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 흡연 예방을 위한 원예활동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초등학교 돌봄교실의 아동을 대상으로

        이기옥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importance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has emphasized due to the increase of youth smoking experience and the decrease of smoking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obacco smoking, willingness to smoke,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in horticultural activities. Thirty children were selected from the caring classroom of two each elementary schools and group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study. At the beginning of education,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moking knowledge, smoking attitude and willingness to quit smoking and after the end of education, conducted on smoking knowledge, smoking attitude, and willingness to quit smoking. For the control group, nine lectures (from January 17 to February 14, 2017) performed using smoking prevention video and presentation. For experimental group, horticultural activity were added to 12 lectures (from December 28, 2016 to February 14, 2017). The training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for 60 minutes depending on the school schedule. The collected data were compiled by Microsoft Excel (MS Office Pro Plus 2013) and R program (ver.3.3.3) was used to analyses of Pearson -test, McNemar -test, t-test or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improved the knowledge of smoking, and the educational effect on smoking knowledge was more obviou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apply the horticultural activity to the program. 2. It is effective to expand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o younger children, such as kindergartens, considering that 5% of children experienced smoking already, even they are 1-2 grade of elementary school. 3. The attitude toward smoking wa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was applied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change was significant. It was significant in experimental group with horticultural activity, but not in control group only. 4. The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on smoking cessation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when McNemar -test was applied to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in all items, while control groups showed no significance. 5. The comparison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ubjects'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showed that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horticultural activity, but the frequency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perform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ose conducted in this study were effective in educat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children in the elementary school caring classes to the right direction. In order to prevent child smoking,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using horticultural activity showed which can prove harmfulness of smoking is highly educational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in the present study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knowledge about smoking in elementary school care class children, and education which added horticultural activity was also effective in the change of attitude, It was not an abstract situation. The method to maximize the effects is to develop and systematize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customized for each grade level is required. Key Words: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smoking knowledge, attitude to smoking, caring classroom, willingness to quit smoking. 청소년의 흡연 경험 증가와 흡연연령의 저하로 흡연예방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원예활동을 적용한 흡연예방 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 금연행동의지, 교육의 만족도 등에 미치는 교육 효과를 분석하여 흡연예방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서울시내 2개 초등학교 돌봄 교실 아동을 선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아동 30명씩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교육 시작 전에 일반적 특성, 흡연지식 및 흡연태도, 금연행동의지 등에 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육 종료일에 흡연지식 및 흡연태도, 금연 행동의지, 교육만족도 등의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흡연예방 광고영상과 동영상 등 자료를 이용한 9회(2017년 1월 17일~2월 14일), 실험군은 매회 원예활동을 부가한 12회(2016년 12월 28일~2017년 2월 14일) 교육을 학교 일정에 따라 주 1~2회, 60분씩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Michrosoft Excel (Microsoft Office Pro Plus 2013)로 정리하여 R Program (ver.3.3.3)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따라 Pearson -test, McNemar -test, t-test, 분산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흡연예방교육은 흡연지식을 향상시켰으며, 원예활동을 프로그램 에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지식의 교육 효과가 더 확연했다. 2. 흡연태도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낮았으나, 변화의 폭은 커서, 체험활동이 수반된 실험군에서는 교육전후의 차이가 유의하였으나, 강의로만 이뤄진 대조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3. 흡연경험에서, 초등학교1-2학년이 대상이었음에도 54명 중 3명 (5.6%)이 있으므로 흡연교육을 유아원/유치원까지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4. 장소별 금연행동에서 교육전에 대조군이 우수하였으나, 교육후에는 비슷해졌으며, 실험군에서는 곤충앞에서와 꽃옆에서가 늘어난 반면, 대조군에서는 운동장에서가 줄어들었다. 5. 상황에 대한 금연행동에서, 유의하지 않았지만 실험군에서 오히려 응답이 적어진 문항이 많았으며, 대조군에선 강아지가 아프다면에서 응답이 늘었다. 6. 흡연예방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는 73~100%로 높았으며, 점수로는 원예활동을 함께한 실험군 보다 영상과 동영상 자료로만 강의한 대조군이 높았으나, 만족 이상의 빈도로는 실험군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 본 연구에서 진행한 흡연예방교육은 초등학교 돌봄 교실 아동의 흡연에 대한 지식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원예활동을 부가한 교육은 태도 변화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행동변화는 구체적인 장소에서는 효과가 있었으나, 추상적인 상황에서는 없었다. 따라서 흡연예방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년별 수준에 맞는 단계별 원예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체계화가 요구된다.

      • 음주예방 프로그램이 실업계 고등학생의 음주거절자기효능과 음주결과기대에 미치는 효과

        임경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청소년기는 성인이 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사회적 민감도가 높으며 독립성을 찾고 주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투쟁하는 시기이다. 동시에 기분변화가 심하고 우울과 외로움 및 괴로움을 많이 느끼는 시기로 술·담배를 포함한 약물의 의존에 취약성을 갖는 시기이다. 지금까지 실시된 청소년 약물남용에 관한 실태조사에서 우리나라 청소년 사이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약물은 알코올이며, 음주경험이 다른 약물사용 비율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여학생 음주의 증가와 음주시작 연령도 차츰 낮아지고 있음을 보이고 있어 여러 연구에서 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의 필요성이 강조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주행위 형성에 매우 중요한 시기인 청소년들에게 음주를 증가시키는 다양한 사회환경적 영향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주 거절자기효능을 증진시키고, 음주결과기대를 감소시키는 음주 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이며 연구기간은 2001년 9월 10일부터 11월 16일까지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실업계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들로서, 실험군 22명, 대조군 23명, 총 4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음주예방프로그램은 사회정신건강연구소(1998)에서 개발한 청소년 인성발달을 위한 학교정신건강 프로그램II와 한상미(1997), 신성례(1997)의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는 음주거절자기효능과 음주결과기대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동질성 검증과 가설검증은 Χ²-test와 wilcoxon rank sums test로 분석하였고 음주예방프로그램이 음주행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Fisher's exact test로 추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음주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음주거절자기효능 점수가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z=2.45, p=.014). 2. 제 2가설인 "음주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음주결과기대 점수가 낮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z=-3.05, p=.002). 3. 음주예방프로그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음주행위를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음주빈도 Χ²= 24.86, p=.000, 음주량 Χ²=12.66, p=001).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실업계 고등학생에게 실시한 음주예방프로그램은 실업계 고등학생의 음주거절자기효능을 증진시키고, 음주결과기대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음주의 빈도와 양에서도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알코올에 대한 호기심이 활발한 청소년 시기에 음주시기를 지연시키거나 알코올 오·남용을 막음으로써, 이들이 보다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음주예방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rinking prevention program for va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useful for the prevention of adolescents drinking problem.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 vacational high school male students in G city among which 22 were assign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drinking prevention program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6 sessions utilizing self-efficacy theory and expectancy theory.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the scale of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alcohol expectanc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0 to November 16, 2001, and analized by Χ²-test, wilcoxon rank sums test and fisher's exact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ypotheses 1 that "the score of th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z=2.45, p=.014). 2. Hypotheses 2 that "the score of the alcohol expectanc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z=-3.05, p=.002). 3. Drinking prevention program had an influence on reducing drinking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joined that program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frequency of drinking Χ²=24.86, p=.000, amount of drinking Χ²=12.66, p=.001). Based on the result, the alcohol prevention program for va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effective in promotion of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reduction alcohol expectancy. For the adolescents who have high curiosity, alcohol drinking prevention program should be systematically carried out according to adolescents' development progress, drinking or not, and drinking problems to have healthier school life.

      • 흡연예방 표준교육프로그램이 흡연청소년의 금연의지, 자아존중감,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이진현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Effect of the Simple Easy New Smoking Prevention (SENSE) on Smoking Youth’s Volition to give up Smoking,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Jin-Hyun Lee Dept. of Counsel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Seung-Kyu N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it effect on a smoking youth’s volition to give up smoking,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by conducting the Simple Easy New Smoking prEvention (SENSE) developed in 2016 at the National Tabacco Control Center,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To examine i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First, ‘Does the participation of the Simple Easy New Smoking prEvention (SENSE) affect a smoking youth’s volition to give up smoking?’. Second, ‘Does the participation of the Simple Easy New Smoking prEvention (SENSE) affect a smoking youth’s self-esteem?’. Finally, ‘Does the participation of the Simple Easy New Smoking prEvention (SENSE) affect a smoking youth’s communication skills?’.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30 experimenters from an experimental group and 30 experimenters from a control group among desired and selected students from H high school and E high school. The control group was conducted the survey without implementing the Simple Easy New Smoking prEvention (SENSE). The researcher selected a module of refusal for smoking temptation suggested by the Simple Easy New Smoking prEvention (SENSE) for high-school students as examples of program package operation and a module of an addiction response. And then,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Simple Easy New Smoking prEvention (SENSE) by selecting Characteristics of Addiction (Intermediate) in cognitive domain, Truth Campaign(Intermediate), Me in Action in emotional territory, Handling Stress II, III in behavioral area, Skills of making a decision, and Development of relationship recommended by key contents. Through the survey, difference was verified depending on post-test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effectiveness of pre-test and post-test was verified depending on difference number. Students replied that their opinions regarding the volition to give up smoking,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improved positively on the analyzed result through reviews conducted to compensate the limit of questionnaire response analysis. In case of volition to give up smoking, students became aware of the dangers of smoking and decided not to smoke through the program and they also came to think again about the importance of themselves. In case of self-esteem, students thought about self-esteem that they had never thought of before and try to make themselves better although the initial result number of self-esteems was low. In case of communication, students could learn how to accurately express their opinion about inappropriate recommendations from other friends and how to express their opinion on the right conduct. Finally, through this program, if you proceed not a one-time program but a regular program, it is willing to improve positively volition to give up smoking, self-esteem, engage yourself in the program. Also, it is important to have enough time to think.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the response analysis shows that volition to give up smoking,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s have not been improved better after implementing the Simple Easy New Smoking prEvention (SENSE). However, although those were not improved exclusively, the result of review shows that students felt the importance of volition to give up smoking,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those subjects should be improved better.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 limitation as well as proposition is that the longer period experiment and research are needed to determine future change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assure the consistent effectiveness of the Simple Easy New Smoking prEvention (SENSE)which is examined by pre-test and post-test only. And,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 with the Simple Easy New Smoking prEvention (SENSE), it needs to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of students. If there was active cooperation from the school field or the teacher in charge, the results of the survey could be positive for students like as the result of response analysis. In addition, more systematic research on education methods by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each area is needed with various education implementation because an education method for developed in 2016 was conducted right after the short professional training. Also,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is willing to be checked again at the following study because there were a lot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voluntarily rather than voluntary participated students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fact that we have been giving up disciplinary education in the prevention education of smoking, further research expects effective results to be achieved by combining the Simple Easy New Smoking prEvention (SENSE) with students, school conditions, and the expertise of teachers in charge. Key words: Simple Easy New Smoking prEvention (SENSE), Volition to give up smoking, Self-esteem, Communication 국문초록 흡연예방 표준교육프로그램이 흡연청소년의 금연의지,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중등상담심리전공 이진현 본 연구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가금연지원센터에서 2016년도에 개발된 흡연예방표준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흡연청소년의 금연의지,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에 어떤 영양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흡연예방표준교육프로그램의 참여는 흡연청소년의 금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흡연예방표준교육프로그램의 참여는 흡연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흡연예방표준교육프로그램의 참여는 흡연청소년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대전 시내 H고등학교와 E고등학교 학생중 희망자 및 학교에서 선정된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30명씩, 총60명으로 선정하였다. 통제집단은 흡연예방표준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고등흡연예방표준교육프로그램 패키지운영 예시로 제시한 흡연유혹거절형 모듈과 중독대처형 모듈을 선택했으며, 고등흡연예방표준교육 프로그램의 추천 핵심 컨텐츠인 인지적 영역 중에서 중독의 특성(중급), 트루스캠페인(중급), 정서적 영역 중에서 실천하는 나, 행동영역중에서 스트레스 다루기 Ⅱ,Ⅲ, 의사결정의 기술, 관계의 발전을 택하여 흡연예방표준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설문 검사지를 통해 사후검사에 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검증과 차이점수에 의한 사전⋅사후검사의 효과검증을 하였고, 설문 검사지 반응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소감문 분석 결과를 보면 금연의지, 자아존중감, 의사소통에 관한 학생들의 의견은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고 답하였다. 금연의지의 경우, 프로그램을 통해 흡연의 유해성을 정확히 알고 담배를 피우지 않겠다는 생각을 굳히게 되었고, 자신에 대한 소중함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아존중감의 경우 처음에는 자아존중감의 점수가 낮게 나왔지만, 자신이 생각하지 못했던 자아존중감에 대해 생각해 보고 더 높일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의사소통의 경우, 다른 친구의 부적절한 권유에 대해 정확하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 할 수 있고, 올바른 행위에 대해 의견을 말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웠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프로그램에서 개선해야 될 점을 정리해 보면 일회성이 아닌 정기적인 프로그램으로 진행한다면 금연의지와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능력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강의식이 아닌 스스로 참여하고, 생각할 수 있는 여유 있는 시간 확보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흡연예방표준교육프로그램을 실행 후 설문지 검사 분석결과에서 금연의지,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이 더 향상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소감문 분석 결과를 보면 금연의지와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나게 향상된 것은 아니지만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학생들은 금연의지,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생각을 할 수 있었고, 앞으로 더 긍정적으로 향상되어야 할 항목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계점과 제언은 첫째, 본 연구의 흡연예방표준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사전-사후로만 검증하여 그 이후의 지속적인 효과성에 대하여는 확언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추후변화의 측정은 6개월에서 1년 등의 장기간에 걸친 관찰과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의 흡연예방표준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학교 현장이나 담당교사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었다면 소감문 결과분석에서 나온 결과처럼 학생들의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2016년도에 개발된 흡연예방표준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육방법에 대한 전문적인 연수교육을 단기간에 받고, 이것을 학생들에게 시행하였기 때문에 좀 더 체계적인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별, 영역별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다양한 교육실행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특성과 학교의 상황에 따른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효과에 대한 검증이 재시도 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의 경우 자발적인 참여보다는 비자발적 참여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연구결과에도 영향을 주었다. 흡연예방교육에 있어 징계위주의 교육을 지양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차후의 연구에서는 흡연예방표준교육프로그램을 학생과 학교상황, 담당교사의 전문성과 결합하여 실행한다면 좀 더 효과적인 결과가 나오리라 기대한다. * 주제어: 흡연예방표준교육프로그램(SENSE), 금연의지,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교폭력태도, 분노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양야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최근 청소년의 학교폭력 행위는 빈도와 강도의 측면에서 볼 때, 점점 심각해지고 있으며,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학교폭력은 평범하고 모범적이라는 학생들에게서도 일반화되어 있고, 여학생의 폭력행위도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또한 학교폭력의 양상이 점점 더 흉포화, 집단화, 저 연령화 되면서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교폭력태도와 분노 그리고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의 사전ㆍ사후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으로 G시에 소재한 2개 중학교 1학년 학생 139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실험군은 K중학교 78명이고, 대조군은 J중학교 61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8월 22일부터 12월 12일까지였고,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군에게는 매주 1회(45분) 총 12주간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에 사전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실험군과 함께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청소년 보호위원회(2003)가 개발하고 장금순(2005)이 수정ㆍ보완한 학교폭력태도 측정도구와 Novaco(1976)가 개발하고 남궁희승(1997)이 번안한 분노 측정도구, Buss 와 Durkee(1957)가 개발하고 노안영(1983)과 정동화(1996)가 번안한 것을 심승원(2001)이 수정ㆍ보완한 공격성 측정 도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은 실수와 백분율, 두 집단의 동질성 검정은 χ2-test와 t-test를 사용하였다.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학교폭력태도, 분노 및 공격성 점수의 차이는 t-test와 ANCOVA에 의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실시 전에, 대상자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가해경험, 피해ㆍ가해 모두를 경험한 중복경험 등을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총 139명 가운데 피해경험은 16.5%, 가해경험은 11.5%, 중복경험은 41% 그리고 피해ㆍ가해 경험이 모두 없는 학생은 30.9%로 나타났다. 2. 제 1가설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학교폭력태도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 = 2.452, p = .016). 3. 제 2가설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분노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 = -2.115, p = .018). 4. 제 3가설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공격성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 = -3.766, p < .001). 이상의 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교폭력태도와 분노 그리고 공격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해주었다. 따라서 학교현장의 보건교사들은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나 복지관과 연계하여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정규 수업시간에 적용하면,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방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교폭력태도, 분노 및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성지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시행하여 학교폭력태도, 분노 및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청소년 정신건강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신간호 중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10월 5일부터 12월 28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하는 2개 중학교 1학년생 224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은 J중학교 114명, 대조군은 S중학교 110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로서 학교폭력태도는 김준호(1997)의 ‘폭력척도'와 Rigby & Slee(1993)의 ’The provictim scale'을 양주연(2004)이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 척도로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노는 Novaco(1994)가 개발하고 남궁희승(1997)이 번안한 Novaco 분노척도(Novaco Anger Scale: NA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학교적응유연성은 박현선(1998)이 사용한 척도를 이선화(2007)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은 Eggert(1994)의 “Anger management for youth: Stemming aggression & violence”, 문정화 등(2001)이 번안한 “나를 찾는 여행”, 삼성생명 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 연구소(2005)가 개발한 “다시 한 번 생각해봐”를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중학생에게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12회기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test, t-test 및 ANCOVA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학교폭력태도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가설 1은 지지되었다(F=6.40, p= .012). 둘째,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분노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가설 2는 지지되었다(t=-3.974, p< .001). 셋째,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학교적응유연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가설3은 지지되었다(t=3.757, p< .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교폭력태도, 분노 및 학교적응유연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폭력예방을 위해 본 프로그램을 정규 보건교과교육으로 활용, 보급하도록 하여 근거기반 학교 정신건강증진사업이 뿌리내릴 수 있는 토대가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노인의 신체기능, 낙상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변화

        김민준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8주간의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노인의 신체기능, 낙상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의 변화를 알아보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진행은 D광역시에 소재한 건강증진센터를 이용 중인 65세 이상의 노인 14명 중 남성 노인 5명, 여성 노인 9명을 대상으로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과 정신건강프로그램을 각각 8주간 주1회, 60분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프로그램은 여성노인의 보행속도, 일어서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프로그램은 여성노인의 낙상효능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남성노인에게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프로그램은 남녀노인의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프로그램은 남녀노인의 우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위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신체기능과 낙상효능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프로그램은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들은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 및 정신건강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기능과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보완하여 노인의 신체능력 향상은 물론 다양한 심리적 안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possible changes in body functions, falls efficacy,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fter conducting two eight-week programs, that of fall prevention exercises and mental health,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progr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lder persons of 65 of age or above attending a health promotion center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comprising five men and nine women.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60-minute sessions of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and mental health program once a week for eight weeks, for each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walking speed and standing from the female elderly after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and mental health program. Secondly, falls efficacy of the femal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from the male elderly after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and mental health program. Thirdly,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elf-esteem of either group after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and mental health program. Fourthly, depression in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after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and mental health program. In view of the above results, it may be noted that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and mental health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in body functions and falls efficacy of the female elderly, and that the two programs affect depression in the elderly. This indicates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and mental health program impacts body function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a favorable way. Further developments of various programs for improving body functions and mental stability based on the programs of this study would be highly desirable.

      • 예방·교수·강화 프로그램이 통합유치원에 다니는 발달지체 유아의 도전행동과 바람직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은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예방·교수·강화 프로그램이 통합유치원에 다니는 발달지체 유아의 도전행동과 바람직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 은 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전공 (지도교수 정 평 강) 본 연구는 예방·교수·강화 프로그램이 통합유치원에 다니는 발달지체 유아 의 도전행동과 바람직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예방·교수·강화 프로그램이 통합유치원에 다니는 발달지체 유아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예방·교수·강화 프로그램이 통합유치원에 다니는 발달지체 유아의 바람직한 행동에 미치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A시에 위치한 통합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중 발달지체로 선 정·배치 받은 만3세 유아 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후 유아프로그램에서 의 예방·교수·강화 프로그램(PTR-YC)을 통한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연구로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순으로 실시하였다. 목표행동인 도전행동과 바람직한 행동은 시간 간격별 부분기록법과 반응 기회 기록법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 를 분석하기 위해 그래프로 시각적 분석 및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유치원에 다니는 발달지체 유아 3명에게 예방·교수·강화 모델을 적용한 결과 유아들의 도전행동은 감소했으며, 감소의 유지에도 긍정적인 영향 을 미쳤다. 중재 구간에서 세 명의 유아 모두 PND는 ‘효과적인 중재’였으 며, 또한 유지 구간에서 PND는 모두 ‘매우 효과적인 중재’로 나타났다. 따라 서 예방·교수·강화 프로그램은 통합유치원에 다니는 발달지체 유아들의 도 전행동 감소와 그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통합유치원에 다니는 발달지체 유아 3명에게 예방·교수·강화 모델을 적용한 결과 유아들의 바람직한 행동은 증가했으며, 증가의 유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재 구간에서 두 명 유아의 PND는 ‘효과적인 중재’였으며, 한 명 유아의 PND는 ‘매우 효과적인 중재’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유지 구간 에서 PND는 모두 ‘매우 효과적인 중재’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방·교수·강 화 프로그램은 통합유치원에 다니는 발달지체 유아들의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와 그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유아프로그램에서의 예방·교수·강화 프로그램은 통합유치원에 다니는 발달지체 유아들의 도전행동 감소와 바람직한 행동의 증 가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유아 프로그램에서의 예방·교수·강화 프로그램은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육 현 장에서 발달지체 유아들의 도전행동을 줄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높이기에 유용 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재발예방프로그램이 여성알코올중독자의 금주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봉은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재발예방프로그램이 여성알코올중독자의 금주 자기효능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08년 7월부터 12월까지 U시의 K병원과 G광역시의 D병원에 입원중인 여성알코올중독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13명, 대조군 16명으로 총 29명이다. 연구도구는 금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Annis 와 Graham(1988)이 개발한 금주 자기효능감 척도(Situational Confidence Questionnaire, SCQ-39)를 본 연구자가 번역하여 사용하였고, 우울 측정도구는 Beck(1972)의 우울척도(BDI)를 이영호(1993)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재발예방프로그램은 Marlatt과 Gordon(1985)의 재발예방에 대한 인지행동모형을 근거로 본 연구자가 구성한 8회기의 집단프로그램이다. 재발예방프로그램을 실시 전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실험군에게는 주 2회 총 8회기의 재발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후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PC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Fisher's exact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Mann-Whitney U test, 그리고 ANC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인 “재발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금주 자기효능감이 증가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U=56, p=.022). 또한 알코올중독 관련 특성 중 가족력을 통제하고 ANCOVA 분석을 한 결과,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 = 4.246, p = .049). 금주 자기효능감(SCQ-39)의 하위영역 중 유의한 차이를 나타난 영역은 인간내적 결정인자 중 부정적인 감정(p = .036). 신체적 불편감(p = .008), 긍정적인 감정상태 이었다(p = .05). 2. 제 2가설인 “ 재발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이 낮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었다(U=44.5, p=.008). 또한 알코올중독 관련 특성 중 가족력을 통제하고 ANCOVA 분석을 한 결과,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 = 7.144, p = .013).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재발예방프로그램은 여성알코올중독자의 금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감소시켜 재발의 가능성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알코올중독 치료현장에서 임상 간호사들이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재발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인터넷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터넷게임중독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김보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인터넷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터넷게임중독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8228;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소재 2개 초등학교의 6학년 각 1개 반씩 실험군 24명과 대조군 27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6월 8일부터 2010년 7월 15일까지였다. 인터넷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은 김수진 등(2006, 2007)이 개발한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주 2회 회기당 40분씩 총 9회기로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 인터넷게임중독 성향은 한국정보화진흥원(2006)에서 개발한 아동용 인터넷게임중독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하고 박진아(2001)가 초등학생 4학년과 6학년에게 적합하게 수정 &#8228; 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들의 정규분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Kolmogorov-Smirnov test를 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χ2-test, Mann-Whitney U test, t-test, 가설 검증은 Wilcoxon 부호순위검정, Paired-t test, ANCOVA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을 구하였다. 1. 제1가설: “인터넷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인터넷게임중독 성향이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 = 6.594, p = .013). 2. 제2가설: “인터넷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 = 8.372, p = .006). 이상의 결과에서 인터넷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인터넷게임중독 성향 감소와 스트레스 대처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에 인터넷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 확인을 위한 추후연구와 보다 조기 예방적인 차원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인터넷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의 실시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net games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on internet games addiction inclined and stress coping method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a metropolitan city. The subjects were 51 children in the 6th graders students (exp. = 24, cont. = 27) from two elementary schools at G city. Internet games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was composed 9 sessions. Study instrument to test internet games addiction inclined was develop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2006). Study instrument to test stress coping methods was developed by Min & You(1998) and revised by Park(2001).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8th June to 15th July 2010 and analyzed by Kolmogorov-Smirnov test, frequency, percentage, χ2-test, Mann-Whitney U test, t-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Paired t-test, ANCOVA, and Cronbach's alpha using SPSS 17.0.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Hypothesis 1: "The score of internet games addiction inclined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 = 6.594, p = .013). 2. Hypothesis 2: "The score of stress coping methods of experimental group will change in a positive way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 = 8.372, p = .006). In conclusion, internet games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reduce internet games addiction inclined and to change in a positive way stress coping method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refore, further study to test long-term effect of the program and to strengthen the contents of coping methods, and to start this prevention program in lower grade can be suggested to be more effective relatively.

      • 지역사회 거주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김소남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2

        노인의 낙상은 골절, 뇌손상, 사회 심리학적 기능장애 등 각종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며 입원 등으로 인한 기능제한,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하는 중요한 보건문제 중의 하나이다. 낙상은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안녕상태를 저하시키고 나아가 의료비 부담의 증가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낙상예방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 노인들은 낙상에 대해 매우 취약한 조건들을 가지고 있으며, 낙상발생률도 높아 이에 대한 예방대책이 시급하며 낙상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면 신체적, 경제적 부담이 더욱 가중되어 빈곤의 악순환을 심화시키게 되므로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예방에 대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열악한 생활환경과 신체, 심리적 기능의 저하로 인해 낙상 사고의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는 저소득층 노인의 낙상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에 대한 문헌고찰과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거주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MFPP)을 개발하고, 개발된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이 신체, 심리, 인지, 환경적 요인과 낙상횟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였다.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의 개발은 예비 프로그램 작성, 내용 타당도 검정, 마지막으로 최종 프로그램의 개발 순으로 2010년 6월부터 8월까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노인에게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근력강화운동, 낙상예방 효능감 증진을 통한 심리적 기능 강화를 위한 정서지지, 낙상예방과 운동행위에 대한 인지적 변화 유도를 위한 낙상예방교육, 안전한 가정환경 유지를 위한 가정환경관리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주 1회 하루 70분~90분씩 총 8주 동안 제공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으로 직접 대상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각각의 다면적 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시 1개구 보건소에 등록된 지역사회 거주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을 선정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로 시도하였다. 연구도구는 신체기능에서 Mathias 등의 보행능력 측정도구, Kirkendal 등의 균형감 측정도구, Katz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측정도구, Lawton & Brody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측정도구, 심리기능에서 Tideiksaar의 낙상 두려움 측정도구, Tinetti 등의 낙상예방 효능감 측정도구, 기백석의 한국판 노인 우울 측정도구, 인지기능에서 권용철과 박종한의 간이정신상태 측정도구, 그리고 Tideiksaar의 가정환경위험요인 측정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6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본조사는 사전, 사후, 추후조사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Fisher's exact test, x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C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노인은 참여하지 않은 저소득층 노인보다 낙상횟수가 감소할 것이다” 라는 제1가설은 낙상 위험도가 0.5(95%CI-.714-.047)로 나타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상이 50% 감소하여 지지되었다. 2.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노인은 참여하지 않은 저소득층 노인보다 보행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라는 제2가설은 집단간, 시점간에는 유의 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 경과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 여 지지되었다(F=17.2, p<.001). 3.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노인은 참여하지 않은 저소득층 노인보다 균형감이 향상될 것이다” 라는 제3가설은 두 집단간 사전 사후 (F=37.2, p<.001), 사전 추후(F=39.65, p<.001)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4.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노인은 참여하지 않은 저소득층 노인보다 일상생활수행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라는 제4가설은 집단간, 시점간, 시간 경과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에서 모두 유의하지 않아 지지되지 않았다. 5.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노인은 참여하지 않은 저소득층 노인보다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라는 제5가설은 주효과인 집단에 따른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F=6.32, p<.015), 시점간, 시간 경과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아 지지되지 않았다. 6.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노인은 참여하지 않은 저소득층 노인보다 낙상 두려움이 감소할 것이다” 라는 제6가설은 두 집단간 사전 사후 (F=10.27, p<.002), 사전 추후(F=91.44, p<.001)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7.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노인은 참여하지 않은 저소득층 노인보다 낙상예방 효능감이 증가할 것이다” 라는 제7가설은 두 집단간 사전 사후(F=13.87, p<.001), 사전 추후(F=60.26, p<.001)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8.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노인은 참여하지 않은 저소득층 노인보다 우울이 감소할 것이다” 라는 제8가설은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 었으나, 시점간(F=5.35, p<.006), 시간 경과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F=5.34, p<.006)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9.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노인은 참여하지 않은 저소득층 노인보다 정신상태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라는 제9가설은 두 집단간 사전 사후(F=13.83, p<.001), 사전 추후(F=26.05, p<.001)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10.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노인은 참여하지 않은 저소득층 노인보다 가정환경 위험요인이 감소할 것이다” 라는 제10가설은 두 집단간 사전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F=3.087, p<.086), 사전 추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F=10.13, p<.003)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MFPP)은 저소득층 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신체, 심리, 인지, 환경적 요인에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간호현장에서 활용한다면 저소득층 노인의 낙상예방에 매우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저소득층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핵심어 :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 저소득층 노인, 보행능력, 낙상두려움, 정신상태, 가정환경위험요인 The fall of elderly people is one of integral health problems that lead to severe injuries, such as fracture, brain injury or sociopsychological dysfunction, and hospitalization as well as death in the worst case. Specifically, low-income elderly people are in disadvantaged conditions in terms of fall, and fall incidence is high among those elderly people. Accordingly, low-income elderly people should be provided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intervention for fall preven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ultifactorial Fall Prevention Program (MFPP) for local low-income elderly people on physic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functions, home environmental hazards, and falling frequency. First phase, fall risk factors was identified of by literature review. MFPP was developed from June to August, 2010. After a pilot program was developed, the content validity of it was verified, and the program was finalized. Second phase, MFPP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four dimensions of fall risk factors. This program consisted of muscular exercise, emotional support, fall prevention education, and home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selected elderly people was provided the MFPP during an eight-week period of time, once a week, 70 to 90 minutes per each section. Third phase, The effectiveness of MFPP was evaluat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8 local elderly people who were in the low-income classes and registered with a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An experimental group (EG) and a control group (CG) were organized with 24 elderly people respectively.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group with repeated measuring by quasi-experimental study. Data was collected before treatment, 8 week after treatment and 4 week after retention from July to October, 2010. Data was analyzed with numbers, percentage, Fisher's exact test, x2-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ANC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ll frequency between the EG and CG. The Relative Risk (RR) of fall was 0.5 (95% CI-.714-.047), which EG showed a 50% decrease in fall frequency.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ait ability between the EG and CG and in time.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F=17.2, p<.001). 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lance between EG and CG at 8 week after program (F=37.2, p<.001) and at 4 week after retention (F=39.65, p<.001).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between EG and CG, in time and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in tim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G and CG (F=6.32, p<.015), 6.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ear of falling between EG and CG at 8 week after program (F=10.27, p<.002) and at 4 week after retention (F=91.44, p<.001). 7.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ll efficacy between EG and CG at 8 week after treatment (F=13.87, p<.001) and at 4 week after retention (F=60.26, p<.001). 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between EG and CG,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ime (F=5.35, p<.006) and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F=5.34, p<.006). 9.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al state between EG and CG at 8 week after treatment (F=13.83, p<.001) and at 4 week after retention (F=26.05, p<.001). 10.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G and CG at 8 week after treatment (F=3.087, p<.086),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retest and retention test (F=10.13, p<.003).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multifactorial fall prevention program(MFPP) was useful nursing intervention for strengthening physical, psychological, cognitive and environmental functions of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as well as preventing fall. This program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for low-income elderly people. ------------------------------------------------------------------------------------------------------- Key words: multifactorial fall prevention program, low-income elderly, gait ability, fear of falling, mental state, home environmental haz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