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부 이혼시 자녀양육비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고금자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양육비확보제도는 부부가 이혼하였을 때 그들의 자녀양육에 대해서 부모로서 양육비지급책임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무이행을 지체하였을 때 법에 의해 결정된 양육비에 대하여 지급의무자에게 강제이행토록 조치할 수 있는 법적구제제도를 말한다. 최근 한국사회 문화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부부 이혼율이 날로 증가하는 가운데 자녀양육 책임과 의무를 등한시하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어서 당사자간에 순리적인 양육비확보가 어려워지고 있다. 일관성 있는 양육비확보제도가 별도로 확립되지 못한 우리나라에서는 그에 따라 포기되거나 유기되는 어린 자녀가 늘어나고 아울러 소외계층인 미성년자녀들의 권익침해가 심각하게 우려되고 급기야는 청소년들의 사회문제로 비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이혼의 신중한 결정을 유도하고 아울러 신속하고 확실한 양육비확보문제를 법제도화하기 위해 '이혼절차에 관한 특례법안'을 2005.11.16. 입법 발의하였고, 2005년 9월에는 양육비 이행의무자들의 책임회피로 인해 생존권침해를 당하는 이혼가정의 미성년자녀들을 보호하기 위한 '양육비 이행확보에 관한 특별법안'을 비로소 국회에 상정하였다. 이 법안은 이혼으로 인해 발생되는 한부모가정의 경제적 문제를 원만히 해결하고, 나아가 건강한 가족관계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양육비 이행확보에 관한 특별법안'에 관한 내용에 관심을 두고 그 법안으로서는 명쾌하고 모두에게 두루 공평·공정한 양육비확보방안이 될 수 없다는 점을 탐색하고, 결과적으로 그러한 목적에 부합하고 이혼가정 미성년자녀의 진정한 권익옹호방안을 새롭게 모색하기 위하여 '이혼하는 부모가 양육비에 갈음하는 수준에서 미성년자녀에게 부모 각자의 재산을 나누어 주는 새로운 획기적인 제도'로서 '부모재산분여제도'의 채택을 제안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제도에 대한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서 선행논문들을 참고로하여 양육비확보 방안으로서 선급제도, 보좌제도, 급여공제 등 특별한 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독일·영국·미국·일본 등 다른 나라들의 양육비관련 부양제도를 우리나라의 제도와 함께 비교법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본 논문 구성의 중심내용으로서 특히 '양육비 이행확보에 관한 특별법안'의 배경과 입법취지 및 각 조문 조항 별 분석을 통해 재정립되어야 할 부분을 밝히고 본 논문의 제4장 우리나라 현행법상의 문제점 부분에서 제5절 소결로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성년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하는데 목표를 둔 본 특별법안이 지향하는 바 목적대로 구현되지 않고 있다. 둘째, 조문에 사용되는 용어개념 정의를 우선적으로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셋째, 특별법실행에 있어서 실익을 따져볼 때 금액의 최소화를 법으로 정하게 된다는 점과 국가의 구상권을 위해서 양육비청구권을 이양하게 됨으로써 결국 미성년자녀가 손해를 보게 되는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넷째, 법안이 이행의무자에게만 모든 소송비용을 전적으로 부담지우게 되어있고 항변에 대한 지원없이 권리자측만을 위한 특별법으로 여겨질만큼 편향적이다. 다섯째, 이행의무자의 지급자력 및 부양능력이나 환경 등 개인적 사정에 대한 인간적 배려가 절대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이 요구된다. 여섯째, 양육비 청구권자의 자격에서 다양한 경우를 조율함이 부족하다. 일곱째, 집행기관의 업무상 실책은 공적 부조 증가 요인이므로 엄격한 면책심사기능이 보완되어야 한다. 강조하자면 양육비대지급비용은 미미하게 적으면서도 구상제도만 요란하고, 처벌조항은 강조되어 법의 형평성을 포기한 채 이행의무자에게 과중한 부담만 지울 뿐이고 소송당사자들 사이의 실익은 적다는 뜻이다. 따라서 보다 합리적인 '부모재산분여제도'를 채택하여 법제도화하는 것이 항구적으로 이혼가정의 미성년자녀들의 원활한 자립을 돕고 안정된 생존권을 보장하는 방안이며 또한 보다 건전한 양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제적 문제를 원만히 해결할 수 있는 첩경이며, 비로소 부부 이혼시 미성년자녀의 진정한 권익옹호를 도모하고 실현하는 길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think about the way of protecting the children in the painful situation about economic difficulties after their parent's divorce. It is focused to the area of child support enforcement system in this thesis. To tell the truth, nowadays divorce rate in Korea is increasing rapidly and we have to consider the family members after splitting up. It is necessary to take a proper step about the protection for the children of divorcing couple at beginning of the legal procedure. At this point of view, child support enforcement system sh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s to protect them. I supposed for the first time to 'The system to secure fostering expenses is to force the person who is due to pay the fostering expenses for his(her) children to carry out his(her) duty legally when he(she) neglects his(her) duty to pay expenses when the couple is divorced.' Recently as Korean society is being changed rapidly, the divorce rate is on the increase and the divorced people tend to neglect the responsibility and duty of raising their children. Therefore it is much worried that the right and interests of abandoned or neglected children should be infringed for it could produce juvenile delinquencies in our society. To prevent the above problems and to have them decide the divorce after a full consideration, the government suggested "The special law on the . divorce procedure" on November 16, 2005. Previously, in September, 2005 the government suggested "The special law on the secure of fostering expenses" to protect children whose right to live might be infringed because of the neglect of the their divorced parent who has the duty to pay the fostering expenses. The purpose of the special law is to solve the economical problems caused by their parent's divorce an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sound relationship of family members. I proposed in this paper that "The system of delivering parents' property to their children" should be adopted, which means each parent should give their property to their children for the fostering expenses in case of their divorce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hildren for the fostering expenses in case of their divorce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hildren in a divorced family. To back up the validity of this system, I studied and referred to the related papers and the foreign system of fostering expenses which includes advance payment, assistance system and exemption from one's income. And especially, I researched and examined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legislation, and each article and provision to see what should be re-established. So I pointed out the following problems of 'The Special Law'. The detailed explanation is on the Chapter 4, "The problems of recent Korean family law".

      •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

        최혜정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맞벌이 부부의 증가와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 또한 높아지게 됨에 따라, 자녀의 양육과 교육의 가장 기초적인 사회성 발달과제인 또래 상호작용과 아버지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인식이 새롭게 재구성 되어야 한다. 그리고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발달에 효율적인 지도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좀 더 효과적인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 지도를 위하여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인 자녀양육참여와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또래 상호작용을 위한 부모와 자녀의 관계 개선 프로그램 및 부모교육에 관한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설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개인 배경에 따라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참여, 자녀양육스트레스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녀의 개인 배경과 아버지의 개인 배 경에 따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참여,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2011) 자료를 분석하여 총 1,754명의 35〜42개월 유아와 그 자녀를 둔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 For window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자녀양육특성의 차이와 자녀의 개인 배경, 아버지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검증을 실시하고,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개인 배경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에 대한 차이의 결과는 아버지가 전문직에 종사하고,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에게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많이 보여주었다. 그리고 아버지의 연령이 낮을수록 통제적인 자녀양육태도를 적게 보였다.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에 대한 차이는 학력이 높은 아버지가 자녀양육참여율이 높았으며, 직업 배경에 따라서 전문직에 종사하는 아버지가 자녀양육참여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는 월수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버지의 자녀양육스트레스와 개인 배경에 대한 차이의 결과는 학력이 낮은 아버지와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직업에 종사하는 아버지가 자녀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둘째, 자녀의 개인 배경과 아버지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면 자녀의 성별 배경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놀이 방해 행동을 많이 하고,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놀이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아버지의 개인 배경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 대한 차이는 아버지의 학력과 직업 배경이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 중 놀이 방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아버지의 개인 배경과 자녀의 친사회적 놀이 상호작용, 놀이 단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참여,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참여, 자녀양 육스트레스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 중 놀이방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아버지가 긍정적인 자녀양육태도를 많이 보이면 자녀의 놀이단절 행동이 많이 나타났고, 자녀양육참여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놀이 단절 행동이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가 자녀양육참여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친사회적 놀이 상호작용을 많이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 중에서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자녀양육태도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 형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아버지는 자녀양육특성의 중요성을 깨닫고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을 지도함에 있어서 올바른 이해를 기초로 한 방안과 자녀양육참여를 놀이와 함께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정책적으로 양육자의 자녀양육참여를 높이기 위한 자녀양육 지원제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 부모의 생태적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권선영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생태적 자녀양육방법과 자녀양육의 의미를 알아보고 기존의 양적, 일반화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양육방법에 대한 견해들을 다시 생각해보며 대안적 자년양육을 실천하는 구체적인 사례를 알아보고자 하며 유아 부모교육의 자녀양육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생태적 자녀양육을 지향하는 연구 참여자 1인의 삶을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면담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좋은 사람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마음의 폭을 가진 사람이며 생태에 대한 그 본질을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실천하며 자녀양육에도 적용시키는 것이다. 자녀양육은 한 쪽 부모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부간에 공통된 가치관과 일관된 태도를 자녀를 양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지막으로 부모는 자녀가 스스로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길러주어야 하며 부모 또한 자녀의 삶이 아닌 부모 자신의 삶을 살기를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는 1명의 연구참여자를 통해 생태적 삶과 의미를 살펴본 것으로 생태적 양육을 실천하는 많은 사람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것이 필요 할 것이며 부모와 자녀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생태적 프로그램을 알아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the meaning and ways of ecological child rearing and to rethink common views on child rear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qualitative study. By presenting a specific case of alternative child rearing, the study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establish a new direction for parent education and child rearing. The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was the participant's general view of human nature? 2. What did ecological child rearing mean to the participant? 3. What was the significance of the participant's family relationships with regard to child rearing? 4. What was the significance of the participant's community ties with regard to child rearing? 5. What changes in perception and practice of child rearing were needed to make a better parenting?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examined the life of one participant interested in ecological child rearing, and provide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Thus it was possible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view of human nature and beliefs about child rearing. In findings, as the most desirable human nature, the participant's idea of a 'good person' was a person who was broadminded enough to live in harmony with others. The meaning of ecological child rearing wa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ecology via practicing ecological living and incorporating it in child rearing. Regarding the significance of the family relationships, child rearing requires the efforts of both parents, who must share the same values and show consistency in their attitude towards child rearing. Furthermore, parents must help their children learn to live their own lives. The significance of the community ties was found in the fact that those families of the community have varying values and are engaged in child rearing within different child rearing environments. In such community environment, children came to realize the way that they can create harmonious lives with other families by adjusting their play patterns or behavio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family. For the participant, child rearing must be performed with parents' thorough understanding of nature and their efforts to transform their lives into the eco-based l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se parents through the conceptualized model(s) of child rearing and type(s) of parental attitudes towards child rearing, that were commonly appear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ext book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creasingly diverse approaches to child rearing in our society, future studies must continue to examine various child rearing experienc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lternative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find ways to implement them. The development of such programs will require the participation of both parents with different values and experiences and their children.

      •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 비교

        신미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를 비교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기대, 자녀 직업에 대한 기대, 자녀양육관련 보람 있는 일, 자녀양육에서의 애로사항에 대한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의 차이를 사회적 지원과 부모자녀관계의 맥락에서 비교하고, 어머니 집단의 자기효능감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240명으로서, 초등학생 어머니 163명, 중학생 어머니 44명, 고등학생 33명이었다.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는 박영신(2013)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2013년 5월에서 6월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앞으로 어떤 사람이 되기를 기대하는지에 대해, 행복한 사람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자녀가 되고 싶은 사람, 성실한 사람, 유능한 사람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자녀가 갖기를 기대하는 직업으로는, 자녀가 원하는 직업이라는 반응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직, 적성에 맞는 직업, 교육자, 안정적인 직업 등의 순서를 보였다. 자녀양육에서의 보람으로는 잘 성장함이 가장 높은 반응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부모를 위해 줌, 가정에 화목, 성실한 태도, 학업에 충실함의 순서로 나타났다. 자녀교육을 하면서 부모로서 애로사항에 대해, 자녀이해의 어려움, 일관된 양육태도, 학업문제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부모역할을 잘 하기 위해 가장 힘든 일로 감정조절을 지적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일관된 양육태도, 자녀마음의 이해, 모범 보이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의 차이를 사회적 지원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정서적 지원과 정보적 지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고, 경제적 지원에서 고등학생 어머니들이 더 높은 차이가 있었다.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부모자녀관계에서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초등학생 어머니가 가장 자녀를 통한 대리적 성취 경험을 많이 하고, 통제를 하는 경향이 높았다. 그러나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들은 성취압력의 정도나 희생하는 태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기효능감 차이를 검증한 결과를 보면, 고등학생 어머니가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어머니보다 학습지도효능감과 자녀와 의사소통효능감이 더 높았다. 그러나 자기조절효능감, 자녀양육효능감, 양육어려움극복효능감에서는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이혼후 자녀의 양육형태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전명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이혼후 자녀의 양육형태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로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이혼한 후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양육모와 그 자녀이며, 연구방법으로는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과정은 근거이론 접근방법의 절차를 따르고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8명의 이혼한 양육모와 6명의 자녀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Strauss와 Corbin(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에 맞추어 일련의 순서를 가지고 분석, 배치하였다. 패러다임 모형에 대하여 17가지의 상위범주와 34개의 하위 범주, 그리고 이에 대한 범주의 속성과 차원이 118가지였다. 따라서 총 168개의 개념화가 이루어졌다. 이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과적 조건으로는 '원만치 않은 결혼', '부부관계 무력화 과정', '관계유지 욕구상실'의 3가지 범주가 이혼을 가져온 배경으로서 개념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심현상으로서의 이혼과정을 가족이 해체되고 재구성되는 과정으로 이해하였으며, 이를 통틀어서 '가족해체 과정'이라 명명하였다. 중심현상과 그 맥락에 속하는 가족해체 과정은 '별거'에서 시작하여 '법적 이혼과정'에서 확정된다. 또한 이혼과정에서의 '이혼전후 생활사건'의 불안정화 정도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각 범주가 갖는 맥락적 조건에 따라 후에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게 된다. 중재조건은 상호작용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역할을 하는 요인들로서 본 연구에서는 관계적 조건으로서 '부-모간 적대감', '부-자녀간 애착정도'가, 개인적 조건으로서 '부의 생활상태', '부의 병리적 문제 소유', '모의 자녀양육에 대한 신념', 그리고 '자녀의 성과 연령'이 발견되었다. 상호작용 전략은 이혼 후에 이루어지는 과정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해체과정"이라는 중심현상에 대하여 이혼 후에 가족관계 재구성을 위한 노력으로서 '관계조정 전략'을 상호작용전략으로 개념화하였다. 이는 크게 이혼과정에서 처한 상태에 따라 단계별로 양육자 지정의 문제가 있던 경우는 1단계 전략으로 양육자 '협상하기'부터, 그리고 양육비 지급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경우는 2단계 전략으로 양육비 '요구하기'를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양육비 지급에 대한 요구가 받아들여지는가 아닌가에 따라 3단계의 '관계 조정하기'는 영향을 받고 있는데, 부-모간 관계는 '남남처럼 지내기'와 '친구처럼 지내기'로 나뉘어지며. '부-자녀간 관계'에 대한 양육모의 조정노력으로는 '협력하기', '관여하지 않기', '제외시키기', '단절하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각 상호작용들은 과정적이며 단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상호작용 결과는 중심현상인 "가족해체"경험에 다양한 가족 재구성을 위한 "관계조정" 상호작용 전략이 취해져서 나타나는 결과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자녀양육형태"가 하나의 결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양육형태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가족간 관계역동", 그리고 가족해체와 재구성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자녀의 적응상태"가 결과의 상위범주로 포함되었다. 둘째,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나타난 양육형태는 크게 부-모간 협력 하에 자녀를 만나는 "협력형", 부-자녀 만남에 대해 모는 관여하지 않는 "묵인형", 부-자녀 만남에 대해 모가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는 "갈등형", 그리고 부-모간, 부-자녀간 만남이 모두 단절된 "단절형"으로 유형화되었다. 협력형의 양육형태를 가지는 경우는 보편적으로 가족 관계역동에서도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모-자녀간 어려움을 덜 호소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자녀들이 적응 상에서도 특별한 어려움을 겪지 않고 있다. 그러나, 특히 갈등형의 양육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관계역동에 있어서 모-자녀간 어려움이 크고, 부모간 갈등사이에 끼여 있는 특성을 보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자녀의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유발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녀의 양육형태 유형은 궁극적으로 자녀의 이혼 후 적응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혼을 하나의 사건으로 보지 않고, 이혼과정을 종단적으로 이해하여 이 과정을 통해 나타난 양육형태 유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이 과정요인들은 이혼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자녀의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조건들로서 사회복지적 개입에 많은 함의를 줄 수 있다. 특히 이혼과 관련된 자녀의 문제에 대해 이혼전, 이혼과정, 이혼후의 임상적 개입의 적절한 시점과 내용을 제안하였고, 자녀양육형태 유형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전략을 시사하는데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ormulation process of co-parenting types after divorce.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uses in-depth interview. The subjects of the interviews are 18 divorced mothers and 6 children who were their children. Data analysis uses grounded theory approach which is proposed by Strauss & Corbin (1990). In particular, the data is analyzed by the paradigm model of grounded theor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stage of data analysis is the conceptualzation and categorization of the data. As a result, 17 categories, 34 sub-categories, 118 characters and dimensions of categories, all 168 concepts were conceptualized. The paradigm model of grounded theory composed 6 stages those are called 'causal conditions', 'phenomenon', 'context', 'intervening conditions', 'interaction', and 'consequences'. Within the 'causal conditions' which cause divorce, 3 categories - 'disharmonious marriage', 'helplessness process of marital relationship', and 'losing desire the marital relationship' are conceptualized. This study views divorce as a core phenomenon in which a family is dissolved and reformed. So, the concept of phenomenon is named 'process of family dissolution'. It starts with 'separation', and then proved with 'legal divorce'. This phenomenon contains unstable life events after divorce that causes negative effects to their children. The intervening conditions are assisting or disturbing the interaction. This study found 2 different intervening conditions, 'relational level' and 'personal level'. There are 'interparental hostility' and 'attachment of father-child relation' in relational level. In personal level, 'financial status of father,' 'father's pathological problems', 'mother's belief about parenting', and 'children's age and sex' were found. The Interaction strategy is post divorce process and stage, and it conceptualized "strategy of settling the relationship". 'Settling relationship' is affected by 'negotiation of custody' and 'grant custody expenses'. The post-parental relationship is divided 'cut-off relatioship' or 'continuing friendly relationship'. The divorced mother uses 'cooperation', 'unconcern', 'exclusion', 'cut-off' toward 'father-children relationship'. Each interaction is transactional and uses different strategy according to the context of phenomenon. The consequences of interaction is conceptualized as "co-parenting types after divorce", and contains "family dynamics", and "adjustment of children". The actual custody types are 4 types. The "cooperative type" means comfortable father-child relationship under interparental cooperation agreed and supported by mother, "unconcern type" in which mother unconcerns meeting between father and children, "conflictual type" in which mother expresses negative response to children about their father and meeting, "cut-off type" in which father is excluded from the children. Generally, in "cooperative type", there are few serious difficulties in children's adjustment, with more open communication and less conflict between the mother and children. However, in "conflictual type", children are apt to show affective and behavioral problems. Children feel being caught in the middle of the parents and royalty conflict. This research found the diverse process factors that effect the adjustment of children of divorce, and understands the divorce as a process, not as a one time event. Thus, clinical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divorce process and co-parenting types.

      • 자녀양육형태가 여성의 취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연숙 慶尙大學校 行政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여성의 사회 활동 참여로 취업모들이 증가하고 있다. 즉,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49.5%에 이르렀으며 여성 취업자의 77.9%가 기혼 여성이며 그 중 60%이상이 미취학 자녀가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지난 10여년간의 위탁보육사업은 많은 성장과 발전이 있었다. 특히 참여정부 이후에 정책적의지에 힘입어 보육은 주요 국정과제로 채택되었고 보육예산도 증가하여 2005년 국비 6,001억원과 지방비 7,354억원을 합하여 1조 3,335억원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자녀 양육지원제도가 잘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여성이 육아로 인해 경제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다. 저렴하며 질적으로 우수한 보육은 취업여성들의 취업을 안정적으로 지속시킬 뿐만 아니라 차세대를 담당할 아이들의 정상적인 교육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자녀양육 실태를 조사하고 취업모의 직장보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보육형태에 따라서 여성의 취업유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다양한 보육서비스의 제공 및 확대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J시의 일개 대학병원에서 만 7세 이하의 자녀를 둔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자녀양육형태, 비용, 자녀양육과 취업유지와의 관계, 병원위탁 보육시설의 만족도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SPSS 10.0 통계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기법은 각 문항별 빈도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탁아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교차 분석 및 다중응답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모든 분석의 유의 수준은 α=.05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녀양육 형태는 자기집탁아, 가정집 탁아, 보육시설 탁아 39명, 병원위탁보육시설 탁아는 15명으로 가정집 탁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보육비용은 60만원 이상이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보육시설에 지불하는 평균보육비는 11-20만원이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생활수준에 비추어서 보육료가 부담이 된다는 경우가 많았다. 자녀양육과 취업유지와의 관계에서는 취업의 주된 욕구는 경제적인 이유가 73.4%로 나타났다. 자녀양육이 직장생활에 지장이 있다는 의견은 85.3%이다. 자녀양육 문제로 직장포기 의사는 전체 대상자의 68.8%가 육아문제로 직장을 포기하고자 하는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기 이유는 아이의 정서, 교육문제가 걱정이 되어서 포기하고자 한 경우가 70.7%이다. 병원 위탁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스러운 경향이었고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자녀를 병원위탁보육시설에 보낸다고 한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서 취업모의 영유아보육 정책에 조그마한 영향을 줄 것을 기대한다. 보육의 대상이 되는 영유아는 한 가정의 자녀일 뿐만 아니라 우리의 다음 세대로서 그들에 대한 바람직한 보육은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직장을 갖고 있거나 갖기를 원하는 여성 뿐만 아니라 일반 여성들 에게도 그들의 자녀를 안심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맡길 수 있도록 한다면 여성의 사회 참여증가 뿐만 아니라 저 출산에도 영향을 미칠것이라 기대한다. The number of working mother is increasing due to women'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at is, according to the data from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ate of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reached 49.5%, where 77.9% of women employees were married women, and it is found that 60% of them had preschool children. There has been so much growth and developments in Childcare business for the past 10 years. In particular, childcare was adopted as a main task of administration indebted to policy since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nd the budget for childcare was increased up to 1,333.5 billion won including 600.1billion won of public funds and 735.4 billion won of local funds. However, many women face the limitation on child care since supporting system for bringing up children is not established clearly. Childcare should not require much cost, but it should be good in quality so as to maintain women employment stabilized. And it is more important for regular education of children who will take charge of the next gener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diversified childcare services and data for extension by examining the actual nursing conditions of the working mothers, the needs for childcare center at work, and how it affects women's employ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care.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ypes of nursing children, cost,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and maintenance of being employed, and the satisfaction in childcare facilities in hospital on working mothers who have children under 7, at an university hospital in the city of J and then, we analyzed them with using SPSS 10.0 statistical program. The statistical method calculated percentage of frequency by each question, then we examined the general nature of the objects and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nursing types through Cross tabulation andmultiple response analysis. the significance in every analysis was α=.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Nursing types, nursing in own house, nursing in neighborhood, public nursery were picked by 39 people, and hospital childcare was picked by 15 people, the neighborhood nursing was the most picked one. inthe case of cost, 600 thousand won was the most picked, and in the case of average nursing cost for childcare center, 110-200 thousand won was mainly chosen. It is mostly said that the cost was a burden compared to a level of life. With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and maintenance of being employed, 73.4% of people answered that the main reason of desiring to be employed was for financial matters. 85% of people answered that they have trouble in working as they have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In the case of intention to throw up work, 68.8% of respondents has experienced in intending to throw up due to nursing problem, and 70.7% had intended to throw up because they were worried about their children's emotional or educational matters. In the case of satisfaction in childcare facilities in hospital, most respondents appeared to be satisfied. They leave their children at childcare center in hospital since it is cheape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our study may slightly affect childcare policy for working mothers. The child who is the object of nursing is not only a precious son or daughter of a certain family, but also a member of the next generation, for this, it is very much important that we have to take care of them properly. We suggest that if working mothers or ordinary women can leave their children in the childcare center with a sense of security, it will increase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as well as a low birthrate.

      • 자녀 양육 태도 및 양육 스트레스에 따른 부모교육 요구 :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이랑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부모교육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부모 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으로 배경변인, 자녀양육태도, 양육 스트레스를 설정하였고, 종합적으로 부모교육 요구에 관련 변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배경변인 척도, 자녀 양육 태도 척도, 양육 스르레스 척도, 부모교육 요구 척도로 설문을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들로, 총 224명을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표집된 자료에 대해서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t-검증,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 적률상관관계, 회귀분석 등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 변인에 따른 자녀 양육태도, 양육 스트레스, 부모 교육 요구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배경 변인에 따른 자녀 양육 태도를 살펴보면 애정적 양육 태도는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고등학교 졸업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는 부모와 직업을 가지고 있는 부모가, 맏자녀의 나이가 고등학생 이하인 부모가 더욱 애정적인 양육 태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자율성 조장태도는 가계소득이 300만원 미만인 부모와 동거형태가 ‘부부만’ 살고 있는 경우에서 높게 나타났다. 독립심 권장태도는 자신과 자녀만이 살고 있는 부모와 맏자녀가 대학생이상의 연령일 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배경 변인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 총 자녀수가 3명 이상인 부모가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가 높았다.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전업주부이고, 부모의 연령이 낮을수록 피로 및 우울성향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고, 부모의 학력이 낮을수록, 월 평균 가계소득이 적을수록, 자녀의 수가 3명 이상인 부모일수록 자녀로 인한 심리적인 상처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부모교육 요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20, 30대의 부모와, 가계의 소득이 200만원 미만이거나 300만원 이상일 경우 전체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건강관리를 위한 부모 교육 요구에서는 종교가 있는 부모가, 월 평균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부모에게서 많이 나타났다. 자녀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에 대한 요구는 가계소득이 낮을수록 높았다. 부모-자녀 관계를 위한 정보 및 기술에 대한 요구에서는 20대의 부모와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부모, 맏자녀의 연령이 낮은 부모일수록 높았다. 올바른 생활 태도 관리에 대한 요구에서는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월 평균 소득이 200만원 미만이거나 300만원 이상인 부모가, 맏자녀의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다. 둘째, 자녀 양육 태도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와 전반적인 부모교육 요구를 살펴본 결과, 독립심 권장 태도가 높은 부모와 자율성 조장 태도가 낮은 부모에게서 피로 및 우울 성향의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애정적 양육 태도가 높은 부모에게서는 유의한 스트레스 변인을 찾지 못하였다. 부모 교육 요구의 하위 영역에서는 애정적 양육 태도를 보이는 부모가 자녀의 건강 관리, 자녀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 부모-자녀 관계를 위한 정보 및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들 영역에서 부모 교육을 받길 더 원함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양육 스트레스에 따른 부모 교육 요구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스트레스에 따라서 부모교육 요구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스트레스 하위 영역별로는 부담감 및 구속감의 스트레스를 높게 보이는 집단이 자녀의 건강 관리와 올바른 생활 태도 관리에 대한 부모교육 요구가 높았고 피로 및 우울 성향의 스트레스 영역에서는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올바른 생활 태도 관리에 대한 부모교육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 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전체 부모 교육 요구는 부모의 연령, 월 평균 가계소득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독립심 권장 태도, 애정적 양육 태도가 차이를 보였고, 부담감 및 구속감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부모 교육 요구를 하위 영역별로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녀의 건강 관리에 대한 부모교육 요구는 부모의 연령, 월 평균 가계 소득, 독립심 권장태도, 애정적 양육 태도, 부담감 및 구속감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의한 영향 변인으로 밝혀졌다. 발달적 특성의 이해에 대한 부모 교육 요구에서는 월 평균 가계 소득, 부담감 및 구속감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의한 영향 변인으로 밝혀졌다. 부모-자녀 관계를 위한 정보 및 기술에서는 맏자녀의 연령, 독립심 권장 태도가 영향 변인으로 밝혀졌다. 올바른 생활 관리를 위한 부모 교육 요구에서는 부모의 연령, 독립심 권장 태도, 애정적 양육 태도, 부담감 및 구속감, 피로 및 우울 성향의 양육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구 사회학적 배경변인 및 자녀 양육 태도와 스트레스를 세분화시켜 하위 영역별 부모 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앞으로의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은 부모와 자녀를 둘러싼 인구 사회학적 배경, 자녀 양육 태도, 양육 스트레스를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인다. This research was studied for understanding the education demands by the parents who had children. Refering to the pre-researched papers, This research postulated the variation factors that affected to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as the background variables, the parental attitude, the stresses. Moreover, for overall consideration, focused on the influences of the variation factors related to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For verifying these result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by answering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degrees of changeable background variables, the parental attitude, the stresses, and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the parents who liv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had children. Totally 224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from the subjects have been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10.0 program, in the ways of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verification, ANOVA, Duncan’s test,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fir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the parent attitude according to the variation factors of background. We were able to find the more passionate attitudes on nurturing children from the father who had childhood’s children than the mother, from the parents who possessed attainments equal to or higher than those of high school graduates, from the parents who had their job, and from the parents who had the eldest child who was under high school student. In addition, the attitude of promoting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remarkably showed in the family with earning money less than 3 million won a month and in the parents who lived separately from their children. The attitude of promoting children’s independency was remarkably seen in the parents with an eldest child of at least a university education. In the aspect on the parenting stresses according to variation factors of background, these stresses were highly recognized by the parents who had more than 3 children. On considering the subcategories of the parenting stresses, the parents who were housewives or were younger felt more fatigue and depression in their life. Moreover, in the case that the parents were not well-educated, made less money, and had more than 3 children, the parents tended to be hurt psychologically by their own children. In the aspect on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according to variation factors of background, the overall parent education was highly demanded by the parents who were 20’s or 30’s, by the family earned less than 2million or more than 3 million won a month. On analyzing the subcategories, the parent education for their health was highly demanded by the family had their own religion, by the family earned less than 2 million won.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was highly requested by the parents who earned less money. The technology and information for parent-children relationship were highly requested by the parents who were 20’s, by the parents earned less than 2 million won a month, and by the parents had younger eldest child. In the aspect of the management for correct life attitude, the demand of parent education on it was founded on mother than father, on the family earned less than 2 million won or more than 3 million won a month, and on the family had younger eldest child. The second, as a result of study on the parenting stress and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based on their parenting attitudes, the parent who had the high level of attitude on promoti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the low level of attitude on promoting children’s independency were intensely recognizing the stresses of fatigue and depression.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demanding parental education, the parents who had affectionate attitude expressed the noticeable passion on learning for the health of their children, the understanding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ir children, and the technology and information for the correc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 third, as a result of study on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on the parenting stress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n demanding the parent education according to the degrees of their stresses. On considering the factors of stresses, the group that remarkably showed the stresses of responsibility and repression had high level of demanding parent education for management of their children’s health and management of correct life attitude. Moreover, the group that remarkably showed the stresses of fatigue and depression had high level of demanding parent education for management of correct life attitude. The fourth, as a result of study on the independent variation factors that had influenced on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on the parents who had children, the overall demands of parent education were influenced by the variation factors such as the age of parents, the family income per month. The parental attitudes of promoting children’s independency and the affectionate attitude on parenting their children had influenced as factors. In the field of the parenting stresses, the responsibility and repression had influenced as factors. When considering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as particular aspect, the management of children’s health was affected by the age of parents and the family income per month as variation factors, and the parental attitudes were affected by the parent attitudes of promoting children’s independency and the affectionate n parenting attitude. In addition, nurturing stresses were affected by responsibility and repression as variation factors. In the aspect of the information and technology for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the age of eldest child in background factors and the attitude of promoting children’s independency in the attitudes of nurturing their children were identified as variation factors on influence.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managing correct life attitude as final subordinate variation factor in the parental educational demands, many factors were identified as variation factors on influence. These factors were followed as: the age of parents in background factors, the attitude of promoting children’s independency and the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and responsibility & repression and fatigue & depression in the parenting stresses. As these resul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should be considered with a sense of values of parents,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the stresses surrounded parents an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