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혜란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The Effect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Jeong, Hye-Ran Advisor: Prof. Hyun Seo ED.D.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based on the results, to identify the factors of leadership desirable for operating childcare centers efficiently and enhancing teachers’ professional skill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ultimately to propose strategies for promoting a positive relation between child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and strengthening childcare center directors’ leadership and provide materials necessary to improve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se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how do childcare teachers perceive childcare cente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Second, how do childcare teachers perceive thei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ird, what effects does childcare cente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tudy explain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to the directors of 72 childcare centers in the Y area, Jeollanam‐do by email, by phone, or by visiting in person, and sampled 280 childcare teachers and surveyed them using a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to November 18, 2010. A total of 251 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and after inadequately answered ones were excluded, 233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valid sample in analyses. The recovery rate of questionnaires was 89.6%, and 18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because all or many of the questions were not answered. Accordingly, 233 (92.8%) out of the 251 replies were analyzed and results were obtained.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as follows. Childcare cente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the researcher prepared by adapting the questionnaires of Rho Jong‐hee (1996), Lee So‐hee, Kang Kung-Ja & Kim Joo‐ah (2004), and Kim Chang‐geol (2003)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prepared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consultation with a professor and five childcare center directors,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and was tested for content validity. The questionnaire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nsisted of 26 questions in 3 sub‐areas, which are respect for human,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vision setting and sharing.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the researcher prepared by adapting the questionnaire of Park Nan‐gyu (1999)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prepared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consultation with a professor and five childcare center directors,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and was tested for content validity. This questionnaire consisted of 20 questions in 3 sub‐areas, which ar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reward and status, job condition.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namely, demographic variable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Research Questions 1 and 2, differences in background variables were tested through one‐way ANOVA, and for Research Question 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presented research qu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childcare cente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be relatively high.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percep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or experience, b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osition. Second, teachers’ mean job satisfaction was 2.80 out of 4, and by sub‐area, their job satisfaction was highest with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and next in order of job condition, and reward and status. That is,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above average and was particularly high with the value of teaching profession, but their satisfaction with reward and status was somewhat lower.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experience, and position, but satisfaction with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and position. That is, it was higher in teachers in their 20s‐30s than in those in their 40s, and was high in order of vice‐directors, head teachers, and ordinary teachers.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cente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variables. Among the sub‐area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vision setting and sharing,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s’ job satisfaction. As to the relation between the sub‐area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respect for human was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reward and status, and working condi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reward and status, and working condition, and vision setting and sharing was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reward and status, and working condition. Childcare cente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xplained 32.3%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mong the sub‐area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vision setting and sharing was particularly influential. In addition, childcare cente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xplained 15.4%‐ 34.6% of the sub‐area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was influenced highly by respect for human, satisfaction with reward and status by vision setting and sharing, and satisfaction with job condition by intellectual stimulation.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 혜 란 지도교수 서 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본 연구는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보다 효율적인 운영 및 교사들의 전문적 능력의 발전을 위해 바람직한 리더십의 요인을 파악하고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보육시설장과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보육시설장의 리더십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및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은 어떠 한가?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 한가?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10월 1일부터 2010년 11월 18일까지 전남 Y지역의 72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직접 연구자가 보육시설을 방문하거나 전자우편 또는 전화통화를 통하여 보육시설장들에게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보육교사 280명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하였다. 총 회수된 설문지는 251부로 나타났으나, 응답이 저조한 설문지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고 유효한 자료인 총 233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 회수율은 89.6%이고, 응답자 중 결과처리에서 응답을 하지 않았거나, 응답한 것이 여러 개 있어서 분석의 대상에 적합하지 않은 18명을 제외하여 총 응답자 251명 중 92.8%인 233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얻었다. 연구도구는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노종희(1996)와 이소희, 강경자, 김주아(2004), 김창걸(2003)의 설문지를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으며 이를 교수 1인과 보육시설장, 교사, 교육대학원생 5인과 협의 및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으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사용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인간존중, 지적자극, 비전설정 및 공유로 3개의 하위영역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박난규(1999)의 설문지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으며 이를 교수 1인과 교육대학원생 및 교사 5인과 협의 및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으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사용하였다. 본 설문지는 교직관, 보상 및 지위, 직무조건의 3개의 하위영역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인 인구학적 변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문제 1,2를 위해서는 배경변인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 3을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비교적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교사들의 배경별로 살펴 본 결과, 교사의 연령, 경력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의 직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4점을 만점으로 했을 때, 평균 2.80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교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직무조건, 보상 및 지위 순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보통이상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 교직에 대한 가치적인 측면에 대한 만족이 높으며 보상 및 지위에 대한 만족도가 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를 교사의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 경력, 직위에 따라 전체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하위영역 중 교직관에서 교사의 연령 및 직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여 연령에서는 20대, 30대가 40대 연령의 교사보다 더 높게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위는 원감, 주임교사, 교사의 순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변인 간에 의미 있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혁적 리더십의 비전설정 및 공유, 지적자극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간의 관계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영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영역인 인간존중은 교직관, 보상 및 지위, 근무조건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지적자극도 교직관, 보상 및 지위, 근무조건과 정적상관을, 비전설정 및 공유도 교직관, 보상 및 지위, 근무조건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하여 32.3%의 영향력을 설명해 주었다. 특히,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영역 중 비전설정 및 공유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만족도 각각의 하위 영역에 대한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15.4%~ 34.6%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교직관’은 인간존중이, ‘보상 및 직위’는 비전설정 및 공유가, ‘직무조건’은 지적자극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현대 한복의 패러다임 전환

        정혜란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Hanbok is changing and becoming a part of daily fashion through mixed and matched combinations with Western clothes due to recent inflows of young people in the industry. This study examines phenomena in which paradigm shifts have occurred, making Hanbok a fashion for everyday wear after 2010. The analysis is based on internet articles after 2010,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cases in which the Hanbok was used as contents in Culture and Arts field and the changes in the Hanbok industry in which modern sensitivity has been added.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Hanbok were deduced through the pictures of the Hanbok in wedding magazines and fashion magazine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bservations were made from cases in which the Hanbok was used as contents in Culture and Arts field. The phenomenon of using Hanbok in play culture is centered around the younger generation, rather than the older generation, who used Hanbok as formal wear. The 'Hanbok Experience' has developed around location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t is a common bucket list item of the young generation and has spread abroad. In addition, a variety of Hanbok communities have been formed voluntarily to develop activities related to Hanbok. Hanbok is used in stage costumes for K-pop, opera and as a medium of artistic expression in the areas of illustration, painting, and photography. Furthermore, changes in the Hanbok industry are as follows. Existing Hanbok brands have launched secondary of ready-to-wear lines targeting young generations, or children and infants. In addition, brands inspired by Hanbok began to appear.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channels for Hanbok have started to diversify. Hanbok select shops which collect Hanbok brands, and Hanbok distribution platforms which provide Hanbok-related information have appeared. Pop-up stores or formal locations in department stores have also been attempted. Lastly, characteristics of the Hanbok were deduced through analyses of wedding magazines and fashion magazines. The first is ‘changes in patterns’. While it was general for traditional Hanbok to use cutting methods that left a lot of extra space, the Hanbok is changing with the adoption of cutting methods that fits to the body, which are mainly used in Western clothing. Second, with ‘changes in material and color’, lace, which is the main material in wedding dresses, is being used in the Hanbok. While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s mainly uses primary colors, the use of white-based color arrangements has increased. Third is ‘changes in use’. Traditional inner garments that were generally worn inside outer garments are being used as outer garments. Fourth is ‘changes in ways of wear’. Hanbok is displays ways of wear in which they are mixed and matched with Western clothing and the Jeogori has also been worn over wedding dresses. Fifth is ‘the adoption of Western fashion concepts’. Mov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image of the Hanbok, Hanbok is being used in Western fashion concepts such as nomad and street fashions. Sixth is ‘gender boundaries ambiguity’. While Hanbok types were fixed depending on the gender, they have become an element that expresses ‘genderless’ concepts in the modern age. Hanbok is not fixated in its form of the past, but it is constantly changing according to the new trends.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Hanbok in the future so that we can continue the renaissance of Hanbok.

      • 한국 성인에서 커피 섭취와 대사성질환과의 관련성

        정혜란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커피는 1980년대 중반부터 외식산업의 성장 및 소득수준 향상으로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커피의 생상과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커피류 수출규모가 10년 동안 약2배 증가하였고, 커피 수입 규모는 약3.8배 증가하였으며, 성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이 연평균 7.0%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애용되고 있는 기호식품인 커피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대중들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커피 섭취 수준에 따른 대사성질환 유병 관계를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국민 건강영양조사 제6기의 2013, 2014, 2015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전체 대상자는 총 11,264명으로 그 중 40세 이상인 6,935명의 대상자에서 커피 섭취 조사에 대한 결측값을 제외한 6,407명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40세 이상의 대사성질환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커피 섭취 수준에 따른 대사성질환 유병에 대한 분포를 비교하였고, 커피섭취 수준에 따른 대사성질환과의 관련성을 보았다. 40세 이상의 성인 대상자 중 커피섭취 수준이 하루에 1ts이상 ~ 2ts 이하인 대상자가 가장 높게 47.4%를 차지했고, 전제 대상자 중에 남자보다 여자가 60.3%로 많았고, 연령은 50대가 41.7%로 가장 많았다. 흡연여부에서는 과거엔 피웠으나, 현재는 피우지 않은 대상자가 22.7%로 가장 많았고, 음주에서는 주1회 미만으로 음주하는 대상자가 76.4%로 가장 많았다. 대사성질환에서는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순으로 질환이 있는 대상자가 많았다. 커피 섭취 수준에 따른 주요변수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음주, 스트레스 여부, 흡연, 월경여부, 체질량지수, 비만, 식이 섭취 변수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자 요인에서는 우울증 변수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 섭취 수준과 대사성질환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커피 섭취 수준과 고혈압과 당뇨병 유병여부 대상자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커피 섭취 수준에 따른 대사성질환과의 관련성 분석에서는 당뇨병 유병여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당뇨병의 경우 커피 섭취를 달에 1ts 이하 ~ 주에 6ts 이하인 대상자를 기준으로 하루에 1ts 이상 ~ 2ts 이하인 대상자가 3.2배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에 3ts 이상 ~ 4ts 이하인 대상자는 7배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에 5ts 이상 대상자는 28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커피 섭취 수준이 높아질수록 당뇨병 이환이 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사성질환별로 커피 섭취 수준이 서로 다른 관련성이 있다고 추측되며, 대사성질환별로 커피 섭취에 대한 세부적인 지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십장생문(十長生紋)에 내재된 상징 연구

        정혜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ymbolism in the patterns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or sipjangsaengmun 十長生紋 and the three spaces where the ten symbols are positioned. The ten patterns symbolizing longevity - the sun, cloud, mountain, water, rock, deer, crane, turtle, pine trees, and mushroom of immortality - are uniquely found in Korea culture. The record of these ten symbols first appeared in the Goryeo Dynasty and during the Joseon period these symbols were widely used in decorative paintings at the royal court as well as in folk paintings and craftwork. Up to this day, however, the ten symbols have been studied mainly in terms of symbolism influenced by Taoist naturalism. In this thesis I intend to shift the focus to more fundamental significance inherent in each symbol of longevity. In the first chapter, I will introdu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e background of the study, and research methods. The second chapter will observe the concept of spaces in ancient religions. The symbols of longevity are composed of ten patterns of landscape and animals and plants positioned in the three spaces - the heaven, the earth, and underwater world. Especially, the ancient concept of spaces is found in landscape patterns. Considering the ancients’ nature worship, cosmology in their religious belief must be closely related to the three-stage world view 三段世界觀. They believed that the three worlds 三界 in this view represent the three spaces where sacred natural objects such as the cosmic tree 宇宙木 and the cosmic mountain 宇宙山 were located and these objects stood at the center of each world to connect the heaven and the earth. In this chapter I will examine ancient India, primitive Buddhism, Siberian Shamanism, and Confucianism in China to explore the three-world concept in detail. The chapter three will discuss the view on the three worlds further by examining the music in Korean Shamanism 巫歌 and explore the ancient Korean views on life, death, and the life after death. According to the three-world view from the Shamanistic music, there exist the heaven where deities and deceased rulers reside, the hell, the paradise, and the world of immortals 仙界. Particularly, the world of immortals is a unique East Asian concept which refers to a utopia in this world located someplace in a mountain or near horizon. In this ideal place immortal spirits led a life of a mortal enjoying comfort and longevity. Among the three spaces for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it is the earth that represents the world of immortals. This chapter will trace the origi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mmortals’ world in Chinese Taoism and Korean Shamanism. Chapters four, five and six are an in-depth study on symbolism in each symbol positioned in the three categorized spaces of heaven, earth, and underwater world. In this section, I will concentrate on visual symbolism in artifacts. To this end, this thesis will trace the origin of each symbolic pattern by examining the motifs and designs found in artifacts and reviewing documents on mythology, historical records, and oral literature. First, I will study the patterns of the sun, cloud and crane located on the space of heaven. The heaven is a place where the deities reside and the souls of deceased rulers ascend to, and the patterns of the sun and the cloud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imitive worship of the light and moisture of the heavenly goddess. In ancient civilization, the sun and the cloud were expressed in symbolic motifs and I will compare these motifs with the patterns found in Korean artifacts and relics. In Korea, the sun patterns are mostly found in mural paintings of Goguryeo, decorative tiles of Shilla, Buddhist paintings of Goryeo, ceramic rice-cake molds and incense burners of Joseon. Regarding the crane, it was considered a bird with a special connection to the sun that linked the heaven and the earth. Second, I will examine the patterns of mountain, rock, deer, pine tree, and mushroom of immortality that belong to the space of earth. Each symbol was considered the center of the world and was worshipped during the rituals 祭儀 communicating with the heaven. For example, the mountain, or the cosmic mountain, was a place for rituals where the earth mother goddess was seated. The pine tree, or the cosmic tree, was believed to link the three worlds. As for the rock, it was a sacred spirit pillar 神柱, a medium through which the deities descended from heaven. The deer was considered to have a special connection to the sun that ascended the heaven carrying the sun on its back. The deer also implies a sacrificial animal 犧牲獸 for hunting ceremonies and connects the earth and the heaven by guiding the dead souls to heaven. Mushroom of immortality contains condensed spiritual influence 靈氣. According to Korean Shamanism, the deities of the heaven and earth always carried the mushroom. Last, I will look into the patterns of water and turtle that belong to the underwater world. Water signifies vitality and the source of life. In ancient symbolic patterns, water was expressed in the forms of deviant crease lines or zigzag pattern. The heavenly goddess, mother goddess in the river, and water goddess in ancient times were depicted to embrace the parallel or zigzag water patterns. In Korea, the water goddess is found in the forms of water maidens from the paintings of Korean Shaman gods and in the paintings of the dragon lady in underwater palace. The pattern turtle was considered an animal that supported the earth while staying in the water. In conclusion, I will summarize my research and present research results. This thesis has a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takes a meaningful step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nd looks into more fundamental symbolism inherent in the ten patter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lluminates the spaces where the ten symbols are located in regards to the concept of the three worlds, viewing the spaces as the center of the world that connect the heaven and earth based upon ancient religious views. Moreover, this thesis discovers the divinity 神性 in each symbol and this divinity enables each symbol to connect the three worlds. Furthermore, this thesis conducts an extensive and through research into the patterns found in artifacts and relics to support the proposition. A study on the spaces for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nd the origin of each symbol will widen our perspectives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en symbols that have been recognized merely as decoration or landscape in the background. The research into the origin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will serve to recall our unique culture that has been forgotten for the most part but still constitutes the base of our spirit. 본 논문은 십장생문에 나타난 공간과 문양에 내재된 근원적 상징에 관한 연구이다. 십장생문은 해, 구름, 산, 물, 돌, 사슴, 학, 거북이, 소나무, 영지 등의 10가지 문양을 모은 우리나라 특유의 장생문(長生紋)이다. 십장생문은 장수를 상징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문양으로 고려시대부터 기록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조선시대에는 궁중 장식화부터 민화와 공예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된 문양이다. 지금까지 십장생문은 도교 사상이나 자연주의에서 영향을 받은 장생문이라는 상징의미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명제에서 벗어나 십장생 문양의 근원적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Ⅰ장은 연구의 목적과 배경을 밝히고 선행연구와 연구방법을 소개한다. Ⅱ장에서는 고대 종교에 나타난 공간의 개념을 살펴본다. 십장생문의 형식은 하늘, 땅, 물의 3개 공간에 분포된 산수문과 동식물문 10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산수문은 고대의 공간관이 드러난 이미지이다. 고대인들은 인간을 둘러싼 자연의 움직임에 신앙심을 투사하고 해석했다. 고대 종교에 나타난 우주론은 삼단세계관(三段世界觀)을 나타낸다. 삼단세계관, 즉 삼계(三界)는 우주산, 우주목과 같은 성스러운 세계의 중심에서, 다른 세계가 이어지는 공간관을 말한다. 이 장에서는 고대 인도, 원시 불교, 시베리아 샤먼의 의식, 중국의 유교에 나타난 공간관을 살펴보고 이 공간관들에 나타나는 삼계 개념을 알아본다. Ⅲ장에서는 한국 무속의 무가(巫歌)에 나타난 삼계관을 정리하고 고대 한국인의 생사관과 타계관(他界觀)을 알아본다. 무가에 나오는 삼계에는 신과 죽은 왕들이 거주하는 하늘이 있고 지옥, 극락, 선계(仙界)의 공간이 있다. 선계는 동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공간으로 현세와 접합된 이상향이다. 산속 어딘가, 지평선 어딘가 있는 선계는 현세의 즐거움을 그대로 가지고 장생하는 신선들이 사는 곳이다. 십장생문의 공간 중 지상은 선계를 나타내며, 선계의 유래와 의미를 중국 도교와 한국 무속에서 찾아본다. Ⅳ장부터 Ⅵ장까지는 십장생 각 문양의 내재된 상징을 하늘, 땅, 물의 공간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이 고찰은 유물에 나타난 시각적인 상징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물에 나타난 기호와 문양의 실증(實證)부터 신화, 역사서, 구비문학 등 문헌의 고찰을 통해 문양의 근원을 찾아본다. 먼저 십장생문의 천상계에 위치한 해, 구름, 학에 대해 고찰한다. 하늘은 신이 존재하고 죽은 지배층의 영혼이 올라가는 곳이다. 이곳의 문양소인 해와 구름은 원시시대의 신앙인 하늘여신의 빛과 수분에 대한 숭배를 표상한다. 고대 문명에서 태양문, 구름문은 기호문양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한국의 유적과 유물에 나타난 태양과 구름의 문양과 비교, 고찰한다. 태양문은 고구려 고분벽화, 신라 치미, 고려 불화, 조선 도자 떡살과 향로 등에 나타나며, 학은 태양새의 속성을 지니고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동물이다. 십장생문 지상계의 문양은 산, 돌, 사슴, 소나무, 영지가 있다. 이 문양들은 하늘과 소통하는 제의(祭儀)와 연관되어 있고 세계의 중심을 표상한다. 산은 우주산으로 지모신의 좌정처이며 제의의 장소이다. 소나무는 우주목(宇宙木)으로 삼계를 이어준다. 또한 돌은 신이 내려오는 매개체인 신주(神柱)이며 성스러운 장소를 표방하는 표지이다. 사슴은 태양을 등에 얹고 올라가는 태양사슴의 속성, 사냥의례에 나타나는 희생수(犧牲獸)의 속성을 가지며, 죽은 자를 인도하고 지상과 하늘을 연결한다. 영지는 영기(靈氣)를 응축한 형태로 한국 무속에서 천상과 지상 신들의 지물(持物)이다. 십장생문 수계의 문양으로 물과 거북이 있다. 물은 생명력, 배태력을 상징하며 생명의 원천지로 여겨진다. 물은 고대 기호문양으로 빗금, 지그재그문으로 나타난다. 원시시대 하늘여신, 강의 어머니, 물의 여신은 평행선과 지그재그문으로 물의 문양을 품고 있다. 우리나라 무신도에서 물의 여신으로 물애기씨, 용궁부인도가 나타난다. 거북은 지하계의 대표 동물로 영혼을 다른 세계로 인도하기도 하며, 지하에서 땅을 받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Ⅶ장은 결론 부분으로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장수 상징 개념을 넘어 십장생문에 내재된 근원적 상징을 찾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십장생문의 공간을 고대 종교관에 입각하여, 세계의 중심에서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공간인 삼계라는 개념으로 상정한 점, 십장생문 각 문양소의 근원이 신성(神性)을 가지고 있고 삼계를 이어준다고 밝힌 점, 이를 규명하기 위해 유물과 유적의 문양으로 실증한 점에 의의가 있다. 십장생문 공간과 문양의 근원에 대한 탐구는 산수와 같은 주변 문양 또는 장식 문양만으로 인식되어온 문양의 심도 있는 이해를 도와주고 상징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혀준다. 십장생 문양의 연원(連原) 탐구는 지금은 잊힌 우리 정신세계의 밑바탕에 흐르는 문화를 다시금 상기(想起)하는 것이다.

      • 한국 약용식물의 전통지식에 대한 민속식물학적 연구

        정혜란 慶尙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1. The usage of ethnomedicinal plants 1) The investigation on ethnomedicinal plants of traditional knowledge was conducted from 2006 to 2013. This study surveyed a total of 557 regions on 143 cities of 5 provinces in Korea. 2) This study interviewed a total of 1090 local informants (71 ±10.8 years old) in Korea,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participation of women were higher in both inland and island with 354 male local informants (67 ±11.3 years old) and 736 female local informants (72 ±10.1 years old). A total of 714 local informants (male 213, female 501) from the inland participated, and their average age was 70 years (±11.2). A total of 375 local informants (male 140, female 235) from the island participated, and their average age was 71 years (±9.9). The participation rates in both inland and island regions were the highest in 70’s and the lowest in 50’s. 3) A total of 551 taxa, composed of 481 species, 3 subspecies, 59 varieties, 8 forms and 329 genera under 109 families were found to be used as ethnomedicianl plants in Korea. The ethnomedicinal plants were 454 taxa, composed of 399 species, 3 subspecies, 47 varieties, 5 forms and 295 genera under 105 families in inland. There were 298 taxa, composed of 262 species, 1 subspecies, 31 varieties and 4 forms and 200 genera under 90 families in island. 4)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cies with high levels of variety among the 551 taxa, an analysis was conducted, which revealed that a total of 109 families were in use, and they were used in the order of Compositae (6 taxa - 737 use-reports), Liliaceae (31 taxa - 128 use-reports), Rosaceae (29 taxa - 241 use-reports). 105 families were used in inland and 90 families were used in island, and the use of Compositae was the highest in both inland and island. 5) Among 551 taxa, herb plants were 354 taxa (64.2%), tree plants were 98 taxa (17.8%), shrub plants were 61 taxa (11.1%) and climbing plants were 38 taxa (6.9%). The use of herb plants was the highest in both inland and island. 6) Among 551 taxa, cultivated-introduced plants were 110 taxa, cultivated-wild plants were 25 taxa and wild plants were 416 taxa. The use of wild plants was the highest in both inland and island. 7) The most useful parts were the root (1831 use-reports), followed by leaf (908 use-reports), stem (827 use-reports), fruit (546 use-reports), whole (496 use-reports), bark (233 use-reports), seed (174 use-reports) and flower (1991 use-reports). The use of root was the highest in both inland and island. 8) The consistency comparison between the scientific name and the local name of ethnomedicinal plants were the highest in the 50’s and the lowest in 70’s. The consistency comparison between the scientific name and the local name were the lowest in island regions. The comparison of confusion between the Korean name and the local name of ethnomedicinal plants were a total 101 taxa in Korea, 60 taxa in inland regions and 56 taxa in island regions. 2. Diversity index 1) The investigation on ethnomedicinal plants of traditional knowledge were collected a total 551 taxa to 4615 use-reports in Korea, 454 taxa to 3093 use-reports in inland regions and 298 taxa to 1522 use-reports in island regions. 2) Diversity index was showed 2.27 in inland regions and 2.15 in island regions. Diversity of use-reports were the highest in inland, possession and conservation to traditional knowledge than in island regions. 3) Maximum diversity index was 2.66 in inland regions and 2.47 in island regions. Diversity of use-reports and conservation were the highest in inland to traditional knowledge than in island regions. 4) Evenness index was showed 0.85 in inland regions and 0.87 in island regions. Ethnomedicinal plants were used evenly in island, without using any particular plants than in inland regions. 3. Informant consensus factor 1) Disease system was divided into nine system to ethnomedicinal plants in each region. The ICF provides range of 0~1, the results of study showed from 0.56 to 0.79 in Korea. 2) Skeletal and digestive system have the highest ICF 0.74 (119 taxa - 459 use-reports, 198 taxa - 764 use-reports) whereas urinary system has the lowest ICF 0.52 (59 taxa - 120 use-reports) in inland regions. 3) Digestive system have the highest ICF 0.72 (79 taxa - 282 use-reports) whereas nervous and respiratory system have the lowest ICF 0.48 (53 taxa - 101 use-reports, 66 taxa - 126 use-reports) in island regions. 4. Importance index 1) Importance indices of ethnomedicinal plants were analyzed the highest 20 taxa in each region. Leonurus japonicus was the highest both relative frequency of citation and relative importance in each region. 2) Relative frequency of citation was used in the order Leonurus japonicus (FC=132, RFC=0.18), Plantago asiatica (FC=88, RFC=0.12), Atractylodes ovata (FC=85, RFC=0.12), etc. and relative importance was used in the order Leonurus japonicus (RI=0.83), Plantago asiatica (RI=0.83), Taraxacum platycarpum (RI=0.80), etc. in inland regions. 3) Relative frequency of citation was used in the order Leonurus japonicus (FC=62, RFC=0.09), Achyranthes japonica (FC=60, RFC=0.08), Plantago asiatica (FC=43, RFC=0.06), etc. and relative importance was used in the order Leonurus japonicus (RI=0.94), Plantago asiatica (RI=0.85),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RI=0.76), etc. in island regions. 5.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 was analyz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indices and importance indices. Importance index FC wa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RFC and RI. Importance index Nu wa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I. Diversity index H' and J' we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iversity indices and importance indices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iversity indices and importance indices we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espectively. 6. Conservation on traditional knowledge of ethnomedicinal plants 1) Ethnomedicinal plants were make conservation priorities in order to conserv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Leonurus japonicus was the highest conservation priorities among ethnomedicinal plants. The next ethnomedicinal plants to conservation priorities were showed Plantago asiatica, Artemisia princeps, Lonicera japonica, Pueraria lobata, etc. 2) Disease system was divided into eight system to ethnomedicinal plants except unknown system in each region. Achyranthes japonica was the highest in skeletal system and Leonurus japonicus was the highest in digestive, reproductive and nervous system.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was the highest in circulatory system and Lonicera japonica was the highest in circulatory system. Artemisia princeps was the highest in integumentary system and Plantago asiatica was the highest in urinary system. 1. 민속약용식물의 이용현황 1) 민속약용식물 전통지식의 조사는 2006년부터 2013년까지 8년 동안 남한 전역을 대상으로, 6개도에서 143개 시ㆍ군을 조사하였고 총 577개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2) 민속약용식물의 설문응답자는 총 1090명(71세 ±10.8)을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며, 남성 354명(67세 ±11.3), 여성 736명(72세 ±10.1)으로 내륙지역과 도서지역 모두 여성의 참여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내륙지역의 설문응답자는 총 714명으로 남성 213명, 여성 501명으로, 평균 연령은 70세(±11.2)였으며, 도서지역의 설문응답자는 총 375명으로 남성 140명, 여성 235명으로 평균 연령은 71세(±9.9)였다. 내륙지역과 도서지역 모두 70대의 참여율이 가장 높고, 50대 이하의 참여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민속약용식물은 109과 329속 481종 3아종 59변종 8품종 총 551분류군의 식물이 이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내륙지역의 분류군의 구성은 105과 295속 399종 3아종 47변종 5품종 총 454분류군, 도서지역의 분류군의 구성은 90과 200속 262종 1아종 31변종 4품종 총 298분류군의 식물이 이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민속약용식물 551분류군 중에서 다양성이 높은 종을 과(family) 단위에서 파악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 총 109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국화과(6 taxa - 737 use-reports), 백합과(31 taxa - 128 use-reports), 장미과(29 taxa - 241 use-reports) 순으로 이용되었다. 내륙지역은 105과, 도서지역은 90과로 나타났으며, 모두 국화과의 이용이 가장 높았다. 5) 민속약용식물의 551분류군 중 식물의 생활형을 초본형, 교목형, 관목형, 덩굴형으로 구분한 결과, 초본형은 전체의 64.2%인 354분류군이며 교목형은 전체의 17.8%인 98분류군, 관목형은 61분류군(11.1%), 덩굴형은 38분류군(6.9%)으로 조사되어 초본식물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6) 민속약용식물의 551분류군의 중 야생식물은 416종, 재배식물 중 야생식물은 25종, 재배를 위한 도입된 종은 110종으로 조사되었다. 내륙지역과 도서지역 모두 야생식물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 민속약용식물의 이용부위는 뿌리(1831건), 잎(908건), 줄기(827건), 열매(546건), 전체(496건), 수피(233건), 종자(174건), 꽃(119건)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고, 내륙지역과 도서지역 모두 뿌리의 이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 민속약용식물의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은 50대에서 가장 높은 일치도를, 70대 이상에서 가장 낮은 일치도를 보였고, 도서지역에서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속약용식물 중 101종이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이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었고, 내륙지역은 60종, 도서지역은 56종이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이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2. 다양도 지수 1) 민속약용식물은 총 551분류군에 대한 지식정보 4615건, 내륙지역은 총 454분류군에 대한 지식정보 3093건, 도서지역은 총 298분류군에 대한 지식정보 1522건으로 조사되었다. 2) 다양도 지수는 내륙지역은 2.27, 도서지역은 2.15로 나타나, 도서지역보다는 내륙지역에서 더 전통지식을 보유하거나 보전하고 있었다. 3) 최대다양도 지수는 내륙지역은 2.66, 도서지역은 2.47로 나타나, 도서지역보다는 내륙지역에서 지식 정보의 다양화 및 보전이 높았다. 4) 균등도는 내륙지역은 0.85, 도서지역은 0.87로 나타나, 도서지역에서 민속약용식물을 이용할 때 어느 특정 식물만을 이용하지 않고 식물들을 가장 고르게 이용하였다. 3. 정보제공자 일치도 요인 1) 각 지역에서 가장 높은 질병계통을 알아보기 위해 민속약용식물을 9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조사된 약용식물은 0.56에서 0.79의 ICF 값으로 분석되었다. 2) 내륙지역에서는 골격계통과 소화계통이 ICF 0.74(119종의 식물 - 459개의 정보, 198종의 식물 - 764개의 정보)로 가장 높았으며, 비뇨계통은 ICF 0.51(59종의 식물 - 120개의 정보)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도서지역은 골격계통이 ICF 0.72(79종의 식물 - 282개의 정보)로 가장 높았으며, 신경계통과 호흡계통이 ICF 0.48(53종의 식물 - 101개의 정보, 66종의 식물 - 126개의 정보)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중요도 지수 1) 각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속약용식물의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 각 종의 지식정보(use-reports)를 기반으로 가장 유용한 상위식물 20분류군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익모초가 상대적 인용빈도(FC=194, RFC=0.173), 상대적 중요도(RI=0.89) 모두 높게 나타났다 2) 내륙지역의 상대적 인용빈도는 익모초(FC=132, RFC=0.18), 질경이(FC=88, RFC=0.12), 삽주(FC=85, RFC=0.12)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는 익모초(RI=0.83), 질경이(RI=0.83), 민들레(RI=0.80) 순으로 나타났다. 3) 도서지역의 상대적 인용빈도는 익모초(FC=62, RFC=0.09), 쇠무릎(FC=60, RFC=0.08), 질경이(FC=43, RFC=0.06)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는 익모초(RI=0.94), 질경이(RI=0.85), 엉겅퀴(RI=0.76) 순으로 나타났다. 5. Spearman의 순위상관분석 다양도 지수와 중요도 지수간의 유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earman의 상관계수를 적용해 분석한 결과, 중요도 지수인 FC는 RFC와 RI, NU는 RI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양도 지수인 H'와 J'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 지수와 다양도 지수 간에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 지수 간, 다양도 지수 간에는 각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민속약용식물의 전통지식 보전 1) 민속약용식물의 전통지식 보전을 위해 우선순위를 선정한 결과, 익모초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질경이, 쑥, 인동, 칡 등의 순으로 보전해야 할 식물로 나타났다. 2) 8개의 질병계통 중 전통지식 이용정보가 가장 높은 식물은 골격계통은 쇠무릎, 소화계통ㆍ생식계통ㆍ신경계통은 익모초, 순환계통은 잔대, 호흡계통은 인동, 외과계통은 쑥, 비뇨계통은 질경이의 이용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키덜트 문화를 주제로 한 도자조형연구 : 동심적 유희를 중심으로

        정혜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People has naturally grown up while they accept the rapidly changing social and cultural system in a flood of media. Sudden changes brought gap between social position and emotional immaturity. So people who refused to be mentally adult when they being physically adult formed a new hierarchy. Kidult is the one of a cultural style occurred in this confusing times. Kidult is meant to be fanatical hobby for a few persons before 2000s. But now it is spreading to become bigger and bigger under popular culture, and it become a mainstream culture which lead the trend. Kidult people who longing for ‘childlike innocence amusement’ consume childlike imagery while they fetishize old goods and a childhood items. Also they wants positive influence over experience a departure from nervous present time situation and found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This study project dilemma of modern people who wants to relieve the gap while spend childlike imagery, and it proceed through ceramic works. So in this study show visually various form of the childlike innocence amusement because of social phenomenon. Theoretical background explain sufficiently about occurrence motive of Kidult and examine ripple effect from major consumer of cultural layer. And then express value of formative ceramics including kidult imagery by searching examples of art and industry within Kidult. Also looked at the childlike innocence amusement from two point of view such as past and present. And this is based on the change of notions. Production of work and commentary describe a work plan, process, work contents on the basis of research from theoretical background. Making works are used new icon for amusement between past and present that is made up of three type according as work contents and techniques. Working processing contained color-slip test, making plaster modeling, molding, overglaze decoration, painting and glazing. Work contents provide process of installation, it suggest visual effects of work along with commentary. This study look into difference between past and present based on contemporary people's obsession of ‘childlike innocence amusement’ and social phenomenon from Kidult. So it shows ‘childlike innocence amusement’ express plasticly through subjective reinterpretation. Undergoing this process, clay which has diverse changing of a property and abundance visual expressive elements prove its ability by medium of Kidult expression. Also various transformation and production of repetition are show a possibility - formative ceramics can be a cultural consuming subjects - that accept people's need who located in field of culture, art and industry which affected by Kidult. This study helps the people who longing for ‘childlike innocence amusement’ between past and present. Furthermore, formative ceramics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by means of new platform that consuming Kidult. 수많은 매체의 다양화와 보급화 속에서 현대인들은 급격한 사회·문화적 발달을 실시간으로 받아들이며 성장해 왔다. 이러한 급격한 변동은 어른이라는 사회적 위치와 성숙하지 못한 자아 사이의 괴리감을 낳았고, 어른이 되고 난 후에도 정신적으로 어른이 되기를 거부하는 - 정서적으로 새로운 위치를 필요로 하는 계층 - 을 형성하게 되었다. 키덜트(Kidult)문화는 이러한 사회 속에서 생성된 수많은 문화형태 중 하나이다. 2000년대 이전까지 소수의 마니아(Mania)적 취미로 취급되던 키덜트 문화는 대중문화 속에서 점점 확산되어 사회적·문화적 트렌드를 주도하는 문화형태로 자리하고 있다. 이들은 과거에 행했던 동심적 유희를 갈망하며 오래된 상품이나 어린 시절의 물건에 집착하는 등 여러 방법으로 동심의 이미지를 소비한다. 또한 이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기대하고 불안한 현재에 대한 일탈을 경험하며 긍정적 효과를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키덜트 문화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현상에 대하여 이해하고, 이를 동심의 이미지를 소비하며 해소하려는 현대인들의 모습에 투영하여 작품을 통해 전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서 비롯되어 나타나는 동심적 유희의 다양한 형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키덜트 문화의 발생동기 및 배경에 대하여 고찰하고 현재 문화적 주소비층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키덜트 문화가 표현된 각 산업‧예술분야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도자조형영역에서 표현될 수 있는 키덜트적 이미지의 가치를 피력하였다. 또한 동심적 유희활동을 과거와 현재 두 가지 관점으로 바라보고 분석하여 유희에 대한 관념 변화의 근거로 삼았다. 작품제작 및 해설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진행한 연구를 바탕으로 작품계획, 제작과정, 작품내용으로 분류하여 서술하였다. 과거와 현재의 유희적 활동을 표현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콘을 제시하여 작품을 제작하고 작품내용 및 제작기법에 따라 세 가지 타입으로 구성하였다. 제작과정에 있어 색슬립 실험과 석고원형 및 석고몰드의 제작에 대하여 서술하고 장식으로 사용된 상회전사와 페인팅, 시유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작품내용에서는 작품설치를 위한 과정에 대하여 서술하여 작품에 대한 해설과 더불어 작품의 시각적 효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키덜트 문화 내 나타나는 현대인들의 동심적 유희에의 집착과 사회적 현상에 대한 연결성을 바탕으로 과거와 현재의 유희활동에 대한 차이를 인식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대인들에게 보여 지는 동심적 유희를 주관적으로 재해석하여 작품을 통해 조형적 언어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흙이라는 소재의 다채롭게 변화하는 물성과 풍부한 시각적 표현은 키덜트 문화를 소비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동심적 유희를 표현하기 위한 재료로써 그 역량을 보여주었다. 또한 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용과 반복적 생산은 문화‧예술‧산업 등 키덜트 문화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는 분야에서 많은 사람의 요구를 받아들이며 도자조형영역이 키덜트 문화의 소비주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도자조형영역이 키덜트 문화를 소비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써 그 역할을 해 낼 것이라 기대하며 이것이 과거와 현재사이에서 동심적 유희를 바라는 사람들에게 하나의 제안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