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배구선수의 사회적 지지가 운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재원 경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일반적으로 사람은 누구나 태어나면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외적인 자극에 부딪히고 살아가며 이러한 자극에 의해 신체적 혹은 심리적으로 긴장감과 불안감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지만 특히, 기록과 승패를 겨루는 운동선수에게는 더 많은 스트레스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중학교 배구 선수들의 사회적 지지와 운동 스트레스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운동선수들에게 운동 스트레스를 줄이고 선수활동의 바람직한 대처능력과 최적의 운동 환경을 조성하며 지속적인 선수생활 뿐만 아니라 지도자들의 선수관리에 있어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년 현재 경상북도 지역의 한국중ㆍ고배구연맹에 등록된 중학교 남녀 배구선수 70명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한 후,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의 내용은 일반적 특성에 관한 항목 4개 문항, 사회적 지지에 관한 항목 20개 문항, 운동 스트레스에 관한 항목 19개 문항으로 총 4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는 방문조사, Cronbach's ɑ값 산출, 안면타당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입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은 SPSSWIN VERSION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사후분석(scheffe),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사교적 지원, 도구적 지원, 정서적 지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인 학년, 가계소득, 선수경력, 입상경력이 사회적 지지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운동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환경관련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 팀 관련 스트레스, 수행관련 스트레스로 구성되었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인 학년, 가계소득, 선수경력, 입상경력이 운동 스트레스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운동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적 지지의 도구적 지원이 높을수록 환경관련 스트레스, 팀 관련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교적 지원이 높을수록 팀 관련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사회적 지지와 운동 스트레스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운동스트레스를 낮게 해주는 요인이라 볼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제공이 필요하며, 지도자들은 선수들의 개개인의 성향이나 생활특성을 파악하여 세심한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에어로빅체조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운동지속수행 및 운동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미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에어로빅체조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운동지속수행 및 운동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로빅체조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동스트레스, 운동지속수행, 운동중단의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에어로빅체조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운동지속수행 및 운동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3년 대한체조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에어로빅체조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13년 3월 27일-28일 개최되었던 제18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전국 에어로빅스대회에서 총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8부를 제외한 182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Versio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에어로빅체조선수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동스트레스, 운동지속수행, 운동중단의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운동스트레스는 남자, 일반부, 2년~4년집단과 6년이상의 경력을 가진 집단, 그리고 입상경험이 있는 집단이 스트레스가 높다. 운동지속수행은 대학부, 일반부 집단과, 4년~6년, 6년이상의 경력을 가진 집단, 그리고 입상경험이 있는 집단이 운동지속수행이 높다. 운동중단의도에서는 2년~4년경력의 집단과 입상경험이 없는 집단이 운동중단의도가 높다. 둘째, 에어로빅체조선수의 운동스트레스는 운동지속수행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는 운동지속 경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진로와 학업고민은 운동지속 가능성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에어로빅체조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는 운동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에어로빅체조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는 운동중단의도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대학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양하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학교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위해 2009년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되어 있고 제10회 전국대학축구대회에 참가한 56개팀 중 대학축구선수 39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묻는 6문항(학년, 선수경력, 수업참여시간, 훈련시간, 최고성적, 포지션), 운동스트레스 29문항과 학교생활태도 13문항 등 총 48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를 요인분석, T-test분석,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지었다. 1) 운동스트레스가 학교생활태도의 하위변인 수업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에서 시합스트레스(β=.147, p<.05) 요인은 수업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이 수업스트레스 요인에 갖는 전체 설명력의 비율을 보면, 운동스트레스 요인의 전체 변량 중 1.8%(R2=.01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운동스트레스가 학교생활태도의 하위변인 수업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에서 선배부당행동(β=.168, p<.01) 요인은 수업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불만(β=-.136, p<.05)요인은 수업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시합스트레스, 지도불만, 개인행동제한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이 교내인간관계 요인에 갖는 전체 설명력의 비율을 보면, 운동스트레스 요인의 전체 변량 중 3.6%(R2=.036)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운동스트레스가 학교생활태도의 하위변인 수업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에서 시합스트레스(β=.154, p<.05)요인은 통계적으로 학교생활필요성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선배부당행동, 지도불만, 개인행동제한, 기능불만요인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이 학교생활필요성 요인에 갖는 전체 설명력의 비율을 보면, 운동스트레스 요인의 전체 변량 중 3.2%(R2=.032)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had the necessity and the aim of eliminating the overall problems and stress and providing basic material needed trainee's stress solution and adaption to school life attitude through the opportunity to apply and utilize various study content obtained in the course of Soccer player by himself without feeling psychological burden by analyzing the effect on the stress solution and school life attitude adaption. As for the variables of this research, the gender, the grade, the period of training, daily duration of training and weekly frequency were set up as the background variables, which was trainee's individual characteristic. As the independent variable, namely the stress solution, the emotion management, the use of free time, the sociability, the self management, the health management were established. In terms of the school life, the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ordinary daily life attitude,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the friendly intercourse were set up.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influence of exercise stress on School Life. attitude of university soccer players and 395 samples collected from registered on KFA college soccer players selected as the population were subject to analyze. The inpu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program, and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stress solution and school life attitude executed the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fluence of exercise stress on school life attitude, factor of exercise stress influence plus(+) to factor of school life attitude(β=.147, p<.05). School stress as a factor of exercise stress showed 1.8%(R2=.018) explanation of all. 2) In the influence of exercise stress on factor of school life attitude, the match stress showed plus(+) influence on necessity of school life(β=-.136, p<.05). The necessity of school life showed 3.6%(R2=.036) explanation of all. 3) In the influence of exercise stress on factor of school life attitude, the match stress showed plus(+) influence on necessity of school life(β=.154, p<.05). The necessity of school life showed 3.2%(R2=.032) explanation of all.

      • 고교 볼링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의 관계

        김관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고등학교 볼링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동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의 차이를 규명하고, 운동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자료 수집은 판단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2010년 상반기에 개최되는 전국규모 볼링대회에 출전한 고등학교 남녀 볼링선수를 대상으로 총 250명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된 것으로 판단되는 22부를 제외한 총 228부의 자료를 SPSSWIN Ver 12.0을 이용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교 볼링선수들의 성과 학년에 따라 운동스트레스는 차이가 없었고, 운동경력에 따라서는 개인시간 제약 요인에서 2년 이하의 운동경력을 가진 선수들보다 2년 이상의 운동경력을 가진 선수들이 높았다. 둘째, 고교 볼링선수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미래계획 요인에서만 남자선수가 여자선수보다 높았고, 학년과 운동경력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고교 볼링선수들의 진로성숙은 성별, 학년 , 운동경력에서 모두 차이가 없었다. 넷째, 고교 볼링선수들의 목표선택에 기능 및 경기내용 불만은 긍정적인 영향을, 개인시간 제약과 진로고민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지도력 불만과 기능 및 경기내용 불만은 직업정보에 긍정적인 영향 미쳤다. 또한 문제해결에는 지도력 불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진로고민은 미래계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고교 볼링선수들의 결정성에 지도력불만과 기능 및 경기내용 불만은 긍정적인 영향을, 진로고민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개인시간 제약은 목적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확신성에는 지도력 불만은 확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진로고민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준비성에는 기능 및 경기내용 불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운동스트레스가 독립성을 예측하는 회귀모형은 적합하지 않았다. 여섯째, 고교 볼링선수들의 직업정보, 목표선택, 미래계획은 결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문제해결과 미래계획은 목적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직업정보와 미래계획은 확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준비성에는 직업정보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독립성을 예측하는 회귀모형은 적합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고교 볼링선수들의 성, 학년, 운동경력의 개인적 특성은 운동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그리고 진로성숙에는 크게 관여되지 않는 특성임을 알 수 있었고, 운동스트레스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을 예측하는데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도한 진로성숙을 예측하는데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도출된 결과는 운동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그리고 진로성숙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differences among exercise stress, self-efficacy on career choice, and career developmen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bowlers in high school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xercise stress on self-efficacy on career choice and career development.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samples of 250 male and female high school bowlers who participated in national scale bowling competition held in the first half of 2010 by using judgment sampling. Among collected data, 22 samples were excluded due to omissions of answer or lack of honesty, and so total 228 samples were analyzed through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tilizing SPSSWIN Ver 1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no difference in exercise stres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and bowlers who have more than 2 year long career answer that there are lots of elements of preventing private time more frequently than those who have less than 2 year long career. Secondly, male bowlers get higher points than female ones in terms of self-efficacy on career choice and future plan,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m according to grade and period of having career. Thirdly, career development shows no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gender, grade, and period of having career. Fourthly, dissatisfaction over function and one's play has a positive effect on goal setting of the bowlers while limitations on having private time and concerns over career negatively influence the goal setting. Moreover, discontent with leadership and one's play positively affects career information, and dissatisfaction about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solving problems while concerns over career have a negative effect on future plan. Fifthly, career choice of the bowlers is positively influenced by dissatisfaction over leadership and one's play and is negatively by concerns over career. Limitations on having private time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purpose. As for certainty, discontent over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and concerns over career have a negative one. When it comes to preparation, dissatisfaction over function and one's play has a negative effect. Moreover, the regression model that exercise stress predicts independence is not appropriate. Sixthly, career information, goal setting and future plan positively influence choice while solving problems and future plan negatively influence objectiveness. Furthermore, career information and future plan have a positive effect on certainty, and career information also has a positive one on preparation. The regression model that self-efficacy on career choice predicts the independence is not proper. Based on above results, this study finds out that individual features of gender, grade and period of having career of the bowlers are not closely related to exercise stress, self-efficacy on career choice, and career development, that exercise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redicting self-efficacy on career choice and career development, and that self-efficacy on career development partl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foretelling career development. Moreover, the results are discussed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on exercise stress, career development, self-efficacy on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development.

      • 대학운동선수들의 완벽주의성향이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

        오채윤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고의 수행을 이루고 경기력을 극대화 시키려는 목표는 선수와 지도자의 공통된 목표이다. 최고의 수행과 경기력은 신체적, 기술적, 사회적, 심리적 요인들이 조화를 이룰 때 폭발적인 수준으로 발휘될 수 있으며, 이 중 특히 선수들의 강인한 정신력은 최고의 경기성적을 내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대학운동선수들은 프로선수 및 직업운동선수로 성장하는 과정에 있으므로, 이들에게 있어서 운동수행의 중요한 요인인 정신력 중 완벽주의성향과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 몰입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료는 대학 운동선수 뿐 아니라 세계적인 수준으로 부상하는 대한민국 스포츠계의 더 큰 발전에 초석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운동선수들에게 있어서 완벽주의 성향과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 몰입의 관계를 규명하여 문헌적 기초자료 제공하는데 그 필요성 및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2011년 3월 1일 현재 대학연맹에 등록되어 있는 대학운동선수를 모집단으로, 경기지역 3개 지역을 선정한 후 330부를 유의표집방법을 통하여 설문조사 한 후 설문지를 완성하지 않았거나, 자료로서 가치가 없는 15부를 제외한 총315부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Hewitt & Flett(1991)이 개발하고 소영호, 정주혁(2010)이 번안하여 사용한 완벽주의성향 검사지를(MPS)를, 운동스트레스는 오윤경, 이강헌(2005)이 개발한 검사지를, 운동 몰입은 Scanlan과 Simons 등(1993)이 개발한 운동 몰입 설문지를 정용각(1997)이 재구성한 설문지를 각각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기법은 각 변인의 요인분석과, 설문지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여 하였으며, 빈도 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이다. 이러한 절차 및 연구방법을 통하여 대학운동선수들의 완벽주의성향과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 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완벽주의성향, 운동스트레스, 운동 몰입의 차이에서는 성별, 연령, 월 평균용돈, 운동경력, 개인종목 단체종목 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운동선수의 완벽주의성향과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대학운동선수의 타인지향완벽주의를 제외한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지향 완벽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대학운동선수의 완벽주의성향이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대학운동선수의 사회지향완벽주의성향과 타인지향완벽주의성향을 제외한 자기지향 완벽주의성향에 영향을 주었다. 넷째, 대학운동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진로고민을 제외한인지 몰입에서는 지도력불만과 개인시간 제약, 기능 몇 경기내용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rfectionism on exercise stress and exercise commitment of university athlete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315 university student athletes were selected from 3 universities in Gyenggi province.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s to solve problems of the stud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fectionism, exercise stress and exercise commitment in gender, age, sport career and exercise type(sport typ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influence of perfectionism on exercise stress of university athlete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influence of perfectionism on exercise commitment of university athletes. Forth, there was significant influence of exercise stress on dexercise commitment of university athletes.

      • 고등부씨름선수들의 운동상해 원인 및 상해처치가 운동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문환섭 서남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부씨름선수들의 운동상해 원인 및 상해처치가 운동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도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고등부 씨름선수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활용하여 총 325명의 표본을 추출, 이중 실제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317부이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기법은 빈도분석(Frequencies)과 교차분석(Cross Analysis)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신뢰도(reliability)분석,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교차분석(Chi Square),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운동상해 증상시기, 운동상해 원인, 운동상해 처치, 운동 스트레스에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운동상해 증상시기, 운동상해 원인, 운동상해 처치, 운동 스트레스에 상관관계분석은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상해 증상시기가 운동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넷째, 운동상해 원인(상해입은 원인)이 운동 스트레스(시합의 부담)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상해 처치(상해예방)가 운동 스트레스(선․후배사이 갈등)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mpact of the Exercise Stress of Exercise Injury Causes and Injury Treatment on High School Ssireum Athletes Leverage on verify the information is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these participants, National strong man Ssireum competitions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of the Ssireum high school players is a total 317 peop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8.0). Cross Analysis of the Frequencies of statistical techniques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hi Squar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according to human sociological traits, Exercise Injury Symptoms Period, Exercise Injury Causes, Exercise Injury Treatment, Exercise Stress had a higher significant differences. On grade according Exercise Injury Cause(leaders Cause) 1 grade in was higher. On grade according Exercise Stress(Injury concerns) 3 grade in was higher. The according of weigh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jury Symptoms Period, Exercise Injury Symptoms Period, Exercise Injury Causes, Exercise Injury Treatment, Exercise Stress. Exercise Stress(game burden) in according to the injured part(chest) 2 times was higher. Exercise Injury Symptoms Period(Injury period) in according to the injured part(back) more than 3 times was higher. Exercise Injury Treatment(Injury prevention) in according to the injured part(back) 0 times was higher. Exercise Injury Treatment(Injury after training) in according to the injured part(foot) 1 times was higher. Exercise Stress(fear of punishment) in according to the injured part(foot) 0 times was higher. Second, the Exercise Injury Symptoms Period, Exercise Injury Causes, Exercise Injury Treatment, Exercise Stress correlations are partially correlated, had respectively. Third, Exercise Injury Symptoms Period, the impact of the Exercise Stress was not. Fourth, the Exercise Stress in Exercise Injury Causes high affect. Exercise Injury Cause(Injury suffered Cause) high affect the Exercise Stress(the burden of game) the impac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0.05 Exercise Injury Cause(Injury suffered Cause) the Exercise Stress(the burden of game) a significant effect. Fifth, the Exercise Stress in Exercise Injury Treatment high affect. Exercise Injury Treatment(Injury prevention) high affect the Exercise Stress(seniors juniors between conflicts) the impac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0.05 Exercise Injury Treatment(Injury prevention) the Exercise Stress(seniors juniors between conflicts) a significant effect.

      •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가 운동몰입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장유경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운동 스트레스 경험에 의해 갖는 운동 몰입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운동상해와 스트레스를 줄여 경기력을 극대화 할 수 있고 향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대한댄스경기연맹과 한국프로댄스평의회(KDC)에 등록되어 있는 중·고·대학부·아마추어·프로페셔널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조사기간 2014년 10월 13일부터 31일까지 19일간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조사대상의 표집방법은 확률표집방법(Probability Sampling Methods)중 단순무선 표집방법(Simple Random Sampling)을 사용하여 200부의 설문지를 배부 후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한 후 180부의 설문지를 회수 하였다. 이중 응답내용이 조금이라도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20명의 자료를 제외한 16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이용 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s Program SPSS PC Version 18.0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스트레스 분석에서 성별에 따른 실패의 두려움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경기의 부담, 진로 및 진학, 상해우려에서는 남성과 여성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과 성별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모든 하위 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력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경기의 부담, 실패의 두려움, 진로 및 진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상해의 우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입상경력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경기의 부담, 실패의 두려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진로 및 진학, 상해의 우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상경험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모든 하위 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 몰입 분석에서 행위몰입에서 남성과 여성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인지몰입에서는 남성과 여성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운동 몰입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목에 따른 운동 몰입은 인지몰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행위몰입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력에 따른 운동 몰입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입상경력에 따른 운동 몰입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상경험에 따른 운동 몰입은 인지 몰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행위몰입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경기력 분석에서 성별에 따른 경기력은 남성과 여성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경기력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목에 따른 경기력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입상경력에 따른 경기력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상경험에 따른 경기력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운동스트레스가 운동 몰입의 하위요인과 경기력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기의 부담은 운동 몰입 및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운동 몰입 및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 및 진학걱정에 따른 운동 몰입 및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해우려에 따른 운동 몰입 및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 몰입이 경기력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몰입은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위몰입은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sources for maximizing and enhancing performance through reducing sport injuries and stress, by influence of exercise stress experiences of dance sports persons on sport flow and performance. For the study, sport persons who belong to middle school group, high school group, college group, amateur group and professional group registered in Korean Foundation of Dancesport and Korea Professional Dance Council in 2014 were chosen as population and for 19 days from October 13th to 31st, questionnaire sheets were distributed and recovered. For sampling method, simple random sampling was used among 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200 sheets were distributed requesting to reply in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then 180 sheets were recovered. Among them, except for 20 respondents' data which lacked in contents or reliability, 160 people's data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irst, in the exercise stress analysi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ar of failure depending on gender was higher in women than men but burden of performance, career and schooling and concern of injur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rnces between men and women. Exercise stress according to career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den of performance, fear of failure and career and schooling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rn of injuries. For exercise stress according to award experiences,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den of performance and fear of failure but did not show those in career and schooling and concern of injuries. Exercise according to injury experienc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elements. Second, in the analysis of sport flow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tion flow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 and women while perception flow did not show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Sport flow according to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factors. For sport flow according to career exercise,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Sport flow according to award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Sport flow according to injury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flow but not in action flow. Third, in the analysis of performa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formance according to ge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 and women. Performance according to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Performance according to gen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Performance according to award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Performance according to injury experiec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factors. Fourth, in influence of exercise stress on sub-elements of sport floe and performance, burden of performance had negative effects on all sub-elements of sport flow and performance and so did fear of failure, career and schooling and concern of injuries. Fifth, in the influence of sport flow on sub-elements of performance, perception flow had positive effects on all sub-elements and so did action flow.

      • 대학운동선수들의 진로장벽이 운동스트레스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종길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운동선수들의 진로장벽이 운동스트레스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자료 수집은 2023년 수도권 및 충청권 소재 4년재 대학의 운동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유의표집법을 활용하여 250명을 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sion 26.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운동선수들의 진로장벽의 하위요인인 자기명확성 부족, 직업정보 부족, 우유부단한 성격, 외적장애는 진로 불확실성 및 정보부족 스트레스에 정적 영향 미치며, 우유부단한 성격, 직업정보 부족은 경기 내용 및 기능불만 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외적장애, 필요성 인식부족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장애, 우유부단한 성격, 직업정보 부족은 진로고민 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필요성 인식 부족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운동선수들의 진로장벽의 하위요인인 외적장애는 실천적 노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우유부단한 성격은 부적 영향을 미치며, 도구구비 활동 진로준비행동과 정보수집 활동 진로준비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대학운동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경기 내용 및 기능불만은 실천적 노력 진로준비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경기 내용 및 기능불만은 도구구비 활동 진로준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진로 불확실성 및 정보부족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경기 내용 및 기능불만은 정보수집 활동 진로준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진로 불확실성 및 정보부족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운동선수들의 진로장벽이 운동스트레스 및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대학 스포츠 현장에서 대학운동선수들의 진로준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해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f university athletes on exercise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2023, athletes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 area were selected as populations, and 250 people were sampl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dow version 26.0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ack of self-clarity, lack of job information, indecisive personality, and external disabilities, which are lower factors in career barriers for university athletes, were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career uncertainty and information deficiency stress. While indecisive personality and lack of job inform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stress of competition content and functional dissatisfaction, external disabilities and lack of awareness of necessity have a negative effect. External disabilities, indecisive personalities, and lack of job inform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nxiety stress, while lack of awareness of necessity has a negative effect. Second, external disabilities, a subordinate factor in college athletes' career barri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practical efforts, while indecisive personality has an inappropriate effect, which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competition content and functional dissatisfaction, a subordinate factor of exercise stress among university athlet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practical effor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le career uncertainty and lack of inform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senting basic data necessary for college athletes' career preparation at university sports sites by providing information that career barriers of university athletes affect exercise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운동스트레스가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서준성 한국체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동스트레스와 운동지속의 차이를 규명하고,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운동스트레스와 운동지속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운동스트레스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전국의 특수학교, 장애인복지관, 장애인체육시설에서 보치아 활동보조중인 경기보조자와 전문체육 선수등록 되어있는 보치아선수의 경기보조자가 모집단이며 편의표본추출방법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개인적 특성, 운동스트레스, 운동지속에 관한 척도로, 설문조사는 대면설문조사와 인터넷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최종분석에는 불성실한 설문지 7부를 제외한 총154부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이를 토대로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3.0 Version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이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으며, 20~30대가 다른 연령층보다 가장 높았다. 또한 특수교사가 다른 직업군보다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이 높았으며 BC3종목이 BC1종목보다 높았다.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동지속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개인적특성에 따른 운동지속의 하위요인이 50대가 다른 연령층보다 높았으며, 보치아 경기보조경력이 높을수록 운동지속이 높았다. 또한 입상이 없는자보다 입상경력자의 운동지속의 하위요인이 높았으며, BC1종목보다 BC3종목의 운동지속의 하위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운동스트레스와 운동지속의 상관관계는 운동스트레스와 운동지속 하위요인간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검증한 결과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운동스트레스와 운동지속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셋째,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에 따라 운동지속의 하위요인이 정(+)적인 영향과 부(-)적인 영향이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운동스트레스가 운동지속에 유의한 큰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운동스트레스와 운동지속에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운동스트레스와 운동지속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으며 보치아 경기보조자의 운동스트레스가 운동지속에 유의한 큰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