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본이득세제에 관한 연구 : 비사업자의 부동산 양도소득 과세에 대한 입법론을 중심으로

        유재선 江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Korean capital gains tax,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policy tax system to constrain the speculative investment in real estates, has gone through ups and downs without rational consistence rather than keeping the legal stability as a tax system itself.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taxpayer's right and interest has been dealt with lightly because emphasis has been put on the policy purpose in the tax system rather than the financial purpose. This paper deals with methods how to introduce neutral and stable capital gains tax system that can solve various problems in the current tax system from a viewpoint of taxation of income tax itself rather than a policy angle of the real estate tax system.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describe what the capital gain is in one word, which is the study object in this paper, it can be defined the added portion of the economic value accruing during holding period of it. In reality, it is not easy to find a case to levy tax on the unrealized transfer income, and so the taxation on the real estate capital gains would be the difference between transfer value, acqisition value and the necessary expenses at the time of transfer of the real estates, namely taxation on transfer gains. In case of Korea, capital gains are classified under the income tax category and taxed as capital gains tax separated from other ordinary incomes that are taxed aggregately. By analyzing and arranging the past change process and current development of the capital gains tax system, this paper seeks to evaluate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inciple of inherent capital profit tax system and to find a real estate capital gains taxation method that would solve those problems and meet the Korean situation. First, as a short-term alternative, a reform plan is proposed for the tax system, calculation of taxable incomes, the tax rate structure that has problem in the current tax system framework, and then as a long-term alternative legislation method for new capital gains tax is presented. This should include not only the improvement of the taxation system, a calculation method of taxable income, a tax rate structure that are pointed out in the existing capital gains tax system but also the capital gains of movable property, expansion of taxable objects of valuable securities, assets of free transfer such as inheritance or gift that are currently under consideration by government, and a succeeding research on uncompleted part would be desired. Thinking from the comprehensive income concept as claimed in the net asset increase theory, it is a general theory that the capital gains should be included in the taxable incomes from the viewpoint of the increase of economic power and improvement of tax bearing capacity. When viewed from the level of equity, there is no reason to discriminate in taxation because there is no difference in tax bearing capacity between capital gains and ordinary incomes. A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that exists in the capital gains tax such as concentration effect, freeze effect and taxation on the nominal income by inflation, differs from ordinary incomes in its feature, and this justifies the preferential tax measures. The current income tax law classifies the incomes into aggregate, retirement and capital gains, and each sector is not grossed up but separated for taxation. The profit that are realized by selling the assets that fall on the group of taxable objects among capital assets is separated from the ordinary incomes and is levied as capital gains tax, and it also takes different shape from that of the aggregate incomes in taxational structure. As taxable objects of capital gains tax due to the transfer of assets, stipulated are the land and buildings, right to real estates, stocks or shares and other assets. Taking a look at the transition process and the current development of the capital gains tax system of the key nations like U.S.A., they take various shapes based on the economic environment, the situation of the capital markets, the income level of each country, and most of them has capital gains tax system based on the net asset increase theory. Tax exemption policy is implemented to enliven the government bond market or to activate the market of new commodities like derivative financing and others depending on the financial market situation, but the taxable objects include items more extensively than in Korea where taxation is restricted only to unlisted stocks and some listed stocks, but in case of U.S.A., even movable assets such as paintings and antiques are included for taxation.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blocking effect and concentration effect, there is a tendency to relieve the tax burden more to the long-term capital gains than that to the short-term one. Also, aggregation with ordinary incomes or deduction carried over, not to mention the grossing up between the capital gains, are permitted to some extent and this can be considered reasonable from the viewpoint of principle of ability-to-pay. In case of a house, tax preference is applied to the primary residing house and in many cases, house deduction is allowed to a certain extent. Various problems in the Korean capital gains tax system were investigated by dividing them into the taxation system, the taxable income calculating method, the tax rate structure and the overseas real estate issues. Firstly, a consideration was made on the situation of the tax-exempt regulation to the one-household-one-house and the issue of exemption on the exchange or dividing·combining of farmland.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tax-exempt system on the one-household-one-house in the house taxation is not only against the overall capital gains tax system but also not in harmony with the whole income tax system, and it also impede the principle of ability-to-pay, principle of horizontal equity. This also contradicts the neutrality of taxation 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우리나라 자본이득세는 부동산 투기 억제를 위한 정책세제로서의 모습 때문에 세제 본연의 법적 안정성을 갖추지 못하고 논리적 일관성 없이 부침을 거듭해왔다. 세제의 재정적 목적 보다 정책적 목적이 강조되다보니 자본이득과세 본연의 논리에 터를 잡은 입법이 아니라 과세관청의 정책적 목적에 따라 과세체계가 수립됨으로서 납세자의 권익이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되어 왔다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본 논문은 부동산에 대한 세법의 정책적 시각 대신 소득과세 본연의 관점에서 현행 세제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치유하는 중립적이고 안정적인 자본이득세제의 도입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본 논문에서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는 자본이득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한마디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이를 자산의 보유기간 중 발생하는 경제가치의 증가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미실현 양도소득에 대한 과세는 그 사례를 찾기 어려운 만큼 부동산 자본이득에 대한 과세는 부동산의 처분 시 발생하는 양도가액과 취득가액 및 필요경비의 차이, 즉 양도차익에 대한 과세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자본이득을 소득세 체계 내에서 분류하고, 이를 종합과세 하는 다른 통상적인 소득과는 분리하여 양도소득세로 과세하고 있다. 이러한 부동산 양도소득 과세 제도의 변천과정과 현황을 분석·정리 하여 이를 본연의 자본이득세제의 원리에 비추어 평가하고, 그 문제점들을 치유할 수 있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부동산 자본이득 과세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우선 단기적 대안으로 현행 세제의 틀 안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과세체계, 과세소득 산출, 세율구조 등에 대한 개편방안을 제시하고 장기적인 대안으로는 새로운 자본이득세(Capital Gains Tax)의 입법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기존의 양도소득세제에서 지적되는 과세체계, 과세소득 산출방법, 세율구조의 개선 뿐 아니라 정부에서 현재 고민 중인 동산의 양도소득, 유가증권의 과세대상 확대, 상속이나 증여와 같은 무상이전 자산에 대한 효율적인 과세방안까지 아우르는 것이 되어야 할 것인 바, 미진한 부분을 후속연구에 제안해보았다. (1) 자본이득은 순자산증가설에서 주장하는 포괄적 소득개념에서 볼 때 경제력의 증가와 담세력의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과세소득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 통설이다. 공평의 차원에서 보자면 자본이득과 통상소득의 담세력은 차이가 없으므로 과세에 있어 차별을 둘 이유가 없다. 그러나 자본이득과세에 내재하는 결집효과, 동결효과,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명목소득에의 과세와 같은 구조적 특징들은 통상소득과는 다른 성질을 나타내고 이에 대한 조세우대조치들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2) 현행 소득세법은 소득을 종합, 퇴직, 양도소득으로 구분하고 각 구분 간 소득은 합산하지 않고 분리 과세한다. 자본적자산 중 과세대상이 되는 자산의 매각으로 실현되는 이득은 통상소득과 분리하여 양도소득으로 과세하는데 과세구조도 종합소득과는 다른 형태를 취한다. 자산의 양도로 인한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으로는 토지 및 건물·부동산에 관한 권리·주식 또는 출자지분·기타자산을 규정하고 있다. (3)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자본이득세제의 변천과정과 현황을 살펴보면 각국의 경제환경, 자본시장의 여건, 소득수준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대부분의 국가에서 순자산 증가설에 입각한 자본이득세제를 운영하고 있다. 금융시장 여건에 따라 정부채권의 유통시장 활성화 혹은 파생금융 등 신종상품의 시장 활성화를 위해 면세 정책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비상장주식과 일부 상장주식에만 한정하고 있는 우리나라보다 과세대상을 폭넓게 망라하고 있고 미술품이나 골동품과 같은 동산의 경우도 과세대상으로 하고 있다. 한편, 봉쇄효과 및 결집효과를 막기 위해 장기자본이득에 대한 세부담을 단기자본이득에 대한 세부담 보다 경감시켜 주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자본이득간의 합산은 물론 경상소득과의 통산이나 이월공제도 일정 부분 허용하고 있는데 응능부담의 원칙에 비추어보아도 합리적이라고 본다. 주택의 경우에는 주된 거주주택에 대하여 조세우대를 마련하고 있는데 일정한 주택공제를 허용하는 경우가 많다. (4) 우리나라 자본이득세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과세체계, 과세소득산출방법, 세율구조, 해외부동산의 문제로 나누어 고찰해보았다. 첫 번째로 과세체계에서 1세대 1주택 비과세 규정 및 농지의 교환 또는 분합에 대한 비과세문제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주택 과세에 있어 1세대 1주택에 대한 비과세제도는 전반적인 자본이득과세제도의 취지와 대치되고 소득세제 전체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며 응능부담의 원칙, 수평적 공평의 원칙을 저해한다는 지적이다. 또한 조세의 중립성에 위배되고 비과세 단위를 세대로 규정한 것이 비효율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농지의 교환 또는 비과세는 합리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종전 농지의 경작기간에 대해서 아무런 제한규정이 없고 새로 취득한 농지의 3년 경작기간 규정을 보면 지나치게 단기여서 투기

      • 住宅資本利得稅制의 改善에 관한 硏究

        신지영 경희대학교 국제법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A transferred income tax, a sort of capital gains tax, bestows a favor on various kinds of reduction and exemption for the stability of living regarding to the transfer of housing while imposing a tax on capital gains of real estate and other things. A transferred income taxation system in Korea makes it a rule to impose a tax on the capital gains of housing. But, it accepts it an exception not to impose a transfer income tax in case of a housing with a household. In other words, income tax law makes it a regulation that capital gains of the housing and its pertained estate is tax-exempt in case a household possesses a housing and does so for over 3 years. The tax-exempt system of a housing with a household is the most important item out of those tax-exempt items of transfer income taxation system. From the positive side, the tax-exempt system of a housing with a household makes an ultimate contribution to reducing the cost of housing transaction, residing and moving. The thing that there is a secured freedom for residing and moving itself has important meaning so that people's basic rights are guaranteed substantially. Moreover, it means that housing services and the welfare of consumers get richer than in other circumstances. Also, it reduces the cost of population movement so that it helps accomplish effectiv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owever, from the negative side, it causes many problems in equal distribution of taxation, economic effectiveness, rationality of taxation system, security of financial income, incomeredistribution, combined-use housing problem, complexion of taxation administration, and function of economic adjustment. Regarding the problems that tax-exempt system of a housing with a household brings about in housing capital gain taxation system, I suggest several alternatives as an improvement plan as follows: First, I proposed the removal the limitation of house-hold-number and reduction of the luxurious houses' standard from 600 million won(korean won) to 400 million won as the way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current tax-exempt system. But this proposal cannot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system, and the removal the limitation of house-hold-number can be tempted to speculate in real estate. Second, I proposed to the deferral of taxation. The deferral of taxation is a taxation system that doesn't impose a tax at once regarding transferring a housing but, later on in case of alternative purchase of a housing, imposes a tax on the difference between transferring price of an existing housing and purchased one of a new housing. Introducing this system, the occurrence of lock-in effect can be omitted and afterwards circular supply can be much more increased. Third, I proposed to introduce a housing transferred income deduction system. A housing transferred income deduction system is a kind of income deduction system that, in the computation of transfer income amount, makes the period for allowing deduction from transferred profit 3 years and deduct at least $200 million and draw the amount of transfer income. Introducing a housing transferred income deduction system, instead of tax-exempt system of a housing with a household, the justice for taxation can be incarnated by making a reasonable change to taxation on real trading price and various problems that a housing with a household may have, such as inequality of taxation can be healed. Through this paper, I proposed three ways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current one house no taxation tax-exempt system. On my opinion, the first proposal, the removal the limitation of house-hold-number and reduction of the luxurious houses' standard, and the second one, the deferral of taxation , are not proper solution. So, a housing transferred income deduction system is the most realistic solution to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Because a housing transferred income deduction system can harmonize well with the current capital gains tax, and it can complete the equal distribution of taxation and improve the housing welfare system.

      • 우리나라 資本利得稅制의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조명수 慶星大學校 貿易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re are transfer income tax, surtax, land excess tax, and development imposition in capital gains tax of Korea. Meanwhile the government has heavily imposed transfer income tax to prevent vicious speculation on land and overheating of real estate activity. However transfer income tax hasn't peformed its roles as capital gains tax properly. But being made hurrily, it has exposed some problems. This thesis intends to show how to solve those problems of capital gains tax of Korea. First, to make transfer income tax play its inhereunt role as a capital gains tax taxation,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made; 1. Include listed stock as a source of taxation of transfer income tax. 2. Convert current tax exemption and tax incentive system to special deduction system. 3. Reform capital gains tax of gratuitous acquisition as carry-over basis method. 4. To mediate inflation profits, the time of legal fiction acquisition should be become January 1, 1980, and eliminate restrictive provision, raise rate of wholesale price 5% per year. 5. Convert the method of determining transfer income from standard price method to real price of exchange method. 6. To induce voluntary report payment of transfer income tax, raise the tax deduction rate or additional tax rate of expected report payment. Second, corporate surtax is a double taxation upon same assets. Therefore it should be abolished in a long term and imbalance in tax imposition between corporate and individual should be dissolved by imposing capital gains tax on both of them by the same law. Third, if excess tax did not play its role efficiently, it should be abolished in a long term. Finally, development imposition should play a role of redemption of development profit. And then transfer income tax should be imposed on the real capital gains.

      •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가업상속공제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안 연구 : 상속세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최재인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2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마련된 가업상속공제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은 전체 산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 승계과정에서 과도한 상속세 부담으로 인해 중소기업들이 경영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업상속공제제도가 도입된 배경과 그 발전 과정을 검토하고, 현행제도의 주요 요건과 사후관리 요건을 분석한다. 특히, 현행제도의 복잡성과 엄격성으로 인해 제도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가업 승계 시 발생하는 미실현이익에 대한 과세로 이를 통해 상속세 부담을 줄이고 중소기업이 경영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자본이득세 도입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연구 결과, 자본이득세 도입을 통해 조세 부담을 분산시키고, 기업의 재투자와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개선방안은 중소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지원하고, 장수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과세방안 연구 : 소득세제 개선방안 및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의 적용론

        최진영 高麗大學校 法務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6

        국문초록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과세방안 연구 소득세제 개선방안 및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의 적용론 최 진 영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지도교수 : 박 종 수 파생금융상품에 관한 현행 과세제도는 법인세법이 파생금융상품 거래 손익을 과세소득으로 보고 있음에 비해 소득세법에서는 이를 과세소득으로 규정하지 않고 있다는 데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 파생금융상품 거래 손익에 대한 소득세 비과세로 말미암아 금융상품에 대한 과세에 있어서 형평성의 문제점이 제기될 뿐만 아니라 비과세 거래인 파생금융상품 거래를 이용한 조세회피행위를 유발할 가능성이 커 이를 방지할 근본적인 대책의 마련이 시급하다. 본 논문은 파생금융상품에 관한 과세체계를 개편함에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이원적 소득세제를 채택하는 방향으로 소득세제를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한다. 파생금융상품 거래 손익에 대하여는 소액주주에 대한 상장주식 거래손익과 함께 자본이득세를 과세하는 것으로 세법을 개정할 것을 제안한다. 최초 도입시에는 과세대상 거래손익의 범위에 KOSPI 200 관련 선물과 옵션 등 거래소를 통한 정형적 거래에 대한 과세부터 시작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현행 소득세법이 원천징수를 통한 분리과세에 의존하고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초기 도입시에는 거래소와 금융기관을 통한 파생금융상품 거래와 관련하여서는 원천징수를 통한 과세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자본이득세의 최초 세율은 현행 소득세법 상 주식에 대한 최저 양도소득세율인 10%로 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파생금융상품에 관한 소득세제를 개선함에 있어 미국세법의 규정 중 wash sale 규정과 straddle 규정, 전환거래 규정, 양도간주 규정은 이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법인세법의 개정방향과 관련하여서는 외국법인에 대한 장내 파생금융상품 거래에 관한 비과세 혜택을 폐지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미국세법과 마찬가지로 시가기준을 채택하는 것이 타당하리라 생각한다. 법인세법에 관하여도 소득세법처럼 조세회피 방지 규정을 신설해야 한다. 파생금융상품에 관한 거래세는 조세형평성의 차원에서나 파생금융시장의 위축이라는 측면 어느 면에서 보더라도 도입될 필요가 없는 제도라고 생각한다. 2007. 12. 31. 신설된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은 “제3자를 통한 간접적인 방법” 또는 “둘 이상의 행위 또는 거래를 거치는 방법”으로 조세부담을 줄이려는 조세회피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규정으로서 미국 판례법상 단계거래 원칙을 도입하여 실질과세 원칙을 구체화한 것이다. 이 조항을 해석함에 있어 “부당”의 개념은 각 세법에 규정된 부당행위계산 부인 규정에서의 “부당” 규정과 마찬가지로 경제적 합리성의 결여를 의미한다. 위 조항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미국 판례법상 발전된 단계거래 원칙의 적용기준인 약정의무기준, 최종 결과기준, 상호의존성 기준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납세자의 거래가 “부당성”의 요건과 단계거래원칙의 적용기준을 모두 만족시킬 경우에는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에 따라 우회적인 행위나 위장행위는 부인되고, 실제 납세자에 의해 의도된 하나의 행위 또는 거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과세한다. 본 논문은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이 파생금융상품 거래에 대하여도 적용된다는 점을 논증하고 있다. 2011. 4. 28. 대법원 2010두3961 판결에 의하여 국세청의 과세처분이 취소된 엔화스왑예금에 대한 과세에 관하여 보면, 위 거래는 엔화환전거래, 엔화정기예금거래, 엔화선물환 거래로 이루어진 거래로서 위 일련의 거래들은 최초의 단계부터 확정적인 이자소득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졌으므로, 처음부터 뒤의 거래에 관한 확정적인 약정이 있었던 경우에 해당하여 단계거래 원칙이 적용된다. 또한 위 파생금융상품을 이용한 다단계거래는 오로지 조세부담을 경감할 목적으로 이루어진 경제적 합리성이 결여된 거래이므로 부당성의 요건도 충족된다. 따라서 만약 위 조항이 신설된 2008. 1. 1. 이후에 엔화스왑예금 거래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위 조항에 따라 우회적인 거래 또는 다단계 거래는 부인되고, 일련의 거래들이 목적하는 전체적인 계획에 따라 이를 하나의 거래로 인한 소득 즉 이자소득으로 보아 과세하여야 할 것이다. [주제어] 파생금융상품, 자본이득세, 이원적 소득세제, 실질과세의 원칙, 조세회피, 단계거래

      • 상속세 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신재원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19

        The idea of making death a taxable event infuriates many people. Opponents claim that the estate tax is imposed at a time-death-that is at best illogical and at worst morally repugnant. They argue that the tax impairs economic growth, destroys small businesses and family farms, encourages spendthrift behavior, generates huge compliance costs, and leads to ingenious avoidance strategies. As an inefficient, inequitable, and complex levy, the death tax is thought to violate every norm of good tax policy. Supporters find the criticisms overstated or wrong. They note that the tax is only levied on the estates of about 2 percent of Americans who die and only on those with substantial estates. They believe that a highly progressive tax that patches loopholes, helps provide equality of opportunity, reduces the concentration of wealth, and encourages charitable giving can not be all bad. Estate and gift taxation is a controversial subject. Some propose extending transfer taxation to a larger segment of the population. Others favor substantial reductions or outright abolition. Moreover, the approach to estate and gift taxation varies among developed countries. Most use an inheritance tax instead of estate and gift taxes, and some have abolished transfer taxation. Australia phased out its estate tax starting in 1977. The Canadian federal capital transfer tax was abolished in 1972 as part of a federal tax reform that included the introduction of a capital gains tax that applied to bequests and gifts. New Zealand abolished estate taxes for people who died after 1992. In the United Kingdom, inheritance tax is charged on the transfer of all property passing on death. No general gift tax exists, but to avoid too obvious avoidance inheritance tax also levied on certain gift made within the 7 years before the death of a person. In Germany, in most cases, inheritances and gifts are treated in the same and are subject to the same rate table. the liability to pay inheritance tax is incurred at the time of death of the deceased. In France, inheritance and gift tax is imposed by the state on property acquired by inheritance or gift. The rules differ slightly according to whether th acquisition of the property was by inheritance or by gift, but are basically the same. In Switzerland, there are no federal inheritance or gift taxes. However, most of the cantons levy inheritance and gift taxes. In Canada, no Canadian jurisdiction imposes a gift or inheritance tax. However, a form of such tax is imposed through deemed disposition provisions in income tax legisl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a unified estate and gift tax system that applies to the cumulative total value of all transfers made by an individual during life and at the time of death. Under the 2001 Tax Act, the estate tax and the generation skipping transfer tax are phased out between 2002 and 2009 and fully repealed in 2010. The phase-out is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a reduction in the maximum tax rate and an increase in the unified credit exemption amount. The repeal of the estate tax and generation skipping transfer tax in the United States in 2001 is expected to have a huge impact on tax system all over the world. Capital gains tax should gradually replace inheritance tax in many countries. Once a system of capital gain tax has been set up, double taxation of personal income tax and inheritance tax on bequeathed income can be avoided and tax will be levied on unrealized capital gains of the transferor. 많은 사람들이 사망에 대하여 과세하는 것에 대하여 불만을 나타낸다. 상속세 반대론자들은 유산세는 사망이라는 일회적 사건에 대해 부과되므로 비논리적이며 도덕적으로도 불쾌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그들은 유산세는 경제성장을 방해하며, 영세기업과 가족농장을 도산으로 몰고 갈 뿐만 아니라 낭비하는 행위를 조장하고 커다란 납세순응비용을 유발하며 조세회피전략을 발전시킬 뿐이라고 주장한다. 사망세는 비효율적이고 불평등하며 복잡한 세금으로서 적절한 조세 정책의 기준에 위배된다고 인식된다. 상속과세 찬성론자들은 반대론자의 비판에 대해 그것이 과장되어 있거나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유산세는 사망인의 약 2퍼센트에 해당하는 미국인의 유산에 과세될 뿐이며 풍부한 재산을 가진 사람들에게 부과될 뿐이라고 한다. 지지자들은 탈세를 방지하며 기회의 평등을 제공하고 부의 집중을 억제하면서 기부를 촉진하는 고율의 유산세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유산세와 증여세는 매우 논쟁의 여지가 많은 조세이다. 혹자는 이전세가 과대되는 과세대상의 확대, 세율의 증가 그리고 조세회피 수단의 완전한 제거를 제안한다. 또 다른 측에서는 실질적인 감소 또는 완전한 폐지를 찬성한다. 더군다나 유산세와 증여세에 대한 접근방법은 선진국마다 다양한 양태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는 유산세와 증여세 대신에 상속세를 채택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는 이전세를 폐지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는 1977년부터 유산세를 점진적으로 폐지하였다. 캐나다의 경우 연방자본이전세는 연방세 개혁의 일환으로 1972년에 폐지되었으며 유증과 증여에 대해 적용되는 자본이득세가 도입되었다. 뉴질랜드는 1992년 이후에 사망하는 사람에 대하여 유산세 과세를 폐지하였다. 영국에서는 사망 시에 이전되는 모든 재산에 대하여 부과된다. 일반적인 증여세는 없지만 명백한 탈세를 방지하기 위해 사망 전 7년 동안에 행해진 증여에 상속세가 부과된다. 독일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상속세와 증여세가 동일하게 취급되며 세율도 같다. 상속세 납세의무는 상속인의 사망 시에 발생한다. 프랑스에서는 상속세와 증여세는 상속 또는 증여로 획득한 재산에 대해 국가가 과세하는 국세이다. 상속이냐 증여냐에 따라 규정에 약간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조이다. 스위스의 경우 연방 차원에서 과세하는 상속세와 증여세는 없지만, 대부분의 주에서는 상속세와 증여세를 부과한다. 캐나다에서는 상속세 또는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지만 소득세법상의 처분의제 조항을 통해 상속 또는 증여에 대해 과세한다. 미국에서는 생전 동안과 사망 시에 상속인에 의해 이전된 모든 자산을 합산하여 통합된 유산세와 증여세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2001년 세법에서 유산세와 세대생략이전세가 2002년과 2009년 사이에 단계적으로 제거되며 2010년에는 완전히 폐지되도록 규정되었다. 단계적으로 제거되는 것은 최고세율의 감소와 통합세액 공제금액의 증가로 이루어져 있다. 미국에서 유산세와 세대생략 이전세를 폐지하는 것은 여타 나라의 조세 체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나라에서 상속세는 자본이득세로 대체될 것이다. 자본이득세가 정착된다면 개인 소득세와 상속에 대한 이중과세가 없어질 것이며 미실현 자본이득에 대해서만 과세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