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퍼스를 활용한 중ㆍ고등학교 영어교과서 텍스트의 인지언어학적 분석 : 조동사 ‘will’과 ‘would’를 중심으로

        양맑음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코퍼스를 활용한 중ㆍ고등학교 영어교과서 텍스트의 인지언어학적 분석: 조동사 ‘will’과 ‘would’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코퍼스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어휘를 분석하되 인지언어학이라는 새로운 틀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인지언어학은 언어의 사용과 습득에 작용하는 인지 과정을 묘사하는 접근법이다. 이 이론은 언어를 배우고 처리하는 인지 과정이 일반적인 정보를 배우고 처리하는 과정과 같다고 주장하면서 영어교육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즉, 학습자가 언어를 처리하는 인지적 과정에 초점을 두고, 언어와 사고의 인지적 과정을 상세하게 묘사함으로써 보다 상세하고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을 영어교육에 적용시킨 연구가 초기단계인 실정이다. 하지만 인지언어학적 접근법이 영어학습자들에게 가장 어려운 영역인 전치사, 구동사, 가정법, 관사와 같은 언어적 측면에 정밀한 설명을 제공해주는 유익이 있다고 해외의 여러 연구를 통하여 증명된 바 있으며, 어휘의 의미와 용도가 중심부로부터 주변부로 확장되는 순서를 가르치는 것을 통해 제 2언어 학습자들은 언어 현상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전망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어교과서에서도 위에서 언급한 의미의 발전 순서를 관찰할 수 있는지, 중학교,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의 어휘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본 연구는 어휘 분석의 대상으로 조동사 will과 would를 선택하였다. 조동사는 제 2언어 학습자들이 학습하기 어려워하는 요소들 가운데 하나이고, 그 가운데서도 조동사 will과 would는 원어민 코퍼스에서 빈도수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 그 의미와 용법을 올바르게 파악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분석의 대상은 우리나라 중학교, 고등학교 교과서 16권에서 추출한 조동사 will과 would가 포함된 문장이다. 의미 분석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는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중인 예비 교사 한 명이 일부 문장을 분석에 참여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동사 will의 의미는 미래지향성과 확실성을 핵심의미로 하여 확실성, 의지적 확실성, 인식적 확실성으로 구분하였다. 조동사 would는 조동사 will의 과거형으로 쓰였다는 사실을 고려해, 조동사 will의 의미로부터 비유적으로 ‘약화’의 과정을 거친 것으로 보고, 약화된 수행적 확실성, 약화된 의지적 확실성, 약화된 인식적 확실성으로 구분하였다. 이 의미 분석의 구분은 기존의 Sweetser(1990) 구분을 기준으로 삼고, 보다 세부적으로 의미를 구분하였던 안승신(1990)의 의미 구분을 참고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 구분을 따라 중학교,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조동사 will과 would의 의미 분포 양상을 분석하고, 그것이 인지언어학에서 제 2언어 학습자들에게 유용하다는 의미의 발전 순서와 관련성을 보이는지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되었던 데이터들에서는 원형적 의미로부터 확장적 의미로 의미가 발전하는 양상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하지만 일부 데이터에서는 하위 수준의 교과서로부터 상위 수준의 교과서로 갈수록 제시되는 조동사의 의미의 중점이 원형적인 것으로부터 확장적인 것으로 이동해가는 양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조동사들 중에서도 더 원형적이고 덜 원형적인 것이 존재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교과서에서처럼 다양한 조동사들을 다른 화행적 기능을 담당하는 상호 대등한 관계로 제시할 것이 아니라, 어휘들 간의 연관성을 들어 보다 유의미하게 제시하는 것이 더욱 합당하게 여겨진다. 본 연구는 교과서 어휘 분석에 인지언어학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도입해, 제 2언어 교육에 유용한 측면을 해외 문헌 연구를 통해 검토하였고, 그 유용성을 우리나라 교재 연구, 개발의 측면과 연결하고자 하였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인지언어학을 영어교육과 관련시킨 연구가 초기 단계에 있다는 점과 코퍼스를 활용한 교과서 어휘 분석에 새로운 관점을 적용하였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Cognitive Linguistic Analysis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Using Corpus: Focusing on English Modal ‘Will’ and ‘Wou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English modal ‘will’ and ‘would’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root meaning and epistemic meaning, and to compare the meaning structures between the textbooks, so that see if the meaning appears according to the useful sequence of Cognitive Linguistics. Through this process, it will be discussed if Cognitive perspective can be adapted in Korean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To carry out these tasks above, the 16 textbooks from the most selected publisher were chosen. The sentences containing English modal ‘will’ and ‘would’ were elected through Antconc 3.4.3w program and analyzed according to Cognitive meanings, the root meaning, medium meaning, and epistemic meaning. English modal ‘will’ has the meaning of performative certainty, certainty of will,and lastly epistemic certainty. English modal ‘would’ has weaken performative certainty, which means past performances, weaken certainty of will, which express hope, and weaken epistemic certainty. Historically, English modal ‘would’ was used as a past form of the modal ‘will’. As Cognitive Linguists see the past tense means a sense of distance and weakening, the modal ‘would’ tends to be more extended meaning, in comparison with ‘will’ to be more prototypic.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n that English modal will, which is more prototypic than ‘would’, was used more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which was the lower level, and ‘would’ was used more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which was the higher level. This implied that there was a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English modal ‘will’ and ‘would’. Next, the meaning structures of English modal ‘will’ and ‘would’ from the individual textbook showed that there were partial meaning sequence related Cognitive perspective through the level of the textbook. In middle school textbook B, root meaning of English modal ‘will’ went to extended meaning in accordance with level, and high school textbook showed that pattern with both ‘will’ and ‘would’ in part.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suggested that since Cognitive Linguisticscan be observed in the existing textbooks, the new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related to Cognitive Linguistics is needed. For example, developing the new type of materials and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deserve to be studied. Also, many English teachers and learners are not familiar with this concept, this perspective needs to be introduced and utilized broadly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어 감각형용사 의미 교육 연구

        정혜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1990년대 초에 한국어학계에 도입되어 현대 언어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는 인지언어학은 의미론, 형태론, 통사론, 화용론 등에 발상의 전환을 가져왔다. 이 이론은 언어 현상에 대한 인간의 경험과 경향성에 기반하여 언어를 해석하는 이론으로서 설명력과 응용력이 뛰어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인지언어학을 교육적 도구로 활용하여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제안한 연구가 지금까지 찾아보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인지언어학 이론을 한국어 감각형용사의 의미 교육에 적용시켜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감각형용사의 의미 교육 내용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한국어교육에서 인지언어학 이론이 교육적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방증함과 동시에 한국어 의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립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의 수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어 감각형용사 의미 교육을 위한 기초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인지언어학의 성격 및 위상 그리고 어휘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방법론인 신체화, 원형 범주화, 개념적 은유, 영상도식에 대해 살펴보고 제2언어 교육에서 인지언어학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다음, 인지언어학 관점에서 다의어의 의미 확장 방향과 한국어 감각형용사의 개념 및 범주를 살펴본 후 본고에서 초점을 두고 분석할 감각형용사 15개를 선정하였다. 그다음 선정한 한·중 감각형용사의 의미를 인지언어학 관점에서 분석하고 의미 확장 방향의 분석틀에 기반하여 어휘들의 의미 확장 방향의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인지언어학 기반의 교육 내용을 제안하기에 앞서 학습자의 이해와 산출 양상에 대한 입체적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Ⅲ장에서는 우선, 한국어능력시험에서 중급 혹은 고급 성적 소지자인 동시에 현재 중국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전공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인 학부생 138명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해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선다형 테스트를 설계하고 산출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번역 테스트를 설계한 후 온라인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다음 숙달도, 목표영역 그리고 의미 확장 방향에 따른 이해·산출 정답률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해와 산출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k-평균 군집분석 방법을 시행하여 난이도 상(上), 중(中), 하(下)에 속하는 의미가 각각 19개, 21개, 7개로 분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자 군집별 오류 양상을 자세히 고찰하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해와 산출 과정에서의 난점을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어 감각형용사 의미 교육 내용의 설계에 대해 논하였다. 우선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어 감각형용사 의미의 교육 목표를 능동적인 의미 이해·산출 능력 신장, 자발적인 어휘 의미 차이 변별 능력 향상, 역동적인 인지적 사고 능력 함양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의 내용으로 첫째는 원형 범주화와 영상도식을 통한 의미 지식의 활성화, 둘째는 범주화 체계와 의미 확장 방향을 통한 의미 차이 입체적 인식, 셋째는 신체화와 개념적 은유를 통한 의미 내면화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교육에서 인지언어학 이론 적용의 향후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교육적 도구로서의 방법론적 정교화가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어휘 교수·학습 방법의 장점을 포용해야 한다. 셋째,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과 중국의 언어 대조 자료를 더 풍부히 구축해야 한다. 넷째, 학제적 탐구를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인지언어학을 한국어 감각형용사 의미 교육에 적용시켜 교육 내용을 제안함으로써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인지언어학이 교육적 도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방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인지언어학 관점에서 한·중 감각형용사의 개념화 양상을 밝히고 의미 확장 방향의 분석틀을 설정하여 분포를 살폈다는 점에서 향후 양국 다의어의 의미 확장의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의 한국어 감각형용사에 대한 습득 양상을 다양한 문항을 통해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 실태를 입체적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인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교실 수업에 기여하는 데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 밝힌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인지언어학 이론 적용의 향후 과제가 인지언어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와 교사들이 연구를 진행하거나 수업 내용을 설계할 때 풍부한 아이디어를 제공해 줄 수 있기를 바란다. Cognitive linguistics was introduced into Korean language studies in the early 1990s, opening new horizons in modern linguistics and causing a shift in thinking regarding semantics, morphology, syntax, and discourse theories. Cognitive linguistics has great illustrative and applied power as a theory explaining language based on human experiences as well as the tendencies of linguistic phenomena. Few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teaching, however, have proposed specific educational content using cognitive linguistics as an educational tool. Based on these issues, this study applied cognitive linguistic theory to the semantic education of Korean sensory adjectives. It proposes an educational content of Korean sensory adjectives for Chinese learner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utilizing cognitive linguistic theory as an educational too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ontributes to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Korean semantic education. The study consists of several parts. Chapter II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ducation using cognitive linguistics-based semantics regarding Korean sensory adjectives. First, we review the nature and status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discuss embodiment, prototype categorization, conceptual metaphors, and image schemas. We als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cognitive linguistics in second language education. Next, we examine the direction of semantic expansion of polysemous words and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Korean sensory adjec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Fifteen sensory adjectiv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We then analyzed the semantics of the selected Korean and Chinese sensory adjectives from a cognitive linguistics perspective and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the lexemes’ semantic expansion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Before proposing a cognitive linguistics-based educational content, a detailed analysis of learner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is required. Therefore, in Chapter III, 138 undergraduate students aged 18 years or older who had intermediate or advanced scores on the TOPIK and were currently majoring in Korean at a Chinese universit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A multiple-choice test was designed to examine comprehension; a translation test was designed to examine producti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We then examined th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correctness rates according to proficiency, target domain, and semantic expansion direction. We also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scores and performed a k-means cluster analysis. This showed that the number of meanings belonging to the high, medium, and low difficulty levels were 19, 21, and 7, respectivel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types of learner clusters and error patterns by cluster, and summarized the difficulties in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Finally, we conducted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error patterns among learner clusters and summarized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the understanding and derivation processes using in-depth interviews. In Chapter IV, we discuss the design of educational content in cognitive linguistics-based Korean sensory adjective seman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alysis. First, the education goals were set as “increasing active semantic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improving spontaneous lexical semantic discrimination,” and “fostering dynamic cognitive thinking.” To achieve these goals, we propose the following educational content: First, semantic knowledge is activated through prototype categorization and image schemas. Second, multiple dimensions of semantic differences are recognized through a categorization system and semantic expansion direction. Third, semantics are internalized through embodiment and conceptual metaphors. Finally, future challenges for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linguistic the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summarized. First, methodological elaboration is required as an educational tool. Second, it is necessary to embrace the advantages of various vocabulary education methods. Third, more cognitive linguistics-based data contrasting Korean and Chinese are required. Finally, interdisciplinary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his study applies cognitive linguistics to education regarding Korean sensory adjective semantics and proposes related content. It demonstrates the applicability of cognitive linguistics as an educational too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e conceptualization of Korean and Chinese sensory adjec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established an analysis framework for semantic expansion to examine their distribution.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identifying the tendency of semantic expansion of polysemic Korean and Chinese words in the future. This study also analyzes Chinese learners’ situation regarding Korean sensory adjectives through various questionnaires. This aids in designing more effective educational content and contributes to actual classroom practice by understanding various aspects of Chinese learners’ vocabulary apprehension. Finally, we hope that the future challenges of applying cognitive linguistics theory to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dentified here will provide researchers and teachers interested in cognitive linguistics with rich ideas for conducting research or designing educational content.

      • 인지언어학적 접근에 의한 국어 어휘의미 교육 방안 연구

        조미숙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vocabularies, highlight the necessity of vocabulary education, and approach vocabulary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meanings. Until now, vocabulary education has been influenced by the descriptive linguistics and structuralism, and, as a result, most of the educational efforts were focused on analyzing the semantic features of vocabulary and refining the meanings emphasizing literalism. Such perspectives discussed in cognitive linguistics may have provided fundamental and reasonable explanations. But, in the classrooms, this idea is yet to be applied,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education was biased by a specific point of view. This study, which is inspired by these issues,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lassroom education in a semantic perspective of the words historically, to reveal its limitations and issues to be solved. Also, in order to solve these issues, the goals of education on meanings of vocabulary was set based on the theories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the methods and principles of cognitive linguistics were used to design an education program for meanings of vocabulary and prevent a specific, practical curriculum based on such a design. In order to design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meaning of Korean vocabulary, the researcher reviewed contents related to vocabulary and meanings of vocabulary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in order to examine what are the content elements provided and how these were changed historically. As a result, the education on the meanings of Korean vocabulary was defined as an ‘education focused on various meanings provided by words, focusing on words which take a significant place in linguistics’ and demonstrated that, in the perspectives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goa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values of the meanings of Korean vocabulary could be served. This was followed by an examination on the nature of education on the meanings of Korean vocabulary in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analyzed the meanings of vocabulary in detail in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into meanings of words, categorization, polysemy, confrontation, metaphor, and iconicity, to provide a foundation for designing education on the meanings of Korean vocabulary. With the cognitive linguistics in the background, the goals and contents of education on the meanings of Korean vocabulary and the methods for such an education were provided. The goals of the education on the meanings of vocabulary sets ‘the recognition of the forms of the linguistic subjects embedded in the meanings of vocabulary’ as the top-level goal, while a more practical objective of ‘enhancing the skills of using a language based on systematic knowledge on the meanings of words’ was presented as to be subordinate to this top level goal. And, the researcher specified the content elements of education on the meanings of vocabular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key mechanisms of cognitive linguistics. These elements were, respectively, ‘synchronization of the meanings of vocabulary,’ ‘expansion of the meanings of vocabulary,’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s of vocabulary,’ and ‘the relationship of the meaning of vocabulary.’ Then, tasks for applying these elements were presented. The educational methods for the meanings of vocabulary were presented in two categories, which are the cognitive-integrative methods and the domain-integrative method. The cognitive-integrative method describes the vocabulary phenomena based on the observation on various linguistic data or usage, analyze the causes behind them, and describ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 so that the knowledge on the meanings of vocabulary is recognized. Such this process, composed of observation, description, explanation, and recognition, etc., is to be meaningful, the learners should not merely remember the knowledge but internalize it as values or habits, leading to actions or behaviors. The definitive elements of internalizing habits, values, motivation, and interests were, unlike other academic studies, are the key leaning elements pursued in education. The domain-integrative method emphasizes the functions of words as a tool, focusing on the functions and roles of words in the domain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literature. Of these, the encyclopedic perspective on the meanings of vocabulary is very useful in the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a text. With this,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words to understand the intent of the speakers shown in linguistic materials or the relationships between meaning of words in a sentence or utterance may help a more natural approach to the idea that the words do not exist on their own but as a result of the reconstruction by the conceptual speaker based on his/her method of cognition, experience, somatization, or culture. Wit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provide a set of basic data for the teachers and students who practice education on the meaning of vocabulary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designing for Korean language, preparation of text books and in classrooms, so that they can explore more practical and concrete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본 연구에서는 어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어휘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의미적 차원에서 어휘교육에 접근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어휘 교육 현장에서는 기술 언어학과 구조주의의 영향으로 인해 어휘가 지닌 의미자질을 분석하고, 문자주의 중심으로 의미를 정교화 하는데 대부분의 교육적 노력이 집중되어 왔다. 인지언어학에서 논의되는 이러한 관점이 어휘의미에 대해서도 본질적이고 타당한 설명력을 지니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아직 이것이 반영되지 못한 채 특정 관점으로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학교 교육의 현황을 어휘의 의미적 차원에서 사적으로 분석하고 그 한계와 과제를 밝혔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지언어학 이론을 바탕으로 어휘의미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인지언어학의 내용과 연구 방법 원리를 활용하여 어휘의미 교육을 설계하고, 그 실제를 학습 내용으로 구체적으로 보이고자 하였다. 국어 어휘의미 교육의 설계를 위해 지금까지의 어휘 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어휘 및 어휘의미 교육에 관련된 내용을 찾아, 어떤 내용 요소들이 제시되었고 이들이 사적으로 어떻게 변천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어 어휘의미 교육을 ‘언어학에서 현저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어휘’를 대상으로 하여 어휘가 표상하는 다양한 ‘의미’를 중심으로 이루는지는 교육’이라고 정의 내리고,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국어 교육의 목표와 국어어휘 의미의 교육적 가치에 부합할 수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국어 어휘의미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성격을 살펴보고, 인지언어학적 어휘의미를 단어의 의미, 범주화, 다의관계, 대립관계, 비유, 도상성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국어 어휘의미 교육의 설계를 위한 이론적 디딤돌을 마련하였다. 인지언어학의 배경을 바탕으로 국어 어휘의미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어휘의미 교육의 목표는 ‘어휘의미 안에 담긴 언어 주체의 모습에 대한 인식’을 가장 상위 목표로 삼고, ‘어휘의미에 관련된 체계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언어 사용 기능 신장’이라는 실질적인 목표를 하위에 두었다. 그리고 앞서 설정한 어휘의미의 교육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어휘의미 교육 내용 요소를 상세화하였다. 인지언어학의 주요 기제에 의해 선정된 어휘의미의 교육 내용 요소는 ‘어휘의미 동기화’, ‘어휘의미 확장’, ‘어휘의미 해석’, 그리고 ‘어휘의미의 관계’이며, 각각의 내용 요소에 적용할 수 있는 적용 과제를 제시하였다. 어휘의미의 교육방법은 인지통합적 방법과 영역통합적 방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인지통합적 방법은 다양한 언어 자료나 용법 관찰을 바탕으로 어휘 현상을 기술하고, 그 내용의 원인이나 이유를 분석하며, 장·단점이나 특성을 설명함으로써 어휘의미에 관한 지식을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관찰, 기술, 설명, 인식 등의 과정이 의미 있는 교육 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지식이 앎의 수준에 머물지 않고 습관이나 가치로 내면화되고 행동이나 실천으로 이어져야 한다. 습관, 가치, 동기, 흥미 등을 내면화하는 정의적 요소는 일반적인 학문 탐구와는 달리, 교육이 추구하는 중요한 학습 요소들이다. 영역통합적 방법은 어휘의 도구적 기능을 강조하며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문학 영역에서 어휘의 기능과 역할을 강조한 교육 방법이다. 그 중에서도 어휘의미에 관한 백과사전적 관점은 텍스트의 이해 활동에 매우 유용하다. 이를 통해 언어 자료에 드러나는 화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어휘의미의 해석과 문장이나 발화에서 어휘의미 간의 관계는 어휘가 자율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개념화자의 인지 방식이나 경험, 신체화, 문화 등으로 구성한 결과라는 인식에의 자연스러운 접근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국어 어휘의미 교육 실행에서 각각의 단계, 즉 국어과 교육과정의 설계와 교과서 구성,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 어휘의미 교육을 실천하는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다.

      • 사건 개념의 인지언어학적 분석을 통한 이벤트 공간의 디자인 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 베르나르 츄미와 램 쿨하스 작품을 중심으로

        목경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1

        이벤트라는 말은 일상적으로 우리의 생활 속에서 쓰여 지는 단어이다. 최근 현대건축에서도 이벤트라는 단어의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벤트 공간’은 정제된 공간속에서 활동적인 느낌과 다양한 행위들을 유발하는 역할로써 현대건축에 있어서 중요한 건축적 공간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베르나르 츄미와 램쿨하스를 중심으로 많은 디자이너들이 이벤트의 개념을 다양한 건축 프로젝트에 디자인적 요소로 도입하는 경향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과는 달리 '이벤트'에 대한 건축가들의 견해는 상이한 경우가 적지 않으며 공간디자인 요소로 본질적인 개념정리나 적용방법에 있어서 여전히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적지 않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배경에 근거하여 언어학적 관점에서 이벤트의 의미와 구조를 분석하여 이벤트 공간의 디자인 구축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2장에서는 현대 언어학의 근간을 이루는 인지언어학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과거의 언어적 해석과 현재의 언어적 해석의 차이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인지언어학에서 말하는 “사건개념”이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이에 언어과 공간간의 구조에서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 언어학적 접근이 공간구조로 해석할 때 어떠한 틀이 필요로 한지 알아보고자 함이었다. 4장에서는 이벤트 개념을 대표적으로 공간요소로 도입하는 베르나르 츄미와 램쿨하스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두 디자이너가 가진 이벤트 공간의 구성 방법을 언어학적으로 읽어 낼 수 있었다. 인지언어학에서의 사건개념은 뇌 세포조직에 흔적이 남은 인지들의 연속적인 흐름에 따라 경험이 구조화되어지고, 앞선 경험을 참고로 하여 새로운 경험을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인지언어학의 세계관에서 물체들이 물리적 접촉을 통하여 이리저리 움직이고, 이러한 물체들의 상호작용에서 사건개념이 나왔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즉, 한 물체가 다른 물체로 이동(변화, 움직임, 방향, 경로) 할 때 물체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계적 상황을 사건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공간에서 연속적인 경험에서 공간지각변화가 바로 사건이며 행위 유발의 원동력이 되는 것이 이벤트 공간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츄미와 쿨하스의 사례분석을 통해 이지언어학적인 접근 방법을 통해 이벤트공간의 구성 방법을 정리 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연속적 경로 - 일정한 <경로>,<방향>을 설정하거나, 연속적으로 <경로>를 연결한다. 이때 프로그램을 삽입하여 움직임은 경로를 따라 유도된다. ② 해체주의적 구성 - 기존의 구조를 해체한 후에 새롭게 재구성한다. 예로 <경로>사이에 <도착점>을 삽입하면 진행과 멈춤의 상반된 요소들이 충돌하여 새로운 구조를 형성하며, <도착점>의 속성은 더 이상 멈춤이 될 수 없다. ③ 불확정적 경계 - 프로그램의 영역적 속성을 변화시키는 인지모형(예로 시간은 사건의 경로, 경로-이탈)을 사용하거나 출발점과 도착점의 구분을 흐린다. ④ 프로그램의 교차 - 같은 공간에서 행위에 따라 다른 사건을 만들어 낸다. 특히 <경로-시간은 사건의 경로>의 인지모형이 연관성이 높다. ⑤ 이동대상으로서의 사물 - 이동대상을 물체로 하여, 물체의 이동경로를 설정해 준다. ⑥ 사이공간 - 공간 속에서 남는 부분이 아닌 <경로-과정>,<경로-매개물>의 경로적 공간구조를 형성하는 공간이다. 특히 <방향>과 <방법>의 다양화가 더해지면 더욱 더 활동적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⑦ 설정적 시퀀스 - 경로와 프로그램의 관계를 분명하게 설정한다. 예로 프로그램의 중앙에 일정한 방향의 상하의 경로를 설정하면 이동할 때 프로그램의 단면을 볼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낸다. 이벤트의 공간은 현대에서 뿐만 아니라 근대건축에서부터 중요하게 논의되었던 건축요소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벤트를 객관적인 관점으로 해석한 논문은 찾아보기가 힘들었다. 본 논문은 언어학적 관점으로 이벤트 공간을 해석하고 있다. 현재 공간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이 있지만 언어적 관점에서 공간을 바라보는 시도는 극히 미약하다. 본 논문을 통해 언어학적 관점에서 공간분석의 가능성을 한 층 더 높여주는 사례가 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연구과정에서 선행사례가 되었던 벤츄리와 젱크스의 언어실험처럼 언어의 구조를 통한 공간해석 사이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언어건축실험’이 던졌던 질문은 현대 건축에서도 살아 있으며, 때문에 지속적이고 내밀한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We frequently use a word 'event' not only in our everyday communication but also prominently known as a space in modern architecture. The event-space is concerned to build up active atmosphere and various performances for the refined space. The concept of event is applied to modern architecture by many designers, including Bernard Tschumi and recognized as an essential element. However, many artists use each different formal methods without an accurate conceptional logic and design methodology about the concept of event. So, with taking notice of linguistics based on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which forms a private possessive organization in these modern days, I attempted to approach from a root of modern-linguistics, a cognitive linguistics. And this thesis is based on the similar meaning of both the concept of event and composition of event-space in cognitive linguistics.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onceptual reorganization and composing elements of the event-space through the cognitive linguistical analysis of event meaning. According to cognitive linguistics, the meaning of an event is made up with the experience through the sequence of cognition left in the brain cell, and a new experience is only understood, related to the previous ones. That is, cognitive linguistics told us that objects in the world move around and mean of an event is established by interrelation between these objects. Therefore we define an event as connected conditions about interrelation between objects when an object is changed into the other. An event is the change of spatial recognition by sequential experiences and the space of an event is the motive of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Bernard Tschumi and Rem koolhaas‘ examples, the composition method of an event space is following One. sequential route - a certain route and direction are settled or a route is connected continuously. The movement is derived from the route, inserting programs. Two. disorganized composition - A new composition is rebuilt after previous one is broken up. For example, a new structure is created by collision between processing and pausing after inserting an arrival point between routes. An arrival point can't remain pausing any more. Three. unidentified border - an cognitive model is used which changes the quality of programs and the division between a departure point and a arrival isn't made clearly. Four. the cross of programs - make different event by different action. Five. an objects as a moving element - the route of moving objects is settled . Six. between space - it is not a vacantly left space but a space which composes routes to process and object. Moreover, it can be used more actively and practically, provided with a variety of directions and methods. Seven. the connection between routes and programs is clearly defined. For example, if the vertical route of the central program is made in the certain direction, the condition is created where we can notice the aspects of the programs. The space of an event has been the elements of architecture which has been discussed since modern architecture. However, there are few essays which reflects the meaning of event objectively. This essay sees the space of an event with a view of linguistics. Although there are lots of viewpoints, the attempt of linguistics is rarely found. This essay is written in order to promote possibilities that the space can be analysed in the view of linguistics. During the study, I had a difficulty solving the problems about understanding the linguistic structure such as the examples by venturi와 jencks. However, the questions thrown by experiments of linguistic architecture exist in the modern architecture, so this essay is meaningful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is still possibility about them.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지언어학 기반 관용표현 교육 연구

        박근희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0

        In the conventional semantic point of views, idiomatic expressions are merely ‘dead metaphors’ with figurative interpretations, and the meanings of all idiomatic expressions have been treated as unpredictable from their constituents. The stance of ‘non-synthetics’ that the idiomatic expressions have a third meaning rather than the sum of their constituents leads Korean learners to learn by rote and does not contribute to have them understand or use appropriately lots of idiomatic expressions. What is more, the limited learning of not utilizing existing knowledge is resulted when learning new idiomatic expressions. However, the cognitive linguistic point of view on idiomatic expressions suggests that the literal meaning of idiomatic expressions contributes in part to the whole meaning of idiomatic expressions, and the process is motivated by the cognitive mechanisms of ‘metaphor’, ‘metonymy’, and ‘conventional knowledge.’ Therefore it is assumed to be possible to make Korean learners learn them meaningfully if educational contents are made by paying attention to the aspect that is motivated to idiomatic expressions. In other words, the viewpoint that the constituents of idiomatic expressions and the meaning of idiomatic expressions are connected not by arbitrary connection but by the way that the meaning is motivated by ‘conceptual metaphor’ and ‘conceptual metaphor’ is meaningful in which the educa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linked to structure and meaning can be done for Korean learners. This study selects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and analyzes them based on the cognitive linguistics to categorize and catalogue as per motivation mechanism to make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that cognitive linguistic point of views to the educa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for Korean Learners are applied and can be practically used. Based on them, categorized educational contents for Korean learners are presented. The summary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is stated and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idiomatic expressions are examin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is study, and specific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are presented. In Chapter 2,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linguistics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study are contextualized with these specific contents and methods. Also the viewpoints of cognitive linguistics on idiomatic expressions are introduced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cognitive linguistic based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is demonstrated. In Chapter 3, to select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for Korean learners, idiomatic expressions are picked out from two research reports(『 Internationally-u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Model, Level 2』, 『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Development, Level 4』, three idiomatic expression dictionaries(《Proverbs 100 and Idiomatic Expressions 100》, 《Idiomatic Expression Dictionary》,《Korean Language Dictionary for Foreigners》), and recently published 4 collections, 39 volumes of Korean textbooks (《Korean Language, Yonsei University》, 《Korean Language, Ewha University》, 《Korean Languag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teresting Korean Language》 by major universities. The final list of 142 idiomatic expressions is compiled based on the frequency and educational appropriateness and named as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And 135 idiomatic expressions in the list except for 7 ‘ambiguous idiomatic expressions’are analyzed based on the cognitive linguistic theory. The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could be classified into ‘metaphor’ based on similarity and ‘metonymy’ based on adjacency by the motivation mechanism shown in the idiomatic expressions. The ‘metaphor’ is again divided into ‘image schematic metaphor’and ‘ontological metaphor.’ The ‘image schematic metaphor’ is again segmented into ‘container metaphor’, ‘movement metaphor’, ‘direction metaphor’, and ‘connection metaphor.’ And the ‘ontological metaphor’ is also segmented into ‘thing metaphor’, ‘plant metaphor’, ‘animal metaphor’, and ‘personification.’ Meanwhile, the ‘metonymy’ is divided into ‘event metonymy’ and ‘mentality metonymy.’ The ‘event metonymy’ is again segmented into ‘specific act-whole metonymy’ and ‘partial event-partial metonymy.’ The ‘mentality metonymy’ is again segmented into ‘internal physiological reaction’, ‘external physiological reaction’, and ‘action metonymy.’ The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are categorized finally into the above 13 categories and the categorized list and cognitive explanations are presented. In chapter 4, for applying the cognitive linguistic based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teaching material analysis, the status of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and its problems are shown. Based on this, the necessity of cognitive linguistic 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stated and ‘Learner-centered principle’, ‘Process-centered principle’, and ‘Communication-centered principle’ are suggested as teaching·learning theories.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 analysis results of idiomatic expressions and problems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education contents by category are propo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accommodate cognitive linguistic point of views on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However, the facts that the frequency of actual use is not applied and the contents of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are not specifically provided in the list are remained as its limitation. This is a future assignment awaiting to be solved for researchers who seek to apply new perspectives to the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Above all th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oints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select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and categorize them by motivation mechanism, and suggests educational methods for each category in order to shap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Korean learners by approaching from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s.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언어학에 기초하여 관용표현을 대상으로 동기화 기제 따라 범주화·목록화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범주별 교수·학습 내용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용 관용표현≫ 목록을 선정하고, 인지언어학을 기초로 분석하여 동기화 기제에 따라 13가지 유형으로 범주화·목록화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범주별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인지언어학에서는 관용표현이 인간의 경험 및 사고방식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언어 사용자의 개념화 방식을 드러낸다고 본다. 그리고 많은 관용표현이 ‘은유’와 ‘환유’와 같은 인지적 기제에 의해 동기화되어 그 의미가 상당한 정도의 추론이 가능하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수·학습에 관용표현의 구조와 의미를 연계시켜 교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그것은 첫째, 관용표현 의미 생성의 원리를 이해시키고, 둘째 다양한 관용표현의 의미를 학습자 스스로가 추론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인지언어학에 기반을 두고 관용표현 의미 실현에 관여하는 동기화 기제의 원리에 따라 범주화·목록화하고, 범주별 교육 내용을 마련한 본 자료는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표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제 일상생활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범주화하여 목록화된 관용표현의 제공은 한국어 학습자가 관용표현의 생성 및 원리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통로가 되어 기계적인 암기 학습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으며, 새로운 관용표현 이해의 토대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 기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는 인간의 인지적 과정에 주목하고 보편적인 원리 안에서 관용표현에 접근하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실제 교육 내용으로 실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뿐만 아니라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재를 개발하거나 관용표현 교육에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하려는 연구들, 그리고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내용 자료로써 본고의 연구 결과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인지언어학 이론에 기초한 관용표현 분석 내용은 관용표현 의미 생성 원리나 이해 과정에 관한 유연한 설명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표현 교육을 위해 보다 더 과학적으로 타당한 교육적 처방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본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관용표현 관련 선행 연구들을 자세히 고찰하여 본고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연구 내용과 방법을 제시한 1장에 이어 2장에서는 본고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인지언어학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한국어 교육과 관계 지었으며, 관용표현에 관한 인지언어학의 견해를 소개하고, 인지언어학 기반 관용표현 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관용표현≫을 추출하여 선정하기로 하고, 국가 산하 기관의 연구 보고서 2종(『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2단계』,『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 4단계』)을 비롯하여 관용표현 사전 3종(《속담 100 관용어 100》,《관용어 사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사전》), 그리고 최근 발간된 주요 대학 한국어 교재 4종 39권(《서울대 한국어》, 《이화 한국어》 ,《연세 한국어》,《재미있는 한국어》)에 제시된 관용표현의 목록을 추출하였으며, 중복 출현 빈도 및 교육 적정량을 고려하여 최종 목록 142개를 선정하고, 이를 ≪교육용 관용표현≫이라 명명하였다. 그리고 ≪교육용 관용표현≫에서 ‘불투명’ 관용표현 7개를 제외한 나머지 135개 목록을 인지언어학의 이론을 기반에 두고 분석하였다. ≪교육용 관용표현≫은 관용표현에 나타난 동기화 양상에 따라 유사성에 기반을 둔 ‘은유’와 인접성에 기반을 둔 ‘환유’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은유’는 다시 ‘영상도식적 은유’와 ‘존재론적 은유’로 나누고, ‘영상도식적 은유’는 ‘그릇 은유’, ‘이동 은유’, ‘방향 은유’, ‘연결 은유’로, ‘존재론적 은유’는 ‘사물 은유’, ‘식물 은유’, ‘동물 은유’, ‘의인화’로 세분화하였다. 한편, ‘환유’는 ‘사건 환유’와 ‘심리상태 환유’로 구분하고, ‘사건 환유’는 다시‘특정 행위-전체 환유’, ‘부분 사건-부분 환유’로, ‘심리상태 환유’는‘내면적 생리 반응 환유’, ‘외현적 생리 반응 환유’, ‘동작 환유’로 세분하여 최종 13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고, 범주별 목록 및 인지적 설명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인지언어학 기반 관용표현 교육을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관용표현 교육 현황과 관련 문제점을 교재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인지언어학 기반 관용표현 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고, 교수·학습의 원리로 ‘학습자 중심성’, ‘과정 중심성’, ‘의사소통 중심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인지언어학 기반 관용표현 분석 결과 및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의 문제점을 바탕에 두고 ≪교육용 관용표현≫의 범주별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표현 교육에 인지언어학의 관점을 수용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나, ≪교육용 관용표현≫ 목록 선정에 실제 사용 빈도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과 범주별 관용표현 교육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지 못했다는 점이 한계로 남는다. 관용표현의 의미 실현에 동기화된 기제에 따라 범주화하고 목록화한 본 자료가 범주화된 지식으로 관용표현의 구조와 의미를 연결하여 교수·학습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심화된 교육 방안이 마련된다면 더욱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무엇보다 한국어 관용표현을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구상하기 위해 ≪교육용 관용표현≫의 목록을 선정하고 동기화 기제에 따라 범주화하여 목록화하고, 범주별 교육 내용을 제안한 최초의 시도가 이루어졌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 방안 연구 : 인지언어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박근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0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한국어 관용표현 의미 교육에 관한 문제를 인지언어학으로 풀어낼 수 있는지 그 타당성을 점검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그 방법으로 ‘색채어가 포함된 관용표현’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와 환유를 분석하고, 이를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관용표현의 의미에 관한 교육 방법은 주로 문맥을 통해 유추하거나 그 의미를 무조건 외워야 하는 것으로 보아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어려움을 겪게 했다. 이는 관용표현 의미의 특징을 ‘비합성성’에 두고 관용표현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의미에서는 전체 관용표현의 의미를 예측할 수 없다고 보았던 전통적 관점의 시각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 관용표현의 의미를 교육하는 데에 있어서 새로운 교육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전통적 관점이 아닌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지 점검해 보고자 하였다.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는 관용표현의 상당수는 글자 그대로의 의미로 사용되던 것이 개념적 은유와 환유에 의해 의미가 전이되어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된 것이라 보고, 관용표현 의미의 ‘합성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즉, 글자 그대로의 표현과 관용표현의 의미를 어렵지 않게 연결시킬 수 있다고 보았고, 그 연결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은유나 환유라고 보았으며, 이러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우리의 개념 체계 내에 존재하는 은유나 환유와 관련된 인지 기제라 본 것이다. 본고에서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관용표현의 의미를 형성하는 은유와 환유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서 ‘색채어가 포함된 관용표현’을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인간에게 보편적이며 일상에서 익숙하게 사용되는 색채어가 관용표현 내에 쓰였을 때, 색채어가 가진 의미를 통해 전체 관용표현의 의미를 상정해내기 어렵지 않으며, 이러한 관용표현들이 대체로 의미가 투명한 관용표현에 속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색채어가 포함된 관용표현’을 대상으로 인지언어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의미 형성 과정을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색채어 포함 관용표현’의 의미가 개념적 은유와 환유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을 생각해볼 때, 관용표현을 구성하는 단어의 의미에서 은유나 환유의 사상을 거쳐 개념화시키는 교육 방안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은유와 환유로 대표되는 비유 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을 참고하여 먼저 일상에서의 은유와 환유에 대한 인식을 일깨우는 것을 시작으로 종래에는 관용표현의 의미를 파악하게 유도하는 교육 방안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보고, 그에 따른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기존 연구들에서는 논의되지 않았던 ‘색채어를 포함한 관용표현’을 대상으로 은유와 환유를 분석한 연구라는 점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시도를 함에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실제 교육 방안을 제시함에 있어서 한계가 있음을 인정하고, 구체적인 교육 방법론은 후에 나올 연구를 기약하고자 한다.

      • 인터랙션 디자인에서의 인지모형 활용

        오화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86

        21세기와 함께 시작된 IT 분야의 급격한 발전으로 우리 삶의 많은 부분들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제 사람들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이용해 원하는 정보를 얻고 세상과 소통하며,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일상과 비즈니스의 많은 업무들은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처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디지털 미디어에서 인간과 기계와의 보다 효율적인 소통에 대한 논의를 불러왔다. 이는 인문학과 과학을 막론하고 다양한 학계와 산업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인지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언어학 · 심리학 · 컴퓨터공학 · 신경과학 등 다양한 학문과의 상호 보완적 연구를 통해 인간의 인지체계와 행동 양식에 대한 근본적 이해를 위한 연구를 지속해오고 있다. 인간과 디지털 미디어와의 소통에 대한 연구는 결국 인간이 어떠한 사고의 과정을 통해 대상을 지각하고 이해하는가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이러한 논의와 함께 디자인 분야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인터랙션 관점에서 사용자의 ‘경험’과 ‘감성’이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최근에는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인지과학과의 학문적 교류를 통해 인간의 심리학적 · 생물학적 본성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통한 디자인 접근을 시도하기 시작했다.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선행될 때, 보다 효율적이고 인간친화적인 인터랙션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이에 본 논문은 인지과학의 여러 분야 가운데에서도 ‘인지언어학’이라는 언어학 이론에 주목했다. 인지언어학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언어사용 과정에서의 표현과 문법원리를 연구하는 언어학 이론이면서, 반대로 언어라는 소통의 매개체를 통해 인간의 인지체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인지과학 이론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체험의 구조화를 통해 형성된 일종의 지식체계라 할 수 있는 ‘인지모형’이라는 인지언어학 이론을 활용하여 인간의 소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사고의 과정과 체계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는 인지모형 이론을 디자인 과정에 적용해 ‘인지모형 디자인 방법론’이라는 하나의 디자인 방법론적 체계로 정리하였고, 그 과정에서 다음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첫째, 인터랙션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인지모형 이론을 정의하고 시각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의 개념 적용에 대해 정리한다.둘째, 인터랙션 디자인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인지모형의 디자인 방법론적 체계를 구축한다.셋째, 구축된 ‘인지모형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인터랙션 디자인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그 실질적 활용과 가치에 대해 증명한다.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과정을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첫째, ‘인지모형’의 모체가 되는 인지언어학의 정의와 발전과정, 학문적 특징에 대한 연구를 선행하였다.둘째, 인지언어학을 중심으로 인지모형의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인지모형의 배경이론(범주화 · 원형이론 · 문화모형 · 문맥), 인지모형(틀 · 스크립트 · 영상도식 · 전경/배경), 인지과정(은유)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인지모형 연구의 체계를 구축하였다.셋째, 각각의 인지모형 이론들은 언어학적 개념에 대한 정의를 선행한 후, 인터랙션 디자인 관점에서의 활용과 작동체계에 대해 분석하였다.넷째, 인지모형이 적용된 인터랙션 디자인 사례 연구를 통해, 인지모형의 디자인 단계별 활용과 적용 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다섯째, 각각의 인지모형 이론들은 ‘기획’, ‘시각화’, ‘감성적 접근’의 세 단계로 분류하여 하나의 통합적 디자인 방법론으로 체계화 하였고, 각 단계별로 인터랙션 디자인에서의 역할과 활용 방법을 정리하였다.여섯째, 체계화된 ‘인지모형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 작품 ‘ARCHIVE'를 제작하였다. 단계별 제작 과정에서 인지모형 활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첫째, 인간의 사고체계에서 문자언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과 시각언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한다.둘째, 인간의 언어활동에 대한 연구는 인간이 세상을 지각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탐구하기 위한 중요한 접근법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소통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에서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셋째, 인지모형 이론을 통해 인간의 경험과 지식, 문화적 배경에 따른 사고체계의 과정과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인터랙션 디자인을 비롯한 경험 디자인과 감성 디자인에서 의미 있는 접근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 한국어 분류사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Liu, Fang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85

        한국어에서 분류사란 수량표현 구성에서 선행 명사와 의미적으로 호응하면서 명사지시물의 수량화 단위를 나타내는 언어 형태이다. 분류사는 한편으로 수량표현을 비롯한 언어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한편으로는 관련 명사지시물의 범주화 장치로서 해당 언어공동체의 사고방식과 세계 인식을 반영하는 중요한 실마리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언어현상에 대하여 뛰어난 설명력을 가진 인지언어학을 이론 배경으로 삼아 한국어 분류사의 의미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개념과 범위, 하위분류, 의미 분석, 문법적 구성, 타언어 분류사 연구 5가지 측면에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의 구성을 제시하였다. 2장은 이론적 틀에 해당된 부분으로서 분류사 연구의 인지언어학 기초를 논의하였다. 2.1절에서는 우선 품사 범주의 유동성, 자립적·실질적 어휘로부터의 생성 과정, 수량표현에서의 통사적 위치와 문법적 기능, 어휘로서의 의미적 특징 등 측면에서 한국어 분류사의 성격을 제시하였다. 2.2절에서는 개념적 환유·은유 이론, 원형 이론, 해석설을 중심으로 분류사의 생성 과정, 범주화 양상, 그리고 대조적 분석에 대한 인지언어학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3장은 기원이 확정될 수 있는 일부 고유어 분류사를 중심으로 자립적·실질적 어휘가 분류사로 문법화 되도록 동기화하는 인지적 기제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3.1-3.3절에서는 김진수(1997), 서정범(2000), 조현룡(1998) 등 어원 연구를 참조하여 사람명사·신체어·식물어에 기반한 것, 사물·장소·시간명사에 기반한 것, 신체동작어에 기반한 것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한국어 분류사의 의미적 근원을 살펴보았다. 3.4절에서는 개념적 환유·은유 이론으로 기원 어휘로부터 분류사가 생성되도록 동기화하는 인지적 기제를 제시하였다. 4장은 한국어 분류사의 범주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관련 인지적 설명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우선 한국어 분류사를 크게 생물(生物) 분류사, 무생물(無生物) 분류사, 추상물(抽象物) 분류사 세 갈래로 유형화하였다. 생물 분류사는 또한 인간성, 동물성, 식물성으로, 무생물 분류사는 형상성, 기능성, 수효성, 부분성으로, 추상물 분류사는 도량성, 시간성, 사건성으로 다시 하위분류하였다. 4.1-4.3절에서는 각각 생물 분류사, 무생물 분류사, 추상물 분류사의 큰 갈래 안에서 각 분류사 항목의 범주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4.4절에서는 4.1-4.3절의 분석으로 드러난 분류사와 명사지시물의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어 분류사의 범주화 양상을 요약하고 관련 인지적 설명을 보태었다. 5장은 한국어 분류사의 의미 양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분류사를 대조 분석하고 관련 인지적 설명을 시도하였다. 즉, 5.1-5.2절에서는 한·중 분류사에 대하여 각각 어휘항목별과 의미범주별로 대조 분석하였고 5.3절에서는 5.1-5.2절의 분석 결과에 대하여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6장에서는 앞의 3, 4, 5장의 분석으로 드러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인지언어학적 관점을 적용한 한국어 분류사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우선 6.1절에서는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교재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분류사의 교육 현황을 파악하였다. 6.2절에서는 6.1절의 현황 분석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해결할 시도로 어휘항목 선정과 교육내용 구성 2가지 측면에서 한국어 분류사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제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 연구는 다음 몇 가지 측면에서 그 의의와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우형식(2001a)에서 제시한 총 465개의 분류사 항목을 하나하나씩을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 연구는 분류사라는 한국어 어휘 항목에 대한 비교적 전면적인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분류사의 의미 양상을 분석하는 데에는 언어현상의 기술에만 그치지 않고 인지언어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언어현상 배후에 숨어 있는 인지적·문화적 요인을 밝히기 위해 힘을 기울였다는 점이다. 그 결과로는 한국어 분류사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고 그것에 담겨 있는 한국 개념화자의 사고방식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었다. 셋째, 한국어 분류사에 대하여 어휘항목과 의미범주별로 중국어 분류사와 대조 분석을 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서, 분류사의 사용 양상에 담겨 있는 한국 언어공동체의 인지적 경향성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까지 본 연구는 한국어 분류사에 대하여 의미적 접근만 하였을 뿐이다. 더 전면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각 분류사 항목이 쓰이는 통사적 환경, 즉 그 통사적 결합관계와 분류사 구문의 어순 등을 계속 조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분류사 어휘항목은 다른 어휘처럼 시대에 따라서 사라지거나 새로 생기기도 하고 사용 주체에 따라서 사용빈도에서 차이가 많이 나기도 한다. 예컨대, 현대 사회에 와서 안 쓰이게 된 분류사 항목도 있고 새로 생긴 분류사도 있다. 그리고 농촌에서 많이 쓰이는 분류사 항목이 있는가 하면 도시에서 더 자주 쓰이는 항목도 있다. 분류사 어휘 체계의 이와 같은 통시적 변화와 사용빈도의 공시적 비대칭성에 대해서 세심하게 조사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셋째, 서론에서 지적했듯이, 세계 각 언어는 유형론적으로 분류사가 발달한 분류사-언어와 분류사가 발달하지 않은 비분류사-언어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언어마다 분류사의 발달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분류사의 기능을 더 깊이 밝힐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semantic features of Korean classifiers based on the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Korean classifiers are a kind of language forms generally used in quantity expressions. In quantity expressions, classifiers generally respond to the meaning of preceding nouns while showing the units of the quantities of preceding noun referents. Classifiers are used frequently in daily lives in Korea. And because they show the category of noun referents, they always can reflect how humans recognize the things in the world.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preceding studies, and research methodologies of this study were addressed. 465 classifier items suggested in Hyeong Shik Woo (2001a) were particularly determined to be used as the objects of this study. And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and contrastive linguistic approach were determined to be used as the research methodologies. In Chapter 2, the cognitive linguistic foundations of classifier study were discussed. In Verse 2.1, the features of Korean classifiers were investigated. In Verse 2.2, focused on conceptual metonymy theory, conceptual metaphor theory, prototype theory, and construal theory, the applicability of cognitive linguistics in classifier study were examined. In Chapter 3, Korean classifiers' generation process was discussed. In Verse 3.1-3.3, based on preceding etymology studies, parts of Korean native classifiers' semantic roots were investigated. In Verse 3.4, based on conceptual metonymy theory and conceptual metaphor theory, the cognitive mechanisms which motivated classifiers to be generated from their root words were examined. To put it concretely, on the basis of the contiguity or similarity relations between root word referents and object noun referents, conceptual metonymies and metaphors have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process in which independent and practical words developed to be classifiers. In Chapter 4, based on the usage, the categorization aspects of Korean classifier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the convenience of analysis, Korean classifiers were divided into 3 big types: organism classifiers, inanimate object classifiers and abstract object classifiers. And, organism classifiers can be subclassified into humanness classifiers, animateness classifiers and vegetativeness classifiers. Inanimate object classifiers can be subdivided into configurational classifiers, functional classifiers, numerical classifiers and partial classifiers. Abstract object classifiers can be subclassified into measure classifiers, temporal classifiers and eventual classifiers. In Verse 4.1-4.3, based on the approach of prototype theory, the categorization aspects of each classifier item were investigated in their specific divisions. In Verse 4.4, focused on the corresponding relations between classifiers and their object noun referents, the categorization aspects of Korean classifiers were summarized and explained by cognitive linguistic methodologies. To put it concretely, the one-to-many relations between classifiers and their object noun referents are motivated by metonymy and metaphor cognitive mechanisms. And the many-to-one relations between classifiers and their object noun referents are motivated by the differences in subject feeling, attention specificity, and attention focus. In Chapter 5,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mantic features of Korean classifiers more deeply, the meanings and usages of Korean classifiers and Chinese classifier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In Verse 5.1, the lexical itemized contrastive study between Korean classifiers (divided into native classifier and Sino-Korean classifier) and Chinese classifiers was pursued. In Verse 5.2, the semantic categorized contras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classifiers was pursued. In Verse 5.3,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Verse 5.1-5.2, factors which motivat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lassifiers were explained by cognitive linguistic methodologies. To put it concretely, the similarities are caused by the prototype-based categorization mechanism and conceptual metaphor and metonymy mechanism which are shared by all human beings. And the differences can be construed by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tendencies and cultural experiences between Korean conceptualizers and Chinese conceptualizers. In Chapter 6, focus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the implications of Chapter 3-5's analysis results for Korean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were discussed. In Verse 6.1, by analyzing 4 Korean textbooks,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lassifier education was investigated. Concretely, the situation of classifier items selected in textbook's vocabulary lists and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classifiers organized in textbooks were investigated. In Verse 6.2,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 current Korean classifier education, some suggestions were discussed. To put it concretely, on the basis of the lexicon lists and usage frequency that was presented in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s report materials, classifiers for Korean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were selected tentatively. And, based on Chapter 3-5's analyses, remedial methods in constructing Korean classifiers' educational contents were suggested. This study has values and significances in the following areas: First, it investigated all the 465 classifier items suggested in Hyeong Shik Woo (2001a) one by one. Therefore, it can be regarded as a relatively overall approach on Korean classifiers. Second, based on the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it explained the generation mechanisms and categorization motivators of Korean classifiers. So it can help us to understand Korean people's thinking methods in some way. Third, it comparatively analyzed Korean classifiers with Chinese classifiers. So through this study, Korean classifiers' semantic features can be understood more deeply. However, this study has yet to be supplemented and continuously developed with respect to following aspects: First, it needs more grammatical approaches on Korean classifiers because this study focused on the semantic approaches only. Second, it needs to research Korean classifier system's diachronic change and the asymmetry of each Korean classifier' synchronic usage frequency delicately. Third, in order to understand the functions of classifiers more deeply, factors which caused the different developmental aspects of each language's classifiers need to be revealed.

      •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본 한·중 광고어의 의인의화 연구

        당사의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1

        광고는 광고주가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소개하기 위한 정보 전달 도구로서 우리 삶에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미디어의 번영과 발전은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을 더욱 다양화하게 만들어준다. 광고에서 광고 언어는 광고주와 소비자 간의 의사소통 행위로서 언어 연구에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화장품 및 식품 광고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언어학과 수사학의 관점에서 양국 광고 슬로건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한 글이다. 본고에서는 인지언어학의 시각에서 한중의 의인법에 대해 설명과 대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지언어학의 각도 에서 출발하여 개념은유이론의 이중 영역관을 응용하여 의인의 본체와 의체를 각각 “목표 영역”과 “근원 영역”으로 보고 한중의 의인법에 대해 다시 정의를 내렸는데 “의인은 체험성과 유사성을 기초로 하고 인지 과정을 거쳐 두 개의 다른 개념 사이의 한 특징을 돋보이게 하고 인지역을 타고넘는 단일한 방향의 복층 투사 후 생산된 것인데 이런 종류의 투사는 의인의 근원 영역이 목표 영역으로 타고 넘어갔고 두 영역 사이의 알맞는 접합 작용을 한다. 그리고 실체를 나타나는 의인과 행위를 부가하게 하는 의인 두 가지 유형은 나누고 동시에 徐盛桓 제기한 “외연과 내포의 전승설”등 인지언어학이론을 사용하여 대체 왜 이러한 “영사”가 발생하는지 즉 의인시스템이 왜 이런 형식으로 작동이 되는지 해석하였고 의인은 일종 수사현상, 표현 수법일 뿐만 아니라 일종의 인지현상, 사유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이 뿐만 아니라 본문은 인지모드, 한중 언어심리의 특징, 도형과 배경의 분리적 이론 등 각도로 부터 한중 의인법에 대해 대비 분석을 진행하였고 인지언어학의 틀에서 한중의 의인이 유사서와 특이성을 동시에 구비한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 은유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趙英心 全州大學校 2002 국내박사

        RANK : 248670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how that metaphor is not a stylistic device for rhetorical flourish, but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our understanding, a factor that is based upon the mapping of one's conceptual domain (the source domain) onto another (the target domain). Thus, metaphor is not a deviant expression as Transformational grammarians argued, but an ordinary expression that is persuasive in our everyday life, not just in language but in thought and action. Further it is shown that metaphor is basic not only to our language but also to our cognition in gener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y chapter subject: In chapter 2, metaphor is examined from the viewpoints of syntax, semantics, pragma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metaphor suggested in the first three fields are good for representing a few important features, they definitely have weaknesses in that they are unable to explain the role that metaphors perform in our understanding when centering on conceptualization. Those characteristics of metaphor can be captured through a discussion of metaphor from the viewpoints of cognitive linguistics. They consist of three types of metaphors; structural, orientational, and ontological. In chapter 3, the methods used to explain metaphor are examined from both philosophical and linguistic approaches; the former is substitution theory comparison theory, and interaction theory, while the latter consists of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along with that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philosophical and linguistic approaches explain quite well the meanings of metaphor, especially when based on the concept of similarities among many factors, but all of them have weaknesses in not being able to explain metaphors when difficulties arise in finding similarities between target domain and source domain in the actual world. Those problems can be solved if metaphors are interpreted from the cognitive linguistics point of view that accepts the attitudes of synthesis against analysis, realism against idealism, and experientialism against objectivism, as well as the so-called prototype theory, schema theory, and Gestalt theory. In chapter 4, metaphors in poems are examined by analyzing two poems:"Beside Chrysanthemums," a Korean poem, by Seo Jeongju and "Stopping by Woods on a Snowy Evening," by Robert Frost. The metaphors in two poems cannot be interpreted through philosophical or linguistic approaches, but we can explain them if we interpret them with the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especially with the help of such concepts as the Great Chain of Being and the Metaphor of Kin. And we can show that these poems can be interpreted without the tools that literary critics have used so far, including biographical facts about authors, insights gained from author's comments, the zeitgeist, or traditions of poems, and genres of poems. This means that metaphors are a basic and important factor even in interpreting those creative aspects of language caused by new views of objects in our world.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hown, through the examples of ordinary languages and poems in Korean and English, that metaphor is a common expression pervasive in every type of language, from everyday speech to poems, and that metaphor is not related only to language, but also to our cognitive acts in gene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