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과대학 평가인정 기준의 타당도 연구

        양은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의학교육의 질적인 향상과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을 제고하는 의과대학 평가인정제도에 있어서 평가인정 기준의 타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 평가인정 기준의 중요도에 대한 의과대학 교수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의과대학 평가인정 기준을 설명하는 잠재적 요인 구조는 무엇인가? 셋째, 평가인정 기준에서 설정하고 있는 의학교육 투입지표와 성과지표에 따라 의과대학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넷째, 의과대학 평가인정 기준은 교육성과를 효과적으로 예측하는가? 의과대학 평가인정 기준의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41개 전국 의과대학 교수와 학생을 대상으로 1,492명을 표집 하였으며, 662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의과대학 교육현황 및 평가인정기준에 관한 의견 조사지"와 "의학교육 투입지표 및 성과지표 조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집단간 차이검정, 요인분석, 군집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평가인정 기준의 내용타당도, 요인타당도, 분류타당도 및 예측타당도를 규명하였다. 의과대학 평가인정 기준의 타당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 평가인정 기준은 모든 기준이 5점 만점 기준으로 3.59∼4.49의 범위에서 중요하게 인식되었으며, 교수직급 및 학생, 교육평가 관련 경험에 따라 평가인정 기준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의과대학 평가인정 기준은 ㈀ 교육과정 7.62%, ㈁ 시설·설비 7.20%, ㈂ 행정·재정 6.63%, ㈃ 학생 6.53%, ㈄ 교육목표 6.35%, ㈅ 교수 6.01%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인간에는 11.87%∼26.25%의 공유분산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학교육에 투입되는 자원의 양과 교육성과에 따라 분석에 포함된 32개의 의과대학은 ㈀ 선도형 2개 대학, ㈁ 투자성과형 7개 대학, ㈂ 특수성과형 3개 대학, ㈃ 평균형 6개 대학, ㈄ 성과형 10개 대학, ㈅ 성과저조형 1개 대학, ㈆ 방관형 3개 대학 등으로 분류되었다. 선도형 두 개 대학, 평균형 여섯 개 대학 및 방관형 세 개 대학에 대해서 평가인정 기준이 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사국가시험 합격률을 예측하는 변수로는 입학정원, 학생 1인당 저널 구입 종 수 및 수능성적으로 나타났으며, 학생 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수는 총 강의시간, 학생 1인당 교육시설 면적 및 수능성적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평가인정 기준의 의사국가시험 합격률 예측수준은 54.2%로 나타났으며, 교육에 대한 학생 만족도 예측수준은 84 .4%로 나타났다. 의과대학 평가인정 기준의 타당도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의과대학 평가인정 기준은 내용타당성이 있다. 모든 기준이 3.59∼4.49의 범위에서 중요하며, 교수직급 및 학생, 교육평가 관련 경험 유무에 따라 중요도를 인지하는 수준은 다르다. 따라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난 영역에 대하여 집단간 인식의 차이를 고려한 평가인정 기준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의과대학 평가인정 기준은 여섯 개의 잠재적인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요인간에는 중요도의 순서와 상관이 있다. 따라서 평가인정 기준을 개발할 때 요인의 중요도와 요인간의 상관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의학교육 투입지표와 성과지표에 따라 우리나라 의과대학은 일곱 개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 유형간에는 교육에 투입되는 자원과 성과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획일적인 평가인정 기준을 모든 의과대학에 적용하는 것은 의학교육의 질적인 수준을 향상시키고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을 확인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넷째, 의사국가시험 합격률을 예측하는 변수는 입학정원, 학생 1인당 저널 구입 종 수 및 수능성적이며, 54.2%의 설명력을 갖는다. 교육에 대한 학생 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수는 총 강의시간, 학생 1인당 교육시설 면적, 수능성적이며, 84.4%의 설명력을 갖는다. 따라서 더 많은 성과변수와 효과적인 예측변수를 포함하는 평가인정 기준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medical schools. The content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in what extent do the professors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 standards of accreditation? Second, what are the hidden factors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the current standards of accreditation? Third, how can the medical schools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put and the output indicators of the standards of accreditation? Fourth, does the standards of accreditation efficiently predict the educational outcome? In order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standards of accreditation, 1,492 students and faculty were sampled out of 41 medical schools, and the data collected from 662 students and faculty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wo types of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to gather information. One was "Assessment surve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cal education and the standards of accreditation" and the other was "Survey on the input and the output indicators in medical education". Descriptive statistics, variance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analyzing the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content validity, factor validity, classification valid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standards of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all of the accrediting standards were recognized significant in the range of 3.59∼4.49 out of 5.0.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accreditation standards among the students and the faculty according to their position. Second, the standard of accreditation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 factors; ⓐ curriculum (7.62%), ⓑ facility (7.2%), ⓒ administration and financial status (6.63%), ⓓ student (6.53%), ⓔ educational goal (6.35%), ⓕ faculty (6.01%). There is 11.87%∼26.25% of covarience among each factors. Third, depending on the amount of invested resources on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outcome, 32 medical school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ypes; ⓐ high input-high outcome type (2 schools), ⓑ average input-high outcome type (7 schools), ⓒ low input-high outcome type (3 schools), ⓓ average input-average outcome type (6 schools), ⓔ low input-average outcome type (10 schools), ⓕ average input-low outcome type (1 school), and ⓖ low input-low outcome type (3 schools).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andards of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have validity in the schools of high input-high outcome type, average input-average outcome type, and low input-low outcome type. Fourth, variables predicting the passing rate of the Korean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KMLE) were found out to be the student admission capacity, the number of journals per student, and the students' Korean SAT score. Variables predicting the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were the total lecture time, the educational facility per student, and the students' Korean SAT score. The standards of accreditation accounts for 54.2% in predicting the passing rate of the KMLE, and 84.4% in predicting the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standards of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has content validity. All of the standards are significant in the range of 3.59∼4.49, and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ach standard differ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faculty, student, and their previous experience in the evaluation of education. Therefore, a new standards of accreditation that reflects these differences among groups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standard of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is composed of six hidden factors. Each factor has different level of importance and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each factors. Therefore, each factor's level of import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 new standards of accreditation. Third, Korean medical schools can be classified into seven typ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vested resources and the educational outcome. Therefore, applying uniform standards to all different types of schools is not effective in enhancing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and in insuring that the medical schools to carry out their social accountability. Finally, variables predicting the passing rate of the KMLE are the student admission capacity, the number of journals per student, and the students' SAT score which the factors account for 54.2%. Variables predict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on education are the total lecture time, the area of educational facility per student, the students' Korean SAT scores, and these accounts for 84.4%. Such findings leads to conclude that new standards of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comprehensively including more predicting variables and outcome variables needs to be developed.

      •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이진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앞으로 의료인이 되어 다음 세대의 뇌사자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과 관련된 건강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뇌사자 장기기증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41개 의과대학 소속 학생들 중 임상실습과정을 모두 마친 본과 4학년 학생 723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특성을 묻는 11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묻는 16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묻는 16문항을 포함한 총 43문항으로 구성하여 우편으로 배포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10월 4일부터 11월 7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F-test)로 분석하였고, 관련요인분석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를 실시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1)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점수는 16점 만점에 평균 8.11±2.4점으로 58%의 정답률을 보였다. 대상자의 80%이상이 정답을 맞힌 문항은 1개로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 대기자에 대한 모든 정보는 국가(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서 통합 관리한다(81%)’이었으며 정답률이 20%이하로 낮은 문항은 ‘뇌사 장기기증자의 장례비는 장기이식자가 부담한다(19%)’와 ‘잠재뇌사자를 진단한 담당의사는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신고하여야 한다(11%)’이었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범주별로 구분했을 경우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학적 지식은 3점 만점에 1.5±0.79점, 법률적 지식은 9점 만점에 5.0±1.79점,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은 4점 만점에 1.7±0.89점 이었다.2)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40±0.49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내가 만약 장기를 기증한다면 타인에게 선을 행한 것이다(91%)’와 ‘나는 뇌사자의 장기기증 및 이식이 의학적으로 바람직한 수술이라고 생각한다(86%)’ 문항에 대해 80%이상 긍정적으로 생각하였고, ‘사람의 죽음을 사람이 판단하는 것은 실수의 여지가 있다(73%)’, ‘환자의 가족이 기증요청을 받는다면 의료진에게 적대적인 감정을 표현할 것이다(53%)’순으로 50%이상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정도는 성별,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뇌사자 장기기증 관련 특성에 따른 지식 정도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 장기기증 희망카드 소지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태도에 있어서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 대상자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지식에 대한 요인으로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 특성과 뇌사관련 정보 획득 경로 특성(전문적 경로)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태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 특성과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범주별 지식 특성 중 의학적 지식과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5)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태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반면(r=0.055, p=0.142), 범주별 지식에 있어서 의학적 지식(r=0.135, p=0.001)과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r=-0.075, p=0.043)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결론적으로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대체로 낮은 비율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정확한 지식전달을 위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학과특성을 고려하여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의 경로를 전문적 경로인 의대교육과정에 관련교육내용 보충, 실습 프로그램 마련 등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 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래의 의료인인 의과대학생들이 뇌사자 장기기증의 필요성과 과정, 역할을 이해하고 개인적인 신념을 확고히 하며 나아가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장기기증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medical students towards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ho will be in charge of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s health specialists in the future. It wa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y to activat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In the study, the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723 medical students who have finished clinical practice courses in 41 medical schools in Korea.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43 questions including 11 questions of general features, 16 questions of the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and 16 questions of the attitude to the organ don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4th of October in 2007 to the 7th of November in 2007.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ANOVA(F-test) by SAS program, for relating factor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or correlation by Pearson Correlation.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 score of the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on the average 8.11±2.4 of 16, that is, 58%. The item that over 80% of respondents chose the right answer was the only one question, that is, ‘The government(KONOS;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should manage organ donation and all the information of recipients for transplantation(81%)’, and the items below 20% were that ‘Recipients should pay all the money for donor's funeral service(19%)’ and ‘The doctor diagnosed potential brain death should report to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11%)’. When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subjects'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e results showed 1.5±0.79 of 3 in medical knowledge, 5.±1.79 of 9 in legal knowledge and 1.7±0.89 of 4 in decision processing of brain death.2) In the analysis of attitude of medical students to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e average score was 3.40±0.49 of 5, which seemed they were relatively optimistic. Over 80% 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in two questions, those are, ‘If I donated organs, I would do good to other people(91%)’ and ‘I agree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and transplantation are desirable medical treatments(86%)’, In contrary, it showed that over 50% had a pessimistic attitude to two questions, which are, ‘There might be a mistake to make a determination of person's death by human beings(73%)’ and ‘If family were requested organ donation, they would express their hostility to the medical staff(53%)’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in gender and the location of university hospital. Another difference was caused by the ways to gain the information of it, and whether one accepts to organ donation or have the donor card or not. In the case of attitude,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ways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organ donation and whether one accepts organ donation.4) In the analysis of the knowledge of general features, the important factors were confirmed statistically by the location of university hospital and the way to get the information for organ donation. And in the attitude, the medical knowledge and the progress of brain death were more meaningful among other factors statistically.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respon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not valuable statistically(r=0.055, p=0.142), on the other hand, in the medical knowledge(r=0.135, p=0.001) and the knowledge about progress of brain death(r=-0.075, p=0.043), were valuable statistically.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pretty low. That is why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were needed for improving their knowledge. For the strategy, they should be added to the medical college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e program about organ donation. In addition, medical students w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progress and the role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rough this program. Eventually, they would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the organ donation and contribute to expand it.

      • 의과대학 음악교양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 신향의과대학을 중심으로

        펑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대학교육은 사회 발전에 적응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화된 사회 발전과 지식 사회의 도래, 그리고 뉴미디어 전파 시대의 배경에서 대학교육은 다양하게 발전할 것이다. 전문교육은 상대적으로 안정하게 발전한 상황에서 교양교육은 대학교육의 주목점이 될 것이다. 대학 음악교양 과정은 창의적이고 종합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과정은 새로운 시대를 맞아 어떻게 개선 및 추진하는지를 핵심적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는 인터넷 뉴미디어 교육 플랫폼에서 개설한 예일대학교의 《음악감상》, 미주리주립대학교의 《세계음악개론》, 닝보대학교의 《음악과 건강》세 과정을 사례로 연구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여 교육의 배경 특징, 교수방법, 평가방식 등 측면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해당 과정의 수업 패턴 특성을 밝혔다. 또한 이 과정들의 수업 모델을 의과대학 음악교양교육 실험적으로 적용하도록 하고, 실험 과정의 효과를 분석 및 평가하였다. 나아가 과목 운영 평가결과를 결합하여 의과대학 음악교양과정을 설치함에 학과 계열별의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의과대학 음악교양과정의 발전 핵심점을 짚어보고, 또한 미래 음악교양교육의 연구를 대학 교양과정 연구에 확대 발전 및 제시하였다. 이상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교수 활동의 조직과 실행에 있어 교사의 종합적인 역량을 향상시켜야 하며 뉴미디어 교육 패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과정 구축과 학과 발전에 있어 타인의 교육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을 피하여야 하며, 객관적 조건과 배경을 결합함으로 특색 있는 음악교양교육 과정 내용 체계를 구축하고 음악이 다른 학과의 교차점을 발굴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양 교육은 과정의 실용적 가치를 실현함과 학생들의 인생체험을 풍부하게 하는 것이 관건이다. 따라서 교수이념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보완하여야 한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의과대학 음악교육자 및 연구자에게 실질적인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의과대학 음악교양교육의 발전을 위한 효과적이고 건설적인 제안을 제공하였고, 또한 대학 음악교육의 이론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확장하고자 하는 데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university education is to cultivate talents who adapt to social development. With the development of a diversified society and the advent of a knowledge society, university education will inevitably develop in a diversified direction. With the relative stability of professional education, general edu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focus of university education. The university music general education course is a general education course for cultivating innovative and comprehensive talents.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 education under the influence of new media education platform and technology is the focus of this article. This article takes three different types of general music courses in the online new media education platform, <Listening to Music> from Yale University, <Introduction to World Music> from Missouri State University, and <Music and Health> from Ningbo University as exampl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research, comprehensive analysis of curriculum background characteristics, curriculum teaching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Through cours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mode of these courses are obtained, and then the teaching mode of these courses is applied to the practice of university music general courses, and the experimental teaching is evaluated and analyzed. Combining the results of the teaching experiment evaluation, I put forward my application design plan for the general music courses in medical universities. In this way, we can discuss the key points of the current university music general curriculum education development, and promote and realize the expansion of music education research in the university general curriculum research in the era of new media. Through research, this article will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mprehensive ability of teachers and the use of new media education models. Second, in terms of curriculum construction and subject development, the teaching model cannot be copied. It should be combined with objective conditions and background to build a characteristic music education curriculum content system and explore music interdisciplinary points. Third, the key point of music education is to realize the practical value of curriculum educ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enriching students' life experience, so the educational concept must be continuously explored and improved. Through the research of this paper, I hope to provide some practical reference for university music educators and researchers, and provide effective and constructiv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music general courses, and continue to enrich and expand university music general education The theoretical results.

      • 의과대학에서의 기초과학교과별 학업 스트레스 유발 요인 분석

        방관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기초과학교과별로 학생들이 받는 학업 스트레스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유발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의과대학 1개교의 의과대학생들 중 기초과학교과를 이수한 학생들을 선별하였고, 의예과 1·2학년, 의학과1·2학년 20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의과대학생들의 전체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스트레스 척도를 수정 및 재구성하였고, 기초과학교과별로 학업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제작하기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하여 예비 문항들을 만든 후 해당 학교 의과대학의 학생회와의 의견 나눔을 통하여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관련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최종적으로 문항을 결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기초통계, T검정, 카이제곱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의 통계기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과대학생들의 전체 학업 스트레스는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기초과학교과별 스트레스 또한 높게 나타났다. 기초과학교과 중 세포생물학, 생물정보학, 분자생물학, 유기화학의 학업 스트레스가 상위50%에 해당하였다. 학업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들로는 본과 과목과의 연계성 부족, 과도한 학습량, 너무 쉽거나 어려운 난이도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의과대학생들이 기초과학교과에서 받는 학업 스트레스의 유발 요인들은 과목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업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 교수자는 교수학습지도안의 수정을 통하여 난이도의 조절과 본과과목과의 연계, 학습동기 부여, 적절한 학습량 조절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의과대학에서는 입학선발과정에서의 재검토와 고등학교 기초과학교과를 미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관련 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다양한 학업 스트레스 감소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academic stress that students receive in each basic science subject in the curriculum of the Medical School and to analyze the factors causing it. To this end, students who had completed basic scienc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at one medical school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04 students including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in pre-medical courses and first and second year in medical course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 overall stress of medical students, the stress scale developed for medical students was modified and reconstructed. In addition, in order to produce a scale to measure factors that can cause academic stress by basic science subjects, after making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sharing opinions with the student council of the medical school of the relevant school, and finally the questions were decided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exper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version 25.0 and by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called basic statistics, T-test, Chi-squared 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overall academic stress of medical students was relatively high, and the stress was also high by basic science subjects. Among the basic science subjects, the top 50% of academic stresses were in cell biology, bioinformatics, molecular biology, and organic chemistry. Factors that caused academic stress included ‘lack of connectivity with the medical courses subjects’, ‘excessive learning volume’, and ‘Level that was too easy or diffic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 causes of academic stress that medical students receive in the basic science subject vary from subject to subject. In order to reduce the academic stress, the professor needs to consider the adjustment of the difficulty level, the connectivity with the medical courses subjects, the motivation of learning, and the appropriate amount of learning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It is also expected that medical schools need to have a variety of strategies to reduce academic stress, including reviewing the selection process for admission and developing relevant curriculum for students who have not completed the high school basic science subject.

      • 의과대학생의 진로문제 인식 및 진로상담 프로그램 요구도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옥민수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의과대학생이 취할 수 있는 다양한 진로 중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개인의 자아실현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보건의료체계에서 효율적인 인적자원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의과대학 교육은 적절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고, 의과대학생의 진로선택의 능력을 길러주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다. 이번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의과대학생들이 진로 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고, 필요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내용 및 방식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총 23명의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5번의 초점집단토의(focus group discussions)를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 검토, 연구팀의 논의 등을 통하여 개발한 반구조화된 가이드라인(semi-structured guideline)에 따라 초점집단토의를 진행하였다. 가이드라인은 크게 아이스 브레이킹, 도입/공통 질문, 진로상담 프로그램 필요성 인식,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생각, 기타 토론으로 구분되었다. 녹음한 토의 과정을 필사하여 이를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study)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연구 결과를 크게 의과대학 입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진로선택에 대한 고민, 기존 진로상담의 현실,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구성, 진로상담 프로그램 진행 방법으로 정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의과대학생들은 의과대학 입학을 결정할 때 주체적으로 선택하기보다 부모님 및 성적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향후 진로선택에 있어서는 진로의 안정성 및 실현가능성, 예상되는 삶의 질 등을 고려하고 있었지만, 자신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진로정보가 부족하고, 지도교수님과의 만남은 진로상담을 위해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고 있었다. 대부분의 의과대학생들은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서 기대를 하고 있었지만, 자발적인 형태로 프로그램이 진행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또 의과대학생들은 진로상담 프로그램에서 전공의 과정 선택을 위한 과 정보, 병원 정보, 수련 뒤 정보 등 다양하고 구체적이며 객관적인 장보를 원하였다. 주체적이기보다는 타의나 상황에 따라 의과대학 진행을 결정하였던 대부분의 의과대학생들은 진로 문제에 있어서도 준비가 미흡한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의과대학생들이 주체적인 진로 결정을 위하여 의과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의과대학 대학원생 메타 리터러시 구성요소, 영향요인 및 향상전략에 관한 연구 : -중국 허베이성 의과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주영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 초록 본문은 기존의 메타 리터러시 연구성과를 분석 총정리하여 메타 리터러시 발전의 맥락과 의미를 명확히 밝히고, 실제 상황을 결합하여 의과대학 대학원생 메타 리터러시 구성요소와 영향요인을 연구하고, 둘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며, 이를 바탕으로 의과대학 대학원생 메타 리터러시 교육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분석을 기초로 세계의학교육연맹과 도서관협회의 표준을 준거로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 메타 리터러시 구성요소와 영향요인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조사연구와 통계 분석을 통하여 조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구성요소와 영향요인의 관계를 밝히고 향상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 함축적 의미는 미디어 기술 사용, 비판적 평가 및 분석, 정보공유의 포괄적인 능력, 의학 정보의 구체적인 관리 및 비판적 사고 및 연구의 특성이 있다. 둘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는 메타인지 전략, 정보 리터러시 및 의학 리터러시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음을 탐구하였다. 셋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보화환경, 커리큘럼설정, 실습수업 및 지도교사로 집결되었다. 넷째, 경로 분석을 통해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영향요인이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다섯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와 영향요인의 관계, 그리고 미치는 영향에 의하여 메타 리터러시 교육환경의 현대화, 과정 구축의 과학화, 수업 방법 및 방법의 디지털화를 개선하기 위한 향상전략을 제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아래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구성요소는 의학 윤리, 학습 과정 모니터링 능력, 의학지식, 정보 윤리, 정보 기술, 건강 관여 및 관리, 의학 기술, 정보 의식, 학습 계획 및 실행 능력으로 탐구되어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향상에 관한 연구의 기초로 될 수 있으며 교육현실에서의 향상에도 직접적인 지도가 될 수 있다. 둘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영향요인은 의학윤리 정보 윤리, 의학지식, 학습 과정 모니터링 능력, 의학 기술, 건강 관여 및 관리, 정보 기술, 학습 계획 및 실행 능력, 정보 의식으로 정의되어 의과대학 대학원생들의 메타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외부 환경구축에 지도적 의미가 있다. 셋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와 영향요인들의 하위요인 간의 경로분석과 관계분석을 통하여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정도를 밝힘으로써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양성전략에 지도적 의미가 있다.

      •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 연구

        장익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Failure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s and the Process of their Adaption Jang, Ik Dept. of Theolog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medical students, specifically in the adaptation processes of students having experienced failure, and to present directions to care.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12 students that have experienced failure at least once as a registered student and attending school at the time. 8 of those students have experienced failure more than once, while 4 students, only once. Duration of study was from January of 2012 to January of 2013, in which 3 individualized deep-interviews were conducted. Collected data were open coded on basis of Grounded Theory (Strauss & Corbin, 1990), resulting in 160 codes, 34 concepts and 9 categories. Categories were further analyzed by axial coding to establish common demonstration of ‘acquisition of academic adaptation,’ ‘return to anxiety ridden life,’ and ‘acceptance to continued failure’ within aforementioned students. Furthermore, four stages of adaptation was established, the first being ‘acknowledgement of collapse due failure,’ second, ‘adjustment efforts in overcoming failure,’ third, ‘reinforcement of overcoming failure,’ and fourth, ‘finalization to adaptation.’ Thus, core category was established as ‘overcoming failure and processing adaptation’ with subcategories of ‘resistance to continued failure,’ ‘anxiety,’ and ‘self-discipline,’ leading to four types of adaptation: ‘driven,’ ‘conceited,’ ‘effortful,’ and ‘anxious.’ The ‘driven’ types were optimistic of their failure and were confident they will overcome the difficulties, maintaining their self-discipline actively. The ‘conceited’ types were less sensitive in understanding anxiety and their situation, while being resistant and overly confident in continued failure but were poor in self-discipline. The ‘effortful’ were more stable and highly resistant to continued failure while showing less confidence, but active in self-discipline, resulting in high academic adaptation . The ‘anxious’ type wee highly resistant to continued failure but were highly sensitive their surroundings, while being poor in self-discipline, resulting in low academic adaptation, demanding much help. The liberation model by Watkins Ali was used to spotlight the hidden mentality of ‘first-place-or-nothing’ and ‘disconnection from society’ present in medical students, while presenting a pastoral counseling model that involves ‘nurturing,’ ‘empowering,’ ‘liberating,’ and ‘reconciling,’ for ‘voluntary resources’ and ‘restoration of relationship.’ This research expands from previous studies of finding fault in individuals to encompassing the actual voices of medical students, presenting experience-driven theories to help understand overcoming processes. It also presents a systematic rehabilitation model as well as academic notes for failure-experienced medical students to become a new subject to their academic society. 국 문 요 약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과 적응유형을 확인하여 이들을 위한 체계적 돌봄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의과대학생 중 유급을 1회 이상 경험한 총 12명의 학생으로 2회 이상 유급을 경험한 학생은 8명이며, 유급을 1회 경험한 학생은 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2년 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개별적 심층 인터뷰를 근거이론방법론에 따라 자료를 개방 코딩하여 160개의 개념과 34개의 하의범주, 9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범주들 간에 연관성을 정렬하는 축코딩을 통해 ‘학업 적응감 획득’, ‘불안한 일상으로의 회기’, ‘재유급에 대한 수용’이라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은 총 4단계로 구성되어 첫째, ‘유급경험 붕괴 인식단계’, 둘째, ‘유급극복 조정시도단계’, 셋째, ‘유급극복 강화단계’, 넷째, ‘유급극복 적응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중심적 주제를 응축하고 핵심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핵심범주로 ‘유급을 극복하고 적응하기’로 설명할 수 있으며 속성은 ‘재유급에 대한 저항’, ‘불안감’, ‘자기관리’이었다. 핵심범주와 각 범주간의 가설적 관계유형을 통해 유급을 극복하고 적응하기의 4가지 유형으로 ‘주도형’, ‘자만형’ ,‘노력형’, ‘불안형’으로 구분하였다.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4가지 유형 중 첫째 ‘주도형’은 자신의 유급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유급과 관련한 어려움들을 극복할 자신감과 확신을 통해 자기관리가 매우 적극적인 유형이었다. 둘째, ‘자만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불안감과 주변 환경에 대한 평가의 민감성도 매우 낮고 재유급에 대한 저항과 자신감이 있으나, 자기 관리가 취약한 유형이었다. 셋째, ‘노력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안정적이며 재유급에 대한 강한 저항을 보이고 자신감은 다소 약한 편일 수 있으나 적극적인 자기 관리로 학업 적응감 획득이 높은 유형이었다. 넷째, ‘불안형’은 재유급에 대한 저항이 매우 강하지만 타인에 대한 민감성이 매우 강하고, 자기관리 부족으로 학업 적응감 획득이 낮아 불안감을 느껴 실제적인 유급극복을 위한 도움이 필요한 유형으로 나타났다. Watkins Ali의 신학방법론을 통해 유급의 경험 속에 숨겨 있는 ‘일등주의에서의 실패’와 ‘관계의 단절’ 이라는 문화적 정황을 해석 할 수 있었고, 유급을 극복하고 적응하는 개인의 ‘자발적 자원’과 공동체로서의 ‘관계성 회복’의 통괄적 관점을 이루기 위한 목회상담 돌봄 모델로 ‘양육(nurturing)’, ‘힘 실어주기(empowering)’, ‘해방(liberating)’, ‘화해(reconciling)’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유급의 문제를 한 개인의 문제로 인식하던 기존의 연구를 넘어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실제적인 이야기를 담아냈고, 이를 통해 유급을 극복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경험적 이론을 마련하였다. 또한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이 유급을 극복하고 공동체의 새로운 구성원으로 회복하기 위한 체계적인 모델과 학문적인 자료를 제시한 연구라 할 수 있다.

      •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생의 재난의학 교육 실태

        박종영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근래에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재난이 자주 일어나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재난이 발생한 경우 가장 근거리에서 근무하는 병원의 의사 또는 공중보건의가 재난 현장에 투입되어 사상자를 돌봐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심각한 재난의 경우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생도 재난 현장에서 사상자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할 수도 있다. 아직 의과대학 학생대상 재난교육 현황에 대해 조사된 바가 없기에, 이와 더불어 각 학교 응급의학과 교수들이 생각하는 재난교육의 적절성 여부 및 재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40개 의과대학의 학생 교육 담당 또는 재난담당 응급의학과 실무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 연구를 시행하였다. 설문은 이메일을 통한 서면 설문 또는 온라인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각 학교별 재난교육 현황과 재난 교육의 적절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였다. 총 37개(92.5%) 대학의 실무 교수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그 중 정규과정 중에 재난교육이 있는 학교는 27개(73.0%)였다. 재난대비 훈련은 34개(94.4%) 학교의 교육병원에서 시행되었고 학생이 정식으로 훈련에 참가하는 학교는 10개(30.3%)였다. 설문에 참여한 교수 중 31명(83.8%)은 재난의학이 임상의사에게 필요한 과정이라고 응답했다. 37명(100%)의 교수가 의대생/의학전문대학원생에게 재난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그 중 20명(55.6%)은 소속 의과대학이 재난의학에 대해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했다. 응급의학과 교육실무 교수들은 의과대학 내 재난교육이 필요하지만 현재는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며 아직 많은 학교에서 재난의학의 정규교육, 학생이 참여하는 재난 훈련이 없다. 의사 및 의과대학생의 재난 대처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의과대학 내 재난 의학 교육을 내실있게 시행할 필요가 있다.

      • 醫科大學生들과 一般大學生들의 스트레스 程度 및 健康習慣 比較

        都在洙 경북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의과대학생들간과 일반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정도 및 건강습관을 비교하기 위하여 대구시내 재학중인 의과대학생 341명과 일반대학생 551명을 대상으로 1992년 3월 10일부터 1992년 3월 30일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스트레스정도의 비교에서는 좌절, 탈핍성, 그리고 자기지각 항목에서 일반대 학생들이 의과대학생들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특히 남학생보다 여학생들이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고민문제는 의과대학 남학생들의 경우 39.3%가 학교시험 및 성적이 가장 중요한 고민문제라고 대답하였고, 일반대학 남학생들도 22.5%가 학교시험및 성적이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하였다. 그러나 두번째 많은 문제로 의과대학 남학생의 5.2%, 일반대학 남학생의 21.4%가 장래진로라고 대답하여 두 군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들에서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건강습관은 흡연율이 일반대학 남학생들에서 75.0%로 의과대학 남학생의57.7%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외에도 수면습관과 아침식사 습관도 의과대학 남학생들이 일반대학 남학생들보다 유의하게 좋았다(P<0.05). 그러나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비율은 일반대학 남학생들이 58.0%로 의과대학 남학생의 33.7%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의과대학 여학생의 아침식사를 매일하는 비율이 67.6%로 일반대학 여학생의 48.0%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15일간의 상병율은 일반대학생들이 69.1%로 의과대학생들의 57.8%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15일간 유병율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스트레스 항목들은 의과대학생들에서는 행동유형의 스트레스가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P<0.05), 일반대학생에서는 불안반응의 스트레스 항목이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P<0.01). 의과대학생들간의 성별 스트레스 정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학년별 스트레스 정도 비교에서는 2학년이 3학년에 비해 자기지각 항목(P<0.05)과 불안반응 항목(P<0.01)에서 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의과대학생들이 일반대학생들보다 스트레스를 덜 받고 있으며 건강습관도 더 좋으며 15일간 유병율도 낮았다. To compare the degree of stress and health habits between medical students and non-medical students, We recruited 341 medical students and 551 non-medical students in Taegu city during the period 10, March, 1992 - 30, March, 1992. The non-medical students had much experienced stress than medical students did, for frustration, isolation, self-assessment items on stress(P<0.05). Especially, femele students reported more stressful than male students did. Of male medical students, 39.3% reported that examination and score w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22.5% of non-medical students also reported that examination and score was 21.4% of non-medical students reported job problem w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whole only 5.2% of medical students reported. The proportion of smoking in non-medical male students (75.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57.7%) in medical male students(P<0.05). The habits of sleeping and breakfast in medical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in non-medical. Meanwhile, non-medical male students(58.0%) did regular exercise more frequently than medical male students(33.7%)(P<0.05). The habits of breakfast in medical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in non-medical female students(P<0.05). Fifteen day prevalence in non-medical students(69.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57.8%) in medical students. Stress item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ifty-day prevalence were A-type behavior in medical students (P<0.05) and anxiety reaction in non-medical students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s of stress by sex, whereas, the second grade of medical students had much experienced stress than third grade in terms of self-assessment (P<0.05) and anxiety reaction (P<0.01). In summary, the medical students had much experienced stress, had better health habits and lower 15-day prevalence than non-medical students.

      •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영향요인 규명과 측정지표 개발 연구

        이상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이 자율적으로 사회적 책무성 역량을 촉진시키는데 있다. 아울러,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을 의과대학 평가인증까지 개념을 확장시켜 사회적 책무성에 입각한 평가인증 패러다임을 전환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영향요인을 규명한다. 둘째,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유형을 범주화하고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사회적 책무성 수행 영향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과 의과대학의 현황을 분석한다. 넷째,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측정을 위한 지표를 개발한다.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국내 의과대학의 현직 학장 40명과 의학교육 전문가 집단 15명을 대상으로 총 55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또한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유형 범주화와 중요도 인식과 대학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 40개 의과대학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영향요인 중요도와 현황에 관한 의견 조사지’이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집단 간 차이검정, 탐색적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 군집분석, 중요도-현황 분석(IPA)을 실시하였다.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측정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4명의 전문가 포커스 그룹과 15명의 의학교육 관련 전문가 집단 의견을 수렴하였다. 포커스 그룹과 델파이 그룹은 각각 3차례씩 의견 수렴이 진행되었다.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영향요인 규명과 측정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3영역의 8요인이다. 하드웨어 영역은 사회적 책무성 선언과 인력배출, 수행 조직과 체계, 물리·재정적 환경 요인이 포함된다. 소프트웨어 영역은 책무성 교육과정 편성과 모니터링과 평가 요인이다. 마지막으로 파트너영역은 파트너간 근접성, 파트너십 구축, 파트너와의 상호작용 요인이 포함된다. 이 중 파트너와의 상호작용은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을 수행하는데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아울러, 학장집단과 전문가집단의 차이는 전체적인 요인에서 학장 집단이 높았으며, 그 중 학장 집단은 사회적 책무성 선언과 인력 배출, 책무성 교육과정 편성, 수행 조직과 체계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현황을 분석한 결과 크게 선도형 대학, 성장형 대학, 잠재형 대학으로 구분된다. 선도형 대학은 40개 대학 중 5개 대학이 선정되었으며, 8개 요인을 균형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한국적 맥락에 따른 설립유형, 소재지, 설립연도별로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중요도와 현재수준을 분석한 결과, 국립이 사립보다 현재 수준이 높았으며, 그 외에 소재지와 설립연도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과 관련한 「ASK2019」기준을 선정한 결과, 92개 기본 기준 중 사회적 그리드 모형으로 포커스 그룹을 통해 61개 기준이 선정되었고, 전문가 집단의 의견수렴에서는 41개 기준이 선정되었다. 사회적 그리드 모형으로 분류한 결과 「ASK2019」기준은 교육과 질 영역, 내용을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다. 연구와 질, 비용효과성과 형평성에 대한 기준 개발 및 조정이 필요하다. 넷째,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을 반영한 「ASK2019」기본 기준 중 41개 기준을 대상으로 측정지표를 정량적 지표와 정성적 지표로 나뉘어 총 252개 지표를 개발하였다. 그 중 측정지표의 적합성과 측정용이성에 대한 추가 의견을 수렴하여 각 영역에서 3.5점 이상의 지표를 대상으로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을 반영한 「ASK2019」기본기준의 평가 매트릭스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논의는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강화를 위해 파트너십 구축과 상호작용이 중요하므로 대학 간, 국가 및 지역 간의 공동 컨소시엄 개발을 제언하였다. 또한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과 관련한 기준과 지표를 현 평가인증 제도에서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반영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의과대학이 처한 맥락과 상황, 주체에 따라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정도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개별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메커니즘 구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ncrease medical schools’ autonomous capabilities to foster social accountability by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by medical schools and by developing social accountability indicators for accreditation of medical schools. In addition, the study intends to broaden the concept of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to include social accountability and to change the accreditation paradigm to become rooted in social accountability. Specifically, this study intends to carry out the following research. First,we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medical schools’ social accountability. Second, we categorize and characterize the types of social accountability implemented by medical schools. Third, we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factors affecting social accountability implement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in medical schools. Fourth, we develop the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by medical school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by medical schools, a total of 55 responses, comprised of 40 responses from current deans of medical schools and 15 from medical education experts in the Republic of Korea,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In addition, the opinions of 40 medical schools in Korea were collected to categorize the types of social responsibility fulfillment and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its importance and the current situation in medical schools. We developed the survey used in this study. It was titled “Opinion Survey on the Importance and Status of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by Medical Schools.”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calcul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IPA). To develop the measurement indicators of medical schools’ social accountability, the opinions of the focus group comprised of four experts and the opinions of 15 medical education experts were collected. The following survey items were used: experts' opinions on the selection of [ASK2019] standards regarding medical schools’ social accountability, experts' opinions on the selection of [ASK2019] standards based on the social accountability grid, and experts' opinions on the suitability and ease of measurement of indicators based on [ASK2019] of medical schools’ social accountability. The results of ou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HSP model, eight factors in three areas influenced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by medical schools. The hardware (H) area included the announcement of social accountability and personnel discharge, implementation system and organization, and the physical and financial factors. The software (S) area included the social accountability curriculum composition, monitoring, and evaluation factors. Finally, the partner (P) area included the proximity between partners, partnership building, and interaction with partners factors. Among them, interaction with partners was the biggest factor in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by medical schools.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ans’ group and the experts’ group demonstrated that the deans’ group scored high across all factors. Among the factors, the deans’ group recognized the social accountability announcement, personnel discharge, social accountability curriculum organization, and performance organization and system factors as important. Second, the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by medical schools classified them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ir posi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spectrum: leading, growing, and medical schools with potential to grow. Five out of 40 medical schools were selected as leading based on the eight factors implemented in bal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medical schools’ social accountability by type, location, and the year of establish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level of state school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ivate school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location and year of establishment. Third, as a result of selecting the [ASK2019] standards related to medical schools’ social accountability, a total of 92 criteria were selected. These included 61 criteria that were selected through focus group discussions for the social grid model, and 41 criteria that were selected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expert group.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in the social accountability grid model,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KIMEE) standards were similar to foreign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tandards(WFME, LCME, AMC)and focused on educational relevance, but the [ASK2019] indicated that in the area of education and quality, education was more important. In addition, the area of research and service and the standards of cost effectiveness and equity needed to be investigated further. Fourth, a total of 252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ators were developed for 41 of the basic [ASK2019] criteria that reflected medical schools’ social accountability. Among them, the evaluation matrix for the [ASK2019] basic criteria was developed to reflect medical schools’ social accountability for the indicators of 3.5 points or higher by collecting additional opinions on the suitability and ease of measurement.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a joint consortium between medical schools, communities, countries, and regions, because building partnerships and interactions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by medical schools. Also, the study proposed to actively consider and reflect the criteria and indicators of medical schools’ social accountability in the current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Finally, the degrees of social accountability implementation by medical schools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text, situation, and specialization of medical schools.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establish social accountability implementation mechanisms for individual medical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