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音樂敎育現場의 LAB system 活用 實態 및 效果的 運用方法

        김종민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논문은 어학실습실(language lab)의 수준에서 벗어나 더욱 발전된 음악교육용 Lab System을 개발하고, 기존의 쓰이고 있던 음악교육용 Lab System의 명칭을 새롭게 정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컴퓨터 음악과 전자음악에 대한 인식과 활용에 대한 설문은 대구·경북권 중등학교와 사설음악학원 중심으로 조사하며 기존 음악교육용 프로그램과 Lab System의 부족한 점을 보완한 새로이 고안된 CAMEL(Computer Assisted Music Education)의 연구이며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1) 기존의 음악교육용 Lab System을 새로운 이름인 MELAB(Music Education Laboratory)으로 제안한다. 2)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새로운 음악교육용 하드웨어는 CAMEL(Computer Assisted Music Education)로 이름하였다. 3) 현재 운용되고 있는 MELAB과 이에 관련된 음악교육 프로그램('Veloce', 'Cantabile', 'Amadeus' 등)을 살펴 보고 문제점을 지적한다. 4) 음악교육현장에서의 전자음악과 컴퓨터음악의 인식도와 MELAB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제시하여 이에 대한 대안과 문제점을 점검한다. 5) CAMEL의 構成時에 적절한 전자악기와 미디(MIDI)기기들에 대한 분석과 교육용으로 사용되는 전자악기 특징과 장점을 설명한다. 6) CAMEL을 구성할 때 해결되어야 할 기술적 문제점을 지적한다. 위와 같이 연구한 결과로 볼 때 기존의 MELAB은 고가의 설치비에 비해 그 성능이 만족할 수준에 이르지 못하였고 운영법 체계의 단순함으로 인해 교육현장에서의 보급이 잘 안된 것이 현실이다. 본론에서 설문조사 한 내용을 검토해 보았을 때 현재 중등학교의 열악한 재정과 대학입시과목이 아닌 음악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무관심과 관련 지식의 不在등이 겹쳐 단 한군데의 설치된 학교도 발견하지 못하였고 전체적인 선생님들의 요구가 제대로 반영이 되지 않는 분위기 속에서 MELAB은 중등학교 현장에서는 더욱 자리 잡기가 힘들 것이다. 본 논문에서 처음 제시한 CAMEL은 기존의 MELAB보다 저렴하지만 성능은 MELAB보다 월등히 좋은 시스템을 위해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아직 CAMEL은 상용화 된 것도 아니고 모델이 완성되어 있는것도 아니다. 그렇지만 이론적·구조적으로 볼 때 상용화가 충분한 시스템이며 CAMEL의 전용 프로그램만 개발된다면 음악교육 방법에 있어서 큰 발전이 되리라 믿는다. 음악교육도 이제는 정보화시대, 첨단화되어 가는 시대의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라도 학교 교육에 있어서 전자음악이나 컴퓨터 음악이 반드시 활용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우리 나라의 전자악기 생산기술과 성능은 이미 세계적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전자음악의 활용도가 일부 분야에만 제한되어 있어 이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는 것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며 CAMEL은 미완의 시스템이지만 앞으로 더 보완하여 음악교육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인 운용 및 활용에 조금이나마 도탬이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try to develop more advanced music educational Lab System than current ordinary Language Lab, and newly define the terminology of currently using music educational Lab System.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about computer music and electronic music are surveyed at middle schools and private music institutes in Taegu, KyungPook area. Moreover,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about CAMEL (Computer Assisted Music Education) that complements some deficiency of current music educational programs and Lab System. My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Suggest that the current music educational Lab System is termed MELAB(Music Education Laboratory) which is a new name. 2) Term a new music educational hardware in my thesis CAMEL (Computer Assisted Music Education). 3) Examine current MELAB and related music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Veloce', 'Cantabile' and 'Amadeus', etc. and point out their problems. 4) Show the result of the survey of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bout computer music, electronic music, and application about MELAB at real music education places, and indicate their problems and possible alternatives. 5) Explain the analysis of the prope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and MIDI equipment when CAMEL is constructed and features and merits of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which has a purpose of music education. 6) Point out expected technical problems that should be solved when CAMEL is constructed. As a result of my study above, the current MELAB's efficiency is not enough to cover its expensive install cost, and MELAB has low distribution rate to music education places because it has a simplicity problem of its usage system. From the survey, there is no middle school that has installed MELAB because not only the current middle schools' poor financial conditions but also their indifferences about music education and lack of related knowledge. Therefore, MELAB seems to be even harder to settle down since music teachers' demands are not considered well. CAMEL first mentioned from my dissertation is designed to make far more efficient but less expensive system than current MELAB. Even though CAMEL is not commercialized and its model is not completed yet, I believe that it can be sufficiently commercialized in theoretically and structurally speaking. Consequently, CAMEL can lead a remarkable growth of music education method if its own program is developed. I believe that electronic music or computer music should be necessarily utilized now so that we can enjoy the benefit of our information-oriented and technology-oriented society. In spite of the world-renowned skill and performance of ou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application of the electronic music has been confined to a little area, so, we could not have been using appropriately. I hope that CAMEL is helpful at real music education places after it is developed.

      • 한·중 대학교 음악치료전공의 현황 및 운영체계와 교육시스템 비교연구 : 계명대학교와 중앙음악학원 중심으로

        조최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3327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al development cau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are bringing about great changes in human life. To develop some necessary outstanding individuals, the education departments in our modern society have invested a lot, and the Music Therapy major has to adjust itself to the rapid developing era with a new education system. With the changing demands of the era, a comparative study on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educational system was conducted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majors at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Music therapy is a systematic treatment process in which a therapist performs various types of treatment using music. The Music Therapy major has fused various departments such as musicology, medical science, and psychology. To study on the comparative research of music therapy majors in Korea and China, firstly the study organized the history and the development processes; second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to find the drawbacks; lastly seven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to give rational suggestions for future-oriented development. After selecting 17 universities in Korea and 9 universities in China as the scope of the study, and using the data statistics method based on the actual data,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 and China education system and the operating system were evident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t is the difference in the credit standards. Chinese universities are higher than Korean universities in the average number of credits earned by both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Second, it is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subjects in the curriculum. Third, it is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goals. After comparing the educational goals of 26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Korea and China have two different educational policies.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ertification acquisition process related to music therapy in Korea and China,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in the certification acquisition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majors in Korea and China. First, use traditional music in the practical music therapy treatment so that the traditional music therapy treatment can be developed and the traditional music therapy treatment subjects could be added to the curriculum. Second, specialized and subdivided curriculum for convergence art therapy curriculum is newly established. Third, the treatment methods have to adapt to the reality of the accelerating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majors at Chinese universities are as followed. First, universities should expand their professors specializing in music therapy and train music therapy specialists. Second, the curriculum ratio should be constructed rationally. Third, develop various types of art therapy treatment. Through this study, I hope to make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majors in Korea and China. 21세기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과학기술과 사회발전은 인류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현대사회는 이러한 사회발전에 필요한 인재양성을 위하여 교육분야 연구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음악치료전공도 새로운 교육체계의 개발을 통하여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시대에 적응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한·중 대학교 음악치료전공의 미래 발전을 위하여 운영체계와 교육시스템 비교연구를 하였다. 음악치료는 하나의 체계적인치료과정으로 치료사가 음악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런학문을연구하는 음악치료전공은 음악학, 의학, 심리학 등의 여러학과가 서로 융합되는 학과이다. 한·중 음악치료전공의 비교연구를 위하여 역사와 발전과정을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중 대학교의 실태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합리적 제언을 하기 위하여 7개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범위로 한국의 17개 대학교와 중국의 9개 대학교를 선정하고, 실제 조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데이터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한 결과,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 한·중 교육체계와 운영시스템의 차이점이 극명하게 나타나는것을알수있었다.첫째,학점 기준의 차이이다. 중국 대학교는 학사와 석사의 평균 취득 학점 수에서 모두 한국 대학교의 취득 학점 수보다 높다. 둘째,교육과정에서 교과과목이 차지하는 비율의 차이이다. 셋째, 교육목표의 차이이다. 한국과 중국의 26개 대학교 교육목표를 비교해 보면, 한국과 중국은 서로 다른 두 가지 교육방침을 가지고 있다. 한·중 음악치료 관련 자격증 취득과정을 비교분석하여 보면, 전공 이론 학습과 임상 실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격증 취득과정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한·중 음악치료전공 미래 발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한국 대학교 음악치료전공 발전을 위한 제언은 첫째, 교과과목에서는 전통음악을 실제 음악치료에 접목하여 전통음악 치료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전통음악 치료과목을 개설한다. 둘째, 융합예술치료 교육과정에 전문화되고 세분화된 교과과목을 신설한다. 셋째,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가속화되고 있는 현실에 적응하여 치료 방법을 발전시킨다. 중국 대학교 음악치료전공 발전을 위한 제언은 첫째, 대학교는 음악치료 전문 교수진을 확충하고 음악치료 전문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둘째, 교과과정 비율을 합리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형태의 치료를 결합한 예술치료 교육을 발전시킨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중 음악치료전공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중 주요대학 실용음악학과의 컴퓨터음악 교육 시스템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CHEN, KU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27

        21세기, 문화산업의 신속한 발전은 실용음악을 서서히 대중들의 시선으로 끌어들였다. 실용음악은 현시대적 의미에서 음악제작(작곡, 편곡, 작사, 연주 및 퍼포먼스 등), 컴퓨터음악, 치유음악, 영화음악, 방송음악, 공연음악과 상업음악 등 많은 종류의 음악을 포괄하고 있는 대중음악이다. 이런 다양한 음악의 분류로부터 현대 실용음악에서 컴퓨터음악의 작용과 중요성을 유추할 수 있다. 컴퓨터는 주로 미디(MIDI), 신디사이저(Synthesizer), 오디오 기술, 디지털 합성기술(DAW=Digital Audio Workstation)의 네 개의 주요 경로로 음악영역에서 새로운 길을 개척하였다. 컴퓨터음악은 하나의 종합적 예술로서 컴퓨터기술, 음악학, 교육학 등 여러 분야의 교섭과 결합으로 이루어진 현대과학기술과 예술의 조합이다. 2004, 2005년 K-Pop이 중국시장의 문을 열고 들어오면서 부터 중국의 음악문화산업에는 많은 변화와 발전을 일으키고 도전을 남겼다. 한 산업의 발전은 양질의 교육을 필수 조건으로 한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컴퓨터음악 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8개 대학교를 선정하여, 컴퓨터음악 교육체계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고, 학제, 커리큘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시설, 교수진 현황 등 네 가지 방면을 위주로 비교 분석할 것이다. 이로부터 양국 대학교의 컴퓨터음악 교육의 비슷한 점과 부동한 점을 정리하여 격차를 찾아내고 각자의 우세를 정리하며 각 나라의 컴퓨터음악 교육체계에서 존재하는 문제점을 짚어내려 한다. 또한 비교분석을 통해 존재하는 문제점에 합리적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양국의 컴퓨터음악 교육이 기초교육과 실무교육의 조화를 이루고 건강한 음악 교육체계를 구축하여 아시아, 나아가 전 세계의 음악 산업에 입지를 강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applied music gradually appears in people's vision. The so-called applied music now mainly covers modern mass music such as music production (musical composition, arranger, musical words production, performing and singing musical instruments, etc.), computer music, therapeutic music, film music, playing music, public performance music and commercial music. According to these music categories, in modern applied music, the use of computer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production of these music. Then the computer has created a new direction in the music industry mainly from the four aspects of MIDI, synthesizer, audio technology and digital synthesis technology(DAW=Digital Audio Workstation). As a comprehensive discipline, computer music involves computer science, musicology, pedagogy, acoustics, etc., which embodies the combination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art. Since 2004 and 2005, K-Pop has gradually flooded into the Chinese market and has brought many changes and developments to China's music and culture industry. The development of an industry is closely related to good educational support. This paper will select eight representative universities of computer music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take computer music education system as the main research object, and give a detailed analysis to the eight universities based on the four major directions of educational system, educational curriculum, software and hardware facilities, and the distribution of professors, then compared the differences of computer music education system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At the same time, this paper summari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omputer music education between the schools of the two countries, finds out the gaps, collates the advantages, and analyzes and points out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that exist in the computer music education systems of China and South Korea, and put forward reasonable solutions to the existing problems, thus promoting computer music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better integrate with practical application teaching on the basis of theoretical teaching to form a healthy music education system and have more foothold in commercial music industry in Asia and even the world.

      • 한국과 중국의 국·공립(지방)대학교 음악교육 시스템 비교 : 국립 강원대학교와 공립 쓰촨문리대학교를 중심으로

        하봉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3323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와 쓰촨문리대학교 중심으로 신입생 선발, 인재 양성목표, 교과 과정, 학점 구성 및 학점 평가 방법, 수업 평가, 교수법, 대학교 운영, 학생 취업, 교원 구성, 대학평가 등 양국 대학의 운영 방법을 비교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비교 결과를 살펴보면, 강원대학교는 한국과 세계의 사회적 변화와 수요에 의해 교육목적을 설정하고 있으며, 교육목표 역시 한국과 세계적인 수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와 달리 쓰촨문리대학교는 학교가 소재하는 지역의 경제·사회 발전상의 수요에 맞추어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강원대학교 음악학과는 음악교육 혹은 음악 영역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반면, 쓰촨문리대학교 음악학과는 기초 교육기관의 교원 혹은 일선의 문예기관에서 공연·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학입학 시 요구되는 수능 과목의 경우 한국에서는 음악학과 진학을 위해 국어, 영어 성적만 필요한 반면에, 중국에서는 국어, 수학, 영어 문과 종합 혹은 이과 종합 등 4개 과목의 성적이 모두 반영되어 대학입학시험 준비에 필요한 교과목 범위가 더 넓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기시험을 살펴보면, 중국의 대학교에서는 음악 이론, 시창 청음이 추가되어 시험 과목의 수 역시 한국보다 더 많았다. 이수 학점을 살펴본다면, 한국의 음악학과에서 요구하는 이수 학점이 중국보다 적었다. 반면에 개설된 교과 과정과 선수 과정은 한국이 더욱 다양하였다. 전공 영역이 이수 학점에서 차지하는 비율 또한 높아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정의 선택폭이 넓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대학교의 수업 평가와 교수법은 ‘학생중심’이라는 교육이념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강원대학교와 쓰촨문리대학교의 음악학과 졸업생 취업률과 교원당 학생 수를 비교해본다면, 강원대학교가 취업률이 낮은 평가율을 보였다. 강원대학교가 교원당 학생 수가 적었다. 또한 교원의 구성 역시 학력 수준과 외국에서의 최종 학력을 취득한 비율이 쓰촨문리대학교 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한국 대학교의 음악 석사과정은 학생들의 전공 실기 능력을 키우는 데에 치중하였고, 한국의 대학평가는 대학의 발전 계획, 재정, 관리, 감사, 직원·교원의 대우 및 복지, 학생의 장학금 제도, 학생의 권익 보호, 사회봉사 등의 영역에 집중되지만, 중국의 대학평가는 사상, 정치, 교육품질 보장 시스템의 구축, 인재양성의 전반적 과정에 대한 품질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강원대학교는 학생 수 감소와 낮은 음악학과 취업률이라는 문제에 직면한 만큼 더 많은 유학생 유치와 취업 지원 시스템 혁신을 통해 문제를 극복할 새로운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쓰촨문리대학교 역시 교과과정과 학점 구성, 수업 평가, 교수법, 교원의 구성 등 개선 제안을 통해 학생들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학생 중심”의 교수법 확립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쓰촨문리대학교 음악학과에서 개설된 석사과정의 문제점과 구상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두 학교가 교수, 학생, 학점 인정, 공동운영 과정 등의 영역에서 교류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계획을 논문을 통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comparing the operation of each university such as new student selection, talent development goals, curriculum, credit composition and credit evaluation methods, class evaluation, teaching methods, university management, student employment, faculty composition, and university evaluation and others, centering around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Looking at the comparison result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ets educational goals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demands in Korea and the world. In contrast,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is setting goal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region where the school is located. The Department of Music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ocuses on music education or cultivating experts in the field of music, while the Department of Music of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focuses on cultivating teachers at basic educational institutions or its human resources who can be in charge of performance and management at front-line literary institutions. In the case of the subjects required for college entrance, only Korean and English scores are required for admission to the department of music in Korea, whereas in China, all four subjects – Chinese, Mathematics, English, and Comprehensive Liberal Arts or Comprehensive Natural Sciences – are reflected, therefore the range of subjects required to prepare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is more wide-ranging may be known. Looking at the practical examination, Chinese universities have added music theory and sight-singing and listening, so the number of examination subjects is also more than in Korea. Looking at the number of credits required for completion, the number of credits required by the music department in Korea is lower than that in China. On the other hand, Korea has more diverse curriculum and prerequisite courses. The ratio of the major area in the number of credits required for completion is also high, so students have a wide range of courses to choose from. Class evaluation and teaching methods of Korean universities more closely follow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student-centered’. Comparing the music department graduate employment rate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as a lower employment ra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as a lower number of students per faculty member, a higher percentage of faculty members with doctorates and performing artist degrees, and a higher percentage of final degrees obtained abroad than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The master's program in music at Korean universities focuses on developing students' practical skills in their major. University evaluation in Korea focuses on areas such as university development planning, finance, management, audit, treatment and benefits for staff and teachers, student scholarship system, protection of students' rights and interests, and social service, on the other hand, university evaluation in China is being conducted centering around thoughts, politics,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and the quality of the overall process of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A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aces the problem of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a low employment rate in the music department, it will be able to find a new way to overcome the problem by attracting more international students and innovating the employment support system.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can also exp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s through improvement suggestions such as curriculum, credit composition, class evaluation, teaching method, and teacher composition, and the effect of establishing a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can also be expected. In addition, proposed the problems and ideas of the master's program offered by the Music department of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and the plan of exchange between the two schools in the fields of professors, students, credit recognition, and joint operation of courses.

      • 한국과 중국의 대학 음악교육 시스템 비교 연구 :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중국 상하이음악원을 중심으로

        류홍신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11

        Educational function of music plays a non-negligible role in the individual and society. The current music education system in every country all over the world are different and have its own characteristics. Meanwhile, against the strong influence of the popular music, many traditional state-run music organizations are established and the music talents are be nurtured. And this is a starting point to catch the subject. So in the aspect of pure art and public conservatory of music,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Shanghai Conservatory of Music are selected to fi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freshmen recruitment policy of Korea and China, the curriculum of Korea and China, the education achievement of Korea and China are compared.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George Z. F. Bereday's comparative education theory. There are two steps of it. One is the area of research with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the other is the juxtaposition and comparison of each country study. The hypothesis i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ate system and national policy of Korea and China have the effects on their college music education. That is why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student.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ight of freedom of the two schools due to the nation's political influence of the two countries appear differently. The freedom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is strong, while the freedom of Shanghai Conservatory of Music is weak. Secondly, Korean musical students enjoy more freedom than their Shanghai counterpart. Finally, Shanghai Conservatory of Music is much more research oriented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

      • 교회음악 갱신을 통한 중장년 영성교육 프로그램 실천연구 : 성광교회 사례를 중심으로

        이형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00543

        Church music is a spiritual gift created by God. Music is a "pathway through which God and man meet," a "breath of spirituality" and a "spirit that emerges with sound." Music used in churches is not an ornament. Through church music, we experience the spiritual God incount. And plays a great role in spiritual intercourse between the church members. Therefore church music is an expression of spirituality, and in itself it is spirituality. Music includes various contents such as Christian spirituality, anti-Christian spirituality and artistic spirituality. Of course these things are part of it, but the starting point of true spirituality begins with a relationship with God. The goal of church music is to honor God. Church music is the ultimate Christian art that harmonizes with the expression of Christian faith. Church music is the ultimate Christian art that harmonizes with the expression of Christian faith. Music is taking up more and more of modern worship. However, most pastors and church music leaders do not have theological training or even the curriculum on church music, so church music is selected according to their tastes and worship is guided by them. While Korean churches have grown rapidly, experts point out that the reckless use of church music has clouded the essence of worship. Therefore, redefining the spirituality of church music with theological logic is the task of this era. Looking at church history, one can see that church music was activated when the church moved from recession to growth. Church music has played a great role in moving the souls of the church members to accept the message of the Bible, and has greatly helped activating the spiritual programs performed in the church. Likewise, music itself can be a tribute to spirituality, but on the contrary, music can have a bad effect if used incorrectly. As such, church music ha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spirituality, so theological spiritual understanding should precede it. Middle-aged church members face human limitations as they begin to age in terms of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and have a spiritual desire to find the essential self.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music and spiritual education for middle-aged students in a teaching an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spiritual education, which is the foundation for the use of church music, and to suggest religious and educational practices. So we will first analyze the middle-aged members of the Korean church community, and specifically, we looked at the psychological, social,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id- to long-term period by referring to scholars such as McCadams. And through the period study of church music, which has a profound influence on spiritual education, we understand that spirituality and church music are inseparable and that church music and spiritual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on a spiritual level. Finally, an example of the church pastoral scene of a researcher who saw the linked practice of church music and spiritual education is presented. 교회음악은 하나님이 창조하신 영적인 선물이다. 음악은 ‘하나님과 인간이 만나는 통로’이며, ‘영성의 숨’이며, ‘소리로 나타나는 영성’이다. 교회에서 사용되는 음악은 장식품이 아니다. 교회음악은 영이신 하나님을 깊이 경험하게 하며, 성도간의 영적교제에 지대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교회음악은 영성의 표현이며, 그 자체가 영성이다. 음악은 기독교적 영성, 반 기독교적 영성, 예술적 영성과 같은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다. 물론 이와 같은 것들이 일부분이지만 진정한 영성의 출발점은 하나님과의 관계성에서 출발한다. 교회음악의 목표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 교회음악은 기독교 신앙의 표현과 조화를 이룬 극치의 기독교 예술이다. 현대예배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목회자와 교회음악 지도자들은 교회음악에 대한 신학적 교육을 받지 않았거나 교육과정조차 없어, 자신의 취향에 따라 교회음악이 선별되고 이들에 의해 예배가 인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교회는 급성장한 반면, 교회음악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예배의 본질까지 흐리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이에 교회음악 영성을 신학적 논리로 재정립하는 것이 작금의 과제일 것이다. 교회사를 볼 때, 교회가 침체기에서 성장기로 전환 될 때, 교회음악이 활성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교회음악은 성도들의 영혼을 움직여 성경의 메시지를 받아들이는데 지대한 역할을 해왔고, 교회에서 행해지는 영적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처럼 음악은 그 자체가 영성을 나타내는 찬양이 될 수 있지만, 반대로 음악이 잘못 사용되면 좋지 않은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교회음악은 영성과 유기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신학적 영성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중장년 성도들은 인간의 성장 발달 관점에서 노화가 시작되는 시기로 인간의 한계에 직면하며 본질적인 자아를 찾고자 하는 영적인 욕구를 가지는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교회음악과 중장년 영성교육과의 관계를 교회사적으로 살펴보고 교회음악 사용의 토대가 되는 영성교육의 가능성을 분석하고 종교교육적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래서 우선 한국교회 교회 공동체의 중장년층을 분석할 것이며, 구체적으로, 매카담스 등의 학자들의 참고하여 중장년기의 심리, 사회, 신체, 사회문화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영성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교회음악의 시대적 연구를 통하여 영성과 교회음악은 분리될 수 없는 통전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교회음악과 영성교육도 영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을 밝혔다. 끝으로, 교회음악과 영성교육의 연계된 실천 방안을 본 연구자의 교회 목회현장의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 자유학기제를 위한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 활동

        김수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022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educational value of opera collage and to suggest a novel method of instruction for opera by research in the opera collage program’s teaching/learning method applicable to free-semester music activity. The free-semester system and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purposes of opera and opera collage are reviewed before the proposal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section. A 14-class teaching/learning plan for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pplying opera collage is suggested based on this section. The opera collage program consists of 3 stages. Students learn ab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opera and opera collage in the first introductory stage. The second developmental stage focuses on student participation and opera music. Students choose an opera song based on their preference and practices a drama performance founded on the chosen piece. The final stage concludes with a performance and review. All class content consists of student-participation focused activities such as collabo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typical of the free-semester system. The grading method uses the free-semester system’s process-based grading and other various evaluation tools. To facilitate a link between the free-semester system and general semesters, the choice of opera pieces was limited to ones in middle school textbooks.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 creative musical drama specified by the intent of its creator can be conceiv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opera. Second, the musical experience of students can be augmented by learning about the numerous opera music contained in textbooks. Third, a drama can be recreated based on students’ real life to be used as a musical tool to express their emotions. Fourth,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can be improved through student-focused creative processes. Fifth, students are able to explore careers by roleplaying and experiencing positions in opera. The opera collage program allows a comprehensive experience in the broad artistic characteristic of opera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more, it will inspire intrinsic motivation in music, popularize opera in the public sphere by changing the perception of opera as being difficult and obscure, and provide a positive effect of students adopting opera in daily life. Thus, there is hope for this study to be actualized as a real class and for further research to continue developing opera collage. 본 논문의 목적은 오페라 콜라주의 교육적 가치를 도출하고 자유학기제 음악 활동에서 활용 가능한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새로운 오페라 지도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필자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기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자유학기제의 개요, 오페라와 오페라 콜라주의 개념 및 특징과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오페라 콜라주를 적용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지도안 14차시를 제안하였다.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은 총 3단계로 구성된다. 도입 단계는 오페라와 오페라 콜라주의 이론적 배경을 학습한다. 전개 단계는 오페라 제재곡을 학습하고 학생 참여 활동이 중심이 된다. 학생들은 선호에 따라 제재곡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극을 창작하며 오페라 콜라주 공연을 위한 연습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마무리 단계는 본 공연과 평가를 실시한다.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 활동의 주요 수업 내용은 자유학기제에 추구하는 협동 학습, 토론 등 학생 참여 중심의 활동으로 구성된다. 평가 방식은 자유학기제의 과정 중심 평가와 다양한 평가 도구를 활용한다. 또한 자유학기제와 일반 학기와의 연계를 실천하기 위해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제재곡을 선정한다. 본 연구를 통한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페라의 종합 예술 특성을 바탕으로 창작자의 의도에 따라 창의적인 음악극을 창작할 수 있다. 둘째, 교과서에 수록된 다양한 오페라 악곡을 학습하여 학생들의 음악적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의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로 극을 재창작하여 그들의 정서를 표현하는 음악적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넷째, 학생 중심의 창작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을 고양시킬 수 있다. 다섯째, 오페라와 관련된 직업 탐구와 역할 체험을 통해 진로 탐색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은 오페라의 종합예술 특성을 포괄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의 내재적 동기를 고취시키고 오페라가 어려운 음악이라는 인식을 전환 시켜 오페라의 대중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오페라를 생활화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수업 되기를 바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오페라 콜라주의 다양한 발전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자유학기제를 위한 칼림바 수업 지도방안 연구

        이하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85823

        Due to the spread of the COVID-19 disease that shook the world at the beginning of 2020,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classes were restricted in music classes in public education. Accordingly, the use of wind instruments such as recorders, danso, and ocarinas that were commonly used in schools was also limited. Even in this situation, remote and in-person classes were conducted in parallel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tudents' learning gaps. Still, due to the limitations of remote education, an alternative instrument that could be taught in person was required. Therefore, although it was not universally used until now, the ‘Kalimba’ surfaced as an alternative instrument suited for the COVID-19 era. The kalimba has advantages such as blocking possibly contagious contact, limiting movement inside designated spaces, and employing apps. However, educational materials or instructional plans using the kalimba are still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musical instruments used in education. Recognizing this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tep-by-step guidance methods and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free-semester kalimba classes.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is study, the free-semester instrumental music program, the educational us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alimba-related studies, and previous studies on kalimba education programs were reviewed, and the importance of the free-semester system,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nd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models were reviewed. Examining the history, structure, types, and numbered music score of kalimba and analyzing existing kalimba textbooks revealed that the percenta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astonishingly low,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based Kalimba instructional resources. Based on the requirements that a free semester program for an instrumental ensemble class should meet, 6 songs appropriate for the kalimba ensemble program were chosen and prepared in one to three degrees of complexity for each song.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model was selected as the instructional model among the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s, and the contents of the activities were presented step-by-step according to the six methods of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To this end, a total of 17 classes were organized to enable systematic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free-semester activities. Students study the fundamentals of musical instruments in classes 1-6, get practice time for the presentation in classes 15-16, and have a presentation in the 17th class. Outside of this, for classes 7-14, a total of 4 sessions were designed by grouping each 2nd session into a block session.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the study and field suitability were verified through a questionnaire by three experts, and based on this, the guidance plan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is study is unique as there have not yet been many studies on the educational use of the kalimba as well as instructional resources that use Korean traditional music. It also has educational value by creating class models, lesson plans, and instructional resources that can be used in real classroom settings.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material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in various kalimba classes as well as free-semester and school-year systems. Given that many courses use the kalimba, it is advised that active study be done to find class guiding techniques that are appropriate for each class subject. 2020년 초부터 전 세계를 뒤흔든 COVID-19 감염병의 확산으로 인해 공교육의 음악 수업에서는 가창·기악 수업이 제한되었고, 이에 따라 학교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던 리코더, 단소, 오카리나 등 불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의 사용도 제한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학생들의 학습 공백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을 병행하게 되었지만, 비대면 교육의 한계로 인해 대면으로 교육할 수 있는 대체 악기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이전까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았지만, COVID-19 시대 상황에 가장 적합한 대체 악기로 비말 접촉 차단, 특별실 이동 제한의 교실 수업, 애플리케이션 사용 등의 장점이 있는 ‘칼림바’를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아직은 칼림바를 활용한 교육 자료나 지도방안이 기존 교육에 활용되던 다른 악기들에 비해 부족하다는 것이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칼림바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단계별 지도방안과 교육 자료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개발에 앞서 자유학기제 기악 프로그램, 국악곡의 교육적 활용방안, 칼림바 관련 연구, 칼림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자유학기제, 기악 교육의 중요성, 인지적 도제 이론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칼림바의 역사, 구조, 종류, 숫자보를 알아보고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칼림바 교재를 분석한 결과 국악 곡의 비중이 현저히 낮다는 점을 발견하여, 국악곡을 제재곡으로 활용한 칼림바 교육 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제재곡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으로서 기악합주 수업이 갖추어야 할 조건들을 토대로 칼림바 합주프로그램에 적합한 국악곡 6곡을 선정하고 한 곡당 1~3가지의 난이도로 편곡하였다. 지도방안의 수업 모형으로는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모형 중 인지적 도제 이론 모형을 선택하였고, 활동 내용은 인지적 도제 이론의 6가지 방법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 예술·체육 활동에 맞춰 체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총 17차시의 수업을 구성하였으며 그중 기초 수업 1~6차시, 발표 준비 15~16차시, 발표회 17차시를 제외한 7~14차시의 수업을 2차시씩 블록 차시로 묶어 총 4차시의 수업지도안과 교육 자료를 구체적으로 설계 및 제시하였다. 연구의 내용 타당도와 현장 적합성은 3명의 전문가에게 설문지를 통해 검증받았으며, 이를 토대로 지도안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아직 칼림바와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과 특히 국악 곡을 활용한 교육 자료가 부족했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본 연구는 차별화된 가치가 있으며 실제 학교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수업 모형과 지도방안 및 교육 자료를 개발한 점에서 교육적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 자료를 자유학기·학년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칼림바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칼림바가 여러 계층에서 활용되고 있는 악기인 만큼 수업 대상별로 적합한 수업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 세계의 국가(國歌)를 활용한 상호문화적 음악교육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중심으로

        정지윤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69471

        1990년대 이후 우리 사회는 다양한 문화권의 이주 배경 인구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보아 이제 대한민국은 다문화사회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급속한 세계화의 흐름에 따라 우리는 세계시민으로서 개인이 갖춰야 할 역량과 소양을 정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서로 다른 음악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태도와 상호 간의 문화를 존중하며 음악을 공유하는 태도는 세계시민교육의 관점과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세계의 국가(國歌)를 활용한 상호문화적 음악교육 지도방안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 앞서 미국 다문화교육의 배경과 독일, 프랑스의 상호문화교육의 배경을 살펴보고 선행된 상호문화교육의 교육모형과 상호문화교육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애국가>를 포함한 4개국의 국가(國歌)를 선정하여 장한업(2020)의 상호문화적 교육모형에 따라 총 10차시의 상호문화적 음악교육 지도방안 및 교수 𝅭 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 지도방안은 각 나라의 역사와 문화적 이해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활동 내용으로는 아카펠라 가창 활동과 스마트기기[(가라지밴드(GarageBand), 크롬뮤직랩(Chrome Music Lab), 스크래치(Scratch)]를 활용한 기악, 감상, 창작 활동이 있다. 마지막으로 9-10차시에는 영상 제작 및 발표와 토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계기로 세계의 국가<國歌>를 활용한 상호문화적 음악교육 지도방안을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수업으로 진행해보고 그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또한, 상호문화교육이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 도덕 교과간의 융합수업을 통하여 더욱 심도있는 내용을 다루는 연구와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Since the 1990s, the popularity of various cultur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our society. Korea is now a multicultural society, and with the rapid flow of globalization, we need to improve the capabilities and skills that individuals have as global citizens. The attitude of acknowledging the diversity of different musical cultures, respecting each other's cultures, and sharing music can be seen as being in line with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tercultural music education teaching method using world national anthems that can be applied in schools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ing the free semester system. Prior to the study, the backgrou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France was reviewed, and the previous instructional model of intercultural education and the study of intercultural education teaching methods were reviewed. Based on this, the national anthems of four countries, including Korea's National Anthem, were selected, and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a total of 10 session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intercultural teaching model of Jang Han-eop (2020). The instructional plan developed in this study includes content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and culture of each country. It also includes a-cappella singing activities, instrumental music, listening to music, and music creation activities through GarageBand, Chrome Music Lab, and Scratch programs on smart devices. Lastly, the 9th and 10th sessions consisted of video production,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methods for intercultural music education using the world’s national anthems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will provide a much deeper exploration of teaching methods and lesson plans through the convergence of education with ethics and social studies where mutual cultural education is actively taking place.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과 심화과목 '음악이론'의 성취평가제에 의한 평가절차 개발 방안 연구

        김민소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69471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introduced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since 2012, and operated 2009 revision education system to develop government competitiveness with a goal of fostering competent young generation having creative ability and upright personality. It announced that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will be phased in all courses of Middle and High School in 2016. The Introduction of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can affect each school subject’s standard of achievement and achievement level, which can be reasonable criteria in understanding the level of students’ studies achievem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standard of achievement and achievement level became significant. Consequ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suggested standard of achievement and achievement level about general subjects based on school curriculum, and suggested principle and example for advanced subjects to develop standard of achievement and achievement level. However, standard of achievement, field and subjects standard level are suggested in advanced subjects, which are ‘music history’ and ‘chorus and ensemble’ in the College of Music, whil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bout the rest of subjects is autonomously produced by school because only development principle and example are suggested for the rest of subjects. Because of that, each school has different and vague standard of evaluation, so managing advanced subjects is in a state of confusion. Hence, this research paper understands the definition of ‘evaluation’ in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through the meaning of ‘evaluation’ using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ranges over introduction background of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nd expected effects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The main point presents standard of achievement, achievement level and assessment question based on 2009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according to each development principle followed by evaluation procedure of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창의력과 인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함을 목표로 교육부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2012년부터 성취평가제를 도입하였고, 2016년에는 중.고등학교의 모든 과정에 도입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 성취평가제의 도입에 따라 각 교과별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은 학생의 학업 성취정도를 파악하는 합리적인 기준이 되기 때문에 성취기준.성취수준의 개발은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교육과정을 기본 토대로 일반과목에 대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제시하였고, 심화과목은 성취기준과 성취수준 개발을 위한 원리와 예시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음악과에서 심화과목의 경우는 '음악사'와 '합창.합주' 과목만이 전 영역에 대한 성취기준, 영역 및 과목 성취수준이 제시되었고, 나머지 과목들은 개발 원리 및 예시만 제시되어 학교마다 자체적으로 제작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학교마다 평가에 대한 기준이 다르고, 모호하게 나타나 심화과목 운영에 있어서 혼란이 발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학에서 쓰이는 '평가'의 의미를 통해 성취평가제에서의 '평가'의 정의를 이해하고, 성취평가제의 도입배경과 기대효과를 이론적 배경에서 다루었으며, 본론에서는 교육부에 제시된 성취평가제의 평가 절차에 따른 각각의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기초로 성취기준과 그에 따른 성취수준, 평가문항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