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극해, 58.4해구에 출현하는 남극이빨고기(Dissostichus mawsoni)의 위내용물 조성

        성기창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83

        남극해 58.4해구에서 출현하는 남극이빨고기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남극이빨고기 시료는 2016년 12월부터 2017년 3월까지 남극해 58.4해구의 수심 946-1,660 m에서 저연승(Bottom longline) 어법을 통해 채집하였다. 총 960개체의 남극이빨고기는 65-187 cm의 체장범위를 나타내었으며 공복인 개체는 330개체로 34.4%의 공복율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 남극이빨고기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Pisces)였으며 그 중 민태과(Macrouridae)의 Macrourus spp. 가 우점하였다. 남극이빨고기의 크기군별 위내용물 조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크기군에서 어류가 가장 우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류만을 대상으로 남극이빨고기의 크기군별 위내용물 조성을 분석한 결과, <100 cm 크기군에서는 남극빙어과(Channichthyidae) 어류가 가장 우점하였고 나머지 크기군들에서는 민태과 어류가 가장 우점하였다. 또한 남극이빨고기의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남극빙어과 어류와 남극암치과(Nototheniidae) 어류의 섭식은 감소하였지만 민태과 어류의 섭식은 증가하였다. 남극이빨고기의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개체당 평균 먹이생물의 중량(mW/ST)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개체당 평균 먹이생물의 개체수(mN/ST)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크기군 사이의 먹이생물 중복도를 전체 먹이생물 분류군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크기군들 사이의 먹이생물 중복도는 유의하게 중복되었다. 우점먹이생물인 어류만을 대상으로 먹이생물 중복도를 분석한 결과, <100 cm 크기군과 나머지 크기군들 사이의 먹이생물 중복도는 유의하게 중복되지 않았지만 <100 cm 크기군을 제외한 모든 크기군들 사이에서는 유의하게 중복되었다. 섭식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위내용물에 대해 도해적 방법을 사용하여 나타낸 결과, 전체 먹이생물 분류군을 대상으로 어류가 우측 상단에 위치해 있었으며 어류만을 대상으로 나타낸 결과, 민태과 어류가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우점 먹이생물이었으며 이번 연구에서 남극이빨고기는 섭식특화종(Specialist)으로 나타났다. The Dissostichus mawsoni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at the depths of 946-1,660 m in Area 58.4 from December 2016 to March 2017 to determine the trophic ecology of D. mawsoni in Area 58.4. In total, 960 D. mawsoni specimens ranging from 65-187 cm BL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in Area 58.4. Fishes were the most common prey item for D. mawsoni composed of 97.8% of IRI. Among the 9 fish families consumed by D. mawsoni, Macrourus spp. of Macrouridae was dominant taxa. The proportion of Macrouridae increased, as body size of D. mawsoni increased whereas the consumption of Channichthyidae and Nototheniidae decreased. The mean wet weight of prey per stomach (mW/ST, P<0.05)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ir body sizes whereas the mean number of prey per stomach (mN/ST, P>0.05)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iet overlap of total prey items was a significant among all size classes. Diet overlap of dominant prey item (Fishes)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he smallest size class(<100 cm) and the others. In this study, D. mawsoni were specialized feeders with fishes (Macrouridae) as their dominant prey.

      • 한국 동해에 출현하는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위내용물 조성

        박현솔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51

        2018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한국 동해에서 대형트롤, 오징어채낚기 어업을 통해 어획된 살오징어 1,048개체의 위내용물 조성과 영양단계를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살오징어는 13.6-31.1 cm의 외투장 범위를 보였으며, 공복인 개체는 352개체로 33.6%의 공복률을 나타냈다. 이번 연구에서 살오징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Pisces)였으며 그 외에, 두족류(Cephalopoda), 갑각류(Crustacea) 등을 섭식하였다. 살오징어 먹이생물의 영양단계는 1.00-3.20의 범위를 보였으며, 살오징어의 영양단계는 4.10의 값을 나타냈다. 살오징어의 크기군별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성장함에 따라 두족류의 섭식률이 감소하고 어류의 섭식률이 증가하였다. 또한 살오징어의 크기군간 먹이생물 중복도를 알아본 결과, <18.0 cm 크기군과 18.0-23.0 cm 크기군에서 0.50의 값으로 먹이생물이 유의하게 중복되지 않았다. 그러나 <18.0 cm 크기군과 ≥23.0 cm 크기군에서 0.66의 값을 나타냈으며, 18.0-23.0 cm 크기군과 ≥23.0 cm 크기군에서는 0.82의 값을 나타내 해당 크기군간 먹이생물이 유의하게 중복되었다. 살오징어의 성장에 따른 먹이 섭식 특성을 알아본 결과, 성장함에 따라 평균 먹이생물의 중량(mW/ST)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살오징어의 계절별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봄, 가을, 겨울에는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여름에는 두족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The diet composition of common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 was studied using 1,084 specimens collected through trawl and jigging from June 2018 to June 2020 in the East Sea of Korea. The mantle length (ML) of the collected individuals ranged from 13.6 to 31.1 cm. Todarodes pacificus is a carnivore. In the study area, T. pacificus was observed feeding mainly on fish and cephalopods, in addition to small quantities of crustaceans. The calculated trophic level value for T. pacificus was 4.10. Small individuals (ML, <18.0 cm) mainly fed on cephalopods, while intermediate (ML, 18.0–23.0 cm) and large (ML, ≥23.0 cm) individuals fed mainly on fish and occasionally on cephalopods. Overall, as the body size of T. pacificus increased, the mean weight of the consumed prey increased (one-way ANOVA, P<0.05). In the seasonal stomach content analysis of T. pacificus, the fish was the main prey items in spring, autumn and winter and cephalopods was the main prey items in summer.

      • 여수연안 산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섭식 생태

        정진호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7

        본 연구는 2009년 7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조업기간 중 매월 여수 개도, 대유, 심미, 안도, 연도, 월호 연안에서 각망, 자망, 통발을 이용하여 채집된 쥐노래미의 위내용물 분석을 통한 섭식생태 연구이다. 채집된 쥐노래미는 508개체로, 전장(Total length, TL)의 범위는 10.7~41.5 cm 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쥐노래미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게류로 그중에서 중간뿔물맞이게(Pugettia intermedia)가 가장 많이 섭식되었고, 은행게(Anatolikos japonicus), 물맞이게과(Majidae) 순으로 섭식되었다. 게류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단각류였다. 그중에서 바다대벌레과(Caprellidae)를 가장 많이 섭식되었으며, 옆새우과(Corophiidae), 안경옆새우과(Ampeliscidae) 순으로 섭식되었다.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Caridea)였으며, 꼬마새우과(Hippolytide), 짧은넓적뿔꼬마새우(Latreutes anoplonyx), 보리새우과(Panaeidae)순으로 섭식되었다. 그 다음으로 어류(Pisces)였으며, 그 외 다모류(Polychaeta), 복족류(Gastrapoda), 조개류(Bivalvia), 두족류(Cephalopoda), 등각류(Isopoda), 집게류(Anomura), 갯가재류(Stomatoopoda) 등도 섭식되었으나, 순위지수비(RI) 비율이 매우 낮았다. 따라서, 쥐노래미는 저서생물을 먹이생물로 섭식하는 저서동물 섭식 육식성 어종(bottom-feeding carnivorous)으로 밝혀졌다. 쥐노래미의 산란기 전후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미숙 기간에는 게류가 67.6%로 성숙 기간과 같이 가장 높았지만 성숙 기간 때는 55.7%로 낮아 졌으며, 단각류도 마찬가지로 미숙 기간에는 18.7%, 성숙 기간 때는 11.4%로 더 낮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반대로 새우류는 미숙 기간에서 4.7%, 성숙 기간에서는 19.3%로 높아 졌으며, 어류는 미숙 기간에서 6.0%, 성숙 기간에서는 6.3%, 두족류 또한 미숙 기간에서 1.3%, 성숙 기간에서는 7.1%로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조사기간 동안 월별 위내용물 조성 변화를 보면 게류가 2009년 9월에 가장 높았고, 단각류는 2010년 9월에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새우류가 2009년 11월에 가장 높았다. 계절에 따른 먹이조성 변화에서는 게류는 사계절 동안 모두 가장 중요한 먹이 생물 이였다. 성장에 따른 먹이조성변화를 보면, 크기가 작은 개체(<15 cm)들은 주로 단각류와 새우류를 섭취하였으나, 성장함에 따라 어류의 비율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쥐노래미는 성장함에 따라 큰 먹이생물로의 먹이 전환이 일어나는 것은 에너지를 최대화하기 위한 생존 전략으로 판단된다. Feeding habits of Hexagrammos otakii, were studied by using the stomach contents of 508 specimens collected between July 2009 to December 2010 in the Yeosu Gaedo, Daeyu, Sim-mi, Ando, Yeondo, Wolho. The size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10.7 to 41.5 cm in total length(TL). H. otakii consumes mainly Brachyura such as Pugettia intermedia, Anatolikos japonmicus and Majidae. The next are Amphipoda such as Caprellidae, Corophiidae and Ampeliscidae. The next are Caridea such as Hippolytide, Latrutes anoplonyx and Panaeidae. The next are Pisces and Polychaeta, Gastrapoda, Bivalvia, Cephalopoda, Isopoda, Anomura and Stomatopoda were minor preys. H. otakii was a bottom-feeding carnivore that consumed mainly various benthic invertebrates and fishes. Result of a gonadosomatic analysis of H. otakii stomach contents. Brachyura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immature gonadosomatic at 67.6%, but it lowed to 55.7% during maturity, and Amphipoda had the lowest percentage at 18.7% during maturity compared to 11.4% during maturity. Conversely, Caridea increased to 4.7% in immature and 19.3% in maturity, while pisces increased to 6.0% in immature and 6.3% in maturity, and Cephalopoda increased to 1.3% in immature and 7.1% in maturity. Brachyura was most highest RI(%) in September 2009. Amphipoda was most highest RI(%) in September 2010 and Caridea was most highest RI(%) in November 2009. Brachyura was most common prey during Winter, Spring, Summer and Autumn. Smaller individuals fed mainly Amphipoda and Caridea. The proportion of these prey organisms decrease with increasing fish size, and this decrease paralleled the increased consumption of fish. This food shift to larger prey organisms with increasing fish size seems to be one of survival strategies to maximize the net energy gains.

      • 한국 제주 연안에 출현하는 부세(Larimichthys crocea)의 식성

        박도연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16

        2021년 6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제주 연안에서 대형쌍끌이저인망으로 어획된 부세 816개체의 위내용물 조성, 크기군과 계절군에 따른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 섭식전략 및 크기군과 계절군간의 섭식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분석한 부세의 전장 범위는 19.8-57.4 cm였으며, 20.0-25.0 cm의 크기군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부세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57.5%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차지한 어류였으며, 다음으로는 난바다곤쟁이류와 새우류가 우점하였다. 부세의 크기군별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성장함에 따라 난바다곤쟁이류의 섭식비율은 감소하고 어류의 섭식비율은 증가하였다. 계절군별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 또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세의 동계와 춘계에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였으며, 하계에는 새우류, 추계에는 난바다곤쟁이류였로 나타났다. 크기군과 계절군간의 섭식관계를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부세는 크기군과 계절군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섭식전략의 경우, 부세는 섭식일반종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of analyzing 816 Larg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the range of total length was 19.8-57.4 cm. Using the IRI, Pisces were mainly prey component constituted 57.5%. Euphausiacea was the second largest prey component constituted 23.2%, followed by Macrura. The result of analysis in ontogenetic and seasonal changes significantly exhibited. Euphausiacea was the most dominant prey in the size group of <30.0 cm size group, and Pisces were the most dominant prey in the size group of ≥30.0 cm. Also the diets were different among seasons. In the case of representation of feeding pattern, Larimichthys crocea was generalist feeder. Permutational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PERMANOVA) revealed significant dietary differences by all factors (P<0.05).

      • 한국 여수 연안에 출현하는 참문어(Octopus vulgaris)의 위내용물 조성

        김호승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diet composition of Octopus vulgaris was studied using 392 specimens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20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Korea. The range of mantle length (ML) was 4.4-19.7 cm. The most important prey item in the diets of O. vulgaris was crustacea that constituted 44.4% in %RI (Ranking index). The second largest prey item was pisces (%RI = 27.6%) and cephalopoda (%RI = 21.5%) was the third largest prey item. The result of analysis in ontogenetic changes significantly exhibited among size classes (<8.0 cm, 8.0-10.0 cm, ≥10.0 cm). The proportion of crustacea decreased as increasing body size, whereas the consumption of pisces and cephalopoda increased gradually. The dietary compositio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eason. The mean weight of preys per stomach (mW/S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ize classes and season (One-way ANOVA, P<0.05). The average trophic level of O. vulgaris was 3.96±0.59.

      • 순천 상내리 갯골에 출현하는 농어(Lateolabrax japonicus) 치어의 위내용물 조성

        염시동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4

        During the study periods, total 143 individuals of Lateolabrax japonicus were collected. Body length (BL) range was 2.0-11.8 cm. Empty stomach occurred in 8.4%. The most abundant prey was copepods. Among copepods, Tigriopus japonicus was the most abundant prey appeared 9.8 in %IRI. Next important prey was shrimps and mysids. The results of analysis in ontogenetic changes, main prey of two small size classes (2.0-3.9 cm, 4.0-5.9 cm) were copepods. Thereafter, copepods percentage was decreased, but shrimps, mysids, fishes percentage was increased by increasing body length from 8.0 cm<siz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