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한 경어 사용실태 연구 : 오용표현 분석을 통하여

        박주영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고에서는 유사한 경어체계를 가진 일・한 양 언어의 「경어의 오용표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현대사회에서 사람과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고 확실한 인간관계를 구축하는 중요한 요소인 경어는 언어가 끊임없이 변화되는 것처럼, 사회상의 변동과 함께 변화한다. 이처럼 경어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경어의 과용이나 남용현상 또는 간소화현상 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잘못된 경어의 오용표현으로 인해 언어 사용자들은 많은 혼란을 겪게 되며, 경어 오용의 기준이나 지침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일・한 양국의 드라마, 영화 시나리오, 방송자료, 오용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경어의 오용표현을 각각 조사하였다. 또한 일본어의 경우 「敬語の指針」(2007)에 따라 5분류로, 한국어의 경우 민현식(1999)에 따라 3분류로 오용유형을 분류한 후, 경어의 정오(正誤)를 판별하기 위해서 경어 오용의 기준을 세우고, 일본어와 한국어 경어의 오용양상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방법의 모색을 시도하였다. 실제 시나리오, 방송자료, 오용에 관련된 서적을 중심으로 조사된 일본어 경어의 오용표현은 총 402회, 한국어 경어의 오용표현은 총 331회이다. 일본어 경어의 오용표현 총 402회 중에서 겸양어Ⅰ의 존경어화 현상 96회(23.9%), 부적절한 존경어의 대상의 존경어화 58회(14.4%), 과잉겸양 56회(13.9%)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한국어 경어 오용표현 총 331회 중에서 「-시-」의 생략현상과 같은 간소화현상 99회(30%), 비격식체 상대 높임 84회(25.4%), 과잉경어(주체 높임법의 선어말 「-시-」의 중복 사용과 과잉존대) 68회(20.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한 양 언어의 유사점으로 2중경어・과잉겸양・부적절 대상의 존경어화·간소화 현상·자기 쪽 존경을 들 수 있다. 특히 복잡한 경어 체계 속에서 야기되는 존경어와 겸양어의 혼동 현상과 간소화 현상, 그리고 경도(敬度)를 높이기 위해서 나타나는 부적절한 대상 높임과 2중경어나 과잉경어, 상업경어와 같은 현상은 현대 사회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한 양 언어의 상이점으로는 상하관계를 중시하는 특수한 높임법인 한국 경어의 압존법(壓尊法)의 오용, 일본어의 복잡한 경어체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겸양어의 오용, 일본어의 경어체계에만 존재하는 미화어의 오용을 들 수 있다. 일·한 양 언어의 경어 오용표현의 비교분석을 통해 변화 진행 중인 표현, 정착화·관용화 되어가는 표현과 점차 간소화 되어가는 표현 등 전반적인 구조적 특징과 흐름을 알아볼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경어의 중요성과 경어의 혼란을 바로잡을 수 있는 올바른 경어 체계에 대한 기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올바른 경어 표현 습득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article examined into 「misused expression of an honorific」in both languages of Japanese and Korean having similar honorific system. An honorific vital to smooth inter-personal communications and build up a solid interpersonal relation in contemporary societies changes along with social changes just as language continues changes on and on. Similarly, in the process of honorific change, the misuse, abuse or simplification conditions of an honorific come out, and such misused expression of wrong honorificmakes language users go through much confusion, and needs the standards or guidelines of honorific misuse. This paper explored the misused expressions of an honorific focusing on dramas, movie scenarios, broadcasting data, and misuse related literature in both Japan and Korea. Japanese was categorized to 5 misuse types by 「honorific's guidelines」(2007), and Korean was to 3 ones by Min Hyun Shik(1999), after that, criteria of honorific misuse were set up, and a method was sought to compare and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Japanese and Korean honorifics. The misused expressions of Japanese honorific surveyed focusing on actual scenarios, broadcasting data, misuse related literature are 402 cases in total, and those of Korean is 331 cases intotal. Among total 402 cases of Japanese honorific misuse, the descending highest order was 96 times of honorified situation of honorific I(23.9%), 58 times(14.4%) of that to honorific subject, and 56 times(13.9%) of excessive diffidence. Whereas among total 331 times of misused expressions of Korean honorific, the descending highest order was 99 times(30%) of simplified situation like omission of 「-시-」, 84 times(25.4%) of unformal relative respect, 68times(20.5) of excessive honorific(overlapped use of pre-situated ending of subject honoring method 「-시-」and excessive treatment with respect. Also similarities of both Japanese and Korean can cite dual honorific, excessive humility, honorification of improper subject, simplified situation and honor of speaker. Especially, it could be noted that conditions like confusion and simplification situation and of an honorific and a humble speech caused in complicated honorific system, respect of a improper subject, dual honorific or excessive honorific, commercial honorific revealed to elevate respect extent incorporate the features of contemporary societies. Also differences of both Japanese and Korean can quote misuse of Korean honorific's overwhelming respect, a special honnorific method respecting hierarchy, misuse of an honnorific remarkably revealed at Japanese complex honorific system, and that of florid language existing only in Japanese honorific sytem. It could be noted tha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isused expressions in both Japanese and Korean honorifics witnesses the features and flow of general structures such as expression in change, that settled down and common, and gradually simplified. The above analysis is anticipated to realize the value of honorific and the need of standards for right honorific system to set right honorific confusion, and serve acquisition of right honoriffic expression.

      •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를 위한 「する」동사의 교육방안 연구 : 오용표현을 중심으로

        박혜정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85

        한국어의 「하다」와 일본어의 「する」는 각각 韓・日 両語에 있어서 기본적인 동사의 하나이고, 다양한 용법을 가지고 있다. 일본어의 「する」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하다」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그 비교를 통한 오용 연구는 많다고는 할 수 없다. 「する」와 「하다」의 대조・비교 연구로는 森本(1987), 안병걸(2003)등이 있으나 교육 방법론적 연구로는 아직 미약한 점이 없지 않다. 「する」는 한국어 「하다」와 용법도 비슷하고 문법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유사하게 크기 때문에 한국어 권 학습자가 그 사용에 있어서 자주 틀리는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인의 입장에서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하다」 교육방안에 대해서는 야마시타 카즈미 에 의해 연구되었다. 야마시타 카즈미는 「일본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하다’ 교육방안 연구」에서 ‘하다’의 교육방안에 대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다’ 사용에 있어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기존에 나와 있는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하여 일본어 모어 학습자들이 범하기 쉬운 오류와 발생원인을 살펴 보고 이를 토대로 일본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하다’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는 반대 입장인 일본어를 학습하는 한국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일본어 「する」동사의 교육방안에 대해 한국인의 입장에서 진행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주제인 한국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する」동사의 교육방안으로 한국인 학습자가 「する」동사를 사용할 때 범하기 쉬운 오용 표현을 기존의 오용 표현・「する」동사 표현에 관한 논문 중에서 대표적 세가지인 「する」동사의 관용적 표현, 「漢語 + する」形, 「する」「される」의 경우로 분석해 보았다. 「する」동사가 만들어 내는 관용적 표현에서는 특히 격조사「~が」와 결합하여 만들어 내는 「~がする」라는 표현에 있어서는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표현은 표현문형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이해시키는 것이 일본어 습득에 있어 효과적일 것이라고 본다. 또한 漢語와 결합하여 만들어 내는 「漢語+する」표현은 한・일 양국 모두 한자문화권으로 한국어 「하다」도 이와 같이 漢語와 결합하여 생산적인 기능을 하고, 선행 漢語가 동일할 경우, 「する」와 「하다」를 그대로 대응해 버려, 오용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있어서는 漢語와 결합했을 때 양국의 품사설정의 기준이 다르므로, 이에 관한 기준을 명시해 주고,「漢語+する」와「漢語+하다」가 대응되지 않은 경우의 용례 등을 제시해 주면「する」동사의 사용에 있어서 오용 표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의 하나가 될 것이다. 다음으로 「する」와 「される」의 표현에 있어서 「する」가 ‘하다’로 번역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되다’로 번역되는 경우가 있어, ‘되다’로 번역 될 때「する」를 사용하지 못하고 「される」로 대응시키는 오용을 일으키기 쉽다. 이에 대해서는 「する」가 ‘되다’ 로 번역 될 때의 용법을 구분하여 교육시키고, 他動詞로서 受身의 형태로 되어 있는 구문에서 동작주의 관계가 확실한 受身 구문의 경우는 「~される」로 하고, 自動詞 구문을 포함하는 다른 경우는 「する」로 하도록 지도하면 「する」동사의 오용을 줄일 수 있는 교육방안의 하나가 될 것이다. 일본어 「する」동사는 한국어 「하다」와 문법적 기능의 유사점과 함께 韓・日 両語의 어휘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한국인 학습자가 일본어를 학습 할 때 모어의 간섭으로 인한 오용이 많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본어와 한국어와의 차이를 명백히 하고, 문제를 깨닫게 하는 것이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 언어 면에서의 교육과 함께 비언어적인 면(문화 교육 등)에 관계되는 지도도 행해야 할 것이다.

      • 쓰기를 통한 국어 오용 표현의 개선 지도 방안

        권은경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18

        오늘날 학생들의 국어 오용 표현은 매우 심각하다. 그래서 학생들의 글을 읽어보았을 때 도대체 무슨 내용인지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운 글이 많다. 그리고 7차 중학교 생활국어 교과서의 쓰기 교육 과정과 국어 지식교육 과정이 서로 맞지 않은 문제가 있다. 중학교 2학년에서 '글쓰기와 글 다듬기'를 배우는데 단어 수준의 글 다듬기에 해당하는 맞춤법 과정이 중학교 3학년 생활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쓰기 영역과 상보하면서 학생들의 국어 오용 표현을 줄이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들의 오용 표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쓰기를 통한 국어 오용 표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철자법, 띄어쓰기, 주어-서술어 호응, 부사어-서술어 호응, 접속 부사어, 지시어로 나누어 연구를 하였다. 즉, 국어 오용 표현을 단어수준, 문장 수준, 글 수준의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을 2시간의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쓰기를 통한 국어 오용 표현의 개선 지도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통제 집단과 비교하였다. 총 수업 시간은 6시간이었으며 실험 대상은 중학교 3학년 학생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쓰기를 통한 국어 오용 표현의 개선 지도 방안이 효과적인지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논의점을 다뤘다. 첫째, 쓰기에 나타난 국어 오용 표현이 무엇인가? 둘째, 쓰기를 통한 국어 오용 표현의 개선 지도 방안이 무엇인가? 첫째, 쓰기를 통한 국어 오용 표현의 개선 지도를 하였을 때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의미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를 통한 국어 오용 표현의 개선 지도 방안이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 왔는지 살펴 본 결과,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의 점수가 월등히 향상된 것이 확인되었다. 즉, 쓰기를 통한 국어 오용 표현의 개선지도가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쓰기를 통해서 국어 오용 표현의 개선 지도를 했을 때가 쓰기를 통하지 않고 국어 오용 표현의 개선 지도를 했을 때보다 효과적인지 살펴본 결과, 쓰기를 통한 국어 오용의 개선 지도를 한 집단의 경우가 전통적인 국어 오용 개선의 지도를 한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쓰기를 통한 국어 오용 표현 개선의 지도 방안이 학생들의 국어 오용 표현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국어 오용 표현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쓰기를 통한방법만을 제시하여 살펴보았다. 하지만 이 방법 말고도 학생들의 국어 오용 표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많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학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게 되면 더 풍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이 소중한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앞으로 국어 오용 표현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oday, the wrong uses of Korean expressions by students are serious. Therefore, many contents of writings are hard to be understood when read.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writing educational program and the Korean Knowledge educational program of the seventh junior-high practical Korean textbook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tudents learn 'writing and revising' in the eighth grade. But the vocabulary level of the revising related to that grammar program is placed in the textbook of the ninth grade.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nd grouping for Korean knowledge educational device by writing in order to minimize students' usages of wrong expressions. This paper was studied as divided into sections such as spelling, spacing words, subject and verb agreement, adverb and verb agreement, and jointed adverb and indicating word. So to say, it divided the wrong uses of Korean expressions into three sections as word level, sentence level, and writing level, and organized each section into a two-hour clas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y applying a class model of the wrong Korean usages class through writing. The total class hours were 6 hours and the experimental objects were 44 people of ninth grader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teaching device, following research and argument point were discussed. First, what are the wrong uses in Korean expressions appeared in writing? Second, what is a device or a method in instructing the wrong uses in Korean expressions through writing? Third, is it meaningful or does it have a meaning when the wrong uses in Korean expressions are instructed through writing, compared to the case when it is not?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as written below. First, when the result was verified if the instruction of the wrong uses in Korean expressions through writing has brought a meaningful improvement, the after test marks were highly improved compared to the before the test marks. Therefore, it is true that the instruction of the wrong uses in Korean expressions through writing has brought a meaningful improvement. Second, when checked if the instruction of the wrong uses in Korean expressions through writing is more effective compared to the instruction not unified with composition, a case of group instructed by the wrong uses in Korean expressions through writing has shown higher marks when compared to the group instructed by the traditional Korean method in wrong uses in Korean expressions. Therefore, the instruction of the wrong uses in Korean expressions through writing i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a decrease in wrong usages. In this paper, only a method for minimizing the wrong uses in Korean expressions through writing was suggested and discussed. However, there must be many other ways to minimize students' wrong uses in Korean expressions. And, when experimented with students with more diverse grades, more rich results will be gained. Studies for minimizing the wrong uses in Korean expressions should be actively continued in order for students use our precious language.

      • 국어표현의 오용 연구

        류승희 숙명여자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 표현에서 오용을 일으키고 있는 것들을 시정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이런 내용의 기존 연구가 있으나 그것들 중 대부분이 부분적인 언급만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언어생활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오류들을 수집, 정리, 분석하고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국어 순화의 자료로 활용되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은 우선 오용의 원인을 (1) 언어 요인 즉 음·어형·의미의 유사성, 어휘 의미의 애매성, 그리고 무리한 단축으로 제시했고 (2) 심리 요인으로는 잘못된 유추, 강조 심리, 어휘 부족의 인식, 노력 경제성, 모방 심리 등으로 나누었다. (3) 교육 요인은 쓰기 교육의 부실, 실물·현장 교육의 부실, 주체성 교육의 부실 등으로 볼 수 있다. (4) 사회 요인으로 대중 매체의 역기능 사회의 무비판적 용인성, 외국어의 영향 등으로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나타나는 오용을 어휘와 관용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것을 유형화하였다. (1) 어휘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유형에는 의미 호응에서 벗어난 경우, 의미 혼동으로 인한 경우, 무리한 외국어식 조어, 그리고 한자의 오용 등이다. (2) 관용적 측면의 유형으로는 불필요한 동의 중복 표현과 모순 표현, 그리고 잘못된 속담으로 나누었다. 효과적인 언어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표현을 할 수 있어야 하므로 오용의 예들을 제시하여 혼동을 바로 잡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맞춤법 표준어 사전에서 의미의 혼란이 생길 수 있는 어휘들을 선정하여 부록으로 제시한 것은 올바른 국어 생활의 바른 길잡이가 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is study is attempted to establish correctly which is miused in Modern Korean Expression. In general, there are some preceding studies for this, most of them are only instantiational enumeration and partials. So this study analyzes the examples of misuse of Modern Korean in many ways which finds out efficient method of guidance them. They are summarized as follws ; 1. The cause of misuse (1) In linguistic factors, there will be similarity of phone, meaning, form of words, and ambiguity in a word, and unreasonable shortening. (2) In psychological factors, there will be misused analogy internional economy, intentional emphasis, instinct of imitation, shortage of vocabulary. (3) In educational factors, there will be practive of grammer, composition, and principle education. (4) In sccical factors, there will be inversion of communication, uncritical approval of society, and influence of a loan word. 2. Type of misuse in Modern Koream (1) Form a lexical component point of view, there will be cases which are against agreement, meaning restriction, and there will be misapplied wordformation and misuse of Chinese. (2) Form an idiomatic component point of view, there will be unnecessary tautologic expression, contardictory expression, misuse of proverb. In order to establish correctly for misuse, we must guide as follow, we must be interested in Korean and make it a rule to look up a word in a dictionary. And we must reinforcement of the school grammer, composition, guide wrting in Korean. Lastly we expect communicational promotion, and the intelligentzia must lead it.

      • 한국인 학습자가 자주 범하는 일본어 표현의 오류

        이점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269

        (Abstract) Error is something you have done which is considered to be incorrect or wrong, or which should not have been done. When you make error on language, it means you have done incorrectly in basic rule, when delivering information, and in standing rules on sentence. This not only mean grammatical error, but also error of using incorrect expression. This kind of error is common when translating native expression to foreign expression, which is worth noticing. This could be found as nowadays border holds no greater meaning of barrier thanks to fast developing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 but of interchange of information and culture. However, language contains the country’s own unique and peculiar culture. Therefore without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part of language, can cause misunderstanding and unpleasant feeling even without grammatical error. Japan is one of representative country which have cultural gap even it is neighboring Korea. It does have meaning in discussing common Japanese expression error made by Korean learner as number of learner of Japanese is large. In following essay contains common vocabulary errors made by Korean learner when studying Japanese, analysis of several kind incorrect expression caused by difference in linguistic custom or cultural background locutionary language. The target of the treatise is to make a counterplan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 and secondly to be used as materials to minimize errors in non-cultural communication. As an introduction, I mentioned the necessity of the reconsideration about error by presenting that it is wrong to only learn Japanese by heart or study grammar to communicate, giving an example of Japanese error. In the main discourse, I developed the argument by basing on the definition of error and its example. In the second chapter, I want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error caused by literal translation of Korean, the difference of linguistic custom between Korean and Japan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 language, and non-language. In the third chapter, I requested Japanese living in korea to investigate the Korean learners’ error of Japanese expression in the real communication to increase the reality, confidence and presence. In the fourth chapter, I analyzed the cause that made the error of Japanese expression depending on the result of the third chapter. This is the way to decrease the error of Japanese expression. First, the education is needed which demonstrates that Korean doesn’t always correspond to Japanese one-to-one. The fact is significant that this kind of error made the most response rate in the survey. So, It is better to learn the whole sentence than to translate literally by memorizing words alone. Second, is the difference of honorific rule. This problem takes place because Korean use unconditional honorific and Japanese use relative honorific, and this is related to the manners of name. It is needed to inform the honorific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the early stage of Japanese learning and to call attention by examples. Third is the inappropriate expressions caused by the cultural difference. Koreans are used to asking about other’s privacy, for example their age, family, and marriage. And most Koreans also answer it kindly as a result of groupism. However, Japanese think there is a gap that should be kept among people, so they feel unpleasant when asked about private questions. Therefore, I think educators should lead learners to communicate smoothly by understanding not only the grammatical aspect but also the cultural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Japanese expression error that Korean learners make will be decreased by learning the whole sentence and understanding the cultural, grammatical difference rather than just memorizing Japanese words. So, educators hav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Japanese learner and improve the way of educating standing on these materials not to go out of date so that these problems can be corrected. (초록) 오류란, 행동이나 사고가 그릇되어 이치에 어긋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언어사용에서의 오류란 문장의 여러 규칙과 정보 전달의 일반 규칙을 어긴 것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비문법적인 표현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못한 표현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는 특히 모국어와 외국어간의 의사소통 및 의사표현 과정에서 자주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매우 주목할 만 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과 교통이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국경이 불분명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인 정보공유․문화교류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음이 그 근거가 될 수 있겠다. 또한 의사소통을 의미하는 커뮤니케이션이 각 나라의 독특하고 고유한 문화이해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관계에서 이질적인 문화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해 문법적인 측면과 상관없이 상대에게 오해를 사거나 불쾌감을 불러일으키는 수가 있다. 특히 가깝고도 먼 나라인 일본과는 거리상으로는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가깝지만 서로의 문화차이는 매우 큰 편이다. 하지만 현재 영어만큼이나 일본어를 배우는 학습자가 많고 경쟁력 또한 매우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해 논해 보는 것 또한 의미 있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발화된 언어를 중심으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 자주 나타나는 여러 가지 유형의 어휘오류 뿐만 아니라 한․일 언어습관의 차이 등 문화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적절한 표현을 조사 분석하였고, 그 대안을 밝혀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일차 목적을 두었고, 또한 비문화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발생하는 오류 또한 최소화 할 수 있는 자료로써 쓰였음 하는 것을 이차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서론에서는 일본어 오류의 예를 들어 일본어의 단순한 암기나 문법적인 학습만으로는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있음을 제시하여 오류 재고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본론에서는 오류의 정의와 이를 바탕으로 한 실례 중심으로 논지를 전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직역에 따른 오류 및 한․일 언어습관 차이 그리고 문화, 언어, 비언어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문화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실제 대화 상황에서 일본인이 본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표현 오류 조사를 국내에 체류 중인 일본인들에게 의뢰하여 자료의 사실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현장성을 더 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어 표현의 오류가 나타나는 원인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어 표현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와 일본어가 항상 일대일로 대응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주지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 유형의 오류가 설문조사에서 가장 큰 응답률을 나타냈는데 이에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따라서 단어를 단독으로 암기하여 그대로 직역하는 것 보다는 전체적인 문장을 습득하는데 그 목적을 두는 것이 올바르다. 둘째, 두 번째로 많은 응답률을 보인 경어법의 차이 이다. 한국은 절대경어법을 일본은 상대경어법을 사용하는데서 발생하는 문제로써 호칭예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위해서는 일본어 학습의 초기부터 일본어와 한국어의 다른 경어법을 주지시키고 여러 가지 예문을 통해 주의를 환기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문화적인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적절한 표현들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오랜 기간 동안 사회를 이끌어온 집단주의의 결과로 인해 상대방의 프라이버시(나이, 가족관계, 결혼여부 등)를 묻는데 매우 익숙하며 상대방 또한 친절하게 답해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 개인과 개인간의 일정한 갭이 있다고 생각하며 이는 지켜야 할 경계선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초면에 개인적인 질문을 하는 것은 상당히 불쾌하다고 여겨질 수 있다. 따라서 문법적인 측면은 물론 상대방의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교육자들이 학습자들을 이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인 학습자가 자주 범하는 일본어 표현의 오류는 단순한 일본어 암기보다는 전체적인 문장을 습득함으로써 이해력을 높이고, 일본과 한국의 다른 문법적 차이를 이해하는 동시에 문화적 차이를 인식할 때 상당히 줄어들 것이다. 따라서 교육자들은 이 자료를 바탕으로 나타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학습법이나 또는 현재 학습법의 개선을 통해 일본어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고, 급속도로 변하는 국제 시대에 뒤쳐지지 않는 교육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