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송현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regulation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chool happiness.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regulation ability and school happiness? Second, In the relationship of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chool happiness, is the self-regulation ability the mediation effects? To verify these research questions, 571 students in grades 5 and 6 at elementary school in D metro city were surveyed by self-report instrument and 489 instruments were analysed as the research data. The early adolescence's school happiness was measured through the test developed by Kim Jong-baek, Kim Tea-eun(2008). Social support was measured through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by Nolten(1994) and translated by Hong Jung-eun(2006). Self-regulation ability was measured through by Miller(2000) and revised by Heo Jung-gyeong(2003). The result summar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subjects for this study show high perception of school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In addition to students having a high self-regulation ability.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self-regulation ability.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 school happiness. It also,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ion ability and school happiness as well. Third, self-regulation ability has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school happiness. This research implications in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show high correlations on school happiness. Especially social support of teachers is highly correlated on school happiness than others. In other words teachers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enough positive support. And teachers should stress the need of positive support to the students' parents and friends and encourage the students' parents and friends to support their children or friends. Second,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is highly correlated on school happiness. And motivation factors is the highest correlation on school happiness. Therefor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ability improvement program is demanded for students' school happines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학교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능력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이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조절능력, 학교행복은 어떠한 상관이 있는가? 둘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학교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조절능력이 매개하는가? 이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D광역시 2개 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57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489부를 연구결과 분석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학교행복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종백과 김태은(2008)이 초기 청소년의 학교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보고식 검사를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Nolten(1994)의 Student Social Support Scale을 이미라(2000)가 번안한 “학생 사회 지지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한 홍정은(2006)의 것을 사용하였다. 자기조절능력은 Miller(2000)가 아동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학업과 사회적 상황 간의 구성을 바탕으로 기억, 지식, 정보의 부호화와 해석, 능력에 대한 신뢰, 과거 경험과의 연계, 목표조정, 충동성, 또래 압력, 스트레스, 감정의 10개 하위 요인으로 추출한 것을 허정경(2003)이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개발과 관련변인연구를 통해 개발한 자기조절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 자기조절능력과 각 하위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값을 구하였으며, 둘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 자기조절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 사이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간접효과의 유의도는 Sobel's test로 검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주요변인의 기술통계값을 살펴본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전반적으로 학교생활을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부모, 교사, 친구들로부터 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기조절능력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 및 자기조절능력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는 모두 학교행복의 하위요인인 친구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즐거움, 자기효능감, 환경만족, 심리적 안정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초등학생의 학교행복과 상관이 높은 사회적 지지원은 교사지지, 친구지지, 부모지지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자기조절능력 사이의 관계 역시 모든 하위요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의 순으로 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능력과 학교행복도 모든 하위요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학교행복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동기적, 인지적, 행동적 요인 순으로 학교행복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 사이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 사이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사이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중 부모지지와 학교행복 사이의 관계에서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자기조절능력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사지지와 학교행복 사이에서도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의 모든 하위요인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고, 친구지지와 학교행복 사이의 관계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요인은 학교행복과 상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생의 학교행복에 가장 높은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에게 긍정적 지지를 많이 주어야 하고, 부모와 친구로 하여금 긍정적 지지의 필요성을 알리고 실천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행복과 상관이 높으며 그 중 동기적 요인이 가장 상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한다면 학생들이 보다 행복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교행복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되는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개인 내적 요인인 자기조절능력을 중요한 요인으로 선택하여 사회적 지지와 자기조절능력, 학교행복 사이의 상관 분 아니라 자기조절능력이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 사이의 관계에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회적 지지는 직접적으로도 학교행복에 영향을 미치고, 자기조절능력을 증진시켜줌으로써 학생의 학교행복을 높여주는 간접적인 요인도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에게는 사회적 지지와 더불어 자신의 행동이나 욕구를 조절하여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훈련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그들의 행복한 학교생활에 기여하리라 예상된다.

      •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음악과 기악활동 수업전략 및 포트폴리오 평가도구 개발

        안은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음악과 기악활동의 수업전략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실질적인 자기조절학습역량 계발에 효과적인 포트폴리오 평가도구를 제시한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 고찰, 자기조절학습에 관한 문헌연구, 음악교과에서의 자기조절학습 및 포트폴리오 수업과의 연계에 대한 고찰 등을 포함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악활동을 중심으로 음악교과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방안을 분석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전략을 상위인지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기악 실기수업에 활용 가능한 포트폴리오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평가도구의 절차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포트폴리오 평가내용 및 도구를 개발하고 이어서 포트폴리오 정리 및 자기조절학습능력 평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 개개인의 음악적 능력과 발달단계에 적합한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일반적인 교사평가뿐만 아니라 학생의 자기평가, 동료평가, 학부모 평가 등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반성적 사고와 주체로서의 역할을 강화시킨다. 또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학생은 학습 과정을 검토하고 조절하는 시간을 가지며 인지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 등 다양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처럼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의 음악적 발전과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수업방안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음악교과 기악활동의 학습에 있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실질적인 학습 역량 계발과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도구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김혜원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ABSTRACT A Study on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of 5 years old according to Mot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KIM, HYE WON Major in Child Psycho Therapy Department of Play · Family Therapy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a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and the effect of mot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on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ether environmental factors make any difference when mot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ffects a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reported by its mother? 2. whether environmental factors make any difference to a mot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3. what categories of a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are affected by its mot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children who attend four nurseries located in Seoul and a kindergarten in children's library in Kang-suh district and their mothers. To measure parents’ emotion regulation ability in this study, 27 questions of Emotion Regulation Scale (ERS) by Gurovich (1999), which were translated and modified by Lim, Hee Sue (2001), was used. To evaluate a child’s self-regulationl ability recognized by its mother, Self-regulation ability measurement developed by Lee, Jung Ran (2003) was used. To estimate a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recognized by the child itself, total 17 questions were made of thirteen questions from Choi, Soon Ok's study (1998) for evaluating a child's self-regulation, and four appropriate and applicable questions for children from the general vocational aptitude test developed by a research instituti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SPSS 15.0 statistic program to affirm the difference of self-regulationl ability among children's gender, and T verification was conducted for the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based on the report from mother and report from the children themselve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mother's variables of her background, firstly I put mother's age, and academic background as independent variable and mot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s dependent variable for Analysis of Variance (ANOVA) test which is followed by Duncan's test for posttest. Furthermore, another T verification was conducted by asking whether a mother has a job or not for independent variables accompanied with mot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s a dependent variabl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factor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mothers' report of their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based on their gender, girls' average point of overall self-regulation ability in all sub-categories was higher than boys’ except self-evaluation in calculating points of overall self-regulation ability as well as its subcategory: self-evaluation, self-determination, behavior control and sentiment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girls and boys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Second, Children aged five years showed low self-regulation abilities, where they need to control their emotions, when they get angry or get teased. On the other hand, children aged five years showed high self-regulation ability, only where they received education by fosterers or in nurseries or kindergartens, when they want to eat much for oneself, and when they saw other child who is playing alone. Third, it is appeared that the difference of mot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mothers’ age is not very meaningful with the statistics. Fourth, regarding mother's inward-oriented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e difference of mot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mothers' academic background is statistically important. It showed the group with higher education presented high level of expressive emotion regulation ability. Moreover, mothers who graduated from college or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showed high level of inward-oriented emotion regulation ability compare to the mothers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Fifth, for the difference of mot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based on the fact, whether a mother has a job or not, it is appeared that working mothers have the higher level of compensatory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an non-working mothers. sixth,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a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a mother's emotionally-overwhelmed emotion regulation ability constitut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others’ impulsive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suppressive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represent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ntiment and overall self-regulation ability in her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Moreover, a mother's impulsive emotion regulation ability display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r child's sentiment, and a mother's suppressive emotion regulation abil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ub-categories of the mother's other emotion regulation abilities or of the child's self-regulation. A mother's compensatory emotion regulation ability was appear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child's expressive and inward-oriented self evaluation, self-determination and overall self-regulation ability. A mother's expressive emotion control abilit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mother's inward-oriented emotion regulation ability while A mother's inward-oriented emotion regulation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mother's compensatory and expressive emotion regulation.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came out. A child's self-evaluation represent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ts mother's compensatory emotion regulation ability, its self-determination, behavior control, sentiment and overall self-regulation ability, and a child's self-determination signifie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its mother's compensatory emotion regulation, the child's self-evaluation, behavior-control, sentiments and overall self-regulation ability. A child's behavior control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self-evaluation, self-determination, sentiment and overall self-regulation ability. A child's sentiment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hild's self-evaluation, self-determination, behavior control, and overall self-regulation ability, but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ts mother's emotionally-overwhelmed and impulsive emotion regulation ability. Lastly, another meaningful statistics I found is that child's overall self-regulation ability constitute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ts mother's compensatory self-regulation ability, the child's self-evaluation, self-determination, and was fou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ther's emotionally-overwhelmed emotion regulation ability.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와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환경요인에 따라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이 어머니 보고에 의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 환경요인에 따라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이 어떤 항목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한 4개의 어린이집과 강서구 지역 구립 어린이 도서관에 있는 만 5세이상 유치원을 다니고 있는 유아와 그의 어머니이다. 본 연구에서 부모의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어머니의 정서조절 척도는 Gurovich(1999)의 ERS(Emotion Regulation Scale)를 임희수(2001)가 번안, 수정한 27문항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정란(2003)이 개발한 자기조절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가 지각한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순옥(1998)의 연구에서 사용된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한 13문항과 서울대 연구소(1995)에서 개발한 종합적성 진로 검사 중 자기조절능력 평가를 위해 만들어진 문항에서 유아에게 적합한 4문항 총 17문항을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아의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능력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어머니가 보고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아 자신이 보고한 자기조절능력으로 나누어서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 스스로가 보고한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문항별 반응의 빈도 및 백분율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라 정서조절능력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어머니의 연령, 학력은 각각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을 종속변인으로 한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고, 사후분석으로 Duncan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직업유무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을 종속변인으로 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관심을 가진 주요변인들간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보고한 유아의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능력에서는 전체 자기조절능력 점수 및 하위영역인 자기평가, 자기결정, 행동억제, 정서성에 있어서 남아에 비해 여아의 자기평가를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들과 전체 자기통제능력 평균점수가 높았지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둘째, 화가 났을 때와 놀림을 당할 때처럼 감정을 다스려야 하는 자기조절능력 부분에서 만 5세 유아는 자기조절능력이 낮게 나왔으며, 혼자 많이 먹고 싶을 때나 혼자 놀고 있는 친구를 봤을 때에처럼 양육자의 교육이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 교육을 받은 자기조절능력 부분에서 만 5세 유아는 높은 점수가 나왔다. 셋째, 어머니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의 차이에서는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의 차이에서는 내면지향적인 정서조절능력에 있어서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미가 있었다. 학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표현적인 정서조절능력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고, 고졸이하의 학력인 어머니에 비해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인 어머니의 내면지향적인 정서조절능력 수준이 더 높았다. 다섯째, 어머니의 직업의 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의 차이에서는 직업이 없는 어머니에 비해 직업을 가진 어머니가 보상적 정서조절능력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과 아동의 자기통제능력간의 관계에서는 어머니의 감정압도적인 정서조절능력은 어머니의 충동적 정서조절능력, 억제적 정서조절능력과는 정적상관관계를 이루었고,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중 정서성, 전체 자기조절능력과는 부적상관이 이루어져 유의미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충동적 정서조절능력은 유아의 정서성과 부적상관을 보였고, 어머니의 억제적 정서조절능력은 어머니의 다른 정서조절능력이나 유아의 자기통제력의 하위영역들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의 보상적 정서조절능력은 표현적, 내면지향적, 유아의 자기평가, 유아의 자기결정, 전체 자기조절능력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표현적 정서조절능력은 어머니의 내면지향적 정저조절능력과의 정적상관 관계가 있다. 어머니의 내면지향적 정서조절능력은 어머니의 보상적, 표현적 정서조절능력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유아의 자기평가는 어머니의 보상적 정서조절능력, 유아의 가지결정, 행동억제, 정서성, 전체 자기조절능력과 정적 상관으로 유의미하며, 유아의 자기결정은 어머니의 보상적 정서조절능력, 유아의 자기평가, 행동억제, 정서성, 전체 자기조절능력과 정적 상관으로 유의미 하였다. 유아의 행동억제는 유아의 자기평가, 자기결정, 정서성, 전체 자기조절능력과 정적상관을 이루고 있으며, 유아의 정서성에서는 유아의 자기평가, 자기결정, 행동억제, 전체 자기조절능력과 정적상관을 어머니의 감정압도적, 충동적 정서조절능력과 부적 상관으로 유의미 하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전체 자기조절능력은 어머니의 보상적 자기조절능력, 유아의 자기평가, 자기결정, 행동억제, 정서성과 정적 상관을 이루고 있으며, 어머니의 감정압도적 정서조절능력과 부적 상관으로 유의미함을 보였다.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선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유아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양육태도, 양육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출생순위)에 따른 자기조절능력, 유아문제행동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아문제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문제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4,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368명이며, 2017년 12월 26일부터 2018년 2월 2일 사이에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원영(1993)이 Schaefer(1959)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번안·수정한 질문지를 배문주(2005)가 수정·보완하여 구성한 도구를 ‘아버지’에서 ‘어머니’로 주요 용어를 변경한 후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Meunier와 Roskam(2009)의 Echelle Glob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EGSCP)를 우리나라 부모를 대상으로 타당화한 한국판 양육 효능감 척도(K-EGSCP)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이정란(2003)이 개발한 부모용 유아기 자기조절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문제행동은 Behar와 Stringfield(1974)가 작성한 The Preschooler Behavior Questionnaire(PBQ)를 번안하여 사용한 김자숙(2000)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태도,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조절능력, 유아문제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é방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유아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을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직업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조절능력과 유아문제행동을 살펴본 결과, 자기조절능력은 성별과 출생순위에서, 유아문제행동은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유아문제행동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유아문제행동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모두 유아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어머니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보다 유아문제행동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 중에는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정서성이 유의미하게 나타난 다른 하위요인인 거부적 태도와 자기평가, 행동억제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유아문제행동과 관련하여 각 부분적으로 연구되던 요인들을 종합하여서 어머니 요인과 유아 요인들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분석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본 연구가 가정과 그와 연계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문제행동을 높이는 요인을 예방하고 나아가 올바른 양육태도와 높은 양육효능감을 형성하여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발달과 문제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교육과 프로그램 계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other Parenting Attitude, Parent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mother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according to their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ages, education background, occupation)?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ir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ages, birth order)?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of mother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efficacy with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problem behavior? Fourth, what is the effect of mother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Fifth, what is the relative effect of mother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were young children at the age of 3,4, and 5 who go to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daycare centers, kindergarten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area, with their 368 mothers.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conducted between December 26th, 2017 and February 2th, 2018. In order to examine the mother parenting attitude, the research tool used the tool of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that Schaefer(1959) developed, which Lee, Won-young(1993) adapted and Bae, Moon-ju(2005) It changed the terms from father to mother. To measure parenting efficacy, Meunier and Roskman(2009)’s Echelle Globale du Competence Parentals(EGSCP), translated by Sung, Ji-Hyun and Baek, Jee-Hee(2011), was used. To measur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self-control ability measurement tool made by Lee, Jeong-ran(2003), was used. To measure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PBQ(The Preschooler Behavior Questionnaire) developed by Behar & Stringfield(1974), translated by Kim, Ja-Sook(2000), was used. The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was analyzed by using SPSS 22.0 Program. First,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é posterior test were carried out to test differences in the mother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according to their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is th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ir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efficacy with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problem behavior,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hir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other parenting attitude, parent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correlated difference of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according to their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her's ages and education background, occupation showed statistically correlated differences. Second,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correlated differences of self-regulation ability and problem behavior of children's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nd birth order in their self-regulation ability, gender in their problem behavior showed statistically correlated differences. Third,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efficacy with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problem behavio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of them. Fourth,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effect of mother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showed statistically effected all of them. Especially,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relative effectual than rejection attitude in mother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efficacy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and effect between mother factors and young children factors by integrating factors that have been partially studied in relation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in precedent research. This study is a basic data of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that positively affects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by preventing factors that raise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in home and related childhood education fields, and also forming correct parenting attitude and high parenting efficacy that is hoped to be utilized.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조절능력과 또래관계와의 관계

        진문주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청소년기로 접어드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조절능력과 또래관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의 마산, 창원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50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를 활용하여 t검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조절능력, 또래관계를 조사한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고, 자기조절능력이 높으며, 또래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조절능력, 또래관계의 변인들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애정-적대적, 합리-비합리 양육태도는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관계와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가져, 부모로부터 애정적이고 합리적인 양육을 받는 아동이 주의성과 침착성, 집중성, 규범성, 대인관계에서의 자기조절능력이 높고, 또래관계가 원만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기조절능력은 또래관계와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가져, 자기조절능력이 뛰어난 아동이 또래관계가 원만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또래관계에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조절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능력이 부모양육태도에 비해 또래관계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이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에 비해 또래관계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 중 침착성과 대인관계가 좋을수록 또래관계가 더 원만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부-모 커뮤니케이션에 따른 자기조절 학습능력 관계

        이정화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에서는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여 가정과 학교에서 학생들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예술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84명의 무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 조사에 의한 설문법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따라서 그 응답결과를 통계적인 검증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부-모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및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차이에서 부분적으로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부-모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은 부-모 개방적 의사소통 요인에서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부-모 역기능적 의사소통 요인에서는 정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조절요인, 동기조절요인, 행동조절요인 모두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부-모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은 부-모 개방적 의사소통 요인에서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부-모 역기능적 의사소통 요인에서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조절요인, 동기조절요인, 행동조절요인 모두 정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공에 따른 부-모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은 부-모 개방적 의사소통 요인, 부-모 역기능적 의사소통 요인에서는 정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조절요인, 동기조절요인, 행동조절요인 모두 정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부-모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은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조절에서 부-모 개방적 의사소통 요인에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부-모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은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동기조절에서 부-모 개방적 의사소통 요인에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부-모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은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행동조절에서 부-모 개방적 의사소통 요인에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으로 미루어 볼 때, 부-모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은 자기조절 학습과 관계가 있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 고등학생들과는 달리 자신의 진로의 방향을 먼저 확정지어 정해진 목표를 위해 실기를 병행하며 공부하는 무용전공 학생들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노력을 부-모가 함께 해주어야 할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communication pattern of th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ffects to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with a dance major in Art high school and to suggest the proper communication pattern between the students with a dance major and their parents. For this research, analyzing the all answers from 248 students with a dance major in Art high school in seoul and kyeng gi do were used. Th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s for this subjects of investigation was 23 male students(9.3%) and 225 female students(90.7%). In this research, communication pattern of parents-children and self-control learning ability were used for testing by self-report question which was already existing tool of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est,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using a data processing program called SPSS18.0 According to these methods, there are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pattern and the self control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with a dance major in Art high school. Second,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pattern and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only closely related to each grade students with a dance major in Art high school. but there was no relation to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rd,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pattern and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not related to the students with a dance major in Art high school. Fourth, the students with a dance major in Art school and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pattern were closely related to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conclusion, finally confirmed that having a communication with parents closely affects to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동기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자기조절학습을 매개변수로)

        주민경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중 공업계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동기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 설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둘째, 자기결정성동기는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셋째,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동기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이러한 세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역은 수도권인 서울, 경기, 인천으로 정하여 공업계열의 특성화고등학교 5개교를 지정하여 1, 2, 3학년을 대상으로 총 5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검사를 진행했으며, 무성의한 답변을 제외하고 총 414개의 자료를 얻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다.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동기, 학습 만족도,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여 각 문항의 예측가능성, 정확성 등을 살펴보았다. 그 후,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동기, 학습만족도, 자기조절학습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동기, 학습만족도, 자기조절학습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특히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 요인 중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과제난이도는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했다. 둘째, 자기결정성동기는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자기결정성동기의 하위요인 중 외재적 원인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부과된 원인, 확인된 원인, 내재적 원인은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동기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매개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은 세가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첫째,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이 높을수록 온라인 수업 만족도가 높아지므로 교사는 학생에게 적절한 난이도의 도전적인 과제를 제공하여 성공 경험을 만들어주고, 학생에게 노력을 통해 성과를 이뤄냈음을 일깨워주어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충족된 환경을 만들어 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높여 온라인 수업에 대해 자기주도적인 학습 참여를 도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 통해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동기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이 그에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online class satisfaction among industrial-field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below. First, how does self-efficacy affect online class satisfaction? Second, how doe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ffect online class satisfaction? Third, when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ffect online class satisfaction, doe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lay a mediating role? Th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se three research questions. The surveyed region was the Seoul Capital Area, comprised of Seoul, Incheon and the Gyeonggi province, and 5 industrial-field specialized high schools there located were designated to conduct a self-report survey on a total of 500 students in the 1st, 2nd and 3rd grades and a total of 414 valid answer sheets were obtained, excluding invalid on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WIN 25.0 and the procedure of analysis is as described below.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were confirm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predictability and accuracy of each question on academic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fter tha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Next,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caus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irst, academic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nline class satisfaction. In particular, among the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nline class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ask difficulty had no particular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Seco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nline class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xtrinsic caus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nline class satisfaction, but imposed causes, confirmed causes, and intrinsic causes had no particular effect. Third, when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did affect online class satisfac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layed a mediating role.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inferred. Firs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so the teacher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challenging tasks of appropriate difficulty to create a successful experience and to remind students that they have achieved results through effort, so as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rections for stud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by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are satisfi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to help them participate in self-directed learning in online classes, thu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online class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how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industrial-field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ffected online class satisfaction an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did play a mediating role.

      •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종이접기 미술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조세진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aper-folding activity program to enhanc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program. It is the program connected with life theme at the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has its significance in providing the basic data about th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rom ‘S’ kindergarten in Gwangju Province, 76 5-year-old children (33 boys and 43 girls) were chosen as experimental group (for the paper-folding activity program) and comparative group (for the life theme ac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aper-folding activity was consisted of 38 children (17 boys and 21 girls) and the comparative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life theme activity was consisted of 38 children (16 boys and 22 girls). To check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Self-Control Rating Scale: SCRS (Kendal & Wilcox, 1969) complemented by Lee Soon-Kyu(1995) and Kim Ji-Ah(2002) was used. The results of preliminary inspection and post-inspection from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was implemented through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18.0 program. To find out whether the sex affects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data of preliminary inspection and post-inspection from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aper-folding activity was proved by two-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it is appeared that the self-regulation of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aper-folding activity program is statistically much higher than of comparative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life theme activity. The subordinate scope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 self-control, reducing impulsiveness, and concentration - were appeared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aper-folding activity tha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it is appeared that the effects of the paper-folding activity program affect positively more to the girls’ self-regulation than to the boy’s. Regarding the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sex, the paper-folding art activity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impulsiveness but not in self-control and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aper-folding activity program is effective in enhancing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Therefore, the paper-folding activity program can be a good alternative for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t childhood education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