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술경영학과의 교육과정 비교연구 : 한국과 영국·미국대학을 중심으로

        신은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history of the art management is not that long. The art management that is supposed to be newly- born and fused study has only 50 years of global history. The improvement of private life standard begun from capitalism increased the role of cultural art and locally, nationally, internationally and world-widely, the social and economic profits from such an enlarged cultural art field may give birth to the concept of art management and paradigm. Because art management, compared with the other studies, owns comparatively short history, we can say it seems nascent research on the incalculable spectrum. Moreover, after the introduction into Korea, it has not passed over 30 years. Nevertheless, What is the reason that the various kinds of art organizations emerged rapidly and swiftly without special grounds? The ques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thesis. The most important role is to try to aim at causing consumers to meet most effectively with artists and artistic works. Likewise, art organizers mediate cultural contact between consumers and artists, between local community and nation. Meanwhile, since 1960 as Art management became a faculty, after having introduced administration into art area, centering on the advanced countries. Since art management clothed with academic colours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About 30 universities activated and utilized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courses. I will try to research into the items as follows; Sorts of the preparation for the educational courses and the actual offering to the students in each university, so called, the living academy of instruction. The contents of the detailed curriculum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s of foreign universities and those of Korean universities. The efficacy and value of that faculty. The careful probe into positive orientation for education after capturing on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Korean univers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course. This thesis will put especial emphasis on history and curriculum of art management within Korean universities, the comparison of art management of Korean universities with that of universities in the U.S.A and U.K and the curriculum in art management of the famous foreign universities, in particular, stressing on the internship as the sharp difference both in the past and presence. With this, in prologue, I will try, in conclusion,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rt management and the future orientation of it. 자본주의에서 시작된 개인적 삶의 질 향상이 사회에서의 문화·예술의 역할을 증대시키고, 이처럼 확대된 문화의 영역은 지역적, 국가적, 세계적, 사회적, 경제적 이익을 창출함에 예술경영의 개념과 패러다임을 양산했다. 예술경영학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예술과 경영이 합해진 세계적인 신생 융합 학문으로 여겨지는 예술경영학은 그 역사가 50년이 채 되지 않는다. 1960년대 이후 선진 국가들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이 탄생했고, 한국 대학에 도입된 지는 20여년 정도로 현재 학사·석사 과정으로 약 30개의 대학교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예술경영이 단 기간에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이유가 무엇일까. 이 논문에서 비중있게 다뤄질 부분은 한국의 대학 내 예술경영학의 역사와 교육과정이며 그를 통해 결론에서 도출 할 것은 한국 예술경영학의 특징과 앞으로의 방향성 제시이다. 예술경영학이 우리나라 대학교 안에 예술경영이란 이름으로 석사과정에 공식적으로 생겨나기 시작한 때는 1990년대 후반으로 2000년대 초에 가장 많이 형성되었으며 지금까지도 매년 꾸준히 생겨나고 있다. 융합학문이라는 특징으로 다양한 장르의 단과대학 안에 편재되어 있으며 가장 많은 비율의 단과대는 28개 대학 중 11개인 문화예술대학(주로 석사과정), 8개의 예술대학(주로 학사과정)이다. 학사는 예술전공 위주의 교과편색을 드러냈으며, 석사에서는 학과 간 연계과정 대학을 따로 운영됨으로 각 학과간의 상호연계성을 강화한 다양한 분야의 예술경영 수업이 진행되었다. 이처럼 학교 간 일반 교과 항목의 차이는 크게 없으나, 학과별 장르의 특성이 존재했다. 장르의 구분을 통해 예술경영의 영역을 분명히 알 수 있게 했는데 그 내용인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미국의 예술행정교육자협회(Association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ors: 이하 AAAE)의 대학원 표준 커리큘럼을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비교국은 예술경영선진국이자 출발지인 미국과 영국이다. 영국, 미국의 대학과의 비교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인턴쉽이다. 대부분의 대학 필수 항목으로 사회 기업과 연계하여 운영실무와 현장경험을 쌓을 수 있게 구체적 내용과 기간이 명시되어 있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의 인텁쉽 교과과정은 28개 학교 중 9개에 불과했으며, 규격화 되어있지 않고 뚜렷한 방법도 제시하고 있지 않음으로 보아 과목제도 도입은 이루어졌으나 아직 정착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학은 인턴쉽의 체계를 재정비하고, 국가·산업관 연계 강화로 학부와 실무와의 연계성의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새로운 융합학문 형태인 예술경영학의 근본 목적은 양질의 컨텐츠 연구와 현장에서 필요한 예술경영인력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그를 위해서는 첫째, 전문적인 예술경영을 위한 인재를 양성해내기 위한 핵심 활동 중 하나로 대학의 전공 설치와 연구를 꾸준히 확대해 나가야한다. 둘째, 학문적인 예술경영의 형태인 ‘문화콘텐츠’가 양질의 컨텐츠 연구를 이룸과 동시에 산업적인 소득 창출의 예술경영이 합일점을 이루는 통합 교과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효과적·생산적 경영을 위한 정책·학술 연구가 각 학교와 기관에 활발하게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문화체육관광부나 산하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는 문화예술 기획경영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들을 학교 내에서 강화하며 그것을 체화하기 위해 국내 예술현장에서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실무역량을 배양하는 인턴쉽이 필요하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예술경영을 크게 세 단계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문화컨텐츠라는 ‘예술경영 재료’로써의 준비, 두 번째는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직접적 ‘실행 단계의 예술경영’과, 세 번째는 예술경영행정이란 ‘제도의 정립’이다. 위의 내용처럼 대학 내에서 이 세 단계(예술의 재료, 경영, 제도)에 합당한 학과의 적절한 증설이 필요하며 재료와 경영의 소득창출을 위한 교과목의 다양화와 학과간, 대학간, 기관 간 학술간의 연계가 중요하며, 정부의 예술 기관을 연계하여 인턴쉽을 강화하는 교과목 프로그램 강화 운영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라 볼 수 있다.

      • 청주 예술의 전당의 효율적인 경영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범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0년대 지방자치제가 정착된 이후로, 그동안 중앙에 편중되어있던 고급문화가 지방으로 확산되었다. 고급문화를 접한 지역민들은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질 높은 문화를 열망하게 되었다. 이들의 증대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지방자치제는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문화예술정책의 방향을 다시 제시하여야 하는 행정수요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2001년을 '문화의 해'로 지정하여 지방 예술문화 시설의 재정 지원을 약속하였지만, 지역의 문화적 기반이나 정책 방안 없이 설립된 지방 문예회관은 자치단체의 예산 부족과 운영의 미숙으로 지방 예술 문화 발전은 제자리를 걷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방 문예회관은 시대적 흐름을 과감히 수용하지 못하는 관료적 예술행정과 비전문적인 예술조직으로 운영되고 있어 지방 문예회관의 본 취지인 문화예술의 창달과 보급을 이룬다는 본래 목적을 잃어버리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지방 문예회관의 효율적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그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으론 현재 시 사업소체제 중 관료주의적 예술경영 방식을 취하고 있는 지방 문예회관인 청주 예술의 전당을 중심으로 그 현안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지적하여 청주 예술의 전당이 취하여야 할 가장 효율적인 예술경영방식 제시하였다. 우선 위의 실천을 위하여 Ⅱ장에서는 국·공립 공연장 운영의 유형을 크게 여섯 가지로 분류하고, 대표적인 사례와 개선점을 열거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별 경영방식의 장·단 점을 분석하고 청주 예술의 전당과 가장 어울리는 경영방식을 찾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청주 예술의 전당의 경영체제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Ⅳ장에서는 청주예술의 전당의 효율적인 경영개선방안의 대안을 예술경영학적 운영방식의 측면에서, 새로운 조직 및 인력구성의 측면에서, 자체프로그램 운영개발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세부 실천 방안으론 첫째, 인력의 전문화 둘째, 전략적인 마케팅과 포지셔닝(Positioning)개발 셋째, 꾸준한 관객개발로 인한 서비스 질 향상 넷째, 다양한 장르별 문화공간의 확보 등으로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결론으로 청주 예술의 전당의 효율적인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청주 예술의 전당은 지역적인 문화적 환경을 고려할 때, 시 사업소 체제의 예술경영 전문가에 의한 책임경영방식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향후, 청주 예술의 전당의 모습은 높아지는 지역민들의 문화적인 욕구에 대응하여 대관 중심의 공연장 형태에서 벗어나 전문 기획 중심의 공연장으로 거듭 나아야 할 것이며, 지역의 다양한 고급 문화예술 창달과 보급의 중심 축이 되어야 할 것이다. Since the local self-government system was settled in the 1990's, high quality culture which had been centered around capital cities has been spilled over to the provincial cities. Getting in contact with the quality culture of metropolitan cities, local governments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 culture and art. With the increased demand of local people for more and better chances to experience high culture, each local government is forced to change its administrative system. In order to meet the demand of its people, each local government has tried to adapt new goals and support a variety of art activities. Though the Korea government designated 2001 as the year of culture and promised to finance local culture facilities, provincial culture has not yet been developed. Besides, since each provincial art institution was established without any local cultural grounds and administrative plans, and was not financed enough by the local government or the central government, few local self-governments could administer art institution efficiently. In addition to these difficulties, non-professional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the provincial art institutions aggravate the problem. Now, an evaluation of the present state of the local government's art policy and administration and a plan for efficient administration of the art institutions are desperately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icient plans and to propose alternatives for local arts center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Cheongju Arts Center which is run by city-business system. This study will reveal the present state of Cheongju Arts Center, and will propose efficient art management plans. Firstly, in chapter 2, I examine the operation system of national or municipal performance halls divided into 6 types. In chapter 3, present management state of Cheongju Arts Center is analyzed and its problems are raised. In chapter 4, the alternatives are suggested, particularly of organization, personnel composition, and the autonomous developmental programs. This study proposes firstly to employ professionals as a management personnel, secondly to plan marketing and develop positioning, thirdly to upgrade the quality of service for audience, and lastly to obtain various cultural spaces. In conclusion, this thesis suggests the policy for effective plans for the Cheongju Arts Center. From this study, it seems that the professional art manager-responsible city-business system is ideal. With this system, the Cheongju Arts Center will be able to change from the present state of letting place to the performance hall to the active operation of the hall responding to the local citizens' increasing demands.

      • 기업특성에 따른 예술콘텐츠 활용이 기업의 고객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지윤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ed to the impact of utilizing artistic content based on company characteristics, with a focus on arts management and its influence on customer engagement in achieving corporate goals.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exploring various areas in the broad domain of art, this research limited the scope to the domain of music to propose and elucidate a study that integrates artistic content utilized in corporate management and management techniques employed in arts management. For this purpose, a research model was set and tested with a total of five hypothes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istic contents utilized in corporate management on the achievement of corporate goals, the study followed classic categorization of companies: manufacturing and services, as well as low-tech and high-tech companies. Within the realm of artistic content, the study divided music genres into single genres and composite genres, and stimuli, in the form of visual materials representing traditional Korean music, Western music, and mixed music, were directly produced and presented to participants for experimentation based on survey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as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test using SPSS 21.0.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customer engagement was greater for companies perceived to be in the service industry than for companies perceived to b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at customer engagement was greater for companies perceived as high-tech than for companies perceived as low-tech. We also found that customer engagement was higher for companies that used multi-genre performances than for companies that used single-genre performances. Positive customer engagement was found to be greater for companies that used multi-genre performances than for companies that used single-genre performances, an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companies perceived as utilizing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showed higher customer engagement than those perceived as utilizing single genre performances. Similarly, in the service sector, companies perceived as utilizing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exhibited greater customer engagement than those perceived as utilizing single genre performances. For companies perceived as low-tech, those utilizing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displayed higher customer engagement compared to those utilizing single genre performances. Similarly, for companies perceived as high-tech, those utilizing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showed greater customer engagement than those utilizing single genre performances. Finally, when utilizing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it was observed that high-tech manufacturing companies had greater customer engagement than low-tech service-oriented companies. These findings are of great theoretical significance in expanding the academic and practical meaning of arts management, as existing arts management focuses on the consumption of art itself, but this study verifies the conceptual expansion of arts management and the achievement of corporate goals using art. Moreover, from a managerial perspective, the validation that corporate characteristics have a meaningful impact on customer engagement, influenced by the type of artistic content, expands the traditional realms of management theory. Furthermore,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suggest that industry practitioners, considering these benefits, could enhance strategic dimensions of arts management related to corporate objectives. Developing and utilizing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that seamlessly integrate compatible single genres could prove beneficial in the strategic realm of arts management for companies. Therefore, practitioners in the field should consider encouraging the creation of more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fusion of compatible genres) in the future to promote practical applications of arts management. 본 연구는 예술경영이 예술에 초점을 두고 기업특성에 따른 예술콘텐츠 활용이 기업의 목표 달성에 있어 고객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폭넓은 예술의 영역에서 다양한 모든 영역을 규명하는 데에 따르는 한계를 이해하고 음악이라는 영역으로 제한하여 기업경영에서 활용해 온 예술콘텐츠와 예술경영에서 활용해 온 경영기법을 통합하는 연구를 제안하고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총 5개의 가설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기업경영에 활용되어 기업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에서 전통적 기업 분류인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그리고 저기술과 고기술 기업으로 분류하여 예술콘텐츠 중 음악장르를 대상으로 단일장르와 복합장르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국악 서양음악 복합음악의 영상 자극물을 직접 제작하여 피험자들에게 노출한 후 설문지를 바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산분석(ANOVA),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제조업으로 인지되는 기업의 고객몰입보다 서비스업으로 인지되는 기업에 대한 고객몰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기술로 인지되는 기업의 고객몰입보다 고기술로 인지되는 기업에 대한 고객몰입이 더 큰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단일장르 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고객몰입보다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고객몰입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경우가 단일장르 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경우보다 긍정적 고객몰입이 더 큰 것을 보여주었고,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제조업 인지 기업의 경우가 단일장르 공연을 활용한 제조업 인지 기업의 경우보다 고객몰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서비스업 인지 기업의 경우가 단일장르 공연을 활용한 서비스업 인지 기업의 경우보다 고객몰입이 더 크다는 걸 보여주었다.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저기술 인지 기업의 경우가 단일장르 공연을 활용한 저기술 인지 기업의 경우보다 고객몰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고기술 인지 기업의 경우가 단일장르 공연을 활용한 고기술 인지 기업의 경우보다 고객몰입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경우, 저기술 서비스업의 경우보다 고기술 제조업의 경우가 고객몰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예술경영의 학문적 의미와 실무적 의미의 확장에 있어, 기존 예술경영은 예술 자체의 소비에 초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예술을 활용한 기업목표달성과 예술경영의 개념적 확장을 검증하여 이론적으로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경영학적 관점의 기업특성이 예술콘텐츠의 유형에 따라 고객몰입이라는 기업목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여, 전통적인 경영학 이론의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실무 담당자는 이점을 고려하여 예술콘텐츠 활용에 적용하면 기업목표와 관련한 예술경영의 전략적 차원에서, 서로 양립 가능한 단일장르를 융합한 복합장르 공연을 개발(창작)하여 활용한다면 기업의 예술경영에도 도움이 될 수 있겠다. 따라서 관련 실무자는 향후 복합장르 공연(양립 가능한 장르의 융합)을 더 창작하여 예술경영의 실무적 활용을 장려할 필요가 있겠다.

      • 공연예술분야의 최고경영자 리더십유형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오지원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공연예술분야의 최고경영자 리더십 유형에 따라 기획경영인력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변수를 리더십 유형으로 설정하고 Bass의 개념에 따라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Greenleaf의 서번트 리더십으로 구분하였다. 종속변수는 조직몰입으로 Allen & Meyer의 구성개념 중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으로 구분했다. 조절변수로는 연령, 학력, 소득, 경력을 선정하여 개인적 차이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연구 대상은 국공립 예술단체, 공연시설, 공연단체의 공연예술분야의 기획경영인력으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방법은 2010년 11월 19일~20일 서울시가 주최한 서울예술지원박람회에 참가한 단체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와 기관 및 단체의 개별적인 접촉을 통해 기획경영인력 3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260부의 설문지를 취합하였다. 그 중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31개의 설문지는 제외하고 총 229부의 자료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 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리더십 유형으로 설정한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은 모두 기획경영인력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 중 전통적인 리더십 유형인 거래적 리더십과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는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높은 수치로 영향을 미쳤다. 세부 요인을 살펴보면 거래적 리더십의 조건적 보상, 서번트 리더십의 성장지원과 비전 제시는 조직몰입의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점 몰입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십별 세부 요인에 따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있었지만, 공연예술분야의 적합한 리더십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규모와 성격에 맞는 리더십이 혼용되었을 때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리더십 유형에 따라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최고경영자와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의 일환으로 리더십이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친다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공연예술분야 기획경영인력은 개인 특성 중 학력을 제외한 연령, 경력, 소득에 따른 조직 몰입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연예술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기획경영인력은 이미 분야의 특수적인 환경(보상적 임금격차, 노동집약형 산업 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업무에 대한 보람, 일에 대한 사회적 평판, 개인의 발전 가능성 등에 높은 가치판단을 하고 있으며, 이는 리더십을 통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연구결과 공연예술분야의 최고경영자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으로 하여금 조직에 헌신하고 몰입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공연예술분야의 최고경영자는 리더십 개발을 통하여 구성원에게 개인적 성장을 적극 지원하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분명한 목표와 비전을 제시하며 구성원이 성취한 결과에 대하여 인정과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는 등 조직몰입을 증진시키는 노력들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 commitment according to the leadership styles in project management human resources of performing arts area. This study has set up the leadership styl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divided three kind of leadership, transactional, transformational, servant leadership of Greenleaf according to concept of Bass. Organization commitment as dependent variables was sub-categorized into affective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as for the moderate variables, personal differences were observed by selecting age, academic background, income and career. For this study, national and public arts organization, performing arts centers and project management members of the performing arts area has been selected as an object of study.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from 19th to 20th November aimed at the organizations which installed promotional booth at 'Seoul Arts Support Programs Fair' hosted by Seoul city. 260 questionnaires out of 300 were gathered by this survey and except for 31questionnaires which were not appropriate for analysis, total 229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alysis of this study all verified at significance level p<.05, p<.01, p<.001, and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for statistical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sted below. First all kind of leadership styles(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and Servant leadership)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roject management members. Although details of each leadership styles made differences in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wasn't certain kind of leadership fits performing arts field, just we could know that when the leadership styles mixed each other according to scale and character of the organizati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ould enhanced. Secondly, traditional type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which is highly studied recently had a big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Looking into details, it shows that conditional compensation of transactional leadership, support growth and offering a vision of servant leadership influence on affective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In other words most effective leadership in performing arts field are transactional and servant leaderships. Eventually, chief executive officer have to continue their efforts for enhanc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supporting the members to make personal achievement and offering the opportunities to display their potential abilities, and also rewarding for their achievement properly.

      • 한국 예술경영 연구의 동향 변화 : 국내 학술지(1988년~2017년)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황서이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예술경영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국내 예술경영 연구가 사회적 변화들과 어떠한 연계성을 맺고 있는지 연구했다. 이를 위해 예술경영분야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인 ‘문화정책논총’, ‘문화경제연구’, ‘문화산업연구’, ‘예술경영연구’, ‘인문콘텐츠’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1988년부터 2017년까지 총 2,110편의 국내 학술지 서명, 초록, 주제어를 분석했다. 연구방법은 문헌 조사 방법과 내용분석법을 활용했다. 특히, 내용분석을 위해 빅데이터 분석기법과 환경 요인 분석을 시도했다.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통행 예술경영분야 학술지의 연구동향을 다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예술경영 연구와 사회적 환경 변화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하여 환경 요인 분석을 실시했다. 빅데이터 분석기법으로는 키워드, 토픽모델링, 의미연결망 분석을 적용했다. 환경 요인은 정치적, 사회·문화적, 기술적, 학문적 요인으로 환경 틀을 설정하여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결과, 예술경영분야 연구는 2000년대 전후로 급격한 변화가 있었다. 2000년대 ‘콘텐츠’ 관련 연구들이 예술경영분야 연구영역으로 급부상하면서 연구의 양과 질에 큰 발전이 있었다. 더불어 ‘미디어’, ‘디지털’에 관련된 연구들이 실시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였다. 2000년대 중반부터는 ‘미디어’, ‘융합’, ‘기술’ 등이 예술경영분야 학술지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2010년대로 들어서면서 예술경영분야 학술지는 향유자의 ‘만족도’나 ‘인식’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주요한 연구주제임을 파악하였다. 총체적으로 예술경영 연구의 전체적인 맥락은 정치적 요인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었다. 정권이 교체되어 새로운 문화예술정책이 발표되면, 예술경영 연구도 정책에 따른 다양한 연구들을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예술경영 연구와 사회·문화적 요인은 예술경영의 주된 목적인 관객조사와 관객개발과 관련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예술경영 연구와 기술적 요인은 연구에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온 요인이지만, 향후 연구에 있어서 많은 논의거리를 남겨 놓은 요인이다. 예술경영 연구와 환경 요인 간의 관계는 하나의 요인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드물었으며, 정치적, 사회·문화적, 기술적, 학문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논의되었다. 이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술경영에 대한 키워드, 토픽 및 의미연결망 분석을 새롭게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불어 예술경영 연구와 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사회 환경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빅데이터 분석기법들은 향후 다양한 예술경영 연구에서도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연구를 통해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더 정교하게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research trends in art management and researches how domestic art management research links with social changes. For this purpose, research subjects such as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The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The Journal of Culture Industry',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The Journal of Human Content', which are the registered journals of Korea Research Foundation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arts management field. From 1988 to 2017, a total of 2,110 domestic journals' signatures, abstracts, and key words were analyzed. The research method used literature survey method and content analysis method. Especially, we tried Big Data and environmental factor analysis for contents analysi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researches on the field of art management have changed dramatically around the 2000s. In the 2000s, 'content' related researches have emerged as a field of research in the field of arts management, and there has been a great improvement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research. In addition, studies on 'media' and 'digital' have continued to grow. Since the mid-2000s, 'media', 'convergence', and 'technology' have emerged in the journals of the field of art management. As we entered the 2010s, the journals in the field of arts management recognized that research focusing on 'satisfaction' or 'recognition' of the beneficiaries was the main research topic. Overall, the context of arts management research wa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factors. When the regime was replaced and a new culture and arts policy was announced, the arts management research also tried various studies according to the policy. Second, artistic management research and social and cultural factors were related to audience survey and audience development, which were the main purposes of art management. Finally, artistic management research and technological factors are the factors that have made the greatest changes in the research, but it is a factor that left much debate in future research.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ic management research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rarely conducted as one factor, and it was discussed as a combination of political, social, cultural, technical, and academic factors.

      • 국내 예술경영학의 현황과 발전방안 : 실무교육의 중요성 제고

        김해숙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twenty-first century, "Age of culture", the society has set a high value on the culture and art based on the knowledge, belief and behavior. In the art management area, high-level professionals have been asked to make decisions with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s. Culture and art organizations also have been interested in the art management introducing business methods of companies. Now, management plans in nonprofit organizations are necessary for the art management area through making professionals. Economic activities, making understand korean culture as well as researching cultural policies of each country and korean culture and art are needed. However, there are problems in korean educational system. Based on the critical thought, this study researched, compared and analyzed the art management's education system starting from 1986. It also suggested the plans for improving educational system based on korean situation by compari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curriculums of foreign countries and those of Korea. Art management as a complex study requires various curriculums. Independent department and connected education with graduate school are necessary for building up systematic knowledge and ability.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establish cultural exchange, program development, connecting education to business and governmental system of national, local level of government as well as local companies and universities. Competitive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completed for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and art. This requires practical curriculum such as cultural policies, law, insurance, copyright, culture and art activities, companies' seminar and leadership. Segmented curriculum development expects education with wide latitude for students, systematic, rational and efficient education for Korean art management.

      • 한국 대학의 예술경영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박주동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들어 한국사회에 불고 있는 문화예술 시장의 대형화, 기업화는 GNI(국민총소득)의 상승과 맞물려 확장일로에 있다. 소득 증가에 따른 문화예술의 소비와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이를 견인할 문화예술 기반 또한 전문화 추세를 보인다. 기업까지 나서서 이미지의 제고를 위해 지난 1994년, 문화예술 전반에 대한 저변을 넓히고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사단법인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를 발족해 ‘1기업 1문화 운동’ 등을 전개하며 공익사업에 매진하는 추세이다. 예술경영학은 이러한 폭증하는 문화예술과 소비자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정립하고 매개할 방법론을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신생학문이라고 조심스럽게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이 소재한 현장이 1차적 연구의 대상이며, 현장의 트렌드가 무엇보다 충분히 반영되어야 학문으로서 생명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문화예술 그 자체에 대한 학문적 접근은 물론이거니와 경영, 행정, 법률, 철학, 과학 등 제반 학문과의 연계도 절대적이어서 대표적인 학제간 학문분야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예술경영학은 시스템화한 일부 산업현장과 달리 ‘현장성, 노동집약적, 휴먼네트워크 중심, 비(非)자동화, 공익성, 창조성’ 등 예술현장의 특성을 감안해 이런 전제 조건들을 명확하게 교육하고 수용시킬 특화된 커리큐럼이 요구된다. 필자는 이런 예술경영학의 특성을 고려, 학문의 성격상 걸음마 단계인 예술경영학 관련 28개 대학 및 대학원 재학생, 교수 등 127명의 설문을 통해 교과과정 상의 문제점을 적시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대안을 제시했다. 설문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은 크게 세 가지로 첫째 현장성이 부족한 이론위주의 수업과다, 둘째 교수요원의 절대적 부족에 따른 실용적 교과배정 불가능, 셋째 신생학문의 성격상 정부 ‧ 기업 등의 정책적 지원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필자는 예술경영학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세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첫째 이론 위주의 실무교육과 현장교육이 적절히 안배되어야 하며, 이론 교과 중 특히 예술기획 및 마케팅 분야의 교과는 앞으로도 더욱 다양해지고 확산되어야 한다. 또한 이론 교과 강화와 아울러 유명무실했던 인턴십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현장의 감각을 피교육생들이 체험하게 하여 추후 현장에 진출해서도 실용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실용학풍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수련과정에서 매체예술 및 현장기술에 대한 전반을 이해하고 경영 마인드를 성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인턴십 프로그램의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둘째 이를 위해 대학 및 대학원은 인턴을 수행할 기관을 폭넓게 확대하고 이를 대학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인턴기관이 내실 있는 인턴 프로그램을 상설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문화예술현장이 필요로 하는 교과목이 개설될 수 있도록 대학 및 대학원과 인턴기관이 상호 유기적으로 협의할 협의체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미래 산업의 한축으로 성장할 예술경영학의 지속적 발전과 전문인 양성, 국가 및 기업의 정책적인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서 학부과정의 전문인 양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학부생 보다 석사과정생이 훨씬 많은 기형적 구도를 개선해야 하며, 이와 동시에 학부 및 석박사 과정이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 또한 대학원들은 예술경영학이 갖는 학문적 정체성을 인식, 합리적인 편제를 마련해야 한다. 특히 석사과정의 경우 설문에 응한 23개 대학원은 그 편제가 상식에 걸맞지 않은 경우와 심지어 단일 대학 내에 2개 대학원으로 예술경영학 관련 학문을 설치한 사례도 있음은 조속히 시정되어야 한다. 필자의 연구가 자료수집 및 설문 표본의 부족 등으로 논거의 일반화를 성급히 하기엔 적절치 못한 부분도 있겠으나 예술경영학이 <교과 강화 - 경쟁력 제고 - 관계 분야 취업 활성화 등 시장의 호평 - 예술경영학의 체질 강화>라는 특성화의 선순환에 일조하고자 교과과정 부문의 문제점을 적시하고 나름의 대안을 제안했다. Recently, the culture & arts market has been expanding its domain into a form of gigantic industry with the rise of GNI (Gross National Income) in Korea. The field of culture & arts shows tendency to specialize in the increase of culture & arts consumption and concerns for it. Korea Council for the Arts has strived to popularize public services to spread culture & art throughout the society, 'One company One culture campaign' which was established in 1994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ovements that reflects their effort. Art management is a new area of study building the relation between consumers and culture & arts. Therefore, culture & arts, its trend and necessity to link all sorts of studies in business, administration, philosophy, and science, should be studied first. Art management's importance lies in developing a special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 arts field like presence, labor intensive, human network, manual work system, public benefit, and creativity. I had conducted a survey with 127 college students and professors related in the field of culture & art in 28 college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are three major problems with the curriculum thus, I suggest the alternative plan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Three problems occur in its theory based instructions, a shortage of instructo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sufficient support of the government. M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lesson and practical lesson should be assigned aptly, and arts planning and marketing lessons should be diversified particularly. In addition, titular internship should be expanded for practical use, especially focused on developing management mind and acquiring general media arts and actual skills. Second,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need to increase connections for internship under direct control and support. A conference group between colleges and internship organizations should be set to opening practical lessons. Third, colleges should open training courses for professionals in order to get a full support by the government and develop a support system to train arts management professionals. Due to its abnormal structures that graduate students outnumber undergraduate students have caused breakage of link betwee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I had even found that a college had 2 graduate schools for arts management, and it was not in accordance with common sense. Graduate schools need to arrange a formation that corresponds to the characteristic of arts management. Although my paper has inappropriate parts that make a hasty generalization because of the lack of data and statistics, it confronts the realistic problems in art & management fields. I have suggested a counteroffer in my own way to help specialize the field of arts management through a flow of 'magnifying classes→raising competitiveness→favorable percentage of employment in a relevant subject area→the field of arts management strengthened'.

      • 중국 대학의 예술경영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 미국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엽의범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중국 대학의 예술경영 학과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예술경영학과의 역사가 가장 오래된 미국과 비교분석하여 중국 예술경영 학과의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중국의 대학 사례는 예술경영학과를 최초로 설립한 중앙희극학원과 예술경영학부 모집 코드를 최초로 신고한 중앙미술학원, 상하이희극학원 에 단과 예술 대학교에서 개설한 예술경영학과를 선정해, 학과 교수진과 커리큘럼에 대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미국에서는 우선 대학원에서 예술경영학과를 개설한 후 학부 과정으로 확장했기 때문에 학부에 예술경영학과를 개설한 학교가 비교적 많지 않다. 따라서 필자가 예술행정교육자협회(AAAE: Association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ors)의 구성원인 Butler University, 종합대학교 Drexel University와 예술대학교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를 선정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두 국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제적으로 중국의 대학에서 개설되어 있는 학과, 교육과정, 교과목을 조사하고 이를 기초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藝術經營 專門人力을 通한 公共 公演場의 發展方案에 關한 硏究

        郭龍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Currently, Korea’s interest in culture has peaked. The reason for such rise in interest in culture is not due to a rise in quality of culture but due to the realization of what kind of effect culture has on the current age. The said effect is referring to the industrial value that derives from culture and how this affects the competence of a nation. With the arrival of cultural age, Korea has experienced a shift in paradigm in all aspects of daily environment, such as in economy, community, and culture. In one’s own personal life, the weight of value has shifted from the collective mind that centered on economical growth to individual self-actualization and a desire for a better life. Likewise, in the field of cultural art, there has been a shift in government policy from supporting the suppliers?artists by professions?to supporting the “demanders” of works of art.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introduction of and interest in arts management came with the growth of culture. In Korea, with the execution of local autonomy policy in 1995, cultural arts centers experienced a rapid growth and by December of 2006, 155 cultural arts centers came to be in operation nationwide with 28 new ones on their way. However, what is more important than the numerical growth is trained labor that can operate and manage these facilities?the hardware of culture arts. Unfortunately, the fact that these cultural arts centers were built without any consideration for the software?programs and trained labor?and were built with the primary aim of administration explains why there have been many operational problems. It has been commonly pointed out by art academics and field operators alike on the professionalism of management personnel of these cent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valuation of Operation of Nationwide Cultural Facilities in 2003, in the case of cultural arts centers, problems such unclear operation methods, financial affairs, program and marketing all accrue from the lack of professionalism in the management personnel. Only 30% of local residents make use of cultural arts centers in average and this number has come to a halt. Less than 65 days of performances are held yearly, and the effectiveness and professionalism of the management are inevitably questionable. Whatever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maybe, cultural arts centers set up by local governments share the basic mission statement of cultural welfare and promotion of local culture. However, another mission is added to cultural centers in the 21st century. First, in the age where information and knowledge become the basis of economy, culture and art become important economical items and further more serve as a basis of a nation’s competence. Therefore, as the stronghold of cultural arts, there is a need for cultural arts centers to be more effectively and rationally managed by trained professionals. Another mission would be for cultural arts centers to serve as an open venue not just for the benefit of the residents but for local artists and art organizations that face great difficulty in making a living due to the fall in interest in pure art.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cultural arts centers with the said missions, it is critical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operation through trained art management personnel. However, the reality is that current shortage of labor and budget prohibits cultural arts centers from hiring or looking for more personnel. In order to secure professionalism, one can only arrive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needs to be a fundamental change where cultural arts centers become a place art professionals can be placed and that cultural centers need to make best use of current personnel to effectively activate centers’ purposes. In order to do so, government favors are also critical. First, as the central operating body, professionalism needs to be considered.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should be consigned to a private organization which can overcome the financial limitation of local government, supply a service of superior quality, and employ professionals. At present, 65% of the directors are government employees who were appointed by local government heads to be directors, and therefore lack the motivation to realize the aim of the foundation. Therefore, the consignment to a private organization which can supply economical efficiency, operational autonomy and consequent responsibility by qualified professionals is a better approach to rational operation of cultural arts centers. Secondly, quality programs need to be supplied to local residents through specialized planning. Regional cultural centers are unable to plan and come up with new programs due to a lack of budget, and they need to overcome the shortage of programs through active cooperation with existing professionals. In order to do so, th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other kinds of cultural arts centers and organizations are very important. A variety of qualified programs needs to be supplied to residents by utilizing a central supply-support system. Moreover, through partnership between cultural arts centers and art organizations and through cultural exchange between cultural arts centers and other cultural facilities, a cooperating system for the mutual growth of cultural arts centers and local art organizations needs to be developed. Thirdly, an effort needs to be made in marketing to develop an audience. In order to develop an audience, there is a pressing need to prepare basic materials to run an audience survey, and through results of such survey, placement of various programs, prices, and other services need to reflect the demand of the audience. Also, a ticket subscription system needs to be introduced in order to boost more audience involvement. Lastly, there is a need to secure funds. In order to secure a stable financial means, it is important to form support committees from both the private and corporate. Formation of such committees will not only provide financial stability but also secure a regular audience. Art needs to be managed. All of the above is a part of management. As the stronghold of creativity of local culture, cultural arts centers need to fulfill their missions through various effective operation methods by trained art management personnel.

      • 국내 예술경영 분야의 '학문'과 '현장 노하우' 간 상호관계 정립에 관한 연구

        안성배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에 예술경영이 도입된 지 20년 가까운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체계적인 학문적 영역이 구축돼 있지 못한 상황이고, 예술경영 현장에서도 문화예술에 적합한 경영 마인드와 체계적인 경영 시스템을 구축하지는 못한 실정이다. 이는 현장에서 축적된 노하우가 이론적 성과로 귀결되지 못하고, 이론적 성과가 현장에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예술경영을 '학문으로서의 예술경영'과 '현장 노하우로서의 예술경영'으로 각각 구분하고, 양자가 맺고 있는 상호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바람직한 상호관계 성립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목적을 이론적 성과로 구체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우선 기존 문헌 및 연구성과로부터 양자(兩者)의 개념을 추출해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술경영 대학원 재학생 및 교·강사진, 현장 예술경영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및 인터뷰조사와 함께 대형 국공립 공연장 예술경영 인력의 예술경영 관련 전공 비율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 국공립 공연장이나 공공문화시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현장적용 과정과 현황을 짧게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예술을 생산하여 무대에 올리는 행위(기획, 프로그래밍)', '관객들로 하여금 효과적으로 이를 향유하고, 그럼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적 제고에 이바지하는 행위(마케팅, 관객개발)', '예술(적 행위)의 생존을 위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하는 제반 행위(조직관리, 인사관리, 재원조성)'와 이를 둘러싼 제반 환경(교육, 법제도, 정책)을 탐구하고 규명하는 이론체계로써, 그 대상(예술)의 특수성에 의해 독자적 방법론을 규정받는 경영학의 한 지류(支流)학문"을 '학문으로서의 예술경영'으로, "예술 경영학의 학문적 탐구 대상들(기획, 프로그래밍, 마케팅, 관객개발, 조직 ·인사 관리, 재무관리, 재원조성, 기타 법제도 및 정책, 교육 등)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제반 기술적·방법적 지식 및 예술경영 현장 자체와 현장의 특성"을 '현장 노하우로서의 예술경영'으로 각각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에 임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학문으로서의 예술경영'의 국내 현황 및 특성을 다음 여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학문으로서의 예술경영은 서구의 절반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그 역사가 매우 짧다. 둘째, 다른 분야에 비해 학문적 성과가 비교적 적다. 셋째, 예술경영학에 대한 교육적 수요가 폭증하고, 괄목할만한 학문적 성과를 이루어 낸 기간은 고작 최근의 3년 정도에 불과하다. 넷째, 이론에 대한 현장의 거부감을 털어 내지 못하고, 예술경영에 대한 왜곡된 인식마저 형성됨에 따라 예술경영학은 현장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이론의 산실인 교육현장이 부실하다. 여섯째 한국 예술경영학은 최근의 성장세를 바탕으로 학회를 창립하는 등 독립적 학문분야로서 발진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다음으로 현장과 이론이 만나는 매체(media)적 구실을 하는 예술경영 관련 정규 교육기관 및 교육제도의 현황을 고찰하였다. 이 고찰을 통해 예술경영 교육이 현장과의 괴리, 안정적이고 일관된 커리큘럼의 부재, 교·강사진의 부족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그 원인으로 왜곡과 오인(誤認)에 따른 예술경영 교육 붐의 조성과 교육정책의 부실함 등이 지목됐다. 또한, '현장 노하우로서의 예술경영이 국내 현황을 고찰하면서 '학문으로서의 예술경영'과 달리 '현장 노하우로서의 예술경영'이 예술의 태동과 함께 시작됐음을 확인하고, 우리나라에서 예술경영의 역사가 어떻게 전개돼 왔는지를 간략히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 속에서 '현장 노하우로서의 예술경영'의 국내 현황을 살폈으며, 그 특징으로 첫째, 예술경영에 대한 왜곡된 인식 둘째, 이론적 성과 및 예술경영 전문 인력을 능동적으로 흡수할 수 없는 정책적 환경과 영세한 구조, 낮은 가동률과 기획 공연률, 명확한 설립취지 및 미션의 부재, 비체계적 마케팅과 후진적인 관객개발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양자(兩者)의 개념, 현황 및 특징, 양자의 접점인 교육현장의 현황과 특징 등을 규명하고, 전술(前述)한 설문조사, 현장조사 등의 분석적 고찰을 통해 아래와 같이 양자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우선 시기적 구분에 따른 역사적 고찰 속에서 양자간의 관계를 파악하려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설문조사, 현장조사, 사례조사 등을 통해 ▲양자간 괴리의 심각함 ▲양자의 상호 괴리를 극복할 시스템의 미비로 인한 교육 부실의 악순환 ▲예술경영에 대한 왜곡된 인식에 따른 마케팅에 대한 지나친 강조 ▲학부-대학원 간 연계 시스템 미비 ▲학생들의 교육적 욕구 및 현장과 동떨어진 교과과정 ▲현장에 대한 학술적 규명작업 미흡 ▲이론적 성과를 수용하기 힘든 현장의 구조적 문제점 등을 실증하였다. 또한 중앙집권적 문화행정의 대안으로서 예술경영이 등장하였다는 점과 ▲현장-이론 간 소통 시스템(학회, 학술지, 공론의 장) 및 지식 네트워크 형성 ▲학제간 연구를 통한 독자적 방법론 및 학문체계 구축 ▲이론에 대한 현장의 인식변화 유도 등이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이에 따라 양자간의 바람직한 관계정립을 위해서는 ①예술경영에 대한 왜곡된 인식 개선 ②학문적 방법론 정립 및 독자적 학문체계 구축 ③활발한 학회활동을 통한 상호 소통 시스템 구축 및 지식 네트워크 형성 ④부실한 교육여건 및 교육제도 개선 ⑤인턴쉽 등 산·학(현장-이론) 연결 시스템 구축 ⑥예술경영전문진 제도 도입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It has been almost 20 years since arts management was introduced in Korea. But a systematic field of studies regarding this area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And even in arts management fields we have yet to see appropriate managing minds and well-organized management systems. The accumulated know-how of the field not being applying to theoretical results, and vice versa, is the biggest reason for these circumstances. With the awareness of the current state as its backbone, this thesis wishes to-a Classify arts management into 'the arts managements as theory' and 'the arts management as know-how(of the field)' b.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maintained between the two types of art management, and therefore seek for ways to set up a desirabl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o specify the aforementioned purposes theoretically, this research utilized the following methodologies. First from existing documents and research results this thesis extracted the two concepts of art management and systematically defined them Having the two definitions as a background a questionnaire survey of arts management graduate school students and professors, field arts managers, off was conducted. Also 'arts management related research on major national/public concert areas or public cultural facilities' and how it is being applied to the field is discussed briefly. This research defines 'the arts management as theory' as " A theoretical system that researches and defines 'the act of producing and staging art(planning, programming)','the act of devising more efficient methods for the audience to enjoy arts and therefore increase the quality of their lives(marketing, audience development)','the act of efficiently managing and utilizing resource for the survival of arts(group management, personnel management, resource promotion)'and the circumstances(education, system of law, policies) surrounding them And also as a field of management studies that require independent methodologies due to the distinctiveness of its subject (arts)." And this research defines' the arts management as know-how (of the field)'as "Technical/methodological knowledge and the nature of the arts management field itself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scholastic study subjects(planning, programming, marketing, audience development, group/personnel management, financial management, resource promotion, related systems of law/policies and education, etc) of arts management studies." These two definitions form the background of this research. The current state and specific traits concerning 'the arts management as theory' in Korea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six statements. One, the history of In 'the arts management as theory' in Korea is very short. And compared to western countries, their history, regarding this subject is more than twice as long. Two, Scholastic achievements of this field is comparatively small compared toother areas. Three, the massive rise of educational interest in the studies of arts management, and scholastic achievements worthy of notice have all only started to happen over the last three years. Four, the field has been unable to shake off its sense of disapproval towards theories and this has even resulted in distorted perceptions abut arts management. Therefore, the study of arts management is unable to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field. Five, there is a lack of educational fields that are vital forming grounds of theory. Six, the study of arts management is growing rapidly, and we see a number of research societies being established. The study of arts management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into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in Korea Next, this research examined the present state of arts management related official education departments and policies that act as mediums where field and theory meet.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gap between arts management education and the field, the absence of a stable and coherent curriculum, and a shortage of educators were revealed the problems surrounding this issue. A misled promotion of the arts management education boom and insufficient education policies, etc was pointed as reasons. The research also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the arts management as know-how (of the field)' in Korea. While doing so, it was noted that compared to 'the arts management as theory, 'the arts management as know-how(of the field)' started with the birth of arts. So therefore, a brief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arts management Korea was made. Through this examination, some of the specifically Korean situations involving 'the arts management as know-how (of the field)' were discussed.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a distorted perception: a fantasy abut 'financial independence level' of arts that s t e d from the misunderstanding and ignorance of arts management. Two, policies and petty structure that are unable to actively soak up theoretical achievements and arts management professionals and a weak foundation led by major concert halls, an absence of clear purpose for foundation and mission, a rule of thumb method of marketing, a backward audience development, etc. This research examined the two concepts of arts management, their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looked into the field of education, which is the meeting ground of the two. And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s such as the aforementioned questionnaire survey, field examination etc, it looked in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m. To do so, first a historical examination through periodical distinctions were attempted. Nex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field examination, case examination ▲the seriousness of the gap between the two ▲a Vicious cycle of a deficient education due to a lack of system that can overcome the gap ▲an overemphasis on marketing caused by a distorted perception of arts management ▲a lack of connecting system between undergraduate courses and graduate courses ▲a curriculum detached from the. educational desires of students and the field A scholastically define the field ▲the field, which has a hard time applying theoretical results due to its problematic structure etc were verified. Also noted was the fact that arts management appeared as an alternative to centralized cultural administration and the need for a▲a communication system(research societies, scientific journals, a gathering for public opinion) between the field and theories, and a formation of a knowledge network ▲an establishment of individual methodologies and scholastic systems through researches made in educational systems ▲inducing the field to change its perception of theories, etc were proven. And in order to establish a desirabl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①improving the distorted perception of arts management ②establishing a scholastic methodology and individual scholastic system ③establishing a intercommunicating system through active research society activities and the formation of a knowledge network ④Improving the deficient educational circumstances and education system ⑤establishing an industrial-educational (field-theory) connection through internship, etc ⑥inducting a policy of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for arts management specialists, etc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