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儒林外史》 상태보어 구문 연구

        이인숙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청나라 백화문학의 걸작인 吴敬梓의 《儒林外史》에 나오는 상태보어 구문을 분석하였다. 吴敬梓의 일생을 통해 《儒林外史》의 언어적 배경이 근대 안휘성 全椒縣과 南京지역의 皖北언어로 근대 北方話임을 알 수 있었다. ‘상태보어 구문’은 ‘성질형용사’나 ‘심리동사’가 謂語로 사용되는 정도보어를 제외한 문장이다. 謂語의 상태나 정황(평가․판단 등)을 보충하는 의미를 가지면서, 구조조사 ‘得’이나 ‘的’으로 연결된 문장으로 정의하였고, 《儒林外史》에 나오는 상태보어 구문을 총정리 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문장형식에 따라 ‘V得/的A’구문․‘V得/的AP’구문․‘V得/的V’구문․‘V得/的VP’구문․ ‘V得/的DJ’구문․ ‘V得/的4字句’로 나누어《儒林外史》에 나타나는 근대 ‘상태보어 구문’의 상태보어 구조와 형식 및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儒林外史》의 상태보어 구문의 구조조사 특징을 분석하고, 상태보어 구문의 형식을 정리하였다. 또한 《儒林外史》에 나타나는 상태보어 구문 중 현대 보통화에서 부자연스럽게 느껴지는 문장을 분석하여 근대 皖北언어의 특징을 고찰하였고, 본 논문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얻었다. 《儒林外史》 상태보어 구문을 연결하는 구조조사는 ‘得’과 ‘的’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같은 동작동사를 ‘得’과 ‘的’이 동시에 연결하는 특징을 근거로 두 구조조사가 구분 없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的’의 활용도가 매우 활발하다. 《儒林外史》 상태보어 구문은 문장 전체의 주어가 施事주어와 受事주어로 나타나고, 문장 주어 각각의 상태보어와의 의미지향관계에 있어 공통점이 많았다. 또한 ‘把’자문과 ‘被’자문이 현대 보통화와 같이 매우 활발하게 활용되어 상태보어의 묘사 대상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보통화의 상태보어의 다양한 구문형식과 의미관계는 청나라《儒林外史》의 시기에도 이미 나타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儒林外史》에 나타나는 皖北언어는 현대 보통화의 기초가 되는 北方話에 포함된다. 일부 문장에서 현대 보통화와는 차이가 나는 문장이 나타나고, 그 원인은 어휘 활용의 차이에 있다. 이러한 자료를 정리하여 청나라 皖北언어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본 논문의 근대 한어에 나타나는 ‘상태보어 구문’의 특징들이 근대 한어의 특징을 파악하는 동시에, 그것을 통해 현대 한어의 변천과정을 알 수 있었다. This thesis examines syntaxes of state complements in the Wú Jìngzǐ's 《儒林外史》, a masterpiece of spoken Chinese in the Qing Dynasty. WúJìngzǐ's whole life shows that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儒林外史》 lies in the modern standard mandarin, the modern language of Quánjiāoxiàn and language of Wǎnběi and Nánjīng. A syntax of state complement is a sentence that excludes degree complements where character adjectives or mental verbs are used as predicates. Having the semantic meaning of making up for state and situation of a predicate, it is defined as a sentence connected with a structural postposition of 得’or ‘的’. And all syntaxes with state complements in 《儒林外史》 are organized and analyzed. Especially, according to the types of sentences, types and contents of modern syntaxes of state complements are considered, divided as the syntaxes of ‘V得/的A’, ‘V得/的AP’, ‘V得/的V’, ‘V得/的VP’, ‘V得/的DJ’, ‘V得/的4字句’ appeared in the 《儒林外史》. Through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postpositions in the syntaxes of state complements are analyzed, and the types of syntaxes of state complements are organized. Among syntaxes of state complements in the 《儒林外史》,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of Wǎnběi are considered, analyzing unnatural sentences in the modern standard Chinese. Through their analysis, some conclusions are drawn. In the structural postpositions connecting the syntaxes of the state complements in the 《儒林外史》, ‘得’and ‘的’ are used very universally. And as grounds of the characteristic that the same dynamic verbs are connected with ‘得’and ‘的’, two state complements are used without classifying. Especially utilizing of ‘的’ is very animated. In the syntaxes of state complements in the 《儒林外史》, subjects in all sentences appear as agentive subjects and affected subjects. And Every subject and state complement has many common features in the relation of the semantic orientation. Also the syntaxes of ‘把’ and ‘被’ are utilized so livelily as in the modern standard Chinese that descriptive objects of the state complements appear clearly. Especially, various types of syntaxes and semantic relations in the standard Chinese have already appeared in the 《儒林外史》 in the Qing Dynasty. Languages of Wǎnběi in the 《儒林外史》 are included in the standard mandarin that forms the foundation of the modern standard Chinese. Some sentences are distinguished from the modern standard mandarin. The reason of it lies in the practical use of vocabular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of Wǎnběi in the Qing Dynasty are organized by organizing these datu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standard Chinese are apprehended by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complements in the modern standard Chinese. And transition process of the modern standard Chinese is understood through these.

      • 《儒林外史》硏究

        이미숙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吳敬粹的 ≪儒林外史≫ 是對當時封建社會加深厚諷刺的,具有諷刺藝術的作品. 特在 ≪儒林外史≫ 描寫的大部分知識分子是背自身的役割, 但享有執着在功名富貴的歪曲的人生.所有大小進步的思想的作家發見知識分子自身的醜惡的現狀, 集中諷刺了. 首先, 觀察 ≪儒林外史≫ 提示的主題, 第一, 批判了科擧制度. 他批判的不是科擧制度自體, 就是以八股文取士的方式. 當時科擧制度與功名富貴直接連繫, 因此知識分子只信奉八段文, 招來思想的劃一化, 只關心個人的富貴功名漸漸喪失了道德性. 第二, 通過貪官汚吏和惡德地主暴露了社會的病弊. 當他們一旦科擧成功, 做了官以後, 便放肆敲剝老百姓, 只追求自身的名譽和利益. 第三, 主張了進步主義思想. 在禮敎嚴格, 要求男女的境界的封建社會,批判了舊禮敎同時以相當進步的態度鼓吹了自由平等的新觀念,而且表示對女權伸張的强力意志. 第四, 批判了不條理的現實, 同時塑造理想的人物形象追求了理想社會. 卽以立身處世的原則强調'文 · 行 · 出 · 處',主張了回復傳統道德, 而且通過不貪功名富貴的市井奇人表現了理想世界. ≪儒林外史≫ 有多樣的藝術特徵. 第一是諷刺的手法. 第二是多樣的語言. 第三是人物形象的特徵. ≪儒林外史≫ 的人物形象的性格反映出時代和當代環境. 就反映了封建衙門與鹽商典當互相句結 · 彼此利用的關係. 凡此都表現了這箇時代知識分子所特有的心理狀態和社會關係.而且通過非理性的 · 非人間的人物型像表環淸代社會的墮落腐敗,同時對比了重視禮樂兵農和講究文行出處的理想的人物型像. 終之, ≪儒林外史≫ 的敍述構造上的特徵是在每作品的初尾具有楔子和結尾, 始終呼應, 而且全書沒有貫穿始終的中心人物和主要情節. 這樣, ≪儒林外史≫ 集中諷刺當代社會,具有多樣的藝術的特徵, 故其手法흔多樣, 其內容也引起充分關心. ≪儒林外史≫ 的影響臣大而深遠. 타奠定了中國古典諷刺小說的基礎,爲以後諷刺小說的創作開關了廣闊的道路. ≪儒林外史≫ 給予後代文學的影響, 尤其是對晩淸的譴責小說影響最大. 後代譴責小說中 ≪官場現形記≫ · ≪二十年目睹之怪現狀≫ 等也受到 ≪儒林外史≫ 的直接影響.

      • 유림외사》에 나타난 풍자기법 연구

        노수진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儒林外史》는 대부분의 中國小說史에서 대표적인 ‘社會小說’, 혹은 ‘諷刺小說’로 지칭하는 장편소설로서 소설의 사회적 참여, 지식인의 사회 비판을 강조하는 소설적 흐름의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 그것은 이전까지 우회적으로만 표현될 수밖에 없었던 지식인 사회에 대한 비판의 욕구가 표면에 모습을 드러낸 첫 번째 경우이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풍자소설의 걸작으로 꼽히는《儒林外史》에 관한 연구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풍자하고자 하는 내용과 창작 형식으로서 諷刺技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人物形象을 중심으로 한 諷刺技法을 분석하여 작가의 세계관과 비판의식을 명확히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諷刺技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바로 이런 배경 하에 있는 중국의 대표적 諷刺作品인 《儒林外史》의 諷刺技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행의 연구 업적을 토대로 第1章 序論에 이어 第2章에서는 작자 吳敬梓의 生涯와 創作背景에 대해 알아보았다. 작자 吳敬梓는 시대배경의 영향을 받아서 신랄한 풍자로 새로운 풍자적 문학양식을 완성하게 된다. 第3章에서는 주변의 인물과 일상적인 사건을 작품의 내용으로 삼고 人物形象 分類를 풍자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人物形象을 중심으로 諷刺의 類型을 政治的 側面 · 經濟的 側面 · 社會的 側面으로 분류하여 작품의 풍자내용과 풍자형식을 통해 작가가 드러내고자 했던 의식을 고찰하였다. 第4章에서는 第3章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작가의 풍자의식을 어떠한 기법으로 도출해 냈는지 살펴보았다. 《儒林外史》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아이러니, 해학과 유머, 조소와 質責의 개념과 그 상황을 구체적인 예들을 들어 살펴보았다. 第5章은 전장의 분석들을 종합하여 《儒林外史》의 뛰어난 풍자 기법의 의의를 서술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었다. 본고는 諷刺小說인 《儒林外史》의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인 결합에 주목하고자하였다. 특히 국내의 기존 연구가 풍자의 내용에 관한 것은 많으나 풍자의 형식에 관한 것은 비교적 적었기 때문이다. 연구과정을 통해 풍자의 형식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나 풍자의 방법이나 수법이 단독으로 구사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다른 요소들과 뒤섞여서 나타나기에 《儒林外史》에서 사용한 풍자의 정확한 실례를 찾는 것은 사실 어려운 작업이었다. 그러나 吳敬梓가 즐겨 사용한 몇 가지 풍자의 어조를 분석하는 것은 《儒林外史》의 내용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주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儒林外史》가 왜 중국 풍자소설의 대표작을 손꼽히는지 알 수 있었으며 후대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Lulinwaishi, (儒林外史)》, one of the representative ‘social novels’ and ‘satirical novels’ in Chinese novel history, serves as a milestone in the flow of novels which stress the role of novel in society and intellectuals’ social criticism. This is because 《Lulinwaishi, (儒林外史)》 is the first one to show author’s urge to directly criticize intellectual community, before that, critiques are expressed indirectly. What is most important in studying on 《Lulinwaishi, (儒林外史)》, the masterwork of satirical novels, is the satire technique as a form of creation and contents author tries to satirize. In particular, the study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satire technique by analyzing it with characters focused as the technique plays a critical role in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and the sense of criticism of the author. Therefore, this paper concentrates upon the satire technique of 《Lulinwaishi, (儒林外史)》 that is one of the Chinese representative satirical works under these cultural historical circumstances. The paper is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the first chapter of which is an introduction and the second one deals with the life of the author, Gyungjae Oh, and the background of writing the novel. The social background influences the author whose bitter satire completes the genre of satirical literature. The chapter 3 deals with minor characters and everyday lives, and classifies characters based on the style of satire. The characters are divided from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etal aspects. It inquires into the author’s consciousness through the contents and a satire form. The chapter 4 looks at the way the author expresses his consciousness based on the chapter 3. It explains the concepts and the situations of irony, humor, ridicule, and reprimand which are widely used in 《Lulinwaishi, (儒林外史)》 with detailed examples. The chapter 5 draws a conclusion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excellent satire technique of 《Lulinwaishi, (儒林外史)》 by putting all the earlier chapters together. The paper tries to focus on the systematic combination of contents and forms of the satirical novel, 《Lulinwaishi, (儒林外史)》. It is because there are few studies on satire styles even though there are many domestic studies dealing with the contents of satire. This paper tries to thoroughly analyze satire forms but it is difficult work to look for specific examples of satire in 《Lulinwaishi, (儒林外史)》 since satire methods are intertwined with other factors. The analysis of satirical tones the author frequently used, however, helps correctly understand the contents of 《Lulinwaishi, (儒林外史)》. This study says why 《Lulinwaishi, (儒林外史)》 is one of the Chinese representative satirical novels, and it also shows the novel has affected generations to come.

      • 《儒林外史》의 主題思想과 藝術的 特徵 分析

        박혜정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Rulin Waish, (儒林外史, The Plot of the Scholars)》 is not only the masterpiece of the 18th century Chinese novels but is the immortal satirical novel in Chinese novel history, written by Kyung Jae OH. 《Rulin Waishi》 is presenting the original spirit of the author by using the author's own age, society and family life as subject matters. Also, in the works are clearly presented the author's outlook on the world and the attitude of creation. 《Rulin Waishi》 is a full length satirical novel and the materials of which are the intellectuals' lives. OH is describing the features of intellectuals vividly to represent the social realities of Ching Dynas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thematic thoughts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Rulin Waishi》 based on what is studied until now. First, in chapter Ⅲ, the thematic thoughts of 《Rulin Waishi》 is analyzed. In the analysis of thematic thoughts, the four categories as following are reviewed : criticism on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satire on the tyranny of feudal officers and landlord, satire on the evil practices of feudal society, and pursuit of the ideal society. 《Rulin Waishi》 does not only criticize and satirize the contradiction and absurdity of the society, but also suggests the alternatives and the vision of the reality and educates the society by proposing the ideals of the author through ideal characters. Severe criticisms are done through various features of characters who represent the corrupted society, but, on the contrary, the hope is suggested by presenting the ideal characters whom the author pursues. In chapter Ⅳ, artistic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For artistic characteristics analysis, structural characteristics, satirical technique characteristics, character featuring characteristics, and linguistic expression technique characteristics are reviewed. 《Rulin Waishi》 has obtained artistic results in several aspects. The most prominent one of all is a sharp satire on the dark side of the society. 《Rulin Waishi》 has absorbed the experiences of the previous satirical novels and created new one to be on the top of Chinese classical satirical novels. The personality of characters in 《Rulin Waishi》 has not been given without meaning but endowed with characteristic features to the appear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age, environment, and ideal of the author. The linguistic artistic characteristics are simple but emphasizing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e characters. Each word is delicate, and each sentence is full of vividness. Likewise, 《Rulin Waishi》 is satirizing to show the society in those days concentratively, as well as containing various artistic characteristics. As the techniques are highly diverse, the contents deserve to draw attentions of people. Therefore, it is regarded as representative satirical novel in Ching Dynasty times and has made great influence to the later ages. 《儒林外史》는 18세기 중국 소설계의 걸작일 뿐만 아니라 중국소설 역사상 불후의 풍자소설로서 吳敬梓(오경재) 만년의 작품이다. 《儒林外史》는 작자 자신의 시대․사회 및 가정생활을 소재로 하여 작자의 독창정신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작품에는 작자의 세계관과 창작태도가 매우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儒林外史》는 지식인들의 생활을 제재로 한 장편 풍자소설이다. 吳敬梓는 생동감이 있게 지식인들의 형상들을 묘사하여 청대 시기의 사회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제까지 연구된 것들을 바탕으로 《儒林外史》에 나타난 주제사상과 예술적 특징을 살펴봄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제Ⅲ장에서는 《儒林外史》의 주제사상을 분석하였다. 주제사상 분석에서는 과거제도에 대한 비판, 봉건관료와 지주의 횡포 및 풍자, 봉건사회의 병폐에 대한 풍자, 이상적인 사회의 추구 등 네 가지로 분류해서 살펴보았다. 《儒林外史》는 단지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만을 비판하고 풍자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상적 인물상을 통해 작가의 이상을 제시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개선 방안과 비전을 제시하고 사회를 교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당시의 부패한 사회를 대변하는 여러 인물들의 형상을 통해서 신랄히 비판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작자가 추구하는 이상적 인물을 등장시켜 희망을 제시하고 있다. 제Ⅳ장에서는 예술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예술적 특징 분석에는 구조적 특징, 풍자기법의 특징, 인물형상의 특징, 언어 표현기법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儒林外史》는 여러 면에서 예술상의 성과를 거두었다. 그 가운데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사회의 어두운 면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이다. 《儒林外史》는 그 이전 시기 풍자소설의 경험을 섭취하고 새롭게 창조하여 중국 고전풍자소설의 최고봉에 올라섰다. 《儒林外史》속의 인물의 성격은 아무런 의미 없이 부여된 것이 아니라 당시의 시대적 영향 · 환경적 영향 · 작가의 이상에 따라 출현하고 있는 인물들에게 성격적 특징을 부여하고 있다. 《儒林外史》의 언어 예술적 특색은 간결하지만 인물의 가장 중요한 특징을 부각시키고 있다. 글자 하나하나가 치밀하며 문장마다 생생함이 넘쳐흐르고 있다. 이와 같이 《儒林外史》는 당시 사회를 집중적으로 풍자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예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로 그 수법들은 매우 다양하며 그 내용 또한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그러므로 청대 풍자소설의 대표로 손꼽히며 후대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儒林史學 硏究

        정기선 檀國大學校 大學院 1981 국내석사

        RANK : 248687

        유림외사(儒林外史)는 중국의 사실주의(寫實主義) 백화장편소설이다. 그 제목에서 이미 나타나듯이 정사(正史)에서 다루지 않은, 미처 언급하지 못한 당시 유림들의 인생 가치관, 정치환경, 시대상 등을 예리하게 파헤친 풍자(諷刺)소설이다. 풍자는 사악(邪惡)에 대한 예술화한 항의로서, 반드시 진실을 바탕으로 하여야만 한다. 풍자가는 현실과 이상의 차이를 예민하게 의식하여 외관과 현실의 차이를 이용하여 위선을 폭로한다. 유림외사의 작가 오경재(吳敬梓)는 바로 세가대문(世家大門) 선비의 신분으로 같은 유림들을 풍자하였다. 작품의 소재나 인물취재는 실제 사건, 인물이며 작가의 기술(技術) 기교를 더해 유림외사는 중국 소설 문학계에서 다시없는 풍자소설로서의 지위를 굳혔다. 일반적으로 유림외사를 평할 때 절정이 없으므로 장편소설로서의 구성에 허점이 있다고들 한다. 본 논문은 유림외사의 인물분석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처음부터 끝까지 이야기의 내용보다는 작가의 주제를 관철시킨 완미한 장편소설로서의 특성을 밝히고 싶었다. 인생을 종합적으로 표현하는 장편소설이 그 표현에 있어 복합적임이 필연적이듯 유림외사에 있어서도 여러 소단원이 복합되었음은 소설 기술 특색상 구성(plot)위에 설정된 반복하는 사건, 의미있는 반복 즉 패턴(patten)의 효과를 노린 성공적인 작품이다. 소설의 서두에서 접련화(蝶戀花) 한 수로 인생의 부귀공명은 부질없는 것이라고 시작하였고 설자(楔子)에서 작가의 이상적 인물의 왕면(王冕)을 부각시켜 바람직한 선비를 묘사함으로써 그 주제를 뚜렷이 제시하였다. 또 내용에 들어가 본 논문에서 정면인물 반면인물로 구분한 두 종류의 인물들을 오경재만의 독특한 네가지 풍자 수법 - 백묘사실풍자(白描寫實諷刺), 과장강화풍자(誇張强化諷刺), 모순충돌풍자(矛盾衝突諷刺), 비교대조풍조(比較對照諷刺) - 으로 교묘히 연결 배열함으로서 그 주제를 끝까지 관철시켜 나갔다. 그리고 마지막 회에서는 유림이 아닌 네 사람의 소시민을 등장시켜 그들의 소박성과 인간적인 생활태도를 찬양하듯 묘사한 후 처음으로 사(詞)와 내용이 비슷한 심원춘(心園春) 한 수로 소설을 끝맺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유림외사에 관한 연구 논문이 아직 없는 형편이라 그 문학적 가치도 별로 알려져 있지 않은 것 같아 본 논문에서는 작가와 작품을 여러 분야로 정리 소개했으며 특히 작품 가운데 등장하는 인물을 분석하고 기교를 분석하는 데 치중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유림외사는 그 주제가 뚜렷하고 또 여러 종류의 성격을 창조하여 그 독특한 구성의 효과를 이룬 작품으로서 중국 소설 문학계에서의 위치가 중요함은 물론 작가 오경재가 위대한 근대 중국 문학가라는 점을 규명할 수 있었다.

      • 유림외사의 풍자대상 및 풍자기법 연구

        유형래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吳敬梓의 《儒林外史》는 淸代의 유림들, 즉 지식인의 일상생활을 그려 그 시대상과 사회의 부조리를 풍자한 장편 소설이다. 《儒林外史》는 吳敬梓의 시대와 사회 및 가정생활을 소재로 하여 독창정신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작품에는 吳敬梓의 세계관과 창작태도가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이제까지 연구된 것들을 바탕으로 《儒林外史》의 풍자하고자 하는 대상과 풍자기법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선행 연구에 힘입어 제1장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풍자 소설의 정의와 《儒林外史》에 쓰여진 기법들의 기초적인 이론들과 전문가들이 정하여 내린 정의들, 그리고 풍자소설의 발생 및 특성을 살펴볼 것이며, 이는 《儒林外史》의 풍자를 규명하는 데에 기초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제3장에서는 《儒林外史》의 풍자대상 분석 내용으로 겉과 속이 다른 위선자의 모습과 탐관오리의 횡포, 대쪽처럼 곧은 선비의 또 다른 모습, 돈에 관해 변하는 상인들의 모습들이 무엇인지를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아이러니, 諧謔, 對比, 嘲笑, 質責 등으로 나누어 제3장의 내용과 더불어 吳敬梓가 의도한 것이 어떤 풍자 기법으로 나타내어졌는지를 살펴보면서, 결론을 맺고자 한다. 본고는 풍자소설인 《儒林外史》는 당시 사회를 집중적으로 풍자하여 나타내고 있다. 吳敬梓는 여러 수법으로 매우 다양하게 사람들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내용을 창작하였다. 국내의 기존 연구가 풍자의 내용에 관한 것은 많으나 풍자의 형식에 관한 것은 비교적 적었기 때문에 풍자의 형식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吳敬梓라는 작가는 순박하고 간결하여 예민한 언어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불합리한 사회구조 즉, 사회의 성쇠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書生, 관료계층을 풍자대상으로 삼고 세밀한 안목과 깊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儒林外史》는 청대의 풍자소설의 대표로 손꼽히며, 후대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Scholars, Qing dynasty novel by Wu Jingzi (吴敬梓), an extended satire on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is a full length novel which satires the phases of the times and social absurdity, describing the everyday life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Qing dynasty. The Scholars, Qing dynasty novel, an extended satire on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expresses an the author's original mind based on the society, time and the family life in Wu Jingzi (吴敬梓)'s time. And also, Wu Jingzi (吴敬梓)'s world view and his attitude toward creativity are expressed clearly in the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reviewing satire targets and methods revealed in the Scholars, Qing dynasty novel by Wu Jingzi (吴敬梓), an extended satire on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based on the prior study in chapter 1. First of all, Chapter 2, (followed by 1 chapter), will discuss the definition of satire novel, and basic theories used in the Scholars, Qing dynasty novel by Wu Jingzi (吴敬梓), an extended satire on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and also a researcher will discuss professionals' definition about the satire novel, then we will trace out the origi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tire novel which will be a basic research for tracing the origin of satire methods used in the Scholars, Qing dynasty novel by Wu Jingzi (吴敬梓), an extended satire on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In chapter 3, a researcher take a close look at the tyranny of two-faced corrupt officials, scholars as straight as arrows, money-blind merchants through the analytical contents of satire targets described in the Scholars, Qing dynasty novel, an extended satire on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In chapter 4, a researcher concludes the study, discussing about how the methods of satire that Wu Jingzi (吴敬梓) intended were described along with irony, humor, comparison, sneering and rebuking respectively. The body of the Scholars, Qing dynasty novel by Wu Jingzi (吴敬梓), an extended satire on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a satire novel, intensively satires the time of Qing dynasty. Wu Jingzi (吴敬梓) created the contents which attract attentions of people with various methods. A researcher tried to analyzes the methods of satire used in the Scholars, Qing dynasty novel by Wu Jingzi (吴敬梓), an extended satire on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with concentration, because there are various studies on the contents of satire, but there are relatively less amount of methods of satire. As a writer, Wu Jingzi (吴敬梓) has the effects of brief, sensitive and simple language style, his satire targets were young confucianists and officials who were closely related to the absurd structures of society and the rise and decline of society. He has an eye for great detail and deep thought about the social structures and people in the Chung Dynasty. Considering all above, the Scholars, Qing dynasty novel by Wu Jingzi (吴敬梓), an extended satire on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is one of the greatest satire novel in the Qing dynasty, it has a great influence in the later works.

      • 燕巖小說과 『儒林外史』에 나타난 인물유형 비교연구

        소정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4

        본고는 풍자소설 중의 인물유형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작가 燕巖과 중국의 작가 吳敬梓의 소설 작품에 나타난 인물유형을 비교하였다. 본고에서는 燕巖小說과 『儒林外史』에 나타난 인물유형을 兩班⦁書生계층 인물, 官僚⦁地主계층 인물 및 여성인물로 나누어 기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연암소설과 『儒林外史』에 나타난 인물의 類似性과 相異性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類似性의 면에서 볼 때는, 두 작가가 불합리한 사회구조에 주목하고 신분간의 갈등이 심화되어 가고 있는 사회상이나 無知無能한 몰락한 양반 또는 書生을 비판의 대상으로 서술하고 있다. 相異性의 면에서 볼 때는, 두 작가가 처한 시대배경에 다른 점이 있고, 두 작가의 사상방면에서도 구별이 있어서 작품방면에서 각기 서로 다른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그 특수성에서 제일 눈에 띄는 것은『儒林外史』에 나온 인물들은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한쪽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고, 연암은 양반을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는데 이에는 아주 특별한 특징이 있다. 그것은 바로 풍자의 대상인 양반 스스로가 풍자의 주체로 변신한 것이다. 이러한 풍자적 서술 방식은 다른 작가의 작품 중에서는 찾기 어려운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을 가진 인물은 바로 <허생전> 중의 주인공 허생이다. Korea has strong ties with China where their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attributes are more related than any other countries. The correlation can be seen in literature as well. In this thesis, I have tried to compare Yeonam, the representative writer of Korea, and Wu Jingzi, the representative writer of China's prominent figures in their satirical literature. During the medieval times when Yeonam lived, the status system between the aristocrats and ordinary people tended to be equal due to the collapse of medieval low and change of era. Wu Jingzi lived in the 'KangXi, QianLong' era where China had the most national power. This is the period when capitalism was advancing throughout the nation so feudalism had no chance of resurrecting itself in the country. Political columns were also forced to change as the corrupt officials and zealous leaders with egotistical minds were all just a part of the feudalistic era which was declining to a halt. In this thesis, I divided main characters of Yeonam's literature and <The Scholars> as the aristocrats, sacrificial women, and scandalous bureaucrats. After the documentation from the base of Yeonam’s Literature and <The Scholars>, I research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haracters subjectively. Yeonam, Ji Won Park, and Wu Jingzi’s literature can be seen as a model of Korea and China’s satirical novels. In addition, the two writers are adamant readers of society’s rise and falls so they were bound to possess the descriptive insights of bureaucrats and aristocrats alike. Although Chinese literature has had an impact on Korean literature, I can conclude that through a mass of respected novelists, Korea was able to create its own type of literature. In other words, Korean literature has gone through a long period of time of ever changing history and culture to create a solid style worthy of literary value. To see literature in this perspective, I can confidently say that researching the differences of Korea and China’s literature proved to be a significant and meaningful experience after all.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학 교육 연구 : 연암소설과 <유림외사>의 비교·탐구를 중심으로

        Zhu, Cuiying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50

        [Abstract] This thesis concerns on studying how to teach the advanced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of Korean literatures. By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based on the theories in comparative literature of comparison and constructivism, the author proposes the concept of "comparison and exploration", and explores how to perform the teaching of Korean literature with "comparison and exploration". Literature is the best material to study languages. By reading foreign literatures, we may know about the foreign traditional customs,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ulture. Hence the Korean literature is a very good materia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due to the incorrect teaching method, the students lose their interests in the literature learning, and feel that literature study brings no help to raise the language level.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learners study quite limited amount of Korean literatures, and are lack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culture. Thus, they are not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Korean literatur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iming at Chinese students, it is more valuable to generate their interests and show them the effective reading method, than solely introducing Korean literature works. In the theory of constructivism, the readers' experiences and concerning fields will influence their reading. The reading experience of mother tongue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the indirect experience of a foreign language learner. So, in the teaching of Korean literature to Chinese students, the selected works should be able to recall their memories of Chinese literatures with similarities. The constructivism emphasizes on th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holds the idea that, if the one with better reading ability guides the student reading, the effect becomes much better. To broaden the view scope of students, and ensure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works, it's recommended to perform group discussion; and the teachers should prepare well the courses plan, lead the students to think, and support the students with proper guide and necessary information, such that the students might be reading and discussing better. The comparison between similar works in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s can activate the students' memory and advance their understanding. They will understand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in the cultures of both countries by analyzing the reasons that leads to the differences. The author studies the comparison theory that emphasizes the generality and specialty in three aspects: genre, thematology and culture. Based on the theories of comparison and constructivism, referring the general sequence of inquiry instruction,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the author interpret the intension of "comparison and exploration". "Comparison and exploration" has mainly four steps: the choice of theme, activating the memories of students by questions, student-oriented comparisons and exploration, verifying the understanding by discussion. The author presents the meaning of teaching of foreign literature by comparison and exploration on four aspects: inducing the intrinsic motive to raise the initiative, activating the memories to raise the reading ability, resembling the memories to raise the cultural ability, and raising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by the comparison of different works. Based on the theory of comparison theory, the author analyzes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between Yeonam novels and <The scholars> in four aspects: background, expression techniques, characters and themes. To verify the effects of comparison and exploration and to inspect the problems of the teaching methods, the authors performed two experiments. By analyzing the assignment, inspection and interview, the author proved the effects of teaching Yeonam novels by comparison and exploration, and found the shortcomings in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the design for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courses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dvanced learners, the author divides the teaching of Korean literature by comparison and exploration into five steps: supporting information to student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ctivating the memories to help understanding the works, performing cultural exploration by comparing the works, group discussion and teacher-centered discussion, evaluating the critical comprehension and appreciative comprehension by composition and essay. By ful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ased on the theories of comparative study and constructivism, this thesis has innovations in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s Education. The design of scheme is originated from the real experience, and so it has great practical importances. <국문 초록> 본고는 외국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비연구 이론과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비교·탐구’라는 개념을 제기하고 이를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암 박지원의 단편 소설 교육에 적용하여 바람직한 한국어 문학 교육의 방법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 작품은 언어 자료로서의 효율성, 풍속과 관습의 이해, 인간 행동의 이해, 문화 원형의 이해, 시대적 특징의 이해 등의 측면에서 언어 교육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 문학 작품은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좋은 교육 제재라고 하겠다. 그러나 주입식 교수법으로 이루진 한국어 문학 교실에서 많은 학습자들은 문학 수업이 무미건조하다고 느끼거나 한국어 능력의 신장에 별로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 한편 중국인 학생들은 접하는 한국 문학 작품의 수가 제한적이고 한국 문화에 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한국 문학에 대하여 단편적 지식이나 잘못된 이해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따라서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학 교육에서는 학습자에게 한국어 문학 작품을 많이 소개하는 것보다 학습자들로 하여금 한국어 문학에 대하여 흥미와 긍정적 태도를 가지게 하고 문학 작품을 해독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학습하게 하는 것이 훨씬 더 높은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구성주의적 관점에 의하면 독자의 과거 경험, 현재의 관심사 등은 작품을 읽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국어 작품에 대한 경험은 외국인 학습자들의 간접적 경험 중의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학 교육에서 유사한 중국 문학 작품에 관한 스키마를 최대한 활성화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 따르면 읽기 학습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중요하고 학생들보다 더 나은 식견을 갖춘 사람의 중재 작용으로 읽기 능력이 촉진된다. 따라서 읽기 교육에서는 생각의 넓이를 확대하고 의미 이해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집단 토의 학습이 강조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교사들이 수업의 기획 조정자, 인지적 모델 구축 안내자, 토의 학습의 촉진자, 정보 조력자, 상담자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한편 유사한 한․중 문학 작품의 비교는 스키마의 활성화를 통하여 한국 문학 작품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차이점의 원인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두 나라의 문화적 거리를 가늠해 볼 수 있다. 본고는 장르론, 주제학, 문화론의 세 가지 측면에서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추구하는 대비연구 이론을 살펴보았고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의 문학 읽기와 구성주의적 교실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대비연구 이론과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외국인을 위한 문학 교육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비교·탐구’의 개념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또한 탐구 학습의 일반적 절차를 참조하여 ①비교·탐구 문제의 설정, ②교사 발문을 통한 스키마의 활성화, ③작품 비교를 중심으로 하는 탐구 활동, ④토의 학습을 통한 의미 협상과 검증, 이렇게 네 가지 측면에서 비교·탐구를 통한 한국어 문학 교육의 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①내적 동기의 유발을 통한 학습자 능동성의 최대화, ②스키마의 활성화를 통한 작품 이해의 향상, ③스키마의 재구조화(再構造化)를 통한 문화 능력의 함양, ④작품 비교를 통한 상호 문화 능력의 신장, 이렇게 네 가지 측면에서 비교·탐구를 통한 한국어 문학 교육의 의의를 밝혔다. 연암 박지원의 단편소설들은 시대 상황에 대한 인식, 작가 의식, 창작 방법 및 예술적 성취 등에서 한국 문학의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되고 있어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학 교육, 한국 문화 교육의 좋은 제재가 될 수 있다. 오경재(吳敬梓)의 <유림외사(儒林外史)>는 청조시기 전반기에 세상에 나온 걸작이며 중국 고전문학 중의 백미이다. 연암소설과 <유림외사>는 작가 의식, 표현 기법, 창작 배경 등에 있어서 많은 유사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연암소설과 <유림외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이를 교육의 실제에 연결함으로써 비교·탐구를 통한 한국어 문학 교육을 설계했다. 비교·탐구를 통한 연암소설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본고는 대비연구의 이론에 근거하여 창작 배경, 표현 기법, 인물, 주제의 네 가지 측면에서 연암소설과 <유림외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또한 두 작품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두 작품 속에 드러난 문화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교·탐구를 통한 연암소설 교육의 효과와 교육 과정 설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두 차례의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작문 과제와 설문지 답안에 대한 분석, 교사의 관찰, 수업 후의 인터뷰를 통하여 비교·탐구를 통한 연암소설 교육의 효과를 입증하였고 교재의 선정과 교수․학습 방법의 선택에 있어서 드러난 문제점을 밝혔다. 이러한 실험 수업을 바탕으로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비교․탐구를 통한 한국어 문학 교육을 설계하였는데, 그것은 학습자 상태를 고려한 정보 제공, 스키마의 활성화를 통한 작품 이해, 작품 비교를 통한 문화 탐구, 소집단 토의와 교사 중심의 토의, 작문 평가를 통한 비판적 이해와 감상적 이해의 평가 등의 다섯 단계로 구성되었다. 이 논문은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 하에서 대비연구의 관점과 구성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비교․탐구의 방법을 제기하여 한국어 문학 교육의 방법을 탐색한 점에 의의가 있으며, 또한 실험 수업을 바탕으로 한 교육 방법을 설계하여 교실 현장에서의 실천 가능성을 상당한 정도로 갖춘 점에 의의가 있다.

      • 《儒林外史》의 풍자성 硏究

        김은애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reason the novels of the Qing Dynasty are significantly described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is because of “RuLinWaiShi” Lu Xun praised “RuLinWaiShi” in his “Brief History of Chinese Novels” saying that Wu Jingzi finally pointed out the evils of the era with fairness, and his sharp literary style targets Confucian scholars, and this novel can be called as the first satirical novel due to its lonely, witty, smooth and satirical style. “RuLinWaiShi” mainly criticized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Wu Jingzi reported the inconsistency of the ruling system and the corruption of nobles, focusing on the then state examination system, which was full of irregularities and corruption.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concept of sarcasm related to literature to examine sarcasm appeared in Wu Jingzi's novels, and is aimed at investigating consciousness the writer wanted to express through the contents and forms of sarcasm in his novels. First of all, sarcasm comes from negative and critical attitudes against the real world. It uses raillery and ridicules as the means of verbal attacks and exposure, and adds an instructive meaning called the reform of injustice. There are a number of ways to show the effect of sarcasm. Chinese literature defined sarcasm as having the function of “remedy and recovery”. When the contents satirized in “RuLinWaiShi” are examined, it is found first that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is criticized. The book criticized literary men who adhered to the Eight-Legged Essays, which suppressed the consciousness of intellectuals, and the ignorance and incompetency of intellectuals caused by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based on the Eight-Legged Essays, and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which was deteriorated to the means of social status rise. Second, it criticized feudal rules. That is, it criticized sexual morality and concubinage forced to women, and claimed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against the excessive domination of men over women. Third, it revealed the immorality of feudal government officials and landowners by criticizing government officials, who trafficked in government posts and sought only wealth, rank and fame, and greedy landowners. These satires appear in various tones. The writer's tone reflects his feeling on how he sees the counterparts he talks about. This study intensively investigated roundabout irony, jokes and direct scolding frequently used in “RuLinWaiShi” On the premise that contents dominate styles and styles dominate contents in literature, this study focused on the organic union of the contents and style of the satirical novel, “RuLinWaiShi”. However, it was very difficult to analyze satirical styles, focusing on tones and to find exact examples of satirical tones used in “RuLinWaiShi” because satirical methods, technique and tones are not individually shown, but are mixed with one another. None the less, it was very helpful to analyze the tones of several satires frequently used by Wu Jingzi for the clea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RuLinWaiShi” This study shows that why “RuLinWaiShi” is called the best Chinese satirical novel and has a great effect on future gen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