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의 자기분화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족결속력·적응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만정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부모의 자기분화, 가족결속력·적응력과 유아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밝히고, 부모의 자기분화와 유아 문제행동 관계에서 가족결속력·적응력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기분화 영향 정도의 차이성을 검증하여 유아의 더욱 바람직한 부모 역할과 가정환경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자 매칭 샘플을 채취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가족 단위로 설문지를 세트로 나누어 중국 서남지역 903명의 3세에서 6세 사이의 부모 가정에 대해 측정한 결과 882개의 유효한 설문지가 나왔다. 이를 위해 통계패키지 SPSS 25.0과 AMOS 25.0과 Excel 201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자기분화는 가족결속력·적응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어머니의 자기분화는 가족결속력·적응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아버지의 자기분화는 유아 문제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어머니의 자기분화는 유아 문제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가족결속력·적응력은 유아 문제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가족결속력·적응력은 아버지의 자기분화와 유아 문제행동 간에서 유의한 매개역할을 한다. 일곱째, 가족결속력·적응력은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유아 문제행동 간에서 유의한 매개역할을 한다. 여덟째, 아버지의 자기분화가 가족결속력·적응력에 미치는 영향과 어머니의 자기분화가 가족결속력·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고 아버지의 영향은 더 크다. 아홉째, 아버지의 자기분화가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어머니의 자기분화가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아버지의 영향은 더 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국 서남지역의 아버지 자기분화가 가족결속력·적응력과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어머니의 자기분화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아버지의 영향이 더 크다는 점을 밝혔다는 것이다. 이는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아버지와 어머니가 유아의 발달에 차원이 다른 영향을 미치며, 자기분화와 가족기능에 문화적 차이성과 적응성, 그리고 문화 간 검증의 중요성을 검증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의 중요한 시사점은 유아 문제만 처리하고 가족체계에 개입하지 않는 상담에는 한계가 있고 부모의 심리적 증상에 대한 개입도 필요하며 가족체계와 개인의 상호작용도 볼 필요가 있으므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자녀 발달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개발과 학부모 교육을 할 때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함께 아버지와 어머니의 차이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self-differentiation, family cohension & adaptability, and behavioral problems in young childre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hension &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elf-differentiation and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and to test the variability in the degree of influence of father's and mother's self-differentiation in an attempt to reveal more desirable parental roles and family environments for young children. To this end, this study used a parent-child paired sample collection method, subsetting the questionnaire by family unit, and measured 903 parents and children aged 3-6 years in the Southwest China, obtaining 882 vali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25.0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MOS 24.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validation, and Excel 2010 for Z-tes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ather's self-differenti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amily cohension & adaptability. 2) Mother's self-differenti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amily cohension & adaptability. 3) Father's self-differenti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problems in young children. 4) Mother's self-differenti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problems in young children. 5) Family cohension & adaptabil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6) Family cohension & adaptability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7) Family cohension & adaptability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8)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 of father's self-differentiation on family cohension & adaptability and the effect of mother self-differentiation on family cohension & adaptability, and the father's effect was greater. 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 of father's self-differentiation on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and the effect of mother self-differentiation on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and the father's effect was great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effects of father's self-differentiation on family cohension & adaptability and toddler problem behavior in Southwest China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ffects of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fathers' effects was greater. This implies that fathers and mothers have different degrees of influence on children's development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s, validating the importance that self-differentiation and family functioning are culturally distinct and adaptive, as well as cross-culturally tested. An important implication of the findings is that counseling that only addresses child symptoms without intervening in the family system has limitations and also requires interventions for parental psychological symptoms, as well as the need to se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amily system and the individual.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refore need to consider the differences between fathers and mothers in the context of different cultures when developing programs to support children's development and when conducting parent education.

      • 여대생의 자기주도성이 회복탄력성 및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신정민 동덕여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취업과 관련된 진로 문제는 대학생들에게 제일 큰 고민이자 스트레스이다. 이러한 문제들과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결과 불확실한 미래와 어려운 취업상황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역경을 남학생보다 여대생이 더 민감하게 느끼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능력도 여대생이 더 낮다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자기주도성, 회복탄력성, 진로탄력성이 이러한 진로고민과 역경,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대생에 초점을 맞춘 자기주도성, 회복탄력성, 진로탄력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성이 회복탄력성 및 진로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자기주도성, 회복탄력성, 진로탄력성의 상관관계가 어떠한가? 둘째, 여대생의 자기주도성은 회복탄력성 및 진로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287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9일부터 3월 25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정은이(2018)가 개발한 ‘대학생 자기주도성 척도’, 신우열 외(2009)가 개발한 청소년용 회복탄력성 척도인 YKRQ-27, 조아미 외(2019)가 개발한 대학생 진로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통계 방법은 Pearson의 상관분석,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성, 회복탄력성, 진로탄력성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진다. 둘째, 자기주도성은 회복탄력성과 진로탄력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과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인 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성의 목표지향성은 회복탄력성의 원인분석력과 충동통제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의 독창성은 회복탄력성의 커뮤니케이션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의 책임감은 회복탄력성의 관계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의 개방성은 회복탄력성의 감사하기, 관계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의 자율성은 회복탄력성의 원인분석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의 자기확신은 회복탄력성의 감사하기, 생활만족도, 낙관성, 커뮤니케이션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의 도전정신은 회복탄력성의 원인분석력, 감정통제력, 충동통제력, 생활만족도, 낙관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의 독창성은 회복탄력성에 감사하기에 부적영향을 미쳤고, 자기주도성의 목표지향성과 독창성은 회복탄력성의 관계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과 진로탄력성의 구성요인 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목표지향성은 진로탄력성의 미래지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의 독창성은 진로탄력성의 창의성, 유연성, 미래지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의 책임감은 진로탄력성의 유연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의 자율성은 진로탄력성의 도전정신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의 자기확신은 진로탄력성의 창의성, 유연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의 도전정신은 진로탄력성의 창의성, 유연성, 도전정신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성의 목표지향성은 진로탄력성의 창의성과 유연성에 부적영향을 미쳤고, 자기주도성의 책임감은 진로탄력성의 도전정신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기주도성의 구성요인인 도전정신은 회복탄력성과 진로탄력성의 구성요인에 가장 많은 정적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주도성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 및 진로탄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여대생의 자기주도성은 회복탄력성과 진로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불확실한 미래와 어려운 취업상황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역경을 남학생보다 여대생이 더 민감하게 느끼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능력도 여대생이 더 낮다는(김수복, 2016; 배혜련, 2012; 장이슬, 송병국, 2015)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자기주도성, 회복탄력성, 진로탄력성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변인으로 여대생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부족하다는 실정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여 성향 및 성격으로써의 독립변인인 자기주도성, 회복탄력성, 진로탄력성의 관계를 밝혔다. 또한, 여대생의 자기주도성은 회복탄력성과 진로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한 것을 넘어 구체적으로 회복탄력성과 진로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주도성의 구성요인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여대생의 진로고민 및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자기주도성, 회복탄력성, 진로탄력성을 효율적으로 개발 및 증진하기 위해서는 도전정신에 초점을 맞춘 자기주도성 개발 및 증진을 목적으로 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향후 도전정신에 초점을 맞춘 자기주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자기주도성, 회복탄력성, 진로탄력성이 진로고민 및 스트레스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Some of the biggest concern and stress for university students are career problems related to finding employment. After studying various prior researches related to these issues, it was discovered that female university students are more sensitive to stress and adversity caused by the uncertain future and difficult employment situations than male students, and their ability to overcome the situations are lower than that of male counterparts as well. It was also found that Proactive Personality,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are the important variables to overcome the concern, adversity, and stress in choosing a care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mpa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how does the Proactive Personal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ffect the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9 to March 25, 2021. The target audiences for the survey were 287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at were attending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The tools used in this research are "The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ness scale" developed by Jeong Euni(2018), the "YKRQ-27" developed by Shin Woo-yeol(2009), and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Cho A-mi(2019). The data amassed for this research were analysed with SPSS 20.0, and statistical methods used ar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ppear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Second, Proactive Person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ffects that the components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upon the components of Resilience, the followings were revealed. Goal Orientation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ause Analysis and Impulse Control of Resilience. Originality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Skill of Resilience. Responsibility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Resilience. Open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Appreciation and Relationship of Resilience. Autonomy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ause Analysis of Resilience. Self Conviction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Appreciation, Life Satisfaction, Optimism, and Communication Skill of Resilience. Challenge Spirit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ause Analysis, Emotion Control, Impulse Control,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m of Resilience. Originality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Appreciation of Resilience, and Goal Orientation and Originality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Relationship of Resilience.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ffects that the components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upon the components of Career Resilience, the followings were revealed. Goal Orientation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Future Orientation of Career Resilience. Originality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Flexibility, and Future Orientation of Career Resilience. Responsibility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Flexibility of Career Resilience. Autonomy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hallenge Spirit of Career Resilience. Self Conviction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and Flexibility of Career Resilience. Challenge Spirit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Flexibility and Challenge Spirit of Career Resilience. Goal Orientation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Creativity and Flexibility of Career Resilience, and Responsibility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Challenge Spirit of Career Resilience. In particular, Challenge Spirit, a component of Proactive Personality, had the largest amount of positive effect on the components of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Proactive Personality is, the higher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get, and that Proactive Personal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ha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Exploring the prior researches, this research figured out the issue that female university students are more sensitive to stress and adversity caused by uncertain future and the difficult employment situation, and are less capable of handling the matter than the male counterparts (Kim, Su bok, 2016; Bae, Hye Ryun, 2012; Jang Yi Seul, Song Byeong-kug, 2015). Based on this, the relationship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Proactive Personality,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which are tendencies and personalitie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reveal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meaningful not only because it proved that Proactive Personalit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increasing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but also because it discovered the exact components of Proactive Personality that have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According to these results, in order to develop and increase Proactive Personality,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that can help overcome career problems and stres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t is suggested that developing and increasing Proactive Personality by focusing on Challenge Spirit should be the goa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nd suggestions, a concrete design of a program that can enhance Proactive Personality, focusing on Challenge Spirit should be developed subsequently, and follow-up researches are needed to figure out what moderating effects Proactive Personality,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have on the career concern and stress.

      •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지수가 정서, 동기, 학습행동전략에 미치는 영향

        서하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이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이 정서, 동기, 학습행동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분석 이후 인문, 자연계열별 차이를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계열이 다른 대학생들의 학습 상담에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하는 기회로 삼아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하였다. 연구 도구는 대학에서 실시한 학습전략 검사 중 연구를 위해 필요한 정서, 동기, 학습행동전략에 대한 항목의 결과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자기주도 학습지수는 검사지의 보충척도인 자기주도 학습지수 척도를 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고른기회전형으로 입학한 대학 재학생 1,317명 중 검사에 응답한 110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성별, 학년별, 계열별에 따른 정서, 동기, 학습행동전략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동기 중 회피동기에 대해 학년별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1학년일 경우 평균 55.53(SD=12.959)으로 회피동기가 다른 학년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1학년의 경우 고교 시절 수동적 학습 습관에서 벗어나 대학의 주도적 학습 습관을 설정하는 데 있어 학업 성취에 대해 회피성향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자기주도 학습지수가 정서, 동기, 학습행동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기주도 학습지수는 정서 중 우울에 부의상관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기에는 학습동기, 회피동기, 경쟁동기의 세 가지 하위 변인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주도 학습지수는 학습행동전략 중 수업듣기, 집중전략, 노트필기, 시험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에서도 노트필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통해 자기주도 학습이 잘 수행되는 학생의 경우 자신만의 언어로 학습 인지가 이루어지며 노트필기에 대한 활용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의 분석 결과가 계열별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위집단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정서는 인문 계열에서만 자기주도 학습이 잘 이루어질수록 불안정서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기에서는 인문과 자연계열 모두 학습동기에 정적 상관을 회피 동기에 부의상관을 보였는데, 차이점은 인문 계열에서는 자기주도 학습이 학습동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자연 계열은 회피동기에 통계적으로 가장 큰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주도 학습지수가 학습행동전략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문계열은 노트필기, 시험전략, 수업듣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연 계열은 노트필기만이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공통적으로 인문, 자연 모두 자기주도 학습이 잘 이루어질수록 노트필기에 대한 전략을 잘 활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당 결과를 통해 전공 계열별 특성이 다른 학생들을 이해하고 학습문제에 맞는 보완 자료를 제공하여 학업성취의 향상과 함께 진로지도 방안을 고려해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how self-directed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the impact of emotion, motivation, and learning behavioral strategy, and then tri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majors. Through this study tried to make an opportunity to approach university students with different majors from the various perspectives and broaden our understanding for them. Also, through this study wanted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As measurement tools study drew and used the results of the emotion, motivation, and learning behavioral strategy necessary for research among the learning strategy tests conducted at the university. As the self-directed learning index, study used the self-directed learning index scale, which is a supplementary measure of the test paper, as a variable.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110 people who responded to the test among 1,317 people who were admitted through the Equal Opportunity Selection. The study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 i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gender, school-year, emotion, motivation, and learning behavioral strategy by majors. I was able to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y school-year for avoidance motivation among motivations. In the case of freshman, I was able to find that the avoidance motiv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chool-years with an average of 55.53(standard deviation=12.959). Through this study found, in the case of freshman, that avoidance tendencies toward academic achievement appear in setting up self-led learning habits in university away from passive learning habits in high school. Second, I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index on emotion, motivation, and learning behavioral strategy. Through this study was able to find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index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mong learning emotions. Also, study was able to find that motivation affects all three sub-variables: learning motivation, avoidance motivation, and competitive motivation. Third, study was able to find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index had an effect on class listening, concentration strategy, note taking, and test strategy among learning behavioral strategies. Among them, it has the greatest effect on note-taking, and through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who perform well in self-directed learning are recognized for learning in their own languages and have high usage for note-taking. Finally,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n sub-groups to find out whether the above analysis results show differences by majors. Through this, in the case of emotion, study was able to find that the more they conducted self-directed learning, the lower the instability went down, only in the humanities. In terms of motivation, both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motiv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to avoidance motivation. The difference was that self-directed learning had the greatest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in the humanities, whereas the natural sciences had the greatest statistical effect on avoidance motivation. Finally, in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index on learning behavioral strategy, study could find that the humanities had an effect on note taking, test strategy, and class listening, and in the natural sciences, only note taking was affected. Through this, study was able to find that the better they conducted the self-directed learning in both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the better they used strategy for note-taking. Through the resul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studen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major and provide supplementary materials suitable for learning problems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consider career guidance measures.

      • 여성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대인관계기술의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은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경기도 여성능력개발센터 단기교육과정(2개월)-IT교육-의 수료생 9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기술의 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SPSS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t-test,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종속변수로는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대인관계기술을, 독립변수로는 프로그램 참여의 중요 요인을, 통제변수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은 기혼이 아닐수록, 미취학자녀가 없을수록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의 중요 요인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기술 모두 프로그램 과정이 다양하고 수준이 있을수록, 난이도가 적절할수록, 시간이 적당할수록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기술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기술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참여의 중요 요인에서는 프로그램 과정으로, 대인관계기술에 있어서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직장 경력으로 규명되었다. 아울러,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프로그램 참여의 중요 요인의 통합 모형에서는 프로그램 과정에 만족할수록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대인관계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기술에서는 미취학자녀가 없을수록, 직장경력이 많을수록 대인관계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기술의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프로그램 과정을 보다 적절하게 맞추고 고급화시키는 접근이 필요하다. 아울러, 미취학자녀가 있는 여성일지라도 취업에 있어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서비스 체계와 사회적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시한 함의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참여의 중요 요인 중 프로그램 과정뿐 아니라 나머지 변인들을 통한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샘플의 크기가 작아 사실상 분석 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내지 못했다. 둘째,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있어서 직업적응과 직업유지 측면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부가적인 훈련체계를 마련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단기교육과정, 사전·사후 비교 조사가 아닌 사후 진행 조사, IT 교육이라는 한계점들을 가져 실질적인 조사의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IT 교육뿐 아니라 일반적인 직업훈련 프로그램에도 적용하고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훈련 프로그램과의 비교와 다른 지역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보다 폭넓고 심층적인 연구를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had an impact on changing the self-efficacy,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of women who participated in a job-training progra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5 women who took two-month mini-courses in IT at Gyeonggi Women's Development Center. For data handling, SPSS 12.0 program was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selected dependent variables were self-efficacy,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the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s were primary factors related to program participati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s control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of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hose who were unmarried and who had no preschool children were better in terms of self-efficacy and self- esteem.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primary factors related to program participation to self-efficacy,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self- efficacy,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improved when they took part in more diverse and higher-level programs for a proper amount of time, and when the degree of difficulty of programs attended by them was appropriate. Second, the courses of programs were identified as a primary factor related to program participation that affected self-efficacy,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work experience turned out to be a demographic factor that influenced interpersonal skills. When the demographic elements and primary factors related to program participation were incorporated,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ourses of programs exerted an influence on self-efficacy, self-esteem and inter- personal skills, and those who had no preschooler children and who had wider work experiences were more excellent at interpersonal skills. Therefore tailored and sophisticated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women to boost their self-efficacy,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women whose children are preschooler should be assisted as well to have a wider choice for an occup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sustained and deeper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determining what is bound up with women's program participation in addition to the course of program. As just a small number of subject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it's not quite possible to produce significant results. Second, job-training programs should be added by additional training that could facilitate the vocational adjustment of women and let them keep on working as much as possible.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Just some women who completed mini-courses in IT were investigated without making a pretest, and it's not easy to acquire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that matter. Third, more extensive and in-depth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by selecting various job-training programs other than IT-related ones, by comparing different programs geared toward men and women separately, and by investigating people from different geographic regions.

      • 신경증적 경향성, 투사 및 지각된 부부갈등 간 관계 : 자기복잡성의 조절효과

        이상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부부들이 갖고 있는 신경증적 경향성과 투사가 서로의 갈등 지각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복잡성(자기측면, 중첩)이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여 부부갈등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춘천, 평택, 청주, 증평, 대전, 수원, 오산에 거주하는 결혼관계를 지속하는 부부들 114쌍을 대상으로 자기복잡성 측정과 함께 신경증적경향성, 투사, 그리고 부부갈등에 대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자기복잡성 측정을 위해서 H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신경증적경향성, 투사 그리고 부부갈등을 위해서는 spss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4가지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첫째로 상관 연구에서는 Linville(1985)의 연구와는 다르게 자기복잡성의 구성개념들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아내, 남편의 경우 모두, 투사와 신경증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아내 신경증이 남편의 신경증과 그리고 자신의 부부갈등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남편과 아내 사이의 부부갈등 간에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아내 투사와 자신의 자기복잡성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로 주 효과 검증에서는 남편투사가 자신은 물론 아내의 부부갈등에까지 유의하게 영향을 끼쳤으며, 아내 신경증이 자신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아내 자기측면과 아내 중첩이 남편부부갈등에 각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신경증과 부부갈등 간에서 자기측면은 물론 중첩도 상호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투사와 부부갈등 간에 자기측면과 그리고 중첩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세 가지의 경우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그중 하나가 남편 투사와 아내 부부갈등 간에 남편의 중첩이 보호요인으로서 조절효과를 보였고, 또 하나는 남편투사와 아내부부갈등 간에 아내의 중첩이 보호요인으로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이와 함께 남편투사와 아내부부갈등 사이에서 아내의 자기측면이 보호요인으로서 조절효과가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상과 같은 자기복잡성의 두 구성개념인 자기측면과 중첩의 완충역할에 대한 검증 결과는, 투사를 많이 하는 남편들로 인해 아내의 부부갈등이 높아질 경우, 이 관계 속에서 보호요인으로 긍정적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장면에 있어서 유용한 경험적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lexity on the relationship among neuroticism, projection and perceived marital conflict. A self-report measure about self-complexity, neuroticism, projection and marital conflict were performed with 114 couples living in Chun-cheon, Pyeong-tak, Cheon-ju, Jeung-pyeong, Dae-jeon, Su-won, Osan. The H stat program was used for self-complexity measuring and SPSS18 was used for neuroticism, projection and marital confli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correlational analysis, inconsistent with the study of Linville(1985), it showed that a self-aspec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verlap. Proje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uroticism for both wives and husbands. And it was found that wife's neurotic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usband's neuroticism and wife's marital conflicts.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ojection of wife and self-complexity of herself was confirmed. Second, for the main effect, the husband's projection influenced himself and even wife's marital conflict. It was found that the wife's neuroticism influenced marital conflict of her. Also, It was shown that wife's self-aspects and overlap influenced husband's marital conflict. Third, there was no any interaction of self-aspects and overlap between neuroticism and marital conflict, neither wives and husbands. Fourth, the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s of tuned of self-aspects and overlap in respect of projection and marital conflict showed three significant results. One of them was that the husband's overlap showed the effect as a protective factor in respect with husband's projection and wife's marital conflict. Another one was that the wife's overlap showed the effect as a protective factor in respect with husband's projection and wife's marital conflict. And the last one was that the wife's self-aspects showed the effect as a protective factor in respect with husband's projection and wife's marital conflict.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 of verification on the self-aspects and the overlap shows that these two self-complexity constructs act as a buffer and suggests that if the wife's marital conflict gets worse due to husband who has lots of projection, it can act in a positive way as a protective factor. These results may be a useful empirical data in terms of counsel.

      • 자기표현력 신장을 위한 교육연극의 활용방안

        한민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여 자기표현력을 신장시키고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Ⅱ장에서는 교육연극의 본질과 자기표현력의 상관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육연극의 개념과 교육연극의 유형, 그리고 교육연극과 관련된 학습이론들을 제시하였다. 자기표현력은 언어적, 비언어적 수단을 통해 한 개인의 감정이나 주장들을 잘 전달하는 능력을 말한다. 그리고 국어교육의 매체로서 교육연극의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표현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모형과 교육연극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육연극의 일반원리를 토대로 연극활동의 절차를 상황파악단계, 연극활동 단계, 정리활동 단계로 구분하여 교육연극 모형을 구안하였다. 또한 다양한 연극놀이와 교육연극 방법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모형과 연극방법을 토대로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상황의 연극적 경험을 통한 언어활동 중에서 즉흥극과 토론연극, 시의 극화를 활용한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국어수업이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Ⅵ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과 제언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교육연극을 활용한 국어교육은 자기표현력 신장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교육연극을 국어 교수․학습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아동들의 자기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리라 생각된다.

      •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 성향과 대학 생활 적응의 관계 :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전지은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와 대학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대학교 1∼4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2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의 일반적 자기초점주의와 자기몰입, 대학 생활 적응, 대인관계 유능성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의 일반적 자기초점주의와 자기몰입은 대학 생활 적응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의 일반적 자기초점주의와 자기몰입과 대학 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이 매개 역할을 하는가? 각 변인의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이지영과 권석만(2005)이 개발한 자기초점주의 성향 척도(SDSAS), Baker와 Siryk(1989)가 개발하고 이윤정(1999)이 번안하고 수정한 대학 생활 적응척도(SACQ), Buhrmester, Furman, Wittenberg와 Reis(1988)가 개발한 대인관계능력 검사지(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CQ)를 한나리와 이동귀(2010)가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번안하여 타당화한 한국판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K-ICQ)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IBM SPSS 22.0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내적합치도(Cronbach’s α) 산출, 기술통계 분석, 왜도와 첨도 확인,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과 Baron & Kenny의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초점주의는 방향성이 다른 2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체 합으로 구하지 않고 서로 다른 두 성향을 각각의 독립변인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일반적 자기초점주의는 대학 생활 적응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몰입은 대학 생활 적응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자기초점주의는 대인관계 유능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몰입은 대인관계 유능성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생활 적응과 대인관계 유능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자기초점주의보다 자기몰입이 대학 생활 적응에 상대적으로 높은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인관계 유능성에 대해서는 자기몰입보다 일반적 자기초점주의가 상대적으로 높은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자기초점주의와 자기몰입과 대학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검증되었다. 일반적 자기초점주의와 대학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은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자기몰입과 대학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와 대학 생활 적응,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자기초점주의의 방향성이 다른 두 가지 성향이 각각 대학 생활 적응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대학생들의 상담 장면에서 자기초점주의 성향을 지닌 대학생들이 불안이나 우울을 경험할 때, 대인관계 유능성에 중심을 두고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부적응적인 자기초점주의를 적응적인 자기초점주의로 전환할 수 있는 긍정적 자기 자각을 활성화하여, 심리적 부적응으로 인한 문제를 완화한다면, 보다 적응적인 대학 생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대학 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면, 보다 적응적인 대학 생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대학 생활 적응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교육현장이나, 상담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상담기법과 적응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해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intermediate effectiveness of interpersonal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focused atten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211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first through fourth grades of colleges nationwid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immersi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Second, how do the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immersion of college students affect their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ird, does interpersonal competence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immersion in college students' self-focused atten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measurement tools for each variable are as follows: The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s (SDSAS), developed by Ji-young Lee and Seok-man Kwon (2005),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developed by Baker and Siryk (1989) and modified and revised by Yun-jung Lee (1999),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CQ) developed by Reis (1988) and adapted and validated to the K-ICQ by Han Na-ri and Dong-Gwi Lee (2010) for Korean college students. For statistical analysis, IBM SPSS 22.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α calcula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kewness and kurtosis verific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 Kenny's parametr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Since self-focused attention is composed of two sub-factors with different directions, the two different dispositions were analyzed as independent variables, rather than as a total sum. First,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elf-immers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Additionally,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immers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self-immersion had a relatively higher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a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On the other hand, on interpersonal competence,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had a relatively higher positive effect than self-immers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immers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as verifi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showed a fully mediating effect,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mmers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focused attenti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and identified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two different orientations o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intervention focusing on interpersonal competence is effective when college students with self-focused dispositions experience anxiety or depression in the college counseling scen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for a more adaptive college life if the problem caused by psychological maladaptation is alleviated by activating positive self-awareness that can convert maladaptive self-focusing into adaptive self-focusing. Therefore, if we are looking for ways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in order to increase college life adapt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for a more adaptive college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techniques and adapt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or in the counseling scene to help them adapt to university life.

      •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매개역할

        방유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국 문 초 록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매개역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학교상담전공 방 유 진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아동의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매개역할을 밝혀보고자 연구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공격행동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자기통제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자기통제와 공격행동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는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인천 지역에 있는 8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학급 당 6명을 선정하였으며, 이 때 무작위로 출석번호를 지정하는 방법으로 무선 표집을 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공격성은 교사가 바라본 아동의 행동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교사지지와 자기통제는 아동이 지각한 바를 측정하였다. 담임의 성별, 나이, 경력, 생활환경을 다양하게 하여 8개 학교 47학급에서 각 학급당 6명씩 표집하여 총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지지 측정 도구는 한미현(1996)이 제작한 ‘사회적 지지 척도’ 중 교사지지 하위영역을 사용하였으며, 자기통제력 측정 도구는 Gottfredson과 Hirschi(1990)가 사용한 자기통제력 척도와 김현숙(1998)의 자기통제력 평정척도를 참고로 재구성한 남현미와 옥선화(2001)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또, 공격행동 측정 도구는 김혜숙, 황매향(2009)이 개발 연구한 초등학생 문제행동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분석은 SPSS for Window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기초 자료로 단순기술통계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 자기통제, 공격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자기통제, 공격행동의 상관분석 결과 세 변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자기통제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공격행동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통제는 공격행동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는 자기통제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는 공격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자기통제는 공격행동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통제가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지지는 자기통제에 영향을 미치고, 또 자기통제가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것은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효과를 배제한 교사지지만의 효과보다 자기통제의 매개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지지, 자기통제, 공격행동의 관계 및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가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통제가 부분매개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 세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했으며 아동의 공격행동에 대한 경로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자기통제력을 높이는 것은 공격행동을 줄일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자기통제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훈련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공격행동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아동들의 공격행동 조절에 도움을 주는 상담을 고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즉, 교사와 아동간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통제력을 높일 수 있는 교사지지를 아동이 긍정적으로 느끼게 된다면 그 효과가 공격행동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핵심어 : 교사지지, 공격성, 자기통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