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운동선수가 지각한 리더십 행동이 팀 응집력, 운동몰입,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명균 東新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에서 중·고등학교 운동선수가 지각한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이 팀 응집력, 운동 몰입,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Chelladuri의 다차원적 리더십 모형 이론을 바탕으로 팀 응집력, 운동 몰입, 운동만족도간에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은 중·고등학교 운동선수 844명의 설문으로 이루어졌으며 측정도구는 리더십, 팀 응집력, 운동 몰입 및 운동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방법은 변량분석,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각 변인간의 차이는 남자선수들이 여자선수들에 비해 리더십 행동 중 하위변인 즉 훈련지도, 민주행동, 사회적지지 행동요인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팀 응집력, 운동에 대한 몰입도, 운동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른 각 변인간의 차이는 연령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리더십 행동 중 하위 변인 즉 민주행동, 권위행동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팀 응집력에서 하위변인 중 환경만족, 사회승인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운동 경력에 따른 각 변인간의 차이는 운동경력이 3년 이하의 집단이 3년 이상 5년 이하인 집단과 5년 이상인 집단보다 리더십 행동 중 하위변인인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였다. 그러나 운동 몰입에서는 3년 이상 5년 이하인 집단이 3년 이하 집단과 5년 이상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만족도에서도 3년 이하 집단과 3년 이상 5년 이하인 집단이 5년 이상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운동종목에 따른 각 변인 간의 차이는 팀 응집력에서 하위변인인 개인 사회요인에서만 단체종목이 개인종목보다, 그리고 만족도는 환경만족에서 개인종목이 단체종목보다, 사회승인에서는 단체종목이 개인종목보다 높게 반응하였다. 다섯째, 입상경험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훈련지도, 사회지지, 민주행동에 대한 지각이 높고, 운동 몰입도 높으며, 운동만족도가 높다. 그러나 입상경험이 적은 집단은 권위적 행동에 대한 지각이 높다. 여섯째, 지각한 리더십 행동이 각 변인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팀 응집력에서는 훈련지도 사회지지 권위행동이, 운동 몰입에서는 훈련지도 피드백이, 운동 만족도에서는 권위행동이 유의한 차이로 영향을 받았다. 일곱째, 지도자의 훈련지도, 긍정적 피드백 행동이 선수의 운동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여덟째, 지도자의 권위적 행동이 선수의 운동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아홉째, 지각된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 운동 몰입, 운동만족도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따라서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이 운동선수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그러므로 스포츠 경기력 향상을 위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습득과 경기 전략에 대한 훈련에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이 선수들의 수행력과 운동만족도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선수들의 잠채력을 개발하여 기량을 충분히 발휘함으로써 경기력을 최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지도자의 역할이 크게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aches' leadership behavior by athletes and their psychological factors like the team cohesion, flow, and athletic satisfaction. The leadership behavior were based on the multi -dimensional action theory of Chelladurai(1978). The cause and effect among the variables are analyzed. 844 junior high and high school athletes were us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one way ANOV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the process and the data mentioned above show the followings: First, male athletes have better perception of training, democratic, and social support leadership than female athletes. Also males have higher team cohesion and deeper flow than females. Second, the group that consists of the elder athletes shows better conception of democratic and autocratic leadership, greater team cohesion, and better athletic satisfaction than younger athletes. Third, the group that consists of more experienced athletes shows higher conception of the social support leadership, lager satisfaction of the team, and flow than the group that has less experienced athletes. Fourth, the team sports show greater cohesion and better satisfaction in terms of social acceptance and satisfactory environment. Fifth, the findings also prove that the more experiences of winnings they have, the better conception of training, social support, democratic leadership and athletic satisfaction they show. And the group that has less experiences of winnings shows higher conception of autocratic leadership than the group experienced more winnings. Sixth, it is also found that the team cohesion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training, social support, and autocratic leadership. Seven, the sports concentration of the athletes get greater when the training leadership and positive feedback behavior of the coach are recognized by the athletes. Eighth, the autocratic leadership gives an impact on the self satisfaction. Ninth, there are relationships of the cause and effect among the leadership behaviors, team cohesion, and sports concentration. In conclusion, the behavior of the leader is a critical factor that influence to team members. To achieve a goal of a team and to raise group cohesion, flow and athletic satisfaction, coaches need to know how to employ the different leadership styles on the proper situations.

      • 생활체육 참가자의 감각추구성향이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홍정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감각추구성향이 운동몰입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의 생활체육 참가자로 1주일에 1회이상 규칙적으로 참가하고 있는 20대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최초 420부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나 수집된 자료 중 조사내용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볍한 자료 23부를 제외한 총 397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분석 목적에 따라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사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기술통계, 사후검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감각추구성향, 운동몰입, 생활만족의 차이에서 1) 성별에 따른 감각추구성향, 운동몰입, 생활만족의 차이에서는 탈제지,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그리고 생활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연령에 따른 감각추구성향, 운동몰입, 생활만족의 차이에서는 스릴과 모험추구, 탈제지, 인지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학력에 따른 감각추구성향, 운동몰입, 생활만족의 차이에서는 스릴과 모험추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소득수준에 따른 감각추구성향, 운동몰입, 생활만족의 차이에서는 스릴과 모험추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운동종목에 따른 감각추구성향, 운동몰입, 생활만족의 차이에서는 탈제지,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참가기간에 따른 감각추구성향, 운동몰입, 생활만족의 차이에서는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7) 참가빈도에 따른 감각추구성향, 운동몰입, 생활만족의 차이에서는 스릴과 모험추구, 경험추구 그리고 행위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8) 참가시간에 따른 감각추구성향, 운동몰입, 생활만족의 차이에서는 인지몰입, 행위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가자의 감각추구성향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1) 생활체육 참가자의 감각추구성향이 인지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경험추구가 인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생활체육 참가자의 감각추구성향이 행위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스릴과 모험추구, 경험추구가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 참가자의 감각추구성향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스릴과 모험추구, 경험추구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몰입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인지몰입이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scale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on sports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s based on previous study, 420 men and women over 20 years old who had participated in various leisure sports programs more than once a week regularly, selected from Seoul and Kyunggi province. Overall 39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sion 18.0 by the purposes of the analysis. The used method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s of these data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s in sensation seeking scale, sports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were that: 1) according to the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inhibition and cognition commitment, behavior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2) according to the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disinhibition and cognition commitment. 3)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4)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5) according to the fields of spor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inhibition, cognition commitment and behavior commitment. 6) according to the period of participat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on commitment and behavior commitment. 7)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t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and experience seeking and behavior commitment 8) according to the time of the participat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on commitment and behavior commitment. Second, the influence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Sensation seeking scale on sports commitment were that: 1) experience seeking influenced on cognition commitment significantly. 2)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and experience seeking influenced on behavior commitment significantly. Third, the influence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Sensation seeking scale on life satisfaction was that: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and experience seeking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Forth, the influence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sports commitment on life satisfaction was that: cognition commitment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 대학운동선수들의 완벽주의성향이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

        오채윤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고의 수행을 이루고 경기력을 극대화 시키려는 목표는 선수와 지도자의 공통된 목표이다. 최고의 수행과 경기력은 신체적, 기술적, 사회적, 심리적 요인들이 조화를 이룰 때 폭발적인 수준으로 발휘될 수 있으며, 이 중 특히 선수들의 강인한 정신력은 최고의 경기성적을 내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대학운동선수들은 프로선수 및 직업운동선수로 성장하는 과정에 있으므로, 이들에게 있어서 운동수행의 중요한 요인인 정신력 중 완벽주의성향과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 몰입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료는 대학 운동선수 뿐 아니라 세계적인 수준으로 부상하는 대한민국 스포츠계의 더 큰 발전에 초석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운동선수들에게 있어서 완벽주의 성향과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 몰입의 관계를 규명하여 문헌적 기초자료 제공하는데 그 필요성 및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2011년 3월 1일 현재 대학연맹에 등록되어 있는 대학운동선수를 모집단으로, 경기지역 3개 지역을 선정한 후 330부를 유의표집방법을 통하여 설문조사 한 후 설문지를 완성하지 않았거나, 자료로서 가치가 없는 15부를 제외한 총315부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Hewitt & Flett(1991)이 개발하고 소영호, 정주혁(2010)이 번안하여 사용한 완벽주의성향 검사지를(MPS)를, 운동스트레스는 오윤경, 이강헌(2005)이 개발한 검사지를, 운동 몰입은 Scanlan과 Simons 등(1993)이 개발한 운동 몰입 설문지를 정용각(1997)이 재구성한 설문지를 각각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기법은 각 변인의 요인분석과, 설문지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여 하였으며, 빈도 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이다. 이러한 절차 및 연구방법을 통하여 대학운동선수들의 완벽주의성향과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 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완벽주의성향, 운동스트레스, 운동 몰입의 차이에서는 성별, 연령, 월 평균용돈, 운동경력, 개인종목 단체종목 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운동선수의 완벽주의성향과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대학운동선수의 타인지향완벽주의를 제외한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지향 완벽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대학운동선수의 완벽주의성향이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대학운동선수의 사회지향완벽주의성향과 타인지향완벽주의성향을 제외한 자기지향 완벽주의성향에 영향을 주었다. 넷째, 대학운동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진로고민을 제외한인지 몰입에서는 지도력불만과 개인시간 제약, 기능 몇 경기내용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rfectionism on exercise stress and exercise commitment of university athlete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315 university student athletes were selected from 3 universities in Gyenggi province.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s to solve problems of the stud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fectionism, exercise stress and exercise commitment in gender, age, sport career and exercise type(sport typ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influence of perfectionism on exercise stress of university athlete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influence of perfectionism on exercise commitment of university athletes. Forth, there was significant influence of exercise stress on dexercise commitment of university athletes.

      • 대학생들의 사회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 운동 참여 동기와 스포츠 몰입의 관계

        성미경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여가 운동 참여는 그 동안 경제 발전과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여가 시간의 증대 및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와 고조된 일반 사람들의 건강 및 체력에 대한 관심에 힘입어 크게 발전하였다. 여가 운동은 일부 특정의 계층이나 사람만이 즐기는 전유물이 아니라, 일반 국민 누구나 향유 할 수 있는 대중 문화품목으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특히 대학생들의 여가 운동 참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사회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 운동 참여 동기와 그에 따른 스포츠 몰입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대학생들의 여가 운동 참여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조성해주고 합리적인 여가 운동 참여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을 위하여 대학생들의 사회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 운동 참여 동기와 스포츠 몰입의 관계를 구체적이고 포괄적으로 연구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2009년 6월 8일부터 12일까지 현재 경기도 S시 B지역을 소재로 하고 있는 2개 대학교 1 · 2 · 3 · 4학년에 다니고 있는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표집 하여 총 235명으로부터 회수된 자료(남학생 120명, 여학생 115)가 연구 목적에 따라 통계 처리 되었다. 검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배경변인으로는 성별, 학년, 월 여가비용 3문항, 참여 동기 하위 영역은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2문항, 스포츠 몰입 하위 영역으로는 운동 의존성, 운동 몰입, 운동 욕구 3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 하였다. 이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배포, 회수한 후 통계프로그램 15.0 Version을 활용하였으며,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5%로 하고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으로 차이검증 후 Scheffe의 사후검증을 통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분석하여 변인에 따른 여가 운동 참여 동기와 스포츠 몰입의 관계에 관하여 결과를 얻었다. 검사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인 성별, 학년, 월 여가비용에 따른 여가 운동 참여(내적 동기, 외적 동기)의 차이분석에서는 성별(5%수준), 학년(5%수준), 월 여가비용(0.1%수준)이 내적 동기에서 유의 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외적 동기는 성별(5%수준), 학년(0.1%수준), 월 여가비용(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배경변인인 성별, 학년, 월 여가비용에 따른 스포츠 몰입(운동 의존성, 운동 몰입, 운동 욕구)의 차이분석에서는 성별, 학년, 월 여가비용이 5%수준으로 운동 의존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또한 운동 몰입에서도 성별, 학년, 월 여가비용 모두 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 운동 욕구에서는 성별(0.1%수준), 학년(01.%수준), 월 여가비용(0.1%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 운동 참여 동기가 스포츠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결과는 여가 운동 참여 동기(내적 동기, 외적 동기)가 스포츠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적 동기가 외적 동기보다 스포츠 몰입(운동 의존성, 운동 몰입, 운동 욕구)에 미치는 영향력이 모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Korean people'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has been significantly enhanced due to their increased interests in health and body, change of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increased time of leisure time as well as economic development and higher standard of living. Leisure activities are not exclusive properties of people who belong to specific classes, but instead they have been developed as a cultural product that every member of the country can enjoy and this trend makes th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increases steadily. This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and their commitment to sports according to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specifically and comprehensively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and their commitment to sports according to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ctively build a culture of participating in sports and develop and distribute programs for proper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For this purpose, freshmen, sophomores, juniors and seniors at two universities in B area, S city,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sample by a researcher from June 8th to June 12th, 2009, and the data collected from 235 students(120 males, 115 females)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e survey was used as a tool, background variables included 3 items, which are gender, school year and monthly leisure costs, sub-areas of motivation were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sub-areas of sport commitment consisted of 3 items, exercise dependency,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needs. After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SPSS version 15.0 was utilized setting significant level at the 5% level for the test, th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as a difference test, and then Scheffe post-hoc tests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Also, the result of 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and the sport commitment according to the variables was obta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research data is as below. First, the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stud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gender, school year and monthly leisure costs,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rinsic motivation with respect to gender(app. 5%), school year(app. 5%) and monthly leisure costs(app. 0.1%), and in extrinsic motivation with respect to gender(app. 5%), school year(app. 0.1%) and monthly leisure costs(app. 5%). Second, the analysis of difference of sport commitment(exercise dependency, exercise commitment, exercise need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which are gender, school year and monthly leisure cos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exercise dependency with respect to gender, school year, and monthly leisure costs, which was less than 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ercise commitment with respect to gender, school year, and monthly leisure costs, which was less than 5%. Lastly, the result showed gender(0.1% level), school year(0.1% level) and monthly leisure costs(0.1% level) regarding exercise needs. Third, the result which intended to examine if the stude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affect the sport commitment showed that their motivation(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to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ffect their sport commitment, and that intrinsic motivation predominantly affects the sport commitment (exercise dependency, exercise commitment, exercise needs) than extrinsic motivation does.

      • 학교운동부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과 학생선수의 마인드셋, 운동몰입,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

        장지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생선수가 운동을 지속해서 수행해 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학교운동부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과 학생선수의 마인드셋, 운동몰입, 운동지속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학교운동부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과 학생선수의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 표본추출방법 중 편의 표본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광주·전라도 지역 325명, 부산·대구·경상도 지역 170명, 기타 지역 45명 총 540명의 중·고등학교 학생선수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결측치가 나타나지 않았고, 최종 540명의 자료 모두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AMO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부트스트래핑 분석(bootstrapping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은 학생선수의 성장 마인드셋, 운동몰입, 운동지속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고정 마인드셋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의 하위요인 5가지 중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피드백 행동은 학생선수의 성장 마인드셋, 운동몰입, 운동지속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지도자의 권위적 행동은 학생선수의 고정 마인드셋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학생선수의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은 운동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각각 비교해본 결과, 고정 마인드셋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낮은 반면 성장 마인드셋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높았으며, 고정 마인드셋보다 성장 마인드셋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셋째, 학생선수의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은 운동지속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력을 각각 비교해본 결과, 고정 마인드셋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낮고 성장 마인드셋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력은 높았으며, 고정 마인드셋보다 성장 마인드셋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넷째, 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과 학생선수의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이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이 성장 마인드셋을 매개로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학교운동부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유형과 학생선수의 성장 마인드셋은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과거 지도자의 리더십은 대개 선수를 조력하기 위한 지지보다 권력을 앞세워 팀을 진두지휘하는 독선적인 카리스마의 모습을 나타냈다. 하지만 이제는 무엇보다 선수의 입장을 우선시 하고, 이들의 생각을 존중하며, 격려와 칭찬을 수반한 리더십 행동이 필요할 때이다. 이를 통해 학생선수는 자신의 능력을 노력으로 얼마든지 변화시킬 수 있다는 신념이 강해지고, 결국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을 높이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나아가 학생선수의 성장 마인드셋은 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과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을 매개하는 심리적 변인이므로 성장 마인드셋을 높일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리더십 행동 파악과 더불어 체계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운동 상황에 적합한 성장 마인드셋 프로그램 제공을 위해 다양한 접근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확장적 연구를 기반으로 학생선수들이 운동을 중단하게 되는 사태에 대해 효과적인 해결방안과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여자농구선수의 운동 상해 시 심리적 반응에 따른 코칭 유형과 운동 몰입의 관계

        곽주영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운동선수들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포츠 과학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운동방법과 관리방법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경기력 향상을 위해 무리한 훈련을 강요함으로써 신체 상해 위험도 그만큼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수들의 운동 상해 시의 심리적 반응과 코칭 유형 및 운동 몰입에 관련된 원인과 이에 따른 대처방법을 찾아 경기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문제임을 인지하여 여자 농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운동 상해 시의 심리 반응은 코치 유형에 따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이들 요인들은 운동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규명하여 선수의 심리적 반응을 이해하고 지도자들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독립변인으로 운동 상해 시의 심리적 반응, 매개변인으로 코칭 유형, 종속변인으로 운동 몰입을 설정하였고, 이러한 설정에 따라 여자농구선수 212명을 연구대상 표본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자농구선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코칭 유형의 차이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 소속선수에 따른 코칭 유형의 분석결과, 강압지도와 배려지도에서 프로선수가 대학선수와 실업선수보다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1), 연령에 따른 코칭 유형의 분석결과에서는 연령이 많은 선수가 연령이 낮은 선수들보다 영향이 높게 나타났다(p<.01). 일반적 특성(선수경력, 부상빈도, 부상시의 대처행동, 부상부위, 치료기간)에 따른 코칭 유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여자농구선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 몰입의 차이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여자농구선수의 운동 상해 시 심리적 반응이 코칭 유형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운동 상해 시 심리적 반응의 하위변인(도피감/좌절감, 지도자부담감, 장래/시합 걱정, 경기력 저하 불안감, 운동욕구)에서 코칭 유형의 하위변인(강압지도, 배려지도, 무관심지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셋째, 여자농구선수의 운동 상해 시 심리적 반응에 따른 코칭 유형의 모든 하위변인(강압지도, 배려지도, 무관심지도)은 운동 몰입의 모든 하위변인(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자농구선수의 운동 상해 시 심리적 반응의 모든 하위변인(도피감/좌절감, 지도자부담감, 장래/시합 걱정, 경기력 저하 불안감, 운동욕구)에서는 운동 몰입(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의 모든 하위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농구선수의 운동 상해 시 심리적 반응은 지도자의 코칭 유형(강압지도, 배려지도, 무관심지도, 훈련지도)에 따라 선수들은 심리적(도피감, 좌절감, 지도자부담감, 장래와 시합에 대한 걱정)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상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와 중도탈퇴, 경기력 저하요인들을 방지하기 위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지도방법 도입을 위한 노력을 간구하여야 할 것이며, 이러한 노력들은 차후 선수들의 소속감과 지도자에 대한 상호작용, 신뢰, 믿음을 바탕으로 농구에 대한 열정과 운동 몰입에 큰 변화를 가져와 경기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운동선수의 저변확대와 운동지속의사, 운동만족도 등을 높이는 원동력이 되어 한국여자농구의 발전을 도모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improve the athletic performance of the athlete. the interest about sports science has been increasing and the improvement of effective workout method and management method have been progressing. However, under the pressure of excessive training to improve the athletic performance, the danger of the physical injury has been increased as followed. Therefore, in this study, by finding out the cause of mental responses when athletes got sports injury, coaching styles and exercise immersion and the following managing measures. it will recognize enhancing the athletic performance as the crucial matter. Through this process targeting the women basketball players, figuring out how mental responses caused by sports injury are related to the types of the coach an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on the sports immersi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ental response of the players and help the instructor by providing the foundational data.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it sets the mental response caused by sports injury as independence variables, the type of coaching as mediator variable and sports immersion as dependence variables. Followed by this setting, 212 women basketball players conducted the survey as the subject of study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varianc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and finally the conclusion are drawn with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of all, significant difference partially appeared on the difference of the coaching types followed by the general feature of the women basketball player. As a result of the coach type followed by affiliated athlete among general features, in coercing guidance and consideration guidance, professional player got more influence than university player and semi-professional player. On the analytical result about the coaching type regarding the age, the older age group got more influence than the younger age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coaching type appeared on general features(player career, frequency of the injury, disposal behavior when injured, injured part of the body, treatment period). Also, in difference of sports immersion following the general feature of the women basketball player, every factor got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influence of coaching type about the mental response when women basketball players got sports injury. When players got sports injury, in lower factor of mental response(escape/frustration, pressure of instructor, worry about future/game, anxiety about decline of athletic performance, exercise desire), the lower factor of coaching type(coercing instruction, consideration instruction, indifference instruction) got significant influence partially. Thirdly, every lower factor(coercing instruction, consideration instruction, indifference instruction) by coach type followed by mental response when women basketball player got exercise injury does not influence significant influence statistically on every lower factor(perceptional immersion, behavioral immersion) of sports immersion. Fourthly, in every lower factor(escape/frustration, pressure of instructor, worry about future/game, anxiety about decline of athletic performance, exercise desire) of mental response when women basketball players got sports injury, no significant influence statistically appeared on every lower factor of sports immersion(perceptional immersion, behavioral immersion). Combined with the above conclusions, when basketball players got sports injury, the mental responses got large influence on the coaching type of the instructor mentally.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o prevent the stress caused by injuries, with drawl in the midway, the cause of athletic performance decline, the effort for the introducing the positive and active instructing method must be adopted. These endeavors would later bring big difference on passion and sports immersion about basketball based on the belongings of the player, interactions about instructor, trust, faith and improve the athletic performance. Plus, it will be the driving force of enhancing the player of the enlargement of base, sports continuance intention, sports satisfaction and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Women Basketball.

      • 대학 운동선수들의 진로불안이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학운동선수는 대학에 진학 후 운동만 경험하는 환경 속에서 운동선수라는 역 할에만 집중하게 되어 현실적으로 진로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하지 못해 진로에 대한 정체성이 아직 확립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많은 선수가 진로불안을 겪 고 있다. 진로불안은 단순하게 졸업 후의 문제가 아닌 운동선수의 심적 불안으로 운동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운동몰입의 문제는 더 나아가 운동선수가 운동 을 지속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경쟁불안 측면이 아닌 운동선수가 느끼는 진로불안이 대학운동선수의 운동몰입과 더 나아가 운동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루어 볼 필요 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운동선수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 불안과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도에 대한 차이 검증을 통해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진로불안, 운동몰입, 운동지속의도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대학 운동선수의 진로불안이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 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가설은 첫째, 대학운동선수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진로불안, 운동몰입, 운동지속의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진로불안은 운동몰입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진로불안은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 다. 넷째, 운동몰입은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다 전국의 대학운동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편의표본추출방법을 통해 총 258 부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으로 판단된 5부를 제외한 후 총 253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해당 연구방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대학 운동선수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진로불안, 운동몰입, 운동지속의도를 분석한 결과 운동 종목에서만 유의한 차 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불안은 운동몰입 하위요인에 부분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불안은 운동지속의도 하위요인 에 부분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몰입은 운동지속 의도 하위요인에 부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fter entering college, college athletes focus on the role of an athlete in an environment where they experience only athletics, so they have not yet established a career identity because they have not thought much about their actual career, and many athletes suffer from career anxiety. career anxiety is not just a problem after graduation, but a psychological anxiety of athletes that can affect athletic sports flow. As the problem of athletic sports flow can affect athletes' intention to continue playing sports, it is necessary to address how athletes' career anxiety affects their athletic sports flow and their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rather than the competition anxiety aspect that has been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areer anxiety, sports flow, and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s among college athletes based o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Secon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anxiety on sports flow and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athletics in college athlete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Firs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career anxiety, sport flow, and sport continuance intention based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athletes. Second, career anxiety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ports flow. Third, career anxiety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Fourth, sports flow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A total of 25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college athletes across the country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after excluding five questionnaires that were deemed to be insincere, a total of 25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 and AMOS 22. The hypotheses were tes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career anxiety, sports flow, and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athletic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athlete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sports. Second, career anxiety had a partial negative effect on the sports flow subfactor. Third, career anxiety has a partial negative effect on the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subfactor. Fourth, sports flowt has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the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subfactor.

      •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승부근성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추수진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운동선수 중에서 특히 엘리트 집단인 대학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 성향이 승부근성 및 운동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힘으로써 경기력에 매우 중요한 심리적 요인 간에 관계를 규명하려한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 소재중인 운동부가 있는 3개의 대학교를 선정한 후, 2010년 9월 4일부터 10월 3일까지 현재 경기 출전을 목적으로 훈련을 하고 있는 주전선수 407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한 430부의 자료 중 425부를 회수하였으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로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18부를 제외한 총 407부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또한 유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의 유효 표본만을 코딩 작업 후, 분석 목적에 따라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사용된 분석기법은 각 변인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한 뒤 빈도분석, t-검정과 일원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취목표성향, 승부근성, 운동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대학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승부근성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승부근성, 운동몰입의 차이 중에서 1) 성별에 따른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승부근성, 운동몰입의 차이에서는 자아성향과 과제성향, 투혼과 자신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학년에 따른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승부근성, 운동몰입의 차이에서는 자아성향, 과제성향, 투혼, 자신감, 승부욕, 운동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운동종목에 따른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승부근성, 운동몰입의 차이에서는 과제성향, 투혼, 승부욕, 운동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운동경력에 따른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승부근성, 운동몰입의 차이에서는 과제성향과 승부근성 중 투혼과 승부욕, 운동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경기성적수준에 따른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승부근성, 운동몰입의 차이에서는 자아성향, 과제성향, 투혼과 운동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승부근성에 미치는 영향 중에서 1)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투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아성향과 과제성향이 투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아성향과, 과제성향이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승부욕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과제성향이 승부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아성향이과 과제성향이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운동선수의 승부근성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투혼과 승부욕이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sychological factors through analyzing how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ffect tenacity and sport commitment targeting top level university athletes. The data was from 407 main players. They belong to three universities in Gyenggi province and they are straining for a game. A total of 430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for this study however 5 questionnaires were not returned and 18 were insincerity. Overall 40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zing. Only valid samples were used from all the corrected data. And they were coded using Purposive Sampling and then were computeri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sion 18.0 by the purposes of the analysis. The first method of analysis wa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Secondly, T-test and one-way ANOVA method were used.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enacity and sport commitment after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influence of university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n tenacity and sport commitment are below. First, the results on the differences of university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enacity and sport commitment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that: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go orientation, task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fighting spirit and self- confidence by gender, statistically.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go orientation, task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fighting spirit, self- confidence, hatred to lose and sport commitment by grade.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ask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fighting spirit, hatred to lose and sport commitment by the types of sports, statistically.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ighting spirit, hatred to lose and sport commitment by the career of sports, statistically.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go orientation, task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fighting spirit and sport commitment by the level of sport performance, statistically. Second, the result on influence of university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n tenacity were that: 1) The ego orientation, task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had influence on fighting spirit significantly. 2) The orientation, task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had influence on self- confidence significantly. 3) Task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had influence on hatred to lose significantly. Third, the ego orientation and task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had influence on sport commitment. Forth, the fighting spirit and hatred to lose of tenacity had influence on sport commitment.

      • 생활체육동호인의 운동참여동기, 운동몰입경험,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관계 연구

        박재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Sports Club members‘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s flow experience, Self-Esteem and the Quality of life. Park, Jae-Sung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This research was aimed to suggest the fundamental data for enhancing sports club members' quality of life by setting a hypothesi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examine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with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o achieve the goal, data were collected from adults members residence in Seoul, belong to National Council of Sports for All. 4 districts(DongDaeMun, Nowon, DongJak, SongPa Gu)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400 samples were selected from soccer(140), basketball(130)and baseball(130) clubs. A survey tool's believability and validity secured through pilot study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sked to target samples. Data that draw through this analyzed using statistics program SPSS(ver 12.0) and AMOS 7.0,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that enforced χ2 test to search utilization population statistics, showed differences in frequency, period, type of participation by participants' age. Differences showed in club sports participation time, period and type by participants' academic background. Differences showed in club sports participation time, period and type by participants' marital status. Differences showed in club sports participation time, period and type by participants' income. Second, One-way ANOVA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 by sports participation frequency. The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skill development and achievement, enjoyment, health and fitness, external display by frequency of club sports participation. Skill development and achievement, enjoyment, external display, social intercourse, amotivation showed differences by time of club sports participation. Skill development and achievement, enjoyment, health and fitness, external display, social intercourse showed differences by period of club sports participation. Skill development and achievement, enjoyment, health and fitness, external display, social intercourse, amotivation showed differences by type of club sports participation. Skill development and achievement, enjoyment, health and fitness, external display, social intercourse, amotivation showed differences by attitude of club sports participation. Third, the result of covariance structures analysis to examine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flow experience, self-esteem, quality of life was as follows; 1.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 influences to sports flow experience directly(.742), to self-esteem(.876). 2. Quality of life influenced by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 indirectly(.746), by sports flow experience(.750), directly(.737)and indirectly(.012). 3. Self-esteem influences to Quality of life directly(.217). As the result, sports flow experience influences to club sports members' quality of life,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 influences directly to sports flow experience. Self-esteem influences to quality of life, influenced by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 directly. Sports flow experience and self-esteem influences directly to quality of life.

      • 중학생들의 운동몰입이 스포츠자신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영향

        남정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학생의 운동몰입이 스포츠자신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 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중 무작위로 선정하여 선정된 3개의 학교의 중학생 1학년 2학년 3학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표집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총 640부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내용이 부실한 80부를 제외한 560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가설은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몰입, 스포츠자신감,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8 버전을 이용하여 t-test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1-1 사회인구학적특성 (성별 학년 체육수업 외 활동) 운동몰입은 각 항목에 대해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의 차이가 있다고 나타나었다. 1-2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성별 학년 체육수업 외 활동) 스포츠 자신감은 각 항목에 대해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의 차이가 있다고 나타나었다. 1-3.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성별 학년 체육수업외 활동) 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나었다. 두 번째 가설을 운동몰입과 스포츠 자신감,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spss 18버전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및 희귀분석을 실시하였다. 2-1. 운동몰입과 스포츠 자신감의 관계는 운동몰입이 체육활동 참가자의 스포츠 자신감 하위요인(코치지도력, 사회적지지, 신체 정신적 준비, 능력입증)에 영향을 미치며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이 높으면 스포츠 자신감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2-2. 운동몰입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는 운동몰입이 높은 체육활동 참가자의 학교생활적응 하위요인(학습수행,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이 높으면 학교생활 적응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2-3. 스포츠 자신감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는 스포츠자신감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 교사적응, 학습수행, 학교규칙, 교우관계)에 대부분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나. 청소년을 대표하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대상으로 연구의 범위를 넓히는 것이 필요하며, 방과후스포츠활동을 통제하여 연구 결과를 일바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을 설문지 기법을 사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스포츠자신감, 학교생활적응에 관련된 모든 문항을 포함 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현 시대에 맞게 새로운 설문지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