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유도선수들의 운동상해 유형 분석

        김동춘 용인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학교 남․여 유도선수들의 운동상해의 종류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중학교 유도선수들의 상해를 분석함으로써 선수들의 상해예방과 관리 및 적절한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선행연구 논문들과는 어떠한 상이점이 있는가를 발견하여 중학교 유도선수들의 상해의 예방과 관리 및 상해 후의 적절한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으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국의 중학교 유도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80부에서 불성실한 23부를 빼고 157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다. 성별, 체급, 경력에 따른 운동상해 부위, 종류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학교 유도선수들의 성별에 따라 머리부위에서는 목, 얼굴, 앞머리 등에서 남자선수가 여자선수보다 상해 경험이 높게 나타났으며, 몸통부위에서는 남자선수보다 여자선수가 가슴, 허리의 상해경험이 높았다. 팔 부위에서는 남자선수의 어깨부위 상해가 높았으며, 여자선수는 팔꿈치 상해가 높았다. 다리부위에서는 남자선수가 무릎부위의 상해가 높았으며 남자와 여자선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중학교 유도선수들의 체급에 따라 경량급, 중량급 모두 뼈 상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골수염이 중량급보다 경량급선수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뼈타박이 경량급보다 중량급이 높게 나타났다. 근육타박과 근육좌상은 경량급선수가 많았으며, 중량급선수의 경우는 관절상해가 많았다. 피부상해는 경량급, 중량급 모두 상해 경험 없다가 높았으며, 경량급이 열창과 절창이 중량급보다 많았다. 신경상해는 상해경험 없다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체급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중학교 유도선수들의 경력에 따른 운동상해 종류에서는 경력 집단 모두 뼈와 관절 순으로 상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미만 경력 집단은 모든 종류의 상해에서 낮은 발생 빈도를 나타났다. 1년 이상~2년 미만 경력 집단은 근과 건 상해와 관절상해 높게 나타났으며 피부상해, 뼈상해, 신경상해 종류는 낮게 나타났다. 2년 이상~3년 미만 경력 집단은 뼈와 관절상해가 높게 나타났으며 신경상해, 피부상해, 근과 건 상해종류는 낮게 나타났다. 3년 이상 경력 집단은 뼈상해와 근 과건 상해가 높게 나타났으며 피부상해, 신경상해, 관절상해 종류는 낮게 나타났으며 경력에 따른 상해종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differences in sports injuries described in previous studies and to get basic materials to prevent and manage injuries, to help them to rehabilitate from the injuries and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by classifying the types of sports injuries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Judo players, identifying the causes and analyzing their injuries. A survey was performed on middle school Judo players in Korea and 157 copies of the answer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program and verified via χ2(Chi‐square) test. When the parts and types of injuries according to sex, weight class and experience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in the parts of injuries by sex, female players had more injuries in neck, face and forehead among head part and chest and waist in body part than male players. In arms, male students had more injuries in shoulder and female players had more injuries in elbows. In leg injuries, male students had more injuries in kne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in the types of injuries according to weight class, both classes such as light weight and heavy weight showed the most injuries in bones. Light weight players had muscle and tendon related injuries, while heavy weight players had more injuries in joints than light weight play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ird, in types of sports injuries according to experiences, all four groups showed more injuries in the order of bone and join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ypes of bone injuries according to experiences of the players.

      • 유도선수와 성악전공자의 체력, 폐기능 및 복부지방분포도 비교분석

        성동훈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ed to find how importance of aerobic and anaaerobic exercises, proper breathing, and vocalization influence abdomen through pulmonary function test and CAT scanning to identify body strength, pulmonary function, abdomenal fat size of Judo players and male majors in vocal music. In comparative analyses of body strength, pulmonary function and abdomenal fat size, results from tests toward Judo players in their 20s with BMI higher than 125 (7), male vocal music majors (8), and control group (7) are as follows. Vocal music majo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than control group of grasping power (left) and Judo player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p<.05) than vocal music major group. Also Judo playe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than control group. In grasping power (right), Judo player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 difference (p<.05) than vocal music major group and control group. Group comparison in back strength showed that Judo player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p<.001) difference that vocal music major group and signigicantly higher (p<.01) than control group. Vocal music major group showed a significant (p<.01) differnece than control group. In group comparison of seated flexion, Judo player group showed a significant (p<.05) difference than control group. In group comparison of sit-ups, Judo playe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than vocal music major group and control group. In group comparison of long jump, Judo playe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an control group. In group comparison of WSR, Judo playe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1) than vocal music major group and control group. In group comparison of intestinal fat, Judo playe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an control group and in group comparison of subcutaneous fat, Judo playe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an vocal music major group and control group. In group comparison of muscle size, Judo playe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an vocal music major group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an vocal music major group and control group. However, in group comparisons of trunk extension backward, whole-body reaction (light and sound), waist and hips measurement, and VS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ulmonary function tests, there was no sifnigicant difference in group comparisons among FVC, FEV₁, FEV₁/FVC% , FEF, and FER 25~75% but there was a tendency of increase in numb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ist and hips measurement. Based on the results above, Judo player group and male vocal music major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 difference in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softness, power, etc. This is undertood that aerobic and anaaerobic training and performance influenced factors and while proper breathing and vocalization stimulated abdomen, which resulted in high values. Breathing exercise is thought to help in health promotion and abdomenal obesity prevention through effective body control, sound breathing and pos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exercise programs related to breathing according to abdomenal obesity size of Judo players and male vocal music majors as well as basic scientific data according to subject of obesity. 본 연구는 유도선수와 성악전공남성을 대상으로 체력, 폐기능 및 복부지방면적을 폐기능 검사와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유도선수와 성악전공남성의 유·무산소성 운동의 중요성과 바른 호흡 및 발성법이 복부에 어떠한 영향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체력, 폐기능 및 복부지방면적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BMI25이상인 20대 유도선수(7)와 성악전공남성(8), 대조군(7)의 대상자들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악력(좌)의 대조군보다 성악전공그룹이 유의하게(p<.001)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성악전공그룹보다 유도선수그룹이 유의하게(p<.05) 높게 나타났다. 또, 대조군보다 유도선수그룹이 유의하게(p<.001) 차이를 나타났다. 악력(우)에서는 유도선수그룹이 성악전공그룹과 대조군보다 유의하게(p<.05) 높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근력에서의 그룹간 비교는 유도선수그룹이 성악전공그룹보다 유의한(p<.001)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유도선수그룹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p<.01) 높게 나타났다. 성악전공그룹은 대조군보다 유의한(p<.01) 차이를 나타내었다. 좌전굴의 그룹간 비교에서 유도선수그룹이 대조군보다 유의한(p<.05) 차이를 나타내었다. 윗몸일으키기의 그룹간 비교에서 유도선수그룹이 성악전공그룹과 대조군보다도 유의한(p<.001) 차이를 나타내었다. 멀리뛰기의 그룹간 비교에서 유도선수그룹이 대조군보다 유의한(p<.05) 차이를 나타내었다. WSR의 그룹간 비교에서 유도선수그룹이 성악전공그룹과 대조군보다 유의한(p<.01)차이를 나타내었다. 내장지방의 그룹간 비교에서 유도선수그룹은 대조군보다 유의한(p<.05) 차이를 나타내었다고, 피하지방 그룹간 비교에서 유도선수그룹이 성악전공그룹과 대조군보다 유의한(p<.05) 차이를 나타내었다. 근육면적에서의 그룹간 비교는 유도선수그룹이 성악전공그룹보다 유의한(p<.05)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유도선수그룹이 성악전공그룹과 대조군보다 유의한(p<.05)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체후굴, 전신반응(빛, 소리), 허리둘레와 둔부둘레, VSR에서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폐기능 검사에서 FVC, FEV₁, FEV₁/FVC% , FEF, FER25~75% 그룹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치상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허리둘레와 둔부둘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대조군보다 유도선수와 성악전공남성이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등에서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유·무산소성 훈련과 경기력이 요인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바른 호흡 및 발성법이 복부에 자극어 주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며, 호흡훈련은 신체를 효율적으로 조절하며 바른 호흡과 자세를 통해 건강 증진 및 복부비만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유도선수와 성악전공남성의 복부비만면적에 따른 호흡과 관련된 운동프로그램개발과 비만 대상에 따른 과학적인 기초자료에 도움을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유도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이 자기조절동기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김잔디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이 자기조절동기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및 대학교에서 유도선수로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을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표본집단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s)을 이용하여 25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집된 25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19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실제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231명이다. 부호화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18.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전산처리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t-검증, 일원량변량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유도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이 자기조절동기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운동능력믿음, 자기조절동기 및 인지된 경기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운동능력믿음, 자기조절동기 및 인지된 경기력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능력믿음은 소속, 체급, 운동경력, 전국대회 입상경력, 종교에 따라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자기조절동기는 소속, 체급, 전국대회 입상경력에 따라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인지된 경기력은 소속, 국제대회 입상경력, 종교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도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이 자기조절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도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 중 실재믿음은 자기조절동기의 하위변인인 통제적 동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적 동기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도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 중 증가믿음은 자기조절동기의 하위변인인 통제적 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도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도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 중 실재믿음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변인인 경기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도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 중 증가믿음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변인인 경기수행과 경기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도선수들의 자기조절동기가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도선수들의 자기조절동기 중 통제적 동기는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변인인 경기수행과 경기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도선수들의 자기조절동기 중 자율적 동기는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변인인 경기수행과 경기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Judo players' performance ability belief on their self-control motiv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Thus, Judo player students in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sampled. A sample of 250 subjects was secur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of which 231 effective responses were analyzed. Coded data underwent electronic process using the Windows SPSS 18.0 Version statistical program.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herein included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iv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OVA,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us, the effects of the Judo players' performance ability belief on their self-control motiv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were analyzed, offering the conclusion below. First,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performance ability belief, self-control motiv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were examined, offering a partial difference. Specifically,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performance ability belief, self-control motiv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were partially different. The performance ability belief differed between groups of players according to the players' management entities, weight divisions, experience in exercise, experience in winning awards in nationwide competitions, and religion. The self-control motiv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differed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players' management entities, weight divisions, and experience in winning awards in nationwide competitions. Further, the perceived performa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differed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players' management entities, experience in winning awards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and religion. Second, the effects of Judo players' performance ability belief on their self-control motivation were examined, revealing that, of their performance ability belief factors, the real belief had negative effects on the self-control motivation which is the sub-variable of self-control motivation, while having positive effects on the autonomous motivation. Further, It was revealed that, of Judo players' performance ability belief factors, the increased belief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elf-control motivation which is the sub-variable of self-control motivation. Third, the effects of Judo players' performance ability belief on their perceived performance were examined, revealing that, of their performance ability belief factors, the real belief had positive effects on performance which is the sub-variable of perceived performance. Further, it was found that, of Judo players' performance ability belief factors, the increased belief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matches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perceived performance. Fourth, the effects of Judo players' self-control motivation on their perceived performance were examined, revealing that, of their self-control motivation, the self-control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matches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perceived performance. Further, of Judo players' self-control motivation factors, the autonomous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matches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perceived performance.

      • 유도선수의 여가 참여형태와 만족도에 관한 분석

        조방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현재 우리 나라 엘리트 유도선수들의 여가시간을 어떠한 방법으로 활용하는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중심으로 유도선수들의 여가활동에 대한 의식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유도선수들이 효율적인 여가시간을 가질 수 있고 여가와 훈련사이의 관계를 해석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 고. 대학교에 재학중인 유도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여가지각도, 참여정도, 여가경비, 여가제약, 여가동기, 선호여가형태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여가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조사대상의 성별, 교육정도, 운동경력, 월소득, 거주도시 별 특성에 따른 빈도분석 및 Chi-SquareTest, One-Way-ANOVA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여가만족도에 대한 심리적 요인, 휴식적 요인, 교육적 요인, 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 생리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One-Way-ANOVA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도선수들의 여가지각도에서는 교육정도와 월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 운동경력, 거주도시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2. 유도선수들의 여가 참여정도에서는 교육정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 운동경력, 월소득, 거주도시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3. 유도선수들의 선호여가형태에서는 성별, 교육정도, 월소득, 운동경력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거주도시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4. 유도선수들의 여가제약에서는 교육정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 운동경력, 월소득, 거주도시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5. 유도선수들의 월여가경비에서는 교육정도, 월소득, 운동경력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 거주도시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6. 유도선수들의 여가동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7. 유도선수들의 여가참여정도에 따라 여가만족도는 교육적 요인, 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8. 유도선수들의 선호여가형태에 따라 여가만족도는 교육적 요인과 생리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9. 유도선수들의 여가제약에 따라 여가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0. 유도선수들의 여가경비에 따라 여가만족도는 사회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1. 유도선수들의 여가동기에 따라 여가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courage judo players to have an effective leisure time and to increase leisure satisfaction through analyzing their leisure participation pattern and satisfaction. By identifying the barriers to effective leisure time and understanding key components to optimal satisfaction, the study proposes a way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leisure time and also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and leisure tim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is conducted from group of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judo players with questions of perception,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volved expense, limitations, motivation, and preferences toward leisure activities. These variables are used to quantify the degree of leisure satisfaction.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test, Chi-square test, and One-way ANOVA are executed on the basis of sex, degree of education, duration of career, monthly income, and the place of residence. Furthermore, the data is grouped into psychological factor, resting condition factor, educational factor, social factor, environmental factor, and physical factor to analyze the degree of leisure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grees of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in the leisure perception of Judo players,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career, and the place of residence.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grees of education in leisure participation Judo players,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career, monthly income, and the place of residence. 3.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degree of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career in preference pattern of leisure of Judo players,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ce of residence.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gree of education in leisure constraints of Judo players,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career, monthly income, and the place of residence. 5.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grees of education, monthly income, duration of career in expenses for leisure of Judo players,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and the place of residence. 6.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isure motive of Judo players. 7.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leisure participation of Judo players about leisure satisfaction on an educational factor, a social factor and an environmental factor. 8.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ferred patterns of Judo players about leisure satisfaction on an educational factor and a physiological factor. 9.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isure constrains of Judo players about leisure satisfaction. 10.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nses for leisure of Judo playersabout leisure satisfaction on a social factor. 11.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isure motives of Judo players about leisure satisfaction.

      • 대학유도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관계

        박소윤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 경상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유도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집락무선표집(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집 된 28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했거나 조사내용 일부가 누락된 19명의 자료를 제외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261명이다. 부호화된 자료는 Windows용 SPSS/PC 18.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신뢰도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이상에서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성별, 체급, 운동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대화, 믿음에서 여자 집단이 남자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체급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노하우에서 경량급과 중량급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기술지도에서 7-9년, 10년 이상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성별, 학년, 운동경력, 전국대회 입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통제적 동기에서 남자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통제적 동기에서 1학년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자율적 동기에서 4번 이상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전국대회 입상경력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자율적 동기에서 2-3번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교육성취의 차이는 학년, 운동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교육성취의 차이는 정의발달, 인지발달에서 1학년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에 따른 교육성취의 차이는 심동발달, 인지발달에서 7-9년 집단이 교육성취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대화, 믿음, 노하우는 자기조절 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격려는 자율적 동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교육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육성취의 정의발달에서는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대화, 믿음, 격려가 정적인 영향을 심동발달에서는 대화, 믿음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발달에서는 대화, 믿음, 노하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자기조절동기와 교육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육성취의 정의발달에서 자기조절동기의 통제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자율적 동기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동발달에서는 통제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발달에서는 통제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독립변인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이 매개변인인 자기조절동기와 종속변인인 교육성취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은 자신을 조절하는 동기를 높일 수 있으며, 더불어 교육성취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치-선수 간 상보적인 활동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보다 상생의 입장에서 지속적인 의사소통과 개인적 차원의 통제를 통해 긍정적인 운동경험을 영위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ir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education achievement. To achieve this goal, a sample group was selected from a pop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tive as judo athletes in universities in Gyeongsang and Gyeonggi area by employing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After excluding the data of 19 students among the sample of 280 respondents, who are believed to have answered rather unfaithfully or omitted some key answers, the data of 261 respondents was used in the actual analysis. The coded data was processed for compu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by employing SPSSWIN 18.0 Version for Window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employed for this study include: verification of confidenc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ir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education achievement by employing the said research method and process, are as shown below: First, There were some partial differences found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education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factors. To have a close look, the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sex, weight class and their career as an athle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depending on their sex was greater among female group than in a male group in terms of their conversation and trust. Th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depending on their weight class was greater among the light weight and heavy weight group in terms of their knowhow. Th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depending on their career as an athlete was greater among the group with 7-9 year career and another group with 10+ year career in terms of their technical training.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sex, school year, career as an athlete and prize-winning in national competitions.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sex was greater among male group in terms of their control motivati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school year was greater among the first year students in terms of their control motivati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the career as an athlete was greater among a group with more than 4 experiences in terms of their autonomous motivati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of prize-winning in national competitions was greater among a group with 2 to 3 winnings in terms of their autonomous motivation. Finally, the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school year and career as an athlete. The educational achievement was greater among the first year students in terms of their affective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 educational achievement depending on their career as an athlete was greater among the group with 7-9 year career in terms of their psychomotor and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shows that the conversation, trust and knowhow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whereas encouragemen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Third,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education achievement shows that the conversation, trust and encourage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ffective development whereas conversation and trus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sychomotor development. And the conversation, trust and knowhow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ognitive development. Fourth,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education achievement shows that the control motivation among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ffective development whereas the autonomous motiva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it. And the control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in terms of their psychomotor development. Finally, the control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ognitive development. Fifth, a look 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education achievement and education achievement show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self-control,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 a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show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can improve their self-regulated motivation as well as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a finding that shows how important the complementary activities between athletes and their coaches are. And they would be able to enjoy positive athletic experiences and improve upon them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individual control from a more complementary perspective.

      •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생활 및 운동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태훈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에 있어서 생활만족과 운동만족에 대해 실증적으로 연구·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 현재 대한체육회 가맹 대한유도회의 팀 및 선수 등록이 되어 있는 12개의 체육고등학교 유도팀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조사하였다. 전국의 체육고등학교 유도팀 중 유선집락표집방법을 이용하여 2000년~2001년 2년간 전국유도대회 단체전 입상경력이 3회 이상인 남자 3팀, 여자 3팀과 전국유도대회 단체전 입상을 하지 못한 남자 3팀, 여자 3팀의 체육고등학교 유도팀 남여 선수들 2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희귀분석(Regression Analysis)등의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생활만족은 학년과 운동경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운동만족은 운동경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생활만족은 배경변인에서 입상유무 (r=.211*), 학년(r=.212*), 운동경력(r=.268*)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성별(r=-.265*)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운동만족은 입상유무(r=.200*), 운동경력(r=.158*)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성별(r=.-336*)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배경변인 중 학년(β=.123)과 운동 경력(β=.217)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 만족에도 학년(β=-.102)과 운동경력(β=.200)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larify Life and Athletic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Highschool Judo Athletes, based on 12 Physical Education Highschool judo teams that are registered on Korean Judo Federation of Korean Sports Council in 2002. Among the Physical Education Highschool judo teams, 3 male teams and 3 female teams with winning experience over 3 times for 2 years, 2000-2001 and 3 male teams and 3 female teams without winning experience during the same period, and the responses of the 216 persons were applied to analyze actually. This study brings the follow conclusions by using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 -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etc. First, Lif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factors depends on school grades and athletic career significantly. Second, Athletic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factors depends on athletic career. Third, Lif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factors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in winning prize or not(r=.211 * ), school grades(r=.212 * ), and athletic career(r=.268 * ),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enders(r= =.265 * ). Also, athletic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factors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in winning prize or not(r=.200 *) and athletic career(r=.158 * ),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enders(r=.- 336 * ). Forth,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factors school grades (β =.123) and athletic career (β=.217)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former (β=.-102) and the latter (β =.200) on athletic satisfaction.

      •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진로 탐색

        이은주 한국체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6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진로 탐색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학교체육전공 이 은 주 본 연구는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진로탐색을 비교․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3년 기준 대한유도회에 정식 선수로 등록된 고등학교 유도선수 남자 788명 여자 262명중 남녀 각각100명 씩 총200명을 유층집락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으로 표집하여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0명이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빈도와 백분율의 기술통계(descriptive)와 교차분석(Chi-square)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진로탐색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성별에 따라 진로의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있다. 둘째,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경기력에 따라 진로의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있다. 셋째,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진로교육여부에 따라 진로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있다. 결론적으로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올바른 진로 결정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진로 교육 및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진로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함과 동시에 지도자들의 진로교육연수에 대한 부분도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