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 요실금 교육 비디오프로그램 개발 : 골반근육운동을 중심으로

        박효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엔여성특별총회 에서는 2000년 6월, '21세기 성 평등 · 발전 · 평화'를 주제로 개최되었고 여성과 보건 문제로 재생산권과 성적권리를 이슈화하는 등 여성자신이 건강의 주체가 될 것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여성건강의 개념을 여성의 삶의 질에 초점을 맞추어가고 있으며, 여성 삶의 질의 척도로 여성건강을 생각할 때 남에게 쉽게 드러낼 수 없어 사회심리적인 문제로 삶의 질에 부정 적 인 영향을 끼치는 요실금이야말로 중요한 건강문제가 아닐 수 없다. WHO에서는 1992년에 세계의 건강관리사업으로 요실금을 선정한 이후 미국, 영국에서는 요실금의 진단과 치료비용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 또한 경제적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요실금은 전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60% 이상의 유병율을 보고하고 있으나 비뇨, 생식 기 계 질환이 라는 이유로 문제를 숨기 고 쉽게 병원을 찾지 못하고 혼자 고민하는 것으로 조사된다. 요실금의 치료로 골반근육운동은 높은 성공률을 보이고 있으며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의료비 절감 효과가 클 뿐만 아니라 비침습적인 가장 적절한 치료와 예방법이다. 그러나 현재 요실금 교육에 사용하는 비디오 프로그램은 난이도, 언어, 화면구성 등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골반근육운동 홍보를 위해 요실금과 골반근육운동을 내용으로 하여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반복 훈련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여성 요실금 예방 및 치료,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여성건강에 크게 이바지하고자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분석, 설계, 개발, 예비수행, 평가 및 수정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분석단계에서 주제선정, 기존의 국내외 요실금 비디오 분석, 교육대상자 요구도 조사 및 환경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설계단계 에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수정하며 이를 토대로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개발팀을 구성하고 컴퓨터 그래픽 제작, 촬영, 녹음, 편집이 이루어졌으며 예비 수행 단계에서는 개발된 여성 요실금 교육 비디오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비교육을 실시하고 학습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및 수정단계에서는 학습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형성평가 내용에 근거하여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여 재편집한 후 비디오 교육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특히 내용이 쉽고, 언어와 화면구성, 시간의 적절성과 흥미, 동기유발을 할 수 있는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비디오프로그램은 의료인을 잘 접할 수 없는 도서지역과 바이오피드백이나 전기자극요법, 수술과 약물요법을 받을 수 없는 저소득 여성들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집단교육 시에 이 비디오 프로그램을 이용한다면 개별교육보다 훨씬 많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지역사회 보건의료 교육기관을 통해 대중들에게 파급되어진다면 여성들이 미리 요실금을 예방할 수 있으며 요실금 관리와 관련된 비용을 국가경제적으로 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여성건강뿐만 아니라 국가의 건강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비디오 프로그램을 기초로 계속적인 수정과 보완을 통한 교육매체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본 비디오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골반근육운동의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대상자 연령수준, 지식수준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각 수준에 맞는 교육용 매체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여성 컴퓨터 사용 인구가 증가할 것을 대비하여 CD-ROM으로 개발하고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요실금에 대해 대상자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The fact that the Special Session of General Assembly entitled"Women 2000: gender equality, development and peac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which was held in June 2000, made an issue of the matter on reproductive right and sexual right related with women and public health among five pivotal assignments shows that interest in women's health is getting increased globally. Especially urinary incontinence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ters, because of its negative on the women's quality of life. Since WHO named it as the object of management for global health in 1992, expenditure on diagnosis and treatment for urinary incontinence has been on the rise in United Kingdom and USA. The situation in Korea is also expected as the same as these countries. Even though urinary incontinence is taken among all ages and reported at more than sixty percent, it is verified that most patients are worried about it by themselves because urinary incontinence is the urinary tract organs disease.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marks a successful result and has a strung point from viewpoint of social and economic parts. However, existed video programs had a lot of problems in the degree of difficulty, language, and the composition of the picture. So, new education program came to be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improve women's health, which arousing interest and motivation with the content of urinary incontinence and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This study was preceded as follows; analysis, planning,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revision. First of all, selection of subject,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view, analysis on existed audio-visual material and research of learners need were carried out on the stage of analysis. On the stage of planning, a scenario based on modification of content was made after establishing educational object. After organizing development team, during the stage of development, producing computer graphic, filming, recording, and editing were put into operation. Lastly, on the stage of evaluation and revision, pre-test was operated on a target of learners, and video educational programs was accomplished through revision and reediting by specialist. Most of all, newly developed program was focused on effectiveness with easy content, appropriateness of language and composition of the picture, and interest. This video program is especially for women who live in island where they cannot have medical treatment easily or cannot afford to have biofeedback treatment,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 surgical operation or medicinal therapy for their the lower income. If this program is used in group education, we can save much more expense than individual education. Furthermore, if it is spread public through acquaintances, relatives or neighbors, not only women can prevent themselves from urinary incontinence, but also national health will be improved. Suggest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 based on this video program should be made by continuous revision and reformation.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is needed with the application of this video program.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each subject,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s required for the each standards. Further effective management on subject are needed through producing CD-ROM or opening website on urinary incontinence, taking increase of using computer into consideration.

      • 재가 노인여성의 요실금정도, 일상생활불편감 및 삶의 질의 관계

        이민선 부산가톨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재가 노인여성의 요실금정도, 일상생활불편감 및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09년 10월 20일에서 11월 20일까지 서울, 부산 및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경로당, 복지관, 공원 및 요양병원 외래를 이용하는 재가 노인여성 2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요실금정도는 이영숙(1994)의 도구, 일상생활불편감은 김금순 등(1999)의 도구 및 삶의 질은 송효정(2001)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및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요실금관련 특성에서 ‘요실금 형태’는 복합성 요실금이 65.8%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절박성 요실금 17.6%, 복압성 요실금 16.6% 순으로 나타났고, ‘요실금의 지속기간’은 5년 미만이 55.3%, 5년 이상이 44.7%였으며, ‘요실금 치료 경험은 아니다가 66.2%로 많았다. 2. 요실금정도, 일상생활불편감 및 삶의 질 정도에서 요실금정도는 총 평균 1.98 ± 0.73점(범위 0-4점)으로 중등도 정도 이었으며, 일상생활블편감은 총 평균 2.96 ± 1.05점(범위 0-4점)으로 중등도 이상이었으며, 삶의 질은 총 평균 2.75 ± 0.95점(범위 0-4점)으로 중등도 이상이었다. 3. 요실금 정도, 일상생활불편감 및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삶의 질은 일상생활불편감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r=.675, p=.000)을 나타냈고, 요실금정도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r=.597 p=.000)을 나타냈고, 요실금정도는 일상생활불편감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r=.546 p=.000)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재가 노인여성의 요실금을 조기에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를 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daily life inconvenience, and quality of life for the home-dwelling elderly women. The subjects were 210 elderly women in the home-dwelling that are visiting senior hall, welfare house, park and eldercare hospital outpatient service located in the metro cities of Seoul, Busan and Ulsan from October 20 to November 20, 2009. The tools were LEE Young-Sook's scale(1994) for the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KIM Geum-Soon et al's scale(1999) for the daily life inconvenience and SONG Hyo-Jeong's scale(2001) for the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17.0 program by number,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for the characteristics related urinary incontinence, 'urinary incontinence types' were composed of mixed urinary incontinence 65.8%, the most, urge urinary incontinence 17.6% and stress urinary incontinence 16.6%, and 'urinary incontinence lasting periods' composed of less than 5 years 55.3% and 5 years or more 44.7%, while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experience' composed of 'no experience' 66.2%, the most. 2. As for the degree of each characteristics, the mean score of urinary incontinence was 1.98 ± 0.73 score (range :0-4 score), representing moderate degree; the mean score of daily life inconvenience was 2.96 ± 1.05 score (range : 0-4 score), representing moderate degree or higher;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2.75 ± 0.95 score (range : 0-4 score), representing moderate degree or higher 3. As for the correlation of each characteristics, the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aily life inconvenience (r=.675, p=.000),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r=.597, p=.000).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re the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and daily life inconvenience, the more the deterioration of quality of life. Thus the programs of urinary incontinence for the elderly women and family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 요실금 여성의 삶의 질과 자가간호역량

        정미자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긴장성 요실금 여성의 삶의 질과 자가간호역량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요실금 관리의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광주시와 순천시에 거주하는 기혼여성중 자녀가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긴장성 요실금이 있는 중년여성 103명을 대상으로, 1995년 12월 11일부터 12월 22일 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간접조사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긴장성 요실금에 대한 측정은 Hendrickson(1981)이 개발하고 이영숙(1993)이 수정보완한 요실금 측정도구를, 삶의 질에 대한 측정은 노유자(1988)가 개발한 자기보고식 삶의 질 측정 도구를, 자가간호역량 정도에 대한 측정은 Kearney and Fleischor(1979)가 개발한 Exercise of Self-Carlo Agency를 소향숙(1992)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요실금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산과적 특성 및 요실금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정도를 분석한 결과, 삶의 질의 범위는 1.85-4.34점, 평균점수는 3.04점이였고, 주관적인 건강상태(t=4.484, p<.0001), 질병(-1.689, p<.05), 소양증(t =-2.592, P<.05), 과거질염(t=-2.357, P<.05), 요실금 양(t=1.914, p<.05) 에 따른 삶의 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요실금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산과적 특성 및 요실금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역량 정도를 분석한 결과, 자가간호역량의 범위는 2.79∼5.53점, 평균점수 3.94점이였고, 질병 (t=-1.196, p<.05), 요실금 기간(t=2.056, 9<.05)에 따른 자가간호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요실금 여성의 삶의 질과 자가간호역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 .374, p<.001). 요실금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자가간호역량은 삶의 질을 14.05%를 설명하였으며, 삶의 질 = 1.953 + (자가간호역량 X 0.274) 의 회귀식을 얻었다. 따라서 긴장성 요실금 여성의 자가간호역량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으며, 요실금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면 자가간호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elf-care agency of stress incontinence(SI) wom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3 stress incontinence women whose son studied at high school in Kwangju and Sunchon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11 to 22, 1995 by means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by the Exercise of Self-Care Agency was measured that has been developed by Kearney & Fleischer and modified by So Hyang-Sook(1992).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self reporting method Qualify of Life measurement instrument developed by Ro You-Ja(1988). SI was measured by developed Hendrickson's Stress Incontinence Scale(1981) that modified by Lee Young-Sook(I99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using the SAS PC+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health status(t=4.484, p<.0001), illness(-1.689, p<.05), perineal iching sense(t=-2.592, P<.05), past vaginitis(t=-2.357, P<.05), SI amounts(t=1.914, p<.05) from quality of life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bstetrical history and SI related variables. The score range of quality of life was from 1.85 to 4.34 and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3.04.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llness(t=-1.196, p<.05), SI period(t=2.056, p<.05) from self-care agency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bstetrical history and SI related variables. The score range of self-care agency was from 2.79 to 5.53 and mean score of self-care agency was 3.94. 3)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are agency and quality of life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r= .374, p<.001). By means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self-care agency provided predicted 14.05% of quality of life. The equation induced for expected quality of life was as follows ; Quality of Life: = 1.953 + (Self-Care Agency X 0.274)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I women was noted low quality of life and self-care agency may be a important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promote quality of life in. stress incontinence women.

      • 腹壓性 尿失禁 患者의 定量的 評價를 위한 診斷 알고리즘 具現에 關한 硏究

        민해기 인제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방광과 요도 등의 골반기관을 지지해주는 골반근육의 수축압력을 측정하여 요실금의 병적 진행정도를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요실금 진단 알고리즘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골반저근의 수축압력 측정을 위하여 풍선센서, 압력센서, 데이터 전송 장비로 구성된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풍선센서는 질내 삽입형 센서로 골반저근의 수축압력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개발된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부산 백병원 비뇨기과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정상 진단을 받은 6개의 데이터와 복압성요실금 진단을 받은 20개의 데이터를 획득하였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축압력, 압력 차이, 압력 감소비율, 최대압력 지속시간, 공간 면적 등의 진단 파라메터를 추출하였다. 정상군과 환자군에 대한 각각의 진단 파라메터의 평균 검증을 시행하여 진단 파라메터의 유의성을 확인하였고, 군집 분석을 시행하여 특성이 유사한 데이터를 그룹으로 분류하여 총 다섯 개의 군집을 형성하였다. 군집 분석 결과를 데이터 분류의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파라메터에 크기 비교를 위한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요실금 진단 알고리즘의 초기 모델을 구현하였다. 진단 파라메터의 요인 분석을 수행하여 다섯 개의 진단 파라메터를 ‘골반저근 에너지’와 ‘최대수축 유지력’ 두 개의 공통 요인으로 축약하였다. 진단 알고리즘에 의한 진단 결과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Normal, Grade1-1, Grade1-2, Grade2-1, Grade2-2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임상에서 복압성요실금 분류의 표준으로 사용되는 Stamey의 임상 분류를 세분화한 것이다. 다섯 가지의 진단 결과와 두 개의 공통 요인으로 판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진단 상태에 따른 판별식을 산출하여 요실금의 병적 진행 정도를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진단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임상시험을 수행하여 진단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평가한 결과 80.0%에서 임상에서의 진단 결과와 진단 알고리즘에 의한 진단 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20.0%의 위양성진단 결과가 나타났고, 위음성진단 결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요실금 진단 알고리즘은 복압성요실금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요실금 진단 시스템의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purpose is embodying diagnosis algorithm that is able to diagnose quantitatively the degree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SUI) by measuring contraction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that holds pelvic organs such as bladder and urethra. The bio-signal measurement system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contraction pressure from the pelvic floor muscle. It was consisted of balloon sensor, pressure sensor and data interface board. Balloon sensor that is inserted in vagina is able to directly measure the contraction of the pelvic floor muscle. Us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system, contraction pressure data of 6 normal cases and 20 SUI cases were acquired from the outpatients of Pusan Paik-Hospital and diagnostic parameters such as maximum pressure, differential pressure, reduce rate, maintenance time and area were extracted. Diagnostic parameters were confirm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case and SUI case by t-test and data that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are classified five groups by cluster analysis. Results of cluster analysis were standard of data classification, presenting condition for size comparison in each parameters, early model of the SUI diagnosis algorithm was embodied. The diagnosis results were classified with five levels such as Normal, Grade1-1, Grade1-2, Grade2-1 and Grade2-2. This is detailed the Stamey's clinic classification that is used by standard of SUI classification in clinic. The discriminant analysis was done between diagnosis results which are diagnosed by algorithm and parameters and discriminants by each diagnosis state were yield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operating clinical test of diagnosis algorithm, it appeared the same result at 80.0% between clinical results and results of the diagnosis algorithm. False-positive diagnosis results appeared at 20.0% and false-negative diagnosis results were not confirmed. Diagnostic algorithm that propose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diagnose degrees of SUI as quantitative and to be used in development of the urinary incontinence diagnosis system.

      • 요실금 환자에 대한 정보제공의 효과검증 연구

        박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요실금은 요의 불수의적인 배출이 사회적 활동이나 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키며, 이러한 불수의적인 배뇨가 객관적으로 드러나는, 배뇨이상의 제증상군이라 정의할 수 있다(Bates, Bredley, and Glen, 1979). 요실금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은 절대 아니지만 모든 연령의 여성에게 특히 흔한 건강문제일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회ㆍ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질병으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의료비 절감효과가 클 뿐만이 아니라 환자에게 비침습적으로 요실금을 치유하기 위해 골반저근 운동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요실금 환자에게 골반저근 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효과는 어떠한지를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여성 비뇨기과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와 요실금 증상이 있고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노원구 월계지역 기혼여성 30명을 선정하였다. 정보제공은 서울 시내 3개 병원의 골반저근 운동에 대한 정보제공 자료와 문헌고찰을 통해 본 연구자가 정리한 요실금과 골반저근 운동에 대한 인쇄물을 이용하여 요실금의 정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골반저근 운동의 필요성 및 방법 등에 대하여 구두설명을 통해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요실금의 주관적 측정도구는 Jackson 등이 1996년 영국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Bristol Female Urinary Symptoms Questionnaire"로서 의료계에 종사하는 전문인 중 한국어와 영어 모두에 능숙한 5인에 의하여 번역과 역번역을 실시한 후 개발된 것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문항을 포함하여 Jackson 등의 Urinary Symptoms Questionnaire의 요실금과 하부요로 증상 19문항, 성생활 문제 4문항, 일상생활 문제 9문항 등 총 4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이 최소 1점에서 최대 4점, 혹은 5점까지 측정될 수 있도록 고안된 도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인 복압성 요실금은 6번 문항 ‘기침이나 재채기, 운동 중에 소변을 흘린적이 있습니까 ?’에 의해 측정되어졌다. 요실금 증상의 객관적 측정을 위하여서는 최정점 질수축압과 질수축 지속시간을 perine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98년 7월에서 1998년 9월까지였으며 연구대상자에게 요실금 정도 조사도구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고, 본 연구자가 최정점 질수축압과 질수축 지속시간을 측정한 후에 요실금의 전반적 내용과 골반저근 운동방법 (골반저근을 4-12초간 최대한 수축했다가 풀어주는 근력운동을 6주간 실시)이 포함된 인쇄물을 제공하며 대상자 개인별로 구두로 설명하였다. 6주 후에 다시 한번 동일대상자에게 요실금 정도 조사도구 설문지작성과 최정점 질수축압과 질수축 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SAS 프로그램의 서술통계, paired t -test, 방법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골반저근 운동에 대한 정보제공 전후의 최정점 질수축압의 차이는 정보제공 전에는 평균 37.57±9.81mmHg에서 정보제공 후에는 33.07±7.33mmHg로, 전후의 차이가 -4.50±6.24mmHg로 나타나 정보제공 후가 정보제공 전보다 최정점 질수축압이 유의한 차이로 줄어들었다(T=-3.95, P=0.00). 골반저근 운동에 대한 정보제공 전후의 질수축 지속시간의 차이는 정보제공 전에는 평균 1.67±0.55sec에서 정보제공 후에는 1.60±0.56sec로, 전후의 차이가 -0.07±0.64sec로 나타나 정보제공 후가 정보제공 전보다 질수축 지속시간이 줄어들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골반저근 운동에 대한 정보제공 전후의 하부요로 증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정보제공 전후의 평균 점수차값을 보았을 때 하복부통증(-0.10±0.301), 실금의횟수(-0.03±0.72), 배뇨지체(-0.07±0.37), 인공도뇨(-0.03±0.18), 작열감(-0.03±0.42), 잔뇨감(-0.13±0.57), 배뇨조절능력(-0.03±0.41)의 경우 정보제공 후가 정보제공 전보다 증상이 완화되었음으로 나타났다. 3. 골반저근 운동에 대한 정보제공 전후의 성생활 문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정보제공 전후의 평균 점수차값을 보았을 때 성행위중통증(-0.07±0.36)의 경우 정보제공 후가 정보제공 전보다 증상이 완화되었음으로 나타났다. 4. 골반저근 운동에 대한 정보제공 전후의 일상생활 문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정보제공 전후의 평균 점수차값을 보았을 때 신체활동지장(-0.10±0.40)의 경우 정보제공 후가 정보제공 전보다 증상이 완화되었음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상자들의 요실금 정도는 주관적 측정도구에 의한 결과는 몇몇 문항에서 정보제공 전후의 평균 점수차값을 비교해 볼 때 증상의 호전이 있으나, 객관적 측정도구에 의한 결과를 보면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요실금 대상자들을 위한 골반저근 운동에 대한 구두교육이나 교육자료를 통한 강의식 교육과 일정한 정보를 주고 스스로 이행행위를 하도록 하는 방법은 앞으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골반저근 운동의 정보 내용과 그 기간에 대한 조정을 통해 그 효과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구체적인 비디오/오디오 테잎 등을 이용한 운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Biofeedback요법과 같이 대상자들이 올바로 운동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경제적인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며, 또한 대상자가 운동을 제대로 규칙적으로 시행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지속적인 Follow up이나 자가보고 형식의 일지의 작성을 권유하고 이를 교육자가 확인하는 일 등이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information about urinary incontinence and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for the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patients. The subjects consisted of 30 married, genuine stress incontinence women and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in 1998 by structured questionnaire Information about urinary incontinence and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were given in forms of printed material and simple verbal instruction was given. Peak pressure and duration of pelvic muscle contraction were evaluated by a perineometer. also, Urinary Symptom Questionnaire developed by Jackson and demographic questionnaire was used for collecting the data.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paired t-test with SAS program. Major finding was follows : 1. Peak pressu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00). duration of pelvic muscle contraction was decreas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ower urinary symptom for the given information.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xual matter for the given information.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ife style for the given information. In conclusion, simple verbal information about pelvic muscle exercise was not effective in genuine stress incontinence, therefore further specific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and effective follow-up by professional instructor were needed.

      •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골반저근육 강화훈련 방법에 따른 효과 비교

        김태희 계명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복압성 요실금 여성 64명을 대상으로 골반저근육 강화훈련 방법 간의 효과를 비교하고 검증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에 거주하는 복압성 요실금이 있는 여성으로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할 것을 동의한 자로 바이오피드백 훈련군 23명,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 21명, 자가훈련군 20명, 총 6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04년 5월 21일부터 2004년 9월 11일까지 시행되었다. 골반저근육 강화훈련을 12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바이오피드백 훈련군에게 요실금 교육 1회,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저근육 운동 매주 1회, 전화방문 및 상담 매주 1회를 제공하였고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에게 요실금 교육 1회, 연구자의 언어적 피드백을 통한 골반저근육 운동 매주 1회, 전화방문 및 상담 매주 1회를 제공하였으며 자가훈련군에게 요실금 교육 1회를 제공하였다. 측정도구는 골반저근육 운동 수행정도, 최대 질수축압, 지속 질수축압, 요실금 횟수, 요실금량, 주관적 요실금 호전도, 골반저근육 운동에 대한 태도, 삶의 질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1.0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과 빈도, 평균, 표준편차로, 사전 동질성 검증은 Fisher's exact test와 ANOVA로, 종속변수의 정규분포 검증은 Kolmogorov-Smirnov test, 가설검증은 Repeated Measures ANOVA, χ2-test, ANOVA 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바이오피드백 훈련군,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 자가훈련군은 골반저근육 수행정도에서 차이가 있었다(F=37.81, p=0.000). 바이오피드백 훈련군과 자가훈련군 간에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과 자가훈련군 간에 차이가 있었으나 바이오피드백 훈련군과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2) 바이오피드백 훈련군과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은 최대 질수축압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자가훈련군은 변화가 거의 없었다(F=9.57, p=0.000). 바이오피드백 훈련군은 지속 질수축압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은 지속 질수축압이 증가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자가훈련군은 변화가 거의 없었다(F=4.75, p=0.012). 3) 바이오피드백 훈련군은 요실금 횟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은 요실금 횟수가 감소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자가훈련군은 변화가 없었다(F=4.03, p=0.023). 바이오피드백 훈련군은 요실금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은 요실금량은 감소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자가훈련군은 변화가 없었다(F=3.70, p=0.030). 4) 바이오피드백 훈련군,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 자가훈련군은 실험처치 후 주관적 요실금 호전도에서 차이가 있었다(x²= 27.22, p=0.000). 5) 바이오피드백 훈련군,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 자가훈련군은 실험처치 후 골반저근육 운동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가 있었다(15.71, p=0.000). 바이오피드백 훈련군과 자가훈련군 간에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과 자가훈련군 간에 차이가 있었으나 바이오피드백 훈련군과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6) 바이오피드백 훈련군, 언어적 피드백 훈련군, 자가훈련군은 삶의 질이 유의하게 감소되지 않았다(F=2.01, p=0.131). 결론적으로 복압성 요실금 치료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은 매우 효과적인데 비해 언어적 피드백 훈련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두 방법 모두 골반저근육 운동의 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바이오피드백이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골반저근육 운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언어적 피드백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biofeedback, verbal feedback and self-help training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women.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sixty-four urinary incontinence women, twenty-three women were assigned to biofeedback training group, twenty-one women to verbal feedback training group, twenty women to self-help training group.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May, 21th to September, 11th, 2004. The subject participated in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training for 12 weeks. Biofeedback training group were instructed for pelvic muscle exercise using I-330-C2, EMG system, 30 minutes once a week. Verbal feedback training group were trained through verbal feedback based on anal inspection and vaginal palpation. Self-help training group were practiced with self-help booklet. Intervention of biofeedback and verbal feedback group consisted of education, self monitoring of behavior with daily records and telephone counseling. The measurement of research consisted of PFM adherence, PFM activity, UI frequency, volume, perception of UI improvement, Attitude Toward Pelvic Muscle Exercise and UI-related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isher exact test, ANOVA, x²- test,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SPSS/WIN1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3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PFM adherence(F=37.81, p=0.000). The biofeedback group were higher than self-help group and verbal feedback group were higher than self-help group in PFM adherence. 2. The biofeedback group had a greater increase than verbal feedback group and self-help group in peak vaginal pressure. 3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increase of peak vaginal pressure(F=9.57, p=0.000). The biofeedback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verbal feedback group were increased but self-help group not increased in endurance vaginal pressure. 3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increase of endurance vaginal pressure (F=4.75, p=0.012). 3. The biofeedback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verbal feedback group were decreased but self-help group not decreased in UI frequency. 3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reduction of UI frequency(F=4.03, p=0.023). The biofeedback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verbal feedback group were decreased but self-help group not decreased in UI volume. 3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reduction of UI volume(F=3.70, p=0.030). 4. 3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perception of UI improvement after 12 weeks(x²= 27.22, p=0.000). 5. 3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ttitude toward pelvic muscle exercise after 12 weeks(15.71, p=0.000). The biofeedback group had higher score than self-help group and verbal feedback group had higher score than self-help group in attitude toward pelvic muscle exercise. 6. 3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UI related quality of life(F=2.01, p=0.131). The biofeedback group, verbal feedback group, self-help group were not increased in UI related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training with biofeedback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was very effective and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training with verbal feedback was also effective. Therefore, if biofeedback is not purchased and established at health care center, it is necessary to use verbal feedback for pelvic muscle exercise.

      • 복지관 이용 여성노인의 요실금으로 인한 일상생활 불편감과 삶의 질

        이정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urinary incontinence and urination symptom in the elderly women, daily life inconvenience and quality of life related to urinary incontinence and urination symptom. The subjects were 146 elderly women who registered as clients at two welfare centers in Gwangju city. Research instruments were questionnaires. One of them was the scale of urination symptoms which was developed by Jacson et al.( 1996), another one was the quality of life scale by Kim and Lee (1999) Data were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s from August 16 to August 31 in 2007.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 12 for frequency, mean, and t-test.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ver 70 aged women were about 83%, 51.4% were without any education, 70.5% were widows, 39.1% were living alone while 17.0% were living with their spouse, 48.6 % had no any monthly income, 46.6% had five or more deliveries, and all of them had natural deliveries. 2. 35% of the subjects had urinary incontinence: 15% of them had the UI once a week, 9.6% of them had it twice or three times a week, 3.4% of them had it once a day, and 6.2% of them had it frequently in a day. 3. Among the subjects with UI, 73.3% of them did not know how to manage UI; 65.8% of them wanted UI behavioral treatment; and 50.0% of them preferred their home for the location of treatment while 26.7% of them preferred the welfare center. 4. The urination symptoms, 56.8% of subjects had a weak urination power; 58.2% with a night-time urination; 35.6% with an intermittent urination flow; 30.1% with a delayed urination; 29.4% with no-stopping during urination; 27.4% with remained feeling; 23.3% with forcing during urination; 15.1% with explosive feeling; and 11.6% with a frequency urination. 5. The symptoms of UI caused various discomforts in the daily activities of the subjects. 14.4% of them were bothered by UI in performing normal daily activities such as (cooking, cleaning, or washing); 24.1% of them willingly avoided public places such as (markets, theaters, or churches) without an easy access to toilets; 17.2% kept away from urination spilling activities such as (walking, dancing or swimming); 17.8% has a problem of participating outdoor social activities; and 6.2% had a discomfort in making a social relationship. 6. The subjects with UI had significantly more discomfort in normal daily life than those of without UI (t=-3.88, p=0.000) and had significantly a lower quality of life than those of without UI (t=-4.77, p=0.000). From this investigation, among the female population who are able to perform welfare center activities, on the average of 35 percentile of them have various symptoms of UI. Those with UI showed a higher level of daily life inconvenience and had a lower quality of life. The study results lead to a significant conclusion that the elderly women need a UI education so that they can manage various symptoms of UI and to treat it to improve their discomforts and the quality of life. Furthermore, the results strongly suggests us that the elderly women needs a UI healthcare program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in their home.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요실금 및 배뇨증상의 관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에 거주하는 K복지관과 H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여성노인 146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8월16일부터 8월 31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Jackson등(1996)이 영국여성을 대상으로 개발한 배뇨증상 측정도구를 홍재엽(1996)이 번역하여 이화 여성 요실금 전문팀이 수정, 보완한 요실금 측정도구(2001)를 사용하였고, 김재식과 이정주(1999)가 개발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version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의 서술적 통계와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70세 이상이 전체의 약 83%를 차지하였고 교육수준은 무학이 51.4%로 과반수였으며 결혼 상태는 사별이 70.5%로 대다수였다. 종교는 기독교가 28.8%로 가장 많았고, 가족형태는 독거(39.1%)와 부부만 사는 경우(17.1%)의 노인단독세대가 약 56%나 되었다. 월 용돈이 없다고 대답한 노인이 48.6%나 되었고 직업은 96.6%가 없었다. 분만횟수는 5회 이상이 46.6%로 거의 반수를 차지하였고 대상자 모두 자연분만을 하였다고 했다. 2. 대상자의 35%가 요실금이 있었고 요실금 빈도는 일주일에 1회 정도가 15.8%로 가장 많았고 주 2-3회가 9.6%, 하루에 1회가 3.4%, 하루에 여러 번이 6.2%이었다. 3. 요실금 관리 지식에 대해 모른다고 답한 경우가 73.3%, 요실금 행동요법을 해볼 의사가 있다고 답한 경우가 65.8%, 행동요법을 사용하는 장소로서 집(50.0%), 복지관 · 노인당(26.7%) 순으로 선호하였다. 4. 배뇨증상에서 야뇨 58.2%, 비정상적인 소변줄기가 56.8%, 간헐적 흐름증상 35.6%, 배뇨지체증상 30.1%, 배뇨도중 못 멈춤 29.4%, 잔뇨감 27.4%, 배뇨시 힘주기 23.3%, 작열감 15.1%, 빈뇨 11.6%의 순으로 나타났다. 5. 배뇨문제가 일상적인 일(요리, 청소, 세탁 등)을 하는데 불편을 주는 경우는 14.4%, 쉽게 화장실에 갈 수 없는 장소(시장, 극장, 교회 등)나 상황을 피하는 경우가 24.1%, 소변을 흘리는 것이 신체활동(걷기, 춤추기, 수영 등)에 지장을 주는 경우는 17.2%, 배뇨증상이 집밖에서의 사회활동 참여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17.8%, 배뇨증상 때문에 친구와의 관계에 지장을 주는 경우는 6.2%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요실금 유무에 따른 일상생활 불편감과 삶의 질의 차이에서 요실금이 있는 경우 일상생활 불편감(t=-3.88, p=.000)이 증가하고 삶의 질(t=-4.77, p=.000)이 저하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복지관 왕래가 가능한 여성노인의 요실금 빈도가 35%나 되었고 요실금이 일상생활에 불편감을 주며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실금에 대한 특성상 여성노인이 스스로 요실금이 있음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동성 노인에서도 요실금 유무조사와 더불어 보다 더 적극적인 교육과 계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여성노인 요실금에 대해 가정에서도 손쉽게 할 수 있고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요실금에 대한 골반근육운동 효과검증연구

        박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여성들은 일생동안 최적의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으나 요실금은 그 주요 원인이 임신, 분만, 페경 등 여성의 삶과 깊게 연관되어 여성에게서 높은 유병율이 보고되고(김효정 1997 ; 이효숙 1998 ; 서정빈 1999)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질환으로(이명희, 신경림 2000 ; 주민선 1998 ; Loughrey 1999), 여성들의 건강과 질적인 삶에 장애가 된다. 이러한 요실금은 여성들이 증상을 당연시하고 공개하기를 꺼려함으로 인해 적극적인 중재가 되지 않고 있으나(이명희, 신경림 2000 ; 주민선 1998) 골반근육 운동요법은 경제성과 안전성을 갖추어 요실금에 대한 일차적 간호중재로 합당하며 요실금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urgio 1998 ; Bo 1999 ; Dougherty 1998 ; 윤혜상 1998 ; 홍재엽 1997a). 이러한 골반근육운동이 치료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운동이행이 결정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Mokved & BO 1997). 그러나, 골반근육은 일상에서 사용하지 않고 겉으로 보이지 않는 숨겨진 근육이며 대부분의 여성들이 근육이 존재하는지 알지 못하고 자발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치료자의 교육 후에도 많은 여성들이 적절하게 운동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ampselle et al 1997). 여성들의 운동이행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골반근육운동 교육비디오를 사용한다면, 눈으로 보이지 않는 근육을 그래픽 화면으로 보여줌으로써 대상자들의 지각영역을 확대시키고, 주의와 환기를 일으켜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반복시청이 가능하므로 6개월 정도의 인내심이 요구되는 골반근육 운동을 가정에서 지속적으로 시행 할 수 있으며, 개인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부분만 느린 동작이나 화면정지의 기능을 활용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요실금에 대한 골반근육운동의 치료 효과를 높이는데 유용할 것이다(박효정 2001).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여성을 대상으로 비디오를 교육매체로 이용하여 골반근육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설계로서, 요실금 증상을 자가 보고한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4명을 편의 추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1년 3월 8일부터 5월 20일까지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인 골반근육운동은 박효정(2001)이 개발한 비디오 『요실금으로부터 자유로운 여성 : 골반근육운동』을 교육매체로 이용하여 주 1회 집단 교육하였고, 학습한 운동을 매일 가정에서 6주간 실시하게 하였다. 요실금에 대한 골반근육운동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객관적 도구는 최정점 질수축압, 평균 질수축압, 질수축 지속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 페리니오 미터를 사용하였고, 주관적 도구는 요실금 유형과 하부요로 증상, 일상생활 불편감, 성생활 불편감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화된 설문지(Jackson 1996)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8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산과적 특성, 요실금 유형에 대한 자료를 실수와 백분율로 구하였고, 두 집단 간의 사전조사 동질성 검증은 Fisher's Exact test 또는 Chi-Squared test와 Wilcoxon's Rank Sum test를 하였다. 골반근육운동 전·후 요실금에 대한 주관적 점수와, 최정점 질수축압, 평균 질수축압, 질수축 지속시간의 변화량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Wilcoxon's Rank Sum test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전조사에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Chi-Squared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와 Wilcoxon'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골반근육운동 전후 두 집단 간 최정점 질수축압, 평균 질수축압, 질수축 지속시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Wilcoxon'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최정점 질수축압(p=0.0001), 평균 질수축압(p=0.0001), 질수축 지속시간(p<0.0001)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골반근육운동 전후 두 집단 간 하부요로증상의 변화를 Wilcoxon'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야뇨(p=0.0280), 요실금에 대한 대책(p=0.0099), 요실금 대책 횟수(p=0.0099), 배뇨도중 끊김(p=0.0035) 문항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이 밖에 빈뇨, 절박뇨, 요실금 횟수, 요실금의 양, 의복교환, 배뇨지체, 소변줄기의 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대조군에서 보다 실험군에서 하부요로 증상 점수가 더 많이 감소하였다 4. 골반근육운동 전후 두 집단 간 성생활 불편감의 변화를 Wilcoxon'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골반근육운동 후 두 집단 간의 일상생활 불편감의 변화를 Wilcoxon'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수분섭취제한, 화장실 없는 장소의 회피, 신체활동 지장, 남편, 친구관계의 지장의 경우 실험군에서 평균점수가 더 크게 감소했다. 6. 골반근육운동 후 두 집단 간 주관적 측정의 전체적인 개선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하부요로증상, 성생활 불편감, 일상생활 불편감의 문항에 대해 각각 합을 내어 운동요법 실시 전후의 변화정도를 Wilcoxon's Rank Sum test로 검정하였다 1) 하부요로증상의 경우, 골반근육운동 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하부요로증상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낮아졌다(p=0.0048). 2) 성생활 불편감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골반근육운동 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평균 점수가 더 많이 낮아졌다. 3) 일상생활에 불편감의 경우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실험군은 운동 후 증상이 점수가 감소한 반면 대조군은 오히려 점수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요실금 여성에게 비디오 교육을 이용한 골반근육운동 시행 후 질수축압의 향상과 하부요로증상의 개선이 나타났고, 일상생활 불편감과 성생활 불편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몇몇 문항의 경우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더 많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디오 교육을 통한 골반근육운동은 요실금 여성에게 효과적인 중재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1. 간호연구 측면 골반근육운동에 대한 비디오 교육과 기타 교육과의 비교 연구와 여러 지역에서 많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효과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2. 간호실무 측면 지역사회, 보건소, 병원의 건강 교실을 통해 골반근육 운동의 이행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3. 간호교육 측면 요실금 증상을 사정·평가·중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문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요실금을 겪는 대상자의 가족, 그들을 돌보는 사람에게 요실금 관리에 대한 기초 교육과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elvic muscle exercise for the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with the application of video. The subjects consisted of 31 urinary incontinence women who assigned to 2 groups : 17 to pelvic muscle exercise group and 14 to control group. Information about urinary incontinence and pelvic muscle exercise were given in forms of video. Treatment protocol lasted for 6 weeks. Peak pressure, average pressure and duration of pelvic muscle contraction were evaluated by perineometer. Also, Urinary Symptom Questionnaire developed by Jackson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Wilcoxon's Rank Sum Test with SAS program. 1. Peak pressure in pelvic muscle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001), and average pressure(p=0.0001) and duration of pelvic muscle contraction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p<0.0001) in pelvic muscle exercise group. 2. Lower urinary symptoms in the pelvic muscle exercise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048).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xual matters. 4. There wa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ife style. Because of limited sample size, the study results could not be perfectly generalized. However, effectiveness of the pelvic muscle exercise with application of video for the community residing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is suggestive.

      • 수지침이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요실금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김정효 全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수지침이 복압성요실금 여성의 요실금 완화와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두 개 교회를 방문하여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여성으로 실험군 30명을 선정한 후 연령을 짝짓기하여 대조군 30명을 모집하였다. 자료수집은 2004년 4월 20일에서 7월 20일까지 12주 동안 실험군에게 수지침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사후 조사 후 수지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수지침, 요실금 상태 및 유발상황 측정도구 (이영숙, 1993), 삶의 질 측정도구 (김재식과 이정주, 1999), 골반저근육 수축력 측정도구 (Myomed 932, Enraf Nonius. Netherlands. 1995)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산과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x²와 t-test로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은 paired-t test와 ANCOVA로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인 ‘수지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요실금 상태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실험군의 요실금 빈도 점수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F=219.69, p= .001) 낮았다. 요실금 양 점수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F=24.33, p= .001) 낮았다. 2. 제 2 가설인 ‘수지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요실금 유발상황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실험군의 요실금 유발상황 점수는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F=378.20, p= .001) 낮았다. 3. 제 3 가설인 ‘수지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골반저근육수축력이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평균 질수축압의 경우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F=300.42, p= .001) 높았으며 최정점 질수축압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F=537.00, p= .001) 높았다. 4. 제 4 가설인 ‘수지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삶의 질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실험군의 삶의 질 점수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F=10.21, p= .002) 높았다. 본 연구 결과 12주 동안의 수지침이 요실금 유발상황에서 대상자의 요실금 빈도와 양을 감소시켜 주었으며, 골반저근육 수축력을 증가시켜 요실금 완화와 이로 인한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수지침을 요실금 여성에게 교육시켜 줌으로써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건강증진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hand acupuncture on female patients with stress incontinence, adopting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dherents of Christianity from two churches in G City, and all of them were qualified for this study and willing to agree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is study randomly assigned 30 females to experimental group, while thirty women to control group, paring with counterparts according to ag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or three months from April 20 to July 20, 2004. Hand acupuncture was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for twelve weeks, while no treatment was applied to control group. Several research tool were used in this study: hand acupuncture, urinary incontinence scale , quality of life measurement tool and electric monitor to measure the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For pretest of homogene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methods such as x² test and t-test were used. Hypotheses were tested with paired-t and ANCOVA test.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Hypothesis 1, 'urinary incontinence state score (frequency and amount) of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hand acupuncture would be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requency: F=219.69, p= .001; amount: F=24.33, p= .001). 2. Hypothesis 2, 'urinary incontinence situation score of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hand acupuncture would be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378.20, p= .001). 3. Hypothesis 3,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of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hand acupuncture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supported (mean vaginal pressure : F=300.42, p= .001; peak vaginal pressure : F=537.00, p= .001). 4. Hypothesis 4, 'Quality of lif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hand acupuncture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10.21, p= .002). Results in this study show that application of hand acupuncture for 12 weeks caused the decreased frequency and amount of incontinence, the mitigated situations scores of urinary incontinence, and the increased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which resulted in the increased quality of women's life. Education in this hand acupuncture, which everybody can easily learn, will contribute to helping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o promote their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