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자녀를 둔 부모의 학부모로서의 역할 인식 및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박흠경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부모들이 자녀를 유아교육기관에 보내게 되면서부터 느끼게 되는 학부모로서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에 대해 알아보고 학부모가 되기 전과 된 후의 변화가 있는지, 사회 ? 경제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자녀를 둔 학부모의 역할 인식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그 역할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3. 자녀의 유아교육기관 입학 전·후를 사이에 두고 학부모 역할인식에 대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가지고 이루어진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역할인식에 있어서 그에 대한 중요성인식 정도와 수행정도를 살펴보면 학부모 역할의 중요성 인식 정도가 학부모 역할 수행정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둘째,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그 역할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한 결과, 경제수준이 상류층이라고 응답한 그룹이 하류층이라고 응답한 그룹에 비해 학부모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셋째, 자녀의 유아교육기관 입학 전?후를 사이에 두고 학부모 역할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서로 비교해보면, 학부모들은 자녀가 유아교육기관에 입학하기 전보다 유아교육기관에 입학한 후에 자신들의 학부모로서의 모든 역할들을 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parent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arental roles that they feel as their children begin to attend children education. and investigate if there is any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ir being parents of students and if so, these changes are caused by their social , economical background. According to these purpose, the subject matters of this study are chosen like follow: Subject matter1. How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understanding parental role of those who have a child attending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e? Subject matter2. Are there any difference of understanding parental role according to parents' social , economical background? Subject matter3. Are there any difference of understanding parental rol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ir children's entering institu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 Looked into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parental role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rate , degree of the recogni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ducational performance. Second , the verification which was performed to examine if parents' social, economical background bring their children any difference shows that members in high economical standard group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arental roles better than those in lower economical standard group. Third , comparing the importance of parental role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rate before and after their children attend educational institutions, after their children attend education, parents recognize parental roles, and perform educationally much better than before.

      • 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재선택과 부모참여활동 만족도와의 관계

        김미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부모가 현재 자녀가 다니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을 계속해서 재원할지를 선택할 때, 재원기간 동안 부모가 경험한 부모참여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교육기관 재선택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부모가 유아교육기관을 재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모참여활동을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부모참여활동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두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국공립유치원, 민간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의 부모 445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결과를 참고하여 만든 총 63문항의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에 있어서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 및 Scheffe 사후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재선택 요인에 대한 고려정도를 볼 때, 부모는 건강관리와 실내외환경 요인을 가장 많이 고려하였으며, 교육기관 설립 형태별로는 사립유치원 부모집단이 가장 높은 고려정도를 보였다. 둘째, 부모참여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교육기관의 운영과 교육내용을 담은 가정통신문이나 유아의 생활 및 발달상황을 기록한 연락장에 대해 가장 높은 만족을 보였으며, 교육기관 설립형태별로는 국공립유치원 부모집단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셋째, 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재선택 의사와 추천 의사는 정적관계로 의사소통을 통한 참여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선택 의사와 추천 의사도 정적관계를 보였으며, 재선택 의사결정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활동으로는 가정통신문과 연락장 등의 의사소통을 통한 참여활동을 가장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how parents' satisfaction level on those activities which required parents' participations while their children were attending the kindergartens affected their decision-making to select the institutions again. In addition, this research is focused on providing an effective direction for parents' participation activities by analyzing the activities on which parents put weight in deciding an educational facility for their children. In this study, total of 445 parents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in one of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s, and private and public nurser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were questioned. A questionnaire composed of 63 questions which I made referring to the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es was used in th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means of Frequency and Percent,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OVA and Scheffe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degree of consideration for affecting the reselec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factors of health care and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s wer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ones for parents. And when it comes to the establishment form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parents group of private kindergartens revealed the highest degree of consideration. Second, parent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about teacher's letters containing overall aspects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ion and the contents being taught by the facility and teaching notes in which the activities and development status of their children were recorded. And when it comes to the establishment form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parents group of public kindergartens revealed the highest satisfaction. Third, the intention of parents to re-choose an educational facility for their children and recommend it to other people was identified to have a static relation, so that the more satisfied parents were through participation activities allowing their communication to the facility, the more static relation were in their intention of reselection and recommendation of the facility.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eacher's letters and teaching notes were the most preferred participation activities allowing parents to communicate, and the most effective activities in their decision on reselection.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버지 참여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박세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서울에 있는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가 경험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버지 참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아버지들이 경험하는 참여의 어려움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아버지 참여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버지 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녀관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 아버지의 교육기관의 참여 실태는 어떠한가? 3. 유아교육기관에서 아버지 참여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4. 아버지참여를 위해 아버지들이 제안하는 유아교육기관의 방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H유치원, C어린이집, Y유아체능단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아버지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서술형 설문지)와 개별면담을 병행하여 함께 실시하였다. 2010년 3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 실시된 설문조사의 문항은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세부내용으로는 아버지의 자녀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학부모 참여 실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버지 참여의 어려움, 아버지참여 활성화를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방향 등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형 질문지로서 답변내용을 3곳 기관으로 나누어 기관별 차이를 함께 자료 분석 하였으며 실제답변 내용과 빈도수를 표에 기입하였다. 개별면담은 1차 설문지 조사에 응한 연구대상자 중 면담에 동의하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2010년 4월 15일부터 5월 7일까지 실시하였다. 서술형설문지를 근거로 본 연구에 유의미한 논의점을 제시한 9인을 선정하여 개별면담 대상자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개별면담은 직접면담과 전화면담을 함께 실시하였으며 아버지 및 어머니와의 면담 시에는 디지털카메라와 녹음기를 이용하여 면담내용을 전사본으로 자료화 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버지 참여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에 대한 연구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녀관은 심신이 건강하며 행복한 아이, 가치관과 꿈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는 노력하는 아이, 성실한 아이, 사회성이 원만하여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예의 바른 아이, 주도적이며 긍정적 자존감이 높은 아이, 사회에서 제 몫을 해내는 훌륭한 사회적 인간상, 종교적인 신앙심을 통해 타인에게 베품을 가지고 사는 아이, 정직하며 올바른 아이 순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답한 113명의 아버지는 자녀가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자기주관이 뚜렷하고 바른 가치관을 갖고 성장하기를 바라는 기대심리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아버지들이 자녀의 성과적인 면을 기대하기 보다는 인성적으로 바르고,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꿈과 일을 가지고 열정적으로 살아나갈 수 있는 사회에 적합한 인간으로 성장해 나가는 것을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아버지 참여 실태는 체육대회나 기념일의 행사, 공개수업(엄마아빠참여수업), 재롱잔치나 발표회, 아이의 교육기관활동, 부모교육 강연회 및 회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아버지 참여 어려움의 이유는 직장생활로 인한 시간적 제약, 프로그램 자체의 문제(프로그램 부족 혹은 특성에 관한), 부모의 경향과 성격적 이유 순으로 드러났다. 넷째, 아버지참여 활성화를 위해 아버지들이 논의하는 유아교육기관의 노력과 방향에 대해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간적 제약 해결하기, 사회적 변화를 위한 실천하기가 요구되었다.

      • 어머니의 유아기관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연구

        조명옥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어머니들이 자녀의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선택 결정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가.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인식은 떠한가? 나.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교육영역의 인식은 어떠한가? 다.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선택요인의 인식은 어떠한가? 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가.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교육내용 및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나.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인적 환경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다.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물리적 환경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부모교육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경남 김해시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 유치원형 영어학원의 어머니들이다. 총 318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으며, 자료 분석에서는 평균, 빈도, 백분율, 표준편차, χ²검정, F검정을 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이 생각하는 유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준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유치원 어머니의 경우는 유아의 발달 단계에 맞는 각 영역별 활동 중심 프로그램을, 어린이집 어머니의 경우는 다양한 놀이를 통한 경험 중심 프로그램을, 유치원형 영어학원 어머니의 경우는 특기 지도 및 문자 지도를 첨가한 프로그램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중점 영역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유치원에서는 통합 발달 영역을, 어린이집에서는 정서 발달 영역을, 학원에서는 인지 및 언어발달 영역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유치원 어머니의 경우 교육시설 및 환경을, 어린이집 어머니의 경우 기관의 위치 및 거리, 학원 어머니의 경우 교육 프로그램을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교사의 역할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유치원에서는 ‘놀이와 활동제공’ 어린이집에서는 ‘기본생활습관지도’ 유치원형 영어학원에 있어서는 ‘초등학교 적응’을 위해 가르치는 것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다섯째, 교사의 자질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유치원, 어린이집은 사랑과 애정이 있는 마음으로 학원에 있어서는 신체적 건강 및 투철한 교육관으로 응답하였다. 여섯째, 교사와 유아의 바람직한 비율은 유치원, 어린이집, 유치원형 영어학원에 대해서 모두 1:10∼15로 응답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교육내용 및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서 교육목표와 하루 교육시간 ,다양한 현장학습 프로그램, 교재 및 교구의 다양성, 특별활동과 기본생활 습관 및 사회성 지도, 탐구성 및 창의적 사고력은 유치원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응답한 반면, 읽기, 쓰기 및 셈하기 관련 부분에서는 유치원형 영어학원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응답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에 대한 만족도에서 학부모를 위한 오리엔테이션과 부모참관, 참여수업은 유치원에서 가장 높고 유치원형 영어학원에서 낮은 만족도를 응답하였다.

      • 한국 유아교육기관의 정책 수용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교육질 향상을 위한 제도분석을 중심으로

        이음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유아교육 기관인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들의 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 노력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제도적 요인 즉 실행 규칙, 공동체 속성, 물리적 속성을 신제도론의 제도분석틀(IAD)하의 집합적 선택수준에서 탐색하여 요인간의 인과관계의 경로를 분석하고 정부의 바람직한 교육정책 및 유아교육기관(유치원)의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 모형에 근거한 제도적 맥락 6개의 잠재요인(규제환경, 재정환경, 고객, 원장 지식, 근접성․시설, 경쟁)을 독립변수로 하고 1가지 잠재요인인 유치원 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 노력 요인을 종속변수로 하는 10가지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중 7가지 가설이 채택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원자료의 분석을 위한 사회과학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version 19.0)와 가설 검증 및 모형적합도를 분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도구인 AMOS(versio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첫째, ‘유아교육 기관의 높은 규제환경은 유아 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노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a에 대한 검증결과 C.R(t)=3.00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채택되었다. 둘째, ‘유아교육 기관의 건전한 재정환경은 유아 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 노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b에 대한 검증결과 C.R(t)=-0.47(p=0.6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셋째, ‘자원(재정 및 시간)에 덜 제약적인 고객 유치가 유아 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 노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a의 검증결과 C.R(t)=-1.18(p=0.2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넷째, ‘원장의 유아 교육 관련 지식이 높을수록, 유아 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노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b의 검증결과 C.R(t) = 3.37(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채택되었다. 다섯째, ‘유아교육 기관의 근접성․시설 조건이 좋을수록, 유아 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 노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3a의 검증결과 C.R(t)=2.27(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채택되었다. 여섯째, ‘유아 모집 경쟁 유형은 유아 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노력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3b에 대한 검증결과 C.R(t)=-0.07(p=0.9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일곱째, ‘실행규칙의 규제환경은 공동체 속성의 원장 지식을 매개로 유아 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 노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4의 검증결과 C.R(t)=3.17(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채택되었다. 여덟째, ‘실행규칙의 규제환경은 공동체 속성의 고객을 매개로 유아 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 노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5의 검증결과 규제환경과 고객 경로에만 C.R(t)=3.54(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채택되었다. 아홉째, ‘실행규칙의 재정환경은 물리적 속성의 근접성․시설을 매개로 유아 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 노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6의 검증결과 재정환경과 근접성․시설 경로에 C.R(t)=4.09(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채택되었다. 끝으로 ‘실행규칙의 재정환경은 물리적 속성의 경쟁을 매개로 유아 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 노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7의 검증결과 재정환경과 유아 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노력 경로에만 C.R(t)=4.98(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채택되었다. 종합하면 제도분석틀하의 집합적 선택수준의 제도적 맥락인 실행규칙, 공동체 속성, 물리적 속성의 여러 잠재요인들이 조합적으로 직․간접적으로 유아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 노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AD 분석틀의 경로분석 결과의 의미는 이들 요인들 중 실행규칙이란 제도적 맥락의 규제환경과 공동체 속정의 원장지식이 다른 요인들보다 유아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 노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제는 강한 규제환경이 아니라 자율적인 관리를 허용하는 규칙을 어떻게 설계하느냐가 정책적 함의의 가장 큰 시사점이다. 규제환경(0.29)과 원장지식(0.29)에 이어 근접성․시설(0.20), 재정환경(0.02)의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제도분석틀 하의 집합적 선택수준의 세 가지 제도적 맥락이 조합적으로 유아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 노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IAD 모델의 이론적 함의와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청 등 유아교육 정책기관 담당자 및 유치원 운영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유치원)의 유아 교육 정책에 미치는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통합적 접근의 국공립 및 사립 유아 교육 정책이 필요하다. 유아교육 질 향상 정책 수용 노력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실행규칙, 공동체 속성, 물리적 속성에 대한 제도적 환경 요인들의 관측변수 항목들의 인식도는 비슷한 바 국공립 및 사립 유치원에 대한 통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pecify the model and testify its hypotheses which are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ogeneous variables of institutional context environment and adoption effor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quality enhancing policy in the Korean preschool sector. The model was adopted from IAD (institutional analysis and design/development) framework developed by Professor Elinor Ostrom and her colleagues of The Vincent and Elinor Ostroms' Workshop in Political Theory and Policy Analysis, Indiana University, USA. Also the model owes to Bushouse's childcare industry analysis based on the IAD framework. IAD framework has three institutional dimensions consisting of action arena: working rules or institutions, community attributes, and physical attributes. In the model, rules-in-use have two latent variables: regulatory and fiscal environments. Community attributes have two latent variables: clienteles(parents) and director knowledge. Finally, physical attributes have two latent variables: accessibility/facilities and competition type. These six latent variables ar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odel. Also as a latent dependent variable, the adoption of education quality enhancing policy(hereafter, EQEP) is included in the model. Its policy index have five observable variables: attract and retain skilled teachers, teacher/child ratios and class size, curriculum, parental involvement, and accreditation A. Clientele With the research model of these six latent independent and one latent variables, we specified 10 hypotheses and tested with SPSS and AMOS statistical packages. The primar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 from public and private preschool directors. Seven hypotheses were adopted and three hypotheses were rejec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Hypothesis 1a, the preschools operating in high regulatory environment will affect the adoption of EQEP, was positively adopted. Secondly, Hypothesis 1b, the preschools operating in sound fiscal environment will affect the adoption of EQEP, was negatively rejected. Thirdly, Hypothesis 2a, the preschools operating with the parents of less constrained money and time resources (greater child care options) will affect the adoption of EQEP, was negatively rejected. Fourthly, Hypothesis 2b, the preschools operating by director with high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and education career as well as professional network will affect the adoption of EQEP, was positively adopted. Fifthly, Hypothesis 3a, the preschools operating in convenient accessibility and good facilities environment will affect the adoption of EQEP, was positively adopted. Sixthly, Hypothesis 3b, the preschools operating by diverse competition types(price or quality) will affect the adoption of EQEP, was negatively rejected. Seventhly, Hypothesis 4, regulatory environment of rules-in-use will affect the adoption of EQEP by the intermediate director knowledge, was positively adopted. Eighthly, Hypothesis 5, regulatory environment of rules-in-use will affect the adoption of EQEP by the intermediate clienteles (parents), was positively adopted only in the path of regulatory environment and clientele. Ninthly, Hypothesis 6, fiscal environment of rules-in-use will affect the adoption of EQEP by the intermediate accessibility and facilities, was positively adopted. Finally, Hypothesis 7, fiscal environment of rules-in-use will affect the adoption of EQEP by the intermediate competition, was positively adopted only in the path of regulatory environment and clientele.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re recommended. Firstly, integrative and comprehensive approa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should be conducted to both public and private preschools. Secondly, self-governance rules should be more permitted to the preschools than restrict regulatory rules. Finally, diverse rules or institutions with incentive structure should be redesigned including current Korean evaluation system of preschool through the benchmarking of advanced countries' lessons such as NAEYC accreditation and Reggio Emilia approach.

      •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일반 유아와 주의문제 유아의 비교

        박소현 울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일반 유아와 주의문제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와 정서지능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집단, 연령 및 성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집단별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집단별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7개의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과 유치원을 포함)에 다니고 있는 만 3~7세의 남녀 유아 151명(일반 유아 101명, 주의문제 유아 50명)과 그들을 담당하는 교사이다. 먼저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이 정서지능과 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유아에게 비언어성 지능검사(CTONI-2)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교사에게는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와 유아교육기관 적응 질문지(PAQ)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실행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측정도구의 문항 간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집단, 연령 및 성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통해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비언어성 지능과 정서지능,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언어성 지능이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비언어성 지능의 영향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배제하기 위해 부분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각 변인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입력방식(Stepwise)으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유아와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전체 정서지능에서는 집단과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또래와의 관계에서 집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과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일반 유아가 주의문제 유아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수준을 보였으며, 연령이 높은 유아가 연령이 낮은 유아보다 더 높게 나타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의 영향을 통제하여 일반 유아와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일반 유아와 주의문제 유아 모두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정서지능이 높은 유아가 유아교육기관에 적응하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에서 대인관계와 관련된 요인들(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또래와의 관계)이 개인적 특성 관련요인들(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보다 유아교육기관의 적응 간에 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의 영향을 통제하여 일반 유아와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서지능의 하위 요소 대부분이 유아교육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와 또래와의 관계가 유아교육기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또래관계가 원만한 것이 유아교육기관에 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일반 유아뿐만 아니라 주의문제 유아에서도 정서지능이 유아교육기관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지능이 높은 유아와 낮은 유아 모두 정서지능이 유아교육기관의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제임을 알 수 있다.

      • 생태지향 유아교육에 기초한 바깥활동 실태 및 인식 연구

        정수영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을 유아교육기관에 도입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유아교육기관의 바깥활동 환경과 운영실태, 교사의 인식, 생태유아교육을 위한 선결요건을 알아보고 유아교육기관에서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활동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생태유아교육을 실시하는데 따른 어려움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대안을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교육과정의 일부인 바깥활동으로부터 생태지향 유아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바깥활동 환경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바깥활동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생태지향 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생태지향 유아교육의 선결요건은 무엇인가?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공립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회수한 설문지 117부 중 부적당한 설문지 12부를 제외하고 105부가 최종 선정되었다. 또한 사립 유치원교사는 우편(택배, 등기)과 직접방문을 통해 209부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170부 중 부적당한 설문 18부를 제외한 152부가 선정되었다. 최종적으로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공·사립유치원교사 모두 257부였다. 생태유아교육에 기초한 바깥활동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된 질문지는 박숙현(2004), 장하나(2004), 김성옥(2000), 김수경(2000)의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총 3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Chi-square test)과 t 검정, 그리고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분산분석 실시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의 바깥활동 환경 전체적으로는 유원장에 고정놀이 기구의 설치(4.18)가 가장 많았고, 게임이나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운동장(3.88), 물·모래놀이 장소(3.60), 주변에 숲이나 산책로, 개울 등(3.32)을 갖추고 있었으며, 텃밭이나 생태학습장(3.29)이 주변에 있다는 낮았다. 유치원에 동·식물을 기르기 위한 공간(3.02)이 있는 유치원이 가장 적어 동·식물을 기르기 위한 바깥활동 환경이 제일 부족하였다. 결과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바깥활동이 신체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대부분 잘 갖추어져있었고 자연환경이나 생태활동 공간은 미흡한 것으로 보아 바깥활동에 대한 환경이 기존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 2. 바깥활동 운영실태 및 교사인식 바깥활동 운영 시 대체적으로 주변 환경을 잘 이용하였으나, 바깥활동 시간으로는 30분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바깥활동이 어려운 이유는 하루일과를 운영하는 동안 교사의 다양한 역할이 계속 요구되고, 유아의 안전과 보조교사의 부재로 인한 유아통솔문제였다. 생태유아교육 시작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영·유아시기를 적기로 보았다. 생태유아교육 실천의 어려운 점으로는 환경적 여건과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정보의 부족이 가장 많아 우선적으로 유아교유기관의 환경적 여건과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한 과제였다. 3. 생태지향 유아교육의 선결요건 생태유아교육의 선결요건으로는 유아교육기관 및 주변 환경여건의 개선(46.3%)이 가장 시급한 선결요건이었고, 다음으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보급(33.1%)이었다. 또한 현재의 유아교육과정에 생태지향적인 내용이 부족하다고 보았으며 교사 양성대학의 교과과정에 생태유아교육에 관한 것이 부족함을 나타냈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은 생태유아교육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생태유아교육의 환경여건 마련과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정보와 프로그램개발의 보급이었다. 생태지향 유아교육을 위하여 유아교육관계자는 물론 부모, 국가적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며 유아교육과정의 일과 중 바깥활동으로 출발하여 다른 영역과의 연계로 영역을 넓혀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기준에 관한 연구

        박경애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학부모들이 어떤 측면에 중점을 두고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하고 있는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들 요인에 대한 학부모들의 유아교육기관 선호의식을 조사하여, 유아교육기관 운영자들로 하여금 학부모들의 요구를 올바르게 인식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1. 학부모들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기대는 유아교육기관 유형(유치원, 어린이집, 사설학원)과 어머니의 변인(교육정도, 가구소득, 자녀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학부모가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하는 요인의 중요도는 유아교육기관 유형(유치원, 어린이집, 사설학원)과 어머니의 변인(교육정도, 가구소득, 자녀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5개의 공·사립유치원과 3개의 공·사립어린이집, 2개의 사설학원 학부모 4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고승희(2002), 최경미(2004), 전미진(2005)의 설문지를 수정·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for Window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집에서 가까운 유아교육기관을 선호하고 있으나, 사설학원의 어머니들은 교육프로그램이 우수한 기관을 선호하며, 자녀연령이 어릴수록 어머니들은 교육환경 및 시설이 우수한 기관을 선호하였다. 만 5세 유아들은 현재 다니고 있는 기관 이전에 다른 기관의 경험이 있었으며, 대부분 현재 자녀가 다니는 기관이 자녀의 첫 번째 유아교육기관이었고, 현재 자녀가 다니는 기관을 만족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유아교육기관의 입학연령으로 만 4세가 적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어머니의 학력과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자녀연령이 어릴수록 유아교육기관의 입학적정연령이 낮아졌다. 각 기관의 어머니의 분포를 비교하면, 다른 기관에 비해 ‘병설 유치원’의 어머니들은 고졸이하, 가구소득 300만원 미만, 자녀 연령이 만 5세인 경우 많았으며, ‘사립 유치원’은 초대졸, 만3-4세 자녀를 가진 어머니들이 많았다. 그리고 ‘국·공립 어린이집’은 자녀연령이 만 2세이하인 경우에 많았으며, ‘사설학원’은 4년제대졸 이상, 가구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어머니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의 유아교육기관의 어머니들의 기대에는 기관유형이나 어머니 변인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선택 시 선택요인에 대하여, 기관유형이나 어머니 변인에 따른 차이없이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거의 모든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 인적환경을 제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부모교육과 홍보의 중요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사설학원의 인적환경의 중요도는 다른 집단에 비해 고려정도가 높았으며, 또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고려정도도 높은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set out to conduct a comprehensive analysis of what aspects the parents focused on in choosing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hildren and to investigate their preference for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factors. It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the operator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could use to understand the needs of the parents right and search for the ways to provide high quality education. For tho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Is there difference in the parents' expectations for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s of such institutions(kindergartens, day-care facility, private academic institutions) and the mother's variables(educational background, household income, and the age of the children)? 2. Is ther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for the parents to select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s of such institutions(kindergartens, day-care facility, private academic institutions) and the mother's variables(educational background, household income, and the age of the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2 parents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one of the fiv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three public and private day-care facility, and two private academic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tool adopted in the study was the questionnaire by Go Seung-hee(2002), Choi Gyeong-mi(2004) and Jeon Mi-jin(2005),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for Windows 12.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mothers preferred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hildren that's close to home. Those who had their children attending a private academic institution preferred an institution with excellent educational programs. Those who had younger children preferred an institution with grea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Children aged five or under went to another institution before the current one, but the current institution was the first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hildren for most of the children. Most of the mothers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institution. In addition, most of them thought age four was the proper age to enter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hildren. The more education the mother received, the more household income they had, and the younger the children were, the lower the children's age was to enter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hildren. The distribution of the mothers in each institution was examined. As a result, many mothers at 'public kindergarten' graduated from high school or less, had household income of 3.00 million won or less, and had children aged five or younger. Many mothers at a 'private kindergarten' graduated from college and had children aged three or four. Many mothers at a 'public day-care facility' had children aged two or younger. And many mothers at a 'private academic institution' graduated from a four-year college and had household income of 3.00 million won or mor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others' expectations for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s of such institutions and their variables. Second, as for the factors they considered in selecting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hildren, most of the mothers considered almost every factor important regardless the types of institutions and their variables. Of them, the personal environment was deemed the most important by them, and parental education and publicity weren't considered important. In particular, they showed a higher level of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a private academic institution's personal environment than the other institutions. And there was grea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ir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 유아교육기관장의 지도성과 학부모만족도와의 관계

        장선영 아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유아교육기관장의 지도성과 학부모 만족도와의 관계 장 선 영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혜 경) 본 연구는 원장의 지도성에 대한 학부모의 지각을 알아보고,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학부모 만족도와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의 만족도 제고와 질 높은 조직 문화 형성에 필요한 원장의 지도성을 찾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교육기관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대한 지각은 어떠한가? 2.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교육기관장의 거래적 지도성에 대한 지각은 어떠한가? 3. 원장의 지도성과 학부모 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경기인근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의 학부모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변혁적지도성 16문항, 거래적지도성 12문항, 학부모 만족도 2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거래적 지도성에 대한 학부모의 지각을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과 t-test(검증)를 실시하였다. 또한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 및 거래적 지도성과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Correlation(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은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변혁적 지도성 중에는 성과기대를 가장 높게 지각하였다.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대한 지각은 학부모의 배경변인 중에 기관 유형과 자녀의 재원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자녀를 보내는 기관의 학급 수와 총 인원수,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 직업, 가정의 월평균 수입, 그리고 자녀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자녀를 국․국공립 유치원에 보내는 학부모와 자녀가 현재의 기관에 1년 이상 다닌 학부모가 다른 학부모보다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학부모들은 원장의 거래적 지도성을 그다지 높게 지각하지 않았으며, 거래적 지도성 중에는 조건적 보상을 예외적 관리보다 높게 지각하였다. 원장의 거래적 지도성에 대한 지각은 학부모의 배경변인 중에 자녀를 보내는 기관의 유형과 학급 수, 총 인원수,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 직업, 가정의 월평균 수입, 그리고 자녀의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녀의 재원기간과 자녀의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였다. 즉, 자녀가 현재의 기관에 1년 이상 다닌 학부모와 여아의 학부모가 남아의 학부모보다 원장의 거래적 지도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학부모들은 원장의 비전제시와 개인적 배려, 지적자극, 성과기대, 그리고 변혁적 지도성과 원장의 거래적 보상과 예외적 관리, 그리고 거래적 지도성이 높을수록 원장의 전문성과 원장의 상호작용,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거래적 지도성은 학부모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원장은 변혁적 지도성과 거래적 지도성을 반대의 개념으로 볼 것이 아니라 이 두 가지 유형의 지도성이 상호보완이 될 수 있는 지도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

      •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도 조사연구

        류제련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도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의 체육교육실행의 현 상태를 진단하고 운영개선방안을 탐색하며, 체육교육의 활성화와 더불어 유아가 보다 원만한 환경에서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전인교육으로서의 체육교육 개발과 지도에 필요한 미래발전방향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유아교육기관교사 256명을 대상으로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들의 관심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텍사스 대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교사교육연구소(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에서 개발된 '관심도 질문지(The Stages of Concerns Questionaire)'를 본 연구에 맞게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를 참고로 하여 작성되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한 예비 조사를 실시한 다음 전문가와 상의하여 몇 차례 수정·보안의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는 '무관심'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사실은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교육기관교사에게는 체육교육에 대해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정보와 체육교육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들과 대화 할 수 있는 기회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이러한 지원이 제공되었을 때 교사의 관심은 보다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유아교육기관교사의 개인배경에 따른 관심도를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교사경력, 과거 중·고등학교 학교체육수업의 태도 및 학교체육수업 외 체육활동의 참여 경험, 현재 생활체육활동의 참여도는 교사의 관심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셋째, 유아교육기관교사의 개인배경에 따른 인식도를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교사경력, 과거 중·고등학교 학교체육수업의 태도 및 학교체육수업 외 체육활동의 참여 경험, 현재 생활체육활동의 참여도는 교사의 인식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넷째, 체육교육의 운영 및 운영개선방안에 대한 인식도를 살펴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체육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에서는 다양한 체육시설의 부족, 유아교육기관의 경제적 지원 부족, 지도상의 어려움이 차례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체육교육 운영 시 가장 큰 장애요인은 열악한 체육시설 부족으로 인한 체육수업의 질 저하, 유아교육기관의 경제적 지원 부족, 체육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열의 부족 순으로 높은 비율이 나타났다. 또한 체육수업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사항에 대해서는 학습목표에의 도달, 유아들의 주의집중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체육수업에서 가장 중시되어야 할 내용에서는 인성교육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체육교육 활성화를 위해 시설 측면에서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서는 지역사회 체육 시설의 연계 사용, 다음으로는 강당 및 운동장 확보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체육교육 활성화를 위해 수업내용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서는 유아의 흥미와 특성을 모두 고려한 수업내용 제시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체육교육 활성화를 위해 교사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서는 교사의 체계적 실기지도능력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체육교육 활성화를 위해 수업운영측면에서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서는 체육관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다섯째,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인식도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체육교육의 교육목표 인식영역에 대한 평균점이 가장 높았고, 체육교육의 교육환경 인식영역은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단계별 인식영역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체육교육의 관심도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인식도의 상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가장 큰 정(+)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인은 체육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체육교육의 필요성, 교육목표, 교육내용, 수업운영 인식영역에 대해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영역은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hysical education at baby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current practices of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promote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and moreover, furnish the fundamental data needed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as part of the overall curriculum with the purpose of offering a child the opportunity to learn in a harmonious and supportive environment. By evaluating the interest and cognizance towards physical education held by instructors of baby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s paper also aims to present the future prospects of such education. This study surveyed 256 instructors at baby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to understand their interest and cognizance towards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utilized The Stages of Concerns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with appropriate modifications. This research was also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validness of the study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This questionnaire was finalized after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several rounds of modification based on such consultation.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research, frequency, percentages, averages,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long with SPSS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data. Utilizing the given method of researc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interest of instructors of baby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owards physical education is very low. Therefore, these instructors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work and interact with experts on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motivate them and increase their enthusiasm and interest about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of baby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provided with specific education on infant physical education and constructive programs must be developed in order for these instructors to gain more interest. Second, the personal background of the instructor, including age, education, career, attitude towards physical education in their own youth, extra athletic experience, and current participation in athletic activities have an impact on the interest an instructor holds. Third, the personal background of the instructor, including age, education, career, attitude towards physical education in their own youth, extra athletic experience, and current participation in athletic activities have an impact on the cognizance an instructor holds. Fourth, the study on cognizance towards currently conducte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nd improvements to physical education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The biggest issue in physical education appeared to be (1) the lack of various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2) lack of financial support, (3) difficulty of actual teaching. The biggest risk related to actual implementation of physical education were (1)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2) lack of financial support, (3) low enthusiasm of instructors for physical education itself. The key focus of physical education was to reach educational objectives and to gather and maintain the attention of the babyhood students. The most important aim of physical education was to develop the student into a well-rounded person. The first item to improve was the lack of cooperation with local athletic facilities. Next, securing gymnasiums and athletic fields was also considered important. The key method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itself was to present a curriculum which deliberates the interest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students. With regards to the instructors themselves, the most urgent item to improve was the practical educational skills. Also, gymnasiums and athletic fields topped the list on administrative fields for improvement.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and cognizance of instructors towards physical education are as follow. Based on th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each field studied regarding physical education, the factor that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to the interest for physical education was the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followed by the purpose, administrative issues, and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Therefore, the more interest an instructor showed for physical education, the more positive attitude the instructor showed for the above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for physical education and an instructors interes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nterest and cognizance an instructor of babyhood education has a great impact on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refore, if measures and efforts are taken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cognizance of these instructors for physical education, the physical education of our youngest generation will move forward into a much more beneficial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