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882년 군란 피해에 대한 일본의 보복적 강제 배상 요구와 조선의 거절

        심규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5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Joseon Dynasty rejecting Japan's demand for ‘reprisals(强償)’ based on international law in the post-processing of Imo Military Rebellion. On July 23, 1882, The Imo Military Rebellion, which was caused by soldiers and the people, led to the destruction of the Japanese legation. and The incident escalated into an international affair between Korea and Japan. The content of the international law that Japan applied to Joseon in the post-processing of the Imo Military Rebellion was ‘reprisals.’ ‘reprisals.’ meant that the country affected by the violation of international law demanded the suspension of actions that harm the affected country and the relief of damages to the countries that violated international law, and forced them through measures accompanied by force. Yamagata Aritomo, who drafted ‘reprisals’, set a policy to talk directly with Joseon and to secure major islands and open ports if Joseon does not respond to the talks. This policy was reviewed by Inoue Kowashi and Gustave Émile Boissonade. They confirm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reprisals was possible through the question and answer, and prepa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reprisals’ by writing a draft of the announcement and an ultimatum that pressures the deadline when ‘reprisals’ is implemented. The specific plan of ‘reprisals’ prepared by them led to negotiations with Joseon. The instruction delivered to Hanabusa Yoshimoto through Inoue Kaoru was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of ‘reprisals’ they reviewed. After the military and the people attacked the Japanese legation, Daewon-gun declared a national emblem of Queen Min to calm the public sentiment, and at the same time abolished Muwiyeong(武衛營), Jangeoyeong(壯禦營), and Byeolgigun(別技軍) which were reorganized during the military reform, and revived base of the Fifth Army. Furthermore, Daewon-gun abolished Tongrigimuamun(統理機務衙門), the Enlightenment Policiesorganization. In addition, the Samgunbu was re-established to abolish the Joseon enlightenment policy, which had been promoted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 The abolition of the Tongrigimuamun meant the abolition of the institution that had been in charge of diplomacy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 Daewongun actively negotiated the post-processing of the Imo Military Rebellion in the face of an unprecedented incident in which a foreign legation was attacked in Joseon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but failed to effectively respond to Japanese aggression through international law. When Hong Soon-mok, who was plenipotentiary of the negotiations, was appointed to the Sanleunggansimbongpyo(山陵看審封標) Hanabusa judged it as a way to delay the date and sent an ultimatum. However, because there were opinions within Japan that occupation of major regions could lead to the outbreak of war with the Qing, Japan could not immediately implement the occupation method through the military through ‘reprisals’. In this situation, Inoue Kaoru ordered Hanabusa to demand compensation including interests such as gold mining from Joseon. This was based on the content that the victimized country could determine the extent of the damage on its own, among the contents of ‘reprisals’. Joseon appointed Lee Yu-won and Kim Hong-jip as plenipotentiary representatives and began negotiations with Japan. They were directly or indirectly involved in the diplomacy of Joseon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and in particular, Kim Hong-jip had experience in negotiations with Japan. Before the negotiations, Joseon prepared for negotiations with Japan through talks with Ma Jianzhong(馬建忠). Ma Jianzhong advised details of the negotiations, and attached the contents shared with Takezoe Shinichiro(竹添進一郞) through the writing for Joseon to use. Ma Jianzhong's talks with Takezo presented international cases similar to ‘reprisals’ such as the Unnamseong incident and the Crimean War. Ma Jianzhong recommended that these international cases be used as grounds for rejecting military expenses. However, in negotiations with Joseon, Japan added items that were difficult for Joseon to accept, and the attitude of Hanabusa was also strong. Hana excessively demanded compensation for military expenses, and included interests in Joseon, such as gold mining, telegraphic cable construction in the category of compensation. Joseon rejected the term compensation itself by using the international case presented by Ma Jianzhong. The word “compensation” made it difficult to reject Japan's demands, including interests. because it recognizes Joseon's responsibility is recognized in the process of negotiating with the occurrence of Military Rebellion. In the Unnamseong incident ,which was presented as an example of ‘reprisals’, the provision that the Office ‘compensates’ to the UK was specified. The United Kingdom demanded compensation from the Qing by adding damage to the British merchants until the event occurred in the category of compensation, and included it in the treaty. On the other hand, Joseon was able to reject the interests demanded by Japan by replacing the word “compensation” with the term “Supplement(塡補)”. The Chemulpo Treaty can be seen as a result of Joseon's defense of Japan's additional demands for interest by utilizing international cases.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이 임오군란 사후 처리 과정에서 일본의 국제법에 근거한 ‘보복적 강제 배상(强償)’ 요구를 거절하는 과정을 검토하는 것이다. 1882년 7월 23일 군민에 의해 발생한 임오군란은 일본공사관 파괴로 이어져 한일 양국 간 국제적인 사건으로 확대되었다. 일본이 임오군란의 발발 이후 교섭의 단계에서 조선에 적용한 공법상의 내용은 ‘보복적 강제 배상’이었다. ‘보복적 강제 배상’은 국제법 위반으로 인해 피해를 받은 국가가 국제법을 위반한 국가에 피해를 주는 행동의 중단과 손해의 구제를 요구하고 무력을 동반한 조치를 통해 이를 강제하는 것을 의미했다. ‘보복적 강제 배상’을 입안한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는 조선과 직접 담판하고 조선이 담판에 응하지 않을 시 주요 도서(島嶼)와 개항장을 담보로 잡는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 방침은 이노우에 고와시(井上毅)와 보아소나드(Gustave Émile Boissonade)에 의해 검토되었다. 이들은 문답을 통해 ‘보복적 강제 배상’의 시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보복적 강제 배상’이 시행될 때 발송될 ‘공고의 초안’과 최후통첩을 작성하여 ‘보복적 강제 배상’의 시행에 대비했다. 이들이 마련한 ‘보복적 강제 배상’의 구체적인 계획은 조선과의 교섭으로 이어졌다.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를 통해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에게 전달된 훈령은 이들이 검토한 ‘보복적 강제 배상’의 내용과 일치하는 내용이었다. 군민의 일본공사관 습격 이후 대원군은 민심을 진정시키기 위해 명성황후(明成皇后)의 국장을 선포하고, 동시에 군제개혁 과정에서 개편되었던 무위영(武衛營)과 장어영(壯禦營), 별기군(別技軍)을 폐지하고 5군영을 부활시켰다. 나아가 대원군은 근대적 개화 기구인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철폐하고 삼군부(三軍府)를 다시 설치하여 개항 이후 추진되었던 조선의 개화 정책을 폐지했다. 통리기무아문의 폐지는 곧 개항 이후 외교를 담당해온 기관의 폐지를 의미했다. 대원군은 개항 이후 조선에서 외국공사관이 습격당한 초유의 사태에 당면하여 임오군란의 사후 처리에 적극적으로 나섰지만, 국제법을 통한 일본의 침략에 대응하지 못했다. 하나부사는 협상의 전권대신을 맡았던 홍순목(洪淳穆)이 산능간심봉표(山陵看審封標)에 임명되자 하나부사는 이를 ‘시일을 지연하게 하는 방법’으로 판단하고 최후통첩을 발송했다. 그러나 일본 내부에서 주요 지역의 점령이 청과 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고 일본은 ‘보복적 강제 배상’을 통해 무력을 동원하는 방식을 곧바로 시행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노우에 가오루는 배상에 금광채굴 등 이권을 포함하여 조선에 요구할 것을 지시했다. 이는 ‘보복적 강제 배상’의 내용 중 피해국이 피해 규모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다는 내용에 근거했다. 조선은 이유원(李裕元)과 김홍집(金弘集)을 전권대표로 임명하고 일본과 교섭에 나섰다. 이들은 개항 이후 조선의 외교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인물들이었다. 특히 김홍집은 일본과의 교섭에 경험이 있었다. 조선은 교섭 이전 마건충(馬建忠)과 회담을 통해 일본과의 교섭을 준비했다. 마건충은 교섭에 대한 사항을 권고하면서 다케조에 신이치로(竹添進一郞)와 필담을 나눈 내용을 첨부하여 활용하게 했다. 마건충이 다케조에와 회담한 내용에는 운남성(雲南省) 사건, 흑해(黑海) 전쟁 등 ‘보복적 강제 배상’과 유사한 국제적 사례가 제시되었다. 그런데 교섭이 시작되자 하나부사는 조선이 받아들이기 힘든 사항을 추가하여 제시했고 하나부사의 태도도 강경했다. 하나부사는 군비에 대한 배상을 과도하게 요구했고 금광채굴, 전신선 가설 등 조선에 대한 이권을 배상의 범주에 추가했다. 조선은 마건충이 제시한 국제적 사례를 활용하여 배상이라는 용어 자체를 거부했다. ‘배상’이라는 단어는 군란의 발생과 교섭 과정에서 조선의 책임을 인정하게 되어 이권 등을 포함하는 일본의 요구를 거절하기 힘들게 했다. ‘보복적 강제 배상’의 사례로 제시되었던 운남성사건에서는 청이 영국에 ‘배상’한다는 조항이 명시되었다. 영국은 사건 이전까지 발생한 영국 상인들의 피해를 배상의 범주에 포함하여 요구했고 내지 통상도 조약에 포함했다. 반대로 조선은 교섭 과정에서 ‘배상’이란 단어를 ‘전보(塡補)’라는 용어로 대체함으로써 일본의 이권 요구를 거절할 수 있었다. 제물포조약은 조선이 국제적 사례를 활용하여 일본의 추가적인 이권 요구를 방어했다는 의의가 있다.

      • 1880년대 조선에 파견된 청 관료의 조선 인식 : 속국 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Yu, Yanting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56

        This thesis while focusing on officials of the Qing dynasty dispatched to Chosun in the 1880s, aims to examine the changes that occurred throughout the transition from pre-modern to modern in the policy of the Qing dynasty toward Chosun. This will be attempted through research on the officials’ activities in Chosun and through the changes in the concept ‘vassal state’ that was embodied in their perception of Chosun. Qing started to interfere with Chosun starting from the signing of the Chosun-U.S treaty of Friendship and Commerce(the following would be the Chosun-U.S treaty) in the early 1880s and through the Soldiers’ Rebellion of 1882 and the 1884 Coup deepened that interference up until the Sino-Japanese war. Through the process, the perception of the Qing officials on whether they saw Chosun as a ‘vassal state’ of the pre-modern tribute-investiture order or as a ‘vassal state’ of a modern international law order, influenced Qing’s interference on the matters of Chosun. Ma Jianzhong(馬建忠), who was sent to Chosun through the Chosun-U.S treaty, was the first official to be dispatched while Qing-Chosun relations were in the transition of a modern relationship. Since the Chosun-U.S treaty was start of the Qing interference of Chosun, Ma Jianzhong aggressively tried to stipulate that Chosun was a vassal state of Qing. However, because stipulation of the traditional tribute relationship was a contradiction to the international law order, this could not be accomplished. Nonetheless, the intention of stipulating ‘vassal state’ did not dissolve and Qing’s claiming suzerainty on Chosun rather reinforced. The reinforcement of claiming suzerainty deepened throughout the Soldiers’ Rebellion of 1882. Ma Jianzhong was dispatched to Chosun once more to investigate the rebellion and Qing’s interference expanded from external affairs to include internal affairs. Ma Jianzhong used Qing’s suzerainty to dispatch Qing troops and to invite Daewongun, justifying interference in internal affairs. Thus, the diplomatic rule of ‘a vassal state is to be independent in internal·external affairs’ between tribute-investiture states was destroyed. During the Soldiers’ Rebellion of 1882 period, officials that were dispatched to Chosun included not only Ma Jianzhong but also Zhang Jian(張謇), Ma Jianchang( 馬建常) and Wang Xichang(王錫鬯). Their conception of ‘vassal state’ and design of Qing-Chosun relationship differed from each other. Zhang Jian came to Chosun with the Qing army and demanded reinforcement in claiming suzerainty on Chosun as Ma Jianzhong did, but insisted on different methods and had different goals. Zhang Jian had pride in the strength of China and also inderstood the essence of the international world order, so he was in favor of using strong methods such as military force instead of using appeasing methods such as treaties and wanted to go back to the former tribute-investiture relationship. Ma Jianchang who was dispatched to Chosun as commercial consultant after the Soldiers’ Rebellion of 1882, did not see Chosun as a ‘vassal state’ anymore and thought the relationship between Chosun and Qing should be readjusted to a modern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Wang Xichang saw Chosun as a ‘vassal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pre-modern east asian order and was against readjusting the Chosun-Qing relationship to a modern one. At the time, as Ma Jianchang pointed out, on one hand the Qing government could not abandon the former tribute-investiture relationship with Chosun and on the other hand they tried to readjust the relationship into a modern on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world order. The Qing government wanted to fulfill these two objectives simultaneously although they were contradictory. Thus there were ambivalent diplomatic systems between Qing and Chosun at this time. The representative outcome of this situation was the 1882 Regulations for Maritime and Overland Trade. This treaty included modern commercial regulations as well as pre-modern ‘vassal state’ regulations. Through this treaty, the Qing established a modern treaty relationship with Chosun and also reinforced suzerainty over Chosun as the Qing government intended. However, after the outbreak of the 1884 Coup, a qualitative change happened on Qing’s policy toward Chosun. Instead of claiming suzerainty on Chosun, Qing was focused on claiming protection right over Chosun. The specific disscusion about Qing’s claiming protection right over Chosun arose during the negotiation of the Tianjin Treaty between Japan and Qing after the 1884 Coup. Protection rights over Chosun that Qing claimed was that Qing had the right to dispatch their military to Chosun whenever riots arose in Chosun. Qing’s claiming protection right over Chosun was reinforced after Yuan Shikai( )’袁世凱s dispatch to Chosun. Yuan Shikai was dispatched to Chosun as Director-General Resident in Korea of Diplomatic and Commercial Relations to prevent Russia from making Chosun as protectorate. He justified Qing’s “protection” of Chosun by emphasizing that Chosun and Qing were communities of the same fate that should be on guard against foreign powers by being on the same side. Moreover he widely invaded Chosun’s diplomatic rights based on this emphasis. In conclusion, from Ma Jianzhong’s dispatch at the beginning of the 1880s to Yuan Shikai’s dispatch at the late 1880s, the change in Qing’s policy toward Chosun from claiming suzerainty to claiming protection right coud be conformed through those officers’ perception of Chosun. More importantly, whether claiming suzerainty or claiming protection right, Qing never gave up the name of the tribute-investiture relationship with Chosun. That was why Qing-Chosun’s relationship was maintained in a two-tier system until the Sino-Japanese War. 본 논문은 1880년대 조선에 파견된 청나라 관료들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조선 내 활동과 조선 인식 속에 담긴 ‘속국’ 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전근대에서 근대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청나라의 대조선 정책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청은 1880년대 초 조미수호통상조약의 체결부터 조선을 간섭하기 시작하였고, 임오군란, 갑신정변 등을 거쳐 청일전쟁 이전까지 조선에 대한 간섭을 심화하였다. 그 과정에서 조선에 파견된 청나라 관료들이 조선을 전근대 조공-책봉 질서의 속국으로 보았는지 아니면 근대 만국공법 질서의 속국으로 보았는지의 문제가 청의 대조선 간섭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조미조약의 체결로 파견된 마건충은 조·청 관계가 근대로 이행되는 과정에서의 첫 관료파견이었다. 조미조약은 청의 대조선 간섭의 시작이므로, 마건충은 주로 조선이 청의 속국임을 명문화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려 하였다. 그러나 전근대의 번속관계의 명문화는 근대 만국공법 질서와 모순되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성사되지 못했다. 그러나 속방 명문화의 의도는 사라지지 않았으며, 조선에 대한 청의 종주권 강화의식은 오히려 향상되었다. 이러한 종주권 강화의식은 임오군란을 거쳐 더욱 심화되었다. 임오군란의 발발로 마건충은 군란을 조사하는 명의로 재차 조선에 파견되었으며, 청의 대조선 간섭도 외교에서 내정까지 이루어졌다. 청나라의 파병을 초청하는 데, 그리고 대원군을 초청하는 데에, 마건충은 조선에 대한 청의 종주권을 이용하여 청의 내정 간섭을 정당화하였다. 이렇게 되어 조공-책봉 관계에서의 “속국은 내정·외교에 있어 자주적으로 한다”는 외교 규칙이 한 걸음 더 나아가 파괴되었다. 그러나 임오군란 시기 조선에 파견된 청 관료는 마건충 이외에 장건, 마건상, 왕석창 등도 있었다. 이들이 각각 생각한 ‘속국’의 개념이 다르고, 구상한 조·청 관계도 달랐다. 청나라 군대를 따라 조선에 파견된 장건은 마건충과 똑같이 조선에 대한 청의 종주권 강화를 요구하였지만, 주장한 방법론과 지향한 목표가 매우 달랐다. 장건은 중국의 강대에 대한 자부심이 있으면서 만국공법의 약육강식 본질을 깨달았으며, 조선 문제에 대해서 회유적으로 조약의 방식으로 강화하는 것보다 무력충돌도 불사하겠다는 강경적인 대책을 선호하였고, 또한 예전의 조공-책봉 관계로 회복하려 하였다. 임오군란 이후 상무고문으로 파견되었던 마건상은 더 이상 조선을 전근대의 ‘속국’으로 보지 않고, 조선과 청의 관계를 반드시 근대적인 관계로 재편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반면, 왕석창은 완전히 조선을 전근대 동아시아질서 속의 속국으로 보고 있으며, 조선과 청의 관계를 근대적인 관계로 수립하는 것에 대해 매우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마건상이 지적하였듯이, 당시 청나라 정부는 한편으로 조선과의 종래의 조공관계를 포기하지 못하고, 다른 한편으로 나름대로 만국공법에 맞춰 조선과 근대적인 관계로 재편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 두 가지의 목표가 모순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청나라는 이 두 가지 목표의 공존을 실현하려 하였다. 때문에 이 시기 조선과 청에서 이중적인 외교체제를 만들었다. 그 대표적인 결과물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이었다. 이 장정은 근대적인 상무 규정과 전근대 속방 규정을 모두 포함하였다. 장정의 체결로 청나라가 지향하고 있는 조선과의 근대 조약 관계를 수립하였으며, 조선에 대한 청의 종주권 강화도 청나라가 원하는 대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갑신정변의 발발로 청의 대조선정책에 질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곧 조선에 대한 종주권 강화에서 조선 보호권 강화로 변화한 것이었다. 조선 보호권에 대한 논의는 갑신정변 이후 일본과 천진조약을 협상하는 데에 구체적으로 제기되었다. 그것은 조선에서 일이 생기면 청나라가 군대를 파견하여 조선을 보호할 권리가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청의 조선 보호권 강화는 원세개의 조선 파견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원세개를 駐箚朝鮮總理交涉通商事宜로 파견하여 러시아의 조선보호화를 방지하려 하였고, 또한 청의 조선보호화를 추진하려 하였다. 원세개는 조선과 청이 운명공동체로서 만국공법 질서의 세계에서는 같은 편이 되어 서로 의지해서 외국을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함으로써 청나라의 조선 보호를 정당화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론을 근거로 전권대신 사건에서 조선의 외교권을 크게 침해하였다. 요컨대 1880년대 초 마건충의 파견으로부터 1880년대 후반 원세개의 파견까지, 이들 관료들의 조선 인식을 통해 청의 대조선 정책은 조선에 대한 종주권 강화에서 조선에 대한 보호권 강화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종주권 강화이든지 보호권 강화이든지, 청은 끝까지 조선과의 조공-책봉 관계의 명의를 포기하지 못했다. 때문에 조·청 관계는 청일전쟁까지 이중적인 체계로 유지되었다.

      • 壬午軍亂의 都市民亂的 性格 考察

        오진욱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글은 1882년 개항 이후 최초로 발생한 반정부, 반외세 민중봉기인 임오군란의 주체를 당시 서울에 거주하던 하급 군인들과 도시하층민집단으로 규정하고, 이들이 전개했던 임오군란을 도시민란의 대표적 한 형태로써의 조선사회를 변화시키는 계기가 된 사건으로 역사적 재평가 하고자 한 글이다. 조선 후기는 우리나라에 있어서 전근대와 근대를 연결하는 가교역할을 한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는 사회 전반적으로 조선 후기 자본주의 맹아가 등장하면서, 조선 사회 자체도 역동적인 변화를 띠는 시기이기도 하였지만, 산업혁명 이후 근대화를 이룬 제국주의 국가들의 서세동점이 본격화되어 실질적인 세계화가 이루어지는 격변의 시기이기도 하였다. 임오군란은 대외적으로는 서구제국주의와 일본, 청 등 주변 강국들의 조선침략이 가시화되고, 대내적으로는 국가의 사회통제시스템이 작동하지 못하는 가운데, 사회경제적 혼란상이 가중되고 정부가 사회모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자, 수탈의 대상이었던 하급군인과 도시하층민들이 군대조직과 향촌조직의 결합을 통해 정부를 붕괴시키고 반외세 투쟁을 수반한 정치적 사건이었다. 군란의 주체세력이었던 하급군인과 도시하층민들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살펴보면, 19세기 이후 중앙군영의 하급군인은 서울의 하층민에서 선발되었다. 그러나, 1863년 고종 집권 이후 강병정책의 추진과정에서 개혁의 대상으로 전락한 하급군인들은 급료의 미지급, 신식군대와의 차별대우, 대량실직이라는 상황속에서 사회경제적으로 몰락해갔다. 개항 이후 상품화폐경제의 확대속에서 발생하는 부를 독점하기 위한 국가권력과 지주계급의 수탈은 농촌으로부터 많은 노동력을 유출시켰다. 이들은 대부분 유민이 되어, 유리걸식하거나 도시로 몰려들어 빈민층을 형성하였다. 이들의 불안정한 생존 상황은 하층민들의 저항의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서울의 경우 개항을 전후로 삼정의 문란과 관리들의 부정부패, 악화의 남발과 이로 인한 물가상승 및 곡가의 급등, 국가권력과 결탁한 시전상인의 횡포와 대규모 선단을 거느린 무역상들의 매점매석으로 도시소상인, 소상품생산자들이 몰락하여 도시하층민으로 전락하면서 도시하층민의 규모가 확대되었다. 규모의 확대뿐만 아니라 하층민들의 저항의식도 계속되는 민란의 발생속에서 성장해갔다. 하급군인을 포함한 도시하층민들의 경제적 상황의 악화와 정치 및 사회의식의 성장을 토대로 하여 임오년의 민중봉기는 도시 민란의 대표적인 양상을 띠면서 전개되었다. 비록, 군란 주체세력이 중앙정치세력을 몰아낸 이후, 대원군에게 전권을 이양하고 청일로 대표되는 외세의 간섭을 확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고 군병 급료의 지급, 주전의 금지, 도고의 금지, 잡세징수의 금지 등과 같은 정책만을 이끌어 내는데 그친 한계점도 있지만, 최초로 도시민중의 힘에 의해 중앙집권 세력을 붕괴시키고, 일본으로 대표되는 제국주의 세력에 대한 반외세운동을 민중봉기 차원으로 실현시킨 측면은 이후 1894년 동학농민운동까지 이어지는 반외세, 반봉건을 지향하는 민중운동의 카다란 한 흐름의 시발점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I want to express myself that Imogunran (An Insurrection of Troops on Imo-year by Koran Calendar - from now on I will refer this to Imogunran.) is an incidents to draw the big change of the society in Joseon Dynasty. This time in 1882. Anti-government and anti-foreigners' ruling was the main goal of this incidents. The prime mover of this incident was the public in Joseon Dynasty. And those poeple are made up of a soldier and the poor living in urban area. I consider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s the significant era that connect between ex-modern and modern period in my country. This time, we can meet the people who purue the capitalism. Because of this, there were the dynamic changes in the respect of the society in Joseon Dynasty and there was the practical globalism based on the modernism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imperial western nations. Imogunran was the political rebellion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The first reason is that there were many invasions from the western imperial nations, Japan, China and other exterior powers. The second reason is that government could not govern the nation well. The third reason is that the problem of the social and economic chaos was getting deeper and deeper. The fourth reason is that the government couldn't find out the solution of the problem. Due to these reasons, lower class soldiers and the poor in urban areas as sufferers of those days wanted to break down the government and wanted to be against the foreign poewers through the unity between the army and the country village. Major power of the rebellion was lower class soldiers and the poor who lived in urban area. After 19 centuries, the central part of the soldiers were from the poor who lived in Seoul. However, after Gojong governed the country, government pursued the policy of making the powerful soldier, so the lower class soldiers couldn't get the pay, get the discrimination from the newest soldiers, couldn't work. After the harbor open to foreign trade, people gets benefits by exchanging the goods and money. and In order to get this benefits or interests, the authority and the landlord plundered the poor who lived in agricultural village. they roamed here and there, became beggars or formed the class of the poor who lived in urban area. SO they resisted against the authority gradually. Especailly, in Seoul, Before and After the harbor open to foreign trade, administrator corrupted, there were much counterfeited currency, inflation, misbehavior of merchant who colluded with authority, the policy was getting worse, traders made a monopoly and so on. These are the reason the class of the poor who lived in Seoul was growing bigger and bigger by degrees and also their resistance against the authority. There were the many movement of these people. Based on these economically worse situation and the awakening of social situation of the lower solders and the poor who lived in urban area, these people rose in revolt in Imo-year by Korean calendar. After getting the power of the ruling, they shited their power from Daewongun, they got the pay for the soldiers, forbidding coining the money, banning the Dogo, they keep their authoriy from getting unnecessary taxes. For the first time, centralization of power was crashed down by the civil power, they brought about the civil movement against the imperial power such as Japan. The latter two can be set a price of the starting point of civil movement such as Donghak peasants movement for the anti-exterieor power, and the anti-feudal system.

      • 明成皇后 생애 관련 遺跡地 연구

        김민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2

        본 논문은 明成皇后의 생애에 나타난 遺迹地에 관한 연구이다. 황후의 생애와 업적을 증거 하는 유적지 연구는 역사학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고, 이를 통해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 배경을 탐색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유적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명성황후의 출생 과정부터 조선 왕비로서의 간택과정, 시해 사건과 관련된 생애를 통한 유적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인 유적지의 생애사적 접근은 명성황후를 포함한 조선 황실의 역사를 찾아볼 수 있었다. 특히 주변 열강들의 침입 속에서 몰락해가는 한 국가의 운명이 명성황후의 유적지에도 표출되어 있었다. 명성황후 유적지 논의 범주는 초년 생애의 유적지, 황실 생활공간, 피난지의 유적지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명성황후의 유적지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국운과 운명이 바뀐 역사의 지점에서 출생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의 자리에는 극적이고 굴곡진 여정이 담겨 있다. 이는 기존 여성들의 일반적인 삶과는 크게 다른 왕비의 위치가 지니는 유적지의 의미를 보여준다. 본 연구의 중점적 논의는 명성황후의 초년 생애의 유적지, 황실 생활공간, 피난지에서의 삶을 통해 명성황후의 생애를 확인하고, 이러한 유적지들이 갖는 의미 및 현대에 보완되어야 할 상황에 대한 견해의 제시이다. 이를 보완하고 유적지로서의 가치를 검토하기 위해 현장답사나 관련 기록이 있는 자료관들을 방문하여 논문에 반영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historic sites shown in the life of Empress Myeongseong. The research of historic sites that demonstrates the empress’s life and achievement is importantly dealt with in the field of historic studies, and its results are used as data that enable the exploration of social situations and background of the time. During the investigation, historic sites related to the empress’s life were examined from her birth to the process of selecting her for a queen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incident of her assassination. A life history-based approach to historic sites,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revisit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s imperial family. In particular, the destiny of a nation collapsing amid the invasions of world powers surrounding it was exhibited in the historic sites of Empress Myeongseong. In the study, the scope of a discussion on the historic sites of Empress Myeongseong was categorized into historic sites in her early life, her living spaces in the imperial court, and historic sites in her place of refuge. The historic sites of Empress Myeongseong contain her dramatic and tumultuous journey ranging from a historic point that changed the Korean Empire’s final density and fate to her birth and death. This journey presents the implications of these historic sites given her status as queen, which differ markedly from the lives of ordinary women in those days. The study’s discussion was focused on identifying the life of Empress Myeongseong by exploring her life at the historic sites of her early days, her living spaces within the imperial court, and her place of refuge, as well as providing the author’s views on the implications of these historic places and how to improve them in modern times. To compensate for these areas and examine the genuine value of these places as historic sites, the author performed field surveys and visited organizations that have related records, and then reflected the findings in this paper.

      • 중국의 한반도 군사개입 유형 및 원인 분석

        송동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383

        The world powers have exercised military intervention in weaker countries for various reasons. Military intervention is a forced intervention by military forces with the intent to control one or more countries' sovereignty for their own interests and purposes. China was no exception, so it intervened militarily in the Korean peninsula to achieve its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interests. This thesis patternizes the history of China 's military interventions in Korean peninsula as “maintaining scope of influence,” “responding to military threat,” and "seeking of economic interests." The military intervention is used to maintain the scope of influence when China faces a possibility of an unfriendly force gaining political power in the face of internal political fluctu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formerly part of the tributary system represented in Sinocentrism. Typical cases in this category are “Military uprising of the year 1882(壬午軍亂)”and “Gapsin Coup of 1884(甲申政變).” Military intervention in response to a military threat is when China faces actual territorial threat in addition to reduced scope of influence due to internal political change or hostile occupation in Korea. This is a type of preemptive military intervention that solves the problem. Typical examples studied are “Japan’s Invasion of 1592-1598(壬辰倭亂)”and “Korean War of 1950-1953(韓國戰爭).” Seeking of economic interests is a kind of military intervention that aims to solve the economic difficultie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conquering the central district(中原) by non-Han Chinese nomadic or hunting nation originating from the Great Wall north, and taking the necessary economic interests out of the military intervention on the Korean peninsula. Major cases examined are “Mongolia’s Invasion(1231-1259)”and “Manchu’s invasion of 1627(丁卯胡亂).” The level of analysis used were "international environment", "domestic situation", "intentions and choices of leaders", and the factor influenced Chinese military intervention. In individual case studies,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all patterns. "Intentions and choices of leaders" were more influential than "domestic situation" in “maintaining scope of influence”and “responding to military threat.” However, In the "seeking of economic interests" the two factors are analyzed to have similar level of influenc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was consistency in the case of China's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hich never allows the emergence of an unfavorabl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f necessary, China has influenced the regime in Korean Peninsula through military intervention. From that point of view, China will not want a situation where the regime in the north of the peninsula is suddenly collapsed, resulting in unification with the Republic of Korea and United States taking the leading role. The purpose of China's participation in the UN sanctions resolution resulted by North Korea's nuclear test and missile launch tests is not in the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but rather the prevention of security in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강대국들은 다양한 동기 가운데 약소국들에게 군사적으로 개입해왔다. 군사개입은 “타국의 국가 내부의 문제에 대해 국력 비교에서 우월한 위치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국가가 자국의 이익과 목적을 위해 대상국가의 정치 권위 체제를 통제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군사력으로 강제 개입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중국도 예외는 아니라서 자국의 정치, 경제, 군사 이익을 달성하고자 위해 한반도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중국의 대한반도 군사 개입사례들을 “세력권 유지형”, “군사위협 대응형”, “경제적 이익 추구형”으로 재유형화하고 그 원인을 분석한다. 세력권 유지형 군사개입은 중국이 기존에 자신의 세력권 즉 조공체제로 대표되는 중화질서 체제속에 속해있던 한반도에 내부적 정치 변동으로 중국에 비우호적인 정권이 출현할 가능성이 높아질 때 선제적으로 군사개입해 이를 차단한다는 유형이다. 대표적 사례로 임오군란, 갑신정변을 다룬다. 군사위협 대응형 군사개입은 중국이 자신의 세력권을 간주하고 있던 지역이 내부 정치 변동 혹은 적대적 국가에 의한 점령등으로 성격이 변질될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중국의 영토에까지 군사적으로 위협이 될 것이 확실시 되는 상황에서 군사적으로 선제개입하여 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유형이다. 대표적 사례로 임진왜란과 한국전쟁을 다룬다. 경제적 이익 추구형 군사개입은 만리장성 이북에서 발원한 비한족 유목 혹은 수렵 민족 국가가 중원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한반도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필요한 경제적 이익을 수탈해간다는 유형이다. 대표적 사례로는 몽골의 군사개입과 정묘호란을 다룬다. 분석수준으로는 “국제환경”“국내상황, ”지도자의 의도와 선택“을 사용하고, 상기 유형 별로 어떤 분석 수준이 중국의 군사개입에 보다 큰 영향력을 끼친 요인이었는가를 살펴 본다. 개별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보면 ”국제환경“이 모든 유형에서 공통적으로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요소였다. 그리고“세력권 유지형”과 “군사위협대응형”에서는 “국내상황”보다도 “지도자의 의도와 선택”이 더 큰 영향력을 발휘했으나, “경제적 이익 추구형”에서는 양자가 비슷한 수준의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중국의 대한반도 군사 개입 사례에 일관되게 흐르는 원리 하나를 발견할 수 있는데, 그것은 중국이 자국에 비우호적인 정권이 한반도에 출현하는 것을 결코 좌시하지 않았으며, 필요시 군사개입을 통해 한반도 정권에 영향력을 행사해왔다는 것이다. 그런점에서 볼 때 중국은 현재 한반도 북쪽에 위치해있는 정권이 갑작스럽게 붕괴되어 한국과 미국 주도로 통일 되는 상황을 원치 않을 것이다.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 미사일 발사 실험으로 UN에서 결의된 제재방안에 동참하는 근본목적도 북한 정권을 붕괴시키고자 함이 아니라, 북한의 대책없는 행동으로 말미암은 한반도 안보 불안 상황을 예방하고, 현 상태가 유지되길 원하는 중국의 뜻에 북한이 따라주길 원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