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 이주여성의 자녀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김선희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이주여성의 자녀양육태도 실태를 분석하고 평생교육과의 연관성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아산지역 거주하면서 국공립 및 민간보육시설에 다니는 자녀를 둔 다문화이주여성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내용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평생교육 경험에 따른 자녀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F-검증 등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과정을 통해 도출한 주요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이주여성들은 지난 1년 동안 대체로 1개 이상의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한국문화 및 한국사회에 빨리 적응하기 위한 것이며. 가족들은 전반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이주여성들이 참여를 희망하는 프로그램은 주로 언어소통과 문화적응을 포함하여, 자녀와의 의사소통 및 부모 역할과 관련된 교육 등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다문화이주여성의 자녀양육태도는 40대 이상은 자율과 통제적 양육태도, 20대는 거부적 양육태도, 그리고 30대는 애정적 양육태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혼생활에 대해 매우 불만족인 경우 자율적 양육태도를, 반면에 매우 만족하는 경우 애정 및 통제적 양육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구의 월소득이 높을수록 거부적 양육태도를 제외한 여타 양육태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이주여성의 평생교육 참여 특성에 따른 자녀양육태도에서는 바람직한 부모 되기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이주여성은 통제적 양육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녀양육에 관한 가족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주여성은 애정적 양육태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 효과를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이주여성의 바람직한 자녀양육태도의 형성을 위한 평생교육 정책 및 실천적 과제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먼저 다문화이주여성을 포함한 다문화가정에 대한 장기적 심층관찰을 위한 종단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역사회 지지망 및 평생교육 협력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하며 다문화이주여성의 인구 사회적 특성을 감안한 개인맞춤형 평생교육프로그램이 다각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주요 용어 : 다문화이주여성, 자녀양육태도

      •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정도와 부모교육 요구도와의 관계

        유동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들의 실제적인 자녀 양육에의 참여정도와 부모교육의 내용 및 실시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해보고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정도와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 가를 살펴봄으로써, 아버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아버지들의 부모교육 참여 확대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의 아버지 213명이었다.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정도는 Crase, Clark과 Pease(1979)의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Father Form(IPBI: Father Form)을 번안한 노현미(1999)의 아버지 자녀양육 참여정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정문자와 어주경(2000)이 사용한 부모교육 요구도 척도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첫 번째 연구문제인 아버지들의 자녀 양육에의 참여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양육 행동의 하위 영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아버지들의 부모교육 내용에 관한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아버지들이 알고 있는 정도와 필요 정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요구도는 필요정도와 지식정도의 차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순위를 매겼다. 아버지들의 부모교육 실시에 대한 요구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각 문항별로 빈도를 구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아버지들의 자녀 양육에의 실제 참여 정도와 부모교육 내용 요구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 하위영역간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으로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는 자녀에 대한 양육행동에 있어서 신체적인 애정 표현 및 친밀감을 표현하는 행동과 자녀가 필요로 하면 아버지 스스로 하던 일을 중지해서라도 반응해 주는 행동을 대체로 많이 보였다. 그 외 합리적인 지도, 제한 설정의 행동도 많이 보였으나, 자녀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과업을 잘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는 양육에의 참여 행동은 보통이상은 보였지만 다른 행동들에 비해 조금 낮았다. 둘째, 아버지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에서는 '자녀의 발달 수준을 파악하는 관찰 방법'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창의성 발달', '발달의 수준에 맞는 놀이감 구비 방법', '학습을 유도하는 방법', '나쁜 습관과 행동 고치는 방법'에 대한 요구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녀양육에의 참여, 합리적인 지도, 제한 설정, 친밀감 등의 자녀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아버지일수록 이들 영역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버지가 적극적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자신감을 증진시키고 양육에의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아버지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아버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evel of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their need assessment for parent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13 kindergarteners' fathers in Seoul and Kyonggi areas. To measure fathers' involvements in child-rearing, a translated version(No, 1999) of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Father Form(IPBI: Father Form) by Crase, Clark and Pease(1979) was used. For fathers' need assessment for parent education, Chung and Eo(2000)'s Need Assessment for Parent Education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exhibited affection to their children through physical contact and withheld their works whenever their children needed them. Besides, they guided their children through reasoning and limit-setting, and offered active help for their children's better achievement. Second, the results of need assessment revealed that fathers showed needs in order of "learning what to look for to assess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obtaining knowledge about creative development", "finding toys appropriate to children's development", "learning how to guide their children's better learning", and "learning how to modify their children's bad habits and problem behaviors". Finally, the lower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less active in rational guide, limit-setting and expression of affection to their children, the more they had needs for parent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a good parent education program to be developed so that fathers can play an important roles in child-rearing as well as promote their self-esteem.

      •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발달

        홍영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사회로 들어서면서 사회제도적 변화와 여성취업의 증가, 가족형태의 변화 등은 어머니 뿐만 아닌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을 요구하고 있으며, 자녀양육과 교육에서도 어머니 혼자만의 문제가 아닌 부부 공동의 관심사로 부모가 함께 참여하고 역할을 분담, 공유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많은 학자들의 의해 제기 되고 있다.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라고 판단하고 개인의 성장과 발달 및 삶의 성공을 구성하는 견고한 토대를 형성하며 성격의 기본 구성요소로써 아동의 인생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 특히 청소년기에 아버지와의 친밀한 관계가 아동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때,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을 위해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발달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해 보고, 아동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위하여 학교현장에서 필요한 부모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는 아동의 배경변인(지역, 성별, 출생순위, 어머니의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는 아버지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발달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지역, 춘천시지역, 홍천군지역의 3개 초등학교 6학년 남녀 48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최경순(1992)이 개발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측정도구와 Coopersmith(1967)와 McChale의 연구를 참고하여 최보가와 전귀연이 타당화시키고 김미선(2004)이 사용한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신뢰수준 95%에서 검증하였다. 아동의 배경변인(지역, 성별, 출생순위, 어머니의 직업)과 아버지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발달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 차이 분석결과, 지역에 따른 차이가 가장 두드러지며(F=5.211, p<.01),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F=2.402).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역에 따른 차이는 생활지도 영역(F=3.001)을 제외한 여가활동(F=6.553, p<.01), 가사활동(F=5.940, p<.01), 학습지도(F=6.060, p<.01) 영역에서 특별시(M=3.01)와 시지역(M=3.08) 아동이 읍면지역(M=2.83) 아동에 비해 아버지가 양육에 적극 참여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5.211, p<.01). 성별로는 여아(M=3.04)가 남아(M=2.90)에 비해 아버지가 가사활동(t=-2.045, p<.05)과 학습지도(t=-2.867, p<.01)에 참여를 더 잘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직업에 따른 차이는 가사활동 참여에서만 차이를 보였는데, 어머니가 직업을 가진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아버지의 가사활동에 더 많이 참여한다고 인식하였다(F=10.893, p<.001). 둘째, 아버지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녀 양육 참여 차이 분석결과, 가사활동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연령 및 학력, 직업의 모든 변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우선 연령별로는 아버지의 연령이 40세 이하(M=3.02)인 아동과 41세~45세(M=3.04)인 아동의 아버지가 46세 이상(M=2,76)인 아동의 아버지에 비해 양육참여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6.774, p<.01), 학력수준에 따라서 아버지의 학력이 대졸(M=3.02)과 대학원 이상(M=3.08)인 아동의 아버지가 학력이 고졸(M=2.86)인 아동의 아버지에 비해 양육참여도가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3.977, p<.01). 직업별로는 아버지의 직업이 사무직(M=3.09)과 전문/경영관리직(M=3.06)인 아동의 아버지가 양육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자영업(M=2.84)과 생산/판매서비스직(M=2.81)인 아동이었으며, 아버지 직업이 농축어업 및 기타(M=2.73)인 아동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F=4.236, p<.01). 셋째,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와 아동의 자아존중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교자아(r=-.005)를 제외한 총체적 자아(r=.426, p<.01), 가정자아(r=.431, p<.01), 사회 자아(r=.334, p<.01)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아버지가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고 생각하는 아동(r=.415, p<.01)일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 특히 총체적 자아(F=35.621, p<.001), 가정자아(F=48.649, p<.001), 사회 자아(F=22.390, p<.001)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아버지가 여가활동(β=.391, p<.001) 및 생활지도(β=.157, p<.05)에 대한 참여가 높을수록 아동의 전체적인 자아존중감 및 총체적 자아, 가정자아가 높아지며, 여가활동 참여가 높을수록 학교자아 및 사회자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의 여가활동 참여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F=40,748, p<.001). 이상을 종합해 보면, 대도시 지역에 사는 아동일수록, 그리고 아버지의 연령이 적고, 학력이 높으며, 직업이 전문/경영직이나 사무직인 아버지일수록 자녀양육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는 아동의 자아존중감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버지가 자녀양육 제 측면에 참여하는 정도가 많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준다. 이것은 아버지가 아동의 인성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자녀 양육에 있어 아버지의 참여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In the modem society, the social changes, increase of female employment and change of family form are requiring reconsideration for the fathers' role. Also, many researchers say that rearing and education of the children are not only the mother's problems but they are also interests of both parents so they should share and divide their roles. Self-esteem makes a person think that he/she is valuable and it develops individuality. Also, it forms a base for success in life and it is a very important element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orality. The children's self-esteem is affected greatl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Especially, th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in the adolescence has a very important effect on the children's positive self-esteem so it can be said that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is very important for the formation of children's positive self-respect. Therefore, the study has a purpose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esteem, and also presenting the basic data for parental education necessary for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 in the school. Based on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depending on the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location, gender, position in the family, mother's occupation)?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depending on the fathers' background variables(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Third, what relationship does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of children's perception have with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esteem? In order to verify these problems, the study selected 480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3 elementary schools from Seoul, Chuncheon and Hongcheon. The scale for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created by Kyeong-soon Choi(1992) and the self-esteem scale used by Bo-ga Choi, Gwi-yeon Jeon and Mi-seon Kim(2004) were revised and us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2.0 and it was verified under the reliability level of 95%.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depending on the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fat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study used the t-test and One-way ANOVA. Also, the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of children's perception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esteem.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depending on the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difference was greatest by location(F=5.211, p<.01) and there was no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family(F=2.402). In the fields of leisure activity(F=6.553, p<.01), housework activity(F=5.940, p<.01) and teaching activity(F=6.060, p<.01), the children in Seoul(M=3.01) and big cities(M=3.08) highly recognized that their fathers actively participate in childrearing(F=5.211, p<.01) compared to the children of rural towns(M=2.83). Compared to the male children(M=2.90), the female children(M=3.04) highly recognized that their fathers participate in housework activity(t=-2.867, p<.01). As for the difference by mother's occupation,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only in the participation in the housework activity. When the mothers had a job, the children recognized that their fathers participate in the housework activity more(F=10.893, p<.001).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depending on the fat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result showed differences in all the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excluding the housework activity. When the father's age is below 40(M=3.02) and when the father's age is 41-45(M=3.04), the children recognized that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is high compared to the children who father is over 46 years old(M=2.76)(F=6.774, p<.01). Also, the children whose father has an educational level of university (M=3.02) or graduate school (M=3.08) thought that their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is high compared to the children whose father has an educational level of high school(M=2.86)(F=3.977, p<.01). As for the difference by the father's occupation, the children of fathers with a job as an office worker(M=3.09) or a manager(M=3.06) thought that their fathers most actively participate in childrearing. The children of fathers who own a business(M=2.84) or with a job of production/sales(M=2.81) showed the next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and the children of fathers who are involved in agriculture, livestock, fishery and other industries(M=2.73) showed the lowest level of recognition(F=4.236, p<.01). Third,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the children's self-esteem showed that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every field of the children's self-esteem such as general self-esteem(r=.426, p<.01), family self-esteem(r=.431, p<.01), social self-esteem(r=.334, p<.01) excluding the academic self-esteem(r=-.005). Such result shows that when the children highly evaluate their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r=.415, p<.01), the children's self-esteem such as general self-esteem(F=35.621, p<.001), family self-esteem(F=48.649, p<.001), social self-esteem(F=22.390, p<.001) tends to increase. Also, the regression analysis that was done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perceived by the children on the children's self-esteem. The result showed that when the father highly participate in the leisure activity(β=.391, p<.001) and guidance(β=.157, p<.05), the children's self-esteem, total self and family self increase. Also, when the fathers' involvement in the leisure activity is high, the children's academic self and social self increase. This shows that the fathers' involvement in the leisure activity has a great effect on the children's self-esteem(F=40.748, p<.001). In conclusion, when the children live in big cities and when the children's fathers are young, have a high education level and have a job of office work,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is high. Also,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perceived by the children has a great effect on the children's self-esteem. These study results show that when the fathers highly participate in childrearing, it gi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self-esteem. This shows that fathers have important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orality and th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is very important.

      •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

        최혜정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맞벌이 부부의 증가와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 또한 높아지게 됨에 따라, 자녀의 양육과 교육의 가장 기초적인 사회성 발달과제인 또래 상호작용과 아버지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인식이 새롭게 재구성 되어야 한다. 그리고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발달에 효율적인 지도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좀 더 효과적인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 지도를 위하여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인 자녀양육참여와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또래 상호작용을 위한 부모와 자녀의 관계 개선 프로그램 및 부모교육에 관한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설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개인 배경에 따라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참여, 자녀양육스트레스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녀의 개인 배경과 아버지의 개인 배 경에 따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참여,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2011) 자료를 분석하여 총 1,754명의 35〜42개월 유아와 그 자녀를 둔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 For window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자녀양육특성의 차이와 자녀의 개인 배경, 아버지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검증을 실시하고,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개인 배경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에 대한 차이의 결과는 아버지가 전문직에 종사하고,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에게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많이 보여주었다. 그리고 아버지의 연령이 낮을수록 통제적인 자녀양육태도를 적게 보였다.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에 대한 차이는 학력이 높은 아버지가 자녀양육참여율이 높았으며, 직업 배경에 따라서 전문직에 종사하는 아버지가 자녀양육참여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는 월수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버지의 자녀양육스트레스와 개인 배경에 대한 차이의 결과는 학력이 낮은 아버지와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직업에 종사하는 아버지가 자녀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둘째, 자녀의 개인 배경과 아버지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면 자녀의 성별 배경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놀이 방해 행동을 많이 하고,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놀이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아버지의 개인 배경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 대한 차이는 아버지의 학력과 직업 배경이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 중 놀이 방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아버지의 개인 배경과 자녀의 친사회적 놀이 상호작용, 놀이 단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참여,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참여, 자녀양 육스트레스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 중 놀이방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아버지가 긍정적인 자녀양육태도를 많이 보이면 자녀의 놀이단절 행동이 많이 나타났고, 자녀양육참여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놀이 단절 행동이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가 자녀양육참여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친사회적 놀이 상호작용을 많이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 중에서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자녀양육태도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 형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아버지는 자녀양육특성의 중요성을 깨닫고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을 지도함에 있어서 올바른 이해를 기초로 한 방안과 자녀양육참여를 놀이와 함께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정책적으로 양육자의 자녀양육참여를 높이기 위한 자녀양육 지원제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 자녀양육형태가 여성의 취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연숙 慶尙大學校 行政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여성의 사회 활동 참여로 취업모들이 증가하고 있다. 즉,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49.5%에 이르렀으며 여성 취업자의 77.9%가 기혼 여성이며 그 중 60%이상이 미취학 자녀가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지난 10여년간의 위탁보육사업은 많은 성장과 발전이 있었다. 특히 참여정부 이후에 정책적의지에 힘입어 보육은 주요 국정과제로 채택되었고 보육예산도 증가하여 2005년 국비 6,001억원과 지방비 7,354억원을 합하여 1조 3,335억원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자녀 양육지원제도가 잘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여성이 육아로 인해 경제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다. 저렴하며 질적으로 우수한 보육은 취업여성들의 취업을 안정적으로 지속시킬 뿐만 아니라 차세대를 담당할 아이들의 정상적인 교육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자녀양육 실태를 조사하고 취업모의 직장보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보육형태에 따라서 여성의 취업유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다양한 보육서비스의 제공 및 확대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J시의 일개 대학병원에서 만 7세 이하의 자녀를 둔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자녀양육형태, 비용, 자녀양육과 취업유지와의 관계, 병원위탁 보육시설의 만족도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SPSS 10.0 통계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기법은 각 문항별 빈도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탁아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교차 분석 및 다중응답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모든 분석의 유의 수준은 α=.05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녀양육 형태는 자기집탁아, 가정집 탁아, 보육시설 탁아 39명, 병원위탁보육시설 탁아는 15명으로 가정집 탁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보육비용은 60만원 이상이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보육시설에 지불하는 평균보육비는 11-20만원이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생활수준에 비추어서 보육료가 부담이 된다는 경우가 많았다. 자녀양육과 취업유지와의 관계에서는 취업의 주된 욕구는 경제적인 이유가 73.4%로 나타났다. 자녀양육이 직장생활에 지장이 있다는 의견은 85.3%이다. 자녀양육 문제로 직장포기 의사는 전체 대상자의 68.8%가 육아문제로 직장을 포기하고자 하는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기 이유는 아이의 정서, 교육문제가 걱정이 되어서 포기하고자 한 경우가 70.7%이다. 병원 위탁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스러운 경향이었고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자녀를 병원위탁보육시설에 보낸다고 한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서 취업모의 영유아보육 정책에 조그마한 영향을 줄 것을 기대한다. 보육의 대상이 되는 영유아는 한 가정의 자녀일 뿐만 아니라 우리의 다음 세대로서 그들에 대한 바람직한 보육은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직장을 갖고 있거나 갖기를 원하는 여성 뿐만 아니라 일반 여성들 에게도 그들의 자녀를 안심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맡길 수 있도록 한다면 여성의 사회 참여증가 뿐만 아니라 저 출산에도 영향을 미칠것이라 기대한다. The number of working mother is increasing due to women'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at is, according to the data from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ate of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reached 49.5%, where 77.9% of women employees were married women, and it is found that 60% of them had preschool children. There has been so much growth and developments in Childcare business for the past 10 years. In particular, childcare was adopted as a main task of administration indebted to policy since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nd the budget for childcare was increased up to 1,333.5 billion won including 600.1billion won of public funds and 735.4 billion won of local funds. However, many women face the limitation on child care since supporting system for bringing up children is not established clearly. Childcare should not require much cost, but it should be good in quality so as to maintain women employment stabilized. And it is more important for regular education of children who will take charge of the next gener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diversified childcare services and data for extension by examining the actual nursing conditions of the working mothers, the needs for childcare center at work, and how it affects women's employ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care.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ypes of nursing children, cost,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and maintenance of being employed, and the satisfaction in childcare facilities in hospital on working mothers who have children under 7, at an university hospital in the city of J and then, we analyzed them with using SPSS 10.0 statistical program. The statistical method calculated percentage of frequency by each question, then we examined the general nature of the objects and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nursing types through Cross tabulation andmultiple response analysis. the significance in every analysis was α=.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Nursing types, nursing in own house, nursing in neighborhood, public nursery were picked by 39 people, and hospital childcare was picked by 15 people, the neighborhood nursing was the most picked one. inthe case of cost, 600 thousand won was the most picked, and in the case of average nursing cost for childcare center, 110-200 thousand won was mainly chosen. It is mostly said that the cost was a burden compared to a level of life. With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and maintenance of being employed, 73.4% of people answered that the main reason of desiring to be employed was for financial matters. 85% of people answered that they have trouble in working as they have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In the case of intention to throw up work, 68.8% of respondents has experienced in intending to throw up due to nursing problem, and 70.7% had intended to throw up because they were worried about their children's emotional or educational matters. In the case of satisfaction in childcare facilities in hospital, most respondents appeared to be satisfied. They leave their children at childcare center in hospital since it is cheape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our study may slightly affect childcare policy for working mothers. The child who is the object of nursing is not only a precious son or daughter of a certain family, but also a member of the next generation, for this, it is very much important that we have to take care of them properly. We suggest that if working mothers or ordinary women can leave their children in the childcare center with a sense of security, it will increase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as well as a low birthrate.

      •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 비교

        신미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를 비교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기대, 자녀 직업에 대한 기대, 자녀양육관련 보람 있는 일, 자녀양육에서의 애로사항에 대한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의 차이를 사회적 지원과 부모자녀관계의 맥락에서 비교하고, 어머니 집단의 자기효능감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240명으로서, 초등학생 어머니 163명, 중학생 어머니 44명, 고등학생 33명이었다.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는 박영신(2013)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2013년 5월에서 6월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앞으로 어떤 사람이 되기를 기대하는지에 대해, 행복한 사람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자녀가 되고 싶은 사람, 성실한 사람, 유능한 사람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자녀가 갖기를 기대하는 직업으로는, 자녀가 원하는 직업이라는 반응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직, 적성에 맞는 직업, 교육자, 안정적인 직업 등의 순서를 보였다. 자녀양육에서의 보람으로는 잘 성장함이 가장 높은 반응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부모를 위해 줌, 가정에 화목, 성실한 태도, 학업에 충실함의 순서로 나타났다. 자녀교육을 하면서 부모로서 애로사항에 대해, 자녀이해의 어려움, 일관된 양육태도, 학업문제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부모역할을 잘 하기 위해 가장 힘든 일로 감정조절을 지적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일관된 양육태도, 자녀마음의 이해, 모범 보이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의 차이를 사회적 지원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정서적 지원과 정보적 지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고, 경제적 지원에서 고등학생 어머니들이 더 높은 차이가 있었다.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부모자녀관계에서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초등학생 어머니가 가장 자녀를 통한 대리적 성취 경험을 많이 하고, 통제를 하는 경향이 높았다. 그러나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들은 성취압력의 정도나 희생하는 태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기효능감 차이를 검증한 결과를 보면, 고등학생 어머니가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어머니보다 학습지도효능감과 자녀와 의사소통효능감이 더 높았다. 그러나 자기조절효능감, 자녀양육효능감, 양육어려움극복효능감에서는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여성공무원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선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지난 30여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3년 기준 1.19명으로 OECD주요 회원국보다 훨씬 낮은 상태인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출산율 제고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공직에 대한 선호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에 비추어 서울시 본청에 근무하는 10세 이하 자녀를 둔 여성공무원 총 13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양육관련요인, 직업관련요인, 환경관련 요인으로 구분하여 작성한 질문지를 바탕으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ver1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연구대상 취업모의 자녀양육 스트레스는 평균 3.34로 보통수준 이상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취학전 자녀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취학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스트레스가 3.19로 초등학생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3.10보다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는 취업모의 연령이 41세 이상, 가구 월평균 소득이 200만원이하, 취업모의 학력이 대학원이상, 부부와 자녀만으로 구성된 핵가족의 경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나이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는 0-3세 자녀, 자녀수가 네명인 경우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관련 요인에 따른 스트레스 실태는 응답자의 평균대리양육시간은 11시간이며 대리양육 시간이 많으면 많을수록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관련 요인에 따른 스트레스 실태는 5급에 근무하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또한 1일 평균 초과근무시간은 48.95분이며 초과근무시간과 스트레스와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환경관련 요인으로 응답자의 대다수가 문제가 생겼을 때 동거가족이나 비동거 친정 또는 시댁식구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모를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녀양육비요인에 대하여는 응답자의 92.4%가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 또는 해소를 위한 사회복지적 정책대안으로는 첫째, 양육관련 요인을 위한 대책으로는 소득과 자녀수에 따른 차등있는 보육비 지급, 초등학교 자녀에 대한 교육비를 소득공제 대상에 추가, 취학전 자녀를 위한 24시간 보육 및 휴일보육, 초등학생 자녀를 위한 방과후 교실 운영시간 확대 등 다양한 대리양육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정봉사원 파견제도 실시 등 홈메이커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둘째, 직업관련 요인을 위한 정책으로는 직장내 보육시설 및 공공직장 보육시설의 확대, 근무시간 단축형의 육아휴직제도 도입 등 육아휴직제도의 확대, 자녀 간호휴가제도 도입 및 자녀양육시기에 있는 남성 근로자에게도 출산간호 휴가부여, 재택근무나 시차제 근무 탄력적인 유동근무제도의 활성화, 직장내 모성보호 분위기 조성 등 가족친화적인 근무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환경관련 요인을 위한 정책으로는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및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등 가족지원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취업모를 위한 전문적인 상담센터나 정보센터 등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