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적 그림책 표현을 위한 일러스트레이터의 작가정신에 관한 연구

        권주연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84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우리나라 어린이 그림책은 질적인 면에서나 양적인 면에서 급속히 성장해 왔다. 또한 출판시장의 개방과 세계 아동 도서전의 참가와 더불어 한국적인 그림책 만들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시점에 있다. 하지만 무엿보다 중요하게 여겨져야 할 것은 우리 어린이들에게 우리의 정서가 담긴 그림책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양적인 증가는 물론, 질적으로도 우수한 그림책을 우리 어린이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림책을 만드는 사람들, 즉 글 작가, 일러스트레이터, 편집인 모두에게 그림책에 대한, 그리고 한국적인 것에 대한 보다 폭넓고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특히 그림책 만들기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사람은 그림을 그리는 일러스트레이터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일러스트레이터의 작가 정신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당연하다. 한국적인 그림책에 의문을 갖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것은 일러스트레이터의 작가 정신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오늘날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은 독립된 장르로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작가의 내면이 그대로 작품에 투영된다는 점에선 순수회화와 맥을 같이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순수회화 작가의 작가론을 토대로 예술가로서 또는 창작의 주체로서 일러스트레이터의 작가 정신의 유추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박수근, 이중섭, 김환기 세 작가는 향토적, 민족적 정서를 담고 있는 소재를 개성있고 독특한 조형언어로 표현하여 누구에게나 애착을 주는 작품을 구현하는 데 성공한 작가이다. 세 작가의 작가론을 통해서 우리는 그 주된 원인이 한국인으로서의 주체의식과 한국적인, 또 주변적인 것에 대해 집착하고 몰두했다는 데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은 일러스트레이터에게 한국적인 작품 표현을 위한 작가 정신을 보다 심도있게 고찰해 볼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그림책 일러스트레이터는 그림책을 통해서 어린이의 문화를 생산하는 주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림책이라는 매체에 대한 장르적 인식에 철저해야 한다. 류재수, 이억배, 정승각, 권윤덕은 한국 창작 그림책의 질적 향상을 가져온 몇 안 되는 일러스트레이터이자 그림책 작가이다. 한국적 그림책을 모색하는 이들의 작가론은 우리에게 오늘의 어린이들이 처하고 있는 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어린이들에게 생산적·창조적 문화를 만들어 주고자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투철한 작가 정신을 일깨워 준다. 예술가로서, 또 한국인으로서 주체의식을 갖고, 그림책을 만드는 사람으로서 한국의 그림책 분야에서 지금 무엇이 문제인가를 인식하고 개선하고자 노력하는 자세는 한국적인 그림책 만들기의 시작이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나름의 그림책관을 정립하고, 그림책을 통해서 어린이에게 무엇을 어떠한 표현 방식으로 전달할 것인가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연구할 때, 비로소 우리 어린이에게는 물론 세계 어린이들에게도 우리의 문화와 정서를 전할 수 있는 우리다운 그림책이 탄생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90th, Korean children's books have improved sharply in the quality as well as in the quantity. Publishing industry has opened for overseas and is participating the World Children's Book Fare are encouraging people to publish original Korean children books. But most important things of all is providing books those should include Korean Cultures and Korean Mind to our Children. For providing lots of good Picture books to our children, Children books maker such as writers, illustrators, or editors should study for good knowledge -of Korean culture. Specially, illustrators have most important role for making picture book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need right spirit for those illustrators. Having questions for Korean style Picture books and Trying harder to find answers are coming from writers professionalism Now a days, Picture Books illustrations are independent Genre that recognized as a value of art, and it is almost same as fine art, representing writers' mind in the book. On this point of view, based on theory of fine artists,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spirits of illustrators as an Artists or as the main body of creators. For example, Su Kun Park, Jung Sup Lee and Whan Ki Kim are successful to express contents of their tender of local color and race wit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ty of language appearing to any of readers. Through above three Writers' ideology, we can confirm the main reasons those are cause of cling and concentrating on the subjective awareness as a Koran and circumstance. with this reveal, this is a good opportunity to consider expressing more like Korean for Illustrators. Picture books illustrators are main body to guide Children through Picture Books, therefore they have to make sure recognition of Genre about media as Picture books. Jae Su Ryu, Uk Bae Lee, Seung gak Jung, and Yuri Duk Kwon are the illustrators who contribute better quality Koran Picture books to publishing industry. The Ideology of The people who looking for Korean style Picture Books are knowing the problems of environments that our children are in, and encourage themselves to make productive and creative culture for our children. As an Artist, as a Korean who having subjective awareness, or as a Picture book maker, to recognize what the problems this industry has and try to improve those problems are real first step to make proper Korean Picture books. On the this circumstance, setting right ideology for Picture books, and when considering what messages passing to the children through Picture books, finally we can create real Korean Picture books those can appeal and introduce our culture and mind to our children as well as children in the world.

      • 「離騷」에 나타난 屈原의 작가정신 : 그의 실존적 비극성과 저항성을 중심으로

        장경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2

        이 논문은 「離騷」에 나타난 屈原의 작가정신을 실존적 비극성과 저항성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 것이다. 내용은 기원전 4 세기를 전후한 楚 왕조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몰락해가는 楚 나라의 종말론적인 비극을 앞두고 하나의 영웅으로서 屈原의 인생역정이 담겨진 楚辭 작품을 그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다. 우리들은 독자로서 우리의 삶의 무대가 되고 있는 현대 사회 속에서 楚辭가 던져주는 삶의 의미를 읽어내고 우리 자신에게로 투영시킨다. 屈原이 활약하던 시대는 屈原 자신이 대변하듯 정치적이고도 개인적인 고통과 갈등이 존재하던 시기였고 여기에서 그의 고민들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屈原이 처한 시공간은 또한 중국의 중원에서 살다간 수많은 역사적 인물들과 유사한 동질성을 가지고 있는데 다시 말해서, 商鞅(? ~ BC 338), 申不害(? ~ BC 337 ?), 伍子胥(? ~ BC 484), 子張(BC 503 ~ ?), 百里奚(? ~ ?) 그리고 孔子(BC 551 ~ BC 479)와도 일정부분 삶의 궤적이 유사하다. 屈原은 자신이 처한 시공간에서 자신이 보았던 세계를 거울과도 같이 명징하게 인식하고 민중과 사회, 그 속에서의 개인의 운명에 대한 역사적 인식을 보여준다. 劉勰의 위대한 비평저작인 『文心雕龍』은 독립적으로 한 장으로 구성된 楚辭 비평 속에서 한 인간으로서 屈原의 비참한 모습과 그가 살았던 楚 나라의 시간과 공간성을 강조하며 그의 작가정신을 높이 평가한다. 특히 楚辭 전편 속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핵심으로 평가되는 「離騷」篇은 劉勰의 눈을 통해서 보면, 屈原이 가진 특수한 시공을 통해 그가 가진 국가와 사회에 대한 인식, 그리고 혼란된 정국을 바로잡아보려는 정신적 측면의 승화가 드러난다. 劉勰은 屈原의 인생 전체의 歷程을 통해서 종합적으로 분석해내는 읽기를 통해서 屈原의 창작정신을 드러낸 비평을 기획했다. 屈原과 그를 둘러싼 모든 논의는 아홉 번 꼬이고 중첩되어 엮어져 있으며 그러한 의미로서의 ‘九重天’은 楚辭 속에서 덧 씌워진 실존공간 속의 굴레이자 극복할 수 없는 운명을 암시한다. 屈原은 그의 작품 속에서 그가 가진 독특한 기획과 구상으로 자신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여러 가지 모습을 가진 인간으로 드러내며, 그 속에서 운명에 좌절하지 않고 전쟁에 대한 트라우마와 여성성, 그리고 개인이 가진 받아들일 수 없는 숙명에 대한 거부와 저항을 표시하고 있다. 屈原이 가진 그러한 원대한 문학세계 그리고 작가정신은 그 이후 중국의 운문 작품에 고스란히 내용적으로 반영되기도 하고, 작품의 체제와 형식에 한 전형성을 부여하기도 했다. 그만큼 屈原의 楚辭는 독특하고 개성 넘치는 문학성을 지니고 후대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屈原은 비극적인 자신의 실존공간 속에서 의지를 키워나가고 또 극복하려고 하지만, 점점 더 깊어가는 시름과 고뇌 속에서 불안한 심리를 가질 수밖에 없다. 우리는 그 속에서 屈原이 가진 실존주의적인 자각을 통해서 자신과 사회 그리고 자신과 타인의 문제를 하나의 주제로 통일시켜 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서 그가 가진 비극적 성격과 한 개인이 가진 저항성을 함께 읽을 수 있다. This Final Thesis is named that “Writer’s spirit of Qu Yuan(屈原) reflected in 「Lisao(離騷)」". and It's about at the time of 'B.C. 4 century in Chu(楚) Dynasty' so, we have to ask about what will be a Great Poet Qu Yuan's identity and his all existence's destiny in his literature and his life as a warrior, against appocalyps of Chu(楚) nation’s disintegration and what's the meaning to ourself in the present time of our Modern society. Qu Yuan’s ages, no other poet persist like a himself, by all sides suffering and persuing his political and ontological willingness to his mornach and the God and all the things to exist on earth each other society. Especially, In Qu Yuan’s space, there are many things of similary situation like Husserl’s spoken concept the Dual viewpoint, so to speak Shang Yang(商鞅), Zi zhang(子張), Bailixi(百里奚), and the Confucius(孔子) himself. In this viewpoint, such as Mirror, all kinds of crowds of man’s despair and as a man’s tragidies, in compare with France national poet Baudelaire’s saying- that poet’s clearness, like a concept of <Les Fleurs du mal>. If you search for and read that 『the Book of Odes(詩經)』 Xiao Ya(小雅)’s poems, you can see through, so the human of that time says why we must think about Chu nation’s language and why they human use that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why they use that the classical canon(經) to reveal that ancient chinese trinity spirit. That is to say, use the 『Maoshi(毛詩)』 says that the Poem’s function that exhortating the empire by innuendo[insinuation] and an active role in political stage of the ancient China. As a literary critic, Liu xie(劉勰) and hero in our literature 『Chu ci(楚辭)』’s writer Qu-yuan have a consubstantiality. Especially, in the Biography of Liu xie in 『Liang shu(梁書)』, our readers as an old literary critics, easy understand tragedy in his own life. It’s what an prosperity and adversity as one man in the sea of lifetime. As a reader and a writer, Qu yuan and Liu xie have a consubstantiality, and as a media, the literary works 『Chu ci』also has a consubstantiality of Chu nation’s people and all of the human in after that Chu dynasty. In comparison, as a noun the Chu(楚) is meant that the world, the universe or the whole space in the work piece, but the Qu(屈), Jing(景), Zhao(昭) is meant that three requisites of round circle of the Sun and human construction like a steeple spire and the human space exist with that heaven and earth as trinity requisites of ‘the heaven is round and the earth is square(天圓地方)’. In here, the man Qu yuan as a writer, with the media master piece『Chu ci』share historicity and a piece of the length of the time being. and the reader Liu xie is also meeting eternity of the instant moment with the space of the 『Chu ci』. Of royal blood and got no any heritage of his parent and lived a paltry life as one monk, Liu xie's greatest masterpiece of the century, 『Wenxindiaolong(文心雕龍)』is reflected one man who was emphasised a space and time from Qu Yuan’s nation Chu and got a same homogeneity with Liu xie. We can read these two media works and also read that Qu yuan's suffered history as got a same homegeneity with Liu xie and his all life biography. So, when we read the 「Jiu Bian(九辯)」facing a situation of the come to an eclaircissement with a Qu yuan. The Chinese Character '辯' is meaning that the come to an eclaircissement and above all, before analysing the literature, the Han(漢)'s exegetist Wang yi(王逸) says that “「Jiu Bian(九辯)」is written by Chu's entertainer Song yu(宋玉)”. But the man, Song yu(宋玉) is student of Qu yuan(屈原) ‘s literary class. He can be explanated Qu yuan’s the very best closer man than any other person. So, we can come to an exact eclaircissment of Qu yuan and get the real figure and proof of analysing as a man, Qu yuan and his life. This ’Bian(辯)‘ Chinese character is also used Liu xie’s speciallized master piece on 『Chu ci』’s literary critics in chapter 5’s 「Biansao(辯騷)」in 『Wenxindiaolong(文心雕龍)』. So to speak, all kinds of eclaircissment that surrounded with Qu yuan, like a nine distorted and nine draped(九重九羅) heavenly place is a bridle which the 『Chu ci』has and can't get over. It's maybe a aspiration, that is so called by Jean Paul Satre. Satre said in his 『Qu’est-ce que la litt’erature? (What is the Literature?)』that "The environment situation creates the writer. On the contrary to this, the readers are recalled to writers. In other words, the readers presented of a problem, what is the liberty of the writers? Environment situation is a <vis a tergo> but the readers are waiting and the vacant ground to fill in and a aspiration between comparison meaning and essential meaning. That is to say, he is a <the Other>." It is meant that environment situation and the whole time being and factor of space are considered that just one thing as a trinity bounded together. And in this whole time being and factor of space as a 4 dimension's eliment is each meant that readers, writers, and the literature work piece and the human power on the public, same as in the present, actual man's 4 dimension.

      • 『홍길동전』에 반영된 作家精神

        박미선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8

        Literature mirrors the world. Literary works are deeply entangled with social phases surrounding its creators. An author wades through his times and gives shapes to what he have gone through. He is situated incessantly, face to face, with all those inconsistencies and irrationalities of this world. The way how he grasps his circumstances affects the nature of his creative work. In short, a product of an author is a direct outcome of its creater's appreciation of his world. Thus, inquiring into the relations between a literary work and its writer is a first and reliable step toward a perfect understanding of a product. 『Life story of Hong Gil-dong』, the first novel in Hangul, is known as a product of Heo Gyoun(1569-1618). Departing from the literary writing practices of fantastic fictional life story which was prevalent then, he took a new literary perspective which focused on social problems and digested them into a product which was full of social consciousness and drew wide popularity. His new attitude toward novel writing distinguished his work from any other novels preceding his in point of writers mentality. The object of this dissertation lies in probing his novel, 『Life story of Hong Gil-dong』, and filtering out his writing attitude. Chapter 2 deals with Heo Gyoun's life, most of which was devoted to representing impoverished and alienated populace of the 16 · 17th century Chosun dynasty which was a period of political and social turmoil. He called for egalitarianism among people and tried to reform corrupt and irrational social system. The social backdrop of 『Life story of Hong Gil-dong』 is the main theme of chapter 3 Heo Gyoun lived times replete with political strife resulted from disruptions and antagonism of nobilities. It was, also, a period of war, Imjinwoeran-war, which scorched the peninsular to the ground. Worsening the circumstances, corrupt officials extorted the public, pushing them over the brink of misery. Heo Gyoun critically watched the era and stood against the injustices by writing 『Life story of Hong Gil-dong』. Chapter 4 contemplates the mentality of Heo Gyoun as a writer. First clause of chapter 4 studies the mental make-up of Heo Gyoun as reflected in his calling for the annulment of discrimination against those born out of noble wedlock, and manifest in his mental posture, egalitarianism. 『Life story of Hong Gil-dong』, depicts an imaginary heroic life of Hong Gil-dong who was born as an illegitimate but eventually reached the position of defense minister who later founded a country was named 'Youldoguk'. For his contemporaries, the plot was out of the question, a too-far-long shot given the social fabric of those era, but he tried to an ardent advocate for his notion that all men, regardless of what social classes they belong to, should be able to lead decent lives just on the grounds that they are human. Second clause of chapter 4 studies his thoughts reflected in his conception of 'Hwhalbindang' and social reform. Heo Gyoun was a man who gave his best shot at reforming the Chosun-dynasty to which he belonged. His revolutionary thoughts is best shown at his mobilizing his private force, 'Hwhalbindang', to maraud 'Haein temple' and 'Hamgyung province office' and seize treasures. They were used to relieve the poor. Introducing such drastic concept, he , in fact, gave admonition to corrupt leaders to stay away from the same wrong tracks taken by the fictional covetous officials and it was also a manifestation of his will to correct the unfair social and economic system of his times. Third clause of chapter 4 pores over his concept from the point of view of establishing 'Youldoguk' and 'making dreams come true'. The most unique part of this novel shows Hong Gil-dong leave his country, conquer a foreign country, and establish 'Youldoguk', a brave new world. The country was portrayed as a ideal one, free from all the irrationalities of Chosun dynasty. It is a place where ideal things, unfeasible in Chosun dynasty, could take place to full capacity and where all humanity want to enter into. Beyond revealing then Chosun dynasty's problems he created an fancy country, 'Youldoguk', as a place on which he could substantialize his reforming will wishfully. Third clause of chapter 4 examines this novel as the first one written in Hangul, Korean Alphabet, which was despised among the nobilities as a base medium for literature, and as an innovator of cultural frontier spirit. He consciously had in mind the belief that an author should use his everyday language and be able to reach his readers emotionally by his own creative talent. And he knew that accessibility, which comes from simpleness and taste, is a precondition to let the public sympathize with his will to reform. His reformist 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life was the backdrop of the 『Life story of Hong Gil-dong』. This story, laden with the author's sense of his world, had deep impact on other literary works afterwards. A study on 『Life story of Hong Gil-dong』 could serve as an examplary work when we try to grasp the connection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and literary work and its author's mental make-up. Not only will this story be remembered as a first novel written in Hangul, but as a product molded by Heo Gyoun's brave and reformist will, and imbued by his clear understanding on literature. This is a work which deserve our lasting attention and enduring affection.

      • 태동기 한국창작춤의 작가 정신 연구

        이한울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01

        본 논문은 태동기 한국창작춤의 작가 정신을 파악하기 위함으로 주요 작가 4인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한국창작춤의 태동 배경이 된 대표적 배경인 무용동인단체 ‘창무회’의 초기 공연 멤버 중 임학선, 임현선, 최은희, 이노연을 주요 작가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분석해 태동기 한국창작춤의 작가 정신과 양상을 파악해 보았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본격화 되었다고 보는 1970년대는 한국창작춤이 발현된 시기이다. 한국창작춤의 모습은 격변하는 당시의 요구에 부응해 마침내 하나의 새로운 사조로 정립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오늘날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는 우리춤의 모습과 닮은 점이 많다. 때문에 당시의 춤 역사를 역추적 하는 것은 21세기 우리춤을 해석하는 중요한 코드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한국창작춤은 1970년대 중반 이후 민속춤의 형태나 기방 무용적 형태미가 강했던 신무용에 대한 비판과 전통의 재인식에 대한 각성을 바탕으로 시대적인 정서와 내적 체험을 표현하려는 새로운 내용과 형식에 대한 열망으로 출발하였다. 1976년 이화여대 졸업생들로 구성된 창무회는 “이 시대의 우리춤을 추자”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새로운 창작무용을 지향하는 작업을 시도한 단체이다. 창무회는 의식 있는 한국창작춤을 이끌어내며, 한국춤계의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태동기 한국창작춤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창무회의 초기 공연 멤버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작품에 내재된 춤작가 정신을 주제적 측면과 표현양식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태동기 한국창작춤 작가의 춤세계관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태동기 한국창작춤의 작가 정신은 ‘시대정신’에 입각하여 ‘전통의 재해석’을 ‘새로운 방법론 모색’을 통해 다양한 ‘의미와 상징성’을 가지고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는 한국창작춤이 출현한 기점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영향이 크게 미쳤음을 본 연구를 통해 밝혔다.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the four major calligraphers to explore mind of choreographers of Hanguk Changjak Chum (Korea’s creative dance) in its infant stage. Im Hak Seon, Im Hyun Seon, Choi Eun Hui, Lee Noh Yeon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for this study. They were early members of Changmuhoe (ChangMu Dance Company), a forerunner of Hanguk Changjak Chum. This study analyzed them and explored minds and major patterns of Hanguk Changjak Chum in its embryonic days. Hanguk Changjak Chum started taking its shape in the 1970s, when Korea went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full swing. What Hanguk Changjak Chum went through at that time has much resemblance to Korea’s traditional dance of today which is currently being placed amid the identity crisis; Hanguk Changjak Chum could have responded to demands of turbulent days of that time and established a new trend. For the reason, it is figured that tracing back to the history of dance to that time would provide a useful insight to read dance of the 21st century. Since the mid-1970s, criticism of New Dance for its distinctive features that are identical with those of traditional folk dance and dance for entertainment performed by gisaengs (female entertainers in ancient times) gave rise to enthusiastic movements to create brand-new content and format for dance that can express general public sentiment that brought by that time and experiences at the personal level. In 1976, Changmuhoe (ChangMu Dance Company) was formed by graduates of Ewha Womans University. The group attempted to create completely new creative dance under the slogan of “Our Dance of Our Time.” Changmuhoe gave rise to Hanguk Changjak Chum based on the new awareness, becoming a major contributor to Korean dance history’s major transition. Taking note of this, I focused on early members of Changmuhoe as part of efforts to figure out characteristics of Hanguk Changjak Chum in its embryonic stage. As a result, early Hanguk Changjak Chum choreographers’ views about dance as an art were explored ─ as their views reflected in their works ─ regarding subject and form of expression, respectively. This study revealed that minds of choreographers of Hanguk Changjak Chum hold different meanings and symbols that were achieved by reinterpreting traditions by exploring new methods yet at the same time based on zeitgeist. Also, this study concluded that Hanguk Changjak Chum was greatly influenced by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time when Hanguk Changjak Chum was created.

      • 표현주의 작가들의 분석심리학적 조형의식에 관한 연구

        임형섭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286

        「예술에 있어서 표현이란,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정서적반응을 뜻하는 것이 보통이며, 표현주의 예술은 내부의 응축된 감정과 내적필연성(內的必然性)을 외부로 해방시키는 예술을 말한다.」고 정의한 리드(Herbert. Read)의 주장에서도 알 수 있듯이, 표현주의는 생명력을 주도한 내적감정을 자유로이 표현하고자 하는 주관적 의도에서 출발된 대담한 예술운동이었다. 이 표현주의는 독일에서 시작되어, 유럽의 각 나라로 점차 확산되어 나갔으며, 물질문명의 발달과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불안한 정치로 인간의 비인간화되어가는 독일인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한 반성적 의미가 그 바탕을 이루고 있다. 사실상 표현주의의 세계는 독일인 특유의 원시적인 것, 직관적인것과 초월적인 것에 대한 관심과 표피적인 현상보다는 영혼적인 그 내면을 탐구하려는 기본적 본능적 자연적 자세가 짙게 깔려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독일 예술가들의 내면세계에의 추구는 정신적인 영원한 것, 즉 단편적이 아닌 총체적인 조화와 생명력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는데 그 의의가있다. 그러므로 예술심리(藝術心理)와 정신성(精神性)이라고 해석되는 상황은, 창조적인 작업과정을 통하여 예술가가 작품을 제작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중요한 카테고리(category)인 것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예술가의 심상표현이란, 작가의 성장과정과 종교, 사회적 환경, 작가 자신만의 독특하고 심오한, 정신세계에서 표출되는 예술을 말하는 것이며, 이러한 여러 요인들이 총체적으로 작품에 반영될 때, 예술심리학의 논리 또한 표현주의에 직접, 간접으로 미치는 영향이 크게 작용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되는 작가, 마르크 · 샤갈(Marc Chagall), 에드바르드 · 뭉크(Edvard Mounch), 죠르쥬 · 루오(George Rouault), 바실리 ·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폴 · 클레(Paul Klee) 등의 人生을 통해, 유년기의 체험이나 심리변화, 정신적 충격이 그들의 작품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와, 예술적 측면에서의 성서에 근거한 내용과 의미의 기독교적 사상, 지그문트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칼 · 융의 인간의 무의식과 상징이론(象徵理論)을 통하여 작가의 정신세계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리고 표현주의 작가들에게 있어 작품제작 과정과 주제 설정 등이 작가의 심리적 변화와 정신적 요소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이 분야의 자료가 충분치 않아, 연구 분석 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수정할 부분 또한 많으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이 분야의 관심과 연구가 현대미술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할 때 새로운 예술심리학적 論究가 활발해진 오늘날에 더욱 필연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분석을 통해 점차 해결해 나아가야할 문제로서 대두된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탐구와 성숙된 고찰로 현대미술이 내포하고 있는 딜레마와 모든 분야가 초극할 수 있는 방향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As we can see in the insistence of Herverd Read who defined, "It is common that expression in art means direct emotional reaction generally and expressionism art means the art to release inner condensed feeling and inner inevitability to outside." expressionism was the bold art movement started from subjective intention to try to express inner feeling which led life power freely. This expressionism have spread to each nation in Europe gradually after starting from Germany. And, reflective meaning for the original form nature of German who became inhuman by social trouble, uneasy politics and stagnation due to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and war is forming the base. It can be seen that basic instinctive natural attitude to try to project the soul inside is being laid thickly in the interest for primitiveness, intuitiveness, and transcendental thing peculiar to Germany and epidermal appearance in the world of expressionism. And, there is meaning in that this pursuit of German artists for inside world is placing more relative importance on mental permanent thing, that is whole harmony which is not fragmentary, and life power. Therefore, situation to be interpreted as art psychology and mentality is important category to get to have great influence on artist's work manufacture through creative work course. Psychology expression of artists which is to be handled in this thesis means art to be expressed from growth course and religion of artists, social environment, and artists' own special and profound psychology world. And, it can be said that influence that logic of art psychology has on expressionism directly and indirectly acts greatly when these various factors are reflected to work on the whole. So, I tried to show how experience or psychology change and psychological shock during childhood were expressed on their works through lives of artists who are to be handled in this thesis, Edvard. Mounch, George. Rouault, Wassily. Kandinsky, Paul. Klee and Marc Chagall, etc. and tried to analyze the psychology world of artists through contents and meaning based on emotion from the viewpoint of art from the Bible, psycho-analysis theory of Sigmund. Freud and human unconsciousness and symbol theory of C. Jung. And, I tried to examine that manufacture course of works and subject fixing etc. in expressionism artists are based on psychological change and mental element of artists closely. However, as the data of this field were not sufficient in the course of writing out this thesis, I had difficulty in studying and analyzing. And, I think that there are many parts to have to be corrected. But, interest and study of this field are demanding inevitability all the more today when discussion phrase of new art psychology becomes active in trying to understand modern fine art more comprehensively, and they come to the front as issues to solve gradually through this study analysis. In the future also, direction that dilemma and all the fields that modern fine arts are involving may be overcome will have to be presented with continuous research and mature study.

      • 윤대성 희곡에 나타난 어린이 죽음 연구

        김혜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235

        윤대성 희곡에 나타난 죽음의 모티프 가운데 어린이 죽음을 다룬 작품을 중심으로 그 죽음의 의미와 본질을 분석하여 윤대성 작가 정신이 소극적 허무주의를 극복한 성찰적 니힐리즘임을 밝힌다. 어린이 죽음의 원인을 크게 가부장제의 억압 하의 남녀 문제와 화폐경제의 모순 속의 인간성 상실 문제에 초점을 두고 사회 변화에 따른 어린이 죽음의 유형 및 변화를 고찰한다. 가부장제의 억압 하의 어린이 죽음은 60·70년대 작품인「출발」,「너도 먹고 물러나라」에서는 가부장적 가족제도가 강요하는 순결·정절 이데올로기 및 남녀 성차별에 기인한다. 그러나 90년대 이후 작품인 「두 여자 두 남자」에서는 여성의 자아실현과 가족 간의 무관심 등이 어린이 죽음의 원인으로 나타난다. 화폐경제가 지배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부조리와 모순에 의한 어린이 죽음을 보면 「출세기」,「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에서는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인간의 상품화, 비인간화에 의해 무고한 어린 생명이 희생된다. 「나는 타스마니아로 간다」에서는 재화의 과잉에 따른 부모의 과도한 교육열과 소통 단절로 인해 자녀가 자살한다. 작가는 부단한 부정정신과 성찰적 자세로 와해되어 가는 인간관계 및 사회문제를 묘파한다.

      • 조우조기 희극과 기독교정신 연구 : 姜貞愛

        姜貞愛 蘇州大學 2000 해외박사

        RANK : 68430

        본문은 희극작가 曹禹(1910-1996 본명 萬家寶)의 초기 작품에 반영된 기독교 정신 연구다. 조우는 서구 근대 희극의 형식과 실제를 다방면으로 흡수하고 종교인의 안목으로 인간의 본질과 운명을 가늠했다. 작품에는 神本精神과 人本精神이 선명한 대비를 이루고 어떤 작품이든지 신의 힘은 인간의 운명이나 지혜보다 더 위대했으며, 인도적인 방법은 결국 취약하고 유약해서 실패하게 된다. 이러한 처리는 모두 작품의 사상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각 작품마다 그의 기독교 사상에 대한 독특한 이해가 자연스럽게 작품에 반영되어 있고 심오한 기독교 사상으로서 우주 안에서의 인간의 위치와 가치를 탐구하고 있다. 인본주의를 철저하게 부정하고 절대자의 역량을 철저하게 긍정함으로서 극중 비극 인물의 생존 권리와 존엄을 부여하는 것이 조우 초기 작품의 독특한 특징이다. 이전의 硏究 動態 당대 중국은 마르크스주의를 지도 이념으로 하는 공산주의 국가이며 마르크스주의는 무신론을 주장한다. 중국의 종교학은 긴 시간 감금 상태에 처해 있다가 1979년에 비로소 해방이 되었다. 전국 종교 학회가 종교학 연구를 기획하고 학술계에 종교학이 학과로 지정되었으며 토론 분석 연구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과거의 학술계에는 1930년대 조우 작품 발표이래 종교적 특징을 분석한 연구가 없었다. 조우의 작품과 기독교 영향에 관련된 연구는 80년대 후반기에 비로소 나타난다. 중국의 학술계는 대체로 범신론을 기초로 한 기독교 연구에 편중된다. 일종의 자연주의의 관점에서 그리스도를 해석하고 그리스도의 초자연적인 神性을 부인하므로 "그리스도의 神人二性"의 정통 교의가 거의 소멸되고 사람은 모두 하나님의 자녀이며 살아 있는 모든 것은 신성이 있다고 하는 일종의 범신론이 정통 기독론을 대신하기 때문에 조우 작품이 발표된 이후 평론계에는 주제 이해에 대해 엇갈린 견해가 있고 주요한 쟁점의 대상이다. 본인이 전통적인 기독교 교리를 기점으로 조우 초기 작품을 연구하는 목적은 작품 원래의 뜻을 해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기대로 노력한 결과이다. 본인이 조우 작품에 체현된 기독교 사상을 논문 제목으로 삼았지만 결코 수월한 과제가 아니었다. 조우 작품에 체현된 기독교 사상을 논문 제목으로 삼았지만 결코 수월한 과제가 아니었다. 조우 작품에 반영된 종교적인 내용에 대한 연구가 극히 적었고 참조자도 극소수였으며 또한 본인도 신학 전공자도 아니어서 파악하는데 여러가지 어려움이 많았다. 단지 이 논문을 통해서 조우 작품 연구에 존재하는 각종 문제들에 대한 토론이 더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바란다. 서론에서는 문제제기와 연구방향과 방법, 그리고 이전의 연구동태를 살펴보았고 본문은 결어를 포함한 6장으로 나누었으며 《雷雨》, 《日出》, 《原野》, 《태변》, 《北京人》다섯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제1장: 《뇌우》와 기독교 정신 본장에서는 一神論의 각도에서 《뇌우》에 반영된 여호와 하나님의 사상, 특징, 도덕적 요구 및 성경의 다윗의 집안과 《뇌우》의 배경인 주씨 집안의 비극을 일으킨 역사적 근원을 비교 고찰했다. 제2장: 《일출》과 기독교 정신 여덟 단락의 인용문을 중심으로 작가가 작품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하나의 관념을 고찰했다. 그리스도는 작품이 암시하는 "빛"의 본질이며, 인간 부활의 가정을 전제로 한 노동의 의의와 주인공 陳白露 인물에 반영된 인류의 위기를 고찰했다. 제3장: 《원야》와 기독교 정신 주제사상과 예술적 기교 그리고 인물형상에 반영된 기독교 정신을 논술했다. 《원야》는 여러 각도에서 해석될 수 있는 작품이다. 본문은 성경의 지혜문학의 각도에서 사랑과 미움, 이성, 도덕, 가정의 행복, 정직 등 일상생활에서 무엇이 진정한 지혜인지를 고찰하고 《욥기서》와 《원야》의 예술 특색과 사상내용을 비교했다. 제4장: 《탈변》과 기독교 정신 극중 인물인 정의사의 "남을 위한 삶"의 정신에 반영된 그리스도 정신을 논술했다. 크리스챤 의사의 각도에서 그의 나라사랑과 인간애를 탐색했으며, 그녀는 병든 사람의 고통을 치료할 뿐 만 아니라, 죄악 아래에서 신음하는 사람들을 구제하려고 노력한다. 죄악에 대한 분노, 죄인에 대한 동정, 이러한 것은 모두 예수 정신의 구체적인 표현이며, 그녀의 나라사랑과 인간애는 자유, 평등, 평화, 박애의 예수정신으로 귀결된다. 제5장: 《북경인》과 기독교 정신 인류시조의 범죄로 인한 원죄의 각도에서 《북경인》에 반영된 죽음과 퇴폐한 인성의 의의를 고찰하고, 인류 起源說의 각도에서 거인 북경인 모텔과 소방에게 투영된 "진화론"과 "창조론", 서로 다른 두 개의 관점으로 작품의 사상을 고찰했다. 제6장: 결어 조우의 초기 작품에 반영된 기독교 기본 교의, 신에 대한 인식, 인성, 죄와 마귀, 구세주, 말세론을 종합 논술했다.

      • 오정희 소설의 플롯 변화 양상 연구

        박용경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52028

        (Abstract) Oh Jung-hee's novel changes the way how the plot is composed in the early, mid, and late stages. This study focused on these changes and divided the plot of her novel into the beginning, the development, and the ending sections to examine the aspects. The study results of the Oh Jung-hee's novel's plot change pattern are as follows. First, I analyzed how the change in the artist's desire influenced the plotting. In the early novels, the author's desire was expressed on the plot, and reality and retrospective events were repeated interchangeably. The event failed to proceed in conclusion and repeated the progress and backwardness in the middle of the text. The reason why Oh Jung-hee used this plotting method was to find her identity in the wandering of youth and discord with the world. In the mid-term novels, events were arranged impulsively according to the author's desire. This shows an advanced change in the artist's plo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author's primary data, she wanted to delve deeply into human nature, including death and birth, and women's solitude and joy. In the later novels, the connection of events was consistent due to the realization of the writer's desire. The character embraced the past and returned to everyday life. This can be found in the author's remarks that anxiety about life or obsession with writing has disappeared, and that she has embraced everything. Second, I looked at how the symptoms of characters unfold plots of text. In the early novels, characters with trauma revealed their affects to all things and people. Thus, the narrative was fragmented due to the weak connection between events. The plot was constructed in a way that reveals symptoms, not in a format that solves the problem through the connection of events. In the mid-term novels, the more symptoms of characters spreaded, the more the repetition and gap of narrative were in the development of plots. This phenomenon has become a factor that gives the reader prior pleasure. The later novel was characterized by the relief of symptoms, and the narrative showed a logical connection between beginning and ending. Third, I looked at the ending patterns and changes in plots in relationships with readers. In the early novels, the text was multiplied in the form of a cyclical ending because the character trapped in the symptoms could not communicate with others. This is because the person who repeated the symptoms moved to another text. The mid-term novel has changed to a form in which a character recognizes his past and foretells the end. This is because the viewpoint of narratives changed from the client's discourse to the analyst's discourse. The person in the text recognizes the past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later novels, the ending changed to a complete form of ending. The character accepted his past as a narrative truth and was released from the symptoms and moved on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the study above, Oh Jung-hee's novel was confirmed to have changed its plot in the early, mid, and late stages. This could be seen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a client and an analyst in a space of psychoanalytical transition overlapp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readers in a space of reading. In this space of transition, the inter-subjective encounter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ader constitutes the truth through dialectics aiming for perception. (초록) 오정희 소설은 초기와 중기, 후기로 갈수록 플롯의 구성 방식에 변화를 보인다. 본고는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여 오정희 소설의 플롯을 시작, 전개, 결말 부분으로 나누어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오정희 소설의 플롯 변화 양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가의 욕망 변화가 플롯 짜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했다. 초기 소설에서는 작가의 욕망이 플롯에 발현되어 현실과 회상 사건이 교차적으로 반복되었다. 사건은 결말로 나아가지 못하고 텍스트의 중간 부분에서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는 양상을 보였다. 오정희 작가가 이러한 플롯 짜기 방식을 사용한 이유는 청춘기의 방황과 세계와의 불화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서였다. 중기 소설에는 작가의 욕망 심화에 따라 사건이 충동적으로 배열된 형태를 보였다. 이는 작가의 플롯 구성 방식의 발전된 변화를 보여준다. 작가의 일차적 자료에 의하면, 작가는 죽음과 탄생, 여성의 고독과 기쁨 등 인간의 본질을 심도 있게 파헤치고 싶었다고 밝혔다. 후기 소설에서는 작가의 욕망 실현으로 인해 사건의 연결이 일관된 형태를 보였다. 인물은 과거를 수용하여 일상적인 삶으로 돌아갔다. 이는 작가가 삶에 대한 불안이나 글쓰기에 대한 강박과 초조함이 사라지고, 모든 것을 수용하게 되었다고 말한 것에서도 확인된다. 둘째, 인물의 증상이 텍스트의 플롯을 어떻게 전개시키는지 살폈다. 초기 소설에서는 트라우마를 가진 인물이 모든 사물과 사람에게 정동을 드러냈다. 따라서 서사는 앞뒤 사건들의 연관성이 약하여 파편화된 현상을 보였다. 사건의 연결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형식이 아니라, 증상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플롯을 구성한 것이다. 중기 소설은 인물의 증상 확산으로 인해 플롯의 전개는 서사의 반복과 공백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독자에게 사전쾌락을 제공하는 요소가 되었다. 후기 소설은 인물의 증상 완화로 인해 서사는 시작과 중간, 결말이라는 논리적 연결 형태를 보였다. 셋째, 독자와의 관계에서 플롯의 종결 양상과 변화를 살펴보았다. 초기 소설은 증상에 갇힌 인물이 타인과 소통하지 못하여 텍스트는 순환적 결말 형태로 증식되었다. 이는 증상을 반복하는 인물이 또 다른 텍스트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중기 소설은 인물이 자신의 과거를 인식하면서 종결을 예감하는 형태로 변했다. 이것은 내러티브가 피분석가의 담론에서 분석가의 담론으로 시점 변조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텍스트의 인물은 과거를 인지하며 변화의 가능성을 보인다. 후기 소설에서 종결은 완결된 결말 형태로 변했다. 인물은 자신의 과거를 서사적 진리로 수용하여 증상에서 풀려나 타인과 소통하는 자리로 나아갔다. 위의 연구를 통하여, 오정희 소설은 초기, 중기, 후기로 갈수록 플롯의 변화가 시작과 전개와 종결 부분에서 일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정신분석적 전이의 공간을 독서의 공간과 겹쳐 볼 때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이의 공간에서 작가와 독자의 상호주관적인 만남은 인식을 지향하는 변증법으로 인해 진실을 구성해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