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매체를 활용한 윤동주 시 교육 방안 : 뮤지컬 <윤동주, 달을 쏘다>를 중심으로

        노은정 부산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7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musical as a new medium into literature education, and through this, devise a plan for teaching and learning Yun Dong-ju's poetry while expanding the possibilities and scope of literature education in the multimedia era.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investigates the discussions surrounding Yun Dong-ju's poetry education and examines various litera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different mediums. Subsequently, a concrete teaching plan centered around the musical <Shooting the Moon, Yun Dong-ju> is designed for middle school education settings. Many creators of narratives draw inspiration and lessons from the lives of historical figures and transmit them to us through new stories. As we observe their lives from the past, we laugh, cry, and reflect. For this reason, historical and literary figures are being reinterpreted through various mediums to transform them into new creative works. Yun Dong-ju, too, is no exception. If asked to name the most beloved poet by Koreans, Yun Dong-ju would likely be among the top. His fame stems from dramatic events in his life, his purity, the high level of his poetry, and his popularity as a poet featured in textbooks. Just like the beloved figures mentioned above, Yun Dong-ju's life has been restructured by the Seoul Arts Company into a work called <Shooting the Moon, Yun Dong-ju>. Through this process, his struggles and life have been conveyed to us, despite being somewhat distant from the present. As a poet who holds a significant position in Korean literary history, Yun Dong-ju's life and poetry have been adapted through various mediums.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musical genre's medium, especially the musical <Shooting the Moon, Yun Dong-ju>,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Yun Dong-ju's poetry education. The musical adequately embodies Yun Dong-ju's life and poetry, making it suitable for poetry education. Each chapter of this paper includes the following tasks: In Chapter II, it summarizes the use of modern media in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media in literature education, recent trend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use of media are considered. As for Yun Dong-ju's poetry education content, the consideration revolves around how the musical can be applied to poetry education. In Chapter III, an analysis of Yun Dong-ju's poetry and the medium of the musical is conducted. When a poet's life and poetry are transformed into a different genre, what is added or omitted is examined. Specifically, by identifying what the musical genre emphasizes and which works or periods are highlighted, various effects resulting from the musical adaptation are recognized. The musical <Shooting the Moon, Yun Dong-ju> includes the essential moments needed for Yun Dong-ju's poetry education, such a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ignificant poems featured in textbooks. These aspects are closely examined, and the value of the musical as a poetic educational text is grasped. Overall, this section delves into how Yun Dong-ju's life and poetry are reflected in the musical and how it can be utilized in education. Chapter IV outlines a concrete teaching plan using the musical <Shooting the Moon, Yun Dong-ju>. Sinc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usical adequately encompasses Yun Dong-ju s life and poetry, the specific education objectives, teaching methods, and step-by-step teaching guide are devised. “Repentance Diary,” one of Yun Dong-ju's most frequently featured works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is selected as the focal point of the lessons. Through this proposed curriculum utilizing the musical <Shooting the Moon, Yun Dong-ju>, students can relate Yun Dong-ju's poem “Repentance Diary” to the historical context and reflect on their own lives through the attitudes portrayed by the speaker. These two elements are set as the learning objective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exploring new directions for Yun Dong-ju's poetry education through the utilization of musicals. Musicals, which creatively reinterpret historical and literary figures, possess sufficient value to be featured in textbooks. The reinterpretation of literary figures should not merely remain in the past but should be constantly pondered upon in the context of the meanings and values they hold in the present. It is hoped that various efforts to remember Yun Dong-ju, in line with the changing times, will actively take place in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이 논문은 새로운 매체로서의 뮤지컬을 문학교육 자료로 도입하여 윤동주 시 교육의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다매체시대에 요구되는 문학교육의 범주와 가능성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제껏 윤동주 시 교육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파악하고, 매체를 활용한 문학 교수·학습 방법을 두루 검토하였다. 이에 기반해 중등학교 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매체 중심의 윤동주 시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였다. 여러 매체 중 수업자료로 선택한 매체는 뮤지컬 <윤동주, 달을 쏘다>이다. 작품분석을 통해 작가의 삶과 문학이 뮤지컬로 각색되는 과정에서 매체의 특성에 맞게 창의적으로 재창작되고 재해석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매체를 수업자료로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구체적으로 구성하였다. 이야기를 만드는 많은 창작자들은 과거 인물의 삶을 통해 영감과 교훈을 얻고 이를 새로운 이야기로 우리에게 전한다. 과거에 지나온 그들의 삶을 엿보며 우리는 웃고 울고 또 반성한다. 이런 까닭으로 다양한 매체에서 역사적·문학적 인물을 재조명하여 새로운 창작물로 전환하고 있다. 윤동주도 마찬가지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을 꼽자면 아마도 주저없이 거론하는 이름이 바로 윤동주일 것이다. 이름만 들어도 알 정도로 유명한 그는 무엇으로 유명한 것일까? 드라마틱한 그의 삶, 순수성, 시의 높은 수준, 교과서에 등장하는 시인으로서의 대중성 등이 있을 것이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인물답게 서울예술단에서는 그의 삶을 재구성하여 <윤동주, 달을 쏘다>라는 한 편의 창작물로 각색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소 멀게 느껴질 수 있는 윤동주의 고뇌와 그의 인생은 현재 우리에게로 전해져 왔다. 윤동주는 한국문학사에서 정전의 지위를 점하고 있는 시인이며, 그의 삶과 시는 이미 다양한 매체를 통해 각색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뮤지컬 장르의 매체적 특성과 뮤지컬 <윤동주, 달을 쏘다>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이 작품을 윤동주 시 교육에서 잘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뮤지컬은 윤동주 시인의 삶과 시를 충분히 담고 있어 시 교육의 재료로 적합했다. 이 논문에서 수행한 작업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매체를 활용한 현대시교육에 대해 정리했다. 문학교육과 매체 활용에서는 최근 국어과 교육과정과 매체 활용의 동향을 살피고, 현대시교육과 매체 활용에서는 뮤지컬을 시교육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였다. Ⅲ장에서는 윤동주 시와 매체에 대해 분석했다. 한 시인의 삶과 시가 다른 장르로 변환될 때, 무엇이 더해지고 빠졌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특히 뮤지컬 장르에서 어떤 점을 강조하는지, 어떤 작품이나 시기가 가장 강조되는지 파악함으로써 뮤지컬 매체화에 따른 다양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뮤지컬 <윤동주, 달을 쏘다>는 윤동주의 시를 교수·학습할 때 필요한 시대적 배경과 교과서에 등장하는 중요한 시들을 포함했다. 그 부분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고, 더 나아가 위 뮤지컬의 시 교육 텍스트로서의 가치도 파악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뮤지컬에 윤동주의 삶과 시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또 이를 교육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뮤지컬 <윤동주, 달을 쏘다>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구성하였다. 앞장에서 위 뮤지컬 작품이 윤동주의 삶과 시를 충분히 담고 있는지 확인했으므로, 구체적으로 교육목적, 교수·학습 방법, 차시별 교수·학습 지도안을 마련하였다.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는 윤동주의 작품인 「참회록」을 수업제재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은 뮤지컬 <윤동주, 달을 쏘다>를 활용한 이 수업을 통해 시 「참회록」과 시대 상황을 관련지어 말할 수 있고, 화자의 삶의 태도를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게 된다. 이 두 가지 요소를 학습목표로 삼았다. 이 논문은 뮤지컬을 활용한 윤동주 시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역사적·문학적 인물을 창의적으로 재해석한 뮤지컬은 충분히 교과서에 등장할 가치가 있다. 문학적 인물의 재해석은 단지 과거에 머물러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 어떠한 의미와 가치가 있는지 끊임없이 고민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변화하는 시대의 모습에 따라 윤동주 시인을 기억하고자 하는 다양한 움직임들이 현대시교육의 장에서도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 윤동주시에 나타난 기독교 정신 연구

        김영애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447

        <Abstract> this study, which shows at Yoon's basis of consciousness in the spirit of Christianity has a purpose. The purpose is examining the Christian spirit of his poems. Based on the spirit of Christianity Poetry, Yoon investigated his poetry and what he would have been. In this study, presented at the Christian spirit of 'guilt and self-reflection', 'spirit of repentance and calling,' 'spirit of life beyond death,' 'hope of the resurrection spirit is divided into four kinds of results concluded that summary is as follows.  First, in his poems「the morning of the beginning」 and 「also the morning of the beginning」express that the human beings are born radical sinfulness, Christian's sin consciousness. Then he realized them. These represent human understanding of life they can not but live by sin. Yoon' thorough awareness of sin predestined should have an attitude of His appearance at such self-reflection of「self-portrait」,「The boy」,「snowy map」. those appears in the form of water-mirror and, especially,「self-portrait」manifested that he realized himself original sinner, and he recognized the limits of pain and anguish  Second, Yoon's poetry is a Christian spirit of penitence and spiritual callings. 'penitence' and the vocation' as a mature believer must pass in order to be reborn as a rite of passage ritual said to be mental. his poem「penitence record」shows honesty and nakedness with his confession of shame and the face of true repentance before God. 「White shadows」shows that After repent of sins, he got good looks to regain self-divided, respectively.「The prelude poem」shows that he didn't fear death with the example of Jesus, practiced love because of his callings.「Scary Time」shows that he would be ready to die to do something obligatory for the national historical reality with his callings「the wind blows」In reality, even strong, rock hard and have such faith is pledged to defend his calling, his look was grim spirit of vocation. Third, when Yoon well expressed spirit of life beyond death. In view of the common view, death is a complete end of life are recognized, but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on death , belong to the body only and represents the beginning of a new life in spirit. Yoon also shaped a Christian atmosphere of these deaths of his poems.「Life and death」conquest of the death achieves the body of death. it says paradoxically that death defines positive thing.「Cross」following the life of Jesus is the way Christians get eternal life. The poem shows that a poet gets free from a life, obtains the length of eternity. In「A candle」,The candle is compared Jesus Christ who died for the blood flow for sins of mankind. These are all on the death of Jesus to save the life of the whole for the sins of mankind, the spirit of Christian revealed. This view of the poet Yoon is a reflection of the dualistic world view, life -death- resurrection your Christianity could be seen as a reflection of the review of the life. This spirit of life, the dark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for the nation to sacrifice their lives, like Jesus Christ, called to go their own way through a role can be said.   Fourth, the case of Yoon 'hope of the resurrection spirit' that is firmly seated. Revealed at emotions of his 'death', and 'hope' is based on Christian eschatology and the resurrection. Christian idea is the world of the future-oriented approach, and is appeared sense of hope waiting with patience.  Therefore, images of death and despair, his poems seem hopeful about the future will, towards the resurrection was an inevitable step will be. His poems and resolution of conflicts appeared become 'the cross of Christ' to gather hence, ultimately, are fulfilling the poetics of hope. The hope is simply beyond the notion that higher levels of earthly concept. ultimate hope is the hope of resurrection.  This spirit of his poem,「until dawn」,「Count the stars at night」,「Eight blessings」,「Easily written on」appear. In addition to these poems not only include as christian individual resurrection but also that unfortunate our people due to poor and press under Japan can be saved. These poems faithfully show that he loves his homeland and hope the world of light and joy. <국문초록> 본 연구는 윤동주 시에 나타난 의식들의 근간이 기독교 정신에 있다고 보고, 그의 시에 나타난 기독교 정신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윤동주 시에 나타난 기독교 정신을 중심으로 그의 시세계가 어떠했으며 그가 궁극적으로 지향했던 바가 무엇이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윤동주 시에 나타난 기독교 정신을 ‘죄의식과 자아성찰’, ‘참회와 소명정신’, ‘죽음을 초월한 생명정신’, ‘부활의 소망정신’ 의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동주는 그의 시 <태초의 아침>과 <또 태초의 아침>에서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근본적인 죄성을 가지고 있다는 기독교의 원죄의식을 깨닫고 그 원죄에 의해 죄를 짓고 살아갈 수밖에 없는 인간 삶에 대한 이해가 나타난다. 윤동주의 이러한 숙명적 원죄의식은 철저한 ‘자아성찰’의 자세를 갖게 한다. 이런 자아성찰의 모습은 그의 시 <자화상>, <소년>, <눈 오는 지도>등의 물거울 형태로 나타나며 특히, <자화상>에서는 원죄인 자신의 모습에 한계를 인식하고 갈등하며 고통과 번민 속에 고민하는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둘째, 윤동주 시에 나타난 기독교 정신은 참회와 소명정신이다. ‘참회와 소명’은 성숙한 신앙인으로 거듭나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통과의례적인 의식과 같은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윤동주는 그의 시 <참회록>에서 신 앞에 진솔하고 적나라한 부끄러움의 고백으로 진정한 회개의 모습을, <흰 그림자>에서는 회개 후 죄로 분열된 자아를 회복하는 모습을 잘 나타냈다. 또한 <서시>에서는 예수를 본받아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 자신의 소명인 것을 ,<무서운 시간>에서는 소명의식을 가지고 민족적 시대적 현실 속에서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려고 죽음까지 각오하는 모습을, <바람이 불어>에서는 어렵고 힘든 현실일지라도 꿋꿋하게 반석과 같은 믿음을 가지고 자신의 소명을 지킬 것을 다짐하는 모습으로 그의 비장한 소명 정신을 나타내었다. 셋째, 윤동주 시에는 죽음을 초월한 생명정신이 잘 나타난다. 일반적인 시각에서 볼 때 죽음은 삶의 완전한 끝으로 인식되지만, 기독교적 시각에서 본다면 죽음은 육체에 속한 것일 뿐 영적으로는 새로운 삶의 시작을 의미한다. 윤동주 역시 그의 시 가운데 이러한 죽음의 정서를 기독교적으로 형상화 하였다. <삶과 죽음>에서는 죽음의 극복을 육신의 죽음으로만 비로소 성취된다고 역설하여 죽음을 긍정하는 것으로, <십자가>에서는 예수의 삶을 따르는 것이 기독인으로서의 영생을 얻는 길이며, 한 시인으로서는 일상을 떠나 영원성을 획득하는 길이 되는 것을 보여줌으로, <초한대>에서는 초를 예수그리스도가 인류의 죄를 속하시기 위해 피 흘려 죽으신 속죄양으로 비유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들은 모두 예수의 죽음으로 전 인류의 생명을 구원하는 기독교의 생명 정신이 잘 드러난 시라 하겠다. 이러한 관점은 윤동주 시인의 이원론적인 세계관의 반영이며, ‘생-사-재생’의 기독교의 생명관이 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생명정신은 윤동주가 암울한 일제 시대 속에서 민족을 위해 예수그리스도처럼 자신을 희생하는 삶, 자신의 가야할 길을 가도록 촉구하는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윤동주 시에는 ‘부활의 소망정신’이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다. 그의 시에 드러나는 ‘죽음’과 ‘소망’의 정서는 기독교적 종말론과 부활사상에 입각한 것으로 기독교가 지향하는 미래 세계의 접근이며, 인내를 통해 기다리는 소망의식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그의 시에서 보이는 절망과 죽음의 이미지는 미래의 희망에 대한 의지, 부활을 향한 불가피한 단계였던 것이다. 그의 시에 나타난 갈등의 극복과 해결은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모아짐으로써, 궁극적으로 희망의 시학을 이루고 있다. 이 희망은 단순히 지상적 관념을 넘어서 보다 높은 차원의 궁극적 희망, 부활에의 소망이다. 이런 정신은 그의 시<새벽이 올 때까지>, <별 헤는 밤>, <팔복>, <쉽게 씌어진 시>에 잘 나타난다. 또한 이 시들은 기독교인으로서 개인적 부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제의 압박과 가난으로 인해 불행한 우리 민족이 모두 구원받아 밝음과 기쁨의 세계로 나아갈 수 있기를 바라는 윤동주의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 尹東柱 詩 다시 읽기 : 原典과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硏究

        홍장학 西江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고는 [사진판 윤동주 자필 시고전집](민음사)에 대한 서지적 검토를 통하여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정음사, 1948,1955,1976)의 원전으로서의 정당성을 평가하는 한편, 윤동주 시의 상호텍스트적(INTERTEXTUAL) 양상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일부 작품을 다시 해석하고자 하였다. 윤동주 시에 대한 연구는 최근까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 전적으로 의존해 왔다. 그런데 이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윤동주 자신에 의해 출간된 것이 아니라, 윤동주의 사후 유가족 및 친지에 의하여 1948년, 1955년, 1976년 세 차례에 걸쳐 편집 . 발간된 것이므로, 윤동주 시 연구에 있어서는 2차 자료의 한계를 지니는 것이었다. 그렇게 때문에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원전으로 취급되기 위해서는 당연히 검증을 받아야 함에도 이러한 중요성은 간과되었다. 이는 윤동주가 젊은 나이에 조국을 위하여 순절하였다는 점과, 이 시집이 그의 안타까운 죽음을 추모하기 위해 유가족에 의하여 편집 . 발간되었다는 점 때문에 조성된 숙연한 사회적 분위기가 빚어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다가 윤동주의 유가족과 몇 명의 연구자의 오랜 노력으로 [사진판 윤동주 자필 시고전집]이 지난 1999년 삼일절을 기해 발간되었는데, 여기에는 윤동주의 자필로 기록된 수많은 시고가 사진 자료의 형태로 수록되어 있다. 이 사진 자료는 물론 윤동주 시 연구에 있어 실증적인 1차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따라서 [사진판] 시집이 출간은 그 동안 윤동주 시 연구의 원전이 되어 온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자료적 정당성에 대한 검증, 나아가 윤동주 시 원전 확정 작업의 조건이 조성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앞서 말한 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의 본론은 크게 Ⅱ장 및 Ⅲ장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본론의 전반 부분인 Ⅱ장은 [사진판]의 서지적 연구에 할애되었고, 후반 부분인 Ⅲ장은 이를 바탕으로 윤동주의 시가 지니는 상호텍스트성을 규명하고 윤동주의 시 텍스트를 새롭게 해석하는 데 할애되었다. Ⅱ장의 서두에서 필자는 [사진판]의 체제를 소개하고, 이 책 제1부에 5개의 묶음 단위별로 수록된 자필 시고의 사진 자료 현황을 제시했다. Ⅱ장의 서지적 연구는 몇 단계로 나뉘어 수행되었는데 그 첫 단계의 작업은 사진 자료에 나타난 텍스트를 연도별로 재분류하여 윤동주의 연도별 시작 활동의 상황과 특징을 규명하려는 것이었다. 이에 의하면 1935년 10월 윤동주의 시 '공상'이 그가 다니고 있던 숭실학교의 학생 잡지 [숭실활천]에 실리고, 이듬해 11월과 12월 그의 동시 '병아리'와 '비ㅅ자루'가 북간도에서 발행되던 [카톨릭少年]에 실리게 되는데, 이것이 그가 시인이 되고자 결심한 주요 계기가 되었으리라고 추정된다. 1936년부터 1938년에 이르는 시기에 그는 일반 시보다 상대적으로 동시를 많이 썼는데, 1939년 이후에는 동시 짓기를 사실상 중단한다. 이는 그가 북간도를 떠나 서울로 와서 연희전문학교에 다니게 되고, 그에 따라 새로운 문학 환경에 놓이게 된 사정과, 그의 시와 산문이 전국 규모의 중앙지인 [조선일보]에 게재되면서 시인으로서의 성공 가능성을 확인한 점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 이 시기에 그는 산문시 창작에도 열의를 보이게 된다. 서지적 연구의 두 번째 단계로, 필자는 사진 자료에 나타난 수많은 자필 퇴고 및 이기의 흔적들을 추적하여 실증적으로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퇴고 및 이기의 동기와 양상을 해석하였다. 이 작업의 결과 윤동주가 퇴고 및 이기를 하게 된 주된 동기는 보다 완성된 미적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서였고, 당시의 시대적 한계와, 가정적인 이유 역시 수없이 시도한 퇴고의 이유였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또한 이 작업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1) 윤동주가 보다 나은 시를 쓰기 위해 존경하는 선배 시인의 텍스트를 깊이 연구했음이 실증적으로 드러났다. 2) 윤동주의 시는 상당수가 습작 초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식민지 현실에 대한 비판적 . 저항적 인식을 담고 있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분석되었다. 3) 당시의 문학적 제약을 피하기 위해 '종시'와 같은 텍스트에서는 정교한 알레고리 기법을 구사하기도 했는데, 이는 오독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텍스트에 남아 있는 도려진 자국은 이 때문에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 4)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편집 과정이 다소 무질서하게 이루어졌고 그 결과 중요한 시 텍스트 중 일부가 이 시집에 실리지 못했으며 실린 텍스트 중에는 1차 자료와 다른 것도 있다. 5) 1차 자료에 보이는 퇴고 흔적 중에는 타인의 것으로 보이는 것이 존재한다. 6) 윤동주 시의 원전의 확정 작업은 원점에서 새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Ⅲ장에서는 1차 자료를 바탕으로 윤동주 시에 대한 상호텍스트성이 검토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일부 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시도되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1) 윤동주의 시는 당대의 작품들과 폭넓은 상호텍스트적 맥락을 공유하고 있다. 당대의 작품들이란 정지용, 서정주, 백석, 이상, 신석정 등 시인들의 작품을 의미하는데, 이 중 정지용의 작품들과의 상호텍스트적 소통이 가장 활발한 편이다. 2) 윤동주의 시는 성서 및 설화, 외국의 시 작품과도 상호텍스트적 맥락을 공유하고 있다. 3) 윤동주의 시 사이에도 매우 활발한 상호텍스트적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4) 윤동주의 시 텍스트에 나타나는 상호텍스트적 맥락은 작품 해석에 중요한 실증적 논거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5) 윤동주의 시 텍스트에서 확인되는 매우 활발한 상호 텍스트적 소통은 이 시인이 보다 나은 시를 쓰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체계적으로 기울였다는 것을 증언해 준다. This thesis is designed to confirm Yoon Dong-Joo's original texts, and to interpret his texts, with a bibliographical investigation of his posthumous works in "The Complete Works of Yoon Dong-Joo in His Autograph(CW, 1999)", comparing with his "Yoon Dong-Joo's Selected Poems"(SP, 1948, 1955, 1976). "Yoon Dong-Joo's Selected Poems" has been regarded as the unique version that provided text materials for students so far, which was selected and published by his bereaved family after his death. This book held its fatal problem, that is, mere a secondary text material, because it was not selected and corrected exactly by Yoon Dong-Joo his own. But this point has been neglected even though SP should be examined its propriety as the original text. It is to say that it is result from solemn atmosphere in that time, on account of his death for mother country, and the determination of his bereaved family to publish his poems, in mourning and respect to the memory of his death. Since then, Yoon's family and some of devoted students published "The Complete Works of Yoon Dong-Joo in His Autograph" in the anniversa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1st, in 1999, with great effort. This version contains all of his poems, essays, and his scrapbook in Yoon's own handwriting, accordingly, it would be considered as a primary text materials. This means that it achieved disciplinary condition to investigate propriety of SP which has been regarded as an original text, and then, with CW, to reform the fallacy of existing interpretation of Yoon's poems based on SP. To accomplish my studying purpose, this thesis has two main part, part Ⅱ and part Ⅲ. Part Ⅱ, the first part of the body in this thesis, deals with a bibliographical research in CW, while part Ⅲ is devoted to the <intertextuality> of Yoon's poems. Part Ⅱ begins with the introduction to constitution of CW - the first part of CW, there is photographical sources of CW, which is classified in 5 sections ; the first sketch notes, the second sketch notes, essays and proses, self-selection of his works, and sheets of his fragment. Above all, to keep pace with the change of his literary works and style, it focuses on providing reclassification of Yoon's works of CW in chronological order. Yoon Dong-Joo's poem ‘Gongsang(A Vision)’ was published in "Soong-Shil Whal-Chon", the student magazine of his old school, Soong-Shil, in October, 1935. In November and December of the next year, since his children's verse ‘Byongary(A Chick)’ and ‘Bitzaroo(A Broom)’ was printed in "Catholic Boys" in Bukgan-do, so that I reasoned he had a dream of being a poet. Before and after 1939, the year of his left to Yon-Hee college in Seoul, his poetry genre changed in part ; from 1936 to 1938, he wrote many children's verse relatively, and after the publishment of his poem and prose in "Chosun Ilbo", the mainstream newspaper, he made an effort to write professional poems. I estimate that this fact vested him immediately with the literary turning point. Second, in CW, there are lots of marks of rewriting and removing his manuscript in his own autograph, so that I traced to that marks to analyze his motive and mode of writing and rewriting, interpreting texts in the view of literary criticism, positively. Therefore, I found the reasons of rewriting and removing his manuscript, as it were, Yoon Dong-Joo had his own unavoidable situation ; his literary intention to achieve much more complete esthetic structure and meaning, suppressive circumstances of that colonial times, and family reasons based on Christian faith. Following items would provide the additional facts : 1) Yoon Dong-Joo spent plenty of time to read his respectful precursors' text. 2) I propose firmatively that most of Yoon's works reveal his recognition of critic on his colonial times, throughout his life of writing. 3) ‘Chong-sie(the end and the beginning)’ has a scar cut by a keen tool by design, on original manuscript, because of a possibility of misreading. In terms of literary interpretation, I consider that since this text employed the elaborate form of allegory, to avoid political restriction, this trace remains to be unrecovered. 4) The constitution of SP was disordered, so that there were some of omissions, moreover, some SP texts need for correct comparing the original text, CW. 5) There exists polished trace on CW which is not to be regard as Yoon's own. 6) Therefore, confirmation of Yoon Dong-Joo's original texts must be reformed from starts. In part Ⅲ, I attempted to examine the intertextuality of Yoon's poems based on CW, the primary source, and then to interpret his poems in this view, different from existing studying outcome. Following facts were found positively : 1) Yoon's poems have intertextual connection to its precursors' text extensively ; Chong Ji-yong, Soe Jong-joo, Baek Sok, Yi Sang, and Shin Sok-Jong, particularly, in sense of intertextuality, Chong Ji-yong's texts have most influenced on his texts variously. 2) And motifs and subject of his texts share intertextuality with the Holy Bible, folktales, and foreign literary works. 3) In addition, his own texts have communicative intertextuality mutually. 4) This fact of intertextuality imposed a positive and promising opportunity on correct interpretation of his text. 5) These intertextuality, Yoon Dong-Joo often used, was to be renewed the same text, several times, to achieve much more esthetic structure and lively significant, systematically.

      • 윤동주 시의 슬픔의식

        조우실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에서는 윤동주 시에 내재된 슬픔 의식을 추출하기 위하여 시기별 흐름과 내용별 특징을 고찰하여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윤동주의 삶에 비친 슬픔의 서정을 프로이트의 우울증과 키르케고르의 슬픔 의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프로이트의 이론에서는 회복 불가능한 상실에 대한 무기력과 키르케고르의 이론에서는 슬픔의 지속성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윤동주 시에서의 슬픔의 양상을 연도순으로 분석한 결과 윤동주의 시는 자신의 삶에 관한 고백이며 다짐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시의 주제는 그가 살아온 이야기였으며, 시의 표현은 상징적이기보다는 구체적이고 명확했다. 특히 시의 주제는 시기별로 세 단계의 변화를 보였다. 첫 번째는 울분과 분노의 시기였고, 두 번째는 고뇌와 탐색의 시기였으며, 세 번째는 치유와 소명의 시기였다. 내용별로는 근원적 상실에 대한 슬픔, 우울한 현실주의자의 슬픔, 슬픔의 극복의지와 식민지 현실인식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근원적 상실에 대한 슬픔의 서정을 담고 있는 시를 분석한 결과 근원적 상실감은 꿈의 좌절과 관련되어 있었다. 그 좌절감은 고통과 두려움을 동반했으며, 자신의 인생에 대한 절망감을 안겨주었다. 특히 이러한 절망감은 그가 바라보는 모든 대상들을 서럽고, 쓸쓸하고, 권태롭게 보이게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울한 현실주의자의 슬픔의 서정을 담고 있는 시를 분석한 결과 우울 증상을 보이는 세 가지 측면, 즉 자신과 세계와 미래에 대한 지나치게 부정적인 인식이 그의 시에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이고 무기력한 일상 속에서도 뚜렷한 의미를 부여한 시들을 찾을 수가 있었다. 특히 시대적 사명감과 식민지 현실인식을 보여주는 시들은 슬픔의 극복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이었다. 슬픔의 극복의지와 식민지 현실인식의 서정을 담고 있는 시를 분석한 결과 그는 슬픔을 외면하지 않고 직시했으며, 자기 설움이나 연민을 극복하고 주변 세계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자신이 겪고 있는 원인 모를 이 슬픔에서 자신의 존재 이유를 깨닫게 되었다. 위로와 치유가 필요한 시대에 그가 받은 소명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통해 슬픔에 빠진 사람들의 병을 낫게 하는 것이었다. 윤동주 시의 슬픔의 특징을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관련하여 분석한 결과 윤동주는 1930년대 후반 문예가 절정을 이루던 시대에 습작을 시작하여, 1940년대 초반 문예의 암흑기에 첫 시집을 출간해야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시기 윤동주의 시의 형식은 모더니즘의 전통을 따르고 있었고, 시의 내용은 당시의 부정적인 현실을 담고 있었다. 이 현실에 대해 그는 울분, 분노, 시련, 피로, 현실 부정, 소명, 희생으로 대응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윤동주 시의 슬픔 의식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고 출발하였다. 그의 시의 특징은 ‘슬픔’과 관련된 다양한 서정이 대다수의 시에 내포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특히 윤동주는 자신이 겪고 있는 슬픔을 외면하거나 부끄러워하지 않고, 자신의 실존적 문제로 받아들인 시인이었다. 더욱이 슬픔의 극복 의지를 분명히 보여주고 있으며, 그것을 자신의 시대적 소명으로 받아들인 시인이었다.

      • 윤동주 시에 나타난 기독교 의식 연구

        구봉경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32447

        This study give thought to the existing argument about the christian ideology of Yoon,dong-jus work and intent to understand it taking a affirmative view of christianity. Therefore, the basic motive of various motive is based on christian ideology.The christianity mentally has an effect on Yoon,dong-ju, which is conneted with how to evaluate and cope with history in the dark ages put under the control of Japan.This study understand the christian ideology of Yoon,dong-jus work from the four pointview which are original sin, commandments, a tonement, a conclusion and the Resurrection. The result is as follows.First, the reflection of oneself expressed on Yoon,dong-jus work is arised from morality according to the original sin of christianity, and he understood life and human which cannot help commiting sins. His fatalistic original sin thoroughly has him to reflect of himself, by which he is a model as a christian being ready to suffer punishment according to original sin. This original sin expressed on his work connected with the emotion of disgrace.Second, the commendments is applied to all of the christian in the christianity, and Jesus complete the commendment. The shyness expressed on his work arise from self-accusation which could not observe commendments, this shyness give him pain, finally give him a tonement.Third, the ultimate cause of pain expressed on Yoon,Dong-Jus work is owing to realise disgrace. The heartbreak in colony and the life as a christian expressed on pain according to disgrace in his work, and so he needs a tonement. A tonement expressed on Yoon,Dong-Jus work is a sprit of sacrifice based on christianity. He thought Jesus Crists sacrifice in realistic pain and the faith of mothers womb made his idealogy. Therefore, a tonement mainly has influence on his work with Jesus Crists sacrifice.Fourth, there are the ideology of relief and the Resurrection in Yoon,Dong-Jus work. The spirit of death and hope expressed on his work is arised from a conclusion and the Resurrection of christianity. This emotion expressed on his work connected with the spirit of desire.Finally, Yoon,Dong-Ju essentially understood the christian ideology, and the emotion of poem expressed on his work is formed on the basis of christian idealogy. 본 연구는 윤동주 시의 기독교 사상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염두에 두고, 기독교에 대한 긍정적 해석의 입장에 서서 윤동주 시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즉 윤동주의 시에 나타난 다양한 정서들의 근원적 모티브가 기독교 의식에 있다고 보고, 윤동주 시의 基底를 기독교 의식과 사상에서 찾고자 하였다. 사실 한국 현대시사에서 기독교가 시의 소재나 내용으로서 또한 정신사적으로 영향을 끼친 사실은 윤동주의 경우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는 일제말기의 암흑기 속에서 윤동주와 같은 지식인이 당대의 질곡의 역사를 기독교적 관점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또 대응했는가에 대한 물음과 바로 직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윤동주 시에 나타난 기독교 의식을 원죄, 율법, 속죄양, 종말론과 부활 등 네 가지로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동주의 시에 나타난 자기성찰의 정서는 기독교적 원죄사상에 따른 윤리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윤동주는 그의 시에서 원죄에 의해 죄를 짓고 살아갈 수밖에 없는 인간에 대한 따뜻한 애정과 긍정의 시선으로 인간 삶에 대한 이해를 드러낸다. 윤동주의 이러한 숙명적 원죄의식은 철저한 자기성찰의 자세를 갖게 하며, 이를 통해 원죄로서의 벌을 겸허하게 감수하며 묵묵히 살아나가는 신앙인으로서의 인간정신을 보여준다. 그의 시에 나타난 이러한 원죄의식은 율법의식을 통한 부끄러움의 정서로 이어지게 된다. 둘째, 기독교에서 율법사상은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적용되며, 예수 자신은 바로 이 율법을 완전하게 하기 위해 온 존재이다. 윤동주의 시에서 드러나는 남다른 부끄러움은 이러한 율법을 온전히 지키지 못하고 있다는 자책감에서 오는 불안의 표상이며, 이러한 부끄러움은 그에게 괴로움을 가져다주고, 결국 참회로 이어지게 된다. 셋째, 윤동주의 시에 나타난 괴로움의 궁극적인 원인은 부끄러움을 깨달은 데에 있다. 식민지 조국에서의 상실감과 기독교적 삶의 체험은 윤동주의 시적 상상력을 부끄러움에 따른 괴로움의 정서로 나타나게 하였으며, 그 해결책으로 참회의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윤동주 시에 나타난 참회의 정서는 기독교적 속죄양 의식을 기반으로 한 희생정신이다. 현실적 괴로움이 커질수록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과 같은 맥락의 속죄 의식을 윤동주는 생각하고 있었고, 모태신앙에서부터 비롯된 기독교 정신이 그의 정신적 기조를 형성해왔기에, 속죄양 사상은 그리스도의 수난의식과 더불어 윤동주 시의 핵심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윤동주의 시에는 죽음을 뛰어넘는 구원 또는 부활에의 소망이 확고하게 자리하고 있다. 그의 시에 드러나는 죽음과 소망의 정서는 기독교적 종말론과 부활사상에 입각한 것으로 기독교가 지향하는 미래 세계의 접근방식이며, 인내를 통해 기다리는 소망의식으로 나타난다. 결국 윤동주는 원죄-율법-속죄-종말과 부활로 이어지는 기독교 사상을 본질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있었으며, 그의 시에 나타난 시적 정서들은 이러한 기독교 사상을 근원으로 하여 형상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윤동주 시의 시간의식 연구

        신춘선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2447

        문학작품을 통해 드러나는 시간의식은 작가가 지닌 세계관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또, 시간의식은 문학작품의 주제뿐 아니라, 작가의 역사의식과 존재의식을 잘 드러내는 '의식지향'을 드러낸다. 본고의 목적은 윤동주 시에서 나타나는 시간의식을 분석하여, 윤동주의 시에 어떤 시간성이 드러나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윤동주가 시에 나타나는 시인의 내면적 지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Ⅰ장에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윤동주에 시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적지 않지만, 그의 시에 나타난 시간의식을 고찰한 본격적인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고는 윤동주의 시에 나타난 시간의식의 분석이 그의 시를 이해하는 중요하고 핵심적인 요소로 보고, 시간성과 관련된 현상학 이론을 본고의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Ⅱ장에서 윤동주의 시에 나타나는 미래 지향적 시간의식의 특성을 살펴 보았다. 윤동주의 시는 직선적인 시간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직선적 시간관은 헤브라이즘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윤동주의 종교였던 그리스도교의 시간관, 역사관과 직결되는 것이다. 시간에는 처음과 끝이 있다는 직선적 시간관을 바탕으로 한 윤동주 시는 대부분 미래 지향적 시간의식을 담고 있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 미래 지향적인 시간의식은 구원을 지향하는 시간의식과 종말을 지향하는 시간의식을 담고 있다. 작품을 분석한 결과, 미래지향적 시간의식을 담고 있는 윤동주의 시는 자신이 처한 극한 상황에서 희망을 잃지 않으려는 강한 의지를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Ⅲ장에서는 미래지향적 시간의식을 보여주는 작품 가운데 자기구원을 지향하는 시간의식을 드러낸 시를 살펴보았다. Ⅲ장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신념과 구원의식을 드러내는 작품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윤동주의 시에서 구원의식은 현세와 내세의 이분법적 구도로 나타났다. 자기 구원을 지향하는 시간의식을 담고 있는 윤동주의 시는 내세보다는 현세에서 직면하고 있는 고통에 맞서서 자기를 억압하는 모든 것들로부터 자기를 구원하는 길을 찾으려는 의지를 담고 있었다. Ⅲ장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희생과 구원의 변증법을 드러내는 작품을 분석했다. 희생과 구원에 대한 신념을 담고 있는 시에서, 시적 화자는 자기 헌신에 대한 결의를 다지는데, 이와 같은 태도는 희생을 통한 자기 구원뿐만 아니라, 일제 식민지 하에서 암담한 삶을 살아가는 민족에 대한 구원의 의지를 끈질기고 성실하게 보여 주는 것이었다. Ⅳ장에서는 종말 지향적 시간의식을 담고 있는 윤동주의 시를 분석하였다. 종말 지향적 시간의식을 드러내는 작품은 내용은 삶의 극복의식과 역사적 의식을 담고 있는 작품과, 부활 정신과 희망의 시학을 담고 있는 작품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작품들에 나타난 시간의식을 분석한 결과 윤동주 시에는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의지와, 종말의식에 대한 섭리, 부활의 진리를 신앙처럼 믿고 기다리는 확고한 신념이 담겨있음이 드러났다. 윤동주의 시에는 기독교적 역사의식과 미래지향적 시간의식이 내재해 있지만, 단지 기독교 사상에만 얽매여 있는 것은 아니다. 윤동주의 시는 고도의 상징성과 역설적 의미를 띄고 있는데, 그것은 시대적 상황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윤동주의 시는 민족과 시대의 아픔을 자기화하고, 수난과 고통 속에 스스로를 내던져 현실의 모순과 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강하게 보여 주었다. 본고는 윤동주 시에 드러난 시간의식 분석을 통해 윤동주가 지닌 시적 감수성의 깊이를 가늠해 볼 수 있었다. 윤동주의 시가 보여주는 것은, 절망적 상황 속에 살면서도 역사와 미래에 대한 전망을 포기하지 않은 강인한 신념이요, 시대처럼 밝아 올 밝은 내일을 기다리는 희망과 구원에 대한 믿음으로 요약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 research for the time consciousness appeared in Yoon, Dong-Ju's poetry. There are enormous research works about his poetry, but not many researches on Time. Searching the new methodology in the studies of literature gives studies originality and flexibility. In this view,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finding out what is the final intention of Yoon, Dong-Ju's poetry through the time consciousness of his poetry. Literary works are structures which made of words. It suggests that literature is never free from the rule of time. Words are configurative products of the consciousness activity, and it is absolutely depended on time. Time is one of the most basic attributes of words. Accordingly, understanding of poetry through time analysis effectively shows not only simple understanding but also structural understanding of poetic statements. The time consciousness is an important fact that manages the sides of poetry's theme and techniques. This arouse 'the intention of consciousness' in terms of epistemology which shows poet's historical and existential consciousness. This research's theory is from Boltman who lineally symbolized the time as an answer about meaning of history. This is eschatology. The important point of the end is found in the edge of the future of history and time. That is a creation of the world and time by God. It implicates a lineal progress of history and time. The history progresses with the purpose of the last judgment and the eternal life after the judgment. It means that the history progresses with the salvation. The eschatology can be usually found in time and historical view of christianity. Yoon, Dong Ju's poetry shows mostly the future-oriented time consciousness. The future-oriented time consciousness is related to salvation-oriented time consciousness and eschatology-oriented time consciousness. For this thesis, these three were researched separately by their related poetry. Yoon, Dong-Ju's strong will to keep hope in any difficult situation appears in the the future-oriented time consciousness. In the salvation-oriented time consciousness, he shows that he relieves himself from the facing agony in the present life rather than life after death through the poetry. Finally, his waiting for resurrection and the time of reincarnation is revealed in the eschatology-oriented time consciousness. This resurrection and eschatology was his biggest strength and last spiritual stronghold to keep his life and poetry. His poetic imagination and emotional foundation in his poetry is always based on Christian ideas. He was not bound to the idea and highly embodied the essence of Literature. Through this, we have a new understanding of poetic outcome. The poetic characteristic is appeared upon the way of expression of the meeting of existence and time and the conflict of life and death. In addition, most of the poetry reveals future-oriented time consciousness. Yoon, Dong Ju's poetry which approaches us easily but hard to see inside shows his efforts to overcome the present conflict and difficulties in sufferings and pain. What makes Yoon, Dong-Ju's poetry worthy of his one is his sensibility of pain which was adopted by his whole body and it's depth. It gives his poetry tension and beauty. Yoon Dong-Ju's poetry did not abandon the prospect of historical time consciousness even in the extreme despair. It shows the poetics of hope and salvation which is waiting 'the morning coming like an era'.

      • 인성교육을 위한 윤동주 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시치료를 중심으로

        한미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446

        복잡한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제로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느끼고 의미 없이 하루하루를 보내는 무기력한 청소년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런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성찰하고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를 갖게 하는 인성교육이 학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행히 요즈음 학교에서도 인성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국어과에서 새롭게 인성교육을 부각하고 있는데 문학의 목표가 긍정적인 자아형성에 있다는 점에서 문학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생각해 보았다. 그중 시문학은 짧은 내용으로 정서적 위안을 얻고 자신과 타자에 대한 이해, 그리고 자아 정체성 탐구 등을 하게 된다는 측면에서 청소년기의 불안정한 정서에서 벗어나 정서 순화, 바람직한 자아 형성과 같은 정서적 위안과 충만감이 가득한 인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윤동주는 스스로 자신의 삶을 응시하며 살아간 성장과정을 시로 형상화했고 대부분의 작품이 의지적이고 긍정적인 전망을 보여주기 때문에 청소년기 학생들의 바람직한 인성형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그의 작품 속에는 국어과에서 제시한 인성요소 즉 자기성찰과 타인존중,책임과 참여의식 등이 담겨 있기 때문에 인성교육을 위한 제재로 충분하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윤동주의 삶과 그의 시를 통해 함양할 수 있는 인성요소로 ‘인물의 삶을 통해 긍정적인 의지 다지기’, ‘자아성찰을 통해 나를 이해하기’, ‘만남을 통해 아름다운 관계 형성하기’, ‘현실 극복을 통해 나의 꿈 이루어가기’ 등 네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을 윤동주의 인간적인 삶의 모습을 정리한 내용과 그의 작품인 「자화상」,「별 헤는 밤」, 「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윤동주의 시를 본격적으로 교수학습 하기 전에 청년 윤동주의 삶을 살펴보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그 이유는 암울한 시대 속에서도 의지를 굽히지 않았던 청년 윤동주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면서 그에 대한 공감과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것 자체로도 청소년기 학생들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윤동주는 그의 삶이 곧 시로 형상화된 시인이기 때문에 삶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윤동주의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자화상」에서 자신의 모습을 직면해보고, 「별 헤는 밤」에서 아름다운 언어를 만나는 경험과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열고, 「길」에서 자신의 목표에 대한 의지를 다져보는 기회를 순서대로 제시하여 학생들이 시를 통해 자신의 삶을 새롭게 인식하고 긍정적인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법을 마련하였다. 윤동주 시를 통해 인성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가 내 삶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경험할 수 있는 시 교육이 중요하다. 더욱이 고백적이고 자전적인 화자가 등장하는 시에서 독자가 얻을 수 있는 시적경험은 시를 하나의 미적대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화자의 고백과 자신의 삶을 견주면서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며 시의 강렬한 울림을 느낄 수 있는 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시가 자신의 삶과 일치되는 경험을 통해 정서적 감동을 얻고 시를 통해 자신의 삶의 모습을 성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의 내면화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수업방법이 도입되어야 하는데 다행히 시치료 접근법이 시를 통해 개인의 내면을 직면하게 한다는 연구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자는 내면화를 위한 시 교수학습 방법을 시치료에서 구하였다. 더욱이 자아성찰의 기회를 강하게 제공하는 윤동주의 시가 학습자의 정서적 성장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시치료 방법을 활용하는 것은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인성교육이 나에 대한 이해를 통해 남을 이해하고 그것이 결국 내 삶을 적극적으로 살아가며 자아실현에 이르는 길이라는 점은 자기인식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실천함으로써 건전한 자아 형성을 이루어가는 시치료와 연관되기 때문에 인성교육을 위한 시 교수학습 방법으로 시치료를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정서적으로 건강한 인간을 만들고자 하는 시치료와 바람직한 인간을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인성교육은 그 지향점이 같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 교육이 학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때 청소년기 학생들은 비로소 긍정적으로 성장하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행복감에 젖게 될 것이다. 여기에 교육의 진정한 의미가 있는 것이다.

      • 윤동주시 연구

        김은경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431

        1945년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사망한 후, 1948년『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유고 시집이 발표되면서 윤동주는 세상에 알려졌다. 흔히 1940년대 초반을 문학사는 문학의 암흑기라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윤동주의 빛나는 작품은 바로 한국문단의 암흑기라는 1941년부터 1942년까지 2년간 쓰여진 작품이 대부분이다. 그 동안 윤동주와 그의 시작품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윤동주가 나고 자란 고향 명동촌과 그리고 식민지 근대화를 목격하게 되는 연희전문시절, 그리고 식민지 상황에서의 주요 생애와 배경을 통해서 그의 시에 식민지 현실을 바라보던 자세인 비판적 현실 인식과 현실 인식을 어떻게 극복하고자 했는지 극복의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윤동주 시에 나타난 비판적 현실인식은 첫째, 그리움과 실향의 비애이다. 북간도 명동촌에서 대랍자로, 평양으로, 다시 용정으로, 서울로 일본 도쿄로, 교토로, 후쿠오카로, 한 줌 유해가 되어 북간도로 스물 아홉 짧은 생애를 줄곧 떠돌아다닌 윤동주이기에 그의 작품에는 가족에 대한, 친구에 대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의 비애가 깊게 깔려 있고, 그래서 윤동주에게는 뿌리내릴 고향은 없는 실향 의식, 실향의 비애가 나타나 있다. 둘째, 윤동주 시에는 슬픔이란 말이 많이 나온다. 곱고 섬세한 감성을 지닌 윤동주에게 그가 살았던 세상은 슬픔이 밤비처럼 고요히 젖어오는 곳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고자 했던 윤동주 시에는 이런 괴로움이 슬픔으로 부끄러움으로 나타난다. 셋째, 절망감이다. 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는 식민지 현실 인식으로 인한 절망감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것은 현실을 부재 하는 것이나 깨어진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서, 어둠 혹은 밤의 표상성을 지닌다. 식민지 상황이기에 과거를 잃어버리고 그것은 지금 현실의 불행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당시 암울한 시대적 상황에 대한 시인의 절망감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윤동주 시에 나타난 절망감은 식민지 상황 인만큼 현실이 막혀 있는 어둠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현실의 시련이 마음의 갈등으로 이어지면서 오는 절망감이다. 하지만 윤동주 시작품에는 비판적 현실을 인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가 나타난다. 그리움과 실향의 비애와 부끄러움으로 인식되는 현실은 천상과 자연에의 동경을 통해 극복하고 있다.『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라는 시집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무수한 천체에 대한 동경과 전원 심상이 작품에 베여 나오고 있다. 하늘과 별은 천체적 의미의 중심 표상으로, 지상의 한계를 벗어나서 아름다운 것, 순결한 것, 열린 것, 순수한 것, 꿈꿀 수 있는 것으로서의 천상적 질서에 도달하고자 하는 윤동주 정신이 반영된 것이고, 바람은 현실적 고난의 상징이며, 그것을 더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윤동주는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천상에의 아름다운 동경과 자연에의 지향을 통해 시의 아름다움과 건강함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암울한 식민지 현실에 부끄러움과 슬픔을 느낄 수밖에 없었던 인식은 소극적 저항의지로 극복하고자 했다. 하지만 이 저항의식은 흔히 얘기되는 비판적·투쟁적·행동적 속성이라기보다는 내성적·자책적·수호적 성격의 저항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식민지 현실에서 느끼는 이런 절망감은 절망으로 그치지 않고 새 시대를 기다리는 지향으로 극복되어지고 있다. 윤동주는 식민지 시대의 암울한 상황을 설정하고, 거기에 대한 입장을 표하고, 봄이나 새벽의 도래를 확신하면서 굴복하지 않는 기다림의 이미지를 잘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 기다림은 윤동주 개인만의 기다림이 아닌 그 시대를 살았던 우리 민족의 기다림을 대변하고 있음이다. The period of the early 1940s is usually considered to be the dark ag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ut Yun Dong-ju brightened up the two dark years of 1941 and 1942 in the literary circles of Korea with his sparkling and dashing works mostly written during the period. He could find no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during his lifetime, but his name started to evoke an echo in the world since his posthumous collection of his poetical works titled 『Sky, Wind, Stars and Poems』 was published in 1948 after his death at the prison in Hukuoka in 1945. Since the collection published, there have been a great number of studies on his poetry.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critical perception of reality and his will to transcend the reality found in his works, by focusing on his major life events and the background of his creations in a aesthetic perspective. After an analysis of his life events and the background of his works, it was concluded that his poems were not the product of simple and abstract conceptions through the means of knowledge, but that of the deepest experiences in so-called life and the problems involved in the reality and the history that he had to go through with all his body and soul. The critical perception of reality found in his works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was embodied through the missing for and the emotions of his lost home. Second, it can be equal to the negative reality perception. Lastly, it exudes his grief and shame, in which he places his will to transcend the reality. You can come across many of the word ‘grief’ in his works. To him who had the most fine and delicate sensibility, the world in which he lived might have been no more than the rain of grief at night getting him soaked thoroughly. This suffering is presented in grief and shame in the poems by him who wished to bear no shame in his mind before the heaven. But there are more than just the critical perception of reality in his works. There is, for one, the will to transcend the reality. He tries to transcend the critical reality with pure will of resistance. He also tries to transcend the reality by longing for the heavens and the nature. His works contain his eager yearning for a myriad of heavenly bodies and pastoral images as one can easily figure out from the title of『Sky, Wind, Stars and Poems』. His works are also driven toward his inclination to a new age. This kind of images to describe his inclination to a new age are the children of his He was never satisfied with the ego being grieved or shameful, but instead strived to pave a new way out of the dark colonial situation. In particular, some of his works including 「Till The Dawn Falls」,「Going With Eyes Closed」and「A Poem Too Easily Written」have the background set as the dismal situation of the times and vividly depict the images of confirming the arrival of spring or dawn and of waiting without surrendering. The waiting is not just an act of individual Yun Dong-ju but represents all the waitings that we Koreans desperately endured in the hearts during the times. The critical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 will to transcend the reality faithfully reflect the problems he had in his life and the reality, being interrelated in many of his works. This would only one part of the reason why the world can never diminish its interest in the his works and the poet himself, who led a short life of 29 years and never succeeded in publishing a poetry book in his life, as well as the reason why this interest and more studies will no doubt keep coming even in the far future.

      • 윤동주 詩에 나타난 실존적 자아인식

        양금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431

        비극적인 시대 상황 속에서 개인적인 안일을 구하기를 피하고 투명하고 부끄럼 없는 삶을 위해 오직 한 길만을 바라보며 나아가고자 했던 윤동주의 시에는 자신의 실존을 의식함으로 인한 고통의 자아인식이 드러나 있다. 그의 시들에는 독자적인 한 개인으로서 신 앞에서 자기 자신과 맺는 관계인 자아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고뇌가 밑바탕에 짙게 존재하고 있으며, 초기 시부터 마지막 시에 이르기까지 실존적 사유를 통한 자아 인식과 자아 성찰의 모습이 질적인 변증과정을 거쳐 점진적으로 나타나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초기시「삶과 죽음」, 「초 한 대」에는 주체적 사유자로서 삶 속에서 마주치게 되는 어둠과 죽음에 대한 사유와 인식을 시작하는 그의 실존적 관심이 잘 드러나 있다. 이는 그가 삶에서 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인 '죽음'에 관련한 자아의식에 눈을 떠가는 것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죽음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성숙한 단계에는 미치지 못한다. 윤동주가 성년기에 들어선 후에 자아에 대한 깊은 응시와 발견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시로「자화상」이 있다. 초기에 주로 썼던 동시의 세계에서 벗어나서 점차로 역사인식 속에서 자기를 의식하고 현실에 대한 뚜렷한 자아인식을 형성해 나가는 시기에 쓴 이 작품은 자기 자신과의 관계성 속에서 자신을 계속 응시하고 발견해 가면서 진정한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이 잘 드러나 있다.「자화상」에는 변증법을 통해 자기를 찾아가는 과정이 간접적이고 반어적으로 드러나 있으며 마지막엔 긍정적인 자아가 형성되어 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초기시 이후「자화상」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시작활동을 해 오던 그가 한 동안 절필에 가까운 공백기를 갖은 후에 쓴 네 편의 시들이 있다. 이 시들은 그가 성년이 되면서 연희전문학교에서 수학하는 동안에 깊은 사색과 여러 경험들을 거듭하며 자아의 질적인 비약의 시기를 겪게 되기 직전의 극심한 단절과 고통의 정점에서 쓰여진 시들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그는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 사이의 극심한 불일치 속에서 고뇌하고 방황하며 '역설'의 미학을 터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팔복」은 윤동주가 그가 처한 상황에서 슬픔 이상의 것을 내다 볼 수 없음을 역설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시이다. 지상의 복과 천국의 복은 서로 모순됨을 드러내며 결국 천국의 복을 소망하고 있음을 인식한다. 시「병원」「위로」에서는「팔복」에서 더 한층 나아가 자신의 존재의 실체를 찾기 위한 몸부림과 무기력함으로 인한 고통과 단절의 의식이 진행이 된다. 그가 이 시들에서 표현하고 있는 병든 사회와 병든 인간의 모습은 그가 처한 현실에서 볼 때 지극히 당연한 결과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병든 상태에 반항하여 발버둥치면서 거기서 빠져 나와 본래의 자아를 찾기 위한 노력이며 열정이 바로 실존적 고뇌이며 절망이다. 단순한 인간으로 사는 삶을 요구하는 병든 사회에서 윤동주 자신의 모습은 다른 병든 인간들과 똑같은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는 소외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여기서 나타나는 그의 자아의 문제는 이 소외를 어떻게 극복하는가의 과제로 주어진다. 윤동주가 자신의 죽음을 예고한 것과도 같은 짙은 불안의식과 죽음에 대한 강박관념을 나타낸 시「무서운 시간」은 어두운 시대상황 속에서 그대로 어둠을 어둠으로 인식하고 있는 고뇌와 절규의 시이다. 아직 그의 초월적인 자아가 싹을 틔울 수 없는 절망적인 하늘 아래, 땅을 딛고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을 불안하고 좌절하며 절망하는 모습으로 적극적으로 항변하는 고통과 단절의 자아의식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죽음과 어둠에의 극한 상황을 공포를 자아낼 만큼 극심하게 겪은 그의 삶은 질적인 비약의 시기를 맞으며 여러 대표 시들을 쏟아내게 된다. 모순과 갈등으로 일관된 험준하고 복잡한 그의 인생행로에서 줄곧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후퇴와 전진을 거듭한 끝에 마침내 질적인 비약을 감행하게 된 이 시기에 쓴 시로「십자가」가 있다. 고뇌하던 삶을 가장 치열하고 완벽하게 실현한 십자가상의 예수야말로 윤동주가 꿈꾸었던 최고의 실존의 모델이었다. 그는 극한의 사랑과 완벽한 헌신의 인물 예수에게서 완전한 자기희생이 없이는 부끄러움을 극복할 수 없음을 인식했다. 그것은 그의 자아인식이 앞서「팔복」과 「무서운 시간」에서 보여준 자아인식보다 차원이 높아지고 성숙되었음을 의미한다.「십자가」에서 보여준 자아인식의 결연한 상승에의 의지는「또 다른 고향」에서 좀더 구체적인 '사상'을 드러낸다.「또 다른 고향」은 윤동주가 역사적인 현실 앞에서 극심한 정신의 고난을 겪으며 질적인 비약을 겪는 시기에 쓰여진 시이다. 그는 동시적이고 심미적인 것을 추구하던 지난날 자아상에서 뭔가 새롭게 변화된 자아를 정립하기 위해 고심을 했음이 틀림없다.「또 다른 고향」에서 분열된 자아를 통합하려는 결단을 보이기 시작하는 자아는「별 헤는 밤」에서 와서 자연에 안식하고 자연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신비적인 경험의 과정으로 합일되어 간다. 이 신비한 초월성의 여정은「서시」에서 어떠한 감정에 의해서도 움직이지 않는 '초탈'의 상태로 나타나게 된다.「서시」에는 모든 집착에서 벗어나서 자신을 낮추고 겸손하고 가난한 자로서 살아가려는 윤동주의 초월적 자아가 잘 나타나 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 가는 것을 사랑하려는 그의 투명한 자아인식은 아가페의 사랑에 이르고자 하는 신념의 의지를 표현한다. 그리고 마침내 고국에서의 마지막 작품「참회록」에서는 자신의 부끄러움과 치욕적인 역사를 참회하고 자복함으로 종교적 실존에 이르고자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죄책감은 자기부정을 낳고 자기부정은 자기낮춤이 되어 겸손한 자리에 도달하게 된다.「참회록」에는 완전한 자기부정의 참회를 혹독하게 겪으면서 종교적 실존에 이르고자 하는 윤동주의 결단과 의지가 나타나 있다. 종교적 실존은 자신이 죄인이라는 사실과 함께 죄의 문제와 죄의식을 인생의 가장 중대한 문제로 다루고 죄사함의 은총을 받기 위한 '내면성의 무한한 정열'로 변화와 비약을 확신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쉽게 씌어진 시」를 끝으로 윤동주는 역사적 현실 앞에서 '노력'과 '정열'과 '길'의 실존의식을 끝까지 보이며 대립과 긴장의 삶을 마친다. 그의 삶에는 천성적으로 겸손하고 고결한 자아상을 가지고 있었음이 드러나 있으며, 그 어떤 시인보다도 시에서 자아의식을 드러내고자 고뇌하고 분투했음이 나타나 있다. A poet, Yoon Dong-ju threw away his personal comfort and sought to live a noble and shameless life in the tragic Japanese colonial era. In his poems there is self-cognition of anguish and suffering generated by cognizing his existence. The existential anguish means not physical and outward one but inward one. And such existential anguish was gradually developed to the realization of self. The existential anguish to find self-identity, which is the relationship of the God and himself as a unique individual, was widely expressed at the base of his poems. Self-consciousness and self-reflection through existential speculation accompanied by qualified dialectical process gradually appeared in all his poems throughout his life. His existential concern, which initiated his speculation and cognition of darkness and death faced through his real life as a subjective speculator, appeared clearly in his early poems, such as "life and death" and "a stick of candle". His representative work which exposed existential consciousness which expressed positively profound speculation and discovery of self after he reached the adult age is "a self-portrait" But he almost quit writing poems for a certain of period after he wrote hard from early poems to a poem, "a self-portrait". After that blank period, he wrote 4 more poems-"Eight Lucks", "Hospital", "Comfort", and "Flightful Time". His existential life made him capable of writing his many representative poems in the period of qualified rapid progress, after he experienced an extreme situation of death and darkness which almost caused horror. There is a poem "Cross" written in the early stage of this rapid progress. "Another Hometown" is a poem written in the period of qualified rapid progress, while he experienced extreme mental hardship in the historical reality. When he got back to his hometown, he realized the difference between his past self and present self. He tried painfully to find out which one of three selves was his real self. And repeated anguish made the self advanced. Transcendence of existence, which human pursuing existence reaches in the long run, came to appear in his poem, "the night counting stars". His transcendental self, which freed himself from tenacity for everything and made him try to live a humble and poor life, was expressed well in the poem "Opening poem". At last, his effort to reach religious existence by repenting of his own shameful and disgraceful history was found in his last work, "a confession" which was written in his homeland. A sense of sin breeds self-denial and self-denial does self-undervalue. This thought made him get to humbleness. "A confession" contains the poet's determination and will with which he reached religious existence by enduring severely complete self-denial. The poet dealt with a sense of sin as the most important thing along with the fact that he was a sinner himself. And he was sure that there must be changes and flight to 'inward thoughtless passion' to win the grace of God forgiving sin. He wrote his last poem "the poem written easily" and he finished his life showing his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endeavor', 'passion', and 'a road' in the face of historical reality in the poem. As Jaspers said existence is a teacher whom the God gives and a problem which is solved by itself, his existential life has natural humbleness and noble sense of self. He tried to express the sense of self more than any other poet.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has the limit of the study in which the steps of existence was set up dialectically in dealing with his existential self through his short life time The relation to death is not mentioned in this dissertation and it is left for further study about the poet, Yoon Dong-ju.

      • 심련수와 윤동주의 시 정신 비교 연구

        두도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2430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침략 말기 강렬한 저항의식으로 민족의식과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한 --심련수와 윤동주의 시 정신에 대한 비교연구 이다. 두 시인이 시작 활동을 한 1930년대 중반 이후 1940년대 초반은 식민지 시대였다. 그때 일본 침략 때문에 대부분의 지성인들은 훼절이란 역사 속에 새겼고 문학가들은 친일문학가로 변절해 버리거나 순수문학으로 도피했다. 그런데 심련수와 윤동주는 이러한 문단상황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민족혼이 담긴 시로 사람들의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민족자구 길을 추구였다는 정말 감동적이다. 두 시인은 같은 시대 같은 상황에서 시작활동을 시작하고 모두 광복 직전에 세상을 떠났다. 두 시인은 모두 이주민으로서 간도 생활경력과 일본에서의 유학경력을 갖고 있으며 그들의 시는 해방 후에야 비로소 유고집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많은 동질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두 시인은 분명한 이질성도 갖고 있다. 심련수의 작품은 저항이 남성적, 행동적, 투쟁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면 윤동주의 저항은 여성적, 자아적, 암유적 저항의 특성을 갖고 있다. 심련수는 유교적 세계관, 윤동주는 기독교적 세계관을 갖고 있다. 이것은 충분히 그들의 작품 속에 투명되어 있다. 그래서 두 시인에 대한 비교연구 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필요성을 가진다. 윤동주는 50년대부터 이미 사람들한테 중시되고 그에 대한 연구도 상당히 높은 수준을 도달한다. 그런데 심련수의 작품들은 그의 동생 심호수가 보관하고 2000년 7월에야 그의 세인들 앞에 등장했다. 따라서 국내외 심련수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적 단계에 있고 많은 부분이 부족하다. 조선민족문학 역사에 중요한 자리 차지하는 윤동주와 비교하는 것, 심련수에 대한 연구에 추진력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윤동주에 대해 연구도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된다. 심련수의 작품은 중국조선민족문화예술출판사가 2004년에 출판된 《20 세기 중국조선족 문학 사료전집》에서 나온 것을 채용하고 윤동주의 작품은 한국 민음사가 1999년에 출판된《윤동주 자필 시고전집》에 나온 것을 채용한다. 본 논문은 두 가지로 나누고 시대배경 기초로 심련수와 윤동주의 창작생애를 비교하면서 구체적으로 두 시인의 시정신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비교 연구 하였다. 본 논문은 우선 심련수와 윤동주가 삶을 영위했던 당시 시대배경을 살피고 창작생애에 대해 고찰하고 비교했다. 두 시인에 생애에 대한 비교는 그 비교 자체가 의의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시 정신에 대한 비교분석에 기초적 역할을 했다. 다음으로 심련수와 윤동주가 일제말기 시문학으로서 끈질기게 저항해올 수 있었던 시 정신에 대해 자세히 해부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우선 일제말 위기에 시기에 응전의 자세를 취할 수 있었던 시정신의 모티브를 통해 심련수에게서 비애어린 유랑의식 남아적인 저항 장신 유교적 선비정신에서 찾아보았고 윤동주에게서 숙명적 유민의식 절대적 양심적 지향과 자아성찰을 통한 저항의식 그리고 기독교적 정신을 찾아보았다. 결과 두 시인의 구체적인 삶의 배경 세계관 문학 창작관 성격기질의 차이로부터 여러 면에서 이질성을 발견하고 이것으로 형성된 예술 특징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론에서 여러 장을 거쳐 진행되어온 분석과 함께 더욱 침략이 제일 심했던 20세기의 30년대 말부터 40년대 초까지 심련수와 윤동주은 강렬한 저항의식으로 민족정신을 지키는 시정신의 본질을 명확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essay focuses on the comparison on the spiritual essence of the two poets, Sim Ryun-soo and Yin Dong-ju, who guarded nation and themselves with intense opposite consciousness in the final term of Japanese aggression. The main writing period of the two poets is the middle 1930' and the former 1940'. At that time, under the Japanese cruel repression, many intellectuals turned to be the follower of Japan or pursuit the "pure literature" based on linguistic aesthetics. But it is moving and meaningful that the two poets searched the road for nation's liberation with their poem. They share many common points: lived in the same age, had similar beginning background, both died not long before liberation, both had lived in the same island as immigrant and studied in Japan and both were known after liberation. But they have different writing style: Sim's poem is masculine with Confucianism tendency and Yin is feminine with Christianism tendency. So it is possible and necessary to compare. It is earlier and Sim's poems with the effort of his brother and some researchers. Because the research on Sim's poems is still limited, it is a meaningful promotion to Sim's research giving comparison with Yin and can provide a new vision on Yin's research, too. For Sim' poems, we adopt the relative poems in "An collected edition for 20 century's Chinese Korean literature history" while referent "An collected edition for Yin Dong-ju's poems" for Yin. This essay consists of two main parts. At the opening part of the essay, we raise some question, analyze the former research accomplishment, and summarise the objective, meaning and process. The body part can be divided the objective, meaning and process. The body part can be divided into two sections. Section one: comparison between their writing career on the basis of time background which is the research objective of the essay as well as groundwork to part two. Section two: analysis and comparison on their spiritual essence. Firstly, analyze Sim's tramping consciousness, masculine with Confucianism spirit. Then, Yin's deterministic tramping consciousness manifesting as self-examination fighting spirit and Christianism spirit. Finally, compare their poem spirit and the reasons from the angles of background, world view, literature view and character difference as well as the art feature. In the closing part, summarize the analysis and definitude their spirit essence to guard their nation in the dark period of Japanese op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