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적영역에서 이해충돌 규제에 관한 연구

        박주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일찍이 이해충돌 규제는 신탁의 법리에 의하여 민법이나 상법과 같은 사법의 영역에서 다뤄지기 시작하여 공적영역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였다고 볼 수 있다. 공적영역에서 공적인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공익과 사익 사이의 충돌 문제를 주목하고 해결하려는 시도는 오래된 역사를 가지지만 이를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제도를 마련하려는 시도는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국제기구나 세계 주요 국가들이 이해충돌 규제를 위한 규범제정을 촉구하거나 실제로 제정하고 있으며, 한국도 이러한 큰 흐름에 동참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 부패가 발생하는 일련의 과정 중 공직자가 직면하는 이해충돌을 포착하여 선제적으로 규제하는 일은 부패방지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일이다. 공적영역에서 이해충돌은 어떠한 부정적 대상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나, 이해충돌은 공익과 사익 사이의 충돌상황이며 그 자체에 대한 적법과 위법 또는 정당과 부당의 평가는 온당하다고 볼 수 없다. 이해충돌에 관한 오인은 이해충돌 규제를 위한 정책 방향을 세우는 데에 어려움을 주는데, 적어도 공법학의 관점에서 이해충돌과 그로 인하여 초래되는 공직자의 행위를 구분하여 취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하여 세계 주요 국가의 이해충돌 법제를 입법방식, 규제내용, 실효성 확보 수단의 측면에서 비교법적으로 고찰하여보면 한국 법제에 시사가 가능한 몇 가지 지점을 포착할 수 있다. 우선 입법방식에 있어서 한국의 법제는 주무 부처를 달리하는 「공직자윤리법」과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을 이원화하여 운용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의 법제와 같이 동일한 수범자를 대상으로 같은 목적의 경성규범을 이원화하여 운용하는 법제는 비교법적으로 드물다. 이러한 법제는 수범자에 대한 중복규제의 개연성을 높이고 유권해석의 통일을 저해하며 제도 개선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행 두 개의 법률을 통합하여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 시급하게는 「공직자윤리법」과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의 중복규제 사항부터 해소되어야 할 것이다. 현행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의 법명 중 ‘방지’라는 단어는 적절하지 않으므로 수정이 필요하다. 이해충돌을 공직자가 직면하는 특수한 상황이라고 본다면, 이해충돌은 방지의 대상이기보다 관리나 규제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방지는 이해충돌 규제 중 매각제도나 백지신탁 제도와 같은, 이해충돌이 발생하기 전에 그 가능성을 미리 차단하는 일부 제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어이지만 나머지 다른 이해충돌 제도를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규제가 넓게 보아 관리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현행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은 「공직자의 이해충돌 규제법」으로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향후 통합법의 제정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이라고 본다. 선출직 공직자는 국민의 대표자로서 국가 사무 전반에 대하여 다양한 직무상 이해관계를 가진다. 특히 입법부 공직자는 자유 위임의 원칙에 따라 직무상 공과(功過)에 관한 재신임을 받음으로써 정치적 책임을 부담하는 것이 원칙이다. 한국의 현행 법제, 특히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은 행정부 공직자의 직무 특성을 중심으로 법제가 정비되었으며 선출직 공직자의 직무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마련되었다. 따라서 규범의 분리까지 고려하여 선출직 공직자와 비선출직 공직자의 차별적 접근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보며, 이러한 점에서 「국회법」의 일부 차별적 접근의 시도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해충돌 규제내용 중 한국 법제의 주식매각・백지신탁 제도는 기준 금액을 규제의 진입장벽으로 설정하는 반면 직무 관련성 판단은 규제의 배제 요건으로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법제 운용은 비교법적으로 매우 이례적이고 제도의 본래 취지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직무 관련성을 일차적 요건으로, 기준 금액은 부차적 요소로 전환해야 한다. 재산등록제도 또한 공직자의 현재 재산공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므로 재산형성 과정을 포함하여 입체적 감시가 가능한 다양한 사항들이 공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국 법제는 실효성 확보 수단을 형사적 처벌과 행정질서벌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 이것은 이해충돌 규제내용에 부합하지 않는 제재를 가함으로써 법제 운용의 실효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개별 이해충돌 규제영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다양한 행정적 제재 수단이 모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퇴직공직자의 취업・활동 제한의 위반행위에 대하여 연금이나 퇴직금을 삭감토록 하는 해외 입법례를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한국 법제의 불필요한 형사적 제재 수단을 행정적 제재로 전환하는 작업도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It can be seen that the regulation of conflicts of interest began to be dealt with according to the legal principle of trust in the judicial realm, such as civil law or commercial law, and gradually moved to the public realm. Attempts to pay attention to and resolve conflict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of those who perform public duties in the public domain have a long history, but attempts to approach them theoretically, analyze them systematically, and prepare systems to manage them are relatively recen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demanding, or actually enacting, norms to regulate conflicts of interest, and Korea is participating in this wider trend.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corruption by preemptively regulating conflicts of interest faced by public officials during the course of corruption. In the public domain, there is a tendency to see conflicts of interest in a negative light, but conflicts of interest are confli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and seeing them in terms of legal versus illegal or just versus unjust cannot be considered fair. The misperception of conflicts of interest makes it difficult to establish a policy direction to regulate conflicts of interest. At least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law,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conflicts of interest and the actions of public officials that result from them.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by comparatively examining the conflict of interest laws of major countries in terms of legislative methods, regulatory content, and means of securing effectiveness, several points can be identified relevant to Korean legislation. First, in terms of legislative method, the Korean legislative system is operated by dualizing the 「Public Service Ethics Act」 and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Conflict of Interest Related to duties of Public Servants」, which come under the jurisdiction of different departments. However, laws that dualize and operate hard norms for the same purpose targeting the same perpetrators, such as the Korean law, are comparatively rare. These law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overlapping regulations applying to offenders, hinder the unification of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and reduce the efficiency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and unify the two current laws. The overlapping regulations of the 「Public Service Ethics Act」 and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Conflict of Interest Related to duties of Public Servants」 need to be urgently resolved. The word ‘prevention’ in the current 「Act on The Prevention of Conflict of Interest Related to duties of Public Servants」 is not appropriate, so it needs to be revised. If conflicts of interest are viewed as a special situation faced by public officials, it is more appropriate to regard conflicts of interest as targets to be managed or regulated rather than prevented. Prevention is a term that can be used in some remedies that block the possibility of a conflict of interest before it occurs, such as a divestiture or a blind trust among regulations for conflicts of interest, but it has limitations in describing other conflicts of interest remedies. Since regulation is a concept that includes management in a broad sense, it is desirable to revise the current 「Act on The Prevention of Conflict of Interest Related to duties of Public Servants」 to the 「Act on The Regulation of Conflict of Interest Related to duties of Public Servants」, which is a matter for consideration in the enactment of the integrated law in the future. Elected public officials, as representatives of the people, have various interests in the overall state affairs. In particular, it is a principle that public officials in the legislative branch assume political responsibility by receiving re-confidence regard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ir duti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free delegation.The current legislation in Korea, in particular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Conflict of Interest Related to duties of Public Servants」, was reorganized around the duty characteristics of public officials in the administration and was prepared without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duty characteristics of elected officials. Therefore, considering the separation of norms, it is necessary to try an approach that discriminates between elected and non-elected public officials, and in this respect, some discriminatory approaches in the 「National Assembly Act」 can be evaluated positively. According to conflict of interest regulations, the stock divestiture and blank trust remedies under Korean legislation sets a standard amount as a barrier to entry into one regulation, while the judgment of job relevance is considered to be a requirement for exclusion from regulation. Since the operation of such a legal system is very unusual in terms of comparative law and does not correspond t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vert duty relevance to a primary requirement and the standard amount to a secondary factor. The property registration system is also focused on disclosing the current property of public officials, so various matters of interest that can be monitored in three dimensions, including the process of property formation, should be made public. The Korean legal system relies too heavily on criminal punishment and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as a means of securing effectiveness. This is a factor that reduces the effectiveness of legal operation by imposing sanctions that do not conform to the content of the conflict of interest regulation. Therefore, various means of administrative sanctions that mee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nflicts of interest regulation areas must be sought. For example, foreign legislative precedents that allow pensions or severance pay to be reduced for violations of restrictions on employment and activities of retired public officials can be referred to. In addition, work should be carried out in parallel in the Korean legal system to convert unnecessary criminal sanctions into administrative sanctions.

      • 이해를 위한 교수법(teaching for understanding)에 기초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김민석 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a) to construct a social competence program based on ‘Teaching for Understanding’ and (b)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social competence program on social competence in young Korean children. To construct the social competence program based on ‘Teaching for Understanding’, a series of procedures such as literature review, expert group meetings, preliminary program development, validity testing, and final program development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social competence program, 36 6-year-olds from A Kindergarten located in K province, South Korea were recruited by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quasi-experimental study design was employed, in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n=18) participated in the weekly social competence program based on ‘Teaching for Understanding’ for 15 weeks, and the control group (n=18) participated in regular activities provided by the NURI curriculum. We measured social skills, self-esteem, multiple intelligences, and performance for children using the K-SSRS (Korean-Social Skill Rating Scale), the Self-Esteem Scale for Children, the Multiple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and the KPS (Korean Project Spectrum). We analyzed data using an ANCOVA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based on study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The social competence program based on ‘Teaching for Understanding’ developed through the study included “Understanding of myself and others,” “Understanding of socio-culture,” and “Understanding of social roles.” b.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group, indicating a greater increase of sociability, self-esteem, social intelligence, and social performance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social competence program based on ‘Teaching for Understan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bility, self-esteem, social intelligence, and social performance scores of young Korean children. 본 연구는 ‘이해를 위한 교수법(TfU)’에 기초하여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이해를 위한 교수법(TfU)에 기초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 의 구성은 어떠한가? 2. 이해를 위한 교수법(TfU)에 기초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 의 효과는 어떠한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유아사회교육과 사회적 능력, 다중지능과 이해를 위한 교수법에 관한 문헌을 수집, 분석하였다. 문헌분석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구체적인 활동을 구안하였다. 유아교육 전문가와의 협의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체계와 활동방법 및 지속적인 평가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K도에 위치한 A유치원의 만 4세 유아 36명(실험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을 연구대상으로 2016년 9월 19일부터 2016년 12월 30일까지 15주 동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TfU에 기초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 활동을 전개하였다. 연구도구는 서미옥(2004)의 한국 유아용 사회적 기술척도(K-SSRS), 최현미, 신동주(2011)의 유아 자아존중감 평정척도, 양옥승 등(2004)의 유아다중지능평가도구, 김명희 등(2001)의 한국 유아용 수행평가(Korean Project Spectrum: KPS)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프로그램 전과 후에 평정하였고 수집한 자료들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TfU에 기초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은 문헌연구와 프로그램 분석을 토대로 도출된 시사점을 반영하여 연구자, 교사 그리고 전문가와의 협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주제 선정은 다중지능 전 영역을 고려하여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생활주제를 생성적 주제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른 교육내용은 ‘개인/타인에 대한 이해’로 긍정적 자아형성과 타인존중, 자율성, 계획과 실천, 감정이해, 타인공감, 감정조절,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로 자연, 환경, 직업, 경제, 우리나라와 다문화,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해’로 화목, 갈등해결, 역할, 협력과 협동, 정의, 예의, 약속, 규칙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은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체계에 TfU를 적용하여 생성적 주제, 이해의 목적, 이해의 수행, 지속적인 평가를 교사와 유아가 함께 모든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TfU에 기초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회성, 자아존중감, 사회지능, 사회지능 수행평가 사후점수의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집단 간의 점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를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사회성의 하위 영역인 협력성을 제외한 자기통제, 주장성과 총 사회성 점수가 유의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인 시작과 독립심, 학습성취, 사회·정서성과 총 자아존중감 점수가 모두 유의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사회지능의 하위 영역인 대인관계지능과 개인이해지능, 총 사회지능 점수가 모두 유의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사회지능 수행평가의 하위 영역인 자기이해, 타인이해, 사회적 역할이해와 총 사회지능 수행평가 점수가 모두 유의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유아 사회지능 수행평가, 유아의 자기평가와 또래평가, 교사가 유아에 대해 평가하는 작업유형평가와 수행평가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TfU에 기초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실행한 집단이 사회성, 자아존중감, 사회지능, 사회지능 수행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유아의 지속적인 평가의 점수도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TfU에 기초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교육내용과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이해를 위한 교수법(Teaching for Understanding)’을 접목하여 다양한 주제의 활동을 구성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교육과정 재구성 논의에 주는 시사

        이정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여러 개정 교육과정과 최근 발표된 2022 개정 국가수준 교육과정은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교육과정을 학교에 적용할 때 점점 분권화, 자율화 등의 정책을 통하여 교육과정은 따라야 하는 정해진 것이라는 관점보다는 학교와 학습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재구성한 후 실천한다는 관점이 정립되었다. 이러한 교육적 맥락에서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론적인 특징을 살핀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현장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이론적으로 Tyler와 Bruner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 둘째,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의의는 무엇인가?, 셋째,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이 교육과정 재구성 논의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다.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론적인 특징을 살피기 위해 두 원천인 Tyler와 Bruner의 이론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들을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목표로서의 이해와 의미, 새로운 교육과정 설계 방식의 제공, 교사의 역할에 대한 추가 탐색 필요 등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론적 쟁점들은 현재 힉교현장의 교육과정 재구성으로 실천되고 있었다. 교육과정 재구성은 등장과 방법에서부터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이론적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또한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을 신장시키고, 교사의 역할을 교육과정과 수업 안에서 적극적으로 수업을 만들어가는 존재로 다르게 바라보았다. 마지막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이해’의 의미에 대한 수업 장면에서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게 한다는 의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를 고찰하면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그 이론적 탐색보다는 설계 방식을 적용한 연구들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이론적 틀로 역할하고 있기 떄문에, 이에 대한 교사들의 실천적이고 방법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이론적인 지식 또한 뒷받침되어야 한다. 교육과정 재구성 또한 현장에서 널리 실천되고 있지만, 그 이론적 원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재구성의 사례와 방법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재구성의 이론적인 배경을 밝히는 노력 또한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게임 활용 장애이해교육을 통한 통합학급 일반유아의 장애인식 및 수용태도 변화

        최민정 중부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게임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통합학급 일반유아의 장애인식 및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게임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은 일반유아의 장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었는가? 2. 게임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을 통해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가 어떤 과 정으로 변화되었는가? 3. 게임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을 통해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본 연구는 일반유아들의 장애인식 및 수용태도 개선을 위해 게임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을 적용하여 장애에 대한 일반유아의 인식 및 수용태도가 개선되어 가는 과정을 분석하여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반유아들의 특성과 범주를 알아보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장애 인식 및 수용태도 개선을 위한 게임 활동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탐색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P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3∼5세 무지개반에서 2022년 3월부터 11월까지 이루어진 게임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에 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유아들의 게임을 진행하면서 관찰하고 일화기록, 유아면담, 반성적 교사 저널을 분석하면서 드러나는 일반유아들의 장애인식과 수용태도를 정리하여 연구 내용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게임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은 일반유아의 장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게임을 통해 일반유아들은 장애에 대해 ‘틀림에서 다름’으로 인식이 변화되었다. 일반유아들은 장애인은 우리와 함께 놀 수 없고 못하는 것이 많다고 생각했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서로 다름을 인식하고 우리에게 없는 능력을 알아보며 사람마다 능력에 차이가 있고 사람은 다양하다는 것을 수용하게 되었다. 일반유아들은 눈에 보이는 장애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장애까지 인식하게 되었다. 장애 유형 인식에는 시각, 지체장애처럼 눈으로 보이는 몸이 불편한 장애만 인식했지만 게임을 진행할수록 보이지 않는 지적장애와 정신지체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인식하기 시작했다. 장애인의 입장에서 생각을 하여 장애와 관련된 올바른 용어를 알고 사용하게 되었다. 일반유아들은 알고 있는 단어를 조합하여 ‘눈 장애인’, ‘귀 장애인’이라고 말했지만 정확하지 않은 용어로 장애인을 이야기하면 장애들이 상처받을 것이라고 이야기하며 자발적으로 인터넷을 검색하고 확인하여 장애 관련 용어에 대해 이해를 하고 올바른 용어를 사용하였다. 두 번째로 게임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을 통해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가 어떤 과정으로 변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게임을 처음 시작했던 4월 일반유아들은 게임을 할 때 방해를 하고 게임이 이기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수빈이에게 게임에서 빠지라고 하며 불편한 감정을 거침없이 표현하였다. 하지만 게임 3회부터 일반유아들에게 변화가 생겼다. 게임 중간에 소리를 지르거나 마음대로 돌아다니는 수빈이에게 깍두기로 게임에 참여시켜 주어 수빈이가 자유롭게 게임에 참여하도록 배려를 해 준 것이다. 깍두기가 된 수빈이가 4회, 5회 게임에 참여하면서 일반유아들은 수빈이가 순서를 무시하고 게임 주변을 돌아다니거나 장난을 해도 이해하고 양보, 배려해주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런 배려를 받는 수빈이도 게임 6회 때는 오랫동안 앉아 있거나 일반유아들과 협동을 하여 게임에 직접 참여하기도 하였다. 일반유아들은 이런 수빈이의 행동을 놀라워하고 칭찬을 해 주기도 하였다. 하지만 방학을 지낸뒤 수빈이의 문제 행동이 다시 심각해지면서 일반유아들은 수빈이에게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교사는 유아면담을 통해 일반유아들이 수빈이를 어떻게 생각하고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분석한 후에 수빈이가 좋아하는 수업자료를 활용한 게임과 단순하게 수정된 게임으로 수정하여 진행하였다. 9, 10회 게임에는 일반유아들이 수빈이와 함께 하는 즐거움을 느끼고 수빈이를 학급의 일원으로 여기며 의미 있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한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는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을 통해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동료 의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한 황현주(2012)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이러한 장애이해교육을 통해 친구로서의 기대가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백지은(2009)의 연구에서 방학을 지내고 학급에 적응하지 못하는 영석이를 포기하지 않고 성공적인 통합학급으로 이룬 결과와도 비슷하였다. 세 번째는 게임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은 일반유아의 장애에 대한 수용태도에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게임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을 통해 나타난 일반유아들의 수용태도는 ‘불편한 친구’에서 ‘즐거운 친구’로 변화되었다. 수빈이와 장애인에 대해 가졌던 불편한 마음이 점점 즐거운 친구, 친한 친구로 변화해 가는 과정에는 장애인에 대해 동화와 영상, 뉴스자료를 통해 장애인의 생활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수빈이와 한 팀으로 게임에 참여하여 협동을 하는 과정을 통해 점점 친밀감을 느끼게 되었다. 일반유아들이 수빈이를 친근하게 느낀 후에 나타난 태도는 ‘보살펴 줘야 하는 어린친구’에서 ‘함께 놀이하는 친구’로 변화되었다. 일반유아들의 태도는 친구들이 가지고 있는 각기 다른 능력과 차이에 관심을 갖도록 도와주는 게임 활동을 통해 점점 서로 다른 능력과 생각을 가졌다는 것에 관심을 갖고 함께 놀이하는 친구로 생각하고 더 나아가 우정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이해하기 어려운 친구에서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드는 친구로 태도가 변화되었다. 수빈이가 게임 중에 도움을 요청하면 도와주거나 수빈이가 혼자 할 수 있을 때는 옆에서 기다려주고 방법을 알려주는 등 배려하며 도와주는 태도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장애이해교육에 대해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현장에서 장애이해교육 방법을 고민하거나 놀이와 게임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어떤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 의문을 가진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둘째,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성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도 나왔듯이 교사의 체험과 반성은 교육의 실천으로 연결되었다. 따라서 현직교사를 위한 장애이해교육과 통합교육 연수도 일반적인 정보 제공 외에 체험과 성찰 중심으로 전개하여 자신의 경험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자신의 학급의 이야기를 서로 공감받으며 살아 있는 장애이해교육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교과서 ‘이해 학습’ 분석 : 초등 1~4학년을 중심으로

        홍하은 濟州大學校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examines to which extent the curriculum was reflected in textbooks, particularly limited to the part of 'understanding learning' focusing on 20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irst to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which the current 2007 revise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had been reflected in preparation for the year of 2011 whe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ould become established to all over the graders. The objectives to be achieved in a curriculum is to reflect in textbooks, which can be called as the edition for field practice. Therefore, it is able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contents of revised curriculum are made consistently in the course of practising to textbooks while watching the achievement criteria, the relation between unit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and how much it relates to the objectives of language use. Henc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hievement criterion and unit objectiv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focusing on the achievement criterion, unit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in the aspect of curriculum detailing. Out of them, the achievement criterion and unit objectives are classified as external relation and the achievement criterion, unit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are judged to that extent of a connection in the contents between each other. Then, it examines the form of knowledge and how it is distributed about the educational contents dealing with 'understanding learning' which plays the role of learning guide for learners and summarizes in which way it is realized in textbooks. The concrete process of discussions is as in the followings: In Chapter II, Paragraph 1, it deals with the concept and theory of general textbooks, and main feature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agraph 2, and the principles and system of unit conten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which the 2007 revise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eflected comparing with the seventh revision in Paragraph 3. In addition, it deals with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etailing aspect of learning contents respectively, which are the background of discussions in Chapter IV. In Chapter Ⅲ, it summarizes the present situation and features of 'understanding learning' based on textbooks of 『hearing・speaking』, 『reading』, 『writing』/『hearing・speaking・writing』, 『reading』 for first to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which the 2007 revise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eflected as well as the meaning of 'understanding learning' in earnest. In Chapter Ⅳ, it examines how the detailing is evolved while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learning' which was reflected in textbooks based on those summarized contents in Chapter Ⅲ. Also it sets the kinds of knowledge utilized as educational contents as three ones of propositional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conditional knowledge to classify educational contents and analyzes the types of 'understanding learning' to be evolved within units. Based on these analyzed contents, it finds out that the contents of curriculum and textbooks are made in very consistent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paring to the last one. Also it helps learners to reach at the achievement criterion through classes in a proper portion of educational contents with proposition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so to be verified that it becomes a bit more efficient guide to learners with some patterns. Through this study, it finds out the well-organized principles and intention in the contents of new textbooks. Lastly, it deals with three kinds of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learning'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Chapter V. First, what should be achieved in a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unit learning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in textbooks as the tool for realization of the curriculum should be made in the ever consistent appearance, and second, continuous studies of 'application learning' to involve the meaning of practice must proceed together with the ones of 'understanding learning' as the education of knowledge and function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ntexts. Lastly, it needs active analysis of textbooks by teachers who have various prospective. This study is made on the basis of analysis of textbooks in which the feature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o that it can be the criterion of direct criticism and alternative plan of the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in which the revised curriculum was reflected. And those principles found out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next revision of curriculum which was changed to the real-time revision system as well as future development of textbooks. 본 연구는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전 학년에 정착되는 2011년을 대비하여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반영된 정도를 현재의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초등 1~4학년 국어 교과서 20권을 중심으로, 특히 ‘이해 학습’ 부분에 한정지어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바는 현장 실천본이라 일컬을 수 있는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개정된 교육과정이 교과서로 실행되는 과정에서 성취기준, 단원목표와 차시목표와의 관계, 언어 사용 목적과의 관계 정도를 살피며 일관성 있게 구성되고 있는 지 살펴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과정 상세화 측면에서 성취 기준과 단원 목표의 관련성, 성취 기준과 단원 목표, 차시 목표를 중심으로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그 중 성취 기준과 단원 목표는 외형적 관계로 분류하였고 성취 기준과 단원 목표, 차시 목표는 서로 간의 내용 연계 정도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에게 학습 안내 역할을 하는 ‘이해 학습’에서 다루고 있는 교육적 내용의 지식 형태와 분포 정도를 알아보고 교과서 내에서 어떤 유형으로 구현되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구체적인 논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Ⅱ장 1절에서 일반적인 교과서의 개념과 이론을 다루고 2절에서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을, 3절에서는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국어 교과서의 단원 구성 원리와 체제를 7차와 비교하며 알아보았다. 더불어 Ⅳ장의 논의의 바탕이 되는 교육내용 상세화 측면을 4절에서 다루었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이해 학습’의 의의와 함께 교과서 내에 반영된 ‘이해 학습’의 지식과 관련된 내용을 각각 다루었다. 또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초등학교 1~4학년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듣기・말하기・쓰기』, 『읽기』를 대상으로 하여 ‘이해 학습’의 현황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에 반영된 ‘이해 학습’의 관련성을 비교, 분석하며 상세화가 전개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육적 내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지식의 종류를 현대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논의되어지고 있는 명제적 지식, 절차적 지식, 조건적 지식의 3가지로 정하고 기준으로 세워 교육 내용을 분류하였으며 단원 내에서 전개되는 ‘이해 학습’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이전에 비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일관성 있게 구성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 교육 내용을 명제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적절한 비율로 두어 학습자들이 수업을 통하여 성취 기준에 도달하도록 하며, 몇 가지 유형을 가지고 좀 더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안내가 이뤄지도록 되고 있음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새 교과서의 짜임새 있는 구성 원리와 의도를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국어 교과서의 ‘이해 학습’ 개선방향 세 가지를 다루었다. 첫째, 교육과정에서 이루고자 하는 바와 교육과정을 실현할 수 있는 도구인 교과서 내의 단원 학습 목표 및 차시 학습이 항상 일관적인 모습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하고 둘째, 여러 맥락을 고려한 지식과 기능의 교육인 ‘이해 학습’과 더불어 실천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적용 학습’의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시각을 가진 교사들의 적극적인 교과서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이 반영된 교과서 분석을 기반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개정 교육과정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교과서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과 대안의 기준이 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밝혀진 원리는 수시개정체제로 바뀌어진 차기 교육과정 개정 및 향후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자기이해모형에 기초한 척도 개발 및 프로그램 효과검증

        김명희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21세기의 핵심가치인 행복과 행복한 삶을 위한 연구로 ‘자기이해’라는 심리적 구성개념을 새롭게 개념화하고, 자기이해에 관한 척도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기이해 척도의 일반화가능성과 자기이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자기이해에 관한 학문적인 선행연구들과 실무적인 상담현장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방안들을 살펴보면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자기이해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면서, 자기이해지능과 메타인지이론에 기반을 둔 자기이해모형(self understanding model; SUM)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자기이해 척도와 자기이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하여 자기이해가 행복, 회복탄력성, 신뢰, 공감소통, 삶의 만족 및 불안과 우울 같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논문의 구성은 5개의 연구주제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의 연구주제에 따라서 연구목적을 설정하고 몇 개의 작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주제는 자기이해에 관한 이론적 연구이다. 심리학뿐만 아니라 교육학과 철학 및 사회학에서 다루어진 자기이해에 관한 선행연구들과 문헌들을 고찰하여 자기이해라는 심리적 구성개념을 새롭게 정립하여 자기이해를 “긍정적인 사고로 자기정체성을 확립시키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자기존중감을 느끼며, 긍정적인 행동으로 자기역할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새롭게 정립된 자기이해 개념에 따라서 자기이해를 인지적 측면의 “자기정체이해(SIU)”, 정서적 측면의 “자기존중이해(SEU)”, 행동적 측면의 “자기역할이해(SRU)”를 포함하여 세 개의 하위 구성요인으로 이루어진 심리적 구성개념이라고 개념화하면서 자기이해모형(SUM)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 연구주제는 자기이해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로 진행되었다. 먼저, 척도개발과정에 입각하여 자기정체이해와 자기존중이해 및 자기역할이해로 새롭게 정립된 자기이해라는 심리적 구성개념을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척도(SUS)를 416명을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앞서 제안한 바와 같이, 3개의 하위요인을 가진 자기이해척도를 개발하였다. 그다음에, 새롭게 개발된 척도의 일반화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612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타당화연구를 진행하였다. 척도개발연구와 일관되게 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모형의 적합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발된 척도의 준거타당도를 알아본 연구에서도 새롭게 개발된 자기이해 척도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는 새롭게 개발된 자기이해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세 번째 연구주제는 새롭게 개념화하고 새롭게 척도를 개발한 자기이해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조사연구를 통하여 자기이해가 행복, 회복탄력성, 신뢰, 희망 및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조사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자기이해를 높여주는 것은 행복을 높여주고 회복탄력성을 복원하며, 신뢰를 구축하고 희망을 품게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불안과 우울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는 자기이해를 높이는 것이 상담장면에서 내담자의 행복, 회복탄력성, 신뢰, 희망을 높이고, 불안과 우울을 낮추는데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네 번째 연구주제는 자기이해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것이다. 자기이해를 개선하고 확장하여 개인의 삶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으로서 자기이해모형에 기반한 SUM 프로그램을 새롭게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자기이해에 관한 선행연구들과 자기이해 프로그램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더불어, 자기이해에 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자기이해의 효과에 기초하여 4단계 10회기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SUM(self understanding model) 프로그램”이라 명명하였다. 프로그램의 각 단계는 2번의 회기로 진행하였고, 프로그램의 1회기는 오리엔테이션으로, 마지막 회기는 클로징으로 구성하였다. 제1단계는 자기정체이해(SIU)에 관한 것으로 자기정체성에 근간을 둔 자기이해단계로 자기주도성과 자기수용성을 높여주는 프로그램이며 “아름다운 자기찾기”와 “행운과 업그레이드”이다. 제2단계는 자기존중이해(SEU)에 관한 것으로 자기존중감에 중심을 둔 자기이해단계로 개인적 자존감과 사회적 자존감을 높여주는 프로그램이며 “대표강점”과 “집단 속의 나”이다. 제3단계는 자기역할이해(SRU)에 관한 것으로 자기역할력에 주안점을 자기이해단계로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을 높여주는 프로그램이며 “우선순위 매트릭스”와 “지금 여기”이다. 마지막 제4단계는 자기이해모형(SUM)의 통합에 관한 것으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측면으로 나누어서 다루었던 자기이해를 통합하는 과정이며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자기이해 밸런스”와“자기이해 시너지”이다. 다섯 번째 연구주제는 새롭게 개발된 SUM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3개의 실험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자기이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SUM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 자체가 자기이해뿐만 아니라, 행복, 회복탄력성, 신뢰 및 희망을 높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UM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불안과 우울을 낮추어주면서 정신건강을 높이는데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SUM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다른 프로그램(공감소통, 회복탄력성, 의미앓이)에 참여하는 것보다 자기이해를 높여주고, 행복, 회복탄력성, 신뢰 및 희망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몇 가지 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자기이해에 관한 조사연구와 실험연구를 통하여 자기이해가 다양한 연령층과 각각의 다른 분야에 있는 사람들에게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행복한 삶을 살게 하는데 효과적인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런 연구결과는 자기이해가 시련과 역경에서 힘겨워하는 사람들이 다시 일어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일 뿐만 아니라,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자기이해가 긍정적인 심리적 구성개념(신뢰와 희망과 같은)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심리적 구성개념(불안과 우울과 같은)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자기이해가 높아짐으로 확인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는 다른 심리적 구성개념들과 마찬가지로 자기이해를 후천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선택과 노력에 따라서 자기이해를 개선하고 확장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SUM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는 자기이해가 개선되고 확장되기 위해서는 인지적 측면, 정서적 측면과 행동적 측면이 모두 충족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해라는 용어 때문에 자기이해를 인지적인 측면만 강조할 수 있지만, 진정한 자기이해를 위해서는 인지와 정서 및 행동이라는 세 가지 구성요인을 균형 있게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자기정체이해와 자기존중이해 및 자기역할이해의 영향력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는 SUM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시사해준다. 자기이해를 개선하거나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에 목적에 따라서 인지적 측면의 프로그램, 정서적 측면의 프로그램, 행동적 측면의 프로그램으로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자기이해를 개선하려면 자기정체이해, 자기존중이해, 자기역할이해를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실제 활용에 있어서는 실무자와 필요한 참여자들에게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자기이해 개념을 정립하고, 새로운 자기이해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며, 자기이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는 학문적으로 실무적으로 가치가 있지만, 몇 가지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자기이해를 자기정체성과 자기존중감 그리고 자기역할력이라는 3가지 심리적 구성개념에 기초하여 개념화하였다. 그러나 자기이해라는 개념과 자기이해를 높이는 방안이 이 연구에서 가정하는 것과는 다르게 개념화되고 다른 방안이 제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이해를 성격 특성으로 알아볼 수 있다. 따라서 진정한 자기이해라는 결과물을 얻어내기 위해서는 자기이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후속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새롭게 개발된 척도의 일반화 가능성을 추가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자기이해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고 새로운 자기이해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면서, 자기이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지만, 개발된 자기이해 척도의 활용가능성과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을 확대하고, 연구주제와 연구영역을 다양화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개발된 자기이해 척도의 완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자기정체이해의 경우에 자기주도성과 자기수용성을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는 확장된 척도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셋째, SUM 프로그램에 대한 정교화가 필요하다. 긍정심리학적 관점으로 자기이해지능과 메타인지이론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정립한 자기이해는 인지적 측면, 정서적 측면, 행동적 측면이 포함하고 있고, 자기이해의 구성요인 세 가지 자기정체이해와, 자기존중이해 그리고 자기역할이해에 대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인지적, 정서적, 및 행동적 측면을 통합하여 구성요인 간의 균형과 시너지를 이루어 자기이해를 개선하고 확장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SUM 프로그램의 긍정성과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지만, 개발된 프로그램이 보편화 되고, 효율적이면서도 실용적인 자기이해와 자기 성장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SUM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과 함께 표준화와 객관화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의 활용에 대한 것으로, 새롭게 창안된 SUM 프로그램이 상담 분야뿐만 아니라, 교육과 코칭 분야 등 삶의 전반적인 영역에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이해 척도와 자기이해 프로그램이 사람들의 인지적 측면, 정서적 측면 그리고 행동적 측면을 살펴서 해당 프로그램이 자기이해와 자기 성장을 도모하는 데 효과적이면서 실용적인가를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면서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꾸준한 실증연구를 통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 문화이해도와 영어 듣기 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이주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이해도와 영어듣기능력이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가설을 설문조사와 영어듣기 능력시험결과를 토대로 하여 검증하는데 있다. 우선, 이론적 배경을 통해 여러 학자들의 문화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 언어와 문화가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 후, 문화가 의사소통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영어듣기 능력과 문화이해도에 대한 구체적인 실험과 자료를 통해 전반적인 한국인 학생들의 영미문화에 대한 이해도 분석 및 영역별 이해도 분석, 피험자 전체학생들의 문화이해도와 영어듣기능력과의 상관관계, 피험자들을 영어권국가 거주 경험자와 비경험자로 분류할 경우, 거주 경험자와 비경험자간의 문화이해도와 영어듣기능력과의 상관관계, 영어권 국가 거주 경험자들의 문화영역별 이해도와 영어듣기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소재의 모 인문계 여자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중 입학성적이 우수한 학생들로 구성된 TEPS (Test of English proficiency develop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반 20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Stern(1984)의 문화 분류에 따라 문화를 다섯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영어능력 측정도구로는 TEPS Listening Test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피험자 전체 학생들의 영미문화에 대한 이해도 분석 및 영역별 이해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역사나 지리영역에 대한 이해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험자 전체 학생들의 문화이해도와 영어듣기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상관분석(Correlation)을 통해 분석해 보았는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피험자들을 영어권 국가 거주 경험자들과 비경험자들로 나누어 각 집단의 문화이해도와 영어듣기능력간의 관계를 나누어 분석 해 본 결과, 비경험자들의 문화이해도와 영어듣기능력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경험자집단의 결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거주 경험자들의 문화영역별 이해도와 영어듣기능력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생활양식 영역에 있어서의 상관관계가 유의미 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영어권 국가 거주 경험자와 비경험자들을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에 비추어 보면, 거주 경험자들의 경우 생활양식과 같은 비물질 문화에 대한 이해가 언어능력향상에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이해도 증진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영미인들의 사고와 가치관이 반영된 일상생활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교실수업 안에서 원어민과의 접촉을 통한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상황적 맥락 안에서 영미인들의 사고나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형태의 수업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ccompanying cultural understanding with language acquisition, under the assumption of the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of British and American culture and English listening abilities. Previous studies were examined to see the various definitions of culture all of which showed that language and culture are closely related and culture has a great effect on communication abilities. Next, Based on this previous studies, I investigated how well Korea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British and American cultures, and how such cultures are related to their English abilities. Moreover, I showed that experienceliving or studying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affect their listening abilities. Furthermore, which sections of cultural questionnaire have relation to English abilities based on the result of students' who have an experience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20 first graders of a high school in Seoul who performed well on the entrance exam were selected and they were asked to fill in the questionnaires about British and American cultures. It consisted of 30 items about ordinary cultural backgrounds classified by Stern(1984)'s definition about culture. Also, the test on their English abilities were conducted for 20 minutes in the form of TEPS listening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have a deeper understanding about History and Places of the various sections of British and American cultures. Second, there is no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of British and American culture and English listening abilities. Third, the result of the study conducted by those who do not have any experience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does not show the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British and American culture and English listening abilities, while the result of survey conducted by those who have an experience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over six months does. Finally,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listening abilities and each section of understanding of British and American culture shows that Individual persons and way of life has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English listening abilitie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students who have an experience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show successful performance si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section of Individual persons and way of life naturally lead to the improvement of their English listening abilities. On the other hand, although students who do not have an experience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are able to acquire the knowledge about History, Institutions and Places through books and media, it does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heir English listening abilities. Consequently, we can drive the suggestion that to improve English abilities through better understanding about American and British cultures, understanding of their thought and values should be accompanied by rather direct experiences. For this, it will be helpful to teach English in the context in more various ways. To be more specific, teachers can provide the environments that allow students to have simulated experience through Role-Play or Mini-drama rather than just explaining cultures.

      • 高等學校 學生들의 保險理解度에 관한 硏究

        정원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세계화와 지식기반사회로 지칭되는 현대사회의 경제교육은 ‘경제학을 위한 학습’이 아니라 개개인에게 그리고 사회 전체에 행복과 보람을 주는 ‘경제생활을 위한 학습’이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실생활에 유용한 실제적인 교육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실제 고등학교 과정의 경제교육에서 배운 경제지식이 현실의 경제문제에서는 그다지 효용성을 갖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그 진행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여러 실물경제 분야 중에서도 특히 보험에 대하여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를 측정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며 그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예비 보험소비자인 학생들의 보험선택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 넓게는 보험 뿐 아니라 기타 실물경제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높여 학생들이 현실에서 부딪치게 될 경제문제에 대해 선택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과정과 비(非) 학교교육 과정상의 요인이 학생들의 보험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누어 전자의 경우 관련 연구 자료들을 검토 및 정리해 보고, 후자의 경우 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보험이해도를 측정하고 어떤 변수들이 학생들의 보험이해도와 유의미한 관계에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보험이해도 및 실물경제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실물경제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 중학교 여학생들의 이해중심게임수업 사례연구 : 네트형 게임수업을 중심으로

        서상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teaching game for understanding model developed by Bunker and Thorpe(1982) to the gym classes of girl's middle schools, to in󰠏depth investigate the process of game knowledge formation via the model, and to present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For doing this, methodology of a case study was us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class reflection journal of teachers, class journal of students, observation of class, and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process of domain and classification analyses presented by Spradley (1980), being categorized by themes. Triangulation was performed in order to secure the cred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game for understanding model was helpful to form the conceptual knowledge of the learners on tennis. In the beginning of the class, the learners had no conceptual knowledge on tennis such as its rules, terms, and space, showing a level more serious than the author had expected to be. However, in the practice of the teaching game for understanding model, the learners gradually formed the conceptual knowledge (the rules, terms, and space) on the game. During the whole process of the class, the students who were observed understood the rules and used the terms on tennis more frequently. In the beginning of the class they failed to understand explanations on how to secure space and how to attack or to defend by using space due to their insufficience in space conception, but they expanded their conception on space gradually by performing game assignments. Second, by expanding game knowledge, the learners were shown to increase in their ability to solve problems occurring during the game. This result may indicate that the students were improved in their ability of problem-solving from the process in which they confirmed the strategic problems occurring in the games such as attacking toward empty space, defending space, and scoring by performing transformed game assignments containing "exaggeration" and tried to solve the strategic problems for which teachers presented appropriate feedback. Third, the teaching game for understanding model was sufficiently helpful not only to the formation of knowledge but to the formation of an eye for tennis games of the learners. During the class, the learners expanded their critical thinking on tennis games and experienced the pleasure of the game, being enhanced of their eye on "how to see tennis" and "how to do tennis." Conclusively, the application of the teaching game for understanding model to the class in schools was sufficiently significant, being proven to be helpful to the formation of game knowledge of the learners. 본 연구는 Bunker와 Thorpe(1982)가 개발한 이해중심게임모형을 여자중학교 체육수업에 적용하여 이해중심게임모형을 통한 게임지식구성의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교육적 의미를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례연구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자료는 교사의 수업반성일지, 학생들의 수업일기, 수업 참여관찰, 그리고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radley(1980)가 제안한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의 절차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주제별로 범주화 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각도접근법(triangulation)을 실천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은 학습자들이 테니스에 대한 개념적 지식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학습자들은 수업초기에 테니스 게임에 대한 규칙, 용어, 공간과 같은 개념적 지식이 구성되어 있지 않았다. 이는 연구자가 생각하는 수준보다도 그 이해 정도가 심각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해중심게임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게임에 대한 개념적 지식(규칙, 공간, 기능)을 점차적으로 구성해 나갔다. 수업의 전 과정에서 관찰대상 학생들은 규칙을 이해하고, 테니스 용어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 졌다. 또한 학습 초기에 공간개념이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빈 공간을 확보하는 방식, 공간을 활용하여 공격하거나 수비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을 잘 이해하지 못하였으나 게임과제를 수행하면서 공간개념도 점차 확장되어갔다. 둘째, 학습자들은 게임지식이 확장되면서 게임 상황 중 발생한 문제해결을 위한 능력도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학생들이 '과장성'을 내포하고 있는 변형게임과제를 수행하면서 게임 상황 중 발생하고 있는 전술적 문제 예컨대, 빈 공간으로 공격하기, 공간방어하기, 득점하기 등을 확인하고 교사의 적절한 피드백(feedback)이 제시되는 전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셋째, 이해중심게임수업은 학습자들의 지식형성뿐만 아니라 테니스 게임에 대한 안목형성에도 크게 도움이 되었다. 수업과정에서 학습자들은 테니스 게임에 대한 비판적 사고의 확장과 게임에 대한 즐거움을 경험하게 되면서 테니스를 "보는 것"과 "하는 것"에 대한 안목이 향상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현장에서 이해중심게임수업의 적용은 그 의미가 매우 크며, 학습자들의 게임지식의 형성에 도움이 되고 있음이 증명 되었다.

      • 계발활동을 통한 중학교 국제이해교육 증진 방안에 대한 연구

        최경이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인류는 국가 간의 울타리가 무의미 해지는 하나의 생활공간인 세계단일화에 들어서고 있다. 이러한 세계 단일화 시대에 우리는 국가 간의 치열한 경쟁을 극복하면서 국제사회의 공동이익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국제경쟁력과 국제성을 동시에 갖춘 인력을 양성해야 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학교 현장에서는 국제이해교육이 필요하다. 국제이해교육은 '세계의 상호 의존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문화 간 이해에 대한 교육, 세계적 관점의 교육, 세계 체제에 대한 교육, 그리고 세계문제 및 이슈에 대한 교육을 포함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제이해교육은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 자신의 문화에 대한 정체성 확립, 인류의 보편적 가치로서의 인권·평화·민주주의·관용에 대한 이해와 실천, 전쟁, 환경, 빈곤, 물, 에너지 등 전 세계적인 문제 및 이슈와 세계 체제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포함하는 세계 시민교육이라 정의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국제이해교육은 국제 사회 이해를 통해 국제적 태도를 기르고 국제사회를 올바로 이해시키며, 국제사회 활동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는 교육이다. 이러한 국제 교육은 UNESCO에서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의 실시를 권고하면서 시작되었고, 한국도 “Associated Schools Project”에 가입하면서 협동학교나 시범학교 중심으로 국제이해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한국의 제7차 교육과정에서 교과과정, 재량활동시간, 특별활동 시간에 국제이해교육을 실시 할 수 있도록 제도적 여건을 마련해 놓고 있다. 그러나 국제이해교육이 그 범위가 매우 포괄적이며, 여러 학문분야를 기반으로 다양한 목표와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기에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 에 대한 문제점과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자료와 프로그램의 부족, 교사들의 전문성 부족 등으로 인해 교육현장에서 국제이해교육이 아직 까지 성숙한 단계로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국제이해교육을 실시 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제7차교육과정에서 체험활동과 단체 및 협동활동을 중시하는 특별활동 중의 계발 활동을 이용하여 국제이해교육을 실시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해 보았다. 재량 활동시간이나 교과과정 시간에 국제이해교육에 한계점이 있다면 그 한계점을 계발 활동시간으로 보완하여, 다각도로 국제이해교육을 실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별하게 국제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계발활동반 운영이 아니라 할지라도 기존에 개설 되고 있는 계발 활동반의 활동 주제를 국제이해요소로 접목시켜서 국제이해력을 증진시키는 방안이다. 국제 이해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 하기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국제이해교육이 활성화 되고 발전하기 위해서 교사 양성 기관에 국제이해교육 전공분야가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에 대한 시각의 조정이 필요하다. 경쟁 지향적 교육보다 남들과 더불어 잘 살아 가는데 필요한 교육을 존중하는 사회적 풍토가 필요하다 셋째, 국제이해교육 관련 내용의 교수·학습 자료가 다양하게 개발, 제작,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사들이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교사들의 연수기회를 확대하고 해외 현장 체험 연수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국제이해교육이 활성화되고 발전하려면 교사들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다섯째, 유네스코 한국 위원회에서 실시하는 '외국인과 함께 하는 문화교실'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직접 외국의 문화를 체험 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사들은 학생들이 세계화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지도해야 한다. 앞으로 세계 무대를 살아갈 우리 학생들이 세계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갖도록 세계 시민으로서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일곱째, 학교 현장에서 직접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국제이해교육관련 연구나 교육 자료 제작에 보다 많이 참여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oday people are living in a world where the borders between nations make no sense. In this global era, we need to have human resources qualified for both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in order to win the stiff competition among nations, and contribute to the mutual benefi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improve global understanding in school education. Education for global understanding can be referred to in various ways; inter-cultural education to develop the understanding of mutual dependency , education from an international viewpoint, education about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education about international matters or issues. Education for global understanding can be defined as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 including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and systems, identifying one's own culture,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human rights, peace, democracy and generosity, and understanding international matters or issues such as wars, the environment, poverty, water and energy. Education for global understanding serves to develop an international attitude for understanding the global society and the ability to take part in that society. Education for global understanding began after a recommendation by UNESCO. In Korea it has been practiced in the Associated schools or demonstration schools since they were affiliated with the 'Associated Schools Project'. Education for global understanding can be systematically supported by general subjects, discretionary activiti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 7th curriculum. Education for global understanding can have a comprehensive range and may be practiced in many ways based on various kinds of studies. However, it hasn't reached its mature stage because of such problems as 'what to teach', the shortage of materials or programs, and a lack of specialist teachers. A global understanding methodology could be presented through club activities which give importance to experience and group cooperation. These may be one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 7th curriculum. Providing education for global understanding through club activities can supplement the lack of such education in general subjects and discretionary activities. There is no need to organize a special club. Instead, global understanding topics could be included in present club activities. The effective ways of providing for education for global understanding may be set out as follows, 1. The department for global understanding education should be located in teacher-training colleges. 2. various viewpoints about education need to be accommodate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social climate which pays more respect to education for living in harmony with others than competition-oriented education. 3.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make use of the various teaching materials available for global understanding education. 4. It is essential that teachers hav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field training, especially overseas. Teachers' overseas experience is crucial to the activation and improvement of global understanding. 5. Students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a foreign culture through joining programs such as 'Cross-Cultural Awareness Program', which is administered by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6. Teachers are supposed to introduce in a positive way the concept of the globalization to their students. It is the students who will lead lives in the global era. 7. Teachers are at the forefront of education. They should take a more active role in studying and developing global understanding teaching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