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린이집 원장의 권한 위임 리더십이 보육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진주 중부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어린이집 원장의 권한 위임 리더십이 보육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부대학교 대학원 보건복지경영학과 이진주 지도교수: 김향미 어린이집 원장의 권한 위임 리더십이 진정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영향을 분석하고 어린이집 원장의 권한 위임 리더십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진정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 교사 410명의 서울과 경기(동탄, 안양, 안산, 의왕)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통계적 절차를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다음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영유아 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권한 위임 리더십과 이를 구성하는 요인은 어린이집 원장의 진성성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영유아 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권한 위임 리더십과 이를 구성하는 요인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영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권한 위임 리더십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원장의 진정성 요인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본 연구의 결과, 논의 및 결론에 기초한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정된 지역과 대상을 표집 하여 수행된 조사연구로서 연구의 결과를 전국적 현상으로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표집의 지역과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일반화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설정된 변인에 대한 연구대상의 인식을 기초로 각 변인간의 인과성을 논의하는데 주력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표집된 연구대상의 배경적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대상의 배경 변인에 따른 인식과 의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변량 분석이 동반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연구대상의 인식을 평균화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당사자인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리더십 요구사항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어린이집 원장에게 요구되는 리더십에 대한 요구도 조사가 정량적, 정성적 접근을 통해 구체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전형적인 양적 조사연구로서 정규곡선을 가정하여 표본 집단의 일반적 경향만을 객관화시켰기 때문에 당사자의 경험과 인식의 심층적 이해에 도달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연구 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한으로 현상학적 해석학에 기초한 다양한 질적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특히, 보육현장에 대한 대부분이 논의가 설문지 등을 이용한 양적 연구 일변도 라는 경험적 사실을 고려할 때, 질적 접근을 통한 관련 현상의 심층적 이해는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변수의 개발, 기존 연구에서 밝힌 인과관계의 본질적 매커니즘에 대한 이해 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주제어: 원장리더십. 권한 위임, 권한 부여, 진정성, 영유아 상호작용

      •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박미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교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그리고 교수창의 성은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교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과 경남 소재 민간, 법인 및 국공립, 그리고 직장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4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보육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문항과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측정도구, 교사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교수창의성 측정도구 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수거된 설문지 중 결측치를 제외한 총 45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주요 변수들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SPS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 4번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연령이 40대 이상인 집단에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을 높게 인식하고 교사의 임파먼트와 교수창의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은 대학교 졸업인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하여 교사 임파워먼트가 높았고, 교사 경력이 4∼9년 이상으로 경력이 많은 집단이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수창의성이 높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들을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교사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 중 자기결정성이 교수창의성을 예측하는 가장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원장의 이타적 소명, 교사의 의사결정, 원장의 조직의 청지기 정신, 그리고 교사의 연령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 임파워먼트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의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고, 이것이 최종적으로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원장이 적극적으로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하여 교사에게 임파워먼트 해야 함을 의미한다.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미래에 적합한 인재의 역량으로 창의성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해 분석한 연구로 의의가 있으며, 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원장 및 교사교육에 주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어린이집 교사가 인식한 원장리더십과 교사헌신의 관계 : 교사의 학습공동체 인식의 매개효과

        주재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가 인식한 원장리더십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의 학습공동체 인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인천·경기의 수도권 지역에서 재직 중인 어린이집 교사 372명과 그 밖의 기타 지역에서 재직 중인 어린이집 교사 33명으로 총 405명이다. 교사헌신을 측정하기 위해 노종희(2004)가 개발한 교직헌신 질문지를 심윤희(2007)가 영유아교사에 맞게 재구성한 교사헌신 평정척도를 사용하였고, 교사가 인식한 원장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미국 CLC(Covey leadership center)의 4Roles of leadership profile, Spreitizer(1995)의 척도, Bass와 Avolio(1992)의 척도인 MLQ-6S를 참고하여 이소희, 강경자, 김주아(2004)가 우리나라 유아교육 실정에 적합하도록 개발한 4RL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교사의 학습공동체 인식은 이석열(2018)의 연구에서 개발한 전문학습공동체 질문지(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Questionnaire: PLCQ)를 유아교육현장에 적합하게 재구성한 이윤주(2021)의 도구 문항을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측정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교사의 학습공동체 인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교사헌신은 교사의 학력, 경력,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 근무지역, 기관유형, 기관규모, 현 기관 근무 기간, 담당 학급 연령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는 교사의 연령을 제외한 교사 개인적 특성과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 따라 교사헌신 정도에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교사의 원장리더십은 근무지역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기관유형, 기관규모, 현 기관 근무, 담당 학급 연령,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교사의 학습공동체 인식은 학력, 기관유형, 현 기관 근무 기간, 담당 학급 연령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사의 연령, 경력, 근무지역, 기관규모.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는 교사의 내적 요인인 학력을 제외하면 대부분 교사가 속해 있는 기관 특성, 담당 학급 연령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서 교사의 학습공동체 인식이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교사의 원장리더십 전체와 하위요인인 방향설정, 한방향정렬, 임파워해주기, 모델링 그리고, 교사의 학습공동체 인식 전체와 하위요인 유아의 성장과 배움, 협력문화, 집단탐구, 실천과 지속적 개선 모두가 교사헌신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원장리더십과 교사헌신 간의 관계에서 교사의 학습공동체 인식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교사의 원장리더십이 교사헌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교사의 학습공동체 인식을 매개로 할 경우 교사헌신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가 원장리더십을 높게 평가할수록, 교사가 학습공동체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이로 인해 교사헌신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원장리더십은 교사의 학습공동체 인식을 매개로 교사헌신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교사헌신을 강화하기 위해 어린이집 내에서 교사가 원장리더십을 높게 인식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함과 동시에 교사의 학습공동체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동반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Perception of Learning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 leadership and teacher commitment as Perceived by childcare centers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5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all over the country. This study used the scale developed by Noh(2007) and adapted by Shim(2007) to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used to measure a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To measure the leader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this study included the 4Roles of leadership profile developed by the Covey leadership center(CLC) in the United States, the scale developed by Spreitizer(1995), and the MLQ-6S developed by Bass& Avolio(1992). which was Referring to the 4RL evaluation scale produced by Lee et al(2004) was used to suit the sit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For teachers' percep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this researcher modified and used the tool items of Lee(2021), who reconstructed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Questionnaire(PLCQ) developed in the study of Lee(2018) suitable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e or Dunnett T3 post-hoc test, Welch post-hoc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 In addition, the PROCESS macro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percep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performing bootstrapp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s: First, Teacher commit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eacher career, an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ge, working area, type of institution, size of institution, length of service at the current institution, and age of the class in charge. This means tha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excluding age and internal factors of teachers such a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munity affect teacher commitment. Teachers' principal 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working area,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eacher's age, academic background, teacher career, institution type, institution size, length of service at the current institution, age of the class in charge, an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munity. Teachers' percep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background, institution type, current institution working period, and age of the class in charg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on experience. This means that, except for academic background, which is an internal factor of a teacher, most of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is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to which the teacher belongs and the age of the class in charge.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s' principal leadership as a whole and sub-factors, direction setting, one-way alignment, empowerment, modeling, and the whole and sub-factors of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children's growth and learning, cooperative culture, group inquiry, practice and continuous improvement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itment. The influence on teacher commitment was found in the order of practice and continuous improvement, cooperative culture, and group inquiry, which are sub-factors of learning community awareness, and in the order of empowerment and direction setting, one-way alignment in the sub-factors of teacher's principal leadership.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percep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was verif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rincipal leadership and teacher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although teachers' principal leadership has a direct effect on teacher commitment, it has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 commitment if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learning community is used as a medium. Therefore, the higher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 principal leadership, the more positive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which means that the teacher's commitment increases. In conclusion, teachers' principal leadership influences teacher commitment through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Therefore, in order to strengthen teacher commitment, it is important to devise a way for teachers to have a high recognition of principal leadership in childcare centers, and to accompany teachers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원장 리더십 유형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송명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원장 리더십 유형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원장 리더십 유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원장 리더십 유형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원장 리더십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542명을 연구대상으로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원장 리더십 유형과 조직효과성 질문지를 통해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분석된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원장 리더십 유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민주형 리더십은 재직유형,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권위형 리더십은 재직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방임형 리더십은 연령, 성별, 재직유형,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조직효과성 하위요인 중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은 재직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조직적응은 재직유형과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셋째, 원장 리더십 유형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민주형 리더십에 관한 인식이 높을 때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 조직적응 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원장 리더십 유형은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민주형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 조직헌신, 조직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원장 리더십 유형과 조직효과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원장 리더십 유형에 따라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직효과성을 높여 보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한 원장 리더십 유형을 연구, 개발하여 원장의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박은경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teacher happiness, teacher-child interaction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teacher happiness, teacher-child interaction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Influence of teacher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n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 hope that thi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teachers and principal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Question 1.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teacher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age, education, career, institution type, class type)? Question 2. What are the relations between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teacher happin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Question 3. Does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the teacher happiness? Question 4. Does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0 daily-care center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acher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n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rom November 10, 2018 to December 9, 2018, and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0, 2018 to December 9, 2018, and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Yun Jung-mi, 2014), the teacher happiness(Yu Eun-sil, 2018), the teacher-child interaction(Lee Jung-suk, 2003)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researc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e and education teachers whe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age, education, career, institution type, class typ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reer, institutional type, and class typ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appiness between age, education, and caree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stitution type and class typ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child interaction between education, caree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institutional type, and class type. Secondly, the 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the teacher happiness is as follows.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the teacher happines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 better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the higher teacher happiness able to know. Teacher happiness was more evident with positive emotional leadership from the principal. The relation between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It was observed that interaction with child is well do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hows that the teacher happiness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have a significantly high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higher the teacher happiness, the better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ble to know. Thirdly,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s the teacher happiness. Teacher happiness increased as the principal showed good emotional leadership, and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cher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xternal happiness, inner happiness, and self-regulated happiness of the teacher. Finally,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ffects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better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the better teacher-child interaction able to know and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better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the better emotional interaction and linguistic interaction, behavioral interaction able to know and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emotional interaction and linguistic interaction, behavioral interaction. In summary,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n effect on the teacher's happiness and teacher- child interaction. Therefore,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eacher, which is expected to affect the teacher's happiness and quality inter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의 행복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의 차이와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의 행복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고,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봄으로써 유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사 지원과 교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원장 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이에 대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연령, 학력, 경력, 기관 유형, 담당 연령반)에 따른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의 행복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의 행복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4)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에 따른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예비조사를 거쳐 설문을 수정한 뒤, 330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11월 10일부터 2018년 12월 9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를 수집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원장의 감성리더십에 따른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3개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알아보기 위해 Goleman과 Cherniss(2001)가 제시한 감성역량척도를 최석기(2010)가 번안하고, 윤정미(2014)가 어린이집에 맞게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고,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알아보기 위해 Hills & Argyle(2002)의 옥스퍼드 행복척도(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OHQ)를 권석만(2011)이 번안하고 최영옥(2011)이 교사를 대상으로 타당화한 척도를 유은실(2018)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이정숙 (2003)의 상호작용 도구를 황문희(2013)가 유아교사가 맞게 수정 보완한 것을 본 연구자는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24.0을 사용해 분석하며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의 행복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Scheffé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인(연령, 학력, 경력, 기관 유형, 담당 연령반)에 따른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연령, 학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유아교사의 경력, 기관 유형, 담당 연령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교사의 행복감에서는 연령과 학력, 경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기관 유형, 담당 연령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는 학력과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 기관 유형, 담당 연령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행복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행복감 간에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여,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잘 발휘될수록 교사의 행복감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에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잘 발휘될수록 교사의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에는 유의미한 높은 정적 상관을 보여, 교사의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사-유아의 상호작용도 잘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잘 발휘될수록 교사의 행복감이 높아지며,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원장이 감성리더십을 잘 발휘할수록 교사의 외적 행복, 내적 행복, 자기조절 행복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외적 행복, 내적 행복, 자기조절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잘 발휘될수록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며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잘 발휘될수록 교사와 유아의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유아의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임을 알 수 있다.

      • CCTV 설치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원장리더십과 보육교사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김은미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69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들이 보육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CCTV설치에 대한 인식이 이들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 관계에서 원장의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조절변수로 투입하여 이들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있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검증을 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들은 원장의 올바른 리더십과 높은 직무만족도를 바탕으로 CCTV 설치에 대한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여 조직에 몰입할 수 있으며, 영유아들의 안전을 증진시키고 올바른 성장에 기여하도록 하여 아동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정보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 첫째, CCTV 설치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주효과 검증에서는 하위변인 중 아동아전 및 안심보육은 조직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지만 다른 하위변인인 교사 인권침해 및 과잉업무는 조직몰입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원장리더십의 하위변수인 감성적 리더십과 윤리적 리더십 모두 조직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셋째 직무만족도 하위변수 중 동료관계, 승진 및 보수 등 모든 하위변인인 조직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조절효과 검증에서 원장의 리더십은 CCTV 설치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의 하위변인인 아동 안전 및 안심보육, 그리고 다른 하위변인인 교사인권침해 및 과잉업무와 조직몰입도의 상관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섯째, 직무만족도의 하위변인인 동료관계 만족도, 승진보수 만족도는 CCTV 설치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조직몰입도와의 모든 상호작용항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CCTV installations affect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arrying out their childcare duties, based on which whether or not the principal’s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taken as controlling variables have any regulation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childcare teachers is to be verified. The study seeks to find its meaning in serving as the base data to improve child welfare by minimizing the adverse effect of installing CCTVs among childcare teachers through the principal’s appropriate leadership and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so that they are able to fully commit to their organization and contribute to promoting safety and healthy growth of infants. For this, a purposive quota sampling method has been used to sample subjects among all daycare centers in 16 Gus (boroughs) of Busan Metropolitan City. Specifically, 800 survey sheets have been distributed throughout different types of daycare centers, including 150 to national, 150 to corporate, 300 private, 200 to home daycare centers, among which 602 have been accepted to b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st to verify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CCTV installation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revealed that child assistance is the only variable among sub factors tha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both emotional leadership and ethical leadership as sub factors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have turned out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all sub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cluding overall job, colleagueship, and promotion and salary have been identifie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he test of verifying the regulation effect has confirmed that the principal’s leadership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regulation. Firth, when it comes to job satisfaction, all interaction terms except the teacher assistance interaction term have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regulation effect.

      •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교직적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현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교직적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기관유형, 담당연령, 결혼여부, 경력)에 따른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교직적성 및 조직몰입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적성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적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인천시에 위치한 국공립, 민간, 가정, 직장, 법인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직적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 교사가 직접 측정하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교사가 응답한 측정 설문지 320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서 권정해, 김판희(2014)가 개발한 원장 감성리더십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보육교사의 교직적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김혜경(2012)이 ‘보육교사 적성검사도구’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한 김경선(2016)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을 측정하기 위하여 Allen, Mayer(1990)가 개발하고 권순오(2001)가 번안한 척도를 수정 및 보완한 강지영(2009)의 조직몰입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른 감성리더십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연령에 따른 교직적성, 조직몰입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력에 따른 원장의 감성리더십, 조직몰입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보육교사의 교직적성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관유형에 따른 원장의 감성리더십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보육교사의 교직적성, 조직몰입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보육교사의 담당 연령에 따른 원장의 감성리더십, 조직몰입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교직적성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원장의 감성리더십, 조직몰입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교직적성 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에 따른 원장의 감성리더십, 조직몰입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교직적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교직적성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감성리더십과 교직적성 및 조직몰입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즉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높을수록 조직몰입 전체도 높음을 알 수 있고, 보육교사의 교직적성 전체가 높을수록 조직몰입 전체도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교직적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교직적성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서는 원장의 감성 리더십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교직적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보육기관 내 교사들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직적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구안하며, 지금까지의 보육 현장의 환경적, 제도적, 정책적 지원이 다소 미흡한 면이 크다. 앞으로는 보육의 질 향상의 주체자로서의 교사의 교직적성과 원장의 감성리더십 개선을 통해 문제점을 찾고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들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emotional leadership of directors and teaching aptitud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hildcare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do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emotional leadership of directors, teaching aptitud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ffer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age, education, institution type, age of children, marital status, career)? Second, how are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emotional leadership of directors, teaching aptitud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sociated with one another? Third, how do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emotional leadership of directors and teaching aptitude affect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350 childcare teachers at national/public, private, home-based, employer-supported, and corporate nurseries in Incheo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emotional leadership of directors and teaching aptitude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eachers, who were then asked to personally complete them. The data from a total of 320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scale developed by Gwon and Kim (2014) was used to measur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Kim's (2016) adaptation of the Childcare Teachers' Aptitude Inventory developed by Kim (2012) was used to measur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aptitude; and the inventory developed by Allen and Mayer (1990), translated by Gwon (2001), and adapted by Ghang (2009) was used to measure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leadership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 among the childcare teac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contra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aching aptitude or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ag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ffered significantly by education; in contra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aching aptitude by education.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differed significantly by institution type; in contra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aching aptitude or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institution typ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or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age of children; in contrast, teaching aptitude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 of childre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or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marital status; in contrast, teaching aptitude differed significantly by marital statu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or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career; in contrast, teaching aptitude differed significantly by career. Seco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care teachers' teaching aptitud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is, the higher level of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the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eneral; the higher level of childcare teachers' teaching aptitude in general, the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eneral. Thir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childcare teachers' teaching aptitud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for the relative impact of these factors,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followed by childcare teachers' teaching aptitude, had the strongest impac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ways of improving emotional leadership for directors and teaching aptitude with the aim of promo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eachers at childcare centers; environmental, institutional, and policy-based support has been somewhat insufficient in childcare practice. It is necessary to find out problems and seek solutions to them by promoting teaching aptitude for teachers responsible for raising the quality of childcare and by improving emotional leadership for director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Key words: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childcare teacher's teaching aptitude, organizational commitment

      • 보육교사의 그릿, 원장의 리더십과 교사역량의 관계

        김선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19

        보육교사 그릿, 원장의 리더십과 교사역량의 관계 김 선 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박 용 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그릿, 원장의 리더십과 교사역량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의 영유아 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 의 그릿, 원장의 리더십과 교사역량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역량 전체에 대해서는 원장의 리더십 중 권위형은 정적으로 방임형은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 그릿은 교사역량과 정 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역량의 하위변인 중 교 육적 자극제공에 대해서는 보육교사 그릿의 상황적응, 노력지속, 열정은 정적으 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역량의 하위변인 중 정서적 민감성에 대해서는 원장의 리더십 중 민주형, 방임형이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 그릿의 하위변인 중 상황적응, 노력지속, 열정 이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역량의 하위변인 중 유아 자율성 지원의 대해서는 보육교사 그릿의 상황적응, 노력지속은 정적으 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흥미유지는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역량의 하위변인 중 교직전문성에 대해서는 보육교사 그릿의 상황적응, 노력지속, 열정은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고, 흥미유지는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 합하면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보육기관의 환경적 측면에서 원장의 민주적리 더십이, 보육교사의 개인적 측면에서는 교사의 열정과 끈기를 의미하는 그릿이 교사역량에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원장이 리더십을 잘 발 휘하고 보육교사의 그릿이 긍정적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원장의 리더십 교육뿐 아니라 보육교사의 그릿 관련 자질 역량을 적극적으로 키우도록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원장의 리더십, 보육교사, 보육교사의 그릿, 교사역량

      •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협동적 조직문화가 교사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샘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9

        This research aims to look into how child care center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and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 care center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can influence teacher empowerment, thereby encourag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effective operation and forming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within child care center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381 child care teach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tools us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survey consisting of five question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general backgrounds of the subjects. Second, Cherniss & Goleman’s Emotional Intelligence Inventory (EII: 2001)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Yoon Jungmi (2014) based on each child care center’s situation was used in the research as to identify child care center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Third, as to look into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 care centers, Gruenert’s School Culture Survey (SCS: 1998)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Park Shinyoung (2011) was once again modified and complemented in this research tailored to individual child care centers. Finally, to analyze empowerment of child care teachers, Short & Rinehart’s School Participate Empowerment Scale (SPES: 1992)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Seo Myungsoon (2008) for kindergartens was once again modified and complemented in this research tailored to individual child care centers. The research procedure involves a survey conducted on 20 respondents in pilot survey and 381 respondents in main survey. As for research method, One-way ANOVA was conducted as to analyze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child care center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 empowerment based on teachers’ general backgrounds. Also, Duncan’s post verification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ct relationship among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 empowerment. Las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analyze the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as well as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s impact on teacher empowerment. The result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all groups by analyzing general backgrounds (ex. size of organization, job position, academic credentials, work history and hours) of child care teachers. Meanwhile, on the academic credential par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only in empowerment.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correlations in all the relationships among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 empowerment. Third, among sub-factors of emotional leadership, self-management and relationship management skills have impact on teacher empowerment by looking into how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and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can influence teacher empowerment. Moreover, among sub-factors of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cooperative leadership, specialty development, goal correspondence and learning partners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eacher empowerment. As a result, the research has identified child care center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and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can be an significant motivation for teachers to fully unleash their potential. Hopefully, this research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effective operation of child care centers and creating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be utilized as base data in the future for supporting child care centers and teachers.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어린이집의 협동적인 조직의 문화가 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어린이집 현장에서의 효율적인 운영과 긍정적인 조직문화 형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교사 38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5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알아보기 위하여 Cherniss와 Goleman(2001)의 감성역량척도(EII:Emotional Intelligence Inventory)를 윤정미(2014)가 어린이집 상황에 맞게 수정 ‧ 보완한 도구를 본 연구에 그대로 사용하였다. 셋째, 어린이집의 협동적 조직문화는 Gruenert(1998)의 학교문화검사(SCS:School culture survey)를 박신영(2011)이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한 것을 본 연구자가 어린이집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는 Short와 Rinehart(1992)의 학교환경 내의 임파워먼트 수준평가척도(SPES:School Participate Empowerment Scale)를 서명순(2008)이 유치원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것을 본 연구자가 어린이집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예비조사 20명, 본 조사 3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어린이집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원장의 감성리더십, 협동적 조직문화, 교사 임파워먼트 지각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Duncan 사후검증을 통하여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원장의 감성리더십, 협동적 조직문화, 교사 임파워먼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협동적 조직문화가 교사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일반적 배경(기관규모, 직위, 최종학력, 근무경력, 근무시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모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학력에서는 임파워먼트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협동적 조직문화, 어린이집 교사 임파워먼트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협동적 조직문화가 어린이집 교사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자기관리능력, 관계관리능력이 교사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협동적 조직문화의 하위요인 중 협동적리더십, 전문성개발, 목적일치성, 학습동반자가 교사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장의 감성적인 리더십과 협동적인 어린이집 문화가 교사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중요한 동기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이에 본 연구가 어린이집 현장에서의 효율적인 운영과 긍정적인 조직문화 형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어린이집과 교사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근무환경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다송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근무환경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 근무환경,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에 관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Goleman 등 (2002) 의 The Primal Leadership의 감성역량척도(ECI)를 바탕으로 한 박향주(2014)의 설문지를 박혜숙(2015)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근무환경은 박영희(2001)의 설문지를 토대로 최인숙(2014)이 수정·보완한 것에서 본 연구 목적에 부합하지 않은 하위요인을 삭제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이난숙(1992)과 윤홍주(1996)가 작성한 것을 토대로 강경석과 김영만(2006)이 수정·보완한 것을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수행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근무환경이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 중 결혼 여부, 학력,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직무수행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결혼 여부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학력과 근무기관 유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근무환경,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직무수행능력 간의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근무환경과 직무수행능력 간의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근무환경이 높을수록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주요 관심사인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근무환경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사의 총 경력과 원장의 감성리더십, 근무환경은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에는 교사의 총 경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원장의 감성리더십, 근무환경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근무환경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에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장은 감성리더십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리더십과 관련된 직무연수가 더욱 활성화 될 필요가 있으며, 어린이집 교사가 근무환경에 대해 교사와 영유아 보육을 위한 전문적인 공간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정부의 어린이집 환경 개선과 교사에 대한 복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influences of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work environments on job capabilit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93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nd the working environment, job skills,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were investigated. For assessment of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 scale enhanced by Park Hye Sook(2015) from a questionnaire made by Park Hyang Joo(2014) based on Emotional Competence Inventory of The Primal Leadership of Goleman et al. (2002) was used. Another scale for job capability was revised scale for this study from that of Kang Kyung Suk and Kim Young-man(2006) developed from scale written by Lee Nan Sook(1992) and Yoon Hong Joo(1996). To clarify differences in job capabilit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Pearson's probabilit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working environment on the teacher's job capabilit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s in job capabilities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ype of work among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teacher's job capability was examined. As a resul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job capability,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job capability.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the better working environment, the higher the teacher's capabili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working environment on the job capability of the teachers, it was verified that the total career,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the working environment affect the teacher's job cap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total career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job capability and followed by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working environme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working environment exert an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performance of the daycare center teachers, the director needs to be more active in job training related to leadership to demonstrate the competence of emotional leadership,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concrete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hild care environment and the welfare of the teacher so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feel that it is a professional space for teachers and child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