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Learning 프로젝트 수행에 적용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의 효과

        김세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테크놀로지의 비약적인 발전, 그 중에서도 인터넷의 등장 및 확산은 지식정보사회로의 변화를 촉발시켰다. 특히 최근에는 e-Business, e-Commerce, e-Learning 등 e(electronic)-Everything이라고 할만큼 인터넷 테크놀로지는 사회, 경제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는 실정이다(Rosenberg, 2001). 이중 인터넷 테크놀로지와 학습이 결합한 e-Learning은, 학습자 중심 학습, 평생학습체계, 적시학습 등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맞물려 기존 교육이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Horton, 2001; 엄우용, 2000). 이러한 e-Learning 환경 하에서 학습자는 다른 동료 및 전문가들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고, 필요한 정보를 찾으며,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끼리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활동의 핵심은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는 점이다(ASTD & NGA, 2001; ASTD, 1999; 강명희, 2001; 유지연, 2001). 다시 말하면, e-Learning의 경우 학습 시간, 학습 공간, 학습 기간 등 학습에 관련된 많은 요소들이 학습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의미 있는 학습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학습과정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임정훈, 1999; 봉미미, 1998; 신민희, 1998a).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성인이 가져야 하는 기본 소양이어야 하지만, 실제 학습상황에서 대부분의 성인 학습자들은 자기조절학습자로써 자신의 학습상황을 조절하고 관리하며 자율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 그 이유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일반적인 학습능력과는 달리 저절로 습득되어지는 것이 아니며, 수업과 훈련을 통해 학습, 계발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습자에게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은 성인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다(Paris & Newman, 1990; Winne, 1995; 신민희, 1998a; 송인섭 & 박성윤, 2000; 봉미미, 1998). 이제까지 이루어진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개념의 이론적인 통합이나,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정도에 따른 성취도, 만족도 연구에 머물러, 실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 사용에 따른 학습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사례는 미비한 실정으로, 학습자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지침으로 활용하기에 부족하다. 또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의 대부분은 면대면 수업 환경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되었기 때문에 e-Learning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는 것은 e-Learning의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e-Learning에 활용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개발하여 실제로 적용해 봄으로써,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와 성취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e-Learning 프로젝트 수행에 적용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은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제공한 자기조절학습 영역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1-2.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제공하지 않은 자기조절학습 영역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1-3.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제공한 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전반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2.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제공받은 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성취도는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가? 2-1.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제공받은 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내용암기능력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가? 2-2.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제공받은 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제수행능력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가? 2-3.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제공받은 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전체 성취도는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가? 3.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제공한 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변화 유형에 따른 성취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3-1.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제공한 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변화유형에 따른 내용암기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3-2.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제공한 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변화유형에 따른 과제수행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3-3.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적용한 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변화는 전체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고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E대학교 학부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전략은 Hofer, Yu, & Pintrich(1998)가 제시한 11가지 전략을 e-Learning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후 타당도를 검증 받은 것이다. 실험에 들어가기 전 학습전략동기 검사(MSLQ)를 통해 연구 대상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총 6주에 걸쳐 e-Learning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방’이라는 팀프로젝트를 마련하여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제공하였다.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 제공에 따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실험 기간이 끝나는 6주째에 학습전략동기 검사(MSLQ)를 재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와 그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에 적용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 제공 후, 연구 대상 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제공된 영역(t= -3.67, df=49, p< .05), 제공되지 않은 영역(t= -4.54, df=49, p< .05), 전체 자기조절학습영역(t= -4.60, df=49, p< .05) 모두에 있어 전략 제공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공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연구 대상 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의미하며,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은 촉진전략을 제공하지 않은 자기조절학습의 영역에도 영향을 주어, 전체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고 분석할 수 있다. 둘째, e-Learning에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습득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내용암기능력에 대한 성취도(r=.315, p< .05) 및 전체 성취도(r=.338, p< .05)에 있어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과제수행능력에 대한 성취도(r=.26)는 유의도 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의 제공 후,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향상된 집단(32명)과 저하된 집단(18명)의 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간의 차이는 유의도 수준 .05에서 내용암기능력에 대한 성취도(t= .68, df=47.43), 과제수행능력에 대한 성취도(t= -.25, df=48), 전체 성취도(t= -.22, df=47.98) 있어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다. 한편, 과제수행능력에 대한 성취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향상된 집단의 평균(39.72)은 저하된 집단의 평균(39.50)보다 높았으나, 내용암기능력에 대한 성취도의 경우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향상된 집단의 평균(15.28)이 저하된 집단의 평균(15.78)보다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내용암기능력에 대한 성취도와 과제수행능력에 대한 성취도를 합한 전체 성취도에 있어서도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향상된 집단의 평균(55.00)은 저하된 집단의 평균(55.28)보다 조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앞으로 보다 발전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 결과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가 충분히 수집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할 경우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내용암기능력에 대한 성취도, 전체 성취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반면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 집단과 저하 집단으로 나누어 성취도 차이를 분석했을 때 내용암기능력에 대한 성취도 및 전체 성취도에 있어 오히려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저하된 집단의 평균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두 결과는 서로 모순된 결과라 볼 수 있으며, 향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내용암기능력, 과제수행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망된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다양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만큼 한 개인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라도 각 영역에 따라 높고 낮음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전반적인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특히 낮은 영역들을 중점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각 영역 별 촉진전략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넷째,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교수자가 제공해주는 환경에서 학습자의 성취도는, 단순히 교수자에 의해 이끌려진 결과일 수 있으며(Butler, 1998),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의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검증하기 위해서는 전략 제공 후 충분한 기간에 걸쳐 학습자들의 학습 활동, 특히 전략의 전이여부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야 할 것이다.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specifically the emergence and spread of the Internet, has triggered transformation into information-based society. In particular, recently the world is witnessing across-the-board change of societal and economic structure spearheaded by the Internet technology. e-Business, e-Commerce and e-Learning are some of the examples. e-Leaning,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Internet technology and learning, is emerging as an ideal alternative to the past learning coupled with a change in educational paradigm including learner-centered learning, life-long learning and just-in-time learning. Under e-Learning environment, an active interaction is formed between student and his colleagues and experts. Furthermore a student finds necessary information and builds learning community with people who have same interest. As such e-Learning is all about student taking initiative and have self-directed learning. In summary, e-Learning requires ability to self-regulated learning that enables student to effectively monitor learning process designed for meaningful learning objectives since many learning related components including learning time, learning space and learning period are of student's choice. Of course, ability to self-regulated learning is something that an adult must have but most of adult learners in reality encounter difficulties in regulating and managing their own learning and freely participating in learning activities. Such lack of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stems from the fact that, unlike other learning abilities, it is not that is learned and developed naturally but with instruction and training. In that respect, endowing student with the strategy to improv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o that he can have a chance to learn it will be of great help. Most of the study on self-regulated learning until now is confined to theoretical integr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concept, and 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student according to hi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s a result, cases that have tested learning effect based on the strategy to fost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practice are limited, thus makes it difficult to be used as a guideline to improve such ability. To complicate matters, majority of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is centered on face-to-face learning. Drawing up a strategy to be applied to e-Learning environment, therefore, will contribute to raising e-Learning effect. This study is aimed at check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hievement with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trategy for e-Learning built on existing study on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These following issues will be addressed : 1. What effect will applic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have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1-1. For the area that provide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mong the elem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what change is discovered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1-2. For the area that doesn't provid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mong the elem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what change is discovered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1-3. What effects do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overal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hievement of the student who acquired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in performing e-Learning project? 2-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memory ability of the student who acquired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2-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ask performance of the student who acquired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2-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overall achievement of the student who acquire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3. How does a change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ffect achievement after apply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3-1. How does a change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ffect memory ability after apply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3-2. How does a change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ffect student's task performance after apply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3-3. How does a change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ffect overall achievement after apply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With the objective of addressing these questions, this study is conducted on 50 E University students taking the course. The strategy adopted for this study is 11 strategies by Hofer, Yu, & Pintrich(1998) which is developed to be applied to e-Learning and tested for its validity. Before beginning the experimen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under review is measured with MSLQ and was supplied with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by initiating 6-week team project under e-Learning environment named "class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order to measure a change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ith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the students are place under MSLQ again after 6 weeks of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 is identified in th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fter applying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on e-Learning on all areas ranging from the area with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t= -3.67, df=49, p< .05), area without such strategy(t= -4.54, df=49, p< .05) to overall self-regulated learning area. This difference means that positive result is derived from applic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who are part of this study. Plus, overall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improved as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also spurred positive development in self-regulated learning area without such strategy. Second,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hievement of the student who acquired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and e-Learning, significance relationship is witnessed in achievement on memory ability (r=.315, p< .05) and overall achievement (r=.338, p< .05), but not for achievement in task performance(r=.26). Third and lastly, in analyzing the different achievement of the group with improve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e group without any such improvement after supplied with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insignificant in all aspects - achievement in memory ability(t= .68, df=47.43), achievement in task performance(t=-.25, df=48), overall achievement(t=-.22, df=47.98). As for achievement in task performance, an average of the group with improve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39.72) i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no improvement(39.50), but an average of the group with the improvement(15.28) is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no improvement(15.78) with regard to achievement in memory ability. In all, overall achievement average, which is a combination of averages for achievement in memory ability and task performance, of the group with improve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55.00) is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of no improvement(55.28). With these outcomes in mind, the following is suggested for further study. First, enough materials should be gathered on the improvement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at have been tested under various environments so as to have much advanced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in the future. Second,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hievement shows significant relationship for performance and overall performance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memory ability if it is for the whole students under review. However, a contradictory result is found when achievement is analyzed between the group with improve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e group without such ability. An average of the group with improved self-regulated ability in terms of achievement in memory ability and overall achievement is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out that ability. As such, extensive study is necessary to shed lights on the relationship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memory ability and ability for task performance. Thirdly, since various areas make up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 individual'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differs by various areas. As a consequence, a study to develop and check improvement strategy by area designed to raise overall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improve the areas with lesser achievement at the same time is in order. Lastly, student's achievement under the environment in which instructor provides the student with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may only be the result induced by the instructor. Therefore, to be able to accurately test and prove the effectiveness of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a continuous study should be carried out for an extensive period after giving the students the strategy on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focused on the transfer of strategies in particular.

      •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차순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는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의 효과범위를 파악하고 자기조절학습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균형 있는 교수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한 효과적인 학습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 자료의 탐색 및 자기조절학습의 과정과 3차원, 6유형으로 나누어지는 학습양식과의 상관에 관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은 ‘독립-참여-경쟁형󰡑의 학습양식을 가진 학습자에게 가장 효과적이며 이들의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으로 본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초등학교 6학년 국어 읽기 요약하기 관련 단원을 설정하였다. Zimmerman과 Martinez-Pons(1986)의 자기조절학습을 토대로 정미경(2001)이 사용한 <표 Ⅳ-3>의 자기조절학습 단계를 바탕으로 국어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학습양식검사는 백운갑(2004)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독립-참여-경쟁형󰡑의 학습양식과 그 외의 학습양식으로 분류하여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험과정은 국어과 읽기 사전검사와 학습양식 검사가 실시된 후에 9회기 동안의 수업처치가 실시되었고 수업처치가 끝난 후에 학업성취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양식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효과에 관한 자료처리 방법으로 SPSS 13.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효과성을 검증하기위해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사전 사후 검사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 가설은 수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습양식은 학습자의 발달과정과 복잡한 학습단계를 고려하여 한가지로 유형화하기보다는 좀 더 세분화하여 사용되어야 하며 그러한 조합으로 형성된 학습양식들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으며 독립-경쟁-참여형의 학습양식이 고루 높은 학습자에게 자기조절학습은 가장 유용한 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기조절학습을 위해 모든 학습자가 동기화되지 않았으며 학습자의 학습양식을 고려하여 좀 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안배하여 균형 있는 교수 학습 환경을 설계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상황에 가장 유용한 학습양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어서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독립-참여-경쟁형󰡑의 학습양식이 고루 높은 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으나 이후 연구에서 학습양식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한계를 두었으나 이러한 학습양식의 조합들이 학습태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일반적 자기조절학습에 가장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학습양식의 집단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졌으나 6가지 학습양식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집화 된 학습양식의 학습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기결정동기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호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기결정동기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초등학교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기결정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초등학교 수학 학습부진아의 불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대상을 안산시 소재 A초등학교 수학 학습부진아 3명을 선정하여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훈련한 후 자기결정동기와 수학불안에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자료 처리 방법으로는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기결정동기 및 수학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계열 설계(time series experiment)에 의해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변화된 모습을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기결정동기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스스로 진단, 학습, 평가하는 과정을 통하여 긍정적인 학습결과를 얻고 그에 대한 만족감과 자신감을 향상시켜 자기결정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 방법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수학 학습부진아의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자기조절학습전략은 학습자가 학습과정 전체를 외부의 개입 없이 스스로 해결하게 함으로써 수학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방해요소가 되는 긴장감이나 불안을 감소시키는 적합한 학습방법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기결정동기와 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 자기조절학습 동기적 변인들의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안재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공분산 구조 모형을 이용하여 동기 변인들간의 관련 양상을 검토하고 나아가서 성별, 지역별, 학교급별로 관련 양상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자기조절학습 활동을 향상시키는데 일조코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자기조절학습 동기 변인들의 인과적 관련 양상은 어떠한가?’ ‘성별, 지역별, 학교급별 집단에 따라 인과 관계 양상에 차이가 있는가?'로 하였다. 이론적 검토와 예비 조사를 통해서 동기 변인을 사전 성취 지각, 타인 기대, 학업 효능감, 진학 포부로 하였다. 두 개의 모형을 설정하여 중·고등학생 863명에게 설문지를 투여하고 LISREL 8.30을 이용한 공분산 구조 분석을 하였는데 모형이 수렴된 ‘연구 모형1’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1’에서 외생 변인은 사전 성취 지각, 타인 기대, 학업 효능감이고, 내생 변인은 진학 포부와 자기조절학습이다. 그리고 진학 포부는 매개변인이다.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타인 기대와 학업 효능감은 진학 포부에 영향을 준다. 진학 포부는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준다. 또한 사전 성취 지각과 학업 효능감은 자기조절 학습에 영향을 준다. 다만 사전 성취 지각은 진학 포부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못하며 자기조절학습에 부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자기조절학습을 활성화하고자할 때에는 사전 성취 지각은 별로 의미가 없다. 타인 기대도 진학 포부를 높이는 데는 영향을 미치나 이것이 자기조절학습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진학 포부를 통한 매개 정도에 불과하다. 타인 기대는 생각만큼 자기조절학습 활성화에 중요하지 않다. 그리고 자기조절학습에 가장 영향이 큰 변인은 학업 효능감이므로 이를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둘째, 성별, 지역별, 학교급별에 따라 양상이 다르다. 따라서 자기조절학습 활성화를 기하고자 할 때에는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성별에 따른 모습에서 남학생은 타인 기대가 진학 포부와 자기조절학습 모두에 영향을 주나 여학생은 진학 포부에만 영향을 준다. 남학생들에게는 타인기대가 학업 효능감과 더불어 진학 포부나 자기조절학습에 중요한 변인이다. 지역에 있어서 읍면 학생들은 목표를 비교적 의식하지 않고 자기조절학습을 하고 있으나 도시 학생들은 진학 포부를 갖고 자기조절학습을 하고 있다. 도시 학생들에게는 타인기대가 진학 포부에 매우 영향을 크게 주고 있다. 하지만 자기조절학습에는 직접적 영향이 없다. 매개 변인을 통해 영향을 주는 정도이다. 중·고등학교도 확연히 자기조절학습 양상이 다르다. 특히 고등학교는 진학에 따른 절박함이 잘 드러난다. 따라서 긴 안목에서 자기조절학습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가 요망된다. 셋째, 학업 효능감은 자기조절학습에 매우 강력한 동기 변인이다. 성별, 지역, 학교급을 막론하고 이를 적절히 이용하여 자기조절학습 활성화를 기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help promote self-regulated learning by evaluating the related phenomena between motivational variables and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eatures in accordance with sexes, localities and grades in schools with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 have def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s "what are the causal relations of motivational variables i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causal relations in terms of sexes, localities and grades in schools?" By theoretical reviews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s we have defined motivational variables as the perception of prior achievement, other expectancy, academic self-efficacy, and aspiration of entrance. We have designed two models,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86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structural equation models using LISREL 8.30, especially "study model 1" which is convergent. In "study model 1", exogenous variables include the perception of prior achievement, other expectancy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endogenous ones include aspiration of entra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aspiration of entrance is regarded as a mediating variable. We have defined the level of significance as 0.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spiration of entrance is generally influenced by other expectancy and academic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rning is influenced by aspiration of entrance. Self-regulated learning is also influenced by the perception of prior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perception of prior achievement does not influence the aspiration of entrance at all and exerts negative influence over self-regulated learning. Therefore, if we would like to activate self-regulated learning, the perception of prior achievement would be of little significance. Although other expectancy influences aspiration of entrance, the influence does not extend to self-regulated learning, only to be a medium by way of the aspiration of entrance. Other expectancy is not so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as expected. We should regard academic self-efficacy as important because it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o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there are different features in terms of sexes, localities and grades in schools.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ese features if we are to activate self-regulated learning. The features in terms of sexes show that other expectancy influences both aspiration of entra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boy students but it influences only aspiration of entrance in girl students. In boy students other expectancy and academic self-efficacy are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aspiration of entra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terms of localities the students who are in middle or high school at Eup or Myeon perform self-regulated learning usually without keeping the objects in mind. In contrast, the students who are in middle or high school in cities perform self-regulated learning with their minds occupied by aspiration of entrance. In the students who are middle or high school in cities, other expectancy exerts a great influence on the aspiration of entrance. However, it exerts influence over self-regulated learning not directly but only through mediating variables. There are definitely different features in self-regulated learn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in high school students we notice the feeling of urgency in relation to the entrance into colleges. Therefore they should be guided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long run. Third, academic self-efficacy is a very strong motivational variable in self-regulated learning. We should use academic self-efficacy to activate self-regulated learning regardless of sexes, localities and grades in schools.

      • 초등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가 문제해결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재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a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for elementary mathematic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1. What are the correlations amo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for elementary mathematics? 2.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ability to understand, execute and reflect on problems)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for elementary mathematics? 3.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for elementary mathematics? A total of 62 6th grade boys and girls from 2 classes were selected for the object of the research. Four research tools were used: a learning achievement test and a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est as pretest and a problem-solving ability test and a learning satisfaction test as posttest. The lesson group were lasted for total 12 hours(3 weeks, 4 hours per week) including regular and extracurricular class hou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ollowing methods using the SPSS 12.0: First, Cronbach α coefficient was used to obtain the reliability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est, the post tests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s amo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problem-understanding ability, problem-executing ability, problem-reflect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hir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on the abilities to understand, execute and reflect on problems as well as the learning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meaningful correlations amo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level. Especially,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with problem-reflection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level. Second, a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d meaningful influence on all of the 3 sub variables of the problem-solving ability: problem-understanding ability, problem-executing ability and problem- reflecting ability. The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had meaningful influence on only the problem-reflection ability. Such results signify tha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to foster creative and critical thoughts and more flexible problem-solving ability. Third, both a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had meaningful influence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level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which means that learning motivation, curiosity, and intellectual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by solving problems and constructing knowledge by oneself with one'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에 따라 문제해결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전 학업성취도, 문제해결력(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 학습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2. 초등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가 문제해결력(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초등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의 남·여 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사전검사로서 학업성취도 검사와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사후검사로는 사후 문제해결력 검사와 학습만족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 수업은 주 4시간씩 3주에 걸쳐 12시간동안 정규 수업 시간 및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은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 사후 문제해결력 검사, 학습만족도 검사의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Cronbach α계수를 사용하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전 학업성취도, 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 및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가 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투입형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전 학업성취도, 문제해결력, 학습만족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문제반성력, 학습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문제해결력의 세 가지 하위변인-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학업성취도는 문제반성력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와 보다 유연성 있는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데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 둘 다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을 구성함으로써 학습흥미와 호기심이 높아지고, 학습의욕과 지적 만족감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 글쓰기 활용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이나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study aims at identifying how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hereafter 'SRLS') affect self-regulated strategy use, achievement, creativity in elementary sixth grades. The study questions were as follows; - Is there evidence that SRLS affects students' self-regulated strategy use? - Is there evidence that SRLS affects students' achievement? - Is there evidence that SRLS affects students' creativity? Total of 70 sixth grade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Jeonju City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a 4-week intervention program for self-regulated strategy use, achievement and creativity. In regard to self-regulated strategy use, achievement and creativity,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were the homogeneous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students in SRLS writing program showed increased self-regulated strategy use, achievement and creativity(individuality, adventurous nature), while the control group's self-regulated strategy use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In addition to this result, slight increase in the students' recognitive creativity was seen as a result of the SRLS writing program.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1) The self-regulation should also be used in writing program. 2) The recognitive creativity and affective creativity for young primary school students can be enhanced through the SRLS writing program.

      • 자기조절학습의 유형 탐색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 연구

        정윤선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27

        자기조절학습의 핵심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지속적인 노력에 있다. 학습자 스스로의 수행이 공교육의 경쟁력을 강화시킨다는 인식으로 인해 교육현장에서 자기조절학습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은 획득하는데 시간이 걸리지만 다양한 장면에 전이될 수 있고, 지능과 달리 경험과 노력을 통해 향상·발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크다. 이러한 이유로 자기조절학습은 교육학자들의 많은 관심 속에서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자기조절학습 연구들은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의 각 차원 혹은 하위변인에 집중하여 이들과 다른 변인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연구를 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자기조절학습의 구성변인 또는 각 차원의 독자적인 특성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하였지만 한 개인 내에서 작용하는 자기조절 요인들의 상호작용과 그 영향력을 설명하는데 제한적이었다. 발달이나 변화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도 자기조절 능력의 양적인 증가, 감소만을 다루고 있을 뿐, 자기조절 패턴의 변화양상이나 그 가능성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하였다. 실제적인 자기조절학습의 모습과 발달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인마다 구사하는 자기조절학습의 형태와 그 변화양상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즉 개인 내에서 자기조절 요인들이 어떠한 조합으로 상호작용하고 있는지, 이러한 조합에 따라 질적으로 서로 다른 학습자 유형이 존재하는지 탐색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도출된 학습자 유형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모습과 확률로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자신의 자기조절학습 유형을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것, 그리고 어떻게 하면 자신의 학습유형이 보다 적응적인 유형으로 변화할 수 있는지를 가늠해 보는 것은 학습자의 완전학습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보다 성공적인 학습 성과를 얻을 수 있게 도울 것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은 여기에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 1과 연구 2로 구성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1은 자기조절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이는 학습자 유형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더불어 추출된 유형이 동기적 특성, 정서적 특성, 학업관련 특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한다. 연구 2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학습자 유형의 변화양상과 전이확률을 확인하고, 유형이 변화하거나 고정되는 원인을 동기적, 정서적 특성, 학업성취도 등을 통해 탐색해본다. 연구 1을 위해 서울과 수도권의 중학생 1,37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1년의 시간이 흐른 뒤에 반복측정이 가능한 433명의 자료를 추가 수집하여 연구 2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잠재프로파일분석과 잠재전이분석이 활용되었는데, 이 방법은 모형에 기반을 두어 학습자 유형을 분류하고, 모형 적합도 지수가 제공되며, 횡단 프로파일뿐 아니라 종단 프로파일까지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 개인의 자기조절학습은 복수의 차원들이 입체적으로 조합된 프로파일로 표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기조절학습의 각 구성요인들이 상호 유기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은 9가지 하위요인을 통해 다섯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이들 유형은 수준에 따라 순위가 있는 프로파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학습자 특성에서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자기조절을 잘하는 학습자의 두드러진 특징이 인지조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메타인지가 유형을 분류함에 있어 가장 높은 판별기능을 보임으로써, 자신의 학습을 계획, 조절, 점검하는 활동이 자기조절학습 유형의 차이를 가장 분명하게 드러냄을 보여주었다. 셋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자기조절학습 유형을 유지한 비율은 54%였으며, 18.2%는 이전에 비해 더 우수한 유형으로, 27.7%는 더 낮은 유형으로 이동하였다. 전반적인 유형의 전이 경향은 매우 우수하거나 부진한 유형의 비율이 감소하고 평균적 수준의 유형이 증가하는 모습을 띠었다. 넷째, 자기조절학습의 유형별 특징과 변화의 원인을 성취수준, 학습시간, 동기적, 정서적 특성 등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우수한 자기조절 능력은 높은 동기수준과 관련되었으며, 긍정정서를 높이고 부정정서를 낮추었다. 학업성취에 대한 영향력도 분명하였는데, 우수한 자기조절 능력을 유지하는 것은 높은 학업성취를 유지하는 동시에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하였으나, 낮은 수준의 자기조절이 지속될 경우 이전에 비해 학업성취가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개인을 중심으로 자기조절학습의 과정과 형태를 해석했다는 점,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의 세 차원을 동시에 고려한 학습자 유형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을 보다 실제적이며 입체적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학습자 유형을 분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들 유형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적인지, 변화하는지 까지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단기종단연구로써의 가치도 갖는다. 무엇보다 본 연구가 갖는 가장 중요한 의의는 중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자기조절학습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의 특성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이다. Self-regulated learning in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t is believed that the competitiveness of public education would be improved by enhancing students’ learning abilities. The heart of self-regulated learning(SRL) is in active engagement and constant effort of learners. Although it takes a great deal of time to acquire the ability of SRL, once it is acquired, it can be transferred into a variety of situations. The studies on SRL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mponent of SRL and how they are correlated with other variables in educational contexts. They are limited to explain how they are interacted one another.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study of SRL is currently rare and it does not explain about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pattern. Attention is needed on the qualitative form of individual SRL and the phase of variation to figure out practical aspect and development of SRL. Thus the investigation on how cognitive regulation, motivational regulation, behavioral regulation interact with one another. We also should ask whether qualitatively different types of learners exist. And the longitudinal study of how they are formed and changed are needed. Thorough comprehension own SRL type, application to learning and estimation of the potential change into adaptive type allow learners to achieve complete learning and more successful performance. This i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subject of study is as belows. First, learners investigate the potentiality of different profile according to interaction between the combination of cognition, motivation, behavior and lower factors in the proces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check the differences from motivation, emotional characteristic, academic feature on deduced profile. Second, the phase of variation on the type of learners by the flow of time and transition probability is checked and the reason of form variation or fixation is investigated through motivation, emotional characteristic, academic feature. For this study, data of 1,327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After 1-year 433 students date were collected again. For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are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an individual's self-regulated learning could be represented with several levels-combined profile three-dimensionally. Self-regulated learners are divided into 5 profile types and they shows clear differences in various learner characteristic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remarkable feature of SRL is meta-cognition. Meta-cognition has the highest discrimination function in type classification. Third, 54% of students maintained their SRL type after 1 year and 18.2% of the students moved to upper type and 27.7% moved to lower type. In the type transition, the rate of excellent or poor type decreased and the type of average showed increase. Fourth, the reason of variation and characteristic on SRL type was shown in academic performance, study time, motivation·emotional feature. Outstanding self-regulated ability has high motivation elevating positive emotion and lowering negative emotion. Additionally, the influence on the academic performance was appeared distinct. While maintaining high self-regulated ability allowed to keep and improve the influence on academic performance. This studies examined the pattern of SRL and how they are changed.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f gives an explanation about SRL pattern and it’s changes. In short, this study investigated types of SRL and how they are changed.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s on self-regulated learners.

      •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강정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사회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사회과 학업성취 수준별(우수, 보통, 기초) 집단 간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회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N시에 위치하고 있는 O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69명(남35명, 여 3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은 Zimmerman과 Martinez-Pons(1986, 1988), 김용수(1998)의 연구를 바탕으로 수정·보완한 자기조절학습전략 훈련프로그램을 사회수업에 적용하여 실험집단에 6주 동안 처치하였다. 측정도구로는 Zimmerman과 Martinez-Pons(1988)가 개발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을 김용수(1998)가 번안하여 사용한 검사를 바탕으로 사회과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만든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와 사회과 학업성취도 검사가 사용되었다. 실험 처치 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집단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측정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통제 집단 간의 사전-사후의 평균차를 t 검증과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긍정적으로 향상시켰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사회과 학업성취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사회과 학업성취 수준별(우수, 보통, 기초) 집단 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보통집단의 경우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우수집단과 기초집단의 경우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모두 유의미한 향상이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 의해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회과 학업성취 수준이 보통인 집단의 경우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를 모두 크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나 학교 현장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통해 이들의 학습결손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겠다. This study aimed at verifying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sixth graders'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tudy. In order to attain such aim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First, what effects does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have on sixth graders'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Second, what effects does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have on sixth graders'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Third, what effects does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have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of each of three groups (whos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is high, average or low)?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69 sixth graders(male: 35, female:34) from two classes at O elementary schools, in N, Gyeonggi-do, who were allocat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training program developed based on studies by Zimmerman and Martinez-Pons (1986, 1988), and Kim, Yong-su (1998) and adjusted to social studies classes for six weeks. Measurement instruments employed in this study included a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scale and a scale for measuring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the ones the researcher created after modifying and complementing Kim, Yong-su's adapt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developed by Zimmerman and Martinez-Pons(1988).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ests. After that, using SPSS 13.0 program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carried out on mean differenc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gained from the pro-and post-tes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positively improved sixth graders'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Second,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was effective in improving sixth graders'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Third, a look into the effect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the three groups whos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average or low showed that the group with averag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displayed significant improvement both in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group with low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mproved neither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nor academic achiev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proved that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has positive effects on sixth graders'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the group with averag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showed dramatic improvement in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education because its results can be used effectively to prevent students from becoming lacking in studies in schools.

      •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인지양식에 따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 분석

        윤득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학습자에게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을 적용하였을 때,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구성요인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학습자의 개별 특성에 맞는 자기조절학습 지원 전략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 기초한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 모형은 도입, 문제규명, 탐색, 수행, 평가 및 정리의 5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실험집단은 직업위탁교육을 받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Riding의 인지양식분석검사(Cognitive Styles Analysis: CSA)를 실시하여 정보의 조직 유형에 따라 전체적 인지양식과 분석적 인지양식을 가진 학습자로 나누어 양명희(2000)의 자기조절학습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을 적용하기 전, 후로 나누어 실험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측정하고 자기조절학습의 인지, 동기, 행동의 각 차원별 구성요인의 변화량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는 문제해결학습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질적 분석으로 그 과정을 알아보았으며, 자기조절학습의 각 차원별 구성요인의 변화량에 대한 차이는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은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상관없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의 각 차원별 하위구성 요인의 변화를 인지양식에 따라 살펴볼 때, 인지조절 차원의 정교화 요인은 정보의 재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동기조절 차원 하위구성 요인 중 숙달목적지향성의 변화량은 전체적 인지양식을 가진 학습자 집단이 분석적 인지양식을 가진 학습자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그 차이를 독립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한 결과 p<.0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숙달목적지향성의 학습자는 자기조절학습의 조정자로서 광범위한 동기적 변인과 관계가 있으므로, 문제해결학습을 통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과 자기조절학습의 숙달목적지향성 구성요인을 고려하여 개발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행동조절 차원의 하위구성 요인의 변화를 인지양식에 따라 살펴볼 때 행동통제 요인은 동료평가 및 모둠간 평가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이것은 동기조절차원의 구성요인 중 숙달목적지향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난 것에 관련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인지양식 중에서 정보조직에 관한 인지양식을 적용하였지만, 학습양식이나 자료의 제시형태, 학습할 내용의 구조화 개념 등 여러 변인들을 적용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들의 변화에 대한 후속연구를 필요로 하며, 보다 광범위한 수준의 학교와 일반 교과에도 적용한 후속연구와의 비교연구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구성 요인에 따른 다양한 좀 더 구체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습자의 개별학습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신장시키기기를 요구하며 ,이를 위한 웹 기반 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의 문제의 특징을 반영하여 일선 현장의 교사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활용방안에 대한 교육전문가들의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that supplies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based on a learner's individual quality through the changes of the components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learner's cognitive styles, when we apply problem-based learning via web. To achieve that goal, the problem-based model via web based on prior research was developed. The model was divided into five steps : Introduction, Problem grilling, search, achievement, and evaluation & regulation. The experiment group was composed entirely of 3r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Polytech school. And Riding's Cognitive Styles Analysis (CSA) was carried out among them. Then, according to organization type of informatio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one was the whole cognitive style and the other was the analytic cognitive style. By usi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measure tool by Yang Myeong-hee, each group was divided also : before and after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via web.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each group was measu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 about change quantity of each dimention organization factors in cognitive regulation, motivational regulation, behavioral regulation.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was found out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about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problem-based learning.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amount of organization factors of each dimension was analyzed by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that problem-based learning via web helped the improve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regardless of the learners' cognitive styles. Also when the change of each dimension factors was surveyed by qualitative-analysis based on cognitive styles and elaboration factors of the dimension of cognitive regulation have a little influence about the reorganization of information. In change amount of proficiency-goal-orientation, one of the specific factors in the dimension of motivational regulation, the learners' group in the Whole Cognitive Style was larger than the other group in Analytic Cognitive Styles. The different point of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meaningful(p<0.05). As the controller of self-regulated learning, the learner of proficiency-goal-orientation was related to the broad motivative change factors. So, to develop the learning ability through problem-based learning, better teaching-learning program which is considered learners' cognitive characters and organization factors of proficiency-goal-orient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is needed. When the change of specific factors in the dimension of behavioral regulation using qualitative analysis, was survey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styles, action-control factors have some difference in inner-group evaluation and inter-group evaluation. This was concerned with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proficiency-goal-orientation in specific factors of the dimension of motiva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ognitive style about information-organization has an important influence, as changing factors that gave the influence to the change of organization factors in self-regulated learning. But future researches are needed about the change of specific factors that organized the self-regulated ability, applied many changing-factors like learning styles, or presentation types of data, or organizing concept of learning contents, and so on. Also,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various and more specific teaching-learning programs have to developed, according to the learner's cognitive character and the specific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pply them to students for extension of learner's individual stud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o do so, it is very necessary that many educational specialists study about utilization method that is reflected the special features of web-based learn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and can be helpful to many teachers in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