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 가치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윤서중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competition among domestic healthcare organizations has been intensified, as consumer choices have been varied owing to the improvement of healthcare information accessibility by IT technology and developed transportations. Amid this sweeping trend, healthcare organizations are making full use of their own brand value as an important marketing strategy, moreover the recognition of the brand is working as the factor deriving consumers’ brand loyalty. This study is to check up, from the point of view of a healthcare consumer, how the brand value of healthcare organization accreditation effects on brand trust,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as well as how brand trust and brand attitude effect on brand loyalty. It is also to study how the difference of consumers’ brand recogni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 accreditation effects on brand value of accreditation and on the interrelation among brand trust in, brand attitude to and brand loyalty on healthcare organizations. For the hypothesis verification, this study made a questionnaire by using measuring instruments related to brand value, brand trust, brand attitude, brand loyalty and brand recognition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former study.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users of 4 general hospitals, which had obtained healthcare organization accreditation, located in Seoul and Daejeon, and 425 were collected from them. 41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verified except for 12 with unfaithful or no answer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social and functional values which were healthcare organization accreditation brand values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trust in and brand attitude to healthcare organization. Second, the emotional value of healthcare organization brand values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however the social and the functional values didn’t have any effect. Third, the brand trust in and brand attitude to healthcare organ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Fourth, i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which used research targets’ recogni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 accredita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s only that the social value had on brand trust and that brand attitude had on brand loyalty were effective, resulting that they were more effective in the high recognition of group than the low one. Fif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gional moderation effects between the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ones in daejeon. Also, there was some moderation effect by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mong the general hospitals in daejeon, though there was no moderation effect between seoul located high and low recognition group of general hospitals.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the aggressive marketing, new service development, the quality improvement of healthcare service and the reasonable price policy of healthcare organization accreditation, to improve brand trust in and brand attitude to healthcare organization and to raise customers’ loyalty on and service availability of healthcare organization, through healthcare organization accreditation. In addition to that, it is suggested that it has to raise brand loyalty with the improvement of brand trust and with the build up of the amicable brand attitude, by increasing the emotional value and the social value among brand values for seoul area and increasing the social value targeting the low recognition of group in case of local hospitals. In conclusion, it also suggested the various culture events as well as the autonomous check-up and the continuous management by operating a department in charge of the accreditation inside the hospital itself, to touch consumer’s emotion. 최근 국내 의료계는 IT기술 발달에 따른 정보 접근성 향상과 각종 교통수단 발달 등으로 소비자 선택의 폭이 확대되면서 의료기관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 의료기관들은 의료기관 브랜드 인식을 중요한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브랜드 인식 제고는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 소비자 입장에서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 가치가 의료기관 브랜드 신뢰와 태도,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의료기관 브랜드 신뢰와 태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차이에 따라 인증 브랜드 가치와 의료기관 브랜드 신뢰·브랜드 태도·브랜드 충성도 간 상호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의료기관의 소재지별 인지도에 따라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신뢰·브랜드 태도·브랜드 충성도 간의 상호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선행 연구에서 추출한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 브랜드 태도, 브랜드 충성도, 인지도에 대한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의료기관 인증을 획득한 서울 및 대전 소재 4개 종합병원 이용객을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25부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 또는 무응답으로 사용할 수 없는 12부를 제외한 413부를 분석하여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 가치인 감정적·사회적·기능적 가치는 의료기관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증 브랜드 가치 중 감정적 가치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사회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는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의료기관의 브랜드 신뢰와 태도는 의료기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료기관 인증에 대한 조사 대상자의 인지도를 조절 변수로 사용한 가설 검증에서 사회적 가치가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 태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조절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고 인지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의료기관 소재지별 차이 분석에서는 서울지역이 대전지역보다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에 대한 감정적 가치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가치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전지역은 사회적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태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서울지역 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지역은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조절효과가 없었으며, 대전지역은 인지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가치가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 태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의료기관의 브랜드 신뢰와 태도를 향상시키고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제안으로 의료기관 인증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새로운 서비스 개발 및 의료서비스 질 향상, 합리적 가격 정책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방 의료기관의 경우 인지도가 낮은 집단을 대상으로 의료기관 인증의 사회적 가치를 높임으로써 브랜드 신뢰를 제고하고 우호적 브랜드 태도를 형성하여 브랜드 충성도를 높여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의료기관 인증과 관련하여 감정적 가치를 중심으로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도록 하고 의료기관의 자율적인 점검과 지속적인 관리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영리법인의료기관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 법적·윤리적 평가를 중심으로

        이강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past, the emphasis of medical field was put on factors such as publicism, egalitarianism and approach, establishing 'equal state control' rather than market or competitive principles. But, it doesn't make sense that medical field becomes standardized downwardly, preventing the field itself from becoming standardized upwardly, due to the cause of egalitarian-oriented medical supply. Accordingly, it needs to take public measures against the downwardly-standardized medical field trend, implementing upwardly-standardized medical system. The necessity of such upwardly-standardized medical field trend is plainly reflected in policy lines and ideas that the pragmatism-driven government pursues in recent years. It is meaningless to discuss whether liberalism will come before egalitarian or vice versa. Instead, it needs to make policies in the process of growing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current. It is expected to induce national wealth by developing health and medical industry, create industrial employment foundation, and provide high-cost and advanced services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wealth division. Also, recycling structure in public medical field would possibly be built, by financing specifications of profits from the extensive health and medical industry scope in the form of special charge amount.Competition, efficiency and market principles are required for growing medical field. Obviously, it is difficult to expect cost and efficiency will be formed following the created cost and services, owing to competition between demander and supplier appearing when buys and sells medical equipment in some store, in the aspect of medical field characteristics. But, it is deemed to offer the scope of multi-choices to medical consumers, promoting medical field-related advertisements and strengthening rights of choices among the general consumers, so that they can give an access to much information, and then introducing private insurance system as the payment form. Also, introducing the profit-corporation supplier agency will enable competitiveness to become enhanced as the commercial law-related firm, thanks to massive capital inputs. And, it will help make transparent management and taxation and developing competitive agency and industry, as well as providing low cost and good-quality services to medical consumers or patients. This application of the extensive market principles will give birth to competitive medical agency besides state-leading non-profit medical agency. And, based on it, medical field will be fostered and expanded, with the result of the reinforced health and medical industry field, such as life engineering, medical equipment and pharmaceutical industry. And, subsequently, medical hub will be built.The situation in profit-corporation medical agency overseas shows that special medical services and old-aged medical care services are run to a considerable degree.If profit-corporation is introduced in South Korea, added-value services and non-regulation medical services will be created.A wide range of medical advertisements necessary for medical information, and private medical insurance must be introduced with various payment forms, and medical care agency selecting system has to be facilitated for a better institutional climate. And, strengthening public medical facilities and run them by degrees is required. 영리법인의료기관을 윤리적으로 바라보면 영리법인의료기관의 도입으로 인해 의료공급에 있어 평등주의가 깨질 수 있다고 우려하는 바가 있다. 의료공급의 평등주의를 이유로 의료산업이 강화되지 못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못하다. 산업의 경쟁력을 통해 수익의 창출로 공공의 대책을 세우는 것이 옳다. 이는 요사이 실용정부의 정책이념에서도 잘 읽을 수 있다. 현실의 모습에서 자유주의냐 평등주의 인가를 논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변화하는 흐름에 따라 성장하는 모습 속에서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 싱가폴, 태국과 같이 국가주도적으로 의료 산업을 육성하고 국가의 원동력으로 삼으려는 연구와 움직임이 보인다. 의료 산업을 중심으로 한 고부가가치 산업(생명공학, 의료기기, 의약산업)의 육성과 의료 허브의 모습을 구상하고 계획되고 있는 것이다. 의료산업의 발전을 통해 국부창출을 이루고 산업형성에 따른 일자리 창출, 고비용, 고급의료 서비스 실현으로 인한 부의 분배효과면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또한 전체 보건의료산업의 수익에 대한 세목과 특별부담금 형식의 재원조달로 공공의료로의 순환구조도 가능할 것이다.의료윤리의 4원칙으로 영리법인의료기관을 바라보면 다음과 같다. 자율성 존중의 원칙에서 살펴보면 영리법인의료기관 개설에 있어서도 의료인, 환자, 투자자가 자율성이 존중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의료기관개설 형태에 대한 결정권, 의료소비자의 선택의 자유, 의료기관을 개설하고 싶어하는 의사아닌 일반인의 직업선택의 자유가 제약되어 있다.악행금지의 원칙에서 살펴 보면 영리법인의료기관의 허용으로 의료비의 부당한 징수와 과잉진료, 탈세등의 ‘악행’을 더 조장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그러나 영리법인의료기관의 도입으로 의료기관이 회사의 개념으로 활동하여 투명하고 건전하게 발전됨으로서 세제와 경영에 있어 신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시키고 ‘악행’이 제거되어 악행금지의 원칙에 부합 될 수 있을 것이다.선행의 원칙에서 살펴보면 ‘적극적 선행의 원칙’은 영리법인의료기관제도의 도입으로 영리법인의료기관 운영과 보건의료산업의 수익에 대한 세금으로 공공의료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자원을 늘리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효용원칙’에서 의료에 있어 ‘효용’은 적은 비용으로 질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영리법인의료기관이 도입되면 환자유치를 위하여 환자들이 원하는 수준의 의료의 질을 유지할 것이나, 이윤추구를 위하여 적정한 비용투입이 이루어 질 것이므로 ‘효용’이 높아 질 수 있을 것이다.영리법인의료기관 도입을 롤즈의 정의의 원칙에서 살펴 보면 ‘차등의 원칙’을 적용 했을 때 국민에게 돌아가는 혜택은 영리법인의료기관 운영과 보건의료산업의 수익에 대한 세금으로 공공의료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자원을 늘리는 것이다. 또한 보건의료산업을 통한 국부의 창출, 산업형성에 따른 일자리 창출, 고비용, 고급의료 서비스 실현으로 인한 부의 분배효과면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영리법인의료기관의 도입으로 상법상 회사로 활동한다면 시장원리의 공급자의 한축으로 투명성과 그에 따른 경쟁력을 가지고 의료서비스를 한다면 국민은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낮은 가격으로 받을 수 있을 것이다.두 번째로 기회의 균등에서 균등함 이란 공정함을 의미하고 어떠한 현안이나 문제에 대해 어느 누구도 차별 받지 않고 접근할 수 있는 기회의 균등을 말한다. 영리법인의료기관의 허용으로 기회의 균등함을 바라볼 때 의사에게는 회사형태의 의료공급자로 이윤을 추구할 수 있는 기회를 투자자에게는 의사가 아닌 일반인으로서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할 것이다. 의료 소자자인 일반국민에게는 영리법인의료기관 허용으로 의료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인 접근성이 떨어 진다는 우려를 많이 한다. 그러나 현재 영리의료법인은 의료기관의 해외브랜드 수출을 위한 자금확보의 수단이나, 고비용·고급의료의 시도에서 논의되고 있고 대형종합병원은 비영리기관으로서 차후에도 건재해 접근성이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법학적 관점에서는 우리나라는 자유민주주의 공화국이며(헌법 제1조) 자유주의를 천명하고 있는바 시장을 인정하고 사유재산권을 보호한다.(헌법 제119조 시장경제와 사적재산권 보장) 의료영역 또한 이러한 자유주의 원리가 적용된다.(헌법 제10조 행복추구권, 15조 직업의 자유) 그러나 의료의 특성상 사회적으로 구성원에게 필수 · 필요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어 져야 함이 있어 평등주의적 분배개념이 강조된다. (헌법 제36조 3항 보건권, 31조~36조 사회국가원리) 이러한 의료영역에 있어 헌법상 자유주의와 평등주의의 대립에 대해 헌법재판소 99헌바76, 2000헌마505(병합) 요양기관 강제지정제 심판에서 였볼 수 있다.의료법상 의료기관은 의료인과 법인으로는 비영리법인인만이 개설할 수 있다. (의료법 제30조 2항) 또 의료법인에 대해서는 민법의 재단법인의 내용을 준용한다. 그러나 세법상 법인세법에서는 의료업 자체를 수익사업으로 규정하고 과세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일반 영리법인과 동일한 과세부과 원칙이 적용된다. 이렇게 실질적으로 비영리법인의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세법상 영리법인으로 취급하는 것에 대하여, 법인의료기관에 영리법인을 허용하여 회계와 경영을 투명화 시켜 적합한 세제를 취하고 탈세와 위법행위를 근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 의료법인으로서 비영리의료법인으로 남는 기관은 공익성을 더욱 강화 시키고 적합한 세제의 이익을 주는 것이 올바르다.

      • 1차 의료기관의 서비스 품질이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급여·비 급여 의료기관 중심으로

        유의정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우리나라는 급속한 의료 환경의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특히 의료소비자인 환자들의 의료지식의 향상과 의료IT의 발전은 의료기관의 서비스 품질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의 1차 의료기관의 외래 진료 환자들을 대상으로 약 350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은 첫째, 1차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비 보험과 보험과의 기관을 구분하여 비 급여의 의료기관 특성에 따른 의료기관 서비스의 품질 구성요인 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의료기관 특성별 서비스 품질 요인이 환자 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의료기관에 지각된 서비스 가치가 의료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환자만족도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 급여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다. 첫째, 외적가치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품질 요인은 인적 품질 가운데 전문성과 신뢰성이었다. 둘째, 내적가치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품질 요인으로는 인적 품질의 전문성과 신뢰성, 환경 품질의 편의성, 그리고 운영적 품질의 절차성 이었다. 셋째, 서비스 가치수준이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내적가치, 외적가치 모두 환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급여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다. 첫째, 외적가치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품질 요인으로는 인적 품질의 전문성과 신뢰성이었다. 둘째, 내적가치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품질 요인으로는 인적 품질의 전문성과 신뢰성, 운영적 품질의 신속성과 안전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가치수준이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내적가치, 외적가치 모두 환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환자가 비 급여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요인은 전문성이었고, 환자의 내적가치와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은 병원 이용의 편리성과 절차적 용이성이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급여 의료기관의 선택요인은 의료진의 신뢰성이었고, 환자의 외적가치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안전성이 중요한 변수 였다. Recently South Korea has gone through a rapid medical environmental change. Specifically as a consumer in a medical range the improvement of medical knowledge of the patients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IT have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 medical services. In regard to,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edical service.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nalyzing 350 questionaries from the ambulatory care patients from Seoul and Kyung-gi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it tried to grasp the structural factor of the service quality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medical institution. Secondly, it tried to figure out how the quality of the medical institution services depending on the properties influences the value of the patients. Lastly, it tried to find out how the value of the service that patients perceived influences their satisfaction when they visit the centre.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studies above. First of all, this is the result from non-paid medical institutions. Among the Human-ware Quality, expertise and reliability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service quality which affect the external values. Second of all, for the service quality which affect the internal values, expertise and reliability were important. In the case of Hardware Quality, convenience was important. Moreover, Procedure was important for Software Quality. Third of all, both internal and external valu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ustom satisfaction. The results below are from medical institutions. First of all, the expertise and reliability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mong the Human-ware Quality for the service quality factors that affect the external values. Second of all, for the service quality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nal value, expertise and reliability were important among the Human-ware Quality. Safety and speed were important for System Quality. Third of all, both internal and external values were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As written above, the factor that affects the decision of the patients choosing non-paid medical institutions was expertise. The way to improve the internal value and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was the convenience of using hospital and easiness of processing. Also, it depended on the reliability towards the medical team whether the patients will choose the medical institution or not. To improve the external value and custom satisfaction, the safety of the service was very important.

      • 선택의료급여기관 제도가 만성질환을 가진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Purpose: Designated doctor system has implemented since July 1, 2007 in Korea, for the purpose of considering health promotion of medical aid beneficiaries and financial effectiveness of medical aid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health care utilization and the cost before and after introducing that system and to find out the factors related to those differences, providing policy data necessary to improve designated doctor system.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medical aid beneficiaries with one or more chronic diseases, included in designated doctors system during 2012, and analyz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health service utilization such as total benefit days, outpatient days, medication days, hospital stays and the number of utilizing health service institutions, and claimed medical expenses with paired-t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especially in total benefit days among those with brain lesions, outpatient days among those designating higher class general hospitals, and medication day among those with brain lesions, and, however, some increases in many cases after designating medical institutions to medical aid beneficiaries in the study. The length of hospital stays significantly increased, especially among females, those of 65 years old and more, those with the first class of medical aid, those without handicap; those with notified chronic illnesses, those designating neurologists, and those designating medical institutions in small or middle-sized cities. However, the number of utilizing medical institutions significantly decreased in most cases after the designation, especially in such groups including both males and females, age group of 65 years and above, the 1st class of medical aid, the handicapped physically or with brain lesions, those with miscellaneous illnesses, those designating higher class general hospitals, those designating orthopedists, and those designating medical institutions in small or middle-sized cities. Medical expenses increased in most cases after designating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especially increasing significantly in the groups of both males and females, 65 years and above, the 1st class of medical aid, those without handicaps, those with miscellaneous illnesses, those designating hospitals, those designating orthopedists, and those designating medical institutions in small or middle-sized cities. Conclusion : The results proved that the application of designated doctor system led to reducing the utilization of outpatient services effectively, and, however, were not effective on the aspects of cutting down the costs of medical aid. Therefore a detailed scheme to designate health care institution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seriousness of the illness and the class of medical institutions in order to seek not only health promotion of the beneficiaries but also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aid finance.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unnecessary spending of inpatient expenses should be reduced by designating health care institutions for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with the same illness, and a pertinent scheme should be derived in linked with health care suppliers. 목적 : 의료급여 수급자들의 건강증진 및 의료급여제도의 재정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2007년 7월 1일부터 시행된 선택의료급여기관 제도의 도입 전·후 의료이용 차이 및 비용을 비교 분석하고, 이러한 의료이용 차이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선택의료급여기관 제도의 개선점에 필요한 정책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 경남 일개 시에서 2012년에 선택병의원 지정이 되어있는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에서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이 있는 대상자 200명을 대상으로 선택병의원 지정 전 1년간과 지정 후의 총 급여일수, 외래일수, 투약일수, 입원일수, 이용 의료기관수 등의 의료이용 특성과 진료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선택의료급여기관 지정 후 총 급여일수는 뇌병변 장애를 가진 대상자, 외래일수는 상급종합병원, 투약일수는 뇌병변 장애를 가진 대상자에서 특히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오히려 증가한 경우도 많았다. 입원일수는 선택병의원 지정 후에 대부분 증가하였으며, 특히 여성 환자, 65세 이상, 의료급여 1종, 장애가 없는 대상자, 만성고시질환, 신경과, 중소도시 의료기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용 의료기관 수는 지정 후에 대부분 감소하였으며, 특히 여성 환자, 65세 이상, 의료급여 1종, 지체 혹은 뇌병변 장애를 가진 대상자, 기타 질환, 상급종합병원, 정형외과, 중소도시에서 통계적으로 특히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진료비는 선택병의원 지정 후 대부분 증가하였으며, 특히 남녀 환자 모두, 65세 이상, 의료급여 1종, 장애가 없는 대상자, 기타질환, 병원, 정형외과, 중소도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선택의료급여기관 지정 전후의 의료이용과 진료비의 변화와 관련된 환자 및 의료기관의 특성 요인은 장애여부가 외래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외에는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선택의료급여기관 제도 적용이 외래 의료이용 감소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의료급여 재정 절감 측면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건강증진 도모와 의료급여재정 효율성을 제고하려면 질환의 중등도와 의료기관 종별에 따라 세부적인 선택의료기관을 지정할 수 있는 방안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동일 상병으로 장기 입원하고 있는 장기입원 대상자에게 선택의료기관 지정을 통하여 적절한 치료 후 퇴원을 하게 함으로서 불필요한 입원 진료비 지출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한 의료공급자와의 연계 방안의 도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 의료급여수급자의 선택의료급여기관제도에 따른 의료이용의 변화

        노선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연구배경: 의료급여수급자의 건강관리 향상의 필요성과 의료급여 재정안정화 대책을 위해 2007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선택의료급여기관제도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한 실정으로 동제도가 목적한바와 같이 적정의료이용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제도시행 전 ? 후 의료이용의 변화와 연관된 변수를 조사한 연구이다. 대상 및 방법: 선택의료급여기관지정제도 시행일인 2007년 7월 1일부터 2011년 6월 30일까지 전남지역 소재의 일개 군(郡) 176명의 선택의료급여기관지정자 중 수급권 중지, 전출, 사망자를 제외한 1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구축한 의료급여종합정보지원시스템(이하“DW"라고 한다)을 통해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의료급여기관특성을 수집하여, 의료급여수급자들에게 적용되는 선택의료급여기관제도 시행 전 ? 후의 의료이용행태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선택의료급여기관지정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 65명(39.4%), 여자 100명(60.6%)로 여자가 많았으며, 연령은 64세 미만 46명(27.9%), 65세 이상 119명(72.1%)로 65세 이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급여종별은 1종이 159명(96.4%), 2종이 6명(3.6%)로 대부분이 1종 수급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병개수는 평균 10개이고, 선택의료기관지정은 2개 이하가 90%이며 선택구분은 당연적용자와 자발적 참여자가 각각 71.5%, 35.8%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별을 보면 의원이 64.2%, 병원, 종합병원이 32.1%, 대학병원 3.6% 순이고 의료기관 소재지는 농어촌이 86.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택의료급여기관을 지정한 후 의료기관수, 총 급여일수, 외래일수, 투약일수는, 성별로는 여자의 경우,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의 경우, 주상병 별로는 기타질환의 경우, 의료기관 종별로는 의원의 경우, 지역별로는 농어촌의 경우에 시행 전보다 시행 후에 적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입원일수, 진료비는 시행 전보다 시행 후에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선택의료급여기관제도 시행 후의 의료이용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연령, 주상병, 의료기관종별, 지역별 특성이며 의료급여비 절감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의료기관 구성원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C대학병원의 전체구성원 관점에서

        백인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최근 의료기관인증제의 도입 등으로 고객에 대한 서비스 질의 향상이나 안전의 제고 필요성이 강조되는 패러다임에서 의료기관의 프로세스 개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 구성원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진행된 연구이다. 전체 구성원 관점에서 원가인식과 직무만족이 재무·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C대학병원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수거된 총 194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가설검증을 위해 경로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고객만족에 대한 구성원과 고객 간의 인식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정을 수행하였다. 경로분석결과, 첫째, 전체구성원의 원가인식은 의료기관의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표본 범위의 확대에 따른 구성원들의 원가인식도의 차이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실제로 구성원간의 차이검증분석 결과 구성원의 직급에 따라 원가인식도에 차이가 있었고, 근속년수를 더미변수로 지정하고 구성원 직무만족, 고객만족을 통제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가인식도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사원들의 원가인식도가 관리자들에 비해 낮게 나타나서 원가인식도에 대한 불균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향후 의료기관의 모든 구성원들에 대한 교육세미나, 적절한 보상, 권한위임을 제공함으로써 전반적인 원가인식도를 높여갈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전체 구성원의 직무만족은 재무성과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지만 비재무성과인 고객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수의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슷한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전체 구성원의 직무만족은 프로세스 효율성이나 고객만족의 달성을 통해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구성원의 직무만족을 위한 개선노력을 통해 1차적으로 고객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실제로 재무성과까지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설정한 세 번째 가설 검증결과 고객만족 역시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체 구성원의 직무만족을 위한 의료기관의 투자가 궁극적으로 의료기관의 성과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고객만족에 대한 구성원과 고객 간의 인식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측정지표에서 고객의 서비스 품질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특히 진료대기시간과 진료비에 대한 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이나 정책이 필요하다. 하지만 연구결과에 반해 사용된 고객만족측정변수는 t-검정 결과 유의하게 차이나는 항목이 적게 나타났기 때문에 실제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고객의 관점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의료기관인증제가 전체 구성원관점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료기관인증제는 전체 구성원관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기관이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구성원 관점이 중요하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해주고 있다. 분석결과들을 종합해보면 프로세스 개선노력이 선행되어야 의료기관의 경영성과 역시 개선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는데 지속적으로 모든 구성원 측면에 대한 지원은 물론 의료기관의 고객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시스템의 변화 등 구체적인 방안 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identify effects of all employee's characteristics for business performance in C hospital. To analyze effects come from cost consciousness and satisfaction of all employee, I used 194 survey data to verify hypothesis by implementing path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path analysis, cost consciousness of all employee is not directly correlated with financial performance, the first hypothesis. This result might be occurred with difference in cost consciousness among employee. Actually, the result of t-test among employee explains cost consciousness is different as per position of employee. Furthermore, I set years of service as dummy variable, controlled satisfaction of employee and customers and implemented regression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cost consciousness correlated with financial performance. That is, managers generally recognizes cost more than employee. To alleviate difference of cost consciousness among employee, hospitals must offer educational program, proper compensation and empowerment to all employee. Secondly, employee satisfac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rate of return and sales, but employee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on customer satisfaction. This result is similar to historical references. Employee satisfaction can impact financial performance via process improvement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other words, effort to increase employee satisfaction which can improve process satisfy customer is prerequisite to increase financial performance. This possibility clearly comes out by verifying third hypothesis, customer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 on financial performance. Lastly, I compared recognition of employee with that of customers about customer satisfaction by performing t-test. the study shows that customers relatively recognized service quality lower than employee especially at waiting time and a fee for consultation. As distinct from research finding, variables used for analysis reflect customer perspective, because employee recognize service quality as similar as customers do. Additionally, I found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care Accreditation and employee perspective by implementing regression analysis. Thinking collectively, if hospitals try to upgrade their position, perspective of employee can be one of the key to make hospital competitive.

      •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의 사후관리를 위한 자율점검 개선 기법

        장유정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the size of the medical device market grows, new medical device is being developed that is combined with various fields. This medical device is increasingly required for clinical trials before they can be applied to humans. Medical device clinical trials have to be conducted at a medical device clinical testing institution designated by Minister of Food and Drug Safety. As interest in clinical trials has grown, medical device clinical trial institutions continue to see violations of laws and regulations despite the strict management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Medical Device Clinical Trial Management Standards」. Accordingly, the follow-up management system of medical device clinical trial institutions has become much more important. Due to continued COVID-19 outbreak,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witched from site-oriented post-inspection to non-face-to-face written and self-inspection, and conducted post-inspection with the 'Medical Device Clinical Trial Institution Autonomous Checklist'. In the non-face-to-face post-inspection, the number of supplements decreased by 27% compared to the face-to-face post-inspection. Since non-face-to-face post-inspection is the institution's own inspection, there are problems in the interpretation and reliability of the 'Medical Device Clinical Laboratory Autonomous Inspection Table', as well as insufficient inspection item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mproved technique for self-inspection that enables safe follow-up and reliable quality control of clinical trial institutions. Therefore, this report prepares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self-inspection of medical device clinical testing institutes by analyzing the points pointed out in the post-inspection of medical device clinical testing institutions and the items inspected by investigators during post-inspection. In addition, even i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spector doesn't conduct face-to-face post-inspection, medical device clinical testing institutions will be able to conduct their own post-inspection in consideration of compliance with the 「Medical Device Clinical Trial Management Standard」as a self-inspection improvement techniqu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to improve the medical device follow-up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clinical trials in accordance with the 「Medical Device Clinical Trial Management Standard」regulations of domestic medical device clinical testing institutions. 의료기기 시장규모가 커지면서 다양한 분야와 결합한 새로운 의료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런 의료기기는 사람에게 적용하기에 앞서 임상시험의 요구도가 증가하고 있다. 의료기기 임상시험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으로부터 지정받은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에서 실시해야 한다. 임상시험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의료기기기 임상시험기관은 「의료기기 임상시험 관리기준」에 따라 철저한 관리가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법령 위반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의 사후관리제도가 더욱 중요해졌다. 코로나19 지속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현장 중심의 사후점검에서 비대면 서면·자율점검으로 전환하여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자율점검표’로 사후점검을 실시했다. 비대면 사후점검은 대면 사후점검시 때보다 보완건수가 27%가 줄어들었다. 비대면 사후점검은 기관의 자체적인 점검이다 보니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자율점검표’의 해석과 신뢰성 부분, 점검항목의 미흡 부분에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른 임상시험기관의 안전적인 사후관리와 신뢰성 있는 품질관리를 할 수 있는 자율점검 개선 기법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사후점검 지적사항과 조사관이 사후점검 시 점검하는 사항을 분석하여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의 자율점검 개선 기법을 마련하였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관이 대면으로 사후점검을 실시하지 않아도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이 자율점검 개선 기법으로 「의료기기 임상시험 관리기준」준수여부를 고려한 자체적인 사후점검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의 「의료기기 임상시험 관리기준」규정 준수에 따른 임상시험 수준의 질적 향상을 위한 의료기기 사후관리 제도개선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患者의 醫療機關 選擇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에 관한 硏究

        이경수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목적 : 고령화 사회와 질병 구조변화에 따른 의료수요의 다양화, 의료기관의 양적 증대와 같은 구조적인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 의료산업은 의료기관 경영에 있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대학병원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외래환자들의 의료기관 선택요인 및 의료기관 이용 시 느끼는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경영효율화에 도움을 주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 및 경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지방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의 병원 선택요인이 환자들이 지각하는 주관적 인지도와 비용효과 만족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관계를 검증하고,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해 보았다. 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대상 병원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조사 기간중 내원하는 고객을 임의 추출하여 무응답과 기재사항이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한 69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신뢰성 분석과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10개의 변수에 대하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와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 분석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경로를 분석한 결과, 고객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7가지의 독립변수들 중 의사만족도, 외적인지도, 의료행정서비스 그리고 의료서비스는 매개요인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도 고객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지리적 접근성, 직원만족도 등은 환자의 내적 인지도를 통해서 고객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지리적 접근성, 물리적 환경, 직원만족도 등은 비용효과만족이라는 매개요인을 통해서 고객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매개 요인들 간 있어서도 고객충성도에 있어 비용효과만족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경우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내적인지도를 통한 간접적 영향의 경우에는 0.117(0.294×0.399)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환자의 의료기관에 대한 내적인지도(.399)와 의사만족도(.315)는 고객충성도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다른 요인에 비해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모두 포함한 총 효과가 가장 높은 요인은 의사만족도((.265×.399)+.315=.420)였다. 넷째, 환자의 병원 선택기준인 본인의 의사가 가장 중요한 병원 선택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 증명 되었다. 다섯째, 수도권 지역 병원 이용 유무와 이유에 대한 연구에서는 소득별에서만 유의한 결과가 나왔으며 수도권 지역 병원을 선호하는 이유는 최신의료시설 및 장비 그리고 전문성을 갖춘 의사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별에 따른 차이검증에서는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지리적 접근성과 행정서비스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검정에서는 30대 위주의 젊은 층에서 직원만족도와 행정서비스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월평균 소득에 따른 차이검정은 200만원 이하의 소득자들이 행정서비스와 비용효과만족도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차이검정은 사무/기술직 직종을 가진 경우가 지리적 접근성과 물리적 환경요인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병원선택 동기 차이검정에서 병원의 명성을 보고 선택하는 경우에서는 지리적 요인을 높게 평가하고, 병원지인을 보고 선택하는 경우에는 비용효과만족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부산지역 4개 대학병원을 조사하여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아울러 지역 주민들의 병원선택요인에 대한 고객지향요인을 파악하고 지역주민들의 병원별 선호도를 조사 연구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병원경영 효율화와 고객중심의 병원 마케팅 정책을 함께 수립한다면 환자들이 부산지역 병원을 선택하는 기회는 더욱 증가 할 것으로 본다.

      • 온라인 구전정보특성이 신뢰도와 의료기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용목적의도를 조절효과로

        송환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이제 온라인상에서도 의료기관에 대한 각종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환자들은 과거 입에서 입으로 전하던 병원 정보를 이제는 온라인으로 옮겨 다양한 정보를 교류한다. 환자들은 병원에 대한 자신의 병원 방문 후기, 치료 경험, 지식 및 의견을 온라인상에 리뷰나 댓글, 추천글의 형태로 적극적으로 자신에 의견을 게재하고 이를 공유한다. 온라인상의 구전은 기존 전통적 구전과 다르게 빠르며 공유를 통한 확산으로 파급효과가 강력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날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구전정보는 그 성격과 내용에 따라 최종적으로 의료기관 이용 의도와 평판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의 온라인 구전정보특성이 신뢰도와 의료기관 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온라인 구전정보가 갖는 특성들이 신뢰성과 의료기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중에서 의료기관 목적의도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4월 중순부터 5월 초순까지 약 4주 동안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에는 정보탐색 목적의도에 따라 온라인 구전 정보의 특성인 전문성, 동의성, 공감성에 대한 신뢰도가 최종적으로 의료기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또한 각기 다른 의료기관 목적의도가 변수들 간의 상관 관계에서 조절효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구전정보특성인 전문성, 동의성, 공감성은 모두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온라인 구전정보특성에 대한 신뢰도는 모두 의료기관 이용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의료기관에 대한 미용목적이 강할수록 의료기관 이용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nformation about medical institutions online is easily accessible. In the past, patients had no option but to rely on word-of-mouth when choosing a hospital, but nowadays, they can exchang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Patients actively share their experiences about their hospital visits and rate the quality of the services they receive by posting and writing comments online. The importance of electronic word-of-mouth (eWOM) is emphasized day after day because it has a tremendous ripple effect based on its power of sharing. As word-of-mouth travels quickly in this digital manner, it can directly impact the reputation and reliability of a healthcare entity depending on its content and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eWOM affects patients' intention to receive healthcare services and how it affects patients’ perceptions of the reliability of medical institutions. Among the effects of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eWOM on intention and perception of reliability towards medical institutions, this study will especially focus on the adjustment effect on patients' intent to use medical services. The survey in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a four-week period from mid-April to early May, 2020, and i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inal impact of eWOM—especially aspects of expertise, consensus, and empathy—on the general public’s intention towards using hospital services depending on persons’ original information search purposes. The study also analyzes the effects of these adjustments in correlation with variables of people's intention to use medical services. The analysis of the survey demonstrates that information about expertise, consensus, and empathy found through eWOM significantly affects the perceived reliability of medical services. Moreover, eWOM affects people's intentions to use healthcare facilities for certain purposes. However, the survey results also show that when patients' intention to use medical services is based on cosmetic appearance services, people’s intention to use those services is less affected by eWOM.

      • 의료기관의 이익조정

        황주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nalyzes medical institution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s by comparing between those which make external auditing compulsory and those which do not. This comparis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such external auditing would affect the earnings management behaviors of the hospitals. This study also analyzes both earnings management motivations and consequent behaviors of managers who run the hospitals. Presumably, the managers would adjust profits of their institution upward to make it easy to obtain loans from capital institutions, the only source from which the hospitals can raise capital. In sum, this research has a theoretical significance in analyzing empirically the earnings management behaviors of hospital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es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 reforms such as introduction of external auditing or legalization of corporate bonds issued by hospitals in order to increase their fiscal transparency. ∎Key-word : Earnings management, Hospital Accounting Standard, Audit, debt-covenant hypothesis 1997년 외환위기와 2000년 의약분업을 거치면서 우리나라의 의료계는 극심한 변혁기를 거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의료기관에 경영의 투명성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흥하여 2002년 의료법이 개정되어 2003년 「의료기관 회계기준 규칙」(보건복지부령 제257호), 「재무제표 세부 작성방법 고시」(보건복지부고시 제2003-78호) 제정으로 통일된 기준을 적용하여 재무자료를 작성하도록 하는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2006년부터 100병상 이상의 모든 종합병원이 의료기관 회계기준을 적용받게 되었으며,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를 비롯한 회계자료 및 부속명세서를 작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외부회계감사 실시 여부가 이익조정 행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외부회계감사를 의무적으로 실시하는 기관과 그렇지 않은 기관을 비교하여 이익조정 행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주식회사와 달리 주주가 없고, 사채발행이 제한되어 있는 의료기관이 자본을 조달하기 위한 수단은 유보이익과 차입금이 전부이므로 의료기관은 금융기관의 차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이익을 상향 조정할 유인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의료기관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의료기관 경영자의 이익조정 여부를 검증하고, 이익조정 동기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의료기관의 이익조정 행태를 실증 분석하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의료기관의 회계투명성 증대를 위해서는 외부회계 감사제도 도입 등의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점을 실증적 근거로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