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음악교육 실제의 의미 탐색

        허주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8703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음악교육 실제의 의미 탐색 본 연구는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의 유아교사가 경험한 음악교육 실제의 의미를 질적 연구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음악교육의 실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음악교육 실천의 의미는 어떠한가?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 기관에 근무하고 있고 음악교육을 성실하게 실행하고 있는 교사 가운데 연구자의 연구 주제에 공감하고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사를 밝힌 4명의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23년 3월 2일부터 6월 14일까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의 전사본을 만들어 범주화해나가며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한 음악교육의 실제는 ‘놀이를 위한 음악교육’, ‘놀이를 통한 음악교육’, ‘음악을 위한 음악교육’을 경험하는 것으로 구조화되었으며, 각각의 하위 범주로는 ‘노래 부르기를 통한 가락 익히기’, ‘그림책놀이를 위한 감상하기’, ‘신체표현놀이를 위한 음악감상활동’, ‘극놀이를 위한 소리탐색활동’, ‘악기놀이를 위한 연주 활동’으로 구조화되었다. ‘놀이를 통한 음악교육’의 하위 범주로는 ‘노래 부르기를 통한 가락 익히기’, ‘건반악기 놀이를 통한 음계 익히기’, ‘악기 만들기 놀이를 통한 소리 만들기’, ‘연주 놀이를 통한 리듬 익히기’, ‘음악을 위한 음악교육’의 하위 범주로는 ‘다양한 음색 경험하기’, ‘아름다운 소리 즐기기’, ‘감정과 정서 표현하기’, ‘다양한 장르 감상하기’로 구조화되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한 음악교육 실제의 의미는 첫째, 놀이와 음악교육간의 ‘포개어짐’이었으며. 둘째, 놀이 속 음악교육 부재의 ‘드러남’이었다. 셋째, 예술실천으로서의 음악교육 ‘됨’이었다. 첫째, 놀이와 음악교육간의 ‘포개어짐’은 「놀이 공간간의 ‘포개어짐’」과 「놀이 주체간의 ‘포개어짐’」, 둘째, 놀이 속 음악교육 부재의 ‘드러남’은「음악교육 목적 부재의 ‘드러남’」과 「음악교육 교수학습 부재의 ‘드러남’」, 셋째, 예술실천으로서의 음악교육 ‘됨’은「청각예술 ‘됨’」과 「정서⋅표현예술의 ‘됨’」이라는 의미가 있음을 탐구하여 본 연구는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의 유아교사가 경험한 음악교육의 실제를 탐구하고 음악교육 실제의 의미를 새롭게 범주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언으로는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음악교육의 역사를 통해 음악의 본질을 경험하는 예술실천으로서의 음악교육이 사라지지 않도록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의 음악교육의 실제를 위한 교사교육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Exploring the Meaning of Music Education Practice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Heo, Ju-Hy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music education, which is highlighted as a value of art in future education, and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music educ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nature of music education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 child and play-centered curriculum?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Meaning of Music Education Practice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study, four teachers who work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actively implement music education i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se teachers resonated with the researcher’s topic and express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from March 2 to June 14, 2023, and the collected data was transcribed and categoriz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usic education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structured into ‘music education for music,’ ‘music education for play,’ and ‘music education through play.’ The subcategories for each were as follows: ‘experiencing various timbres,’ ‘enjoying beautiful sounds,’ ‘expressing emotions and feelings,’ ‘appreciating various genres,’ ‘learning melodies through singing,’ ‘appreciating for picture book play,’ ‘movement activities for physical expression play,’ ‘sound exploration activities for dramatic play,’ and ‘creative activities for instrument play.’ The subcategories for ‘music education through play’ were ‘learning scales through keyboard instrument play,’ ‘creating through instrument-making play,’ and ‘learning rhythms through concert play.’ The significance of music education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first, ‘being’ as music education as an art practice; second, ‘overlapping’ as the significance of music education for play; and third, ‘revealing’ as the significance of music education through play. The significance of ‘being’ in music education for music included ‘being’ as auditory art and ‘being’ as emotional expression art. The ‘overlapping’ in music education for play included ‘overlapping’ between play spaces and ‘overlapping’ between play subjects. The ‘revealing’ in music education through play included ‘revealing’ the absence of music education objectives and ‘revealing’ the absence of music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thus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music educ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newly categorizing the concepts and meanings of play and music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 music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as an a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newly established objectives for music educ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o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 proper play and education.

      • 7차 교육과정에서의 전통음악 제재곡 연구 :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최미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00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보다 질 높은 음악수업을 위하여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0년에는 1, 2학년 2001년에는 3, 4학년 2002년에는 5, 6학년이 7차로 바뀜으로 본 논문은 내년에 적용되는 3, 4학년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교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실험용 교과서를 위주로 하였다. 7차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에는 첫째 포괄적이고 연계성 있는 음악과 교육과정, 둘째 우리 음악 문화의 창달을 위한 국악교육, 셋째 문제 해결력과 창의성 신장, 넷째 타당성 있는 음악과 평가로 그 중 둘째 우리 음악 문화의 창달을 위한 국악 교육으로 21세기의 정보화 세계화 다양화 시대 속에서 우리의 음악 문화를 창조하고 이끌어가기 위해 국악 교육을 강조하였다. 우리의 음악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대, 양식, 문화권의 음악을 접하여 우리의 음악 문화 유산과 다른 나라의 음악 문화 유산을 비교하여 각 음악 문화의 음악적 특질과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우리의 음악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새로운 음악 문화 창달에 기여하도록 하였다. 궁극적으로 학교에서의 음악 교육은 우리의 음악 문화를 창달, 발전 그리고 계승시킬 수 있는 학생을 길러 낼 수 있는 음악 교육으로 발전되도록 하였다. 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국악 내용이 많이 도입되었고 7차에서도 여전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아직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교사들의 국악에 관한 지식이 부족하여 여러 영역에서의 지도 방법이 요구되며 올바른 관점을 가지고 우리 음악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과 음악과의 성격과 목표, 2001년 부터 적용되는 3 4학년의 전통음악 제재곡을 중심으로 6 7차를 비교하여 7차 제재곡 분석과 영역별 내용 연구로 제재곡 분석에서는 관련활동, 악곡의 구성, 관련개념을 표로 제시하였다. 영역별 내용으로 이해영역에서는 리듬, 가락, 형식, 셈여림과 빠르기, 음색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활동영역 중 가창활동에서는 주로 민요를 중심으로 민요의 소리내기와 지역별 민요의 수를 언급하였고, 기악활동에서는 장단의 지도와 민요에 쓰이는 장단과 변형장단을 제시하였다. 창작활동에서는 노래가사 바꾸기와 가락짓기를 조금 언급하였고, 감상활동에서는 판소리와 기악곡 중 숲과 조명곡, 새타령과 풍물놀이의 감상시 지도 방법을 조금씩 언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지도안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우리 음악을 올바르게 지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전통음악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먼저 인식하고 이에 대한 많은 연구 및 연수기회의 확대가 있어야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ssistance for higher musical teaching by analyzing the 7th curriculum which has been executed since the year of 2000. As the curriculum is to be changed to the 7th for the 1st and 2nd grade in 2000, the 3rd and 4th grade in 2001, and the 5th and 6th grade to which the 7th curriculum is applied in next year. The experimental textbooks which are used at present are given the first consideration as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importance of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first, the music curriculum of comprehensive and connective, second, national classic musical education for the promotion of our musical culture, third, development of problem solving power and originality, and fourth, appraisal of musical lesson, and of them, the second, national classic musical education for the promotion of our musical culture is emphasized in order to highlight and lead our musical culture under the age of informationalization, glob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It is aime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he new musical culture by inheriting and developing our musical culture by understanding musical special quality of other countries and it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by comparing our legancy of musical culture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by contacing not only with our music but also with musical education at school has been made to promote, develop and Inherit our musical culture. From the 6th curriculum, the content of national classic music has been induced very much, and in the 7th, too, it occupies a large portion, but as teachers have not sufficient knowledge on how to teach yet, the teaching method in various realms is demanded, and our musical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 right interest. Thus, this thesis has presented the fundamental direction, character of musical lesson and goal of the 7th curriculum, and centered on theme music of the traditional music of the traditional music of the 3rd and 4th grade which will be applied from 2001, compared with those of the 6th and 7th curriculum, the 7th theme music was analyzed and its content was studied by realm, and utilization of correlation, composition of musical piece and related concept are presented by table. In the content by realm, rhythm, tune, form, speed, and the quality of tune are presented in the understanding realm. In the simulating activity of the activity realm, voicing of folk songs and the number of folk songs by district were stated, centered on folk songs mainly, and in the activity of musical instrument, teaching beat of tune and the activity of musical instrument, teaching beat of tune are presented. In the creating activity, a little of changing lyric lines and mating tune are stated, and in the appreciating activity, of the narrative musical form unique to Korea and musical instrument tune, teaching method while appreciating forest and lighting tune, ballad of birds and landscaping pleasure are stated a little. And, in the last, teaching plan is exemplified. In order to teach our music correctly like this, first of all,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necessity of our traditional musical education, and should study on this and the opportunities of much research and study should be enlarged.

      • 피아노 초급교재 『피아노 아카데미아』와 『매직핑거 피아노』 비교 · 분석 - 포괄적 음악성 계발을 중심으로

        장지원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의 피아노 교수법은 21세기 사회의 통합적이고 창의적인 교육 경향에 따라 단편적인 기술의 발전을 넘어 여러 음악적 능력을 포괄적으로 발전시키는 교육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교육관은 1900년대부터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 발전되어 현재‘포괄적 음악성’이라는 개념으로 정의되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포괄적 음악성 계발을 중심으로 한 피아노 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으로 음악을 바라보는 교사의 태도와 체계적인 교육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난 198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이루어진 우리나라 피아노 교육은 대부분 테크닉과 독보 중심의 학습으로 인하여 다양한 음악 활동이 간과되어왔다. 이와 같은 교육을 받고 자란 교사들에게 새로운 관점의 음악교육을 실천하는 것은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포괄적 음악성 계발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체계적인 교재를 사용한다면 교사들의 어려움을 덜고 더욱 효과적인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최근에 개발된 포괄적 음악성 계발 중심의 초급교재 두 권을 선정하여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포괄적 음악성에 관한 교사들의 이해를 높이고 교재 선정과 효과적인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을 목표로 한다. 교재 비교에 앞서 먼저 포괄적 음악성의 배경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예술 중심의 융합 인재 교육(STEAM)’을 바탕으로 한『피아노 아카데미아』 교재와‘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 철학’을 근간으로 한『매직핑거 피아노』 교재를 선정하였다. 이 교재들은 우리나라 음악교육자들에 의해 현재 우리나라 피아노 교육의 실태를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며 기초 단계부터 중상급 단계까지 포괄적 음악성의 특징을 잘 반영하여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담고 있다. 이에 각 교재의 개요와 특징을 연구하고 포괄적 음악성의 특징적 요소를 개념 학습, 연관성, 악곡 범위 확장, 공통 요소 접근법, 음악가적 기능, 창의성, 교육적 전략의 일곱 가지로 나누어 두 교재를 비교했다. 본 연구를 통해 피아노 교사들이 더욱 포괄적인 관점으로 음악을 바라보게 되고 적합한 교재 선정과 더불어 학생들에게 창의적이며 통합적인 음악성을 길러줄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교재를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또한, 본 연구가 앞으로 다양한 피아노 교육자료 및 교재개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Emphasizing integrative and creative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modern piano teaching methods aim to provide comprehensive education that develops various musical abilities, extending beyond the mere acquisition of techniques. This educational perspective has evolved and adapted over time, starting in the 1900s, and is now defined as comprehensive musicianship. Recently, in Korea, there has been a heightened emphasis on piano pedagogy that focuses on developing comprehensive musicianship. To implement such an approach, a teacher’s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music and systematic teaching methods are crucial. However, from the late 1980s to the early 2000s, piano education in Korea was predominantly centered on technique and reading sheet music, leading to a neglect of various musical activities. Teachers who were educated during this period must make a concerted effort to adopt a new perspective on education. This shift not only alleviates the burdens on teachers but also facilitates effective education. For these reasons, this thesis analyzed two piano method books designed for beginners that focused on developing comprehensive musical ability.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help teachers understand comprehensive musicianship, make informed choices regarding piano methods, and facilitate effective education. Before comparing the two piano method books, I conducted research on the background and features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Subsequently, I selected Piano Academia, based o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the Arts, and Mathematics (STEAM), and Magic Finger Piano, grounded in Elliott’s philosophy of praxial music education. Both approaches are connected to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Considering the current condition of piano education in Korea, these piano method books are created by Korean music educators and include a systematic curriculum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from the basic to upper intermediate stage. Thus, I analyzed their outlines and features, compared them across seven characteristics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conceptual learning, connection, repertoire extension, common element approach, role as a musician, creativity, and educational strategy. I hope that piano teachers can gain a broader perspective on music through this thesis, enabling them to choose appropriate methods and utilize them to nurture students’ creativities and comprehensive musicianship. Furthermore, I hop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piano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 일반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조사를 통한 음악 프로그램 개발 : 전라북도 소재 학교를 대상으로

        박혜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특수학급은 특수교육대상자의 통합교육을 시행하기 위하여 일반학교에 설치된 학급으로 주로 심신 장애 정도가 가벼운 편이지만 일반학급에서 적절하게 교육받기 힘든 학생을 위해 일반학교에 특별히 편성된 학급을 의미한다. 전체 특수교육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특수학급에 재학 중이지만, 전교생이 장애 학생으로 구성된 특수학교와 비교하여 특수학급에서는 음악을 비롯한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 연구에서는 특수학급 학생들의 음악 활동 경험을 목적으로 특수학급 환경에 적합한 음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내 중 ‧ 고등학교에서 특수학급을 담당하는 교사 6명과 인터뷰를 진행하여 특수학급의 시설 ‧ 현황, 음악교육 관련 교사들의 역량,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서 장애 학생들의 음악교육 참여 기회가 부족하였다. 학교에서 음악동아리 활동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진행하였지만, 장애 학생은 대부분 참여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음악을 접한 경험이 있지만, 특수학급 수업 때 학생들에게 음악 활동을 지도한 경험은 적었다. 특수학교에서 음악 활동을 진행한 교사는 있었지만, 특수학급에서 시도한 교사는 거의 없었다. 셋째, 교사들은 음악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며 상황이 된다면 특수학급에서 향후 음악교육을 진행하고 싶다는 의견을 밝혔다. 음악교육이 다른 교과와 통합이 수월하며 정서적 ‧ 심리적 ‧ 신체적 발달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교사들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특수학급 학생들의 음악 활동 참여 기회를 늘리고 다른 교과 ‧ 영역과 연계하면서 장애 학생들 맞춤형으로 수업을 제공하도록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설정하였고 음악 프로그램 모형을 구상하였다. 음악 프로그램 모형은 ‘프로그램 주제’,‘프로그램 목표’,‘교실 환경’,‘역량 요소’,‘통합 영역’,‘지도상의 유의점’의 총 6가지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모형을 활용하여 가창 ‧ 기악 ‧ 창작 ‧ 감상 요소가 포함된 3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각 프로그램은 1~2차시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특수학급 교사들이 음악 교과에 관심을 많이 가짐으로써 특수학급의 음악 활동이 활성화되어 특수학급 학생들이 음악을 풍부하게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 ARCS 이론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 지도서 분석 및 동기 전략 연구 : 다문화 악곡을 중심으로

        박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문화적 공동체 역량’을 핵심 역량으로 제시하여 다문화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다문화 음악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음악 수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도서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성공적인 학습의 중요한 요소인 동기유발과 관련된 전략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효과적인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해 실제 다문화 음악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동기 전략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6학년군 음악 지도서 8종의 다문화 악곡을 분석하고, 켈러(J. M. Keller)의 ARCS 학습동기이론의 관점에서 다문화 악곡의 지도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8종 지도서를 분석한 결과 총 84곡의 다문화 악곡이 존재하였으며 지도서에 2회 이상 수록된 악곡은 18곡이었다. 특히 지도서에 가장 많이 수록된 악곡은 ‘잠보’와‘포카레카레 아나’로 각 6회씩 수록되었다. 둘째, 다문화 악곡의 지도내용을 ARCS 동기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8종 지도서 모두 주의집중(A), 관련성(R), 자신감(C), 만족감(S) 중에서 주의집중(A)의 비율이 5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셋째, 다문화 악곡의 지도내용을 ARCS 동기 요소별 하위 전략으로 분석한 결과 관련성(R)의 경우 8종 지도서 대부분에서 친밀성(R3)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자신감(C)의 경우에는 성공 기회(C2)가, 만족감(S)의 경우에는 내재적 강화(S1)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반면 주의집중(A)의 경우 8종 지도서 중 3종은 지각적 각성(A1)이, 다른 지도서 3종은 탐구적 각성(A2)이, 나머지 2종은 변화성(A3)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ARCS 이론에 따라 다문화 악곡의 지도내용을 수업 단계별로 분석한 결과 도입 단계에서는 주의집중(A) 및 관련성(R)의 비율이 높았고, 전개 단계에서는 주의집중(A)이, 정리 단계에서는 만족감(S)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다문화 악곡의 지도내용이 주의집중(A)에 편중되어 있어 다양한 전략이 고루 반영될 필요가 있으며, 지도서에 전혀 제시되지 않은 하위 전략들이 존재하므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음악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동기 전략 및 예시를 제시하였으며, 지도서에 2회 이상 수록된 악곡을 예시 악곡으로 활용하여 실제 다문화 음악 수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동기 전략들은 효과적인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앞으로도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동기 전략이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유아음악교육 지도서 비교 분석연구 : 노래 부르기 영역 중심

        이지용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Music education for infant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infants' learning capability and social adaptability as it affects their emotional, cognitive and physical development and it also helps infants to enjoy music and to grow in aesthetic sensibility. Therefore, the primary purpose of music education for infants is not educating the talented to become professional artists or musicians but educating a whole person in infants by making connections with other education areas.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properly infant music guides currently used in kindergartens organize the songs according to infants' developmental areas and to come up with some criteria for teachers in selecting appropriate music guidebooks and some suggestions to pursue better quality of those guides.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has done comparative analysis on different music guidebooks which are widely used in kindergartens in Korea. As for the theoretical basis, the importance of infant music education, qualities of musical development, principles of teaching infants' singing, some teaching methods of music education theorists, the 6th national curriculum of kindergarten education have been carefully reviewed and discussed. Three well known music guide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nine aspects: target areas, activities, words of the songs, forms, tonality, range, time, rhythm and materials to be prepared The result shows that cognitive area occupies more than 30% in all the studied music guides,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all the areas. When it comes to words of the songs, two guides strictly conforms to the 6th national music education curriculum by including every theme presented in the curriculum: kindergarten and I, seasons, animals, family and neighbors, transportations, tools and machines, healthy body and mind, my country and foreign countries, earth and environment, special days. However, the third music guide, Infant Music Education, doesn't include 'special days.' Most songs in three guides are in short forms with 8-16 bars due to developmental stage of target learners. There are some Korean traditional songs in minor key, which makes these guides enriched in tonality. Quadruple time is dominant in all three guides.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songs in triple time make the second highest percentage in Infant Music Education while they are the third place in percentage in the other two music guides. In Teaching Material for Kindergarten Education, triple time makes 16.2% and in Infant Music Education 2000, it makes 14.7%. It seems that Infant Music Education attempts to introduce more dynamic arrangement of songs with regard to time. Regarding the materials to be prepared, Teaching Material for Kindergarten Education and Infant Music Education 2000 utilize pictures and drawings up to about 50% while Infant Music Education uses words board up to 45.8%. It appears that music guides for infants should be improved by presenting diverse contents and methods so that young infants may be more attached to singing naturally. To accomplish this goal, it may take a lot of new challenges such as developing new methods, using advanced technology and equipments and studying music education itself more seriously. 유아음악교육은 유아들로 하여금 음악을 느끼고, 즐길 수 있도록 심미감을 키워주고 정서적, 인지적, 신체적 발달에도 많은 영향을 주어 중요한 성장기에 놓여 있는 유아들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자이자 사회인으로 키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유아음악교육의 목적은 특별한 재능을 가진 예술가나 음악가를 키우는 것이 아닌 전 교육과정의 목표들과 연관을 두고 창의적, 자주적인 전인교육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음악적 능력 발달의 가장 적절한 시기인 유아기의 유일한 교육기관인 유치원에서 이용되는 음악지도서들 중 노래 부르기 영역을 비교, 분석하여 각 교재가 얼마나 아동의 발달 영역에 맞게 곡을 구성해 놓았는지를 살펴봄으로서 앞으로 있을 교재 계발 및 선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 유아기 음악 발달 특성, 유아의 노래 지도, 음악교육 이론가들의 노래 부르기 지도 영역,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이론적 규명을 전제로 하고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유아음악교육 2000’ ‘유아음악교육’(심성경 외 5명)의 세 지도서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목표 영역, 활동 방법, 노래의 가사 내용, 형식, 조성, 음역, 박자, 리듬, 준비물 등 총 아홉 가지로 분류하여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표영역은 세 지도서 모두 인지 영역이 30% 이상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가사 내용은 6차 음악교육과정에 따라 ‘나와 유치원’ ‘계절’ ‘동물’ ‘가족과 이웃’ ‘교통기관’ ‘도구와 기계’ ‘건강한 몸과 마음’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 ‘지구와 환경’ ‘특별한 날들’로 나뉘는데 ‘유아음악교육’(심성경 외 5명)만은 ‘특별한 날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형식은 아동의 발단 단계를 고려하여 짧은 8~16마디의 곡이 가장 많이 수록되어져 있고 조성에 있어서는 국악, 전래 동요를 통한 단조곡의 수록으로 다양한 조성을 보여 주고 있다. 박자는 세 지도서 모두 4/4박자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주는데 ‘유아음악교육’(심성경 외 5명)은 3/4박자 곡이 22.2%로 두 번째 비율을 차지하며 각각 16.2%, 14.7%로 3/4박자가 세 번째로 높은 비율을 보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유아음악교육 2000’과는 달리 박자에 있어 새롭고 다양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준비물로는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유아음악교육 2000’이 ‘그림 및 사진 자료’가 약 50%로 가장 많이 쓰였으나 ‘유아음악교육’(심성경 외 5명)은 ‘노랫말 판’이 45.8%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유아음악 지도서는 유아 스스로 적극적인 노래 부르기를 유도해 낼 수 있도록 더욱더 다양한 활동내용과 방법, 새로운 곡들의 선곡과 발전된 최신기기의 적극적인 사용 등이 요구되며 음악이 지식 전달을 위한 단순한 전달자나 도구가 되지 않도록 음악 자체에 대한 이해와 연구도 병행 되어져야 할 것이다.

      • 엘리엇의 반성적 음악교육 실습 프로그램을 활용한 다문화 음악교육 지도 방안

        김보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im of overcoming social problems such as identity confusion, maladjustment, and cultural conflict of immigrants arising from the global multiculturalization phenomenon.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music closely related to human emotions is necessary to encourage changes in perceptions and to devise long-term solutions. This study pursued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sound' and 'art' of the music itself as well as the acquisition of the 'culture' and 'context', which are the core of multicultural music, through reflective music activities such as social communication. A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guidance plan was designed by utilizing the seven stages of Elliott's reflective Musical Practicum,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and context of introducing multicultural music in school and behavior-oriented education. After selecting four contexts and music pieces, the classes were organized into 12 sessions of three consecutive lessons for each context, and Elliott's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ere appropriately placed within the content of each activity to help develop musical thinking and acquire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music. In the 1st to the 3rd periods, students wrote lyrics within a religious context, and made characterized music suitable for the subject of religious music to utilize Appreciative music thinking and knowing(MTK). They made and released the completed music after listening to the Hindu religious music of Bhajan. In the 4th to the 6th periods, students participated in composing within a linguistic context. They listened to children's songs in Kiswahili in East Africa, composed a melody that suits the rhythm and meaning of words, and presented them with native lyrics. Using a composition tool, they were able to go through Intuitive MTK of storing and sharing the composing process at all times,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each other's products, and gradually developing a musical design that can embody and communicate. In the 7th to 9th periods, they engaged in activities to create body expressions in an ethnic context. Listening to traditional hula music of Polynesians, and telling a story contained in music through body expressions. By creating a common product with the group members, they were able to acquire the value of active communication, and cultivate Ethical MTK that respects the value of other peoples' traditions. In the 10th to the 12th periods, improvising was performed within a historical context. It explored the similarity of Cuban music to other cultures, discovered historical significance, and expressed the current context of students as a joint improvising by combining them with the context of the music. Through multicultural music classes used in the guidance plan of this study, students can discover the beauty and value of minority culture, actively communicate, feedback, and self-reflect, and learn the mental values of multiculturalism such as cooper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In addition, they can naturally acquire the context surrounding multicultural music and help develop musical thinking and knowing through in-depth music experience given by music making activities. 본 연구는 전 세계적인 다 문화화 현상으로부터 발생한 이민자들의 정체성 혼란과 부적응, 문화적 갈등과 같은 사회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다수 사람들의 인식 변화를 촉구하고 장기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정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음악을 이용한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소통으로서의 반성적 음악 활동을 통해 다문화 음악의 핵심인 ‘문화’와 ‘맥락’의 습득은 물론, 음악 자체가 가지는 ‘소리’와 ‘예술’의 깊이 있는 탐구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학교 교육에서의 다문화 음악 도입의 중요성과 맥락 및 행위 중심의 음악교육을 강조했던 엘리엇의 반성적 실습 프로그램의 7단계를 활용하여 다문화 음악교육 지도 방안을 설계하였다. 수업은 4개의 맥락과 악곡을 선정한 뒤 맥락별로 3차시의 연속된 수업을 구성해 총 12차시로 조직하였으며, 엘리엇이 대안적 학습전략으로 제시한 모델링, 코칭, 스캐폴딩, 명료화, 탐색, 비교·반성을 차시별 활동 내용 안에 적절히 배치하여 음악적 사고의 발달을 돕고 다문화 음악의 맥락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1차시부터 3차시는 종교적 맥락 안에서 작사하기 활동을 하였고 힌두의 종교음악 바잔을 듣고 종교음악의 주제에 맞는 표상적 음악을 만들면서 감식적 음악 사고와 지식을 활용하도록 하였다. 4차시부터 6차시는 언어적 맥락 안에서 작곡하기 활동을 하였다. 부족 중심의 문화를 가진 동아프리카의 스와힐리어로 된 동요를 감상하고 말의 리듬감과 의미를 살려 어울리는 멜로디를 작곡한 후 원어 가사를 붙여 발표하였다. 크롬 뮤직랩 송메이커라는 작곡 툴을 이용해 상시 작곡의 과정을 저장하고 공유하며 서로의 작품을 감상· 비평하고 음악적 디자인을 점차 발전시켜 나가는 직관적 사고의 과정을 거칠 수 있었다. 7차시에서 9차시는 종족적 맥락의 신체 표현 창작하기 활동을 하였다. 하와이 원주민인 폴리네시아인의 전통 훌라 음악을 듣고, 음악에 담긴 자연과 평화의 이야기를 신체 표현으로 풀어내는 작업이었다. 모둠원들과 공동의 산출물을 만들며 적극적인 소통과 환류, 반성과 책임의 가치를 습득하고, 음악과 신체 표현과의 조화를 느끼며 타민족의 전통에 대한 가치를 존중하는 윤리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었다. 10차시부터 12차시는 역사적 맥락 안에서 즉흥연주를 하였다. 쿠바의 쏜 음악이 가진 타문화와의 유사성을 탐색하며 역사적 의미를 발견하고 현재 학생들이 가진 맥락을 악곡의 맥락과 융합하여 합동 즉흥연주로 표현하였다. 음악이 가진 역사적 맥락에 집중하면서 상황적 음악 사고를 활용함과 동시에, 연주자들 간의 정서적 결합과 리듬 패턴, 음색의 어울림에 관해 지속적으로 대화하고 수정하며 음악적 표현으로서의 산출물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의 지도 방안을 활용한 다문화 음악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소수 문화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발견하고 활발한 소통과 피드백, 자기반성을 거치며 협력과 갈등 해결의 올바른 자세, 존중, 공존, 화합 등의 다문화의 정신적 가치를 배울 수 있다. 또한 다문화 음악을 둘러싼 맥락을 자연스럽게 습득하며 음악 만들기 활동이 주는 깊이 있는 음악에 대한 체험을 통해 음악적 사고와 지식을 발달시키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을 적용한 대중음악 수업지도안

        천미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 현대 사회는 정보화 사회, 지식 기반 사회 등으로 발전되어가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음악 교육도 변화하는 사회에 발맞추기 위하여 많은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음악 교육학자 엘리엇은 자신의 저서 『Music Matters』를 통해 현재 음악교육을 위한 새로운 음악 교육철학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음악적 행위의 교육적 가치, 음악 문화에서 맥락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을 제시하였다. 엘리엇은 ‘음악하기(Musicing)’라는 용어로 음악의 본질을 설명하였으며, 음악하기는 반복, 습관, 기술과 같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깊이 있는 음악적 사고가 필요한 행동이며 이를 통한 음악성 발달이 음악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을 바탕으로 음악의 실제적 경험의 중요성과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방법을 탐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대중음악을 활용한 음악 수업지도안을 제시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음악 교육학자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을 적용하여 실제적인 경험을 통한 음악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이를 통한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도록 연구하였다. 둘째, 대중음악의 장르 중 연구자가 다루게 될 로큰롤, 힙합, 재즈는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미국 흑인의 전통적인 음악적 배경으로부터 발전하여 그 시대의 사회적·문화적 맥락이 학습에 있어 교육적인 가치를 지닌다고 판단된다. 셋째,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을 적용하여 대중음악의 장르 중 로큰롤, 힙합, 재즈를 활용한 총 4차시의 음악 수업지도안을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제시하였으며 1차시에서는 로큰롤의 발생에 영향을 준 흑인의 블루스와 백인의 컨트리 음악에 대해 알아본 뒤 주어진 제재곡의 특징인 반복적 리듬을 학습하고 신체 악기를 이용하여 함께 불러보는 가창 중심수업을 제시하였다. 2차시에서는 힙합의 발생에 영향을 준 1950년 미국의 경제적·시대적 배경을 알아본 뒤 랩의 구성요소를 이해하여 이를 적용해 가사를 만들어보는 창작 중심수업으로 구성하였다. 3차시에서는 재즈를 활용한 가창 수업으로 재즈의 발생에 영향을 준 뉴올리언즈 중심의 흑인들의 시대적 배경을 알아본 뒤 재즈의 음악적 요소들을 활용하여 주어진 제재곡을 통하여 스캣의 음절을 변형해 가창해보는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4차시에서는 재즈의 기반이 되는 블루스의 코드 진행과 스케일에 대해 알아본 뒤 주어진 제재곡에 블루스 음계의 특징을 활용하여 스캣을 창작해보는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을 바탕으로 각 대중음악 장르들의 특징적 요소의 이해와 함께 직접적인 음악적 활동을 통한 경험과 각 장르의 사회·문화적 맥락의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한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수업지도안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가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실천적인 수업 형태에 보다 앞장서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음악 수업 활성화에 도움을 주기를 바라며 또한 다양한 사회적·문화적 수용과 이해에 폭넓은 세계관 확립에 도움을 주길 기대해본다.

      •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전통음악 교육방법 연구 : 초등학교 5학년 전통음악 제재곡을 중심으로

        한의진 용인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사회는 정보화, 세계화 사회로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학교 교육도 새로운 개정이 요구되고 있다. 전통음악 교육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교육법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새롭게 개정되어야 할 전통음악 교육은 무엇보다도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켜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유도하고, 더 나아가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자기 학습 태도에 의하여 학습자의 소질과 능력이 배양 또는 신장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 아래 현대 음악교육론중 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오르프 교수법을 전통음악 교육에 적용하려한다. 오르프 교수법은 우리의 생활 주변(언어, 동작, 놀이 등)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을 음악소재로 보고 흥미중심의 창조적인 음악관을 길러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오늘날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어 전통음악 교육의 활용 방안으로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논문은 첫째, 관련 문헌과 논문을 근거로 오르프 교수법의 이론적 배경과 활동방식을 알아보았다. 둘째, 현재 5학년 음악교과서의 전통음악 제재곡과 교육 목표를 분석하고, 오르프를 활용한 전통음악 교육법의 구성 단계를 고찰 하였다. 셋째, 음악과 수업의 중심활동은 크게 기악 가창 창작으로 나누어지는데 이중 가창과 창작지도에 오르프 교수법 활동 방식의 특징인 ‘말하기(말 리듬놀이)’, ‘노래 부르기’, ‘신체 표현’을 활용하여 전통음악 교육법을 만들고,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악지도에는 오르프 교수법의 ‘즉흥연주 및 악기 연주’를 활용한 전통음악 교육법을 만들어 보았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 오르프 교수법의 다양한 학습활동을 활용하여 전통음악 교육의 다양성을 제시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전통음악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활동방식의 특징인 ‘말 리듬 놀이’, ‘노래 부르기’, ‘신체 표현’을 활용한 교육법으로 제재곡의 리듬을 몸으로 느끼며 보다 쉽게 제재곡을 이해하고 익힐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악기 탐구를 통하여 전통 악기연주에 대한 흥미를 촉진 시키고 음악을 직접 만들고 참여한다는 인식을 통하여 음악활동의 주체가 됨을 느끼게 될 것이다.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지도안 개발로 일반 교사들도 이를 활용하여 전통음악 수업이 용이 하도록 돕고, 이로 인해 전통음악 교육의 활성화를 가져 올 것으로 본다. Globalization is changing our modern world rapidly. In order to keep pace with others, school education also has to be reformed. Particularly, improving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is not an option, but a necessity. Indeed, it has to help students learn traditional Korean music by entertaining them and interesting them in developing their new abilities. The education should allow them to embracing musical experiences. This research adapts the Method of Teaching Music by Orff-Schulwerk into The Method of established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His approach to music education is based on his belief that the easiest method uses material from our living circumstances, such as our language, movement and play. This encourages students to learn music by having fun and following their interests. For this research, I first gathered information related to Orff’s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usage. Second, I connected his method of teaching music with the method found in the textbook for 5th grade traditional Korean music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m. Third, I adapted his ideas into our system. As a result, I created a music method that is more interesting and easy to understand. I hope that my thesis is useful and practical for many educators in their class room.

      • ‘파우스트’를 소재로 한 문학·음악 교과 연계 감상 지도 방안

        정희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의 빠른 변화에 따라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선별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종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오늘날 학교 교육의 중요한 능력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는 교과 연계 수업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종합적으로 다루어 다양한 현상에 창의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교육을 제안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음악을 중심으로 한 다른 예술 영역 및 교과와의 연계 내용을 근거로 하여 음악과 문학 교과를 연계한 감상 지도 방안과 교수 자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악교과와 문학교과는 예술영역이라는 관점에서 학습자의 다양한 시각과 소통을 중시하며, 한 시대의 문화와 관습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유산으로써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두 교과의 연계는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시키고, 사회현상을 간접적으로 체험함으로써 반성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를 일깨울 수 있도록 하며, 타인의 느낌을 수용하고 이를 자신의 주관적인 표현방법으로 재창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위해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의한 7종의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음악과 문학의 연계학습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문학교과에서는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신설된 ‘한 학기 한 권 읽기’단원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작품을 읽고 토론하며 작품에 대한 이해와 자아성찰을 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음악 교과서 내에 수록된 작품 중 빈도수가 높은 리스트의 <파우스트 교향곡>을 중심으로 그와 같은 소재로 창작된 구노 오페라 <파우스트>와 슈베르트 <물레 감는 그레첸>을 제재곡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세 작품들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준 괴테의 「파우스트」를 문학교과의 학습내용으로 선정하여 음악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6차시의 지도방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문학과 연계한 음악교과 수업의 지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과 감상 지도 방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음악과 문학작품에서 연계 지도가 가능한 학습 요소를 찾아 관련 내용을 조사하였다. 둘째, 1차시와 2차시는 구노 오페라 <파우스트>를 중심으로 문학작품과 오페라의 내용흐름을 통해 가사와 언어적 표현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3차시와 4차시는 슈베르트 가곡 <물레 감는 그레첸>을 중심으로 시와 가곡의 언어결합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음악적 표현성에 대해 학습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5차시와 6차시는 리스트 <파우스트 교향곡>를 중심으로 문학작품과 교향곡에서 보여주는 등장인물 성격 비교를 이해하고 앞서 학습한 두 곡과 다르게 가사가 없는 기악곡으로써 감상 시 선율로 표현되는 음악에 집중하여 다채로운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개발하였다. 셋째, 문학과 연계된 음악 감상 지도가 단순히 감상활동에서 멈추지 않고 학생들의 창의성과 음악성을 개성에 따라 표출할 수 있도록 감상활동을 중심으로 가창 및 창작 활동을 제안하여 학생들이 직접 주관적인 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하고 개인의 내재된 표현력과 창의력을 표출할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음악에 대한 시각을 확장시키고 나아가 학습자들의 음악성과 감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