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가로입면 영상 시계열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세운재정비촉진지구 5구역을 중심으로

        최희곤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examines to comparison study of time series urban street facade images to find a way to use suggest urban change monitoring method. In recent years, the trend of urban policy has changed from redevelopment to urban regeneration. Thus the importance of urban monitoring is emphasized and attempts to utilize spatial data are actively taking place. In particular, the large-scale spatial data that can be acquired through novel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is expected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city monitoring. However, these studies are focused on aerial monitoring data such as satellite images or aerial photographs. Ground observation spatial data including road view are not yet utilized active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objective analysis criteria for street facade changes. This study adopts the gentrification phenomenon as representative urban changes to set up major analysis criterion. Facade components such as signboards, entrances, windows, finishing materials, and floors were extracted from the street facade images acquired by various sources. Sewoon District 5 was chosen as a subject area since Sewoon District 5 was designated as an urban improvement project area. Two indicators were use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District 5, ‘elevation change amount’ and ‘number of transverse facade components changed.’ First, 'elevation change amount' is an index adding up all the change amount for each elevation component, which can grasp the change rate of the street facade. The 'number of changed street elevation components' is an index that detects changes in the type of elevation related to the building usage behavior. It identifies what changes are currently occurring in the street. I assume that the more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changed elevation at the same tim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hanging building uses. The results of the spatial analysis of the street facade change of the 5 districts applying the two indica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speed of change in the street facade of District 5 is accelerating since 2019. The elevation of the building changes more frequently as it is closer to the roadside. In particular, the southeastern area(Euljiro 4-ga) is the place that has changed the most. And the influence of change is spreading to the west of Cheonggyecheon-ro 5-gil, where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concentrated. Second, the inflow of food and beverage industry and new construction, remodeling for small medium-sized buildings are increasing. In the southeastern area(Euljiro 4-ga) mentioned above, not only the street facade change per area was the most, but also the change related to the industry change was the most. Third, Sewoon District 5 needs to carry out urban monitoring to maintain the current regional identity. Sewoon District 5 can be diagnosed as the stage of regional revitalization or the beginning of commercial district change according to the gentrification index. As a result, the time series analysis of street facade images verifies meaningful urban changes in Sewoon Ditrcict 5. Using this method urban monitoring could be feasable for urban planning. In addition, the analysis process of the change in the street facade is closely related to machine learning technology. For further studies to analyze the change of the street facade are conducted, the image data of the street facade generated by various institutions can be used to construct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automatic change detection. We speculate even non-experts will be able to generate urban change monitoring results that evaluate the goals of urban policy and make a systematic diagnosis of urban conditions. 본 연구는 도시 가로입면 영상을 시계열적으로 비교분석하여 도시변화 모니터링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재개발에서 도시재생 방식으로 도시 정책의 기조가 바뀌고 도시모니터링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공간 데이터를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벌어나고 있다. 특히 정보화기술의 발달로 취득가능해진 대규모의 공간 데이터 는 GIS,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동탐지기법 등의 기술과 응용되어 도시모니터링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면 이러한 연구들은 아직까지 위성영상, 항공사진 등 항공모니터링 데이터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도시 가로입면영상은 공공기관과 다양한 민간단체들이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모니터링 업무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세운 5구역을 대상으로 문헌 조사를 통한 가로입면 변화에 대한 분석기준과 정량적으로 활용가능한 입면 구성요소 데이터를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변화 측정의 지표를 구성하고 검증하여 도시변화 모니터링에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로입면 영상에서 간판, 출입구, 창호, 마감재, 층수라는 입면 구성요소 데이터를 추출하고 ‘입면변화량’과 ‘변화한 가로입면 구성요소 개수’라는 두 가지 지표를 사용해 가로입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입면변화량’은 입면 구성요소별 변화량을 모두 더한 값으로 가로의 변화속도를 파악하는 지표이다. ‘변화한 가로입면 구성요소 개수’는 건물 사용행태와 연관된 입면의 유형변화를 추적하여 현재 가로에 어떤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지표로, 동시에 변화한 입면 구성요소의 개수가 많을수록 건물의 사용용도가 전환되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지표로 세운 5구역의 변화를 다음과 같이 진단했다. 첫째, 2019년 이후로 세운 5구역의 가로입면 변화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대로변과 가까운 곳일수록 건물 입면이 잦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세운 5구역의 남동측 구역(을지로4가)의 변화를 기점으로 제조업이 밀집된 창경궁로5길의 서측으로 영향력이 번져나가고 있다. 둘째, 식음업종의 유입과 중소규모의 건물을 대상으로 한 신축 및 리모델링이 늘어나고 있다. 앞서 언급했던 남동측 구역(을지로4가)은 동일 면적당 입면변화량이 가장 많을 뿐만 아니라 업종 변경과 관련된 변화 또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사실들을 젠트리피케이션과 연관지어 생각해보면 현재 세운 5구역은 지역활성화 단계 혹은 상권변화 시작단계인 것으로 진단된다. 따라서 지역의 정체성 유지를 위해 정기적인 도시변화 모니터링이 시행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지표를 설정하여 GIS에 대입하고 공간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 세운 5구역의 가로입면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빠르고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면 도시모니터링 과정에서 현장조사로 인한 피로도와 현장 조사자의 정성적인 판단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 해당 가로입면 변화의 분석과정은 머신러닝 기술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가로입면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들이 더 진행된다면 여러 기관에서 생성된 가로입면 영상 데이터들을 자동변화탐지를 위한 머신러닝 모델 구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변화 모니터링에 머신러닝을 통한 자동변화탐지기법이 사용된다면 비전문가더라도 도시정책의 목표에 부합하는 도시변화 모니터링 결과물을 생성하고 도시 상황에 대해 체계적인 진단을 내리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 立面造景 計劃技法의 開發

        이화무 弘益大學校 建築都市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시는 자연환경을 개발하여 조성된 생활환경이지만, 그 개발에 따른 인공화의 척도가 높다. 도시화는 도시민이 정착하기에 안전하고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유지하고 있으나 급속한 도시화와 성장위주의 개발 과정에서 도시경관은 매우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급속한 도시 과밀화는 도시환경을 크게 악화시켰다.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난 무분별한 개발은 수많은 절개면과 거대한 옹벽을 남겼고 이는 사람들에게 시각적인 압박감과 불쾌감을 주고 있다. 그 결과, 현재의 도시경관은 개성과 차별성이 부족하게 되었다. '도시의 미적 특성에 대한 연구'에서 월리엄스는 "도시환경이 시각적으로 무질서하고 지루하게 반복되기 때문에 미적인 만족을 거의 기대할 수 없으며, 그 결과 도시민들은 열악한 환경에 대하여 서서히 미적으로 무감각(無感覺)한 상태가 되므로 도시에 미적인 요소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도시의 과밀화와 건물의 고층화는 입면의 증가를 가져왔다. 그렇지만 경관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방치된 입면은 도시경관을 더욱 건조하게 만들고 있다. 삶의 질이 높아지고 미적 감각이 다양해짐에 따라 경관에 대한 이해와 욕구도 함께 증가하였으며 지역적 개성과 아름다운 도시경관 창출을 위한 보다 적극적이며 종합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입면이 갖는 경관적, 환경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입면조경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의 본 연구는 이러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해결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입면조경 대상지의 물리적 환경적 특성을 분석하고 입면녹화라 불리는 건축물 외부벽면녹화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적절한 입면조경기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생태적인 조경기법으로는 입면녹화에서 활용되었던 덩굴식물을 이용한 방법과 물 소재를 이용한 미기후, 밝기, 소리의 조절방법이 있다. 둘째, 예술적인 조경기법으로는 Super-Graphic, Mosaic, 조형물의 입면설치, 부 조를 이용한 공간정의와 지표물의 기능, 미적 기능을 증진시켜주는 방법이 있다. 셋째, 야간경관을 고려한 조명연출 기법은 직접조명과 간접조명으로 분류되며, 네온, 광섬유, 튜브조명등으로 입면을 연출하는 방법이다. 넷째, 신소재를 이용한 기법은 환경친화적인 신소재의 활용으로 입면을 조경하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공간 활용의 기법은 입면의 특성을 살려 암벽등반벽, 수직놀이터, 영화스크린으로의 활용방법이다. 위에 제시된 조경기법은 주어진 상황에서 종합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입면조경은 도시공간의 이미지 형성, 공간 활용성(活用姓) 증대, 예술의 활성화, 도시의 다변화, 생태적인 도시형성, 정서적 심리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입면은 도시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A city is living environment converted from natural surroundings via development but the degree of artificiality is high in general. In order for people to settle down as city dwellers, urbanization provided them with clean, safe, and convenient conditions but in the process of rapid urbanization and growth-oriented development, people paid little attention to scenic beauty of city. Rapid overpopulation drastically deteriorates living conditions of city. Disordered and monotonous repetition of incised walls and huge retaining walls, which imprudent left, generates a sense of visual oppression and displeasure. As a result, current urban scenery lacks its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distinctivenesses. In his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ity", Williams asserted that people expect little of aesthetic satisfaction from urban environment in which they reside since it repeats disorder and monotonousness. As a result, he added, they, gradually and aesthetically, become insensible to their poor surrounding and need to apply aesthetical factors to city. Increase in urban density and high-rise building resulted in increase in wall accordingly. Lack of understanding of scenery left the walls unattentive and thus it made urban scenery even more monotonous. As people become better off and had a variety of aesthetic sense, they also improved in understanding of and demand of scenery. In this regard, more aggressive and comprehensive plans are required for the sake of regional uniqueness and beautiful scenery. At this stage, the walls need landscaping to have scenic and environmental effects and thus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propose resolutions and fulfill the need. For this, it analyzes physical and environmental features of a target wall, understands problems in landscaping the wall, and finally proposes appropriate methods as follows. First, ecological method includes adopting creeping plant used to afforest walls and adjustment of climate, luminosity and sound by using water. Second, artistic method includes Super-Graphic, Mosaic, installation of molded thing, defining space by using a relief, and improving aesthetic function. Third, illumination method is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illumination and includes the use of neon, optical fiber, and tube. Fourth, new material method is to adopt environmentally-friendly new material. Last, space-utilization method is to utilize its features as artificial rock, vertical playground, and movie screen. The five methods proposed above have to be applied comprehensively to given environment. Those methods provide people with image creation of urban space, increase of space utilization, activation of art, diversification of city, establishment of ecological city, and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erefore walls can be seen as potential space to improve urban scenery.

      • 입면 형태 구성요소 분석을 통한 Energy BIM기반 파사드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주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Environmental contamination has been a global issued problem and each country tries to make a solution for it. In South Korea, institutional solutions like Energy Consumption Certification has been issued and proposed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However, it has been lack of solutions which consider architectural design method itself. After industrial revolution in 20th century, the façade desig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has been developed based on 'envelope' concept which is so different from the methods of design before. And achieving environment friendly is a global wide issue in these days. Accordingly, the substantive development for environmental problems in architectural design method, which is extension of present architectural theories are requir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d on energy performance based façade design method for renovation projects which must be considered existing building situation and context. First of all, building facades of South Korean national universities which constructed through 1960's and 1970's are analyzed with the compositional design method. Second, the certain elements of façade's design properties are simulated to find differences of energy performance. Through this process we can see the correlation between façade element design and energy performance with not only the definite design method of energy performance based façade design but also design process that architects can approach.

      • 집합주택의 입면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1980년대 이후 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준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6

        국 문 초 록 20세기 후반 산업화와 공업화를 거치면서 사회는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집합주택은 생활적 편리함이 더해져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주거유형이 되었다. 더욱이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개성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규격화된 집합주택에서도 디자인 측면을 강조하게 되었고, 이러한 집합주택의 미적요구 증대는 주택의 내부디자인뿐만 아니라 외관의 디자인 형태도 중요한 관심 대상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국내 집합주택들은 획일적으로 고정되어 뿌리 깊게 정착된 박스형의 주택들과 입면의 특성을 무시한 단순한 타워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동일한 형태의 주거단지를 형성하고 획일적인 입면들만이 존재하여, 도시의 삭막함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는 것이 국내 집합주택의 현실이다. 따라서 국내 집합주택의 현실적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집합주택에서 입면디자인이 가지는 다양한 의미와 그 요소들을 정리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집합주택 사례를 통해 입면디자인 요소들을 파악하여 분석함으로써, 집합주택의 입면디자인 요소를 알아보고 결과적으로 입면의 다양화를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집합주택의 입면 구성요소를 살펴보았고, 국내 집합주택의 입면 특징을 개략적으로 파악하였다. 획일화된 국내 집합주택 입면디자인의 개선책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기 위해서 유럽의 대표적인 집합주택 16사례를 중심으로 19개의 입면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입면에서 나타나는 특성에 따라 각 디자인 요소를 분류하고, 도식화를 통해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입면에서 표현되는 디자인 요소들은 개별 단위주호의 내부공간과 관련되어 입면 상에 표현되는 측면, 2차원적 입면의 표면(외피)에 존재하여 외부에서 인지되는 측면, 3차원적 매스의 부피를 가지고 강조되는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본 연구에서는 각각 <공간의 외적표현>, <시각적 표현>, <주동 유형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분석의 틀로 활용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통한 입면디자인 결정요소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의 외적표현으로 입면에 존재하는 벽, 창, 발코니의 경우는 벽을 중심으로 창과 발코니의 형태와 배열에 의하여 입면디자인 요소로 나타났으며, 전체 입면에서의 통일성과 질서성에 깊은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시각적 표현은 개별 집합주택의 입면마다 부각되어진 요철 및 강조와 색채, 소재 및 질감에 의해서 특징지어졌다. 특히, 요철 및 강조에서 사용된 다양한 요소들의 대비와 강조원리에 의하여 사례별 구분이 명료하게 나타났으며, 입면의 첫 인상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출하였다. 셋째, 주동 유형의 표현은 3차원적인 특징을 가지는 요소로서, 입체적 강조 부분에 의하여 사례별 특징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입체적 강조 부분에 사용된 요소들을 통해 다양한 시도의 흔적들이 나타났으며, 이것은 집합주택의 아이덴티티와도 관련성이 깊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유럽의 사례들에서는 개별 집합주택의 특징을 각각의 입면을 통해 분명하게 알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유럽 집합주택은 입면에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요소 중 고유의 특징을 보여줄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선택하여 그에 따른 표현적 수단을 한정하여 입면디자인을 완성하였다. 국내 집합주택의 입면에서는 유럽과 같은 움직임과 디자인함에 있어 새로운 시도들이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그로 인해 입면의 형태가 경직된 상태로 머물러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입면디자인의 표현을 통해 획일화된 입면 형태를 지양하고, 고정된 집합주택 유형에서 탈피해야 하겠다.

      • 간판과 건물 입면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간판 규제 도입 이후의 양상을 중심으로

        김아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6

        간판은 사람들이 도시를 인식하고 목적지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한다. 도시 속의 수많은 정보들 중 본인의 것이 더 잘 보이도록 하는 간판들의 공통적인 목표로 인해 무분별한 난립 문제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간판을 통해 도시를 인식하는 방식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바탕이 된다. 특히 상업가로의 구성 요소 중 건물의 입면과 간판의 역할을 케빈 린치와 로버트 벤추리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해해볼 수 있다. 입면은 건물의 indentity로써 주로 인상메시지를 전달하며, 또한 도로와의 관계를 형성하는 structure로써 위치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반면 간판은 정보와 의미를 담고 있는 meaning으로써 문장메시지를 전달하며 보행자와 소통한다. 이들은 각자 역할을 하며 보행자가 목적지까지 way-finding하는 과정을 돕는다. 하지만 이들의 역할은 특정 상황에 따라 혼재되거나 대체되기도 하는데, 특히 간판 규제로 인해 간판의 물리적 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건물의 입면 또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간판과 입면의 관계성이 변화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간판과 입면의 관계성에 관한 분석은, 현 간판 규제가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적절히 기능하고 있는지 그 타당성을 고찰하는 바탕이 된다. 본 연구는 이를 목표로 하여 강남역 인근 상업가로 중 두 도로를 대상으로 총 55개의 건물의 간판과 입면 실태를 조사한다. 대상지의 간판과 입면의 관계성은 간판 규제에 대한 대응 방식의 결과로 그 양상이 나타나는데, 특히 인접도로의 규모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대로변에 인접한 건물의 경우 도로 환경 특성상 간판의 가시성 및 광고 기능이 크게 중요시 되지 않아, 작은 크기의 평범한 간판으로도 충분히 기능을 하며 입면이 간판의 역할을 보충해줘야 할 필요성이 적으며, 이에 따라 입면이 독자적으로 디자인되는 경우가 드물게 관찰되었고, 골목에 인접한 건물의 경우 간판 규제로 인해 간판의 크기가 아주 작아지는 등 가시성 및 광고성 등의 기능을 거의 상실하게 되어 입면의 디자인이 중요해지며 그 비중이 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간판 규제의 타당성을 고찰한 결과, 대로변의 경우 규제의 적용이 간판의 기능을 저해하기보다는 오히려 편의성을 높여 입면의 변형 없이 정돈된 미관을 형성하였고, 골목의 경우 또한 난립 문제를 해결하고 미관이 개선되었다는 점에서 간판 규제는 각 환경에서 모두 적절하게 기능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Signboards play an important role and function in the process of people recognizing cities and finding destinations. Understanding how to recognize a city through a signboard is the basis for solving the problem at a time when the problem of indiscriminate confusion arises due to the goal of signboards that make one's own among the numerous information in the city more visible. In particular, the role of the building's elevation and signboar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ommercial street can be understood based on the theories of Kevin Lynch and Robert Venturi. Elevation mainly delivers the ephysiognomic message as an identity of a building, and also delivers the locational message as a structure that forms a relationship with the road. On the other hand, signboards communicate with pedestrians by delivering the heraldic messages as meaning that contains information and meaning. They play their respective roles and help pedestrians in the process of way-finding to their destination. However, their roles may be mixed or replaced depending on certain situations, especially as the physical shape of the signboard changes due to the regulation of the signboard, the building's elevation is also directly aff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board and the elevation changes.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boards and elevation is the basis for examining the validity of whether the current sign regulations are functioning appropriately to solve urban problems. With the aim of this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gnboards and elevation status of a total of 55 buildings on two of the commercial streets near Gangnam S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board and the elevation of the target site appears as a result of the method of responding to sign regulations, especial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djacent road. In the case of buildings adjacent to the boulevard, the visibility and advertising functions of the signboard are not very important due to the nature of the road environment, so there is little need for the elevation to supplement the role of the signboard. In the case of buildings adjacent to alleys, the size of signboards has become very small due to regulations on signboards, and functions such as visibility and advertising have almost been lost, so the design of the elevation has become important and its proportion has increas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lidity of sign regulations based on these studies, it was determined that sign regulations function appropriately in each environment in that the application of regulations on both boulevards and alleys solved the problem of signboards and improved aesthetics.

      • 공동주거단지 입면차폐지표의 상관성 연구

        이찬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6

        This study focused on what correlation physical indexes of apartment complexes have in relation to visual blockage, based on the premise that methods to improve visual openness of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efore the stage of creating the apartment complex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and reveal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evation blockage-related indexes of apartment complex, thereby suggesting a direction to modify or complement the indexes in being utilized for future management of cityscape. The conclusion from the analysis of the study and the researcher's suggestion about regulation and application of elevation blockage index are summarized as follows. All elevation blockage-related indexes except facade area were observed to have a higher correlation with physical indexes related to apartment complex than those related to apartment building. This, after all, means that various indexes about apartment complex rather than apartment building should be taken into careful consideration in the initial designing stage to lower visual blockage in terms of cityscape. In a large sense, the elevation blockage ratio and building openness index were observ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physical indexes which are related to the scale of apartment complex. Accordingly, it appears to be appropriate that detailed regulation which correspond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depending on its scale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regulation on elevation blockage. Detailed analysis results and suggestions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facade area, elevation building-to-land ratio, and physical indexes, the elevation building-to-land ratio could be lowered by widening the distance between front apartment buildings of the complex, but the distance between apartment buildings from other sides are observed to be narrowed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elevation building-to-land ratio appears to be necessarily regulated and taken into planned consideration from all four sides rather than a particular side. The bigger the size of complex, the easier to secure roadside openness from main direction. But it appears to be relatively difficult to secure roadside openness from lateral direction. This is judged to be because of a phenomenon in which the bigger complex has the wider frontage road. Accordingly, when a large scale apartment complex is designed, it should be more carefully considered to secure roadside openness from lateral dire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ther apartment building is board type or cylindrical is judged as not having big influence from all aspects when elevation blockage indexes are measured from all four sides.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proportion of board type apartment in the complex cannot be a factor to decide elevation blockage-related indexes. It was observed that the higher green area ratio, the poorer roadside openness. This appears to be because green spaces are created in the enveloped space. Accordingly, a plan for creating green space, which considers the connectivity with approaching road to the complex, is necessary to secure roadside openness from outside of the complex.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 higher an apartment building, the better lower floor elevation blockage ratio and the poorer whole floors elevation blockage ratio. Such adverse influence means that regulations of other types according to the maximum hight of the apartment building would be necessary for future practice of regulation and system. It is observed that building openness index has correlation with green area ratio rather than outdoor living space ratio. Accordingly green area ratio is judged to be an major considering factor in determining building openness index. In case of public facility area, it is observed to have a correlation with view blockage ratio positively in main direction and negatively in lateral direction. This appears to be a result of the layout of public facility being concentrated in the main direction. Accordingly, such consideration is judged to be necessary in the initial layout designing stage of public facility for effective arrangement of view blockage ratio in both main and lateral direction. Examining correlation between elevation blockage indexes, elevation blockage ratio has very high correlation with other elevation blockage indexes, and is judged to be the most explanatory among elevation blockage indexes.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of two sides and four sides estimation of elevation blockage-related index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um of total indexes. So, four sides estimation of elevation blockage-related indexes is revealed to be more valid. Especially, since the difference was observed to be great in case of roadside openness and building openness index, four sides estimation is more valid in case of regulation by the two indexes. 본 연구는 고층 공동주택단지의 시각적 개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단지의 조성 단계 이전부터 이루어져야 한다는 전제 하에 공동주택단지를 구성하는 물리적 지표들이 입면 차폐와 관련하여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가에 주목하였다. 또한 공동주택 입면 차폐 관련 지표들 각각의 상호 상관관계를 살펴 각 지표들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이러한 지표들이 향후 도시경관 관리 측면에 활용됨에 있어 수정&#8228;보완되어져야 할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분석되어 도출된 결론과 더불어 연구자가 입면 차폐 지표의 규제 및 운용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는 사항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입면적을 제외한 모든 입면 차폐 관련 지표들은 주동과 관련된 물리적 지표보다 단지와 관련된 물리적 지표와 상관성이 높다. 이는, 공동주택 단지의 시각적 차폐감 개선을 위해서는 주동과 관련된 지표보다는 단지와 관련된 다양한 지표들에 대해 신중히 접근해야 함을 의미한다. 큰 틀에서 보았을 때, 입면 차폐도와 건축물 개방지수는 저층과 전층 모두, 단지의 규모와 관련된 물리적 지표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면 차폐에 대한 규제를 시행함에 있어 단지의 규모별 특성에 부합하는 세부적인 규제가 개발되어 운용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세부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면적 및 입면건폐율과 물리적 지표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단지 정면의 주동간격을 넓힘으로 하여 입면건폐율을 낮출 수는 있으나 다른 측면에서의 주동간격이 동시에 좁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입면건폐율은 특정 시점이 아닌 가능한 4면 모두에서의 규제 및 계획적 고려가 필요하다. 단지의 규모가 커질 수록 주방향 측면에서의 가로개방감 확보는 용이하지만, 부방향에서는 상대적으로 가로개방감 확보가 취약해진다. 이는, 대규모 단지일수록 단지의 전면도로 폭이 넓어지는 것에 의한 현상으로, 대규모 단지의 계획 시, 부방향에서의 가로개방감 확보에 대해 보다 신중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입면 차폐 관련 지표들이 4면 모두에서 측정되었을 때는 주동 형상이 판상형과 탑상형 부분은 단지 전체적인 측면에서는 큰 영향력을 가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단지 내 판상형 주동의 비율은 입면 차폐 관련 지표들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기 힘들다. 녹지공간율이 높을수록 가로개방감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녹지공간을 단지 내부의 위요된 공간에 조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지 외부에서의 가로개방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단지로 접근하는 가로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녹지공간의 조성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주동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저층입면차폐도는 향상되고, 전층입면차폐도는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반대급부적 영향력은 향후 입면차폐도의 규제 및 제도 운용에 있어, 주동의 최고 높이에 따른 다른 방식의 규제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건축물 개방지수는 옥외생활공간율보다는 녹지공간율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녹지공간율이 건축물 개방지수의 기준설정에 있어 주요한 고려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공시설면적의 경우, 조망차폐율과 주방향에 대해 정적 상관이, 부방향에 대해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시설의 배치가 주방향으로 편중되어 있어 나타난 결과이다. 따라서, 주방향과 부방향 조망차폐율의 효과적 안배를 위해서는 초기 공공시설의 배치 계획 시 이와 같은 부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입면 차폐 지표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입면 차폐도가 다른 입면 차폐 지표들과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나, 입면 차폐 지표 들 중 대표적인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입면 차폐관련 지표의 2면 산정과 4면 산정 값의 평균차이검정결과, 각각의 지표 전체합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입면 차폐관련 지표의 4면 산정이 보다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가로개방감과 건축물 개방지수의 경우 그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 두 가지 지표에 의한 규제 시에는 4면의 산정이 보다 타당하다.

      • 랜덤 패턴 입면의 시각적 복잡성 측정을 위한 순열 엔트로피 기반 연산모델

        장도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6

        건축가는 직교 그리드를 따르는 대다수의 건물 입면과 차별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랜덤 패턴 입면을 활용한다. 랜덤 패턴 입면은 창호를 포함한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배열이 다양하게 조합된 결과이다. 이는 구성요소의 무작위한 배치에 기인하지만 그 심미성의 수준은 설계안마다 달라진다. 현재의 컴퓨테이셔널 디자인 도구는 난수 생성기를 토대로 랜덤 패턴 입면을 생성하는 다양한 기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입면의 자체적인 균형 또는 그것과 주변 환경이 이루는 균형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부재하다. 시지각 분야 전반에서 랜덤 패턴을 포함한 다양한 패턴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접근은 시각적 복잡성을 매개로 이루어진다. 시각적 복잡성은 다양한 시각적 대상물에 대한 인간의 인식, 선호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시각적 복잡성은 다양한 수학적 방법에 의한 측정이 가능하다. 특히, 정보 이론의 엔트로피 개념은 건물 입면 및 도시 경관의 복잡성 측정에 꾸준히 활용되어 왔다. 그런데 엔트로피 측정 공식 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인 샤넌 엔트로피(Shannon’s entropy)는 데이터 성분의 출현 빈도수를 대상으로 복잡성을 측정하기 때문에 랜덤 패턴 입면의 시각적 복잡성을 구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인접한 구성요소의 배열에 의한 랜덤 패턴 입면의 복잡성을 측정하기 위해 데이터 성분의 크기에 따른 순서에 의미를 부여하는 순열 엔트로피(permutation entropy)를 도입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랜덤 패턴 입면의 시각적 복잡성을 측정하기 위해 순열 엔트로피 기반 연산모델을 제안하고, 랜덤 패턴 입면이 가진 자체적인 균형과 주변 환경과의 균형을 시각적 복잡성의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순열 엔트로피를 2D 기반의 건물 입면 패턴에 적용하기 위해 시각적 속성 코드화, 차원 축소, 패턴 추출, 정규화 및 가시화를 포함하는 연산모델을 제안했다. 본 연산모델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했다. 실험 1, 2는 시각적 복잡성 연산모델을 랜덤 패턴의 대표 유형에 적용하여 기초적인 성능을 확인했다. 실험 3은 다양한 환경에 있는 랜덤 패턴 입면을 대상으로 자체적인 시각적 복잡성을 분석하고, 주변 환경의 시각적 복잡성을 정량적으로 비교했다. 실험 4, 5는 연산모델을 랜덤 패턴의 상향식, 하향식 생성 기법과 결합해서 사례연구를 수행했다. 상향식 생성 기법은 셀룰러 오토마타를, 하향식 기법은 커브 어트랙터를 활용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순열 엔트로피 기반 연산모델은 랜덤 패턴 입면의 심미성과 시각적 복잡성이 가지는 관계를 규명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건물 입면 설계에 있어 심미성의 고려가 설계자의 주관적인 취향이 아닌 객관적인 성능으로 다뤄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나아가 도시 경관 관리에 있어 주변 건물 및 환경과의 균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으며, 랜덤 패턴 및 시각적 복잡성과 관련된 다양한 대상에 확장 적용 가능하다. Architects use random patterns on building envelopes to make them differentiate from most ones based on orthogonal grids. The random pattern envelope results from various combinations of the size, shape, and arrangement of facade components, including windows. It is due to the random layout of parts, but the aesthetics varies from design to design. Current computational design tools provide various techniques using a random number generator in designing random pattern envelopes. However, there is no way to measure the self-balance of the envelopes or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cross the field of visual perception, the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atterns, including random patterns, are mediated by visual complexity. It is because visual complexity affects human perception, preference, and behavior related to visual objects. Various mathematical methods can measure visual complexity. In particular, entropy concepts in information theory have been consistently utilized to measure the visual complexity in building envelopes and urban landscapes. However, Shannon's entropy, the most basic form of entropy formula, has a limitation that cannot distinguish the visual complexity of random pattern envelopes because it is based on the frequency of data. This research introduces permutation entropy, which gives meaning to order by size of data to measure the complexity of random pattern envelopes caused by the arrangement of adjacent compon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permutation entropy-based computational model to calculate the visual complexity and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ir balances and balances with their surroundings in terms of visual complexity. The computational model includes coding of visual attributes, dimensional reduction, pattern extraction, normalization, and visualization to apply permutation entropy to 2D-based building envelope patterns.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computational model and analyze its results. Experiments 1 and 2 confirmed the underlying performance by applying the computational models to representative types of random patterns. Experiment 3 investigated the visual complexity of the random pattern envelopes in various environments and quantitatively compared them. Experiments 4 and 5 combined the computational model with bottom-up and top-down design methods of random patterns to perform case studies: Cellular Automata for a bottom-up approach and Curve Attractor for a top-down one. The computational model can be utiliz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esthetics and visual complexity of random pattern envelopes. It means that designers can treat visual complexity as an objective performance rather than a subjective taste in designing a building envelope.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sent criteria for balance with surrounding buildings and environments in managing urban landscapes. It also is extensively applicable to various targets related to random patterns and visual complexity.

      • 시선거리에 따른 건축입면 계획에 관한 연구 : 관공서 및 문화예술센터를 중심으로

        임진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6

        현대 건축의 고층화와 거대화의 흐름에 맞추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온 것에 반하여. 저층형 건축물들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그 관심의 범위에서 멀어져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형 스케일의 저층형 건축물 중 관공서와 문화센터를 중심으로 그 입면구성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법의 하나로서 시선거리에 따른 입면 계획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외 기존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론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동공에서 건축물에 이르는 최단거리를 시선거리로 정의하여 이를 건축물의 인식에 있어서의 단계를 설정하는 데 사용하였다. 대상 건축물은 그 폭이 35m, 48m, 80m, 100m인 4개를 선정하였고, 건축물 전체를 인식하는 수준을 중심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건축물의 시선거리는 그 폭에 의해서 결정되며, 총 4개의 단계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각 단계의 내용과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제 1단계는 전체조망과 시점위치의 평면화의 단계로서 건축물의 폭을 1로 보았을 경우 3 ∼5이상의 시점거리에서 인지될 수 있으며, 제 2단계는 건축물의 최외곽 인식 수준의 단계로써 평균적으로 0.86의 수준이었다. 제 3단계는 돌출부의 하단이 입면에 작용하는 수준으로 0.5미만이라는 한계 수치를 제안하지만 1, 3단계 사이 전체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제 4단계는 건축물 전체를 분할 인식하는 단계로서 개구부에 근접했을 시에 인지되는 수준이다. 규모별 결과의 차이를 분석해 보면 전체 인식의 수준의 수준에 있어서의 결과는 동일하였으나, 소규모 건축물에 있어서는 시선거리가 좀더 짧아지는 경향을 대규모 건축물에 있어서는 그 반대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건축물 최외곽에 이르는 시선거리의 절대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소형건축물이 대형 건축물에 비해 짧게 형성되는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둘째, 각 단계별 인지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에서는 건축물 전체가 평면화 인식되며, 시점위치가 모든 면에 수평적이다. 작은 수준의 모듈 변화가 구별되지 않으며, 돌출부 등이 그림자에 의해 주로 인식되는 특징을 보이고 색 사용에 의한 역전현상이 가능하다. 또한 재질의 특징이 드러나지 않는다. 제 2단계에서는 시각 전체에 건축물이 들어오는 마지막 단계로 시선경로가 결정되고, 시점 위치의 변화가 가장 심한 단계이다. 제 3단계에서는 돌출부의 하단이 입면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단계로서 벽체와 동시에 인식된다는 점이며, 2단계에서 설정된 시점경로에 따라서 3단계의 경험이 결정된다. 제 4단계에서는 건축물 인식의 방향성이 정면에서 측면으로 변환된다. 모듈이 투시도 라인처럼 작용하며 바닥과 함께 인식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셋째, 단계별 프로세스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의 입면 형태를 구성한다. 이는 기존의 입면 구성 시스템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한다. 2단계 구성에 있어서 전체 모듈을 단일형, Pattern type, Flow type 들 중 선택하고, 시점경로를 설정하도록 한다. 3단계 구성에서 돌출부 하단과 벽면부계획을 함께 진행시키도록 하고, 4단계에서 벽체와 바닥 계획을 함께 구성하며, 마지막으로 구성물을 통한 계획을 하도록 한다. 과연 입면 인식의 형태가 거리에 따라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 가는 디자인 계획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그러나, 관심의 초점이 되는 것은 이러한 부분들이 계획자에 의해서 분명히 고려되어져야 하며, 형태적인 변혁 이상의 새로운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에 있어서도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하며, 특히 저층형 장방형 건축물 이외의 형태에 있어서도 수학적 도구를 활용한 기준이 제시되고, 더불어 미학적인 면들 또한 충분히 고려된 연구가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high-rise and huge buildings in modern architecture, various researches into this area have been carried out. In contrary, I see that the researches into low-rise structure have relatively been made more lowly than above researches. Therefore, I go forward my study about government offices and cultural center in low-rise buildings, and I carry out my research into a distance of vision of elevation plan as a solution of this problem. The domestic and foreign examples are analyzed ,and experiments are done by me. In experiment, 25m, 50m, 75m, and 100m width of buildings are experimented-The most outer cognitive level. I focused on setting the most outer cognitive-level season. Furthermore, I reach a conclusion based on consecutive-step cognitive characteristics. First, the distance of vision in low-rise buildings can be decided by width, and classified as a four steps. The contents and rates of each step are following. The first step is the complanation-a total view and visual point- the distance of vision more than about 3-5 is recognized in case the width of building 1. The second step is the most outer recognition of buildings, and is averagely the level of 0.86. The third step is that a projecting lower part acts on the elevation, and that is less than 0.5. It means all between the first step and the third step. The fourth step is that we recognize divided building as we approach a fenestra. Second, let's see progressive cognitive characteristics. The first step is that the whole building is recognized as a complanation and a visual point place is horizontal in all sides. Small-sized module change is not distinguished, and a projecting part is recognized by shadow, so reversion phenomenon by using colors is possible. yet, characteristics of material quality cannot be seen. In this step, because we cannot see all the building in our eyes, a visual route is decided and the change of a visual point place is the sharpest. In third step, a projecting lower part affects an elevation a lot, and it is necessary to notice that walls and these parts are recognized simultaneously. This third-step experience is decided according to a visual route in the second step. In the fourth step, since the recognition of buildings from front to side. Structural module is recognized like a perspective line. Third, I want to suppose progressive process. It consists of the original elevation shape. In the first step, it is composed as a way of the former elevation formation system. In the second step, singular system, pattern type, flow type in all modules are selected and a visual route is set. In third step, I go forward a projecting lower part and wall plan at the same time. In the fourth step, the plan of walls and floors a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and I make a plan through the construction. It makes a big difference to recognize elevation through the distance. However, the focus on interest must be considered by the designers, and formative innovation can be possible. From now on, as these researches into these areas must be made and except low-rise, rectangular buildings, the standards must be pointed out as a mathematical instrument. In addition, use aesthetic sides must be considered.

      • 공동주택 입면분석을 통한 입면디자인 다양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현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6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ause lack of house, so people start to handle this problem in the middle of the city formation and modern change. In 18th century, regionalism movement has aris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dernism and pluralism to present new way. But facade of apartment didn't adopt the traditional character but follow the western style in planning method, plane unit, element factor of unit that cannot find its identity. These types which is spread from government's residental supply policy cause many problems and developed without alternative plan. These types divide the apartment lower·middle, high part, and planned by the house types of corridor and stairwell. using fixed form repeatedly, facade cannot have various forms. Elements of facade was changed various form to improve the facade, but not yet to upgrade its design level. As a result, this types of main building was adopted all the apartment after 1990'. So, this study provide the variation method of apartment facade through case study of outside the country and architectural theory to find proper apartment facade can be adopted in regional situation. From the case study of outside the country, Details organized by the area, situational modeling was founded from the method by considering surroundings, public area, regional settings. This method is to find essence of architecture itself adopting regional character. Based of understanding detail, the Joint, and lead it to connect each other. This way is to make facade from the meaning of detail that accept universal value from the areas which has experience and spirit of its own. This is the way that connect human and nature or new types of space to endow area with regional character and nature. So to speak, Leading change the facade of domestic apartment is to use these three method. ① Express the shape of detail by the view from the cityscape and shade design, symmetry, traditional elements of facade. ② Character of facade have to be decided by the traditional detail elements,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and form, open image, changing materials of module form ③ Details of elements have to be fixed by condition of site, development style considered by the surroundings As a result, Facade of domestic apartment needs details contain regional character that caused from the improvement of housetype. It means both micro and macro detail is important. Also, application of apartment facade needs various expression method of facade elements through improving the existing law. Understanding the connection of sites that have architectural style, structure, traditionalism which contain regional history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base of facade detail through these relation.

      • 파사드 입면구성 차이에 따른 간판의 인식경향 연구

        이후일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6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urban landscape is the elevation of the buildings that make up the sidewalk. Part of the elevation, the facade sign, leaves a visual-perceptual strong image for pedestrians and is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a public image of the cityscape directly. The public image of the street environment i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al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treet environment and is the product of active visual perception. The facade signboard is a private property that must be installed and managed by the owner, but it has a social responsibility as a public image in that it continuously affects pedestrians and street environments visually. The facade signboard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andscape that forms the image of the city. The importance of elevation management of buildings was raised by presenting guidelines and guidelines for the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design of signs along with the maintenance of illegal signs by local governments. However,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of installing facade signboards in order to preserve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businesses.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detailed laws and guidelines on how to mark the signs, friction between business owners and public officials is constantly emerging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signboards.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ades of commercial buildings and outdoor advertisements adjacent to the main road at 145 Gwanak-ro(Seoul National University Station ~ Gwanak-gu Office) in Seoul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erception trends of signboards due to differences in facade composition.”This area was selected for the "Street with Beautiful Signboards" project in 2008 and has a total length of 500m, with the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 underway from March 2008 to December 2008. Most commercial buildings in this area are leased and used by small businesses, and various types of facade signs are installed. As of September 2020, 223 signboards were installed at 220 businesses, of which 82, 36.8%, were found to be facade signboards. In this study, the'facade signboard' is defined as a signboard that is used so that the entire facade is recognized as an advertisement by finishing the exterior of a building with a different materia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type of signboard consisting of the facade of the entire elevation with high distribution among the investigated types. The classification of facade signboards was based on the size, colors, patterns, and materials of the facade of individual businesses, and based on this, analysi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tendency of the perception of outdoor advertisements due to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the facade, which led to the following measures for the composition of the facades of facade signboards for urban landscapes. First, since the facade signboards are mostly composed of the background color of the building an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facade of the facade,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the overall harmony with the facade of the building rather than the excessive use of intense colors, and was induced to be visually seen as the facade of the building. Second, simplifying the visual confusion of the facade required quantitative guidelines for the specifications of each building so that each building could be recognized as a single facade, and it was also necessary to encourage them to choose free harmony rather than requiring uniformity. Third, passard signboards can be seen as an element that can improve continuity and harmony amo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When processing permission and deliberation, where the use of a building is a facility of a commercial building, it is necessary to make an elevation plan of the building, such as the size or color of the facade, from the time of the design of the building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size, etc. of the store. Fourthly, diversity should be acknowledged and harmonization taken into account in the use of facade materials. A signboard shall be developed in harmony with the balance between the two, taking into account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publicity of the business establishment and the delivery of information and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of the street in the urban space. Several components of the facade are divided by area, but they overlap each other and penetrate each other.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ich factors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street landscape im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orm the facade signboard in harmony with the elements of the facade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urban landscape. Accordingly, by presenting guidelines on the institutional direction and conditions of the facade signboa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to prepare tools for interpre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ade signboards in urban landscape. 도시 경관에 있어서 가장 큰 중요한 요소는 가로를 구성하고 있는 건물의 입면이다. 건물 입면의 일부부인 파사드 간판은 보행자들에게 시지각적으로 강한 이미지를 남기며 직접적으로 도시경관의 공공 이미지(public image)를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다. 가로 환경의 공공 이미지(public image)는 가로 환경으로부터 전달되는 모든 정보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생긴 것이며 능동적인 시지각의 산물이다. 파사드 간판은 업주 개인이 설치하고 관리해야 하는 사유물이지만, 시각적으로 보행자와 가로 환경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공공의 이미지로써 사회적 책임이 뒤따르는 것이다. 파사드 간판은 경관의 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도시이미지를 형성하는 경관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별로 불법 간판의 정비와 함께 간판의 제작·설치 디자인 가이드 라인과 지침을 제시하면서 건축물의 입면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제고하였으나 최근 개별 업소만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파사드 간판을 부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파사드 간판의 표시 방법에 대한 자세한 법률과 지침이 미비하기 때문에 파사드 간판의 설치로 인한 업주와 담당 공무원 간에 마찰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사드 입면구성에 차이에 따른 간판의 인식경향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45번지(서울대입구역~ 관악구청) 간선도로변에 접한 상업 건축물의 파사드와 옥외광고물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지역은 총 길이 500m로, 2008년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조성사업에 선정되어 2008년 3월부터 시작하여 2008년 12월까지 간판 개선 사업이 진행된 지역이다. 이 지역의 상업 건축물들은 대부분 소형 업소가 임대하여 이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파사드 간판이 부착되어 있다. 2020년 9월 현재를 기준으로 220개 업소에 223개의 간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36.8%인 82개가 파사드 간판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파사드 간판’을 건물의 외관에 다른 소재로 마감하여 입면 전체가 하나의 광고로 인식되게 활용하는 간판으로 정의한다. 실험은 조사된 유형 중 분포도가 높은, 입면 전체가 파사드로 구성된 간판의 유형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파사드 간판의 유형 분류는 개별 업소의 파사드 크기와 색채, 패턴, 재료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파사드 입면 구성 차이에 따른 옥외광고물의 인식 경향에 관한 분석연구를 진행하여 도시 경관을 위한 파사드 간판의 입면 구성 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파사드 간판은 대부분 건물의 바탕색과 파사드 입면의 바탕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색 관계에서 강렬한 색채의 과다 사용보다는 건물 입면과 전체적인 조화를 고려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건물의 입면으로 보일 수 있도록 유도한다. 둘째, 입면의 시각적 혼란을 단순화하기 위해서는 건물별로 하나의 입면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건물별 규격의 정량적인 가이드 라인이 필요하며 통일성을 요구하기보다는 자유로운 조화로움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셋째, 파사드 간판은 가로 경관에 대한 시각적 특성 가운데 연속성과 조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로 볼 수 있다. 건축물 허가 및 심의 처리 시 용도가 상가 시설물일 경우 점포의 수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건축물 설계 시부터 파사드의 업소별 입면 크기나, 색채 등 건축물의 상가 입면계획이 필요하다. 넷째, 파사드 간판의 재료 사용에 있어서 다양성을 인정하고 조화성을 고려한다. 간판은 업소의 홍보와 정보 전달을 수행하는 기능적인 측면과 도시 공간 속에서 거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서 공공의 환경적 측면으로 접근하여 둘 사이에 균형과 조화롭게 발전되어야 한다. 파사드의 여러 구성요소는 영역별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서로 겹쳐지기도 하고 서로 관통하기도 한다. 어떤 요소가 가로 경관 이미지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구분지어 말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래서 파사드 간판은 전체적인 도시 경관을 고려하여 파사드의 요소가 서로 어울려 조화를 이루도록 형성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경관에서 파사드 간판의 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도구를 마련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파사드 간판의 제도적 방향과 조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