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성, 연령, 다문화가정 변인을 중심으로

        이수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유아는 다양한 형태의 일상적 스트레스로 인해 여러 정서·사회적 부적응을 겪기도 한다. 이러한 일상적인 스트레스를 대처하고 긍정적 생활을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가정 유아와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일상적 스트레스’ 그리고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 1]에서는 2010년 2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선정하고, 유아에게 적합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을 선정하고 36개의 활동을 개발하여 프로그램 시안을 구안하였으며, 이를 2010년 6월 7일부터 2010년 6월 16일까지 유아교육전문가 및 현장 교사에게 의뢰하여 2차례의 내용타당성 및 현장 적용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이를 기초로 활동을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총 24개의 활동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탄력성’, ‘정서지능’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의 J군, C군, M군에 소재한 8개 어린이집의 만4세에서 만6세 유아 72명이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36명이었고, 각 집단은 다문화가정 유아 18명, 일반가정 유아 18명으로 동일하게 표집 되었다. 프로그램 적용기간은 2010년 7월 5일부터 9월 10일까지이며, 매주 3회씩 8주 동안 24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각 어린이집별로 오후 자유선택놀이시간에 정해진 교실에 모여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실시되었고, 통제집단은 어린이집의 일반적인 오후 보육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위하여 조선미, 박혜연, 김지혜, 홍창희, 황순택(2006)의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 중 자아탄력성 척도만을 선정하여 도구의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 한 후 사용하였다.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수미(2007)가 수정·보완한 한국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경회(1998)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아의 자아탄력성, 일상적 스트레스, 정서지능의 각 집단간 사전,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은 일반가정의 유아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성공적으로 대처하게 하고, 자신의 정서를 지각하고 조절하여 적절히 표현하고,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고 배려하여, 타인과 관계를 잘 형성할 수 있도록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기정서 인식 및 수용, 자기정서 조절 및 표현, 타인정서이해 및 배려, 가족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가족과 또래와의 친밀한 관계 형성, 활기차고 긍정적인 태도 증진 등을 구체적인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교육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교육내용은 자기수용, 자기조절, 가족관계, 또래관계, 활력성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교수-학습방법으로는 만들기, 꾸미기, 그리기가 포함된 미술활동, 이야기나누기, 게임, 신체표현, 역할놀이, 노래 부르기, 동화동시 읽기가 활용되도록 하였으며, 교수전략으로는 인정하기, 감정이입하기, 모델링하기, 동기부여하기, 비계설정하기를 적용하도록 하였다. 교사의 역할은 안내자, 촉진자, 중재자, 모델, 관찰자, 평가자의 역할을 선정하였다. 평가는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의 경우 교사와 유아의 반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유아에 대한 평가는 유아의 자기평가와 교사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개발된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체 자아탄력성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집단 내에서의 차이를 변인별로 살펴보면, 여아가 남아보다 더 향상되었으며, 만4세, 만5세, 만6세유아의 순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전체 자아탄력성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반면에,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 간에는 전체 자아탄력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전체 일상적 스트레스와 모든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실험집단 내에서의 차이를 변인별로 살펴보면, 여아가 남아보다 더 감소되었으며, 만4세와 만5세유아보다 만6세유아의 전체 일상적 스트레스의 점수가 감소되었으며, 다문화가정 유아가 일반가정 유아보다 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전체 정서지능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집단 내에서의 차이를 변인별로 살펴보면, 유아의 성별에 따라 전체 정서지능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만4세, 만5세, 만6세유아의 순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전체 정서지능 점수가 향상되었고, 다문화가정 유아가 일반가정 유아보다 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은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의 향상, 일상적 스트레스의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일상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유아를 효과적으로 조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천적·학문적·교육적 의미가 큰 것으로 여겨진다.

      •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우경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소년 개인의 특성과 주변 환경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청소년들의 개인·사회적 정서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자아탄력성이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것으로 2010년에 실시한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의 1차년도 데이터 중 중학교1학년 남학생 1177명과 여학생 1174명 총 2351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은 또래애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성별에 따라 자아탄력성,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은 차이가 있는가? SPSS 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성별에 따른 t-test와 요인 점수 구성, 요인점수간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요인 점수간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하위영역요인의 의사소통과 신뢰는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높게 나왔고, 소외에서 자아탄력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요인 전체에 높게 나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의 차이에서 자아탄력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또래애착 하위영역요인의 의사소통과 신뢰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크며, 소외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적응은 하위영역별로 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아탄력성이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래애착의 성차비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온 것이 큰 의의가 있다.

      •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고영희 대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관련변인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 감, 온정적 양육행동, 가족건강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 감, 온정적 양육행동, 가족건강성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2.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 감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 가족 건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3.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온정적 양육행동, 가족건강성을 매개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4. 어머니의 자아존중 감이 온정적 양육행동, 가족건강성을 매개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부산․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5곳, 어린이 집 5곳)에 다니는 만 3세∼5세 유아 976명과 그들의 어머니 976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eBuffe와 Naglieri(1999)의 DECA(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중 전체 보호요인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아탄력성 관련변인인 가족의 건강성은 어은주와 유영주(1995)가 제작한 가족의 건강성 도구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은 천희영(1992)이 제작한 어머니 양육행동 중 온정 성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자아존중 감은 Rosenberg(1965)가 제작한 자아존중 감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이 제작한 사회적 지지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15.0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7.0 program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유의 도는 Sobel 검증방식으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연구문제 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 감, 온정적 양육행동, 가족건강성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 감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 가족건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온정적 양육행동, 가족건강성을 매개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자아존중 감이 온정적 양육행동, 가족건강성을 매개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하고 이러한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탐색과 검증을 통해, 유아기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의 효과를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통합적 구조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귀결되는 가족환경 변인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유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는 가족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되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and its related variables such as a mother's social support, self-esteem, affectionate behavior, and family strength,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research 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Does a mother's social support, self-esteem, affectionate behavior, and family strength have direct effects 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2. Does a mother'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have direct effects on her affectionate behavior and family strength? 3. Does a mother's social support have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through the mediation of her affectionate behavior and family strength? 4. Does a mother's self-esteem have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through the mediation of her affectionate behavior and family strength?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976 three-to-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976 mother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The children attend young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five kindergartens and five day care centers) which are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Daegu Metropolitan City. Various research methods were utilized as follows. For the measurement of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the Total Protective Factors Scale out of the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DECA) by LeBuffe & Naglieri (1999) was adapted and used. For measuring family strength, a variable related to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the Family Strength Scale made by Eun Joo Eo and Young Ju Yoo in 1995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a mother's affectionate behavior, the Affectionate Behavior Scale out of Mother's Rearing Behavior developed by Hui Young Chun in 1992 was used. For measuring a mother's self-esteem, the Self-Esteem Scale made by Rosenberg in 1965 was revised, complemented and used. For the measurement of a mother's social support, the Social Support Scale made by Jee Won Park in 1985 was used. Using the program of SPSS 15.0,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program of AMOS 7.0,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were conducted.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mediation effect was calculated using the Sobel test.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mother's social support, self-esteem, affectionate behavior, and family strength we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Second, a mother'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on her affectionate behavior and family strength. Third, a mother's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through the mediation of her affectionate behavior and family strength. Fourth, a mother's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through the mediation of her affectionate behavior and family strengt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investigated variables related to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and proved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Previously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With such investigation and testing, this study has provided an integrated structural model, making it possible to understand variables related to each other which affect the ego-resiliency of early childhood. Also, by finding variables of family environments leading to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this study has provided basic materials which will be available to develop family support programs, the aim of which is to promote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이광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n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providing counseling for the ego-resilienc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will improve the ego-resilienc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will improve the subordinate areas (trust in self and others, problem solving ability, tolerance of negative affect and academic competence) of ego-resilienc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students at 'S' high school in 'G' City (control group 11, experimental group 11). 22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placed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program for enhancing ego-resilience was carried out with only the experimental group two or three times a week for 10 sessions and each session required 60 minute The effect of the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was measured by a method for measuring ego-resilience that was made by Ju, So-Young and Lee, Yang-Hee(2011). This study used Split-Plot Factorial Design and all of the data was analysed by SPSS for Windows 18.0.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for hypothetical verification was set at .05.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go-resilience enhancing program is effective on improved the ego-resil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ego-resilience enhancing program is effective on improved the subordinate areas(trust in self and others, problem solving ability, tolerance of negative affect and academic competence) of ego-resilienc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which the ego-resilience enhancing program had been developed and tried, and then its effect had proved.

      • 자긍심과 자아탄력성 증진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비행 성향에 미치는 영향

        유장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아동의 비행 성향이 자긍심과 자아탄력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검증을 하기 위해 세운 대립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1. 자긍심과 자아탄력성은 비행성향과 부적인 상관을 보일 것이다. 가설2. 실험집단의 자긍심은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상담 프로그램 종료 후 더 증가할 것이다. 가설3. 실험집단의 자아탄력성은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상담 프로그램 종료 후 더 증가할 것이다. 가설4. 실험집단의 비행성향은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상담 프로그램 종료 후 더 감소할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5-6학년 109명이었다. 실험집단의 아동은 남자 31명, 여자 23명이었다. 통제집단은 남자 30명, 여자 25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자긍심은 초등학생용 자아개념검사(송인섭, 이경화, 고진영, 2006)의 총 자아존중감 점수를 사용하였다. 자아탄력성은 한국 아동 성격검사(황순택, 김지혜, 안이환, 조선미, 한태희, 홍상황, 홍창희, 2010)의 자아탄력성 척도 점수를 사용하였다. 비행 성향은 한국 아동 성격검사(황순택 등, 2010)의 비행척도 점수를 사용하였다. 자긍심 증진 프로그램은 Palomares(1991)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활동 프로그램을 조원성(1996)이 번안하여 수정한 프로그램을 기초로 연구자가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간의 상관을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비행성향에 대한 자긍심과 자아탄력성의 설명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행성향을 종속측정치로 하여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긍심과 자아탄력성 및 비행행동의 사전 사후 측정치를 반복측정 다변량 분석을 하였고 상호작용 효과는 짝짓기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긍심과 자아탄력성 및 비행 성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비행성향에 대한 자긍심과 자아탄력성의 설명력을 검증하기 위한 단계별 회귀분석 결과 자긍심은 비행성향을 예언하는데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아탄력성은 비행성향을 예언하는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R=.375) 설명력(R2)은 14%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비행성향에 대한 사후자긍심과 사후자아탄력성의 설명력을 검증하기 위한 단계별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사후자긍심은 유의한 수준의 설명력을 가지지 못하였으나 사후자아탄력성은 사후비행성향을 예언하는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R=.284) 사후자아탄력성이 사후비행성향을 설명할 수 있는 양(R2)은 8%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자긍심의 경우 집단×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주효과 분석을 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프로그램 전에 비해 프로그램 후에 자긍심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53)=-12.07, p<.001. 넷째, 자아탄력성의 경우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수준을 고정하여 단순주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프로그램 전에 비해 프로그램 후에 자아탄력성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53)=-15.00, p<.001. 다섯째, 비행성향의 경우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주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의 비행 성향이 프로그램 전에 비해 프로그램 후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t(53)=8.40, p<.001. 연구결과 자긍심과 자아탄력성 및 비행 성향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행 성향에 대한 예언력은 자아탄력성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긍심과 자아탄력성을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행 성향은 프로그램 실시 후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가 유의함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긍심과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 성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해 주었다는데 있다. 비행 성향이 비행 행동으로 발전하기 전에 예방적인 차원에서 이러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학교 폭력이나 학교 부적응 아동에게 매우 유용할 것임을 시사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elf-esteem, ego resilience and delinquent tendencies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e other meaning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ere are alternative hypotheses to examine the subjec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ould b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and delinquent tendencies. Second, the level of self-esteem of experimental group would be higher than control group after finishing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ird, the flexibility of ego resilience of experimental group would be brother than control group after finishing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urth, the strength of delinquent tendencies of experimental group would be lower than control group after ceasing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09 of prim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hey are composed of male 31 and female 23 in experimental group and male 30 and female 25 in control group. The instruments were Self Concept Inventory for Primary School Student and Ego Resilience subtest of Korean Child Personality Inventory and Delinquent Scale of Korean Child Personality Inventory. It was used that the program of Won Sung Jo(1996) translated and modifie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developed by Palomares(1991).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15.0 vers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among variables and the regression coefficient were achiev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repeated MANOVA were operated and the analyses of simple main effect were identified. The summar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elf-esteem, ego resilience and delinquent tendencies.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shows that ego resilience has significant explanability(R2=14%) for the delinquent tendencies, but self-esteem did not achieve the significant level. The results of post scores of ego resilience reached the significant level((R2=8%) of prediction to delinquent tendencies after finishing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group by periods in the variable of self-esteem after finishing program.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simple main effect for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 t(53)=-12.07, p<.001. Fourth,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by periods in ego resilience revealed significant.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varied significantly between pre and post periods, t(53)=-15.00, p<.001. Fifth,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by periods in delinquent tendencies shows significant level and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simple effect of experimental group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 t(53)=8.40, p<.001. The results shows tha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were effective to decrease delinquent tendencies of primary school students. It suggeste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ould be effective to prevent the acting out of children's delinquent tendencies in school and home environments.

      •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주관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지각수준 및 대처양식과의 관계

        김지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주관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법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아동의 인성교육과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첫째,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 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둘째,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스트레스 지각수준과 대처행동에는 차이가 있는가?셋째, 아동이 지각한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은 스트레스 지각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넷째, 아동이 지각한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은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6학년 아동 509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로는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박은희(1996)가 개발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심리적 안녕감을 특정하기 위해서는 Campbell(1976) 등의 “주관적 안녕 지표(Index of well-being)'를 한정원(199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스트레스 지각을 측정하기 위해 김미애(1995)의 스트레스 반응 검사지와 김교헌과 전겸구(1993)가 개발한 중학생용 생활스트레스 검사지를 참고로 하여 박혜숙(2001)이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대처행동 측정하기 위해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한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를 박진아(2001)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평균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ANOVA), Scheffe의 사후검정,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인구사회학적인 변인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을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서는 자아탄력성이나 주관적 안녕감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수준이 풍족하다고 지각할수록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도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인구사회학적인 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수준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스트레스 수준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지각수준이 낮았으나,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아동의 스트레스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바, 여학생들의 경우 남학생에 비해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사회 지지추구적 대처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에 대해 적극적, 사회 지지추구 대처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수준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바,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지각수준이 낮았다. 자아탄력성 변인에 주관적 안녕감을 추가로 투입하여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회귀분석의 경우 설명력이 38.4%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증가분은 13.1%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주관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 변인들에 비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며, 주관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를 많이 하며, 소극/회피적 대처와 공격적 대처행동은 적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개인의 긍정적 심리요인인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은 스트레스 지각수준 및 대처방식과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이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과 갈등에 잘 대처하고 좀 더 적응적인 삶을 살기 위해 개인의 긍정적인 자원인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향상시켜줄 수 있는 교육적 처치와 상담의 기초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ego?resilience, subjective well?being, stress level and coping methods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ducating and counseling children. For this purpose, we se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are children’s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Second, are children’s perceived stress level and coping behavior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Third, do children’s perceived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ffect their perceived stress level?Fourth, are children’s perceived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correlated with their stress coping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9 5th and 6th graders at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The children’s ego?resilience was measured using the test developed by Park Eun?hee (1996),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measured using the Index of Well?being developed by Campbell et al. (1976) and translated by Han Jeong?won (1997). In addition, stress level perceived by the children was measured using a test designed by Park Hye?sook (200) based on the Stress Response Test of Kim Mi?ae (1995) and the Life Stress Te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Kim Gyo?heon and Jeon Gyeom?gu (1993), and stress coping behavior was measured using the Daily Stress Coping Behavior Scale developed by Min Ha?yeong and Yoo An?jin (1998)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Park Jin?a (200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12.0.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children’s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ronbach's a was calculat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ing scale.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see the correlations among ego?resilience, psychological well?being, perceived stress level and coping pattern perceived by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as to children’s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variabl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gender. However,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parent’s academic qualification was high and when the economic level was perceived high.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tress level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In addition, perceived stress level was lower when the father’s academic qualification was high, but i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ther’s academic qualification. Stress cop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That is, female children appeared to do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and social support?seeking coping behavior more frequently than male ones. In addition, those with high economic level appeared to do active and social support?seeking behavior more frequently to cope with stress. Third, ego?resilience, subjective well?being and stress level perceived by childre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mong them. That is, when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high, perceived stress level was lower. In regression analysis that added subjective well?being to ego?resilience variables and examined its effect on stress level,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significantly to 38.9%, and the increase was 12.9%. This result suggests that subjective well?being has a relatively higher effect on stress than ego?resilience variables do. Fourth,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ego?resilience, subjective well?being and stress coping behavior perceived by children, when their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high, children did active and social support?seeking behavior more frequently and passive/evasive and aggressive behavior less frequently to cope with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dividuals’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re in a high correlation with perceived stress level and stress coping behavior. Thus, in order for children to cope with tension and conflict arising from stress and to lead a more adaptive life, there should be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counseling for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hich are individuals’ positive resources, and improving them

      • 청소년의 성격특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이영화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국내의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격특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체적인 요인들끼리의 관련성을 살펴 보았다. 시대가 요구하는 청소년들이 높은 자아탄력성을 갖게 하기 위해 관계된 요인을 밝히며 청소년과 부모의 교육과 교사의 학생상담에 필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목적과 필요성을 갖는다. 이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청소년의 성격특성과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아탄력성과 관계가 있는가? 1-1. 청소년의 성격특성은 자아탄력성과 관계가 있는가? 1-2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아탄력성과 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경기도와 전라북도에 소재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176명과 여학생 153명으로 해당 학교에 전화와 방문을 통하여 설문조사에 대한 취지와 목적을 설명하였다. 설문지 400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고 통계처리요건에 부합되는 329부를 자료처리에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격특성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는 개방적인 성격이 자아탄력성과 가장 긍정적으로 관련이 있었고 신경증은 가장 부정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는 합리적인 설명과 애정이 자아탄력성과 가장 긍정적으로 관련이 있었고 방치. 과잉간섭, 과잉기대가 가장 부정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관계에서 성격특성과 양육태도 중 부모의 양육태도가 모든 요인에서 긍정적, 부정적으로 관계가 있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은 어릴 때 일수록 성격도 양육태도와 관계가 있으며 청소년기에는 부모보다 친구에게 영향을 받는 시기여서 자신의 내적 성격이 자아탄력성과 더 깊은 관련이 있지만 그 성격 역시 어린 시절부터 양육태도와 함께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성격특성과 양육태도는 서로 관련이 있으며 자아탄력성과도 각 각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변인들끼리는 서로가 유기체적 관계임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was tested on nation’s ordinary teenagers, in order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al attitude and self adaptabilit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 the relation of specific factors has been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will be revealed in order to give teenagers high self adaptability as the century requires it. Also this research will be valued as it will provide document for parent-teenager education and student counseling for teachers. In order to verif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has been selected 1. does the teenager’s personality characteristic and parent’s parental attitude has relationship with self adaptability? 1-1. Does teenager’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ave relationship with self adaptability? 1-2 Does parent’s parental attitude has relationship with self adaptability? The research target was 176 male students and 153 female students enrolled in middle and high school at Gyeonggi-Do and Junlabuk-Do. The students were researched through phone and interview, they were asked to be interviewed and we explained the purpose. 400 research questions were surveyed and received, out of these 329 met the statistic standard and were us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 between teenager’s personality characteristic and self adaptability, extroverted personality had the mos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 adaptability. Neurosis had the most negative relationship. Second,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arental attitude and self adaptability, rational explanation and affection had most positive relationship and neglect; excess interference had most negative relationship. Third, in the relation with self adaptability, out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 and parental attitude, parent’s parental attitude had deep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 in all factors. In conclusion, the personality and parental attitude is more related as the children are young, and in the teenage life friends are more influential then parents thus the inner personality is more deeply related to self adaptability however this personality is also created during the young age. As so personality characteristic and parental attitude is related factor and self adaptability affectseach of it and is affected by it, and is a deeply related organic relationship.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홍승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탄력성,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이 자아탄력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나아가 탄력성이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자아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자아존중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 435명(남 203명, 여 232명)이다. 설문은 자아존중감 척도, 자아탄력성 검사지, 우울검사지로 구성하였으며, 연구결과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은 탄력성과 유의미한 정적상관, 우울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탄력성과 우울 또한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은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쳤고 우울에는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쳤다. 또 자아탄력성은 우울에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보였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회귀 분석결과, 탄력성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사이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하위영역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긍정사고, 문제해결, 친밀행동, 자율행동 요인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등학생이 우울을 극복하거나 예방하여 좋은 정신건강을 갖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과 탄력성을 증진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우울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ego-resilience and depression, and find the effects of Self-esteem to resilience and depression of high school students. Moreover, this is to find out the significant role of ego-resilience as intermediation in Self-esteem and depression. The main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ego-resilience and depression? Second, how is self esteem affect depression? Third, how is ego-resilience affect depression? Fourth, how is self esteem affect ego-resilience? Fifth, how is the inter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self esteem and ego-resilience? The research subjects are 435students (203 male, 235 female) in high schools located in the Seoul and Gyeonggi-do. The survey consists of a test paper on self esteem, a test paper on resilience and a test paper on depression. The research was analyzed using an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0 as well as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both the self esteem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nd depression, and also 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econd, self esteem gave significant effects to depression. Among the sub-variables, personality ego, academic-general ego and teacher-related ego were effective. Third, resilience had significant effects to depress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resilience, positive thinking, intimate behavior, problem solving, liberal behavior had a effect in order. Fourth,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go-resilience. Among the sub-variables, friend-related ego, academic and general ego, family ego, physical ego, and teacher-related ego had a effect in order. Fifth, ego-resilience had a complete intermediation effect between self esteem and depression. Among the sub-variables, positive thinking, intimate behavior, problem solving, liberal behavior had a intermediation effect. However, emotional control didn’t have significant inter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to have improved mental health by overcoming or preventing depression, higher self-esteem and ego-resilience is essential.

      • 자아탄력성 증진 훈련이 중학생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김미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가장 적절한 자아탄력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윤정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아탄력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J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59명)을 대상으로 1개 학급(30명)은 실험집단, 다른 1개 학급(29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으로 총 12회기로 구안하여 9월 7일부터 10월 16일까지 한 주에 2회기씩 창의적 체험활동 2 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도구는 이선영(2008)이 만들고 오영숙(2009)이 어휘를 수정한 자아탄력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dow 20.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이 작성한 경험보고서와 상담자가 관찰한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아탄력성의 변화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영역별 분석결과에서도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감정통제, 활력성, 낙관성 영역별 변화가 통제집단의 하위영역별 변화와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원들이 작성한 경험보고서와 상담자가 관찰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에 대한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활용 및 새로운 활동 방법을 구성, 개발하여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의 폭을 넓히고 프로그램 효과를 높였으며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지도에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치료 집단 상담에서 활용되는 활동과 대화는 바로 치료적 개입과 연계되므로 상담자는 현실치료 연수 과정을 통해 효과적인 활동과 질문에 숙달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자아탄력성이 오랜 시간을 통해 형성되므로 보다 장기적으로 집단을 운영하고 비교집단을 구성하며 더 많은 연구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