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 : -만 5세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이은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Korea’s economic development has spurred an increase in immigration, with immigrants amounting to nearly 2.8 percent of today’s population. As a result, there have been nation-wide measures taken to encourage multicultural cohesion. Music, in particular, has been a useful tool for building a sense of community among groups of people. Music is embedded with history, politics, religion and everyday life, making it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The relevance and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s especially important in early childhood, when children begin to form their own value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 development,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music is the most organic and yet effective way to help children understand and respect diverse cultures. Previous research, however, have primarily been focused o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levels, despite the predominance of infants among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Consequently, the objective of the following study lies within observing the current state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seeking ways to improve it, utilizing phone interviews, e-mail correspondence and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dditionally,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policies, instructor training program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guidelines detailed in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which has been the standard set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instructor guidelines shown in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Korean music” is given a weight of 7.9 percent in the Korean curriculum and most of the musical activity consists of singing. The limited variety of activities appears to be insufficient for learning and appreciating traditional Korean music. “World music,” on the other hand, is given a weight of 9.4 percent and while the planned activities for world music are more extensive, the suggested frequency of these activities were deemed very low. In order to implemen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t a consistent rate, we must develop music containing pertinent content that helps children understand and appreciate diverse cultures. In-depth programs that can guide teachers on how to discern which foreign musical instruments to place in the classroom or develop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need to be established. There should also be a training system in place for instructors that can expand the number of training courses available to pre-elementary school instructors, but also create new training programs tailored to teaching children from younger ages. For future research to complement this study, a field survey on current practices of government education organizations and their effect on instructors around the country will be extremely valuable. Additionally, I recommend an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ages 3-4, and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levels in order to develop a more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 유아음악감상교육의 현황과 유리드믹스 음악 감상지도법 연구

        유경미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Not only the teachers who teach music but also the ones who teach children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music education of young child .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eaching music to young child is musical environment, and this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idea that we should focus on child rather than music.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 desirable course of music education of young children and to provide a basis for music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teacher's recognition for music education of young children and actual conditions for education of appreciation of music. This study is based on the opinions of 141 teachers in Inchon and Kyung-Ki are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below. The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music education, they highly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of young children, and the reason for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they considered was that music could facilitate development of emotion. They recognized that the music education of young children should be given from the prenatal period and that musical talents of young children would be influenced by innate factors and learned factors. Th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10-20 minutes of music class per day ranked the highest. The content of the music class consisted mostly of sight-singing. The third, Pieces used during clas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hildren's interest and familiarity. Teachers who preferred to use classical pieces for their class selected pieces from the Modern Period. Vivaldi's "Four Seasons" ranked the highest. In comparison with the volumes. Korean traditional music were also frequently used. In general, the lack of time spent in appreciation during music class was the leading factor in limiting the children from exposing themselves to various genres. Furthermore, studie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seemed scarce. Therefore, compilations and references containing various genres of music for the children and the teachers must be improved and enhanced. The last, Listening music by young children could be possible when the children could listen, and the concept of the music could be learned by physical expressions. Among the Kodaly, Orff, Dalcroze approaches that can help understand the concept of music with physical expressions. Eurhythmics's Music Instructions, one of the Dalcroze approaches was suggested, to help teachers understand the instructional method of listening music by young children. So for better listening to music education, we hav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stening to music and try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Also we need to study much and develop training programs for music teachers to improve listening to music education. In addiction to this things, we have to make good environment for listening to music together with the education of listening to music outside music classes, in daily life.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관심은 음악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뿐만 아니라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모든 사람들로 확대되어지고 있다. 유아들에 있어서 음악교육의 열쇠가 되는 것은 음악환경이며, 가장 중요한 것은 유아기의 음악교육은 음악이 중심이 아닌 유아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마인드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음악 감상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유아 음악 감상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유아 음악 감상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과 경기지역의 유치원 교사들로서, 설문지를 각각 250씩 돌렸으나 회수된 설문 중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한 141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해 유아교사는 중요성과 필요성을 높게 생각하고 있으며, 유아 음악교육이 필요한 이유를 정서발달을 도모하기 때문이라고 인식하였다.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만족감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의 음악적 자질은 선천적 요소 및 후천적 요소 모두 영향을 받는다고 인식하며, 유아음악교육은 태아기 때부터 시작해야 하고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관심이 유아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둘째, 유아기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하루 중 음악 수업시간은 대체로 10~20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가창수업 위주로 시행하고 있었으며, 가장 부족한 수업은 창작수업이며 유아들이 선호하는 수업은 기악수업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관의 감상 수업의 비율은 30%미만이었고, 감상수업을 위한 곡목은 유아의 친숙도와 교사의 소장 자료를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교사들은 클래식 음악의 감상을 위해 주로 근?현대시대의 곡을 선택하였으며, 가장 많이 사용한 곡목은 비발디의 사계였다. 전반적으로 음악시간 중 감상 수업의 비중이 낮아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접하는데 제약이 따랐고, 현장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국악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유아음악 감상곡목에 대한 체계적인 검증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의 감상 곡목들을 수록한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유아음악 감상은 듣기가 기본이 될 때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것을 신체로 표현할 때 감상곡과 관련된 개념을 체험을 통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음악적 개념을 이해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신체표현을 사용하는 Kodaly, Orff, Dalcroze 접근법 등에 있어 하나의 공통된 방법이며 현장 교사들의 유아음악 감상지도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달크로즈 접근법 중 유리드믹스 유아음악 감상지도법을 제시하였다. 보다나은 음악 감상교육을 위하여 우리는 음악 감상의 중요성을 인지해야 하며 효율적인 지도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우리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음악 교사들의 음악 감상에 대한 태도의 개선을 위해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을 고안해야 한다. 이러한 것들이 덧붙여 우리는 교실 밖의 일상생활에서도 음악 감상교육에 따라 음악을 함께 감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 이다.

      • 중국의 초급중학교 7학년 음악교과서 연구

        박미숙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중국은 한국과 지리적,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 따라서 요즈음 중국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교육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며 특히 음악교육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급중학교의 음악교과서를 연구함으로서 중국의 음악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데 있다. 연구의 기초로 중국의 학교교육제도와 학제, 교육과정 등에 관하여 알아보았으며 중국의 음악교육 현황과 초급중학교의 음악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통해 교과서의 분석 방법과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기초연구를 근거로 하여 중국의 초급중학교 음악교과서를 해석·분석하였다. 본론에서는 교과서 분석에 앞서 중국의 교과서 정책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연구의 핵심인 초급중학교 7학년 음악교과서 2권의 외형적 체재와 내용 체계를 먼저 살펴보고 교과서 내용을 원문 그대로 해석·분석하였다. 교과서 내용은 교과과정에서 제시한 노래부르기, 감상, 리코더연주하기(기악) 등의 영역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소제목들은 별도로 다시 분석하였다. 영역별로 제시된 곡의 제목을 해석하고 작곡가, 작사가, 조성, 박자, 빠르기, 국적, 악곡 형태, 가사의 유무 등을 살펴보았으며, 소제목들은 재미있고 특이한 것은 해석한 내용과 그림을 함께 제시하였다. 중국의 초급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소개함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음악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기를 바라며 또한 이 연구가 한국의 음악교육과정과 음악교과서 개선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이 연구가 중국의 음악교육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와 한국의 음악교육과정과 음악교과서 개선에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China is very closely related to Korea geographically and historically. Therefore, it is conservative to say that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China done by Korea, China's closest neighbor country. However, despite those researches, there is not much of information on Chinese Education. Especially, Music Education is exclusively lack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 about Music Education of China by exploring a Music textbook for middle school students. As the basis of this study, an overall Chinese educational system, the present condition and Music course curriculum of Chinese education are examined as well then, groped for the way of analysis and direction of the textbook by previous study. In the body, the policies of Chinese textbook are inquired into. Also, the form and the substance of two volumes of the Music textbooks for Gr.7 are dealt with, which can be the core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text are composed of kinds of songs, appreciation, musical instruments, etc.. and subtitles are examined in a separate way. For easier understanding, there are descriptions of each theme of the songs as well as composer, lyric writer, tonality, meter, tempo, nationality, form of a tune, existence of the lyric and so on. Pictures are good visual aids for some of unique and funny songs. By introducing Music textbooks of Chinese that are for middle school students, hopefully many people concern Chinese music education and lively research on it. In addition, this study helps continue improve for Korean Music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 감상 영역의 효율적인 지도방안 연구 : 리듬지도를 중심으로

        이재숙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모든 음악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는 리듬은 가락, 화음과 함께 음악예술을 구성하는 기본 3요소로서 리듬의 이해는 음악을 이해하는데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리듬은 음악예술 뿐만 아니라 모든 예술의 구성요소이며 음악교육에서 소홀히 다룰 수 없는 중요한 것이다. 초등학교 과정에서 리듬처럼 기본적인 요소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감상수업에서 중시해야 할 내용이며, 음악교육은 가창과 기악, 감상등 전 영역에서 자연스럽게 리듬감을 습득하도록 해야 하며 소홀히 다루어져서는 안된다. 이에 본 논문은 단순히 듣고 이해하는 소극적인 활동을 탈피하고 음악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리듬감 향상의 기회를 통하여 음악감상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 문헌적 고찰을 통해 리듬 학습에 대한 이론적 원리를 검토하여 리듬지도를 중심으로 하는 효율적인 감상 지도 방안을 연구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감상수업에서 효율적인 지도방안은 특별히 리듬지도에서 국한시켰으며 리듬변화와 감상곡과의 관계를 연관시키는 방안으로 하였다.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학생의 음악적 성장특징에 대한 피아제의 이론과 감상 및 리듬교육과의 관계, 감상활동과 리듬지도 등을 알아보고, 달크로즈(Emile Jaques -Dalcroze), 코다이(Zoltan Koda'ly), 오르프(Carl Orff)의 리듬지도의 음악교육 이론을 살펴보고 세 학자의 공통적인 이론을 리듬학습에 적용하였다. 특히 달크로즈의 청음훈련을 통한 리듬과 신체의 신속한 연결을 감상학습에 도입한 유리드믹스, 코다이의 놀이 노래와 신체동작을 관련지어 박을 느끼게 하며, 음가음절을 통하여 리듬꼴을 익히게 하는 방법, 그리고 오르프의 친숙한 말들을 음악적으로 암송하게 하여 리듬을 체험하며 오스티나토, 카논, 론도형식을 통하여 리듬을 지도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세 명의 학자들이 주는 이론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리듬을 음악의 여러 분야와 함께 포괄적으로 지도하며, 신체동작과 언어를 사용하고 모든 리듬학습은 일련의 단계를 가지고 지도되어야 하며 다양한 음악 경험을 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위의 이론을 바탕으로 제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5·6학년의 교과서에 나오는 음악감상 단원 중 서양음악 감상단원 8곡을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은 곡명, 작곡가, 작곡가 사상, 곡의 지도 방안과 각 곡의 주요 리듬의 지도 내용을 찾아보았다. 5학년 교과서의 베토벤이 작곡한 '엘리제를 위하여', 헨델의 '할렐루야', 드뷔시의 '바다', 로시니의 '윌리암텔 서곡' 과 6학년 교과서의 비발디의 '봄', 라벤의 '볼레로', 하이든의 '놀람교향곡', 베토벤의 '운명교향곡'등을 분석하였다. 효율적인 감상지도 방안을 위하여 7차 교육과정의 감상학습 체계와 효율적인 감상학습의 원리와 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감상곡에서 리듬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부분을 발췌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만들었다. 지금까지 살펴 본 연구를 토대로 종합해 본 감상 수업에 있어서 리듬지도 방안의 관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듬학습은 수동적이 될 수 가 있기 때문에 신체를 이용한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하여 적극적인 감상활동이 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발달단계에 맞는 리듬학습 내용과 지도방법이 실시 되어야 한다. 셋째, 감상학습에 있어서는 리듬에 대한 특징이 있는 악곡에서 주요리듬과 리듬변화, 발전관계를 익히게 한다. 넷째, 리듬 학습은 음표이름을 외우게 하거나 소리의 길이만을 강조하는 이론적 리듬학습이 아니라, 리듬의 빠르기, 셈여림, 박자등 우리주위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으로 해야 한다. 리듬지도에서 더욱 보안되어야 할 점은 악곡의 구성요소에 관심을 갖고 능동적 적극적인 감상활동이 될 수 있도록 교사의 의도적 동기가 필요하며 이 논문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다양한 방법들이 좀더 구안되어 현장에서 교사와 어린이들에게 효과적으로 적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감상활동에 의한 미적 체험활동을 통해 음악의 가치를 판단하고 보다 바람직한 음악적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질 것을 기대한다. Rhythm, the most basic element in all forms of music, is one of three fundamental factors that forms musical arts along with a tone and harmoly. Thus, it is understand what rhythm is in order to understand music. It is not only an important factor in musical but all forms of arts, which must be emphasized in music lessons. It is necessary to put important value in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of basic elements such as rhythm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during the musical appreciation lesson. Music education must motivate students to obtain their sense of rhythm in all areas such as a song, instrumental music, appreciation and etc, which must be valued. Therefore, a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orm effective musical appreciation lesson through an opportunity of improving a sense of rhythm, the most important musical element, away from passive activity of simply listening and understanding the music. Through document investigation, we have studied about theoretical ideas of rhythm unit to investigate about an effective musical appreciation instruction guidance focused on rhythm lessons. In this research, an effective guidance measure in musical appreciation lesson was specially limited to rhythm lessons and we have applied a method of l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hythmical change and musics to be appreciat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we have investigated about a relationship between Piaget's theory about musical growth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hythm education, appreciation activity and rhythmical instruction. We have also studied about the theory of musical education of rhythm instruction of Dalcroze, Kodaly and Orff. Then, we have applied common theories of three scholars. Particularly, we motivated students to feel the rhythm in relevance to Eeurhythmics, which the immediate connection between rhythm through ear training, and body of Ddalcroze was induced to musical appreciation lesson and Kodaly's singing and body movements. And we have used a method of letting students get familiar to the rhythm by motivating them to musically memorize familiar words of Orff for the students to experience the rhythm. And we have investigated about a method of instructing rhythm through ostinato, canon and rondo forms. What the theories of three scholars stated above emphasizes is that rhythm must be instructed inclusively along with many different fields. Also, body motions and language must be used and all rhythm lessons must be conducted in a series of stages. Lastly, students must have many different forms of musical experiences. Based on the theory above, we have analyzed eight musics in western music appreciation unit in testbooks of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of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We have investigated about the title, composer, ideas of composer, instruction measure for each music and instruction content of main rhythms of each song. We have analyzed 'Fur Elise' of Beethoven, 'Hallehuiah' of Handel, 'La Mer' of Debussy and 'Overture "William Tel"' of Rossini in fifth grade textbook and 'La Primavera (Spring)' of Vivaldi, 'Bolerl' of Ravel, 'Symphony No.94 in G "Surprise"' of Haydn, 'Symphony No.5 in C 'Schicksal' of Beethoven and etc. To come up with an effective music appreciation guidance measure, we have investigated about the system of appreciation learning of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ideas and methods of effective appreciation learning. Then, we have excerpted parts with remarkable rhythms from the music to come up with curriculum for music lesson. Following are the viewpoints of rhythm lessons in music appreciation less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First, rhythm lessons may become passive thus it is necessary to drive active appreciation activities through different activities using the body. Second, rhythm lessons contents and instruction measure adequate for the grow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st be conducted. Third, in terms of the appreciation learning, students must be motivated to learn about main rhythm, rhythmical change and development relationship in musics with rhythmical features. Fourth, rhythm lesson is not a theoretical lesson making students to memorize the musical notation or emphasizing the length of the sound but must be diverse music which we can approach in our surrounding such as velocity of rhythm, dynamics, rhythm and etc. Teacher's intentional motivation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elements of the music and to perform active and progressive appreciation activities and many different methods that had not been handled in this researched must be designed in the future for effective use on the site of musical education. We expect students to be able to judge the value of music through aesthetic experiment through appreciation activity and to develop an ability to adap to a correct musical environment.

      • 루소의 음악교육사상을 통해 본 중등 음악 교육의 문제점과 현실적 접근에 관한 연구

        천미란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18세기 『에밀』 을 중심으로 자연주의 교육사상을 주장한 루소는 그의 교육사상적 기반을 자연주의와 자유주의에 두고 교육의 방향을 보다 인간중심적인 것으로 확립시키고자 하였다. 루소의 교육사상의 요점은 교육에는 자연이 정하는 순서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위한 교육방법으로 강제성이 없는 교육, 즉 소극적 교육을 강조한다. 또한 교육이란 인간존중에서 비롯된다고 하여 아동의 생환을 중심으로 아동의 흥미와 본성을 존중하고 그것을 자유롭게 신장시키는 것을 근본이념으로 한다. 루소는 전인교육을 위한 음악교육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 중요성을 역설하였으며 음악교육에 있어서도 자연주의적 입장을 취하여 아동 스스로가 자유롭게 창의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교육을 강조하였다. 그가 제시한 음악교육방법 중 독보력, 계명창법, 숫자보 등은 오늘날까지 중요한 업적 이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루소의 음악교육사상은 이후 인류애를 바탕으로 하는 범애파에 의해 계승되어져 바제도우가 세운 범애학교에서 적극적으로 실천됨으로서 음악이 가진 교육적 가치를 올바르게 정립할 수 있게 되었고, 19세기 페스탈로치를 중심으로 한 신인문주의에 이르러 근대적 의미에서의 음악과 교육의 관계를 인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헤르바르트, 프뢰벨, 달크로즈, 칼 오르프 등에 의해 계승되어 오늘날 교육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루소의 교육사상은 당시의 지나친 합리주의를 비판하고 인간교육을 강조함으로서 오늘날 인성교육의 부재라는 우리의 현실을 되돌아보게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목표는 전인교육을 지향하고 있지만 주지주의적이고 획일적인 교육으로 인해 조화로운 인격형성을 목표로 하는 전인교육은 이루어지지 않고, 입시로 인해 음악을 비롯한 예술교과는 외면되어져 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속에서 보다 발전되고 의미있는 음악교육을 위해서는 새로운 연구와 개선이 절실히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음악교육과정을 살펴보면 교육목표는 바람직하게 제시되어왔지만 실제적인 음악교육에는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루소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인교육을 위한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고, 그의 사상이 우리나라 중등 음악교육에 미친 영향을 연구함으로서 중등 음악교육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에 따른 현실적 접근을 시도하여 음악교육이 조화로운 인격형성을 위한 음악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J. J Rousseau who had maintained the naturalism education thought on his famous 『Emile』 at the 18th century has foundation of education thought in the naturalism and liberalism, it attach great importance to human sense and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Rousseau insisted that there is a natural odor of human development, which education should respect. Therefore his educational methods for it are less compulsory that is emphasis the negative education. And Rousseau claimed that the education arise from resfecting man's life and dignity. Rousseau acknowledged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as a way of whole man education so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t. In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he also emphasized the role of education that encourages children to develop their creativity by themselves. Reading music ability, syllable names spearmanship and numerical map have been his important achievements till now. Music education thought of Rousseau like this succeed to an educator of philanthrophy school established by Basedow at 19th, in the period of neo-humanism that focus on Pestalozzi have influenced recogniz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education in modern meaning so much. And his music educational method and practice succeed to Herbart, Fro¨bel, Dal croze, Carl orff is applied to current education. As you know from this point pf view, educational thought of Rousseau which criticized the excessive rationalism of those time and put emphasis on humanistic education, leads us to reflect our reality of beiog absent of humanistic education. Even though educational objectives of Korean aims at education for well-balanced and well-rounded person, but it is not realized in this actual site of Korean classroom owing to the intellectualistic and uniform education. Foremore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makes students disregards the subjects like music or art. In our education system, it is required for educators to research and improve education system and main idea of proper and meaningful education. When we review education system up to now of Korea? education ministry, even if the education aim has been desirable and ideal, the essential meaning and purpose was far from what students may typically experience in the music classroom. By reviewing the influence of his thought upon Korean secondary school education and the controversial point, we will understand the fact that we do teach music shows that there is a enduring value placed on music in our culture: a value, which, while meaningful for many different reasons and in many different ways to various groups and individuals, has a central origin and destination within our emotional and intellectual human experience.

      • 부산지역 초등학생의 피아노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이성경 동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예술교육의 일환으로써 음악교육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성장과정에 있는 초등학생의 전인적인 교육의 한 부분으로써 그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또한 음악교육의 기초로써의 피아노교육은 아동들에게 음악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며 아름답고 조화로운 인격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기에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초등학생 대부분의 피아노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음악학원(교습소)에서는 이러한 교육의 목적을 외면한 채 양적인 팽창만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피아노교육의 목적을 이루고 질적인 성장으로 나아가기 위해 피아노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진단하고자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부산지역의 음악학원(교습소)에 다니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300명과 지도교사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에서는 음악학원(교습소)에서의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피아노를 배운 학생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는지, 부모와 학생은 피아노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얼마나 인식하고 있는지, 어떤 교사가 필요한지, 음악학원(교습소)의 교육여건과 환경이 어떠한지 등을 살펴보고자 학부모를 대상으로한 설문지 17문항과 지도교사를 대상으로한 설문지 22문항으로 작성하였고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부모와 피아노교사는 피아노를 배우는 학생들이 음악에 대한 관심과 연주의 즐거움 즉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충분한 연습시간과 레슨시간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음악학원(교습소)에서는 학생들이 폭넓은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피아노 그룹활동, 성악, 현악, 국악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피아노교사는 학생들의 음악활동 결과에 대해서도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을 가지고 평가를 해야하며 이를 통하여 학생의 잘못된 부분은 고치고 부족한 부분은 보완함으로써 효율적인 학습결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음악학원(교습소)의 교사들은 올바른 교육철학과 신념을 가지고 사랑과 애정으로 학생을 가르쳐야 하며 교수능력 향상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연구자의 태도를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음악학원(교습소)에서는 시설과 설비에 대한 개선과 적극적인 투자를 통하여 학생들이 최적의 학습공간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제공해야 하며 이로써 초등학생 피아노 교육이 한 걸음 더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necessity of enlightening education required in our country's education processing, the gravity(importance) of art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day by day. Moreover, in the way of art education, piano education has been taking important part to give possibility for children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and build pu symmetrical personality through music. But our reality music institutes which take its parts spend their whole considering in pursuit of quantitative growth then quality. Therefore, to establish the aim of piano education and grow up in quality, it is necessary for us to know and diagnose the actual condition of its education. Survey for its study has been done by 3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who go to music institutes in Busan and 50 tutors. This survey consist of 17 questions for parents and 22 questions for tutors to know about following contents, 1) How their education is built up by music institutes. 2) What kind of changing happened to them 3)How recognize the necessity of piano education both parents and students 4) What kind of tutors needed 5)About the condition of education and circumstances The results of this survey handles with percentage. Through this survey I can get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children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invest their time to enjoy with it. Second, music institutes have to give various programmes to students to experience lots of music. Third, it is necessary for tutors to develop their teaching method and self-improve. Fourth, there is the objective and definite appraisement regard with musical activity of students and understanding. The last, there is invest and improvement for equipments and facilities of music institutes.

      • 엘리엇(D. Elliott)의 실천적 음악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한 기악 합주 지도안 연구 : 중학교 2학년 오카리나와 우쿨렐레 합주를 중심으로

        육미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엘리엇의 실천적 음악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한 오카리나와 우쿨렐레의 기악 합주 지도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엘리엇의 실천적 음악교육 철학을 반영한 다양한 기악 합주 지도안들을 조사하여 기존의 연구들과는 차별성 있는 엘리엇의 5가지 음악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 기악 합주 수업지도안을 연구하였다. 엘리엇의 실천적 음악교육 철학을 반영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리코더나 단소, 소금 등의 한 가지만으로 구성된 기악 합주의 형태이거나 악기 체험의 기회에 그친 기악 합주 지도안의 형태가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생들에게 악기 선택의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배우고 싶어 하는 악기의 선호도의 결과에 따라 가락과 리듬의 학습을 동시에 만족 시킬 수 있는 오카리나와 우쿨렐레를 통한 기악 합주 지도안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엘리엇의 실천주의적 음악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하여 엘리엇이 주장하는 맥락적 이해와 음악성 발달을 위한 5가지 음악적 지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5가지 음악적 지식을 적용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여 수업에 활용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엘리엇의 철학을 적용한 수업지도안에서 나타나는 긍정적인 면과 보완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엘리엇의 5가지 음악적 지식을 적용한 기악합주 수업지도안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엘리엇의 실천주의적 음악철학을 바탕으로 한 기악합주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이 음악을 더욱 가깝게 느끼고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문화와 음악과 음악작품에 대해 알 수 있게 되었으며 다문화 사회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역사와 문화 그리고 여러 나라의 음악들을 접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혼자서 연주하는 독주보다 친구들과 함께 연주하는 합주활동을 선호하며 이러한 합주활동이 기악을 학습하는 학생들의 성취감과 만족감을 높여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악수업에서 교사가 직접 연주하며 시범을 보여주고 악기를 지도하는 것이 학생들의 집중도와 흥미를 높여줄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자가 작성한 엘리엇의 5가지 음악적 지식을 적용한 기악합주 수업지도안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음악성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이어 음악교육 현장에서 조금 더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는 수업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가 음악교사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n instrumental ensemble teaching plan for eighth graders playing ocarina and ukulele, based on D. Elliott’s paraxial music education. Therefor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instrumental ensemble teaching plans that applied Elliot’s praxial music education and studied differential factors of instrumental ensemble teaching plan based on Elliot’s five musical knowledges from existing studies. Researches based on D. Elliott’s praxial philosophy of music which were done in the past mostly focused on a single ensemble of Recorder, Danso or Sogeum, or an opportunity where students could shortly experience some musical instruments. However, in this research, the approach was different. Teachers and students were first given the chance to choose their own instrument. Then, according to the students’ preferences, the teaching method of ocarina and ukulele where students could learn both musical tunes and rhythm was researched. The research takes a close look on five musical knowledges for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musicality development argued by Elliot on the basis of the praxial music education for research method. Also, the research utilized the teaching plan applying five musical knowledges and analyzed the positive effect and enhancing points. The results of instrumental ensemble teaching plan applying Elliot’s five musical knowledge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well understand and feel more closely about the music through instrumental ensemble based on Elliot’s praxial music education. Students were able to be well informed of the various cultures, music and musical pieces. Also, they could have interest on multicultural society and experience diverse history, culture and music from many countries. Secondly, it was verified that students prefer ensembles where they play the musical instruments together with friends, than solo in which they have to practice alone. Ensembles also increased the students’ sense of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 In addition, students’ concentration levels and interests could be boosted when the teacher personally demonstrated the musical performance before the actual teaching. Thir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ing plan utilizing Elliott’s five musical knowledges was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interests and developing their musicality. Lastly, it is hoped that various new methods of teaching in the musical field are carried on after this research, inspiring and helping music teachers and students.

      • 중학교 자유학년제 음악활동에서 소리교육 기반 프로젝트 학습 개발 연구

        박주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음악은 전형적인 화성에서 벗어나 전위적인 방법으로 사상과 생각을 표현한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음향이 매우 강조된다. 이는 음악의 본질인 소리에 집중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음악이 이처럼 소리에 집중하면서 일상의 소리를 기반으로 하는 소리예술도 발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학교 음악수업은 여전히 18-19세기의 서양예술음악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제 음악의 흐름에 맞춰 다양한 소리교육을 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소리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을 둘러싼 소리환경을 인식하고, 소리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소리탐색은 해당 지역의 자연, 환경, 종교, 역사 등을 담고 있어 소리를 통해 많은 것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소리는 주관적이며, 동일한 소리라도 문화에 따라 각각 다르게 규정될 수 있다. 더불어 학습자 개인의 소리 표현 및 기록을 통해 그들의 적성과 흥미를 탐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소리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소리교육은 이처럼 음악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극대화 한다. 극대화하여 학습자에게 시대 변화에 따른 음악적 가치관과 음악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갖게 만든다. 음악에 대한 새로운 생각은 기존 가치관을 깨트려야만 가능하다. 기존 가치관을 깨트리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는 음악교육이 지향하는 목적과도 부합한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에서 소리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학습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프로젝트 학습방안 연구는 자유학년제 음악활동을 위한 것이다. 자유학년제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함께 도입된 자유학기제를 시작으로 활성화 되었다. 자유학년제는 학습자의 흥미와 의사를 반영한 수업을 중심으로 하며, 적성과 진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창의적・능동적 문제 해결 방식을 학습하게 된다.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세는 미래지향적 역량함양 요구를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자유학년제는 기존의 교사 중심의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 참여형 수업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자유학년제에 적합한 학습방법으로 프로젝트 학습을 제시한다. 프로젝트 학습은 실생활과 가까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서로 협력하는 학습 방법이다. 프로젝트 학습은 학생 중심이며,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것을 강조하는 등 자유학년제와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소리교육 기반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준비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교사가 교육과정을 고려한 소리교육 목표를 설정한다. 목표 설정 시 교사가 소리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둘째, 시작 단계에서는 ‘듣기’를 배우며 모둠별 주제를 선정한다. 셋째, 새로운 소리를 탐색하고 채집하며, 소리로 표현하고 직접 음악을 만들어본다. 마지막으로 정리단계에서는 만든 음악을 발표하고 전반적인 프로젝트 학습을 평가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기대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들의 음악적 사고 확장, 주변 소리의 특성 이해 및 새로운 소리 인식, 음악의 생활화 등이다. 연구를 통해 개발된 활동들은 학습자를 능동적으로 만들고, 음악적 사고를 확장 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