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아의 자기조절력에 대한 영아 및 교사 관련 변인의 영향 연구

        김병화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영아 관련 변인인 성과 기질, 교사관련 변인인 교사 경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영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성을 밝히고,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 관련 변인과 영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1-1. 영아의 성에 따라 자기조절력은 차이가 있는가? 1-2. 영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력은 관계가 있는가? 2. 교사 관련 변인과 영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교사의 경력과 영아의 자기조절력은 관계가 있는가? 2-2. 교사-영아의 상호작용과 영아의 자기조절력은 관계가 있는가? 3. 영아 관련 변인과 교사 관련 변인이 영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B시에 위치한 가정․민간․법인․국공립 어린이집 50개원에 다니고 있는 만 2세 영아 202명과 담임교사 101명이다. 영아의 자기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해 김호인(2010)의 ‘영아 사회정서발달척도’와 손복용(2011)의 ‘유아 자기조절능력 평정도구’, 김주영(2011)의 ‘영아 정서조절측정척도’를 양옥승, 류은미, 신성숙, 윤지영(2012)의 영아 자기조절 구성요인 및 하위요인을 기초로 분류한 후 영아에게 적절한 문항으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영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Buss와 Plomin(1984)이 개발한 유아용 기질 척도인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를 한세영, 박성연(1996)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강숙현(1994)이 APECP(Assessment Profile Childhood Program)에 근거하여 만든 ‘한국판 유아교육 평가척도’ 중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홍근민(1997)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t검증과 Pearson의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관련 변인과 영아의 자기조절력 관계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자기조절력이 높다. 영아 기질의 정서성, 즉 부정적 정서성은 자기조절력과 부적 관계를, 사회성은 정적 관계를 보이며, 활동성은 자기조절력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둘째, 교사 관련 변인과 영아의 자기기조절력 관계의 경우 교사 경력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으며,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영아의 자기조절력과 정적 관계를 보인다. 셋째, 영아 관련 변인과 교사 관련 변인이 영아의 자기조절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영아의 기질과 교사의 경력, 교사-영아 상호작용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 관련 변인은 23%의 설명력을 가지며, 교사 관련 변인이 추가되었을 때 10%의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최효숙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청소년들을 상담함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모 건강가정 지원센터에 상담 의뢰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뉴로 피드백 뇌파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자기조절력 지수가 낮게 나온 청소년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적인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절차에 따라 질적 분석을 하였다.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의 정서적 특성으로 이중적인 감정이 있고 내면에 두려움과 불안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억울한 마음에 복수심을 느끼고 마음 깊이 섭섭함과 실망감을 갖고 있으며 우울한 마음이 많다는 것이 발견 되었다. 특히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은 분노나 억울함 등의 부정적 정서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부정적 정서는 하나가 주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감정들이 복합적으로 얽히면서 그들의 부정적 정서를 더욱 강화 시키고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의 인지적 특성으로는 학생으로서 의미를 갖지 못하고 자신의 주변 환경과 주위 사람들을 불신하며 학업보다는 돈에 더욱 큰 가치를 부여하고 있음이 발견 되었다. 또한 비합리적 사고의 하나로 자신이 작은 잘못에도 부당한 폭력에 노출되었던 것처럼 자신에게 잘못한 또래나 후배에 대해 폭력을 행사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런 생각은 자신이 행하는 물리적 폭력을 정당화시키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학업보다 돈에 가치를 부여하고 중요시 여기는 사고는 오늘날 팽배해진 개인주의와 배금주의 사상으로 인한 비합리적 사고가 더욱 강화되었음을 시사해 준다. 한편 학생으로서 의미를 갖지 못하는 것은 학교와 학생이라는 신분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갈등을 빚는 또래나 교사와의 신뢰롭지 못한 관계로 인해 더욱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의 행동적 특성으로는 순간순간 기분에 따라 충동적인 행동을 하며 매사 쉽게 포기를 하거나 비행을 일삼고 있었다. 그리고 권위에 대항하고 화가 나거나 분노를 느끼면 폭력적인 행동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분노와 폭력성은 타인뿐만 아니라 자신을 향하기도 하여 자해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이 발견 되었다. 또한 자신이 하고 있는 행동을 인식하지 못하고 주의가 산만하며 부주의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넷째, 참여자들의 관계적 특성으로는 가족의 불화로 불행한 어린 시절을 경험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움을 필요로 했을 때 적절한 도움을 받을 만한 곳이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가족으로부터 충분한 지지와 사랑을 받지 못하고 공감과 수용을 얻지 못하면서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해 가족을 싫어하며, 감정적으로 관계를 끊는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자신의 감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관계를 단절하여 제한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처럼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은 정서나 사고 행동 및 관계패턴이 하나의 독립된 형태로 작용되지 않고 서로 맞물려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참여자들은 열등감속에 문제를 회피하며 분노를 느끼면서 살아가고 있는데 이러한 심리적 특성은 그들의 정서에 영향을 끼치고 그 정서는 다시 사고 과정에 영향을 주어 행동을 표출시키고 이러한 행동은 또다시 참여자들의 관계 패턴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비자발적이면서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을 상담함에 있어 그들이 보이는 말과 행동의 이면에 있는 심리적 동기와 사고의 배경을 이해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상담자와 내담 청소년들과 친밀한 라포를 형성하여 청소년들로 하여금 상담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하고 나아가 상담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대한 자기조절력의 설명력 분석

        성미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ir self-regulation. The subjects include 197 young children aged from three to five at a kindergarten in Jeonju City. Eleven homeroom teachers observed those children and filled out a questionnaire based on their observations. Employed in the study were the Peer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Park Juhee and Rhee Unhai(2001) and the Self-Regulation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Yang Ok Seung(2006).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tested differences in sociability, prosociality, and initiative, the subfactors of peer competenc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of young children and found differences in those subfactor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age. Secondly,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the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nd found that their sociability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gender and age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ing emotions, controlling emotions, coping with emotions, planning, and checking and evaluating. Their prosociality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gender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ing emotions, controlling emotions, coping with emotions, planning, and checking and evaluation. Their initiativ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gender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ing emotions, coping with emotions, planning, and checking and evaluating. Finally, the study examined the explanatory power of self-regulation for the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each subfactor and found that their sociability increased according to younger age and higher levels of coping with emotions and planning. Their prosociality rose according to younger age and higher levels of controlling emotions, coping with emotions, and planning. Their initiative improved according to young age, lower level of controlling emotions, and higher levels of planning and checking and evaluating.

      • 태권도 수련에 따른 자기조절력과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성 발달의 관계

        김만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태권도 수련에 따른 자기조절력과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성 발달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태권도 수련생집단과 비 수련생집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태권도의 교육적 가치를 통하여 태권도 현장에 도움이 될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J구)에 위치한 초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비확률 표집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의 목적적 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으로 최종 372명의 초등학생 중 태권도 수련생 227명과 비 수련생 14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후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18.0 version program과 AMOS 18.0 version program, 그리고 Excel 21.0 version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analysis),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측정모형분석(measurement model analysis),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multiple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측정 동일성 검증(measurement equivalence),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자기조절력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890, t=12.036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자기조절력은 사회성 발달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329, t=3.310,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은 사회성 발달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673, t=6.385,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조절력과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성 발달의 관계에서 태권도 수련 참여 집단과 비수련 참여집단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조절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학교생활적응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각기준치에 충족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자기조절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련생 집단은 사회성 발달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359, t=3.169, p=.002)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수련생 집단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174, t=.834, p=.402). 이에 따라 비제약 모델에서 개별 모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대응별 모수비교(pairwise parameter comparison)를 실시한 결과 =-.369로 기각 기준치(±1.96: =.05, ±2.58: =.01)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인 변인간의 관계 속에서 태권도 수련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조절력과 사회성 발달의 관계에 있어 태권도 수련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태권도 수련의 여러 외부환경으로 인한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따른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정도

        이소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실내 자유 선택 활동 시간에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따라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정도는 각 영역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2. 유아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정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3.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따라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정도는 각 영역 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 대상은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한 C병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5세 단일연령으로 구성된 1학급의 유아 26명(남아: 12명, 여아: 14명)이었다. 연구 대상 유아들의 연령 분포는 만 5년 1개월부터 만 6년 3개월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만 5년 8개월(남아: 5년 7개월, 여아: 5년 9개월)이었다. 연구 도구는 학부모용으로 제작한 유아의 자기조절력 평정 도구(이정란, 2003)의 내용을 연구자가 교사용으로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는 유아가 실내 자유 선택 활동 계획지에 놀이를 계획하고, 계획한대로 수행하고, 수행한 것을 평가한 것과 관찰자가 영역에서 유아가 놀이를 수행했는지의 여부를 기록한 관찰 일지를 확인하여 일치정도에 따라 점수화하였다. 자료처리는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조절력 평정 점수를 연구대상 집단의 문항별 평균을 기준으로 상, 중, 하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자기조절력 하위요인의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F검증을 실시한 후,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 검증을 하였다. 둘째, 유아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놀이 계획을 기준으로 놀이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를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셋째, 자기조절력 평정 점수를 기준으로 집단에 따라 영역별 놀이의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역별 놀이 일치 점수로 F검증을 실시한 후,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력 하위요인의 문항별 평균은 자기통제가 자기점검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정도는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에서 전체 평균 백분율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컴퓨터 영역, 수․조작놀이 영역, 언어 영역에서는 전체 평균 백분율 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놀이의 수행과 놀이의 평가 일치정도의 비율은 쌓기놀이 영역, 조형 영역, 역할놀이 영역에서 비교적 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 영역, 수․조작놀이 영역, 컴퓨터 영역에서는 비교적 일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따른 영역별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정도는 조형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 .05, 사후검증한 결과, 자기조절력이 높은 상집단과 보통인 중집단, 상집단과 자기조절력이 낮은 하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아동 일과의 규칙성의 매개효과

        김지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 일과의 규칙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어린이집 12곳에 재원 중인 만 4~5세 유아 235명(남아 104명, 여아 131명)과 그들의 아버지, 어머니 235쌍이다.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83)이 개발한 Parenting Stress Index(PSI)를 이경숙, 정경미, 박진아, 김혜진(2008)이 한국 부모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표준화한 한국판 부모 양육 스트레스 검사 축약형(Korea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K-PSI-SF)을 사용하였으며 아동 일과의 규칙성은 Wittig(2005)가 개발한 아동 일과 설문지(Child Routines Questionnaire-Preschool: CRQ-P)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Kendall과 Wilcox (1979)가 개발한 측정 도구를 유혜정(1998)이 번안하고 이지현(2001)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기술통계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위한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자기조절력, 아동 일과의 규칙성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 일과의 규칙성,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아동 일과의 규칙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아버지와 어머니 모형으로 나누어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각각 실시하였고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남아보다 여아에게 높게 나타나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 일과의 규칙성,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동 일과의 규칙성 및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 일과의 규칙성은 유의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 일과의 규칙성은 떨어지며 이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력 발달에 있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수준과 규칙적인 아동의 일상생활이 중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유아 시기의 최적의 발달을 위해 일차적 양육자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적절한 지원체계가 필요하며, 규칙성 있는 일과 제공 및 생활지도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regularity of children's daily routines would play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 total of 235 children aged 4 - 5 years from 12 preschools in Seoul and their mothers and fa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ents' self-reports on the Korean Parenting Stress Index (K-PSI-SF) were used to assess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The regularity of children’s daily routine was assessed using mothers’ reports on the ‘Child Routines Questionnaire-Preschool(CRQ-P, Wittig, 2005)’.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assessed using parents’ reports on the Self-Control Rating Scale (SCRS, Kendall & Wilcox, 1979) which was translated by Yoo Hye-jung(1998) and was modified by Lee Ji-hyun(2001).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 First, descriptive analyses were conducted, and internal reliabilities (Cronbach's αs) were calculated. Second, gender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was examin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regularity of children's daily routines and self-regulation ability was examin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Finally,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eis were conducted guided by Baron and Kenny(1986)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were mediated by the egularity of children’s daily routines.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in self-regulation, but par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for girls than did for boys. Second, the level of fathers’parenting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egularity of daily routines and self-regulation abilities among children. The same was true for mothers’parenting stress. The level of regularity of daily routine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regulation abilities among children. Third, the regularity of children’s daily routines was significant as a mediator in the association between fathers’and mothers’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ies.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parenting stress and its influence on children’s daily routines in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among young children. This study sheds significant lights on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to reduce parenting stress and to promote the role of daily routines at home to facilitate children’s healthy development.

      • 자기주도 학습방법에 의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이지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a dramatic- play activity using a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o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study issu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for such purpose are as follow. 1. What are the effects of a dramatic-play activity using a self- directed Learning Method on young children's cognitive-regulation? 2. What are the effects of a dramatic-play activity using a self- directed Learning Method on young children's emotional-regulation? 3. What are the effects of a dramatic-play activity using a self- directed Learning Method o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participations of this study were fifty children(experiment group=25, com-parative group=25), were 5 years old, enrolled in a at "M"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Incheon. A dramatic-play activity using a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had been applied the 24th to experiment group three-four days a week during the 8 weeks, from April, 8th to May, 22th, 2013. The comparative group haven't been applied it and just provided a same theme of lesson, took part in role-play during the free play time. The observation for study was used a tool for 3 to 6-year-old self-regulation scale of Yang, Ok Seung(2006) and assessed two groups' self-regulation pre-test and post-test. T-test was conducted a study on the two-groups' homogeneity score. and a statistical data of the effect between two-groups' self-regulation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 version 18.0 window program.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such as follow: Fris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increased compared to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young children's cognitive-regulation pre-test and post-test score(p<.001). More specifically, subordination component of cognitive-regulation: planning, inspection and evaluation revealed post-score of it that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p<.001). Consequently, It was meaned that cognitive-regulation improved based on a dramatic-play activity using a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Second, Fris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increased compared to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regulation pre-test and post-test score(p<.001). More specifically, subordination component of emotional-regulation: recognizing emotion, control emotion and coping revealed post-score of it that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p<.001). Namely, It was meaned that emotional-regulation improved based on a dramatic-play activity using a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Third,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increased compared to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pre-test and post-test score (p<.001). More specifically, subordination component of cognitive-regulation and emotional-regulation revealed post-score of it that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p<.001). Thus, It was meaned that self-regulation improved based on a dramatic-play activity using a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본 연구는 자기주도 학습방법에 의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기주도 학습방법에 의한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인지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자기주도 학습방법에 의한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정서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자기주도 학습방법에 의한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인천시 M구에 위치한 L유치원의 만 5세 유아 두 학급 50명(실험집단=25명, 비교집단=25)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8일부터 5월 22일까지 8주 동안 한 주마다 3~4일에 걸쳐 총 24회 실험집단에 자기주도 학습방법에 의한 극놀이 활동을 적용하였다. 비교집단에는 자기주도 학습방법에 의한 극놀이 활동을 적용하지 않고 유아가 자유선택놀이 시간에 역할놀이에 참여하게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검사 도구는 양옥승(2006)이 교사용으로 제작한 ‘3~6세 유아의 자기조절력 측정척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자기조절력 효과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위해 SPSS version 18.0 Window용 프로그램으로 사전검사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사를 위한 t 검증을 실시하였고,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인지조절력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의 차이는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더 많은 향상을 보이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인지조절력의 하위 요인인 ‘계획하기’, ‘점검 및 평가하기’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1). 이는 자기주도 학습방법에 의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인지조절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의 정서조절력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의 차이는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더 많은 향상을 보이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정서조절력의 하위 요인인 ‘정서인식하기’, ‘정서억제하기’, ‘대처하기’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1). 이는 자기주도 학습방법에 의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의 자기조절력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의 차이는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더 많은 향상을 보이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자기조절력의 하위 요인인 ‘인지조절력’, ‘정서조절력’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1). 이는 자기주도 학습방법에 의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 미용서비스업 관리자의 코칭리더십과 조직혁신성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임윤경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In the competitive society in the modern times, a manager of an organizations needs to be equipped with the ability to motivate, support, recognize, encourage, respect, praise, support the members and grow and develop with them. In line with this,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s required to develop the competence of the members. For the good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managers are required to have excellent leadership and the members are required to have excellence compe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ximize self-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ccording to coaching leadership, to verify the role of self-regulation, and to provide empirical materials that can be actually used in the field of beauty industry,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oaching leadership, self-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For the survey,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practitioners working in beauty salons throughout the count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and the main survey, and 606 answer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centration validity, concept reliability, discriminant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varianc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bootstrap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of coaching leadership, self-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coaching leadership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 such as direction presentation, capacity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self-regulation was composed of two factors such as self-control and self-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was composed of two factors such as creativity and innovative behaviors. Through the concept reliability and AVE value, the significance of the standardized factor load, the concept reliability, the AVE value, and the construct concept was identified, and discriminant validity was check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Second,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 evaluation was an important factor to enhance self-regulation and direction pres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wer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self-control, as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performance evaluation on self-regulation, the effect of direction presentation on self-control, and the effect of performance evaluation on self-control were posi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re was positive effect between self-regulation and innovative behaviors, between self-control and innovative behaviors, between self-regulation and creativity, and between self-control and creativity. In other words, self-regulation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variable because self-regulation and self-control are required to increase innovation behavior and creativity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y gave positive effects on competence development and creativity and other factors did not give positive effects. In other words, the important factor of the coaching leadership to increase creativity was competence development. Fifth,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total effect,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were identified through path analysis and bootstrap. First of all,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was investigated. The indirect medic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ion pres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s, between direction presentation and creativity, between performance evaluation and creativity. I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re was significant indirect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ion pres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s, between direction presentation and creativity, between competence development and innovative behaviors , and performance evaluation and creativity. Although studies on coaching leadership, the ability of individual employe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re consistently made in many fields, they have not been made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such study was made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and it studied future-oriented innovative performance through the aspects of managers and individual members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ence development and innovation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managerial aspects through coaching leadership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achiev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members. 현대의 경쟁 사회에서 조직의 관리자는 구성원과 함께 성장하고 발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인정해주며 격려와 칭찬을 아끼지 않고 지원해 주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발 맞춰 미용서비스업은 조직원의 역량을 높이고, 조직의 성과를 위해서 관리자의 우수한 리더십과 조직원의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 자기조절력, 조직혁신성의 특성을 알아보고 코칭리더십과 자기조절력의 관계, 코칭리더십과 조직혁신성과의 관계, 자기조절력과 조직혁신성의 관계, 코칭리더십과 조직혁신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코칭리더십에 따른 자기조절력과 조직혁신성을 극대화하고 자기조절력의 역할을 검증하여 미용서비스업에서 실용화 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표본조사는 국내 전역의 미용실에서 근무하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이 사용되었고, 사전 조사와 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606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타당도, 개념 신뢰도, 판별타당도, 상관분석, 분산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부트스트랩이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 자기조절력, 조직혁신성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신뢰성과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코칭리더십은 방향제시, 역량개발, 수행평가의 3개의 요인, 자기조절력은 자기통제, 자기관리의 2개의 요인, 조직혁신성은 창의성, 혁신행동의 2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개념 신뢰도와 AVE값에서 표준화 요인부하량, 개념 신뢰도, AVE값, 구성개념의 유의성을 알아보았고 집중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상관분석을 통해서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가설 검증 결과 코칭리더십과의 자기조절력의 영향관계에서 수행평가가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방향제시가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수행평가가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자기관리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행평가가 중요한 요인이고 자기통제를 높이기 위해서는 방향제시와 수행평가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가 있다. 셋째, 자기조절력과 조직혁신성의 영향관계에서는 자기관리와 혁신행동의 영향관계, 자기통제와 혁신행동의 영향관계, 자기관리와 창의성의 영향관계, 자기통제와 창의성의 영향관계 모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혁신성의 혁신행동과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통제와 자기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자기조절력은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가 있다. 넷째, 코칭리더십과 조직혁신성과의 영향관계에서는 역량개발과 창의성의 영향관계에서만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요인들은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코칭리더십의 중요한 요인은 역량개발임을 알 수가 있다. 다섯째, 코칭리더십과 조직혁신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로분석과 부트스트랩을 통해서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알아보았다. 먼저 코칭리더십과 조직혁신성과의 관계에서 자기관리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방향제시와 혁신행동의 관계, 방향제시와 창의성의 관계, 수행평가와 혁신행동의 관계, 수행평가와 창의성의 관계에서의 자기관리의 매개효과는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고, 코칭리더십과 조직혁신성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방향제시와 혁신행동의 관계, 방향제시와 창의성의 관계, 역량개발과 혁신행동의 관계, 수행평가와 혁신행동의 관계, 수행평가와 창의성의 관계에서의 자기통제의 매개효과는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업에서 코칭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개인 능력에 따른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관리적 측면에서 조직구성원의 역량발전과 혁신성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조직구성원의 개인적 측면에서는 리더십과 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미용서비스업의 혁신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성과를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양육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김단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보고되는 어머니의 불안한 심리에 주목하여 놀이중심신념과 양육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 양육불안,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양육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확인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양육불안(부모역할불안,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 유아의 자기조절력(자기통제, 자기점검)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양육불안(부모역할불안,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자기통제, 자기점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자기통제, 자기점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2-2. 어머니의 양육불안(부모역할불안,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자기통제, 자기점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자기통제, 자기점검)의 관계에서 양육불안(부모역할불안,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3-1.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의 자기통제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불안(부모역할불안,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은 조절효과가 있는가? 3-2.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의 자기점검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불안(부모역할불안,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은 조절효과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21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질문지를 사용하여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 양육불안,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에 따라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방법은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은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과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유아의 자기통제, 자기점검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어머니의 부모역할불안과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은 모두 유아의 자기통제, 자기점검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유아의 성별과 맞벌이 가구 여부를 통제했을 때,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은 유아의 자기통제와 자기점검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은 유아의 자기통제와 자기점검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불안은 하위요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조절효과를 보였다. 어머니의 부모역할불안과 교육지원불안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이 유아의 자기통제 및 자기점검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약화된다. 반면,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의 자기통제 및 자기점검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자녀발달불안은 조절효과를 갖지 않았다. 이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양육불안이 유아의 자기통제와 자기점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이 유아의 자기통제와 자기점검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역할불안과 교육지원불안이 조절하는 것을 밝혔다. 부모역할과 교육지원에 대한 불안 정도가 높은 어머니는 놀이중심신념이 높다 하더라도 유아의 자기통제와 자기점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maternal parenting anxiety(anxiety of parents’ role, anxiety of educational support, anxiety of child development)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self-control, self-monitoring), (2) to identify the direct effect of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and maternal parenting anxiety on preschoolers’ self-regulation, and (3)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anxiety on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Participants were 211 mothers of 5-year-old children recruited from Seoul and Kyeonggi Province. Data on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maternal parenting anxiety,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Pearson’s correlation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IBM SPSS software package, version 26.0. The major findings were the following: 1. The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maternal parenting anxiety,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were partially significant.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maternal anxiety of educational support and child development, 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preschoolers’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Also, maternal anxiety of parents’ role, educational support and child development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preschoolers’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2. When holding sex of child and dual-income family, maternal play-oriented belief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reschoolers’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Also, maternal anxiety of education support and child developmen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3. Maternal anxiety of parents’ role and educational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lay-oriented beliefs and preschoolers’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High level of maternal anxiety of parents’ role and educations support diminished the effect of maternal play-oriented beliefs on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However, low levels of maternal anxiety of parents’ role and educational support increased the effect of maternal play-oriented beliefs on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The results show that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and maternal parenting anxiety affect preschoolers’ self-regulation. Furthermore, maternal anxiety of parents’ role and educational suppor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lay-oriented beliefs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maternal parenting anxiety lower the positive effect of maternal play-oriented belief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proper information about play to manage the maternal anxiety of parenting.

      • 유아의 기질 및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안현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에 따른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능력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 하위요인과 자기 조절력 및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수원시내에 위치한 유치원 2곳에서 146명을 대상으로 기질 검사를 하였으며 순한 기질의 유아와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로 분류된 74명을 본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까다로운 유아 36명, 순한 기질의 유아 38명에게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능력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기질에 따른 자기 조절력 및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 기질의 하위요인과 자기조절력 및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에 따른 자기조절력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순한 기질의 유아들이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들보다 전체 자기 조절력 평균이 높았다. 자기조절력 하위 영역별로 까다로운 유아들과 순한 유아들을 비교해 본 결과, 순한 기질의 유아가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보다 자기조절력 하위요인인 자기 통제력, 충동성억제, 주의집중력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기질에 따라 사회적 능력에는 차이가 있었다.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들보다 순한 기질의 유아들에게서 사회적 능력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의 하위 요인 중 책임수행능력, 대인관계, 인성에 대해 두 기질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보다 순한 기질의 유아들의 평균이 높았다. 셋째, 유아의 기질 하위요인과 자기조절력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기질의 하위요인과 자기조절력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질의 하위 요인인 리듬성은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충동성억제와 주의집중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은 자기통제와 충동성 억제와 주의집중력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성 역시 자기통제, 충동성 억제 주의집중력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반응강도의 경우 자기 조절력의 모든 요인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분은 충동성 억제와 주의집중력과 상관이 있었다. 넷째, 유아의 기질 하위요인과 사회적 능력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기질의 하위 요인인 리듬성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인 책임수행, 대인관계, 인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와 인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적응성은 책임수행, 대인관계, 인성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반응강도의 경우 자기조절력의 모든 하위요인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이는 반응강도가 낮을수록 사회적 능력이 높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한편 기분은 책임수행, 대인관계, 인성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