5) 주차방식은 앞선 필지와 가로와의 관계, 다세대·다가구주택의 형태, 상업시설과 주택의 수용비, 판매형태에 따라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기계식 주차, 건축물 배치에 따른 여유공지 주차, 필로티 주차, 지하주차장 주차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논한 바와 같이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형성된 방이동 일대는 용도지구, 블록의 형태, 가로체계 등 도시조직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시장이 생성되었음을 밝혔다. 또한 시장을 구성하는 복합용도 건축물의 배치 및 형태를 필지와 가로와의 관계, 다세대·다가구주택의 형태, 상업시설과 주택의 수용비, 1층 상업시설의 판매형태, 주차방식을 기준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건축과 도시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를 살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의 일반주거지역에 형성된 시장가로변의 복합용도 건축물의 형태를 도시와의 관계를 통해서 읽어내고자 하였으며, 이는 서울 주거지역에 분포된 일상의 건축을 대변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