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입원 아동 어머니의 부담감, 불안 및 간호요구도의 관계

        정진호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study is about descriptive research investigation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burden, anxiety and nursing needs which inpatient children's mothers have and to help the mothers cope with the situation of hospitalized children by investigating the relevance and providing basic information. It targeted 214 mothers of children hospitalized at the K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nd it is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program ( SPSS 22.0) Mother's burden followed by inpatient child's attribute was remarkably high when inpatient child is male, he has a diagnosis of hematologic malignancies nervous system,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increases, and the hospitalization period is long by more than a week, and he attaches medical devices and equipment to himself. Anxiety of mother is significantly high when a child is male having a diagnosis of hematologic malignancies nervous system, the hospitalization period is long by more than a week, and he attaches medical apparatus and equipment to his body. Nursing needs appear higher when the patients have long hospitalization period and the healthcare apparatus and equipment are attached to the patients. In each area, the younger kids were, the higher the information needs were. And the longer the hospitalization period was, the higher the information needs and emotional support requirements were. If the child is not subscribed to private insurance, support providing requirements are high. Information requirements and emotional support request are higher when he is attached to the medical device and equipment. The degree of burde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is high when the mother has no religion, and there is no one who can help a caregiver, and they think the cause of children's hospitalizations is their responsibility. The extent of anxiety is high if they are nuclear family and they feel the cause of children's hospitalizations is responsible for themselves. The lower the mother's age is, the higher the nursing requirements are. In each area, the nursing requirements in information needs are highly demanded. In each question, the nursing needs in the information requirements are higher. More than middle positive correlation appears between the burden and anxiety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but weak positive correlation appears among burden, anxiety and nursing needs.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the burden are the number of inpatient children's hospitalization, hospitalization period, religion, someone who can help you to nurse children. And the moment that you think you are responsible for the cause of children hospitalization is also affecting the burden. A factor affecting the nursing needs turns up because of attachment of medical instruments and devices to the body of the children. Taken together, the above findings show that hospitalized child's mother feels the burden and anxiety about the middle and the nursing needs were higher in middle or later. It is essential for nursing intervention measures such as counseling and courteous listening for psychological support to be prepared to reduce these burden and anxiety. Among the nursing needs the information requirements are the biggest thing they want. So we need appropriate training intervention for the hospitalized child's mother. 본 연구는 입원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담감, 불안 및 간호요구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련성을 조사하여, 입원아동 어머니가 아동의 입원상황을 잘 대처할 수 있도록 간호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K대학 어린이 병원에 입원한 아동의 어머니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통계프로그램(SPSS 22.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입원아동 어머니의 부담감은 중간정도, 불안은 중간정도, 간호요구도는 중간이상으로 나타났다. 입원아동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부담감은 입원아동이 남자이고, 혈액종양신경계의 진단명을 가지고 있을 때, 입원횟수가 증가할수록, 입원기간이 1주 이상으로 길고, 의료기구 및 장비부착시 유의하게 높았다. 어머니의 불안 정도는 남자이고, 혈액종양신경계의 진단명을 가지고 있으며,입원기간이 1주 이상으로 길고, 의료기구 및 장비부착을 하고 있을 때 유의하게 높았다. 간호요구도는 입원기간이 길고, 의료기구 및 장비부착이 되어있을 때 높게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아동의 나이가 어릴수록 정보요구가 높았으며, 입원기간이 길수록 정보요구 및 정서적 지지요구가 높았다. 아동이 사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지원제공요구가 높았으며, 의료기구 및 장비 부착시 정보요구 및 정서적지지요구가 높았다. 입원아동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부담감 정도는 종교가 없고, 간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없을 때, 아동입원 원인에 대한 책임이 본인에게 있다고 생각한 경우 부담감이 높았다. 불안 정도는 가족이 핵가족이고, 아동 입원원인에 대한 책임이 본인에게 있다고 느낄때 높았다. 간호요구도는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간호요구도가 높았으며, 영역별로는 정보요구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문항별 간호요구도에서도 정보요구 영역의 문항이 높은 순위를 나타내었다. 입원아동 어머니의 부담감과 불안 간에는 중간이상의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부담감과 불안 및 간호요구도 간에서는 약한 정적 상관관계이었다. 회귀분석 결과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입원아동의 입원 횟수, 입원기간, 종교유무, 간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의 유무, 아동입원 원인에 대한 책임이 본인에게 있다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간호요구도에서는 입원아동의 몸에 의료기구 및 장비 부착이 중요 영향요인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입원아동의 어머니는 부담감과 불안을 중간정도로 느끼며, 간호요구도는 중간이상으로 높았다. 이러한 부담감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담이나 경청과 같은 심리적 지지를 위한 간호중재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간호요구도 중에서는 정보요구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아 입원아동 어머니에게 적합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생활경험 : 자살생각을 가진 노인을 중심으로

        김옥선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919

        <국문초록> 근래 한국사회에서는 노년기에 이르러 수발의 요구도가 높아질 경우 가족을 대신하여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요양병원이나 요양시설로 입원 등이 불가피한 선택이 되고 있다. 이처럼 늙어 쇠약해진 건강으로 가족과의 분리를 함께 경험하는 노인은 부정적 심리·정서적 문제로 고립감, 무망감, 절망, 자살생각 등 심각한 정신건강의 위협을 받고 있으며, 가족 밖에서의 생의 유지와 종결은 노년기 삶의 질을 떨어트리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건강유지는 생명연장 보다는 삶의 질을 유지하고, 노년기 생애의 종결에 의미를 찾도록 생활환경 속에 적응을 돕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자살생각에 이르고 있는 입원환자의 간호중재는 그들의 입원 생활경험의 이해를 통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안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입원노인 중 자살생각을 가진 노인을 중심으로 그들의 입원생활경험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이들의 경험 속에 있는 본질적 주제와 의미구조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D 시 소재 3개의 요양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서 총 9명이 참여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7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하였으며, 자료수집방법은 일대일 심층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면담 시간은 한 번에 짧게는 50분에서 최고 1시간 40분까지였으며, 면담횟수는 3회에서 6회까지 하였다. 자료 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이루어졌고, Colazzi(1978)의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로 5개의 영역에 8개의 범주(categories), 19개의 주제묶음(theme clusters), 그리고 41개의 주제(themes)와 93개 의미로 도출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몸의 경험 영역에서 한 개의 범주로 ‘쇠약해지는 몸을 통제할 수 없음’이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두 개의 주제묶음으로 1) ‘쇠약해져 가는 몸’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몸이 점점 나빠짐’, ‘아픈 몸’, ‘약에 의존하게 됨’으로 나타났다. 2) ‘타인에게 의존하게 된 몸’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몸이 내 맘대로 안 됨’, ‘내 배설물을 스스로 치울 수 없음’, ‘침대에 묶인 것 같은 몸의 고통’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의 경험 영역에서 세 개의 범주로 1.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없음’ 2. ‘생의 마감을 앞당기고 싶음’ 3. ‘요양병원은 나의 의지처임’이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다섯 개의 주제묶음으로 1) ‘인생의 종착역에 오게됨’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세상 뜰 준비하는 곳’, ‘외딴 섬에 홀로 귀양살이’로 나타났다. 2) ‘내 인생의 존재감을 상실’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나 자신을 잃어버리게됨’, ‘의미 부재에 따른 무망감’으로 나타났다. 3) ‘지금 죽는 게 최선임’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죽어야만 끝날 것 같은 삶의 무거움’으로 나타났다. 4) ‘평안한 죽음을 소망함’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고통 없이 죽고 싶음’이 나타났다. 5) ‘삶을 매듭지을 수 있는 안도감’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고립된 내 삶을 기댈 수 있는 곳’, ‘생을 끝맺게 해줄 곳은 집이 아닌 요양병원임’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적 경험 영역에서 두 개의 범주로 1. ‘분리된 가족 안에서 떠도는 내 마음’ 2. ‘내 마음 같지 않은 타인’이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일곱 개의 주제묶음으로 1) ‘가족의 울타리 속에 머물러 있음’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가족구성원으로서 못다 한 역할의 아쉬움’, ‘삶을 연명하게 해주는 가족에게 짐이 되는 무거움’으로 나타났다. 2) ‘분리된 가족에 대한 그리움’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가족의 왕래 속에 멍드는 가슴’, ‘뜸해진 가족 방문과 한없는 기다림’으로 나타났다. 3) ‘가족과 살고 싶은 간절함’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간절함’, ‘돌아갈 수 없는 집’으로 나타났다. 4) ‘타인의 손길에 맡겨진 내 몸의 처량함과 온정’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부당한 돌봄의 수용’, ‘자유롭지 않은 내 몸을 수발 받는 힘겨움’, ‘내 몸을 만지는 혈육 같은 손길’로 나타났다. 5) ‘‘정’ 붙이기 어려움’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동료환자와 관계 맺기 어려움’, ‘동료환자의 무 배려’, ‘동료환자의 지지’, ‘동료환자의 허망한 위로’로 나타났다. 6) ‘환자 노릇의 힘겨움’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환자로서 존중받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7) ‘고마운 타인’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따뜻한 마음을 붙잡고 싶음’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간적 경험 영역에서 한 개의 범주로 ‘한곳에 머물러 있는 답답함’이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한 개의 주제묶음으로 ‘벗어날 수 없는 공간 내 거주의 힘겨움’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생활시설 공간의 불편감’, ‘병실 내에서 밀폐된 환경의 고통’, ‘나를 살려주는 바깥바람’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상생활 경험 영역에서 한 개의 범주로 ‘타향살이 같은 병원생활’이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네 개의 주제묶음으로 1) ‘타인과의 불편한 동거’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공동생활로 겪어야만 할 체념, 미안함’, ‘부족한 내 것을 나눠야만 하는 불편감’, ‘타인과의 불편감 해소를 위한 노력’으로 나타났다. 2) ‘내 판단이 필요 없는 생활’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나와 상관없는 일상에 갇힘’, ‘철조망 신세’, ‘규정된 식사의 힘겨움’으로 나타났다. 3) ‘낙(樂)이 없는 생활’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무료한 일상생활의 연속’, ‘일상의 외모가 소용없어짐’으로 나타났다. 4) 편안해지기 어려운 병원생활의 연속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주제로 ‘내 형편과 맞지 않는 일상생활의 유지’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생활경험에 대한 본질구조를 보면,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공간적, 일상생활 측면으로부터 인간성 상실이나 무력감, 무상감, 고립감, 무망감을 일으켜 절망에 이르게 하여 결국 자살 생각을 하게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입원노인에게 자아통합의 좌절을 가져오고, 자연스러운 생의 유지와 마감을 위태롭게 종결시키는 요인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참여자들은 요양병원에 입원은 했지만, 점점 쇠약해지는 몸을 통제할 수 없게 되면서 무력감과 인간성 상실을 느끼게 되고, 동료 노인의 건강상태와 죽음을 보면서 인생의 종착역에 자신이 와있음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곳에서 자신이 살고 있다는 것에 인생에 존재감 상실과 무상감(無常感)으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생활중심을 타인들에 의존해서 살아야 하는 일과 오가지 못하는 규정되고 통제된 환경 내에서 자신들의 의사와 판단을 요구하지 않는 획일적인 삶을 살아야 하는 일상은 무력감과 인간성 상실을 경험하게 하였다. 더군다나 이러한 일상이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것에 절망하게 되고, 인내의 한계를 느껴 벗어나고 싶지만, 현재 살아있음에 생의 종결이 필요하고, 삶을 매듭 지워야 하므로 오갈 데 없는 고립감 속에 자신들은 요양병원에서 생활할 수밖에 없음을 알게 되었다. 이처럼 어쩔 수 없이 머물러 있는 요양병원 생활에서 무망감을 느끼고, 신체적 심리적 고통으로 점철된 절망으로 자아가 매몰되어가고 있었으며, 이를 회복시키고, 생의 종결로서 완성을 이루기 위해서는 죽음밖에 없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죽음은 현재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는 유일한 방법이고, 가족과 자신에게 더할 나위 없는 제일 나은 선택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요양병원 입원노인은 자살 생각을 가지게 되고, 이조차도 삶의 의지로 여겨지는 인지적 오류 속에 궁극적으로 절망 안에서 자아통합이 좌절된 상태로서 순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자살 생각을 가진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생활경험에서 나타난 8가지 범주는 몸이 아파 요양병원으로 오게 됨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각각의 범주는 서로 연결되어 순환되면서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은 절망에서 자살 생각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입원노인의 내면에 자아통합을 좌절시키는 순환체계의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현재 요양병원에서 생활하고 있는 입원노인 중 자살 생각을 가진 노인의 입원생활 경험을 통해 정신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요인들로 인간성 상실이나 무력감, 무상감, 고립감, 무망감이 절망에 이르게 하여 결국 자아통합의 좌절로써 자살 생각을 하게 되는 것으로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요양병원에서 입원생활의 어려움을 겪는 노인에게 자아통합의 좌절을 회복시켜 줄 수 있는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공간적, 일상생활 측면으로의 통찰력 있는 간호중재 적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못했던 노인 당사자에게 도출된 내용으로 실무 측면의 지지를 제공해 주는 기초 자료로써 유용성이 있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주요어 : 요양병원, 입원노인, 생활경험, 자살생각, 현상학적 연구 If one reaches senescence and has an increased demand for care in the Korean society today, it is becoming an inevitable choice to check into a long-term care hospital or facility where care giving services are provided in the place of family. The elderly, who experience separation from family along with weakened health due to old age, are threatened by severe mental health issues such as isolation, hopelessness, despair, and suicide ideation arising from negative mentality and emotional problems. Maintaining and ending life outside the family may be a key factor that deteriorates the quality of elderly life. In this aspect, it is necessary to help elderly resid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o adjust to the living environment so that they can maintain the quality of life by keeping good health rather than prolonging life, and find meaning of the end of their life. In particular, nursing intervention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suicide ideation is an issue that must be urgently resolved by understanding their life experience in the hospital.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lderly resid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who have suicide ideation, and understand their hospital life experience. To this end, this study thoroughly explored fundamental themes and semantic structures in their experiences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which i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 of 9 elderly residents age 65 or above, living in 3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the city of D in Gyeonggi-do.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to December 2014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Interviews took minimum 50 minutes to maximum 1 hours and 40 minutes, and the number of interviews for each participant was 3 to 6. Data was analyzed once it was collected, applying the analysis method of Colazzi (1978). As a result, there were 5 fields, 8 categories, 19 theme clusters, 41 themes and 93 meanings. Specific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eld of Body Experience, there was one category: ‘Cannot control the weakening body’. There were two theme clusters in the category: 1) ‘Weakening body’, with the themes ‘Physical health is getting worse’, ‘Sick body’, and ‘Dependent on medication’; 2) ‘Body dependent on others’, with the themes ‘Cannot control my body’, ‘Cannot clean up my own excreta’, and ‘Body pain as if tied to a bed’. Second, in the field of Mind Experience, there were three categories: 1. ‘Cannot find the meaning of life’, 2. ‘Want to end life quickly’, and 3. ‘Long-term care hospital is the place where I can depend on’. There were five theme clusters in the category: 1) ‘Reaching the last stop of life’, with the themes ‘Place to prepare for leaving the world’ and ‘Living in exile alone in an isolated island’; 2) ‘Loss of presence in my life’, with the themes ‘Losing myself’ and ‘Hopelessness due to lack of meaning’; 3) ‘It is best to die right now’, with the theme ‘Heavy burden of life that ends only by death’; 4) ‘Hope for peaceful death’, with the theme ‘Want to die without pain’; and 5) ‘Relief in concluding life’, with the themes ‘Place I can depend my isolated life on’, and ‘The place to end my life is not home but a long-term care hospital'. Third, in the field of Relational Experience, there were two categories: 1. ‘My mind wandering around in the separated family’ and 2. ‘Others who cannot relate to my mind’. There were seven theme clusters in the category: 1) ‘Want to remain within the boundaries of family’, with the themes ‘Regret for not fulfilling the role as a family member’ and ‘Being a burden on family who let me maintain life’; 2) ‘Longing for separated family’, with the themes ‘Getting hurt amidst family gatherings and ‘Rare family visits and endless waiting’; 3) ‘Earnest desire to live with family’, with the themes ‘Earnest desire to return home’ and ‘Home where I cannot go back to’; 4) ‘My miserable body in the hands of others and compassion’, with the themes ‘Acceptance of unjust care giving’, ‘Difficulty in getting care for my uncontrollable body’, and ‘Family-like hands touching my body’; 5) ‘Difficulty in growing ‘attached’’, with the themes ‘Difficult to build relationships with fellow patients’, ‘Inconsiderate fellow patients’, ‘Support from fellow patients’, and ‘Vain comfort from fellow patients’; 6) ‘Difficulty as a patient’, with the theme ‘Difficult to be respected as a patient’; and 7) ‘Grateful for others’, with the theme ‘Want to hold on to the warm heart’. Fourth, in the field of Spatial Experience, there was one category: ‘Frustration in staying at one place’. There was one theme cluster in the category: ‘Difficult to live in an inescapable space’, with the themes ‘Inconvenience in living facilities’, ‘Pain from the enclosed environment in a hospital room’, and ‘Getting out in the air to save myself’. Fifth, in the field of Daily Life Experience, there was one category: ‘Hospital life like living away from home’. There were four theme clusters in the category: 1) ‘Uncomfortable to live with others’, with the themes ‘Being resigned and sorry in communalism’, ‘Inconvenience in having to share the things I do not have enough’, and ‘Efforts to resolve discomfort with others’; 2) ‘Life that does not need my judgment’, with the themes ‘Locked in everyday lif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me’, ‘Living in a barbed-wire fence’, and ‘Tough to cope with regulated meals’; 3) ‘Life without joy’, with the themes ‘Continuous days of boredom’ and ‘No need for appearance in daily life’; and 4) ‘Continuous inconvenient hospital life’, with the theme ‘Maintaining daily life that is not fit for my circumstances'. As a result,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life experience of elderly resid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shows that physical, psychological, relational, spatial and daily life aspects cause loss of humanity or powerlessness, vanity, isolation, and hopelessness that lead to despair, ultimately resulting in suicide ideation. This brings frustration of ego integrity to elderly residents, acting as a factor that precariously ends the natural maintenance and finishing of life. More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were checked into long-term care hospitals, but as they could no longer control the weakening body, they tended to feel powerlessness and loss of humanity, and felt that they were at the last stop of their life as they watched the health conditions and death of their fellow elderly patients. They could no longer find the meaning of life due to the loss of presence in life as well as vanity, which rises from the fact that they were living in a place like that. Moreover, their daily lives consisted of being forced to be dependent on others and living a standardized life where their own opinions and judgments are not needed within the regulated and controlled environment, which resulted in powerlessness and loss of humanity. Moreover, they felt despair for not being able to know when this will end, and even if they want to break away upon reaching the limit of their patience, they are forced to stay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s in isolation because they must end their current life. As such, they were feeling hopelessness in the life at long-term care hospitals they are forced to stay, and their ego was being buried under despair scattered with physical and mental pain. They perceived that death was the only way to regain their ego and complete their life. Death was the only way to solve all problems in the present, and the best choice for themselves as well as their families; thus, elderly resid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are faced with suicide ideation. In the cognitive error in which this ideation is considered as the will to live, it could be found that frustrated ego integrity was ultimately circulating in despair. Consequently, the 8 categories in the life experience of elderly residents with suicide ideation in long-term care hospitals originate from the fact that they came to the hospitals because they were sick. Each category is linked to one another, circulating and affecting one another; and this effect leads to despair to suicide ideation, ultimately bringing frustration of ego integrity inside elderly residents in a circulation system.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may threaten mental health in elderly resid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who have suicide ideation, and determined that these factors such as loss of humanity or powerlessness, vanity, isolation, and hopelessness lead to despair, ultimately bringing frustration of ego integrity and resulting in suicide ideation. This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nursing intervention with insight in terms of physical, psychological, relational, spatial and daily life aspects, which may help the elderly residents facing difficulti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o recover from frustration of ego integrity. Furtherm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the results were derived directly from the elderly, which have not been studied thus far, and may be useful as basic data that provides support in the actual field.

      • 대학병원 입원생활 안내문의 효율적인 정보디자인을 위한 연구

        김예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919

        최근 의료서비스의 주체는 의료진 중심에서 환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객들은 병원으로부터의 차별화된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다양한 의료서비스 중 입원생활 안내문은 낯선 병원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입원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 정보 안내 서비스이자 의료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이다. 현재 입원생활 안내문 관련 연구는 대부분 병원 내 의료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Q.I)과 관련된 서비스 개선 또는 만족도에 관한 것으로 보건 행정과 같은 분야에서 의료진이 주축이 되어 입원환자의 불안감을 경감시키고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만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고객만족도향상을 위해서 입원생활 안내문은 환자 및 보호자 중심에서 정보가 선별되어야 하며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각화된 간호 정보의 형태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의 시각적 편의와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개선하고자 국내⋅외 입원생활 안내문의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새로운 입원생활 안내문 디자인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보디자인과 입원생활안내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국내⋅외 병원 16개의 입원생활 안내문의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정한 기준이 없는 정보 선별과 불필요한 항목으로 인한 항목 수 증가, 안내문 사용상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은 형태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발견하였으며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환자 및 보호자, 간호사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50명씩, 총 100명에게 정보 습득의 효율성과 이해도, 항목의 수 및 중요도, 색상 및 형태에 관하여 사용자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입원생활 안내문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제작한 입원생활 안내문의 샘플을 사용하여 안내문의 형태와 색상에 대한 선호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용자 의식조사 결과, 사용자 대부분 입원생활 안내문이 간단·명료하게 안내되길 원하였으며 10개 이상 15개미만의 항목을 표기하되, 중요한 항목만 컬러 표시된 양면 2페이지 리플렛 형태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항목의 중요도 설문 결과 각 사용자별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사례조사와 사용자 의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 중심의 정보를 선별하고 색, 서체, 그래픽, 레이아웃과 같은 시각적 요소들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편의와 정보전달의 효율성을 향상 시키는 입원생활 안내문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입원생활 안내문 디자인 안은 지류 형태인 리플릿과 모바일 형태인 어플리케이션의 두 가지 형태로 제안하였으며 이들 개선안의 사용성 검증을 위해 추가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 대체로 기존 디자인에 비해 정보가 체계화되고 시각적 요소가 정돈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다만, 필수항목만 요약된 간호 정보 안내문의 특성상 간호사와 환자 모두 재차 구두설명은 필수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개선안은 안내문의 특성인 실용성과 간결성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안내문의 구성을 갖추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아이콘 제작에 있어서 표준 규격을 고려하지 않은 부분을 개선하고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발표한 공공안내 그래픽 심볼 가이드를 토대로 아이콘을 재정비하여 이를 적용한 최종 디자인 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 의식조사 및 사용성 평가 시 설문에 응답이 용이한 환자만을 선별하여 실시하였으므로 중환자의 의견이 누락되어 입원 환자 전체의 대표성을 나타내기는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그러나 입원생활 안내문을 직접 사용하는 환자 및 보호자와 간호사의 의견을 토대로 입원생활 안내문 디자인 개선안을 제안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입원생활 안내문과 같은 간호 정보 제공 및 의료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가 보다 사용자를 고려한 시각 정보 디자인 측면으로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 입원아동 어머니를 위한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상태불안과 부모역할 확신에 미치는 효과

        배정자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919

        입원아동 어머니를 위한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상태불안과 부모역할확신에 미치는 효과 입원아동의 어머니는 아동의 입원으로 인해 공포 및 좌절감, 무기력 등의 불안한 정서 반응을 나타낸다. 부모의 이러한 정서 반응은 어머니로서의 능력을 저해할 뿐 아니라 아동에게도 전달되어 아동의 회복 및 정서안정, 나아가서는 성장 발달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그런데 입원아동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지식을 높일 뿐 아니라 정서조절의 효과가 있으며 부모로서의 효능감을 증진시킨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입원아동 어머니의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상태불안 및 부모역할확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U시에 소재한 U대학교 병원 아동간호 단위에 입원한 아동의 어머니로서 실험군 50명, 대조군 52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9년 12월 28일부터 2000년 4월 5일까지이었다. 연구도구는 실험도구로서 연구자가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제작한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Spielberger(1972)가 제작하고 김등(1978)이 번역한 기질불안 및 상태불안 측정도구를, 부모역할확신 측정도구로는 Melnyk(1994)이 개발하고 원(1999)이 번역하여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부모역할확신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 편차, x²-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상태불안 정도가 더 낮을 것이다' 라는 제 1 가설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상태불안 정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P=0.016). 2.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부모역할확신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 라는 제 2 가설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부모역할확신 정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P=0.004). 결론적으로 입원아동 어머니의 간호교육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상태불안 감소와 부모역할확신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임상실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입원아동 어머니의 불안감소 및 부모역할확신 강화에 기여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Mother can have more anxious emotional response of fear, frustration, and enervation by child's hospitalization. This emotional response of mother leads to the negative results in growth, emotional stability, recovery of child and to hinder efficacy of m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state anxiety and belief on parental role of mother with in-patient child. This study was plan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 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8, 1999 to April 5, 2000 at Ulsan University hospital in Ulsan City. The subjects were 50 samples of experimental group and 52 samples of control group in the child care unit. The experimental instrument for inter vention was used structured nursing education program. This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referent textbooks and advises of expert group. The measurement tool for state anxiety, translated by Kim and built by Spielberger, and the tool for belief on parental role, built by Melnyk (1994), used 19 questions amended to similar with Korean parental emotion.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in SPSS. computerized program and included frequency, percentage, mean, SD, x²-test, t-test.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gree of stat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e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16). Therefore,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stat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2. The degree of belief of parental rol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e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04). Therefore,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belief of parental role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In conclusion, as nursing education program effects to reduce state anxiety and to promote belief on parental role of mother with in-patient child, nursing education program should utilize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and it can be sure of contribution to reduce mothers anxiety and to strengthen belief of parental role of mother with in-patient child.

      • 입원 아동의 정맥주사 재 삽입 관련 요인 : 정맥주사 전문 간호사가 관리하는 아동을 중심으로

        김효정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9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restart of peripheral intravenous(PIV) catheters in hospitalize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to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maintain children's PIV catheters longer.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PIV observation sheet and PIV affection sheet invented by the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ers from March 14 to April 22, 2006.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children hospitalized to the pediatrics and ages ranged from 0 days to 72 months.The results are as following:1. Of the 150 PIV insertions, 88(58.7%) were initial IV starts and 62(41.3%) were restarts. The mean age was 19.6±18.2 months, body weight was 10.5±4.6 kg, days of hospitalization were 4.4±2.4 days. The mean duration of insertions was 52.5±25.2 hours. The average number of observation IV site per children were 3.2±1.0. The average number of gauze dressing change per children were 0.5±0.31.2. In the case of IV restar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age, body weight,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and the type of hospitalized ward.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y diagnosis(χ2= 13.75, p= 0.003).3. In the case of IV restarts according to the factors of insertion in IV therap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ime of catheter insertion, a number of IV attempts, insertion person, skill of catheter insertion, children movement of catheter insertion time and application of protection.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insertion site(χ2= 4.34, p= 0.001).4. In the case of IV restarts according to the medications of infusion in IV therap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ype of fluid, infusion rate, antibiotics and other related medication. On the other hand, a movement of the insertion site(χ2= 10.65, p= 0.001) had influence on IV restarts.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digestive system disease show short odds of the IV restarts and then children of experienced hospitalization shows short odds of the IV restarts. Days of the increased hospitalization shows long odds of the IV restarts and then nurse of ward shows long odds of the IV restarts, normal skill of catheter insertion shows long odds of the IV restarts. The last, a lots of observation IV site shows short odds of the IV restarts and active movement of IV site shows long odds of the IV restarts.In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the IV restart, it is suggested that nurses pat careful observations of insertion site. In the case of the children who have respiratory system disease or a active movement and do not hav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it is in need of close observation and frequent rounding.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pediatric IV insertion standards and management. For nurses who work pediatric parts, a development project of IV insertions standards and management are needed. 이 연구는 정맥주사 재 삽입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정맥주사 유지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2006년 3월 14일부터 4월 22일까지 A 종합병원에 입원한 영아기부터 학령전기까지(0~72개월)의 정맥주사 전문 간호사가 관리하는 15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정맥주사 전문 간호사와 일반 간호사가 정맥주사를 삽입 및 관리하면서 정맥주사 관찰 기록지와 정맥주사 관련 정보지에 기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입원 아동 150명 중 정맥주사를 재 삽입하지 않은 아동은 88명(58.7%), 정맥주사를 재 삽입한 아동은 62명(41.3%)이였다. 연령은 평균 19.6±18.2개월, 체중은 평균 10.5±4.6kg, 입원기간은 평균 4.4±2.4일이었다. 정맥주사 유지시간은 평균 52.5±25.2시간이었으며, 정맥주사 관찰 횟수는 평균 3.2±1.0회/일, gauze교환 횟수는 평균 0.5±0.3회/일이었다.정맥주사의 재 삽입 여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χ2-검정 결과,2. 입원 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성, 연령, 체중, 입원경험, 병동상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진단명(χ2= 13.75, p= 0.003)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3. 정맥주사 삽입 및 관리를 보면 정맥주사 삽입 요인에서 삽입 간호사, 삽입 숙련도, 정맥주사시 움직임, 보호대 여부, 보호자 여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맥주사로 투여된 약물에서 수액 성분, 수액 주입속도, 항생제 성분, 기타 약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타 요인에서 함께 있는 보호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정맥주사 부위 움직임(χ2= 10.65, p= 0.001)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정맥주사 재 삽입 여부를 종속변수로 두고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4. 소화기계 질환으로 입원한 아동이 정맥주사 재 삽입할 확률이 낮았고, 입원경험이 있는 아동이 정맥주사 재 삽입할 확률이 낮았다. 입원기간은 길수록 정맥주사 재 삽입할 확률이 높았고, 삽입 간호사는 일반 간호사가 삽입할수록 정맥주사 재 삽입할 확률이 높았으며, 삽입 숙련도는 보통인 간호사가 삽입할수록 정맥주사 재 삽입할 확률이 높았다. 정맥주사 관찰 횟수는 많을수록 정맥주사 재 삽입할 확률이 낮았고, 정맥주사 부위 움직임은 움직임이 많을수록 정맥주사 재 삽입할 확률이 높았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입원 아동과 의료진 모두에게 부담이 되는 정맥주사가 불필요하게 제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맥주사 부위에 대한 지속적이고 빈번한 관찰이 절실히 요구된다. 입원 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바꿀 수 없기에 아동이 정맥주사를 맞는 그 시간부터 개인별 특성에 맞는 간호가 적용되어야 한다. 호흡기계 질환으로 입원한 아동, 입원 경험이 없는 아동, 활동성이 많은 아동의 경우 정맥주사의 삽입시에 더 많은 보조 인력을 두어 아동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고, 더 잦은 순회로 정맥주사 관찰을 수시로 하여야 한다. 또한 체계적인 정맥주사 관리 교육프로그램이 의료진과 더불어 아동과 함께 있는 보호자에게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입원 아동을 24시간 돌보는 간호사들을 위한 체계적인 정맥주사 삽입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 입원 아동의 말초 정맥 주사 및 통증 반응

        정준희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입원 아동에게 시행되는 말초 정맥 주사와 통증 반응을 조사하여 말초 정맥 주사와 관련된 요인 및 말초 정맥 주사 삽입시 빈번하게 노출되는 아동의 통증 정도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말초 정맥 주사 유지 관리 방안과 입원 아동과 보호자 모두의 고통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탐색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E 종합병원에 소아 청소년과 병동에 입원 치료받는 1~72개월의 200명의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관찰 기록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7월1일부터 7월31일까지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입원 아동의 일반적 특성 등을 조사한 일반 사항 기록지, 말초 정맥 주사 삽입 및 제거와 관련된 정보를 기록한 말초 정맥 주사 기록지, 말초 정맥 주사 삽입시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관찰하는 통증 관련 정보인 안면 얼굴 표정 반응(FPRS: Face Pain Rating Scale), 통증 행동 반응(PBCL: Procedure Behavior Checklist), 환아 관찰 기록지 등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와 t- test, ANOVA를 이용하였으며, 사후 검정은 scheffé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말초 정맥 주사 삽입 건수는 남아 108명(54%), 여아 92명(46%), 평균 연령은 26.99개월(±22.20)이었으며, 입원시의 진단명은 기타질환이 83명(41.5%)으로 가장 많았다. 2) 입원 아동의 말초 정맥 주사 삽입시 통증 반응(FPRS, PBCL)관찰 결과, 안면 얼굴 표정(FPRS)점수는 대상자의 연령이 어릴수록 지각되는 통증 반응이 높았고(F=33.867, p=.000), 호흡기계 질환으로 입원한 아동은 소화기계 질환으로 입원한 아동에 비해 지각되는 통증 반응이 높았다(F=4.166, p=.017). 연구 대상자가 영유아기(1~36개월 이하)인 경우 통증 행동 반응(PBCL)의 점수는 호흡기계 질환의 경우가 지각하는 통증 행동 반응이 높았으며(F=25.306, p=.000), 학령전기(37~72개월 이하)의 연구 대상 아동은 남아가 말초 정맥 주사 삽입시 지각하는 통증 행동 반응이 높았으며(t=2.042, p=.045), 입원 및 정맥 주사 경험이 있는 경우에 통증 행동 반응 점수가 높았다(t=2.046, p=.045). 3) 말초 정맥 주사의 삽입 부위는 손등이 160명(80%)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말초 정맥 주사 유지 시간은 평균 50.76시간(±17.47)이었으며, 말초 정맥 주사 삽입시 대상자가 많이 움직인 경우(F=12.505, p=.000), 삽입된 주사 부위를 많이 움직일수록(F=122.585, p=.000) 말초 정맥 주사의 유지시간이 짧았다. 말초 정맥 주사는 ‘부종 및 막힘’ 등의 이유로 49명(24.5%)이 제거되었다. 4) 입원 아동이 시행받은 말초 정맥 주사는 호흡기계 질환으로 입원한 대상자가 다른 질환으로 입원한 대상자에 비해 말초 정맥 주사가 재삽입된 경우가 많았으며(χ2=17.045, p=.000), 입원 및 정맥 주사 경험이 없는 경우(χ2=4.455, p=.035)에 말초 정맥 주사가 재삽입된 경우가 많았다. 말초 정맥 주사 삽입시의 아동의 안면 얼굴 표정(FPRS)은 1회 삽입군에 비해 재삽입시 지각하는 안면 얼굴 통증 반응이 높았다(t=-3.60, p=000). 통증 행동 반응 (PBCL)은 영유아기(t=-4.88, p=.000), 학령전기(t=-3.86, p=.000) 모두에서 말초 정맥 주사 재삽입시에 통증의 점수가 높았다. 말초 정맥 주사 삽입시 대상자가 많이 움직인 경우(χ2=25.117,p=.000)와 삽입된 주사 부위를 대상자가 많이 움직인 경우(χ2=113.744,p=.000) 에 말초 정맥 주사를 재삽입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입원 아동에게 삽입되는 말초 정맥 주사는 삽입시 아동에게 심한 통증과 불안을 경험하게 하고, 환아를 간병하는 보호자에게도 큰 고통이 되며, 관리해야 하는 의료진에게도 많은 시간이 할애되는 업무이다. 말초 정맥 주사가 정규목적(퇴원, 정규교환 등) 이외로 제거되지 않고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 입원시 아동의 개인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주사 삽입 방법과 호흡기계의 질환으로 입원시나 말초 정맥 주사 삽입 부위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 간호사의 지속적인 관찰이 특히 요구된다. 아동이 말초 정맥 주사 삽입시 경험하는 통증은 학습되어 말초 정맥 주사 삽입이 거듭 될수록 통증을 더욱 심하게 지각할 수 있으므로 재삽입 되지 않도록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관리지침 등의 개발 및 보호자 교육 등의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절실히 필요하다.

      • 입원노인환자들의 영적안녕, 우울 및 수면의 질과의 관계

        강금미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919

        오늘날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입원환자 중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 또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입원노인환자들을 위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인 측면의 총체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또한 노화와 더불어 질병의 고통, 환경의 변화 등으로 대부분의 입원노인환자들은 수면의 질이 저하되고 있어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노인환자들의 영적안녕, 우울 및 수면의 질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B광역시 소재 5개 종합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1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영적안녕의 측정도구는 Paloutzian & Ellison(1982)이 개발하고 최상순(1990)이 번안하고, 강정호(1996)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우울 측정도구는 Zung(1965)의 20개 항목의 우울척도를 전시자(1989)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면의 질 측정도구는 오진주, 송미순, 김신미91998)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7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이었으며, 자료수집방법은 연구자와 훈련된 연구보조자 1명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연구참여를 수락한 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직접 배부하여 읽어준 후 노인의 이해 수준에서 재설명 해 주고 연구자와 보조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여 회수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PC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영적안녕 정도는 평균 50.75±8.52(최소 41, 최대 72), 평균평점 2.22± .569(4점척도)이었고, 우울 정도는 평균 25.44±6.26(최소 12, 최대 43), 평균평점 2.45± .321(4점척도)로 나타났다. 수면의 질 정도는 평균 36.88±4.81(최소 24, 최대 51), 평균평점 2.67± .314(4점척도)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영적안녕 정도는 결혼상태 (F=3.305, p= .040), 종교(F=2.792, p= .029), 입원경력(F=3.257, p= .041), 종교나 신의 의미(t= .957, p= .000), 종교생활의 필요정도(F=10.049, p= .000), 예배 및 집회 참석회수(F=6.580, p= .000), 삶에 대한 종교의 영향력(F=7.368, p=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제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는 결혼상태(F=7.438, p= .001), 입원실 유형(F=3.225, p= .043), 항우울제 복용유무(t=2.214, p= .028)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정도는 결혼상태(F=4.251, p= .016), 학력(F=3.435, p= .019), 취침시간(F= 3.312, p= .039), 기상시간(F=8.392, p= .000), 총 수면시간(F=5.590, p= .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영적안녕 정도, 우울 정도, 수면의 질 정도와의 관계에서 영적안녕 정도와 우울 정도는 미약한 역 상관관계(r=-. 002, p= .008)가 있었고, 영적안녕 정도와 수면의 질 정도는 미약한 순 상관관계(r= .170, p= .042)가 있었고, 우울 정도와 수면의 질 정도는 약한 역 상관관계(r=- .383, p= .000)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입원노인환자들의 영적안녕 정도가 높고, 우울정도가 낮을수록 수면의 질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원노인환자들의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영적안녕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낮출 수 있는 전인적이고 통합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Nowadays, as increasing the elderly population, the ratio of the elderly patients in the hospital, also rapidly increases. In addition, nursing intervention is needed, since most elderly inpatients suffer from the change of quality of sleep according to pain from diseases and environmental change including a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sleep in elderly inpati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consists of 143 elderly above 65 years who patients in 5 general hospitals within B metropolitan cit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piritual Well-being Scale' developed by Paloutzian & Ellison(1982), translated by Choi, Sang-soon(1990), and corrected and modified by Kang, Jeong-ho(1996). 'Depression Scale' developed by Zung(1965), corrected and modified by Jeon, Si-ja(1989). 'Quality of Sleep Scale' developed by Oh, Jin-ju Song, Mi-soon Kim, Sin-mi(1989). The data was collected by use of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ly,1 to 30 in 2006. The method is that I and one trained researcher visited the selected hospitals and handed out questionnaires to those who accepted to join the research, also read it to them directly, and re-explained the meaning of questions in tune with their understanding level, and then the researcher and assistant researcher wrote down their answers before taking back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by SPSS/PC 12.0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s,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s, maximums, minimums,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1. Mean value of spiritual well-being was 50.75±8.52(Min 41, Max 72 scale) and average mark 2.22± .569(range 1 to 4). Mean value of depression was 25.44±6.26(Min12, Max 43) and average mark 2.45± .321(range 1 to 4). Mean value of quality of sleep was 36.88±4.81(Min24, Max51) and average mark 2.67± .314(range 1 to 4). 2.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piritual well-being were marital status (F=3.305, p= .040), Religion(F=2.792, p= .029), the history of hospitalization(F=3.257, p= .041), the meaningfulness of God or religion(t= .957, p= .000), the necessity of religious life(F=10.049, p= .000), the frequency of attendance at service or meeting of church(F=6.580, p= .000), and the influence of religion on life(F=7.368, p= .00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depression were marital status(F=7.438, p= .001), the type of hospital room(F=3.225, p= .043), and whether taking antidepressant or not(t=2.214, p= .028).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quality of sleep were marital status(F=4.251, p= .016), academic background(F=3.435, p= .019), bedtime(F= 3.312, p= .039), getting up time(F=8.392, p= .000), and total sleeping hours(F=5.590, p= .001). 3.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shows low negative correlation (r=- .220, p= .008).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sleep shows low positive correlation (r= .170, p= .042).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quality of sleep shows low negative correlation (r=- .383, p= .000). In conclusion, as the higher was the quality of sleep level the elderly patients as the spiritual well-being was higher and the depression was lower. Therefore, to enhance the quality of sleep level of the elderly patients, it is suggested that one should offer them the whole man-oriented and integrated nursing intervention which could enhance their spiritual well-bing as well as lower depression level.

      • 입원 아동 어머니의 사회적지지와 대처의 관계

        이은주 창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입원 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입원 아동 어머니가 자녀의 질환과 입원 상황에 대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 1개 아동전문병원 40병상의 소아과 병동 입원 아동 어머니 17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7년 7월 1일부터 9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김사라(2016)가 환아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한 사회적지지 측정도구로 측정하였으며, 대처는 McCubbin 과Patterson(1983)이 개발한 대처측정도구 CHIP(Coping Health Inventory for Parents)를 오진아(1997)가 번역, 수정하고, 이미진(2010)이 환아 어머니의 자녀의 질병과 입원에 대한 대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원 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평균 3.93점(5점만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평균 3.94점으로 가장 높았고, 평가적 지지가 평균 3.88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대처는 평균 3.00점(4점만점)으로 하위 요인에서는 대처 Ⅰ이 평균 3.25점으로 가장 높았고, 대처 Ⅲ이 평균 3.00점으로 가장 낮았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자녀 성별(t=2.25, p=.026), 종교유무(t=1.97, p=.050), 경제 상태(F=4.35, p=.0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대처의 차이는 자녀 성별(t=2.18, p=.030), 최종학력(F=-2.63, p=.009), 경제 상태(F=3.93, p=.0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입원 아동 어머니의 대처는 사회적 지지(r=.563,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입원 아동 어머니의 대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과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입원 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대처의 하위요인과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처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간에도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입원 아동 어머니의 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졸이상과 평가적 지지로 나타났으며, 입원 아동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평가적 지지가 높을수록 대처를 높게 인식하였다. 6. 입원 아동 어머니의 대처Ⅰ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평가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로 나타났으며, 입원 아동 어머니의 평가적 지지가 높을수록, 물질적 지지가 높을수록 대처Ⅰ을 높게 인식하였다. 7. 입원 아동 어머니의 대처Ⅱ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있음과 대졸이상, 종교유무, 평가적 지지로 나타났다. 입원 아동 어머니는 직업이 있고, 대졸 이상이며, 종교가 있고, 평가적 지지가 높을수록 대처Ⅱ를 높게 인식하였다. 8. 입원 아동 어머니의 대처Ⅲ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졸 이상으로 나타났다. 입원 아동 어머니는 대졸 이상일 때 대처Ⅲ을 높게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입원 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대처가 높아지는 것으로 규명되었으며, 입원 아동 어머니의 대처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각 하위요인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에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는 입원 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대처 및 그 하위요인의 관계를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입원 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연구들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아동간호 실무에서 아동의 주 간호 제공자인 입원 아동 어머니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군병원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환자-대조군 연구

        김희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919

        이 연구는 일부 군병원을 대상으로 현재까지 재입원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요인을 병원전단계(pre-hospital stage), 병원단계(hospital stage), 병원후단계(post-hospital stage)로 분류하여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단위는 환자였으며 연구대상은 군병원 중 군단지원병원 2개소를 선정하여, 이 병원에 1998년 1월 1일부터 1999년 4월 1일까지 신경외과와 정형외과에 입원한 환자중에서 동일병명으로 2회 이상 입원한 경우에 환자군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 입원과, 질병명을 기준으로 1대 3으로 짝짓기 하여 대조군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병원전단계의 변수중에서 이전 병원 입원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 재입원 할 가능성이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병원단계의 변수로는 입원경로와 수술여부, 혈액학적 검사결과, 방사선학적 검사결과, 입원당시의 합병증 유무를 분석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병원후단계의 변수로는 퇴원신체등급만을 고려하였다. Х^(2) 검정결과 1, 2 ,3급을 한 군으로 하여 4급과 비교했을 때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거나 이전의 연구결과 재입원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변수들을 가지고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였을 경우 퇴원당시의 신체등급의 유의수준 0.05에서 1, 2, 3의 경우에 비하여 4급의 경우 비차비가 0.358로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행연구에서는 조기 재입원은 입원진료과정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조기재입원의 위험은 진료가 상대적으로 낮은 질이었을 때 50%가 증가하였다고 보고된 반면,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군병원에서 병원단계에서 제공하는 환자진료 과정의 변수는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퇴원후의 재활이나 보직변경이 재입원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환자군의 수가 적고, 조사한 대상 질병이 관절이나 디스크에 국한한 질병으로 비교적 치료가 간단한 질환이었다. 따라서 병원단계에서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부적절한 진료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사후연구는 외과계 질환 뿐만 아니라 내과계 질환을 포함하여 보다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며, 대상 병원도 군단지원병원같은 1차 병원의 역할을 수행하는 병원뿐만 아니라 보다 상급기관인 군지원병원과 후방병원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early readmission in an Armed Forces hospital. This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from two military hospitals following orthopedic surgery and neuro surgery diseases between January 1, 1998 and March 31, 1999. The cases included 21 discharged patients with an unexpected readmission within 60 days of discharge. There were 63 controls that had only one discharge during the study period. Logistic model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variables for previous history in prehospital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readmission statistically. 2. The variables for physical grade of hospital discharge in the post-hospital stag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readmission statistically. 3. The variables for readmission route in the hospital stage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variables of the care proces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readmission and rehabilitation. AS well, the condition of labor after discharg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readmission statistically. This study was limited due to the fact that the number of subjects was not large enough and therefore it is not easy to generalize. In a previous study, early readmiss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edical treatment for hospitalization and the danger of early readmission increased by 50% as medical treatment relatively deteriorated. After exam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variables of medical treatment offered to patients at the hospital stage was considerably influenced in a military hospital, after being discharged from hospital, rehabilitation or position change influenced readmission. However, in this research, the number of cases was limited and the examined disease related to joint or disc, which is a relatively simple condition to treat. Therefore, the information about improper medical treatment that influences readmission was not obtainable at the hospital stage. The following research is require further study that will examine a wider range of diseases, including medical as well as surgical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