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임용고사 시 무용전공자의 실태 분석 연구 : Dancing major person's actual conditions analysis research in physical education appointment examination

        박지연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recognizes weight of dancing education and For right dancing education and incentive of dancing art and development, wish to do to recognize that specialist upbringing need absolutely. For these thing, emphasize dancing education value in school and Analyze dancing teacher present condition, studied problems that follow necessarily within physical education appointment examination system. Written examination with wave that analyze physical education appointment examination system is that from 2005 academic years to 2007 years, dancing part was set a problem less than 1 problem and Area that dancing item is included in practical examination is Seoul, Inchon, Pusan, DaeJon, kyonggi, Cholla-bukdo, Kyongsang-namdo, Kyongsang-bukdo but Taegu, Chungchong-namdo, Cholla-namdo, chief mourner area was not included. Also, in advantage systems of physical education appointment examination, Advantage from 0.5 points to best 8 points according to area is given to national convention and international contest prize winner with physical education. The other side, dancing major person from computer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0.5 points to highest point 3 points and when acquire life physical director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advantage of 0.5 points give. And in 2005 years physical education appointment examination systems candidate and pass present condition, 219 people passes of 2,726 candidate, 300 people of 2,858 candidate pass in 2006 years, 179 people of 3,193 candidate passed in 2007 years. Dancing major person successful candidate number expressed 1.9% ratio to whole 9 people during the latest 2 years of 2006 years since 2005 years here. In addition to, school dancing teacher present condition of 2006 years was an ath-letics teacher 14,130 people in school 5,136 such as whole country 16 city-province and dancing major person of them was not more to 739 expert 5.2%. Such as these result is considered by rightful result that appear because take physical education appointment examination systems within system that dancing major person is unreasonable. Ultimately, Though appointment examination selects special teacher who possess superior ability and quality, there is the purpose and Reasonable appointment positive refusal and appointment system are essential to select teacher who possess more superior ability and quality. Therefore, fit appointment examination pottery manufacturing may have to be constructed necessarily to dancing major person who is not appointment examination that all foci are set to physical education major person, Systematic, educational action may have to consist for ready an opportunity that can choose dancing to all students separating dancing education from physical education subject necessarily. In addition to, For individual area set up of dancing, must incline continuous research and effort so that practical skill and theory class may can be educated there is balance continuous interest and spot about government policy is dancing. 현재의 공교육에서 교사정책의 최우선적 과제는 교사의 질 확보에 있다.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은 자질 있는 교원을 어떻게 선발하고 임용하느냐가 중요한 관건이 된다 이러한 차원에서 국가교육의 장래는 교사교육과 선발에 대해 국가적인 관리와 점검이 필요함과 동시에 임용고사에서 두 가지의 목적을 띈다 첫째는 교육의 정상화 기여이고 둘째는 교사자격을 갖춘 적격자를 가려낸다는 선발의 목적이다 이처럼 성공적인 체육교사 선발의 핵심은 우수한 임용제도가 될 것이며, 체육중등교사 임용시험은 학교교육을 직접 담당하며 그 책임을 지게 될 교사를 최초로 선발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위의 지침을 토대로 본 연구는 무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올바른 무용교육에 있어 전문 무용교사가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재인식하여 현재 시행되는 체육임용고사에서 무용전공자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현재 체육임용고사는 체육전공자에게 모든 초점이 맞추어져 무용전공자에게는 불합리한 제도로 작용되고 있다 이에 체육임용고사의 무용전공자 응시 문제점과 그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전국 16개 시 도의 체육임용고사 필기시험 내용을 분석하고 실기시험의 지역별 종목과 무용종목 포함여부를 알아보며 가산점현황을 통해 무용전공자가 취득할 수 있는 가산점 내용을 알아보았다. 또한 각 시 도별 학년도부터 학년도까지의 체육임용고사 응시 2005 2007 및 합격 현황과 2005 학년도부터 2006학년도까지의 무용전공자 합격자 비율을 조사하였으며 2006 년도를 기준으로 각 시 도별 체육교사 내 무용전공자 교원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로써 체육전공자에게 모든 초점이 맞추어진 임용고사가 아닌 무용전공자에게 합당한 임용고사 제도가 반드시 구축되어져야 할 것이며 아울러 필연적으로 무용교육을 체육교과목으로부터 분리 시켜 모든 학생에게 무용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기 위한 제도적 교육적 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제 무용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무용문화를 발전시키고 무용 그 자체를 모든 연령의 국민들에게 미적 교육으로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래서 현재의 우리 나라 무용교육도 하나의 학문으로서 연구 발전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교육제도와 임용제도 또한 변화해야만 할 것이다.

      • 최근 5년간 중등 수학 임용고사 현황과 문항분석

        유정우 우석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임용시험은 장차 임용될 중등교사의 자질을 규정하면, 교사 양성 기관의 교육 방향을 결정할 뿐 아니라 사회적 취업의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는 등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지니고 있다. 첫째는 교원 양성과 채용의 불균등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들 수 있다. 우선은 교육부가 매 10년마다 향후 10년간의 교사 채용예상 인원을 발표하고 이에 맞게 교원양성 기관의 입학자 수를 조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교육부와의 적절한 연결을 통하여 교사 적체 현상을 막는 것이다 또는 임용고사를 볼 수 있는 자격을 엄격히 제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교육대학원이나 사립대학을 졸업한 학생이면 누구나 자격증을 부여받는 것이 아니라 국가고사를 실시해서 이에 합격한 자에 한해 자격을 부여 받도록 함으로서 교원 적체현상을 막을 뿐 아니라 교사의 질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는 임용시험의 직접적이고도 일차적인 목표는 우수한 자질의 중등 수학교사를 선발하는 것이다. 수많은 예비교사들 가운데서 중등 수학교육계가 필요로 하는 가장 우수한 수학교사를 타당하고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선발하는 것이 중등 임용 고사의 목적이다. 따라서 중등 임용 고사는 우수한 수학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최선의 평가 준거와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며 그러한 준거에 대한 합의의 도출과 방법의 개발에 부단한 노력과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는 시험을 통한 우수 교사 선발의 제한점 극복을 위한 방안을 들 수 있다. 1차 필기고사와 2차 논술 및 면접을 통해서는 전반적인 교사의 자질을 평가하기에는 너무나도 많은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교사 임용의 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임용고시 1차 시험으로 전공 필기시험과 논술을 통해 많은 인원을 선발하고 이들을 각 학교에 배치하여 일정기간 동안 교원수습기간을 갖도록 함으로서 교사로서의 적성과 능력을 관찰한다. 수습기간동안의 관찰 자료를 토대로 우수한 교사를 뽑는 방안은 교사로서의 자질을 충분히 검토한 후에 교사를 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한 교사를 선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넷째, 중등 임용 고사의 평가 내용은 우수한 수학교사에 대한 준거가 될 수 있다. 우수한 수학교사를 선발하는 것이 임용시험의 목적이라고 한다면, 중등 임용 고사의 평가 내용은 곧 우수한 수학교사를 규정하는 것이 된다. 임용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선발된 예비교사는 일반적으로 우수한 수학교사의 자질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우수한 수학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중등 임용 고사의 평가 내용이 제시하는 수준의 자질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면 된다고 할 수 있으며, 임용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노력하는 예비교사는 곧 우수한 교사가 되기 위한 자질을 기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임용시험은 교사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에 방향을 제시한다. 교사 양성 기관의 학생의 목표는 우수한 수학교사가 되는 것이며, 바꾸어 말하면 국 · 공립 중등학교에 임용되는 것이므로 그러기 위해서는 중등 임용 고사에 합격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교사 양성 기관의 목표는 우수한 수학교사의 양성이며, 우수한 교사는 교육현장에 설 수 있어야 실현된다. 단적으로 말하면 교사 양성 기관의 목표는 학생들을 임용 시험에 합격시키는 것이 된다. 따라서 모든 목표의 초점을 중등 임용 고사에 모으지 않을 수 없으며, 중등 임용 고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교과 내용은 학생들이 외면할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임용시험은 교사 양상 기관의 교육 결과를 평가하는 준거가 될 수 있다. 교사 양성 기관의 목표가 우수한 자질의 수학교사를 양성하는 것이고, 임용 시험이 우수한 교사를 선발한다고 한다면 임용시험에 의해 선발된 결과는 교사 양성 기관의 교육 결과를 평가하는 준거가 될 수 있다. Currently from the hazard which selects the rainwater teacher the place an appointment candidate selecting competition hold an examination the competition rate is high in order for the many students to prepare. Recently 5 year for middle class mathematics appointment humble refusal present condition and question item analysis it leads and becomes the guide book which is the possibility the people who prepare an appointment humble refusal making a petty more effective preparation the possibility to present a direction in order to be, and the making questions specific gravity of mathematics and the subject department of pedagogy subject contents crane probably is how with each other, the report subject to compare grasp it tried a making questions present condition especially and the objectivity conformity of problem making questions contents should have been prepared, against it examined. Also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appointment humble refusal it considers the making questions frequency possibility back at curriculum organization hour for a preparation and that it will be able to apply with reference data it sees. The recruitment personnel is decreasing apply for an examination to sleep result gradually with the enemy and to increase to be high gradually, gradually and to follow competition rate also to be coming in order to try to search the plan which is the possibility of reducing a competition rate it does. Last, the making questions question item does not lean in territory of the some branch and not to be it selects and must be made questions.

      •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중등교원 임용고사 준비 실태 분석

        김병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임용고사 준비생들이 어떤 과정으로 임용고사를 준비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사교육 실태 및 문제점을 조사하여 중등 체육교원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올바른 진로탐색 과정을 제시하는데 있다. 아울러 합리적이고 발전적인 중등 체육교원 임용고사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제공과 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선을 유도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 일대 대학의 체육계열학과 졸업예정자 및 졸업생 중 중등 체육교원 임용고사 준비생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중등교원 임용고사 준비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세부 항목별 설문지를 작성하여 응답한 설문 문항을 성별, 교직이수 유형별, 졸업여부별로 백분율을 산출하고 빈도 검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체육교사로서의 진로탐색 과정 첫째, 체육교사로의 진로를 결정하는 시기에 대해서는 ‘고등학교’ 시기에 가장 많이 결정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사범대 교직이수 집단이 다른 교직이수 집단 보다는 체육교사로의 진로를 빨리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육대학원 교직이수 집단의 경우는 졸업 후와 대학시절에 가장 많이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직을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사명감’ 보다는 ‘소질과 적성’, ‘직업의 안정성’이라는 이유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사가 되기 위한 임용고사의 정보를 대부분이 사설학원에서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별, 교직이수 유형별, 졸업여부별 각각 차이가 없었고 비사범대 교직이수 집단은 타 집단에 비해 학원에서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임용고사의 응시 지역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시기로는 연초 즉 ‘1~3월’과 ‘공고문 발표 후’가 가장 많았다. 이는 처음부터 응시지역을 결정한 후 준비하는 경향과 공고문 발표 후 지역별 선발인원 및 가산점 등을 고려하여 응시 지역을 결정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응시지역 결정시 최우선 고려사항으로는 해당지역의 ‘선발인원’, 과 ‘생활근거지’를 가장 높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와 교육대학원 교직이수 집단 그리고 졸업생들은 ‘실기종목’도 응시지역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이론시험 및 가산점 확보 준비 과정 첫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은 체육교사가 되기 위한 1차 시험을 준비하는데 있어 교육학은 ‘응시해 1~3월’ 전공이론은 ‘3학년 2학기’에 가장 많이 준비를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8.1%가 교육학 학원을 87.6%가 전공이론 학원을 수강한 경험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응시생들이 임용고사의 준비를 사설 학원에 많이 등록하여 준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원의 수강기간으로는 교육학은 ‘2~3’개월 전공이론은 ‘6개월 이상’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비용으로는 교육학은 ‘20~40만원’ 전공이론은 ‘80만원 이상’ 소요된다는 응답이 많았고 학원 수강의 임용고사 도움여부에 대해서는 교육학, 전공이론 모두 대부분이 어느 정도 이상은 도움이 된다는 응답을 하였다. 반면 수강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교육학은 ’많은 분량으로 정리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전공이론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높아 학원을 수강하는 이유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산점 분야에 대해서는 ‘국가 유공자’ 분야가 67.4%로 가장 불합리 하다고 여기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각 집단 간 입장에 따라 조금씩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실제 가산점 취득에 있어서는 ‘경기입상 및 지도실적’ 분야가 가장 어렵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운동선수 출신의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임용고사 응시율이 줄어든 것도 원인으로 파악된다. 넷째, 대학 전공 이론 수업이 임용고사 준비에 있어서 도움 여부에 대해서는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두 분야 모두 가장 높은 응답 ‘어느 정도 도움 됨’이 각각 35.4%, 30.9%로 조사되 대학의 전공이론 수업의 임용고사 준비에서의 도움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학교 전공이론 수업과 임용고사의 전공이론 시험과의 연관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이론 시험 과목들 가운데 응시생들은 교과교육학에서는 ‘체육교육과정’ 과 ‘교수법’을 내용학에서는 ‘생리학’을 가장 어렵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전공 실기, 면접, 논술 시험의 준비과정 첫째, 전체 응답자 중 전공실기 학원을 다녔거나 계획이 있다는 응답이 42.2%로 조사되 이론시험에 비해서는 학원 의존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의 전공 실기 수업이 임용고사 준비의 도움정도에 대해 ‘어느 정도 도움됨’ 52.2%, ‘많은 도움이 됨’ 15.2%로 나타난 것 같이 전공 이론 수업과 비교해서도 상당히 높은 도움 정도를 나타낸 것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실기 시험의 준비 시기로는 ‘응시해 1~3월’에 시작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가장 어려운 종목으로는 ‘기계체조’라는 응답이 3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실기 시험의 적당한 실시 시기로는 ‘1차 실시’ 38.2%, ‘2차 실시’ 52.8%로 나타나 2차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그 이유로는 ‘응시자가 많아 어려움’이라는 응답과 ‘이론적 지식 우수자 우선 선발’ 그리고 ‘1차 응시시 이론과 함께 준비하는 어려움’ 등의 이유가 비슷한 비율로 응답을 보였다. 또한 적당한 실기 시험의 비중과 종목수로는 50%와 5개 종목이 가장 적당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셋째, 논술 및 면접의 준비시기로는 ‘1차 응시후’와 ‘1차 합격후’가 각각 35.4%, 2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설 학원의 수강계획에 대해서는 ‘1차 합격후 수강’과 ‘1차 응시후 바로 수강’이 각각 15.7%, 15.2%로 조사되 다른 유형의 시험에 비해 학원의 의존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준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는 ‘기출문제 분석’을 가장 높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시생들은 2차의 여러 시험 중 ‘면접’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탐색

        조인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탐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삶을 이해하고 진로의 제약 문제들의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대학원 졸업생 중 임용고사를 준비 중인 준비생 2명, 임용고사를 합격한 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실기수업 부재’, ‘교육과정 혼재’, ‘심리적 불안감’으로 범주화 되었다.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실기수업이 부족하여 2차 실기시험을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재교육과 교사양성교육의 교육과정 혼재로 인해 교사재교육에 관련된 수업을 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을 통해서 임용고사에 관련된 내용을 보충하고 있었다. 또한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 등록비와 학부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나이로 인해 심리적인 불안감을 격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어려움은 교육대학원생 개인적인 수준에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경험하는 어려움의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교육과정에 실기교육과정 추가와 교사양성과정과 교사재교육의 분리하여 운영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life of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preparing alternatives career constraint issues through th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2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2 teachers who passe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of the graduat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data through an inductive analysis of categorie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were categorized as 'absence of practice classes', ‘the mixture of curriculums’, and‘psychological anxiety.’Lack of practice classes in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found that the subjec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second practical examination. The mixture of teachers' reeducation and education curriculums h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take classes related to teachers' reeducation and supplement contents related to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through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due to this. An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uffer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tuition fees of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and their older age than undergraduates and have found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due to this. These difficulti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have found to have limits to be solved on an individual level of graduate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e addition of practice classes to curriculums for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separation and operation of teachers' education from their reeducation as plans to solv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l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中等 任用考査 科學敎育學 問項 分析에 관한 硏究

        최선경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1992년부터 시행된 현행 임용고사가 실시된지 약 10여년이 흐른 시점에서 중등 과학 교사 임용고사의 한 분야인 '과학교육학'의 최근 5년간의 임용 고사 문항들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항 분석에 사용할 과학교육 목표 분류틀의 개발을 위해 기존의 과학교육 목표 분류틀 및 과학교육학 관련 교재들을 참고하여 과학의 본성과 과학교육, 과학 학습이론, 과학교육과정, 과학과교수법. 과학학습평가. 과학교육 환경과 지원체제라는 6개의 대주제와 그에 속하는 98개의 소주제들로 구성된 새로운 과학교육 목표 분류틀을 고안하였다. 그래서 이를 기초로 임용고사 문항들 각각에서 묻고 있는 주제들을 분류하였으며. 주제별. 연도별. 전공영역별 및 과학교육학 교재별로 분석하였다. 주제별 분석 결과 새로운 과학교육 목표 분류를 중 과학교육 환경과 지원체제를 제외한 나머지 5개의 대주제가 망라되었다. 이 대주제를 세분화한 소주제에 따른 분석에서는 30여 개의 소주제들에서 문항이 집중적으로 출제되었다. 특히 출제 빈도가 높았던 주제들로는 과학지식의 발달모형, 삐아제의 이론과 순환학습, 오개념과 개념변화. 7차 교육과정, 비유수업. 개념도에 의한 평가 등이었다. 연도별로는 각 연도마다 약간씩 출제방식의 차이만 있었을 뿐. 과학교육 환경과 지원체제를 뺀 나머지 대주제들이 비교적 망라되어 출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 공영역별로는 공동출제, 물리영역. 생물영역 등에서는 출제빈도가 높은 몇 가지 주제들이 발견되었다. 그 주제들로는 공동출제의 경우 과학과 교육과정, 과학 지식의 변천모형, 인지학습이론 등이었고, 물리영역의 경우 전공물리와 관련된 지식적인 면을 물리교육론과 연계한 과학지식의 평가와 오개념 등이었다. 생물영역의 경우 오개념과 개념변화이론 등이었으며. 화학영역이나 지구과학영역 등에서는 여러 다양한 주제에서 출제되었다. 현재 대학에서 활용되고 있는 4가지 과학교육 관련 교재들을 분석한 결과 각각의 교재별로 강조하는 부분이 약간씩 달랐으며, 새로운 과학교육 목표틀의 일부 주제와 임용고사에 출제된 일부 주제들에 대하여 이들 교재에서 모두 다루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어느 한 가지 교재만으로는 과학교육학 전 분야를 망라하지 못하고, 임용고사를 대처하기에도 부족하였다. 이상의 주제별·연도별 과학교육학 문항 분석결과 대주제는 비교적 망라되었으나 직접 출제된 소주제들은 30여개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대학에서 활용되는 4가지 과학교육 관련 교재 분석결과 어느 한 가지 교재만으로 과학교육학 전 영역을 망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출제경향이나 교재내용의 편중현상은 명확한 과학교육 목표틀이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는 과학교육 목표틀의 정립을 위한 기존 과학교육 목표 분류틀의 수정·보완 및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며, 이 바탕위에서 대학의 교육과 임용고사의 출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science education discipline items in the teacher employment test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every year since 1992. All the test items of science education from the year 1998 to the most recent year 2002 have been collected. A new science education objective classification framework has been developed, consisting of three hierarchies:Upper, middle and lower level. The upper level was composed of six categories: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science learning theories, science curriculum, science teaching methods, assesement, and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The lower level was composed of ninety-eight categories. The teacher employment test item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science education classification framework, and were analyzed in terms of category, year, major area and text materials. Throughout the years 1998 to 2002, five categories except the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were covered fairly in the employment tests. At the middle or lower level, on the other hand, some topics were assessed several times during the 5 years, whereas other topics were never assessed. The topics which were assessed most often were scientific knowledge development, Piaget's theory and learning cycle, misconception and conceptual change theor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alogy as a teaching strategy, concept maps, etc. Some trend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major areas. In common assessment items across the four major areas, science curriculum and scientific knowledge development and Piagetian cognitive theory were assessed most frequently. In physics major, physics knowledge and misconception were assessed frequently. In biology major, misconception and conceptual change were assessed frequently. The current textbooks for college science education covered many of the topics represented in the new science education objective frame and assessed in teacher employment tests, but no textbook covered all of the items. It mean s that n one of the current textbooks for college science education was covering all topics of the science education, and that no textbooks was enough for preparing the teacher employment test. Such results strongly Suggest further efforts for establishing definite science education objective classification framework, which sh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colleg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teacher employment test.

      • 중등교원임용고사 대수기출문제 분석과 10-가단계의 대수영역과 연관성 탐구 : 2000년~2007년을 중심으로

        황보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교사를 선발하는 임용고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그 내용이 교사의 자질을 측정하기에 적합한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대수영역은 제 7차 수학교육과정의 목표와 부합하여 그 중요성이 인정되므로 임용고사의 대수영역의 내용을 분석해볼 필요성을 가진다. 이에 임용고사의 기출연도 기준 2000년~2007년의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대수학교재로 대수영역의 내용을 분석해보고 분석에 앞서 수학 10-가 와의 연관성을 교과서와 지도서를 이용하여 분석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서, ‘집합과 수의 체계’에서 이항연산과 항등원, 역원의 개념은 군의 정의와 연관성이 있었고, 환에 대한 내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었다. 복소수의 도입은 기약다항식과 확대체에 관한 체의 정리와 관련이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임용고사와 수학10-가 단계의 대수내용은 그 수준에 있어 격차가 매우 컸다. 이에 교원의 선발 도구로서 임용고사의 내용을 실제 현장에서 가르치는 지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제 수업과 연관된 내용을 중심으로 수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이 연구가 임용준비생이나 현직교사에게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 임용고사의 내용과 적합성에 대한 다양하고 실제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mpatible extent to which the contents in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have, with rise of emphasis on selecting teachers. Particularly the part of the algebra, which is reflected on the aims of mathematics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itself of importance so,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view the needs of its analysis. To prepare for this, I scrutinized the last examinations covering algebra materials through 2000 to 2007. Ahead of this, the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were to examine for the relevance between the 10th mathematics ga level and the examin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et and system of numbers is related with the concepts of binary operation, identity, and inverse, which are also connected with the definition of group, but the contents of ring are not directly linked with. The introduction of complex numbers is to relate field′s theorem on irreducible polynomial and extension field; in general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at the levels of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and the parts of algebra in the 10th mathematics ga level. As a tool for selecting secondary teacher, it can be said that examination should be needed to correct the contents, which will be applied to the practical class usage, to implement the knowledge that can be put to use. Furthermore, it is desirable to recommend that this study gives a lot of useful information to teachers and students preparing for the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and is on the way to lead a better variety of studies on the subject matters and compatibility in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 중등 음악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의 문항분석 연구 : 2004~2007을 중심으로

        김진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과학기술의 발달, 국가간의 문호 개방은 사회 뿐 아니라 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해마다 교직 희망자는 증가하고 있고 교원으로서의 전문성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임용시험에 관한 자료는 상당히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04~2007년까지의 중등 음악 임용시험의 내용과 기출문제지의 문항을 분석함으로 많은 수험생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고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영역별 분석을 살펴보면 음악교육론, 국악, 서양음악 영역 중 음악교육 영역의 배점율이 2004년 28.6%, 2005년에 27.5%, 2006년에 35.0%, 2007년에 38.75%로 2005년을 제외하고는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다. 4년 동안의 각 영역별 평균 배점율을 살펴보면 음악교육 32.6%, 서양음악 32.24%, 국악 35.16%로 국악 영역이 가장 높은 배점율을 차지했다. 문제유형은 각 문제 유형마다의 비율변화가 그리 많지 않고 단답형이 70.83%로 단답형 유형이 많이 출제되었음을 보였다. 둘째, 내용별 분석을 살펴보면 음악 교육론 영역에서는 음악과 교육과정에 관한 문제가 4년 동안 11문제 출제되므로 가장 많이 출제 되었고 매년 출제되었다. 그 다음이 음악교육 지도방법에 관한 문제로 2006년도에 3문제, 2007년도에 5문제가 출제 되었다. 20세기 정보 통신교육에 관한 문제는 2004년에 한번 출제가 되고 그 이후에는 출제되지 않았다. 서양음악 영역에서는 화성학과 음악사에 관한 내용이 매년 출제되었고 4년동안 두 번 출제된 내용은 박자, 대위법, 악기내용이었으며 음악용어는 2006년도에 한 문제 출제되었다. 국악영역에서는 국악사와 악곡이 4년 동안 각각 4문제, 15문제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기보법과 시김새는 격년으로, 악기 문제는 2006년도에 한 문제 출제되었다. 이것으로 문제가 한 가지 내용에 편중된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고 시대의 흐름에 부합하면서도 각 세부적인 내용이 고르게 출제되어야 하겠다.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increasing economic, cultural and other exchanges among nations have affected not only society but also education. In response, the number of people who seek a career in teaching is increasing every year. For those who are preparing to become teachers, materials about the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must be very useful.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and questions in employment examinations for middle school music teacher between 2004 and 2007 in order to help those who are preparing to become music teacher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by sector, theory of music education showed an increase in the distribution ratio of questions every year except for 2005 as follows: 28.6% in 2004, 27.5% in 2005, 35.0% in 2006, and 38.75% in 2007. And a look inside each sector's distribution ratio of questions for the past four years revealed that Korean music recorded the highest figure of 35.16% and the other two sectors, theory of music education and Western music recorded 32.6% and 32.24% respectively. As for question types, they showed sligh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ratio of questions. The type of short-answer question recorded the highest figure of 70.83%, indicating it is the most frequent question type in the examinations.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by content found that from the sector of the theory of music education, music and education curriculum related questions each appeared every year, totaling 11 times for four years and becoming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question contents. Next as for question related to music teaching method, three questions appeared in 2006 and five questions in 2007. And question about 20th century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education appeared once only in 2004. As for the sector of western music, harmony and music history related questions each appeared every year and time, counterpoint, and musical instrument related questions each was asked twice for four years. Question about music techniques appeared once only in 2006. As for the sector of Korean music, Korean music history and musical pieces related questions appeared four times and 15times for four years respectively. And notation and Shigimsae related questions each was asked every two years. Question about musical instrument was asked once only in 2006. In conclusion, in terms of content, questions in the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s were not balanced. While corresponding with changing times, the questions need to cover more various contents.

      • 일본어 중등교원 임용고사 문항분석(2002~2005)

        손윤경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고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의 일본어 중등교원 임용고사 문항 분석을 통하여 현재 지필시험 위주의 일본어교사 임용방법이 우수교원 확보를 보장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우수 교원 확보를 위해 현행 일본어교사 임용방법이 어떠한 형태로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관해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일본어 중등교원 임용고사 문항을 분석한 결과,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최근 4년 간 평균 출제 비율이 교과 교육학 20%, 교과 내용학 80%로 나타났다. 또한 2004년까지는 교과 교육학에서는 20%~30%, 교과 내용학에서는 70%~80%, 그리고 2005년부터는 교과 교육학에서 30%~35%, 교과 내용학에서 65%~70%를 출제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2004년과 2005년은 각각 14.3%와 21%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세부영역 분포를 보면 교과 교육학 영역에서는 평균 출제 비율이 교육과정 15%, 교재 연구론 10%, 교수론 63%, 평가론 12%로 나타나 교수론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출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05년을 제외하고는 각 세부영역에서 고르게 출제되지 못하였다. 특히 교재 연구론과 평가론 영역에서 출제 비율이 저조 하였는데, 이에 대한 평가 문항 개발이 시급하다고 여겨진다. 교과 내용학 영역은 꾸준히 70%~80%의 출제 비중을 유지하고 있는데, 각 세부영역의 평균 출제 비율을 보면 일본어학 24%, 일본어 강독 19%, 일본어 작문 7.4%, 일본어 회화 6.4%, 일본어 문법 15%, 일본문학 15.2%, 일본문화 13%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어 작문과 일본어 회화에서 저조한 출제비율을 보이고 있는데, 이 역시 문항 개발이 시급하다고 보여진다. 일본어 중등교원 임용고사 문항의 특성 면에서는 일본어 교육에 관한 문항보다는 일반적인 일본어 실력이나 지식을 묻는 문항이 많아 교육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것과 다소 거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문항은 이론적인 지식을 묻는 문항으로 현장에서 필요한 구체적인 지도법과 연결되지 않고 각각의 해당 영역 안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본론에서의 일본어 중등교원 임용고사 문항 분석을 통해 현행 일본어 교원 선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수한 일본어 교원을 확보하기 위한 개선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어 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보다 폭넓은 이해와 체계적인 지식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식 위주의 문항이 아닌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적용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이 필요하고, 교육학적 능력 특히, 교수 능력을 충분히 평가하기 위해 교과 내용과 접목된 문항의 개발을 통한 일본어 교육학의 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일본어 중등교원 임용고사의 출제 범위, 출제 비율 및 기준을 확립하고 공개하여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일본어 중등교원 임용고사의 출제 영역 조정 및 일본어 교육학적 능력과 일본어의 전문적인 지식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이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듣기와 말하기 즉, 응시자의 일본어 의사소통 능력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교직에 대한 사명감과 열정은 교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자질의 하나이므로 앞으로 논술과 면접 방법이 개선되어 지필 고사에 의한 선발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일본어 중등교원 임용고사는 보다 다각적인 선발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일곱째, 임용 공고의 시기가 앞당겨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 일본어 교원 임용고사 문항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이 방면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current written test-focused Japanese teachers' employment examination can guarantee securing excellent teachers, and to what type the current japanese teachers' employment method should be reformed to secure excellent teachers via analyzing Japanese teachers' employment examination question items 2002 through 2005. First, analyzing Japanese teachers' employment examination items showed that in the recent 4 year average preparation ratios, subject pedagogy accounted for 20%, and subject contents 80%. Also there is a provision that by 2004, subject pedagogy 20-30%, subject contents 70-80%, and from 2005, subject pedagogy 30-35%, subject contents 65-70% should be made questions, but they were 14.3% and 21% in 2004 and 2005 respectively. Looking at detailed area distribution, the average preparation ratios in subject pedagogy, curriculum 15%, text research 10%, teaching method 63%, assessment 12%, which is found the teaching method is the highest. Also except for 2005, it was not equally prepared at each detailed area. Especially, text research and assessment areas were low in preparation ratio, which means an assessment item development is urgent. Subject contents maintain steady 70-80% ratio, whose detailed area average preparation ratios were Japanese language 24%, Japanese reading 19%, composition 7.4%, conversation 6.4%, grammar 15.2%, culture 13%. Especially, Japanese composition, conversation were low, which means urgent need of the item development. In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Japanese teachers' employment examination, it was found there were more items questioning Japanese ability or knowledge than those on Japanese education, which is rather distant from those necessary to educational scene. Also most items asking theoretical knowledge, are not connected to necessary material teaching method, but performed only in each relevant area. Once again following reform measure is presented in order to solve current Japanese teachers' selection problems through analyzing Japanese teachers' employment examination, and secure excellent Japanese teachers. First, to include general knowledge on Japanese education, and assess extensive understanding and systematic knowledge, assessment standards to assess adaptability in the educational scene, not knowledge based items is necessary, and to assess pedagogic ability, especially, teaching ability, Japanese pedagogy should be refined via developing items grafted with subject contents. Second, the preparation scope, ratio, and standards of Japanese teachers' employment examin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published, in order to ensure objectivity and validity. Third, Japanese teachers' employment examination preparation areas should be adjusted, and items to effectively assess pedagogic ability and professional knowledge should be developed. Fourth, listening and speaking, that is, the examinees' communication ability be assessed. Fifth, mission and passion for teaching profession are one of basic qualities for teachers, so for the time to come, writing and interviewing should be elaborated as one of solutions to get over the screening limitations by a written test. Sixth, Japanese teachers' employment examination needs more diverse screening methods. Seventh, the test public notice date should be advanced. Finally, this study is hoped to serve the study on Japanese teachers' employment examination items, and activate the research in this area.

      • 중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생물 문항과 고등학교 생물Ⅰ·Ⅱ와의 연계성 연구

        이은경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 임용고사 중 2003년부터 2007년까지의 생물과 출제 문항과 중등과학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7차 중등과학교육과정을 따르는 생물Ⅰ?Ⅱ 교과서의 대단원별로 출제 문항을 분류하고, 대단원별 비중에 따른 임용고사 문항의 출제 빈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생물Ⅰ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단원은 ‘자극과 반응’(17.7%),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16.6%)순이었고, 생물Ⅱ에서는 ‘생물의 다양성과 환경’(33.6%), ‘생명의 연속성’(26.8%)으로 나타났다. 임용고사 출제 문항에서는 ‘생명의 연속성’(27.44%) 단원이 ‘생물의 다양성과 환경’(21.43%) 단원보다 더 비중 있게 출제되었고,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0%)에서 출제된 문항은 없었다. 이는 임용고사에서 중등과학교육과정이 충실하게 반영되지 않고 기존의 연구 결과들이 피드백 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현장에서 교육을 담당할 교사 선발을 목적으로 하는 임용고사 문제는 교과서의 비중에 따른 균형 잡힌 문항을 개발하고 출제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s aim is to study the links between the biology section of the secondary teacher employment exam content from 2003-2007 and second science curriculum.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I classified the test content by the section in the 7th secondary science curriculum and examined the frequency of the test content according to a great deal of each s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the sections that are dealt with more importantly in Biology Ⅰare 'Stimulation and Response'(17.7%), and ' Life Science and Human Life'(16.6%) in that order. In Biology Ⅱ it is "Biodiversity and Environment'(33.6%), and 'the Life Continuity'(26.8%) in order. The questions of the examination were taken more from 'the Life continuity'(27.44%) section than from 'the Biodiversity and Environment' (21.43%) section and there are no questions from 'the Life science and Human Life'(0%) section. It shows that the science teacher employment test can't reflect the secondary science curriculum properly. Also we don't have any feedback of existing study results. Hence the teacher employment test which aims to select superior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further. Also the questions should be balanced according to the sections of the text that are emphasized in school.

      • 중등교원을 위한 음악과 임용고사 문항분석

        이은실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4년의 중등 음악과 임용고사의 문항분석을 통해서 출제경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근거로 중등 음악과 임용고사의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반영도를 알아보고 각 영역의 문항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실시된 중등 음악과 임용고사의 출제문항을 연도별, 내용별, 문항별로 분석하여 세부분포는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로 나타난 세부분포를 기준으로 중등 음악과 임용고사 출제내용의 기준 및 범위가 객관적인 준거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대한 결론은 첫째, 연도별 분석에서 전체문항 출제비율의 평균이 사전 공고된 문항출제비율에 포함되기는 하지만 음악교육, 서양음악이론, 국악이론의 각 영역별 평균을 기준으로 최저ㆍ최고비율이 각각 15.4%, 21.9%, 20.9%로 나타나, 각 영역별 출제문항의 비율은 비교적 일관적인 출제경향의 체계가 갖추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내용별 분석에서 각 내용의 내용별 요소까지 골고루 반영된 것은 음악교육영역에서는 음악학습, 서양음악이론영역에서는 서양음악사 뿐이었고, 연주형태는 한번도 출제되지 않았다. 또한, 국악이론영역에서는 장단에서만 골고루 반영되었을 뿐이었다. 이것은 문항을 출제하는데 있어서 영역별, 내용별, 내용별 요소로 나누어 객관적인 기준으로 문항을 배열하는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한 부분으로 치중되어 출제되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문항별 분석에서 영역별로 매년 출제되는 내용으로는 음악교육영역의 음악과 교육과정, 음악학습이며, 서양음악이론영역에서는 악전, 서양음악사이며, 국악이론영역에서는 장단, 악곡, 국악사로 나타났다. 교과교육영역과 교과내용영역을 포함한 17개의 내용 중에서 2000년부터 2004년까지 각각 12개, 10개, 13개, 13개, 13개의 내용에서 출제되었는데, 이를 백분율하면 70.6%, 58.8%, 76.5%, 76.5%, 76.5%로 나타나 2001년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고른 출제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questions in secondary music teacher certification tests from 2000 to 2004. Through the analysis, it determines the degree of reflection of subject music education and subject music contents in secondary music teacher certification tests and closely examines questions in each area. As for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questions in secondary music teacher certification tests from 2000 to 2004 were analyzed by year, by content and by question, and the detailed distribution of question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detailed distribution of questions resulting from the analysis, whether the criteria and the scope of questions in secondary music teacher certification tests have objective grounds or not was determined, and relevant problems were identified. As for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 of analysis in this study, first, in analysis by year, mean of questions as a whole was included in the percentages of questions announced in advance, but the lowest/highest percentages based on mean of each of subject music education, Western music theory and Korean music theory were 15.4%, 21.9% and 20.9% respectively, which suggests that the trend of questions is relatively consistent. Second, in analysis by content, questions covered detailed content elements of music learning in the subject music education area and of Western music history and literature in Western music theory of the subject music content area, but no question was included on performance type in Western music theory. Moreover, only time was evenly reflected among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theory. This shows that questions are not distributed evenly by area, content and content element according to objective criteria but are concentrated into a specific area. Third, in analysis by question, contents included every year were mu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subject education area and musical grammar, Western music history and literature in Western music theory of the subject content area, and time, musical pieces, Korean music history and literature in Korean music theory. Among 17 items including the subject education area and the subject content area, 12(70.6%), 10(58.8%), 13(76.5%), 13(76.5%) and 13(76.5%) items were included in year 2000, 2001, 2002, 2003 and 2004 respectively. This shows that questions are relatively well distributed among the items except those in 2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