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재곡 중심의 음악수업을 보완하기 위한 교수·학습법의 연구와 제언

        김신철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를 살아가는 현재 우리는, 다양한 이론들을 기초로 하여 체계적, 통합적, 창의적이며, 우리교육의 현실에 맞는 실용적인 음악교육을 실시해야하는 중요한 시기에 있다. 음악교육 전문가들이 학교 교육에서 진행되고 있는 발전의 양상과 현대적 교수·학습법을 파악하고 개발하는 일은 중요한 과제이며, 교사들은 그러한 교육적 경향에 대한 전망을 가지고 학생들에게 맞게 지도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에 따라 대두되고 있는 ‘통합적 교수·학습법’, ‘생성적 교수·학습법’, ‘이해를 위한 교수·학습법’, ‘문제 중심 교수·학습법’에 대해 알아보고, 비교 분석하여 중등 음악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과 실제 적용시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점사항과 교수·학습법의 기본방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본 연구에 제시할 교수·학습법의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전통적인 제재곡 중심의 음악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지도안을 분석함으로써, 그러한 교수·학습법의 전개과정을 알아보고, 문제점이 무엇인가에 대한 선행 연구를 하였다. 셋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교수·학습법에 대해 알아보고, 수업 지도안을 중·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넷째, 연구한 수업 지도안에 따른 현실 수업에서의 장점과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앞서 제시한 기준에 적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섯째, 각각의 교수법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교수·학습법은 수업 적용시에 패턴의 학습을 기초로 이해와 활동 영역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지만, 교사에게 전문적인 연구를 필요로 하고, 참고용 지도서와 다양한 매체 및 자료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생성적 교수·학습법은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 스스로 음악적 개념을 인지하고, 수업과정 중에 심미적 경험을 할 수 있다. 한계적 요소는 잘 준비된 수업 계획안과 다양한 자료를 요구한다. 셋째, 이해를 위한 교수·학습법은 수업의 전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이해하는 개념, 과정, 기법의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다각적인 방향에서 주제에 접근하며 음악적 창의성과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한계적 요소로는 개개인의 지능을 파악하기 곤란하고, 평가의 공정성이 제기될 수 있다. 넷째, 문제중심 교수·학습법은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증가시키고,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협동심을 기를 수 있다. 하지만, 학습자에게 교과 외적인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고, 교사가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음악과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언 한다. 교과서의 제재곡에 의한 수업으로는 학생들이 창의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학교와 학생의 특성에 따라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가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사회가 요구하는 학생의 수준은 높아만 가고 있는데 반해, 우리 음악교육의 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국가 교육관련 기관과 음악 전문가 집단의 협력과 지원이 필요하다. 끝으로, 무엇보다도 교사의 연구와 노력,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학생들은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고 다양한 사고를 하고 있지만, 교사의 연구와 노력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교사는 지식의 전달체이자, 정보의 선구자임을 인식하고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여야 한다. 이러한 모든 노력과 연구가 결집될 때 우리나라 음악교육은 정상화 되고, 세계적인 수준의 교육이 될 것이다. We, living in 21st century, are in the period of carrying out practical music education which is systematic, integrative, creative, and appropriate to the reality of our education, based on various theories. It is important for music education experts to grasp and develop the aspect of development going on in our school education and moder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ers should try to teach students with a prospect about such an educational tendency. In this study, I'll examine ‘Comprehensive Music Learning Sequence’, ‘Generative Theory of Musical Learning’, ‘Teaching for Understanding’, and ‘Problem Based Learning’ risen by this tendency, and ,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find out methods applicable to middle school music education, potential problems at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m, and plans to get over them. The cour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 investigated the point and the basic polic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7th music curriculum, and presented that as the standard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I 'll indicate in this study. Second, by observing a traditional subject matter songs-based music lesson and analyzing the teaching plan of it, I studied the developments and problems of it. Third, I searched altern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investigated the teaching plan of it, based o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xt books. Forth, I analyzed the merits and problems in real lessons based on the teaching plan studied previously by applying the standard presented in advance versatilely. Fifth, I compared and analyzed eac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ynthetically.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class, ‘Comprehensive Music Learning Sequence' enables teachers to guide students in their understanding and activity unitively through pattern learning, but makes teachers to do professional study ,and lacks guide books for reference and a variety of media and materials. Second, ‘Generative Theory of Musical Learning' permits students to perceive musical conceptions by themselves, and have an experience of feeling through various music activities. The limit of this is to require well-prepared teaching plan and diverse materials. Third, ‘Teaching for Understanding'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conceptions, courses, and techniques presented in lessons and to improve musical creation and thinking power, approaching theme with diversified way. The problems are the difficulty for seeing each students' intelligence and the fairness of evaluation. Forth, ‘Problem Based Learning’ increases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about their learning, and enables them foster self-initiative learning ability and cooperation. But, it requires much extra time and efforts of students and may lead to results that teachers didn't intend. I'll suggest schemes for the improvement of music teaching and learning on the basis of this study. Lessons by subject matter songs-based music learning with textbooks are not enough to enable students to study creatively and self-initiatively. Therefore, in order to take lessons on characteristic of schools and students, textbooks and various guide books for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Our music education is in the very poor environment, while students' level the society requests is rising. The cooperation and support of the nation's education institutions and music experts groups is required. Finally, above all things, teachers' study and effort and recognitional change are needed. There is a case that students get much information through various kinds of media and have diverse thoughts, but teachers' study and effort doesn't come up with that. Teachers should manage changes swiftly, knowing that they are media of knowledge and pioneers of information. Our music education isn't normalized and isn't world-wide one until these all the efforts and studies are congregated.

      • 영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교수창의성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서현 창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교수창의성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창원시 지역에 소재 영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3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전체 배부한 320부의 설문지 중 308부를 회수하였고 이중 불성실한 답변으로 여겨지는 3부를 제외한 최종 305부를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자료분석은 SPSS 25.0을 이용하였으며, 영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교수창의성, 음악교수효능감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 아노바검증을 사용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음악적자아개념과 교수창의성, 음악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영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교수창의성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교수창의성, 음악교수효능감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영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은 연주, 가창, 자신감, 흥미 순으로 나타났다. 교수창의성에서는 확산적 사고와 행위, 동기와 동기유발, 개방성과 모호함의 허용 그리고, 집중하여 과제수행, 특정영역에 지식기반과 기술, 일반적 지식과 사고기반 순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수효능감에서는 음악교수결과 기대감이 음악교수능력에 대한 신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음악적 자아개념, 교수창의성, 음악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영유아교사의 담당영유아에 따른 음악적 자아개념, 교수창의성, 음악교수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유아교사의 근무기관에 따른 음악적 자아개념의 가창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효능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음악적 자아개념 전체와 가창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주와 흥미에서는 사후검증 결과 20대 집단이 30대, 40대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효능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음악적 자아개념의 하위요인인 연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수창의성에서는 인지적요인 전체와 개방성과 모호함의 허용, 인성적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수창의성 전체에서는 10년이상 경력교사가 4-6년 경력교사보다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음악교수효능감에서는 음악교수결과기대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음악적 자아개념 하위요인인 흥미의 사후검증 결과 전문대이하, 4년제졸인 교사가 대학원이상 교사보다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교수창의성에서는 확산적 사고와 행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사후검증 결과 4년제졸인 교사가 전문대이하인 교사보다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음악교수효능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취미에 따른 음악적 자아개념 전체와 가창, 연주, 흥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검증결과 주2회 이상 음악취미를 가진 교사가 주1회 음악취미를 가진 교사보다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교수창의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음악교수효능감에서는 음악교수효능감 전체와 음악교수능력에 대한 신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수경험에 따른 음악적 자아개념의 가창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수창의성에서는 교수창의성전체, 집중하여 과제수행, 동기와 동기유발, 인성적 요인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음악교수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교수창의성,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음악적 자아개념과 교수창의성의 하위요인인 흥미와 자신감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으며, 음악적 자아개념,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효능감의 매우 밀접한 상호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영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교수창의성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음악적자아개념과 교수창의성은 음악교수효능감을 33.6%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교수창의성이 음악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음악교수기대감과 음악교수능력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음악적 자아개념과 교수창의성은 음악교수결과기대감을 11.5%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적 자아개념과 교수창의성이 음악교수능력에 대한 신념을 41.7%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 및 음악교수효능감 관련 연구 : 중국 산동성(山东省)을 중심으로

        사명효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국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 및 음악교수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교사의 인식, 교육 실태 및 음악교수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여 중국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육정책지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중국 산동성에 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대상으로 총 400명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 및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본 조사는 2018년 4월 4일부터 4월 14일까지 총 10일 동안 실시되었다. 인터넷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Excel 2016,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를 처리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인식 및 실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과 카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는 One way ANOVA를 이용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중국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과반 수 이상의 교사들이 중요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유아음악교육 중요한 이유에 대해서 ‘유아음악교육은 전인발달에 매우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라고 많이 응답하였다. 유아음악교육 목적으로는 전인발달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많이 응답하였다. 음악교육 활동 지도에 대한 자신감 및 만족감의 대부분 교사들이‘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고 음악교육 연수에 대해서 과반수 교사들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국 유아음악교육 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음악교육활동에 관련 자료의 보유 정도에 대해서 교사들이 ‘보통이다’라고 많이 응답하였다. 유치원에서 보유하는 악기를 보면, 복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피아노, 키보드, 징, 리듬악기, 실로폰, 멜로디 순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육 환경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는 음악 활동 영역이 있지만 음악 활동 공간이 부족하다고 많이 응답하였다. 유아음악교육 활동 실시 및 방법에 대해서 결과는 대부분 교사는 주 2-3회 활동을 실시하였고 가정 많이 실시하는 활동은 노래 부르기이었다. 마지막 교사들이 음악교육활동 내용 선정할 때 가정 많이 고려하는 요소는 유아의 발달의 적합성이었다. 내용 구상할 때 많이 참고하는 교재는 표준보육과정이었고, 가장 많이 받은 도움은 동료 또는 선배 교사의 조연이었다. 셋째, 유아음악교육에서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을 조사한 결과는 개인적 효능감은 85점 만점으로 평균 59.16점으로 나타났고 음악교수 결과기대는 80점 만점 종 평균 61.01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음악교수 결과기대보다 개인적 효능감이 조금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개인적 효능감에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 연령, 학력, 경력, 전공,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를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담당 유아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음악교수 결과 기대에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 연령, 학력, 경력,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를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공과 담당 유아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eacher 's awareness education situation and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understand teacher' s perception and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China. In this research tr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arly children institutions of Chin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0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kindergarten in Shandong, China.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used to find out the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musical education of young children, situation and teacher' s music teaching efficac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4, 2018 to April 14, 2018 for a total of 10 day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via the Interne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Excel 2016 and SPSS 22.0 program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Kai verif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teaching efficac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as analyzed using One 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t was recogniz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on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were important. Second, as a result of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China, teachers responded that 'it is normal' about the degree of holding related data in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 the blessing is the most, followed by piano, keyboard, gong, rhythm instrument, xylophone, and melod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music education environment showed that there is music activity area but there is not enough music activity space. The results of the training activities and methods were mostly conducted by teachers two to three times a week, and the most of family activities were singing. The last factor to consider when teachers choosing the contents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was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ment of infants. The main reference material was standard childcare, and the most helpful help was companion or senior teacher assistance.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eachers' efficacy about music for young children, the personal efficacy was average 59.16 (SD=8.88), and the expectation of music diary was average 61.01(SD=7.72).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see that the personal efficacy was slightly lower than expected. Personal effects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experience, specialty, and type of organization, but significant results were given according to the children in charge. The results of the expectation of music diary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experience, and type of institution, but significant results were given according to their majors and children in charge.

      • 초등학교 음악교과 학습지도를 위한 Kodaly 교수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박선희 청주교육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에서의 음악교육이 의미있게 되기 위해서는 음악 개념의 이해와 기능의 습득도 중요하지만 음악 자체를 위주로 하는 활동 중심의 수업이 되어야 한다. 7차 교육 과정에서 새로운 음악의 창조라는 명제하에 우리나라 음악교육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반영되어 전통음악의 비중이 많이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전통음악에 대한 지식 및 음악적 능력의 부족으로 미디어를 이용하여 전통음악 수업을 전개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전통음악 및 제재곡을 지도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하여 음악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수업 현장에 적용하며 코다이 교수법을 우리의 음악교육에 맞게 현실화하고 실제 수업에 알맞은 바람직한 지도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논문은 코다이의 생애와 작품 세계, 코다이의 음악 교육론, 교수 학습방법, 코다이 교수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초등학교 교과서내 전래동요의 내용을 분석하여 단계별 지도 순서 및 현장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코다이 수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우리 음악수업에 맞게 코다이 교수 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여 적용토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학습지도안은 리듬 응답 놀이를 통한 리듬 치기, 캐논형식에 의한 리듬지도, 즉흥 리듬치기, 오스티나토 리듬치기, 각 악기를 통한 리듬 치기 등을 통해 리듬진도를 체계적으로 하였으며 코다이의 손기호와 계명창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또한 음정의 정확한 감각을 키우고 악보를 읽고 기보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역점을 두었다 또한 합창을 통하여 학생들이 상대방의 소리를 잘 듣게 하고 화음의 어울림을 느끼게 지도하고 코다이 교수방법 중 기억, 내청을 통하여 청감각 훈련을 하고 창의적 표현을 중요시하여 음악에 대하여 학생들의 느낌을 신체 표현하고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놀이를 하며 음악의 흥미로움과 협동심을 알게 하였다. 코다이 교수법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교육하려면 우리에게 알맞은 음악교육방법인 연구되고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나라 민요와 전래동요, 국악 창작곡에 관한 보다 깊고 다양한 연구가 있어야 하겠으며, 각 학년 단계마다 전래동요 및 쉬운 민요부터 현재 작곡가들의 민속적 요소가 짙은 작품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교재를 제공하긴 위한 연구가 있어야 하겠다. 둘째, 음악교육은 아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음 위주의 교육이어야 하므로 교사가 적극적으로 수업 자료를 준비하여 학생들이 보고, 만지고, 느낄 수 있는 다방면의 음악 수업을 진행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하여 아동들이 쉽게 경험하고 활동할 수 있는 코다이의 이론을 적용한 수업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코다이 교수법에서의 손기호나 리듬, 계명창 등의 특정한 교수기법이 충분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통합된 교과과정에 유기적으로 연결해서 사용해야 한다. 넷째, 코다이 지도법을 비롯한 새로운 교수법들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여 우리 감각과 민족적 정서에 맞고 이론과 주입식에 의한 수업보다는 음악을 자기 스스로 느끼고 즐기며 아동 스스로 표현력과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음악교육으로 발전 할 수 있어야 하겠다. 코다이 음악 교수법은 유아학습의 단계에서부터 성인의 음악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유용한 방법임이 밝혀진 것으로서 우리의 음악교육에 맞게 현실화하고 바람직한 지도법을 현장에 적용하면 음악 교과 교육의 변화를 가지고 올 것이며 공교육의 내실을 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In order that the music education in school might be significant the understanding of music concepts and mastering of skills is important, but it should be the activity-focused lesson to give the first consideration in music itself. I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under the proposition of nev music creation, the recognition that the music education of our country should be changed was reflec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raditional music was occupied much more. Hence owing to the lack of the knowledge to teachers' traditional music and musical ability teachers have taught the traditional music lessons using the mass medi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the teaching method to guide music class effectively by applying the most appropriate Kodaly method to teach the traditional music and tune, to apply it to our music educational system, to make Kodaly method of realistic application in our music educational system and to present the proper teaching method suitable to the real music class. Thus, in this thesis, the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in the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for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Kodaly's life and art production, Kodaly's music educational theory, Kodaly's teaching method and the guiding sequent order Has made step by step, Kodaly method to apply in the real music class was presented, and it is modified and applied in our own way to b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 of our music class. In this thesis, the syllabus are well organized the rhythm teaching through the ability of rhythm by the rhythm answer play, the rhythm teaching by Canon form, improvisational rhythm play, Ostinato rhythm play, rhythm play by the musical instruments and it is induced the positive participation stimulating the students' curiosity by using Kodaly's hand signs and the chorus of melody. And this researcher focused on improving the accurate sense of musical interval, developing the ability of reading a musical note and recording it. It was guided to help students hear a companion's tone well and feel the matching of a chord through chorus and it was prepared to train the sense of hearing through memorization, inside-listening in Kodaly method. Also it was guided that student's musical feeling expressed by means of body movement through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expression and played applying Kodaly method and knew the interest and cooperation of music. Music education method appropriate for us will have to be studied and realized in order to educate Kodaly method to the reality of our country well. So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given: First, we should do the more profound and various investigation on Korean folks song, traditional song and national classical creative work. And in each grade step we should investigate for the systematic and inclusive textbook from traditional children's song and easy folks song to the other modern composer's songs which contain traditional inclination. Second, music education should be the practical music-centered education based on the children's experience, so teachers should prepare the teaching materials positively and teach the varied music lesson for students to see, touch and feel. Thus, we need the lesson applying Kodaly's theory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easily and act keenly. Third, in order that the specific teaching method of the hand sign, rhythm and chorus of melody in Kodaly method can obtain excellent results, it should be used by linking systematic united curriculum organically. Fourth, by the comprehensive researches about the new teaching method including Kodaly method continuously we should develop into the systematic and scientific music education that fitted for our sensibility and the feeling of our nation, enjoying and feeling music itself by themselves students can extend their own expression ability and initiative spirit rather than the lesson focused on the theory and cramming teaching method. Kodaly music teaching method was revealed as the useful method from the step of infant learning to adult's music teaching method. Thus, if we apply Kodaly's method to our music education reality properly and apply the suitable teaching method to our educational field well, this researcher thinks that it will be able to become the change of our music education and the good chance for solidifying the foundation of our public education.

      • 코다이·오르프 음악교수법을 적용한 중학교 1학년 수업지도안 연구

        정경화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 음악교육은 다양한 음악 활동과 체험으로 음악성ㆍ창의성을 향상시키며, 음악에 대한 심미적 정서를 기르는데 있다. 또한 가창, 기악, 창작, 감상활동을 중심으로 음악수업을 진행할 것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학교에서는 교사중심의 수업과 편중된 음악활동으로 이루어져 있고, 구체적인 수업안이 부족하다. 다양한 경험과 활동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음악수업으로 창의성을 길러주고 음악성을 향상시켜주는 방법으로써 코다이와 오르프 음악교수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코다이ㆍ오르프 음악교수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음악성과 창의성계발을 위한 가창, 기악, 창작, 감상 활동의 통합적인 음악교육의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수업 지도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리듬음절로 표현해 보고 신체표현, 리듬타악기로 연주하는 연속적인 체험과정을 적용하였고, 리듬음절과 신체표현을 함으로써 리듬의 흐름을 느낄 수 있으며 리듬모방, 리듬응답, 리듬캐논을 통해 리듬감을 신장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손기호와 이동 도법에 의한 노래 부르기를 통해 음정에 대한 정확한 감각과 악보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키면서 독보력을 신장시키도록 하였다. 셋째, 리듬을 즉흥적으로 표현하는 활동과 교사와 리듬 캐논 하는 음악활동을 통해 표현력 향상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게 하였다. 넷째, 리듬과 가락의 창작활동을 통해 음악적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고,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모둠수업으로 진행되어서 학생들 간의 협동심과 음악적으로 서로에게 좋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창작한 리듬에 신체표현 활동을 하고, 이어서 오르프 악기를 포함한 여러 가지 리듬 악기를 활용하는 연속적인 단계를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경험과 심미성을 느끼며 창작의 즐거움을 체험하게 하였다. 여섯째, 제재곡을 전문가가 부른 음악을 감상하거나, 다양한 형식으로 만든 음악을 감상하여 다양한 경험과 새로운 미적 경험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제재곡을 감상하며 신체표현 함으로써 음악을 몸으로 느끼게 하였다. 일곱째, 창작한 것을 발표하고, 서로의 작품을 들으며 평가하고, 보완할 것을 조언해 주는 수업형태를 취하였다. 본 연구가 교사들에게는 유용한 자료가 되고, 실제 학교 음악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음악적 성장이 이루어지며, 창의성 계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domestic music education is to enhance musicality and creativity by various music activities and experiences and to foster an aesthetic emotion of music. Also, a plan to proceed with the music class centering around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nd appreciative activities. But it is actually made up of teacher-centered classes and preponderous music activity in school, and is short of a concrete class plan. It presents the Kodaly-Orff teaching method of music as a way to enhance musicality and foster creativity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music class followed by various experiences and activit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grated method of music education in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nd appreciative activities for the students' musicality and creativity development applied by Kodaly-Orff teaching method of music. The peculiarity of teaching plan presented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t expresses with a rhythm syllable and applies consecutive experience course to perform with physical expression, rhythm percussion instrument and feels the flow of rhythm by making a rhythm syllable and physical expression, and can make the rhythm feeling extend through rhythm imitation, rhythm response and rhythm cannon. Secondly, it is intended to extend the musical reading/-expressing power and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notes and accurate feelings about the musical interval through singing a song by hand signs and moving drawings. Thirdly, it can foster creativity and expressive enhancement through activities to express the rhythm ad-lib and to do musical rhythm cannon activities with the teacher. Fourthly, it can show a musical potential through creative activities of rhythm and tune, and experience a sense of accomplishment. The mode of all-together class results in obtaining ideas good for each other musically and inter-student cooperative spirits. Fifthly, students can experience the enjoyment of creation and feel various experiences and aesthetics by proceeding the consecutive steps to utilize several rhythm instruments including the Orff instrument after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o create rhythm. Sixthly, students can appreciate "central song in the textbook" sung by expert or music made up of various pattern resulting in fostering various experience and new aesthetic experiences. The music was felt keenly by appreciating "central song in the textbook" and making physical expressions. Lastly, it took class patterns to represent created works, to listen to and appreciate each other's works, and to advise if something needed to be supplemented.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become a helpful material for teachers, make the students's musical growth by applying actual school music education, and is conduciv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에 기초한 음악과 이해영역 지도 방안 : 초등학교 3학년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최수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의 개념을 이해하게 하는 일은 음악학습의 기본적인 목표다. 음악의 개념은 음악을 이루는 데에 기본이 되는 공통 요소의 개념과 음악 행위의 보편적인 원리, 그리고 음악적인 의미들을 뜻한다. 그것은 세상에 존재하는 음악들이 일반적으로 지니고 있는 구성의 본질을 이해하고 음악 행위를 하는 데에 바탕이 되는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내용으로, 음악가들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음악의 핵심적인 아이디어들과 본질상 다름이 없는 것들이다. 요컨대 음악학습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음악 활동은 결국 학교 및 학년에 따라 알맞은 수준으로 교재 악곡과 음악 행위를 선택하고 그것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음악의 구성 요소들, 음악 행위의 원리, 음악적 의미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며, 음악 활동의 질을 높이고 폭을 넓히는 노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교육과정에서는 이해와 활동 영역으로 분리하여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 학습에서는 활동을 통하여 음악적 개념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음악적 개념을 다루는 이해 영역의 학습은 단순한 ‘이론 학습’ 이 아니고, 다양한 음악 활동과 음악적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다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교사는 학생들이 과거에 어떠한 음악적 경험을 하였으며 현재는 어떠한 수준인지를 파악하고 음악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음악적 경험을 체계적으로 지도하여야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음악적 개념 이해나 경험의 깊이와 폭을 넓혀가도록 도와주는 교사의 역할은 학생의 음악적 성장에 있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브루너의 구성주의적 교육관에 바탕으로 둔 보드만의 생성적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음악적 개념을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이해영역의 수업 모형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 개념 및 음악 수업에서의 음악적 개념 지도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보드만의 생성적 교수이론의 이론적 기초와 학습 모형 및 교수-학습 전략을 문헌 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음악 수업에서의 음악적 개념 형성의 필요성과 초등학교 3․4학년 학생들의 일반적인 발달 특징 및 음악적 발달 특성을 알아보았다. 둘째,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보고 음악의 구성 요소 등을 분석한 후 3학년 음악 교과서에서 학습할 개념과 내용을 선정하였다. 셋째, 보드만의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에 기초하여 학습 모형 및 학습 전략을 교실 수업에 맞게 적용한 수업안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넷째, 구안한 학습모형에 따른 구체적인 교수-학습 과정을 연구하여 음악적 개념별로 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예시를 들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보드만의 음악교수이론을 바탕으로 수업 모형을 구안하고 수업전략을 제시하여 교실 음악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고 음악적 개념을 학년 발달 수준에 맞게 지도 할 수 있도록 음악적 활동을 안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가 보다 나은 학생의 음악적 개념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좋은 수업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바라며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음악적 성취를 도울 수 있는 음악 교육이 되기를 바란다. To make the students comprehend music concept is a basic goal of music learning. Music concept means a concept of common elements that become basics of music, a universal principle of music act and musical significance. It is a basic and universal contents that becomes a foundation in performing musical act by understanding an essence of composition that music existing in the world generally has and it is intrinsically not different from key ideas of music that musicians should know definitely. In short, all the music activity being taken place at music learning could be called eventually as an effort of deepening understanding of musical components, principle of musical act and musical meaning, enhancing the quality of musical activity and widening musical caliber by selecting music pieces of textbook and musical act matching with proper level depending on each school and grade and experiencing it directly. In curriculum, its concept is suggested by dividing it into comprehension and activity area (role) but in an actual learning setting, it is important to teach musical concept through an activity. Because learning of comprehension area that handles musical concept is not a simple 'theoretical learning' but it should be handled so that diversified musical activity and concepts could be understood. A role of teacher that helps the students understand musical concept or widen depth or width (caliber) of experience by suggesting and teaching musical experience to the students systematically through music class after identifying the background of past musical experience and current level of the students is important for musical growth of the students. This study has researched and suggested a class model of comprehension area through which musical concept could be instructe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generative learning theory of Boardman based on Bruner's constructive educational perspective by targeting 3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Detailed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necessity of teaching musical concept in musical concept and class was observed and generative teaching theory of Boardman, learning model and teaching-learning strategy were considered through literature study. In addition, necessity of musical concept formation in music class and genera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musical development features of 3rd, 4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ere investigated. Second, after observing contents of revised music of 2007 and its curriculum and analyzing components of music, concept and contents to be learned in music textbook of 3rd grade were selected. Third, a lesson plan applied in class by mapping out learning model and strategy based on generative teaching theory of Boardman was researched and applied. Fourth, a detailed teaching-learning process based on researched learning model was studied and it was made to be utilized in education setting by demonstrating an example applicable for class depending on musical concept. We may find the meaning of this study in that a detailed scheme that may be applied for music class by researching class model based on music teaching theory of Boardman and presenting class strategy was suggested and musical activity was guided so that musical concept could be instructed by matching with the development level of each grad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suggest a recommendable class direction that may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musical concept better and through continued study, music education would help musical achievement of the students.

      •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정혜현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leadership, knowledge of music and the attitude toward music on the music teaching efficacy by performing the stereoscopic test of the emotional leadership, knowledge of music and the attitude toward music on the music teaching efficacy, which have influences on the music teaching efficacy, examining the direct effects among the variables and analyzing the structure related among them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enhanc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leadership, knowledge of music and attitude toward music could be part of the measure to increase the music teaching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e fact that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usic teaching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comprehensively by analyzing the relational structure among the variable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아교사의 감성리더십, 음악지식, 음악태도에 대한 입체적 검사를 실시하여, 변인들 간의 직접 효과를 살펴보는 동시에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를 분석하여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감성리더십, 음악지식, 음악태도의 향상이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방안의 일부가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변인간의 관계 구조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음아교수효능감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유아교사의 음악적 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음악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이상순 인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유아교사의 음악적 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음악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음악적 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음악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음악적 성향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음악적 지식과 유아의 음악적 성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음악적 성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연구문제 4. 유아의 연령, 성별, 유아교사의 음악적 지식, 음악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음 악적 성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인천과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만 3세∼만 5세 유아의 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 145명과 그들이 담당하고 있는 유아 25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김선희(2008)의 연구도구 중 음악적 지식을 참고하여 박주연(2014)이 재구성한 음악활동 지식, Rigge와 Enochs(1990)의 과학교수효능감 신념척도(STEBI: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재구성한 음악교수효능감, 유아의 음악적 성향(방은영, 2008)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WIN 22.0을 이용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내적 합치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ɑ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One way ANOVA, 사후검증으로 Scheffe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단순상관분석과,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은 유아의 음악적 성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아의 성별은 차이를 보였는데, 남아보다 여아가 음악적 성향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음악적 지식 중 음악개념에 관한 지식, 음악활동 영역별 내용에 관한 지식, 음악활동 통합에 관한 지식은 유아의 음악적 성향의 하위요인 중 음악적 가치를 제외한 모든 영역과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에서 하위요인 중 개인적 음악교수효능감의 계획을 제외한 모든 영역과, 음악교수 결과기대의 음악적 이해, 음악적 표현은 유아의 음악적 성향과 서로 관련성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유아의 연령,성별,유아교사의 음악적 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은 유아의 음악적 성향의 하위요인 중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의지에 상대적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음악적 유능과 음악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유아교사, 음악지식,음악교수효능감. 음악적 성향 Abstract The Effect of Musical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Belief of Early Childhood Teacher on Infant’s Musical Propensity Lee, Sangsoo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fant teachers’ musical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belief on infants’ musical propensity. Research subject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Subject 1. Is there any differences in musical propensities depending on age and gender of the infants? Subject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fant teacher’s musical knowledge and an infant’s musical inclination? Subject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fant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and an infant’s musical inclination? Subject 4.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an infant’s age, gender, child teacher’s musical knowledge, and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on musical inclination of chil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45 teachers who serve as the homeroom teachers for infants aged 3 to 5 at children’s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Incheon and Kyonggi Province, and 258 infants to which the teachers are responsible.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knowledge of musical activities reconstructed by Park Ju-yeon(2014), refering to musical knowledge among Kim Sun-hui’s research tools, music teaching efficacy reconstructed from science teaching efficacy conviction scale by Rigge and Enochs(1990), and infant’s musical propensity(Bang, Eun-yong, 2008). Statistical program, SPSS/WIN 22.0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Cronbach’s α was used to ensur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s and to verify internal consistency. The frequency, the percentage,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subject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t-test, One way ANOVA, Scheffe method as a post verification were used. Pearson’s simple correl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ve impa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ge of the infant did not differ from the musical inclination of the infant, but the gender of the infan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girls have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the sub components of musical tendencies than boys. Second, among the teacher’s musical knowledge, knowledge of the concept of music, knowledge of the area of musical activity, and knowledge of integration of musical activities were found to be relevant in all areas of the child’s musical disposition except for the musical value. Third, in the infant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all areas except the planning of individual music teaching effectiveness, musical understanding from music teaching results, and musical representations could be seen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infant’s musical tendencies. Fourth, the infant’s age and gender, and the infant teacher’s musical knowledge and their musical teaching efficacy were found to have no relative influence on musical interest and musical will among the lower factors in an infant’s musical disposition, but those appears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musical ability and musical value. *Key Words : infant teacher(early childhood teacher), the musical knowledge, music teaching efficacy, musical propensity(musical tendency)

      • 교육실습경험이 중등예비음악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임지연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3∼5학기 예비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교육실습의 효과를 검증하고, 교육실습 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년 4월 말 교육실습이 끝남과 동시에 교육실습을 경험한 62명과 교육실습을 앞둔 68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일반적인 특성, 음악교수효능감, 진로결정수준, 교육실습경험에 대한 네 가지 영역으로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검정,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사용해 교육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차이,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 교육실습을 경험한 62명의 수업지도 및 참관 횟수, 만족도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음악 교사들의 교육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은 ‘음악 교과 지도’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생활지도’, ‘대인관계’ 영역은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주목할 점은 생활지도 영역에서 교육실습을 경험한 집단이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 더 낮은 효능감을 나타냈다는 사실이다. 이는 교육실습이 예비교사들의 교수 능력에 대한 신념은 높여주지만, 학생과 학교 현장에 대한 이해 제고에 있어서는 큰 기여를 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방증하며, 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실천 지향적인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둘째, 교육실습을 경험한 집단이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 진로결정수준은 상대적으로 더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교육실습을 경험한 62명은 교직으로의 진로 결정 변화에 있어 상승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교육실습이 교직에 대한 인식 강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예비음악 교사들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음악교수효능감의 모든 하위 요인은 ‘진로 결정’ 요인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음악 교과 지도’, ‘학생 이해 및 존중’ 순으로 ‘진로결정’ 요인과 높은 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음악교수효능감을 독립변수로 두고 진로결정수준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순회귀 분석을 살펴본 결과, 음악교수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32.3%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음악 교사들이 교직으로의 진로 결정에 있어 음악교수효능감이 중요히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예비음악 교사들의 음악교수효능감 증진은 교직으로의 진로 준비 행동을 촉진해 예비교사의 역량 증진과 함께 향후 교사가 되어 음악교육의 질적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 요인이라 볼 수 있다. 넷째, 교육실습을 경험한 집단의 만족도가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회귀 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29.4%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지도 및 참관 횟수는 음악교수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두 변인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교육실습 환경 개선을 위해 예비교사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수업 참관 및 지도 경험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끝으로 교육실습은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학교 현장과 교육대학원의 교육 과정이 분리되지 않고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교육실습 생태계를 새로이 조성해야 한다. 예비음악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이 긍정적으로 형성되기를 바라며, 효과적인 교육실습을 통해 학교·학생에 대한 현장 역량이 함양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