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수목원의 유형화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강신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Arboreta in Korea have achieved a rapid growth during the last 20 years, which is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has been raised at the same time such as standardized formation, absence of differenti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measures, absence of long-term development plan, lack of field experts, poor financial state and others that need to be resolved. Moreover, it is important to actively cope with the change in paradigm which entails strengthening functions such as networking, communication, education and recre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towards importance of plant diversity and the need for conservation. To resolve this effectively, it is recommended to categorize arboreta according to the groups that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and to introduce suitable problem-solving strategy,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new paradigm adaptation strategy for each category respectively.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uncil of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Ph. D. of Agriculture in June 2012 This research classified various types of arboreta in Kore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emand and supply aspects, and segmentalized problem-solving and manag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by type. 1. In order to classify arboreta types with the demand aspect, 22 out of 27 arboreta visitors were surveyed about their motives of visiting. When the motiv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key findings, four types were classified; ‘Intermediate type arboreta’ that do not have clear characteristics when it comes to the motivation for visiting, ‘Multi-purpose recreation arboreta’ that absorb all the motivators by powerfully embracing recreation and health motivators, and approach and low cost motivators, and the experience and learning and tourism motivators as well at the same time, ‘Thematic tourism arboreta’ that embrace the plant and scenery appreciation elements among the powerful tourism motivators, and ‘Learning and appreciation arboreta’ that embrace strong experience and learning motivators and middle level plant and scenery appreciation motivators. 2. Current status pertaining to location, usability, management, operation, resources and facility of the management, operation, resources and facility was studied to classify types, using the supply aspect as standard. When materialized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into five types of subsection; ‘Region specialized arboreta’ that have characteristics only at the specific categories among the detailed index categories that comprise the elements but no clear common characteristics detected in case of the elements extracted for categorization, ‘Multi-purpose arboreta’ with the ability to carry out diverse functions of the arboreta effectively since there are many plant types retained including the garden plants that has powerful arboretum operation capability elements from diverse aspects such as education, research and conservation and others,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with the highest communication potential and number of visitors since they have powerful demand and responsiveness due to the extensive number of visitors and number of employees and powerful arboretum operation capability, ‘City relaxation oriented arboreta’ that have high potential usability since they are located close to an urban area and that can be considered to have park-like traits since operation capability and horticulture theme elements are low although demand and responsiveness are strong, and ‘Ornamental thematic arboreta’ that offer diverse entertainments due to the share of garden plants and many different plant types retained, that have visitors from all the regions nationwide, and that are characterized by strong demand and responsiveness. 3. Types of 22 arboreta were categorized both from the demand and supply aspects and were compared, which demonstrated that 15 arboreta manifest congruity in terms of the type from the demand and supply aspects. Thus,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re is some conformity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tatus pertaining to the visitors’ motivation for visiting. However, seven arboreta did not manifest congruity. Like wise, a process for the acclimatization of the visitors’ motivation for visiting to suit the arboretum characteristics or for establishing arboretum’s new identity by factoring in the visitors’ characteristics is needed. 4. Difference in the visitors’ characteristics among the types of arboreta classified using the supply aspect as the standard was analyzed which demonstrated that the share of the visitors who are housewives and visitors who are at least in their 50s are high in case of the ‘Urban area recreation arboreta’ and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In case of the ‘Ornamental thematic arboreta,’ share of the visitors who are in their 20s or less are high. In case of the ‘Multi-purpose arboreta,’ share of the group visitors are high. In case of the ‘Ornamental thematic arboreta,’ average visitor spending are the highest. Likewise, diverse implications that are needed for the management of visitors going forth were drawn out. Moreover, majority of the visitors to the arboreta were motivated by recreation, health and tourism motivators. Going forth, strategy for the specialization of operation and for the characterization needs to actively embrace the change in conditions that require arboreta to communicate even more with the general public. 5. Difference in the visitors’ characteristics among the types of arboreta classified using the supply aspect as the standard was analyzed, which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y all types of current statuses by each type. This in turn confirmed that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types of this research is meaningful. However,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level of individual arboretum’s focus on work for the 24 key work domains presented by the BGCI demonstrated that there is virtually no difference by the type of arboreta. Thus, it was confirmed indirectly that there is a lack of the awareness and willingness for the characteriz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arboretum managers and operators’ work domains. Moreover, average for all the arboreta in Korea for the level of focus on the 24 key work domains was analyzed, which demonstrated that less than average (3) was manifested in 12 work domains, which is half of the domains. Thus,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work domains of all the arboreta lean considerably to one side. Nationwide,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arboreta that pursue after differentiation by focusing on specific areas among the 24 domains or work domains that go beyond. Because they will turn into the capability of the entire nation that synthesizes their capabilities into ideal capability when the arboreta do not lean to specific a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tailed research and countermeasures accordingly. 6. Detailed management measures by the type classified using the supply aspect as the standard was suggested.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carry out the secondary characterization from the operation aspect even more oriented on the specific index category that offers advantages when it comes to the ‘Region specialized arboreta.’ Meanwhile, ‘Multi-purpose arboreta’ are the model for the arboreta in Korea that offer specific level of capability that calls for the activ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to the arboretum oper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nation’s overall capability by increasing the share of work for the following; introduction of new agricultural products, which corresponds to the domain in which the nation’s overall concentration level falls significantly among the 24 work domains presented by the BGCI,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research on the environment-friendly disease and (insect) pest and weed control, development of cityscape plan, and evaluation of effect on the environment.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require strengthening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s or groups based on strong demand and conformity and operation capability. In addition, they have to play the role of helping to build consensu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lant diversity and need for conservation while general public enjoys while pioneering into new cultural domain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all types of art areas such as music and art in addition to plant. ‘City relaxation oriented arboreta’ have a demand level characteristic that is similar to those of the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However, their other competence tend to be rather weak since they are comprised of the arboreta that are characterized by relatively short operation period compared to others after the opening. When the demand level characteristics and arboretum capability are factored in, strategy for setting up the direction for long-term growth based on the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form and for mending shortcomings is needed. ‘Ornamental thematic arboreta’ are the place where diverse visitors from the nation visit. Thus, it is very well recognized by the general public, and offers diverse entertainments oriented on garden plants. By leveraging these strengths, there is a need to carry out garden plant oriented diverse experiences and educational program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collect the garden plants that are worthy of viewing for characterization, and to carry out research that increase evaluation and publicity of new plant types and to increase their usability. 요 약 우리나라의 수목원은 최근 20여 년간 단시간에 급속도의 성장을 이루었으나, 이 과정에서 획일적인 조성, 차별화된 관리·운영방안 부재, 장기발전 계획 부재, 현장전문가 부족, 재정상태 열악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적해 있으며, 식물다양성의 중요성과 보전필요성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네트워킹·소통·교육·휴양 등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패러다임의 변화에도 적극 대응해야한다. 이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목원을 특성이 유사한 그룹별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각기 다른 문제 해결 전략, 차별화 전략, 새로운 패러다임 적응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목원을 수요와 공급측면 특성을 중심으로 몇 개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세분화된 문제 해결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수요측면을 기준으로 수목원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연구대상 27개 수목원 중 22개 수목원 방문객들의 방문동기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형화한 결과, 방문동기에서 뚜렷한 특성이 없는 ‘중간형 수목원’, 휴양 및 건강 동기요인과 접근 및 저비용 동기요인을 강하게 수용하고 동시에 체험 및 학습과 관광 동기요인도 수용하여 모든 동기요인을 흡수하고 있는 ‘다목적 휴양형 수목원’, 강한 관광 동기요인과 중 정도의 식물 및 경관감상 요인을 수용하는 ‘테마관광형 수목원’, 강한 체험 및 학습 동기요인과 중 정도의 식물 및 경관감상 동기요인을 수용하는 ‘학습 및 감상형 수목원’ 등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공급측면을 기준으로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연구대상 27개 수목원의 입지·이용성, 관리·운영, 자원·시설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형화한 결과, 유형화를 위해 추출된 요인에서는 뚜렷한 공통 특성을 발견할 수 없고, 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 지표항목 중 특정 항목에서만 특성을 갖고 있는 ‘지역 전문형 수목원’, 교육·연구·보전 등 다방면의 수목원 운영역량 요인이 강하고 원예식물을 포함한 보유식물 종수가 많아 수목원의 다양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역량을 갖춘 ‘다목적형 수목원’, 방문객 수와 직원 수가 많아 수요 및 대응력이 강하고 수목원 운영역량도 강해 방문객과 소통 가능성이 가장 높은 ‘소통중심형 수목원’, 도시 근교에 위치해 잠재이용성이 높고 수요 및 대응성도 강하지만 운영역량과 원예테마 요인이 낮아 공원적 성격을 가졌다고 볼 수 있는 ‘도시휴양형 수목원’, 원예식물 비중과 보유식물 종수가 많아 볼거리가 다양하고, 방문객이 전국 모든 지역에 고루 분포하며, 수요 및 대응력 또한 강한 ‘관상테마형 수목원’ 등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셋째, 수요와 공급측면에서 유형화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진 22개 수목원의 수요와 공급측면 유형을 대응시킨 결과, 15개의 수목원은 수요와 공급측면에서 유형의 일치성이 있어, 방문객의 방문동기와 수목원의 현황특성이 어느 정도 부합한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7개 수목원은 일치성을 보이지 않아 방문객 특성을 고려하여 수목원의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거나, 수목원 특성에 맞게 방문객들의 방문동기를 순화시켜 나가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공급측면을 기준으로 구분한 수목원 유형 간 방문객 특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도시휴양형 수목원’과 ‘소통중심형 수목원’에 는 주부 방문객과 50대 이상 방문객의 비율이 상당히 높고, ‘관상테마형 수목원’에는 20대 이하의 방문객 비율이 높으며, ‘다목적형 수목원’에는 단체견학 비율이 높고, ‘관상테마형 수목원’ 방문객의 평균사용경비가 가장 많은 등 향후 방문객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수목원에는 휴양 및 건강 동기와 관광 동기를 가진 방문객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향후, 운영 전문화·특성화 전략은 수목원이 대중과 더 많은 소통을 하도록 요구하는 새로운 여건 변화를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공급측면을 기준으로 구분한 수목원 유형 간의 수목원 특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형 별로 각종 현황에서 차이가 존재해 본 연구의 유형분류 결과가 의미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BGCI에서 제시한 수목원의 24개 주요 업무영역에 대한 개별 수목원의 업무 집중 정도를 확인한 결과에서는 수목원 유형별 집중분야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는 수목원 관리·운영자들이 업무영역을 달리함으로서 수목원의 특성화·차별화를 꾀하겠다는 인식과 의지가 부족함을 간접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24개 주요 업무영역 집중 정도에 대한 우리나라 수목원 전체 평균을 분석한 결과 절반인 12개 업무영역에서 보통(3)이하로 나타나 전체 수목원의 업무영역이 상당히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 전체적으로는 24개 업무영역 중 특정 분야에 집중하여 차별성을 추구하는 수목원이 다수 존재하고, 이들의 역량을 종합한 국가 전체의 역량은 분야별로 치우침이 없어야 가장 이상적인 모습이 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와 대책마련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급측면을 기준으로 구분한 유형 별로 세부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지역전문형 수목원’은 강점을 가진 특정 지표항목을 중심으로 운영측면에서의 2차 특성화를 보다 더 진행시킬 필요가 있으며, ‘다목적형 수목원’은 일정 능력 이상을 갖춘 우리나라 수목원의 모델로써, 지속가능성 개념을 수목원 운영에 적극 도입해야 하며, 또한 BGCI에서 제시한 업무영역 24개 중 국가 전체적인 집중도가 상당히 떨어지는 영역인 새로운 농작물 신품종 소개 및 특성평가, 친환경 병해충 및 잡초방제 연구, 도시경관계획 수립, 환경영향평가 등에 대한 업무 비중을 높여 국가 전체적인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소통중심형 수목원’은 강한 수요 및 대응력과 운영역량을 토대로 지역민 또는 단체와 소통을 강화하고, 식물뿐만 아니라 음악·미술 등 각종 예술 분야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문화영역을 개척하는 등 대중들이 즐기는 가운데 식물다양성의 중요성과 보전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도시휴양형 수목원’은 잠재이용성이 높아 ‘소통중심형 수목원’으로 발전할 수요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개원 후 운영기간이 타 유형에 비해 짧은 편에 속하는 수목원들로 구성되어 있어 나머지 역량이 다소 약한 편이다. 수요적 특성과 수목원 역량을 감안해 볼 때, ‘소통중심형 수목원’ 형태로 장기발전방향을 설정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관상테마형 수목원’은 전국에서 다양한 방문객이 찾는 곳으로, 대국민 인지도가 높고 원예식물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볼거리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강점을 활용하여 원예식물 중심의 다양한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관상가치가 높은 원예식물을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이를 특성화하고 새로운 신품종의 평가 및 홍보와 이들의 활용도를 높이는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 텍스타일디자인 유형화에 따른 오브제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허지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6

        ABSTRACT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Objet Based on Classification of Textile Design Components Huh, Ji Hye Dept. of Fine Art & Design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Modern society is experiencing a new paradigm such as urban problems, expansion of scale, an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design has evolved into various concepts, mutually developed and influenced by history, culture, society, politics, technology, and materials. The changing paradigm of design suggests a new direction of textile design that respond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ety. Currently, the response to the paradigm is relatively inadequate in the textile design field compared to other design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extile design that can utilize individuality and respond in multiple angles through research on the general classification system and applicability of textile design, that follows the design paradigm change. This way of product creation in the design planning process brings out differentiation, a new perspective, to the users, which improves products and increases its competitiveness. Design Integrations: Research and Collaboration, noted that new areas of design coupled with methods, techniques and scientific developments for analyzing patterns of complex problems in design will grow significantly and also claimed that an integrated design area with other fields will emerge. This way of value increase is not a work of art to satisfy the personal desires of designers, but a way to improve products and increase its competitiveness by presenting differentiation, a new perspective, to the users. By focusing on the creative and innovative aspects of the product, various types of application method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extile designs can be extended to the areas of competitiveness that are important from the present marketability. In response to this demand, the study begin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the classification of textile design compon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ific components and element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 general concept of textile design and objet, and to suggest applicability of new expression expansion by elucidating component types and its applicability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 2,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related to textile design and objet were reviewed, and the etymologies and concepts of textiles and objet were summari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aimed to extract the components and elements of textile design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trends in previou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ile design and objet and its applicability was discussed through the extracted components and elements from the analysis of the trend in previous studies on objet. In chapter 3, textile design components and elements are extra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on objet and the reclassification and standard of textile design components. The applicability in relation with the specific element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alysis was derived. In chapter 4, specific elements applicable to objet according to textile design component classification were derived. Through this, the classification of applicable components and elements of textile design and objet were solidified. The validity of the final classification categories was confirmed to verify the component classification category and the specific elements. Reliability and importance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collecting questionnaires on the component classification from a group with expertise on the applicability of the textile design and the specific elements of objet. In chapter 5, verification and case analysis subjects on applicable textile design elements were selected to verify the component classification that was form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ion criteria and empirical analysis. By empirical analysis, the importance of applicable textile design component classification was confirmed. Through verification of objet applicable elements from the textile design component classification, a connecting role can from to expand new areas of expression and provide plans for actualized objects (product manufacturing type). An applicability that can actualize and subdivide, through the elements and components that can create new objects (present state expansion), is suggested. It was analyzed by the expert interview that was done to verify the component classification categories. In chapter 6, a comprehensive study result on the studies above is summarized, with a description 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plan, and the suggestion of objet applicability on textile design. In this study, a new direction of textile design was explored through examining previous studies and the classification of components was theoretically established. The study acts as a guideline for objet application method based on textile design component classification, and provides a foundational basis for active response in different situations. The study suggests product creation and design planning that gives differentiation, a new perspective, to the consumers, to improve products and increase its competitiveness.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for the research on various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component classification of textile design to continue in the future. Key words: Textile design element, objet application element, classification, relational applicability 현대사회는 도시문제, 규모의 확장, IT기술의 발달 등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고 있다. 디자인은 20세기 후반 이후에 역사, 문화, 사회, 정치, 기술, 소재의 발전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다양한 개념으로 발달되어 왔다. 디자인의 패러다임 변화는 사회의 급속한 발전에 대응하는 텍스타일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텍스타일디자인 분야는 타 디자인분야에 비해 패러다임의 대응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디자인 패러다임 변화에 맞추어 텍스타일디자인의 전반적인 유형분류 체계와 오브제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자신의 고유한 개성을 살려 다각도로 대응할 수 있는 텍스타일디자인 기반을 마련 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제품을 창조하는 것은 디자인 기획 할 때에도 사용자에게 차별성 즉, 새로운 시각을 줄 수 있는 것이 제품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인 통합(DesignIntegrations: Research and Collaboration)에서 역사적인 배경과 시대적 흐름에 따라 구성방식이나 표현방법이 다양해지면서, 디자인의 복잡한 문제의 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기술 및 과학 발달과 연계된 디자인의 새로운 분야들이 현저히 발전하게 되며, 타 영역 간의 통합된 디자인 영역도 등장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복잡한 패턴을 분석하기위해 텍스타일디자인의 각각의 고유한 특징을 갖는 유형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그에 대한 특성을 정리한 자료가 제공된다면, 대상, 목적, 상황에 맞는 적용 방법을 구현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치 증대는 텍스타일디자이너의 개인적인 만족을 충족시키기 위한 예술 작품이 아니며, 사용자에게 차별성 즉, 새로운 시각을 줄 수 있는 것이 제품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제품의 창조적인 것과 혁신적인 것을 중심으로 텍스타일디자인의 유형 분류를 통한 다양한 적용방법은, 현재의 시장성에서 중요한 경쟁력 있는 영역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른 요구에 맞추어 텍스타일디자인의 유형화의 필요성 인식에서부터 본 연구는 출발하고자 하였다. 텍스타일디자인과 오브제의 일반적인 개념과 선행연구를 통한 구체적인 요소, 유형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적용 가능성에 대한 유형 항목을 도출하여, 새로운 표현 확장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텍스타일디자인과 오브제에 관련한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텍스타일과 오브제의 어원 및 개념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에 따른 텍스타일디자인의 선행연구 동향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한 유형과 요소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오브제의 선행연구 동향 분석에서는 추출된 유형과 요소를 통해 텍스타일디자인의 관계성 및 적용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텍스타일디자인의 유형에 대한 기준과 재분류를 통해 유형화 및 요소와 오브제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유형 및 요소를 추출하였다. 유형화 분석에 따른 구체적 요소의 관계적 적용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텍스타일디자인 유형화에 따른 오브제 적용 가능한 구체적 요소를 도출 하였다. 이를 통해 텍스타일디자인과 오브제의 유형 및 요소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항목과 요소를 구체화 하였다. 유형화 항목 및 구체적 요소 검증을 위해 최종적으로 추출된 유형 항목별 타당성 검증을 하였다. 텍스타일디자인과 오브제의 구체적 요소에 따른 적용가능성에 대해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유형 항목별 설문조사를 통해 신뢰도 및 중요도를 분석 하였다. 5장에서는 실증분석 대상의 선정기준과 특성에 따른 유형화 항목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텍스타일디자인 요소의 사례분석과 검증대상을 선정한다. 실증분석을 통해 오브제 적용 가능한 텍스타일디자인 유형화 요소의 중요도를 검증하였다. 텍스타일디자인 유형화에 따른 오브제 적용 가능 요소 및 검증을 통해 새로운 표현 확장, 구체화 된 사물(제품 제작형)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효과 즉, 고리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사물(확장된 현재성)을 제작 할 수 있는 요소 등 유형을 통해 구체화 ‧ 세분화 할 수 있는 적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유형화 항목 검증을 위한 전문가 인터뷰(Expert Interview)를 통해 분석하였다. 6장에서는 앞에서 진행한 연구들을 토대로 종합적인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서술하고 텍스타일디자인의 오브제 적용가능성의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타일디자인의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유형화를 이론적으로 정립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른 텍스타일디자인 유형화에 따른 오브제 적용방법으로서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는 것이며, 상황에 맞춰 능동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제품을 창조하는 것과 디자인을 기획 할 때에 소비자에게 차별성 즉, 새로운 시각을 줄 수 있는 제품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텍스타일디자인의 유형화에 따른 다양한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질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텍스타일디자인 요소, 오브제 적용 요소, 유형화, 관계적 적용가능성

      • 사회과 유형화 논의에 비추어 본 통일 수업의 특성

        최혜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분단이후부터 현재까지 학교현장에서 진행되어 온 통일 수업의 유형과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일교육 현장연구에 수록된 통일 수업 사례들을 사회과 수업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통일교육은 분단된 우리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민주시민교육이다. 민주시민교육이라는 측면에서 통일 수업이 어떠한 특성을 지녀왔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사회과 유형화 논의에 비추어 통일 수업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사회과교육에서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유형화 논의를 바탕으로 통일 수업의 유형 분류를 위한 분석틀을 만들고 가치에 대한 관점과 교수방법의 정향을 기준으로 분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교육에서 교사들이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교육실천을 해 왔는가를 살펴보고, 학교 현장의 통일 수업 유형을 분석하는 데 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의 통일 수업 유형과 특징을 밝힘으로써 현장의 통일 수업이 지니는 한계와 가능성을 가늠하고 통일 수업이 사회과교육에서 지니는 위치를 재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교육에서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유형화 논의들을 분석하여 통일 수업 분류를 위한 유형화 준거를 마련한다. 둘째, 교사들이 작성한 현장연구보고서의 통일교육 관련 수업안을 통일 수업 분류를 위한 유형화 준거에 따라 분류한다. 셋째, 사회과교육의 유형화 논의에 비추어 현장 교사들의 통일교육 관련 수업안의 특성을 밝히고 그 의미와 통일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통일 수업은 교수내용과 교수방법의 기준에 따라 다섯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의 유형은 교사가 위로부터의 교육과정을 시대적 교육사조와 교육방법의 흐름에 맞추어 조합한 결과이다. 둘째, 통일교육은 도덕과에서 주로 다루어지면서 덕목화(德目化)되었기 때문에, 교사들이 통일 수업에서 다양한 교육방법을 시도함에도 불구하고 조화되지 못하고 통일 덕목에 대한 주입과 교화로 귀결되는 특징을 보인다. 셋째, 통일 수업은 ‘닫힌 영역’에 관련된 교육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내용에 관한 교사나 학생의 다양한 의견 표명의 여지가 적었다. 따라서 교사들은 교육과정과 교과서 그리고 정부의 통일교육지침에 따라 학습자를 이미 정해진 절대적 가치로 안내하는 특성을 보인다. 넷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의 통일 수업은 점차 그 양이 증가하고 수업의 유형이 다양화되는 등 변화하고 있다. 이는 교사들이 주어진 교육과정 안에서 자신의 재량껏 최대한 잘 가르치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의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볼 때, 통일 수업의 교육 내용은 그간의 덕목적(德目的) 특징을 벗어나 보다 다원화된 시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통일 수업의 교육 방법이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바탕으로 자유롭게 통일에 대하여 논할 수 있는 학습의 장이 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반공교육의 계보를 잇고 있는 도덕과의 통일교육에서 벗어나 사회과교육에서도 통일에 대한 교육이 광범위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사회과 수업의 유형화, 통일 수업, 통일 교육, 현장연구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ype and features of classes at schools on the subject of unification of two Koreas made after the separation of Koreans in South and North Korea. For this purpose, I have classified the cases of class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ocial studies and analyzed them, based on the prior literatures regarding the classes on the unification made b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education on the unification of two Koreas into one is the education that all Koreans have to get. To find out how the classes on unification have been mad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for civilians, I tried to find out and analyzed the classes on unification in terms of social studies. I made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for the classification of classes on unification based on the discussion on typification in the social studies and then, I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value and teaching method and analyzed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teachers have practiced their teaching methods on the subject of unification and analyze the type of class on unification at schools.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the features of the classes on the unification would be found and the limitation and possibility of classes on unification at school would be understood to reestablish what position the class on the unification takes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The items for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historically meaningful discussions on the typification in the social studies are analyzed to make the foundation by which the classes on unification can be classified. Second, the plan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field study report prepared by the teachers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reference.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ypical discussion on social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fication teaching plan will be researched and their implications will be derived. Based on the items for the study, the followings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classes on unification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it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Each type is the result of teacher’s combination of the instruction from above and the education ideology and teaching methods. Second, as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has been a part of the ethical subject, it has not been consistent with others through the teachers have tried the education in diversified ways but the type of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just led to a virtue and indoctrination. Third, the classes on unification handles with a “closed scope” that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had no room for expressing their own opinions. Accordingly, the teachers just tended to teach the student on the unification just as shown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educational instructions on unification. Fourth, notwithstanding, the classes on the unification in schools have increased in volume and have been diversified with their types. These may be the results of many efforts made by teachers who wanted to give the best education to the students as much as at their could. This analysis shows us that the classes on the unification shall focus less on its virtue but more on the needs of unification from diversified viewpoints. In addition, the free discussion on the unification shall be recommended based on various interdisciplinary backgrounds for the class. To achieve that, the class on unification shall get out of the field of ethics and be handled as a subject of social studies in diversified viewpoints. Key words: typification of classification of social studies, class on unification, unification education, field study

      • 사회과 유형화 논의 측면에서 본 경제 수업의 성격 분석

        정은효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학교 현장에서 진행되어 온 경제 수업의 유형과 성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제교육 현장연구에 수록된 다양한 경제 수업 사례를 사회과 수업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이에 따라 나타나는 경제 수업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제교육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에서의 경제교육은 사회과의 한 영역과 실과과 일부 도덕과 일부 그리고 범교과로 흩어져 진행돼 왔다. 경제교육은 경제 문제와 관련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민주시민교육이다. 민주시민교육이라는 측면에서 경제 수업이 어떠한 성격을 지녀왔는지 검토하기 위해 사회과 유형화 논의에 비추어 경제 수업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사회과 유형화 논의를 바탕으로 경제 수업의 분류를 위한 유형 분석틀을 만들고 지식에 대한 관점과 가치에 대한 관점을 기준으로 분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교육에서 교사들이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경제 수업을 실행해 왔는가를 살펴보고, 학교 현장의 경제 수업 유형을 분석하는 데 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의 경제 수업 유형과 성격을 밝힘으로써 현장의 경제 수업이 지닌 한계와 가능성을 가늠하고 향후 경제 수업의 지향을 모색해 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교육에서 전통적으로 의미 있는 유형화 논의들을 분석하여 경제 구업 분류를 위한 유형화 준거를 마련한다. 둘째, 교사들이 작성한 현장연구 보고서의 경제교육 관련 수업안을 경제 수업 분류를 위한 유형화 준거틀에 맞추어 분류한다. 셋째, 사회과교육의 유형화 논의에 비추어 현장 교사들의 경제교육 관련 수업안의 특성을 밝히고, 경제교육의 추이와 변화를 살펴 경제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경제 수업에서 지식을 중시하는 관점인 탐구수업과 지식전달 위주의 수업 비중이 높았다. 둘째, 경제 수업이 점점 더 학습자 개인의 의사결정을 중시하는 수업 유형으로 변화하고 있는 특성을 보였다. 절대적 지식과 가치 주입 중심의 수업 유형에서 학습자 개인의 의사결정을 중시하는 유형으로 변화의 추세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경제 수업에 대한 요구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서 극명히 나뉜다. 경제 교육 전문가들이 학교 경제교육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설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사회적 분위기에 휩쓸린다. 특히 전 국가적으로 경제적 위기에 봉착했을 때 경제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며 경제교육이 유행처럼 행해지다가 이후 관심이 빠르게 식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경제 수업 주제의 양상이 우리나라 경제발전사와 비슷한 모습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90년대에는 근검·절약을 중심으로 건전한 소비자 육성을 수업 주제로 삼았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발전하는 금융산업 속에서 합리적인 선택을 내릴 수 있는 소비자가 되기를 기대하였다. 2010년대에는 합리적 선택에 있어 욕구와 희소성, 기회비용 등 보다 더 체계적인 절차를 제시하였고 2020년대에는 소비자로서만 머물러 있던 학습자가 생산자와 투자자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서 볼 때, 경제 수업은 지식 중심의 수업을 한다고 할지라도 교수방법의 다양화를 통해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흥미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같은 지식을 가지고 수업을 할지라도 교수 방법에 있어 학습자의 이해도와 흥미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경제 수업의 교육 방법이 시뮬레이션 게임 학습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경제 수업이 경제 위기가 닥칠 때 일시적으로 유행하는 하나의 범교과 소재로 활용되는 것이 아닌, 지속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체계화 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향후 초등 경제교육은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발맞추어 미래사회의 특성과 경제 환경의 변화를 폭넓게 반영하고, 달라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세대 변화의 흐름에 맞는 경제 시민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conomics classes conducted in school settings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To achieve this, various cases studies of economics classes from research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ocial studies classes. The analysis focused o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classes that emerged from this classification.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economic education, it has been scattered across different areas of social studies, parts of practical arts and ethics, and interdisciplinary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s. Economic education aims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by enabling rational decision-making in economic matters. To examine the nature of economic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types of economic class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discourse on social studies differentiation.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types was developed based on significant historical discussions on social studies differentiation, and the class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perspectives on knowledge and valu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ontent and methods used by teachers in economic education and analyze the types of economic classes implemented in school settings. Additionally, through this research, the aim is to shed light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conomic classes in school settings, assess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these classes, and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economic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as follows: Firstly, analyze meaningful discussions on the differentia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o establish criteria for classifying economic classes. Secondly, classify the classes’ plans related to economic education from field research reports written by teachers according to the criteria established for classifying economic classes. Thirdly,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s related to economic education by comparing them with the discourse on the differentia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for economic education by examining the trends and changes in economic educatio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earch quest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emphasis on knowledge in economic classes, with a higher proportion of inquiry-based classes compared to knowledge transmission-focused classes. Secondly, the nature of economic classes showed a trend towards prioritizing learners' decision-making, shifting from a teaching style centered around imparting absolute knowledge and values to one that focuses on individual decision-making. This trend of transformation was found to be consistent over time. Thirdly, the demand for economic education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social atmosphere. Despite continuous advocacy for the importance of school-based economic education by experts, the level of interest in economic education was influenced by the prevailing social climate. Particularly during times of national economic crises,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gained attention, but interest quickly diminished thereafter. Fourthly, the themes of economic classes exhibited similarities to the economic development history of South Korea. In the 1990s, classes emphasized diligence and frugality to cultivate responsible consumers, while in the 2000s, the focus shifted towards developing consumers capable of making rational choices within the expanding financial industry. In the 2010s, more systematic procedures were introduced for rational decision-making, considering desires, scarcity, opportunity costs, and so on. Finally, in the 2020s, learners transformed from being solely consumers to becoming producers and investors. Based on the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while economic classes are knowledge-centered, they should utilize diverse teaching methods to enhance learners' understanding and engagement. Even with the same content, the teaching methods can significantly impact learners' comprehension and interest. Therefore, the educational approaches in economic classes should incorporate various methods, such as simulation games, to cater to different learning styles. Additionally, economic education should not be merely a temporary trend during economic crises but should be systematized for sustained implementation. Furthermore, future elementary economic education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ing society and economic environment, aligni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It should consider the evolvi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contribute to their growth as economically literate citizens who can adapt to the changing trends of their generation.

      • 감성적 건축언어의 유형화에 의한 건축디자인 분석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김성열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5

        인간이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언어에 의해 담는 순간부터 지식은 축척되고 문명은 발전하여 왔다. 언어의 발달은 문명의 발달과 함께 했으며 건축적인 지식도 예외는 아니다. 건축물을 만드는 행위는 사전에 치밀한 계획에 의해 설계 되어야 하며, 설계의 과정에서도 무수히 많은 건축언어가 사용된다. 넘치는 건축언어와 건축이론은 건축디자인의 다양성을 가져왔으나 복잡한 미로에서 정확한 길찾기처럼 건축디자인도 언어의 수량만큼 전문적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전문성과 다양성으로 인하여 일반인과 건축디자인의 간격은 점차 멀어졌고 감각적인 디자이너에 의해서만 좋은 건축물이 지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전문성에는 일반성을 부여하고 다양성에는 보편성을 부여하여 일반인도 참여할 수 있는 건축디자인 방법론을 위해 ‘건축주, 건축가, 건축물’ 3원적 주체에 의해 사용되는 다원화된 건축언어를 감성적 건축언어로 유형화하였다. 감성적 건축언어의 유형화의 대상은 ‘건축주에 의해 주로 사용되는 감성언어, 건축가에 의해 주로 사용되는 디자인 언어, 건축물에 주로 사용되는 건축물 형태언어’가 있다. 이렇게 유형화 된 건축언어를 이용하여 감성이미지 분석과 감성지수 계측에 유용한 디자인 분석틀을 만들었으며 판교지구 단독주택의 건축디자인 분석에도 적용하였다. 또한 단독주택 건축디자인 분석의 결과로 얻게 된 건축디자인요소를 제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계획틀을 작성하였다. 디자인 계획틀에는 ‘건물형상, 재료조합, 색채조합, 창호조합, 균형대비’의 건축디자인 요소를 감성이미지와 비교하여 선택하도록 작성했으며 감성건축 프로세스 디자인에 따라 실제 설계사례에도 적용하였다. 그리고 감성적 건축언어의 유형화에 따른 객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건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고 있는 건축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실제 설계상황처럼 다양한 선택변수의 환경에서는 감성이미지의 구별비율이 낮았으나, 유형화에 의해 선택변수를 5개미만으로 줄였을 때는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러한 설문의 결과로 ‘감성적 건축언어의 유형화’를 통해 건축설계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의 개선과 ‘디자인 분석틀, 디자인 계획틀’에 의한 ‘감성건축 프로세스 디자인’의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 경관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비오톱 유형화 및 개별비오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김한수 동국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4

        This study attempt to consider domestic studies on biotope so as to derive problems and to find solutions based on landscape ecology theory.. As the following 3 steps, this study was processed. Firstly, to derive problems by analizing the previous study cases. Secondly, to bulid landscape ecological evaluation method of individual biotope a landscape ecological classification biotope type. And lastly, to derive characteristics of this method. The analysis of existing study cases at home relevant to biotope found problems such as lack of quantitative criteria for evaluation; failure to reflect diverse values of biotope in evaluation results due to the evaluation criteria focusing on plant species; and absence of evaluation of individual biotopes on account of limited time and cost. To make up for such problems, diverse theories and study methods based on landscape ecology were applied, i. e.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landscape index, an empirical study cases conducted from a variety of aspects and GIS-based spatial analysis technologies. The study site chosen here was Shiheung City, Gyeonggi-do, whose diversity of biotope types was found high among those of other case sites where the existing study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individual biotopes. Land use, land cover and actual vegetation in the study site were examined to build a biotope map and classification biotope type.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ecology, based on the cause and origin of biotope, biotopes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residual type, regeneration type, introduction type, environment type and distribution type. This classification was intended to proceed with evalu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ndividual biotopes were evaluated based on landscape ecology by setting 9 detail evaluation items in terms of structure, function and change and using a quantitative method. In terms of structure, area was evaluated based on a species-area curve. Shape index was used to evaluate shapes based on complexity and fragmentation. Edge was evaluated based on edge and relations between the core area and inhabitant species. To evaluate function, a concept of contribution was devised. The nearest neighbour distance was analyzed to find out contribution to connectivity. Area and perimeter were used to determine contribution to cohesion. Diversity index was used to evaluate contribution to diversity. In view of change, time-series and tree-ring analyses were used to evaluate development period. LiDAR Data were also used to evaluate the vertical structure and biomass of vegetation. To sum up the results of each detail item evaluation, evaluation grades were derived from 3 perspectives: structure, function and change. Likewise, by putting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9 detail items together, the grade for the individual biotope was derived from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Then, the class derived from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the one from the existing evaluation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o present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ecological evaluation method of individual biotopes and its application. Based on the field survey on the study site, biotopes classified included 13 categories, 27 divisions and 61 sections. The types of biotopes classified into sections included 5 remain types, 8 environment types, 9 regeneration types, 15 introduction types and 24 distribution types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ecology. The evaluation of individual biotopes based on landscape ecology found that structurally stabilized biotopes were valued high as the habitat for species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e evaluation; and that biotopes contributing to connectivity, coherence and diversity of habitats within urban area were evaluated high in respect of function. In regard of change, high-biomass spots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 were evaluated high. Such evaluation considering diverse aspects allowed even identical types of individual biotopes to fall under various grades depending on their values. Unlike exsisting study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even biotopes relevant to natural forest were not necessarily evaluated high but that some types were evaluated low in terms of their values. Also, even biotopes relevant to artificial forest, green space and agricultural area were possibly evaluated as high as natural forest. The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results here and existing ones found the fitness of the evaluation of urban green space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detailed evaluation grades of individual biotopes. As even identical types of biotopes evaluated with detailed grades, this method is expected to be highly applicable to many fields. Urban green space including buffer green space and parks, to which existing evaluations focusing on plant species had not paid attention, was valued on account of the evaluation approach reflecting diverse values. This fits the purpose of biotope maps made and used for managing urban environment. To apply the findings here properl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use the significance of evaluation results. Even the meaning of an identical grades from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varies depending on different grades of the detailed item evaluation. Hence,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is appropriate to apply to understanding the total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study site, considering regional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based on local differences. To establish management details and plans for urban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evaluation results in terms of structure, function and change.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진행된 비오톱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경관생태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기존 연구사례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경관생태학적 비오톱 유형화 및 개별비오톱평가 방법 정립, 경관생태학적 개별비오톱평가 특성 도출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국내에서 진행된 기존 비오톱 관련 연구사례 분석을 통해 비오톱의 유형화 및 평가에서 정량적 평가기준이 부족한 점, 식물종 중심의 평가기준으로 인하여 평가결과에 비오톱의 다양한 측면의 가치가 반영되지 못하는 점, 시간과 비용의 한계로 개별비오톱평가가 진행되지 못하는 점 등의 문제점을 도출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경관지수를 활용한 정량적 분석기법,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된 실증적 연구사례, GIS를 이용한 대면적 공간분석 기법 등 경관생태학의 다양한 이론과 연구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비교분석 과정을 고려하여 기존 연구방법으로 비오톱 유형화 및 개별비오톱평가 연구가 진행된 사례지역 중 비오톱 유형의 다양성이 높은 경기도 시흥시를 선정하였다. 대상지의 토지이용, 토지피복, 현존식생을 조사하여 비오톱 지도를 작성하고 비오톱을 대-중-소 위계로 유형화 하였다.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 비오톱의 생성원인과 기원을 기준으로 소분류 비오톱 유형을 잔류형, 재생형, 도입형, 환경형, 교란형의 5가지 비오톱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는 유형 특성에 맞는 평가를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 교란형 비오톱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유형에 속하는 개별비오톱을 대상으로 경관생태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경관생태학적 개별비오톱평가는 구조, 기능, 변화적 측면에서 세부평가항목을 설정하고 정량적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구조적 측면의 평가를 위하여 종-면적 곡선에 근거하여 면적을 평가하였으며, 형태의 복잡성과 파편화 가능성을 근거로 형태지수를 활용하여 형태를 평가하였으며, 가장자리 및 핵심지역 면적과 서식종의 관계를 근거로 가장자리를 평가하였다. 기능적 측면의 평가를 위해서는 기여도 개념을 고안하여 평가하였다. 최근접거리를 분석하여 연결성 기여도를, 면적과 둘레길이를 이용하여 응집성 기여도를, 다양성 지수를 이용하여 다양성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변화적 측면의 평가를 위하여 시계열 분석과 연륜분석을 통해 지속기간을 평가하였으며, LiDAR Data를 이용하여 식생의 층위구조와 바이오매스를 평가하였다. 각각의 세부항목평가 결과를 구조, 기능 변화 3가지 측면에서 종합하여 1~5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9가지 세부평가항목의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개별비오톱의 종합평가 등급을 1~5등급으로 도출하였다. 이후 종합평가 등급과 기존의 평가등급과 비교분석을 진행하여 경관생태학적 개별비오톱 평가방법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대상지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비오톱을 유형화한 결과 대분류 13개, 중분류 27개, 소분류 61개로 유형화되었다. 소분류 비오톱을 대상으로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 유형화한 결과 잔류형 5개, 환경형 8개, 재생형 9개, 도입형 15개, 교란형 24개의 비오톱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경관생태학적 개별비오톱평가를 실시한 결과 구조적 측면 평가에서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비오톱이 생물종의 서식지로서의 가치를 높게 평가받았으며, 기능적 측면에서는 도시지역 내에서 서식지의 연결성, 응집성, 다양성에 기여도가 높은 비오톱이 높게 평가 되었다. 변화적 측면에서는 도시환경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물량이 높은 지역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다양한 측면의 가치가 고려된 평가는 동일한 유형의 개별비오톱이라도 그 가치에 따라 다양한 등급으로 평가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 연구결과와 다르게 자연림 관련 지역이라도 가치가 낮게 평가되는 비오톱이 있었으며, 인공림, 조경녹지, 경작지 관련 비오톱이라도 높은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는 비오톱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와 기존 연구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경관생태학적 개별비오톱평가 방법의 세분화 특성과 도시녹지 평가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 유형의 비오톱이라도 세분화된 등급으로 평가되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식물종 중심의 기존 평가방법에서는 주목받지 못하던 완충녹지, 시설녹지, 공원 등의 도시녹지가 다양한 가치가 반영되는 평가방법으로 인하여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는 도시환경의 관리를 위해 제작·사용되는 비오톱지도의 목적에 잘 부합하는 특성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적절한 활용을 위해서는 평가결과의 의미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일한 종합평가 등급이라도 세부항목평가 등급이 다르면 종합평가 등급이 가지는 의미가 다르다. 그러므로 종합평가 결과는 대상지 환경의 질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지역별 편차를 확인하여 보전지역, 개발가능지역 등을 고려하는 등의 전체적 그림을 그리는 것에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세부적인 도시환경관리 및 도시환경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구조, 기능, 변화 측면의 평가결과를 목적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TV 포맷의 새로운 유형화 : 이야기, 놀이, 미디어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김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4

        A New Typology of TV Format : An Aspect of the Relationship among Story, Play and Media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uggest a new useful typology for TV format creation and interpretation in an aspect of universal cultural factors composing TV format. The study inspects the effectiveness of previous typology and definition of the non-scripted TV format especially. It tries to define the difference of TV format and TV program consistently causing confusion. A TV program is normally designed in the limitation of space and time related in broadcast coverage and programming. Otherwise a TV format emphasizes universal events of human affairs and international codes for targeting global audiences. Therefor the study focuses that a TV format uses universal cultural factors actively for global consuming. While the previous typology has focused on the economical and industrial use, a new typology of the study is useful to interpretate and create formats. In this flow, universal cultural factors organizing TV formats are the story, the play and the media. The story is considered the key elements of a scripted format like a soap opera. But the study identifies that the non-scripted format such as the survival, the audition and the game show uses storytelling very broadly. It classifies four general types of stories with Orson Scott Card's M.I.C.E. quotient which means Milieu, Idea, Character and Event. The play is the universal culture phenomenon existing anywhere. After TV has been on the living room, the play is easily found on the entertainment TV format like a game show including diverse gaming elements. When comparing the TV format and the characteristic of play, the study finds that they share the same cultural structure reproducing the meaning. In addition, the study adopts the types of play by Roger Caillois like agon, alea mimicry, Ilinx for formalization. Media mediates TV format texts. Media is substance of expression and itself can be a main concept of format. Providing digital editors provokes the change of story aspect. Development of camera technology makes the new environment of play and new storytelling. A smartphone and the development of network make the users gather in the virtual space as a platform not in the physical space where TV is placed. The study formalizes the format as a media platform and media technology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formats and media development. The story, the play and the media hav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producing the mutual meaning. Therefore the study classifies the types according to their status like how it occupies in the format. As a result, a new typology can suggest clearly what the audience prefers. Furthermore the study finds the matches among types of format text and it has strength to categorize all types of formats without exception. It also finds the actual concept of individual TV format which the previous typology has lost before. Actually it tries to make new interpretation about the character, the event, the stage, the plot and the viewpoint. It suggests how to make a concept of the character, how to use the stage equipment, how to use audience, how to apply media specifically. Finally It suggests the format creation system including interpretation based on the mutual relationship an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To sum up, the study interpretates TV format text based on the universal cultural factor through a new typology, which makes to create TV format. It tries to change viewpoint of the economical and industrial TV formats focusing on the specific type and production to the viewpoint of cultural contents with analytical value. Therefore this study expects the positive impact on TV format production as well as the other relating studies and discourses. TV 포맷의 새로운 유형화 본 연구는 TV 포맷을 구성하는 문화보편 요소를 중심으로 포맷의 해석 및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본이 없는 오락 포맷을 대상으로 기존 TV 포맷 정의와 유형화의 유효성을 점검하였다. 특히 지속적인 혼동을 야기하는 TV 포맷과 TV 프로그램과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TV 프로그램은 대개 방송지역과 채널 편성표라는 시공간의 한계 내에서 기획된다. 반면 TV 포맷은 글로벌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기에 내용과 구조에서 국제적 코드와 인간 삶의 보편적 사건과 소재를 강조한다. 본 연구는 TV 포맷이 전 세계 시청자에게 소구하기 위해 문화 보편의 요소를 적극 활용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아울러 포맷의 유형화가 산업적 필요에 의한 구분에 그치지 않고, 생산과 실천을 의미하는 창작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화 보편 요소를 기준으로 한 유형화가 필요함을 밝혔다. TV 포맷의 외재적 형식이 아닌, 텍스트 내부의 구성요소를 규명하고 상호 관계성에 주목함으로써 개별 포맷을 해석하고 더 나아가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TV 포맷을 구성하는 문화 보편의 요소로 이야기, 놀이, 미디어를 상정하였다. 이야기는 드라마와 같은 대본이 존재하는 포맷에 주로 활용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야기 원형으로 알려진 영웅서사를 포함한 스토리텔링 기법이 오디션이나 서바이벌 포맷 뿐 아니라 게임쇼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됨을 포맷 텍스트 및 문헌 분석 등을 통해 밝혔다. 아울러 특정 서술이나 사건이 이야기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기준이 변화양상에 있음에 착안하여 세부 유형을 구분하였다. 주요하게는 오슨 스콧 카드(Orson Scott Card)의 분류법을 활용하여 사건변화와 인물 변화를 중심축으로 환경, 사건, 인물, 착상 이야기로 유형화하고 그 분류의 타당성을 논하였다. 놀이는 인류 문화권 어디에서나 발현되는 보편의 문화현상이다. TV가 거실에 자리한 이후, 놀이는 다양한 게임을 앞세운 오락 포맷의 형식에서 선명하게 포착된다. 놀이와 TV 포맷의 비교분석을 통해 양자가 경쟁과 재현을 통해 의미를 재생산하는 문화적 구조를 공유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로제 카이와(Roger Caillois)가 놀이의 상호 관계적이며 독립적 특성에서 착안한 분류법을 수용하여 포맷의 유형화에 적용하였다. 아곤, 알레아, 미미크리, 일링크스에 대응하는 유형으로 포맷들을 구분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미디어는 TV 포맷 텍스트를 매개한다. 미디어는 표현의 질료인 동시에 그 자체로 포맷의 주요한 콘셉트가 되기도 한다. 디지털 편집기의 보급은 서사차원의 변화를 추동한다. 새롭게 개발된 카메라 기술 등은 시점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스토리텔링과 놀이 환경을 구축한다. 스마트폰과 네트워크의 발달은 TV가 놓인 물리적 공간이 아닌 플랫폼이라는 가상의 공간에 이용자들을 모이게 만들었다. 이러한 관점의 연장에서 미디어의 발달과 포맷의 관계 고찰을 통해 미디어 기술과 미디어 플랫폼으로 관련 포맷을 유형화하였다. 포맷의 구성요소로 상정한 이야기, 놀이, 미디어는 상호배타적이라기 보다는 상호 반영적으로 의미를 생산하는 관계이다. 따라서 해당 요소가 포맷 내에서 점유하는 위상에 따라 각각의 유형을 새롭게 구분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유형화는 수용자의 TV 포맷 유형별 선호도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맷 텍스트 세부 유형들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거의 모든 유형의 포맷을 예외 없이 포섭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밝혔다. 무엇보다 기존의 관습적인 유형화가 놓치고 있던 개별 TV 포맷의 실질적인 콘셉트를 확인하고 해석 및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도출할 수 있었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유형화를 기반으로 TV 포맷 텍스트의 인물, 사건, 배경, 플롯, 관점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특정 포맷에서 캐릭터 설정방법, 무대장치, 관객의 활용, 미디어 응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본 연구에서 수행한 이야기, 놀이, 미디어라는 3원 요소의 대분류와 하위구분, 그리고 상호 관계성에 기반한 해석을 아우르는 포맷 창작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단순한 유형구분을 지양하고, TV 포맷 텍스트의 특징이 지시하는 문화보편 요소를 기반으로 해석을 도모하고 창작과의 연결고리를 잇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상품과 특정 양식이 강조된 TV 포맷이라는 경제·산업 중심의 관점이 아니라, 분석가치가 있는 문화콘텐츠라는 관점의 전환을 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TV 포맷 생산 현장은 물론 문화콘텐츠로서 TV 포맷과 관련한 담론의 다양성과 지속성을 추동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디자인 다원화에 따른 유형화 및 진화특성

        원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4

        디자인은 20세기 후반 이후에 역사, 문화, 사회, 정치, 기술, 소재의 발전과 영향을 주고 받으며 다양한 개념으로 발달되어 왔다. 디자인 이론가 샤론 헬머 포겐폴 (Sharon Helmer Poggenpohl)은 저서『디자인 통합(Design Integrations: Research and Collaboration)』에서 디자인은 기술 발달, 사회 시스템 규모의 확장, 정보 처리 능력의 향상, 도시 문제 등의 복잡한 문제의 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술 및 과학 발달과 연계된 디자인의 새로운 분야들이 현저히 발전하게 되며, 타 영역 간의 통합된 디자인 영역도 등장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후반 디자인 다원화에 주목하여, 현대 디자인의 다원화를 고찰하고, 그를 유형화 할 수 있는 적합한 기준의 모색을 분석 및 진화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디자인 용어는 지적인 역사의 기록이며 새로운 단어의 창조는 학문 영역의 발전을 드러내거나, 의미의 변화는 사회적 이해와 인식의 변화를 드러낸다 (Poggenpohl, Chayutsahakij, & Jeamsinkul, 2004). 따라서 연구 대상은 20세기 후반에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기의 등장 이후인 1970년 이후부터 2016년을 기준으로 디자인 다원화가 등장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디자인 용어 및 사전적 개념 정의를 중심으로 한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1)20세기 후반 이후 나타나는 다원화된 디자인의 유형 및 개념들을 수집하고 정의한다. (2)기존의 유형화의 기준을 조사한다. (3)디자인 지식 관련 자료와 디자인 연구 및 산업에서 디자인을 바라보는 견해에서 주장되는 기준을 중심으로 유형화 기준들을 추출한다. (4)각각의 기준을 통한 유형화 가능 여부를 매트릭스 분석법을 통하여 진행한다. (5)분석을 기반으로 현대 디자인의 지식 구조를 파악하고 현대 디자인 진화의 특성을 타임라인을 통하여 파악한다. 연구 방법은 1970년부터 2016년의 시기 동안 국제 디자인 저널, 서적, 정기간행물, 디자인 전기 및 기타 인쇄물 등의 매체 (Lagana, 2004)에서 각각 인용 빈도가 높은 순의 50개 대표 집단을 선정하고, 디자인의 언어는 ATR(Automatic Term Recognition)추출법을 사용하여 대표 용어의 형태로 개념을 추출하고, (1)중복되는 개념 제거, (2)상, 하위 개념 위계 정리, (3)비슷한 개념은 서로 합침에 기준하여 조정 및 정리한다. 이 과정을 거치어 정제된 디자인 언어 및 사전적 개념을 정리한다. 그를 유형화 즉, 제한된 수의 속성에 따라 복잡한 현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하여 기준을 모색한다. 유형화의 기준은 도서, 산업, 연구의 유형화 등, 기존의 구분으로 사용되는 기준 및 학제 구분 및 학자들의 주장 등 새로운 기준을 조사하여 유형화의 기준들을 조사하고, 유형화의 기준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개념’, ‘형태’, ‘대상’, ‘기능’, ‘융복합’, ‘단일’ 등으로 정리된다. 추출된 기준으로 유형화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매트릭스 분석이 진행된다. 매트릭스 표에서의 세로축은 디자인의 언어의 리스트, 매트릭스의 가로축은 앞서 학제 및 문헌 분석에서 추출된 유형화 기준의 개념들을 제시한다. 가로축에 제시된 각 디자인 사전적 개념의 형태소 단위로 나누여 세로축에 제시된 기준으로 유형화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매트릭스 분석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연구의 진행을 위하여 각 장별 과정을 자세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을 서술하고 목적을 제시한 후에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설정하고 연구의 내용에 대하여 정리한다. 이후 본 연구의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의 주요 용어를 서술한다. 제 2장에서는 디자인 다원화와, 유형화 및 진화 특성의 고찰에 관한 선행 연구의 이론 및 현황을 고찰한다. 첫째로 현대 디자인의 다원화의 개념 및 현대사회의 디자인을 정의하고, 둘째로 유형화의 개념에 대하여 정의 및 구성, 기준 및 유용성을 기준으로 알아본다. 셋째로 디자인의 유형화에 대한 선행 연구를 알아보고, 유형화의 현황을 고찰하여, 쓰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파악한다. 제 3장에서는 20세기 후반 이후 등장한 디자인 현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본다. 우선 새롭게 등장한 디자인 영역 및 개념과 용어를 새로운 디자인의 조사 방법 및 범위의 서술과 디자인 개념의 분화 및 새로운 디자인 영역의 탄생 배경의 서술 마지막으로 새로운 디자인의 종류 및 유형들의 개념 및 특징을 정리한다. 연구의 진행은 현대 디자인의 데이터를 앞서 언급한 분석적 방법으로 수집한 후, 디자인 언어 및 개념의 샘플을 추출한다. 데이터의 분석의 방법은 (1) 데이터 수집: 관련 용어 및 개념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광범위한 문헌 검색이 진행된다. (2) 선택: 디자인 용어 추출을 위한 디자인 용어 추출을 위한 실험 설계를 진행한다. (3)정보 생성을 위한 모델 설계 및 테스트: 현상을 관찰하여 그를 통해서 디자인 용어를 추출할 수 있는 문헌에 등장하는 빈번도를 기반으로 단어의 추출을 진행한다. 수집된 원 자료의 선택은 언어는 ATR추출법을 사용하여 대표 용어의 형태로 개념을 추출하고, 중복되는 개념 제거, 상, 하위 개념 위계 정리, 비슷한 개념은 서로 합침에 기준하여 조정 및 정리한다. (4)설계 모델을 통한 결과 도출에 의거한 리스트화: 디자인 관련 문헌 안에서 빈번도가 높은 단어의 리스트를 구성된다. 이 과정을 통해 20세기 후반의 나타나는 다원화된 디자인의 정제된 언어 의 리스트 및 사전적 개념을 정의한다. 제 4장에서는 디자인 다원화에 따른 유형화의 기준 모형 설계를 제안하고, 본격적인 디자인의 유형화를 위한 분석 모형을 통해서 유형화의 기준을 개발하고 검증한다. 새로운 디자인의 종합 및 유형화 방법의 모색을 앞장에서 제안된 현대의 새롭게 등장한 디자인 용어들을 종합하고, 이들을 어떻게 유형화할지 가설을 서술한다. 더불어서 디자인의 유형화 기준의 설정을 위하여 모형 설계를 가설, 목적, 대상, 범위 및 연구방법, 분석 및 분석 결과의 순서대로 정리한다. 본 장에서는 디자인 다원화에 따른 유형화 기준의 추출을 위한 실험적 연구가 사용된다. 1차로, 도서, 산업, 연구의 유형화 등, 기존의 구분으로 사용되는 기준. 2차로, 학제 구분 및 학자들의 주장 등 새로운 기준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형화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유형화의 기준은 개념, 형태, 대상, 기능, 융 복합, 단일 등으로 정리되고, 유형화 매트릭스 분석을 진행한다. 세로축은 디자인의 종류로 구성된다. 매트릭스 분석법을 활용하여, 디자인의 종류가 가로에 정의된 기준에 의거하여 유형화의 가능함의 여부를 체크하는 조건의 사전적 정의를 놓고 조건에 맞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분석 결과는 유형화 기준의 개념 중 ‘대상’ 중심의 유형화는 가능성이 81%에 해당하고, ‘단일’ 중심의 유형화가 가능함이 95%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개념’을 통한 유형화는 약 81%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를 통하여, ‘대상’보다 ‘개념’의 유형화의 기준이 새로운 디자인 유형화에서 높은 가능성을 보임을 알게 되었고, 전체 언어를 100% 완벽한 단일 기준으로 유형화하는 것을 불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연구 결과에서 유추하여 A+B가 결합되는 방법인 ‘복합 기준법’을 제안한다. 이를테면 ‘대상’에 ‘개념’을 추가하는 방법으로 ‘sustainable +chair’ 디자인으로 기준을 나누면 약 전체 85%까지 유형화가 가능하다. 이는 완벽하지 않지만, 신규 디자인의 설명력을 높이고, 디자인의 개념이 혼재된 과도기적 시점에 유형화에 적합하다. 제 5장에서는 타임라인 분석법과 더불어 디자인의 ‘대상’에서 ‘개념’으로의 디자인 개념의 진화를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인식하게 된다. 연구의 결과 유형화 과정을 통해 20세기 후반 이후의 디자인 현상이 대상에서 개념 중심으로, 유형에서 무형으로, 단일에서 복합적 개념의 디자인으로 진화한다는 현상을 발견하게 된다. 제 6장에서는 결론으로 요약 및 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점, 향후 연구에 대하여 소개한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20세기 후반 이후의 디자인 다원화된 현대의 디자인의 유형화를 위한 적절한 기준을 모색하였다. 하지만, 현대 디자인은 복잡하고 디자인의 대상 및 개념의 변수가 너무 많고 유형화를 위한 여러 기준이 혼재하는 현상 속에서 더불어서 20세기 후반 이후의 디자인 현상이 대상에서 개념 중심으로, 유형에서 무형으로, 단일에서 복합적 개념의 디자인으로 진화한다는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복합 기준으로서의 유형화를 제안한다.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현대의 전반적인 교육, 문헌, 산업의 디자인 연구의 시스템 체계를 마련할 때에 현대 디자인의 변화된 이유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디자인의 유형과 디자인의 유형에 따라 디자인의 구축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여 서로 다른 디자인의 세계가 결합된 진화된 디자인 수행의 프로세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연구의 차별성은 기존 연구들은 새로운 디자인 영역이 무언인가를 찾는 연구나, 새로운 디자인에 대응에 관한 견해는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이를 현대 디자인의 실제 현상에 근거하며 증명하고. 신구 디자인의 전체를 체계화 하는 시도한다는 점이 다르다. 더불어서, 본 연구는 앞으로 디자인계가 다원화된 디자인의 복잡다단한 변화에 휘둘리지 않고 현대의 디자인 교육 커리큘럼을 짜거나, 산업 조직 시스템을 짜거나, 지식 구조 시스템을 마련할 때 유형화를 활용할 때, 능동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줄 것이다.

      • 딥러닝을 활용한 건축물 외관의 유형화 방법론 개발 : 국내 공공청사를 중심으로

        안종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4

        본 연구는 딥러닝을 활용하여 건축물의 외관 이미지를 기준으로 객관적인 유형화를 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유형화는 분석자의 주관에 의존하고 분석 대상의 수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279개의 공공청사를 중심으로 딥러닝을 활용한 객관적인 외관 유형화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국내 공공청사에 대한 전수조사를 하고 이미지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딥러닝 모델 중 CNN을 활용하여 청사 이미지 특징을 학습하는 모델을 수립하였다. CNN 모델에서 분류한 feature를 바탕으로 k-means clustering을 통해 최종적으로 12개의 클러스터로 유형화하였다. 유형화 결과 각 클러스터 간 유사도를 통해 클러스터별 외관 특징을 분석할 수 있었고, 높이, 입면 패턴, 재료, 입면 돌출 및 지붕 구조라는 분류체계를 수립할 수 있었다. 선행연구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방법론은 검증되었다. 이러한 외관 유형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통계 및 기계학습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층수, 준공년도, 연면적, 대지면적, 지역을 기준으로 각 유형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공청사 현황 분석의 기초 연구 및 다양한 건축물의 유형화 연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ology that can objectively typify based on the exterior image of a building using deep learning. Existing typification depend on the analyst's subjectivity and have limitations in the number of analysis subjects. Therefore, in this study, an objective exterior typification methodology was established using deep learning, focusing on 279 domestic public office buildings. To this end, first of all, a full investigation of public office buildings in Korea was conducted and an image dataset was constructed. Next, we established a model that learns the features of the building images by using CNN among deep learning models. Based on the features extracted by the CNN model, they were finally grouped into 12 clusters through k-means clustering. As a result of the clustering,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exterior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through the similarity between each cluster, and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typification system of height, elevation pattern, material, elevation protrusion, and roof structur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verifi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previous studies. Statistical and machine learn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typification result.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derived based on the number of floors, completion year, total floor area, site area, and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basic research on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public office buildings and typification of various building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